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협의 상품 및 유료상품의 구매를 원하실 경우 맞춤형 데이터 신청란에 글을 남겨주시면
신속히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데이터셋명 | BT분야출연연구소별과제데이터 | 데이터 유형 | csv |
---|---|---|---|
데이터 분야 | 과학기술 | 구축 데이터량 | 8.20 MB |
구축기관 | 대덕넷 | 데이터 갱신 일자 | 2022-08-29 |
데이터 개방 일자 | 2022-10-27 | 데이터 이용 기한 | 무기한 |
데이터 갱신 주기 | - | 버전 | - |
주요 키워드 | BT, 바이오, 정부과제, 출연연, 데이터 | ||
벨류체인 키워드 | 기술획득 | ||
소개 | 과학기술 BT(Biotechnology) 분야 정부출연연구소별 정부 R&D 과제 데이터입니다. |
국내 BT 분야 출연연별 과제 데이터 상품설명서
□ 상품설명
○ 국내 BT 분야 출연연별 과제 데이터 상품은?
· 2021년~2022년 기준 국내 BT 분야 출연연별 과제 데이터입니다. 국내 출연연에서 진행한 BT 분야 과제의 세부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BT 기술인 바이오 분야는 인간의 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많은 질병에 노출되어 20세기부터 유망하는 산업 분야입니다. 생체나 생체유래물질 또는 생물학적 시스템을 이용해 유용한 제품을 제조하거나 공정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 데이터 주요 키워드
· #BT #바이오기술 #과학기술 #과제데이터 #출연연
○ 데이터 활용 및 이용 권장 고객
· BT 분야 국내 출연연 과제 데이터를 활용(공유)하고자 하는 기업인
· BT 분야 과제 데이터를 활용해 융합연구를 위한 공공·민간 연구자
· 학술 연구를 위한 이공계 대학생·대학원생
□ 데이터 활용 방안
○ 국내 BT 분야 출연연별 과제 데이터 상품 활용 방안은?
· BT 분야 과제 데이터를 활용해 제약분야를 비롯해 나아가서는 인공장기, 줄기세포 연구, 유전자 조작 등등 모든 분야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현재보다는 미래에 더욱 각광받을 분야입니다. 특히 바이오 기업의 역량 강화, 융합 및 연계를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셋의 구성
○ 데이터셋의 구성
· 국내 BT 분야 출연연별 과제 데이터는 총 N개의 데이터로 구성돼 있습니다.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인 NTIS(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의 데이터에 기반합니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연구하고 있는 과학기술을 비롯하여 각종 연구개발사업과 관련된 과제, 인력, 연구시설·장비, 성과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 연구개발(R&D) 지식포털입니다.
데이터 구분 | 데이터 요약 | 제공 방식 |
국내 BT 분야 출연연별 과제 데이터 | - 국내 출연연에서 수행한 BT 분야 과제 세부 내역 - 연구수행주체 및 수행기관 - 6T분류 및 과학기술표준 분류 코드 | - csv/zip |
□ 데이터셋의 구조
○ 데이터셋의 구조
No. | 칼럼명 | 데이터 타입 | 칼럼설명 |
1 | 일련번호 | VARCHAR(14) | 일련번호 |
2 | 기준년도 | VARCHAR(4) | 기준연도 (Ex. 2020) |
3 | 사업명 | VARCHAR(1000) | 사업명 |
4 | 부처명 | VARCHAR(500) | 부처명 |
5 | 과제관리기관명 | VARCHAR(300) | 과제관리기관명 |
6 | 과제고유번호 | VARCHAR(100) | 과제고유번호 (총 10자리 숫자) |
7 | 국문과제명 | VARCHAR(500) | 과제명(국문) |
8 | 영문과제명 | VARCHAR(500) | 과제명(영문) |
9 | 연구책임자명 | VARCHAR(20) | 연구책임자명 |
10 | 과제수행기관명 | VARCHAR(500) | 과제수행기관명 |
11 | 지역구분내용 | VARCHAR(20) | 지역구분 (ex.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12 | 총연구기간시작일 | VARCHAR(8) | 총연구기간시작일 (Ex. 20220718) |
13 | 총연구기간종료일 | VARCHAR(8) | 총연구기간종료일 (Ex. 20220718) |
14 | 6T관련기술분류내용 | VARCHAR(500) | 6T관련기술분류 (Ex.4세대 이동통신) |
15 | 연구목표요약 | VARCHAR(1000) | 연구목표요약 |
16 | 기대효과요약 | VARCHAR(1000) | 기대효과요약 |
17 | 한글키워드 | VARCHAR(500) | 한글키워드 |
18 | 영문키워드 | VARCHAR(1000) | 영문키워드 |
19 | 연구비합계 | NUMERIC | 연구비합계 |
20 | 작업구분코드 | VARCHAR(1) | |
21 | 데이터생성일자 | VARCHAR(8) | |
22 | 연계처리상태코드 | VARCHAR(1) | |
23 | 연계처리일자 | VARCHAR(8) | |
일련번호 | 기준년도 | 사업명 | 부처명 | 과제관리기관명 | 과제고유번호 | 국문과제명 | 영문과제명 | 연구책임자명 | 과제수행기관명 | 지역구분내용 | 총연구기간시작일 | 총연구기간종료일 | 6T관련기술분류내용 | 연구목표요약 | 기대효과요약 | 한글키워드 | 영문키워드 | 연구비합계 |
1039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1868 | 초박형 생체모사 어레이 카메라 기반 바이오의료 진단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biomedical diagnosis system based on biologically inspired ultrathin arrayed camera | 정기훈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301 | 20240229 | 의과학·의공학 기술 | 본 과제에서는 선행연구 과제를 통하여 확보된 생체모사 초박형 카메라의 제작기술과 영상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바이오 진단 및 의료영상 응용연구를 수행하고자 함. 현재 개발된 생체모사 카메라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필터 및 영상개선 기술을 적용하여 현장 진단용 또는 생체 모니터링용 현미경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함. | - 기술적 측면: 초박형 생체모사 어레이 카메라의 근접 이미징은 미세 구조까지 관측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기존 현광 현미경 포함되어 있는 바이오 의료 진단시스템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핸드헬드 타입으로 개발 가능. 현광 현미경의 기능을 하나의 초박형 카메라로 대체하는 동시에 기존의 현미경으로 관측하기 어려웠던 초고속 생체신호를 관측할 수 있는 원... | 광감각기관,생체모사,미세/극미세공정,광학소자,초박형카메라,바이오의료 | Biomimetic Engineering,Photo-Sensory Organ,MicroNano Fabrication,Optical Element,Ultrathin Camera,biomedical diagnosis | 217262000 |
1502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3265 | 벼 RNA프로세싱 조절 이뮤노필린유전자의 주요 환경스트레스 적응기작 연구 | Studies on adaptation mechanism of environmental stress mediated by regulating RNA process of immunophillin genes in rice | 조혜선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301 | 20220228 | 생명현상 및 기능연구 | 이뮤노필린유전자는 peptidyl prolyl cis-trans-isomerase(PPIase) 도메인을 갖는 생물체의 필수 유전자군으로, 타겟 단백질 proline 잔기의 cis-/trans- 치환을 촉매 함으로써 단백질의 PPIase, foldase, chaperon 등 다양한 역할을 통해 환경변화에 따른 세포내 미세조절기작에 관여하고 있다. 본 연구에... | 스플라이싱 기작 이해와 구성 단백질의 분자구조적, 세포 내 정교한 네트워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임. Spliceosome 복합체가 외부환경 변화를 인지하고 생장·발달과정의 일반적 신호와 구분되어 세포 내 RNA 대사를 조절하는 복잡한 메커니즘을 규명에 중요한 결과를 제공할 것임. 이뮤노필린유전자의 기능분석을 통해 식물 주요 환경스트... | 벼,RNA 대사,환경스트레스,이뮤노필린,스플라이솜 기구 | RNA processing,Environmental stress,Immunophilin,Spliceosome | 165000000 |
977 | 2021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1711134035 | 공간 표지 전사체 분석을 통한 노화 미세 환경 규명 | Study on aging microenvironments using spatial transcriptomics | 김천아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101 | 20211231 | 유전자 변형 생물체 개발기술 | ○ 공간 오믹스 기법으로 노화 미세 환경을 규명하고, 노화 세포로 인한 상처를 치료할 수 있는 세포 기반 노화 치료제의 새로운 타겟 발굴 | ○ 공간오믹스로 구축한 노화세포 미세환경 아트라스는 노화의 새로운 치료 전략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임. ○ 노화 세포 축적은 다양한 노인성 질환의 주요 원인이므로 노인성 질환에 범용성/질환특이적 적용이 가능한 원천기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임. ○ 최종 발굴된 후보 타겟을 노화 제어 CAR-T/NK 세포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임. | 공간오믹스, 노화, 노화 세포, 노화 세포 제거 | Aging, Senescence cell, Senolytics, Spatial-omics | 40000000 |
991 | 2021 | 뇌과학원천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2226 | 인간 뇌조직/동물모델 기반 뇌염증 진단 및 제어기술 개발 | Control of neuroinflammation based on human tissue and animal model | 류훈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서울특별시 성북구 | 20160601 | 20210228 | 난치성 질환 치료기술 | ○ 정상 및 뇌질환 환자 뇌조직을 이용한 역중개 연구를 통해 뇌염증 마커의 발굴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기/신규 뇌염증 동물모델을 활용하여 검증 ○ 기/신규 뇌염증 마커의 조절기전 규명 및 뇌질환 진단 및 뇌염증 제어기술 개발 목표 | ○ 신규 뇌염증 마커 발굴 및 진단을 통한 임상적용 및 실용화 기대○ 독자적인 뇌염증 진단키트의 개발은 고성장 바이오산업에 동참가능성을 증대○ 뇌염증 관련 연구의 글로벌 역량 및 기술경쟁력 확보 | 뇌염증,인간 뇌조직,뇌염증 동물모델,뇌질환,분비단백질,막단백질,교세포,신경 손상 | Neuroinflammation,Human Brain Tissue,Neuroinflammation Animal Model,Brain Disease,Secreted Protein,Membrane Protein,Glia cell,Neuronal Damage | 33000000 |
1202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0555 | 인유두종 바이러스 E6, E7 암 유발 단백질 복합체 삼차구조 규명을 통한 작용기작 이해 | Molecular analysis of the HPV E6, E7 viral oncoprotein complex structure | 구본수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301 | 20230228 | 단백질체 연구 | 인유두종 바이러스 E6, E7 암 유발 단백질인간 단백질 복합체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연구하여 바이러스에 의한 암 유발 기작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고자 함 인유두종 바이러스 E6, E7-인간 이종(異種) 간 신규 단백질 복합체 발굴 및 결합 검증 이종(異種) 간 단백질 복합체 삼차구조 규명 및 상호결합 분자수준 분석 E6, E7 단백질이 암을 ... | ■ 학문적 측면- HPV는 E6, E7 두 종류의 암 생성 유발 단백질을 보유하고 있음. 이 중 E6의 경우 전체 단백질 구조가 인간 단백질과의 복합체 형태로 규명된 반면 (Nature. 1998 Feb 26;391(6670):859-65), E7의 경우 아미노산 9개로 구성된 짧은 모티프가 인간 pRB 단백질과 형성하는 복합체 구조만 규명되어 있다가 (N... | 인유두종 바이러스,E6,E7,암 유발 단백질,삼차구조 | human papillomavirus,E6,E7,oncoprotein,structure | 50000000 |
134 | 2022 | 방사선이용미래혁신기반기술연구(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7660 | 방사선/유전자 융합 면역치료 기반 난치성 췌장암 치료법 개발 | Development of radio/gene immunotherapy for incurable pancreatic cancer treatment | 김진수 | 한국원자력의학원 | 서울특별시 노원구 | 20210501 | 20241231 | 난치성 질환 치료기술 | 췌장암은 최근 40년간 생존율이 6% 미만인 난치성 종양임. 방사면역치료는 차세대 치료법으로 기대되고 있으나 췌장암 적용은 매우 제한적임. 본 연구는 난치성 종양 (최근 40년간 생존율 6% 미만)인 췌장암의 성공적 치료법의 개발을 목표로, 1) 췌장암의 물리적 장벽 (Extra cellular matrix; ECM)을 극복한 방사선/유전자 융합 면역치료법... | 현재 췌장암 치료방법은 췌장암 환자의 생존에 어떠한 유의미한 결과를 주지 못하고 있음. 또한, 현재 이용 가능한 치료방법 중 어떤 방법도 환자에게 장기 생존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음. 이 연구에서 난치성 췌장암 문제에 새로운 접근 방법인 세포외기질 분해 및 PD-L1 발현양 증가를 이용한 방사선/유전자 융합 면역치료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췌장암 치료방법에 새로운... | 방사면역치료,유전자치료,세포외기질,PD-L1,췌장암,면역관문억제제,전이 암,재발암 | Radioimmunotherapy,Gene therapy,Extracellular matrix,PD-L1,Pancreatic adenocarcinoma,Immune checkpoint inhibitor,Metastatic cancer,Recurrent cancer | 150000000 |
882 | 2021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1711134048 | 영장류 퇴행성 뇌질환 모델의 비교의학적 분석 데이터 기반 맞춤 약물 유효성 평가 플랫폼 구축 | Establishment of customized drug efficacy assessment platform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rimate degenerative brain | 허재원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충청북도 청주시 | 20180101 | 20261231 | 유전체기반 기술 | 영장류 퇴행성 뇌질환 모델의 비교의학적 분석 데이터 기반 맞춤 약물 유효성 평가 플랫폼 구축 | ○ 영장류/사람의 비교 데이터 기반의 퇴행성뇌질환 관련 정밀ㆍ헬스케어 원천기술 개발 지원 ○ 영장류/뇌 유사체 기반의 퇴행성 뇌질환모델 치료제에 대한 실효적 유효성 평가 기술을 개발하여 산·학·연 지원 ○ 퇴행성 뇌질환 영장류 모델과 환자의 의료영상을 비교하여 최적의 질환모델 개발 및 맞춤약물 유효성 평가 지원 | 뇌 유사체, 뇌질환모델, 비교의학적분석, 영장류, 유효성평가 | Brain disease model, Comparative analysis, Efficacy test, Primates, brain organoid | 2459000000 |
1205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4901 | DYRK1A 신규 조절기반 다운증후군 뇌신경 합병증 혁신신약 후보물질 도출 연구 | Discovery of first-in-class therapeutic candidate for Down syndrome-associated neurological complications via targeting a new aspect of DYRK1A | 조성찬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301 | 20230228 | 난치성 질환 치료기술 | 다운증후군의 뇌신경 합병증 유발의 핵심인 DYRK1A 단백질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부작용을 낮춘 치료 후보물질을 도출하여 혁신신약 개발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함. | 본 과제를 통해서 DYRK1A 선택적 효능이 우수하고 독성이 낮은 약물이 성공적으로 도출되면 다운증후군 뇌신경 합병증 치료를 위한 전임상 후보물질로 활용될 예정임. 후속연구를 통해서 약물의 적용시점 및 방식을 최적화하여 약물의 치료적 효과를 극대화할 예정임.도출된 약물은 다운증후군 외에도 DYRK1A 과발현 및 과활성과 관련성 있는 여러 퇴행성 질병 (... | 다운증후군,뇌신경 합병증,카이네이즈,단백질 활성화,단백질 분해,조절물질 | Down syndrome,Neurodevelopmental complication,Kinase,Protein activation,Protein degradation,Small molecule modulator | 150000000 |
1520 | 2021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운영(R&D) | 보건복지부 | 국립암센터 | 1465035331 | 종양증식 및 PD-L1발현 동시 억제를 통한 면역 치료효과 향상 용법 개발 | Development of a new therapeutic regimen for Enhancing immune therapy efficacy by simultaneous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and PD-L1 expression of cancer cells | 최용두 | 국립암센터 | 경기도 고양시 | 20210101 | 20231231 | 기타기초·기반기술 | 암세포의 증식억제와 PD-L1발현 감소의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약물발굴을 통하여, 종양에서의 면역치료 효과를 최대화 하면서도 면역관문 억제제의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은 최소화 하는 치료요법 개발. | 암세포의 증식억제와 PD-L1발현 감소의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약물발굴을 통하여, 종양에서의 면역치료 효과를 최대화 하면서도 면역관문 억제제의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은 최소화 하는 치료요법 개발. | 면역치료,암 증식,면역관문 억제제,부작용,FOXM1 억제제 | Immunotherapy,Cancer proliferation,Immune checkpoint inhibitor,side effect,FOXM1 inhibitor | 170000000 |
1453 | 2021 | 안전성평가연구소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안전성평가연구소 | 1711133848 | 감염병 대응 첨단바이오의약 안전성평가 원천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Safety Evaluation Technology for Advanced Biopharmaceuticals against Infectious Diseases | 문경식 | 한국화학연구원 부설 안전성평가연구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101 | 20301231 | 기타 보건의료 관련 응용기술 | 신종 감염병 대응을 위한 백신 및 치료제를 비롯한 첨단바이오의약품의 안전성평가 원천기술 확보 및 평가플랫폼 개발 | 1. 바이오의약품 안전성평가 플랫폼 개발을 통한 감염병 대응 첨단바이오의약품의 종간 차이 극복2. 사이토카인 등 면역 부작용에 대한 명확한 평가를 가능하게 하여 임상 실패율을 절감 | 차세대 독성평가 기술, 인체면역시스템, 고감도 정밀 분석, RNA-seq 기반 데이터 베이스, 3차원 세포외 독성평가 모델 | toxicity prediction, Immune diagnosis, toxicology | 2000000000 |
