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협의 상품 및 유료상품의 구매를 원하실 경우 맞춤형 데이터 신청란에 글을 남겨주시면
신속히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데이터셋명 | BT분야기타기관별과제데이터 | 데이터 유형 | csv |
---|---|---|---|
데이터 분야 | 과학기술 | 구축 데이터량 | 2.90 MB |
구축기관 | 대덕넷 | 데이터 갱신 일자 | 2022-08-29 |
데이터 개방 일자 | 2022-10-27 | 데이터 이용 기한 | 무기한 |
데이터 갱신 주기 | - | 버전 | - |
주요 키워드 | BT, 바이오, 정부과제, 기타기관, 데이터 | ||
벨류체인 키워드 | 기술획득 | ||
소개 | 과학기술 BT(Biotechnology) 분야 기타기관별 정부 R&D 과제 데이터입니다. |
국내 BT 분야 기타기관별 과제 데이터 상품설명서
□ 상품설명
○ 국내 BT 분야 기타기관별 과제 데이터 상품은?
· 2021년~2022년 기준 국내 BT 분야 기타기관별 과제 데이터입니다. 국내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BT 분야 과제의 세부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BT 기술인 바이오 분야는 인간의 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많은 질병에 노출되어 20세기부터 유망하는 산업 분야입니다. 생체나 생체유래물질 또는 생물학적 시스템을 이용해 유용한 제품을 제조하거나 공정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 데이터 주요 키워드
· #BT #바이오기술 #과학기술 #과제데이터 #기타기관
○ 데이터 활용 및 이용 권장 고객
· BT 분야 국내 기타기관 과제 데이터를 활용(공유)하고자 하는 기업인
· BT 분야 과제 데이터를 활용해 융합연구를 위한 공공·민간 연구자
· 학술 연구를 위한 이공계 대학생·대학원생
□ 데이터 활용 방안
○ 국내 BT 분야 기타기관별 과제 데이터 상품 활용 방안은?
· BT 분야 과제 데이터를 활용해 제약분야를 비롯해 나아가서는 인공장기, 줄기세포 연구, 유전자 조작 등등 모든 분야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현재보다는 미래에 더욱 각광받을 분야입니다. 특히 바이오 기업의 역량 강화, 융합 및 연계를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셋의 구성
○ 데이터셋의 구성
· 국내 BT 분야 기타기관별 과제 데이터는 총 N개의 데이터로 구성돼 있습니다.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인 NTIS(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의 데이터에 기반합니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연구하고 있는 과학기술을 비롯하여 각종 연구개발사업과 관련된 과제, 인력, 연구시설·장비, 성과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 연구개발(R&D) 지식포털입니다.
데이터 구분 | 데이터 요약 | 제공 방식 |
국내 BT 분야 기타기관별 과제 데이터 | - 국내 기타기관에서 수행한 BT 분야 과제 세부 내역 - 연구수행주체 및 수행기관 - 6T분류 및 과학기술표준 분류 코드 | - csv/zip |
□ 데이터셋의 구조
○ 데이터셋의 구조
No. | 칼럼명 | 데이터 타입 | 칼럼설명 |
1 | 일련번호 | VARCHAR(14) | 일련번호 |
2 | 기준년도 | VARCHAR(4) | 기준연도 (Ex. 2020) |
3 | 사업명 | VARCHAR(1000) | 사업명 |
4 | 부처명 | VARCHAR(500) | 부처명 |
5 | 과제관리기관명 | VARCHAR(300) | 과제관리기관명 |
6 | 과제고유번호 | VARCHAR(100) | 과제고유번호 (총 10자리 숫자) |
7 | 국문과제명 | VARCHAR(500) | 과제명(국문) |
8 | 영문과제명 | VARCHAR(500) | 과제명(영문) |
9 | 연구책임자명 | VARCHAR(20) | 연구책임자명 |
10 | 과제수행기관명 | VARCHAR(500) | 과제수행기관명 |
11 | 지역구분내용 | VARCHAR(20) | 지역구분 (ex.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12 | 총연구기간시작일 | VARCHAR(8) | 총연구기간시작일 (Ex. 20220718) |
13 | 총연구기간종료일 | VARCHAR(8) | 총연구기간종료일 (Ex. 20220718) |
14 | 6T관련기술분류내용 | VARCHAR(500) | 6T관련기술분류 (Ex.4세대 이동통신) |
15 | 연구목표요약 | VARCHAR(1000) | 연구목표요약 |
16 | 기대효과요약 | VARCHAR(1000) | 기대효과요약 |
17 | 한글키워드 | VARCHAR(500) | 한글키워드 |
18 | 영문키워드 | VARCHAR(1000) | 영문키워드 |
19 | 연구비합계 | NUMERIC | 연구비합계 |
20 | 작업구분코드 | VARCHAR(1) | |
21 | 데이터생성일자 | VARCHAR(8) | |
22 | 연계처리상태코드 | VARCHAR(1) | |
23 | 연계처리일자 | VARCHAR(8) | |
일련번호 | 기준년도 | 사업명 | 부처명 | 과제관리기관명 | 과제고유번호 | 국문과제명 | 영문과제명 | 연구책임자명 | 과제수행기관명 | 지역구분내용 | 총연구기간시작일 | 총연구기간종료일 | 6T관련기술분류내용 | 연구목표요약 | 기대효과요약 | 한글키워드 | 영문키워드 | 연구비합계 |
32 | 2022 | 신품종지역적응연구 |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 | 1395072075 | 고위도지역 작물생산성 향상을 위한 트리티케일, 헤어리베치 안정생산기술개발(1주관) | Development of stable production technology for triticale and hair vetch to improve crop productivity in Korea high-latitude areas(1) | 김시주 | (사단)농업사회발전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 20200501 | 20241231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한반도 고위도 및 유사기후지역에 적응하는 트리티케일 및 헤어리베치의 알맞은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 국내에서 육성한 신품종의 지역 적응성 및 생산성을 구명함 | 고위도 유사기후 지역 별로 선정된 헤어리베치 및 트리티케일 각 품종의 녹비 및 조사료 생산성 검정. | 고위도, 밭작물, 트리티케일, 헤어리베치, 종자생산 | high latitudes, upland crop, triticale, hairyvetch, seed production | 50000000 |
143 | 2021 | 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해수부)(R&D)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1670 | 해양동물자원 기초효능(기초소재) 탐색 | 고석천 | 국립해양생물자원관 | 충청남도 서천군 | 20210401 | 20251231 | 농업·해양 생물자원의 보존 및 이용기술 | ○ 추출물 라이브러리 구축 1,000종 이상 - 추출물 확보 1,000종 이상 - 기초효능 (항산화, 항염증, 항균, 항암, 항바이러스) 탐색 수 1,000종 이상 - 유전자원 (gDNA, 조직) 확보 수 1,000종 이상 - 증거표본 수 1,000종 이상○ 유용소재 확보 125개 이상 - 해양동물 유용소재 확보 125개 이상○ DB용 자원정보 구... | ○ 기술적 측면 - 해양생명자원의 체계적 효율적 확보 관리 및 이용에 따른 해양생명자원 분야 글로벌 기술 시장경쟁력 제고 - 해양생명자원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및 서비스 제공을 통한 해양생명자원의 가치 제고 기여 - 해양생명자원의 확보 관리 및 이용 등에 관한 국가 차원의 통합관리 및 활용체계 마련○ 경제사회적 측면 - 바이오경제 시대 도래 따라 고부가가치 ... | 해양동물자원,추출물 라이브러리,기초효능,유용소재,해양생물자원 소재 정보 시스템 | Marine animal resources,Extract library,Bioactivity,Useful material,Marine bioresource information system | 1282000000 | |
87 | 2022 | 농자재관리및평가 |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 | 1395074599 | 농약직권등록시험(약효·약해)(12공동) | Registration and testing of pesticides in minor crops(12) | 정철의 | 안동대학교 | 경상북도 안동시 | 20220225 | 20221231 | 동식물 병해충 제어기술 | 소면적 재배작물(차즈기 온실가루이, 배초향 파밤나방, 배초향 진딧물류 등 3종)에 발생하는 해충의 방제 약제 등록을 통해 안전 농산물 생산 기반 확보하기 위함. | ○ 소면적 작물 농약등록 확대로 농산물 안전성 확보 ○ 소면적 작물 농약등록으로 농업인의 농약 선택 확대로 농업현장 애로 해결 ○ 수출 농산물의 안전사용지침 제공으로 안전농산물 수출 확대 ○ 해당작물에 농약의 올바른 사용으로 오남용 방지 | 소면적작물, 농약, 직권등록, 약효약해, 그룹약해 | minor crops, pesticide, registration, effect | 45000000 |
62 | 2022 | 농자재관리및평가 |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 | 1395074611 | 농약직권등록시험(약효·약해)(35공동) | Registration and testing of pesticides in minor crops(35) | 윤경환 | 주식회사 트리팜 | 충청남도 천안시 | 20220225 | 20221231 | 동식물 병해충 제어기술 | ○ 소면적작물 우수방제농약 직권등록을 위한 살균제 살충제 약효·약해시험 자료 제공 ○ 소면적 작물에 발생하는 병해충의 농약등록을 통한 안전 농산물 생산기반확보 | ○ 소면적 작물 농약등록 확대로 농산물 안전성 확보○ 소면적 작물 농약등록으로 농업인의 농약선택 확대로 농업현장 애로 해결○ 수출 농산물의 안전사용지침 제공으로 안전농산물 수출 확대 | 소면적작물, 농약, 직권등록, 약효약해, 그룹약해 | minor crops, pesticide, registration, effect | 45000000 |
578 | 2021 | 만성병관리기술개발연구(R&D) | 보건복지부 | 질병관리청 | 1465034481 | 국내 COPD 환자 통합 레지스트리 구축(4-6차년도) | Establishment of registry for COPD patients | 유광하 |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 서울특별시 서초구 | 20210406 | 20231231 | 생명현상 및 기능연구 | 기존 COPD 레지스트리를 기반으로 하여 COPD 발생 고위험군을 등록, 추적 관찰하면서 COPD의 발생 또는 진행을 예측할 수 있는 임상지표와 생체지표 (biomarker)를 발굴하고자 함 | 기 구축된 COPD 환자 레지스트리를 활용한 COPD 연구 활성화 하여, COPD 발생 및 진행에 대한 생물학적 지표분석 등 질병 치료 중개 연구기술 개발기반을 마련하고, 국내 COPD관리 정책을 위한 국자자료 생산 및 활용및 COPD 고위험군에 대한 맞춤 관리를 위한 자료 생산 및 활용 한다. | 만성폐쇄성폐질환, 레지스트리, 고위험군, 바이오마커, 발현형질 | COPD, Registry, high risk, phenotype, biomarker | 400000000 |
597 | 2021 | 바이오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2629 | 식물체내 침투성이 우수한 다기능성 살충 활성물질 개발 | Development of the multi-functional insecticide with excellent penetration into plants | 김영권 | 그린바이오연구조합 | 서울특별시 중구 | 20170701 | 20211231 | 동식물 병해충 제어기술 | ㅇ 최종목표 : 선충, 흡즙성 해충, 나방 등 광범위 살충활성이 있고, 식물체내 침투성이 우수하여 경엽 처리, 종자처리 및 토양처리 등이 가능한 다기능성의 신규 살충활성물질 개발 (TRL : [시작] 3단계 ∼ [종료] 6단계) - 새로운 작용기전을 보이는 유효물질(Hits)로부터 신규 유도체 합성 - 선충, 흡즙성 해충, 나방 등에 대한 활성 검증... | 1. 기술적 효과o 선진 다국적 기업에 의하여 독과점 되어 있는 농약의 순수 국내 기술에 의한 자체 개발능력 확보o 개발물질의 국내외 특허등록 및 제품생산으로 정밀화학 분야의 국가 경쟁력 제고o 환경 친화적인 물질의 개발에 따른 환경 및 인축에게 안전한 농업기술 확립o 물질특허의 개방 등으로 가속화되고 있는 기술 보호 장벽을 뛰어 넘을 수 있음o 기술력... | 선충,흡즙성,나방,살충활성,침투성 | nematode,sucking,lepidopteran,insecticidal activity,penetration | 57500000 |
361 | 2021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9295 | 오송신약개발지원센터 기반기술구축사업 운영지원 | Administrative system supporting Platform Technology of Osong NDDC(New Drug Development Center) | 이제욱 |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 충청북도 청주시 | 20170601 | 20230531 | 바이오신약 개발기술 | 첨단의료복합단지내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에 구축된 인프라를 활용 기초연구와 차별화된 자체 기반기술 구축으로 센터의 지원역량강화 및 기반기술을 활용한 산학연 연계 지원시스템 구축을 통한 혁신형 신약개발 생태계 조성에 기여 | 바이오분야 국가 정책과 과학기술·R&D혁신에 부합하는 연계사업으로 신약개발지원센터 첨단인프라를 활용한 최적화 지원으로 동연구지원 성과물의 조기 사업화 및 상용화 촉진에 기여 - 원스톱 체계 구현을 위한 기반기술 구축으로 국내외 고객(기업 등)지원 확대 등 공공성 및 효율성 제고 - 협력기관의 지속적 관계 강화를 통한 첨단의료산업 육성사업 활성화에 기여 | 오송신약개발지원센터,바이오신약,플랫폼 기술,신약후보물질,최적화 분석,항체의약품,재조합단백질,첨단의약품 | NDDC,biological new drug development,platform technology,platform technology,Lead optimization,recombinant protein,Recombinant Protein Drugs,Advanced Therapy Medicinal Products | 1405000000 |
161 | 2022 |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사업단)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5664 | 항원최적화와 면역증강제 활용 기술개발 | Vaccine development by antigen optimization and use of novel immune stimulators | 이진희 | 국제결핵연구소 | 경상남도 창원시 | 20210121 | 20221231 | 생명공학 산물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기술 | 최종목표: 결핵감염 마우스 모델을 이용한 서브유닛백신의 최적화세부목표:1. 글루칸파티클 제조 및 탑재기술 확립2. 방어항원과 면역증강제를 이용하여 최적화된 백신후보 발견3. Scale up 공정으로 제조된 신규백신 효능평가 | 활용계획:1. 확립된 글루파티클 애주번트를 결핵 외에 다른 예방 의학 분야에 적용2. 최적화된 백신 애주번트를 다른 병원균에 적용3. 글로벌 시장을 염두로 한 제품개발기대효과:1. 신규 애주번트 개발로 새로운 생산라인 추가2. 비임상 진입 | 결핵 백신,애주번트,항원 면역증가제 최적화,글루칸파티클 백신,백신 효능 평가 | Tuberculosis vaccine,adjuvant,optimization of antigen and immune stimulator,glucan particle vaccine,vaccine efficacy test | 320000000 |
457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8229 | Meta-barcoding 과 digital PCR을 이용한 유전자 라이브러리 구축 및 정량화를 통한 국내 해양 와편모조류 군집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marine dinoflagellate community by the establishment of gene libraries using meta-barcoding and and quantification using digital PCR | 박재연 | 재단법인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 경기도 수원시 | 20210301 | 20260228 | 생물정보학 기술 | 메타 바코딩과 디지털 PCR 기법을 이용한 유전자 분석으로 한국연안에서 출현하는 와편모조류 유전자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하고자 한다. 현재까지 유전자를 이용한 와편모조류 군집분석을 위한 표적유전자 분석은 유전자 데이터가 많은 rDNA를 사용할 경우 해상도가 매우 떨어지고, 종구분 정확도가 높은 다른 표적유전자를 사용할 경우 데이터... | 지금까지 와편모조류를 포함한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은 현미경관찰을 통한 분석법이 매우 보편화되어 있다. 그러나 현미경관찰을 통한 분석법은 분석자별 분류능력에 따라 데이터의 질이 매우 달라지고, 고정한 시료를 현미경으로 관찰할 때 발생하는 형태변이 등의 문제로 오동정의 문제가 자주 발생하고, 종수준까지의 분류가 어려운 분류군이 있는 등의 문제로 인해 분석데이터... | 와편모조류,군집분석,유전자 라이브러리,메타바코딩,디지털 피씨알 | dinoflagellate,community analysis,gene library,meta-barcoding,digital PCR | 118740000 |
102 | 2022 | 다부처 국가생명연구자원 선진화 사업 | 환경부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1485018638 | 담수 미세조류 계통분류 및 유용정보 확보 | Systematic Classification and Information Acquisition of Freshwater Microalgae | 김지환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 경상북도 상주시 | 20210401 | 20261231 | 환경 생명공학기술 | ○ 담수 미세조류의 계통분류- 담수생물자원은행 보유 미세조류 분류군인 녹조류, 윤조류, 남조류 등의 형태학·분자계통학적 생물정보 분석- 형태,분자마커 정보기반 최적계통수로 담수생물자원은행 미세조류의 분류군별 계통체계 구축○ 담수 미세조류의 유용정보 확보- 담수생물자원은행 미세조류의 유용정보 분석 및 활용기반 구축 | - 미세조류 생물정보(형태, 생태, 이미지, 유전자, 계통체계)의 DB 구축- 미세조류의 분류학, 계통학, 진화학, 유전공학 분야의 발전에 기여- 생물정보를 통한 데이터 중심연구 및 바이오소재 활용기반 구축에 기여- 우리나라 생물주권의 확대 및 생물다양성 이해 증진에 기여 | 담수 미세조류, 계통, 분류, 분자 마커, 생물 정보 | freshwater microalgae, systematics, taxonomy, molecular marker, biological information | 666000000 |
292 | 2021 | 다부처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9839 | 마우스 표현형서비스 구축 및 대사 운동 표현형 분석 | Establishment and service-providing of Mouse metabolic and exercise phenotyping | 성제경 | 재단법인 국가마우스표현형분석사업단 | 서울특별시 관악구 | 20131120 | 20231119 | 유전체기반 기술 | 유전자 기능해석을 위한 국제 수준의 마우스 운동 및 대사 표현형분석 인프라 확대 및 활성화 ○ IMPC 가입 활동으로 인간 유전자 기능해석을 위한 마우스 표현형분석 기반 기술 확보 ○ 분석용 대사 질환 모델 마우스 자원 확보 ○ 운동 이차표현형 분석기반 확대 및 활성화, 서비스 제공 ○ 대사 이차표현형 분석기반 확대 및 활성화, 서비스 제공 ○ 사업단 표현... | ○ 마우스 표현형 기반 구축을 통한 유전자 기능해석 역량 강화○ 국내 산·학·연 연구 지원을 위한 GEM 자원 및 표현형 정보 기술 지원○ 국내 생명과학 수준을 기초 연구에서 실용화 연구로 도약시킬 수 있는 기반 구축○ 국내 BIO 연구 및 바이오산업계의 혁신적 체질 개선 및 발전 가속화 유도○ 바이오 연구개발 분야의 핵심기술 요소인 GEM 기술개발 및 기... | 유전자 변형 마우스,마우스 이차표현형,대사표현형분석,운동표현형분석,표현형분석기반 기술,유전자 기능해석,표현형 | GEM,Advanced phenotype,Metabolic phenotype,Exercise phenotype,Phenotyping based Technology,Gene function analysis,Phenotyping service,Metabolic diseasemodel mouse | 1800000000 |
