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협의 상품 및 유료상품의 구매를 원하실 경우 맞춤형 데이터 신청란에 글을 남겨주시면
신속히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데이터셋명 | IT분야기타기관별과제데이터 | 데이터 유형 | csv |
---|---|---|---|
데이터 분야 | 과학기술 | 구축 데이터량 | 2.20 MB |
구축기관 | 대덕넷 | 데이터 갱신 일자 | 2022-08-29 |
데이터 개방 일자 | 2022-10-27 | 데이터 이용 기한 | 무기한 |
데이터 갱신 주기 | - | 버전 | - |
주요 키워드 | IT, 과학기술, 정부과제, 기타기관, 데이터 | ||
벨류체인 키워드 | 기술획득 | ||
소개 | 과학기술 IT(Information Technology) 분야 기타기관별 정부 R&D 과제 데이터입니다. |
국내 IT 분야 기타기관별 과제 데이터 상품설명서
□ 상품설명
○ 국내 IT 분야 기타기관별 과제 데이터 상품은?
· 2021년~2022년 기준 국내 IT 분야 기타기관별 과제 데이터입니다. 국내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국내 IT 분야 과제의 세부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IT 분야는 전기, 전자, 컴퓨터, 정보통신공학 전공자들이 해당됩니다. IT분야는 하드웨어 제작부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플랫폼 등등 모두 해당하는 분야입니다. IT산업은 4차 산업과도 직접적으로 연결됩니다.
○ 데이터 주요 키워드
· #IT #정보통신기술 #과학기술 #과제데이터 #기타기관
○ 데이터 활용 및 이용 권장 고객
· IT 분야 국내 기타기관 과제 데이터를 활용(공유)하고자 하는 기업인
· IT 분야 과제 데이터를 활용해 융합연구를 위한 공공·민간 연구자
· 학술 연구를 위한 이공계 대학생·대학원생
□ 데이터 활용 방안
○ 국내 IT 분야 기타기관별 과제 데이터 상품 활용 방안은?
· 6T 기술분류(IT, BT, NT, ET, ST, CT)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이 IT 분야입니다. 국내 기업부터 글로벌 기업까지 대부분 IT 분야에 속한 거대 공룡 기업들입니다. IT 기술이 BT, NT, ET, ST, CT에도 녹아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IT 분야 기타기관 과제 데이터를 활용해 기술의 부가가치 제고 및 사회·경제적 파급 효과를 창출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셋의 구성
○ 데이터셋의 구성
· 국내 IT 분야 기타기관별 과제 데이터는 총 N개의 데이터로 구성돼 있습니다.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인 NTIS(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의 데이터에 기반합니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연구하고 있는 과학기술을 비롯하여 각종 연구개발사업과 관련된 과제, 인력, 연구시설·장비, 성과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 연구개발(R&D) 지식포털입니다.
데이터 구분 | 데이터 요약 | 제공 방식 |
국내 IT 분야 기타기관별 과제 데이터 | - 국내 기타기관에서 수행한 IT 분야 과제 세부 내역 - 연구수행주체 및 수행기관 - 6T분류 및 과학기술표준 분류 코드 | - csv/zip |
□ 데이터셋의 구조
○ 데이터셋의 구조
No. | 칼럼명 | 데이터 타입 | 칼럼설명 |
1 | 일련번호 | VARCHAR(14) | 일련번호 |
2 | 기준년도 | VARCHAR(4) | 기준연도 (Ex. 2020) |
3 | 사업명 | VARCHAR(1000) | 사업명 |
4 | 부처명 | VARCHAR(500) | 부처명 |
5 | 과제관리기관명 | VARCHAR(300) | 과제관리기관명 |
6 | 과제고유번호 | VARCHAR(100) | 과제고유번호 (총 10자리 숫자) |
7 | 국문과제명 | VARCHAR(500) | 과제명(국문) |
8 | 영문과제명 | VARCHAR(500) | 과제명(영문) |
9 | 연구책임자명 | VARCHAR(20) | 연구책임자명 |
10 | 과제수행기관명 | VARCHAR(500) | 과제수행기관명 |
11 | 지역구분내용 | VARCHAR(20) | 지역구분 (ex.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12 | 총연구기간시작일 | VARCHAR(8) | 총연구기간시작일 (Ex. 20220718) |
13 | 총연구기간종료일 | VARCHAR(8) | 총연구기간종료일 (Ex. 20220718) |
14 | 6T관련기술분류내용 | VARCHAR(500) | 6T관련기술분류 (Ex.4세대 이동통신) |
15 | 연구목표요약 | VARCHAR(1000) | 연구목표요약 |
16 | 기대효과요약 | VARCHAR(1000) | 기대효과요약 |
17 | 한글키워드 | VARCHAR(500) | 한글키워드 |
18 | 영문키워드 | VARCHAR(1000) | 영문키워드 |
19 | 연구비합계 | NUMERIC | 연구비합계 |
20 | 작업구분코드 | VARCHAR(1) | |
21 | 데이터생성일자 | VARCHAR(8) | |
22 | 연계처리상태코드 | VARCHAR(1) | |
23 | 연계처리일자 | VARCHAR(8) | |
일련번호 | 기준년도 | 사업명 | 부처명 | 과제관리기관명 | 과제고유번호 | 국문과제명 | 영문과제명 | 연구책임자명 | 과제수행기관명 | 지역구분내용 | 총연구기간시작일 | 총연구기간종료일 | 6T관련기술분류내용 | 연구목표요약 | 기대효과요약 | 한글키워드 | 영문키워드 | 연구비합계 |
85 | 2021 | 학교기업지원사업(R&D) | 교육부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1345346735 | 숙명여자대숙명아이 | 김경아 | 숙명여자대학교 | 서울특별시 용산구 | 20200501 | 20250228 | 전자상거래 기술 | 1. 소비자의 그림을 활용한 1:1 맞춤형 패턴디자인 사업을 통해 새로운 디자인 창업모델 창출2. 숙명아이 사업 운영을 통한 학생들의 현장실습 효과 극대화3. 산학협력을 통한 일자리 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 | 1. 소비자의 그림을 활용한 1:1 맞춤형 패턴디자인 사업을 통해 새로운 디자인 창업모델 창출2. 숙명아이 사업 운영을 통한 학생들의 현장실습 효과 극대화3. 산학협력을 통한 일자리 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 | 소비자맞춤형디자인, 커스터마이징, 디자인플랫폼 | Customizing, PatternDesign, DesignDB, DesignPlatform | 241200000 | |
43 | 2022 | 나노소재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4858 | 반도체 범프용 고성능 도금 소재 양산화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mass production technology for high performance electroplating solution for micro-bump in semiconductor deivices | 이준우 | 동우화인켐주식회사 | 전라북도 익산시 | 20200515 | 20241231 | 집적회로기술 | 본 연구는 1세부에서 개발한 도금 소재를 최종 수요 기업인 반도체 제조기업의 양산라인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기업 맞춤형 고성능·대용량 도금 소재 양산화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함○ 200 리터 이상급 반도체용 고순도 도금 소재 제조 라인 구축 - 도금액 제조 탱크 용량 : ≥ 200 리터 - 무기불순물 농도 ·구리 도금 소재 : ≤ 원소별 0.1 ... | ○ 기술적 측면 - 반도체 제조 핵심 공정인 범프 공정용 도금 소재의 국산화 초석 마련 - 반도체 미세 범프용 도금 소재의 선도 기술 개발로 국내 반도체 제조 회사의 글로벌 선도 기술 확보 가능 - 반도체 뿐만 아니라 태양전지, 디스플레이 산업 등 타분야 미래 배선 기술로 활용 가능한 원천 기술 확보 가능○ 경제 산업적 측면 - 연간 2,... | 도금속재 제조설비 파트클 무기불순물 | electroplating solution manufacturing facilities particle inorganic impurities | 400000000 |
35 | 2021 | 스마트건설기술개발사업(R&D)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1917 | 스마트 건설 디지털 플랫폼 및 디지털 트윈 기반 관리 기술 개발 | 조성민 | 한국도로공사 | 경기도 화성시 | 20200428 | 2025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스마트 건설 디지털 플랫폼 및 디지털 트윈 기반 관리 기술을 개발하여 건설 全단계에 걸쳐 생성되는 정보를 디지털화함으로써, 건설 생산성과 안전성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킴 - 엣지컴퓨팅 기반 건설현장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디지털트윈 플랫폼 연계 실시간 정보 제공 기술 개발(엣지컴퓨팅 기반 데이터 전처리 성능 초당 5000건이상, 데이터 연계 성공률 95%... | ○ 건설분야의 방대한 정형, 비정형 데이터의 축적, 관리, 분석, 활용 기술 확보○ 폐쇄적인 건설분야 정보 활용 수준에서 일반 기업과 국민들에게 건설정보의 개방 및 공유를 통해 혁신적인 서비스 창출 기대○ 스마트 건설 사업 내의 타 중점분야의 핵심기술들과 연계를 통해 다량의 원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생성·축적하게 될 정형화된 고품질의 ... | 스마트건설 플랫폼,디지털 트윈,공정 시각화,데이터 공유 허브,통합관제 SW | Platform for smart construction,Digital twin,Activity visualization,Data hub,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 5001720000 | |
28 | 2022 | 스마트항만-자율운항선박연계기술개발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2412 | 스마트 항만-자율운항선박연계 기술개발 | 이재훈 | 인천항만공사 | 인천광역시 중구 | 20210401 | 2023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최종목표]□ 자율운항선박 도선지원 및 자동계류 시스템 개발□ 스마트 해상물류 통합 프로세스 설계 기술 개발□ 영상 인식 기술 기반 선원 및 화물관리 시스템 개발□ 자율운항선박 안전 입출항 제어/관제 기술 개발□ 자율운항선박 육상 제어 시뮬레이터 개발□ 자율운항 선박의 전기추진 시스템 디지털트윈 기술개발[1차년도 목표]□ 자동계류 시스템 개념 설계□ 해상... | □ 선박의 자율계류 시스템 개발을 통해 항만계류 시 발생하는 위험을 줄이고 자율계류 시스템 분야 시장 선도□ 자율운항선박 도선지원 시스템 개발을 통해 선박과 선원의 안전성 확보□ 다양한 해상물류 정보를 통합하고 운용할 수 있는 해상물류 통합 프로세스 구축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영상인식 기반 선원 안전관리 시스템개발을 통해 선원의 안전 및 선박의 안... | 자율운항선박,스마트항만,연계기술,인공지능,스마트 해상물류 | Autonomous Ships,Smart Port,Linkage Technology,Artificial Intelligence,Smart Shipping Logistics | 60000000 | |
93 | 2021 | ICT기반항만인프라스마트재해대응기술개발(R&D)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1873 | 예방적 유지보수를 위한 IoT 센서 활용 인천항 주요시설 거동 분석 | 이원홍 | 인천항만공사 | 인천광역시 중구 | 20210401 | 20251231 | 기타 정보기술 | ○ 광학영상 및 해양로봇 기반 항만시설 상태평가 및 진단기술 개발 - 드론 광학영상/Lidar 이용 항만 외곽시설물 자동 변화탐지 기술 개발 - USV 및 ROV 기반 수중구조물 무인 영상조사 시스템 개발 - 수중구조물 영상조사자료 3차원 가시화 및 외관 상태평가 기술 개발 - 광학영상 기반 시설파손 판별기준 개발 - 영상 AI 분석을 통... | - 항만시설물에 특화된 구조물 상태평가 센싱 기술 및 수중조사 시스템 기술 확보 - IoT 스마트 센싱 기반 항만시설물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 수립과 디지털 데이터 확보 - 항만인프라의 실시간 모니터링, 상태평가 및 진단을 통해 재해 및 노후화 대응 선제적이고 예방적 유지관리 체계 구현 - 항만 시설물 평가 기준을 안전성 중심에서 사용성까지 확대하여 항만 운... | 스마트 모니터링,항만인프라,IoT 센서,데이터 퓨전,상태평가 | Smart monitoring,Harbor infrastructure,IoT sensor,Data fusion,Condition evaluation | 100000000 | |
60 | 2022 | ICT기반항만인프라스마트재해대응기술개발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2465 | 예방적 유지보수를 위한 IoT 센서 활용 인천항 주요시설 거동 분석 | 이원홍 | 인천항만공사 | 인천광역시 중구 | 20210401 | 20251231 | 기타 정보기술 | ○ 광학영상 및 해양로봇 기반 항만시설 상태평가 및 진단기술 개발 - 드론 광학영상/Lidar 이용 항만 외곽시설물 자동 변화탐지 기술 개발 - USV 및 ROV 기반 수중구조물 무인 영상조사 시스템 개발 - 수중구조물 영상조사자료 3차원 가시화 및 외관 상태평가 기술 개발 - 광학영상 기반 시설파손 판별기준 개발 - 영상 AI 분석을 통... | - 항만시설물에 특화된 구조물 상태평가 센싱 기술 및 수중조사 시스템 기술 확보 - IoT 스마트 센싱 기반 항만시설물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 수립과 디지털 데이터 확보 - 항만인프라의 실시간 모니터링, 상태평가 및 진단을 통해 재해 및 노후화 대응 선제적이고 예방적 유지관리 체계 구현 - 항만 시설물 평가 기준을 안전성 중심에서 사용성까지 확대하여 항만 운... | 스마트 모니터링,항만인프라,IoT 센서,데이터 퓨전,상태평가 | Smart monitoring,Harbor infrastructure,IoT sensor,Data fusion,Condition evaluation | 100000000 | |
83 | 2021 | 스마트컨테이너실용화기술개발(R&D)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1857 | 스마트 컨테이너 실용화 기술개발 | 양서준 | 여수광양항만공사 | 전라남도 광양시 | 20210401 | 20241231 | 기타 네트워크기술 | ○ 글로벌 스마트 해상물류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물류 주체들(화주, 선사, 터미널 등)의 컨테이너 화물에 대한 실시간 상태 정보(온도, 습도, 충격, 문 개폐 등) 및 위치 추적에 대한 정보 획득을 위한 기술이 지속적으로 요구됨 ○ 국내외 기업들이 ICT 기술을 접목한 탈부착 방식의 장비를 사용하여 컨테이너 화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나 이는 과도기... | □ 활용방안 ○ 화주 - 운송중인 화물의 실시간 위치와 상태 정보에 기반한 신속하고 효과적인 비즈니스 의사 결정에 활용 ○ 선사 - 위험 화물의 실시간 위치 추적과 지오펜싱을 적용하여 사고예방과 안전수송에 활용 - 해상에서 선박 내 냉동컨테이너의 모니터링 및 관제업무 자동화 가능 - 화물 파손 시 정확한 파손 원인을 추적하여 화물 ... | 스마트컨테이너,스마트유닛,스마트해운물류,서비스플랫폼,스마트센서노드 | Smart container,Smart unit,Smart shipping logistics,Service platform,Smart sensor node | 60000000 | |
106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2431 | 고내열성 섬유기반의 3차원 다공구조 난연소화 분리막 개발 | Development of 3D porous structure separator based on fibers web for flame retardant extinction of flame | 오흥열 | 코오롱머티리얼(주)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41231 | 기타 정보기술 | - 물성 개선 폴리이미드 Varnish 방사 기술 개발 (Scale Up)- 물성 개선 Varnish 제조 기술 개발 (Scale Up)- 신규 내열성 고분자의 전기방사 시험- 신규 난연물질 복합 내열성 고분자 소재 선정 및 제조- 난연 특성 개선 소재 활용, 분리막 개질 기술 개발- 상용 소화제 물질 적용, 마이크로캡슐 개발- 신규 소화제 물질 개질 및 ... | - 분리막에 적합한 폴리이미드 원료 선정 : 전기방사 양산 가능성 확인, 원료 조성과 물성과의 연관성 규명- 신규 내열성 고분자 선정 및 전기방사 가능성 확인- 분리막에 난연가공(개질) 가능성 확인- 소화물질의 마이크로캡슐화 기술 개발을 통한 양산 가능성 확인, 성능과의 연관성 규명- 개발 분리막의 Cell 평가, 프로토콜 검증 및 성능수준 확인 | 리튬이온 이차전지,분리막,3차원 다공구조,내열성,난연성 | Lithium ion battery,separator,3D porous structure,thermal stability,flame retardant | 1809320000 |
107 | 2021 | 원자력핵심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 1415174482 | 인공지능 기반 원전 기동 및 정지 운전지원 기술개발 | Development of operation supporting technology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for nuclear power plant st | 이종범 | 한국수력원자력(주) 중앙연구원 | 경상북도 경주시 | 20171201 | 20221130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주관기관 (한국수력원자력)- 과제종합관리/통합회의체 구성 및 운영- 운전지원시스템 성능 개선- 시뮬레이터 활용 통합 시험 환경 구축- 다중 상태 감시 모델 타당성 검토- 기존 조기경보 시스템(CMD 센터) 호환성 테스트 지원 및 결과 검토- CMD 센터 내 시제품 테스트 환경 구축 참여기관 (한국원자력연구원) :- APR1400 시뮬레이터 활용 통합 기동... | 기동정지 및 비정상 운전시 운전원의 인적오류를 저감하기위한 운전지원 시스템을 개발한다.기동/정지 운전시 운전원이 수행해야 하는 업무를 시스템이 자동으로 판단하여 알려준다. 또한 APR1400 노형에 적용되어 있는 전산화절차서와 연계하여 운전원에게 다양한 운전지원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운전원의 인적실수를 사전에 방지하고, 발전소의 상태 판단을 지원하... | 운전지원 , APR1400 , 기동정지 , 상태감지 , 자율운전 | Operation Support , APR1400 , Startup and Shutdown , Status monitoring , Autonomous Operation | 4645954000 |
120 | 2021 |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2716 | 프리폼 디자인이 가능한 전장 및 스마트기기용 20% 연신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제품화 기술 개발 | Freeform Design Technology Commercialisation of 20% Stretchable Display for Transportations and Smart Devices | 윤수영 | 엘지디스플레이(주)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41231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 총괄워크샵 2회 이상 진행- 운영위원회 구성 및 15회 이상 운영- 책임자 간담회 5회 이상 운영- 현장개발 미팅 30회 이상 운영- 월간실적 공유 12회 이상- 기술동향 보고서 - 세부과제 연구개발 추진실적 관리 및 온라인 기술교류를 위한 홈페이지 운영- 참여기관의 기술개발 전략품목에 대한 특허분석 컨설팅 지원 | - 정부, 기업, 연구소, 대학 상호간 파트너쉽 강화- 패널모듈 및 발광/기판소재/장비개발, 제품 디자인에 대한 주관-참여 기관 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및 동반성장- 세부 과제별 목표 달성 및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기술 리드 및 산업 인프라 구축- 소재. 부품. 장비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전문 인력 양성 |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유연기판배선,마이크로 LED,스트레처블 제품,웨어러블 | Stretchable Display,Stretchable SubstrateWiring,MicroLED,Stretchable Product,Wearable | 177000000 |
