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협의 상품 및 유료상품의 구매를 원하실 경우 맞춤형 데이터 신청란에 글을 남겨주시면
신속히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데이터셋명 | 정부출연연연구개발성과 | 데이터 유형 | csv/zip |
---|---|---|---|
데이터 분야 | 과학기술 | 구축 데이터량 | 1.30 MB |
구축기관 | 대덕넷 | 데이터 갱신 일자 | 2022-11-29 |
데이터 개방 일자 | 2021-01-01 | 데이터 이용 기한 | 무기한 |
데이터 갱신 주기 | - | 버전 | - |
주요 키워드 | 정부출연연구개발성과, 과학기술,R&D, 출연연,성과 | ||
벨류체인 키워드 | 기술획득 | ||
소개 | 과학기술 전문 언론사에서 2000년도부터 취재한 정부출연연구개발성과 보도 데이터입니다. |
정부출연연연구개발성과 데이터 상품설명서
□ 상품설명
○ 정부출연연연구개발성과 데이터 상품은?
과학기술 현장 언론보도 데이터는 과학·산업 전문 언론사인 대덕넷(HelloDD.com)에서 취재한 보도기사 기반입니다. 과학기술 중심지인 대덕단지를 필두로 전국의 과학·산업 이슈를 전하고 있습니다. 과학기술계 연구개발 성과 기사 보도 데이터뿐만 아니라 과학단지 현장의 소식이 데이터로 구성돼 있습니다. 우리나라 산학연 연구 주체별 연구 트렌드, 연구 현황, 주요 성과 등이 담겨 있습니다.
○ 데이터 주요 키워드
#정부출연연 #R&D #과학성과 #과학기사 #대덕단지 #과학기술
○ 데이터 활용 및 이용 권장 고객
-정부출연연 R&D 성과 관련 기사 데이터를 활용(공유)하고자 하는 기업인
-과학기술 정부출연연 R&D 성과 데이터를 활용해 융합연구를 기획하는 공공·민간 연구자
-학술 연구를 위한 이공계 대학생·대학원생
□ 데이터 활용 방안
○ 정부출연연연구개발성과 데이터의 상품 활용 방안은?
정출연 R&D 관련 언론 보도 데이터를 통한 국내 출연연 R&D 수준 평가를 비롯해 기술 현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축적된 과학기술 현장 소식을 기반으로 새로운 R&D를 기획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고 나아가 유관 기관의 연구 동향 및 흐름 등을 파악해 융합기술, 연계연구 등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데이터셋의 구성
○ 데이터셋의 구성
정부출연연연구개발성과 데이터는 총 N개의 데이터로 구성돼 있습니다. 과학기술 전문 언론사인 대덕넷 기사보도 데이터에 기반합니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연구하고 있는 정출연 R&D 관련 과학기술 소식이 담겼습니다. R&D 성과, 과학관련 행사, 과학 정책, 오피니언 기고, 과학계 인사, 과학 문화 등의 데이터로 구성돼 있습니다.
데이터 구분 | 데이터 요약 | 제공 방식 |
정부출연연연구개발성과 | - 국내 정출연 R&D 관련 과학기술 언론보도 데이터 - 기사제목, 부제목, 카테고리, 기사 링크 등 | - csv/zip |
□ 데이터셋의 구조
○ 데이터셋의 구조
No. | 칼럼명 | 데이터 타입 | 칼럼설명 |
1 | 시퀀스번호 | NUMERIC(14) | 일련번호 |
2 | 연구기관명 | VARCHAR(500) | 연구기관명 |
3 | 기관장명 | VARCHAR(500) | 기관장명 |
4 | 연구자성명 | VARCHAR(500) | 연구자성명 |
5 | 소속부서명 | VARCHAR(500) | 소속부서명 |
6 | 연구개발분야명 | VARCHAR(500) | 연구개발분야명 |
7 | 연구개발분야내용 | TEXT | 연구개발분야명세부 |
8 | 연구개발성과명 | VARCHAR(500) | 연구개발성과명 |
9 | 보도일자 | VARCHAR(8) | 보도일자 |
10 | 기술소개내용 | TEXT | 기술소개내용 |
11 | 저널명 | VARCHAR(500) | 저널명 |
12 | 공동연구자기관명 | VARCHAR(500) | 공동연구자기관 |
13 | 공동연구자성명 | VARCHAR(500) | 공동연구자성명 |
14 | 공동연구자부서명 | VARCHAR(500) | 공동연구자부서 |
15 | 기술이전기업명 | VARCHAR(500) | 기술이전기업 |
16 | 기사URL | VARCHAR(4000) | 기사링크 |
시퀀스번호 | 연구기관명 | 기관장명 | 연구자성명 | 소속부서명 | 연구개발분야명 | 연구개발분야내용 | 연구개발성과명 | 보도일자 | 기술소개내용 | 저널명 | 공동연구자기관명 | 공동연구자성명 | 공동연구자소속부서명 | 기술이전기업명 | 기사url |
1921 | 대덕 방문 안도걸 기재부 차관, 3시간 마라톤 면담 | 9일 공식 간담회 가진 뒤 기관장들과 추가 미팅출연연 융합 연구, 창업·사업화, 지역 혁신 강조 | 20210610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3081 | |||||||||||
1975 | 김장성 업무 돌입 연구·산업계 협력 강화 | 17일 취임 바이오 입국 실현에 기여할 것 | 20210817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3936 | |||||||||||
2046 | 오징어 게임 속 궁극의 시각지능 AI가 있다? | [10월 슬램D]21일 AI·빅데이터 주제로 개최범죄예방·수면연구·한국판 알파고 등 소개 | 20211024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4670 | |||||||||||
2104 | 세상에 없는 기술 라인업···CES2022, 대덕 테크기업 선봉 | 플라즈마·암호관리·자율주행·무인기 등 선보여KAIST 출신, ETRI·항우연 창업기업 등 총 26개사KIST 출연연 대표 출격, POSTECH 13개 기업도 | 20211212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5200 | |||||||||||
1706 | 한국화학연구원 | 이규호 | 김정훈 | 탄소자원화연구소 | 환경 | 음식물 쓰레기에서 메탄과 이산화탄소를 95% 이상 회수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 20161018 | 연구팀은 바이오가스 중 메탄과 이산화탄소를 고순도로 분리 회수해 도시가스와 자동차 연료, 화학 원료 등으로 바로 생산할 수 있는 4단 분리막 기술을 개발했다.이 기술을 적용하면 바이오가스로부터 순도 98%의 도시가스의 주성분인 메탄을 회수율 95∼98%까지 생산할 수 있어 도시가스로 바로 활용할 수 있다.또 순도 95%의 이산화탄소도 95%까지 회수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는 탄소자원화 기술을 거쳐 메탄올, 에탄올, 올레핀 등 청정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59519 | ||||||
2015 | 과학마을축제 관심 폭발···오픈 하루만에 사전신청률 99% | 내달 8일부터 9일까지 온라인 가상공간 게더타운서 진행각종 강연·퀴즈 프로그램부터 과학키트 체험까지 | 20210928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4402 | |||||||||||
2287 | 김명준 ETRI·박원석 원자력연 원장 연임 불발 | 15일 연구회 이사회서 3분의 2 찬성 못 넘어연구회 측 원장 선임 추진 계획 제출 예정 | 20220715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7536 | |||||||||||
1225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김종남 | 윤왕래 | 수소연구단 | 에너지/자원 | 보건의료 | 도시가스 파이프라인을 연결만 하면 바로 인근에서 99.999% 이상의 고순도 수소를 저렴하게 생산·공급할 수 있는 '현장생산형(On-Site) 고순도 수소생산유닛' 기술을 100% 국산화하는 데 성공 | 20200610 | 현장생산형 고순도 수소생산기술은 천연가스와 수증기가 반응해 각 반응물에 내재된 수소를 뽑는 리포밍 모듈과 여기에 포함된 불순물을 흡착분리해 99.999% 이상의 고순도 수소를 생산하는 정제 모듈(VPSA) 조합으로 구성됐다. 시스템 효율에서 개질반응기(SMR)의 열·물질전달 설계가 가장 중요하다. 이를 위해 열교환 일체형 대류 열전달 개질기 설계와 발열반응 자동제어 열교환형 수성가스 전이반응기를 모듈화 원천 설계, 콤팩트화·고효율화를 기했다. | 원일티엔아이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72037 | ||||
1779 | 한국화확연구원 | 이규호 | 화학 | 생명과학 | 치료하기 어려운 대장암의 치료를 돕는 후보물질을 개발 | 20160303 | 이번 후보물질은 암세포 증식을 일으키는 신호전달 과정 중 특정 부분을 중간에서 억제시켜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한 대장암을 치료할 수 있는 것이다.연구팀에 의하면 이번 후보물질은 대장암 동물시험 모델에서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탄키라제와 유사한 요소인 PARP-1를 동시에 억제하지 않고 탄키라제만 표적해 억제하는 효과가 커 안전성 면에서도 우수할 것이라는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 에스티팜 | 김경진 | 연구소 | 에스티팜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57183 | |||