883 | 2021 | 대구경북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1711150149 | 단백질 수준에서 신경 세포 모델링을 위한 통로단백질의 자유에너지 도형 계산 | Free energy landscape calculation for protein-level neuron modeling | 유우경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대구광역시 달성군 | 20210101 | 20211231 | 뇌신경과학 연구 | 1) 인간의 뇌의 신호 전달에서 기본적으로 나타나는 신경 세포의 활동 전위 (action firing)를 단백질 수준의 연구를 기반으로 이해하고자 함. 2) 단백질의 구조 및 자유에너지 변화가 유발하는 신경세포의 활동 전위 변화를 연구를 하고자 함. 3) 활동 전위를 생성하는 통로단백질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함. | 1)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통로단백질의 동역학 모델링과 Markov State Model을 이용해서 통로단백질의 conductance 계산. 2) 본 연구 결과를 Hogkin-Huxley 모형에 대입하여 단일 신경세포 모델링 (single neuron modeling) 하여 신경 암호(neural coding) 연구. 3) 구축된 모델을 바탕으로 학습,... | 통로단백질,자유에너지 도형,신경세포 모델링,분자 동역학,마르코프 모형,Hogkin-Huxley 모형 | channel protein,free energy landscape,neuron modeling,molecular dynamics,Markov State model,Hogkin-Huxley model | 25000000 |
1471 | 2021 | GoldenSeed프로젝트(R&D)(농림부,산림청,해수부) | 다부처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4229 | 우량 수정란 생산과 품종 고도화 기술개발 | 노충환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부산광역시 영도구 | 20170101 | 20211231 | 농업·해양 생물자원의 보존 및 이용기술 | 수출대상국의 시장환경(사육환경, 상품기호성 등)을 고려한 아열대 바리과 어류의 우량 수정란 대량기술 상용화 및 수출용 품종의 고도화 기술 개발 | - 종자생산과 품종개발 기술력의 수월성을 바탕으로 바리과 어류 종자 종주국으로 도약에 활용 · 대상국가별 시장환경 변화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품종개발 기술력 확보 · 개발품종의 지속적 관리와 개량을 위한 체계 구축 - Golden Seed 프로젝트 목표달성 기여 · 수출목표액 836만불(1단계 포함) 및 종자생산 및 개발 기술의 학문적·산... | 아열대 바리,교잡품종,친어관리,수정란,바리과 | Groupers,Hybrid lines,Broodstock management,Fertilized eggs,Serranidae | 300000000 | |
2355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8682 | 관상동맥 질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상호반응형 수치 시뮬레이션 개발 | Development of an interactive numerical simulation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coronary artery disease | 이완호 | 국가수리과학연구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70901 | 20210831 | 생명현상 및 기능연구 | 본 연구에서는 관상동맥 혈관 환경의 제시와 guidewire의 이동을 모사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링을 통해 관상동맥 질환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상호반응형 수치 시뮬레이션을 개발한다. 영상장비로부터 획득한 혈관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학적으로 구성된 혈관 모델은 혈류순환계 모델로부터 혈류를 유도하여 실제 혈관 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철선의 고유특... | (1) 기술적 측면 - 개발된 혈관 모델은 환자 맞춤형 모델로, 환자의 데이터로부터 기반으로 한 협착을 일으키는 병변부위의 위치를 자동으로 추정하고 혈관의 기능 평가를 통해 조기진단율을 높일 수 있다. - 개발된 혈관 모델로부터 혈관 성형술 및 카테터, 스텐트 등의 시술 결과를 미리 시행해 봄으로써 결과를 예측하고 수술 및 시술의 계획을 수립하는 데 활... | 관상동맥 질환,상호반응형 모델,가이드 와이어,유체기반 혈관 모델,분획혈류예비력,자율이동 | coronary artery disease,interactive model,guidewier,vessel model,fractional flow reserve,autonomous mobile | 30000000 |
1163 | 2021 | 다부처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4883 | 농촌진흥청 미생물 중앙은행 육성(공동3) | Promotion of microbial resource center in the field of agriculture and food | 김태운 | 한국식품연구원부설 세계김치연구소 | 광주광역시 남구 | 20210101 | 20231231 | 기타기초·기반기술 | 유산균은 안전성이 확보된 GRAS(generally regarded as safe) 미생물로 분류되고 있고 건강 기능성을 지니고 있어 프로바이오틱스로서 많이 활용되고 있음. 그러나 프로바이오틱스 특성 이외에 식품산업 활용에 요구되는 가공 특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고 국내 식품산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산균의 경우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경우... | 식품산업에 활용될 수 있는 유산균(28 균주 이상)을 참조균주로 선발하여 농업미생물은행(KACC)에 기탁하여 산업 수요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해당 분야의 유산균 활용이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식품산업의 발전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대표균주,김치,유산균,프로바이오틱스,식품산업,가공 특성,식품미생물,산업미생물 | Reference strain,Kimchi,Lactic acid bacteria,Probiotics,Food industry,Processing characteristics,Food microorganisms,Industrial microorganisms | 80000000 |
1061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7592 | 세포외 기질-하이드로겔 소재 기반 인공 기저막(basement membrane) 제조 및 이를 활용한 체외 혈관내피세포층(endothelium) 모델 개발 | Fabrication of artificial basement membrane using ECM-hydrogel composite and its application towards vascular endothelium model in vitro | 박귀덕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서울특별시 성북구 | 20200301 | 20240229 | 의과학·의공학 기술 | 본 과제는 혈관 내 기저막(basement membrane)을 모방할 수 있는 연성(soft)의 ECM-하이드로겔 기반 복합소재 기반의 체외 혈관내피세포층(endothelium) 모델 연구를 제안함. 인체의 multi-cellular 조직/장기(예: 혈관, 피부, 신경, 신장 등)에서 이종 세포 간 능동적 barrier로서 기저막의 역할이 필수적임. 제안하... | ★ 체외 endothelium 모델을 이용한 기초/응용 연구 활성화: 기저막(basement membrane)은 인체 내 림프 혈관(lymphatic vessel)에도 존재하며 나아가 tumor angiogenesis, 암세포 전이(metastasis)에도 직간접적인 연관성을 찾아볼 수 있음. 따라서 아직까지 메커니즘이 규명되지 못한 주요 학문적 이슈를 연... | 혈관내피세포층,기저막,세포외 기질,인공 기저막,체외 혈관내피세포층 모델 | Endothelium,Basement membrane,Extracellular matrix,Artificial basement membrane,In vitro endothelium model | 200000000 |
2020 | 2021 | 한국원자력의학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원자력의학원 | 1711149683 | 신개념 방사선 암치료기 기술개발 및 실용화 | 양광모 | 한국원자력의학원 | 서울특별시 노원구 | 20210101 | 20251231 | 의과학·의공학 기술 | ○ 신개념 방사선 암치료기 기술개발 및 실용화로 국민이 체감(암 생존율 향상, 암환자 사회간접비용 절감, 의료기기산업 성장)할 수 있는 의료 R&D 성과 창출을 목표로 함. - 신개념 방사선치료(FLASH 방사선치료) 전용장치 개발 - FLASH 방사선 세포/동물시험 수행을 통한 최적 치료 프로토콜 개발 - FLASH 방사선치료 개발 기술 임상시험 및... | 1) 활용방안 ○ FLASH 암 치료기술은 높은 치료효율, 부작용 감소, 수익形 치료센터, 보급形 치료기기, 첨단 방사선 생명과학 연구테마에 적용 ○ 초고속 방사선 조사 기술을 방사선치료 정밀도 향상을 위한 영상유도방사선치료 시 환자의 피폭을 줄일 수 있는 진단 장치에 적용 ○ FLASH 방사선의 생물학적 작용을 정상세포, 암세포 및 환자유래 초... | FLASH 방사선치료, 초고선량률, 전임상실험, 동물치료, 임상시험, 초고속전자빔, 방사선치료기 | FLASH radiotherapy, Ultra high-dose-rate, Preclinical experiment, Animal treatment, Clinical trial, Very high energy electron, Radiotherapy machine | 2000000000 | |
812 | 2022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9421 | 국내 합성생물학 커뮤니티 활성화 및 육성정책 수립 지원 | Development of Promotion Policy for Synthetic Biology | 문성훈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401 | 20251231 | 기타기초·기반기술 | □ 국내외 합성생물학 커뮤니티 활성화 및 육성정책 기획 ㅇ 신기술 융합을 통한 합성생물학 발전 및 바이오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 속 신속한 정보공유 및 정책이슈 발굴을 적시에 제공·활용하기 위해 국내 합성생물학 종합정보 포털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정책 커뮤니티 등 네트워크 활성화 및 국내 합성생물학 중장기 발전전략(안) 수립 | ㅇ 커뮤니티와 웹사이트를 통해 생산 및 수집되는 자료는 합성생물학 관련 정부 정책 수립 시 적극 활용 가능 ㅇ 합성생물학 분야 국가 R&D 사업의 연구 생산성 제고 방안 모색 활용 가능 ㅇ 합성생물학 웹사이트는 연구자 간 정보공유 및 연계를 활성화하여 국내 합성생물학 R&D의 구심점으로서의 역할 기대 ㅇ 산재된 R&D 우수 연구결과 역량 결집 및 핵심기술 ... | 합성생물학,네트워킹,커뮤니티,웹사이트,정책이슈,정책기획,동향분석,기술뱅크 | synthetic biology,networking,community,website,policy issue,policy planning,trend analysis,technology bank | 150000000 |
1610 | 2021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부설고등과학원 | 1711150801 | 고분자 복잡계에서의 비평형 수송 | Transport in polyeric complex systems in nonequilibrium | 김원규 | 한국과학기술원부설고등과학원 고등과학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20210801 | 20240731 | 생명현상 및 기능연구 | 고분자를 기반으로 하는 복잡계에서의 비평형 수송문제를 이론 및 계산 물리학적 방법론으로 연구함 | 고분자 용액으로 이루어진 계는 화학에서부터 생명과학에까지 아울러 넓은 분야에서 존재하며, 나노반응체, 용액 정화, 여과, 약물 전달, 단백질 투과 등의 응용에 기본이 되는 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 젤을 기반으로 하는 복잡계/중시계에서의 여러 입자들의 비평형 확산과 수송 현상을 연구하여 이론적인 기반을 제공한다. | 고분자, 젤, 수송, 비평형, 투과율 | transport, nonequilibrium, permeability, polymer, gel | 5417000 |
597 | 2022 | 2025축산현안대응산업화기술개발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5787 | 내방사성 미생물 기반 축산악취 저감용 바이오필터 개발 | Development of biofilter system for reducing livestock odor based on the radiation-resistant microorganism | 김민규 | 한국원자력연구원 | 전라북도 정읍시 | 20220101 | 20251231 | 환경 생명공학기술 | 축산악취 원인물질 고효율 제거능을 보유한 국내 토착 내방사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전자선 기반 축산악취 저감 시스템의 후처리 공정 최적화를 위한 내방사성 미생물 기반 바이오필터 개발을 통해 최종 축산악취 저감율 99% 이상 달성 | - 내방사성 미생물을 이용한 축산악취 처리용 바이오필터 개발을 통해 기존 축산악취 및 오염물질 제거용 바이오필터 대체 가능한 고효율 미생물 자원 개발- 신규 국내 토착 내방사성 미생물의 지속적인 발굴을 통해 복합 오염물질 분해가 가능하도록 유용 대사경로를 다양하게 보유한 미생물 개발 및 실용화 - 바이오필터 적용을 위한 내방사성 미생물의 생물공학적 공정 개... | 바이오필터,내방사성 미생물,담체,축산악취,방사선 생명공학 | Biofilter,Radiation-resistant microorganism,Media,Livestock odor,Radiation biotechnology | 180000000 |
2592 | 2021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1343 | 울릉도, 독도 해역에 출현하는 열대·아열대 어종의 난, 자치어의 종조성과 분포특성 |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ropical· subtropical fish eggs and larvae in the Ulleung Island and Dok-do | 명세훈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부산광역시 영도구 | 20210901 | 20230831 | 생물정보학 기술 | 울릉도와 독도 주변해역에 분포하는 열대 및 아열대 어종의 난자치어 종조성과 울릉도와 독도 연안에 서식하는 어종들의 종조성 및 분포, 비교연구를 통하여 동해 중부해역의 해양생물상 변화를 파악하고 울릉도, 독도 주변해역의 생물 다양성 및 수산자원 보전과 장기적인 변화를 예측,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어란과 자치어와 더불어 최근 서식지가 북상하고 있는 ... | 우리나라 바다는 전 세계적으로 면적당 해양생물의 종 다양성이 가장 높은 해역이다. 최근 우리나라 바다에서는 기후변화, 연안 오염, 수산자원 고갈, 갯녹음 현상을 포함한 많은 환경 변화와 동반된 징후들이 나타나고 있어 울릉도와 독도 주변해역 연구만으로 그 원인과 대책을 도출하기에는 어려운 것이 우리 바다의 환경 생태적 특성이다. 예를들면, 독도의 갯녹음 현상... | 어란,자치어,울릉도,독도,열대,아열대 | fish egg,larvae,Ulleung Island,Dok-do,tropical,subtropical | 60000000 |
947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8425 | 오가노이드 기반 분화기법을 이용한 범용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고효율의 다방향성 항암 면역세포치료제의 생산 | Production of multi-directional high performance cell-based cancer immunotherapy from universal human plruipotent stem cells using organoid-induced differentiation | LEE JONG HEE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901 | 20230228 | 난치성 질환 치료기술 |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한 범용 (Universal) 인간 전분화능줄기세포 제작 및 분화조절기전 연구를 통한 오가노이드 기반 다양한 범용 면역세포 (T세포, 자연살해세포 (NK cells), 대식세포)의 제작- 면역 적합성 범용 인간 전분화능줄기세포 (Universal-hPSC) 및 i-hPSC제작- 오가노이드 기반 전분화능줄기세포에서 혈관세포로 분화-... | 임상적용 가능한 세포치료제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전분화능 줄기세포를 이용한 효율적인 조혈모세포와 항암 면역세포치료제의 생산 및 기능성의 연구는 항암 면역세포치료제의 새로운 공급원으로써, 전분화능 줄기세포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 전분화능 줄기세포 제작을 위한 세계최초의 유전자 발현 제어 기술 도입 시도 면역 적합성 전분화능 줄기세포의 ... | 인간 전분화능줄기세포,오가노이드,항암 면역세포치료,조혈분화,키메라 항원 수용체,유전자편집-크리스퍼 | human Pluripotent Stem Cells,Organoid,Cancer Immunotherapy,Hematopoietic Differentiation,Chimeric Antigen Receptor,Genome Editing-Crispr | 100000000 |
766 | 2022 | 글로벌프론티어지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5605 | 신변종 감염성 병원체 분자진단을 위한 유용마커개발 | Development of useful diagnostic markers for novel or variant pathogens | 정대균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40101 | 20220831 | 유전체기반 기술 | ? 신·변종 바이러스 대응을 위한 유용 진단 마커 개발 - 신·변종 바이러스 선제적 탐색을 통한 유용 유전자원(바이러스/유전자) 확보 - 신·변종 바이러스 특이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분자진단 마커 개발(프라이머/프루 브 세트)? 슈퍼박테리아 내성인자 (2종) 및 식별인자(2종) 개발 - ESKAPE 슈퍼박테리아 결정인자 개발(병원성/항생제 내성마커 ... | ? 신·변종 바이러스 컨텐츠 선점을 통한 추가 연구 가능 - 유전자원 기반 재조합 단백질 제작 및 교차 면역(cross-reactome) 연구 - 인체 세포 및 영장류 실험 등을 바탕으로 인체 감염 가능성 연구 - 분자바이러스학적 연구를 통한 생명공학 유용 유전자원 발굴 - 분자진단 마커 신규성/진보성 확보를 통한 기술이전 가능성 증대? 신·변종 바... | 신변종 바이러스,유전자원,선제적 탐색,진단 마커,기능성 마커,슈퍼박테리아,항생제 내성 | novel or variant viruses,genetic materials,Active surveillance,diagnostic marker,functional diagnostic marker,Superbacteria,Multidrug resistance | 384000000 |
570 | 2022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70701 | (공동2) 호흡계 감염질환과 지방간염 모델 구축을 위한 통합 메타조직칩 개발 | (CO-2) Development of integrative meta multi-physiological system (meta MPS) | 최낙원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서울특별시 | 20220401 | 20251231 | 바이오칩 개발기술 | 순환계-메타조직칩 기반 염증성, 감염성 질환 기전 이해 및 약물에 의한 치료 효과 평가 기술 개발세부목표 1: 혈관-림프관 통합 순환계 플랫폼을 기반 다양한 장기들의 순환계를 통한 상호작용 분석세부목표 2: 혈관 및 간질세포(stromal cell)가 통합된 질환-특이 미세환경 재현세부목표 3: 질환-특이 미세환경에서의 혈관 및 림프관을 통한 면역세포의 반... | [기술적 측면]메타조직칩은 다수의 계가 연결되어야 하므로 현재 단일 장기수준에 머물고 있는 생체조직칩 기술을 한 단계 도약시킬 것으로 기대하며, 특히 오가노이드와 생체조직칩을 통합하는 플랫폼 이라는 측면에서 개별적으로 연구되던 두 장기 모사체 기술의 융합이라는 점에서도 큰 의미를 가짐[경제적 측면]메타조직칩은 좀 더 발전된 형태의 생체조직칩 이며, 계 간의... | 순환계, 메타조직 칩, 혈관, 림프관, 간질세포, 통합 플랫폼, 감염 질환, 염증성 질환 | circulating system, meta-organ chip, blood vessel, lymphatic vessel, stromal cell, integrative platform, infectious disease, inflammatory disease | 350000000 |