33 | 2021 | 교통물류연구(R&D)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1772 | 자율협력주행 환경 도로교통체계 보안관제시스템 기술개발 및 테스트베드 구축 | 이창준 | 한국도로공사 | 경기도 화성시 | 20190101 | 20221231 | 정보보안 및 암호기술 | o 자율주행의 발전방향 - 자율주행 차량의 센서 인지범위는 최대 200m 정도로 알려져 있지만 공사장에 설치되는 작은 시설물(라바콘 등)의 경우 수십m 정도에서 인지함으로써 급제동이 불가피하고, 작은 곡선부, 시야가 차단된 교차로 등의 경우에도 인지범위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원활한 자율주행이 곤란 -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인프라에서 체계적인 정보를... | o 자율협력주행 도로교통 인프라의 보안을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을 통해 다수의 도로교통 관리기관이 인프라 구축 및 운영 시에 공통의 보안 기준을 갖게 함으로서 보안 운영에 대한 안전성 및 호환성 확보, 보안 침해 사고 조기파악 및 효과적 대응 체계 마련o 통합보안인증시스템, 보안 이상탐지 및 대응기술, 보안관제 시스템 플랫폼 개발 통해 자율차량에 중요한 안전... | 자율협력주행,보안,가이드라인,보안인증,보안관제 | cooperative automated driving,security,guideline,security certification,security control | 2069336000 | |
118 | 2021 |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4973 | LV4 자율주행 아키텍처 기반 컴퓨팅 플랫폼 상용화 기술개발 | Commercialization Technology Development of Autonomous Computing Platform based LV4 Autonomous architecture | 이승용 | 현대모비스(주) | 서울특별시 강남구 | 20210401 | 20251231 | 기타 정보기술 | [1차년도 목표]ㅇ 상용화 수준의 Fail-Silence 자율주행컴퓨팅 플랫폼 개발을 위해 선행과제(TRL5)의 결과물을 중심으로 한 H/W 및 S/W에 대한 요구사항 및 주요방안 수립 - 세부과제별 연계방안 수립 및 성과물 공유방안 수립 - 시스템 고장의 수준을 정의하고, 안전 대응 요구사양 수립 | ㅇ 국내 관련분야 연구진이 활용할 수 있도록 컴퓨팅플랫폼에 대한 요구사양서와 평가절차서 등의 성과물을 공유 - 시스템 아키텍처 벤치마킹과 선행과제에서 개발한 컴퓨팅플랫폼을 대학 대학원생 대상으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실습 자료로 지원이 가능 - 미래차 분야에 진입하려는 국내 중소 중견기업의 연구진에 모빌리티 방향성 제시 | 모빌리티,자율주행,인공지능,컴퓨팅플랫폼,신뢰성 | Mobility,Autonomous Driving,Artifitial Intelligence,Computing Platform,Reliability | 200000000 |
32 | 2021 | 나노·소재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0563 | 반도체 범프용 고성능 도금 소재 양산화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mass production technology for high performance electroplating solution for micro-bump in semiconductor deivices | 이준우 | 동우화인켐주식회사 | 전라북도 익산시 | 20210115 | 20241231 | 집적회로기술 | 본 연구는 1세부에서 개발한 도금 소재를 최종 수요 기업인 반도체 제조기업의 양산라인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기업 맞춤형 고성능·대용량 도금 소재 양산화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함○ 200 리터 이상급 반도체용 고순도 도금 소재 제조 라인 구축 - 도금액 제조 탱크 용량 : ≥ 200 리터 - 무기불순물 농도 ·구리 도금 소재 : ≤ 원소별 0.1 ... |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기술적 측면 - 반도체 제조 핵심 공정인 범프 공정용 도금 소재의 국산화 초석 마련 - 반도체 미세 범프용 도금 소재의 선도 기술 개발로 국내 반도체 제조 회사의 글로벌 선도 기술 확보 가능 - 반도체 뿐만 아니라 태양전지, 디스플레이 산업 등 타분야 미래 배선 기술로 활용 가능한 원천 기술 확보 가능○ 경제 산업적 ... | 도금 소재,제조설비,파티클,무기불순물,12인치 웨이퍼,양산화,한계전류밀도,미니도금셀 | electroplating solution,manufacturing facilities,particle,inorganic impurities,12inch wafer,mass production,limiting current,pilot electroplating cell | 400000000 |
23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515 | 미세회로용 두께 0.7um이상 이형동박 및 지름 3.5m급 타이타늄 드럼전극 생산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producing 3.5m diameter titanium drum electrode and detachable copper foil above 0.7 thickness for microcircuit | 안중규 |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31231 | 집적회로기술 | - 주관기관(에스케이 넥실리스) : 고생산성 전해도금 3.5m 대형드럼 적용 이형동박 제조기술 확보- 참여기관 1(YMT) : 무전해 극동박 처리약품 관리 최적화 기술 개발 및 시제품 생산 기술 확보- 참여기관 2(케이피씨엠) : 음극드럼용 Ti합금 제조 공정기술- 참여기관 3(아이케이텍) : 개발 제품(소형 음극 드럼) 적용 상용 드럼 제작 및 평가- ... | 고생산성 전해도금 3.5m 대형드럼 적용 이형동박 제조기술 확보, 무전해 극동박 처리약품 관리 최적화 기술 개발 및 시제품 생산 기술 확보, 음극드럼용 Ti합금 제조 공정기술, 개발 제품(소형 음극 드럼) 적용 상용 드럼 제작 및 평가, 개발 제품 수요업체 평가, 티타늄 음극드럼/미세회로용 이형동박 양산 요소기술 지원 의 협력을 통해 대형 드럼 적용한 이형... | 저조도,초극박,고속 생산,이형동박,경제성 | Low profile,Ultrathin foil,High speed production,Detached copper film,Economic efficiency | 4126874000 |
50 | 2022 | 항만컨테이너자동통합검색플랫폼기술개발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2506 | 컨테이너 검색정보 제공 및 수요자 정보 수집 연관도 분석 | 남궁심 | 인천항만공사 | 인천광역시 중구 | 20200414 | 20241231 | 정보검색 및 DB기술 | Private 클라우드 기반의 항만보안검색정보 데이터 처리기술 확보 및 타 시스템 연계를 위한 정보공유 제공 플랫폼 기술 개발1) 클라우드 기반 컨테이너 검색정보 공유 및 제공 플랫폼 구축 - 스마트 항만을 고려한 Private 클라우드 빅데이터 클러스터 운용 시스템 개발 - 클라우드 기반 컨테이너 검색정보 플랫폼 기술개발 - Private 클라우드 운영기... | ○ 스마트 항만관련 원천기술 및 표준기술의 국산화로 해외 기술 및 제품의 의존도를 낮추고 스마트 항만 핵심기술의 자립화·선진화에 기여○ 본 기술개발을 통해 컨테이너 보안검색의 효율성 및 검색활동에 대한 지연문제가 해결되며, 관련 기술의 국산화에 기여○ 현장의 인력 중심인 컨테이너 검색 환경에서 자동검색과 판단이 가능한 융합 기술을 접목으로 업무 비효율 문제... | 프라이빗 클라우드,컨테이너 정보검색,정보공유 플랫폼,빅데이터,표준 전자문서 | private cloud,container information search,information sharing platform,big data,standard electronic x-x-documents | 26000000 | |
114 | 2021 | 스마트항만-자율운항선박연계기술개발(R&D)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1763 | 스마트 항만-자율운항선박연계 기술개발 | 차지혜 | 삼성중공업(주)거제조선소 | 경상남도 거제시 | 20210401 | 2025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최종목표]□ 자율운항선박 도선지원 및 자동계류 시스템 개발□ 스마트 해상물류 통합 프로세스 설계 기술 개발□ 영상 인식 기술 기반 선원 및 화물관리 시스템 개발□ 자율운항선박 안전 입출항 제어/관제 기술 개발□ 자율운항선박 육상 제어 시뮬레이터 개발□ 자율운항 선박의 전기추진 시스템 디지털트윈 기술개발[1차년도 목표]□ 자동계류 시스템 개념 설계□ 해상... | □ 선박의 자율계류 시스템 개발을 통해 항만계류 시 발생하는 위험을 줄이고 자율계류 시스템 분야 시장 선도□ 자율운항선박 도선지원 시스템 개발을 통해 선박과 선원의 안전성 확보□ 다양한 해상물류 정보를 통합하고 운용할 수 있는 해상물류 통합 프로세스 구축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영상인식 기반 선원 안전관리 시스템개발을 통해 선원의 안전 및 선박의 안... | 자율운항선박,스마트항만,연계기술,인공지능,스마트 해상물류 | Autonomous Ships,Smart Port,Linkage Technology,Artificial Intelligence,Smart Shipping Logistics | 200000000 | |
26 | 2022 | 타이어형 항만크레인 적용 자동화 및 안전모듈 개발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3136 | 자동화 타이어형 항만크레인 안전사고 가이드라인 수립 | 박세훈 | 여수광양항만공사 | 전라남도 광양시 | 20220401 | 20251231 | 기타 정보기술 | (자동화) 중소형 항만에 대부분 적용되는 타이어형 항만크레인(RTGC)에 대한 자동화 도입 촉진을 통해 국내 항만경쟁력 향상 및 수준 높은 자동화 장비 핵심 부품 국산화 기술을 적용한 타이어형 항만크레인 작업 및 주행 자동화 기술 및 원격 모니터링·제어 시스템 기술/크레인 주변 위험 감지 및 안전사고 예방 기술개발 - 국내기술 기반의 자동화 항만크레인을 ... | ㅇ 연구 개발 성과 - FULL 자동화 크레인 개발 (신조/개조 각 1식) - 항만 크레인 국산화 핵심부품 개발(6종) - 항만 크레인 장비 자동화(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 1식) - 항만크레인 영상기반 장애물 식별 프로그램(1식) - 위험 감지 요소 기술 도출 및 감지 프로그램(1식) - 운영매뉴얼 : 장비 특화 운영 매뉴얼, 교육 매뉴얼 ... | 항만크레인,국산화,장애물 인식,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사고예방 | PORT CRANE,Localization,Obstacle Recognition,Distant Monitoring and Control,Accident Prevention | 80000000 | |
94 | 2021 |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351 | 잉크젯 기술을 적용한 300PPI급 OLED 인쇄 장비 및 공정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300PPIclass OLED printing equipment and process technology applying inkjet technology | 현용탁 | 세메스(주)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41231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 주관기관(세메스) : Test-bed를 이용한 Head 탄착 등 요소기술 개발 및 검증- 참여기관 1(삼익THK(주)) : 플렉서블 OLED 2G 300PPI 잉크젯 실증용 스테이지 컨셉 설계 및 요소품 선정- 참여기관 2(한국생산기술연구원) : 레이저 회절법 광학시스템 구성, Array 광센서/측정 SW 구축- 참여기관 3(성균관대학교) : 메니스커스... | - Test bed를 활용한 잉크별 토출 메커니즘 규명- Head별 토출, 내화학성, 탄착 평가를 통해 Head 선정을 위한 사전 검증 데이터 확보 → 향후 2G 설비에 적용할 Head 선정을 위한 평가- 1차년도에 구성된 평가 기반을 활용하여 2G 설비 개발전 필요기술 검증 가능 | 용액방식,정밀 스테이지,유기 잉크젯,액적 부피 계측,패턴 소프트웨어 | Soluble,Precision Stage,OLED Inkjet,Droplet volume Measurement,Pattern Software | 2155400000 |
12 | 2022 |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852 | 잉크젯 화소 프린팅법에 의한 4k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개발 | Development of 4K level flexible display panel technology by inkjet printing | 윤여건 | 삼성디스플레이(주)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41231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1. 공통층 잉크 (이엠인덱스) - 세부1 (1) 전하이동도(cm2/Vs) ≥ 10-4 (2) 인쇄막 균일도(%) ≤ 10 (3) 수명(T95)(hr)@1,000nit ≥ 6,000(R), 20,000(G), 1,000(B) 2. 공통층 잉크 (SFC) - 세부2 (1) 전류효율(cd/A) ≥ 25(R), 90(G), 8(B) (2) 수명(T... | 1. 18.2 4K급 (Rigid)의 잉크젯 인쇄법을 통한 OLED 패널 제작2. 상기 OLED 패널의 특성 확보 (휘도(@Full White): 200nit, T95 수명: 500hr3. 공통층 잉크 특성 확보: 수명(T95)(hr)@1,000nit ≥ 6,000(R), 20,000(G), 1,000(B)4. 발광층 잉크 특성 확보: (1) 전류... | 디스플레이,유기발광다이오드,잉크젯,프린팅,플렉서블 | Display,Organic Light Emitting Diode,Inkjet,Printing,Flexible | 192000000 |
119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550 | 내충격 커버윈도우 기재용 내눌림성(압입경도 45이상) 강화 무색 투명 PI 필름 개발 | Developed compression resistance(45HV) colorless and transparent PI film for the impactenhancing cover window substrate | 정학기 | 코오롱중앙기술원 | 기타 기타 | 20210901 | 20241231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주관연구개발기관 (코오롱중앙기술원)]o 차세대 커버윈도우용 무색 투명PI 신규조성 개발- 내눌림성과 내충격성 관련 영향 인자 도출- 신규 구조(高광학, 내충격, 내눌림성 등) 분자설계 - 신규조성 Backbone설계에 따른 중합, 제막 제어기술 확보- 신규 원료 물성 평가 및 Feed-back- Lab. Scale 물성최적화 및 중합재현성 확보- 커... | - 폴더블/롤러블폰/중대형 디스플레이 커버윈도우용으로 활용 가능- 고경도·고투명 물성 갖는 무색 투명PI 필름 신규 적용 분야 창출- 국내·외 세트메이커로 무색 투명PI 필름 판매 및 수출 증대- 국내 산업 활성화 및 고용 증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시장 기술 선도 및 소재부품 산업에서의 국가 경쟁력 증대 | 투명 폴리이미드,플렉서블 디스플레이,투명성,내눌림성,표면 경도 | Colorless Polyimide,Flexible Display,Transparency,Compression Resistance,Surface Hardness | 1157100000 |
70 | 2021 | 전략형국제공동연구사업(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6602 | 5G-V2X 기반 빅데이터 플랫폼 최적화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BigData Platform Optimization Technology based on 5G-V2X | 임성수 | (주) 엘지유플러스 | 서울특별시 용산구 | 20211029 | 20231231 | 정보검색 및 DB기술 | 레벨 4 이상의 자율차를 이용한 자율발렛주차 (AVP)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주차 영역을 확대하기 위한 자율주행 차량 및 인프라의 클라우드 및 빅데이터 플랫폼 연계 기술 개발 및 최적화 수행 | ○ 지자체 자율주행/자율주차 실증사업에 활용○ C-ITS/자율주행 인프라 구축에 활용 ○ 한중 협력을 통한 중국 자율주행차 시장 진출○ 인프라 연계 자율발렛주차 기술 확보를 통해 레벨 4이상의 자율주행 및 자율주차 기술 완성도 향상○ 차량 빅데이터 처리 기술 확보 및 고도화○ 5G 기반 신규 응용 서비스 개발로 인한 신규 수익 창출 기대○ 주차 차량의 효율... | 5G 통신,클라우드,빅데이터 | 5G-V2X,Cloud,BigData | 60000000 |
55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902 | 65인치 이상급 TV용 배리어필름을 사용하지 않는 QD 광변환필름 기술개발 | Development of QD photoconversion film technology without barrier film for 65inch or larger TVs | 최진성 | 신화인터텍(주) | 충청남도 천안시 | 20210901 | 20241231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총괄연구개발기관 (신화인터텍)] o 개발과제 자체점검을 위한 외부전문가 자문 위원회 구성 및 운영 - 자문 위원회 운영 지원 및 기술교류회 주관 - 성공적 과제 수행을 위한 업무지원 활성화 - 세부과제별 정기적인 추진실적 점검(온라인/오프라인) -전문가 위원회를 활용하여 적절한 방향성 제시 -참여연구원 프로필 / 인력양성 현... | [경제적/산업적 측면]o (대형 QLED TV 기술 개발 시급성) - 대형 TV에 대한 선호도는 지속적으로 상승해, 2020년 12월 기준으로 60인치대, 70인치대, 80인치대 제품의 판매량은 2019년 대비 각각 15.9%, 43.4%, 80% 급증. 대형 TV 수요 증가가 계속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맞춰 65 인치 이상급 QLED... | 양자점 ,비카드뮴,배리어 없는,캡슐,디스플레이 | QD(Quantum),noncadmium,barrier less (non barrier),capsule,display | 40000000 |
15 | 2022 |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362 | 잉크젯 기술을 적용한 300PPI급 OLED 인쇄 장비 및 공정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300PPIclass OLED printing equipment and process technology applying inkjet technology | 현용탁 | 세메스(주)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41231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 주관기관(세메스) : 300PPI급 2G(370x470mm) 잉크젯 설비 설계/제작- 참여기관 1(삼익THK(주)) : 플렉서블 OLED 2G 300ppi 잉크젯 실증용 스테이지 상세 설계 및 제작, 성능 테스트- 참여기관 2(한국생산기술연구원) : 단일 잉크 droplet을 이용한 Droplet부피 측정법 비교 연구- 참여기관 3(성균관대학교) : ... | - 2G(370x470mm) 설비 설계/제작으로 5세부 건조평가 및 삼성디스플레이 패널 제작 가능할 것으로 기대- 향후 세부1, 세부2 과제에서 개발된 잉크 토출/탄착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 300PPI급 잉크젯 실증용 스테이지 제작으로 설비 장착전 성능 검증 | 용액방식,정밀 스테이지,유기 잉크젯,액적 부피 계측,패턴 소프트웨어 | Soluble,Precision Stage,OLED Inkjet,Droplet volume Measurement,Pattern Software | 2955207000 |
