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협의 상품 및 유료상품의 구매를 원하실 경우 맞춤형 데이터 신청란에 글을 남겨주시면
신속히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데이터셋명 | IT분야대학별과제데이터 | 데이터 유형 | csv |
---|---|---|---|
데이터 분야 | 과학기술 | 구축 데이터량 | 29.00 MB |
구축기관 | 대덕넷 | 데이터 갱신 일자 | 2022-08-29 |
데이터 개방 일자 | 2022-10-27 | 데이터 이용 기한 | 무기한 |
데이터 갱신 주기 | - | 버전 | - |
주요 키워드 | IT, 과학기술, 정부과제, 대학, 데이터 | ||
벨류체인 키워드 | 기술획득 | ||
소개 | 과학기술 IT(Information Technology) 분야 대학별 정부 R&D 과제 데이터입니다. |
국내 IT 분야 대학별 과제 데이터 상품설명서
□ 상품설명
○ 국내 IT 분야 대학별 과제 데이터 상품은?
· 2021년~2022년 기준 국내 IT 분야 대학별 과제 데이터입니다. 국내 대학에서 진행한 국내 IT 분야 과제의 세부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IT 분야는 전기, 전자, 컴퓨터, 정보통신공학 전공자들이 해당됩니다. IT분야는 하드웨어 제작부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플랫폼 등등 모두 해당하는 분야입니다. IT산업은 4차 산업과도 직접적으로 연결됩니다.
○ 데이터 주요 키워드
· #IT #정보통신기술 #과학기술 #과제데이터 #대학
○ 데이터 활용 및 이용 권장 고객
· IT 분야 국내 대학 과제 데이터를 활용(공유)하고자 하는 기업인
· IT 분야 과제 데이터를 활용해 융합연구를 위한 공공·민간 연구자
· 학술 연구를 위한 이공계 대학생·대학원생
□ 데이터 활용 방안
○ 국내 IT 분야 대학별 과제 데이터 상품 활용 방안은?
· 6T 기술분류(IT, BT, NT, ET, ST, CT)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이 IT 분야입니다. 국내 기업부터 글로벌 기업까지 대부분 IT 분야에 속한 거대 공룡 기업들입니다. IT 기술이 BT, NT, ET, ST, CT에도 녹아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IT 분야 대학 과제 데이터를 활용해 기술의 부가가치 제고 및 사회·경제적 파급 효과를 창출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셋의 구성
○ 데이터셋의 구성
· 국내 IT 분야 대학별 과제 데이터는 총 N개의 데이터로 구성돼 있습니다.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인 NTIS(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의 데이터에 기반합니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연구하고 있는 과학기술을 비롯하여 각종 연구개발사업과 관련된 과제, 인력, 연구시설·장비, 성과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 연구개발(R&D) 지식포털입니다.
데이터 구분 | 데이터 요약 | 제공 방식 |
국내 IT 분야 대학별 과제 데이터 | - 국내 대학에서 수행한 IT 분야 과제 세부 내역 - 연구수행주체 및 수행기관 - 6T분류 및 과학기술표준 분류 코드 | - csv/zip |
□ 데이터셋의 구조
○ 데이터셋의 구조
No. | 칼럼명 | 데이터 타입 | 칼럼설명 |
1 | 일련번호 | VARCHAR(14) | 일련번호 |
2 | 기준년도 | VARCHAR(4) | 기준연도 (Ex. 2020) |
3 | 사업명 | VARCHAR(1000) | 사업명 |
4 | 부처명 | VARCHAR(500) | 부처명 |
5 | 과제관리기관명 | VARCHAR(300) | 과제관리기관명 |
6 | 과제고유번호 | VARCHAR(100) | 과제고유번호 (총 10자리 숫자) |
7 | 국문과제명 | VARCHAR(500) | 과제명(국문) |
8 | 영문과제명 | VARCHAR(500) | 과제명(영문) |
9 | 연구책임자명 | VARCHAR(20) | 연구책임자명 |
10 | 과제수행기관명 | VARCHAR(500) | 과제수행기관명 |
11 | 지역구분내용 | VARCHAR(20) | 지역구분 (ex.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12 | 총연구기간시작일 | VARCHAR(8) | 총연구기간시작일 (Ex. 20220718) |
13 | 총연구기간종료일 | VARCHAR(8) | 총연구기간종료일 (Ex. 20220718) |
14 | 6T관련기술분류내용 | VARCHAR(500) | 6T관련기술분류 (Ex.4세대 이동통신) |
15 | 연구목표요약 | VARCHAR(1000) | 연구목표요약 |
16 | 기대효과요약 | VARCHAR(1000) | 기대효과요약 |
17 | 한글키워드 | VARCHAR(500) | 한글키워드 |
18 | 영문키워드 | VARCHAR(1000) | 영문키워드 |
19 | 연구비합계 | NUMERIC | 연구비합계 |
20 | 작업구분코드 | VARCHAR(1) | |
21 | 데이터생성일자 | VARCHAR(8) | |
22 | 연계처리상태코드 | VARCHAR(1) | |