1281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6494 | AFM을 이용한 뇌세포의 기계자극/부피 의존적 채널의 구조/활성/기능 측정 및 분자적 기전 규명 기술 연구 | A study of structure/activation/function measurement and molecular mechanisms of mechano-/volume-sensitive channels in brain cell using AFM | 윤의성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서울특별시 성북구 | 20190301 | 20230228 | 뇌신경과학 연구 | 원자현미경(AFM)과 패치클램프를 이용한 전기생리학적 방법 및 세포이미징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며, 채널의 활성에 따라 뇌세포 밖으로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을 바이오센서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신개념의 기능성 AFM 시스템을 개발하고, 뇌세포에 발현하는 기계적 자극과 부피에 의존적인 채널의 구조와 활성과 기능을 측정하여 채널의 분자적 기전을 규... | ● 현재 규명되지 않은 뇌세포의 기계자극 및 부피 의존적 채널의 구조/활성/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은 아직 선진국에서도 개발 초기 단계에 있기에 기술 선점시 국내·외에서 막대한 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미래 신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됨 ● 기계자극 의존성 채널 및 부피 의존성 채널의 구조/활성/기능을 통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 뇌세포,이온채널,기전,원자현미경,패치클램프,기계자극 | Brain-cell,Ion-channel,Electrophysiology,AFM,Patch-clamp,Mechano-sensitive | 200000000 |
1035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7101 | 직접교차분화 기전 분석을 통한 재생 유도 인자 발굴 및 검증 |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regeneration-inducing factors based on the study of direct reprogramming mechanism | 김장환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901 | 20230228 | 생체조직 재생기술 | 만능성 인자를 이용한 직접교차분화 기술은 분화된 체세포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세포를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에 재생 의학적 활용 측면에서 많은 기대를 받아왔으나, 만능성 인자 자체가 가지는 안전성에 대한 우려로 관련 치료기술의 개발에 어려움이 있는 상태임. 그래서 많은 연구진들이 조직 특이적인 인자를 이용한 직접교차분화를 통해 세포의 재생을 유도하고자 하고 있... | 최근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줄기세포 및 리프로그래밍 기반 재생 의학적 치료법은 다양한 질환의 극복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특히 생체 내 리프로그래밍은 비침습적 치료 방법으로써 다양한 난치질환의 치료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그러나 전분화능줄기세포 및 리프로그래밍 기반 세포치료제나 생체 내 리프로그래밍 기술은 아직 ... | 직접교차분화,재생 의료,재생 유도 인자,단일 세포 분석,장기유사체,리프로그래밍 | Direct reprogramming,Regenerative medicine,Regeneration-inducing factors,Single cell analysis,Organoid,Reprogramming | 200000000 |
1265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8905 | 개인선량계를 이용한 3차원 하이브리드 핵의학치료 내부흡수선량 정량화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hybrid 3D quantitation of internal radiation dose in nuclear medicine therapy using personal dosimeter | 김경민 | 한국원자력의학원 | 서울특별시 노원구 | 20200601 | 20230228 | 의과학·의공학 기술 | 치료용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하는 핵의학치료에서 개인선량계와 국소 핵의학단층영상을 이용한 전신 및 국소 표적 내부흡수선량의 정량적 측정 기술 개발 1차년목표: 몬테카를로 전산모사를 이용한 기술 구현 및 검증2차년목표: 방사능 및 선량 측정 알고리즘 최적화 및 검증3차년목표: 핵의학 방사성동위원소에 대한 기술 검증 | - 새로운 방법은 방출 광자 방사선의 종류나 개수 및 특성에 무관하게 방사능의 분포지도를 얻을 수 있어 다양한 핵의학치료 상황에서 신뢰도가 높은 흡수선량을 간편하게 얻을 수 있음.- 넓은 범위의 광자방출 특성을 갖거나(211At) 다중 연쇄 붕괴 특성 때문에 대체(surrogate)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해야 하는(225Ac) 알파선 방출 방사성동위원소의 경... | 개인선량계,핵의학치료,치료용 방사성동위원소,내부흡수선량,핵의학영상,감마카메라,의료내부방사선흡수선량 | personal dosimeter,nuclear medicine therapy,therapeutic radioisotope,internal dosimetry,nuclear medicine imaging,gamma camera,MIRD | 50000000 |
431 | 2022 | 안전성평가기술개발연구 | 식품의약품안전처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1475013075 | 식용불가 원료 검출을 위한 분석법 연구(III)(1) | Study on the analytical method of non-edible food materials(III) | 백선영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충청북도 청주시 | 20210101 | 20221231 | 식품생명공학기술 | 식품 중 식용불가 원료(마황, 사리풀)의 사용을 확인할 수 있는 분석법 개발 | ○ 부정불법 식품 관련 위해사범의 수사 진행을 위한 시험 검사에 활용○ 연구결과를 학술대회와 학술지에 발표○ 부정불법 식품 관련 위해사범의 수사 진행을 위한 분석법 SOP 제정○ 대상원료 및 유사원료에 대한 유전정보를 NCBI genbank에 등재 | 마황, 사리풀, DNA 바코드, 유효성 검증 | Ephedra Herb, Hyoscyamus niger, DNA Barcode, Method validation | 194000000 |
107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4877 | 성상교세포 오르니틴 제어효소를 중심으로 하는 뇌 신경 흥분/억제 핵심 조절 기전 규명 및 뇌전증 치료 연구 | Investigation of brain excitation/inhibition balance through astrocytic ornithine-regulatory enzymes and treatment mechanisms of epilepsy | 주연하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서울특별시 | 20220301 | 20270228 | 뇌신경과학 연구 | 본 연구는 E/I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되는 뇌전증을 성상교세포 중심으로 접근하여 1) 오르니틴 제어 효소 조절을 통한 GABA/Glutamate 균형에 따른 신경세포-성상교세포 간의 상호작용 탐구, 2) 오르니틴 제어 효소 변화에 따른 뇌전증의 치료 기전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함. 1년차 - 성상교세포의 오르니틴 제어 효소의 역할 및 GABA/Glutam... | - 성상교세포의 오르니틴 조절회로에 의하여 유도되는 뇌전증의 새로운 병인기전을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한 뇌 내의 성상교세포와 신경세포와의 신호 전달 기전 및 신경전달물질의 상호작용 기전에 대한 새로운 연구 분야 개척 가능.-신규 뇌전증 치료 타겟 발굴을 위하여 새로운 바이오 마커 발굴 및 치료 타겟 발굴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유효성 검증 및 기전 ... | 성상교세포,뇌전증,흥분/억제 균형,오르니틴 조절회로,가바 | Astrocyte,Epilepsy,ExcitationInhibition balance,Ornithine regulation,GABA | 111985000 |
2259 | 2021 | 작물바이러스및병해충대응산업화기술개발(R&D)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2783 | 이온화에너지 이용 신규 리모넨 유도체 개발 및 병원균 생리활성 기반 연구 | 이성범 | 한국원자력연구원 | 전라북도 정읍시 | 20210401 | 20231231 | 동식물 병해충 제어기술 | 리모넨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의 식물병 방제 평가기술 고도화를 통한 시제품 제작 및 제품의 사업화 | 리모넨 유도체 등으로 구성된 친환경 식물병 방제제의 실용화를 통해 친환경 농법을 시행하는 농업인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며, 국내 친환경 작물보호제 개발 기업 등에 새로운 제품개발을 위한 아이디어 기술 및 원료를 제공함으로써, 지속적 농업 환경 생태계 보전에 기여하고 국내 작물보호 산업의 경쟁력을 높여 원자재 국산화 실현을 기대함 | 리모넨 유도체,식물병 방제,천연물,식물병원균,바이오 활성물질 | Limonene Derivatives,Plant Disease Control,Natural Products,Plant Pathogens,Bioactive Compounds | 110000000 | |
2643 | 2021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운영(R&D) | 보건복지부 | 국립암센터 | 1465035286 | 빅데이터를 이용한 위암 환자의 위절제술 후 장기 합병증 발생 및 예후 분석 | Long-term complications and prognosis after gastrectomy in gastric cancer patients: nation wide study | 오현진 | 국립암센터 | 경기도 고양시 | 20200401 | 20211231 | 기타기초·기반기술 | 빅데이터를 이용한 위암 환자의 위절제술 후 장기 합병증 발생 및 예후 분석과 이를 통한 다학제적 환자 케어 모델 확립을 목표로 한다. | 빅데이터를 이용한 위암 환자의 위절제술 후 장기 합병증 발생 및 예후 분석과 이를 통한 다학제적 환자 케어 모델 확립을 목표로 한다. | 위암 생존자,체중감소,생존자 케어,장기 합병증 | gastric cancer survivor,weight loss,survivorship care,long term complication | 20000000 |
2224 | 2022 | 국가신약개발사업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6684 | 지방세포 리모델링 기반 PPAR-gamma 인산화 표적 대사질환 치료제 개발 | Drug development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disorders via adipocyte remodeling by targeting PPAR gamma phosphorylation | 김원곤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20301 | 20241231 | 바이오신약 개발기술 |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는 비만 및 당뇨를 포함한 대사질환의 주요 원인은 에너지대사 불균형임. 관련 치료제 개발은 현재 혈중 포도당이나 지질의 농도 조절에 초점을 맞춰 이루어지고 있으나 부작용 및 효능에 한계가 있음. 따라서, 기존의 표적을 탈피한 신규 표적 및 치료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음. 본 과제에서는 에너지대사 항상성 조절을 목표로 최근 주목... | 활용계획 본 연구를 통해서 도출하고자 하는 부작용이 없는 비만/당뇨 치료제의 개발은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다국적 제약 회사와의 licensing-out을 통해 기업화가 가능하고 과학 기술적·사회 경제적으로 엄청난 부가가치를 창출 본 연구를 통해 대사질환 관련 단백질과 이 단백질들의 신호전달 연구에 있어서 핵심적 도구가 될... | 피피에이알 감마,지방세포 리모델링,비만,대사질환,후보물질 | PPAR gamma,Adipocyte remodeling,Obesity,Metabolic disorders,Hit compound | 363636000 |
577 | 2022 | 석유대체친환경화학기술개발 | 기획재정부 | 한국연구재단 | 1055000907 | 차세대 바이오리파이너리를 위한 전처리·당화·미생물 활용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process to produce lignocellulosic biomass?derived fermentable sugars for next generation biorefinery | 이주영 | 한국화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 20220524 | 20270223 | 생물공정 기술 | 지구 온난화, 환경오염 등 기후변화 위기에 직면하여 기존의 석유화학산업을 대체하고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차세대 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 개발과 혁신이 요구되고 있음. 이에, 본 연구과제에서는 국내 바이오리파이너리 경쟁력 강화를 위해 ①국산 미활용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활용한 당화액(C6, C5) 생산을 위한 친환경·고효율 전처리·당화 기술 개발 ②바이오... | ?바이오매스 유래 고효율 고수율 발효당을 제조하고 미생물을 이용한 고부가 바이 오 소재 제조를 통해 실제 발효당의 효율에 미치는 영향 인자를 평가하고 피드포 워드 방식의 연구를 진행하여, 타겟 소재 생산용 미생물에 적합한 발효당 제조 기 술을 개발함으로써 온실가스 발생 저감 및 친환경 화학산업의 원료로 사용 가능한 저탄소 원료화 기술 확보 가능. ... | 발효용 6탄당, 5탄당,케미컬프리 친환경 전처리,생물학적 정제,분리막 정제,당화액 검증 모델,당화액 고활용 | C6, C5 biosugar,Chemical-free pretreatment,Biological purification,Membrane-based purification,Biosugar verification model,Biosugar-utilizing pathway,Synthetic organelle,Enzyme assembly | 420000000 |
2436 | 2021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1572 |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LS)에서 희소돌기아교세포의 기능이상과 병리기전 | Pathological mechanisms of oligodendrocyte dysfinction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 최승혜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서울특별시 성북구 | 20210901 | 20240831 | 뇌신경과학 연구 | EWSR1 분자에 의한 희소돌기아교세포의 유전자 발현 조절 및 기능 변화를 연구함으로써, 환자의 희소돌기아교세포가 미엘린 수초를 적게 만드는 기전을 EWSR1 단백질의 후성유전학적 조절 관점에서 규명하여 근위축성 측삭 증후군(ALS)의 새로운 치료제 개발을 위한 신규분자타겟과 새로운 치료전략으로써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함. | ● 난치성 뇌신경질환인 근위축성측삭경화증에서 희소돌기아교세포가 나타내는 새로운 병리기전을 제시할 수 있음.● 근위축성측삭경화증의 치료제 개발에 필요한 새로운 타겟발굴 및 치료제/방법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함. |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병리기전,희소돌기아교세포 기능이상 |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Pathological mechanisms ,oligodendrocyte dysfinction | 60000000 |
1064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6072 | 배추의 쓴 맛 성분 규명 | Investigation on bitter taste compounds in Kimch cabbage | 서혜영 | 한국식품연구원부설 세계김치연구소 | 광주광역시 남구 | 20200601 | 20230228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ㅇ 배추 중 glucosinolates(GLSs) 함량과 쓴 맛과의 상관성을 확인하고, 배추 재배 중 칼슘 비료가 GLSs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쓴 맛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함ㅇ 쓴 맛이 강한 배추의 활용을 위해 GLSs를 저감화할 수 있는 가공조건을 확립하고, 김치 제조 시험을 통해 저감화 기술을 검증하고자 함 | 배추의 쓴 맛 원인의 규명으로 김치의 쓴 맛 원인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김치의 쓴 맛 클레임에 대한 대응자료로 활용이 가능함 배추 중 쓴 맛 저감화 기술은 쓴 맛 배추의 활용도를 높이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김치의 관능적 기호도를 향상시켜 김치의 소비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음 | 배추,쓴 맛,글루코시놀레이트,칼슘,김치 | Kimchi cabbage,Bitter taste,Glucosinolates,Calcium,Kimchi | 50000000 |
569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70260 | 3R/4R 타우병증 플랫폼 기반, 일차 타우병증의 발생기전 규명 및 질환 특이적 제어 기술 개발 연구 | Identification of 3R/4R tau pathogenesis of primary tauopathies development of the therapeutic strategies | 김윤경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서울특별시 성북구 | 20210901 | 20260228 | 난치성 질환 치료기술 | [3R/4R 타우병증 플랫폼 기반, 일차 타우병증의 발생기전 규명 및 질환 특이적 제어 기술 개발 연구 필요성] - 타우 단백질의 응집이 신경퇴행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질환을 1차 타우병증으로 분류하며, 진행성 핵상마비 (PSP), 피저기질핵변성 (CBD), 그리고 픽병 (Picks disease) 등이 이에 속하는 난치성 희귀질환임. 현재까지 이루어진... | 1) 활용방안: 본 연구를 통해 확립된 3R/4R 타우플랫폼은 질환선택적 타우병증 치료제개발을 위한 원천특허기술로, 기업에 기술이전하여 국내외 타우병증 제어 약물개발 및 검증연구를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함. 도출된 3R/4R 타우병증 특이적 제어유효물질은, 3R/4R 타우 선택적 응집저해라는 차별화된 기전을 가진 1차 타우병증의 근원적 치료제로, 기술이전을 ... | 일차 타우병증,타우 응집,4R 타우 단백질,3R 타우 단백질 ,타우-BiFC | Tau protein,Tau aggregation,3R Tau protein,Primary tauopathy ,4R Tau protein,Tau-BiFC | 179008000 |
2063 | 2021 | 연구중심병원육성(R&D)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3147 | 제 2유닛(4세부) 사이토페노믹 플랫폼을 이용한 뇌질환 진단-치료 타겟 도출 시스템 구축 | Development of cytophenomic screening platform to identify theranostic targets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 김형준 | 한국뇌연구원 | 대구광역시 동구 | 20141001 | 20230331 | 뇌신경과학 연구 | 사이토페노믹(cytophenomics; cell+phenome)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뇌질환 병리기전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여 진단-치료 타겟 탐색, 동물 실험 모델 및 Human brain sample을 이용한 실효성 평가의 원스탑 뇌질환 치료 타겟 도출 프로세스 확립 | □ 치료 타겟 도출과 동물 모델을 통한 검증, 사람 뇌조직을 이용한 실효성 평가를 통해 원스탑 뇌질환 치료 타겟 도출 프로세스를 확립하고 예산낭비의 최소화□ 뇌질환 진단-치료 타겟 도출 프로세스를 타 질환의 타겟 검출에 이용, 타겟 탐색방법의 선순환 프로세스 확립 | 뇌질환,신경염증,알츠하이머,파킨슨,바이오칩 | Neurodegenerative disease,Neuroinflammation,Alzheimer,Parkinson,Biochip | 214775000 |