1962 | 태극기 품은 CEO 군통신기술 국산화? 우리 사명이죠 | [인터뷰]방위산업 및 통신분야 강소기업 김환철 코메스타 대표조직 절반 이상 연구자 강소기업 원동력 R&D에서 나와국방 R&D 쉽지 않지만···장사 아닌 진정한 사업가 되고 싶다 | 20210729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3605 | |||||||||||
476 | KIST | 이병권 | 노주원 | 스마트팜솔루션 융합연구단 | 농림수산식품 | 스마트 식물공장서 항암성분 2배 높인 케일 생산 성공 | 20180321 | 인공광형 식물공장에서 케일의 생육은 저해하지 않으면서 케일 뿌리의 항암성분을 증대시키는 재배기술을 개발했다. 항암효과가 높다고 알려진 케일의 특정 항암성분이 식물공장 내 생육환경 조절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가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항암 성분이 유효적으로 증가되는 최적 양액조건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외부 기후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식물생산이 가능한 인공광형 식물공장에서 케일을 8주차까지 재배하였을 때 기존 생산 케일보다 특정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이 높았다. 특히 셀레나이트와 염화나트륨(소금)을 배합한 양액조건에서 항암성분인 아이소티오시아네이트가 케일의 뿌리에서 대조군으로 사용한 일반양액에서 보다 평균 2.4배 증가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 잎 추출물보다 뿌리 추출물에 의해 생체 내 항산화 지표(Nrf2)와 관련 작용기전이 더 활성화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식물공장 수경재배를 통해 뿌리도 함께 산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줬다.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64447 | ||||||
1824 | 바이오벤처 요람 랩센트럴···연구·융합 극강도시 대전 | 23일 대덕열린포럼 온라인 진행··· 랩센트럴 필요조건은?병원·학교·연구소·바이오 벤처 등 창업생태계 선행돼야글로벌 시장 두드릴 벤처기술, 기술 융합에서 나와 | 20210224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1855 | |||||||||||
2295 | 100p 제안서·정량 지표 없다 獨프라운호퍼vs한국? | [獨의 지역 생태계와 우주산업⑦]프라운호퍼한태영 IKTS 박사 정부·공무원, 과학자 신념 우선시100% 프라이빗 연구소, 과제 자율성·독립성 인정수장 임기 제한 없어···기본 15년, 최대 20년 연임 | 20220724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7602 | |||||||||||
2060 | 대전 바이오가 나아가야 할 길 | [기고]현병환 대전대학교 교수 | 20211029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4802 | |||||||||||
2132 | [현장취재]실리콘밸리, 세계 1등 시크릿소스? | Ignite XL 대표, NVIDIA 엔지니어, Stratio 대표 인터뷰실패 용인, 수요자 중심 기술소통 등 문화가 가장 큰 경쟁력기술 설명보다 데모 통해 보여주고 시장과 가치 강점 부각 | 20220105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5520 | |||||||||||
1801 | 연구회 이사회, 격론 끝 임철호 항우연 원장 감봉 처분 | 과기부 감사실 밀어붙인 해임 권고안 부결임 원장 변호인과 이사회 찾아 1시간 소명 이사회, 신임 이사장에 항우연 기관 경고 건의 | 20210119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1457 | |||||||||||
2231 | 21일 과학의 날 출연연, 한명 한명 전문가···자부심을 | [과학의 날 특별인터뷰] 민태기 에스엔에이치 소장대덕연구단지 어디에도 없는 강점, 곁눈질하며 소통인간을 어떻게 볼까 관점서 과학 시작, 우상화 말자 | 20220420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6683 | |||||||||||
2114 | 혁신본부 해체, 위상 강화 한국형 OSTP설치해야 | 공학한림원, 차기 정부에 바라는 기술 및 정책 밑그림 제시정책총서 발간, 21일 공학기술정책포럼서 주요내용 공개 | 20211221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5321 | |||||||||||
32 | ETRI | 김흥남 | 김진웅 | 방송통신미디어연구소 | 정보/통신 | 물리학 | 360도 컬러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개발 | 20151202 | ETRI는 홀로그램 공연 등에서 사용되는 눈속임 형태의 유사 홀로그램이 아닌 빛의 회절 현상을 이용해 홀로그램 재현이 가능하도록 했다. 유사 홀로그램은 허공의 스크린에 비치는 2차원 영상을 이용해 3D효과를 내는 기술로,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르게 보이는 3차원 입체 영상은 제공할 수 없다.이와 달리 3D 디지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는 빛의 회절과 간섭을 이용하기 때문에 보는 시점에 따라 다른 면의 영상을 볼 수 있는 완전한 3차원 입체 영상을 재현한다. | 경북대·고려대 등 16개 공동연구 기관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56131 | ||||
721 | 국가핵융합연구소 | 김기만 | 홍용철, 천세민 | 플라즈마기술연구센터 | 물리학 | 용사코팅용 재료 분말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기술'을 기술이전하고 관련 제품 개발에 착수 | 20170502 | 5~25마이크로미터(um) 크기 용사분말의 유동성을 크게 향상시켰으며, 그동안 불가능했던 미세 분말을 활용한 고품질의 용사코팅을 가능하게 했다. | 세원하드페이싱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61486 | |||||
2030 | 0.1mm 세계 미생물, 5만6000주 보유한 연구 지원부대 | 생명연-농진청 미생물 중앙은행 이원화 운영미생물 보존, 기업·연구자에 맞춤형 제공대학·출연연·민간연 엮을 네트워크 필요 | 20211007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4441 | |||||||||||
1984 | 꿈돌이와 함께라면 나도 연기자!···SF 웹드라마 시민배우 모집 | SF미디어 플레이어스, 대전 배경 SF 웹드리마 제작9~10월 촬영예정···대전 거주자 누구나 참여가능 | 20210830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4092 | |||||||||||
2337 | 연구개발 디지털화 수 십년 걸리던 난제 수 분내에 해결 | 과기부, 27년까지 2000억원 투입연구데이터 수집과 활용 체계 고도화행정의 디지털 전환으로 연구기반 조성 | 20220920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8129 | |||||||||||
1272 | 한국원자력연구원 | 하재주 | 박용대 | 첨단방사선연구소 | 보건의료 | 원자력 |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용 조성물 제조 기술개발 | 20180111 | 박용대 원자력연 박사팀이 개발한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용 조성물은 체내에 투입된 후 알츠하이머 발병 원인인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와 결합해 빛을 내는 물질이다. 광학 영상으로 쉽게 확인이 가능해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이 가능하다. | 바이오액츠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63815 | ||||
