가격협의 상품 및 유료상품의 구매를 원하실 경우 맞춤형 데이터 신청란에 글을 남겨주시면
신속히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데이터 제공 포맷 | 데이터 제공 방식 | 데이터 파일 용량 |
---|---|---|
csv/zip | 다운로드 | 85.83 MB |
₩0
데이터셋명 | 전자파 시험 결과 | 데이터 유형 | csv/zip |
---|---|---|---|
데이터 분야 | 시험인증 | 구축 데이터량 | 85.83 MB |
구축기관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데이터 갱신 일자 | 2023-06-12 |
데이터 개방 일자 | 2021-02-03 | 데이터 이용 기한 | 무기한 |
데이터 갱신 주기 | - | 버전 | - |
주요 키워드 | EMC, EMS, 전자파, 가정용전자기기, 수입의료기기, 시험결과 | ||
벨류체인 키워드 | 기술개발 | ||
소개 | ■ 상품 설명 및 특징 -가정용 전자기기 및 전동기기, 수입의료기기 등등 전자파를 활용하는 다양한 기기들에 대한 접수 현황 및 시험결과 ■ 기간 및 범위 - 2012년 1월 1일 ~ 2020년 12월 31일 ■ 활용 예제 - 본 데이터 상품을 활용하여 사용자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전자파시험항목별 시험결과 데이터 2) 품목별 시험결과 데이터 |
전자파 적합성 시험 결과 데이터 설명서
● 개요
시험인증이란?
시험인증이란 제조, 수입 및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기자재에 요구되는 기술시준 또는 규정 등에 적합한지 여부를 평가하고, 안전성 및 신뢰성 등을 확보하는 제도 장치입니다. 이러한 시험 인증을 통해 소비자는 기기안전성을 보장받고, 판매자는 기업과 기기의 신뢰성을 보장 받으며 시장 전체적으로는 불량품 양산 축소 및 기기의 고품질 성장화를 보장 받습니다.
제품의 제조, 수입 및 판매에 시험인증이 필수적으로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시험인증 접수 데이터를 통해 다양한 산업분야의 동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전자파 적합성 시험이란?
전자파 적합성(EMC,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이란 전자기기에서 방출되는 전자기노이즈로 인해 다른 전자기기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전자기노이즈의 방출량을 규격에서 정한 레벨 이하로 관리하고(EMI, 전자기간섭), 외부의 강한 전자기노이즈 환경에서도 전자기기의 성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관리하여(EMS, 전자기내성) 전자기적합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험입니다.
전자기 장해를 발생하는 제품은 EMC 적합등록을 통과해야만 국내시장이나 국제시장에서 판매나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필수적인 사항입니다. 따라서 전자파 적합성 시험 데이터를 통해 품목별 해당하는 규격 및 시험방법을 알 수 있고, 시험 부적합 사례를 분석하여 제품 제조에 있어 안전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데이터셋의 구성
본 데이터 셋은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이 축적/가공한 전자파 적합성 시험 결과 데이터입니다.
데이터 구분 |
데이터 요약 |
제공 방식 |
전자파 적합성 시험 결과 |
- 가정용 전자기기 및 전동기기, 수입의료기기 등 전자파를 활용하는 다양한 기기들에 대한 접수 현황 및 시험결과 - 전자파 적합성 시험 적용방법별 상세 시험결과 - 상세 시험결과의 메타 데이터 |
- csv/zip - jpg/rtf |
● 데이터 구조
본 데이터는 전사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메타 데이터로 구분됩니다. 이미지 데이터는 전자파 적합성 시험 상세 정보를 포함한 이미지 파일을 의미하고 메타 데이터는 대상 이미지 파일의 접수 번호, 시험기준명, 시험적용규격명, 시험적용방법명 등의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말합니다.
