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협의 상품 및 유료상품의 구매를 원하실 경우 맞춤형 데이터 신청란에 글을 남겨주시면
신속히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데이터셋명 | BT분야대기업별과제데이터 | 데이터 유형 | csv |
---|---|---|---|
데이터 분야 | 과학기술 | 구축 데이터량 | 232.00 KB |
구축기관 | 대덕넷 | 데이터 갱신 일자 | 2022-11-10 |
데이터 개방 일자 | 2022-11-10 | 데이터 이용 기한 | 무기한 |
데이터 갱신 주기 | - | 버전 | - |
주요 키워드 | BT, 바이오, 정부과제, 대기업, 데이터 | ||
벨류체인 키워드 | 기술획득 | ||
소개 | 과학기술 BT(Biotechnology) 분야 대기업별 정부 R&D 과제 데이터입니다. |
국내 BT 분야 대기업별 과제 데이터 상품설명서
□ 상품설명
○ 국내 BT 분야 대기업별 과제 데이터 상품은?
· 2021년~2022년 기준 국내 BT 분야 대기업별 과제 데이터입니다. 국내 대기업에서 진행한 BT 분야 과제의 세부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BT 기술인 바이오 분야는 인간의 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많은 질병에 노출되어 20세기부터 유망하는 산업 분야입니다. 생체나 생체유래물질 또는 생물학적 시스템을 이용해 유용한 제품을 제조하거나 공정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 데이터 주요 키워드
· #BT #바이오기술 #과학기술 #과제데이터 #대기업
○ 데이터 활용 및 이용 권장 고객
· BT 분야 국내 대기업 과제 데이터를 활용(공유)하고자 하는 기업인
· BT 분야 과제 데이터를 활용해 융합연구를 위한 공공·민간 연구자
· 학술 연구를 위한 이공계 대학생·대학원생
□ 데이터 활용 방안
○ 국내 BT 분야 대기업별 과제 데이터 상품 활용 방안은?
· BT 분야 과제 데이터를 활용해 제약분야를 비롯해 나아가서는 인공장기, 줄기세포 연구, 유전자 조작 등등 모든 분야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현재보다는 미래에 더욱 각광받을 분야입니다. 특히 바이오 기업의 역량 강화, 융합 및 연계를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셋의 구성
○ 데이터셋의 구성
· 국내 BT 분야 대기업별 과제 데이터는 총 N개의 데이터로 구성돼 있습니다.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인 NTIS(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의 데이터에 기반합니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연구하고 있는 과학기술을 비롯하여 각종 연구개발사업과 관련된 과제, 인력, 연구시설·장비, 성과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 연구개발(R&D) 지식포털입니다.
데이터 구분 | 데이터 요약 | 제공 방식 |
국내 BT 분야 대기업별 과제 데이터 | - 국내 대기업에서 수행한 BT 분야 과제 세부 내역 - 연구수행주체 및 수행기관 - 6T분류 및 과학기술표준 분류 코드 | - csv/zip |
□ 데이터셋의 구조
○ 데이터셋의 구조
No. | 칼럼명 | 데이터 타입 | 칼럼설명 |
1 | 일련번호 | VARCHAR(14) | 일련번호 |
2 | 기준년도 | VARCHAR(4) | 기준연도 (Ex. 2020) |
3 | 사업명 | VARCHAR(1000) | 사업명 |
4 | 부처명 | VARCHAR(500) | 부처명 |
5 | 과제관리기관명 | VARCHAR(300) | 과제관리기관명 |
6 | 과제고유번호 | VARCHAR(100) | 과제고유번호 (총 10자리 숫자) |
7 | 국문과제명 | VARCHAR(500) | 과제명(국문) |
8 | 영문과제명 | VARCHAR(500) | 과제명(영문) |
9 | 연구책임자명 | VARCHAR(20) | 연구책임자명 |
10 | 과제수행기관명 | VARCHAR(500) | 과제수행기관명 |
11 | 지역구분내용 | VARCHAR(20) | 지역구분 (ex.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12 | 총연구기간시작일 | VARCHAR(8) | 총연구기간시작일 (Ex. 20220718) |
13 | 총연구기간종료일 | VARCHAR(8) | 총연구기간종료일 (Ex. 20220718) |
14 | 6T관련기술분류내용 | VARCHAR(500) | 6T관련기술분류 (Ex.4세대 이동통신) |
15 | 연구목표요약 | VARCHAR(1000) | 연구목표요약 |
16 | 기대효과요약 | VARCHAR(1000) | 기대효과요약 |
17 | 한글키워드 | VARCHAR(500) | 한글키워드 |
18 | 영문키워드 | VARCHAR(1000) | 영문키워드 |
19 | 연구비합계 | NUMERIC | 연구비합계 |
20 | 작업구분코드 | VARCHAR(1) | |
21 | 데이터생성일자 | VARCHAR(8) | |
22 | 연계처리상태코드 | VARCHAR(1) | |
23 | 연계처리일자 | VARCHAR(8) | |
일련번호 | 기준년도 | 사업명 | 부처명 | 과제관리기관명 | 과제고유번호 | 국문과제명 | 영문과제명 | 연구책임자명 | 과제수행기관명 | 지역구분내용 | 총연구기간시작일 | 총연구기간종료일 | 6T관련기술분류내용 | 연구목표요약 | 기대효과요약 | 한글키워드 | 영문키워드 | 연구비합계 |
3 | 2021 | 코로나19치료제·백신비임상지원(R&D)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4366 |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치료 항체 개발 | Development of therapeutic antibody against mutant of SARS-CoV-2 | 김종인 | (주)셀트리온 | 인천광역시 연수구 | 20210710 | 20220509 | 바이오신약 개발기술 | : - 코로나19 회복 환자로부터 공여받은 혈액으로 구축한 항체 라이브러리에서 영국 (B.1.1.7), 남아공 (B.1.351) 변이 바이러스에 높은 결합 친화력과 중화능을 갖는 후보 항체를 선별하였으며, 코로나19 햄스터 및 붉은털 원숭이 감염 모델을 이용하여 해당 항체의 생체 내 치료 효능을 평가하고자 함 | ○ 기술적 측면- 감염성 질환에 대한 치료제는 세계적으로 많은 제약사들의 지대한 관심 사항이므로, 효과적인 치료제를 개발하는 것은 보건의료의 경쟁력 향상 및 의료 수준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임.- 산학 협력으로 코로나19에 대응 가능한 치료용 항체를 국내 역량으로 확보.- 코로나19로부터 국민을 보호할 수 있는 공중보건 대응책 마련에 활용 가능.○ 경제적,... | 코로나19,항체치료제,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효능 평가,사스 | Covid19,Therapeutic antibody,Mutant Covid19,efficacy study,SARS | 500000000 |
5 | 2021 | 코로나19치료제임상지원(R&D)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2822 | CT-P59 항체치료제 개발 | CT-P59 Antibody Treatment Development | 김성현 | (주)셀트리온 | 인천광역시 연수구 | 20210128 | 20210927 | 생명현상 및 기능연구 | 코로나19 항체 치료제(CT-P59) 개발을 위한 임상 결과 확보 및 제품 허가 승인 획득 임상 1상 건강한대상자 (HV)를 시작으로 임상 3상 경증 임상을 진행하여 약물의 유효성 및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함. 이를 바탕으로 미국, 유럽 등을 대상으로 품목 허가를 획득하고자 함. | - 코로나19 항체치료제 임상 시험을 통해 pandemic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치료제로 즉시 개발- 주요 국가를 포함한 전세계 시장을 대상으로 한 사업화를 통해 pandemic 상황의 완화에 기여- 국가 공중보건 위기 상황에서 치료제 국가 비축을 통한 감염병 대응에 기여- 감염병 치료제 개발 경험을 지속적으로 축적하여,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호흡기 감... | 코로나 19,항체치료제,감염병,신약,임상 | COVID 19,Antibody Treatment,Infection,New drug,Clinical Trials | 50079655000 |
54 | 2022 |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6208 | 우유유래펩타이드 소재 적용 완제품개발 및 사업화 | 유원규 | 연세대학교 연세유업 | 충청남도 아산시 | 20220401 | 20251231 | 기능성 바이오소재 기반기술 | - 소재개발용 원유 및 가공부산물의 품질 규격 확립 - 우유 유래 기능성 펩타이드의 제품 적용 가능한 소재 제형화 기술 개발- 기능성 펩타이드 소재 적용 다양한 제형 개발(음료, 유음료, 식물성음료 등)- 기능성 펩타이드 함유 제품 시생산을 통한 대량생산 제조공정 및 품질규격 확립 - 우유 유래 기능성 펩타이드 소재 사업화 - 수면,항비만,항산화,인지개선... | - 우유 유래 기능성 펩타이드를 함유한 기능성 식품을 개발 및 제품 출시- 국산 우유의 기능성 소재화를 통한 가치창출 - 기능성 식품 출시를 통한 국민건강 증진 - 기능성 펩타이드 함유 소재 적용 대량생산 제품 공정개발을 통한 기술 증대 | 우유,유단백질,가수분해,대량생산,메디푸드 | milk,milk protein,hydrolysis,mass production,medical food | 56550000 | |
6 | 2021 |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R&D)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2736 | 고령친화식품 적용을 위한 분지 아미노산 소재화 및 영양밀도 개선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branched amino acid materials and enhancement of nutrition density for the elderly foods | 민중식 | (주)신세계푸드 | 서울특별시 성동구 | 20210401 | 20231231 | 식품생명공학기술 | - 식품용 종균의 발효를 통하여 분지아미노산 함량을 향상시킨 단백소재 가수분해물의 단백질 강화용 소재를 활용하고 이를 적용한 연하식 제품 개발- 대량생산 공정수립 및 물성, 영양을 갖춘 고령친화식품의 산업화 | - 미래 고령자 사회를 대비한 고령친화식품 제조분야의 기반 기술로 활용- 분지아미노산 고함유 단백 발효·소재화 기술의 산업체 이전으로 활용- 연하 환자를 위한 다양한 식사대용식 제품개발 및 출시- 고령친화식품의 구성 다양화 및 대량생산을 위한 조건수립을 통해 상품화 기반마련- 본 연구를 통하여 확보한 식품산업용 균주는 나고야의정서 발효에 따른 식품용 종균 ... | 고령친화식품,아미노산,식품영양,식품가공,물성 | Care Food,Amino acid,Food nutrition,Food processing,Rheology | 140000000 |
8 | 2021 | GoldenSeed프로젝트(R&D)(농림부,산림청,해수부) | 다부처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3742 | 복합내병성 강신미 소과계 고추품종 개발 | Developmemt of high pungency, small size and multiple disease resistant pepper varieties | 심동보 | 농업회사법인(주)농우바이오 | 해외 해외 | 20170101 | 20211231 | 농업·해양 생물자원의 보존 및 이용기술 | ○ 강신미(SHU 50,000이상) 및 복합내병성(역병, 바이러스)을 갖춘 품종 육성(2품종)○ 과 경도가 강하며 저장성과 수송성이 우수한 품종 개발(2품종)○ 내서성 및 초세가 강하며 연속착과력이 우수한 품종개발(1품종)○ 2022년(2단계)까지 300만불 수출 달성 | ○ 강신미 소과종이 많이 재배되는 중국,동남아시아,남아시아등의 시장은 일반종에서 교배종으로 전환되고 있는 시점으로 지속적인 시장 규모의 확대가 예상됨. ○ 우리나라 고추 육종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생명공학 기술과 접목되어 빠른 시간 내에 복합내병성을 갖춘 신품종이 개발가능하며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통해 강신미 소과종 시장에서 종자 수출 확대 가능.○ ... | 아시아권 고추 시장,강신미,일대잡종,마케팅,수출 | Asia Hot Pepper Market,High Pungency,F1 Hybrid,Marketing,Export | 168000000 |
9 | 2021 | 감염병관리기술개발연구(R&D) | 보건복지부 | 질병관리청 | 1465034512 | 코로나19 광범위 치료항체 후보물질 효능 평가 및 비임상 시료 생산 | Enhancement of COVID-19 therapeutic antibodies and large-scale production for pre-clinical usage | 박근희 | (주)셀트리온 | 인천광역시 연수구 | 20210401 | 20211231 | 바이오신약 개발기술 | 코로나19 광범위 항체 치료물질 중화능 확인 및 비임상 물질 시료 생산 | ○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항체치료제 비임상 적용 및 임상 진행을 위한 시제품 제작 가능 ○ 공정 개발 정보 바탕으로 생산 scale up 통해 관련 항체치료제의 대량 생산 기대 ○ 국가 공중보건 위기 시 국가 비축 등 국가 감염병 정책 기여 가능 | 코로나19변이바이러스, 중화항체, 비임상물질, 중화능시험, 치료항체생산 | SARS-CoV-2 mutants, Neutralizing antibody, Nonclinical material, Clinical material, Therapeutic antibodies | 1100000000 |
10 | 2022 |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사업단)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6666 | A형 간염 백신의 비임상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 | Preclinical Safety and Immunogenicity Evaluation of a Hepatitis A Vaccine | 이건세 |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주) | 경기도 성남시 | 20220401 | 20241231 | 기타 보건의료 관련 응용기술 | 비임상 수행을 위한 백신 제조 공정 수립 백신 시험방법 및 공정분석법 개발 비임상시험 시료 제조 비임상 독성 및 약리안전성 시험 수행 비임상 효력(면역원성)시험 수행 임상시험계획승인 (임상 1상) 허가 신청 및 승인 | 비임상 시험을 통한 백신 효력 확인으로 임상시험적용 및 제품으로서의 백신 항원 입증 IND 승인을 위한 제출 자료 및 백신 개발 근거자료 활용 A형 간염 배양공정 플랫폼 (Fixed-bed)에서의 배양 공정 제시 A형 간염 백신주 확보 및 백신 제조공정의 내재화 가능 | A형간염바이러스,불활화백신,A형간염백신,비임상시험 | Hepatitis A Virus,Inactivated Vaccine,Hepatitis A Vaccine,Preclinical test | 1050000000 |
38 | 2022 |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건립및운영 | 질병관리청 | 질병관리청 | 1776000117 | 3세대 두창백신 비임상시험 연구 및 임상시료 생산 | Pre-clinical GLP study and clinical trial samples production of 3rd generation smallpox vaccine | 안성현 | 에이치케이이노엔 주식회사 | 경기도 이천시 | 20210309 | 20221231 | 바이오신약 개발기술 | 3세대 두창백신의 비임상시험 완료 및 임상시험용 시료생산, 임상시험계획 신청 | ○ 생산 공정 및 시료 확보, 동물에서의 안전성 및 효력을 확인하기 위한 독성 및 약리 데이터를 확보하여 임상 1상 IND 제출○ 안전하고 효과적인 차세대 두창백신의 임상시험 실시를 통한 실용화 | 3세대 두창백신, 제조공정, 비임상시험, 면역원성, 독성 | 3 generation smallpox vaccine, production process, non-clinical trial, immunogenicity, toxicity | 1540000000 |