162 | ETRI | 김명준 | 정보/통신 | 클라우드 저장공간 통합기술 개발 | 20190926 | 많은 양의 데이터가 흩어져 있는 개별 저장공간들을 한 개의 플랫폼에서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통합 솔루션(CiS) 기술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ETRI가 개발한 솔루션은 데이터를 암호화해 클라우드로 전송하고 저장하기에 보안성이 뛰어나다. 또한 연구원이 개발한 인메모리 기반 데이터 저장 원천기술도 접목해 데이터를 언제 어디서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ETRI 기술은 향후 기업의 전산실이나 데이터센터에 적용하면 데이터가 증가함 때마다 내·외부 스토리지의 확장을 통해 무한히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이 기술은 폭증하는 데이터를 대응할 솔루션이 필요한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 신뢰성 있는 데이터 통제와 빠른 데이터 분석이 필요한 공공기관 및 기업 등에 다양한 서비스로 활용될 수 있다. 중소기업, 학교, 스타트업에서 이 솔루션을 활용하면 데이터 저장·관리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CiS시스템이 데이터 저장, 스토리지 할당 등을 통합해 최적화하기 때문이다.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69752 | ||||||||
1216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곽병성 | 선도원 | 기계 | 에너지/자원 | 순산소 순환유동층 보일러 원천 기술 개발 | 20181203 | 연구진은 국내 최초로 순환유동층 보일러에 전처리나 후처리 공정 없이 연소만으로 고농도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있는 순산소 연소 기술을 적용했다.공기 대신 순수 산소를 연소하는 순산소 연소 기술을 적용하면 배기가스에 이산화탄소와 수분만 존재한다. 이때 수분을 응축해 제거하면 고농도의 이산화탄소를 얻을 수 있다.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66883 | ||||||
1877 | 백형희 교수, 한국식품연구원 신임 원장 선임 | 23일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회 의결 | 20210425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2537 | |||||||||||
1809 | [기고]국방과학연구소(ADD)의 개혁을 기대한다 | 글: 박창규 POSTECH 겸직교수·(전) ADD 소장 | 20210203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1620 | |||||||||||
757 |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 반석호 | 기계 | 경작업용 수중건설로봇 'URI-L' 기술의 설계·제작·제어·운용 기술 이전 업무협약을 체결 | 20190117 | 플랜트연은 지난 2013년부터 '수중건설로봇 공통기술 개발 및 경작업 ROV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해 왔다. 이를 통해 플랜트연은 수중 작업현장의 정밀 매핑?모니터링, 로봇팔을 이용한 커팅?드릴링 등 수중작업이 가능한 경작업용 수중건설로봇 'URI-L'를 개발했다. | 레드원테크놀로지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67294 | |||||||
1787 | 연구회-출연연, 총리실 산하 21세기 科技 집현전으로 | 협동조합 세종과학기술연구원, 제도적 개선안 담은 보고서 발표연구회 이사장을 국가과기자문회의 부의장, 중장기 과기정책 수립출연연은 자율·창의 기반 공공·융합연구와 미래기술 선도해야 | 20210107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1294 | |||||||||||
392 | IBS(기초과학연구원) | 김두철 | 김빛내리 | RNA 연구단 | 생명과학 | 꼬리서열분석법을 전령RNA에 특화시킨 '전령RNA 꼬리서열분석법'을 새롭게 개발 | 20160728 | 연구팀은 전령RNA 꼬리서열분석법으로 초파리의 난모세포와 초기 배아의 연구를 진행, 난모세포가 성숙기에 대다수 전령RNA의 아데닌꼬리 길이를 늘이는 현상을 처음으로 관찰했다. 또 전령 RNA에 다수의 아데닌을 중합해 아데닌꼬리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확인했다. | 진스 앤 디벨롭먼트(Genes & Development)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58775 | |||||
1212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김종남 | 박주형, 윤재호 | 재료 | 유연성과 투광성을 동시에 갖는 양면수광형 CIGS 박막 태양전지 기술을 개발 | 20200831 | 개발한 CIGS 박막 태양전지는 두께가 극히 얇은 유연한 유리 기판을 적용해 유연성과 투광성을 동시에 갖는다. 기존의 두꺼운 유리기판 상에 제조된 투광형 태양전지와 비교해도 효율과 성능 특성이 우수하다. |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72732 | ||||||
1859 | 중국발 김치 쇼크···공공기관 늘리기가 해법, 김치연은? | 김치연 18개월째 기관장 공석, 통폐합 논의 지속설립 당시 출연금 받으려고 과기부 산하 연구소로中 김치공정 무리수에...농림부는 진흥원 설립 검토부처 이기주의로 中에 신속대응 못하고 세금만 낭비 | 20210408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2339 | |||||||||||
514 | KIST | 이병권 | 손해정 | 광전하이브리드연구센터 | 에너지/자원 | 전기/전자 | 저온 프린팅 공정이 가능한 고성능 고분자 신소재를 개발했고 이를 태양전지의 광활성층 소재로 사용해 플라스틱 기판 위에 고효율의 유연한 유기태양전지를 구현 | 20181010 | 기존 고분자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신규 전도성 고분자를 개발해 태양전지 광활성층 소재로 이용했다. 기존 고결정성 고분자에 비해 결정성은 낮지만 오히려 광활성층 내 전하의 생성과 운반에 유리한 특성을 지닌다. 연구팀은 고결정성 고분자에서 화학구조의 규칙성을 낮춰 새롭게 합성했다. 이 고분자 신소재는 고분자가 광활성층 내 소재(n-형)와 잘 섞이게 되고, 이는 고분자가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고분자를 이용한 플라스틱 기반 유연 유기태양전지는 기존 고분자를 이용한 소자에 비해서 40%가량의 효율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성능은 플라스틱 기반 유연 유기태양전지 소자 중 최고 수준의 결과다. | Advanced Energy Materials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66306 | ||||
200 |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이상훈 | 조기성 | 정보/통신 | 스포츠 중계영상·문자중계 정보를 바탕으로 주요 영상을 자동으로 생성해 다시 볼 수 있는 방송 플랫폼 기술 개발 | 20170425 | 연구팀은 시청자가 스포츠 생중계의 경우 다시 보고 싶은 장면을 유형별/팀별/선수별로 주요장면을 선택해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했으며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시청자가 원하는 특정 선수나 팀플레이 장면을 분류해 '나만의 하이라이트 영상'으로 제공 받을 수 있다.연구팀이 개발한 '시청자 맞춤형 방송 플랫폼'은 문자 중계를 활용한 이벤트 정보 획득 기술, 딥러닝을 통한 영상정보 추출 기술, 이벤트 구간 자동 분석 기술 등이 포함됐다.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61431 | |||||||
1476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나희승 | 건설/교통 | 철도선로를 진단할 수 있는 장비와 해석기술을 개발 | 20200129 | 영상장비와 주행안전성평가 장비를 활용해 선로를 검측한 후, 위치동기화 자동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선로시설 현황과 주행안전성을 평가하는 기술이다. 인공위성 위치정보(GPS)가 내재된 영상장비로 측정한 선로형상, 구조물 등의 선로 주변 영상과 주행안전성평가 장비로 측정한 주행가속도, 승차감 데이터를 3D 지도에 결합해 선로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설계도면이 없는 교량에 활용할 수 있는 교량 진단기술도 개발했다. 3차원 스캔 측량으로 획득한 데이터와 드론으로 촬영한 교량 영상을 결합해 교량도면 제원을 추출하는 기법이다.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70915 | ||||||||
1323 | 한국원자력연구원 | 하재주 | 허민구, 박정훈 | 첨단방사선연구소 | 보건의료 | 원자력 | 사이클로트론을 이용해 의료진단용 동위원소 지르코늄-89 양산시스템 구축 | 20170928 | 특수흡착제를 활용하는 하이드록사메이트 기반 크로마토그래피법을 통해 Zr-89를 핵종 순도 99.9%까지 분리·정제할 수 있다. 영상진단에 사용할 수 있는 Zr-89는 반감기가 3.3일로 몇 시간에 불과한 기존 동위원소의 반감기보다 길기 때문에 약물을 체내 주입 시 영상을 통해 약물의 체내 움직임을 장시간 동안 관찰할 수 있다.또 기존 동위원소를 사용했을 때보다 정확히 약물의 체내 분포를 파악할 수 있어 생체 내에서 반응시간이 긴 항체, 단백질과 나노약물 등을 이용한 종양, 면역연구 등에 효과적이다.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62812 | |||||