455 | 2022 | 전자약기술개발사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70841 | (공동1) 신경신호 모니터링 기반 대응 치료형 폐루프 전자약 개발 | (CO-1) Development of responsive therapeutic closed-loop electroceuticals based on neural signal monitoring | 최미선 | (재)포항산업과학연구원 | 경상북도 | 20220401 | 20241231 | 바이오칩 개발기술 | 국내외 전자약 기술이 급격히 발전함에 따라 제품화 수준에 도달하는 연구가 증가함에 따라 필수적으로 이를 패키징하는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전자약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제품화에 반드시 요구되는 생체이식 적합성과 장기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패키징기술 개발을 시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티타늄 및 세라믹 소재를 이용하여 생체이식에 적합하고 장기 안정성... | 생체 이식을 위한 패키징 소재 및 관련 기술은 해외 의존도가 높고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소재산업 분야로, 국내에서 기존 대량생산 저가화 방식의 소재 산업에서 벗어난 첨단 소재 산업을 육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패키징 소재는 소재 형상의 다양성을 확보하게 되면 다양한 전자약에 동시에 적용할 수 있어 확장성이 우수할 것으로 예측된... | 전자약, 패키징, 티타늄, 세라믹, 접합, 생체소재, 기밀성, 피드스루 | Electroceutical, packaging, titanium, ceramic, feedthrough, brazing, biomaterials, hermetic | 100000000 |
8 | 2022 | 국방섬유소재산업육성사업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842 | 작전환경적용실증센터 구축 | Establishment of Operation Environment Demonstration Center | 홍성학 | 한국섬유개발연구원 | 대구광역시 서구 | 20210401 | 20251231 | 식품생명공학기술 | 구축 필요성 - 군 장병의 작전 수행 중 화재발생시, 어떤 피복을 입고 있는지에 따라 인체가 화상을 입는 정도가 달라지며, 인체부위별로 화상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음. 따라서 방염소재의 기능에 따라 인체의 화상정도의 분석을 통해 화염에 우수한 국방섬유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화염마네킨과 전용 챔버 구축 필요 | (기술적측면) - 국방섬유 완제품을 대상으로 한 군 작전환경 적용 실증 기술 확보 - 국방섬유 완제품의 안정적 평가 기반 확보 - 우수한 연구인력 및 평가기술의 기반조성을 바탕으로 제품생산, 신기술개발, 기술정보 등 공정기술력 확보 기대 (경제적·산업적측면) - 중소섬유기업이 진입하기 어려운 국방분야 진출 기회 확대 제공과 중소 국방섬유소재 ... | 실증센터,국방섬유,작전환경,써멀 마네킨,화염 마네킨 | Demonstration Center,Military Textile,Operation Environment,Thermal Mannequin,Flame Mannequin | 1133219000 |
957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7782 | 새로운 TLR2 agonist를 이용한 융합 암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cancer vaccine platform using novel TLR2 agonist | 조성민 | (재) 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 경기도 수원시 | 20210301 | 20260228 | 바이오신약 개발기술 | 새로운 TLR2 면역활성제인 UNE-C1의 최적화 작업 및 암 세포 특이적 항원의 구조기반 디자인과 면역학적 효능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암 특이적 융합 백신 플랫폼을 개발하고자 함.연구목표 순서는 아래와 같음.1. 예측 구조 및 TLR2 docking model을 이용하여 새로운 TLR2 면역활성제인 UNE-C1 최적화2. HPV 및 HBV 등 암 유발 바... | - 본 제안 기술은 바이러스 유래 암세포 및 특이적 단백질을 발현하는 암 세포에 적용 가능한 고항원성 단백질 및 펩타이드 선별 기술임.- 기확보된 인체 유래 면역활성제인 UNE-C1은 높은 면역활성화효능, 인체 안정성, 열 안정성 및 수용성을 가지며 이를 이용하여 여러 암 특이적 항원과 융합시켜 고효율 백신을 개발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활용하고자 하며 다양... | 융합 암 백신 플랫폼,톨 유사성 수용체 2,씨스티닐-티알엔에이 합성효소,면역 관문 치료제,고유 부분 단백질 | Cancer vaccine conjugation platform,Toll-like receptor 2,Cysteinyl-tRNA Synthetase 1,Immune Checkpoint Inhibitor,Unique domain protein ,Innate immune | 136150000 |
126 | 2021 | 지역중소기업공동수요기술개발(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8759 | 천연물/천연물 유래 소재를 활용한 K-Beauty 천연원료 및 천연화장품 개발 | 이영란 | 한국세라믹기술원 | 충청북도 청주시 | 20201201 | 20221130 | 기능성 바이오소재 기반기술 | ★ 지속적인 천연 유래 고기능성 미백 성분의 방출 시스템 개발(HnB9) [주관: KICET]● 방출제어 복합소재 미백 활성 유효성 평가 [위탁: KTR]● 미백 기능성 화장품 인체적용시험 ● 미백 기능성 천연화장품 인증 [위탁: 충북대학교]● 개발 제형 미백 유효성 평가★ 생물전환된 천연복합물의 안정화 제형 기술 개발((주)또르르) [주관: KI... | - 지역 내 천연화장품 관련 산업 성장: 소규모, 중소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통한 중소/중견기업 육성 - 다양한 제형 및 기능성 천연·유기농 화장품 제품개발 시간 및 비용 단축에 따른 수행기업의 국내시장 확산 용이 - 국내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수입제품을 기술개발을 통한 수입대체 및 수출품목으로 성장 - 충청북도의 화장품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내 최... | 천연화장품,천연소재,미백기능성,두피건강,피부탄력개선 | natural cosmetics,natural material,whitening function,sacalp health ,Skin elasticity improvement | 336276000 | |
99 | 2022 |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사업단)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5552 | 재조합 VSV 기반 메르스 및 크리미안 콩고 출혈열 백신 후보물질 효능 평가 | Development of Middel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MERS-CoV) and Crimean Congo Hemorrhagic Fever Virus(CCHFV) vaccine based on recombinant Vesicular Stomatitis Virus(VSV) vector system | 송만기 | 국제백신연구소 | 서울특별시 관악구 | 20210121 | 20221231 | 바이오신약 개발기술 | 재조합 수포성 구내염 바이러스(recombinant vesicular stomatitis virus, rVSV) 기반 메르스(MERS-CoV) 및 크리미안콩고출혈열 바이러스 (Crimean-Congo haemorrhagic fever virus, CCHFV) 백신 개발 및 효능 평가시스템 구축을 통해 팬데믹 확산 대비를 위한 신속 대응 플랫폼 구축 | ○ 메르스 및 크리미안콩출혈열 백신 실용화를 위한 재조합 바이러스 전달체 VSV 기반 백신 후보물질 개발과 기초 연구 결과 확보○ 신변종 감염병 발생 시 신속 백신 개발 플랫폼으로 미래 원천기술 확보○ 추후 발주기관과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감염 방어 효능 평가를 위한 동물실험용 백신 후보물질의 생산 등의 향후 지속적인 연구 지원○ 최적의 백신 후보물질을 ... |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크리미안콩고출혈열 바이러스,백신,수포성 구내염 바이러스,백신 효능 평가 |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Crimean Congo hemorrhagic fever virus,Vaccine,vesicular stomatitis virus,Vaccine efficacy evaluation | 300000000 |
19 | 2022 | 현장수요반영의료기기고도화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488 | 현장수요의료기기 상시협력 연구개발 총괄지원 | RD Support Project Focused on Medical Device Demand in Hospital | 김권기 | (재)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 | 기타 기타 | 20190601 | 20231231 | 의과학·의공학 기술 | o 컨소시움 인프라를 활용한 애로기술지원을 위한 맞춤형 코칭 프로그램 운영o 의료기기 국내외 인허가 맞춤형 정보 및 기술지원o 전기전자·생체재료 안정성·신뢰성 확보 및 임상수행 계획 수립 지원o R&D 제품의 보험등재 컨설팅 등 신속한 시장진출 관련 지원o 병원기업 교류 활성화를 통한 의료기기 사용성 고도화 및 국내외 판로 확보 지원o 의료기기 연구개발 역... | [기대효과]o 총괄지원과제 참여기관별 제공하는 전주기 통합지원프로그램 활용을 통한 인허가 획득 및 보험등재 비용 등 예산 절감o 관련 의료기기산업 발전과 활성화로 인한 신규 일자리 창출 및 확대 기여o 국산 의료기기 품질 고도화를 통한 수입대체 효과 기대o 국산 의료기기 품질 고도화를 통한 수출 확대로 국가적 위상 제고o 개발제품의 사업화를 통한 국민의 건... | 의료기기규격,임상평가,인허가지원,사업화지원,해외시장진출 | Medical Device Standard,Clinical evaluation,Medical Device regulatory,commercialization,Overseas market support | 552800000 |
200 | 2022 | 기술사업화지원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5566 | 국내외 시장 판매용 대량생산 및 판매 | 송석응 | 대봉수목원 | 충청북도 음성군 | 20210401 | 20231231 | 농업·해양 생물자원의 보존 및 이용기술 | ● 종간잡종기술을 통한 새로운 타입(형태, 크기, 화색 등) 무궁화 계통 생산 ● 차세대 조경용 무궁화 신품종 육성을 위한 다양한 품종개량● 국내시장 개척을 위한 상품 개발 ● 새롭게 개발된 품종의 현장 평가 | ○ 키낮은 무궁화 우량계통 확보(현재 10계통, 향후 15계통)○ 종간교잡, 배배양, 배수화 기술을 적용한 다양한 차세대 무궁화 육성○ 새로운 조경용 우량계통의 재배방법 및 대량번식 기술개발 확립○ 국내외 시장 맞춤형 신품종 5품종 출원 및 5품종 등록○ 신품종 통상실시권 양도, 재배 및 대량생산 기술이전○ 국내외 마케팅을 통한 신시장 개척, 국내매출 6억... | 키낮은 품종,조경용,그린 뉴딜,종간교잡,배수화 | Dwarf cultivar,Landscape plant,Green New Deal,Interspecific hybridization,Polyploidization | 35000000 | |
648 | 2021 | 혁신형의사과학자공동연구(R&D)(과기정통부,복지부) | 다부처 | 한국연구재단 | 1711131970 | 가상/증강 현실을 이용한 새로운 동적체평형검사기 개발 | Development of a new Dynamic posturgraphy using VR/AR | 김영진 |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 충청북도 청주시 | 20190701 | 20221231 | 의과학·의공학 기술 | ○ 가상,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동적체평형검사기 개발 - 노령기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어지럼증의 원인을 정확하고 빠르게 진단하기 위한 의료기기 개발 -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동적체평형검사기 국산화 · 기존 대학병원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동적체평형검사기는 외국산으로 제품 · 외산 제품은 크기가 ... | [산업화 방안] ○ 가상,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의료기기이므로 이의 상용화를 위해 기술이전 및 기업 참여를 통한 산업화를 계획 함[산업적 기대효과] ○ 수입의료기기를 국산화하여 국내 및 해외 시장 진출을 통해 의료기기 산업 활성화 ○ 현재 차세대 먹거리 사업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을 의료기기에 확대 도입하여 새로운 생태... | 평형기능,체성감각,시각,전정감각,동적체평형검사기,족저압력,인체중심궤적,가상,증강 현실 | Balance function,Somatosensory,Visual,Vestibular,Computerized Dynamic posturography,Center of pressure,Center of gravity,Virtual,Augmented Reality | 617589000 |
562 | 2021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9709 | 마이크로 구조체 방식의 관절 연골 재생 및 표적화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Microstructure Platform for Cartilage Regeneration and Precise Targeting | 최은표 | 재단법인 한국마이크로의료로봇연구원 | 광주광역시 북구 | 20161101 | 20210731 | 기타 보건의료 관련 응용기술 | 줄기세포를 이용해 관절 연골 질환의 치료 및 재생을 위해 전자기 구동 코일 또는 착용형 외부 자기장 발생 장치의 개발과 생적합성 자성입자 담지 줄기세포 또는 줄기세포, 자성입자 담지 마이크로 scaffold 등의 관절연골 재생용 대체재를 개발하여 능동적 외부자기장 구동에 의한 관절 재생용 연골 대체재의 개발 및 시제품 제작과 이의 실용화를 위해 전 임상, ... | * 손상 관절연골 재생을 위한 자성입자 담지 연골 대체재 기술 개발 - 자성입자 담지 관절재생용 대체재와 외부 자기장 시스템 개발에 따른 원천특허의 확보 및 관련 분야 연구의 국내외 논문 및 학술발표를 통한 연구 선도- 생적합 자성입자 개발 기술, 생분해성 연골 대체재 개발 기술 등의 줄기세포 치료 기술 전체연구로의 확대에 의한 다양한 관련 전문 인력 양... | 줄기세포 / 자성입자 / 마이크로scaffold / 의료기기 / 외부자기장 구동장치 / 연골재생 / 약물전달 | Stem cell Magnetic Nano Particle Microscaffold Medical device magnetic actuation device Cartilage regeneration Drug delivery Biodegradable | 75000000 |
121 | 2022 | 인공지능바이오로봇의료융합사업(산업부)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501 | 인공지능 바이오 로봇 의료융합기술개발 총괄 지원 | Commercialization support for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o robot medical device | 양순철 | 재단법인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 기타 기타 | 20180501 | 20221231 | 의과학·의공학 기술 | 총괄 목표 : 3대 중점 투자분야별 개발 의료기기에 대한 임상계획 승인 획득, 임상 완료 및 품목허가 승인을 위한 총괄 지원세부목표 : 1. 총괄 과제 관리 및 협력 네트워크 구축 2. 인프라를 활용한 애로기술 해결/신뢰성 개선 지원 3. 제품 표준화 지원 ... | 기대 효과 : 개발 대상 품목은 첨단 기술력이 요구되는 의료기기로써,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 사업화 성공을 통해 수입 대체 효과 및 신시장 창출/선점을 통한 국가 경쟁력 향상 기대기술적 측면 : 4차 산업혁명의 대표기술인 인공지능, 로봇기술 등이 적용된 혁신 의료기기 개발을 통해 국내 의료기기 산업 기술 경쟁력 제고 및 세계 의료기기 시장 선도... | 인체 삽입형 의료기기,스마트 진단치료 통합솔루션,로봇 융합 의료기기,사업화,총괄지원 | Implantable medical device,Smart medical system for diagnosis and treatment,Robotic medical device,Commercialization,General Support | 985480000 |
517 | 2021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R&D)(과기정통부,복지부,산업부) | 다부처 | (재단)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 | 1711138429 | (주관)장애인 실내이동 및 생활편의를 위한 Room Covering 레일 시스템 개발 | 김제남 | (사)캠틱종합기술원 | 전라북도 전주시 | 20200901 | 20221231 | 의과학·의공학 기술 | ○ 장애인 실내 이동 및 생활편의를 위한 Room Covering 레일 시스템 개발- 본 연구개발의 목표는 보행 장애 등급에 따라 사용장의 무게를 지탱하는 체중지지 기술을 개발하며, X,Y 축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레일 구조를 적용하여 모든 실내 공간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이동보조 레일 시스템 개발하고자 함 | ○ 기술적 측면- 실내 이동 및 생활편의 보조를 위한 의료기기 개발은 노인 및 장애인과 같은 장기 환자들에게 일상생활 동작 및 실내외 보행훈련과 심혈관계 증진 훈련위해 사용될 수 있는 획기적인 장비로써, 기존의 치료시스템에서 벗어나 과학적으로 입증된 재활프로그램을 제공받을 수 있음○ 경제 산업적 측면- 개발기술을 통한 수입제품 대체 효과·2015년 국내시장... | 공간활용, 천정레일, 실내이동, 체중지지, 일상생활동작 보조 | Room covering, Ceiling rail platform, Indoor mobility, Body weight support, Assistance of daily activities | 200000000 | |
66 | 2022 | 유수식 디지털양식 혁신기술개발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3415 | 빅데이터 기반 양식 생산성 향상기술 | 조성윤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경기도 성남시 | 20220401 | 20261231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양식데이터와 연계한 최적화된 실시간 관리/운영을 위한 유수식 스마트양식시스템 운영 지능화 서비스 제공과 스마트양식 데이터 활용기반으로 어가의 이슈 해결, 新 서비스모델 개발 및 플랫폼 제공 - 빅데이터 기반 양식 생산성 향상기술 개발사업은 1내역 수질관리, 생물성장관리, 에너지 관리모듈의 데이터 정의 및 표준화를 통해 양식데이터 수집하여 2내역 빅데이터 플... | ○ 기술적 측면 - 디지털 유수식양식 기술개발을 통한 양식업 분야의 국가 R&D 및 과학기술 역량 제고 - 첨단 ICT 융·복합 기술을 활용하여 세계를 이끄는 디지털양식 연구개발 및 산업화를 촉진하는 혁신형 기술개발을 활성화 - IoT, 빅데이터, 인공지능, 로봇 등 4차 산업혁명 기술과 양식 관련 기술의 융복합을 통한 4차 산업혁명의 선도모델 개발 - 디... | 빅데이터,유수식 디지털양식,빅데이터 플랫폼,어가 의사 결정,어류질병 | Big Data,Flow Through Digital Aquaculture,Big data platform,Fishermen decision,Fish disease | 280000000 | |