20 | 2021 | GoldenSeed프로젝트(R&D)(농림부,산림청,해수부) | 다부처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4012 | 만추대 타원형 백청수계 무 품종개발 | Radish breeding of late-bolting and oval-shaped | 허건 | 농업회사법인(주)농우바이오 | 경기도 여주시 | 20170101 | 20211231 | 농업·해양 생물자원의 보존 및 이용기술 | ○ 정량적 목표- 품종보호: 출원 4건, 등록 4건- 종자수출: 150만불(최종년도 기준)○ 정성적 목표- 추대가 늦고 저온기 비대력이 좋으며 수량성이 높은 무 품종 개발- 백ㆍ청수계 원통형 무 품종 개발- 바람들이가 늦고 근피가 고우며 수송성이 좋은 무 품종 개발- 병 저항성(시들음병 등)이 강하고 순도가 우수한 무 품종 개발 | ○ 현재 중국 내 무 재배면적 및 종자소요량은 백수계 무가 청수계 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편으로 백수계 무의 시장성은 확보된 상황이며, 또한 청수계 무 재배면적 및 종자소요량 역시 소비자 소득수준 향상에 따른 다양한 고품질 채소 요구로 인해 향후 청수계 무 시장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됨○ 중국용 청수계 무는 현재까지 종자개발 및 보급이 미비한 수준으... | 무 육종,무 품종개발,만추대성 무,백/청수계 무,원통형 무 | Radish breeding,Development of radish cultivars,Radish late bolting,White or green shoulder radish,Cylindrical radish | 220000000 |
15 | 2022 | 유용물질생산을위한Carbonto-X기술개발사업 | 기획재정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5721 | 옥외 대규모 공정 구축 및 폐열 연계 저에너지 소비형 미세조류 바이오매스 건조기술 개발 | Construction of mass cultivation system of microalgae outdoors and development of low-energy dewatering system for the biomass | 장원석 | 한국지역난방공사 미래개발원 | 서울특별시 강남구 | 20200727 | 20250126 | 생물공정 기술 | 본 연구는 전처리하지 않은 산업배가스를 활용한 미세조류 유래 친환경 바이오플라스틱 원료 생산과 관련하여 옥외 대규모 실증 광배양 공정을 구축하고, 폐열 연계 저에너지 소비형 고효율 미세조류 바이오매스 건조기술을 개발하는 것으로, 탈수된 단백질 고축적 바이오매스는 균질화 작업 후 5차 년도(최종)에 실제 바이오플라스틱 원료로서 활용하고, 합성된 소재는 각종 ... | 본 실증 공정들이 성공적으로 구축 및 운용된다면, 추가적으로 본 요소 기술들은 무한 확장이 가능한 형태로 발전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차후 산업배가스 기반 미세조류 유래 바이오플라스틱 생산 공정의 상용화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로서 활용할 계획이며, 본 공정이 상용화된다면 가격경쟁력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뛰어난 측면에 있기 때문에 기존의 바이오플라스틱 부가원료로... | 미세조류,산업배가스,바이오플라스틱,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세포 침강 기술,폐열연계 건조기술,공정 구축,공정 운전 | Microalgae,Flue gas,Bio-plastics,Ethylene Vinyl Acetate,Cell setting velocity,Drying technology using waste heat,Process construction,Process Management | 900000000 |
21 | 2022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2536 | (공동4) 미래 대체육(배양육 포함) 맞춤형 식품신소재 원천기술 개발 | (CO-4) Development of Novel Food and Food Additives for Future Alternative Meat (incl. Culture Meat) | 정준영 | 씨제이제일제당(주) | 경기도 | 20220401 | 20261231 | 기타기초·기반기술 | 바이오파운드리는 합성생물학 기술의 가속화를 가능하게 하며 생명과학, 제약, 식품 산업과 같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소재 개발에 유용한 플랫폼으로 활용 가능함이 입증됨. 해당 연구 과제를 통해 CJ제일제당이 보유한 바이오파운드리를 활용 배양육을 포함한 다양한 천연 기능성 소재를 개발하고 대체육에 적용하려 함. 천연 소재 개발에 필수적인 Non-GM 균주개발은... | 본 연구를 통해 개발 예정인 아미노산 유래 천연 향미증진소재들은 최근 식품 첨가제 트렌드에 부합하는 Natural and/or Clean-label 제품으로 배양육을 포함한 대체육 산업 전반에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됨. 아미노산 유도체 and/or 유도중합체는 단순 향미 증진기능 뿐만 아니라, 항산화와 같은 건강 기능을 보유한 소재들도 있어 기존 향미증진소재... | 바이오파운드리; 고속스크리닝; 라이브러리; 향미증진제; 비유전자변형, 천연, 아미노산; 대량생산 | Biofoundry, HTS Library Flavor-enhancer Non-GM Natural Amino Acid, Mass Production | 275000000 |
62 | 2022 | 작물바이러스및병해충대응산업화기술개발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5861 | 과수 화상병 생물적 방제제 처리체계 및 대량생산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application and mass production system of a biopesticide for fire blight | 오기훈 | (주)팜한농 | 충청남도 논산시 | 20220101 | 20241231 | 동식물 병해충 제어기술 | 본 과제의 목표는 주관기관에서 개발한 내생 및 길항력 증진 2종 이상 유용미생물을 활용한 과수 화상병 억제기술 개발하여 화상병 생물적 방제제 처리체계 및 대량생산 기술 개발에 있음 | 국내 과수 화상병 억제를 위한 국내산 길항(유용)미생물은 국내 생태계 기원 생물 자원을 활용하여 농업 병해충 억제용 생물적 방제제의 복합제제 형태의 개발에 시발점이 될 것임. 또한 국내 과수 화상병 방제체계에서 교차살포시기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국내 과수 농가의 화학농약, 특히 항생제의 오·남용 사례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재배자 요구 문제 해결에 활용될 것... | 화상병,배양최적화,생물제형,생물농약,바실러스 | fire blight,Fermentation optimization,biopesticide formulation,biopesticide,Bacillus | 356750000 |
46 | 2021 | 농식품수출비즈니스전략모델구축(R&D)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4348 | 글로벌 원료미 및 쌀 가공 제품 분석을 통한 수출 국가 맞춤형 전략 개발 | Developing marketing strategies for exporting rice products through an analysis of preference | 정지원 | CJ제일제당(주) | 서울특별시 중구 | 20200723 | 20221231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글로벌 원료미 및 쌀 가공 제품 분석을 통한 수출 국가 맞춤형 전략 개발 | ○ 새로운 쌀 수출 성장 동력 창출 - 내수시장 극복을 통한 쌀 생산 산업의 구조를 유지할 수 있음 - 고부가가치 프리미엄 쌀 수출로 수출 신시장 개척 - 수출 농가의 기대수익 증가 -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쌀 수출 관련 기업의 출연 및 성장 ○ 농산업 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 - 수출로 인한 새로운 소비창출로 벼 생산량의 안정... | 벼,향미,고품질,수출,무균포장밥 | rice,fragrant rice,high quality,export,asepsis packaged cooked rice | 40000000 |
69 | 2021 | GoldenSeed프로젝트(R&D)(농림부,산림청,해수부) | 다부처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4001 | 지중해권, 미주권(Dulce Italiano, Jalapeno, 고색소 등) 수출용 복합내병성 고추 품종 육성 | Breeding of multiple disease resistant Pepper varieties for the Mediterranean and the Americas markets | 최순호 | 농업회사법인(주)농우바이오 | 경기도 여주시 | 20170101 | 20211231 | 농업·해양 생물자원의 보존 및 이용기술 | 지중해권(유럽, 북아프리카, 중동) 및 미주권 시장에 수출할 수 있는 시설재배용 또는 노지재배용 고추 품종을 2021년까지 8품종 개발, 900만 달러 수출 | ● 그동안 우리나라 종자회사에서는 접근하기 어려웠던 고가의 종자 시장인 미주지역이나 유럽, 그리고 미래의 발전 가능성이 높은 아프리카 시장에 대한 진출이 가능하게 될 것으로 기대됨. 이러한 결과는 우리의 목표시장이 아시아권을 넘어 세계로 확대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향후 우리나라 종자산업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음.● 본 연구기관(농우바이오)은 그동안 중국,... | 고추,지중해,미주,마케팅,수출 | Pepper,Mediterranean,The Americas,Marketing,Export | 696000000 |
40 | 2022 | 바이오산업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159 | (2세부)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시제품 개발 및 실증 | Development and demonstration of biodegradable bioplastic prototype | 김경연 | SKC주식회사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41231 | 기능성 바이오소재 기반기술 | [원료 소재 생산]ㅇ PBAT Pilot 공정 조건 안정화 및 Scale-up 제품 양산ㅇ PBAT 연속 중합 양산 기술 검토ㅇ 신규 PBS Based Co-polyester 최적 중합기술 개발 (Scale-up)[실증 및 제품화]ㅇ 생분해 플라스틱 제품 회수시스템(RVM) 개발ㅇ PLA필름 용도별 시제품 2차 생산/실증평가 (1개 품목/편의점,메가박스,경... | ㅇ 지속형 원료 소재 생산을 통한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소재 공급 안정화ㅇ 고강도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생산 안정화를 기반으로 한 대체 품목 확장ㅇ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제품군 시장 조기 진입을 통한 시장 확장 효과 도출 및 신규 시장 창출ㅇ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제품군 다양화를 통한 시장 진입 기반 확보 | 생분해성 플라스틱,바이오플라스틱,제품 실증화,생분해 고분자 중합,생분해 고분자 가공 | biodegradable plastic,bioplastic,product demonstration,polymerization of biodegradable polymer,processing of biodegradable polymer | 3623479000 |
71 | 2021 | 농축산물수확후융복합실용화기술개발(R&D) |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 | 1395070731 | 소비자 관점 과채류 및 육류 저온저장 개선 공학기술 연구(2공동) | Improvement research for the refrigeration system of fruit, vegetable and meat considering the customer needs(2) | 박아름 | LG전자(주) | 서울특별시 금천구 | 20210101 | 20221231 | 식품생명공학기술 | ○ 과채류 저온 혼합 저장을 위한 최적 저장 조건 도출○ 육류 건식 숙성 최적 조건 도출과 육류 품질 평가 | ○ 소비자 관점 과채류 최적저장 조건 도출 및 기술 가능성 확인○ 육류 건식 숙성 최적 상태 규명 및 시간 단축 가능성 확인 | 소비자, 에틸렌, 유통기한, 건식 숙성, 라디오파 | consumer, ethylene,shelf life, dry aging,radio frequency | 100000000 |
36 | 2021 | 감염병관리기술개발연구(R&D) | 보건복지부 | 질병관리청 | 1465034043 | 2019 신종코로나바이러스 치료용 단클론 항체 비임상 후보물질 발굴 | Construction of the preclinical therapeutic monoclonal antibody candidates for 2019-nCoV | 김철민 | (주)셀트리온 | 인천광역시 연수구 | 20200414 | 20211231 | 바이오신약 개발기술 | 2019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용 단클론 항체 비임상 후보 물질 발굴 | ○ 2019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항체치료제 임상 적용 및 산업화 등 치료제 개발에 활용가능○ 국가 공중보건 위기 시 국가 비축 등 국가 감염병 정책 기여 가능 | 2019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 항체 스크리닝, 중화 항체, 비임상시험 | 2019-nCoV, Spike protein, Antibody screening, Neutralizing antibody, Nonclinical study | 300000000 |
34 | 2021 | 유용물질생산을위한CarbontoX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7746 | 옥외 대규모 공정 구축 및 폐열 연계 저에너지 소비형 미세조류 바이오매스 건조기술 개발 | Construction of mass cultivation system of microalgae outdoors and development of low-energy dewatering system for the biomass | 장원석 | 한국지역난방공사 | 서울특별시 강남구 | 20200727 | 20250126 | 생물공정 기술 | 본 연구는 전처리하지 않은 산업배가스를 활용한 미세조류 유래 친환경 바이오플라스틱 원료 생산과 관련하여 옥외 대규모 실증 광배양 공정을 구축하고, 폐열 연계 저에너지 소비형 고효율 미세조류 바이오매스 건조기술을 개발하는 것으로, 탈수된 단백질 고축적 바이오매스는 균질화 작업 후 5차 년도(최종)에 실제 바이오플라스틱 원료로서 활용하고, 합성된 소재는 각종 ... | 본 실증 공정들이 성공적으로 구축 및 운용된다면, 추가적으로 본 요소 기술들은 무한 확장이 가능한 형태로 발전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차후 산업배가스 기반 미세조류 유래 바이오플라스틱 생산 공정의 상용화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로서 활용할 계획이며, 본 공정이 상용화된다면 가격경쟁력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뛰어난 측면에 있기 때문에 기존의 바이오플라스틱 부가원료로... | 미세조류,산업배가스,바이오플라스틱,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세포 침강 기술,폐열연계 건조기술,공정 구축,공정 운전 | Microalgae,Flue gas,Bio-plastics,Ethylene Vinyl Acetate,Cell setting velocity,Drying technology using waste heat,Process construction,Process Management | 900000000 |