1876 | R&D 예산 100조 시대 성공? 소통·협력 문화 시급 | [과학기술 100조 투자 설문 기획] ④소통과 문화철학, 역사, 문화 없이 산업발전 도구 인식된 과학기술시대적 변화에 따른 역할 정립, 협력 문화 확산 필요정부 ·국회, 실질적 관심과 이해, 과학계도 소통 노력 | 20210423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2530 | |||||||||||
1049 | 한국뇌연구원 | 서판길 | 라종철, 손숙진 | 대뇌피질융합연구사업단 | 생명과학 | 후두정 피질과 다른 뇌 영역 사이 상호 신경회로 체계'를 발견 | 20200928 | 연구팀은 미국 앨런 뇌과학연구에서 공개한 쥐의 생물정보 데이터(후두정피질과 다른 영역의 유출 신호)를 바탕으로 신경추적자(neurotracer)를 이용, 후두정피질로 유입된 신호 200여개를 추가로 분석했다.그 결과 시각, 촉각 등 감각정보 기반의 의사결정시 감각종류마다 후두정피질 내 영역의 상호 신호 강도가 다르다는 점을 해부학적으로 입증했다. | Cerebral Cortex | 미국 그레이스 의학연구소 | 오승욱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72990 | |||
50 | ETRI | 김명준 | 박준희 | 스마트ICT융합연구단 | 기계 | 정보/통신 | 예기치 못한 상황 대응하는 인공지능 '액션브레인' 개발 | 20201013 | 액션브레인 기술은 스마트 공장 등에 우선 적용되며 향후 화재 등 재난 현장에도 적용될 예정이다. 연구진은 구조대원을 대신해 현장 진입에 필요한 탐색지능 기반 자율무인정찰 시스템을 구축 중이다. 예측 불가능한 재난 지역에서도 드론끼리 협동해 주어진 공간을 빠르게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수집된 정보는 구조대원에게 전송, 위험도와 탐색 시간을 줄여 인명 구조 확률을 높일 수 있다.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73099 | |||||
1851 | 4월은 과학의 달 봄날의 과학산책 함께 즐겨요 |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한달간 | 20210331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2278 | |||||||||||
1789 | 미스터 쓴소리 양성광 3년, 특구 혁신 첫째도 둘째도 연결 | [인터뷰] 양성광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이사장18년 1월 취임 이후 네트워킹·리노베이션 주력 | 20210107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1281 | |||||||||||
1982 | 대덕 딥테크 벤처 금융권도 주목···IBK 창공 사콤에 둥지 | IBK창공 대전센터, 마포 구로 부산 이은 네번째 KAIST 출연연 등 기술력 기반 기업 높이 평가9월까지 20개 기업 모집, 6개월 동안 육성? | 20210826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4044 | |||||||||||
1293 | 한국원자력연구원 | 하재주 | 이승엽 | 원자력 | 생명과학 | 미생물을 이용한 고방사성 세슘 제거 기술을 기업에 기술 이전 | 20170910 | 미생물을 이용한 고방사성 세슘 제거 기술은 물속 방사성 세슘을 99% 이상 제거하고 악조건인 해수 환경에서도 최소 96% 이상의 세슘을 제거할 수 있다. 유독물질 없이 자연 미생물을 이용해 환경친화적이고 안전하다. | 범아 기업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62609 | |||||
1047 | 한국뇌연구원 | 서판길 | 김형준, 이신려 | 보건의료 | 세포 내 제거할 단백질을 제거하는 시스템이 고장 나면, 또 다른 시스템이 가동된다는 연구 결과 | 20191112 | 치매와 루게릭병 환자의 신경세포에는 TDP-43 단백질을 포함하는 비정상적인 응집물이 자주 발견된다. 이 응집물이 축적되면 세포 내 단백질 품질조절시스템(UPS·Ubiquitin proteasome system)이 손상되어 신경 퇴행이 일어난다.UPS는 세포 내에서 비정상 단백질과 필요 없는 단백질을 제거하는 시스템이다. 손상된 신경세포의 비정상 단백질도 이 과정으로 분해되어 세포 사멸이 억제된다.연구팀은 TDP-43에 의한 신경세포 퇴행을 억제하는 세 가지 단백질(PTK2, TBK1, SQSTM1)의 새로운 역할을 발견했다. UPS가 손상됐을 때 이들의 상호작용은 또 다른 단백질 품질조절시스템인 '자가포식 리소좀 경로(ALP)'를 강화해 신경세포의 퇴행을 막는다는 것이다. ALP는 세포 내 불필요한 소기관을 분해해 재활용하는 청소 시스템이다. | 오토파지(Autophagy) | 순천향대 | 김기영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70264 | ||||
1552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김명수 | 이상한 | 방사선표준센터 | 농림수산식품 | 쌀에 대한 방사능 오염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기술 | 20111019 | 우리나라의 방사선 측정용 인증표준물질 개발 기술이 세계 수준에 근접하다는 것을 인증해 주는 실증적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연구팀은 원자력연 실험실에서 방사성 세슘-137(Cs-137)을 인위적으로 투여해 쌀을 재배했다.이 쌀을 일반 쌀과 적정 비율로 혼합, 건조, 제분하는 과정을 거친 후 정확성이 우수한 다양한 방사능 측정방법을 활용해 방사능을 측정했다. 연구팀은 측정값이 장기간 안정되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는 안정성 검사와 균질성 검사를 거쳐서 기준값을 결정했다.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35812 | ||||||
1551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김명수 | 이상준, 노삼규 | 보건의료 | 다중파장 적외선 영상센서 개발 | 20110524 | 이번 기술은 사람의 눈을 모방한 차세대 컬러 적외선 영상센서를 구현할 수 있으며, 화합물반도체 양자점 나노구조와 표면 플라즈몬의 2차원 배열 금속 구조체를 집적시켜 복사열의 세기뿐만 아니라 파장별 분포에 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 컬러 적외선 영상 구현이 가능하다.또한, 적·녹·청을 신호화해 컬러 영상을 재현하는 가시광 영상센서의 원리와 유사하게 물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파장 대역별로 분리해 단색의 적외선에 색깔을 부여한 컬러 적외선 영상센서에 응용할 수 있다. |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 | 미국 뉴멕시코대 | 크리슈나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34454 | ||||
2306 | [취재수첩] 우주산업 최적지? | 대전시 인프라, 인력 강점에도 연이은 탈락과학도시 강점 살려 미래 동력 창출해야 | 20220803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7712 | |||||||||||
2081 | 융합연구단 안전성연·KISTI 선정···3년간 240억 지원 | 연구회, 반려동물 의약품 실용화·XR 플랫폼 기술 개발 | 20211115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4913 | |||||||||||
420 | KIST | 이병권 | 강종윤, 김상태 | 전자재료연구단 | 재료 | 전기/전자 | 도로에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압전 발전장치 개발 | 20180311 | 도로 위를 지나가는 차량의 하중으로부터 전기를 생산하는 고내구성, 고출력의 고분자량 화합물인 폴리머 기반의 압전 발전장치를 개발했다. 개발한 압전 발전장치는 납을 포함하지 않는 유연 압전 폴리머 소재인 이소불화비닐(PVDF)을 사용해 친환경 소재의 장치를 구현하고, 낮은 전기 생산 능력을 보이던 압전 폴리머 소재의 한계를 극복해 대용량 발전을 가능하게 했다. 연구진은 차량으로 인해 발생하는 도로의 변형을 모델링해서 유연 압전 소재와의 상관관계를 수학적으로 도식화했다. 또 노면의 미소 변위(micro displacement)로도 유연 압전 소재의 높은 변형을 유도할 수 있게 장치를 개발했다. 개발된 압전 발전장치에서 측정된 최대 전력량은 620.2 mW이다. 기존 납 계열 세라믹을 기반으로 한 해외의 도로용 압전 발전장치와 비교할 경우 5.3 배 높은 출력을 나타냈다. | 어플라이드 에너지(Applied Energy)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64341 | ||||