23 | 연계처리일자 | VARCHAR(8) | |
일련번호 | 기준년도 | 사업명 | 부처명 | 과제관리기관명 | 과제고유번호 | 국문과제명 | 영문과제명 | 연구책임자명 | 과제수행기관명 | 지역구분내용 | 총연구기간시작일 | 총연구기간종료일 | 6T관련기술분류내용 | 연구목표요약 | 기대효과요약 | 한글키워드 | 영문키워드 | 연구비합계 |
46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3669 | 100 ps 시간분해능의 초고속 X선회절 기술개발 및 산화물 상변이 동역학 연구 | Investigation of 100 ps-resolved oxide phase transition dynamics via ultrafast X-ray diffraction technique | 조지영 | 광주과학기술원 | 광주광역시 북구 | 20200301 | 20250228 | 고밀도 정보저장장치 기술 | 초고속 산화물 유전체를 이용한 sub-나노전자소자에 있어, 이론적으로 예측가능한 구조 변화 [예: 높은 전기장( >수천V/cm) 인가시 초고속 (~ 1 ns) 상변이 및 준평형상 (meta-stable phase) 유도]와 이에 비롯된 산화물 물성간의 강상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초고속 구조분석기술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기존의 구조분석 기술은 정적인 상태의... | * 응용분야 및 활용분야- 상변이 동역학에 대한 최초의 실험으로서 초고속 산화물 유전체 소자 응용 가능- sub-나노소자의 작동 속도 및 크기의 본질적인 한계 예측 및 나노소자 로드맵 창출 | 산화물,유전체,박막,상변이,초고속,X선미세회절 | oxide,dielectrics,thin films,phase transition,ultrafast,X-ray microdiffraction | 200000000 |
8870 | 2021 |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074 | 고대역메모리(HBM) 적용 차세대 패키지 개발을 위한 열 기계 전기 연성 해석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Thermal Mechanical and Electrical Multiphysics Analysis Technology for Next Generation Electronic Package with High Bandwidth Memory(HBM) | 신동길 | 영남대학교산학협력단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21231 | 집적회로기술 | o 주관기관(영남대학교) : - HBM 적용 GPU 패키지의 Mechanical Joint 신뢰성 Simulation 기술 개발 - 연성해석 기술 개발o 참여기관 1(KAIST) : - HBM 적용 GPU 패키지의 Warpage Simulation 기술 개발 - HBM 적용 GPU 패키지의 Warpage 저감 전략 연구o 참여기관 2(강남대학교) :... | -HBM 적용 GPU 에 대한 연성해석 기술을 위한 단위 요소 기술들 개발- Joint 신뢰성 simulation 단위 기술 개발- Warpage Simulation 단위 기술 개발- Thermal Simulation 단위 기술 개발- RF package 에 대한 특성 파악 완료 | 고대역메모리,이종집적,2.5D 패키지,연성해석,고성능 컴퓨팅 | HBM,Heterogeneous Integration,2.5D Package,Multiphysics Analysis,HPC | 134960000 |
658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5187 |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전염성 감염병 환자 간호 교육 개선 방안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related to Nursing Care of Epidemic Infectious Disease System based on the Virtual Reality Techniques | 한정원 | 경희대학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20200601 | 20230228 | 멀티미디어 단말기 및 운영체계기술 | 본 연구는 전염성 감염병 환자 간호를 위한 간호대 학생들의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평가하는 것으로, 본 연구는 간호대 학생들의 전염성 감염병 환자 간호에 대한 능력을 함양하여 국민보건 향상을 높이는 전문 의료인을 양성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 1) 경제적 측면: 전염성 감염병으로 인한 전문 인력 양성 및 대학의 실습 제한에 따른 보완 수업 개발에 대한 경제적 비용 절감 효과, 개발된 프로그램으로 간호대학이 자료를 공유함으로써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에 대한 비용 절감 효과, 전염성 감염병에 대한 간호대 학생의 초기 대응 및 중환자 간호 능력 향상으로 국민 건강 증진과 의료비 상승 절감 효과가 있다... | 감염,가상현실,간호 | Infection,Virtual-reality,Nursing | 50000000 |