81 | 2021 | 바이오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2965 | (2세부)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시제품 개발 및 실증 | Development and demonstration of biodegradable bioplastic prototype | 김경연 | SKC(주)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41231 | 기능성 바이오소재 기반기술 | [원료 소재 생산]ㅇ PBAT Pilot 공정 SOP 확립 및 경쟁사 제품 비교분석ㅇ 1 세부기관 고강성 생분해성 플라스틱 Pilot Scale 적용기술 개발 및 중합기술 확보를 위한 Pilot testㅇ 조성물에 따른 물성 DB 구축 및 최적화[실증 및 제품화]ㅇ PLA필름 용도별 시제품 1차 생산/실증평가 (1개 품목/편의점,메가박스,경기장)ㅇ 필름제품... | ㅇ 시생산을 통한 제품 원료 확보ㅇ 고강도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pilot scale 생산을 통한 제품군 확장ㅇ 공정 최적화를 위한 제품군 제작의 기반을 구축하고 소재 개발에 및 pilot scale 생산에 따른 세부간의 협업ㅇ 시제품 조기 투입을 통한 소비자 인식 강화 및 피드백을 통한 문제점 개선 | 생분해성 플라스틱,바이오플라스틱,제품 실증화,생분해 고분자 중합,생분해 고분자 가공 | biodegradable plastic,bioplastic,product demonstration,polymerization of biodegradable polymer,processing of biodegradable polymer | 4553508000 |
75 | 2021 | GoldenSeed프로젝트(R&D)(농진청) |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 | 1395067529 | 고위도 지역 적응 수출용 옥수수 품종개발 및 수출기반 조성(1주관) | Development of corn varieties adapted to environmental conditions in high latitude and establishment of export base(1) | 정민 | 농업회사법인(주)농우바이오 | 경기도 여주시 | 20170101 | 20211231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고위도 지역 적응 사료용 3품종, 식가공용 2 품종개발 (선도품종대비 105% 이상, 내도복, 다수성 등) 옥수수 종자 수출 거점확보를 통한 종자보급, 수출시장 개척 및 수출목표 400만달러 달성 | 1) 기술적 측면□ 식량작물(옥수수) 품종 개발과 보급을 정부 주도에서 민간 주도로 전환됨으로써 수출 위주의 종자산업 활성화 촉진 및 종자 강국 실현ㅇ 동아시아 지역 수출용 종자생산기반 구축으로 옥수수 수입 대체 등 내수 위주의 시장을 탈피하여 민간주도의 세계 시장개척 및 종자강국 진입 가능ㅇ 산학연 협력에 의한 효율적인 옥수수 품종 개발 체계 정착을 ... | 고위도, 사료용, 식가공용, 옥수수, 마케팅 | High latitude, Forage, Edible, Maize, Marketing | 180000000 |
22 | 2021 | 농업정책지원기술개발사업(R&D) |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 | 1395070007 | 무인항공 방제용 밭 제초제 등록시험 기준설정 및 제초제 효과 검정(2공동) | Development of weed management technology and evaluation of field application for reducing agricultural labor (2) | 김경성 | (주)팜한농 | 충청남도 논산시 | 20210101 | 20231231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기존 고시된 등록시험법내에 무인항공(드론 등)을 이용한 밭제초제처리법이 없었던 관계로 국내 농약제조사에서 적용성 시험을 진행한 예가 없었다. 이번 국책과제를 통해 팜한농은 1년차에서는 기존의 밭토양 처리제로 사용되고 있는 약제들 중 콩과 옥수수 작물에 적용되어 약제 성분을 선택하여 무인항공 방제에 적합성을 검토하여 적용 가능한 약제를 선발함을 목표로 하고 ... | 실험1 무인항공 방제 액상 제형 후보 선발시험과 실험2 제형별 주변작물 약해확인을 통해 밭토양 무인항공에 적합한 제형 및 원제를 선택하여 2년차 등록진행 품목을 선발하게되며, 이러한 실험결과를 학회발표 1건을 진행하여 타 기관과 정보교를 추진합니다. 또한 이것을 바탕으로 드론제조업체나 사용자의 견문을 확대하는데 이바지 합니다. | 밭작물, 잡초관리, 제초제, 무인항공 | upland field crop, weed management, herbicide, unmanned aerial vehicle | 150000000 |
11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9779 | 폐암 EML4-ALK 종양유전자 아형의 ALK 억제제 저항성 차이 규명 및 대체 타깃 발굴 | Understanding different ALK inhibitor resistance of EML4-ALK fusion variants and discovering an alternative targeting gene in ALK-positive lung cancer | 최진 | 서울아산병원 | 서울특별시 송파구 | 20200301 | 20250228 | 유전체기반 기술 | 폐암 환자 약 2~9% 환자에게서 EML4-ALK 융합(fusion)이 일어나고, 1세대(crizotinib), 2세대(alectinib, ceritinib) ALK 억제제가 개발 되어 처방되고 있음. EML4-ALK는 EML4 유전자의 쪼개지는 부위에 따라 다양한 아형(variant)가 만들어지고, 아형에 따라 치료반응성이 다름. 본 연구팀은 EML4-A... | - 본 연구는 기초 유전자 작용 메카니즘 연구에서부터, 신약개발 후보물질까지의 영역을 포함하는 연구임. EML4-ALK V3 아형을 갖는 환자의 ALK 억제제 저항성을 연구함으로 새로운 표적 치료제를 발굴하는 기초연구로서 과학적으로 중요성을 갖음.- 본 연구팀은 세계적으로 인지도가 있는 ALK-biology 연구팀임. 선행연구 결과가 제시하는 ALK 억제제... | 폐암,EML4-ALK 양성 폐암,Crizotinib,Microtubule,정밀 의료,맞춤 치료제 | Lung cancer,EML4-ALK positive NSCLC,Crizotinib,Microtuble,Precision Medicine,Targeted therapy | 195000000 |
23 | 2021 | 감염병예방치료기술개발사업(R&D)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2783 |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치료 항체의 비임상 연구 (GLP 검증) 및 임상시험 계획 승인 (IND) 제출 | Nonclinical study (GLP) and Investigational New Drug (IND) application for therapeutic anti-MERS-CoV antibody | 김철민 | (주)셀트리온 | 인천광역시 연수구 | 20200423 | 20221231 | 바이오신약 개발기술 |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치료 항체의 특성 추가 규명 및 GLP 수준의 비임상물질 생산/출하/평가 후 비임상시험 완료 GMP 수준의 임상물질 생산/출하 후 비임상시험결과/풀질특성/제조 및 품질관리/임상시험계획서 등 필요서류 확보 후 임상시험 계획 승인 (IND) 신청 | ○ 기술적 측면- 산학 협력으로 메르스에 대응 가능한 치료제를 국내 역량으로 확보- 메르스로부터 국민을 보호할 수 있는 공중보건 대응책 마련에 활용 가능- 본 과제 진행과정에서 습득된 단독 혹은 협업으로 수행된 기술적, 경험적 역량은 향후 유사한 국가 재난 발생 상황 발생시에도 활용 가능. - 지속적으로 메르스가 발병하고 있는 중동 국가에 대한 기술 수출 ... |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항체 치료제,비임상시험,임상시험 계획 승인 |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MERS coronavirus,Therapeutic antibody,Nonclinical study,Investigational New Drug (IND) | 1033400000 |
17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70399 | 우울증에서 이행되는 알츠하이머병의 병태생리 규명 | Genes, epigenetic events and other biological substrates related with transition from depression to Alzheimer disease | 김도관 | 삼성서울병원 | 서울특별시 강남구 | 20200901 | 20250228 | 난치성 질환 치료기술 | 치매는 현재 우리 사회에서 가장 부담이 되는 질병이다. 하지만, 치매 (알츠하이머병, AD)의 치료제 개발은 20세기에 개발한 콜린분해효소억제제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아직까지 질병의 진행을 더디게 하는 수준으로 그 다음 단계로의 획기적 발전은 없다.AD 라는 질병 자체가 단일질병이 아닐 가능성이 있으며, 이질적 질병 (heterogeneity)의 표현형을... | 본 연구의 결과물은 궁극적으로 치매(AD) 발병위험이 높은 우울증 환자들을 위하여 새로운 기전의 치료법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치매 발생률을 낮추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기대한다. ○ 우울증이 치매로 이행되는 데에 관련되는 유전변이와 후성적 변화가 규명된다면; 현재까지 잘 몰랐던 치매 발병에 관여하는 유전적 취약... | 알츠하이머병,우울증,치매로 이행,병태생리학적 기전,유전 후성적 변화,뇌영상,보건의료 빅데이터 | Alzheimer disease,depression,transition to dementia,pathophysiologic mechanism,genes epigenetic event,imaging,public healthcare DB | 187121000 |
61 | 2022 | 친환경동력원적용농기계기술개발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6689 | 친환경 수소연료전지 기반 110kW급 대형 트랙터 개발 | 이성태 | 엘에스엠트론(주) | 전라북도 완주군 | 20220406 | 20261231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 육성우 전문목장 특화 ICT 기반 동물복지 강화 스트레스 및 냄새 저감 시스템 개발- 육성우 전문목장 동물복지 강화 및 친환경 ICT 융합 시스템 구축- 관행사양 대비 육성우 질병 발병율 20% 저감- 생산성 20% 향상- 노동력 20% 절감- 사양 환경 (냄새 저감) 20% 개선 | (1) 기술적 측면 ○ 기존 내연기관 중심의 동력원에서 수소연료전지 동력원으로 대체하여 미국 Tier, 유럽 Stage 배기가스 규제에 대한 대응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음 ○ E-파워트레인, 수소 트랙터 플랫폼, 구동 모터,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등 수소 트랙터 관련 핵심부품에 대한 기술력을 확보하고 개발함으로써 국내 독자적인 설계 부품 수출 확대... | 친환경,트랙터,파워트레인,수소연료전지,전기구동 | Eco-friendly,Agricultural tractor,Power-train,Hydrogen fuel cell,Electric drive | 100000000 | |
63 | 2021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R&D)(과기정통부,복지부,산업부) | 다부처 | (재단)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 | 1711138149 | (참여1)음성 및 정신질환 예측/진단/관리를 위한 음성-언어-생체신호 통합 인공지능 의료기기 개발 | KIM KYUNGNAM | SK텔레콤(주) | 서울특별시 중구 | 20200901 | 20241231 | 의과학·의공학 기술 | - 음성질환 환자 및 정상인군 음성 데이터 수집 및 Database 구축 (강남세브란스 음성&정신질환 임상의학 그룹) - 사회불안장애 환자 및 정상 대조군 모집 (강남세브란스 음성&정신질환 임상의학 그룹) )- 음성질환 바이오 마커 개발- 음성질환 분석 ML 모델 개발(정확도 >70% 달성)- 의료 디바이스 및 플랫폼 요구 사항 도출 | * 인류에 영향 및 혜택을 주는 분야의 최첨단 AI 연구 및 적용* 산업, 학계 및 병원 간의 협력으로 더 크고, 가치가 있는 위험 감수는 가능합니다.* 환자의 일상 생활을 개선* AI 가 어렵고 일상적인 작업을 처리할 수 있어서 의사가 환자 관졔 및 치료에 더 많이 집중할 수 있는 이익을 주는 효과* 중요한 문제를 더 빨리 파악할 수 있는 지속적인 추적 ... | 의료 디바이스,의료 플랫폼,의료용 AI,의료용 인공 지능,음성질환 데이터,정신질환 데이터,음성질환 바이오 마커,음성질환 분석 기계학습 모델,생체신호,웨어블 | medical device,medical platform,AI for healthcare,audio medical data,mental illness data,bio-marker,ML model to analyze audio data,bio-signal,wearable | 600000000 | |
79 | 2022 |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5215 | 고령친화식품 적용을 위한 분지 아미노산 소재화 및 영양밀도 개선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branched amino acid materials and enhancement of nutrition density for the elderly foods | 민중식 | (주)신세계푸드 | 서울특별시 성동구 | 20210401 | 20231231 | 식품생명공학기술 | - 식품용 종균의 발효를 통하여 분지아미노산 함량을 향상시킨 단백소재 가수분해물의 단백질 강화용 소재를 활용하고 이를 적용한 연하식 제품 개발- 대량생산 공정수립 및 물성, 영양을 갖춘 고령친화식품의 산업화 | - 미래 고령자 사회를 대비한 고령친화식품 제조분야의 기반 기술로 활용- 분지아미노산 고함유 단백 발효·소재화 기술의 산업체 이전으로 활용- 연하 환자를 위한 다양한 식사대용식 제품개발 및 출시- 고령친화식품의 구성 다양화 및 대량생산을 위한 조건수립을 통해 상품화 기반마련- 본 연구를 통하여 확보한 식품산업용 균주는 나고야의정서 발효에 따른 식품용 종균 ... | 고령친화식품,아미노산,식품영양,식품가공,물성 | Care Food,Amino acid,Food nutrition,Food processing,Rheology | 166000000 |
44 | 2021 | 포스트게놈신산업육성을위한다부처유전체사업(R&D)(농림부)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4240 | 2형 당뇨병과 스트레스 질환 통합 개선 프로바이오틱스 소재의 실용화 | 박재웅 | 롯데푸드(주)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 20180425 | 20211231 | 농업·해양 생물자원의 보존 및 이용기술 |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염증 억제력이 우수한 유산균주를 발굴하고, 스트레스와 당뇨병을 개선 또는 예방 할 수 있는 고기능성 프로바이오틱스 소재를 개발하고 실용화 하고자함. | ○ 균주 소재 적용 식품 및 건기식 제품 개발 - 늘어나는 대사증후군 중 당뇨 증상을 보유한 환자의 증상 개선이 가능한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여, 새로운 기능성 식품 시장을 유도함. 특히 균주의 발효 공정과 제형화 (분말, 액상) 기술확보를 토대로 하여 분말형 혹은 액상형 프로바이오틱스 소재를 먼저 확보한 다음, 이 소재를 분말로 투여하여 적용한 발효음료,... | 마이크로바이옴,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프로바이오틱스,스트레스,당뇨 | Microbiome,Next Generation Sequence,Probiotics,Stress,Diabetes | 358800000 | |