2271 | 과기분야 출연연 평가, 2개 기관 우수 | 과기부, 과기자문회의 운영위원회 개최R&D 성과평가 및 조사분석 결과 등 확정 | 20220623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7301 | |||||||||||
1012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신형식 | 장경순 | 연구장비운영부 | 지구과학(지구/대기/해양/천문) | 환경 | 북극 대기 중 초미세먼지의 화학적 특성 변화 확인 | 20190924 | 연구진은 북극 대기 중 초미세먼지의 화학적 특성 변화를 확인했고 밝혔으며, 해양 플랑크톤이 만드는 유기물질과 토양 식물이 만드는 유기물질이 초미세먼지 생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했다.초고분해능 질량분석기를 활용해 초미세먼지 발생과 화학적 특성 변화에 유기오염물질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 정밀하게 분석해냈다. 이는 초미세먼지 내 환경오염물질에 대해 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Global Biogeochemical Cycles | 극지연구소 | 박기태 | 극지기후과학연구부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69725 | |
2134 | [CES2022 르포] K테크에 반했어요~ 이색 첨단기술 천지 | 세계 최대 ICT 박람회 3일간의 테크 각축전현장 주도 K-스타트업???부스마다 코리아 넘쳐KAIST·POSTECH·서울대 스타트업 남다른 기술력 주목세상에 없던 신상 기술 유레카 파크, 관람객 줄이어 | 20220106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5537 | |||||||||||
2239 | 선박·해양플랜트 적용 소형원전 박차, 세계 시장 선점 노린다 | 선박해양플랜트연-원자력연, 공동개발 협약용융염원자로(MSR)로 경제성 안전성 우수30년주기 연료, 외부 노출시 고체화로 확산 방지 | 20220428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6763 | |||||||||||
1777 | 한국화학연구원 | 신종바이러스(CEVI) 융합연구단 | 생명과학 | 코로나19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다양한 항체들을 제작하고, 이를 활용한 항원 신속진단기술을 개발 | 20200730 | 항원 신속진단키트 원리는 채취한 검체를 샘플 패드에 흡수시키고, 흡수 과정에서 바이러스가 존재하면 발색하는 원리다. 발색 나노 입자를 포함한 항체와 바이러스 항원이 결합할 경우 선이 만들어져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다. | 한국기초과학연구원, 안전성평가연구소 | 김승일, 박대의 | 프리시젼바이오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72468 | |||||
1969 | 삼성 출신 반도체맨의 원팀 본능 대덕 뭉치고 영어쓰자 | 한성호 MKS 파워 솔루션즈 대표대전시 글로벌 마인드 가져야대덕 글로벌 기업 헤드쿼터로해외 인재 유입정책, 문화 필요 | 20210810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3862 | |||||||||||
23 | ETRI | 김명준 | 김승현 | 정보보호연구본부 | 정보/통신 | IETF UMA(User-Managed Access, 사용자 관리 접근제어) 국제표준' 기반의 블록체인용 개인정보 접근제어 관리 기술을 개발 | 20190628 | 이 기술은 각 개체의 개인정보 관리·접근권한 관리·접근제어를 제공하는데 리소스·접근제어 서버를 블록체인 체인코드로 변환, 정책 기반, 실시간·사후 접근 제어 등 다양한 유즈케이스 지원, 대상 개인정보 유출·조작·변조 방지와 서비스 거부 공격차단 등이 특징이다.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68888 | ||||||
1603 | 한국한의학연구원 | 김종열 | 김재욱 | 한의기반연구부 | 보건의료 | 생체전기 임피던스 기술을 이용해 혈당 수치 변화와는 독립적인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당뇨병을 진단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 | 20180130 | 연구팀은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연구를 수행, 생체임피던스 신호 중 하나인 위상각(Phase Angle; PA) 데이터가 혈당 수치와는 독립적으로 당뇨병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피보험자를 대상으로 음식 먹기 전 혈당과 생체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식후 30분 간격으로 2시간 동안 혈당과 생체임피던스를 측정했다. 그 결과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모두 식후 급격하게 혈당이 증가했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했다. 변화폭이 당뇨 환자에서 더 두드러졌다. 반면 위상각 데이터는 당뇨병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나온 값이 식전·후 거의 변하지 않았다. |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 대전대 둔산한방병원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63998 | ||||
1252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박원석 | 김성우 | 안전재료기술개발부 | 원자력 | 인코넬690' 부식균열 속도 예측식 개발 | 20190702 | 연구팀은 예측식 개발에 앞서 실증 장비를 개발했다. 원전 내부 환경 300도 이상, 150기압 이상에서 수 마이크론 균열까지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한 장비다. 연구팀은 이 실증 장비를 이용해 모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제 원전 가동 환경에서 인코넬690 응력부식균열 속도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예측식'을 만들어냈다. 이에 따라 출력제어봉의 관통관 노즐 건전성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국내 가동 원전과 수출되는 원전의 안전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68930 | ||||||
1964 | 과학정책 핫이슈 과학썰戰 유튜브로 만나요! | 대덕넷 유튜브 채널 실시간 라이브8월 초부터 격주 수요일 10시 30분 7차례 진행권기석 한밭대 교수와 전문가 패널 토론 | 20210801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3671 | |||||||||||
976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정광화 | 김건희 | 첨단장비개발사업단 | 물리학 | 기계 | 시료의 열상 이미지를 3μm까지 구분하고, 온도분해능 0.005K(캘빈온도)에 1초당 약 100장의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초정밀 열영상현미경'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 20130429 | 이번에 개발한 '초정밀 열영상현미경'은 시료의 열 특성을 이용해 분석이 이뤄지는 새로운 개념의 분석장비로 적외선열화상 장치와 현미경을 결합시킨 형태이다.번 개발에서 핵심이 된 부분은 시료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확대하는 '적외선 광학계'로 이 장치는 NA(numerical aperture)값이 0.75이하, 작동거리는 15mm로 개발됐다. 연구팀은 이 외에도 시료의 온도와 비교하며 기준온도를 제공하는 흑체장치를 온도분해능 10mK(밀리캘빈) 이하 성능으로 개발했으며, 시료의 적외선 검출시스템(해상도 640x512, 검출파장 3~5μm)을 제작하고, '초정밀 열영상현미경'의 각 부분을 통합 제어하는 통합제어시스템을 개발했다.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41622 | |||||
1840 | 표준연·생명연 잇따라 화재···인명피해 없어 | 20일 실험실과 연구동에서 화재 발생정확한 원인 조사 중 | 20210321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2132 | |||||||||||
1971 | [대덕, 대덕人 ⑪]미래 반도체·디스플레이 韓 장비 주도 | 글: 황응준 표준연 전문 연구원기초지원연 연구장비개발부공초점 열반사 현미경 시스템 개발 | 20210812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3868 | |||||||||||