58 | 2022 |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431 | 프리폼 디자인이 가능한 전장 및 스마트기기용 20% 연신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제품화 기술 개발 | Freeform Design Technology Commercialisation of 20% Stretchable Display for Transportations and Smart Devices | 윤수영 | 엘지디스플레이(주)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41231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 총괄워크샵 2회 이상 진행- 운영위원회 구성 및 15회 이상 운영- 책임자 간담회 5회 이상 운영- 현장개발 미팅 30회 이상 운영- 월간실적 공유 12회 이상- 기술동향 보고서 - 세부과제 연구개발 추진실적 관리 및 온라인 기술교류를 위한 홈페이지 운영- 참여기관의 기술개발 전략품목에 대한 특허분석 컨설팅 지원 | - 정부, 기업, 연구소, 대학 상호간 파트너쉽 강화- 패널모듈 및 발광/기판소재/장비개발, 제품 디자인에 대한 주관-참여 기관 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및 동반성장- 세부 과제별 목표 달성 및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기술 리드 및 산업 인프라 구축- 소재. 부품. 장비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전문 인력 양성 |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유연기판배선,마이크로 LED,스트레처블 제품,웨어러블 | Stretchable Display,Stretchable SubstrateWiring,MicroLED,Stretchable Product,Wearable | 220000000 |
65 | 2021 | 주거환경연구사업(R&D)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282 | 주택시장의 통합정보 플랫폼 기술개발 | 이상훈 | 한국토지주택공사 | 경상남도 진주시 | 20160830 | 20220228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주택시장 데이터의 통합 기반구축 및 주택시장 통계 생산체계 고도화 기술 개발 통합 통계 데이터베이스(DB) 구축과 통계의 신뢰성 제고, One Stop 자료 분석 실현 - 주택시장 통계 수집 및 관리체계 재검토 및 정보생성 체계개선, 주택시장 여건변화에 따른 새로운 통계의 개발, 주택정책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통합 통계 데이터베이스 구축, 수집 정보... | ○ 기술적 측면 - 주택시장 통합정보 플랫폼 개발과 공공정보의 통합은 빅데이터 분석을 용이하게 하고, 실시간 분석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지원 - 주택시장 통합정보 내/외부 서비스를 위한 오픈플랫폼 아키텍쳐는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의 접속 및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지원 - 주택시장 분석/예측시스템 컴포넌트 모델링은 빅데이터의 활용성을 증진하고, 더 ... | 주택통합DB,주택통계,주택시장분석,오픈분석플랫폼,정책결정지원 | Integrated Housing DB,Housing Statistics,Housing Market Analysis,Open Analysis Platform,Policy Decision Support System | 725672000 | |
98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897 | 대면적 고속 FOPLP 본딩장비 개발 | Development of High Speed Bonder for Large FanOut Panel Level Package | 조정호 | 한화정밀기계주식회사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41231 | 집적회로기술 | ㅇ대면적 패널 FO-PLP 본딩장비 레이아웃 및 핵심모듈 설계/테스트벤치 개발(Panel Size: 600mm x 600mm, Wafer Size: 12인치, Max. Die Size: 30mm x 30mm 대응설계)ㅇ대면적 패널 FO-PLP 듀얼 겐트리 구조 설계 분석 및 단위 히터셀 설계/제작(온도균일도: ≤±5.5%)ㅇ대면적 패널 칩 재분배 배열용 임... | ㅇFO-PLP 외에도 FO-WLP, Die Bonder, Flip Chip Bonder, TC Bonder 등 다양한 산업(모바일기기, 자동차, 고성능 컴퓨팅, IoT, 바이오/헬스 산업 등)의 고성능/다기능 첨단 반도체 및 센서 등의 제조에 필요한 시스템 반도체 & 메모리 반도체 후 공정 및 SMT 조립 장비 및 관련 소재 전반에 걸쳐 활용ㅇ하이엔드급 ... | 팬아웃패널레벨패키지,PLP 본더,재배열,다이쉬프트,멀티다이픽커 | FanOut Panel Level Package,PLP Bonder,Reconfiguration,Die Shift,MultiDie Picker | 2230000000 |
31 | 2022 | 자율운항선박기술개발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2605 | 자율운항시스템 제품화 기능 검증 지원 (1) | 홍삼권 | 삼성중공업(주)거제조선소 | 경상남도 거제시 | 20200427 | 2025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지능형 항로 의사결정 기능을 갖는 자율운항 시스템 개발 ○ 지능형 항로 의사결정 솔루션(S/W) 1식 ○ 고신뢰도 경로 추종제어 솔루션(S/W) 1식 ○ 자동 이/접안 알고리즘(S/W) 1식 ○ 경제운항 최적항로 설정 솔루션(S/W) 1식 ○ 자율운항/경제운항 공통 서비스 플랫폼[(H/W)+(S/W)] 1식□ 자율운항선박(Ship2Ship2Shore) ... | □ 국내외 건조되는 자율운항선박에 활용하여 미래 조선산업 시장에서 한국형 자율운항선박 기자재 기술 및 플랫폼 기술의 우위 유지에 활용□ 능동형 해상 자율운항/경제운항 시스템으로 고도화 및 확대 적용□ 최적 항로와 더불어 선사별 운항 전략을 적용한 항로 계획 기술을 개발하여 다양한 최적 항로 안을 제안함으로써 자율운항선박에 적용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자율성을... | 자율운항선박,자율운항 통합 플랫폼,해상업무용 디지털통신,사이버보안,원격제어시스템 |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Autonomous navigation platform,VDES,Cyber security,Remote control system | 361400000 | |
95 | 2021 |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4071 | 모바일 AMOLED용 저저항배선기반 단채널 산화물 TFT 어레이 기술개발 | Development of oxide TFTs with short channel for the mobilie AMOLED | 임준형 | 삼성디스플레이(주)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41231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1차년도 목표]o 모바일 산화물반도체 백플레인 구현을 위한 공정 기술 개발o 산화물반도체 백플레인 상태의 소자 특성 및 균일도 확보o 단채널(Short Channel) 산화물 TFT 소자 Modelingo Sputter 공정 기반 고이동도 산화물 반도체 채널 개발 o SA TG Coplanar Oxide TFT 결함 해석 및 신뢰성 분석o 저온 플라즈마 ... | 하기와 같은 1차년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2차년도 개발 목표 달성 인프라 구축① 고이동 산화물 TFT 개발 - 생산기술연구원: 단채널 산화물 TFT Modeling - 한양대학교: Sputter / ALD 기반 고성능 산화물 반도체 활성층 개발 - 중앙대학교: 산화물 TFT 전기적 결함 추출 및 해석 - 포항공과대학교: 저온플라즈마 공정활용 산화물... | 산화물반도체,고이동도,고해상도,단체널,저저항 | Oxide Semiconductor,High Mobility,High Resolution,Short Channel,Low Resistivity | 2200000000 |
82 | 2021 | 철도차량스마트유지보수기술개발사업(R&D)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311 | 철도차량 차상 상태 진단 및 예측 기술개발 | 김인기 | 한국철도공사 | 대전광역시 동구 | 20190420 | 2023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TCMS 데이터를 활용한 차종별 주요부품 고장 통계 자료 수집 및 분석○ 차종별 선정된 차상 주요장치 요구사항 조사○ 국내외 열화 모델 및 복합진단 기술 조사○ 열화모델 적용 적합성 검토○ 차량상태 진단 및 예측 기술 동향 조사○ 『차상주요장치 상태 진단 및 예측 시스템』 개발 전략 수립○ 열화모델 데이터 수집을 위한 센서 조사○ 『차상주요장치 상태 진... | ○ CBM 관점에서 철도운영기관은 본 연구 개발 최종 성과물인 최적 유지보수 지원시스템을 이용하여 도시/일반철도차량(기존/신조)을 대상으로 유지보수 교체주기를 능동적으로 결정함○ 최적 유지보수를 위해 예지정비를 위한 능동 유지보수 지원시스템에 활용○ 차상의 TCMS 데이터, 센싱(열화) 데이터와 검수 데이터로부터 최적 유지보수 지원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빅... | 스마트 유지보수,자가 상태진단,열화모델,효율화 지원시스템,현장평가 | Smart maintenance,Self-Diagnosis,Degradation model,Efficiency support system,Field test bed | 2540000000 | |
45 | 2022 | 교통물류연구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623 | 자율협력주행 환경 도로교통체계 보안관제시스템 기술개발 및 테스트베드 구축 | 이창준 | 한국도로공사 | 경기도 화성시 | 20190430 | 20221231 | 정보보안 및 암호기술 | o 자율주행의 발전방향 - 자율주행 차량의 센서 인지범위는 최대 200m 정도로 알려져 있지만 공사장에 설치되는 작은 시설물(라바콘 등)의 경우 수십m 정도에서 인지함으로써 급제동이 불가피하고, 작은 곡선부, 시야가 차단된 교차로 등의 경우에도 인지범위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원활한 자율주행이 곤란 -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인프라에서 체계적인 정보를... | o 자율협력주행 도로교통 인프라의 보안을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을 통해 다수의 도로교통 관리기관이 인프라 구축 및 운영 시에 공통의 보안 기준을 갖게 함으로서 보안 운영에 대한 안전성 및 호환성 확보, 보안 침해 사고 조기파악 및 효과적 대응 체계 마련o 통합보안인증시스템, 보안 이상탐지 및 대응기술, 보안관제 시스템 플랫폼 개발 통해 자율차량에 중요한 안전... | 자율협력주행,보안,가이드라인,보안인증,보안관제 | cooperative automated driving,security,guideline,security certification,security control | 1738679000 | |
61 | 2022 | 스마트컨테이너실용화기술개발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2366 | 스마트 컨테이너 실용화 기술개발 | 임범현 | 삼성중공업(주)거제조선소 | 경상남도 거제시 | 20210401 | 20241231 | 기타 네트워크기술 | ○ 글로벌 스마트 해상물류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물류 주체들(화주, 선사, 터미널 등)의 컨테이너 화물에 대한 실시간 상태 정보(온도, 습도, 충격, 문 개폐 등) 및 위치 추적에 대한 정보 획득을 위한 기술이 지속적으로 요구됨 ○ 국내외 기업들이 ICT 기술을 접목한 탈부착 방식의 장비를 사용하여 컨테이너 화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나 이는 과도기... | □ 활용방안 ○ 화주 - 운송중인 화물의 실시간 위치와 상태 정보에 기반한 신속하고 효과적인 비즈니스 의사 결정에 활용 ○ 선사 - 위험 화물의 실시간 위치 추적과 지오펜싱을 적용하여 사고예방과 안전수송에 활용 - 해상에서 선박 내 냉동컨테이너의 모니터링 및 관제업무 자동화 가능 - 화물 파손 시 정확한 파손 원인을 추적하여 화물 ... | 스마트컨테이너,스마트유닛,스마트해운물류,서비스플랫폼,스마트센서노드 | Smart container,Smart unit,Smart shipping logistics,Service platform,Smart sensor node | 97000000 | |
90 | 2021 | 스마트컨테이너실용화기술개발(R&D)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1859 | 스마트 컨테이너 실용화 기술개발 | 임범현 | 삼성중공업(주)거제조선소 | 경상남도 거제시 | 20210401 | 20241231 | 기타 네트워크기술 | ○ 글로벌 스마트 해상물류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물류 주체들(화주, 선사, 터미널 등)의 컨테이너 화물에 대한 실시간 상태 정보(온도, 습도, 충격, 문 개폐 등) 및 위치 추적에 대한 정보 획득을 위한 기술이 지속적으로 요구됨 ○ 국내외 기업들이 ICT 기술을 접목한 탈부착 방식의 장비를 사용하여 컨테이너 화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나 이는 과도기... | □ 활용방안 ○ 화주 - 운송중인 화물의 실시간 위치와 상태 정보에 기반한 신속하고 효과적인 비즈니스 의사 결정에 활용 ○ 선사 - 위험 화물의 실시간 위치 추적과 지오펜싱을 적용하여 사고예방과 안전수송에 활용 - 해상에서 선박 내 냉동컨테이너의 모니터링 및 관제업무 자동화 가능 - 화물 파손 시 정확한 파손 원인을 추적하여 화물 ... | 스마트컨테이너,스마트유닛,스마트해운물류,서비스플랫폼,스마트센서노드 | Smart container,Smart unit,Smart shipping logistics,Service platform,Smart sensor node | 80000000 | |
6 | 2022 | 감염병 방역기술개발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6397 | 모빌리티 연계시스템 설계 및 구현 | Mobility Integrated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 Chang Sungwook | 주식회사 카카오모빌리티 | 경기도 성남시 | 20200901 | 20230228 | 정보검색 및 DB기술 | 유증상 환자의 호출에 따른 소재지를 파악하여 신속하게 이동식 진료소를 배차하는 알고리즘 개발함. 또한 증상 확정 시 전문 의료 기관으로 이송이 필요할 경우, 해당 병원으로 이송하기 위한 배차 시스템 개발을 개발함. 제한된 숫자의 이동식 진료소의 배차 운영을 효율화 함으로써 진단 및 이송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기술적 측면- COVID-19 의증 환자와 의료기관 간 접근 편의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고위험 환자를 조기에 선별하여 2차 전파의 위험성과 환자 발생률을 감소시킴. 이는 의료기관의 행정적, 공간적 자원의 효율적 운용에 활용될 수 있음.- 유체역학적 실험과 수치해석을 통한 이동식 진료소 내부의 동 제어를 통해 방역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 수용 가능한 환자... | 이동식 진료소,모빌리티 서비스,배차시스템 | Mobile diagnosis site,Mobility service,Routing and dispatching | 120000000 |
67 | 2021 | IoT기반지능형항만물류기술개발(R&D)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1392 | 스마트 항만 IoT 인프라 구축기술 개발 | 권경석 | SK텔레콤 | 서울특별시 중구 | 20190520 | 202203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본 과제는 국가 경제에서 중요한 위치를 가지는 물류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항만의 생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항만물류자원 및 물품의 위치 상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IoT 장비 및 이러한 대용량의 정보를 실시간 초고속으로 수집-전달-분석-활용하기 위한 항만 IoT 통합 플랫폼과 데이터 수집을 위해 필요한 통신 인프라 및 디바이스를 구축,개발하는데 필요한... | 기술적 측면: IoT 플랫폼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 외산 기술을 능가하는 한국형 IoT 플랫폼 기술경험 축적IoT 기술을 통한 물류 가시성, 예측가능성, 작업 민첩성의 확보 스마트 항만을 위한 항만 신뢰성/안전성 확보항만 운용시스템 및 외부시스템 연동을 가능하게 하는 물류 연속성 확보경제산업적 측면: IoT 플랫폼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의 가능성과 신부가가치 ... | 사물인터넷,스마트 항만,항만 IoT,빅데이터,실시간 정보 | IoT,Smart port,Port IoT,Big data,Real time data | 35162000 | |
47 | 2022 | 스마트컨테이너실용화기술개발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2620 | 스마트 컨테이너 실용화 기술개발 | 양서준 | 여수광양항만공사 | 전라남도 광양시 | 20210401 | 20241231 | 기타 네트워크기술 | ○ 글로벌 스마트 해상물류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물류 주체들(화주, 선사, 터미널 등)의 컨테이너 화물에 대한 실시간 상태 정보(온도, 습도, 충격, 문 개폐 등) 및 위치 추적에 대한 정보 획득을 위한 기술이 지속적으로 요구됨 ○ 국내외 기업들이 ICT 기술을 접목한 탈부착 방식의 장비를 사용하여 컨테이너 화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나 이는 과도기... | □ 활용방안 ○ 화주 - 운송중인 화물의 실시간 위치와 상태 정보에 기반한 신속하고 효과적인 비즈니스 의사 결정에 활용 ○ 선사 - 위험 화물의 실시간 위치 추적과 지오펜싱을 적용하여 사고예방과 안전수송에 활용 - 해상에서 선박 내 냉동컨테이너의 모니터링 및 관제업무 자동화 가능 - 화물 파손 시 정확한 파손 원인을 추적하여 화물 ... | 스마트컨테이너,스마트유닛,스마트해운물류,서비스플랫폼,스마트센서노드 | Smart container,Smart unit,Smart shipping logistics,Service platform,Smart sensor node | 50000000 | |
18 | 2022 |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174 | 초고해상도 모바일 OLED용 제품을 위한 산화물 TFT 백플레인 핵심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oxide backplane core technology for ultra high resolution mobile OLEDs | 임준형 | 삼성디스플레이(주) | 경기도 용인시 | 20210401 | 20241231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2차년도 목표]ㅇ 산화물반도체 백플레인 ≥500ppi 해상도 패널 구현 (배선간 신호 간섭 최소화 공정개발)ㅇ 8G ALD 장비 제작 및 시운전 (장비 통합 제어 소프트 웨어 활용)ㅇ 스캔 및 화소 회로 면적 32x300㎛2, 16x32㎛2 이하 개발 (회소회로 면적 축소) | 하기와 같은 2차년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3차년도 개발 목표 달성 인프라 구축① 배선간 신호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공정개발을 통해 ≥500ppi 패널 어레이 구현② 핵심모듈 융합을 통한 8G 급 ALD 장비 제작 및 통합 제어 소프트 웨어 검증③ TFT 갯수를 감소하면서 정상 구동 가능한 스캔회로 개발 | 산화물반도체,고이동도,고해상도,화소회로,스캔회로 | oxide semiconductor,high mobility,high resolution,pixel circuit,scan driver circuit | 61250000 |