346 | 2022 | 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과기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7903 | 마우스 표현형서비스 구축 및 대사 운동 표현형 분석 | Establishment and service-providing of Mouse metabolic and exercise phenotyping | 성제경 | 재단법인 국가마우스표현형분석사업단 | 서울특별시 관악구 | 20131120 | 20231119 | 유전체기반 기술 | 유전자 기능해석을 위한 국제 수준의 마우스 운동 및 대사 표현형분석 인프라 확대 및 활성화 ○ IMPC 가입 활동으로 인간 유전자 기능해석을 위한 마우스 표현형분석 기반 기술 확보 ○ 분석용 대사 질환 모델 마우스 자원 확보 ○ 운동 이차표현형 분석기반 확대 및 활성화, 서비스 제공 ○ 대사 이차표현형 분석기반 확대 및 활성화, 서비스 제공 ○ 사업단 표현... | ○ 마우스 표현형 기반 구축을 통한 유전자 기능해석 역량 강화○ 국내 산·학·연 연구 지원을 위한 GEM 자원 및 표현형 정보 기술 지원○ 국내 생명과학 수준을 기초 연구에서 실용화 연구로 도약시킬 수 있는 기반 구축○ 국내 BIO 연구 및 바이오산업계의 혁신적 체질 개선 및 발전 가속화 유도○ 바이오 연구개발 분야의 핵심기술 요소인 GEM 기술개발 및 기... | 유전자 변형 마우스, 마우스 이차표현형, 대사표현형분석, 운동표현형분석, 표현형분석기반 기술, 유전자 기능해 | GEM, Advanced phenotype, Metabolic phenotype, Exercise phenotype, Phenotyping based Technology, Gene function analysis, Phenotyping service, Metabolic disease model mouse | 1800000000 |
446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7847 | 알레르기행진 예측인자를 이용한 선천면역 및 후천면역반응 조절기전 규명 | Identification of Innate and Acquired Immunity Regulations using Allergic March Predictors | 손명현 | 연세대학교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20200301 | 20230228 | 생명현상 및 기능연구 | - 본 연구에서는 지난 연구과제 수행을 통해 발굴한 알레르기행진 발생 예측 유전자를 이용하여 알레르기질환 동물모델에서 생체 내 병인기전을 분석하고 이와 관련된 선천면역 및 후천면역반응의 조절기전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 이를 통해 분자유전 및 생물학적 관점에서 알레르기질환의 제어 기전을 재조명하고 새로운 치료제 후보를 발굴하는 것이 최종연구목표이다. | 본 후속연구의 연구개발 내용은 인체유래물 및 다양한 동물모델을 이용하고, 세포 분자면역 수준에서 다양한 최신의 분자 생물학적 기법들을 응용하여 아직까지 그 기전이 확실히 밝혀지지 않은 알레르기행진 및 다양한 알레르기질환과 연관된 병인을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로 아래와 같은 성과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 국내 환자를 대상으로 GWAS 분석을 이용하여 새... | 알레르기행진,천식,아토피피부염,식품알레르기,예측인자,선천면역,후천면역 | allergic march,asthma,atopic dermatitis,food allergy,prognosis factor,innate immunity,acquired immunity | 166666000 |
156 | 2021 | 작물바이러스및병해충대응산업화기술개발(R&D)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3505 | 곤충병원성 선충과 공생세균 대량 인공 배양 시스템 구축 | Establish of Mass Production Systemfor Entomopathgenic Nematode and Symbiotic Bacteria | 추영무 | (재단)진주바이오산업진흥원 | 경상남도 진주시 | 20200429 | 20241231 | 동식물 병해충 제어기술 | 국내의 지역별 주요 식생에 토양에서 자생하고 있는 다양한 곤충병원성 선충과 공생세균 액체 대량 배양 시스템 구축, 곤충병원성 선충의 병원성 극대화 조건 확립, 그리고 곤충병원성 선충 공생세균의 병원성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및 상동성 비교 | ○ 곤충병원성 선충과 공생세균의 개체 및 핵산 라이브러리 구축이 곤충병원성 선충 농업유전자원센터 설립 추진에 중요한 플랫폼 역할 ○ 고유종의 곤충병원성 선충으로 개발된 제품의 시설원에작물(십자화과)의 주요 해충(나방류)이나 지구 기후환경변화에 때문에 유입된 외래해충(열대거세미나방 등)의 친환경 생물학적 방제○ 곤충병원성 선충의 공생세균으로 개발된 제품의 시... | 곤충병원성 선충,라이브러리,친환경 방제,천연식물보호제,공생세균 | Entomopathogenic Nematode,Library,Environment-Friendly Control,Natural Plant Protection Agent,Symbiotic Bacteria | 79000000 |
931 | 2021 | 농자재관리및평가(R&D) |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 | 1395069343 | 농약직권등록사업(약효·약해) 및 그룹약효 기준안 설정(32공동) | Registration and testing of pesticides in minor crops(32) | 박지성 | 주식회사 제주식물환경연구소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20210101 | 20211231 | 동식물 병해충 제어기술 | 소면적작물 우수방제농약 직권등록을 위한 약효·약해시험 자료 제공 소면적 재배작물에 발생하는 병해충의 방제약제 등록을 통해 안전농산물 생산기반 확보 | ○ 소면적 작물 농약등록 확대로 농산물 안전성 확보○ 소면적 작물 농약등록으로 농업인의 농약선택 확대로 농업현장 애로 해결○ 수출 농산물의 안전사용지침 제공으로 안전농산물 수출 확대 | 소면적작물, 농약, 직권등록, 약효, 약해 | minor crops, pesticide, registrartion, effect | 87000000 |
115 | 2022 | 핵심농자재국산화기술개발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5162 | 생장조정제 대체 미생물농약, 생화학농약 제품화 연구단 | 김평일 | 재단법인 농축산용미생물산업육성지원센터 | 전라북도 정읍시 | 20210401 | 20251231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미생물(파이토바이옴) 및 식물세포주를 활용한 생장조정제 대체 미생물농약, 생화학농약 제품 개발·등록·사업화를 통한 수입대체 핵심농자재국산화를 목표로 함 | 1)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및 식물세포주 기반 연구개발 저변 확대 및 전문인력 양성 2) 친환경 농자재(생장조정제) 개발 기술 및 실용화 방안 확보 3) 미생물 및 생화학 생장조정제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한 기술적 계기 마련 4) 친환경 농산물의 안정적 생산·공급을 통한 국민 건강 향상 5) 친환경농업 저변 확대 및 지속 가능한 농업 생태계 실현 6... | 생장조정제,미생물농약,생화학농약,작물보호제,제품화 | Growth control agent,Microbial pesticide,Biochemical pesticide,Crop protection agent,Manufactured product | 403000000 | |
899 | 2021 | 전자시스템산업핵심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2206 | 소화기 질환 정밀 진단을 위한 다중형광기반의 채널 삽입형 융복합 스마트 내시경 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channel-inserted convergence smart endoscopic system based on multispectral fluorescence imaging for precise diagnosis of digestive diseases | 명승재 | 서울아산병원 | 기타 기타 | 20160501 | 20210430 | 기타 보건의료 관련 응용기술 | 가) 임상시험 나) 임상연구 데이터 및 통계 분석 다) 임상시험 결과보고서 작성라) 조영제 개발가) 품질관리 평가 표준화나) 임상시험 지원 및 제품 성능 평가 가) 임상시험을 통한 제품 신뢰성 검증나) 다중형광이미징 기술 개발다) 신 조영제 기반의 형광영상기술 개발 라) 연구장비용 다중형광이미징 기술 개발 | 1. 생체내 자가 형광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며, NIR 형광 프로브를 이용하여 이를 임상에 적용하여 이미징에 의한 수술과 병리분석 (Image-Guided Surgery와 Pathology) 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 2. 현재 펩타이드 프로브를 이용한 내시경 조영 방법은 연구가 되어 있으나 형광 내시경에서의 자가 형광... | 소화기질환,암진단,채널삽입형 소구경 내시경,다중형광 스펙트럼 이미징 ,영상처리 | Digestive trouble,Cancer diagnosis,Super slim endoscopy,Multispectral imaging,Imaging processing | 472364000 |
883 | 2021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R&D)(과기정통부,복지부,산업부) | 다부처 | (재단)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 | 1711139109 | (주관)미숙아 예방 조산 자동화 스크리닝 의료서비스 핵심기술 개발 | 이재준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서울특별시 종로구 | 20210401 | 20231231 | 의과학·의공학 기술 | 1.자궁경부 초음파 영상 기반 딥러닝을 통한 조산스크리닝 인공지능 알고리즘 개발2.조산위험도별 표준화 산전관리 의료서비스 모델 개발 | 기대효과· 신생아집중치료 비용을 절감을 통한 건강보험재정 부담 감소· 미숙아 분만시 장기적으로 소요되는 사회보장비용 및 잠재적 의료비용 감소· 미숙아 출산을 예방하여 건강한 신생아를 출산함으로써 국가미래동력 확보 | 조산, 미숙아, 초음파, 자궁경부, 인공지능 | Preterm birth, Preterm infant, Ultrasonography, Cervix, Artificial intelligence | 285813000 | |
927 | 2021 | 국가신약개발사업(R&D)(과기정통부,복지부,산업부) | 다부처 | (재단)국가신약개발재단 | 9991007717 | 국가신약개발사업 운영비 | 묵현상 | 국가신약개발사업단 | 서울특별시 마포구 | 20210101 | 20301231 | 기타 보건의료 관련 응용기술 | 제약 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국민 건강증진 | 우수 유효물질 및 선도물질 도출을 통한 국내 신약개발 기반 확충, 기초연구와 임상연구 간 연계를 통한 신약 R&D 생태계 구축 등 | 신약, 연구개발, 사업화 | new drug development, R&D, BD | 4901000000 | |
474 | 2022 | 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과기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70706 | 예쁜꼬마선충거점은행 | Korean Caenorhabditis elegans and Nematodes Bank | 이동민 | 사단법인 기생생물세계은행 | 충청북도 청주시 | 20210901 | 20261231 | 유전자 변형 생물체 개발기술 | 예쁜꼬마선충거점은행은 국내 예쁜꼬마선충모델 연구 및 관련 선충분야 연구자들을 위한 생명자원 이니셔티브이다. 해외 의존도 100% C. elegans를 국내에서 공급하는 One-Stop 서비스를 제공하고, 국내 대학 및 출연연, 기업연구소에 연구활동에 니즈를 해결함으로써 신약, 유전체, 바이오기술 등 미래 유망 바이오분야의 산업화에 기여하고 국가 과학기술 경... | ○ 본 기획과제를 통해 사업의 운영 목표 및 제공 서비스에 대한 일반 연구자와 대중의 이해도를 증대시키고, 예쁜꼬마선충 연구지원 서비스를 통해 기초 기술 제공함으써 연구 저변을 확대시킴 ○ 급속히 발달하는 바이오산업에 부응하여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예쁜꼬마선충 기반의 평가기술모델을 국제수준으로 개발정착 시키고 국내기업의 바이오제품화 연구에 지원 ... | 예쁜꼬마선충,자유생활선충,기생생활선충,연구지원,자원은행,온라인 통합 플랫폼,교육 컨텐츠,네트워크 | Caenorhaditis elegans,Free Living Nematode,Parasitic nematode,Reserch support,Resource bank,Online Integration Platform,Educational Contents,Network | 300000000 |
26 | 2022 | 스마트농산물유통저장기술개발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6377 | 스마트 유통 기반조성을 위한 주요 신선농산물 품질정보 빅데이터 DB 구축 | 안재경 | (사)한국농식품유통품질관리협회 | 경기도 수원시 | 20220401 | 20241231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선입선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유통방식을 품질기준에 따른 방식으로 개선하여 저장성을 향상시키고 수급관리 운영을 위하여 데이터 기반 스마트 유통을 위한 인공지능 품질관리 및 수급관리 운영 플랫폼 개발을 목표로 함(대상품목 : 사과, 양파, 마늘, 배추)○ 스마트 유통 기반조성을 위한 주요 신선농산물 품질정보 빅데이터 DB 구축 - 신선농산물 주요 품질인자... | ○ 기대효과- (유통 선진화) 품질변화 예측 및 수급관리 운영 플랫폼 구축으로 국내 유통의 선진화 도약- (수급 안정화) 데이터 기반의 신선 농산물 품질 제어로 예측 가능한 수급관리 안정화- (품질관리 고도화) 품질인자 선별 코드 표준화로 품질관리의 과학화 기틀 마련- (소비자 서비스 제공) 품질인증체계 구축으로 소비자 만족 서비스 체계 기틀 제공 | 디지털 유통,품질 표준화,인공지능,빅데이터,비접촉식 고도화 기술 | Digital Marketing,Quality standardization,AI,Big Data,Non-contact high technology | 142000000 | |
690 | 2021 | 규제샌드박스융합신제품인증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6150 | 홈(home) 재활 훈련기기 및 서비스 관련 기술기준(안) 개발 | Development of technical standards(draft) related to home rehabilitation training equipment and services | 류요엘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 기타 기타 | 20210501 | 20220430 | 기타 보건의료 관련 응용기술 | [주관연구개발기관(한국로봇산업진흥원)] o 재활 훈련기기를 활용하여 재택의 비대면 상태로 진행하는 재활에 대한 국내·외의 현황 및 기술기준 조사 o 재활 훈련기기 및 재택 훈련 서비스 관련 국내·외의 법령 및 유사 사례 조사 o AI 등을 활용한 자동화된 재활 훈련 Application 추천 시 국내에서 임상적 유용성이 확인된 범주 내에서 제공이 될 ... | [과학 기술적 측면] o 재활기기 및 로봇을 활용한 비대면 재활 훈련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필수성능을 규정하며, 보안 및 임상유효성 평가방법을 설계하는 일은 본 과제가 최초로, 관련 기술 확보시 기술적 의의가 있음 o 의료기기 제품은 설계 단계부터 기술기준 준수를 위해 많은 개발 노력을 투자해야 하나, 본 기술의 개발로 차기 비대... | 재활,재활기기,재활로봇,재활훈련,홈 재활 | rehabilitation,rehabilitation equipment,rehabilitation robot,rehabilitation training,home rehabilitation | 192520000 |
438 | 2021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7582 | CHO-DG44 생산모세포주 플랫폼 구축 | CHO-DG44 parental cell line platform for commercial use | 김하연 |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 충청북도 청주시 | 20210101 | 20211231 | 바이오신약 개발기술 | 재조합 단백질 의약품 생산에 쓰이는 중국 햄스터 난소유래 동물세포 (Chinese Hamster Ovary cell (CHO cell)는 안전성과 유용성, 품질이 입증되어 현재까지도 많이 쓰이고 있음. 미국 C교수가 개발한 DHFR (Dihydrofolate reductase) gene dificient cell인 CHO-DG44를 미국 T사에서 cGMP... | 본 연구개발을 통해 확립한 CHO-DG44 모세포은행을 구축함으로써 해외로만 지출되는 수십억 상당의 라이센스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음.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에서는 6세부 기 연구 결과물로 GS (Glutamine Synthetase) 선별시스템으로 국산화에 성공한 CHO-K1 모세포은행 (KBIO-K1으로 상표출원 완료)과 본 연구개발을 통해 확립할 ... | 중국햄스터난소유래세포,CHO-DG44,모세포주,모세포은행,재조합의약품,DHFR,동물세포,상업용 | Chinese Hamster Ovary cell CHO cell,CHO-DG44,Parental cell line,Parental cell bank,Recombinant protein therapeutics,Dihydrofolate reductase,Mammalian cell,Commercial use | 300000000 |
865 | 2021 | 국가표준기술개발및보급(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132 | (3세부) 세포독성 평가용 PE, ZDEC, ZDBC 상용표준물질 개발 및 보급 | Development and supply of PE ZDEC ZDBC reference materials for cytotoxicity evaluation | 조진식 | (재)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 기타 기타 | 20200201 | 20211231 | 기타 보건의료 관련 응용기술 | [주관기관(KTR) : 표준물질생산기관] o 개발 후보물질의 표준물질 인정·등록 및 보급 - 후보물질의 특성값 확인 - 후보물질의 특성값 인증 - 표준물질의 COMAR 등록 신청 - 표준물질 보급 계획 수립 - 표준물질 생산 및 보급 - 표준물질의 안정성 모니터링[참여기관 1(나노바이오연구센터) : 3자 평가기관(분석)] o 표준물질의 QC(qu... | o 2년차 개발에 따른 기대효과 - 국내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를 위한 표준물질의 생산 및 보급으로 국내 의료기기 시험검사기관 및 관련 업체의 기술 수준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 해외(일본) 의존도를 해소함과 동시에 수출을 통한 국가 경쟁력 제고에도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됨. - 표준물질 관련 산업 생태계가 형성되지 않은 국내 시장을 고려했을 때,... | 세포독성,음성 및 양성 대조,폴리에틸렌,디에틸디티오카바메이트 아연,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 아연 | cytotoxicity,negative and positive control,PE,ZDEC,ZDBC | 250000000 |