▶ 데이터 수집/가공 형태
수집 대상 |
형태 |
전사 데이터 |
- csv 파일 형식 - 전자파 적합성 시험 접수 현황 |
이미지 데이터 |
- jpg/rtf 이미지 파일 - 전자파 적합성 시험 상세결과를 포함한 이미지 파일 |
메타 데이터 |
- csv 파일 형식 - 상세 시험 결과의 정보 (시험 방법, 시험 기준, 시험 규격) |
▶ 이미지 데이터 및 메타 데이터 구조
1) 이미지 파일로 정보가 제공되는 컬럼에 대해서는 폴더명이 해당 컬럼명인 폴더가 존재
2) 컬럼명 폴더 내에는 폴더명이 해당 접수번호인 폴더가 존재
3) 접수번호 폴더 내에는 대상 접수번호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와 메타 데이터가 존재
▶ 전사데이터 항목
순번 |
컬럼명(한글) |
컬럼명(영문) |
데이터 타입(길이) |
필수여부 |
1 |
일련번호 |
CONNO |
VARCHAR(14) |
Y |
2 |
특이사항 |
PTCL_MTTER |
VARCHAR(100) |
N |
3 |
기술기준현황내용명 |
TCHNL_STNDD_STATS_CONT_NM |
VARCHAR(500) |
N |
4 |
시험기준명 |
EXAM_STNDD_NM |
VARCHAR(500) |
N |
5 |
시험방법명 |
EXAM_MTHOD_NM |
VARCHAR(50) |
N |
6 |
시험적용규격명 |
EXAM_APPL_STNDR_NM |
VARCHAR(1000) |
N |
7 |
시험적용방법명 |
EXAM_APMTH_NM |
VARCHAR(50) |
N |
8 |
시험적용방법적용규격명 |
EXAM_APMTH_APPL_STNDR_NM |
VARCHAR(100) |
N |
9 |
시험적용방법적용여부 |
EXAM_APMTH_APPL_YN |
VARCHAR(1) |
N |
10 |
시험기자재구성배치도URL |
EXAM_MCMTR_CMPST_ARMP_URL |
VARCHAR(300) |
N |
11 |
시험항목ASYMCE결과URL |
EXITM_ASYMCE_RSLT_URL |
VARCHAR(300) |
N |
12 |
시험항목CE결과URL |
EXITM_CE_RSLT_URL |
VARCHAR(300) |
N |
13 |
시험항목DP결과URL |
EXITM_DP_RSLT_URL |
VARCHAR(300) |
N |
14 |
시험항목MFE결과URL |
EXITM_MFE_RSLT_URL |
VARCHAR(300) |
N |
15 |
시험항목RE결과URL |
EXITM_RE_RSLT_URL |
VARCHAR(300) |
N |
16 |
시험항목RE30MHZ미만결과URL |
EXITM_RE_MHZ30_BELOW_RSLT_URL |
VARCHAR(300) |
N |
17 |
시험항목RE1GHZ초과결과URL |
EXITM_RE_GHZ1_EXCDN_RSLT_URL |
VARCHAR(300) |
N |
18 |
접수번호 |
RCIPT_NO |
VARCHAR(50) |
Y |
19 |
제조국가명 |
MNFCR_NTN_NM |
VARCHAR(100) |
N |
20 |
작업구분코드 |
OPERT_SCTIN_CD |
VARCHAR(1) |
Y |
21 |
데이터생성일자 |
DATA_CRTIN_DT |
VARCHAR(8) |
Y |
22 |
연계처리상태코드 |
CNTCT_PRCES_STTS_CD |
VARCHAR(1) |
Y |
23 |
연계처리일자 |
CNTCT_PRCES_DT |
VARCHAR(8) |
N |
▶ 메타데이터 항목
순번 |
컬럼명(한글) |
컬럼명(영문) |
데이터 타입(길이) |
필수여부 |
1 |
접수번호 |
RCIPT_NO |
VARCHAR(50) |
Y |
2 |
특이사항 |
PTCL_MTTER |
VARCHAR(100) |
N |
3 |
기술기준현황내용명 |
TCHNL_STNDD_STATS_CONT_NM |
VARCHAR(500) |
N |
4 |
시험기준명 |
EXAM_STNDD_NM |
VARCHAR(500) |
N |
5 |
시험방법명 |
EXAM_MTHOD_NM |
VARCHAR(50) |
N |
6 |
시험적용규격명 |
EXAM_APPL_STNDR_NM |
VARCHAR(1000) |
N |
7 |
시험적용방법명 |
EXAM_APMTH_NM |
VARCHAR(50) |
N |
8 |
시험적용방법적용규격명 |
EXAM_APMTH_APPL_STNDR_NM |
VARCHAR(100) |
N |
9 |
시험적용방법적용여부 |
EXAM_APMTH_APPL_YN |
VARCHAR(1) |
N |
▶ 컬럼별 설명
1) 일련번호
- 임의의 일련번호를 의미합니다.