117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6205 | Kokumi 물질의 미각수용체 조절 기전과 Na+섭취 저감 연구 | Molecular mechanisms of modulation of ligand recognition in basic taste receptors by kokumi substances for salt reduction | 류미라 | 한국식품연구원 | 전라북도 완주군 | 20200301 | 20250228 | 식품생명공학기술 | Kokumi 물질은 그 자체로는 맛을 띠지 않으면서 식품에 함유된 감칠맛, 짠맛, 단맛을 증강시키고 쓴맛을 감소시키는 기본맛 조절작용을 나타낸다. γ-Glutamylpeptide계 kokumi 물질수용에 맛세포내 Ca2+ sensing receptor(CaSR) 관여사실이 알려지는 등 관련연구의 진보에도 불구하고 kokumi물질의 주요 작용인 기본맛 조절... | 소금 과다 섭취는 식이유래 질환 발병위험을 증가시켜 삶의 질 저하, 국가 의료비 증가 등 사회적 문제를 야기한다. 식품 내재성 kokumi 성분의 기본맛 증강 및 쓴맛억제기능을 이용한 소금 섭취 저감 방안은 당면한 사회적 현안 해결에 기여한다. 지금까지 미각연구는 미각수용체의 ligand 인지 및 신호전달 기전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특히 koku... | 코쿠미,미각조절제,미각수용체,소금섭취저감,짠맛수용체,식품첨가물 | kokumi,taste modulator,taste receptors,salt reduction,ENaC,Food additives | 200000000 |
2133 | 2021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0453 | 효모 기반 약물작용점 분석의 생물정보 분석 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bioinformatics system for drug-target identification using yeast deletion library | 박종열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70630 | 20230629 | 생물정보학 기술 | 분열효모 기반 생체 약물작용점 분석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1) 효과적인 약물 작용점 분석을 위한 실험 및 분석 방법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2) 연구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barcode-seq 데이터 분석 도구를 개발, 제공하며 3) 효모 기반 약물작용점 분석 오믹스 데이터들을 수집, 정리하여, DB로 제공함 | barcode-seq 데이터 분석 도구는 일반 연구자들이 편리하게 데이터 분석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효모 기반 약물작용점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제공을 통해 연구자들의 약물작용점 규명 및 기전 연구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됨 | 분열효모 결손균주,전장유전체 분석,바코드 시퀀싱,약물작용점 데이터 베이스,바코드 분석 소프트웨어,전사체,약물 | fission yeast deletion mutants,whole-genome sequencing,barcode-seq,drug target database,barcode-seq analysis software,transcriptome,drug target,web server | 130000000 |
1960 | 2022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1711170578 | 인터지노믹스 기반 슈퍼박테리아 제어 연구사업 | Microbe-Host Intergenomics | 류충민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20101 | 20231231 | 바이오신약 개발기술 | ○ 슈퍼박테리아 감염문제 해결을 위한 신개념 진단법 및 신규 항생물질/기술 개발, ○ 감염성 질환의 조기 진단과 치료를 위하여 기존 연구의 한계점인 단일계 중심의 유전체 분석에서 탈피하여, 미생물과 인간의 장의 상호작용유전체를 바탕으로 홀로바이옴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응용함 | ○ 슈퍼박테리아 치료 기술 연구를 통한 효과적인 슈퍼박테리아 극복 기술 개발 ○ 기주-미생물 상호작용 기작 이해에 근거한 새로운 질병 예방, 진단 및 치료 방법 개발 - 병원균 진단 기반 기술 개발 -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 기반 기술 개발 | 슈퍼박테리아, 유해균, 인터지노믹스, 제어, 항생제 내성 | Antibiotic resistance, Control, Pathgen, Super-bacteria, intergenomics | 719000000 |
1692 | 2021 | 한국뇌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뇌연구원 | 1711151518 | 글로벌 허브-스포크 협력연구 | 김도근 | 한국뇌연구원 | 대구광역시 동구 | 20210101 | 20221231 | 뇌신경과학 연구 | 한국뇌연구원과 해외 유수 연구기관과의 공동 연구 활성화를 통한 뇌질환 연구 활성화 | 선진 뇌질환 연구 기술의 습득 및 기관 뇌질환 연구력의 강화, 해외 유수 연구기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한 국제 네트워크의 형성, 해외기관과의 학연 프로그램 강화를 통한 우수 인력 양성, 데이터 사이언스 기반의 연구 역량 강화 | 뇌질환, 국제협력연구, 뇌은행, 선순환 중개연구, 임상 데이터 | Brain Diseases, Inter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 Brain Bank, Virtuous Cycle of Translational Research, Clinical Data | 500000000 | |
2285 | 2021 | 국가표준기술개발및보급(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411 | 감염병 방역관리 정보기술 국제표준 기반조성 | Foundation of international standards for information technology supporting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 유상근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901 | 20241231 | 기타 보건의료 관련 응용기술 | [1차년도 목표] - PWI 개발 및 NP 승인○ 모바일 자가격리관리 앱 및 관리 요구사항 NP 승인○ 스마트시티 정보통신 플랫폼 기술을 이용한 감염병 필수 진단기기, 의약품, 방역품, 개인보호장비(PPE)의 재고, 유통, 물류 관리 플랫폼 요구사항 NP 개발○ 스마트시티 정보통신 플랫폼 기술을 이용한 감염병 확진자의 동선 추적을 위한 기능 요구사항 및 개... | ○ K-방역모델 국제표준화- K-방역모델을 세계의 방역 지침으로 활용○ K-방역모델 산업화- 감염병 예후 및 예측모델 개발 등 예측 분석 역량 강화와 방역장비 진단기기의 국산화○ K-방역모델 세계화- 체외진단 방역 역학조사 지원시스템 표준 성능 실증을 위한 기준 마련- 우리의 감염병 진단 및 추적, 역학조사 기술, 방역 장비 등에 대한 신뢰도 향상- 향후 ... | 감염병,코로나19,K방역모델,공중보건비상사태,검사추적치료 | infectious disease,COVID19,Koreas response to COVID19,PHE,TestTraceTreat | 160000000 |
2634 | 2021 | 의약품등안전관리(R&D) | 식품의약품안전처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1475012662 | 바이오의약품 안전성 예측을 위한 뇌기능 모델 개발 연구(2) | Development of brain function model for predicting biopharmaceutical safety (2) | 양지훈 | 주식회사 넥스트앤바이오 | 서울특별시 성북구 | 20200201 | 20221130 | 의과학·의공학 기술 | In vitro 3차원 BBB 모델, in vitro 뇌 오가노이드 모델, in silico 분자-세포-신경 망 피지옴 모델을 기반으로 뇌 기능 치료제의 안전성 예측을 위한 평가 모델 개발 | - 1세부 과제에서 이용되는 사출 플라스틱 기반 BBB 칩 플랫폼과 2세부 과제에서 이용되는 균일한 뇌 오가노이드 형성 및 배양 플랫폼은 본 연구 개발을 통해 바이오의약품의 뇌 기능 안전성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툴로서 활용될 뿐 아니라, 다른 수요자들 (연구자, 신약 개발사, 제약사, 병원 등)도 각기 다른 목적에 따라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함- 1, ... | 뇌기능 in vitro 평가모델, 인실리코 모델, 안전성 평가, 바이오의약품 | brain function in vitro evaluation model, in silico model, safety test, biotherapeutics | 150000000 |
259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8523 | TIR 결합 모티프의 대규모 병렬 스크리닝을 활용한 Toll-Like Receptor 신호제어 MP-Body 개발 | Massively parallel screening of TIR-binding motifs for development of TLR-targeting MP-Body | 서문형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서울특별시 성북구 | 20210301 | 20240229 | 바이오신약 개발기술 | - 연구 최종 목표● 대규모 병렬 펩타이드 스크리닝을 활용한 TIR(Toll-Interleukin-1 Receptor) 결합 모티프 발굴● 다중·다가 결합이 가능한 MP-Body 개발 및 TLR 신호제어 최적화- 연차별 목표1년차: 톨-유사수용체(Toll-like receptor, TLR)의 TIR 도메인 서열·구조 정보로부터 대규모 병렬 펩타이드 라이브러... | 1. 과학적/기술적 기대효과● TLR 신호 제어 모티프 서열 도출을 통해 면역질환 연구와 의약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선천면역 조절 기술은 다양한 적응증으로의 확장이 가능한 전략으로서, 본 연구는 염증질환 표적의 상호작용 조절 펩타이드 개발 플랫폼 기술로서 향후 여러 난치성 질환 연구에 적용 가능2. 경제적/산업적 기대효과● 만성염증질환의 새로운 타... | 톨-유사수용체,TIR 도메인,펩타이드 라이브러리,모티프,펩타이드 융합 골격 | Toll-Like Receptor,Toll-Interleukin-1 Receptor domain,Motif,Peptide library,Peptide scaffold | 133376000 |
1310 | 2021 | 신·변종감염병대응플랫폼핵심기술개발사업(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1456 | NiRAN 저해 치료제 발굴 플랫폼 구축을 위한 바이오컨텐츠 제작 및 적용기술개발 | Development of biocontents and application technology for constructing NiRAN inhibitor screening platform | 정주연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601 | 20241231 | 기능성 바이오소재 기반기술 | 본 연구에서는 NiRAN 저해 선도물질 발굴용 바이오컨텐츠 설계/제작 및 검증을 통하여 신·변종 바이러스 감염병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플랫폼 핵심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이를 활용하여 in vitro 세포기반 치료제 발굴 플랫폼이 갖는 한계점을 극복하고 감염병 신속 대응을 위한 신개념 in vitro 치료제 발굴 플랫폼 적용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함. | 신·변종 바이러스, 대유행 바이러스 관련 확보/가공된 항체, 항원을 이용한 다양한 산업적 응용 기대됨. NiRAN 저해 선도물질 발굴 플랫폼 기술 개발은 신규 기술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Covid19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는 약물 개발을 수행하며, 앞으로 원천기술 확보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음.코로나 바이러스 뿐만 아니라 범용적인 신, 변종 바이러스에 적용할... | 신종바이러스,항바이러스제,RNA중합효소,체외분석,재조합,생물정보학,약제 내성,단백질 공학 | New-ermerging virus,Antiviral drug,RNA polymerase,In vitro assay,Recombination,Bioinformatics,Drug resistance,protein engineering | 300000000 |
1243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4572 | 대사경로 제어를 통한 네크롭토시스 제어기전 발굴 및 면역질환 제어전략 개발 | Development of regulatory strategies of necroptosis and inflammatory diseases through identification of the crosstalk between metabolism and necroptosis | 서진호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301 | 20250228 | 생명현상 및 기능연구 | 본 연구는 대사신호기전이 네크롭토시스(Necroptosis)신호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자적 수준 및 동물 모델을 통해 밝히고자 하며, 이를 이용하여 면역질환제어기술을 개발 하고자함.1. 네크롭토시스를 조절하는 대사조절물질 스크리닝 및 세부조절 기전 확립- 대사조절물질 library 및 대사체분석을 이용한 네크롭토시스 관련 대사신호기전 스크리닝2. 대사신호와... | 1. 학술적 기대효과 - 네크롭토시스는 최근에 밝혀진 세포사멸인 만큼 근 10년 동안 다양한 조절인자들이 밝혀져왔으며, 다양한 질환에서 그 역할을 인정 받고, 보고됨. 하지만, 다양한 신호기작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수준임. 본 연구 과제는 네크롭토시스와 대사신호경로 간에 상호조절기전 발견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며, 이는 학계의 이목을 끌... | 네크롭토시스,대사신호경로,대사산물,세포사멸,면역질환,대사질환 | Necroptosis,Metabolism signaling pahtway,Metabolite,Cell death,Immune disease,Metabolic disorder | 150000000 |
2039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5967 | 척추고정술 또는 척추풍선성형술 환자의 인접 뼈와 디스크 손상으로 인한 재수술 방지하기 위한 최적의 척추 움직임에 관한 연구: 3차원 유한요소 분석 | A study on optimal spinal motion to prevent re-operation due to damage to adjacent bone and disc after spinal fixation or balloon kyphoplasty surgery: 3D Finite Element Analysis | 강성욱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충청남도 천안시 | 20210601 | 20240229 | 의과학·의공학 기술 | 본 연구에서는 척추골절 치료를 위한 척추고정술 또는 척추풍선성형술을 받은 환자의 인접 뼈와 디스크 손상으로 재수술을 방지하기 위한 수술 후 최적의 척추 움직임을 3차원 유한요소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분석하고 검증하고자 함. | (학문적 측면)-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에서 인접 척추뼈와 디스크의 골절에 대한 위험 인자 분석 및 생체역학적 이해- 다양한 유한요소분석을 위한 척추 수술 환자 모델 개발- 빈번하게 발생하는 척추 재수술을 막기 위한 “척추 수술 후 환자의 움직임 가이드라인”제안 의학적 측면- 기존 척추고정술 또는 척추성형술 후 인접 부위 퇴행성 변화를 막고 재수술의 예... | 척추고정술,척추풍선성형술,퇴행성질환,척추움직임,유한요소 분석 | spinal fixation,balloon kyphoplasty surgery,degenerative disease,spine motion of range,finite element anaysis | 43836000 |
2032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2899 | 바이오 의약품 분리정제농축용 여과모듈 개발 | Development of Filtration Modules for Separation Purification and Concentration of Biopharmaceuticals | 박유인 | 한국화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401 | 20241231 | 생물공정 기술 | [개발목표]바이오 의약품 분리정제농축용 여과막 제조기술 개발 및 여과막 분석평가법 확립[개발내용]- 제균 및 전처리를 위한 정밀여과급 분리막 제조기술 개발(0.2/0.45 um)- 바이러스 제거를 위한 나노여과급 분리막 제조기술 개발(20nm)- 단백질 분리·농축을 위한 한외여과급 분리막 제조기술 개발(10kDa/30kDa)- 바이오 여과막의 표면처리기술 ... | - 바이오 분야 적용을 위한 핵심 분리막 제조기술 확보- 분리막 구조 최적화 및 신규 소재 개발- 분리막 구조 및 형태의 다양한 개발을 통한 제품 도입 유연성 증대- 개발 기술의 기관간 교류를 통한 연구협력 강화- 개발 분리막의 제품화 가능성 극대화- 분리막 및 여과모듈 평가를 위한 기반 확보 | 바이오의약,분리정제,바이오필터,여과모듈,분리막 | Biopharmaceutical,Separation,Biofilter,Filtration module,Membrane | 20000000 |
2195 | 2021 | 핵심농자재국산화기술개발(R&D)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3863 | 생장조정제 소재(자원) 확보·보존, in vitro 효능 검증 및 배양조건 확립 | 이지영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전라북도 정읍시 | 20210401 | 20251231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생장조정제 개발용 소재(미생물, 식물세포주) 확보 및 효능검증을 통한 생장조정제 미생물 농약, 생화학농약 제품 개발. 등록. 사업화를 이루고 이를 통해 수입대체 핵심농자재 국산화에 목표가 있음 | 기대효과 1)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및 식물세포주 기반 연구개발 저변 확대 및 전문인력 양성 2) 친환경 농자재(생장조정제) 개발 기술 및 실용화 방안 확보 3) 미생물 및 생화학 생장조정제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한 기술적 계기 마련 4) 친환경 농산물의 안정적 생산·공급을 통한 국민 건강 향상 5) 친환경농업 저변 확대 및 지속 가능한 농업 생태계... | 생장조정제,미생물농약,생화학농약,작물보호제,제품화 | Growth control agent,Microbial pesticide,Biochemical pesticide,Crop protection agent,Manufactured product | 200000000 | |
2180 | 2021 | 국가표준기술개발및보급(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187 | (7세부) 미생물 정성정량 분석을 위한 표준균주 상용표준물질 개발 및 보급 |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commercial reference material(type strain) for microbial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 이상수 | (재)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 기타 기타 | 20200201 | 20211231 | 기타 보건의료 관련 응용기술 | 1. 후보표준물질(대장균, 바실러스균) 공정개발 및 제조2. 후보표준물질(대장균, 바실러스균)의 균질성 및 안정성 확인3. 후보표준물질(대장균, 바실러스균) 특성값 산출 4. 유효성 검증5. KOLAS인정 or COMAR등록신청6. 표준물질 인정 및 보급 확산7. 안정성 모니터링 | [제품의 규격 적합성 및 품질 향상] - 미생물시험이 필수인 산업체에 표준물질 보급을 통해 제품의 규격 적합성 및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 - 표준물질을 사용한 품질 관리를 통해 산업체의 경쟁력 강화.[Bioball 표준물질 산업 국내시장 선점 및 해외진출] - 국내 Bioball 표준물질은 아직 초기상황이나, 표준품과 관련된 세계 시험·검사시장은 매... | 미생물,바이오볼,매트릭스,표준균주,국제표준물질등록센터 | Microorganism,Bioball,Matrix,Type strain,COMAR | 225200000 |