723 | 2022 | 감염병관리기술개발연구 | 보건복지부 | 질병관리청 | 1465035359 | 코로나19 유발 호흡부전 및 심부전치료용 ECMO시행 환자레지스트리를 이용한 후유증연구 | Study on clinical outcomes after-effects in COVID-19 severe cases treated with ECMO | 김웅한 |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 서울특별시 중구 | 20210417 | 20221231 | 기타 보건의료 관련 응용기술 | 코로나19 유발 호흡부전 및 심부전 치료용 ECMO 시행환자의 장기 후유증 분석 | ○ 향후 코로나19 초중증 환자의 장기 합병증 예방 및 치료법 등 관리를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 호흡부전 후 폐섬유화 발생기전 연구에 활용 | 코로나19, 에크모, 후유증, 합병증 | COVID19, ECMO, sequelae, complication | 200000000 |
741 | 2021 | 지역농산물소비확대를위한생산안정화기반기술개발(R&D) |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 | 1395070465 | 복분자 안정 생산과 국산 종균 이용 복분자 식초의 상품화 기술 개발(2공동) | Technology development for stable production of black raspberry and commercialization of black raspberry vinegar fermented with domestic starters(2) | 한연수 | 전남대학교 | 광주광역시 북구 | 20210101 | 20221231 | 농업·해양 생물자원의 보존 및 이용기술 |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복분자 고사율 감소 재배 기술 개발과 연작장해 감소 기술 개발을 통한 복분자 수확량 증대 연구 | ○ 저가 배지를 이용한 대량배양으로 농자재 비용 절감○ 화학비료 및 농약 절감으로 인해 농자재 비용 절감○ 유용 미생물 활용 매뉴얼 발간으로 곰팡이병 피해 저감○ 연작장해를 해소할 수 있어 농가 소득 증대 기여○ 농약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소비자의 건강증대 기여○ 다수확으로 인한 농가소득 증대 기여 | 복분자, 무병묘, 종균, 식초, 상품화 | Black raspberry, Virus-free plant, Starter, Vinegar, Commercialization | 50000000 |
179 | 2022 | 농자재관리및평가 |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 | 1395074639 | 농약직권등록시험(약효·약해)(25공동) | Registration and testing of pesticides in minor crops(25) | 임민혁 | 주식회사 바이오식물환경연구소 | 광주광역시 광산구 | 20220225 | 20221231 | 동식물 병해충 제어기술 | 강낭콩/갈색무늬병, 귀리/녹병, 팥/들불병, 하늘마/세균점무늬병 방제약제 20종 등록,나디아/갈색날개매미충, 동부/총채벌레류, 메밀/파총채벌레, 모시/응애류, 모시/진딧물류, 갓/무잎벌 방제약제 30종 등록,모시/일년생잡초, 플럼코트/일년생및다년생잡초, 강황/일년생잡초 방제약제 15종 등록. | 강낭콩/갈색무늬병, 귀리/녹병, 팥/들불병, 하늘마/세균점무늬병, 나디아/갈색날개매미충, 동부/총채벌레류, 메밀/파총채벌레, 모시/응애류, 모시/진딧물류, 갓/무잎벌, 모시/일년생잡초, 플럼코트/일년생및다년생잡초, 강황/일년생잡초 방제 선정. | 소면적작물, 농약, 직권등록, 약효약해, 그룹약해 | minor crops, pesticide, registration, effect | 204000000 |
598 | 2021 | 농업실용화기술R&D지원(R&D) |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 | 1395071651 | 새싹삼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기능성 향장제품 개발(1주관) | evelopment of functional cosmetic products for skin whitening using fermented sprout ginseng extract(1) | 한재학 | 해피팜 협동조합 | 서울특별시 강서구 | 20210201 | 20211130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미백 효능이 우수한 피부 미백용 새싹삼 발효추출물, 발효추출 분획물 제조 발효추출 분획물을 회수하여 진세노사이드 Rk1, Rk2 및 Rh3 등 유효성 확인 및 분석 미백 기능성 산소미스트 시제품 제작 시제품 안전성 평가를 위한 인체적용시험 산업재산권 (특허, 디자인, 상표) 출원 등록 새싹삼 발효추출물 원료 생산 세포독성이 없고... | 미백효능이 우수한 피부 미백용 새싹삼잎 발효추출물, 발효추출 분획물 제조 발효추출 분획물을 회수하여 진세노사이드 Rk1, Rk2 및 Rh3 등 유효성 확인 및 분석 미백 기능성 산소미스트 시제품 제작 시제품 안전성, 미백효능 실험 및 인체적용시험 산업재산권 (특허, 디자인, 상표) 출원 등록 세포독성이 없고 미백 효능이 우수한 미백 원... | 새싹삼, 발효추출물, 미백, 산소미스트, 향장제품 | Sprout Ginseng, Fermentation Extract, Whitening, Oxygen Mist, Cosmetic | 95000000 |
939 | 2021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1392 | 중동 호흡기 증후군 코로나 바이러스 와 지카 바이러스 생물학적 특성연구 및 치료용 중화 항체 효능평가 | Characterization of MERS corona- and Zika viruses and evaluation of therapeutic antibodies against them | 김승택 | 재단법인한국파스퇴르연구소 | 경기도 성남시 | 20160701 | 20210331 | 바이오신약 개발기술 | 본 연구과제는 1)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MERS-CoV)와 모기매개 Zika virus (ZIKV)에 대한 각각의 중화항체를 개발하고, 2) 그 유효성을 증명할 수 있는 감염병 동물모델과 시험관내 시험법을 확립하고, 3) 각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혈청내에 존재하는 항체의 항원결정부위(epit... | - MERS-CoV 와 ZIKV 각각의 바이러스 중화 항체의 전임상과 임상 개발 - MERS-CoV 와 ZIKV 각각의 바이러스 중화 능력을 검증할 수 있는 시험관내 세포 감염 모델 및 소동물 감염 모델을 다른 바이러스 제재 효능 검사에 이용 |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지카 바이러스,소두증,중화,항체,치료,시험관 모델,생체 모델 | MERS-CoV,Zika Virus,Microcephaly,Neutralization,Antibody,Therapy,In vitro model,In vivo model | 56000000 |
798 | 2022 |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사업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7096 | 결핵신약의 내성 유전자 변이 발굴과 분자진단키트 검증 | Discovery of novel drug targets for new anti-tuberculosis drugs resistance and evaluation of rapid molecular diagnostic kit | 김혜진 | 대한결핵협회 결핵연구원 | 충청북도 청주시 | 20200423 | 20241231 | 기타 보건의료 관련 응용기술 | 2015년 이후 폐질환 결핵 치료제의 핵심 약제로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신약 베다퀼린, 델라마니드, 리네졸리드에 대한 내성 관련 유전자의 변이를 선별하고 내성 예측도를 검증하여 분자진단법에 적용함. 1세부기관에서 개발한 결핵균/비결핵 항산균의 균동정과 다제내성/광범위내성, 결핵 신약제의 약제내성 결핵을 동시에 진단할 수 있는 분자진단키트의 성능을 검증함 | ○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분자진단 제품은 체외진단 의료기기로 인허가를 획득하여 의료 진단 현장에 사용 가능하도록 함.○ 신규 내성진단 바이오마커 개발로 개정된 결핵진료지침이 반영된 맞춤형 분자진단법 개발을 통해 보건 의료 기술의 경쟁력에 기여○ 동시진단 통합 키트 개발로 폐질환 결핵/비결핵 항산균 감염증의 진단과 조기 대응으로 국내외 보건의료기술 향상 | 결핵균,비결핵 항산균 감염증,약제내성,분자진단,범용측면흐름분석 | Mycobacterium tuberculosis,Non tuberculous mycobacteria,drug resistance,molecular diagnostics,Universal lateral flow assay | 70000000 |
393 | 2022 | 농자재관리및평가 |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 | 1395074679 | 농약직권등록시험(약효·약해)(9공동) | Registration and testing of pesticides in minor crops(9) | 최성환 | 경상국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경상남도 진주시 | 20220225 | 20221231 | 동식물 병해충 제어기술 | ○소면적 작물 우수 방제 농약 직권등록을 위한 제초제 약효·약해시험 자료 제공○소면적 재배작물에 발생하는 잡초의 방제약제 등록을 통해 안전농산물 생산기반 확보 | ○ 소면적 작물 농약등록 확대로 농산물 안전성 확보○ 소면적 작물 농약등록으로 농업인의 농약선택 확대로 농업현장 애로 해결○ 수출 농산물의 안전사용지침 제공으로 안전농산물 수출 확대 | 소면적작물, 농약, 직권등록, 약효약해, 그룹약해 | minor crops, pesticide, registration, effect | 108000000 |
952 | 2021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R&D)(과기정통부,복지부,산업부) | 다부처 | (재단)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 | 1711139032 | (주관)소형유압 댐퍼기반의 독립선택(수동, 자동, 능동) 구동이 가능한 대퇴 절단자용 하이브리드 구동모듈 개발 | Development of hybrid drive module for transfemoral prosthesis capable of selective drive based on small hydraulic damper | 박세훈 | 재활공학연구소 | 인천광역시 부평구 | 20201101 | 20221231 | 의과학·의공학 기술 | 본 과제는 다양한 절단 양상(슬관절 ~ 고관절), 환자의 몸 상태(피로누적에 따른 보행능력 저하), 및 주변 상황(조용한 강의실,건널목 이동시 빠른 이동)에 따라 3가지(수동, 자동, 동력보조형 능동) 선택 보행이 가능한 대퇴절단자용 하이브리드 구동모듈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함. 기존 동력의지의 문제점인 소음과 내구성을 해결하기 위해 브레이크(유압저항 제... | (1) 기술적 효과 능동형 하이브리드 의지의 핵심기술인 무릎의지 구동 모듈 개발기술은 향후 차세대 하지 의지 설계의 고도화 및 웨어러블 로봇 등을 개발하기 위한 기반기술로 적용 가능 평지, 계단, 경사로 보행 운동 분석에서 도출된 생체 신호 데이터 및 보행 의도 파악 알고리즘은 절단 장애인 및 마비 장애인들을 위한 의료기기 개발에 중요하게 활용 가능.... | 대퇴의지, 로터리 유압실린더, 구동기, 보행 제어 알고리즘, 임상시험 | Transfemoral prosthesis, Rotary hydraulic cylinder, Actuator, Gait control algorithm, Clinical trial | 270000000 |
316 | 2021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4929 | RNA-seq 기반 bedaquiline 및 delamanid 내성 결핵균의 전사체 분석을 통한 신규 내성 기전 규명 연구 | Investigation of novel resistance mechanism by transcriptome analysis of bedaquiline and delamanid-resistant Mycobacterium tuberculosis based on RNA-seq | 김경종 | 대한결핵협회 결핵연구원 | 서울특별시 서초구 | 20180601 | 20210531 | 유전체기반 기술 | 본 연구는 국내에서 분리한 결핵균으로부터 다제내성 및 광역내성 폐결핵 환자 치료제인 Delamanid 및 Bedaquiline 내성 결핵균을 선별 하고, 차세대 염기서열분석기를 이용하여 내성관련 전사체 후보 발굴 및 검증을 통해 신규 내성 기전 규명을 목표로 함. 더 나아가, 본 연구로부터 확보한 결과를 통해 결핵의 신약개발 및 새로운 진단 기술 개발에 응... | 최근, Delamanid 및 Bedaquiline의 사용 증가로 인한 내성 결핵균이 공중보건의 위협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제내성 폐결핵 환자 치료를 위한 신약제인 Delamanid 및 Bedaquiline의 내성을 보이는 결핵균을 이용하여 약제 특이적 전사체 발현을 분석하여 내성에 관여하는 전사체 발현을 분석·검증하고 신규 기전을 규... | 결핵균,광역내성결핵,전사체 분석,베다퀼린,델라마니드,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 Mycobacterium Tuberculosis,XDR-TB,Transcriptome analysis,Bedaquiline,Delamanid,Next generation sequencing | 12500000 |
320 | 2021 | 다부처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R&D) | 환경부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1485018019 | 담수생물자원은행 활용기반 구축 | Infra-establishment for Freshwater Bioresources Culture collection Utilization & Development | 류시현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 경상북도 상주시 | 20210401 | 20251231 | 환경 생명공학기술 |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① 쌍방향 소통을 위한 담수생물자원은행 운영 및 소재 품질 고도화로 고품질의 야생생물소재를 상시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국제적 체계를 마련하고, ② 야생생물 소재의 도전적 확장을 통해 받아 수요자가 믿고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기존에 분양하던 배양체, 추출물이외에 대사체 및 유전자원, 담수조류 휴면포자, 환경 시료 등)를 제공하고... | - 담수생물자원의 기탁 보존체의 제작, 품질매뉴얼 인증, 분류군별 표준절차서 반영 등 담수 야생생물 소재 및 관련 데이터에 특화된 품질관리를 바탕으로, 국내 담수생물 기탁·보존 선도 기관으로 도약- 수요자가 필요로 하는 맞춤형 담수 야생생물 소재의 확장 및 고부가가치 소재 확보·관리·분양을 통해 미래 혁신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자원은행으로 도약 | 담수생물자원, 품질경영시스템, 생물자원은행 국제표준, 장기보존기술개발 | Freshwater Bioresources, ISO9001, ISO20387, Development of long-term preservation technology | 800000000 |
835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0437 | 당원병 환자의 간 당원 축적의 정도와 임상 특징 비교 | Comparison of liver glycogen storage amount and characteristics in patient with glycogen storage disease | 강윤구 | 연세대학교(원주의대) | 강원도 원주시 | 20210901 | 20230228 | 난치성 질환 치료기술 | 당원병 환자에게 간 MRI를 시행하여 얻을 수 있는 정보로 당원병 관리를 최적화하고 정상적으로 문제없이 성장하는데 도움이 되는 방법이 될 것이다.당원병은 원래 간에 암이 생기고 성장을 못하고 결국 간이식을 받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지만 제대로 된 관리를 받는다면 성장부전, 간선종, 간암 등의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MRI로 간의 사이즈 및 간의 ... | 질병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이 건강하게 지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은 의사로서 당연히 해야하는 일이다. 특히 당원병처럼 희귀질환으로 제대로 된 치료 방법이 없다고 알려진 질환을 가진 환자들이 더욱 더 건강하게 지낼 수 있다면 그것보다 중요한 것은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를 통해 정상적인 성장뿐만 아니라 간 선종 발생의 최소화 및 간암으로 사망하거나 간... | 당원병,자기공명영상법,간 선종,간암,간 섬유화 | glycogen storage disease,MRI,Hepatic adenoma,hepatic carcinoma,Hepatic fibrosis | 9028000 |
312 | 2021 | 감염병예방치료기술개발사업(R&D)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2791 | 화학생물정보학 기반의 결핵 치료제 후보물질 발굴 | Chembioinformatics Based Drug Discovery of Novel Anti-Tubercular Agents | 최인희 | 한국파스퇴르연구소 | 경기도 성남시 | 20200423 | 20211231 | 난치성 질환 치료기술 | ○ 약제감수성 임상 결핵균주들의 SNP를 분석하여 신규 타겟을 선별하여 화학정보학으로 후보물질들을 발굴하여 유도체 합성▶ 지금까지의 일반적인 항결핵제 개발은 화합물 투여를 통해 균 사멸력만을 고려하는 개발 방법이었음. 이는 결핵균의 사멸에 대한 기전이나 타겟을 규명하기 어려움. 또한 여러 저분자 화합물 합성을 통한 사멸력 검증으로 인하여 신약 개발 속도가 ... | ▶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결핵 신약개발을 하여 4차원 산업인 AI 기반의 결핵 치료 전략에 기여할 수 있음.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화합물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과 약물작용 등을 예측하는 인공지능 플랫폼 개발을 하여 평균 10년 이상이 소요되는 신약 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따라서 신약 개발의 시간 및 약 40% 비용 단축을 위해 인공지능(A... | 결핵균,가상탐색,화합물 라이브러리,약물작용기전,마이크로어레이 분석 | Mycobacterium tuberculosis,Virtual screening,Chemical library,Mechanism of action,Microarray | 190500000 |
190 | 2022 | 바이오산업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444 | (총괄)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기능고도화 소재 개발 | Development of functional improving material of biodegradable bioplastics | 박용철 | 한국바이오연구조합 | 경기도 성남시 | 20200401 | 20241231 | 기타기초·기반기술 | □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소재 관련 기술 및 시장동향 분석 진행(매년)□ 수행기관 참여연구원의 기초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가세미나 개최(매년)□ 연구수행자간 성과 및 기술교류를 위한 워크샵 개최(매년)□ 효율적인 세부과제 성과 도출을 위한 실무위원회/운영위원회 진행(매년)□ 연구 성과 및 결과 홍보 진행□ 성과 모니터링 및 관리를 위한 소회의체 및 SNS... | □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소재 관련 기술 및 시장동향 분석 진행(매년) - 주요 키워드 업데이트(1차년도 내용 기준) 후, 키워드 기반 항목별 글로벌 기술 및 시장동향 분석 진행(분석 보고서 형식)으로써 브리프 보고서를 바탕으로 더 구체화된 분석보고서 작성에 용이함. 또한, 이를 바탕으로 세부과제에 이를 제공하여 효율적인 연구개발 지원 가능함.□ 생분해성... | 바이오매스,생분해성바이오플라스틱,바이오가소제,기능고도화,필름 | Biomass,Biodegradable plastic,Bio plasticizer,Functional improving,Fillm | 110000000 |