911 | 한국기계연구원 | 박상진 | 서준호 | 대구융합기술연구센터 의료기계연구실 | 기계 | 보건의료 | 의사가 비대면으로 의심환자의 상기도에서 검체를 채취할 수 있는 로봇 시스템을 개발 | 20200623 | 비대면 검체 채취를 위해 병렬로봇의 원격제어 기술을 적용했다. 슬레이브 로봇에 장착된 검체 채취용 스왑은 마스터 장치의 움직임대로 상하좌우로 이동하거나 회전하며 원하는 부위에 삽입돼 검사 대상물을 채취한다. 또 서로 떨어진 환자와 검사자 간 음성과 영상으로 통신을 할 수 있는 기능도 탑재됐다. 의료진은 환자의 콧구멍과 입, 스왑이 위치를 카메라 영상으로 확인하면서 로봇을 직접 작동할 수 있다. 또 스왑이 삽입될 때 발생하는 힘을 검사자가 원격에서도 모니터링 할 수 있어 검체 채취의 정확도와 안전성을 높였다. | 동국대학교 | 김남희 | 의과대학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72139 | ||
1908 | 기계연, 연구소기업 에이디엠바이오 기능성 화장품 출시 | 나노 마이크로 DNA 니들패치 제품 선보여 | 20210527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2894 | |||||||||||
2085 | 民·軍 협력 AI·양자 첨단기술로 미래 전장 선점 나선다 | 과기부, 제1회 미래국방기술분과위 개최출연연의 축적된 연구 역량과 인프라 활용 | 20211122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4978 | |||||||||||
2196 | 科技계 거버넌스?···김창경 현장 오해, 출연연 SW에 방점 | 데이터 사이언스 시대, 소프트웨어 중심으로기관 간 데이터 벽 허물고 디지털플랫폼 구축인수위, 이번주부터 부처 업무보고·현장 의견청취 | 20220320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6316 | |||||||||||
987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정광화 | 김현식 | 기계 | 화학 | 휴대용 질량분석기 기술 | 20151221 | 그동안 유해가스 누출 사고는 산업체, 군 시설, 연구시설 등 장소를 가리지 않고 해마다 빈번히 발생하고 있지만,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이를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신속한 사고 처리에 어려움을 겪어 왔으며, 전량 수입에 의존해 왔다. 연구진은 질량분석 방식을 이용하면 동시에 여러 유해가스를 측정이 가능하다는 점에 주목하고, 이를 휴대용으로 최적화시키기 위해 2년여 동안 측정장치의 무게와 크기를 줄이는 연구에 집중했다.지난 2007년 세계 최초로 15 T 초고분해능 질량분석기를 미국 국립고자기장연구소와 공동 개발한 경험을 토대로 연구진은 기존 장치에 비해 무게는 7분의 1, 크기는 4분의 1, 전력소모는 3분의 1로 줄이는 데 성공했다.개발된 휴대용 질량분석기는 크기와 무게뿐만 아니라 극미량 주입밸브와 시료농축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고진공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측정도 가능해졌다. | 바이오니아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56346 | |||||
1044 | 한국뇌연구원 | 김경진 | 김진섭 | 생명과학 | 보건의료 | 망막에서 눈과 뇌를 연결하는 47개의 시각 채널을 확인 | 20180517 | 망막과 뇌를 연결하는 신경절세포는 마치 TV에 영화채널, 뉴스채널 등 다양한 채널이 있는 것처럼 움직임, 외곽선 등 다른 종류의 시각 정보를 모아서 보내고 뇌는 각 정보를 재조합해 우리가 보는 장면을 이해한다.연구팀은 생쥐의 망막을 전자현미경으로 찍은 초고해상도 3차원 영상을 분석해 찾아낸 396개의 신경절세포를 구조에 따라 47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이 중 6개는 처음 발견됐으며 이 목록은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 중 가장 완전한 것이다. | 셀(Cell) | 프린스턴대 | 세바스찬 승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64998 | |||
694 | KISTI(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한선화 | 이필우 | 슈퍼컴퓨팅본부 | 정보/통신 | 슈퍼컴퓨터 서버용 보드 국산화 성공 | 20161226 | 슈퍼컴퓨터 시스템 핵심 요소로 활용 가능한 초고성능 계산 서버용 보드를 국산화하는데 성공했다. 제작된 보드는 인텔의 2세대 매니코어 프로세서인 '제온파이 나이츠랜딩 7290'(Xeon Phi Knights Landing 7290)을 탑재하며 3.456 테라플롭스의 이론 성능을 갖는다. 제온파이 나이츠랜딩은 CPU를 대체해 독립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메인 프로세서와 가속 프로세서 간의 통신으로 유발되는 병목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또 실측 성능 테스트에서 이론 성능 대비 약 60%의 성능 효율성을 보였으며 제온파이 나이츠랜딩을 활용한 서버 보드 제작에 성공한 9번째 국가로 이름을 올렸다. | 인텔(Intel)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60316 | |||||
2160 | 尹 대통령 직속 민·관과기위 설립···과기전문가 중용 | 윤석열 후보 8일 대선후보 초청 과학기술 정책토론회 참석국가장기연구사업제도 신설·연구관리시스템 개편 등 5개 실천 공약 발표 | 20220208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5840 | |||||||||||
1926 | 계단 척척 휠체어·힘 솟는 근육옷감···인간·로봇 따뜻한 공존 | 기계연 혁신로봇센터, 융합로봇 기술 싱크탱크각 부서 연구진 30명 겸직 형태로 기술 기획 집중 | 20210615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3124 | |||||||||||
497 | KIST | 이병권 | 배수강 | 전북분원 양자응용복합소재연구센터 | 전기/전자 | 재료 | 그래핀 활용 초고강도·고성능 케이블 개발 | 20180416 | 차세대 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그래핀을 이용해 고성능, 고효율, 경량화된 케이블을 개발했다. 초고강도·고성능 전선을 제조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화학증기증착법(CVD)을 활용해 그래핀 섬유를 먼저 합성한 후 전기분해 원리를 이용해 그래핀 섬유 표면에 얇은 구리 막을 입히는 방법으로 전선 형태의 그래핀·금속 복합구조체를 제조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복합전선은 기존 구리전선 대비 2배 이상의 기계적 강도와 10배 이상의 최대 허용 전류량을 나타냈다. 이 전선은 고효율 전력전송선뿐 아니라 핵심 자동차부품인 하네스 케이블과 고성능전기모터의 고성능화?경량화에도 활용할 수 있다. | ACS Nano | 서울대, 그래핀스퀘어 | 홍병희 | 화학부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64703 | |
898 | 한국기계연구원 | 김준동, 최준혁 | 나노역학연구실 | 전기/전자 | 입사광 10만배 늘린 차세대 광전소자 개발 | 20110919 | 돌기 형상의 대면적 나노구조체에 고성능 투명전극을 입혀 입사광 이용면적을 기존 평판 형태보다 10만 배 이상 획기적으로 늘린 광전소자를 개발했다.새로 개발된 광전소자는 전극을 지니는 고성능 물질을 플라즈마 증착 기술을 이용해 나노구조체의 돌기에 입혀 제작비용을 20~30% 절감해 대면적 나노구조체 공정에 활용할 수 있게 됐다. | Applied Physics Letters | 한양대 | 이정호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35490 | ||||
1388 | 한국전기연구원 | 김호용 | 기계 | 이중돌극형 영구자석선형전동기 개발 | 20120401 | 기존 영구자석 선형전동기와 동등 수준의 성능을 구현하면서도 가격에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영구자석의 총 사용량을 40%가량 줄어들게 할 수 있다. 또한 추력과 수직력의 맥동을 최소화하고, 소음과 진동을 줄일 수 있어 정밀한 위치 제어를 가능케 했다.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37447 | ||||||||
84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이태식 | 임석호 | 건축도시연구소 | 건설/교통 | 레고블럭처럼 쌓아 올린 공동주택 | 20170115 | 구조안전성·차음성·기밀성 등이 확보된 새로운 모듈러공법. 모듈러 건축공법은 집의 골조와 내장, 전기·설비 등 부품 70% 이상을 공장에서 미리 만들어 현장에서 레고블럭 처럼 쌓아 올려 건축하는 공법이다. 모듈러 건축기술 및 새로운 주거모델을 개발해 국내 최초로 모듈러공법을 공동주택에 적용했다. 대량생산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모듈러 설계표준화 기준을 정립했다. 또 5층 이상(최고 11층)의 구조안전성 및 내진성능 기술의 개발을 통해 국내 최초로 모듈러공법의 중고층화 기술을 확보했다. | 서울주택도시공사, 국내 3대 모듈러제조업체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60500 | |||||