49 | 2022 | 클라우드로봇복합인공지능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59644 | 다수 로봇의 지능을 통합 고도화하는 클라우드 로봇 지능 증강·공유 및 프레임워크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cloud robot intelligence augmentation, sharing and framework technology to integrate and enhance the intelligence of multiple robots | 백승민 | 엘지전자(주)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 20200401 | 20231231 | 기타 네트워크기술 | 클라우드 기반의 지속적인 학습으로 세부 2 · 3 과제의 지역 지능을 증강하여 최적의 지능을 지역에 다시 제공하고 새로운 지역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함. 이를 위한 클라우드 로봇 프레임워크 개발하고 서비스·제조 분야 로봇 대상 실증함 | (전체 과제의 기대효과)- 기존 클라우드 로봇이 클라우드를 통한 로봇 응용의 개발, 테스트, 배포에 초점이 맞추고 있으나, 본 과제 결과물을 통하여 로봇 지능의 지속적 증강을 위한 원천기술과 이를 위한 클라우드 로봇 지능 증강 프레임워크 기술의 세계 최초 확보가 가능 - 클라우드 로봇 인공지능 표준 개발을 통해 클라우드 로봇 지능 증강 프레임워크 관련 국제... | 멀티모달 데이터 증강,지속 학습,클라우드 로봇,클라우드 로봇 프레임워크,클라우드 지능 증강 | Cloud AI Augmentation,Cloud Robot,Cloud Robot Framework,Continual Learning,Multimodal Data Augmentation | 3640240000 |
53 | 2022 | 스마트항만-자율운항선박연계기술개발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2597 | 스마트 항만-자율운항선박연계 기술개발 | 구한모 | 울산항만공사 | 울산광역시 남구 | 20210401 | 2025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최종목표]□ 자율운항선박 도선지원 및 자동계류 시스템 개발□ 스마트 해상물류 통합 프로세스 설계 기술 개발□ 영상 인식 기술 기반 선원 및 화물관리 시스템 개발□ 자율운항선박 안전 입출항 제어/관제 기술 개발□ 자율운항선박 육상 제어 시뮬레이터 개발□ 자율운항 선박의 전기추진 시스템 디지털트윈 기술개발[1차년도 목표]□ 자동계류 시스템 개념 설계□ 해상... | □ 선박의 자율계류 시스템 개발을 통해 항만계류 시 발생하는 위험을 줄이고 자율계류 시스템 분야 시장 선도□ 자율운항선박 도선지원 시스템 개발을 통해 선박과 선원의 안전성 확보□ 다양한 해상물류 정보를 통합하고 운용할 수 있는 해상물류 통합 프로세스 구축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영상인식 기반 선원 안전관리 시스템개발을 통해 선원의 안전 및 선박의 안... | 자율운항선박,스마트항만,연계기술,인공지능,스마트 해상물류 | Autonomous Ships,Smart Port,Linkage Technology,Artificial Intelligence,Smart Shipping Logistics | 100000000 | |
78 | 2021 | 주거환경연구사업(R&D)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280 | 주택시장의 데이터 통합 및 통계 생산체계 고도화 기술개발 | 이준용 | 한국부동산원 |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 | 20160830 | 20220228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주택시장 데이터의 통합 기반구축 및 주택시장 통계 생산체계 고도화 기술 개발 통합 통계 데이터베이스(DB) 구축과 통계의 신뢰성 제고, One Stop 자료 분석 실현 - 주택시장 통계 수집 및 관리체계 재검토 및 정보생성 체계개선, 주택시장 여건변화에 따른 새로운 통계의 개발, 주택정책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통합 통계 데이터베이스 구축, 수집 정보... | ○ 기술적 측면 - 주택시장 통합정보 플랫폼 개발과 공공정보의 통합은 빅데이터 분석을 용이하게 하고, 실시간 분석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지원 - 주택시장 통합정보 내/외부 서비스를 위한 오픈플랫폼 아키텍쳐는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의 접속 및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지원 - 주택시장 분석/예측시스템 컴포넌트 모델링은 빅데이터의 활용성을 증진하고, 더 ... | 주택통합DB,주택통계,주택시장분석,오픈분석플랫폼,정책결정지원 | Integrated Housing DB,Housing Statistics,Housing Market Analysis,Open Analysis Platform,Policy Decision Support System | 675933000 | |
80 | 2021 | IoT기반지능형항만물류기술개발(R&D)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1428 | 스마트 항만 IoT 인프라 구축기술 개발 | 김형규 | (주)케이티 | 경기도 성남시 | 20190520 | 202203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본 과제는 국가 경제에서 중요한 위치를 가지는 물류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항만의 생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항만물류자원 및 물품의 위치 상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IoT 장비 및 이러한 대용량의 정보를 실시간 초고속으로 수집-전달-분석-활용하기 위한 항만 IoT 통합 플랫폼과 데이터 수집을 위해 필요한 통신 인프라 및 디바이스를 구축,개발하는데 필요한... | 기술적 측면: IoT 플랫폼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 외산 기술을 능가하는 한국형 IoT 플랫폼 기술경험 축적IoT 기술을 통한 물류 가시성, 예측가능성, 작업 민첩성의 확보 스마트 항만을 위한 항만 신뢰성/안전성 확보항만 운용시스템 및 외부시스템 연동을 가능하게 하는 물류 연속성 확보경제산업적 측면: IoT 플랫폼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의 가능성과 신부가가치 ... | 사물인터넷,스마트 항만,항만 IoT,빅데이터,실시간 정보 | IoT,Smart port,Port IoT,Big data,Real time data | 164182000 | |
109 | 2021 |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4893 | 5G 기반 재난정보전달 게이트웨이 기술개발 | Development of disaster information transmission gateway technology based on 5G mobile network | 정성택 | KT | 경기도 성남시 | 20181101 | 2021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5G CBS(Cell Broadcast Service)기술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재난 대응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재난정보전달 서비스를 개발하여 향후 재난안전정보 활용을 촉진시켜 국민의 안전을 지키고 국가재난안전산업을 활성화 함 - 5G CBS 기반 멀티미디어 재난대응정보 전달 기술 및 CBS전송 GW 기술 개발 - 대국민 차세대 통합 예·경보플랫폼과 5G ... | ○ 재난 발생 시 신속한 대국민 재난대응안전정보 제공을 위한 일원화된 5G CBS 공급 역할 수행○ 대국민 차세대 통합 예·경보플랫폼 연동틀 통한 재난상황전파 메신저 역할○ 멀티미디어 기반 원활한 재난대응정보 제공을 위한 표준화 모델 활용 | 차세대 재난정보전달 통합 플랫폼,차세대 재난 예·경보 플랫폼,멀티미디어 기반 재난정보전달 표준,대국민 경보서 | Next-Generation Disaster Information Transmission Platform,Next-Generation Disaster PredictionWarning Platform,Multi-Media Based Disas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tandards,Korean Public Alert System,... | 78600000 |
13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980 | 디스플레이용 EQE 20%급 인광 및 TADF 도펀트의 AI 기반 개발 | Development of phosphorescent TADF dopant with EQE 20% using AI platform | 강민수 | 에스케이머티리얼즈제이엔씨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41231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ㅇAI 설계 정합성 ≥0.6ㅇ 중심파장 R/G/B 622/525/465±5nm)ㅇ 반치폭 R/G/B ≤60/60/50ㅇ EQE R/G/B ≥18/18/15ㅇ 수명(LT90) R/G/B ≥1500/200/500[에스케이머티리얼즈제이엔씨]-청색 TADF 소자 EQE ≥15%, 수명 ≥500 hrs- 청색 TADF 소자 2차 최적화- 녹색 TADF 소자 EQE... | - 학습강화 AI 설계법 활용을 통한 소재개발 가속화 체제 구축- 인광 도펀트의 신규 IP들 확보로 해외 의존도 감소- TADF 도펀트 : 인광재료 대비 Cost 저감, Blue 고효율화 가능성 확보- 차세대 OLED 발광재료 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 효율, 수명이 높지 않은 청색 형광 재료 교체를 통한 원천 소재 물질 확보. 이 경우, 소재 국산화가... | 디스플레이,유기전계발광소자,인공지능,발광재료,도펀트 | Display,OLED,AI,Emitting material,Dopant | 2130049000 |
63 | 2021 | 글로벌핵심인재양성지원(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35289 | 마이크로소프트연구소아시아와 공동연구협력 프로젝트 | Collaborative Research Projects with Microsoft Research Asia | 이미란 | 한국마이크로소프트(유) | 서울특별시 종로구 | 20210501 | 20220430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4차 산업혁명 기술 주도는 산업 및 미래 발전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그 주도권 확보를 위해 글로벌 각축전이 벌어지고 있고 인적자원은 매우 중요한 핵심이다. 핵심인재 양성은 가까운 미래의 국가 및 산업경쟁력을 좌우한다. 4차 산업혁명 인력의 양적 공급 기반은 확충되었으나 질적 노력 개선은 부족하다. 글로벌 핵심인재 양성을 위해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기관인 ... | 1.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ㅇ 세계 최고 학회와 저널에 논문 발표 ㅇ 연구기술 활용을 위한 라이선스 및 스타트업등 적극 지원 2.기대 효과 ㅇ 과제 기대 효과 - 4차 산업혁명 분야 기업 및 기술분야 수요증가에 대한 대응 - 4차 산업혁명 분야 핵심인재 양성 및 경쟁력 강화 ㅇ 파견에 따른 글로벌 인재양성 효과 - 핵심인재들의 국제적 감각 및 세계적... | 공동연구원 파견,빅데이터,인공지능,클라우드컴퓨팅 | AI,Big Data,Cloud Computing,Joint Research | 1350000000 |
117 | 2021 |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4158 | 초고해상도 모바일 OLED용 제품을 위한 산화물 TFT 백플레인 핵심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oxide backplane core technology for ultra high resolution mobile OLEDs | 추혜용 | 삼성디스플레이(주) | 경기도 용인시 | 20210401 | 20241231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1차년도 목표]ㅇ 산화물반도체 백플레인 구축 (구조 선정 및 TFT 특성 균일도 확보)ㅇ 8G ALD 장비 설계 및 핵심 모듈 제작 (핵심 모듈 제작 시 시뮬레이션 진행)ㅇ 스캔 및 화소 회로 면적 40x300㎛2, 20x40㎛2 이하 개발 (스캔 드라이버 회로 크기 감소) | 하기와 같은 1차년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2차년도 개발 목표 달성 인프라 구축① 산화물 TFT 기반 백플레인 구축 (적합 구조 선정 및 TFT 특성 균일도 확보 공정 개발)② 6G 기술 기반 8G ALD 장비 설계 및 핵심 모듈 시뮬레이션 / 제작③ 드라이버 회로 크기 감소 위해 배선 감소 레이아웃 진행 | 산화물반도체,고이동도,고해상도,화소회로,스캔회로 | oxide semiconductor,high mobility,high resolution,pixel circuit,scan driver circuit | 61250000 |
86 | 2021 | 스마트항만-자율운항선박연계기술개발(R&D)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1779 | 스마트 항만-자율운항선박연계 기술개발 | 김대혁 | 아비커스 | 서울특별시 강남구 | 20210401 | 2025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최종목표]□ 자율운항선박 도선지원 및 자동계류 시스템 개발□ 스마트 해상물류 통합 프로세스 설계 기술 개발□ 영상 인식 기술 기반 선원 및 화물관리 시스템 개발□ 자율운항선박 안전 입출항 제어/관제 기술 개발□ 자율운항선박 육상 제어 시뮬레이터 개발□ 자율운항 선박의 전기추진 시스템 디지털트윈 기술개발[1차년도 목표]□ 자동계류 시스템 개념 설계□ 해상... | □ 선박의 자율계류 시스템 개발을 통해 항만계류 시 발생하는 위험을 줄이고 자율계류 시스템 분야 시장 선도□ 자율운항선박 도선지원 시스템 개발을 통해 선박과 선원의 안전성 확보□ 다양한 해상물류 정보를 통합하고 운용할 수 있는 해상물류 통합 프로세스 구축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영상인식 기반 선원 안전관리 시스템개발을 통해 선원의 안전 및 선박의 안... | 자율운항선박,스마트항만,연계기술,인공지능,스마트 해상물류 | Autonomous Ships,Smart Port,Linkage Technology,Artificial Intelligence,Smart Shipping Logistics | 100000000 | |
36 | 2022 | 쇠퇴지역재생역량강화를위한기술개발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834 | 쇠퇴지역의 도시공간 위험성 분석 및 도시회복력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 | 이삼수 | 한국토지주택공사 | 경상남도 진주시 | 20220101 | 20221231 | 기타 정보기술 | ○ 이 연구의 최종목표는 도시재생역량 강화를 위해 쇠퇴지역의 도시공간 위험성 분석 및 도시회복력 향상 기술을 개발하는 것임○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크게 세 개의 세부로 연구체계를 구성하고 각 세부별 연구목표를 설정함- 1세부의 최종목표는 도시재생지역의 도시공간 재난재해 위험성 분석 및 예측 기술 개발을 통해위험성 분석 정보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임- 2세... | (1) 기술 성과○ 재난재해에 따른 도시공간관리 체계 구축- 단일 재난재해의 원인과 발생 지역에 따라 분류하고 한국 실정에 맞도록 상관계수를 제시하여 추후 피해 산정에 활용- 각 재난재해, 그리고 복합 재난재해로 인한 구조물의 위험성을 3차원 지도에 표시하여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한 위험 지역을 신속하게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 선정된 취약지역에서 시간에 따른... | 쇠퇴지역,재난재해,위험성 분석,도시회복력,도시재생 | Declining areas,Disaster,Risk analysis,Urban resilience,Urban regeneration | 8500560000 | |
102 | 2021 |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2525 | 잉크젯 화소 프린팅법에 의한 4k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개발 | Development of 4K level flexible display panel technology by inkjet printing | 김동환 | 삼성디스플레이(주)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41231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1. 공통층 잉크 (이엠인덱스) - 세부1 (1) 전하이동도(cm2/Vs) ≥ 5X10-5 (2) 인쇄막 균일도(%) ≤ 15 (3) 수명(T95)(hr)@1,000nit ≥ 3,000(R), 12,000(G), 500(B) 2. 공통층 잉크 (SFC) - 세부2 (1) 전류효율(cd/A) ≥ 20(R), 75(G), 7(B) (2) 수명(T... | 1. 18.2 4K급 (Rigid)의 잉크젯 인쇄법을 통한 OLED 패널 제작2. 상기 OLED 패널의 특성 확보 (휘도(@Full White): 150nit, T95 수명: 300hr3. 공통층 잉크 특성 확보: 수명(T95)(hr)@1,000nit ≥ 3,000(R), 12,000(G), 500(B)4. 발광층 잉크 특성 확보: (1) 전류효율... | 디스플레이,유기발광다이오드,잉크젯,프린팅,플렉서블 | Display,Organic Light Emitting Diode,Inkjet,Printing,Flexible | 182200000 |
59 | 2022 | 스마트항만-자율운항선박연계기술개발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2617 | 스마트 항만-자율운항선박연계 기술개발 | 연정흠 | 부산항만공사 | 부산광역시 중구 | 20210401 | 2025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최종목표]□ 자율운항선박 도선지원 및 자동계류 시스템 개발□ 스마트 해상물류 통합 프로세스 설계 기술 개발□ 영상 인식 기술 기반 선원 및 화물관리 시스템 개발□ 자율운항선박 안전 입출항 제어/관제 기술 개발□ 자율운항선박 육상 제어 시뮬레이터 개발□ 자율운항 선박의 전기추진 시스템 디지털트윈 기술개발[1차년도 목표]□ 자동계류 시스템 개념 설계□ 해상... | □ 선박의 자율계류 시스템 개발을 통해 항만계류 시 발생하는 위험을 줄이고 자율계류 시스템 분야 시장 선도□ 자율운항선박 도선지원 시스템 개발을 통해 선박과 선원의 안전성 확보□ 다양한 해상물류 정보를 통합하고 운용할 수 있는 해상물류 통합 프로세스 구축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영상인식 기반 선원 안전관리 시스템개발을 통해 선원의 안전 및 선박의 안... | 자율운항선박,스마트항만,연계기술,인공지능,스마트 해상물류 | Autonomous Ships,Smart Port,Linkage Technology,Artificial Intelligence,Smart Shipping Logistics | 300000000 | |
46 | 2022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53007 | 인공지능 학습/추론 효율성 향상을 위한 서버용 SW 프레임워크 개발 | Development of SW Framework for Server to Improve AI Training/Inference Efficiency | 정무경 | 주식회사 사피온코리아 | 경기도 성남시 | 20210401 | 2024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국산 서버용 지능형반도체의 인공지능 학습 및 추론에서 최상의 성능(정확도 및 실행 속도)을 발휘하도록 하는 최적화 프레임워크 개발 - 추론/학습이 가능한 다중 딥러닝 프레임워크 호환 프론트엔드 컴파일러 (서버탑재형SW)* - 추론/학습이 가능한 프레임워크 독립적인 IR (서버탑재형SW) - 추론/학습이 가능한 연산 라이브러리 (서버탑재형SW) ... | ○ 과제 결과물 활용 계획 - 계획1. SK텔레콤 Private 인공지능 학습 Cloud “SCALE” 적용 - 계획2. SK텔레콤 인공신경망 자동 생성 Private Cloud 서비스 “Meta-Learner” 적용 - 계획3. SK텔레콤 Mobile Edge Cloud (MEC) 서비스 적용 - 계획4. 광주 AI 집적단지 AI 특화 클라우드 서비스... | 고성능 컴퓨팅,기계학습,인공신경망 프로세서,컴파일러,프레임워크 | Compiler,Framework,High Performance Computing,Machine Learning,Neural Processing Unit | 3984700000 |