1261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4591 | 그람음성균의 Type III 단백질 분비시스템 (T3SS) 조절을 통한 신개념 난치성 감염질환 원천기술 개발 | Regulation of type III protein secretion system (T3SS) for the novel drug development of pathogenic bacterial disease | 안경섭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901 | 20250228 | 난치성 질환 치료기술 | - Gram negative bacteria (그람음성균)의 대표적인 virulence mechanism인 type III protein secretion system (T3SS)을 조절함으로써 난치성 감염을 제어할 수 있는 바이오신약 원천기술을 개발함과 더불어 국내·외 천연물 유래 물질 (식물, 미생물 등)을 이용해 그 조절물질을 탐색 및 개발하여 내성을... | T3SS 억제 능력을 가지면서 항생제 내성과 같은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 유래 물질을 찾아 치료제로 개발한다면 기존 항생제의 내성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신개념 바이오 신약으로서 새로운 감염 치료약물의 개발 가능성이 있음. | 그람음성균,녹농균,타입3단백질분비시스템,난치성감염치료제 | Gram-negative bacteria,Pseudomonas aeruginosa,typeIIIprotein secretion system,Infectious disease | 87782000 |
604 | 2022 | 스마트팜다부처패키지혁신기술개발사업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5638 | 2세대 한우(암소) 스마트 축산 모델 현장실증 및 보급 | 구민정 | 전남농업기술원축산연구소 | 전라남도 강진군 | 20210407 | 20241231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 연구최종목표: 2세대 한우(암소) 스마트 축산 모델 현장실증 및 보급○ 연구단계별 목표- 1단계 : 암소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 기술 정립- 2단계 : 2세대 암소 스마트 축산 모델 실증 | · 본 사업을 통해 2세대 스마트 축산 관련 통합 데이터 운영·관리와 ICT 장비별 통합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이기종 장비 간 통합 빅데이터 플랫폼 개발·보급으로 정보수집 확대 및 정보 활용도 증대· 빅데이터 분석 기반 herd-based 및 individual-based 예측 현장형 실시간 모델 개발 및 보급· 축우 사양 의사결정 지원 솔루션 개발 및 ... | 빅데이터,의사결정솔루션,정밀사양,한우,젖소 | Big data,Decision,Decision,Hanwoo,Dairy cow | 60000000 | |
70 | 2022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4837 | 통합유전체 마커의 확장성과 정확도 향상을 위한 noncoding 분석과 딥러닝 방법 개발 | Extensive and accurate marker discovery through noncoding mutation analysis and deep learning | 최정균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70525 | 20260524 | 유전체기반 기술 | 대장암의 고차원 멀티오믹스 모델링을 위하여 조절체, 다양한 전사체 isoform, 전장유전체의 noncoding 영역에 대한 분석을 대장암 전이 모델, 딥러닝 기반의 vulnerability 및 신생항원 예측 모델, cell-free DNA 기반 딥러닝 진단 모델 등에 적용하여 시행하고, 이를 통하여 개발된 진단 플랫폼 및 치료타겟 발굴에 대한 기능적인 검... | - 현재 암의 재발과 치료제에 대한 반응성 예측용 분자 마커가 전무한 대장암에 대한 우수한 마커 set 및 계산모델 개발을 통하여 대장암의 정밀의료 실현을 앞당기고, 암 유전체학 전반에 대한 원천기술 점유를 통하여 다른 암으로의 확장을 기대할 수 있음.- 본 연구팀에서 학술적인 성과를 보유하고 있는 전사체, 조절체 및 noncoding 암 유전체 해석기술을... | 전사체,조절체,멀티오믹스,딥러닝,예측모델,취약점,신생항원,세포유리 DNA | transcriptome,regulome,multi-omics,deep learning,prediction model,vulnerability,neoantigen,cell-free DNA | 400000000 |
1374 | 2021 | 포스트게놈신산업육성을위한다부처유전체사업(R&D)(해수부)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1385 | 해양수산생물 유전체정보 분석 및 활용기반 구축(연구개발) | 김혜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80901 | 20220331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 해양동물 3종, 해양식물 3종, 수산생물 2종, 해양미생물16종 전장유전체 해독○ 해양수산동식물 annotation 및 가시화 7종○ 해양수산생물 유전체정보 기반 유용 유전자 확보 19건○ 구축된 해양수산생물 전장유전체 정보 100% MAGIC 등록, 관리 및 MAGIC 운영○ 해양수산생물 유전체 생산 분석 관리 활용 전문인력 양성○ 표준화된 해양수산생... | ○ 해양수산생물 전장 유전체 정보 - 본 사업에서 완성하고자하는 해양수산생물의 전장유전체 정보는 완성도와 정확도가 높아 추후에서 지속적으로 활용 가능한 수준의 정보로서, 신소재, 유용성분, 신약, 바이오에너지, 환경정화 등 해양수산생명공학 및 수산육종 관련 산업과 연구 분야에 기반으로 역할을 할 것이다. - 또한 기후변화, 환경변화에 영향을 받는 종들의... | 해양동물,해양식물,해양미생물,전장유전체,유용유전자 | marine animal,marine plant,marine microbe,reference genome,functional gene | 494000000 | |
2481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7526 | 인공 사이토카인을 이용한 면역 과민 반응 치료제 개발 | Development of immune hypersensitivity drug based on artificial cytokine protein design | 우의전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301 | 20260228 | 기타 보건의료 관련 응용기술 | 본 사업은 미래형 단백질 디자인 기술을 활용하여 사이토카인 모방 인공 단백질을 제작하고 기능을 분석하여 면역 과민반응 치료제로 개발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를 위해 천식 및 아토피 질환의 대표적인 표적 사이토카인인 흉선 기질 림포포이에틴 (Thymic Stomal Lympo-Poietin : TSLP) 모방 단백질을 디자인하고 그 수용체 (TSLP Recep... | -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인공적인 스캐폴드를 가진 미니 단백질은 선별적 맞춤형 기능과 뛰어난 안정성으로 인해 기존 항체 신약의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생산과 유통에 유리하며 주사제가 아닌 천식 네뷸라이저로 활용 가능하다.- TSLP 미니 사이토카인 개발에 사용된 인공 스캐폴드와 관련 Grafting 기술은 인터루킨 IL-1, IL-5, IL-6, IL... | 사이토카인,인공 단백질,단백질 디자인,로제타,흉선 기질 림프포이에틴,천식,면역 과민 반응 치료제 | cytokine,artificial protein,protein design,Rosetta,TSLP,Asthma,immune hypersensitivity | 201749000 |
1074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8800 | ALS에서 한약과 양약 병행 치료에 의한 효능 및 기전 연구 | Research on the effect and mechanism of combination of herbal formulas with conventional drug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 양은진 | 한국한의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301 | 20230228 | 난치성 질환 치료기술 | - 난치성 질환인 루게릭병의 치료 및 환자의 삶과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한·양약의 병행 투여의 시너지 및 양약의 부작용 완화를 규명하고, 한약과 양약의 상호작용 기전을 확립하여 한약의 가치 및 적용을 확대 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함. | - 아직 치료제가 없는 난치성 질환의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상승 시킬 수 있도록 한약과 양약의 병용투여에 대한 시너지 효과 및 부작용 완화에 대한 연구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한의치료법을 선진의료기술화 하는 밑거름이 되어 향후 임상에 적용될 경우 의료서비스의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고 사회적 의료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음. - 전통의학인 한의학적 치료 기술과 서양... | 루게릭병,병행투여,한약,양약 |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Herbal medicine,conventional drug,Coadministration | 180000000 |
1022 | 2021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0132 | 조직 상주 T세포를 조절하는 분자타겟 발굴 | Discovery of molecular targets to regulate tissue-resident T cells | 신의철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81001 | 20221231 | 바이오신약 개발기술 | 본 연구의 총괄과제에서는 조직 상주 T세포를 타겟한 면역제어 기술을 개발하여 암이나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광범위한 난치성 질환에 적용하고자 한다. 이러한 총괄 목표 하에, 본 1 세부과제에서는 조직 상주 T세포를 조절하는 분자타겟 물질을 발굴하고, 그 치료기전을 분자 및 세포생물학 수준에서 규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치료 후보물질을 개발하고 ... | 본 세부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암이나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난치성 질환 치료에 적용 가능한 면역제어 기반 후보물질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면역 제어 원천기술을 개발하여 실용화 및 제품화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됨. 이는 국내 만성염증질환 및 암 치료 관련 의학 기술력 증진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국가 경쟁력을 갖추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 조직 상주 T세포,분자타겟,치료제,신약후보 물질,동물모델,CD8 T 세포,CD4 T 세포,전임상시험 | tissue-resident T cells,molecular target,therapeutics,drug candidates,animal model,CD8 T cell,CD4 T cell,pre-clinical testing | 260000000 |
471 | 2022 | 해양공간 디지털트윈 적용 및 활용 기술개발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3309 | 해양 디지털트윈 구축 및 활용기반 기술 연구 | 정기숙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20401 | 20261231 | 농업·해양 생물자원의 보존 및 이용기술 | ㅇ 해양 디지털트윈 모델을 위한 실시간 데이터 구축체계를 구현하고 해양 디지털 트윈모델, 시뮬레이션 및 4D 시각화 등의 해양 디지털트윈 플랫폼 구현 ㅇ 다양한 해양정보 연계와 정책시뮬레이터 및 서비스 모델과 연동을 통해 해양 디지털트윈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검증하여 보다 정확하고 다양한 해양정보 가시화 기술개발과 표준화 ㅇ 주요 성능값으로, - 실...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통합된 지리정보반의 디지털트윈공간을 활용하여 각종 개발 및 해양이용을 위한 협의시 정책결정 및 의사결정에 활용- 동적·정정으로 실제의 해양공간을 디지털트윈화한 공간기반을 바탕으로 어로, 수산등의 경제활동에 활용- 각종해양재해 및 재난, 사고 등의 예측 및 처리를 위한 기반 플랫폼으로 활용○기술적기대효과- 해양디지털트윈 기반 시뮬레이... | 해양데이터 S-100모델링,디지털트윈,시뮬레이터,4D공간격자,디지털트윈표준화 | Marine Data S100 modeling,Digital Twin,Simulator,4D grid,Standard of digital Twin | 120800000 | |
2248 | 2021 | 작물바이러스및병해충대응산업화기술개발(R&D)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3945 | 미생물공학과 세균 이차대사산물 생산 표준화 기술 개발 | Kim Il Hwan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401 | 20231231 | 동식물 병해충 제어기술 | 본 과제의 최종목표는 곤충병원세균을 이용하여 대파에 피해를 주는 주요 해충에 대한 고효율 미생물 작물보호제 개발이다. 최종목표 달성을 위한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진행되는 세부 목표는 곤충병원성 미생물 Xenorhabdus와 Photorhabdus 의 NRPS-PKS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 고효율 세균 배양액 생성 기술개발이다. | 주관 및 공동연구기관과의 협력연구를 통해 곤충병원성미생물의 이차대사산물을 생산, 분리 및 동정하고 유효성분에 대한 정량적 분석방법을 확립하여 제품의 표준화를 기대. 친환경 미생물 농약 개발을 통한 국내 농산물 보호 및 품질 향상 기대. | 곤충병원세균,해충,유전자 공학,생물농약,표준화 | Entomopathogenic bacteria,Insect pest,gene engineering,Biological insecticide,Standardization | 75000000 | |
35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3761 | 대사표현형 바이오마커기반 암 유형의 암생물학적 특성 규명과 정밀치료전략 개발 및 임상응용성 연구 | Characterization of cancers classified based on metabo-phenotypic biomarkers and development of translational strategies for precision therapy | 염영일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 20220301 | 20250228 | 난치성 질환 치료기술 | ○ 2-3세대 표적/면약항암제는 1세대 항암제에 비해 혁신적 효능을 보이지만 내성 발생과 기대 이하의 임상효능, 제한적 적용범위 등의 문제점을 가짐. 따라서 보다 보편적인 적용성과 암 특성에 따른 정밀성을 갖춘 치료기술 개발이 필요함.○ 암유전자 변이 등에 의해 암 특이적으로 변형된 세포대사는 암 악성진행의 핵심동력으로 작용함. 본 연구진은 암대사 표현형 ... | 기대효과○ 과학기술적 측면■ 대사표현형 바이오마커를 기반으로 암 유형을 분류함으로써 암 정밀치료 기술 개발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하며, 원천기술 기반의 우수 논문 및 국내외 산업재산권 생산 가능■ 기존 표적치료제 및 면역항암제들의 제한된 치료효능 및 약제내성 획득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치료효과가 크고 부작용이 낮은 새로운 대사항암치료 기술개발에 기여○ ... | 바이오마커,암대사,정밀치료,대사표현형,대사제어,신약재창출 | Biomarker,Cancer metabolism,Precision therapy,Metabolic phenotype,Metabolic control,Drug repositioning | 268851000 |
1666 | 2021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운영(R&D) | 보건복지부 | 국립암센터 | 1465035305 | 유해물질 복합노출과 암발생 연관성 규명 : 전향적 다기관 예비연구 | Multiple exposure to pollutants and cancer risk : Prospective Multi-center Pilot Study | 김병미 | 국립암센터 | 경기도 고양시 | 20210101 | 20231231 | 기타기초·기반기술 | ■ 유관 전문기간 연구사업의 유해물질의 종류를 검토하고, 유해물질 복합노출과 암발생과의 연관성 규명■ 연구 관련 문헌 검색 및 검토■ 유관기관 자료 보유 현황 파악 및 수집 가능성 매핑■ 유관기관 자료 확보 및 연계 | ■ 유관 전문기간 연구사업의 유해물질의 종류를 검토하고, 유해물질 복합노출과 암발생과의 연관성 규명■ 연구 관련 문헌 검색 및 검토■ 유관기관 자료 보유 현황 파악 및 수집 가능성 매핑■ 유관기관 자료 확보 및 연계 | 발암요인,복합노출,암 발생 | carcinogenic,Multiple exposure,Cancer incidence | 100000000 |
2416 | 2022 | 한국재료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재료연구원 | 1711159986 | (생체소재) 고강도·고내식 생분해성 금속소재 제어 기술 개발(3/5) | 서종식 | 한국재료연구원 | 경상남도 창원시 | 20190101 | 20231231 | 기능성 바이오소재 기반기술 | 플라즈마가 발생한 고농도 활성종으로 공공/다중이용 시설 실내공기 내 존재하는 병원체를 제거한 후 잔존하는 인체유해성 활성종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저온반응 촉매 소재기술 개발 | 인체유해성 활성종 제거용 저온반응 촉매소재 개발- 모노리스 촉매 및 반응기 제조 기술 개발 | 유해 활성종, 저온 촉매, 모노리스 촉매, 촉매 모듈, 촉매 전산모사 | Harmful Reactive Species, Low Temperature Active Catalyst, Monolith Catalyst, Catalyst Module, Catalyst Simulation | 250000000 | |
2099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3367 | 폐암 방사선저항성 세포주 기반 방사선 저항성 후보물질 개발 및 제어 분석 | The evaluation of control and development for radiation resistant-related target molecules using radiation resistant lung cancer cell lines | 이선진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901 | 20220228 | 생명현상 및 기능연구 | 본 연구는 감마 조사선(gamma irradiation)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방사선 저항성 폐암 세포주를 이용하여 방사선 저항성 관련 핵심 후보인자 발굴과 방사선 노출의 병리적 특성 분석 및 핵심인자의 신호제어 기전 분석을 통해 방사선 노출과 항암제와의 병행치료를 통한 폐암 치료의 최적화 조건 및 임상 적용의 유용성을 제시함. | ▶ 이러한 방사선 저항성, 항암내성의 문제 해결을 위해 방사선 저항성 핵심인자의 분석 발굴 및 과 기존의 항암제들(NCI에서 언급된 폐암치료약물,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약물, 오토페이지 활성 조절물질)과의 병행치료를 통해 in vitro 및 in vivo 수준에서 방사선 노출 시 폐암 치료의 최적화 조건 수립 가능성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 및 가설을 수립하며... | 방사선 저항성,핵심인자,폐암,세포사멸,오토페이지,소포체 스트레스,페롭토시스,병행치료 | radiation resistance,target molecules,lung cancer,cell death,autophagy,Endoplasmic reticulum stress,ferroptosis,combination therapy | 100000000 |