524 | 2021 | 스마트특성화기반구축(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1415176699 | 용암해수 미네랄 기반 건강지향성 음료 특성화 사업 | Health-directional Drink Specialization Based on Mineral of Lavawater | 장원국 | (재)제주테크노파크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20210401 | 20231231 | 기능성 바이오소재 기반기술 | 용암해수 기반 건강지향성 음료 산업생태계 조성 성과목표 - 사업화 매출액 88억 증가 - 사업화 고용 72명 - 장비활용률 52% 이상 플랫폼 구축 - 기능성 음료 전주기 지원 플랫폼 구축 및 운영 - 기술지원 전문가 Pool 운영, 혁신기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장비구축 - 건강지향성 음료 생산을 위한 청정생산 라인 구축... | 경제적 기대효과 - 제주 건강지향성 음료산업 육성으로 수혜기업의 매출 성장률은8%, 고용 성장률 3%의 경제 효과 예상 산업적 기대효과 - 플랫폼 구축을 통한 유형별 기업 성장과 함께 1차 산업과 웰니스, 관광 등의 서비스의 3차산업 융합으로 지역 산업 고도화 - 소재의 기능성 강화를 통한 고부가가치 음료 제품화와 식품/음료의 주원료인 원수(... | 건강지향성,음료,용암해수,제주천연자원,미네랄 | Healthdirectivity,Drink,Lavawater,Jeju Natural Resources,Mineral | 2663615000 |
454 | 2022 | 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과기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3667 | 자연사 참조표본의 확보 및 활용지원 기반기술개발사업 | Infrastructure Development for Collection and its Application of Natural History Reference Specimens | 김동희 | 국립중앙과학관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30801 | 20230731 | 기타기초·기반기술 | 생명연구 및 바이오산업의 원천소재인 자연사자원의 실물 표본 및 연관 정보를 소장하고 있는 국립과학관, 대학자연사박물관 등 국내 주요 공공기관의 자연사자원 인벤토리를 구축하고 자연사 참조표본(Reference Specimens)의 확보·관리·활용 체제를 구축·운영함으로써, 자연사자원의 실물 확보뿐만 아니라 맞춤형 분양 서비스를 통한 산·학·연·관 등 유관기관... | ? 자연사자원 확보와 관리 및 활용 기반을 조성하여 자원의 산업적 가치증대 및 유용성 제고, 천연신약, 유용소재 추출, 종자 개량 등 고부가가치 산업창출 등에 원천소재로 활용 ? 분산된 자연사자원에 대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웹서버(국가자연사연구종합정보시스템)에 구축함으로써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쉽고 빠르게 데이터에 접근하여 자료를 비교·분석할 수 ... | 자연사 참조표본,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분양시스템,DNA 바코드,국가자연사연구종합정보시스템,협력네트워크,자연사 | Reference Specimens,GBIF,National Biological Reference Specimen Bank,DNA Barcode,NARIS,Cooperative Network,Natural History Resources,Inventory Building | 300000000 |
319 | 2021 | 다부처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R&D) | 환경부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1485018021 | 담수 생물소재 기능성 정보 구축 | Sustainable exploration of Biotechnological Potentials of Freshwater Bioresources | 이미화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 경상북도 상주시 | 20210401 | 20251231 | 환경 생명공학기술 | 국가생명연구자원의 핵심재료로서 담수생물자원을 고부가가치화하기 위하여 ① 담수세균 ② 담수진균 ③ 담수식물 추출물의 유용 활성 분석법을 표준화하고 기능성 정보 인프라를 구축하여 생물산업의 국가 경쟁력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자 함 | ㅇ 담수미생물 및 추출물의 산학연 활용성 증대ㅇ 생물소재를 이용한 환경친화적 기능성 원천소재 확보ㅇ 담수생물 활용기술 개발 연계를 통한 생물산업 활성화 | 담수생물소재, 천연추출물, 기능성 미생물, 산업생명공학, 기능성 정보 DB 구축 | Freshwater Bioresources, Plant extracts, Functional Microbes, White/Green Biotechnology, Database | 844000000 |
607 | 2021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운영(R&D) | 보건복지부 | 국립암센터 | 1465035010 | 폐경 전 호르몬 수용체 양성 전이성 유방암에서 CDK4/6 억제제와 호르몬 병합요법과 표준항암제 capecitabine 요법의 비교 연구 | A Phase II Randomized Study of Palbociclib in combination with Exemestane plus GnRH agonist versus Capecitabine in Premenopausal Women with Hormone Receptor-Positive Metastatic Breast Cancer | 김태용 | 삼성서울병원 | 서울특별시 강남구 | 20171201 | 20221130 | 유전자 치료기술 | - 1차 치료에 실패하거나 4기로 진단받은 폐경 전 호르몬 수용체 양성 전이성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표적치료제+호르몬억제치료와 항암치료의 효과를 비교함으로써 치료 성적이 좋지 않은 폐경 전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 환자의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함. 1) 폐경 전 여성의 호르몬 수용체 양성 전이성 유방암의 최적의 치료 방법 모색 - 국내를 비롯한... | - 외국과는 다른 국내의 특수한 역학을 반영한 집단, 폐경 전 여성의 유방암,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국제적 연구로 충족되지 않는 국내의 수요를 충족하는 공익적 다기관 암 임상연구를 진행함.- 폐경 후 여성 유방암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보여준 palbociclib을 이용한 최적의 치료방법을 폐경 전 여성 유방암에서 모색함으로 나아가 전세계의 폐... | 전이성 유방암,폐경전 여성,호르몬수용체 양성,표적치료+호르몬치료,세포독성항암치료 | metastatic breast cancer,premenopausal women,hormone receptor,target agent + hormone treatment,cytotoxic chemotherapy | 132980000 |
807 | 2022 | 감염병의료안전강화기술개발사업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6702 | 감염병의료안전강화기술개발사업 | The Government-wide R&D Project for reinforcement of medical safety for infectious diseases | 이주실 | 재단법인 방역연계범부처감염병연구개발사업단 | 충청북도 청주시 | 20220401 | 20241231 | 기타 보건의료 관련 응용기술 | ○ (사업목표) 포스트 코로나에 대비하여 감염병 대응에 최적화된 의료현장의 구조와 시스템, 장비, 인력을 구축함하는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지속가능한 K-의료의 고도화 추진 - (목표) 감염병 재난 대비 의료환경 체질 개선 및 역량 고도화 1. (구조) 의료현장 공간구조의 감염 제어 기술개발 2. (시스템) 감염 환자 대응 시스템 최적화 기술개발 ... | ○ 기술적 기대효과 - 원내 감염확산 문제 원천 차단을 통한 안전한 의료환경 조성 원내 공기감염 전파 차단 기능 강화 원내 환자 접촉 전파 및 관리 혼선 감소 환자와 일반인의 이동 동선 분리 및 모니터링, 추적 가능 - 병원 규모, 환경, 조건, 상황에 맞는 의료기관 새로운 융합 장비, 자원 구비 및 올바른 사용법을 통해 안전... | 감염병,의료안전,환자,의료진 | Infectious disease,Medical safety,Patient,Medical workers | 10800000000 |
332 | 2022 | 전자약기술개발사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9903 | (공동3) 전자약기술개발 총괄과제 운영 | (CO-3) Management of overall project on electroceutical technology development | 최원정 |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서울특별시 | 20220401 | 20270630 | 의과학·의공학 기술 | 과학기술정통부, 보건복지부의 전자약기술개발사업을 수주한 16개 컨소시엄에 대하여, 제품 인허가 및 사업화에 대해 종합적·체계적 기술지원 | □ 기대 효과○ 기술적 측면- 국제표준에 적합하고 기술 경쟁력이 확보된 제품 개발에 기여- 시험기법 가이드라인의 적용을 통해, 전자약 관련 업체에서의 제품 개발시, 기술적 결함 및 잠재적 위험감소 기여- 과학기술정통부 및 보건복지부 전자약 R&D 성공률 제고를 위한 시험기법 및 인허가 가이드라인개발을 통해 국내외시장 진출 가능 제품 개발이 가능한 연구개발 ... | 전자약 / 맞춤형 / 인허가 / 신의료기술평가 / 보험등재 | electroceutical Customized Certification New Health Tecnology Assessment medical device health insurance reimbursement registration | 56225000 |
243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6087 | 방사선 유도성 폐 섬유화 과정에서 오글루넥당화의 역할 규명 및 그 기전 연구 | Identification of the Role of O-GlcNAcylation and its Mechanisms in Radiation-Induced Pulmonary Fibrosis | 이재연 | 한국원자력의학원 | 서울특별시 노원구 | 20200601 | 20230228 | 단백질체 연구 | 방사선에 의한 폐 섬유화는 사고에 의한 방사선 피폭, 또는 폐암, 유방암, 혈액학적 악성 종양 등의 치료를 위해 흉부에 방사선 치료를 지속적으로 받는 환자들에게 나타나는 만성 부작용임. 폐 섬유화는 폐 기능 저하를 야기해 환자들에게 또 다른 고통을 안겨주어 일상적인 삶을 불가능하게 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정확한 예방책이나 치료 방법은 알려져 있지 ... | ● 방사선을 이용한 항암치료는 장기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진행되므로 부작용 역시 오랜 기간 동안의 방사선 노출에서 기인함. 이로 인해 부작용에 대한 치료시기를 놓치기도 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초기 발병원인을 밝혀 치료시기를 앞당기거나 예방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함. 방사선 조사에 의한 세포 내 포도당 농도 증가는 방사선 조사 초기에 추적 가능한 인자... | 방사선 노출,폐 섬유화,당화 단백질,오글루넥당화,활성 산소 | Radiation Exposure,Pulmonary Fibrosis,Glycoproteins,O-GlcNAcylation,Reactive Oxygen Species | 50000000 |
149 | 2022 | 농자재관리및평가 |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 | 1395074638 | 농약직권등록시험(약효·약해)(29공동) | Registration and testing of pesticides in minor crops(29) | 이기열 | 응용생물시험연구소 | 충청남도 논산시 | 20220225 | 20221231 | 동식물 병해충 제어기술 | 소면적 재배작물에 발생하는 병해충의 방제약제 등록을 통해 안전농산물 생산기반 확보○ 소면적작물 우수방제농약 직권등록을 위한 살균제, 살충제제초제 약효·약해시험 자료 제공 | ○ 소면적 작물 농약등록 확대로 농산물 안전성 확보○ 소면적 작물 농약등록으로 농업인의 농약선택 확대로 농업현장 애로 해결○ 수출 농산물의 안전사용지침 제공으로 안전농산물 수출 확대 | 소면적작물, 농약, 직권등록, 약효약해, 그룹약해 | minor crops, pesticide, registration, effect | 426000000 |
170 | 2021 | 스마트팜다부처패키지혁신기술개발(R&D)(과기정통부,농식품부,농진청) | 다부처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4590 | 북방형 스마트 온실과 경축순환형 스마트팜 패키지 개발 I (액비화, 에너지화) | Development of Northern-Type Smart Farm Package Model for Export | 이명규 | 상지대학교 산학협력단 | 기타 기타 | 20210407 | 20241231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주관, 국제원예연구원) 북방형 스마트 온실 모델의 국내 실증을 통한 고도화 및 성능평가 - 북방지역 기후·토양 등 조건에 적합한 국산 스마트온실 모델 설정·스마트팜 모델 개발 : 9종 ·경축순환형 스마트팜 패키지 모델 개발 : 3종(실증 3종) - 지역별 태양광, 지열, 풍력, 가축분뇨를 이용한 에너지공급시스템 개발 : 2종 - 해외실증 북방형 스... | -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스마트온실 응용기술을 스마트팜 보급 초기단계의 북방지역 기후여건에 알맞은 북방형 맞춤형 스마트팜을 개발하여 현지 실증을 통해 시장을 선점- 북방지역의 농업기반은 자본이 취약하여 2~3세대 스마트팜 온실보급에 어려움이 있으나 이번에 개발한 북방형 스마트팜 패키지 모델은 Low Price와 High Technology를 지향하여 저비용 ... | 북방지역,스마트팜,패키지 모델,일광온실,스마트온실 | North Korea(Northern Asia),smart fam,package model,passive solar greenhouse,smart greenhouse | 210000000 |
593 | 2021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R&D)(과기정통부,복지부,산업부) | 다부처 | (재단)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 | 1711138225 | (주관)MRI 기반의 생검시술로봇 원천기술 개발 (202012D14) | Development of Core Technology on MRI-compatible Biopsy Robot | 홍주현 | 대구경북첨단 의료산업진흥재단 | 대구광역시 동구 | 20200901 | 20221231 | 의과학·의공학 기술 | ○ 3T 자기공명영상(MRI) 장치 내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전립선암 생검에 적용될 수 있는 5자유도 이상의 MR 호환 생검시술로봇 구현 - MR 호환 생검로봇 시스템 구동부 및 통합시스템 제작 - 힘 측정이 가능한 생검 툴 및 프로브 개발 - 의료적 자문 및 In-vitro/vivo 테스트 | ○ 의료진의 생검시술 훈련 시스템으로 활용 가능 - 로봇기반의 생검시술 시스템을 활용하여 다양한 부위의 생검시술 훈련 플랫폼으로 활용 가능 - 생검시술로봇을 활용한 체계적인 훈련 가능 ○ MR 호환 생검시술 장비의 국산화를 통한 의료 서비스 질 향상 및 관련기술 확보 - MR 호환 로봇 구동 기술에 대한 원천기술 확보를 통하여 국내 의료 로... | 자기공명영상장치, 암, 전립선, 생체검사, 로봇, 프로브, 바늘, 자기공명장치 호환 | MRI, cancer, prostate, biopsy, robot, probe, needle, MRI-compatible | 120000000 |
17 | 2022 | 농생명산업기술개발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4871 | 말벌독 원료 규격표준화 연구 | Development of preventive materials against neurodegenerative disorders using wasp venom | 김효정 | 한국한의약진흥원 | 경상북도 경산시 | 20190920 | 20230219 | 기능성 바이오소재 기반기술 | ○ 말벌독의 원료 규격표준화 - 5종의 국내자생말벌독(장수말벌, 등검은말벌, 좀말벌, 털보말벌, 말벌) 중, 표준화대상 말벌독 선정 - 대상말벌독의 지표성분의 분리 및 대상말벌독의 활성성분의 추적 / 분리 | ○ 국내자원 말벌독의 유효성분 분리정제 기술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 말벌독의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의약품 소재화를 위한 학술적 근거 마련○ SCI 논문게재 및 특허 출원/등록으로 말벌독의 지적재산권을 확보하여, 말벌독의 인지기능개선에 대한 과학적 효능 홍보○ 말벌독을 활용한 의약품개발에 따른 대체의학의 발전 도모 | 말벌독,퇴행성신경질환,치매,의약품개발,약침 | wasp venom,neurodegenerative disorder,Alzheimer,drug development,pharmacopuncture | 72650000 |
806 | 2022 | 마이크로의료로봇 실용화기술개발사업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6252 | 시술자 중심의 캡슐형 내시경로봇 제어 소프트웨어 개발 | Software development for operation control of a robotic capsule endoscope | 김자영 | 한국마이크로의료로봇연구원 | 광주광역시 북구 | 20190520 | 20221231 | 의과학·의공학 기술 | 생활습관 변화로 인한 대장암, 위암 등의 소화기관 질병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내시경 진단기법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 기존 유선내시경은 구강 또는 항문으로 삽입되어 고통이 수반되며, 수면마취를 위한 약제의 부작용 위험이 존재함. 최근 캡슐내시경을 통한 소화기관 진단법이 개발되었으나, 소화기관의 연동운동에 의한 ... | 산업적 파급효과: 국산의료장시사업 성장 및 국민의료서비스 향상 - 높은 시장성을 가진 고부가가치 의료기기 개발 및 합리적 가격의 국산 의료장비 제공 - 캡슐형 내시경로봇의 구성품 관련기업의 동반 성장 가능 - 간단하고 편리한 내시경 시술을 통한 향상된 의료서비스 제공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한 의료용 전자기장 제어시스템 개발 - 캡슐형 내시경로봇의 ... | 캡슐형 내시경로봇,상부위장관,전자기장시스템,제어 소프트웨어,시술자 인터페이스 | robotic capsule endoscope,upper gastro intestine,Electromagnetic system,Control SW,Clinician interface | 100000000 |
584 | 2021 | 어업현장의현안해결지원사업(R&D)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1081 | 근해통발어업의 조업 안전성 분석 | 정금철 | 한국해양수산연수원(본원) | 부산광역시 영도구 | 20190710 | 20211231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근해통발어업(장어, 꽃게)의 인력절감과 조업안전을 위하여 통발 양승, 어획물 분리, 모릿줄 사림, 통발 투승과정의 각종 어로장비에 대하여 자동화 기술을 개발하고, 리빙랩(Living lab)운영 및 실증화 시험조업을 통하여 어업현장에 보급함으로써 근해통발어업의 안전 및 자동화 조업체제를 구축 함. | ㅇ 근해통발어업의 통발 양승과정의 조업안전시스템 구축, 자동 양승 및 어획물 분리시 스템 개발, 모릿줄 자동사림 장치 개발, 통발 미끼 분쇄 및 자동 투입장치 개발, 투 승과정의 안전 및 자동화시스템 구축을 통한 현장 실증화 및 현장 보급ㅇ 근해통발어업의 안전 및 조업자동화 기기 개발을 통한 생력형 조업시스템 구축 ㅇ 어업안전성 및 자동화 어로시스템... | 근해통발,실증화,어선원 안전,자동화 기술,리빙랩 | Offshore Pot Fishery,testbed,safety of crew,automation technology,Living Lab | 15000000 | |