2) 특이사항
- 전자파 적합성 시험은 제품군에 따라 시험 기준이 달라집니다. ‘국립전파연구원고시 제2021-3호 전자파적합성기준’에는 기기의 주파수 및 기기 이용 목적 등에 따라 제품군을 분류한 기준이 있습니다.
- 해당 컬럼은 시험 기자재가 해당하는 제품군을 나타냅니다.
- 다음은 컬럼을 구성하는 일부 대표적인 데이터입니다.
* 본 제품군은 1 기기에 해당됨. (전자 제어회로가 없는 기기) * 본 제품군은 2 기기에 해당되며, 최고 동작 주파수가 15MHz 미만임. * A급 기기 기준 적용. * B급 기기 기준 적용. |
- 보다 자세한 내용은 국립전파연구원고시 제2021-3호 전자파적합성기준 전문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3) 기술기준현황내용명
- 기술기준이란 정부가 안전, 환경, 보건 등 국민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마련한 기술규범으로, 법률에 의하여 강제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 기술기준현황내용명은 고시·공고된 기술기준명을 의미합니다.
- 다음은 컬럼을 구성하는 일부 대표적인 데이터입니다.
* 전자파적합성기준 * 방송통신기자재등의 적합성평가에 관한 고시 * 의료기기의 전자파안전에 관한 공통기준규격 * 전자파강도 및 전자파흡수율 측정대상 기자재 |
- 각 기술기준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는 국립전파연구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의 고시·공고 정보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4) 시험기준명
- 기술기준의 고시·공고번호를 의미합니다.
- 다음은 컬럼을 구성하는 일부 대표적인 데이터입니다. (YYYY:연도, XX:호수)
* 국립전파연구원고시 제YYYY-XX호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고시 제 YYYY-XX호 * 국립전파연구원공고 제YYYY-XX호 * 방송통신기자재등 시험기관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고시 * 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제YYYY-XX호 * 의료기기법 제XX호 |
5) 시험방법명
- 시험에 적용된 규격을 의미합니다.
- 전기·전자 기기의 전자기 적합성을 확보하기 위한 국제 표준(IEC61000)이 존재하는데, 이 국제 표준을 각 나라의 사정에 맞게 준용하여 전자기 적합성 법규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은 전파법에 전자기 적합성 규제 근거를 마련하고 방송통신위원회 산하 한국전파연구소에서 국제 지침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 각 규격에 해당하는 표준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내 규격 |
국제 규격 |
표준 내용 |
KN 11 |
CISPR 11 |
산업 과학 의료용(ISM) 기기 장해방지 시험방법 |
KN 13 |
CISPR 13 |
방송수신기 및 관련기기류 장해방지시험방법 |
KN14-1 |
CISPR 14-1 |
가정용전기기기 및 전동기기류 장해방지시험방법 |
KN14-2 |
CISPR 14-2 |
가정용전기기기 및 전동기기류 내성시험방법 |
KN 15 |
CISPR 15 |
조명기기 장해방지시험방법 |
KN 16-1-1~5 KN 16-2-1~5 |
CISPR 16-1-1~5 CISPR 16-2-1~5 |
측정기기 및 시험장, 측정 방법 관련 기본 규격 |
KN 19 |
CISPR 19 |
전자렌지로부터 방사되는 주파수 1GHz 이상의 장해방지시험방법 |
KN 20 |
CISPR 20 |
방송수신기 및 관련 기기류 내성시험방법 |
KN 22 |
CISPR 22 |
정보기기류 시험방법 |
KN 24 |
CISPR 24 |
정보기기류 내성시험방법 |
KN 32 |
CISPR 32 |
멀티미디어기기 전자파 장해방지 |
KN 35 |