2347 | 2022 | 국가신약개발사업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7030 | TTK 인산화를 저해하는 삼중음성유방암 표적치료제 선도물질 도출 | Lead identification of TTK inhibitor as a therapeutic agent for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 안선주 | 한국화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20501 | 20240430 | 난치성 질환 치료기술 | 삼중음성유방암 치료제 개발을 위한 TTK 저해 선도물질 도출- TNBC의 공격성과의 상관관계가 확인된 예후인자 TTK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항암효능을 가지는 약물성이 확보된 선도물질을 도출함- 환자조직을 활용하여 바이오마커 유용성을 평가하는 등 선도물질의 임상적 활용 전략 수립을 위한 연구 수행 | - 의약합성, 약리, 약물성 분야 연구자들의 체계적인 협동연구를 통해 효율적으로 삼중음성유방암의 항암효능이 탁월한 TTK 저해제를 개발하고자 함- 본 과제를 통해 확보될 선도물질을 국내 제약사와의 공동연구 또는 라이센싱을 통하여 글로벌 신약으로 개발하고자 함- 도출된 선도물질은 타겟의 특성상 삼중음성유방암외의 TTK가 과발현된 기타암 치료제로서 그 적응증 ... | TTK 저해제,삼중음성유방암,유사분열체크포인트 | TTK inibitor,TNBC,spindle assembly checkpoint | 333333000 |
1661 | 2021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운영(R&D) | 보건복지부 | 국립암센터 | 1465035225 | 검진 비권고대상 암종 포함 암 조기 진단과 적정 검진 제공을 위한 한국형 권고안 개발 | Development of guidelines of early detection of common cancers including not recommended for screening in Korea | 김열 | 국립암센터 | 경기도 고양시 | 20190101 | 20211231 | 기타기초·기반기술 | 검진 비권고대상 암종을 포함하여 한국인에서 흔히 발생하는 암에 대한 포괄적인 암 조기 진단과 적정 검진 제공을 위한 권고안을 우리나라 인구 대상 자료와 근거에 기반하여 개발체계적 문헌 고찰, 일반인 인식도 조사, 온라인 자료 분석, 암환자 경험 조사를 통한 암조기증상에 대한 근거와 오해 평가 | 검진 비권고대상 암종을 포함하여 한국인에서 흔히 발생하는 암에 대한 포괄적인 암 조기 진단과 적정 검진 제공을 위한 권고안을 우리나라 인구 대상 자료와 근거에 기반하여 개발체계적 문헌 고찰, 일반인 인식도 조사, 온라인 자료 분석, 암환자 경험 조사를 통한 암조기증상에 대한 근거와 오해 평가 | 조기진단,권고안,암검진,조기증상,정보지 | early diagnosis,guideline,cancer screening,early symptom,information sheet | 90000000 |
442 | 2022 | 기술사업화지원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4978 | 국내 천연물 소재 목근의 수면증진 건강기능식품 개발 | 이미영 | 한국한의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401 | 20231231 | 한방응용기술 | □ 수면 개선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원료(목근 추출물) 개발을 통한 건강기능식품 사업화- 개별인정형 원료 인정 1건 및 식품원료(품목제조신고) 등록- 논문 2건 게재 및 특허 1건 출원 | - 수면개선 기능성 식품의 제품화를 위한 기술이전 가능- 수면증진 기능성소재 기술 확보 및 작용기전 규명을 통한 과학적 성과 및 신뢰성제고- 기능성 소재의 고부가가치 천연물 식의약 소재에 대한 우수성 및 원천 기술 확보- 수면개선 건강기능식품 원료인증을 위한 인체시험 기초자료 확보- 기능성 소재의 새로운 수요창출로 농가에서 원료 생산을 통한 수익창출 기회 ... | 수면증진,목근,건강기능식품,제품개발,개별인정 | Sleep improvement,Hibiscus syriacus,Health/functional food,Product development,Approval of functional ingredient | 135000000 | |
1473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4759 | 방사선에 의한 신경세포 손상 제어 표적으로서 대사형 글루탐산수용체(mGluR1)의 타당성 검증 연구 | Validation of metabotropic glutamate receptor1 (mGluR1) as the target for controlling radiation-induced neuronal cell injury | 정우희 | 한국원자력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601 | 20220228 | 뇌신경과학 연구 | ○ 뇌종양 환자의 방사선 치료후 만성적으로 나타나는 방사선 신경손상(학습인지능력 장애 등)에 대한 치료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방사선에 의한 신경세포 손상 제어를 위한 생물학적 표적자로서 대사성 글루탐산수용체(mGluR1)을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함- SCI 논문 3편 게재 (JCR 상위 10%내 SCI논문 1편 포함): 방사선 신경손상에 대한 mGlu... | ○ 뇌종양에 대한 방사선 치료후 50% 이상의 환자에서 나타나는 학습인지기능 장애는 환자의 삶의 질을 하락시키는 원인이나 아직까지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어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음.○ 방사선 신경세포 손상에 대한 생물학적 표적을 개발함으로써, 방사선 신경손상 저해제 발굴에 활용함으로써 뇌종양의 방사선치료시의 만성부작용으로 나타나... | 방사선치료,신경세포,글루탐산수용체,세포손상,뇌종양,방사선 | radiotherapy,neuronal cell,glutamate receptor,cell injury,brain tumor,radiation | 50000000 |
1780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5514 | ZNF507 유전자의 신경 발달 조절 매커니즘 규명 및 핵심 표적 단백질 발굴 | Mechanism study of ZNF507 gene in neurodevelopment and the discovery of key target protein | 최성균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대구광역시 달성군 | 20210601 | 20240229 | 뇌신경과학 연구 | ▲ ZNF507 유전자발현감소 (ZNF507+/-) 마우스와 conditional knockout 마우스를 이용, 생체 내(in vivo) ZNF507 유전자 감소에 의해 유발되는 정신 질환의 표현형을 조직·생리·행동학적으로 분석▲ ZNF507 유전자 발현 억제 마우스 배아줄기세포주 (ZNF507 knockdown mESC)를 이용, 초기 신경 발생·분화 ... | ▲ ZNF507 및 신경발달장애 관련 질환 기전 연구의 선도- 신경발달장애의 새로운 연관후보유전자로 거론되고 있는 ZNF507의 기능에 대한 보고는 전무한 실정이며, 발생 초기에서부터 신경전구세포, 태아발달, 성체에 이르기까지 mESC, 발현억제 마우스모델 등과 단백질 빅데이터 기반 표적 단백질을 분석한 연구는 관련 기작에 대해 밀도 있게 밝힌 최초의 연구... | ZNF507,신경 발생,신경 분화,치료 타겟,배아줄기세포 | ZNF507,Neurogenesis,Neuronal differentiation,Therapeutic target,Mouse embryonic stem cell | 47111000 |
2342 | 2022 | 연구중심병원 육성 R&D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6104 | 제 2유닛(4세부) 사이토페노믹 플랫폼을 이용한 뇌질환 진단-치료 타겟 도출 시스템 구축 | Development of cytophenomic screening platform to identify theranostic targets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 김형준 | 한국뇌연구원 | 대구광역시 동구 | 20141001 | 20230331 | 뇌신경과학 연구 | 사이토페노믹(cytophenomics; cell+phenome)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뇌질환 병리기전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여 진단-치료 타겟 탐색, 동물 실험 모델 및 Human brain sample을 이용한 실효성 평가의 원스탑 뇌질환 치료 타겟 도출 프로세스 확립 | □ 치료 타겟 도출과 동물 모델을 통한 검증, 사람 뇌조직을 이용한 실효성 평가를 통해 원스탑 뇌질환 치료 타겟 도출 프로세스를 확립하고 예산낭비의 최소화□ 뇌질환 진단-치료 타겟 도출 프로세스를 타 질환의 타겟 검출에 이용, 타겟 탐색방법의 선순환 프로세스 확립 | 뇌질환,신경염증,알츠하이머,파킨슨,바이오칩 | Neurodegenerative disease,Neuroinflammation,Alzheimer,Parkinson,Biochip | 214775000 |
2337 | 2021 | 한의약혁신기술개발(R&D)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4372 | 추나 진단 객관화를 위한 체형 분석 알고리즘 개발 및 임상연구 관리 | Development of body shape analysis algorithm and clinical research management for objectification of Chuna diagnosis | 장준수 | 한국한의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501 | 20251231 | 한방응용기술 | - 임상연구를 위한 3차원 측정기기 준비 및 측정 프로토콜 개발- 객관적인 3차원 체형 특징 추출 알고리즘 개발 및 골반 변위 분류에 유의한 지표 발굴- 3차원 체형 특징에 기반한 골반 변위 진단 알고리즘 개발- 임상연구 설계, eCRF개발 및 임상데이터 관리, 임상연구 모니터링(CRO기능 수행)- 3차원 체형 정보를 활용한 골반변위 분류 방법 특허 출원(... | - 추나 진단법 연구의 기준을 제시하고, 임상 연구 결과를 통해 복잡 추나의 범위를 확대하는데 기여- 추나 진단에 활용되는 의료기기의 진단 일치도 연구를 바탕으로 한의계의 현대 의료기기 사용의 당위성 및 필요성에 대한 근거 확보- 복잡 추나의 보건 정책 지원 범위 확대의 근거 확보 및 추나 진단 행위에 대한 수가 창출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 복잡 추나 ... | 추나,근골격계 질환,진단 알고리즘,체형 분석,치료 효과 | Chuna,Musculoskeletal disorders,Diagnosis algorithm,Body shape analysis,Treatment effect | 85000000 |
744 | 2022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6507 | 3D 프린팅 패치 생체적합성 신소재 원천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Fundamental Technology for Biocompatible 3D Patch Materials | 황승상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서울특별시 성북구 | 20180401 | 20221231 | 기능성 바이오소재 기반기술 | 본 연구팀은 심근경색 치료용 3D 패치의 적용을 위한 생분해성, 생체적합성을 가지며 3D 프린팅 적용 가능한 고탄성 바이오 소재 및 고접착 기능성 고분자 실란트 소재를 개발하고자 함생체적합성, 생분해성 설계 및 최적구조 바이오 폴리머 합성 기술랜덤형, 블록형, 가지형 공중합체 포함하는 탄성체 백본 구조 최적화 및 정밀합성수소결합 또는 이온 결합 등을 포함하... | 본 과제를 통해 개발된 다기능성 탄성, 생분해성 신소재의 개발은 창의적 개념의 도입을 통한 우수 논문의 게재는 물론 원천특허의 확보를 통한 미래 성장산업 선도에 기여 난치병의 하나로 심근경색의 치료에 있어서 패치형 줄기세포 치료기술을 도입함으로서 우수한 안전성과 높은 치료율 구현 및 국내 의료산업의 경쟁력 제고 고탄성 및 생분해성 소재를 사용한 3차원 ... | 바이오 탄성소재,공중합체,생분해성,생체적합성,심장 패치,유변학,3D 프린팅,의료용 접착제 | Bioelastomers,Copolymers,Biodegradability,Biocompatibility,Heart Patch,Rheology,3D Printing,Medical Adhesive | 200000000 |
2473 | 2021 |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1711152131 | 초고령화 대응 장애극복 연구사업 | 최준호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서울특별시 성북구 | 20190101 | 99991231 | 의과학·의공학 기술 | 고령자의 정상적 일상생활 영위를 위한 장애극복기술 개발 | 노약자의 보행을 도와주는 소형, 경량의 보조 기기는 근력이 약한 노약자도 쉽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도와줄 수 있으며, 노약자보행 보조기에 적용될 정도의 소형/경량이면서 기립/착석시 도움될 정도의 보조력을 발생하는 구동기와 구동력 전달 기술은 무게, 부피의 제약이 많은 항공기, 우주탐사 등에 사용될 로봇이나 여러 기구의 설계에 적용될 수 있음 | 보행 보조, 균형 보조, 브래그 격자 광섬유 기반 모션 센서, 패치형 생체신호 모니터링, 광유전학, 근육, 광자극 기기, 세포 선택적 발현, 낙상대비 신체충격완화장치, 유연한 엑소스켈레톤, 신경근 제어 | Walking assisting device, Balance assisting device, Fiber Bragg grating sensor-based motion capture sensor | 3680000000 | |
235 | 2022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6645 | 인체 모사 장관 오가노이드 기반 질환 제어 마이크로바이옴 평가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platform for microbiome therapeutics using human intestinal organoid | 손미영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101 | 20261231 | 바이오신약 개발기술 | 본 1세부과제의 최종목표는 장관 오가노이드(gut organoid) 기반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플랫폼 개발 및 실용화 기반을 구축하고, 동시에 다장기 오가노이드(multi-organoids) 시스템 도입을 통한 인체 장관-마이크로바이옴 상호작용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발굴을 위한 인체모사 장관 오가노이드 기반 고효율 질환 제어 마이... |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분야의 활용·심화 및 가치 창출을 위한 방법론적 대안 제시마이크로바이옴-장관 오가노이드-질환모델 복합 공배양 시스템의 활용을 통해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 가능성 제고인간 오가노이드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평가 플랫폼 기술 확보를 통한 인체유래 실물·파생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자원 활용 및 신사업 창출 개인 특이성을 반영할 수 있는 마이... | 마이크로바이옴,인간 장관 오가노이드,장내미생물-숙주 상호작용,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인체모사,장내미생물,장-간 | Microbiome,Human gut organoid,Hostmicrobe interaction,Microbiome therapeutics,Biomimetic,Microbiota,Gut-liver axis,Human disease model | 550000000 |
1658 | 2021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5185 | 식물호르몬의 유방암세포 성장 저해 기능 연구 | Mechanistic study of plant growth regulators-induced apoptosis in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s | 이세진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80601 | 20210531 | 기타기초·기반기술 | ○ Tamoxifen-저항성 ER+ 유방암세포주를 사멸시키는 식물성장억제호르몬 선발○ 사멸 기전과 관련된 표적 단백질 선발○ 표적단백질이 전이된 tamoxifen-저항성 ER+ 유방암세포주의 tamoxifen 또는 / 그리고 식물성장억제호르몬에 의한 사멸 유도 | ○ 식물호르몬의 동물암세포에 대한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식물연구와 동물연구 간 융합연구의 기초자료가 확보됨.○ 식물호르몬에 의한 인간 유방암에 대한 항암효과가 규명됨.○ 유방암의 발달과 전이에 대한 에너지 대사와 세포내 Mg2+ 항상성 조절의 역할이 규명됨.○ 유방암의 발달과 전이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기초자료의 확보가 가능함.○ 기존의 항암제와의 식물호르몬의... | 식물성장억제호르몬,세포사멸기전,표적 단백질,유방암 | Plant growth regulators,Apoptosis,Target protein,Breast cancer | 12500000 |
1304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0938 | 비공생 산호의 온도스트레스 반응: 모체면역 및 유생영향 | Hyperthermal stress and immune response in asymbiotic coral and larvae | 우선옥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부산광역시 영도구 | 20200301 | 20230228 | 환경 생명공학기술 | - 지난 3년간 중견연구를 통하여, 한반도 주변의 비공생 산호를 대상으로 온도스트레스에 대응하는 유전자 및 마이크로바이옴변화를 연구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지원과제를 통해 면역관련 유전자들의 발현변화와 산호 모체내에 살고 있는 미생물들의 역할을 통해 유생(다음세대)에게로 이어지는 산호종의 건강도 및 환경스트레스 영향을 찾고자 함- 해양의 환경변화 특... | - 열대성산호종을 중심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공생산호들의 백화현상(공생조류분리) 등은 많이 연구되어 오고 있으나, 한반도 주변의 공생조류를 갖고 있지 않은 비공생 산호의 기후변화적응은 매우 미흡한 실정임을 생각할 때 본 연구결과는 한국 주변의 해수온상승과 더불어 온대성 산호의 보호 및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하여 응용할 수 있는 정보가 될 것임- 본 연구와 같은... | 비공생산호,해수온상승,온도스트레스 반응,유전자발현,마이크로바이옴 | asymbiotic coral,seawater temperature increase,hyperthermal stress response,gene expression,microbiome | 120000000 |
644 | 2022 | 해양치유자원 효능 검증 및 활용 기술개발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3037 | 해양치유자원의 효능,표준화 기술개발 및 해양치유자원의 생애주기 안전관리방안 | 김충곤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부산광역시 영도구 | 20220401 | 20261231 | 기타 보건의료 관련 응용기술 | 해양치유산업의 저변 확대 및 활성화를 위해서는 [해양치유자원의 효능발현 메커니즘 규명] 및 [치유자원에 대한 인체/환경 안전성 확보]가 중요하다. 치유자원이 인체에 대한 효능을 발현하는 작용기전(메커니즘)을 의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검증(원천기술 확보)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대상과 목적(요법, 서비스, 제품 등)별 콘텐츠를 개발하여 국민건강복지, 지역경제 ... | * 해양치유자원에 대한 연구가 미흡, 다양한 형태로 활용하는데 제약이 있었으나 해양치유자원의 효능 성분 분석 및 효능발현 메커니즘 규명을 통한 원천기술 확보로 해양치유자원을 치유 서비스, 제품, 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어 해양치유 시장 확대 및 산업화 촉진* 해양치유자원의 생애주기에 따른 최적 관리 기술 개발을 통해 해양치유자원을 보다 안전하게... | 해양치유자원,효능발현메커니즘,원천기술개발,해양치유자원활용,생애주기안전관리 | Marine healing resources,Efficacy expression mechanism,Core technology development,Utilization of marine healing resources,Life cycle safety management | 810000000 | |