81 | 2021 | 에너지수요관리핵심기술개발(에특)(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 1415174568 | (1세부) 디지털트윈 기반 스마트시티 에너지 플랫폼 구축 및 국가시범도시 실증 | Development of Smart City Energy Platform based on Digital Twin and Demonstration in the National Pilot Ci | 신진호 | 한국전력공사 | 전라남도 나주시 | 20190501 | 20220430 | 정보검색 및 DB기술 | ○주관기관(한국전력공사) : 시뮬레이션 검증 도구 개발 및 자체 시험, 통합운영센터 대시보드(City-EMS) 개발 및 플랫폼 내부 운영관리용 운영 포털/시민 서비스 통합 접속 환경 관리용 시민 포털 개발 에너지 계획 도구/통합운영 대시보드/운영 포털/시민 포털 서비스 실증 및 활용 가이드/개선의견 수렴보완 및 성... | 1. 사업화 계획 ○ 신도시(세종), 혁신도시(나주), 기존도시(시흥) 구축경험을 거점으로 정부 스마트시티 사업계획에 따라 에너지 플랫폼 보급 확산(30년까지 50개 도시 이상, 매년 5개) - (신도시) 세종 5-1생활권 실증 및 부산시 EDC 적용(21~), 수도권 신도시 등(22~) - (혁신도시) 기 구축 나주시 플랫폼 업그레이드... | 스마트시티 , 에너지 플랫폼 , 통합관제 , 디지털 트윈 , 에너지 계획 | Smart City , Energy Platform , Integrated Control , Digital Twin , Energy Planning | 2125789000 |
14 | 2022 |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139 | 잉크젯 인쇄방법에 의한 화소형성 공정으로 4K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 및 패널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4K level flexible display device and panel technology by inkjet pixel printing method | 하재국 | 삼성디스플레이(주)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41231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1. 패널 (삼성디스플레이) (1) 휘도(@Full White): 200nit (2) T95 수명: 500hr (3) 해상도: 18.2″4K (Rigid)2. 플렉서블기판 (연세대) (1) 스퍼터 기반 산화물 박막트랜지스터의 전하 이동도: 50.0 cm2/Vs 이상 (2) 스퍼터 기반 산화물 박막트랜지스터의 신뢰성 테스트 (PBTS, NBTS 테스트): △... | 1. 18.2 4K급 (Rigid)의 잉크젯 인쇄법을 통한 OLED 패널 제작2. 상기 OLED 패널의 특성 확보 (휘도(@Full White): 200nit, T95 수명: 500hr)3. 산화물 박막트랜지스터의 특성 확보 (1) 스퍼터 기반 산화물 박막트랜지스터의 전하 이동도: 50.0 cm2/Vs 이상 (2) 스퍼터 기반 산화물 박막트랜지스터의 신... | 디스플레이,유기발광다이오드,잉크젯,프린팅,플렉서블 | Display,Organic Light Emitting Diode,Inkjet,Printing,Flexible | 1901052000 |
39 | 2022 | 혁신성장동력프로젝트(국토부)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556 | 리빙랩 혁신모델 기반 개방형 데이터 허브 플랫폼 구축 및 검증 | 김경훈 | (주)케이티 | 경기도 성남시 | 20220101 | 2022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도시구역(시흥시 실증 대상)에서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대규모 데이터의 실시간 수집 및 내·외부 오픈 데이터와의 상호운용성을 기반으로 생활밀착형 서비스에 대한 시민과 공동체의 참여를 통해 리빙랩 형태의 환경, 에너지, 생활복지 등의 서비스 개발 및 비즈니스 창출을 위한 디지털 마켓플레이서 형태의 개방형 데이터허브 플랫폼 구축 스마트시티 서비스에 대하여, 지자체... | ㅇ개방형 데이터 허브 플랫폼 표준 설계를 통한 스마트시티 시스템 분야 선도ㅇ데이터 수집/전처리 미들웨어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 및 확산ㅇ오픈소스 기반 개방형 데이터 구축을 통한 글로벌 기술 경쟁력 확보 | 스마트시티,데이터허브,개방형 데이터,리빙랩,비즈니스모델 | Smart City,Data hub,Open Data,Living Lab,Business Model | 4061321000 | |
27 | 2022 |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설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52619 | 2,000 TFLOPS급 서버 인공지능 딥러닝 프로세서 및 모듈 개발 | Development of AI Deep-Learning Processor and Module for 2,000 TFLOPS Server | 정무경 | 주식회사 사피온코리아 | 경기도 성남시 | 20200401 | 20261231 | 집적회로기술 | (총괄과제)분산컴퓨팅및다중인공지능응용동작이가능한인공지능프로세서기반2PFLOPS급데이터중심서버향고성능인공지능컴퓨팅플랫폼ㅇ서버향인공지능학습프로세서칩3개(1차,2차,3차):세부과제결과물의통합칩ㅇ서버향인공지능추론프로세서칩3개(1차,2차,3차):세부과제결과물의통합칩ㅇ서버향인공지능프로세서... | ㅇ 세부과제 결과물 사업화 전략- (인공지능 프로세서) 주관기관인 SK텔레콤이 결과물인 인공지능 프로세서 기술을 자사 서비스에 활용 (Network AI서비스, NUGU AI스피커, ADT캡스 보안 등)- (인공지능 프로세서 플랫폼) 공동연구기관인 에이직랜드가 결과물인 인공지능 프로세서 플랫폼 오픈, 기술지원, ASIC 구현 사업화 수행- (인공지능(딥러닝... | 고성능 컴퓨팅,기계 학습,데이터센터,인공신경망 프로세서,인공지능 프로세서 | AI Processor,Datacenter,High Performance Computing,Machine Learning,Neural Processing Unit | 6995096000 |
103 | 2021 | 감염병방역기술개발(R&D)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3150 | 모빌리티 연계시스템 설계 및 구현 | Mobility Integrated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 Chang Sungwook | 주식회사 카카오모빌리티 | 경기도 성남시 | 20200901 | 20221231 | 정보검색 및 DB기술 | 유증상 환자의 호출에 따른 소재지를 파악하여 신속하게 이동식 진료소를 배차하는 알고리즘 개발함. 또한 증상 확정 시 전문 의료 기관으로 이송이 필요할 경우, 해당 병원으로 이송하기 위한 배차 시스템 개발을 개발함. 제한된 숫자의 이동식 진료소의 배차 운영을 효율화 함으로써 진단 및 이송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기술적 측면- COVID-19 의증 환자와 의료기관 간 접근 편의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고위험 환자를 조기에 선별하여 2차 전파의 위험성과 환자 발생률을 감소시킴. 이는 의료기관의 행정적, 공간적 자원의 효율적 운용에 활용될 수 있음.- 유체역학적 실험과 수치해석을 통한 이동식 진료소 내부의 동 제어를 통해 방역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 수용 가능한 환자... | 이동식 진료소,모빌리티 서비스,배차시스템 | Mobile diagnosis site,Mobility service,Routing and dispatching | 100000000 |
57 | 2022 | 원자력핵심기술개발[일몰]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 1415180447 | 인공지능 기반 원전 기동 및 정지 운전지원 기술개발 | Development of operation supporting technology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for nuclear power plant st | 이종범 | 한국수력원자력(주) 중앙연구원 | 경상북도 경주시 | 20171201 | 20221130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주관기관(한국수력원자력)- 과제종합관리/통합회의체 구성 및 운영- 시뮬레이터 활용 통합 시험 및 성능 검증- 다중 상태 감시 모델 타당성 검토- 기존 조기경보 시스템(CMD 센터) 연계 기능 업데이트- 시제품 운영 절차 개발- 시제품 CMD 센터 테스트 및 성능 평가 참여기관(한국원자력연구원) :- 운전자동화시스템과 APR1400 시뮬레이터와의 통합시험 ... | 기동정지 및 비정상 운전시 운전원의 인적오류를 저감하기위한 운전지원 시스템을 개발한다.기동/정지 운전시 운전원이 수행해야 하는 업무를 시스템이 자동으로 판단하여 알려준다. 또한 APR1400 노형에 적용되어 있는 전산화절차서와 연계하여 운전원에게 다양한 운전지원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운전원의 인적실수를 사전에 방지하고, 발전소의 상태 판단을 지원하... | 운전지원 , APR1400 , 기동정지 , 상태감지 , 자율운전 | Operation Support , APR1400 , Startup and Shutdown , Status monitoring , Autonomous Operation | 1775622000 |
1 | 2021 | 멀티터미널직류송배전시스템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 1415175490 | 전압형 HVDC용 전력기기 감시진단 기술개발 | Technology Development of Monitoring and Diagnosis for HVDC Power Equipments | 정재룡 | (주)효성 | 서울특별시 마포구 | 20171101 | 20220228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전압형 HVDC 변환소의 AC side 변전기기(GIS, 변압기, 벽 부싱) on-line 부분방전감시 진단 기술 개발 - 최종 개발 기술들이 적용된 부분방전 진단 IED의 국내 전압형 HVDC 변환소 실증 실험(5차년도) | ○ (전력계통 안정화) Multi-Terminal 직류 송·배전 시스템 개발을 통한 전력계통 안정적 제어○ (新산업·新시장 창출) 초고속, 고신뢰 전력전송 기반의 Multi- Terminal HVDC 시스템 신사업 영역 창출○ (국산화 효과) 국내 HVDC 시장은 2020년까지 1조원 규모로 예상되며, 세계 HVDC 시장 규모도 총 70조까지 늘어날 것으로... | 고압직류송전 , 전력기기 , 진단 , 모니터링 , 운영관리 | HVDC , power equiments , diagnosis , monitoring , operation management | 482054000 |
51 | 2022 | 스마트컨테이너실용화기술개발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2666 | 스마트 컨테이너 실용화 기술개발 | 구한모 | 울산항만공사 | 울산광역시 남구 | 20210401 | 20241231 | 기타 네트워크기술 | ○ 글로벌 스마트 해상물류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물류 주체들(화주, 선사, 터미널 등)의 컨테이너 화물에 대한 실시간 상태 정보(온도, 습도, 충격, 문 개폐 등) 및 위치 추적에 대한 정보 획득을 위한 기술이 지속적으로 요구됨 ○ 국내외 기업들이 ICT 기술을 접목한 탈부착 방식의 장비를 사용하여 컨테이너 화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나 이는 과도기... | □ 활용방안 ○ 화주 - 운송중인 화물의 실시간 위치와 상태 정보에 기반한 신속하고 효과적인 비즈니스 의사 결정에 활용 ○ 선사 - 위험 화물의 실시간 위치 추적과 지오펜싱을 적용하여 사고예방과 안전수송에 활용 - 해상에서 선박 내 냉동컨테이너의 모니터링 및 관제업무 자동화 가능 - 화물 파손 시 정확한 파손 원인을 추적하여 화물 ... | 스마트컨테이너,스마트유닛,스마트해운물류,서비스플랫폼,스마트센서노드 | Smart container,Smart unit,Smart shipping logistics,Service platform,Smart sensor node | 50000000 | |
9 | 2022 | 기계장비산업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81246 | 생산 시스템 국산화를 위한 RAPIEnet 표준 기반 PLC 제어기의 장비로봇 통합 제조 실증 모델 개발 | The equipment and robot integrated manufacturing demonstration model development of RAPIEnet based PLC controller for localization of production system | 권대현 | 엘에스일렉트릭(주) | 기타 기타 | 20220501 | 20230430 | 기타 정보통신 부품기술 | [주관연구개발기관(엘에스일렉트릭)]o 제조라인 실증을 위한 업체 맞춤형 기술지원o RAPIEnet 생태계확산을 위한 COTS H/W와 오픈소스 RTOS를 활용한 프로토타입 개발o 생산 데이터 수집을 위한 PCI-E 타입 PLC 모듈 프로토타입 개발 및 적용 [공동연구개발기관1 (한국생산기술연구원)]o 현장 데이터 분석 및 데이터 취득 핵심 항목 추출o ... | [과학/기술적 측면]o 대표 분야 실증을 통해 국산 기술 기반의 산업용 네트워크 필드버스 기술 고도화o 국산 제어기와 AI 기술의 연동을 통해 미래 핵심 기술 확보가 가능함o 자동화 제어기 기술 및 제품, 관련 솔루션 기술 및 제품군 확보를 통해 해외 기술에 의존하고 있는 공장자동화 제어 핵심 부품 분야의 기술 자립 및 기술 경쟁력 강화o 4차 산업혁명 시... | 라피넷,프로그램가능제어기,AI 기반 데이터 분석 및 처리,인증신뢰성 평가,실증 모델 | RAPIEnet,Programmable Logic Controller,Data acquisition and AI based analysis,CertificateReliability Evaluation,Demonstration model | 3643700000 |
22 | 2022 | 조선해양산업기술개발사업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400 | 인공위성통신과 3D가시화 기술을 이용한 LNG선 성능 및 운항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A development of LNG carrier performance and operational safty monitoring system using satellite commucation and 3D visualization tehcnology | 김인일 | 대우조선해양(주) | 기타 기타 | 20180901 | 202205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1) 플랫폼, 기자재상태진단모듈, 3D가시화, 실증 [대우조선해양, 현대해양서비스] - 과제완료보고서 - 홍보물제작 및 프로모션2) 선외 안전진단 시스템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지디엘시스템, 서울대학교] - 홍보용 팜플렛 - 과제완료 보고서3) 선육간 위성통신 시스템 [코리아오브콤] - 과제완료보고서 - 홍보용팜플렛4) Onboard... | 5차년도는 개발 완료된 항목을 정리한 완료보고서 작성 및 개발된 산출물의 대외 홍보 및 프로모션을 수행한다.대선주 및 관련기관 홍보를 통해 개발된 기술의 우수성 및 실용성을 제시하여 LNG선의 수주 경쟁력을 제고하는 한편, 각 Component 별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및 프로모션을 실시하여 새로운 시장을 창출한다. | 인공위성통신,3D 가시화,기자재 상태분석,충돌감지,LNG선 | satellite communication,3D Visualization,Equipment Condition Monitoring,Collision Awareness,LNG Carrier | 208850000 |
40 | 2022 | 스마트건설기술개발사업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718 | 스마트 건설 디지털 플랫폼 및 디지털 트윈 기반 관리 기술 개발 | 조성민 | 한국도로공사 | 경기도 화성시 | 20200428 | 2025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스마트 건설 디지털 플랫폼 및 디지털 트윈 기반 관리 기술을 개발하여 건설 全단계에 걸쳐 생성되는 정보를 디지털화함으로써, 건설 생산성과 안전성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킴 - 엣지컴퓨팅 기반 건설현장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디지털트윈 플랫폼 연계 실시간 정보 제공 기술 개발(엣지컴퓨팅 기반 데이터 전처리 성능 초당 5000건이상, 데이터 연계 성공률 95%... | ○ 건설분야의 방대한 정형, 비정형 데이터의 축적, 관리, 분석, 활용 기술 확보○ 폐쇄적인 건설분야 정보 활용 수준에서 일반 기업과 국민들에게 건설정보의 개방 및 공유를 통해 혁신적인 서비스 창출 기대○ 스마트 건설 사업 내의 타 중점분야의 핵심기술들과 연계를 통해 다량의 원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생성·축적하게 될 정형화된 고품질의 ... | 스마트건설 플랫폼,디지털 트윈,공정 시각화,데이터 공유 허브,통합관제 SW | Platform for smart construction,Digital twin,Activity visualization,Data hub,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 6698000000 | |
96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790 | 65인치 이상급 TV용 배리어필름을 사용하지 않는 QD 광변환필름 기술개발 | Development of QD photoconversion film technology without barrier film for 65inch or larger TVs | 최진성 | 신화인터텍(주) | 충청남도 천안시 | 20210901 | 20241231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총괄연구개발기관 (신화인터텍)] o 과제운영 총괄 및 세부 간 연계 강화 위한 운영 협의체 구축 - 세부과제별 연구개발 추진 마일스톤 작성 - 연구개발 상황 진도 점검을 위한 총괄 워크샵 개최 - 기타 사업관리 지원 (비정기 교류회, 협의회 개최 등) | [경제적/산업적 측면]o (대형 QLED TV 기술 개발 시급성) - 대형 TV에 대한 선호도는 지속적으로 상승해, 2020년 12월 기준으로 60인치대, 70인치대, 80인치대 제품의 판매량은 2019년 대비 각각 15.9%, 43.4%, 80% 급증. 대형 TV 수요 증가가 계속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맞춰 65 인치 이상급 QLED... | 양자점 ,비카드뮴,배리어 없는,캡슐,디스플레이 | QD(Quantum),noncadmium,barrier less (non barrier),capsule,display | 40000000 |
3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940 | 형태 가변 중대형 디스플레이용 커버윈도우 가공 및 제품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impactenhancing cover window for large sized formfactor free | 양필례 | 코오롱중앙기술원 | 기타 기타 | 20210901 | 20241231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주관연구개발기관(코오롱중앙기술원)] o 확인된 물성 영향인자 조절을 통한 기계적 물성 향상 o 신뢰성 형태 변형 원인 분석 및 개선 방향 도출 o 제품 광학 물성 영향인자 제어를 통한 광학 특성 향상 [공동연구개발기관1(주식회사위너스켐)] o 광경화형 코팅수지 조성물 확보 - CPI필름 코팅성능, 충격흡수력 및... | [과학/기술적 측면] o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 적용로 연속생산(R2R) 가능으로 생산성 극대화 o 現 적용 중인 유리 소재 커버 윈도우의 단점인 깨짐성 내충격성 확보 o 형태 가변(폴더블, 롤러블 등) 및 터치펜 적용 가능한 커버 윈도우 소재 확보 [경제적/산업적 측면] o 신규 소재 및 구조를 통한 시장 창출 o 다양한 폼팩터 적용 가능으로 ... | 커버윈도우,내충격,복원율,신뢰성,말림성 | Cover window,Impact resistance,Recovery rate,Reliability,Rollability | 1194000000 |