1810 | 바이오 창업 요람 랩센트럴···전문가 진단 최적지는? | 20210203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1632 | ||||||||||||
1858 | 괴짜총장, 기자간담회 후 대전시장···지역발전 광폭행진 | 이광형 KAIST 총장, 8일 온라인 기자간담회 열어허태정 대전시장과 지역생태계 활성화 등 논의 | 20210408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2366 | |||||||||||
2180 | 韓 정보통신기술 역사 한눈에 마중물플라자 닻 올랐다 | [인터뷰] 박종팔 ETRI 홍보부장, 유치 기여인터넷 반도체 모바일 기술 발전 국민이 체험2층부터 BTS창업공간, 실증부터 시제품 제작 | 20220301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6099 | |||||||||||
1621 | 한국한의학연구원 | 김종열 | 류연희 | 임상의학부 | 보건의료 | 생명과학 | 침 치료가 갱년기 우울증을 개선하고 뇌 신경영양인자 발현을 통한 작용기전을 과학적으로 규명 | 20180426 | 연구팀은 난소절제술(OVX)로 여성호르몬 결핍을 유도한 갱연기 우울증 동물도델을 대상으로 여성 질환에 효과가 있는 혈자리인 '삼음교'에 침 자극을 주었다. 이후 행동평가, 미로실험, 강제수영장치 등 실험 결과 침 자극을 준 실험군이 침 자극을 주지 않은 대조군보다 우울증 완화 효과가 뚜렸했다.연구팀은 뇌 해마 부위에서 단백질 발현량을 확인해 본 결과 경혈자극이 우울증과 치매 등 다양한 신경계 질환과 관련된 뇌유래신경영양인자(BDNF)와 신경펩티드Y(NPY)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했다. 또 호르몬 변화로 파괴된 항상성을 회복하기 위해 BDNF 강화를 유도하며 우울증을 완화시킨다는 뇌 작용기전을 규명했다. | 사이언티픽 리포트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64815 | ||||
2183 | 윤석열 당선, 科技현장 과기국정 실천, 역량 총 결집 | 투표율 77.1%, 초박빙 끝 득표율 48.6%로 당선 확정윤석열 당선인 많은 것 배웠다, 국민의 승리 협치로 보답연구자 말로만 하는게 아닌 실천하는 과기기반 국정운영 | 20220310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6176 | |||||||||||
1007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정광화 | 이주한·이현욱·김해진 | 물성과학연구부 | 화학 | 재료 | 센텍(대표 권용석)과 '실온에서 합성이 가능한 광촉매 재료의 대량 제조기술' 이전 협약식을 개최했다. | 20140128 | 기초지원연은 지난 27일 오후 대덕본원에서 탈취장비 전문 생산업체인 센텍(대표 권용석)과 '실온에서 합성이 가능한 광촉매 재료의 대량 제조기술' 이전 협약식을 개최했다.이번에 이전되는 기술은 '실온에서 제조가 가능한 고결정성 나노기공 이산화티타늄 제조방법'과 '가시광 응답형 그라핀 산화물-이산화티타늄 복합 나노구조체 및 제조방법'으로 기술이전 계약금은 총 1억3000만원이다. | 센텍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47460 | ||||
812 | 지능형바이오 시스템 설계·합성 연구단 | 김선창 | 생명과학 | 보건의료 | 방선균에 존재하는 항생제 생산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조절 기작 규명 | 20160612 | 지능형바이오 연구단은 유전자 발현 시작지점 염기서열분석과 리보솜 결합 알엔에이(RNA) 염기서열분석 데이터 등을 통합 분석함으로써 세계 최초로 방선균의 유전자 조절기작을 규명과 함께항생제 대량생산을 위한 방선균 유전체 조작시 활용 가능한 대용량 정보를 확보했다.또 연구단은 항생제 생산과 관련된 유전자가 엠알엔에이(mRNA)로부터 단백질이 합성되는 단계에서 번역 버퍼링현상에 의해 조절받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항생제 대량생산을 위한 단백질 합성속도의 조절기작도 규명했다. |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Nature Communications)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58293 | ||||||
1838 | 괴짜 총장 지역발전 SOS, 기관장들 협력 화답 | 16일, 이광형 KAIST 총장 공관서 의기투합···사랑방發 혁신 도모창업만이 답, 지역 펀드 조성해 벤처·인재 육성해야기관 간 벽 허물기 제안···대덕 넘어 대전 공감대 형성? | 20210317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2091 | |||||||||||
1281 | 한국원자력연구원 | 정연호 | 신준화 | 방사선공업환경연구부 | 전기/전자 | 방사선 조사 고분자 연료전지막 개발 | 20110525 | 방사선 조사 고분자 연료전지막은 원자력연 방사선공업환경연구부 신준화 박사 팀과 에너지연 정두환 박사 팀이 협동 연구를 통해 개발한 것으로 방사선 접목 기술로 직접메탄올 연료전지를 소형화·경량화해 추운 날씨에서도 사용 가능한 기술이다.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정두환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34462 | ||||
915 | 한국기계연구원 | 임용택 | 송준엽 | 첨단생산장비연구본부 | 기계 | 재료 | ICT기술 이용 지능형 사출성형 시스템 개발 | 20150709 | 렌즈 12개를 동시에 생산하는 방사형 금형 속에 설치된 빌트인 센서는 금형과 사출 성형기 상태를 분석해 공정 상태를 진단, 형상 오차를 예측한다.시스템에 이상이 있는지 직접 진단할 수도 있고 생산자가 공정 과정을 스마트폰 등으로 원격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스마트 공장시스템으로 구현됐다. | 엔투에이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54166 | ||||
1922 | 김복철·박상열·조영화, 과기연구회 이사장 후보 3人 | 11일 오전 11시 오송역서 2차 이사장추천위원회 개최 | 20210611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3098 | |||||||||||
627 | KIST | 황은미, 이창준 | 기능커넥토믹스 연구단 | 화학 | 보건의료 | 정신질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이온이 어떤 통로로 오가는지 규명했다. | 20140207 | 국내연구진이 스펀지가 물을 흡수하듯 포타슘 이온 농도를 조절하는 통로를 발견했다. 발견된 통로는 뇌의 핵심기능인 신호전달 물질이 통과하는 통로라는 사실도 추가로 밝혀졌다.연구진은 이동하는 통로를 밝히기 위해 갓 태어난 생쥐의 뇌에서 성상교세포를 분석했다. 그 결과 트윅(TWIK-1)과 트렉(TREK-1) 2개의 이온통로만이 존재함을 밝혀냈다. 이에 연구진은 2개의 이온통로가 포나슘 스펀지의 핵심이라고 생각하고 유전자 조합 및 바이러스를 활용해 각각의 이온통로의 활동을 조절한 결과, 2개의 이온통로들은 개별적으로 작용할 때는 기능을 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이 외에도 연구팀은 이번에 발견한 이온통로가 글루타메이트 배출 통로라는 사실도 추가 발견했다. 글루타메이트는 주로 신경세포 말단의 시냅스에서 배출되며, 세포간 신호를 전달하는 뇌의 핵심적인 요소다. 최근 연구로 글루타메이트는 성상교세포에서도 배출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는데, 이 배출되는 통로 역시 이번에 발견한 이온통로로 밝혀진 것이다. | Nature Communications | 경상대 의과대 | 박재용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47543 | |||
531 | KIST | 이병권 | 양현옥 | 강릉분원 천연물소재연구센터 | 보건의료 | 제주상사화에서 추출한 유효성분의 강력한 항염증 효능 확인 | 20190924 | 과거 제주상사화 추출물을 통해 알츠하이머 질환에서 주요 관찰되는 과도한 중추신경계 염증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 유효성분을 발견하였고, 이전 성과를 토대로 다시 한 번 활성물질(E144)을 분리해 각종실험을 진행했다. 뇌 안 염증반응을 주로 유발하는 미세교세포의 다양한 염증 인자들이 추출 활성물질(E144) 물질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확인했다.연구팀은 추가 연구를 통해 유전자 조작 마우스에 활성물질을 투여해 뇌 조직 내 염증인자가 현저히 감소함을 밝혀냈다.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69730 | ||||||