56 | 2021 | 수요자맞춤형육종자원대량신속발굴기술개발(R&D) |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 | 1395069868 | 수요자 맞춤형 무, 배추 자원 평가 체계와 핵심집단 구축을 통한 육종 소재 개발(2공동) | Development of customized breeding line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radish and kimchi cabbage germplasm evaluation system and core collections(2) | 임채완 | (주)팜한농 | 경기도 안성시 | 20200101 | 20231231 | 농업·해양 생물자원의 보존 및 이용기술 | 1. 핵심집단 후보군 봄/가을 포장 평가(열근, 칼슘결핍 등)2. 핵심집단 후보군 기능성(글루코시놀레이트 등) 분석3. 병저항성, 자가불화합성 등 특성 평가4. 핵심집단 후보군 선정 및 세대진전 | ○ 포장 평가 및 병리 검정을 통해 핵심집단 후보군 선정○ 기능성(글루코시놀레이트 등) 분석을 통해 고기능성 후보군 선정○ 각 평가 및 분석 자료를 활용하여 우수 계통 육성 및 품종개발 기반 마련 | 무, 배추, 유전자원, 핵심집단, 유전적 근연관계 | Radish, Kimchi cabbage, Germplasm, Core collection, Genetic Relationship | 80000000 |
76 | 2021 | 수요자맞춤형육종자원대량신속발굴기술개발(R&D) |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 | 1395069775 | 주요 박과 유전자원의 유용집단 구축(3공동) | Development of core collection on Cucurbitaceae (watermelon, melon, cucumber) germplasm for sustainable use(3) | 이수민 | 농업회사법인(주)농우바이오 | 경기도 수원시 | 20190101 | 20231231 | 농업·해양 생물자원의 보존 및 이용기술 | 1. 박과 유전자원 기초특성조사(550자원) 및 증식(1,500립/자원)2. 박과 유전자원 주요 병 저항성 평가(500자원)3. 박과 유전자원(550자원) 주요 병에 대한 DNA 마커검정 | 유전자원 발굴 효율을 높이기 위한 대량 특성평가 및 유용집단 구축 박과작물의 주요 병 저항성 평가체계 확립 및 표준화 체계 구축 박과작물 유전자원에 대한 병 저항성 평가에 의한 복합내병성 품종 육성 효율 증진 박과작물 유전자원에 대한 병 저항성 평가 체계 표준화에 의한 신품종 육성에 필요한 유용형질(병 저항성) 연관 분자마커 개발의 효율성 증진 및 육성연... | 수박, 멜론, 오이, 중간모본, 유용집단 | watermelon, melon, cucumber, inbred line, core collection | 180000000 |
35 | 2022 | 에너지자원 회수형 고농도 하폐수처리공정 기술개발사업 | 환경부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1485018846 | 통합 바이오가스화를 통한 에너지 회수율 제고 및 통합운영관리 기술 개발 | Improvement of energy recovery using anaerobic co-digestion and development of unified operation & management technology | 김영오 | 현대건설(주) | 서울특별시 종로구 | 20220401 | 20261231 | 환경 생명공학기술 | ● 가축분뇨(우분 포함)를 비롯하여 하수찌꺼기와 음식물쓰레기 같은 고농도 유기성폐기물로부터 에너지회수를 극대화하고, 동시에 저에너지를 소모하며 혐기소화액 폐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통합 바이오가스 에너지화 공정을 개발함으로써 환경기초시설의 에너지 자립률 제고 및 국가의 탄소중립 구현에 기여하고자 함. 이를 위해 60 m3/일 처리규모의 실증시설을 시... | ● [활용계획]- 바이오가스 에너지화 기술은 그룹의 수소사회 구축을 위한 전략사업과 연계되어 기술실증 후 당사가 추진 중인 “OO시 유기성폐자원(가축분뇨, 하수찌꺼기, 음식물류폐기물 등) 바이오에너지센터 민간투자사업(1,700억원, PIMAC 검토 중)”에 설계반영 계획임● [기대효과]- 과학·기술적 측면 : 유기성폐기물의 파쇄/선별 및 미세협잡물 제거 기... | 탄소중립, 에너지 자립, 에너지 회수, 통합 혐기성소화, 가축분뇨 | carbon neutral, energy self-sufficiency, energy recovery, anaerobic co-digestion, animal manure | 1257956333 |
49 | 2022 | 해양수산 신산업 기술사업화 지원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3190 | 해양성 미세규조, melosira nummuloides, 바이오소재 산업화 및 간기능 개선 효능 연구 | 고경민 | 주식회사 제이디케이바이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20220401 | 20231231 | 환경 생명공학기술 | 과제를 통한 연구 목표는 폐쇄식환경에서 melosira 대량생산을 통한 산업화임.후코잔틴 함량 증대 배양기술을 개발하고 현장 실증 실험을 통하여 멜로시라의 대량생산을 통해 바이오 소재로써의 기능을 입증하고 산업화를 달성 하고자 함. 연간 75톤의 멜로시라 원물 생산을 목표로 1%의 후코잔틴을 함유한 멜로시라 배양조건을 연구하여, 양식현장(600톤)에서의 대... | - 대량 배양 기술을 통한 미세규조 원료의 고부가가치 산업 소재 활용 및멜로시라 원물 및 추출물을 산업군 바이오 소재로 다양하게 활용 가능- 미세조류로부터의 새로운 활성성분을 활용한 상품개발이 가능하며, 해외 시장의 진출 등의 후속 연구 활용 가능- 생산 품질 및 규격화와 유통 안정화를 설정하여 매출 증대 및 국내외에 제주도 유래 멜로시라 전문 배양 기업으... | 미세조류,대량생산,멜로시라,고도불포화지방산,간기능개선 | Microalgae,Mass production,Melosira,polyunsaturated fatty acids,Liver function improvement | 192500000 | |
28 | 2021 | 바이오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347 | 식물체내 침투성이 우수한 신규작용기작의 살선충 활성물질개발 | Development of nematocide with novel mode of action and excellent penetration into plants | 하판정 | (주)팜한농 | 기타 기타 | 20170701 | 20211231 | 동식물 병해충 제어기술 | 개발목표 : 선충 및 흡즙해충에 대한 생물활성 검정을 통한 포장 후보물질 도출 - 약효: 선충 및 흡즙해충 방제가 90 %이상 (약량: 선충 50 ppm, 흡즙해충 150 ppm) - 침투성약효: 방제가 차이 2000 mg/kg - 꿀벌급성독성(경구): LD50 ≥11(μg/bee) - 어독성: LC50 >2 ppm - 유전독성: 음성 - 기초 제형개발 :... | 1. 작물보호제 후보소재 발굴 및 파이프라인 구축을 통해, 선진 다국적 기업에 독과점 되어있는 작물보호제 개발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 확보 - 매출액 기준 상위 10개 기업의 매출이 전체 시장규모의 85%를 차지함2. 생리활성 물질 디자인, 정밀화학 합성기술, 약효약해 효능평가, 제제 및 제형개발 기술, 독성 및 안전성 평가 공정개발 등 신농약 창출... | 작물보호제,살충제,살선충제,침투성,진딧물 | crop protectant,Insecticide,Nematocide,Penetration,Sucking pests | 638000000 |
33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5916 | 담관 미세 환경 구성 세포 공동 배양을 통한 간흡충증 병리 기전 분석 | Analysis of pathological mechanism mediated by clonorchiasis through co-culture of bile duct microenvironment cells | 박장호 | 서울아산병원 | 서울특별시 송파구 | 20200601 | 20230228 | 생명현상 및 기능연구 | 간흡충의 장기 감염,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재감염은 담관 및 주변 간조직에 만성적인 염증을 일으켜서 간염, 복부 불쾌감, 간비대, 폐쇄성 황달, 담낭염, 담석증 등 여러 임상 증상을 나타내며 담관암 발병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음. 본 과제는 간흡충 감염 및 발암제(N-nitrosodimethylamine, NDMA) 처리에 의한 담관 미세 환경 구성 세포들의 ... | 개발된 고도화된 간흡충 감염 담관 미세 환경을 이용하면, 간흡충 감염이 담관 미세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발생할 정상 담관 세포에서의 염증반응, 섬유화, 담관암 세포의 형질전환, 간성상세포의 면역반응 활성을 관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간흡충 감염과 담관암의 병리 기전에 보다 구체적인 분석 및 연구가 가능함. 세포 배양 미세유체 소자에서 정밀하게 구성... | 간흡충,간흡충증,담관세포,담관 미세환경,담관암,이종세포 공동 배양,3차원 세포배양,분비배설물,악성 형질전환 | Clonorchis sinensis,Clonorchiasis,Cholangiocyte,Bile duct microenvironment,Cholnagiocarcinoma,Co-culture of different cells,3-dimensional cell culture,Excretory-secretory products,Malignant transforma... | 50000000 |
27 | 2021 | 혁신성장동력프로젝트(R&D)(산업부)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2688 | 수송기기 경량화 대응 고강도, 고성형성 5000계 및 6000계 저원가 알루미늄 판재 합금설계 및 연속제조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High-strength and High-Formability Aluminum Alloy Sheets to build Infrastructure of Automotive Lightweight Sheet | 정유동 | 현대제철(주) | 기타 기타 | 20170801 | 20231231 | 기타기초·기반기술 | - 주관기관(현대제철) : o Door INR/OTR용 6000계 설계판재의 양산기준 연속열처리 조건 최적화 o 윤활제 특성에 따른 6000계 설계판재의 성형성 평가 o 상용 및 설계 6000계 판재의 Ti/Zr 표면처리에 따른 접착성 평가 o 상용 및 설계 6000계 판재의 소성변형에 따른 표면 품질 평가... | ○ Door 부품용 알루미늄 설계합금의 양산급 코일 구현 1. Door용 설계합금의 광폭판재 구현을 위한 설계합금 최적화 2. 설계합금의 양산급 주조/압연/해외위탁열처리를 위한 최적 조건 수립 3. 설계합금의 냉연재에 대한 고정형/연속형 열처리를 통한 최종 물성 평가 - 고정형 열처리 평가를 통한 소재 국산화 평가 및 고상 윤활제 개발/적용 ○ 고속주... | 고강도 고성형성 알루미늄 합금,균일미세조직,압연,집합조직,열처리 | High Strength and Formability Aluminum Alloy,Homogeneous Microstructure,Rolling,Texture,Heat Treatment | 3328196000 |
37 | 2021 | 첨단의료기술개발(R&D)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3293 | 난치성 뇌전증 치료제 SKL24741의 임상 1상 개발 | Development of Phase 1 clinical trial of SKL24741 as threapeuctic agent for refractory epilepsy | 류춘호 | 에스케이바이오팜(주) | 경기도 성남시 | 20200423 | 20211231 | 기타 보건의료 관련 응용기술 | 본 연구는 SK바이오팜(주)이 난치성 뇌전증 치료용 글로벌 신약을 개발하기 위한 SKL24741의 임상 1상 개발 계획으로1. 임상 1상 시험 진행 및 완료2. US FDA 임상 2상 (상위단계 임상) 시험 승인(IND) 획득을 하는 것이 최종 연구 목표이며, 이를 위한 국외 임상 1상 시험과 독성 시험 수행을 세부 목표로 하여 과제를 수행하고자 함. | 1. 연구개발의 시간 단축 및 성공 가능성 제고를 위한 시스템과 인프라를 추가 구축할 예정이고, 이를 다른 질환영역으로 확장하여 활용할 계획임.2. 임상 1상에서 확보한 용량 별 혈중농도를 분석하여, SKL24741의 MoA를 기반으로 확장 가능한 질환에서 적절한 임상용량을 설정할 때 활용할 계획임.3. 난치성 뇌전증은 뇌전증 영역에서 사회적 비용이 많이 ... | 난치성 뇌전증,난치성 부분발작,넓은 약효 범위,이중 작용기전,임상 1상 | Refractory Epilepsy,Refractory POS,Broad Spectrum,Dual MoA,Phase 1 Clinical Trial | 1800000000 |
31 | 2022 | 농식품수출비즈니스전략모델구축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5987 | 글로벌 원료미 및 쌀 가공 제품 분석을 통한 수출 국가 맞춤형 전략 개발 | Developing marketing strategies for exporting rice products through an analysis of preference | 정지원 | 씨제이제일제당(주) | 서울특별시 중구 | 20200723 | 20221231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글로벌 원료미 및 쌀 가공 제품 분석을 통한 수출 국가 맞춤형 전략 개발 | ○ 새로운 쌀 수출 성장 동력 창출 - 내수시장 극복을 통한 쌀 생산 산업의 구조를 유지할 수 있음 - 고부가가치 프리미엄 쌀 수출로 수출 신시장 개척 - 수출 농가의 기대수익 증가 -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쌀 수출 관련 기업의 출연 및 성장 ○ 농산업 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 - 수출로 인한 새로운 소비창출로 벼 생산량의 안정... | 벼,향미,고품질,수출,무균포장밥 | rice,fragrant rice,high quality,export,asepsis packaged cooked rice | 40000000 |
19 | 2021 | GoldenSeed프로젝트(R&D)(농림부,산림청,해수부) | 다부처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3836 | 남방계 배추 품종 개발 | Development of tropic chinese cabbage varieties | 박용 | (주)팜한농 | 경기도 안성시 | 20170101 | 20211231 | 농업·해양 생물자원의 보존 및 이용기술 | ○ 정성적 목표- 남방계 배추시장에서 요구하는 배추 품종을 개발하고자 무모계이면서 내추대성, 내서성이 우수한 계통 및 연부병, 뿌리혹병 등에 저항성을 가진 계통을 육성하고, 남방계 배추시장에 적합한 우수 품종을 개발하여 현지 적응성 시험 및 경제성 평가를 통해 목표 수출액을 달성하고, 수출 관련 현지 인프라 구축을 통해 남방계 시장 점유율을 확대 하는 데 ... | ○ 지구온난화와 기후 변화로 인한 내재해성, 내추대성 남방계 배추시장 확대 가능성 높음.○ 남방계 시장의 경우, 동남아 시장이 중국보다 크며, 단위면적당 종자 소요량도 많으며 중국 남부지역 대도시용 신선 채소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 지역별 맞춤형 품종과 복합 내병성 품종의 개발로 해외 수출시장 점유율 확대 및 국내 브랜드 인지도 상승○ 새로운 유전자... | 배추,남방계,뿌리혹병,내재해성,연부병 | Chinese cabbage,Tropical,Clubroot,Heat and humidity tolerance,Soft rot | 460000000 |