680 | 2021 | 농생명산업기술개발(R&D)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3435 | 다양한 무궁화 신품종 육성을 통한 수출주도형 육종기반 확립 | 심경구 | 무궁화와참나리연구소 | 충청남도 천안시 | 20180426 | 20211231 | 농업·해양 생물자원의 보존 및 이용기술 | ○ 맞춤형 신품종 육성을 위한 민간육종기반 구축 및 육종기술 지원○ 원천기술을 적용한 작물별 맞춤형 테스트베드 운영 ○ 수출가능성 높은 호접란, 코레옵시스, 패랭이, 무궁화, 다육식물, 정원용 나리 신품종 육성 및 수출시장 확대 | ○ 종간잡종 등 실용육종기술의 이전으로 민간육종 기반구축○ 주아번식성 정원용 나리 신품종 육성으로 새로운 나리구근 생산체계 확립○ 배수성기술을 이용한 호접란, 코레옵시스, 패랭이, 다육식물의 대륜화 품종개발○ 종간잡종기술을 이용한 무궁화, 코레옵시스, 패랭이, 다육식물의 신화형, 신화색 품종개발○ 종간교잡의 양친간 교잡친화성 검정을 통하여 교잡가부표 작성○... | 종간잡종,배수화,육종,식물품종보호권,정원식물 | Interspecific hybridization,Polyploidization,Breeding,Plant Breeders Right,Garden plants | 97000000 | |
638 | 2021 | 감염병예방치료기술개발사업(R&D)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3068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SFTS) 치료항체의 생체내 유효성 평가 | Evaluation of in vivo efficacy of SFTS therapeutic antibody | 김승택 | 한국파스퇴르연구소 | 경기도 성남시 | 20200423 | 20211231 | 생명공학 산물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기술 | 1차년도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SFTS) 치료용 항체의 생체 내 유효성 평가 (viral clearance) 및 SFTS pseudovirus 제작2차년도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SFTS) 치료용 항체의 생체 내 유효성 평가 (viral clearance) 및 다양한 유전자형의 SFTS pseudovirus에 대한 중화는 평가 | 1.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SFTS) 치료용 항체의 생체 내 유효성 평가2. 다양한 유전자형의 SFTS pseudovirus 제작3. viral clearance kinetics (SFTS RNA, SFTS virus)를 이용하여 임상 데이터와 분석시 활용4. SFTS 치료용 항체의 중화능 평가를 위한 비교 자료로 활용 | 중증열성혈소판증후군 바이러스,유효성 평가,바이러스 제거,가성바이러스,중화능 | SFTS virus,efficacy evaluation,viral clearance,pseudovirus,neutralization potency | 170000000 |
165 | 2021 | 기술사업화지원(R&D)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3516 | 국내외 시장 화단용 무궁화 대량생산 및 판매 | 이동철 | 한국무궁화연구원 | 부산광역시 강서구 | 20210401 | 20231231 | 농업·해양 생물자원의 보존 및 이용기술 | - 개발된 품종의 무궁화 육종 체계 확립- 주요 무궁화 유전자원의 배수화 및 세포유전학적 구명- 키 낮은 무궁화의 품종 개량을 위한 차세대 고품질 무궁화 신품종 선발- 고품질 우량 무궁화 신품종의 품종출원 및 해외특허 | ○ 키낮은 무궁화 우량계통 확보(현재 10계통, 향후 15계통)○ 종간교잡, 배배양, 배수화 기술을 적용한 다양한 차세대 무궁화 육성○ 새로운 조경용 우량계통의 재배방법 및 대량번식 기술개발 확립○ 국내외 시장 맞춤형 신품종 5품종 출원 및 5품종 등록○ 신품종 통상실시권 양도, 재배 및 대량생산 기술이전○ 국내외 마케팅을 통한 신시장 개척, 국내매출 6억... | 키낮은 품종,조경용,그린 뉴딜,종간교잡,배수화 | Dwarf cultivar,Landscape plant,Green New Deal,Interspecific hybridization,Polyploidization | 26000000 | |
813 | 2021 | 국가표준기술개발및보급(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2078 | 풀 스케일 화재 시나리오에서 인체 위해성 평가를 위한 대규모 화재시험방법 요건의 국제표준화 | Guidance on requirements for large scale test methods to represent toxic gas and smoke hazards in different full scale fire scenarios | 최정민 | 한국화재보험협회부설방재시험연구원 | 경기도 여주시 | 20190701 | 20221231 | 생명현상 및 기능연구 | [3차년도 표준개발 진척]- WD 개발 진척- CD 추진전략 수립- CD ballot/승인[3차년도 연구내용]- 국가화재통계 분석 및 실 화재 시나리오 설정- [ISO 9705 표준 룸 + 연계 구조물] 화재재현시험- 재실자/비상구 위치에 따른 인체위해성 측정·평가- 실규모 평가방법의 실효성 검증- WD 개발 및 CD Ballot 승인 | o 기술적 측면 - 시시각각 동적으로 변화하는 화재 환경을 반영한 시나리오 기반의 화재공학적인체위해성 평가기법 개발을 통해, 실질적인 화재환경을 측정, 결과분석 및 활용하는 것이 가능함. - 국내·외 다양한 화재 조건 하에서 발생하는 화재환경 측정결과에 대한 기술자료 및 데이터 축척을 통한 관련연구 선도 및 성능 개선 - 국내 전무한 실규모 화재환경 측정... | 시공간 특성,화재환경,실대규모 시험방법,화재 시나리오,위해성 |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Fire environment,Realscale fire test method,Fire scenario,hazard | 137300000 |
251 | 2021 | 다부처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1834 | 국가마우스표현형분석사업단 운영·기획·평가관리 | Operating, Planning and Evaluating the Korea Mouse Phenotyping Center(KMPC) and its R&D projects | 성제경 | 재단법인 국가마우스표현형분석사업단 | 서울특별시 관악구 | 20141120 | 20231119 | 유전체기반 기술 | (재)국가마우스표현형분석사업단의 사업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할 할 수 있도록 사업단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과제의 기획 및 평가 관리 등을 추진 ? 마우스 표현형 분석 인프라 구축을 통한 인간 유전자 기능 해석 기반 구축 ? 유전자변형마우스(GEM, Genetically-Engineered Mouse) 기본표현형 및 심층표현형 분석 기반 구축 및 서비스 ... | ? GEM 연구의 기반 구축 및 저변 확대를 통한 국내 바이오산업 발전 가속화 ? GEM 표현형 생물정보 인프라를 활용하여 유전자 기능 해석 역량 강화 ? 유전자 기능 분석에 기반한 신약 타겟 발굴 및 검증으로, 신약 개발 기간 및 비용의 획기적 단축에 기여 ? 글로벌 GEM 컨소시엄 참여를 통한 국가 위상 제고 및 해외자원 활용도 증가 ? GEM 관련 ... | 유전자변형마우스,마우스표현형분석,국제마우스표현형분석컨소시엄,국가마우스표현형분석사업단,마우스종합포털시스템,마우 | Genetically Engineered Mouse,Mouse Phenotype,MOPMouse One Portal,IMPCInternational Mouse Phenotyping Consortium,Mouse Information,Mouse Genome InformaticsMGI,Mouse Model,Data analysis | 600000000 |
786 | 2021 | 인공지능바이오로봇의료융합기술개발(R&D)(산업부)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4974 | 인공지능 바이오 로봇 의료융합기술개발 총괄 지원 | Commercialization support for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o robot medical device | 양순철 | 재단법인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 기타 기타 | 20180501 | 20221231 | 의과학·의공학 기술 | 총괄 목표 : 3대 중점 투자분야별 개발 의료기기에 대한 임상계획 승인 획득, 임상 완료 및 품목허가 승인을 위한 총괄 지원세부목표 : 1. 총괄 과제 관리 및 협력 네트워크 구축 2. 인프라를 활용한 애로기술 해결/신뢰성 개선 지원 3. 제품 표준화 지원 ... | 기대 효과 : 개발 대상 품목은 첨단 기술력이 요구되는 의료기기로써,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 사업화 성공을 통해 수입 대체 효과 및 신시장 창출/선점을 통한 국가 경쟁력 향상 기대기술적 측면 : 4차 산업혁명의 대표기술인 인공지능, 로봇기술 등이 적용된 혁신 의료기기 개발을 통해 국내 의료기기 산업 기술 경쟁력 제고 및 ... | 인체 삽입형 의료기기,스마트 진단치료 통합솔루션,로봇 융합 의료기기,사업화,총괄지원 | Implantable medical device,Smart medical system for diagnosis and treatment,Robotic medical device,Commercialization,General Support | 980122000 |
61 | 2022 | 친환경동력원적용농기계기술개발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6691 | 친환경 수소연료전지 기반 110kW급 대형 트랙터 개발 | 신기성 | (주)대동 | 경상남도 창녕군 | 20220406 | 20261231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 육성우 전문목장 특화 ICT 기반 동물복지 강화 스트레스 및 냄새 저감 시스템 개발- 육성우 전문목장 동물복지 강화 및 친환경 ICT 융합 시스템 구축- 관행사양 대비 육성우 질병 발병율 20% 저감- 생산성 20% 향상- 노동력 20% 절감- 사양 환경 (냄새 저감) 20% 개선 | (1) 기술적 측면 ○ 기존 내연기관 중심의 동력원에서 수소연료전지 동력원으로 대체하여 미국 Tier, 유럽 Stage 배기가스 규제에 대한 대응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음 ○ E-파워트레인, 수소 트랙터 플랫폼, 구동 모터,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등 수소 트랙터 관련 핵심부품에 대한 기술력을 확보하고 개발함으로써 국내 독자적인 설계 부품 수출 확대... | 친환경,트랙터,파워트레인,수소연료전지,전기구동 | Eco-friendly,Agricultural tractor,Power-train,Hydrogen fuel cell,Electric drive | 100000000 | |
870 | 2021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R&D)(과기정통부,복지부,산업부) | 다부처 | (재단)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 | 1711138592 | (참여2)의료공공복지구현 및 사회문제해결분야 맞춤형 의료기기 평가기술 개발 | 최기원 | 근로복지공단재활공학연구소 | 인천광역시 부평구 | 20200901 | 20221231 | 의과학·의공학 기술 | ■ 장애인 신체 기능 재활관련 안전·성능 표준 조사 분석·평가항목 ■ 고령자 재활 관련 안전·성능 표준 조사 분석·평가항목 도출 ■ 장애인 신체 기능 재활관련 기술문서·평가항목도출·디버깅·시험검사 지원■ 고령자 재활 관련 기술문서·평가항목도출·디버깅·시험검사 지원■ 장애인 신체 기능 재활관련 기술문서·평가항목도출·디버깅·시험검사 지원■ 고령자 재활 관련 기... | ○ 공공복지구현 및 사회문제 해결 분야의 기술의 가이드라인, 안전성·임상 평가기술 가이드라인 마련○ 공공복지구현 및 사회문제 해결 분야의 기술의 안전성 확보○ 공공복지구현 및 사회문제 해결 분야의 허가·심사·유통 관리에 활용 및 의료기기 안전성 확보○ 의료기기 사업화 촉진에 필요한 시스템 및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지속 가능형 정책 모델 로드맵 제시 | 의료기기, 평가, 기술, 임상, 시험 | Medical device, Evaluation, Technology, Clinical, Test | 140000000 | |
372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4489 | 중간엽 줄기세포 치료가 노인성 근감소증을 회복시킬 수 있을까? | Can Sarcopenia be Recovered by Mesenchymal Stem Cell Therapy? | 박철현 | (의) 삼성의료재단 | 서울특별시 종로구 | 20200601 | 20230228 | 난치성 질환 치료기술 | (1) 최종 목표 ○ 근감소증 (Sarcopenia) 모델에서 중간엽 줄기세포 (mesenchymal stem cell, MSC)를 주사하여 위축 및 퇴화 근육의 근육량 및 근기능 회복 (“Recover from sarcopenia”) 여부를 규명하고자 함. (2) 세부 목표 ○ 1차년도: 노인성 근감소증 (Sarcopenia) 모델을 확립하며, 정상... | (1) 기술적 측면 ○ 노인성 근감소증의 효과적인 치료로서 후속 임상 시험을 위한 기초자료 및 치료 적용의 근간이 됨. ○ 노인성 근감소증 뿐 아니라 소아 선천성 근육병증, 뇌졸중 및 척수 질환에서의 근위축 등 다양한 대사성 및 근골격계 질환에서의 해당 치료법의 적용 등으로 확대 및 발전 가능성이 있음. ○ 근감소증 및 만성 근육 및 힘줄 퇴행 질환,... | 중간엽 줄기세포,근감소증,운동,노화 | mesenchymal stem cell,sarcopenia,exercise,aging | 50000000 |
688 | 2021 | 유용농생명자원산업화기술개발(R&D)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3678 | 축산 환경 개선을 위한 유용제제(복합미생물) 개발 및 실증 연구 | Development of microbial odor controlling technology and test-bed requirements | 박진열 | (주)동아하이-택 | 광주광역시 동구 | 20180426 | 20211231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본 연구에서는 축산 악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축산 농가에서 발생하는 주요 악취 물질들의 정략적/정성적 분석, 악취기여도에 대한 표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축산 악취의 제어/저감기술 개발 과제이며, 주요 악취물질들의 정량적/정성적 분석, 축산 악취 제어/저감용 친환경 복합미생물제제 개발 및 현장적용 사용지침서(매뉴얼)를... |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친환경 악취 제어/확산 방지 기술 및 악취 모니터링 센서 등 자동화 기술을 통합한 S-masking 시스템은 냄새 발생에 관련한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지며, 환경개선, 친환경 축산 기반 원천 기술 개발.○ 다양한 축산 환경에 근거한 맞춤형 복합/유용미생물 활용 시스템 구축으로 현실적/실용적 축산 악취 문제 해결형... | 축산악취,악취저감,미생물,복합미생물,매뉴얼 | Odor,Odor treatment,Microorganism,Microbial complex,Manual | 91700000 |
55 | 2022 | 농자재관리및평가 |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 | 1395074597 | 농약직권등록시험(약효·약해)(10공동) | Registration and testing of pesticides in minor crops(10) | 이승열 | 경북대학교농업생명과학대학 | 대구광역시 북구 | 20220225 | 20221231 | 동식물 병해충 제어기술 | ○ 소면적작물 농약직권등록시험 대상 품목 선발 및 소면적작물 우수방제농약 직권등록을 위한 약효.약해시험 자료 제공 | ○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 소면적 재배작물에 대한 농약 등록을 확대하고, 해당 소면적 시험 항목에 대한 약제방제 효과 및 약해 검정을 수행하여, PLS 대비 소면적 작물의 병해에 대해 약제를 선택할 수 있는 안을 제시함.○ 소면적 작물의 병해에 대한 약효,약해 검정시험을 통해 효과를 검정하여 농가에서 사용 가능한 농약을 확대하여, 현장의 애로사항을... | 소면적작물, 농약, 직권등록, 약효약해, 그룹약해 | minor crops, pesticide, registration, effect | 30000000 |
736 | 2021 | 현장수요반영의료기기고도화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140 | 현장수요의료기기 상시협력 연구개발 총괄지원 | RD Support Project Focused on Medical Device Demand in Hospital | 김권기 | (재)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 | 기타 기타 | 20190601 | 20231231 | 의과학·의공학 기술 | o 컨소시움 인프라를 활용한 애로기술지원을 위한 맞춤형 코칭 프로그램 운영o 의료기기 국내외 인허가 맞춤형 정보 및 기술지원o 전기전자·생체재료 안정성·신뢰성 확보 및 임상수행 계획 수립 지원o R&D 제품의 보험등재 컨설팅 등 신속한 시장진출 관련 지원o 병원기업 교류 활성화를 통한 의료기기 사용성 고도화 및 국내외 판로 확보 지원o 의료기기 연구개발 역... | [기대효과]o 총괄지원과제 참여기관별 제공하는 전주기 통합지원프로그램 활용을 통한 인허가 획득 및 보험등재 비용 등 예산 절감o 관련 의료기기산업 발전과 활성화로 인한 신규 일자리 창출 및 확대 기여o 국산 의료기기 품질 고도화를 통한 수입대체 효과 기대o 국산 의료기기 품질 고도화를 통한 수출 확대로 국가적 위상 제고o 개발제품의 사업화를 통한 국민의 건... | 의료기기규격,임상평가,인허가지원,사업화지원,해외시장진출 | Medical Device Standard,Clinical evaluation,Medical Device regulatory,commercialization,Overseas market support | 517730000 |
669 | 2021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R&D)(과기정통부,복지부,산업부) | 다부처 | (재단)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 | 1711139078 | (참여2)신개념 자성입자를 이용한 다중 면역진단 시스템의 외상성 뇌손상 진단의 임상적 유용성 평가 및 인허가 | 송상훈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서울특별시 종로구 | 20210401 | 20231231 | 의과학·의공학 기술 | 2가지 이상의 외상성 뇌손상 (Traumatic Brain Injury, TBI) 혈액 마커 및 자성입자를 이용한 다중 면역진단시스템을 사용하여 검출한계 10 pg/ml 이하, 진단정확성 90% (민감도 90% 이상, 특이도 95%이상) 이상의 POCT TBI진단 허가용 임상실험 및 CE 인증 완료 | ● 과학ㆍ기술적 측면o GFAP와 UCH-L1 등의 TBI 진단 마커는 TBI 뿐 아니라 뇌에 관련된 질환 (뇌출혈, 치매 등)에도 쓰일 수 있다는 연구가 많이 보고되어 있어 TBI-VEUS system은 TBI 이외에 뇌출혈, 치매 등의 질환에도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됨o TBI 마커는 대부분 검출한계농도가 수십~수백 pg/ml 사이에 존재하지만, ... | 외상성뇌손상, 현장검사, 다중면역진단, 자성입자, 체외진단 | Traumatic Brain Injury, Point of CareTesting technology, Multiplexed immunoassay, Magnetic particles, In vitro Diagnostics Device | 100000000 | |