2202 | 우리도 소행성 태극기 꽂나???韓최초 탐사에 우주 드림팀 구성 | 천문연-항우연-ADD 아포피스 탐사에 맞손탑재체?누리호 추가 개발?탐사선?4단 킥모터 등 협업 ? | 20220324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6376 | |||||||||||
1976 | [D-10]꿈돌이 이은 사콤+출연연·과학관···科技문화도시 위상 | 아트 앤 사이언스 28일 개점, 엑스포 재창조 사업 막바지어린이과학관·6개 기관 오픈랩 조성···사이언스 투어 예정전기버스 올레브·시내버스·제2 엑스포교 본격 운영 | 20210817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3935 | |||||||||||
205 |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김흥남 | 사이버보안연구단 | 정보/통신 | '빅데이터 개인정보 분석기술' 개발 | 20131011 | 연구진은 실제 SNS 데이터를 직접 수집하고 가공, 개인정보 추출, 위험도 분석 프로그램 등을 통해 결과를 얻었으며, 관련기술은 개인정보 탐지 솔루션 업체에 기술이전을 준비중이다.연구진은 이번 조사를 통해 SNS를 사용하는 사람이 본인의 세부정보를 계정에 올림으로써 나타나게 되는 심각성을 크게 염두에 두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SNS 계정에 들어있는 개인정보들을 서로 연결하게 되면 이른바 '신상털기' 가 쉬워져 개인의 프라이버시 침해는 물론 각종 피싱 사기나 타켓광고, 마케팅 등에 악용될 소지가 높다는 것이다.실제 이번 연구결과, 페이스북의 경우 ▲성별(92%) ▲고등학교(47%) ▲혈액형(40%) ▲관심사(19%) ▲좋아하는 음악(14%) 순으로 개인 신상 정보가 노출된 것으로 조사됐다.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44054 | |||||||
67 | ETRI | 이상훈 | 유병곤 | 유연소자연구그룹 | 재료 | 전기/전자 | 용액공정이 아닌 진공 중 유기물질을 융해 증발시켜 접착시키는 진공증착 공정만을 활용, 유기물질로 구성된 나노급 렌즈개발에 성공 | 20180906 | 고성능 디스플레이 제작을 위해 렌즈 크기를 수십 나노미터부터 수백 나노미터까지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도록 기술을 개발했다. OLED 픽셀보다 훨씬 작은 크기로 유기 나노렌즈 제조가 가능해 이미지의 왜곡을 줄이고 시야각에 따른 화질 변화를 낮추고 전력소비도 줄일 수 있다. 또 기존 마이크로렌즈 기술은 주로 액체를 활용하는 '(Wet) 공정'으로 양산을 위한 산업체 적용이 어려웠다. 연구팀은 물기가 없는 드라이 공정 중 하나인 '진공 증착' 공정만을 사용했다. | 나노스케일, ACS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앤 인터페이스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66030 | ||||
619 | KIST | 이병권 | 한상수 | 계산과학연구센터 | 화학 | 전기/전자 | 실리콘 전극과 다양한 종류의 전해질 간의 화학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 | 20170706 | 연구팀은 시뮬레이션 기술을 통해 계면막 내의 가스 성분이 방출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각 가스 성분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각종 전극 표면에서 계면반응을 미리 예측함으로써 우수한 전해질 및 첨가제 개발의 비용을 절감하고 개발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 기존 계산과학기술의 한계였던 소규모 샘플링 방법을 극복해 실제 실험과 유사한 조건에서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다. | 저널 오브 피지컬 케미스트리 레터스(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Letters)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62034 | ||||
2276 | 2022년 출연연을 빛낸 우수직원은?···42명 선정 | 연구회, 지난 24일 이사장상 시상식 개최 | 20220627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7329 | |||||||||||
1527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송남웅 | 나노바이오융합연구단 | 화학 | 화공 | 적외선분광법 측정기술 | 20121005 | 연구팀은 적외선 흡수를 이용해 소재 내에 존재하는 유·무기 화합물 작용기를 검출하는 분광측정기술인 적외선분광법을 이용해 나노 물질의 표면에 결합되고 가공된 물질을 분석하고, 그 양을 정확하게 측정했다. 이를 통해 나노물질의 독성 평가 시 표면특성을 추적하는데 표준화된 분석 방법을 제공했다.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39393 | ||||||
2036 | AI·바이오·유니콘···네트워크 1번지 대덕, 어디까지 아니? | [대덕모임 이모저모]혁신기술·기술사업화·반도체·대전-세종 등매주 또는 매월 1회 진행...대부분 3년 이상 꾸준히 지속세미나·기업 컨설팅·학회 출범하기도 대덕이라 가능 | 20211012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4422 | |||||||||||
274 | IBS | 김두철 | 남홍길 | 식물노화수명연구단 | 생명과학 | RNA이중나선 분리효소인 HEL-1이 생명체 수명조절에 핵심적인 기능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 20150721 | 연구팀은 예쁜꼬마선충이라는 동물노화 모델 생물체에서 작용하는 전체RNA 이중나사분리효소를 찾고 이들의 기능을 전반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 중 40%가 노화와 수명 조절에 관여함을 밝히는데 성공했다.이들 RNA 이중나선분리효소 중에서 HEL-1이라는 특정 효소의 기능을 자세하게 연구한 결과 이 효소를 야생형에 많이 노출시킬 경우 수명을 최대 18% 증가시켜주는 것을 확인했다. 일반 야생형에 비해 2배 이상 오래 사는 돌연변이 예쁜꼬마선충에서 HEL-1효소 단백질의 기능을 저하시킬 경우 수명이 약 39% 단축되는 것도 파악했다.특히 연구팀은 예쁜꼬마선충에서 인슐린 신호경로가 수명 조절 유전자 수용체를 통해 활성화 될 경우 수명이 짧아진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무엇보다 HEL-1이 신경과 장 조직에서 작동하며 수명 연장에 관여하지만 근육이나 피부조직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도 밝혀냈다. | 미국학술원회보(PNAS) | 포스텍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54309 | ||||
22 | ETRI | 김성준, 최춘기, 이윤식, 민복기 | 재료 | 그래핀과 탄소나노튜브를 결합해 면섬유에 코팅하고, 이를 활용해 여러 번 구부리거나 눌러도 방수가 되고 전도성이 높은 직물형 센서를 개발 | 20180226 | 얇으면서도 단단하고 땀이나 약품 등 화학적으로도 안정성이 뛰어난 센서를 개발했다. 연구진은 '환원 그래핀'과 '탄소나노튜브'를 결합해 압력이나 변형정도 측정이 가능한 직물형 복합센서를 구현했다. 구현된 센서의 크기는 1x3cm 정도인데 이를 수십 cm까지 대면적으로도 제작할 수 있다. 또 디자인이나 크기에 제한 없이 천에 바로 적용 가능하다. | 응용재료 인터페이스(AMI) | 한국화학연구원, UST | 안기석, 송우석, 슈브라몬달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64222 | |||||
1906 | 대덕, 소규모·전문성 있는 네트워킹 모임 많아져야 | 제63회 대덕이노폴리스포럼 25일 온라인 개최대덕연구개발특구의 소통과 지역혁신 주제로 | 20210526 | http://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2861 |
판매제공처 홈페이지 | www.hellodd.com | 라이선스 |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
---|---|---|---|
판매 담당자 | 대덕넷 | 권한 | HelloDD |
연락처 | 070-4171-3524 | 접근 권한 | public |
이메일 | sungmin8497@hellodd.com | 상품 구분 | dataset |
품질측정 검사 | 품질측정기간 | ~ | |
---|---|---|---|
품질측정기관 | 대덕넷 | 품질측정연락정보 | 0428615005 |
품질측정결과 | 품질측정내용 |
현재 준비중입니다.
10047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황금1로 122,김포제조융합혁신센터 3층 한국산업기술시험원 ㅣ 사업자번호 : 113-82-06228 ㅣ 대표자명 : 김세종 ㅣ TEL: 02-860-1059 ㅣ E-mail: bigdata.dx@ktl.re.kr
Copyright ⓒ 2021 KOREA ENTERPRISE DAT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