708 | 2022 | 신변종감염병대응플랫폼핵심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8033 | mRNA 백신의 면역원성 평가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immunogenicity evaluation method of mRNA vaccine | 강정아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601 | 20241231 | 바이오신약 개발기술 | mRNA, 재조합단백질 백신의 ADE, 세포성, 체액성 면역원성 평가 기술 개발을 통한 백신 유효성 평가1. mRNA, 재조합단백질 백신의 ADE(Antibody-dependent enhancement) 면역학적 평가 시험법 개발2. mRNA, 재조합단백질 백신의 세포성 면역원성 평가 시험법 개발3. mRNA, 재조합단백질 백신의 체액성 면역원성 평가 시험... | o 미래 감염병 대응을 위한 차세대 백신 개발 플랫폼 구축 - mRNA, 재조합단백질백신플랫폼 면역원성 평가 기술과 부작용에 대한 평가기술 개발로 효과적인 백신 개발 시스템 확보o 국민의 건강한 삶의 보장과 사회적 경제적인 피해의 경감 - 신종 감염병으로부터 국민의 건강한 삶을 보장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경제적인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계기를... | mRNA 백신,재조합단백질 백신,감염병 X,면역원성,효능평가,독성평가,항체의존 면역증가,교차접종 | mRNA vaccine,Subunit vaccine,Disease X,Immunogenicity,Efficacy,Toxicity,Antibody-Dependent Enhancement,Prime boost | 249900000 |
1681 | 2021 | 공공연구성과활용촉진(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재단)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 1711141614 | 비올라잔틴 고생산 미세조류 추출물을 이용한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 개발 | 이용재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701 | 20231231 | 기능성 바이오소재 기반기술 | 비올라잔틴 고생산 클로렐라 추출물을 이용한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 개발 | 주름개선 등의 기능성을 갖는 새로운 화장품 소재 및 완제 개발을 통해 기존 시장 진입 및 신규 시장 창출 효과 기대 | 미세조류, 비올라잔틴,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 | Microalgae, Violaxanthin, Anti-wrinkle, Functional cosmetics | 290000000 | |
2653 | 2021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4322 | 다중유전체 분석을 통한 비흡연 폐암의 신규치료타겟 발굴 및 기전규명 | Discovery and validation of novel therapeutic targets of Korean, never-smoker lung cancer by multi-genomics analyses | 박경찬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70401 | 20220331 | 유전체기반 기술 | 다중 오믹스 분석을 통하여 한국인 특이적인 비흡연 폐암의 진단 및 치료 표적 후보 유전자를 선별/검증하여, 비흡연 폐암의 발병 및 치료제 내성의 기전을 규명하고 임상적 치료기술의 기반을 확립함 | 비흡연 폐암 연구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한 다중 유전체 정보 데이터베이스로 활용본 연구를 통해 얻은 비흡연성 폐암에 대한 치료 타겟 유전자의 임상 검증 및 타당성 연구를 통해 비흡연 폐암환자 대상의 치료제 개발 연구에 활용. 비흡연성 폐암 환자의 항암 내성 원인 규명 및 효율적 병용 치료법 개발에 의한 비흡연 폐암환자의 항암 내성 극복에 활용. 오믹스 분석을... | 비흡연 폐암,다중유전체,치료표적,진단마커,약제내성,치료기술,통합분석,아형분석 | Never-smoker lung cancer,Multiple-genomics,Therapeutic target,Diagnotic biomarker,Drug resistance,Therapeutics,Integrated analysis,Subtype analysis | 260000000 |
271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3426 |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 딥러닝 기반 멀티오믹스 통합분석 플랫폼 구축 및 신규 타겟 기능/기전 연구 | evelopment of Deep Learning-Based Multi-Omics Data Integration Analysis Platform and Mechanism Research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 김대수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 20220301 | 20260228 | 유전체기반 기술 | 멀티오믹스 데이터 통합 분석을 통해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단순지방간과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구분할 수 있는 알고리즘 개발을 통해 비알콜성지방간의 진행단계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유전자 패널을 도출하며, 비알콜성 지방간염에서 간세포성 암으로 진행정도를 진단예측 평가 할 수 있는 딥러닝 기반 멀티오믹스 통합분석 플랫폼 구축 및 신규타겟 기능/기전 연구 목표로 함... | ○ 유전체데이터를 활용한 질환의 유전체연구 분석 시스템 개발을 통해 질병 연구에 유용한 자원을 확보 활용할 수 있는 원천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유전체 연구를 활성화시키고 세계 시장 맞춤의료 선점이 가능할 것임○ 유전체 빅데이터 활용 통합DB 구축은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원인 유전자 및 변이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암 치료신약 개발에 쉽게 적용함으로써 비알콜성... | 비알콜성 지방간,유전체데이터 통합분석 플랫폼 구축,진단예측 평가 |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Multi-Omics Data Integration Analysis Platform,Diagnostic prediction | 135475000 |
890 | 2021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32388 | JAZF1 단백질의 줄기세포분화 및 배아 발달 역할에 관한 연구 | JAZF1 protein and their role in stem cell differentiation and embryonic development | 최성균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대구광역시 달성군 | 20180601 | 20210531 | 유전자 치료기술 | 최근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Juxtaposed with another zinc finger protein 1 (JAZF1)인트론 부위의 유전자 변형(variant)이 인간의 신장(height) 발달과 매우 연관성이 있음이 밝혀졌으며, 또한 다른 보고에 의하면 이러한 JAZF1 유전자 변형은... | 첫째, 본 연구는 분자생물학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JAZF1 실체적 매커니즘을 규명은 관련기반 지식축적에 매우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됨. 또한 관련 연구그룹에 새로운 아이디어 제공.둘째, 유전자 결손 마우스 생산과 형질전환 모델동물 관련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국내 실험 동물자원을 확대함. 셋째, 분화와 관련된 질병의 기전을 밝힘으로써, 신약을 개발할 수 있는... | JAZF1,배아발달,세포분화,조직분화,유전자결손생쥐모델 | JAZF1,Embryogenesis,Cell differentiation,Tissue differentiation,Knock-out mouse model | 12500000 |
2572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5657 | 김치의 발효와 저장 향상을 위한 유산균의 저온 대사물질 생성 연구 | A study on the generation of low-temperature metabolites of lactic acid bacteria to improve fermentation and storage of kimchi | 이종희 | 한국식품연구원부설 세계김치연구소 | 광주광역시 남구 | 20210601 | 20240229 | 식품생명공학기술 | 본 연구는 저온의 냉장환경 (~ 4℃)과 연관된 김치유산균의 유전자 발현/대사물질 생성을 분석하고 규명함으로서 김치의 발효, 저장, 유통의 대사물질 생성기작을 밝히고 나아가 김치 발효조절의 기초기술 개발을 목표로 함. | 1) 대사물질 생성 기작 규명을 통한 발효조절의 기반기술 확보 2) 김치미생물 유래의 신규 고부가가치 소재 개발 | 김치,저온,유산균 ,대사체,전사체,발효 | Kimchi,Low temperature,Lactic acid bacteria,Metabolite,Transcriptome,Fermantation | 45927000 |
762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4711 | 전사/번역 시스템 및 핵산분해효소 활성을 이용한 감염병의 고감도, 특이적 현장 진단 기술 개발 | Highly sensitive and specific on-site detection of infectious disease using the transcription/translation system | 변주영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301 | 20260228 | 바이오칩 개발기술 | 전사/번역 메커니즘에 의한 단백질, 핵산 증폭 기술과 핵산분해효소를 이용한 고감도 감염병 현장 진단 시스템 개발 - 핵산 검출을 위한 범용성 신호 변환용 프로브 개발- 신호 증폭 변환 기술과 핵산분해효소 활성을 이용한 감염성 위해미생물 검출 시스템 개발- 고감도 다중 검출을 위한 현장 진단 시스템 개발 | - 과제를 연구 계획에 따라 진행하면서 다수의 논문 게재로 학계에 보고가 가능하며, 지적재산권 확보를 통하여 산업 분야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음. 더 나아가 성공적인 과제 수행으로 큰 성과를 이룬다면 기술 이전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전사/번역 시스템의 신호 증폭 개념을 접목을 통해 현장적용이 가능한 소형유전자 분석기기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예... | 전사-번역 시스템,핵산분해효소 ,신호변환증폭, 감염병,현장진단 | transcription-translation system,nuclease,signal enhancement,infectious disease,on-site detection | 133442000 |
1669 | 2021 | 감염병관리기술개발연구(R&D) | 보건복지부 | 질병관리청 | 1465034041 | 2019신종코로나바이러스 면역항원 제작 및 평가기술 개발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immunological antigen and method against 2019 novel coronavirus (2019-nCoV) | 김균도 | 한국화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316 | 20211231 | 생명공학 산물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기술 | 2019 신종코로나바이러스 면역항원 확보 및 in vitro와 in vivo 효능 평가용 플랫폼 기반기술 구축 | ○ 2019-nCoV에 대한 기반 기술과 자원 확보를 통한 예방 및 치료기술 개발 연구에 활용 가능 ○ 2019 신종코로나바이러스 면역학적 평가기술을 활용한 역학 등 연구기반 강화로 관리정책수립의 근거 자료 제시○ 기존 사스, 메르스 등 중증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연구자원 접목을 통해 향후 신변종 중증코로나바이러스 발생 시 신속한 대응 토대 마련 |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항원, 항체, 기반기술, 감수성 숙주인자 | 2019-nCoV, Antigen, Antibody, Platform technologies, Host susceptibility factor | 250000000 |
1800 | 2021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운영(R&D) | 보건복지부 | 국립암센터 | 1465035290 | 염색체 3차 구조에 의한 삼중 음성 유방암 제어 기반 연구 | Chromatin 3D structure based TNBC carcinogenesis regulation | 박찬이 | 국립암센터 | 경기도 고양시 | 20210101 | 20231231 | 기타기초·기반기술 | 염색질 3차원 구조는 세포 분리시에 구조의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한 조절 인자들에 의해 유지되며 또한 염색질의 3차원 구조 조절자들이 TAD(topologically associating domains)이라는 전사 조절 활성 차별 구역화를 유도함이 알려짐. 이러한 TAD 형성 단백질들은 3차원 구조로 위치를 당겨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전사인자들의 활성에 영향을... | 염색질 3차원 구조는 세포 분리시에 구조의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한 조절 인자들에 의해 유지되며 또한 염색질의 3차원 구조 조절자들이 TAD(topologically associating domains)이라는 전사 조절 활성 차별 구역화를 유도함이 알려짐. 이러한 TAD 형성 단백질들은 3차원 구조로 위치를 당겨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전사인자들의 활성에 영향을... | 염색질 재구성,전사인자,유전체 분석,암줄기세포,진단 마커 발굴 | chromatin remodeling,transcription factor,genomics,cancer-stem cell,thernostic marker identification | 270000000 |
965 | 2021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1711134042 | 국내토착 미생물 유래 천연물을 이용한 화장품 소재의 개발 | Development of cosmetic ingredients using marine microbial metabolites | 이무승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401 | 20211231 | 기타 보건의료 관련 응용기술 | ○국내토착미생물 유래 천연물 바이오소재의 항노화포함 다중 기능성 화장품원료로서의 추출기술최적화, 핵심성분분석법 및 바이오마커 확보 - 확보된 천연물 바이오소재의 추출기술 최적화와 성분분석법(중금속, 효능성분, 지표성분 등) 확립, 원료대량생산가능성 제시 - 천연물 바이오소재의 독성유무·항균·항산화·손상개선 바이오마커 확립위한 분석기술 확립 | ○ 기능성 바이오소재인 프로디지오신의 고효율 고생산성 생합성을 위한 개량발현시스 템을 통해 이러한 해양바이오전략소재의 경제성 높은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어 산 업화 촉진에 활용가능 ○ 새로운 다기능 화장품 소재 발굴 및 사업화 - 한국형 토착유용미생물 소재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타깃 기능성물질기반의 기술사업화 기대 ○ 고기능성 해양바이오 전략소재... | 다기능화장품원료, 대사공학, 바이오소재, 생합성, 프로디지오신 | Biomaterials, Biosynthesis, Cosmetic ingredient, Metabolic Engineering, Prodigiosin | 109000000 |
2569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1343 | p53/p21 결합체의 기능 분석 | Functional analysis of the p53/p21 complex | 엄홍덕 | 한국원자력의학원 | 서울특별시 노원구 | 20190901 | 20230228 | 생명현상 및 기능연구 | 암 억제를 위한 p53과 p21의 세포기능 조절작용이 p53/p21 결합체로 발휘될 가능성과 이 결합체의 작용범위를 조사하고 p53과 p21의 결합을 조절하는 인자를 발굴하여 세포기능과 암 조절 체계에 대한 새로운 이해 구축. 또한, 이를 바탕으로 신규 항암타겟과 항암전략 도출. | 학술적 성과: p53과 p21이 세포기능과 암을 조절하는 새로운 기전 제시응용 방향: 암 제어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바탕으로 신규 항암 타겟과 전략 도출 | p53,p21,p53-p21 결합체,세포 기능 조절,암 억제인자 | p53,p21,p53-p21 complex,regulation of cell functions,tumor suppressor | 200000000 |
474 | 2022 | 생물다양성위협외래생물관리기술개발사업(농진청) |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 | 1395075422 | 제초활성물질을 생산하는 미생물을 활용한 외래잡초 방제기술 개발 및 최적화(1주관) | Development and optimization of alien weed control technology using soil bacteria based herbicidal substances(1) | 최정섭 | 한국화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101 | 20231231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1) 개량균주 배양 최적화 기술개발 2) 개량균주의 작용기전 연구3) 약효증진기술 개발(체계처리를 통한 약효증진) | 1. 개량균주 선발을 통한 수율 증대2. 개량균주 배양최적화를 통한 활성물질의 안정적 수율 확보 및 생산단가 절감3. 체계처리에 의한 약효증진 및 활용성 확보4. 활성물질의 작용기전 확보 | 외래잡초방제기술, 미생물 유래 제초제, 저독성, 최적화, 안전성 | Alien weed control technology, Microbial origin herbicide, Low toxicity, Optimization, safety | 220000000 |
1578 | 2021 | 한국식품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식품연구원 | 1711149635 | 식품위해인자 산업데이터 구축을 위한 기반기술 개발 | Technology development for establishment of industrial data for Foodborne pathogens | 우민아 | 한국식품연구원 | 전라북도 완주군 | 20210101 | 20261231 | 식품생명공학기술 | 식품의 생산, 가공 및 유통 현장에서 식품 오염 병원성미생물 초기데이터 생성 및 식품산업 고도화 환경에서의 변동성·변이성 분석을 통한 생물학적 식품위해인자 데이터 생성 및 관리기술 개발 | - 식품 오염 극미량 생균선택적 동시 분석으로 생균 구별이 어려운 real-time PCR법 한계극복- 저온저항성식중독균의 스트레스 저항성 관련 바이오마커는 식품안전관리에 선제적 정보로 활용- 식품산업현장에서 식재료 미생물 오염수준 선제적 데이터 생성. 안전식품공급에 기여- 식품산업 비중이 높고 식중독 관련성이 증가하는 저산소포장식품의 안전관리를 위한 산업... | 식중독균, 생균검출, ID코드, 저산소포장식품, 스트레스 저항성 | Foodborne pathogens, Live cell detection, ID code, Reduced oxygen packaged foods, Stress resistance | 780000000 |