41 | 2021 | GoldenSeed프로젝트(R&D)(농림부,산림청,해수부) | 다부처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3585 | 유한생장형 노지재배 토마토 수출용 품종 육성 | Exporting Varieties development of determinate growth open field tomato | 임병환 | 농업회사법인(주)농우바이오 | 경기도 여주시 | 20170101 | 20211231 | 농업·해양 생물자원의 보존 및 이용기술 | ○ 최종목표 : 유한생장형 글로벌 토마토 품종 8종 개발, 2021년 종자수출 320만불○ 세부과제 연구목표 : - 내서성과 내습성이 강한 고도 TYLCV 내병계의 노지재배 유한생장형 토마토 8품종 개발 | ○ 해외 진출로 협소한 국내토마토 종자시장 탈피를 위한 발판 마련(2012년 기준 토마토 시장 1조 4000억원) - 2021년 아시아 전체 토마토 종자 시장 3,000억원 이상으로 증가 예상 ○ 아시아 토마토 주시장의 개발 보급에 기여 - 동서남아의 주시장인 노지재배용 유한생장형 Saladette와 Sour & Flat 토마토 품종을 육성 보급하여... | 유한생장형,토마토,수출,노지재배,품종개발 | TYLCV,Tomato,Determinate,Export,cultivar | 500000000 |
64 | 2021 | 코로나19치료제·백신비임상지원(R&D)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4065 | VLP 기반의 코로나19 백신 개발 | Development of COVID-19 Vaccine Based on VLP | 오종민 | (주)LG화학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 20210510 | 20220509 | 바이오신약 개발기술 | 최종목표- CHO에서 생산한 SARS-CoV-2 RBD와 HBsAg VLP인 당사의 유박스 원액을 Chemical Conjugation 을 통해 최종적으로 얻어진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인 RBD-HBsAg VLP의 임상 1상 IND 승인세부목표- 임상시험용 의약품 생산공정 연구- In vivo 유효성 평가- IND 승인을 위한 비임상 GLP 독성시험-... | 1) 비임상에서 효능 및 안전성이 확보되어 임상 1상 IND 승인이 나면 이후 임상 시험을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승인을 받아 안전성과 효능이 확보된 코로나19 백신을 판매하고자 함.2) 본 백신후보물질은 SRAS-CoV-2 의 주요 항원으로 알려진 RBD와 Self-assembly 기능을 보유하여 Virus-Like Particle (VLP)을 형성할 수 있... | 리셉터 바인딩 도메인,B형 간염 백신,바이러스 유사 입자,코로나 19 백신,접합 | RBD,HepB Vaccine,Virus Like Particle,Covid19 Vaccine,Conjugation | 1600000000 |
57 | 2021 | 차세대농작물신육종기술개발(R&D) |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 | 1395067450 | 유전자교정 기반 형질 개선 당근 육종소재 개발(1주관) | Development of carrot breeding lines with high value using genome editing technology(1) | 정민 | 농업회사법인(주)농우바이오 | 경기도 안성시 | 20200101 | 20211231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만추대 홍색 당근 유전자 교정체 식물체 생산흰가루병 저항성 유전자 당근 교정체 생산식물체 생산 후 돌연변이 분석 | ○ 추대 및 흰가루병 내성 유전자의 돌연변이체 식물체 생산타겟 유전자의 돌연변이 분석식물체 생산 및 세대진전 | 당근,유전자교정,만추대,근색,흰가루병 | Carrot,Genome editing, Late flowering, Root color, Powdery mildew | 100000000 |
58 | 2021 | 감염병예방치료기술개발사업(R&D)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3298 | A형 간염 백신의 고효율 생산 공정개발 및 백신 유효성 평가 | Development of Hepatitis A Virus High-Yield Production Process and Vaccine Feasibility Evaluation | 이건세 |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주) | 경기도 성남시 | 20201006 | 20220331 | 기타 보건의료 관련 응용기술 | A형 간염 백신 원천기술 확보 및 백신항원 개념검증 수준의 공정개발 백신 원료물질로서의 A형 간염 바이러스의 특성 확인 백신 생산단가(CoGS)의 효율적 감소를 위한 배양시스템 도입 A형 간염 백신 제형 개발 및 동물 면역원성(Non-GLP) 확인 A형 간염 백신 항원으로서의 적용가능성 (Feasibility) 제시 | 향후계획 백신 개발의 선도물질로 설정한 바이러스주의 백신주 적용 가능성 최종 평가 TPP 및 QTPP 재점검 후 전임상시험 (GLP) 수행 여부 및 개발 방향 설정 기대효과 백신생산, 바이러스주 및 생산기술의 이전, 기술 제휴 등으로 기술 경쟁력 확보 새로운 배양 시스템 도입으로 백신 생산 효율성 증... | A형간염바이러스,불활화백신,동물면역원성,A형간염백신 | Hepatitis A Virus,Inactivated Vaccine,Immunogenicity,Hepatitis A Vaccine | 1000000000 |
73 | 2021 | GoldenSeed프로젝트(R&D)(농진청) |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 | 1395067889 | 수출용 단옥수수 품종개발 및 수출기반 조성(1주관) | Development of Sweet Corn Varieties and Establishment of Corn Export Foundation(1) | 최순호 | 농업회사법인(주)농우바이오 | 경기도 여주시 | 20170101 | 20211231 | 농업·해양 생물자원의 보존 및 이용기술 | ○ 열대아시아 지역 적응 단옥수수 품종개발○ 극동아시아/온대 지역 적응 단옥수수 품종개발 ○ 단옥수수 개발 품종의 현지적응성 검정 및 전시포 운영으로 인한 품종 홍보○ 단옥수수 종자 수출을 위한 마케팅 인프라 구축 및 판매 전략 수립 | ○ 제2세부 프로젝트 : 품종개발(단옥수수) 지원 체계 및 옥수수 종자시장 개척 인도 현지 법인 연구소를 이용한 우수 계통 및 조합 선발 인도, 인도네시아에서의 농가 실증시험을 통한 우수 조합 선발 전시포 운영에 따른 농민과 거래처에 개발품종 홍보 인도, 인도네시아 거래처 확보에 따른 판매 권역 확대 동남아 시장 진입에 따른 단옥수수 수출... | 단옥수수, 옥수수 품종개발, 옥수수 생산, 옥수수 수출전략, 육종 | Sweet corn, Development of corn varieties, Maize seed production, Corn export promotion strategies, Breeding | 240000000 |
7 | 2021 | 핵심농자재국산화기술개발(R&D)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3396 | 곰팡이 방제용 미생물 농약 제품 등록 | Registration of microbial fungicides products | 임진영 | (주)농협케미컬 | 충청북도 옥천군 | 20210401 | 20251231 | 동식물 병해충 제어기술 | ○ 정성적 목표 : 미생물 농약의 제품 등록과 등록 제품의 마케팅 및 상용화1단계: 미생물 농약1의 등록 시험 진행 및 적용방법 확립2단계: 미생물 농약2의 등록 시험 진행 및 적용방법 확립○ 정량적 목표 : 농약 등록 시험 진행 2건 | · 미생물, 생화학 살균제 등록을 통한 농업인의 난방제성 토양 방제제 수요 충족· 친환경 농업 확대를 통한 동종 친환경 산업 발전의 토대 마련· 친환경유기농산물 재배를 통한 친환경 농산물 수확 증대로 양질의 친환경 농산물 공급 확대· 친환경 농가 소득 증대 및 친환경 농업 보급 확대 기대· 유용 미생물 분리 및 기능 규명으로 국내자원 보존 및 우수자원 산업... | 미생물농약,바이오 농약,고추 탄저병,감귤 더뎅이병,토마토 잿빛곰팡이병 | microbial pesticide,bio fungicide,Pepper/Anthracnose,Mandarin/Scab,Tomato/Gray mold | 140000000 |
29 | 2021 | 수요자맞춤형육종자원대량신속발굴기술개발(R&D) |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 | 1395069747 | 배추과 채소 유전자원의 주요 병 저항성 평가체계 구축(3공동) | Development of Effective Massive Screening Method and Evaluation of Resistance to Crucial Disease in Brassicaceae Vegetable Germplasm (3) | 박종영 | 농업회사법인(주)농우바이오 | 경기도 여주시 | 20190201 | 20231231 | 농업·해양 생물자원의 보존 및 이용기술 | 1) 균주 수집 및 병원성 검정 수집된 균주 증식 균주 병원성 검정 및 레이스 확인2) 배추 유전자원 뿌리혹병 평가 및 선발 배추 200점3) 무 유전자원 뿌리혹병 평가 및 선발 무: 300점4) 양배추 등 유전자원 뿌리혹병 평가 및 선발 양배추등 기타 : 100점 | 농업유전자원센터 및 국외 유전자원 보존 기관인 종자은행에서 배추과 뿌리혹병 저항성 평가 기술의 표준화가 되어 있지 않아 본 연구결과 향후 고효율 내병성 대량평가체계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음 | 배추과, 양배추, 무, 병저항성, 생물검정, 분자마커 | Brassicaceae, Kimchi cabbage, radish, cabbage, resistance to disease, bioassay, DNA marker | 60000000 |
43 | 2021 | GoldenSeed프로젝트(R&D)(농림부,산림청,해수부) | 다부처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3868 | 복합내병성(바이러스병, 노균병 등) 배추 개발 | Development of multiple disease resistance Chinese cabbage | 채원기 | 농업회사법인(주)농우바이오 | 경기도 여주시 | 20170101 | 20211231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 단원통형 복합내병성(바이러스, 노균병 등) 배추 품종 개발 및 수출.- 복합내병성(바이러스, 노균병 등) 배추 2품종을 개발하여 해외 시범포 운용을 통한 현지 적응성 시험 및 경제성 평가를 통해 목표(400만$) 수출액 달성.- 해외 전시포 운용을 통한 수출 인프라 구축으로 시장 활로 개척 및 확대. | - 거대 시장인 중국시장(규모 약 1,565억원) 공략으로 한국 배추 종자 산업 활로 모색- 뿌리혹병 발생 증가로 내병성 품종 수요 증가 및 고품질 채소 수요 증가에 따른 F1 시장 증가 예상- 각 국가별, 지역별 맞춤, 고품질 복합 내병성 품종 개발로 수출 시장 우점 가능- 기존 품종 대비 차별화된 우수 품종 보급으로 중국 내 국내 브랜드 인지도 상승- ... | 배추,만추대,뿌리혹병,고품질,복합내병성 | chinese cabbage,Late-bolting,Clubroot,High-quality,Multiple disease resistance | 300000000 |
60 | 2022 | 반려동물전주기산업화기술개발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6551 | 반려동물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 처방식 사료 개발 및 사업화 | Development of Pet Diet to treat for atopic dermatitis using medicinal plants or food by-product | 조우재 | 제일사료(주) | 대전광역시 대덕구 | 20220401 | 20241231 | 기능성 바이오소재 기반기술 | ○ 반려동물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 기능성 원료 2종 개발 및 처방식 사료 3종 개발-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 기능성 원료 개발- 반려동물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 - 반려동물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 처방식 사료 개발 및 사업화 | ○ 특허출원 4건, 특허등록 2건(SMART값 BB등급 이상), 학술발표 3건, 논문(SCI) 3편, 제품화 3건, 기술이전 1건, 매출액(국내 10억, 수출 6,000만원), 고용창출 2명, 기술료 10백만 원, 교육지도 2건, 인력양성 3명, 홍보전시 6건○ 처방식 국산화 3건, 기능성 신규 소재 개발 2건○ 반려동물 피부질환용 제품 개발의 경쟁력 확보... | 아토피 피부질환,식이 알러지,처방식,기능성 소재,반려동물 | atopic skin disease,food allergy,prescription diet,functional material,companion animal | 160000000 |
51 | 2021 | GoldenSeed프로젝트(R&D)(농림부,산림청,해수부) | 다부처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4290 | 원형계 수박 품종개발 | Breeding of new round shape watermelon | 김성훈 | 농업회사법인(주)농우바이오 | 경기도 여주시 | 20170101 | 20211231 | 농업·해양 생물자원의 보존 및 이용기술 | ● 고품질 내병성 원형계 수박 신품종 5품종 개발 - 저온기 착과력이 우수한 고당도 수박 3품종 개발 - 내병성(탄저병, 흰가루병 등) 및 재배 안정성이 우수한 수박 2품종 개발● 2021년 종자수출 목표 300만불 달성● 내병성(탄저병, 흰가루병 등) 유전자원 수집 및 내병성계 수박 계통화 | ● 고품질 내병성 원형계 수박품종 개발에 따른 해외 현지법인을 활용한 해외 종자시장 진출 가능성 제고 및 신규시장 개척 - 최대 시장인 중국의 저온기 하우스재배 수박 품종의 종자 시장은 약 1억 달러 규모이며, 이 중 1/5을 고품질계 시장으로 전환시 2,000만 달러의 신규시장 형성● 중국 및 동남아 등 고품질 원형계 수박 시장 진출을 통해 종자 수출의 ... | 수박,저온기,수송성,고품질,교배종 | Watermelon,Low temperature,Shipping quality,High quality,F1 hybrid | 280000000 |
66 | 2021 | GoldenSeed프로젝트(R&D)(농림부,산림청,해수부) | 다부처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3805 | 수출용 중과형 파프리카 품종 개발 | Development of medium-sized paprika varieties for europe markets. | 양동철 | 농업회사법인(주)농우바이오 | 경기도 안성시 | 20170101 | 20211231 | 농업·해양 생물자원의 보존 및 이용기술 | □ 유럽시장에 적합한 복합내병성 중과종 파프리카 6품종 개발을 통한 2021년 종자수출 135만불 달성 ○ 지중해권, 동유럽권 등의 재배환경을 고려한 생리장해에 안정적이고 저장성이 우수하며 상품성이 균일한 품종 개발○ 재배작기, 과실색상, 과실사이즈, 과실형태별로 세분하여 시장요구도 맞춤형 6품종 개발○ 유럽시장에서 기본적으로 요구하는 PMMoV,... | ○ 육종 시스템의 구축을 통한 다양한 파프리카 육종이 가능해지며, 신규 글로벌시장 개척에 큰 역할을 담당 ○ 파프리카 종자 시장이 1000억 이상인 유럽시장에 국산 종자로 진입함으로써 고가 종자 수출을 통한 수익창출○ 국내시장에도 적용 가능하여 수입종자에 대한 대체효과도 기대 | 파프리카,교배종,내병성,육종,유럽 | Paprika,F1 hybrid,Resistance,Breeding,Europe | 231000000 |