571 | 2021 | 농자재관리및평가(R&D) |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 | 1395069871 | 농약직권등록사업(약효·약해) 및 그룹약효 기준안 설정(5공동) | Registration and testing of pesticides in minor crops(5) | 최소라 |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전라북도 익산시 | 20210101 | 20211231 | 동식물 병해충 제어기술 | 소면적 재배작물에 발생하는 병해의 방제약제 등록을 통해 안전농산물 생산기반 확보를 위한 취나물 흰가루병 등 4종 병해충에 대한 방제약제 등록 | 취나물 흰가루병, 고추 총채벌레, 라벤다 총채벌레에 대한 우수약제 선발로 농가 애로사항 해결 및 안전한 농산물 생산 | 소면적작물, 농약, 직권등록, 약효, 약해 | minor crops, pesticide, registrartion, effect | 58000000 |
331 | 2022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70677 | (공동5) 경혈 자극·진단 원천기술 기반 ICT 접목 침치료 융합시스템 개발 | (CO-5) Development of ICT-based convergence system for acupuncture treatment based on original technology for acupoints stimulation and diagnosis | 문영민 | (재)포항산업과학연구원 | 경상북도 | 20220401 | 20261231 | 의과학·의공학 기술 | ● 경혈 자극·진단 기술의 융합과 빅데이터 수집·분석을 위한 ICT 기반 스마트 헬스케어 통합 시스템 개발- 마이크로컨트롤러(MCU) 기반의 저원가·고확장성을 가진 범용성이 높은 *융합 자극 기기 개발 * 융합 자극 : 마이크로니들, 레이저, 전기, 진동- 융합 자극기기 및 다수의 진단 장비들로부터 실시간 임상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이 가능한 ICT 기반의... | ● 활용방안- 다양한 경혈 자극·진단이 가능한 통합 시스템 개발을 통해, 생체조절 융합원천 기술 확보를 위한 동물 및 임상실험에 활용- 분산 메시징 기반의 빅데이터 서버 개발을 통해, 다양한 자극·진단 장비로부터의 임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하는데 활용- 선택적으로 다양한 융합 자극·진단이 가능하여, 빅데이터 기반의 최적화된 개인 맞춤형 치료에 활용... | 의료기기, 빅데이터, 증강현실, 정보통신기술, 경혈 자극, 광 치료, 전기 치료, 융합 기술 | Medical Device, BigData, Augmented Reality A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cupoint Simulation, Phototherapy, Electrotherapy, Converging Technology | 290000000 |
70 | 2022 | 미세플라스틱 측정 및 위해성평가 기술개발사업 | 환경부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1485018711 | 방사성동위원소 이용 미세플라스틱의 체내 거동 평가기술 개발 | Study of in vivo absorption, distribution, and excretion of microplastics using radioisotopes | 이일중 | 한국원자력의학원 | 기타 기타 | 20200619 | 20241231 | 환경 생명공학기술 | ● 방사성 동위원소 표지기술을 이용하여 미세플라스틱의 성분, 성상, 크기 및 체내 노출 방법에 따른 핵의학 분자영상 획득 및 체내 거동 (축적, 분포, 배출 등)을 평가하고 C-14을 이용한 장기간 체내 거동평가기술을 개발함. | ㅇ 미세플라스틱 장, 단 반감기 방사성동위원소 표지기술 개발ㅇ 성분, 성상, 크기별 미세플라스틱 방사성동위원소 표지 및 분리, 정제기술 개발 ㅇ 방사성동위원소 표지 미세플라스틱의 흡입을 포함한 노출경로에 따른 체내 거동평가(분포, 배설) 기술 개발 ㅇ AMS 기반 미세플라스틱 체내 장기간 거동 추적기술 개발 | 미세플라스틱, 방사성동위원소, 핵의학영상, 초감도가속질량분석기, 체내거동평가 | Microplastics, Radioisotope, Nuclear medicine imaging, Accelerator Mass Spectrometer, ADME | 250000000 |
95 | 2022 | 농자재관리및평가 |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 | 1395074640 | 농약직권등록시험(약효·약해)(7공동) | Registration and testing of pesticides in minor crops(7) | 이정민 |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20220225 | 20221231 | 동식물 병해충 제어기술 | 소면적 작물 쑥부쟁이, 용과에 발생하는 병해충(시들음병, 총채벌레, 볼록총채벌레)의 농약등록을 통한 안전농산물 생산기반확보 | ○ 소면적 작물 농약등록으로 농업인의 농약선택 확대로 농업현장 애로 해결○ 소면적 작물 농약등록을 통한 안전농산물 생산기반확보○ 수출 농산물의 안전사용지침 제공으로 안전농산물 수출 확대 | 소면적작물, 농약, 직권등록, 약효약해, 그룹약해 | minor crops, pesticide, registration, effect | 45000000 |
131 | 2021 | 스마트팜다부처패키지혁신기술개발(R&D)(과기정통부,농식품부,농진청) | 다부처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4675 | 북방형 스마트 온실과 경축순환형 스마트팜 모델의 해외실증 및 최적화 | Development of Northern-Type Smart Farm Package Model for Export | 이경수 | (주)이수화학 | 기타 기타 | 20210407 | 20241231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북방(북한, 북중국, 몽골, 연해주 등)의 극한 지역에 수출 가능한 북방형 스마트 온실 구축 및 경축순환형 스마트팜 패키지 모델의 실증을 통해, 북방 지역 맞춤형 온실 수출에 기여 | - 기후변화 대응기술과 스마트온실을 이용한 기후 변화 대응기술 관련 원천기술 현장 보급 확대 및 글로벌 수출 경쟁력 확보 - 4차 산업혁명 기술과 시설재배기술의 융복합을 통한 지능형 통합환경제어시스템 개발로 비닐하우스 중심 스마트팜 선도모델 개발 - 시설원예의 새로운 가치 창출을 통한 농업생산의 고부가가치 창출과 지속 가능성 확보 - 기후변화로 인한 농업 ... | 북방지역,스마트팜,패키지모델,일광온실,스마트온실 | North Korea(Northern Asia),Smart Farm,Package Model,Passive Solar Greenhouse,Smart Greenhouse | 142900000 |
385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3408 | 균혈증 환자의 혈액배양에서 분리된 그람음성 균주의 분자역학과 새로운 내성 관련 인자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f molecular epidemiology and noble antimicrobial resistant factors of gram-negative strains isolated from blood cultures of bacteremia patients | 김현진 | 충남대학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301 | 20240229 | 기타 보건의료 관련 응용기술 | [연구의 최종목표]균혈증의 원인이 되는 그람음성균의 분자역학적 특성과 내성 관련 인자를 조사함으로써, 그람음성균에 의한 균혈증 치료 전략에 도움을 주는 진단법 개발과 이들의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항생제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세부 연구 목표 및 내용]- 균혈증 환자의 혈액배양 검체에서 분리된 다양한 그람음성균주를 수집한다. - 각 균주를 동... | - 본 연구를 통해 균혈증 환자의 혈액배양 검체에서 분리된 그람 음성 원인균들의 분자역학적 특성 및 내성 관련 인자들을 파악하여 관련된 학문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분자역학으로 확인한 병원성이 강한 유전형 및 내성 관련 인자를 표적으로 한 분자적 진단기법을 개발하는 데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내성균 및 강한 병원성을 가지는 균을 빠르게 검출할 수... | 균혈증,그람 음성균,분자역학,항생제 내성 관련 인자,차세대염기서열 분석 | Bacteremia,Gram negative bacteria,Molecular Epidemiology,Antimicrobial resistant factor,Next generation sequencing | 31344000 |
720 | 2021 | 가축질병대응기술개발(R&D)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3300 | 구제역 백신의 돼지 출하 일령 항체수준 모니터링 연구 | 최성현 | (사)대한한돈협회 | 서울특별시 서초구 | 20200429 | 20211231 | 동식물 병해충 제어기술 | 구제역 상시백신 접종 후 출하일령까지의 백신 항체가 수준과 지속여부를 평가함으로써 농식품부의 현행 기준을 검토하고 구제역 백신접종 관리 개선방안을 도출하며 상시백신 접종 상황에서 백신항체 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농가 교육콘텐츠 개발 | 1) 현행 구제역 혈청 모니터링 체계 평가서2) 구제역 상시백신 접종 후 항체양성률 지속성 조사 결과서3) 표본농가 대상 구제역 상시백신 접종 후 ELISA 역가와 중화항체를 이용한 역가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서4) 구제역 상시백신 접종 후 모니터링 방안 개선(안)5) 실감형 구제역 상시백신 접종방법 교육콘텐츠 | 구제역,구제역 백신,항체가,중화항체가,ELISA | Foot-and-mouth disease,FMD vaccine,Antibody titer,Neutralizing antibody titer,ELISA | 95000000 | |
950 | 2021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R&D)(과기정통부,복지부,산업부) | 다부처 | (재단)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 | 1711139082 | (참여3)국산 착용형 보행재활 로봇(엔젤렉스)의 아세안 진출을 위한 CE 및 말레이지아 허가용 임상시험 | 장원혁 | 삼성서울병원 | 서울특별시 종로구 | 20210401 | 20231231 | 의과학·의공학 기술 | 최종목표 : 국산 착용형 보행재활 로봇(엔젤렉스)의 아세안 진출을 위한 CE인증 및 말레이시아 허가용 임상시험- 본 과제를 통해 임상 유효성을 확보하여 CE인증 및 말레이시아 인증을 획득하고 ASEAN 연합국가를 시작으로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에 진출 하고자 함 | 1) 보건의료적 측면-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 대상으로 국내에서 개발한 Angel Legs M10 하지재활로봇을 이용한 로봇 보행 치료를 다기관, 무작위-대조군 연구로 진행하여 논문 근거를 생성함-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 보행 치료 시작 전의 보행수준별로 효과를 비교·분석하여 뇌졸중 환자에게 로봇 보행 치료를 적용할 때 적응증을 제시할 수 있음- 아급성기 뇌졸... | 품목허가, 임상연구, 보행재활로봇, 뇌졸중재활 | Item Authorization, Clinical Research, Walking Assistance Robot, Stroke Rehabilitation | 50000000 | |
744 | 2021 | 한의약혁신기술개발(R&D)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4410 | 난소기능 증진 효능 평가 기반의 저반응성 난소 여성 난임에 대한 최적의 한약치료제 개발 | Development of an optimal herbal medicine treatment for infertility with poor ovarian response based on efficacy of improvement of ovarian function | 주보선 | 재단법인 한국공공정자은행연구원 | 부산광역시 서구 | 20210701 | 20231231 | 한방응용기술 | 현재 한방 난임 치료에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한약 제재에 대한 난소기능 증진 효능 평가와 과학적 기전 규명을 통해 난임 분야의 대표적 임상적 미충족 수요인 저반응성 난소 여성 난임에 대한 한약 치료제 개발을 위한 IND 신청을 목표로 함 | 1.난소기능 증진 효능의 한약 제재 발굴과 과학적 기전 이해2. 난임 치료에서 임상적 유효성이 인정되는 한의이론 및 치료법의 과학적 근거 제공 통한 한방 난임 치료의 표준 기술 개발3. 난소기능 유효성 평가 플랫폼 개발4. 난소예비력 및 난소노화를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바이오마커 개발 5. 한방·양방 난임 치료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한·양방 융합 난임... | 난임,한약제제,난소노화,난소기능,난자질 | Infertility,Korean medical herbal drug,Ovarian aging,Ovarian function,Oocyte quality | 60000000 |
888 | 2021 | 방역연계범부처감염병R&D사업(R&D)(복지부,과기정통부,농식품부,식약처,환경부,행안부,산업부) | 다부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3596 | Class 6 Pass 수준의 감염성 생물체 저항성을 보유한 보호복 원단 가공 및 분석 | Fabrication and Analysis of Protective Clothing Fabric with Class 6 Pass-level Infectious Biological Resistance | 이진웅 | (재)한국섬유스마트공정연구원 | 충청남도 공주시 | 20190430 | 20211231 | 기타 보건의료 관련 응용기술 | 본 기술개발은 통기성과 방수기능을 갖는 Polyethylene 재질의 통기성 필름과 강도가 우수한 Polypropylene 재질의 부직포를 통기성을 보유한 PU 접착제를 사용해 합지하여 소재를 개발하고, 한국인의 신체 및 환경 특성을 반영한 보호복 디자인을 개발하여 감염현장에서의 바이러스/혈액 등의 유해환경 인자의 2차 오염 및 감염으로부터의 대형사고를 예... | ○ 기술적 측면 - 기존 생물체 저항성 보호복에 비하여 통기성이 확보되면서 바이러스/혈액 차단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항균 및 소취 등의 기능성도 포함하고 있어 보호복 시장 뿐만 아니라 산업의 제품에 광범위한 응용이 가능하여 다양한 생활용 및 산업용 제품분야에 적용이 가능함.○ 경제적산업적 측면 - Virus/혈액 차단 원단 기술을 적용한... | 바이러스 혈액 차단,보호복,통기성 | virus blood blocking,Protective Clothing Fabric,breathable | 85000000 |
53 | 2022 | 스마트식품안전관리 | 식품의약품안전처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1475013213 |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스마트 제품화 지원 연구(3) | Research on support for smart commercialization of health functional ingredients | 배민정 |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 전라북도 익산시 | 20220201 | 20281231 | 식품생명공학기술 | [최종연구목표] [인력양성] 전문 기술 상담 인력(기술지도사(가칭)) 양성[1단계 목표] [인력양성] 기능성원료 연구·개발 설계 전문가(기술지도사((가칭))양성을 위한 온·오프라인 교육 프로그램/시스템 개발 [2단계 목표] [인력양성] 건강기능식품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고도화[3단계 목표] [인력양성] 온라인 교육(e-learning... | [기대성과] 범부처 통합적 기능성식품 정보·연구지원을 도모함으로 관련 과학기술의 수준을 표준화하여 해당 산업체의 효율적 과학기술 활용이 가능 기능성원료 개별인정 담당자 관점의 평가기술 개발·교육을 통해 전문인력 양성 및 고용을 통한 기능성식품 산업의 과학기술 성장에 기여 기존의 건강기능식품 전문가 교육과는 차별화된 정부 주도적 스마트 솔루션 제공 인력... | 기능성성분, 평가 기술, 솔루션, 표준화, 기능성성분 | Functional raw material, Evalustion , Solution , Standardization, Functional ingredients | 72000000 |
303 | 2021 | 다부처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R&D) | 환경부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1485018022 | 담수 생물소재의 오믹스 빅데이터 확보 | Omics-Based Big Data Collection from Freshwater Bioresources | 유정남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 경상북도 상주시 | 20210401 | 20251231 | 환경 생명공학기술 |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담수생물자원은행 연계 사용자 수요 기반의 담수생물 바이오소재 활용 전문분석(오믹스) 인프라 구축 - 담수생물 소재별 전문분석(오믹스) 정보 확보 및 DB구축(오믹스 정보 8개 항목) | ○ 국내 야생담수생물자원의 데이터 기반연구 활성화로 생물다양성 인식 제고 및 국가생물자원에 대한 생물주권 강화 ○ 담수생물자원 빅데이터 구축 및 공공정보 개방을 통한 연구 인프라 조성○ 고차원적인 유전체 해독을 통한 담수생물의 고기능성 소재 개발 지원○ 담수생물자원의 유전체 선점을 통한 바이오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 | 유전체, 유전자마커, 단백체, 대사체 | Genome, Genetic marker, Proteomics, Metabolome | 1225000000 |
829 | 2021 | 목재자원의고부가가치첨단화기술개발(R&D) | 산림청 | 한국임업진흥원 | 1405004696 | 목공치유 개념정립 및 프로그램 개발 | Conceptualization and Program Development of Woodworking Therapy | 최돈하 | 목재문화진흥회 | 서울특별시 금천구 | 20200401 | 20221231 | 뇌신경과학 연구 | 목공활동의 효과성 평가를 위한 프로그램 설계 및 적용-치매환자를 중심으로 한 목공치유프로그램 개발-목공활동의 효과성 규명을 위한 적용 : 강사훈련, 대상확정, 운영 등 | 목공활동 치유효과의 정량화를 위한 과학적 평가기법 개발과 개발 프로그램의 보급으로 목공 관련 산업 활성화에 기여 - 국산목재를 이용한 치유용 교구 제작 등 지역 중심의 목공방 활성화 목공 활동의 치유분야 활성화를 통해 새로운 일자리 창출 (목공치유지도) - 치매환자 치유 관련 분야에 대한 신규 일자리 수요 및 관련 분야 산업 기여 - 목공체험과 교육 ... | 목공, 치유, 프로그램, 정량화, 치매 | woodworking, therapy, program, quantification,Alzheimers disease | 170000000 |
132 | 2021 | 스마트팜다부처패키지혁신기술개발(R&D)(과기정통부,농식품부,농진청) | 다부처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4704 | 스마트팜 통합운영 및 제어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Northern-Type Smart Farm Package Model for Export | 김재영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기타 기타 | 20210407 | 20241231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 육성우 전문목장 특화 ICT 기반 동물복지 강화 스트레스 및 냄새 저감 시스템 개발- 육성우 전문목장 동물복지 강화 및 친환경 ICT 융합 시스템 구축- 관행사양 대비 육성우 질병 발병율 20% 저감- 생산성 20% 향상- 노동력 20% 절감- 사양 환경 (냄새 저감) 20% 개선 | - IoT, 빅데이터, 인공지능, 로봇 등 4차 산업혁명 기술과 시설재배기술의 융복합을 통한 지능형 통합환경제어시스템 개발로 스마트팜 선도모델 개발 - 기후변화 대응기술과 스마트온실을 이용한 기후변화 대응기술 관련 원천기술 현장 보급확대 및 글로벌 수출 경쟁력 확보 - 북방지역 지대별 스마트팜에 적용 가능한 작물별 재배기술 매뉴얼 구축 - 북방형 온실 내 ... | 북방지역,스마트팜,패키지 모델,일광온실,스마트온실 | North Korea,smart farm,package model,passive solar greenhouse,smart greenhouse | 300000000 |