1397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0645 | 혈관 노화 제어를 통한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korean medicin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through inhibition of vascular aging | 장선아 | 한국한의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301 | 20260228 | 한방응용기술 | ■ 골다공증은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뼈질환으로, 골다공증 치료제는 골흡수 억제제와 골형성 촉진제가 있지만, 심각한 부작용을 안고 있어 안전성이 높은 천연 소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임.■ 골 내 특이적 혈관 (Type H vessel)을 이루는 내피세포 (endothelial cell)는 골 전구세포의 증식과 조골세포로의 분화를 자극하는 인자들을 분비... | ■ 예상 성과 ○ 혈관과 직접적 골대사를 동시-조절하는 유효소재 도출 ○ 표준화/유효성/안전성이 확보된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 선도소재를 개발 ■ 기대 효과 ○ 혈관을 표적으로 한 혁신형 (first-in-class)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 한의기술 확보 ○ 노인성 골질환을 제어할 수 있는 원천 기술 개발 기여 | 혈관노화,혈관신생,타입 H 혈관,골다공증,뼈 | Vascular aging,Angiogenesis,Type H vessel,Osteoporosis,Bone | 78896000 |
476 | 2022 | 바이오산업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446 | 고품질 줄기세포 치료제를 위한 제조 품질 표준화 및 보존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manufacturingquality standardization and preservation technology for high quality stem cell therapy | 김상헌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41231 | 바이오신약 개발기술 | 최종목표: 차세대 줄기세포 치료제 GMP 제조 및 품질관리 표준화 공정을 설립하고, 최신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줄기세포 치료제와 차별화된 안전성 및 효율 검증지표 확인 시험법 개발 및 임상 적용을 위한 완제의약품 보존기술 개발 3차년 개발 목표: 기능강화 고품질 줄기세포 치료제의 동등성 확보 및 품질 관리 표준화 기술 개발- 고품질 줄기세포치료제 작용기전... | 1. 고품질 줄기세포치료제 제조 및 품질관리공정 표준화 및 줄기세포치료제 적응증 확대 - 줄기세포치료제의 안전성 및 치료효능을 검증할 수 있는 신규 시험법을 개발함으로써 치료제 품질관리 기술적으로 진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고품질 줄기세포치료제 제조 및 품질관리공정에 대한 표준화가 가능 - 난치성 질환 치료기술 및 세포원의 확보를 통한 조직공학 ... | 중증하지허혈,고품질 줄기세포치료제,기능 강화 스페로이드,제조 표준화,품질 표준화 | Critical Limb Ischemia,Highquality stem cell therapeutics,functionally enhanced cell spheroid,manufacturing standard,quality standard | 548750000 |
1439 | 2022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1711170619 | 유전체 설계 기반 합성생물학 플랫폼 기술 구축 및 활용 | Development of platform technologies for synthetic biology and molecular bioengineering | 이승구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101 | 20241231 | 기타기초·기반기술 | 지능형 유전자회로/유전체 합성 기반 선도적 합성생물학 플랫폼기술, 바이오파운드리 시스템 개발 및 플라스틱/ 탄소중립 이슈 대응 세포공장 기술 개발 | ○ 바이오 연구개발에 예측·설계(D)-제작(B)-테스트(T)-학습(L) 사이클 기반을 제공하는 바이오파운드리는 U-헬스, 바이오화학, 마이크로비옴 등 연관 분야에 혁신적 파급효과를 유발하게 될 것임 ○ 바이오경제에 새로운 성장동력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미세플라스틱, 케모포비아 등 국민의 건강한 삶을 위협하는 국민생활문제에 합성생물학기술을 통한 새로운 해결... | 마이크로비옴, 바이오부품, 바이오플라스틱, 인공유전자회로, 지능형 대사제어 | Artificial genetic circuit, Biopart, Bioplastic, Dynamic sensing & regulation, Microbiome | 1906000000 |
2191 | 2021 | 기술사업화지원(R&D)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3072 | 인공지능 기반 유전체 분석 프로그램 및 디지털 육종 플랫폼 개발 |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nome Analysis Programs and Digital Breeding Platform | 김용민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401 | 20231231 | 생물정보학 기술 | ○ 인공지능 분석을 위한 유전체 데이터 분석 및 가공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유전체 통합 분석 프로그램 개발 ○ 인공지능 분석을 활용한 계통/개체 분류(정확도 81.5% 이상) 및 계통 특이적 마커 발굴 프로그램 개발 ○ 전사체 데이터를 활용한 유전자 네트워크 분석 프로그램 개발 ○ 인공지능 및 웹 기반 디지털 육종 플랫폼 구축 기술 개발 및 서비... | ○ 유전자 변이지도의 이미지화를 통한 인공지능 기반의 계통/품종 특이적 유전체 영역 및 변이 도출을 위한 분석 프로그램 개발 ○ 형질 연관 유전자 동정 및 마커 개발 및 전사체 데이터를 활용한 유전자 네트워크 분석 프로그램 개발 ○ 작물의 디지털 육종을 지원할 수 있는 통합 분석 플랫폼을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 | 인공지능,유전체,전사체,계통/개체 분류,유전자 네트워크 분석 | Artificial Intelligence,Genome,Transcriptome,Identification of variety or individual,Gene network analysis | 113000000 |
1772 | 2021 | 암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운영(R&D) | 보건복지부 | 국립암센터 | 1465035334 | 대기오염이 암을 발생시킬까?: 기존 증거 확인과 새로운 발견 | Air pollution and cancer: ascertainment of existing evidence and suggestion of new evidence | 김선영 | 국립암센터 | 경기도 고양시 | 20210101 | 20231231 | 기타기초·기반기술 | 본 연구의 최종목표는 대기오염과 암의 연관성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와의 일관성을 확인하고 새로운 증거 발견하는 것이다. 세부목표로 1) 개선된 노출평가를 이용해서 대기오염이 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2) 대규모 코호트에서 대기오염이 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3) 민감집단과 연구방법론에 따른 대기오염과 암의 연관성을 탐색한다. | 본 연구의 최종목표는 대기오염과 암의 연관성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와의 일관성을 확인하고 새로운 증거 발견하는 것이다. 세부목표로 1) 개선된 노출평가를 이용해서 대기오염이 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2) 대규모 코호트에서 대기오염이 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3) 민감집단과 연구방법론에 따른 대기오염과 암의 연관성을 탐색한다. | 암사망,암발생,코호트,대기오염,민감집단 | cancer,cancer incidence,cohort,air pollution,susceptible population | 90000000 |
2219 | 2022 |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6098 | 사용자 중심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용 보조기기 설계 가이드라인 개발 | Development of User Centered-Design Guideline for Leisure and Recreation Assistance Equipments | 홍재수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충청남도 천안시 | 20200401 | 20231231 | 기타 보건의료 관련 응용기술 | ○ 사용자 중심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 설계 가이드라인 개발 및 기술적 요구사항 검증 -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 보조기기의 개발 가이드라인 개발 -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 보조기기의 동적 설계요소 개발 및 사용자 안전 체크리스트 개발 -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 보고지기의 설계요소 및 성능검증, 비즈니스모델 시각화 -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 보조기기의 사용자 매뉴얼 ... | ○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 보조기기를 통한 거동불편자 삶의 질 향상 - 거동불편자 비만문제해결 및 건강관리 솔루션 개발 - 거동불편자의 여가생활지원을 통해 건강 및 삶의 질 향상 ○ 대부분 수입부품 및 해외제품으로 구성된 시장의 국산화 및 관련 산업활성화 - 국내에 부재한 거동불편자 여가산업의 활성화 - 거동불편자의 여가를 지원하는 제품의 수입대체효과 | 거동불편자 여가지원시스템,여가,거동불편자 운동,안전설계가이드라인,사용자 중심 설계 | Leisure support system for the disabled,Leisure,Disabled exercise,Risk management guideline,User Centered Design | 80000000 |
1255 | 2021 | 뇌과학원천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9060 | 미세플라스틱 노출에 의한 뇌 발달장애 발병 기전 및 치료법 연구 | Development of therapeutic techniques for microplastic induced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pathological mechanism | 이다용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601 | 20231231 | 뇌신경과학 연구 | 환경에 높은 빈도로 존재하여 주 오염원으로 작용하는 미세플라스틱을 선별하여 미세플라스틱 노출에 의한 신경 발달 이상 및 그 작용기작을 검증하여 미세플라스틱이 뇌 발달장애를 유발하는 환경적 요인임을 규명하고 그에 대한 치료법을 제시함. | 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뇌 발달장애 예방 및 치료법 연구를 통한 치료의 폭 확대미세플라스틱 오염 방지를 위한 국가적 차원의 정책 및 제도 마련과 저감을 위한 해결방안 모색에 필요한 과학적 근거 및 기반을 제시 | 미세플라스틱,뇌 발달장애,신경줄기세포,증식능,분화능,신경발생,치료 타겟,효능 검증 | Microplastic,Brain developmental disorder,Neural stem cell,Proliferation,Differentiation,neurodevelopment,Therapeutic target,Efficacy evaluation | 166000000 |
464 | 2022 | 극지해양환경및해저조사연구사업(R&D)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3112 | 로스해 해양보호구역의 보존조치 이행에 따른 생태계 변화 연구 | 김정훈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 | 인천광역시 연수구 | 20220401 | 20261231 | 농업·해양 생물자원의 보존 및 이용기술 | 로스해 해양보호구역의 생물자원 분포, 생태계 구조 및 대표 생물군 서식지의 환경변화를 파악함으로써 해당구역의 보존조치 실효성 검증을 위한 과학적 근거자료를 도출하고, 남극해양생물자원보존위원회(CCAMLR) 회원국으로서 남극해 보존 이슈 대응을 위한 과학적·정책적 기여를 목표로 함로스해 해양보호구역의 보존조치에 따라 모든 조업이 금지되는 일반보호수역과 과학적... | ○ 대표생물자원의 군집변화 추적과 환경유전자분석을 통한 종의 개체수, 종분포 및 개체 역학 분석을 통한 보호구역 생태계 및 해양생물자원 관리 방안 수립○ 국제기구(CCAMLR 및 ATCM-CEP 등)의 의제에 대응할 수 있는 연구결과 및 자문 자료 제공○ 해양 생태계·생물자원을 지속적으로 관리 및 보존할 수 있는 과학적 역량확보○ 생물자원 관리 정책에 연구... | 로스해 해양보호구역,CCAMLR 보존조치91-05,남극해양생물자원,생태계 변화,해양관측 | Ross Sea Region Marine Protected Area,CCAMLR Conservation Measure,Antarctic Marine Living Resources,Ecosystem Change,Oceanographic Observation | 2400000000 | |
868 | 2021 | 뇌과학원천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1991 | 뇌미세순환 장애 조기진단 및 극복기술개발 |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early diagnosis and overcoming cerebral microcirculation dysfunction | 정용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60701 | 20210331 | 뇌신경과학 연구 | 고령화 사회 진입 및 서구화된 생활습관으로 인해 급증하고 있는 뇌혈관 질환의 중요 원인은 뇌미세순환장애임. 이의 병인현상은 뇌조직-혈액간의 인터페이스인 신경혈관단위에서 일어나나 기존의 뇌혈관 질환 연구들은 큰 혈관중심으로 이루어졌음. 이는 실제 신경혈관단위의 이상으로 미세순환장애가 발생되는 질환의 임상특성을 잘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음. 본 연구에서는... | 뇌미세순환장애 환자 조기진단신경혈관단위 기능이상으로 인한 뇌미세순환장애의 임상적 특성 규명뇌미세순환 측정기술과 바이오마커는 조기진단을 위한 임상 프로토콜 개발에 활용환자세포 기반 오가노이드 기술의 확대 적용표준화된 체외진단 플랫폼화 및 뇌미세순환장애 타겟팅 신약개발 스크리닝에 활용뇌미세순환장애 연구의 표준을 제시하며 뇌혈관 질환 관련 시장을 선도할 것으로 ... | 뇌미세순환,신경혈관단위,뇌혈관 이미징,카다실 질환 모델링,펄스시퀀스,뇌미세순환장애,자기공명영상,혈액-뇌장벽 | Microcirculation,Neurovascular unit,Cerebrovascular imaging,CADASIL modeling,Pulse sequence,Microcriculation disorder,Magnetic resonance imaging,Blood-brain barrier | 250000000 |
177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2453 | 후성유전체 변화에 의한 피부 성체 줄기세포의 항상성 기전 연구 | Studies on the mechanism of skin stem cell homeostasis by epigenetic changes | 곽소정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901 | 20260228 | 생명현상 및 기능연구 |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로부터 분화한 2차 구조의 피부 성체 줄기세포를 외부 환경(미세먼지)에 노출시켰을 때 변화하는 주요 유전자 발현 패턴과 크로마틴 및 후성유전체 접근성 평가를 분석하여, 핵심 후성유전체 조절 단백질을 발굴하고 네트워크 기전을 확인한 후, 타겟 유전자를 변형시킨 3차 구조 피부 오가노이드를 제조하여 피부조직 내 성체 줄기세포의 항상성 유지 ... | 유도만능줄기세포로부터의 피부 성체 줄기세포 분화 기술이 온전하지 않은 점과 피부 성체 줄기세포의 항상성 유도 기전이 연구가 미비한 상황이므로 피부 질환에 연관된 신규 질환 타겟의 작용 기전 및 미세먼지 환경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는 외부 환경과의 상호연관성 및 조절 기능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피부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대기 오염, ... | 피부 성체 줄기세포,조직 내 항상성,미세먼지,후성유전체,피부 오가노이드 | skin stem cells,homeostasis,epigenetic modifications,particulate matter,organoid | 110612000 |
1311 | 2021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8496 | 영장류 불임치료모델 및 발생공학 기법 이용 생식세포 생산기술 평가체계 구축 | Establishment of evaluation system for germ-line cell regeneration technique using infertility-treatment model monkey and developmental biotechnology method | 김선욱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80401 | 20221231 | 기타기초·기반기술 | 영장류 불임모델 개발을 통한 생식선줄기세포 정자재생능력 평가체계 및 ICSI-기반 재생정자의 발생능력 체내·외 평가체계 구축을 통하여 모낭줄기세포 이용 남성불임치료제 실효적 개발을 위한 최적 전임상 platform 구축을 목표로 함 | 1. 영장류 이용 정자재생기술 개발/평가 최적 전임상 platform 구축으로 남성불임치료제 실효적 개발에 기여2. 정자재생 원천기술개발 지원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세계 재생의학 분야 시장 선점 및 주도3. 발생공학기술 고도화를 통한 형질전환 영장류 제작 및 대량번식 체계 구축으로 바이오의학 분야 핵심 생명연구자원 개발에 기여4. 첨단재생의학 산업화를 통한 ... | 영장류,유발질환모델,정자재생,체외수정란,난세포질내 미세주입,전임상 평가,생식선줄기세포,수정란이식 | Non-human primate,Induced disease model,Sperm regeneration,IVF embryo,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Preclinical test,Germ-line stem cells,embryo transfer | 150000000 |
1494 | 2022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1711170621 | 공동활용연구장비를 활용한 정보생산 및 분석 지원 사업 | Bio core facility project for analysis supporting and bio information production | 오현우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101 | 20241231 | 기타기초·기반기술 | ○ 생명연구정보 생산을 위한 공동활용 연구장비의 집적화 및 공동활용성 제고 - 공동활용연구장비의 집적화 및 관리시스템 향상 - 연구장비 전담인력 교육훈련 강화를 통한 공동연구장비의 활용성 향상 - 중앙분석실 구축을 통한 효율적인 연구 지원 체계 수립 | ○ 연구원 내부적으로는 집적화된 공동활용연구장비를 활용하여 신뢰성 높은 연구결과물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 대외적으로는 중소기업 등 연구개발 장비와 능력이 부족한 기업들의 접근성 및 활용성을 제고하여 국가 경제발전의 한 축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할 예정임. ○ 공동활용연구장비의 집적화에 따른 정보 생산 및 분석의 체계화와 효율화 ○ 정보... | 공동활용연구장비, 전문인력, 중앙분석실, 집적화, 활용성증대 | Increased usability, Integration, Joint Utilization Research Equipment, Professional support staff, core facility | 167000000 |
판매제공처 홈페이지 | hellodd.com | 라이선스 |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
---|---|---|---|
판매 담당자 | 대덕넷 | 권한 | HelloDD |
연락처 | 070-4171-3524 | 접근 권한 | public |
이메일 | sungmin8497@hellodd.com | 상품 구분 | dataset |
품질측정 검사 | 품질측정기간 | ~ | |
---|---|---|---|
품질측정기관 | 대덕넷 | 품질측정연락정보 | 0428615005 |
품질측정결과 | 품질측정내용 |
현재 준비중입니다.
10047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황금1로 122,김포제조융합혁신센터 3층 한국산업기술시험원 ㅣ 사업자번호 : 113-82-06228 ㅣ 대표자명 : 김세종 ㅣ TEL: 02-860-1059 ㅣ E-mail: bigdata.dx@ktl.re.kr
Copyright ⓒ 2021 KOREA ENTERPRISE DAT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