4 | 2022 | 스마트팜다부처패키지혁신기술개발사업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5916 | 스마트 축산 빅데이터와 유전체정보를 연계한 축우 개량형질 및 평가모형 개발 | 민홍립 | 농협경제지주(주) 축산연구원 | 경기도 안성시 | 20210407 | 20241231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연구최종목표 : 스마트 축산 빅데이터 활용 축우 개량형질 및 유전평가모형 개발-연구 단계별 목표 1단계 : 스마트 빅데이터와 유전체 정보 통합분석을 통한 신규개량형질 발굴 2단계 : 통합 유전평가 모델 적용 축우 개량 스마트 의사결정 솔루션 개발및 실증 | · 다양한 신규 형질 발굴 및 유전체 유전능력에 기반한 우수한 축우(한우/젖소) 선발 시스템 구축을 통한 축우(한우/젖소) 개량방향의 제시 - ICT를 기반으로 생성된 각종 데이터를 유전체 정보와 연계한 통합분석 및 평가를 통하여 기존의 표현형 자료의 수집 및 활용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다양한 신규 경제형질 개발 - 신규 경제형질 발굴, ... | 빅데이터,의사결정솔루션,한우,유전체,유전평가 | Big data,Decision making solution,Hanwoo,SNP,Genetic evaluation | 100000000 | |
16 | 2021 | 의약품등안전관리(R&D) | 식품의약품안전처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1475012271 | 국내 개발 화장품 원료 등 안전성 평가 지원 체계 구축 연구(1) | Research on establishing support system for safety evaluation of domestically developed cosmetic ingredients | 신송석 | (주)현대바이오랜드 | 충청북도 청주시 | 20210315 | 20211214 | 생명공학 산물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기술 | 1) 화장품 사용 원료에 대한 안전성 등 평가체제 구축 지원을 위한 타당성 조사- 국내 화장품 원료 안전성 평가체계 현황파악- 중국 2021년 신규 화장품 감독 관리 조례 내 원료관리 항목 및 안전성 평가 항목의 주요 내용 파악- 글로벌 화장품 제조사 혹은 원료 회사들의 원료 요청 수준 조사- 국내 소재 형태별 (천연원료, 유화제, 제형 소재, 입자 등 분... | 안전성 체계 보고서 작성 및 통합시스템 마련.업계 화장품 원료 자율 평가시스템 마련과 지원과제 마련 업계의 안전성 평가 시스템 이용률을 증대하기 위한 동물대체시험법 전문 시험기관과 안전성 평가 기관에 지원시스템 마련 촉구국제적 경쟁력 있는 소재를 위한 선제적으로 안전성 자료를 포함한 화장품 원료 표준양식 마련.1) 기대효과- 한국 내 화장품 원료 안전성 이... | 화장품, 원료, 위해평가, 안전성 | Cosmetics, Ingredients, risk assessment, safety | 80000000 |
55 | 2021 | GoldenSeed프로젝트(R&D)(농림부,산림청,해수부) | 다부처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3710 | 복합내병성 및 재배안정성이 우수한 타원형 무 품종개발 | Development of radish with excellent resistnace to various diseases and growth for seed expor | 임채완 | (주)팜한농 | 경기도 안성시 | 20170101 | 20211231 | 농업·해양 생물자원의 보존 및 이용기술 | ○ 최종 목표 : 복합내병성, 내서성 등 재배안정성이 우수한 무 신품종 4종 개발. 최종년도 종자수출 200만불 이상 달성○ 세부프로젝트 목표 및 주요 내용 : - 순백색 근피의 생리장해가 안정적인 백수계 품종개발 - 맛/식미가 우수하고 재배 폭이 넓은 만추대 무 품종개발 - 근장 및 근비대력이 우수하고 내한성이 강한 무 품종... | ○ 중국 무 종자 시장은 재배 시기별, 형태별, 지역별로 세분화되고 있으며 이에 적합한 품종이 요구되고 있음. F1 품종 전환과 단가 상승을 통해 시장 규모 급증이 예상되며 그에 따라 만추대성, 내서성, 내한성 등 재배안정성과 복합내병성의 고품질의 무 시장으로 확대될 가능성 높음○ 형태별, 지역별 맞춤형 품종과 복합내병성 품종의 개발로 중국 수출시장 점유율... | 무,만추대,백수계,내서성,분자육종 | Radish,Late bolting,White shoulder,Heat tolerance,Marker assisted breeding | 240000000 |
26 | 2022 | 혁신성장동력프로젝트(산업부)(소특회계)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618 | 수송기기 경량화 대응 고강도, 고성형성 5000계 및 6000계 저원가 알루미늄 판재 합금설계 및 연속제조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High-strength and High-Formability Aluminum Alloy Sheets to build Infrastructure of Automotive Lightweight Sheet | 정유동 | 현대제철주식회사 | 기타 기타 | 20170801 | 20231231 | 기타기초·기반기술 | [주관연구개발기관명 : 현대제철] o 6000계 설계합금 대상 급속응고 판재 시생산 및 기술 검토 o 6000계 설계합금 연속열처리 석출 메커니즘 규명 및 최적모델 구축[공동연구개발기관명2 : 조일알미늄] o Door용 구조재 6000계 알루미늄 개발 합금 판재의 양산 주조 및 압연 기술개발 o 5000계 개발 합금 양산 최적화[공동연구개발기관명3... | [주관연구개발기관명 : 현대제철] o 6000계 설계합금 대상 급속응고 판재 시생산 및 기술 검토 - 급속응고거동 메커니즘 규명 및 주조기술 내재화 o 6000계 설계합금 연속열처리 석출 메커니즘 규몇 및 최적모델 구축 - 연속열처리 기술 내재화 및 합금 조성별 최적조건 수립[공동연구개발기관명2 : 조일알미늄] o Door용 구조재 60... | 고강도 고성형성 알루미늄 합금,균일미세조직,압연,집합조직,열처리 | High Strength and Formability Aluminum Alloy,Homogeneous Microstructure,Rolling,Texture,Heat Treatment | 2865500000 |
18 | 2022 | 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과기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6289 | 유전자변형 마우스의 방사선에 대한 면역 표현형 분석 기반 연구 | Studies on radiation-induced immunological phenotypes of genetically-engineered mouse | 이상욱 | 서울아산병원 | 서울특별시 송파구 | 20141226 | 20231119 | 생명현상 및 기능연구 |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변형 마우스(GEM)에 저선량에서 고선량의 방사선을 조사하고 방사선에 기인한 GEM의 shadow 표현형을 찾아내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함. 즉 자극이 없는 상태에서는 나타나지 않은 표현형이 방사선 조사 후 나타나는 표현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는데, 특히 방사선 조사에 의해 유도되는 면역 표현형 분석에 집중하고자 함. 이 결과로 방... | 본 연구에서는 다수의 유전자변형 마우스를 제작하고, 방사선을 조사해 나타나는 표현형, 특히 염증 반응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면역학적 표현형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표준화된 표현형 분석 기술 및 기반 구축하게 됨. 따라서 향후 국내·외적으로 만들어지는 수많은 GEM에 대한 관련 표현형 분석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또한 본 연구의 ... | 유전자변형 마우스,면역 방사선,표현형 분석,염증반응,면역체계,유전자분석,방사선민감성분석,암형성평가 | Genetically engineered mouse,Radiation immunology,Phenotyping,Inflammation,Immune system,Gene analysis,Radiosensitivity,Carcinogenesis assessment | 130400000 |
13 | 2021 | 맞춤형혁신식품및천연안심소재기술개발(R&D)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3605 | 국산밀가루를 활용한 제빵 제품 개발 및 상품화 |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bakery products using domestic wheat flour | 조현 | 롯데제과(주) | 서울특별시 강서구 | 20200420 | 20211231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최종목표 - 롯데제과(협동연구기관): 국산 밀을 활용하여 제빵 신제품 1건(빵류) 이상을 생산·판매 한다세부목표 가) 국산 밀 밀가루 분석 및 제빵, 아이스크림콘 과자 적성에 맞는 국산 밀 품종 선정 - 밀가루 단백질 함량에 따른 제과, 제빵, 아이스크림콘에 적합한 밀 품종 선정 나) 국산 밀 밀가루를 활용한 신제품 개... | - 현장적용 방안: 분석을 통하여 제빵, 아이스크림콘 과자에 적합한 국산 밀 선정, 빵류, 아 이스크림콘 형태로 신제품 개발 및 생산, 판매 예정 - 사업화 계획: 개발된 제품을 활용하여 대리점, CVS 등의 유통 채널에 판매할 계획이며, 후 국산 밀 적용 신제품 Line-up 계획 | 국산밀,제분기술,가공적성,밀가공식품,종자순도 | domestic wheat,milling technique,processing quality,wheat processed food,purity of seed | 103350000 |
14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7115 | 폐질환 저선량 정밀 진단 위한 흉부 토모센테시스 AI 기술 개발 및 검증: 고유 화질 왜곡 문제 해결 및 비학습 폐질환 검출 기술 개발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I-based tomosynthesis for precise low-dose diagnosis of lung diseases: unique artifact removal and anomaly detection | 김경수 | 삼성서울병원 | 서울특별시 강남구 | 20210601 | 20240229 | 의과학·의공학 기술 | 연구 목표● 폐질환 저선량 정밀 진단 위한 흉부 토모센테시스 AI 기술 개발 및 검증: 고유 화질 왜곡 문제 최초 해결 및 처음 보는 비학습된 임의 폐질환 검출 기술 최초 개발 연구 범위● CDTS 시스템의 고유 화질 왜곡 문제를 AI로 최초 해결해 화질 개선 (1차년도) ● CDTS 폐질환 병변 자동진단 AI 기술 최초 개발 (2차년도)● 개발한 1/2차... | ▶ (화질 개선 효과) CDTS는 CT 대비 1/10의 방사선량을 사용하는 저선량 기기이며, 무엇보다 많은 의학 논문에서 CDTS가 병변 진단 성능이 기존 엑스레이 기반 의료기기보다 우수함이 임상적으로 입증됨. 하지만 아직 CT 대비 복원 영상의 화질 저하 문제가 있음. 본 연구는 이 화질 문제를 인공지능을 통해 개선하여 CDTS가 CT에 견주는 해상력을 ... | 인공지능, 흉부 디지털 토모센세시스 영상 왜곡 문제 해결, 흉부 디지털 토모센세시스 임의의 폐질환 환자 분류 | Artificial intelligence - Image distortion resolution and unsupervised learning-based anomaly detection for general chest lesion diagnosis,Artifact removal for chest digital tomosynthesis ,Anomaly det... | 40948000 |
12 | 2021 | 포스트게놈신산업육성을위한다부처유전체사업(R&D)(농림부)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3611 | 기능성 유산균을 활용한 미강발효제품의 산업화 | 김아진 | CJ제일제당(주) | 경기도 수원시 | 20180425 | 20211231 | 유전체기반 기술 | ○ 최종목표: 기능성 김치 유산균을 활용한 미강발효제품 개발 및 산업화○ 세부목표 1) 전략 미생물: 기능성 김치 유산균의 개발 - 2건 이상 (기능성: 항콜레스테롤능, 항비만능, 항균능 등) 2) 기능성 김치 유산균을 활용한 미강발효 ① 미강발효 후 109 CFU/mL 생육도 달성 ② 미강발효물의 기능성 평가(동... | ○ 활용계획 - 기능성 미강발효제품의 산업화: HOPE 시니어 팻다운(건강기능식품) - 미강발효제품의 열풍건조 분말 제형화로 선식, 이유식, 노인식, 환자식 등 특수식 개발 - 미강발효제품의 열풍건조 플레이크로 씨리얼 제품 개발 - 개발기능성유산균을 발효식품 종균으로 활용 - 개발기능성유산균을 임상실험을 통하여 건강기능식품(개별 인정형) 개발○... | 김치 유산균,미강,고기능성 미강발효제품,건강기능,항콜레스테롤능 | Kimchi lactic acid bacteria,Rice-bran,High valued fermented rice bran,Healthy functionality,Cholesterol-lowering activity | 148000000 | |
30 | 2022 |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6183 | 우유유래 기능성 펩타이드 적용 완제품 개발 | 김아진 | 씨제이웰케어 주식회사 | 서울특별시 중구 | 20220401 | 20251231 | 기능성 바이오소재 기반기술 | 우유 유래 기능성펩타이드의 대량생산 기술 확보 및 이를 활용한 제품 개발 1) 기능성 펩타이드소재 3건을 이용한 (수면, 항비만,항산화 및 인지기능개선 등) 기능성 펩타이드 적용 완제품 2건 이상 3) 특허등록 1건 4) 고용창출 4명 | ● 수면장애, 인지기능감소 및 비만에 대한 치료제 처방과 함께 치료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써 활용이 가능하며, 유효 기능성 성분 대량 함유된 추출기술, 생산기술 및 원료제형화, 제품 포뮬레이션, 제형제재(과립, 분말 등) 및 포장 기술을 확보가 가능● 증가하는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활성 펩타이드 소재의 기능성 인증 및 산업화를 위한 핵심기... | 우유,유단백질,가수분해,대량생산,메디푸드 | Milk,milk protein,hydrolysis,mass production,medical food | 40000000 | |
24 | 2021 | 농축산물수출확대장애요인해소기술개발(R&D) |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 | 1395069057 | 농산물 수출촉진을 위한 수출국 농약잔류허용기준(IT) 설정연구(4공동) |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Import Tolerance(IT) for Export Promotion of Agricultural Commodity (4) | 나은식 | (주)한국인삼공사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80101 | 20221231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인삼 수출국의 인삼에 대한 잔류허용기준(IT) 설정 대미 수출 인삼에 대한 GLP 잔류 시험(2성분 각 3포장) 미국의 인삼 농약잔류허용기준(IT) 설정 자료 생산 및 기준(안) 마련 | 수출 인삼제춤에 대한 잔류농약 안전성 확보로 수출 활성화인삼의 해당국 수입식품잔류허용기준(IT) 설정을 통한 선제적 대응으로 수출농가의 현장애로 해결결과값에 따른 기존 잔류허용기준 개정자료로 활용하여 인삼 중 잔류농약의 안전성 확보인삼의 해당국 IT 기준 설정으로 국제적 조화에 기여 및 국제적 위상 제고 | 수출, 농약 | Export, Pesticide | 100000000 |