2545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4319 | 자유항주 모형시험과 인공지능에 기반한 선박의 파랑 중 운동 모델링 개발 | Development of Ship Dynamics Modeling in Seaways Based on Free-running Model Tests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 서정화 | 충남대학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301 | 20240229 | 기타 정보기술 | 본 연구의 목표는 실해역 운항 중 조종되는 선박의 운동, 궤적을 추정해낼 수 있는 해석 기법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상세히는 자유항주 모형 시험의 결과로부터 선박의 조종 운동과 파랑 중 유체력을 Data-driven modeling을 통해 얻어내는 것과, 불규칙파 중 유체력을 확률 분포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불규칙파 중 선박의 궤적을 확률 전파로 나타내는 기... | 최근 선박의 파랑 중 운항성능의 분석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 이에 대한 표준화된 해석 기법은 제안되지 못한 실정이다. 2017년 중국 Wuxi에서 열린 국제수조회의(International towing tank conference, ITTC)에서는 파랑 중 조종 성능 분석을 위한 모델링의 필요성을 확인하여, 이에 대한 공동연구를 제안한 바 있... | 자율운항 선박,인공지능,데이터 기반 모델링,선박 조종 |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Artificial Inteligence,Data Driven Modeling,Ship Maneuverability | 57000000 |
4786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5615 | 의료 영상에서 질병 감지를 위한 설명가능한 인공지능 및 미래 진단 예측을 지원하는 딥러닝 기반 시맨틱 분류 연구 | Deep Learning-based Semantic Segmentation with Support of XAI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Future Diagnostic Prediction for Disease Detection in Medical Images | 박강령 | 동국대학교 | 서울특별시 중구 | 20210601 | 20240229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본 연구에서는 의료진에게 현재 및 미래의 다양한 질병을 진단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AI 기반 질병 분석 플랫폼용 새로운 시맨틱 분류 방법을 개발하고, 의료 전문가의 진단 부담을 줄이고 진단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XAI (eXplainable AI) 및 미래 진단 예측 기술을 이용하여 explainable computer-aided diagnosis ... |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예상할 수 있음1) 설명가능한 인공지능 및 미래 진단 예측을 지원하는 의료 영상에서 질병 감지를 위한 딥러닝 기반 시맨틱 분류 기술 연구를 통해, 다수의 특허 출원/등록 및 SCI급 논문 게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2) 영상처리 및 패턴인식 등 다양한 분야의 많은 우수인력을 배출하고, 다양한 학제 간 학술 분야에서의 ... | 딥러닝,시맨틱 분류,의료 영상,질병 감지,설명가능한 인공지능,미래 진단 예측 | Deep learning,Semantic segmentation,Medical images,Disease detection,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Future diagnostic prediction | 40950000 |
3288 | 2021 |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R&D)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1793 | 3차원 공간정보 제작을 위한 CPU 병렬처리 시스템과 실시간으로 변화를 갱신할 수 있는 Local Dynamic Mapping 소프트웨어 개발 | 서정헌 | 건국대학교산학협력단 | 서울특별시 광진구 | 20200413 | 2021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최종 목표- 3차원 공간정보를 신속히 제작할 수 있는 CPU병렬처리시스템 개발- Image Matching 기법과 인공지능을 이용해 변화를 실시간으로 갱신할 수 있는 Local Dynamic Mapping S/W를 개발세부 목표○ 드론 3D Modeling을 위하여 본 연구팀은 이미 절대 위치정확도를 보장하는 드론측량용 카메라를 개발 완료한 경험에 비추어 ... | ○ CPU병행처리시스템은 즉시 산업현장에 투입 가능한 혁신적인 시스템으로 개발 할 것이다. 특히 가격경쟁력을 확보 할 수 있도록 하며, 비전문가들도 사용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대규모 3차원 공간정보의 제작은 많은 갱신소요를 유발 할 것이다. 이를 실시간으로 처리 할 수 있는 S/W(Local Dynamic Mapping)와 갱신자료를 저장하는 빅데이... | 드론,병렬처리,인공지능,최적화시스템,3차원공간정보 | 3D Mapping,Dynamic Mapping,Image Matching,Digital twin,Smart City | 280000000 | |