440 | 2021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5456 | 허혈 후 신장내 면역학적 미세 환경 변화 조절 인자 규명 및 허혈성 급성 신손상의 새로운 특이 치료제로서 PARP 저해제에 관한 연구 | Modifying factors of intrarenal immunologic micromilieu in postischemic kidneys &PARP inhibitor as an innovative treatment for ischemic acute kidney injury | 허우성 | 삼성서울병원 | 서울특별시 강남구 | 20170601 | 20220531 | 기타 보건의료 관련 응용기술 | ○ 허혈성 급성 신손상에서 시기별로 변화하는 허혈후 신장 (postischemic kidney) 내부 면역학적 미세환경의 역동적인 변화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각각의 면역학적 요소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신손상 진행 기전 연구○ 허혈후 신장의 면역학적 미세환경 (immunologic micromilieu) 변화와 연관된 조절 인자를 분석하고, 조절 인자로서 ... | ○ 허혈성 급성 신손상의 면역학적 기전에 관한 기존의 여러 연구는 초기 신손상기와 후기 회복기에 몇몇 특정 면역학적 요소에만 초점을 맞추어 신손상 또는 회복 기전을 밝히고자 하였지만, 이러한 기존의 보고만으로는 허혈후 신장 내부에서 발생하는 역동적인 면역학적 미세환경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없으므로, 신장 내부 조직에서 염증성 또는 항염증성 면역학적... | 허혈성 급성 신손상,허혈-재관류 신손상,염증 반응,면역 체계,조절 인자,PARP,PARP 저해제,신섬유화 | Ischemic acute kidney injury, renal ischemia-reperfusion injury,inflammatory response,immune system,modifying factor,PARP,PARP inhibitor,renal fibrosis | 50000000 |
401 | 2022 | 바이오산업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568 | 바이오의약품 신규제형 기반 개량의약 제품화 기술개발 지원 | Supporting the commercialization technology and development of biopharmaceutical Incrementally Modified Drug based new formulation | 엄승인 | 한국제약바이오협회 | 서울특별시 서초구 | 20200401 | 20241231 | 바이오신약 개발기술 | o 자문위원회 /총괄·실무 위원회 운영 o 신규제형 기반 개량의약제품화 시장 분석·로드맵 도출용 보고서 자료 조사 및 보고서 작성 o 기술교류와 성과확산을 위한 워크샵/세미나 개최 및 지원 o 컨설팅·기타 정보제공 , 연구개발 홍보 활동 | - 국내 바이오의약품 제조·생산 현황은18년 2조6,100억원을 생산하고 연평균 11.6% 증가하고 있음. 수출실적은 연평균 29%로 급격히 증가 18년기준 1조 7천억원을 달성하였음. 이러한 국내 수요와 공급 기술의 가시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정부 R&D 지원 효과를 높이고 중소중견 기업 기술의 활용 활성화- 제조기반 신제형기술 개발 및 제품화, 사업화... | 바이오의약품,개량의약,제형제제기술,제품화,경피약물 | Biologics,IMD,Fomulation,Commercial,Transdermal | 100000000 |
314 | 2021 | 안전규제요소·융합기술개발(R&D) | 원자력안전위원회 | (재단)한국원자력안전재단 | 1075001155 | 방사선 노출 후 단백질체 분석법을 이용한 정량적 생체 선량측정 진단법 개발 | Development of Diagnostic method for quantitative dose of radiation exposure using analyzing proteomics | 이상욱 | 서울아산병원 | 서울특별시 송파구 | 20190401 | 20211231 | 단백질체 연구 | 방사선 종사자[비파괴 회사종사자 포함]·일반인의 선량평가 및 안전규제관리를 위한 단백질체(proteomics)―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적 융합기술을 이용한 정량적 생체 노출선량 측정 진단법을 개발하여 실용화 하고자 함○ 연구개발 I : 방사선 노출 시 생체 방사선 노출선량 측정법 개발○ 연구개발 II : 방사선 노출 시 생체 방사선 노출선량... | ○ 방사선안전규제 활용성: 개발 될 Biodosimetry 패널(panel)의 활용은 원자력안전법 시행규칙 제10장 규제·감독 등에서 제120조 측정 장소 및 측정대상, 제121조 건강진단, 제122조 피폭방사선량 평가 및 관리조항에 대한 철저한 안전규제에 이바지 할 것임: 분기별 측정/12개월간 외부피폭 선량평가인 개인선량계 계측의 단점을 보완 할 수 있... | 생체 방사선노출선량 측정 ,패널,생물 표지자,알고리즘,생물정보학 | biodosimetry,panel,biomarker,algorithm,bioinformatics | 175000000 |
610 | 2021 | 의료기기등안전관리(R&D) | 식품의약품안전처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1475012194 | 체외진단 의료기기 표준품의 안정성 평가 연구(1) | a | 차영주 | 자원과이노베이션 협동조합 | 서울특별시 강남구 | 20210201 | 20231231 | 기타 보건의료 관련 응용기술 | ○ 당해연도 체외진단 의료기기 표준품의 품목별 안정성 평가 수행○ 당해연도 및 기존 시험결과 통계자료 분석을 통한 연도별 안정성 추이 분석 및 통계분석 방법 제시○ 신종감염병 등 신개발 제품의 성능평가 및 기허가 제품의 품질관리에 필요한 신규 표준품 품목을 조사하고 제조가능성 및 당위성 등을 분석하여 제조 필요 품목을 도출하여 제안○ 체외진단의료기기 표준품... | ○ 당해연도 체외진단의료기기 표준품 안정성시험 결과 보고(매년)○ 체외진단의료기기 표준품 제조 필요품목 수요조사 및 제안(`21)○ 체외진단의료기기 표준품 정보집 제안(`22)○ 체외진단의료기기 표준품 안정성시험 지침 제안(`23) | 표준품, 체외진단의료기기, 품질관리, 감염병, 바이러스 | Reference Standard, In vitro diagnostic medical device, Quality Control, Infectious disease, Virus | 150000000 |
902 | 2021 | 첨단의료기술개발(R&D)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3216 | 신장의 허혈-재관류 손상으로 인한 급성신손상을 막기 위한 저산소전처치 동종 골수유래 중간엽줄기세포 주입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공개, 단일기관, 제 1상 임상시험 | An open, single-center, phase 1 study to evaluate safety of hypoxic preconditioned allogeneic bone marrow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aiming to prevent acute kidney injury due to renal ischemia-repe... | 김청수 | 서울아산병원 | 서울특별시 송파구 | 20181001 | 20210630 | 생체조직 재생기술 | 최종 목표일시적으로 신장의 혈류를 차단하고 신장 종양에 대해 부분신절제술을 시행받는 환자 중 술 후 급성신손상 위험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저산소전처치 동종 골수유래 중간엽줄기세포 치료제의 안전성 및 잠재적 유효성을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후속 임상시험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함.세부 목표 - 급성신손상을 막기 위한 줄기세포 치료제 1상 임상시험- 후속 임상... | 후속 임상시험으로 연계 -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무작위대조 2상 임상시험 승인을 위한 근거로 활용 - 2상 임상시험의 프로토콜을 확립하는데 중요한 기반 자료로 활용기능강화 줄기세포 연구의 확대 - 동종유래 줄기세포 치료제, 사람 혈소판 용해물을 이용한 배양 및 저산소 조건의 유도와 같은 다양한 기능강화 줄기세포의 치료제의 안전성 및 유효성 결과는... | 허혈 재관류,급성신손상,동종 중간엽줄기세포,임상 시험,저산소전처치 | Ischemia reperfusion injury,Acute kidney injury,Allogeneic mesenchymal stem cell,Clinical trial,Hypoxic preconditioning | 100000000 |
755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5867 | 매실 유래 Novel compound, FA-1의 피부내 Aldehydes dehydrase 2 (ALDH2)발현을 통한 미세먼지로부터 피부 보호 효능에 관한 연구 | Skin protective effect of FA-1 from Prunus mume through its induction of aldehydes dehydrase 2 espression | 이지혁 |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 인천광역시 남동구 | 20200601 | 20221231 | 기능성 바이오소재 기반기술 | ○ 최종 목표: 매실 유래 FA-1에 의한 ALDH2 발현 기전 규명 및 ALDH2 발현이 미세먼지에 대한 피부보호 기전 규명 | 미세먼지 표준 추출물 및 FA-1 대량 확보:미세먼지 내에는 다양한 유해성분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의 독성 메커니즘이 달라 효능 평가 수행에 있어 어려움이 많음(포집시기 및 장소에 따라 함량 및 종류들이 매우 다름). 따라서, 이들 성분에 대한 유해성분을 표준화 하고 표준 추출물을 정립함으로서 명확한 독성 평가 수행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FA-1의... | 매실,알데하이드 데하이드로레이즈 2,미세먼지,피부 보호 효능 | Prunus mume,Aldehydes dehydrase 2 ,Particulate matter ,Skin protective effect | 50000000 |
749 | 2021 | 피부과학응용소재선도기술개발(R&D)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3770 | 코스메틱 R&D 코디네이팅 센터 | National Coordinating Center for Cosmetics R&D | 황재성 | (재)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 경기도 오산시 | 20200101 | 20221231 | 기능성 바이오소재 기반기술 | 사업의 성과 확산 및 전략적 화장품 연구개발 확산을 위한 기획 및 연구협력 활성화 지원기존 성과를 활용한 후속연구 및 사업화 촉진 지원정부·민간 R&D 지원을 위해 글로벌 화장품 기술 동향 파악 및 정보 제공정부·민간 R&D 사업의 유기적 협력 및 연계 지원사업 참여기관의 기술 사업화수출 관련 컨설팅 지원분야별 과제 선정으로 해소되지 않는 화장품... | 기존 성과를 활용한 후속연구 및 사업화 촉진글로벌 화장품 기술 동향 파악 및 정보 제공으로 정부·민간 R&D 지원정부·민간 R&D 사업의 유기적 협력 및 연계 활성화사업 참여기관의 기술 사업화수출 촉진미충족 화장품 기술 수요 충족 | R&D 기획,기술 파급,연구 네트워크,R&D 협력,R&D 정보제공 | R&D planning,technology spillover,research network,R&D Cooperation,provision of R&D information | 400000000 |
2 | 2022 | 바이오산업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81029 | 지불자 확대를 위한 융합데이터 활용 디지털 헬스케어서비스 개발 및 실증 지원 | The demonstration and development of Healthcare Services with convergence data for expansion of payers in market of korea | 배민철 | 사단법인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 | 서울특별시 강남구 | 20220401 | 20251231 | 기타 보건의료 관련 응용기술 | ㅇ 수행기관 역량강화 - 데이터 활용 방안 및 비즈니스 사례 교육 - 찾아가는 컨설팅 기술개발 - 온라인 애로지원단 연계 및 운영ㅇ 1~2세부 사업별 수집데이터 사전 수요조사 ㅇ 성과확산을 위한 협력 지원 - 총괄협의체 및 미니협의체 구성 및 운영 - 최신 트랜드 및 기술전문세미나 계획안 수립 및 개최 - 수행기관 홍보 기획 수립 | [과학/기술적 측면] o 데이터 기반 건강관리서비스 효율화 - 데이터 기반 건강관리서비스 자동화 인프라 구현과 이를 통한 효율성 증대 -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 기반으로 다양한 데이터 등을 분석하여 건강상태를 스스로 체크할 수 있도록 지원 - 코로나19 등 사회적 환경 변화로 인한 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통합관리 시스템 제공 및 지원 ... | 디지털헬스케어,산업환경,생체신호 측정기기,건강관리서비스 실증,공통 프로세스 | Digital Healthcare,Industrial Environment,Biosignal Measuring Device,Effectiveness Validation of Services,Common Process | 50000000 |
671 | 2021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R&D)(과기정통부,복지부,산업부) | 다부처 | (재단)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 | 1711139088 | (주관)인공지능과 전동화기술 기반 소화기관용 고성능 스마트 연성 전자내시경 시스템 개발 및 상용화 | 이치원 | (주)메디인테크 | 서울특별시 종로구 | 20210401 | 20251231 | 의과학·의공학 기술 | - 내시경 시술 시 의료진의 편의성 및 정확도, 환자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 초소형 광학계, 초소형 LED 광원, 이미지 프로세서 기반의 세계 최고 수준의 화질을 구현하고, 이와 더불어 전동화 기술과 이를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을 통해 소화기관용 고성능 스마트 연성 전자 내시경 시스템 개발 및 상용화를 목표로 함.- 성공적인 제품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해서 서울... | ○ 기술적 측면1. 검진용 연성 내시경 핵심 기술 확보- 본 과제를 통한 결과물은 화질 (FHD급), 사용성(상하좌우각도, 직관적 조작, 기계적 기동성 및 유연성), 안전성(임상평가) 등 기술적/임상의학적 측면에서 기존 검진용 연성 내시경 보다 기술 우위2. 차세대 내시경의 핵심 기술 확보- 검진용 연성 내시경 핵심 기술에 초소형 광학계 및 초소형 LED ... | 연성 소화기 내시경, 전동화, 인공지능, 초소형 LED 광원, 초소형 광학계 | Gastrointestinal Endoscopy, Motoriz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LED on the tip, Micro Optical System | 439857000 | |
450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72013 | 다중 아형 심근세포를 이용한 장기 유사성이 향상된 체외 심근 허혈·재관류 손상모델 개발 | Development of an in vitro myocardi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model with improved organ similarity using multiple subtype cardiomyocytes | 전령훈 |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 대구광역시 | 20220601 | 20250228 | 바이오칩 개발기술 | 본 연구는 심근세포의 해부생리학적 특성에 따라 구분하여 체외 심근세포 검사법을 구축하고, 이 검사법을 기반으로 장기유사성이 향상된 체외 심근 허혈·재관류 손상모델 개발을 목표로 함.1차년도 목표는 다양한 하위 심근세포가 적용된 체외 심장 모델 개발이며, 이를 위해 높은 생존율과 품질의 심근세포 분리법 선정, 해부생리적 기원에 따른 심근세포 확보 및 다종 아... | 1) 연구과제의 활용방안- 본 연구에서 개발될 다종 아형 심근세포 심근손상모델은 실제 심장과 해부생리적으로 유사성이 높은 환경을 재현하여, 심장의 각 부위에 대한 특이성을 높여주는것과 동시에 심장전반에 대한 예측성을 향상시켜, 기본적인 심장 기능연구부터 신약개발 스크리닝, 심독성 평가, 심장질환의 발생기전과 치료법 개발 등 심장 분야 전반에 걸쳐 활용될 것... | 심근허혈,재관류 손상,다종 아형 심근세포,체외심근모델,질환모델동물,장기 유사성 | Myocardial ischemia,Reperfusion injury,multiple subtype cardiomyocytes,in vitro cardiac tissue model,Animal disease model,organ-similarity | 40284000 |
627 | 2021 | 농업실용화기술R&D지원(R&D) |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 | 1395071634 | 온실 내부 균일난방과 난방기 효율증대 20% 증가를 위한 그린패키지 덕트개발(1주관) | Green package duct development for uniform heating inside greenhouse and 25% increase of heater efficiency(1) | 손정환 | 농업회사법인유한회사바우어에너지 | 경상남도 진주시 | 20210201 | 20211130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스마트 농업 적용 시, 에너지절감과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해서 기존 난방기와 덕트는 발생 열량이 균일하지 못하고, 난방기 사용 대비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해 분배식 냉온풍 다단덕트와 온실 측면 공기막반달덕트 개발. 개선 방향으로 난방기 가동 횟수를 줄이고 에너지효율 증대. 하우스 내에 균일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공기의 흐름 편차를... | 이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선행 연구로써 덕트 연구개발 과정에서 필요한 기술에 대한 다양한 정보 수집과 연구 자료 검토를 마쳤으며,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실제 제품을 제작하여 성능시험을 마치고, 제품 출시하여 상용화하고자 함.새로 개발되는 덕트는 난방균일성, 에너지효율 측면에서 기술의 한계점을 보완한 제품으로 온실 내 균일난방과 난방기 사용횟수 감... | 균일난방, 측면덕트, 열에너지 효율성, 저탄소, 다단덕트 | Uniform heat, Side duct, Heat energy efficiency, Low-carbon, Multi duct | 65700000 |
판매제공처 홈페이지 | www.hellodd.com | 라이선스 |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
---|---|---|---|
판매 담당자 | 대덕넷 | 권한 | Copyright 2020 ⓒ HelloDD All Right Reserved. |
연락처 | 070-4171-3524 | 접근 권한 | public |
이메일 | sungmin8497@hellodd.com | 상품 구분 | dataset |
품질측정 검사 | 품질측정기간 | ~ | |
---|---|---|---|
품질측정기관 | 대덕넷 | 품질측정연락정보 | 0428615005 |
품질측정결과 | 품질측정내용 |
현재 준비중입니다.
10047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황금1로 122,김포제조융합혁신센터 3층 한국산업기술시험원 ㅣ 사업자번호 : 113-82-06228 ㅣ 대표자명 : 김세종 ㅣ TEL: 02-860-1059 ㅣ E-mail: bigdata.dx@ktl.re.kr
Copyright ⓒ 2021 KOREA ENTERPRISE DAT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