65 | 2021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R&D)(과기정통부,복지부,산업부) | 다부처 | (재단)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 | 1711138125 | (참여1)환자중심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공지능, 클라우드, WiFi6 기반의 병원 대상 IoMT 표준 플랫폼 개발 및 임상적용 | 최병훈 | LG전자(주) | 서울특별시 중구 | 20200901 | 20241231 | 의과학·의공학 기술 | 다양한 IoMT 기기가 적용될 수 있는 표준환경을 구축을 통해 병원내 환자의 주요 활력징후에 대한 seamless한 모니터링 및 병원 정보 시스템과의 데이터를 통합하고 AI 학습을 통해 환자별 신속/정확한 의료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IoMT 기반 표준 플랫폼 개발 | 고객가치 - 의료서비스 신뢰도/만족도 증대 : 환자 미세 증상/변화에 대한 신속/정교한 진단과 개인별 최적화된 진단 및 치료, 예후 관리 제공 - 의료진의 업무 집중도 및 의료시비스 품질 향상 : 환자 활력징후 진단, 관찰, 기록 업무 자동화를 통해 진료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간호사정/진단 시간 절감 및 간호 업무 집중도 향... | IoMT,병원정보시스템, 의무기록, 인공지능, 표준 플랫폼 | IoMT,HIS,EMR,AI,platform | 83400000 | |
52 | 2021 | GoldenSeed프로젝트(R&D)(농림부,산림청,해수부) | 다부처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3838 | 검은썩음병, 시들음병 저항성 조중생계 양배추 품종 개발 | Development of Black rot and Yellow wilt Resistant varieties of early/mid-maturity Cabbage | 이영표 | (주)팜한농 | 경기도 안성시 | 20170101 | 20211231 | 농업·해양 생물자원의 보존 및 이용기술 | ○ 최종 목표 - 수출용 품종 및 내수용 양배추 3품종 개발, 품종 등록 2건, - 2021년 종자수출 130만달러, 국내 매출 70백만원○ 연구 목표 - 조생계 시들음병 및 검은썩은병 저항성 3품종 개발 (중국 수출용 품종 2건, 동남아 수출용 1건) - 품종등록 2건 (수입 대체용 품종 1건, 중국 수출용 1건) - 2021년 종자수출 130만... | - 중/유럽/동서남아 시장에 적합한 다양한 유전자원의 확보 - 분자마커/병리/소포자 배양 기술과 전통육종과의 접목으로 상업화 성공 모델 제시 · 분자마커 활용 내병성 개체선발 기술 축적 · 분자마커와 병리 기술을 동시에 활용하여 복합 저항성 계통 육성 기술 확보 · MABC 기술을 이용한 육종 기간 단축 기술 축적 · 소포자 배양을 통한 계통 ... | 양배추,시들음병,검은썩음병,뿌리혹병,육종 | Cabbage,Fusrium Yellows,Black rot,Club root,Breeding | 296000000 |
48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9198 | 턱교정 수술에서 최종교합설정을 위한 치아교합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개발 | Development of a dental occlusion simulation system | 안재명 | 삼성서울병원 | 서울특별시 강남구 | 20210601 | 20230228 | 기타 보건의료 관련 응용기술 | [연구 목적]3차원 상에서 치아 모델의 해부학적 특징점을 추출하고 정상적인 교합을 위한 특징점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실제와 유사한 물리적 환경에서 최적의 최종 교합을 판단.[최종목표]● 3차원 상의 치아 모델에서 최적의 최종 교합을 설정하는 시뮬레이션 개발● 자동 최종 교합 시뮬레이션과 수동 최종 교합 시뮬레이션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통합● 최종 교합... | ● 최종 교합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심한 교합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합 조정이 수행됨. 교합 조정은 심한 교합 간섭으로 인해 교합이 높은 부위를 표시 및 삭제하는 시술로 삭제 부위에 따라 교합의 결과가 달라지므로 세심한 계획이 필수적임. ● 석고 모형은 삭제 후 되돌릴 수 없으므로 여러 개의 석고 모형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음.● 최근... | 가상치아교합,턱교정수술,시뮬레이션 | Virtual dental occlusion,Orthognathic surgery,Simulation | 40948000 |
45 | 2021 | GoldenSeed프로젝트(R&D)(농림부,산림청,해수부) | 다부처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3834 | 수출 및 수입 대체용 내추대성 단일계 양파 품종 개발 | Development of bolt-tolerant short day onion varieties for export promotion and import substitution | 김규현 | 농업회사법인(주)농우바이오 | 경기도 여주시 | 20170101 | 20211231 | 농업·해양 생물자원의 보존 및 이용기술 | ● 수출 및 수입 대체용 고품질계 양파 품종(6품종 이상) 개발- 내추대성 및 조숙성 황색계 조생종 양파 품종(2품종 이상) 개발- 고저장성 및 다수확형 황색계 중만생종 양파 품종(2품종 이상) 개발- 다수확형 및 중장기 저장성 적색계 중만생종 양파 품종(1품종 이상) 개발- 쿼세틴 고함유(200 mg/kg FW 이상) 황색계 중만생종 양파 품종(1품종 이... | ● 내추대성 및 다수확형 고품질계 양파 품종의 개발에 따른 중국을 비롯한 해외 종자 수출 시장 개척 및 수출 실적 제고● 본 연구의 주관기관(농우바이오)은 중국 현지법인과 더불어 해외 종자시장 진출을 위한 해외사업부가 설치 운영되고 있으며, 중국을 비롯하여 유럽, 미주, 중동, 아프리카 등 전 세계 각지에 거래처를 확보하고 있는 바,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 | 양파,내추대성,단일계,일대잡종,수출 | Onion,Bolting tolerance,Short-day,F1 hybrid,Export | 500000000 |
25 | 2021 | GoldenSeed프로젝트(R&D)(농림부,산림청,해수부) | 다부처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3547 | 만추대 중구형 배추 품종개발 | Development of late bolting medium chinese cabbage varieties | 채원기 | 농업회사법인(주)농우바이오 | 경기도 여주시 | 20170101 | 20211231 | 농업·해양 생물자원의 보존 및 이용기술 | · 수출 현지 맞춤형 품종개발로 수출 확대 - 수출 지역에 부합한 만추대, 월동용, 내병성, 황심 등 고품질계 중구형 등 2품종개발 · 종자 수출 목표(USD) - 2021년 100만불 | · 중구형 배추는 소구형 배추의 저수량성에 대한 수량성 향상, 대구형 배추의 1년1작 리스크를 줄일 수 있어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으며 종자시장규모도 확대되고 있음 · 고품질, 내병성 품종개발을 통한 고부가 가치 창출로 중국, 동남아 등 다양한 시장개척 기대 · 중국시장을 중점 타깃시장으로 현재 거래중인 현지 업체와의 유대관계를 강화하고, 해외현지 ... | 배추,만추대성,내병성,중구형배추,유전자원 | Chinese cabbage,Late bolting,Disease endurance,Medium Chinese cabbage,Germ plasm | 180000000 |
39 | 2021 | 스마트팜다부처패키지혁신기술개발(R&D)(과기정통부,농식품부,농진청) | 다부처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4629 | 스마트 축산 빅데이터와 유전체정보를 연계한 축우 개량형질 및 평가모형 개발 | 민홍립 | 농협경제지주(주) | 경기도 안성시 | 20210407 | 20241231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연구최종목표 : 스마트 축산 빅데이터 활용 축우 개량형질 및 유전평가모형 개발-연구 단계별 목표 1단계 : 스마트 빅데이터와 유전체 정보 통합분석을 통한 신규개량형질 발굴 2단계 : 통합 유전평가 모델 적용 축우 개량 스마트 의사결정 솔루션 개발및 실증 | · 다양한 신규 형질 발굴 및 유전체 유전능력에 기반한 우수한 축우(한우/젖소) 선발 시스템 구축을 통한 축우(한우/젖소) 개량방향의 제시 - ICT를 기반으로 생성된 각종 데이터를 유전체 정보와 연계한 통합분석 및 평가를 통하여 기존의 표현형 자료의 수집 및 활용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다양한 신규 경제형질 개발 - 신규 경제형질 발굴, ... | 빅데이터,의사결정솔루션,한우,유전체,유전평가 | Big data,Decision making solution,Hanwoo,SNP,Genetic evaluation | 100000000 | |
80 | 2021 | GoldenSeed프로젝트(R&D)(농림부,산림청,해수부) | 다부처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3401 | 크림슨 타입 수박 품종 개발 | Watermelon variety development with crimson type | 남기철 | (주)팜한농 | 경기도 안성시 | 20170101 | 20211231 | 농업·해양 생물자원의 보존 및 이용기술 | ○ 고품질 크림슨타입 수박품종 8점개발 및 수출액 100만 달러 달성 - 고품질, 복합 내병성 크림슨 타입 품종 3점개발 - 크림슨 타입의 고당도 육질 아삭거림이 우수한 품종 3점 개발 - 재배안정성, 수송성이 우수한 크림슨 타입 수박 품종 2점 개발 | □ 기대성과 ○ 기술적 측면 - 수박 품종개발에 대한 육종 인프라 강화 - 만할병 및 탄저병에 저항성 마커 개발로 분자마커등 기반 기술 축적 - 수박 병 저항성 계통육성으로 수출 기반 조성 및 국제경쟁력 확보 - 다양한 우수 유전자원 및 육종소재의 확보로 수출용 품종 육성의 기반 마련 ○ 경제 산업적 측면 - 부가가치가 높은 종자를 개발함으로써 ... | 수박,고품질,종자,수출,크림슨 | watermelon,high quality,Seed,export,crimson | 180000000 |
77 | 2022 |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핵심 기술개발사업 | 환경부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1485018751 | 환경성 폐질환 예측 인간 3D 조직모델 개발 | Development of toxicity evaluation for or Environmental Pulmonary Disease using human 3D tissue models | 손국희 | (의료) 길의료재단 | 인천광역시 남동구 | 20210401 | 20251231 | 환경 생명공학기술 | 인체 3D 조직모델 기반 환경적폐질환 발생경로 분석 및 독성예측 플랫폼 구축 | [활용계획]인간 3D 조직모델을 기반으로 한 정상 하기도 모델과 환경성 폐질환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환경 유해물질의 흡입 독성 예측 기술로 활용하며, 동물시험을 대체 실험법을 구축하고, 다양한 환경 유해물질에 의한 호흡기질환 발병, 악화 연구에 활용하고자 한다. [기대효과]최근 급격히 사용이 늘고 있는 에어로졸 형태의 살생물제를 비롯한 다양한 실내외 대기오... | 인간 3D 조직모델, 3D 환경성 폐질환 모델, 환경 유해인자, 대기오염 | 3D Human Tissue Model, 3D Environmental Lung Disease Model, Environmental hazards, Air pollution | 225000000 |
68 | 2021 | GoldenSeed프로젝트(R&D)(농림부,산림청,해수부) | 다부처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3731 | 국내 겨울재배용 품종 개발 | Development of paprika cultivar for domestic hydroponic winter-cultivation | 박성우 | 농업회사법인(주)농우바이오 | 경기도 여주시 | 20170101 | 20211231 | 농업·해양 생물자원의 보존 및 이용기술 | ○ 최종목표 : 환경적응형 수경재배용 신품종 7종 개발, 2021년 국내 매출액 20억원 달성 ○ 연구목표 - 겨울 수경재배에 적합한 복합 내병성(TMV, CMV, TSWV 등), 고품질 파프리카 7품종 육성- 일본 수출에 적합한 M사이즈 집중 육성 | ○ 파프리카 국산 종자로 대치함으로써 이에 따른 종자 구입 비용 감소로 생산비 절감 ○ 파프리카 생산비 절감을 통해 파프리카 수출 시 경쟁력 증대, 국내 소비 증진○ 초기 종자 비용 절감으로 산업 진입 장벽을 낮추어 파프리카 재배면적 및 생산량 증진○ 파프리카 생산량 증가에 따른 식품, 의료 분야 등 관련산업의 활성화○ 육종 시스템의 구축을 통한 다양한 파... | 파프리카,블로키,국내수경,겨울재배,여름재배 | Paprika,Blocky,Domestic, Hydroponic cultivation,Winter-season cultivation,Summer-season cultivation | 300000000 |
1 | 2022 | 스마트팜다부처패키지혁신기술개발사업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6024 | 생체정보 기반 개체별 정밀 사양관리 실증 | 민홍립 | 농협경제지주 | 서울특별시 중구 | 20210407 | 20241231 | 환경 생명공학기술 | 2세대 축우 생체정보 기반 스마트 정밀사양관리 기술개발 및 보급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축우사업 구현과 글로벌 경쟁력 제고- 2025년까지 10,000호 스마트팜 토탈 솔루션 보급, 매출 730만원, 투자 1,500백만원 달성- 2030년까지 매출액 266,905백만원, 수출액 1,868백만원, 투자유치 1,500백만원, 고용창출 107명 달성- 생산성 지표 ... | - ICT, 빅데이터, AI, 로봇 등 4차 산업혁명 기술과 축산 관련 기술의 융복합을 통한 4차 산업혁명의 선도모델 개발- 가축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의 생체변화의 해석도구로 활용함으로 번식, 영양, 질병 관련 과학적 사양관리 기술 정립에 기여- 개체인식 및 AI 사료 급여 시스템의 개발을 통한 유전자 맞춤형 사양관리 기술 발전에 기여- 한우 및 젖소... | 한우,젖소,센서 시스템,인공지능,스마트정밀사양 | Hanwoo,Dairy cow,Sensor system,AI,Smart precision feedin | 68000000 | |
67 | 2021 | 맞춤형혁신식품및천연안심소재기술개발(R&D)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4755 | 기능성 감미료를 이용한 저칼로리 복합감미제 개발 | Development of low calorie sweetener blends using functional sweetener | 박성희 | CJ제일제당(주) | 경기도 수원시 | 20190520 | 20220430 | 생물공정 기술 | ㅁ 바이오전환기술을 활용하여 RebaudiosideA 대비 맛품질 개선된 스테비아 고감미료 개발 - 스테비아에 위치 특이적인 당전이 기능 보유 신규효소 탐색 및 확보하여 산업화 가능한 효소반응 공정개발 | ㅁ 설탕 대체하여 당류저감 가능 산업화 소재개발ㅁ 신규 효소 및 생산균주 기술 특허화로 국내 기술 확보 및 보호ㅁ 천연 유래 고감미료 개발로 관련 산업 발전 및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 | 천연 고감미료,효소,당전이,스테비오사이드,네오헤스피리딘디하이드로칼콘 | High intensity sweetener,Enzyme,Glycosylation,Stevioside,NHDC | 442500000 |
2 | 2022 | 디지털육종전환기술개발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6492 | 양파 노균병 저항성 검정 체계 확립 및 육종 소재 발굴 | Establishment of a disease resistance assay system for downy mildew of onion and development of new genetic resources for onion breeding | 김규현 | (주)농우바이오 | 전라북도 김제시 | 20220401 | 20241231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 양파 노균병 저항성 검정 체계 확립 및 노균병 저항성 소재 발굴 및 육종○ 양파 기초대사 성분분석을 이용한 기능성 소재 발굴 및 육종○ 디지털육종 기반 구축을 위한 주요계통 특성 및 분자표지 유전자형에 대한 통합적 DB 구축 | ○ 경제적효과- 분자육종 시스템을 활용하여 고부가가치 F1 품종 육성에 기여- 고기능성 품종 개발로 고부가가치 창출 및 국민 건강에 기여- 70% 이상에 달하는 수입양파를 국산 F1 품종으로 대체하여 종자가격 안정화를 통한 농가부담 해소- 우수 F1 품종의 해외 수출로 종자산업 활성화 및 농업의 차세대 미래 성장 동력으로 부각○ 기술적 효과- 낙후된 국내 ... | 양파,병 저항성,노균병,기능성 소재,F1 조합 | Onion,Disease resistance,Downy mildew,Functional material,F1 hybrid | 160000000 |