30 | 2022 | 스마트컨테이너실용화기술개발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2484 | 스마트 컨테이너 실용화 기술개발 | 남궁심 | 인천항만공사 | 인천광역시 중구 | 20210401 | 20241231 | 기타 네트워크기술 | ○ 글로벌 스마트 해상물류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물류 주체들(화주, 선사, 터미널 등)의 컨테이너 화물에 대한 실시간 상태 정보(온도, 습도, 충격, 문 개폐 등) 및 위치 추적에 대한 정보 획득을 위한 기술이 지속적으로 요구됨 ○ 국내외 기업들이 ICT 기술을 접목한 탈부착 방식의 장비를 사용하여 컨테이너 화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나 이는 과도기... | □ 활용방안 ○ 화주 - 운송중인 화물의 실시간 위치와 상태 정보에 기반한 신속하고 효과적인 비즈니스 의사 결정에 활용 ○ 선사 - 위험 화물의 실시간 위치 추적과 지오펜싱을 적용하여 사고예방과 안전수송에 활용 - 해상에서 선박 내 냉동컨테이너의 모니터링 및 관제업무 자동화 가능 - 화물 파손 시 정확한 파손 원인을 추적하여 화물 ... | 스마트컨테이너,스마트유닛,스마트해운물류,서비스플랫폼,스마트센서노드 | Smart container,Smart unit,Smart shipping logistics,Service platform,Smart sensor node | 50000000 | |
64 | 2021 | 쇠퇴지역재생역량강화를위한기술개발(R&D)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246 | 도시재생 회복력 강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및 종합 실증 | 이삼수 | 한국토지주택공사 | 경상남도 진주시 | 20190401 | 20221231 | 기타 정보기술 | · 본 연구에서는 안전한 정주환경을 조성하고 지속가능한 도시를 구현하기 위해 쇠퇴한 도시공간에 대한 재난재해 위험성 분석 기법 및 회복력 향상 기법을 개발함· 쇠퇴지역의 도시공간 위험성 분석 및 도시회복력 향상을 통한 재생역량 강화를 위해 필요한 제반 기술을 개발함· 이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재생지역의 도시공간 재난재해 위험성 분석 및 예측기술 개발, 도시재... | - 쇠퇴지역의 도시회복력 향상 기술과 스마트시티 기술을 연계 접목하여 쇠퇴지역과 신도시 간 삶의 질 격차 등 지역간 불균형 해소를 통해 국민 복지 증진에 기여함- 주민들이 능동적으로 위험요소를 인지, 수집, 공유할 수 있는 “휴먼센서” 기반의 주민참여형 플랫폼으로 거버넌스 측면의 도시회복력 향상에 기여함- 표준화된 재해 취약성 분석 기법 및 방법론을 통한 ... | 쇠퇴지역,재난재해,위험성 분석,도시회복력,도시재생 | Declining areas,Disaster,Risk analysis,Urban resilience,Urban regeneration | 2790000000 | |
116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797 | 대면적용 고내습 고내열성 투명 필름수지 및 QD 분산층과의 접합적층에 의한 복합필름화 기술개발 | Development of Composite Filming Technology by ConnectionLaminating with High Moisture High Heat Resistance Transparent Film Resins and QD Distributed Layers with Large Area | 최진성 | 신화인터텍(주) | 기타 기타 | 20210901 | 20241231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 주관연구개발기관 (신화인터텍) ] o 상용품과 비교 물성 검토, 단위 공정 및 원료 선정, 합지 공정 검토, Lab 합지 제막 코팅[ 공동연구개발기관 1 (이노큐디) ] o Binder 및 Top-coat 현수준 평가, 개선 도출 o 바인더 레진, Top 코팅 레진의 투과도 변화량 및 Y.I 변화량 목표 도출 o QD 복합수지 투명기재간 접착강도... | [경제적/산업적 측면]o (대형 QLED TV 기술 개발 시급성) - 대형 TV에 대한 선호도는 지속적으로 상승해, 2020년 12월 기준으로 60인치대, 70인치대, 80인치대 제품의 판매량은 2019년 대비 각각 15.9%, 43.4%, 80% 급증. 대형 TV 수요 증가가 계속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맞춰 65 인치 이상급 QLED... | 양자점,비카드뮴,배리어 없는,캡슐,디스플레이 | QD(Quantum),noncadmium,barrier less (non barrier),capsule,display | 2034968000 |
99 | 2021 |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106 | 잉크젯 인쇄방법에 의한 화소형성 공정으로 4K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 및 패널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4K level flexible display device and panel technology by inkjet pixel printing method | 김동환 | 삼성디스플레이(주)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41231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1. 패널 (삼성디스플레이) (1) 휘도(@Full White): 150nit (2) T95 수명: 300hr (3) 해상도: 18.2″4K (Rigid)2. 플렉서블기판 (연세대) (1) 스퍼터 기반 산화물 박막트랜지스터의 전하 이동도: 40.0 cm2/Vs 이상3. 플렉서블기판 (한양대) (1) ALD 기반 산화물 박막트랜지스터의 전하 이동도: 20.0... | 1. 18.2 4K급 (Rigid)의 잉크젯 인쇄법을 통한 OLED 패널 제작2. 상기 OLED 패널의 특성 확보 (휘도(@Full White): 150nit, T95 수명: 300hr)3. 산화물 박막트랜지스터의 특성 확보 (1) 스퍼터 기반 산화물 박막트랜지스터의 전하 이동도: 40.0 cm2/Vs 이상 (2) ALD 기반 산화물 박막트랜지스터의 전... | 디스플레이,유기발광다이오드,잉크젯,프린팅,플렉서블 | Display,Organic Light Emitting Diode,Inkjet,Printing,Flexible | 1462360000 |
54 | 2022 |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357 | 모바일 AMOLED용 저저항배선기반 단채널 산화물 TFT 어레이 기술개발 | Development of oxide TFTs with short channel for the mobilie AMOLED | 손경석 | 삼성디스플레이(주)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41231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2차년도 목표]o 산화물반도체 백플레인 적용 ≥500ppi 해상도 패널 구현o 고품위 단채널 산화물 TFT 제작 기술 개발o Sputter 기반 산화물 TFT 특성 개선 및 Sidewall spacer 공정 초기 평가o 산화물 TFT의 Short Channel Effect 분석 및 수명 예측o 저온플라즈마공정 최적화 통한 접촉 저항 감소(≤6x10-6Ω㎠... | 하기와 같은 2차년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3차년도 개발 목표 달성 인프라 구축① 고이동 산화물 TFT 개발 - 생산기술연구원: 단채널 산화물 TFT 특성 개선을 위한 defect 제어 기술 제안 - 한양대학교: Sputter / ALD 기반 고성능 산화물 반도체 활성층 개발 (소자 특성 미세 조절 공정개발) - 중앙대학교: 산화물 TFT 의 채널 길... | 산화물반도체,고이동도,고해상도,단체널,저저항 | Oxide Semiconductor,High Mobility,High Resolution,Short Channel,Low Resistivity | 2874500000 |
110 | 2021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R&D,정보화)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34476 | 인공지능 학습/추론 효율성 향상을 위한 서버용 SW 프레임워크 개발 | Development of SW Framework for Server to Improve AI Training/Inference Efficiency | 정무경 | 에스케이텔레콤(주) | 서울특별시 중구 | 20210401 | 2024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국산 서버용 지능형반도체의 인공지능 학습 및 추론에서 최상의 성능(정확도 및 실행 속도)을 발휘하도록 하는 최적화 프레임워크 개발 - 추론/학습이 가능한 다중 딥러닝 프레임워크 호환 프론트엔드 컴파일러 (서버탑재형SW)* - 추론/학습이 가능한 프레임워크 독립적인 IR (서버탑재형SW) - 추론/학습이 가능한 연산 라이브러리 (서버탑재형SW) ... | ○ 과제 결과물 활용 계획 - 계획1. SK텔레콤 Private 인공지능 학습 Cloud “SCALE” 적용 - 계획2. SK텔레콤 인공신경망 자동 생성 Private Cloud 서비스 “Meta-Learner” 적용 - 계획3. SK텔레콤 Mobile Edge Cloud (MEC) 서비스 적용 - 계획4. 광주 AI 집적단지 AI 특화 클라우드 서비스... | 고성능 컴퓨팅,기계학습,인공신경망 프로세서,컴파일러,프레임워크 | Compiler,Framework,High Performance Computing,Machine Learning,Neural Processing Unit | 2475000000 |
24 | 2022 | 자율운항선박기술개발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2569 | 자율운항시스템 제품화 기능 검증 지원 (2) | 김대혁 | 아비커스 | 서울특별시 강남구 | 20200427 | 2025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지능형 항로 의사결정 기능을 갖는 자율운항 시스템 개발 ○ 지능형 항로 의사결정 솔루션(S/W) 1식 ○ 고신뢰도 경로 추종제어 솔루션(S/W) 1식 ○ 자동 이/접안 알고리즘(S/W) 1식 ○ 경제운항 최적항로 설정 솔루션(S/W) 1식 ○ 자율운항/경제운항 공통 서비스 플랫폼[(H/W)+(S/W)] 1식□ 자율운항선박(Ship2Ship2Shore) ... | □ 국내외 건조되는 자율운항선박에 활용하여 미래 조선산업 시장에서 한국형 자율운항선박 기자재 기술 및 플랫폼 기술의 우위 유지에 활용□ 능동형 해상 자율운항/경제운항 시스템으로 고도화 및 확대 적용□ 최적 항로와 더불어 선사별 운항 전략을 적용한 항로 계획 기술을 개발하여 다양한 최적 항로 안을 제안함으로써 자율운항선박에 적용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자율성을... | 자율운항선박,자율운항 통합 플랫폼,해상업무용 디지털통신,사이버보안,원격제어시스템 |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Autonomous navigation platform,VDES,Cyber security,Remote control system | 361400000 | |
69 | 2021 | 해양장비개발및인프라구축(R&D)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1376 | 셀 플래닝 툴 최적화 및 육상연계 통신 기술 개발 | 김영궁 | SK텔레콤 | 서울특별시 중구 | 20150501 | 20211231 | 기타 네트워크기술 | 수중환경에서 장시간실시간 관측 및 제어를 위한 기지국 기반 수중 관측제어망 핵심기술 및 체계 구축연구- 사용주파수 : 5~50kHz 주파수(멀티밴드)- 수중기지국제어국당 수중기지국 최대수 : 3개- 수중기지국당 수중센서노드 최대수 : 64개- 동적 주파수 할당, 자원분배, 기지국간 시간동기화, 적응변조, 네트워크 운영관리 등 기능지원- 체계구성 : 수중... | - 최종 성과물인 수중 기지국 노드, 수중 센서노드, 수중 네트워크용 해상 게이트웨이, 수중 감시 네트워크용 프로토콜, 수중 감시망 통합운영 시스템을 위한 기술 및 장비의 상용화를 통한 국내 관련 산업의 활성화 및 국외 수출 산업 기반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기지국 기반의 수중 통신망 구축은 신규 해양 및 수중음향 모뎀 분야와 기타 융합기술 분야에서의 파생... | 수중기지국,수중통신망,광대역 수중통신모뎀,수중통신프로토콜,수중음향채널 | underwater basestation,underwater network,wideband underwater modem,underwater communication protocol,underwater acoustic channel | 60000000 | |
25 | 2022 | 스마트항만-자율운항선박연계기술개발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2470 | 스마트 항만-자율운항선박연계 기술개발 | 홍석근 | 아비커스 | 서울특별시 강남구 | 20210401 | 2025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최종목표]□ 자율운항선박 도선지원 및 자동계류 시스템 개발□ 스마트 해상물류 통합 프로세스 설계 기술 개발□ 영상 인식 기술 기반 선원 및 화물관리 시스템 개발□ 자율운항선박 안전 입출항 제어/관제 기술 개발□ 자율운항선박 육상 제어 시뮬레이터 개발□ 자율운항 선박의 전기추진 시스템 디지털트윈 기술개발[1차년도 목표]□ 자동계류 시스템 개념 설계□ 해상... | □ 선박의 자율계류 시스템 개발을 통해 항만계류 시 발생하는 위험을 줄이고 자율계류 시스템 분야 시장 선도□ 자율운항선박 도선지원 시스템 개발을 통해 선박과 선원의 안전성 확보□ 다양한 해상물류 정보를 통합하고 운용할 수 있는 해상물류 통합 프로세스 구축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영상인식 기반 선원 안전관리 시스템개발을 통해 선원의 안전 및 선박의 안... | 자율운항선박,스마트항만,연계기술,인공지능,스마트 해상물류 | Autonomous Ships,Smart Port,Linkage Technology,Artificial Intelligence,Smart Shipping Logistics | 100000000 | |
115 | 2022 | 노인천만시대 대비 고령친화서비스 연구개발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7109 | 비대면 서비스 디바이스 및 플랫폼의 완성 및 사업화 | Study of social Service, Devices and Data management platform for Senior people, In the uncontacted Society | 이영아 | (주)엘지유플러스 | 서울특별시 용산구 | 20210401 | 2023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개발된 건강/영양, 안전/안심, 여가/돌봄, 수면/정서 비대면 사회 서비스 컨텐츠에 적합한 디바이스, 플랫폼을 개발하여 지역사회의 취약계층인 노인에게 적용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궁극적으로는 건강/영양, 안전/안심, 여가/돌봄, 수면/정서 비대면 사회 서비스 시나리오를 표준화하여 타지역으로의 확산을 가능하... | 1. 활용계획: 노인 대상 서비스에 대한 수요자의 욕구와 자원을 반영하여 근거 기반의 만성질환, 치매, 낙상예방, 돌봄, 수면 영역별 비대면 서비스 시나리오를 표준화하여 타지역으로 확산하고자 하며, 향후 노인 대상 비대면 서비스와 관련하여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정책 수립과 국민적 이해를 구하는데 보택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2. 기술적 측면... | 비대면 서비스,디바이스,플랫폼,정보통신기술,노인 | Non face to face,device,platform,ICT,elder | 473482000 |
112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2239 | ICT 부품 미세회로용 이형동박 및 COF 제조기술개발 | Development of detachable copper foil and COF manufacturing technology for ICT component microcircuits. | 안중규 |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 전라북도 정읍시 | 20200401 | 20231231 | 집적회로기술 | [1세부] - 주관기관(KCFT) : 고생산성 전해도금 소형 pilot 적용 이형동박 제조기술 확보 - 참여기관 1(YMT) : 반도체 패기지 기판 유전층과 밀착력 향상 기술 개발 - 참여기관 2(케이피씨엠) : 상용 및 신합금(Ti-Ru-X) 전주기 제조 공정기술 - 참여기관 3(아이케이텍) : 개발 제품(소형 음극 드럼) 수요 업체 측 평가 - 참여기... | [1세부]전해도금 이형동박 샘플 개발 및 드럼 소재에 대한 개발을 통해 Pilot scale 기술 확보 할 것으로 기대함[2세부]폴리 이미드 Primer 조성물 평가 및 접합력 및 저조도 처방에 대한 샘플 특성 평가하여 관련 기술 확보하는 것을 기대함 | 저조도,초극박,고속생산,미세회로,COF | Low profile,Ultrathin foil,High speed production,Fine pitch,Chip on FlexiblePrinted | 60800000 |
42 | 2021 |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R&D)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204 | 기후변화를 대비한 IoT기반 레일 절손 및 좌굴 감지 시스템 개발 | 박성백 | 한국철도공사 | 대전광역시 동구 | 20190419 | 20211231 | 기타 정보기술 | 최종목표ㅇ 이상기온(폭염, 혹한)으로 장대레일에서 발생할 수 있는 레일변형(절손, 좌굴) 감지 불가 영역의 레일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 및 경보를 전송하여 선제적인 열차탈선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IoT 기반 레일변형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단위별목표ㅇ 레일변형 실내 현장 측정데이터 기반 모니터링 기준 정립ㅇ 철도환경에 적합한 레일변형 감지 센서 개발 및 제작ㅇ... | ㅇ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IoT 기반 철도시설물 유지보수 모니터링 기술 개발을 통한 철도시설물 유지보수 기술을 확보하고, 외산장비를 대체하고 외화절감 및 해외의존도 감소ㅇ 레일 유지보수 최적화 및 열차운행 안전성 향상에 기여ㅇ 레일 절손 및 좌굴 관련 객관적이고 지속적인 모니터링 결과 Big-Data 분석으로 철도 이상개소의 조기 탐지로 선제적 장애 예방... | 레일 절손,레일 좌굴,IoT,모니터링 시스템,센서 | Rail break,Rail buckling,Internet of things,Monitoring system,Sensor | 590000000 | |
52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289 | 대면적용 고내습 고내열성 투명 필름수지 및 QD 분산층과의 접합적층에 의한 복합필름화 기술개발 | Development of Composite Filming Technology by ConnectionLaminating with High Moisture High Heat Resistance Transparent Film Resins and QD Distributed Layers with Large Area | 최진성 | 신화인터텍(주) | 기타 기타 | 20210901 | 20241231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 주관연구개발기관 (신화인터텍) ] o 각 단위 소재 설계, 필름 복합화의 특성 평가 제막 및 공정 개발, 대면적 Pilot 설계 [ 공동연구개발기관 1 (이노큐디) ] o Binder 및 Top-coat Lab 개발, 광학 신뢰성 인자도출 o 바인더 레진, Top 코팅 레진의 투과도 변화량 및 Y.I 변화량등 신뢰성 평가 o QD 복합수... | [경제적/산업적 측면]o (대형 QLED TV 기술 개발 시급성) - 대형 TV에 대한 선호도는 지속적으로 상승해, 2020년 12월 기준으로 60인치대, 70인치대, 80인치대 제품의 판매량은 2019년 대비 각각 15.9%, 43.4%, 80% 급증. 대형 TV 수요 증가가 계속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맞춰 65 인치 이상급 QLED... | 양자점,비카드뮴,배리어 없는,캡슐,디스플레이 | QD(Quantum),noncadmium,barrier less (non barrier),capsule,display | 3208300000 |
