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안내 이미지

가격협의 상품 및 유료상품의 구매를 원하실 경우
맞춤형 데이터 신청란에 글을 남겨주시면
신속히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데이터 마켓

과학기술
과학기술
DD_에너지소재논문데이터
  • 별점 5
  • 추천 0
  • 조회 1,309
  • 다운로드 수 14
데이터상품 제공 정보
데이터 제공 포맷 데이터 제공 방식 데이터 파일 용량
csv 다운로드 1.35 MB
무료 이용 데이터

0

  • 상세정보
  • Open API
  • 샘플정보
  • 연락처 및 데이터 관련
  • 제약 및 취소환불 규정
데이터 메타 정보
상세정보 데이터
데이터셋명 DD_에너지소재논문데이터 데이터 유형 csv
데이터 분야 과학기술 구축 데이터량 1.35 MB
구축기관 대덕넷 데이터 갱신 일자 2022-09-30
데이터 개방 일자 2021-10-11 데이터 이용 기한 무기한
데이터 갱신 주기 - 버전 -
주요 키워드 논문, 데이터, 에너지, 소재, 에너지소재
벨류체인 키워드 기술개발
소개 2020년 기준 에너지소재 분야 논문 데이터입니다.
데이터 설명

 DD_에너지소재논문데이터 상품설명서

 

상품설명

 

DDD_에너지소재논문데이터 상품은?

· 2020~2021년 기준 국내 에너지소재 분야 논문 데이터입니다. 국내 에너지소재 분야 논문의 세부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논문 주제, 약식내용, 연구주체, 연구기관, 연구자 등의 세부 데이터로 구분돼 있습니다.

 

데이터 주요 키워드

· #에너지소재 #논문 #과학기술 #과학데이터

데이터 활용 및 이용 권장 고객

· 에너지소재 분야 논문 데이터를 활용(공유)하고자 하는 기업인

· 에너지소재 분야 논문 데이터를 활용해 융합연구를 위한 공공·민간 연구자

· 학술 연구를 위한 이공계 대학생·대학원생

 

데이터 활용 방안

 

DD_에너지소재논문데이터 상품 활용 방안은?

· 에너지소재 논문 데이터를 활용해 국내 에너지소재 분야 R&D 수준 평가, 기술 현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논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R&D를 기획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고 나아가 유관 기관의 연구 동향 및 흐름 등을 파악해 융합기술, 연계연구 등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데이터셋의 구성

데이터셋의 구성

· 에너지소재 논문 데이터는 총 N개의 데이터로 구성돼 있습니다.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인 NTIS(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의 데이터에 기반합니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연구하고 있는 과학기술을 비롯하여 각종 연구개발사업과 관련된 과제, 인력, 연구시설·장비, 성과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 연구개발(R&D) 지식포털입니다.

데이터 구분

데이터 요약

제공 방식

에너지소재논문데이터

- 국내 에너지소재 분야에서 수행한 논문 세부 내용

- 연구수행주체 및 수행기관

- 6T분류 및 과학기술표준 분류 코드

- csv/zip

 

데이터셋의 구조

데이터셋의 구조

No.

칼럼명

데이터 타입

칼럼설명

1

일련번호

VARCHAR(14)

일련번호

2

성과연도

VARCHAR(4)

성과연도

3

성과보유번호

VARCHAR(30)

성과보유번호

4

연구개발성과명

VARCHAR(500)

연구개발성과명

5

논문등재명

VARCHAR(500)

논문등재명

6

저작권자명

VARCHAR(500)

저작권자명

7

제조사명

VARCHAR(500)

제조사명

8

과제명

VARCHAR(500)

과제명

9

과제고유번호

VARCHAR(100)

과제고유번호

10

부처명

VARCHAR(500)

부처명

11

과제수행기관명

VARCHAR(500)

과제수행기관명

12

연구수행주체명

VARCHAR(500)

연구수행주체명

13

6T분류명

VARCHAR(500)

6T분류명

14

과학기술표준분류명

VARCHAR(500)

과학기술표준분류명

 

Open API 가이드
1
API 호출 및 URL 주소 생성 방법   ❯
2
Swagger-UI 기반 OpenAPI 명세서 활용방법
가이드0
가이드1-1
가이드1-2
가이드1-3
가이드0
가이드2-1
가이드2-2
가이드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