CISPR 35 |
멀티미디어기기 전자파 내성시험 |
KN 41 |
CISPR 12 & 25 |
자동차/불꽃 점화 엔진 구동기기류 |
KN 50 |
IEC62236-1~5 |
전기철도기기류의 장해방지시험방법 |
KN 51 |
IEC62236-1~5 |
전기철도기기류의 내성시험방법 |
KN 60 |
- |
전력선통신 기기류 |
KN 301 489 Series |
ETSI 301 489 Series |
무선기기별 EMC |
KN 60601-1-2 |
IEC 60601-1-2 |
의료용 전기기기류 내성시험방법 |
KN 61000-4-2,3,4,5,6,8,11 |
IEC 61000-4-2,3,4,5,6,8,11 |
항목별 (ESD, RS/CS, Burst, Su, reg, Dip 등) 전자파 내성시험 방법 관련 기본 규격 |
KN 60945 |
IEC 60945 |
해상항해용 무선설비 EMC |
KN 60947 |
IEC 60947-1,2,4-1 |
저압 개폐 장치 및 제어장치 전자파 적합성시험방법 |
KN 60974-10 |
IEC 60974-10 |
아크 용접기에 대한 전자파 내성시험방법 |
KN 61000-6-1 |
IEC 61000-6-1 |
주거, 상업 및 경공업 환경에서의 일반내성시험방법 |
KN 61000-6-2 |
IEC 61000-6-2 |
산업환경에서의 일반내성시험방법 |
KN 61000-6-3 |
IEC 61000-6-3 |
주거, 상업 및 경공업 환경에서의 장해방지시험방법 |
KN 61000-6-4 |
IEC 61000-6-4 |
산업환경에서의 장해방지 시험방법 |
KN 61547 |
IEC 61547 |
조명기기 내성기준 및 시험방법 |
6) 시험적용규격명
- 국립전파연구원의 전자파적합성기준 고시 내의 대상 기기별 전자파적합성 기준을 나타냅니다.
- 이 데이터를 통해 시험기자재의 품목을 알 수 있습니다.
- 구성 데이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제5조(일반 전자파적합성 기준) * 제6조(산업·과학·의료용등 고주파 이용기기류의 전자파적합성 기준 등) * 제7조(자동차 및 내연기관 구동기기류 등의 전자파적합성 기준) * 제8조(가정용 전기기기 및 전동기기류의 전자파적합성 기준) * 제9조(조명기기류의 전자파적합성 기준) * 제10조(전기철도기기류의 전자파적합성 기준) * 제11조(전력선통신기기류의 전자파적합성 기준) * 제12조(무선설비의 기기류 전자파적합성 기준) * 제13조(무정전 전원장치의 전자파적합성 기준) * 제14조(저압개폐장치 및 제어장치의 전자파적합성 기준) * 제15조(멀티미디어기기류의 전자파적합성 기준) * 제16조(가변속 전력구동기기의 전자파적합성 기준) * 제17조(승강기의 전자파적합성 기준) * 제18조(해상업무용 무선설비 및 선박용 전기·전자기기류 등의 전자파 적합성 기준) * 제19조(계량기 전자파적합성 기준) * 제20조(소방용품 전자파적합성 기준) * 제21조(항공기 탑재기기 전자파적합성 기준) * 제22조(전기자전거 전자파적합성 기준) |
- 각각의 항목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국립전파연구원고시 제2021-3호 전자파적합성기준 전문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7) 시험적용방법명
- 전자파 적합성 시험은 크게 전자파 장해시험(EMI)와 전자파 내성시험(EMS)로 나누어집니다. 전자파 장해시험은 전자기기에서 방출되는 전자기노이즈로 인해 다른 전자기기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전자기노이즈의 방출량을 규격에서 정한 레벨 이하인지를 시험하는 것입니다. 전자파 내성시험은 부의 강한 전자기노이즈 환경에서도 전자기기의 성능이 유지될 수 있는지를 시험하는 것입니다.
- 전자파 장해시험에는 Asym.CE, CE, DP, MFE, RE 등이 있고, 전자파 내성시험에는 ESD, RS, CS, EFT/Burst, Surge, V-dip 등이 있습니다.
- 시험적용방법명은 전자파 적합성 시험 종류를 나타내는 컬럼입니다.
8) 시험적용방법적용규격명
- 각 시험적용방법별 적용규격을 나타내는 컬럼입니다.
- 자세한 내용은 시험방법명 컬럼의 설명을 참고 바랍니다.