89 | 2021 | ICT기반항만인프라스마트재해대응기술개발(R&D)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1879 | 광학영상 기반 시설 파손 판별기준 개발 | 남연호 | 부산항만공사 | 부산광역시 중구 | 20210401 | 20251231 | 기타 정보기술 | ○ 광학영상 및 해양로봇 기반 항만시설 상태평가 및 진단기술 개발 - 드론 광학영상/Lidar 이용 항만 외곽시설물 자동 변화탐지 기술 개발 - USV 및 ROV 기반 수중구조물 무인 영상조사 시스템 개발 - 수중구조물 영상조사자료 3차원 가시화 및 외관 상태평가 기술 개발 - 광학영상 기반 시설파손 판별기준 개발 - 영상 AI 분석을 통... | - 항만시설물에 특화된 구조물 상태평가 센싱 기술 및 수중조사 시스템 기술 확보 - IoT 스마트 센싱 기반 항만시설물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 수립과 디지털 데이터 확보 - 항만인프라의 실시간 모니터링, 상태평가 및 진단을 통해 재해 및 노후화 대응 선제적이고 예방적 유지관리 체계 구현 - 항만 시설물 평가 기준을 안전성 중심에서 사용성까지 확대하여 항만 운... | 스마트 모니터링,항만인프라,IoT 센서,데이터 퓨전,상태평가 | Smart monitoring,Harbor infrastructure,IoT sensor,Data fusion,Condition evaluation | 100000000 | |
71 | 2021 | 스마트컨테이너실용화기술개발(R&D)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1866 | 스마트 컨테이너 실용화 기술개발 | 남궁심 | 인천항만공사 | 인천광역시 중구 | 20210401 | 20241231 | 기타 네트워크기술 | ○ 글로벌 스마트 해상물류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물류 주체들(화주, 선사, 터미널 등)의 컨테이너 화물에 대한 실시간 상태 정보(온도, 습도, 충격, 문 개폐 등) 및 위치 추적에 대한 정보 획득을 위한 기술이 지속적으로 요구됨 ○ 국내외 기업들이 ICT 기술을 접목한 탈부착 방식의 장비를 사용하여 컨테이너 화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나 이는 과도기... | □ 활용방안 ○ 화주 - 운송중인 화물의 실시간 위치와 상태 정보에 기반한 신속하고 효과적인 비즈니스 의사 결정에 활용 ○ 선사 - 위험 화물의 실시간 위치 추적과 지오펜싱을 적용하여 사고예방과 안전수송에 활용 - 해상에서 선박 내 냉동컨테이너의 모니터링 및 관제업무 자동화 가능 - 화물 파손 시 정확한 파손 원인을 추적하여 화물 ... | 스마트컨테이너,스마트유닛,스마트해운물류,서비스플랫폼,스마트센서노드 | Smart container,Smart unit,Smart shipping logistics,Service platform,Smart sensor node | 60000000 | |
48 | 2022 | 해운-항만-운송기업 간 물류연계 최적화서비스 개발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3140 | 해상-항만-육상 물류 최적화 서비스 기술 개발 | 김민호 | 인천항만공사 | 인천광역시 중구 | 20220401 | 2025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최종목표) 수출입 물류 생산성 및 안전성 극대화를 위하여 서비스 플랫폼 구축에 필요한 해상-항만-내륙 물류 최적화 서비스 기술 개발(1단계) 해상-항만-내륙 물류 최적화 서비스 기술 개발을 위한 신규 서비스 목록 도출 및 서비스 플랫폼 설계 - 선박운항-항만운영-내륙운송 연계를 통한 요구사항 분석 및 서비스 목록 도출 - 물류서비스 제공 및 모니터링을... | ○ 기술적 측면 - (항만 운영 최적화 서비스) 항만 운영 최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해상-항만-육상 연계 운영 최적화 서비스를 개발 보급함으로써 항만 내 주체뿐만 아니라 연계된 모든 주체를 통합적으로 최적화하여 생산성의 Win-Win을 달성 - (해상-항만-육상 연계 서비스 프레임워크) 기구축된 항만물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상-항만-육상... | 항만물류,연계서비스,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인공지능,최적화 | Maritime Logistics,Chained Service,Microservice Architecture,Artificial Intelligence,Optimization | 40000000 | |
62 | 2021 | 감염우려의료폐기물처리기술개발(R&D) | 환경부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1485018014 | 고위험 의료환경내 감염위험 의료폐기물의 자율주행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자동화 스마트 처리 기술개발 | Development of Non-face-to-face Automation Smart Treatment Technology Using Self-driving Robots of Medical Wastes Development of Non-face-to-face Automation Smart Treatment Technology Using Self-drivi... | 이민하 | LG전자주식회사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 20210401 | 20241231 | 기타 정보기술 | 1) 감염우려가 높은 의료 폐기물을 무인화 할수 있는 비대면 처리기술 서비스 개발2) 비대면 의료 폐기물 처리를 할 수 있는 로봇제품 개발 및 대응 - 완전 자율주행 로봇 개발(맵핑, 장애물 회피 및 충돌방지, Path Planning) - 엘레베이터, 자동문 출입 기능 구현 - 수거, 하역 위치 관리 - 다중로봇 제어 및 관리(스케쥴링,... | 1) 감염우려가 매우큰 의료폐기물 수거, 하역 완전 자동화로 해당 노동인력 보호하고 본연의 업무에 효율성 확보 - 로봇에 의한 안전한 이송 및 음압적재함, 내부 소독장치(UV-C, 살균액 분사)등으로 안정성 증대2) 스마트 병원 인프라 확보에 따른 국민안전 확보(한국형 뉴딜정책 인프라 확보) - 의료인 로봇 보조를 통한 의료활동의 핵심활동 집중 및 ... | 로봇무인화, 안전자율자행로봇, 비대면처리기술, 스마트병원, 국민보건안전 | Unmmaned Robot Technology, Autonmose Self-driving Robot, Untact medical waste treat, Public hygiene | 450000000 |
97 | 2021 | 조선해양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496 | 인공위성통신과 3D가시화 기술을 이용한 LNG선 성능 및 운항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A development of LNG carrier performance and operational safty monitoring system using satellite commucation and 3D visualization tehcnology | 김인일 | 대우조선해양(주) | 기타 기타 | 20180901 | 20220228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1) 플랫폼, 기자재상태진단모듈, 3D가시화, 실증 [대우조선해양, 현대해양서비스] - 선내 기자재 상태진단 알고리즘 공인인증 - 육상모니터링 센터 구축2) 선외 안전진단 시스템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지디엘시스템, 서울대학교] - 선박충돌위험도 추정 시험결과 분석 보고서 - 선외안전진단시스템 공인인증서 - 영상기반 선외물체 탐지 성능 시험결과 보... | 4차년도 개발을 통해 각 항목별 개발된 모듈 및 전체 모니터링 시스템의 실선 환경에서의 검증 작업이 진행된다.검증 작업을 통해 개발된 최종 시스템의 성능 검증 / 사업화 방안이 확정되고 각 기관별로 역할에 맞추어 사업화가 진행된다.과제 완료 이후부터 각 모듈별로 순차적으로 사업화 진행 및 유형효과가 발생한다.1) 플랫폼, 기자재상태진단모듈, 3D가시화, 실... | 인공위성통신,3D 가시화,기자재 상태분석,충돌감지,LNG선 | satellite communication,3D Visualization,Equipment Condition Monitoring,Collision Awareness,LNG Carrier | 797000000 |
44 | 2022 | 데이터과학기반차세대비파괴검사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4744 | 데이터과학기반 비파괴검사 현장적용기술개발 | Development of Data Science-based Nondestructive Testing Field Application technology | 이동진 | 두산중공업(주) | 경상남도 창원시 | 20210611 | 20260228 | 정보검색 및 DB기술 | 현장결함 NDT데이터 생산/수집 기술 개발 및 현장적용성 연구 1. 현장결함 비파괴검사 (UT, PAUT, RT, ECT) 데이터 생성 및 수집 2. 데이터 기반 검사 솔루션 개발을 위한 현장 적용성 연구 및 기술개발 | - 비파괴검사 환경에 따른 판독 오류가 발생을 방지하고 인공지능을 활용한 데이터 기반의 객관적인 기준에 의한 일관성 있는 평가 요구와 현장 환경이 반영된 양질의 비파괴검사 데이터 인프라는 신뢰성이 있는 지능형 검사 솔루션을 개발하는데 핵심적으로 활용.- 비파괴검사 지능형 솔루션은 현장 데이터 확보의 어려움으로 연구소 단위의 case study 형식으로 진행... | 비파괴검사,데이터과학,현장결함,참조표준데이터,데이터 인프라,비파괴검사 솔루션,증강,학습모델 | Nondestructive,Data sicence,Site specific flaw,Standard Reference data,Data infra,NDT solution,Augmentation,Learning model | 503334000 |
79 | 2021 | 혁신성장동력프로젝트(R&D)(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1794 | 리빙랩 혁신모델 기반 개방형 데이터 허브 플랫폼 구축 및 검증 | 김경훈 | (주)케이티 | 경기도 성남시 | 20180928 | 2022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도시구역(시흥시 실증 대상)에서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대규모 데이터의 실시간 수집 및 내·외부 오픈 데이터와의 상호운용성을 기반으로 생활밀착형 서비스에 대한 시민과 공동체의 참여를 통해 리빙랩 형태의 환경, 에너지, 생활복지 등의 서비스 개발 및 비즈니스 창출을 위한 디지털 마켓플레이서 형태의 개방형 데이터허브 플랫폼 구축 스마트시티 서비스에 대하여, 지자체... | ㅇ개방형 데이터 허브 플랫폼 표준 설계를 통한 스마트시티 시스템 분야 선도ㅇ데이터 수집/전처리 미들웨어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 및 확산ㅇ오픈소스 기반 개방형 데이터 구축을 통한 글로벌 기술 경쟁력 확보 | 스마트시티,데이터허브,개방형 데이터,리빙랩,비즈니스모델 | Smart City,Data hub,Open Data,Living Lab,Business Model | 3896630000 | |
2 | 2022 | 스마트항만-자율운항선박연계기술개발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2423 | 스마트 항만-자율운항선박연계 기술개발 | 차지혜 | 삼성중공업(주)거제조선소 | 경상남도 거제시 | 20210420 | 2024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최종목표]□ 자율운항선박 도선지원 및 자동계류 시스템 개발□ 스마트 해상물류 통합 프로세스 설계 기술 개발□ 영상 인식 기술 기반 선원 및 화물관리 시스템 개발□ 자율운항선박 안전 입출항 제어/관제 기술 개발□ 자율운항선박 육상 제어 시뮬레이터 개발□ 자율운항 선박의 전기추진 시스템 디지털트윈 기술개발[1차년도 목표]□ 자동계류 시스템 개념 설계□ 해상... | □ 선박의 자율계류 시스템 개발을 통해 항만계류 시 발생하는 위험을 줄이고 자율계류 시스템 분야 시장 선도□ 자율운항선박 도선지원 시스템 개발을 통해 선박과 선원의 안전성 확보□ 다양한 해상물류 정보를 통합하고 운용할 수 있는 해상물류 통합 프로세스 구축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영상인식 기반 선원 안전관리 시스템개발을 통해 선원의 안전 및 선박의 안... | 자율운항선박,스마트항만,연계기술,인공지능,스마트 해상물류 | Autonomous Ships,Smart Port,Linkage Technology,Artificial Intelligence,Smart Shipping Logistics | 200000000 | |
75 | 2021 | 자율운항선박기술개발사업(R&D)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1351 | 자율운항시스템 제품화 기능 검증 지원 (2) | 김대혁 | 아비커스 | 서울특별시 강남구 | 20200427 | 2025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지능형 항로 의사결정 기능을 갖는 자율운항 시스템 개발 ○ 지능형 항로 의사결정 솔루션(S/W) 1식 ○ 고신뢰도 경로 추종제어 솔루션(S/W) 1식 ○ 자동 이/접안 알고리즘(S/W) 1식 ○ 경제운항 최적항로 설정 솔루션(S/W) 1식 ○ 자율운항/경제운항 공통 서비스 플랫폼[(H/W)+(S/W)] 1식□ 자율운항선박(Ship2Ship2Shore) ... | □ 국내외 건조되는 자율운항선박에 활용하여 미래 조선산업 시장에서 한국형 자율운항선박 기자재 기술 및 플랫폼 기술의 우위 유지에 활용□ 능동형 해상 자율운항/경제운항 시스템으로 고도화 및 확대 적용□ 최적 항로와 더불어 선사별 운항 전략을 적용한 항로 계획 기술을 개발하여 다양한 최적 항로 안을 제안함으로써 자율운항선박에 적용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자율성을... | 자율운항선박,자율운항 통합 플랫폼,해상업무용 디지털통신,사이버보안,원격제어시스템 |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Autonomous navigation platform,VDES,Cyber security,Remote control system | 381800000 | |
4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875 | 형태가변 중대형 디스플레이용 내충격 강화 커버윈도우 모듈 및 제품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impact enhancing cover window and module for large sized form factor free display | 정학기 | 코오롱중앙기술원 | 서울특별시 강서구 | 20210901 | 20241231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2차년도 목표] - 복원율 ≥ 70%, Dent ≥ 3B, 연필경도 ≥ 4H, Dynamic Folding Crease 부위 광특성평가 원인 분석, Static rollability 원인 분석, Dynamic rollability 원인 분석, 내광성 ≤ 3.5, 투과율 ≥ 90%, Y.I. ≤ 2.0, Haze ≤ 1.0 | ㅇ 표면강도 및 수직눌림 저항특성을 개선한 신규 CPI 수지 중합 및 필름 제조 기술 확보ㅇ 내충격강화 커버윈도우 개발하여 미래 중 대형 디스플레이 시장의 핵심소재로 활용ㅇ 폴더블/롤러블폰/중대형 디스플레이 커버윈도우용으로 활용 가능ㅇ 고경도·고투명 물성 갖는 무색 투명PI 필름 신규 적용 분야 창출ㅇ 국내·외 세트메이커로 무색 투명PI 필름 판매 및 수출... | 투명 폴리이미드,플렉시블 디스플레이,내눌림성,표면 경도,내스크래치 | Colorless Polyimide,Flexible Display,Compression resistance,Surface hardness,Anti Scratch | 40000000 |
10 | 2022 | 자율협력주행기반 화물이송시스템 개발 및 실증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3118 | 자율협력주행기반 화물운송시스템 개발 및 실증 | 이원홍 | 인천항만공사 | 인천광역시 중구 | 20220401 | 2024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항만 내 물류 이송의 운용 프로세스의 효율성 및 안전성 증가를 위하여 항만 인프라를 자동화, 디지털화, 연계화하여 항만 내 최적화 운행이 가능하게 하는 자율협력주행 화물 이송장비 야드트랙터 (CAYT : Connected and Autonomous Yard Tractor) 및 지원 시스템■ 한국형 자율협력주행 화물이송장비(Level 4 수준) 및 운영시... | - 기술적 측면■ 항만 환경 자율협력주행 분야에 대한 핵심 기술 선도■ 자율협력주행 기반의 야드트랙터 국산화 및 수입 대체■ 항만 내에서의 차세대 스마트 항만 및 자율주행 관련 신기술 개발을 통한 국가 경쟁력 확보■ 내륙 자율주행과의 연계를 통한 국가물류공급망의 연속성 확보■ 항만 내 환경에 특성화된 디지털 보안 사고 대책 마련■ 자동차-인프라-ICT 간 ... | 자율협력주행,자율주행,화물운송시스템,야드트랙터,관제시스템 | Connected and Autonomous Yard Tractor,Autonomous driving,Cargo transportation system,Yard Tractor,Fleet Management System | 100000000 | |
108 | 2021 |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설계)(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26349 | 2,000 TFLOPS급 서버 인공지능 딥러닝 프로세서 및 모듈 개발 | Development of AI Deep-Learning Processor and Module for 2,000 TFLOPS Server | 정무경 | 에스케이텔레콤(주) | 서울특별시 중구 | 20200401 | 20271231 | 집적회로기술 | (총괄과제)분산컴퓨팅및다중인공지능응용동작이가능한인공지능프로세서기반2PFLOPS급데이터중심서버향고성능인공지능컴퓨팅플랫폼ㅇ서버향인공지능학습프로세서칩3개(1차,2차,3차):세부과제결과물의통합칩ㅇ서버향인공지능추론프로세서칩3개(1차,2차,3차):세부과제결과물의통합칩ㅇ서버향인공지능프로세서... | ㅇ 세부과제 결과물 사업화 전략- (인공지능 프로세서) 주관기관인 SK텔레콤이 결과물인 인공지능 프로세서 기술을 자사 서비스에 활용 (Network AI서비스, NUGU AI스피커, ADT캡스 보안 등)- (인공지능 프로세서 플랫폼) 공동연구기관인 에이직랜드가 결과물인 인공지능 프로세서 플랫폼 오픈, 기술지원, ASIC 구현 사업화 수행- (인공지능(딥러닝... | 고성능 컴퓨팅,기계 학습,데이터센터,인공신경망 프로세서,인공지능 프로세서 | AI Processor,Datacenter,High Performance Computing,Machine Learning,Neural Processing Unit | 4874560000 |
100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936 | 디스플레이용 EQE 20%급 인광 및 TADF 도펀트의 AI 기반 개발 | Development of phosphorescent TADF dopant with EQE 20% using AI platform | 김옥희 | 에스케이머티리얼즈제이엔씨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41231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ㅇ AI 설계 정합성 ≥0.6ㅇ 중심파장 G/B 525/465±10nm)ㅇ 반치폭 G/B ≤60/60ㅇ EQE G/B ≥16/10 [에스케이머티리얼즈제이엔씨]청색 TADF 소자 EQE ≥10%청색 TADF 소자 1차 최적화 및 개발 재료 평가녹색 인광 소자 EQE ≥16%녹색 인광 소자 1차 최적화 및 개발 재료 평가[유니플러스]청색 TADF 재료 발... | - 학습강화 AI 설계법 활용을 통한 소재개발 가속화 체제 구축- 인광 도펀트의 신규 IP들 확보로 해외 의존도 감소- TADF 도펀트 : 인광재료 대비 Cost 저감, Blue 고효율화 가능성 확보- 차세대 OLED 발광재료 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 효율, 수명이 높지 않은 청색 형광 재료 교체를 통한 원천 소재 물질 확보. 이 경우, 소재 국산화가... | 디스플레이,유기전계발광소자,인공지능,발광재료,도펀트 | Display,OLED,AI,Emitting material,Dopant | 1678400000 |