47 | 2021 | 수산식품산업기술개발(R&D)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1250 | 배합육 성형기술 확보를 통한 참치스테이크 제품의 개발 및 상품화 | 안정석 | CJ제일제당(주) | 서울특별시 중구 | 20200420 | 20220630 | 농업·해양 생물자원의 보존 및 이용기술 | “수출 다변화용 가정간편식(HMR) 수산가공식품의 상품화에 의한 수출경쟁력 제고”1. 북미, 중국 및 ASEAN 시장 맞춤형 수산가공식품의 개발 및 상품화2. 대일 위생검사강화 품목 및 수출 상위 품목의 고차가공 기술개발 및 상품화3. 최신 고차 가공기술을 접목한 시장창출형 고부가가치 수산가공식품의 개발 및 상품화4. 개발대상 제품의 타깃국가별 품질기준규격... | ■ 사업기간내 개발제품의 수출 10억원 이상 달성 ○ 개발제품의 상품화 : 18건 ○ 개발제품 연계 기술이전 : 10건 ○ 개발제품(기술)의 국내 특허출원 : 6건 ○ 개발제품 연계 논문 표준화 영향력 지수 : >50% ○ 개발제품 연계 고용창출 : 20명 ○ 개발제품의 품질기준 규격화 : 18건 ○ 개발제품의 기호도 평가 : 18건 ○ 개발제품 연... | 수산가공식품,수출 다변화,가정간편식,가공기술,품질표준화 | Processed seafood,Export diversification,Home Meal Replacements,Seafood processing technology,Quality standardization | 260000000 | |
59 | 2021 | GoldenSeed프로젝트(R&D)(농진청) |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 | 1395070544 | 연구개발 성과 조기 확산 및 신규시장 창출 전략수립(2공동) | Development of Strategy for Early Application of Research Achievements and Creating of New Export Market through Them in Golden Seed Project(2) | 윤해석 | (주)한화 | 서울특별시 금천구 | 20170101 | 20211231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식량작물 R&D 및 마케팅 전문가에 대한 프로젝트 참여 지원 시스템 구축 구축된 시스템을 활용하여 GSP 연구 성과의 조기 확산 체계 구축 해외진출 농기업을 대상으로 한 GSP 성과확산 및 신규 종자 시장 창출 전략 수립 |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의 적시 투입으로 현지 사업추진 효율 극대화 다양한 국가의 환경조건에서 연구성과를 검증함으로서 연구결과 안정성 확보 기존 목표시장에 집중된 시장개척 활동영역을 확장함으로서 새로운 시장개척 가능 프로젝트 추진효율 제고와 시장개척 활동 활성화로 수출목표 달성 가능성 제고 | 식량종자, 벼, 감자, 옥수수, 종자수출 | Crop Seed, Rice, Potato, Maize, Seed export | 60000000 |
53 | 2022 |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5648 | 고령친화식품 적용을 위한 분지 아미노산 소재화 및 영양밀도 개선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branched amino acid materials and enhancement of nutrition density for the elderly foods | 신원선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서울특별시 성동구 | 20210401 | 20231231 | 식품생명공학기술 | 본 연구에서는 식품용 종균의 발효를 통하여 분지아미노산 함량을 향상시킨 단백소재 가수분해물의 단백질 강화용 소재를 활용하고 이를 적용한 연하식 제품을 개발하고자 함. 아울러, 고령자의 영양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신규 단백질을 소재화하고 영양밀도 향상기술을 활용한 식품을 개발하고자 함. | 분지아미노산 고함유 단백 소재의 생산을 위한 발효·소재화 기술 확보분지아미노산 고함유 단백 소재를 활용한 고단백 고령친화식품 개발 및 제조 기술 확보분지아미노산 강화, 고단백 연하식 제조기술 확보실버세대를 위한 기능성 식품 산업 등 고령친화 보건산업 발전에 기여정책적 측면으로 전반적인 노인건강관리서비스 향상에 기여 영양, 기능(경도, 부착성, 응집성)이 갖... | 고령친화식품,아미노산,식품영양,식품가공,물성 | Care Food,Amino acid,Food nutrition,Food processing,Rheology | 70000000 |
50 | 2022 | 지역주력산업육성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66514 | 뷰티 디바이스 기기에 적합한 화장품 신소재 개발과 이를 적용한 제품 개발 | The development of cosmetic ingredient and product for beauty device | 이춘몽 | (주)코리아나화장품 | 충청남도 천안시 | 20220401 | 20230331 | 기타기초·기반기술 | 소재 개발 1건 시제품 개발 1건 고용 2명(직접고용 2명) 학술발표 1건 소재의 시험분석시험검사 1건 시제품의 유통화장품 안전관리기준에 따른 시험분석검사 1건 시제품 주성분 검사 1건 시제품의 효능평가(인체적용시험) 1건 | 기술적, 경제적 성과-경제적 성과 목표 : 매출 1억원, 고용 4명(직접고용 2명, 간접고용 2명)-기술적 성과 목표 : 특허 출원 1건, 학술발표 3건, 논문 투고/게재 1건, 소재 개발 2건, 시제품 개발 2건, 제품 사업화 3건 기대효과- 본 과제를 통하여 개발되어지는 LLLT 기반의 홈 뷰티 디바이스 겸용 또는 전용으로 개발되는 소재, 제품은 아... | 뷰티 디바이스,LED 기기,항노화,천연물,저출력 레이져 요법 | Beauty device,LED device,Anti aging,Natural compound,Lower level laser therapy | 202500000 |
78 | 2021 | GoldenSeed프로젝트(R&D)(농진청) |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 | 1395069509 | 수출용 일대잡종 벼 품종개발 및 수출기반 조성(2공동) | Development of F1 hybrid rice variety and export infra for seed export(2) | 오창식 | (주)팜한농 | 충청남도 논산시 | 20170101 | 20211231 | 농업·해양 생물자원의 보존 및 이용기술 | ○ 최종목표 : 2021년까지 다수성 일대잡종 벼 4품종 개발, 수출액 200만달러 달성 ○ 연구목표 : 열대아시아 지역 적응 일대잡종 벼 4품종 개발● 잡종강세 육종연구를 통한 목표 지역 표준 품종대비 20% 이상 증수 안정적인 벼 일대잡종 생산체계 확립 및 보급체계 구축을 통한 시장 창출 및 수출달성● 종자생산성: 2 ~ 2.5톤/ha ... | ○ 기후 변화에 따른 내재해성을 갖춘 종자 수요 증대에 따른 일대잡종 벼 상업화 ○ 인도 시장의 수출 성장과 미얀마 농업중심 국가 조성계획에 따른 일대잡종 품종 정책 전환 미얀마 농업부와 협약에 의한 공동연구로 종자시장 확대 ○ 베트남 시장의 성장 대비 낮은 생산성 남부지역의 다비 다얼 직파재배지에 다얼형 장수형 2계 일대잡종 종자 개발... | 벼, 일대잡종, 웅성불임, 임성회복친, 생태형, 종자생산, 종자 수출기반, 현지화 기술 | Rice, Hybrid, Male sterility, Restorer, Ecotype, Seed production, | 103600000 |
32 | 2022 | 해양레저장비 및 안전기술 개발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3316 | 선박 자율운항용 환경 인식 센서 모듈 및 알고리즘 개발 | 한대용 | 아비커스 | 서울특별시 강남구 | 20220401 | 20271231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ㅇ 한국형 친환경 레저선박 표준선형, 설계·제작기술 지침 실용화·보급을 통해 외국 중고제품으로 잠식된 레저선박 시장에서 국내 레저선박 신뢰도·기술력 제고 및 가격 경쟁력 확보 ㅇ 인공지능·로보틱스를 융합한 수중 다이버 안전모니터링 및 지원기술을 세계 최초로 실용화하여 해군·해경 등 구조작전 및 민간 레저/산업 다이버의 안전사고 예방·대응 도모- 국제규정 적... | - 친환경 해양레저선박 표준 제작기술 개발 및 안전사고 저감을 위한 수중 다이버 활동 안전지원 로봇기술 개발을 통한 해양레저산업 경쟁력 제고- 수상레저기구는 인력의 기술 집약형 산업으로 매출 천억원당 1,190명의 고용 창출, 세계 수상레저기구(레저선박) 연간 신규건조 척수가 2,500만천으로 사업화 기회 확보- 세계적으로 전무한 레저용 수중로봇, 수중 안... | 친환경 레저선박 제작 기술,안전지원 수중로봇,로봇-다이버 HRI 시스템,레저용 소형 유인 잠수정,생체신호 측정 웨어러블 디바이스 | Ecofriendly leisure vessel manufacturing technolog,Safety support underwater robots,Robot diver HRI systems,Small submersibles for marine leisure,Biosignal measurement wearable device | 100000000 | |
42 | 2021 | GoldenSeed프로젝트(R&D)(농림부,산림청,해수부) | 다부처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4031 | 무한생장형 LSL 대과 및 중장기 재배 방울토마토 품종 육성 | Varieties development of Indeterminate growth LSL large size tomato and long-term type cherry tomato. | 이재무 | 농업회사법인(주)농우바이오 | 경기도 이천시 | 20170101 | 20211231 | 농업·해양 생물자원의 보존 및 이용기술 | ○ 최종목표 : 무한생장형 글로벌 토마토 품종 6종 개발 및 2종 출원, 2021년 종자수출 200만불, 국내 판매 4,000백만원 달성 ○ 세부과제 연구목표 : - 내한성과 내서성이 강한 대과종과 과색별 고식미 방울토마토의 무한생장형 토마토 6품종 개발 및 2종 출원, 2021년 종자수출액 200만불 달성 - 국내 시장에도 적용 가능한 대과... | ○ 해외 진출로 협소한 국내토마토 종자시장 탈피를 위한 발판 마련 (2012년 기준 토마토 시장 1조 4000억원) - 2021년 아시아 전체 토마토 종자 시장 3,000억원 이상으로 증가 예상 ○ 아시아 및 동유럽 토마토 주시장의 개발 보급에 기여 - 중국지역 및 동유럽 하우스와 노지재배에 적합한 맞춤형 LSL 대과종 토마토 및 과색별로 차... | 무한생장형,토마토,수출,대과종,소과종 | indeterminate,Export,Tomato,TYLCV,LSL | 534000000 |
70 | 2021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R&D)(과기정통부,복지부,산업부) | 다부처 | (재단)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 | 1711137861 | (참여3)R2R 전자동 대량 신속 저비용 진단 플랫폼 개발 | 이현주 | LG전자(주) | 서울특별시 중구 | 20200901 | 20251231 | 의과학·의공학 기술 | 호흡기 바이러스 3종(SARS-CoV-2, Influenza A/B, RSV) 검출 대용량 R2R 인라인 연속 분자 진단기기 개발 및 식약처 인허가 완료 | 본 연구의 최종개발 성과는 R2R 기술을 활용하여 1000테스트를 2시간내에 연속으로 수행할 수 있는 대형 진단 장비 상용화임 | 분자진단,유전자증폭,진단의료기기 | Real time PCR, R2R | 1000000000 | |
72 | 2021 | 작물유용성분증진핵심기술개발(R&D) |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 | 1395070191 | 가공용 쌀 원료곡 및 가공원료 대량생산 기술개발(4공동) | Development of mass production technology and diversification of applications for special rice varieties (4) | 배민정 | 농협경제지주(주) | 경기도 수원시 | 20190101 | 20231231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 가공용 쌀 품종의 가공적성 분석을 통하여 다양한 가공식품을 개발하고 산업적 응용을 위한 품질 특성 개선 기술을 확립 (가공용 쌀을 이용한 유탕용 프리믹스 블렌딩 쌀가루 및 면용 쌀가루 블렌딩 연구)○ 블렌딩 신기술 적용을 통하여 용도 맞춤형 가공용 쌀을 개발하여 산업체에 적용○ [위탁] 쌀 면 제조업체 현황 조사 및 산업체 가공적성 평가 | 가공용 쌀 가공 기술에 대한 기술이전 및 상용 제품의 품질 개선 용도 맞춤형 쌀가루의 특성 구명을 통해 쌀가루 적용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품종별 블렌딩 쌀가루의 품질 확립 기술 확보 다양한 품질의 쌀가루 생산 기술 개발을 통한 국내 쌀가루 산업 및 쌀 가공식품 시장 활성화에 기여 블렌딩 기술에 따른 최적의 가공적성을 가지는 쌀가루의 표준화된 생산... | 가공용 쌀, 원료곡 대량생산, 품질 기준 , 쌀 가공식품 , 쌀가루 블렌딩 | rice variety, mass production, quality criteria, rice products, blended rice flour | 60000000 |
74 | 2022 | 핵심농자재국산화기술개발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5629 | 곰팡이 방제용 미생물 농약 제품 등록 | Registration of microbial fungicides products | 임진영 | (주)농협케미컬 | 충청북도 옥천군 | 20210401 | 20251231 | 동식물 병해충 제어기술 | ○ 정성적 목표 : 미생물 농약의 제품 등록과 등록 제품의 마케팅 및 상용화1단계: 미생물 농약1의 등록 시험 진행 및 적용방법 확립2단계: 미생물 농약2의 등록 시험 진행 및 적용방법 확립○ 정량적 목표 : 농약 등록 시험 진행 2건 | · 미생물, 생화학 살균제 등록을 통한 농업인의 난방제성 토양 방제제 수요 충족· 친환경 농업 확대를 통한 동종 친환경 산업 발전의 토대 마련· 친환경유기농산물 재배를 통한 친환경 농산물 수확 증대로 양질의 친환경 농산물 공급 확대· 친환경 농가 소득 증대 및 친환경 농업 보급 확대 기대· 유용 미생물 분리 및 기능 규명으로 국내자원 보존 및 우수자원 산업... | 미생물농약,바이오 농약,고추 탄저병,감귤 더뎅이병,토마토 잿빛곰팡이병 | microbial pesticide,bio fungicide,Pepper/Anthracnose,Mandarin/Scab,Tomato/Gray mold | 160000000 |
판매제공처 홈페이지 | hellodd.com | 라이선스 |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
---|---|---|---|
판매 담당자 | 대덕넷 | 권한 | HelloDD |
연락처 | 070-4171-3524 | 접근 권한 | public |
이메일 | sungmin8497@hellodd.com | 상품 구분 | dataset |
품질측정 검사 | 품질측정기간 | ~ | |
---|---|---|---|
품질측정기관 | 대덕넷 | 품질측정연락정보 | 0428615005 |
품질측정결과 | 품질측정내용 |
현재 준비중입니다.
10047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황금1로 122,김포제조융합혁신센터 3층 한국산업기술시험원 ㅣ 사업자번호 : 113-82-06228 ㅣ 대표자명 : 김세종 ㅣ TEL: 02-860-1059 ㅣ E-mail: bigdata.dx@ktl.re.kr
Copyright ⓒ 2021 KOREA ENTERPRISE DAT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