9) 시험적용방법적용여부
- 각 시험적용방법별 적용여부를 나타내는 컬럼으로, Y/N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0) 시험기자재구성배치도URL
- 시험 진행 시의 배치도를 jpg 파일로 제공하는 컬럼입니다.
11) 시험항목ASYMCE결과URL
- Asym. CE 시험이란 유선통신망, 광섬유, 안테나 포트에서의 비대칭 모드 전도성 방출 시험입니다.
- 해당 제품의 통신선, 신호선 및 포트에서 방출되는 전자파의 유해성을 시험합니다.
- 이 컬럼은 rtf 파일로 제공됩니다.
12) 시험항목CE결과URL
- CE 시험이란 전도성 방해전압 시험입니다.
- 해당 제품의 라인(전원선, 데이터선로 등)에서 방출되는 전자파의 유해성을 시험합니다.
- 이 컬럼은 rtf 파일로 제공됩니다.
13) 시험항목DP결과URL
- DP 시험이란 방해전력 시험입니다.
- 전원선으로부터 복사되는 Noise Power를 측정합니다. (근거리 유도장)
- 이 컬럼은 rtf 파일로 제공됩니다.
14) 시험항목MFE결과URL
- MFE 시험이란 자기장 유도전류 시험입니다.
- 조명기기 등이 동작하면서 방출시키는 자기장을 측정합니다. (근거리 유도장)
- 이 컬럼은 rtf 파일로 제공됩니다.
15) 시험항목RE결과URL
- RE 시험이란 방사성 방해전압 시험입니다.
- 해당 제품의 본체에서 방출되는 전자파의 유해성을 시험합니다.
- 이 컬럼은 rtf 파일로 제공됩니다.
16) 시험항목RE30MHz이상결과URL
- 해당 제품의 본체에서 방출되는 전자파의 유해성을 시험합니다. (제품의 최대 주파수 : 108MHz 이하)
- 이 컬럼은 rtf 파일로 제공됩니다.
17) 시험항목RE1GHz초과결과URL
- 해당 제품의 본체에서 방출되는 전자파의 유해성을 시험합니다. (제품의 최대 주파수 : 108MHz 이상)
- 이 컬럼은 rtf 파일로 제공됩니다.
18) 접수번호
- 각 필드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번호입니다.
- 형식 : YY-XXXXXXX
- 앞의 두 자리(YY)로 시험 연도 식별이 가능합니다.
- 뒤의 일곱 자리(XXXXXXX)는 임의로 생성된 식별 번호입니다.
19) 제조국가명
- 시험기자재를 제조한 국가를 나타내는 컬럼입니다.
● 데이터 구축 목적 및 활용 방안
전자파 시험은 전기를 이용하는 모든 산업 분야에 포함되는 시험 분야입니다. 4차 산업기술이 접목되어 융·복합 제품이 늘어나고 무선 분야가 부각되면서 전자파 시험의 범위가 더욱 넓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양한 전자파 적합성 시험 결과 데이터를 통해 제조 기업의 제품 제조에 도움을 주기 위해 데이터를 구축하였습니다.
제조 기업은 전자파 적합성 시험 데이터를 활용하여 품목별 필수로 받아야 하는 시험 및 시험규격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시험 부적격 사례를 분석하여 제품에 어떠한 부품이 들어갔을 때 주파수가 높아져 시험 적합 기준을 벗어나는지 등에 대해 분석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전자파 적합성 시험 데이터를 통해 제품 제조의 안전성을 높여 기업 입장에서는 제품 출시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소비자 입장에서는 안전하고 튼튼한 제품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전자파 적합성 시험 데이터를 분석하여 산업동향도 파악이 가능합니다. 연도별 특정 품목의 접수 빈도 변화를 파악할 수 있고, 특정 품목의 접수가 계절성을 띄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제조국가별 빈도와 제조국가별 불량률도 파악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전자기기에 대한 동향을 파악할 수 있고, 기업 비즈니스에 참고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구축 담당자
수행기관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전화: 02-860-1055 / 이메일: bigdata.dx@ktl.re.kr)
10047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황금1로 122,김포제조융합혁신센터 3층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사업자번호 : 113-82-06228 대표자명 : 김세종 TEL: 02-860-1059 E-mail: bigdata.dx@ktl.re.krCopyright ⓒ 2021 KOREA ENTERPRISE DAT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