113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555 | 형태 가변 중대형 디스플레이용 커버윈도우 가공 및 제품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impactenhancing cover window for large sized formfactor free | 양필례 | 코오롱중앙기술원 | 기타 기타 | 20210901 | 20241231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주관연구개발기관(코오롱중앙기술원)] o 연구 계획 수립 및 자료 조사 o 원료 구조별 기초 물성 평가 o 제품 목표 물성별 원료, 구조 영향인자 확인 [공동연구개발기관1(주식회사위너스켐)] o 형태가변 중대형 디스플레이용 커버윈도우의 충격흡수층을 형성하기 위한 광경화형 코팅수지의 분자구조 설계 및 합성 [공동연구개발... | [과학 기술적 측면] o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 적용로 연속생산(R2R) 가능으로 생산성 극대화 o 現 적용 중인 유리 소재 커버 윈도우의 단점인 깨짐성 내충격성 확보 o 형태 가변(폴더블, 롤러블 등) 및 터치펜 적용 가능한 커버 윈도우 소재 확보 [경제적 산업적 측면] o 신규 소재 및 구조를 통한 시장 창출 o 다양한 폼팩터 적용 가능으로 ... | 커버윈도우,내충격,복원율,신뢰성,말림성 | Cover window,Impact resistance,Recovery rate,Reliability,Rollability | 414530000 |
21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377 | 화학강화용 용융유리 제조 및 두께 50 um급 초박형 유리 원장 개발 | Manufacturing of molten glass for chemical strengthening and development of 50 um ultra thin glass | 김진용 | 주식회사 케이씨씨글라스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41231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개발목표] 1) 초박형 유리조성 검증 : 2차 후보조성 선정 - 화학강화 및 강화특성 평가 2) 초박형 강화유리 양산 공정기술 개발 : 20cm급 시제품 - 시제품 제조설비 제작 / 시운전 - 제조설비 1차 Upgrade 검토 / 설계 - 제어인자 기초 Data 확보 3) 초박형 유리평가기술 개발 - 초박형 유리 벤치마킹 : 유리성형관련... | [기대효과] 1) 박형화 공정에 적합한 유리조성 개선 및 광학유리급 용융유리 제조 - 2차 후보조성 선정 - 화학강화 및 강화특성 평가 2) 해당 용융유리를 대상으로 대면적 박형화 양산 공정기술 개발 - 시제품 제조설비 제작 / 시운전 - 제조설비 1차 Upgrade 검토 / 설계 - 제어인자 기초 Data 확보 - 20cm급 시제품... | 유리조성,초박형 유리,용융유리,화학강화,커버 유리 | Glass Composition,Ultra Thin Glass,Molten Glass,Chemical Strengthening,Cover Glass | 2647500000 |
76 | 2021 | 자율운항선박기술개발사업(R&D)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1145 | 자율운항시스템 제품화 기능 검증 지원 (1) | 홍삼권 | 삼성중공업(주)거제조선소 | 경상남도 거제시 | 20200427 | 2025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지능형 항로 의사결정 기능을 갖는 자율운항 시스템 개발 ○ 지능형 항로 의사결정 솔루션(S/W) 1식 ○ 고신뢰도 경로 추종제어 솔루션(S/W) 1식 ○ 자동 이/접안 알고리즘(S/W) 1식 ○ 경제운항 최적항로 설정 솔루션(S/W) 1식 ○ 자율운항/경제운항 공통 서비스 플랫폼[(H/W)+(S/W)] 1식□ 자율운항선박(Ship2Ship2Shore) ... | □ 국내외 건조되는 자율운항선박에 활용하여 미래 조선산업 시장에서 한국형 자율운항선박 기자재 기술 및 플랫폼 기술의 우위 유지에 활용□ 능동형 해상 자율운항/경제운항 시스템으로 고도화 및 확대 적용□ 최적 항로와 더불어 선사별 운항 전략을 적용한 항로 계획 기술을 개발하여 다양한 최적 항로 안을 제안함으로써 자율운항선박에 적용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자율성을... | 자율운항선박,자율운항 통합 플랫폼,해상업무용 디지털통신,사이버보안,원격제어시스템 |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Autonomous navigation platform,VDES,Cyber security,Remote control system | 381800000 | |
105 | 2021 |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133 | 스트레처블 패널 제품화를 위한 20% 이상 연신 가능한 12급 연신 패널 및 모듈 공정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12inch panel (20% stretch) and module process technology for massproduction of stretchable display | 박찬일 | 엘지디스플레이(주)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41231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요소 기술의 패널 Integration 및 장비 개발 1) 패널 - 설계/공정 : 요소 기술의 패널 Integration 평가 및 표준 Process 정립 - TFT : 다양한 외부인자(Biaxial, 고온/고습 등) 모사를 통한 TFT 평가 시스템 확장 - 분석 : 연신 픽셀 화소(모노) Strain 해석 연구 및 연신 최적 화소 구조 ... | 2차년도 개발을 통해 스트레처블 패널의 요소 기술을 Integration 하여 패널이 정상 점등하는지 여부를 검증함. 이를 통해서 3차년도 모노 패널 개발의 사전 연구 수행에 의미를 가짐. 또한 미래 기술로서 마이크로 LED의 향후 개발 방향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개발 Infra 구축 관점에서 2년차에는 1차년도에 도출된 장비의 컨셉 을 구... |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연신 PCB,연신 기판,마이크로 LED,스트레처블 백플레인 | Stretchable Display,Stretchable PCB,Stretchable Substrate,Micro LED,Stretchable Backplane | 2396800000 |
19 | 2022 |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7993 | LV4 자율주행 아키텍처 기반 컴퓨팅 플랫폼 상용화 기술개발 | Commercialization Technology Development of Autonomous Computing Platform based LV4 Autonomous architecture | 이승용 | 현대모비스(주) | 서울특별시 강남구 | 20210401 | 20251231 | 기타 정보기술 | [2차년도 목표]ㅇ 개별 세부과제별 요구사항을 반영한 Lv.4 시스템 설계를 위한 Centralized 자율주행 E/E 아키텍처 설계 - 기존 자율주행 E/E 아키텍처와 Centralized 자율주행 E/E 아키텍처를 비교하여 추가되어야하는 내용 파악 및 내구성 평가에 대한 검증 | ㅇ 국내 관련분야 연구진이 활용할 수 있도록 컴퓨팅플랫폼에 대한 요구사양서와 평가절차서 등의 성과물을 공유 - Centralized 자율주행 E/E 아키텍처에 대해 대학 대학원생 대상으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실습 자료로 지원이 가능 - 미래차 분야에 진입하려는 국내 중소 중견기업의 연구진에 국내 생태계 환경 이해 및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이 ... | 모빌리티,자율주행,인공지능,컴퓨팅플랫폼,신뢰성 | Mobility,Autonomous Driving,Artifitial Intelligence,Computing Platform,Reliability | 200000000 |
74 | 2021 | 스마트항만-자율운항선박연계기술개발(R&D)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1771 | 스마트 항만-자율운항선박연계 기술개발 | 안성순 | 울산항만공사 | 울산광역시 남구 | 20210401 | 2025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최종목표]□ 자율운항선박 도선지원 및 자동계류 시스템 개발□ 스마트 해상물류 통합 프로세스 설계 기술 개발□ 영상 인식 기술 기반 선원 및 화물관리 시스템 개발□ 자율운항선박 안전 입출항 제어/관제 기술 개발□ 자율운항선박 육상 제어 시뮬레이터 개발□ 자율운항 선박의 전기추진 시스템 디지털트윈 기술개발[1차년도 목표]□ 자동계류 시스템 개념 설계□ 해상... | □ 선박의 자율계류 시스템 개발을 통해 항만계류 시 발생하는 위험을 줄이고 자율계류 시스템 분야 시장 선도□ 자율운항선박 도선지원 시스템 개발을 통해 선박과 선원의 안전성 확보□ 다양한 해상물류 정보를 통합하고 운용할 수 있는 해상물류 통합 프로세스 구축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영상인식 기반 선원 안전관리 시스템개발을 통해 선원의 안전 및 선박의 안... | 자율운항선박,스마트항만,연계기술,인공지능,스마트 해상물류 | Autonomous Ships,Smart Port,Linkage Technology,Artificial Intelligence,Smart Shipping Logistics | 100000000 | |
72 | 2021 | 철도기술연구사업(R&D)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1826 | 실시간 시뮬레이터 활용기술 개발 | 이병곤 | 한국철도공사 | 대전광역시 동구 | 20180401 | 20220930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전기철도 구간의 전기사고 발생 시 나타나는 현상을 실제 환경과 유사하게 모의하여 전기적 현상 검증과 사고 원인을 분석할 수 있고, 신규 급전시스템 구축시 적정 용량의 사전 산정을 통한 건설비 절감이 가능한 전기철도 모의 시스템 개발 - 실시간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응용기술 개발 * 보호설비(보호계전기, 고장점표정장치) 검증기술 개발 * ... | ○ 기술적 측면 - 고장점 표정방식에 따른 표정특성 파악 및 고장점표정능력 향상 - 계통 연계 제어기 검증 기능을 활용한 신 설비 개발 시 기여 - 전력품질 현상 재현 및 개선을 위한 신 설비 연구 능력 배양 - 신규 도입설비 및 기존 운영 중인 주요 기기들의 성능검증을 통한 설비운용의 안전성 확보 - 전기철도 급전 사고장애 분석·해석 장치... | 전기철도,시뮬레이터,보호시스템,급전시스템,급전사고 | Electric railway,Simulator,Protection System,Feed system,Feeding accident | 3044400000 | |
91 | 2021 | ICT융합산업혁신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26152 | 실외 무인 경비 로봇을 위한 멀티모달 지능형 정보분석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multimodal sensor-based intelligent systems for outdoor surveillance robots | 백승민 | 엘지전자(주)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 20170401 | 2021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o 실외 무인 경비 로봇의 동적 감시환경에 대한 능동적 학습과 지능형 인지를 위한 멀티모달 데이터 기반 객체검출,정보융합, 상황 인지 기술 및 이를 활용하기 위한 멀티에이전트 기반 지능형 정보분석 플랫폼을 개발하고자 함 - 멀티모달 센서 기반 객체검출/추적 및 확률적 환경지도 기반 지능형 환경인식 기술 · 환경에 강인한 세계 최고수준의 객... | o 환경에 강인한 배경분리, 객체검출, 객체추적, 행동패턴 분류기술은 실내외를 주행하는 자율이동체 (로봇, 자동차, 드론 등)에 적용되는 핵심 기술로 험지탐사, 실외 경비 등에 활용 될 수 있음. 또한 자율주행 자동차 및 일반 감시카메라에도 적용 가능함 o 환경지도 기반 동적/정적 이상상황 검출 기술은 감시장소에 특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공공장소,... | 객체탐지추적,멀티에이전트 운용,무인 경비로봇,지능형 상황검출,클라우드 기반 딥러닝 기술 | cloud-based deep learning,intelligent situation detection,multi-agent operation,object detection & tracking,unmanned security robot | 2202000000 |
104 | 2021 | 노인천만시대대비고령친화서비스연구개발(R&D)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3807 | 비대면 서비스 디바이스 및 플랫폼의 완성 및 사업화 | Study of social Service, Devices and Data management platform for Senior people, In the uncontacted Society | 이영아 | 엘지유플러스 | 서울특별시 용산구 | 20210401 | 2023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개발된 건강/영양, 안전/안심, 여가/돌봄, 수면/정서 비대면 사회 서비스 컨텐츠에 적합한 디바이스, 플랫폼을 개발하여 지역사회의 취약계층인 노인에게 적용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궁극적으로는 건강/영양, 안전/안심, 여가/돌봄, 수면/정서 비대면 사회 서비스 시나리오를 표준화하여 타지역으로의 확산을 가능하... | 1. 활용계획: 노인 대상 서비스에 대한 수요자의 욕구와 자원을 반영하여 근거 기반의 만성질환, 치매, 낙상예방, 돌봄, 수면 영역별 비대면 서비스 시나리오를 표준화하여 타지역으로 확산하고자 하며, 향후 노인 대상 비대면 서비스와 관련하여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정책 수립과 국민적 이해를 구하는데 보택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2. 기술적 측면... | 비대면 서비스,디바이스,플랫폼,정보통신기술,노인 | Non face to face,device,platform,ICT,elder | 375000000 |
101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901 | 화학강화용 용융유리 제조 및 두께 50 um급 초박형 유리 원장 개발 | Manufacturing of molten glass for chemical strengthening and development of 50 um ultra thin glass | 김진용 | 주식회사 케이씨씨글라스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41231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개발목표] 1) 초박형 유리조성 검증 : 1차 후보조성 선정 - 화학강화 및 강화특성 평가 - 유리조성 검증용 샘플 제조 2) 초박형 강화유리 양산 공정기술 개발 - 설비 / 공정기술 자료조사 - 초박형 강화유리 시제품 제조설비 설계 / 백금 Slot Bushing 구축 3) 초박형 유리평가기술 개발 - 유리 기본 물성 평가 - 초박... | [기대효과] 1) 박형화 공정에 적합한 유리조성 개선 및 광학유리급 용융유리 제조 - 1차 후보조성 선정 - 화학강화 및 강화특성 평가 2) 해당 용융유리를 대상으로 대면적 박형화 양산 공정기술 개발 - 시제품 생산을 위한 제조설비 설계 완료 - 공정기술 개발을 위한 제어인자 도출 ... | 유리조성,초박형 유리,용융유리,화학강화,커버 유리 | Glass Composition,Ultra Thin Glass,Molten Glass,Chemical Strengthening,Cover Glass | 2200000000 |
37 | 2022 | 철도기술연구사업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838 | 고속철도차량 De-icing 시스템 개발 | 윤차중 | 한국철도공사 | 대전광역시 중구 | 20180423 | 20221231 | 기타 정보기술 | [1세부과제] 고속철도차량 De-icing 시스템 개발○ 세부 성능 목표 1) 대차 측면/하부 해빙시스템 (고효율 De-icing 시스템) ㆍ 운영방식 : 이동정차 구간별 단속 해빙 * 20량/1시간 (1편성당 대차 최대치 23개/12회 ≒ 대차 2개/회당 결빙제거) * 결빙제거 시간(36∼48분) : 1회 설빙제거시 x 대차 2개 x 대차당... | [1세부과제] 고속철도차량 De-icing 시스템 개발 1) 기술적 측면○ 착설감지 기술 신뢰성 있는 착설에 대한 감지를 개발함으로서, 향후 기술의 확장성을 통해 타 산업분야 혹은 장비에 사용할 수 있도록 모듈화 및 안정성을 확보함.○ 친환경 제빙액 기술친환경 제빙액을 개발하여, 현재 시스템에 적용하고, 항공분야 등 타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기술을 확보하... | 방빙,해빙,해빙액,분기부 방빙,해빙장치 | Anti-icing,De-icing ,De-icing Fluid,anti-icing system for Train line branching part,De-icing system | 1192641000 | |
7 | 2022 |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52653 | 클라우드 기반 융합형 자율주행 지능학습 데이터 생성/제공을 위한 데이터 수집 가공 핵심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Cloud-Native Key Technologies to Collect and Provide Integrated Training Dataset for Autonomous Driving System | 홍승환 | (주)카카오모빌리티 | 경기도 성남시 | 20210401 | 20241231 | 기타 정보기술 | o 연구개발목표 - Lv.4 자율주행 구현을 위해 차량 및 엣지-인프라로부터 상시 업데이트되는 다중센서 데이터 및 광역정보들의 수집/가공/공유를 위한 전방위 자율주행 데이터 전처리 핵심 기술 및 클리우드 기반 관리/배포 프레임워크 개발 - 차량 및 엣지-인프라를 기반으로 수집되는 데이터를 가공/공유하기 위한 표준화 데이터 체계 정의 및 표준품질 측정체계... | o 차량, 엣지-인프라, 지능학습 연계 통합데이터 생성 기술 - 표준화된 데이터 분류 체계 및 구조를 통해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생산하여, 자율주행 인공지능 모델과 SW들의 생산성과 성능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 - 자율주행 데이터들의 표준화를 통해서 자율주행차의 신뢰성, 안정성 확보에 기여 - 국내외 표준 현황을 반영하고 표준제정 추진을 통해 데이터 간... | 데이터 관리,인공지능,인공지능 학습데이터,자율주행,클라우드 데이터 플랫폼 | Artificial Intelligence,Artificial Intelligence Training Data,Autonomous Driving,Cloud Data Platform,Data Management | 1917144000 |
판매제공처 홈페이지 | hellodd.com | 라이선스 |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
---|---|---|---|
판매 담당자 | 대덕넷 | 권한 | HelloDD |
연락처 | 070-4171-3524 | 접근 권한 | public |
이메일 | sungmin8497@hellodd.com | 상품 구분 | dataset |
품질측정 검사 | 품질측정기간 | ~ | |
---|---|---|---|
품질측정기관 | 대덕넷 | 품질측정연락정보 | 0428615005 |
품질측정결과 | 품질측정내용 |
현재 준비중입니다.
10047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황금1로 122,김포제조융합혁신센터 3층 한국산업기술시험원 ㅣ 사업자번호 : 113-82-06228 ㅣ 대표자명 : 김세종 ㅣ TEL: 02-860-1059 ㅣ E-mail: bigdata.dx@ktl.re.kr
Copyright ⓒ 2021 KOREA ENTERPRISE DAT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