25 | 2021 |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R&D)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1852 | 스마트 브리지 Level 3 를 위한 IoT 센싱 및 클라우드 시스템 개발 | 박종웅 | 중앙대학교산학협력단 | 서울특별시 동작구 | 20210401 | 2022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최종목표 : 스마트 브리지 Level 3 실현을 위해 장기 운영이 가능한 IoT 센서를 개발하고 도심 내 모든 교량으로 확장될 수 있는 클라우드 시스템 개발 ▶세부목표1 : 상시 모니터링을 위한 고해상도 초저전력 멀티메트릭 IoT 센서 개발① 교량의 작은 움직임까지 감지할 수 있는 고해상도 ADC, 1000Hz급의 계측 주파수를 가지며, MEMS를 이용한... | (1) 통합 교량 관리체계 구축● 내하력 평가에서 정확한 측정이 어려웠던 변위 및 비파괴식 PSC 장력 변화의 측정 알고리즘 기술을 통해 다양한 손상지표에 대한 상시모니터링이 가능하게 되어 교량 건전성 평가의 기술적 한계를 해결. 개발 기술로 내하력 평가를 대체하여 체계적인 이력관리, 정밀한 분석이 가능(2) 최첨단 IoT 센서기술 국산화● 구조물 유지관리... | 스마트 IoT센서,클라우드 컴퓨팅,변위, 장력 알고리즘,딥러닝,손상지표/교량관 리체계 | Smart IoT Sensor,Cloud Computing,Displacement, Tension estimation,Deep Learning,Damage Indicator/Bridge Management System | 180000000 | |
7229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71621 | 사용자의 동선을 고려한 지도 상의 POI 맞춤형추천 기술 | POI Recommendation on Map Taking Users Visit Routes into Consideration | 신효섭 | 건국대학교 | 서울특별시 | 20220601 | 20250228 | 정보검색 및 DB기술 | 사용자 맞춤형 POI 추천 서비스의 지향점은 개별 사용자가 지도상에서 일일이 상황을 설명하거나, 검색조건을 명세하지 않아도, 시스템이 자체적으로 사용자의 상황이나 동선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맞춤형 장소를 추천해줄 수 자율에이전트 역할을 수행하는 것임. 이에 본 과제의 최종 연구 목표는 지도 상에서 그동안 사용자의 사용기록, 선호도, 현재위치, 시간대 등의... | (1) PC 및 휴대폰 사용자에게 온라인 지도의 활용도는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음. 본 과제에서 제안하는 사용자 동선을 고려한 POI 추천기술의 연구성과는 포털 및 다양한 지도앱을 위한 핵심적인 소프트웨어 모듈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음. (2) 사용자의 동선을 고려한 POI 추천기술 토픽에 대한 연구개발이 현재까지 미비한 새로운 연구 주제로서, 본 과제의 연구... | POI 맞춤형 추천 기술,POI 방문 동선,POI 프로파일링,사용자 프로파일링,비정형데이터,딥러닝,LSTM | POI recommendation,POI visit route,POI profiling,user profiling,unstructured data,deep learning,LSTM | 43302000 |
900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9700 | 반도체 물리적 복제 불가능 회로를 이용한 하드웨어 기반 경량 인증 정보보안 SoC 개발 | Development of a hardware-based lightweight authentication information security SoC using semiconductor physically unclonable functions (PUF) circuit | 홍종필 | 충북대학교 | 충청북도 청주시 | 20210301 | 20260228 | 집적회로기술 |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경량, 저전력의 물리적 복제 불가능 [Physically Unclonable Functions (PUF)] 보안 회로, 경량 Cryptography(암호화 방식) 로직 회로, 부채널 공격 감지 및 방어 회로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하드웨어 기반 새로운 경량 기기 보안 인증 프로토콜 및 시스템 구조를 제안하며, 최종적으로 원칩회된 S... | 경제적, 산업적 측면― 자율주행자동차에는 수많은 센서가 탑재되며 센서가 해킹되거나 복제될 경우 교통대란, 사고유발 등의 심각한 문제가 야기되므로 제안된 PUF 기반 경량 SoC 칩을 차량용 인증 정보보안에 활용.― 제안하는 PUF 기반 인증 정보보안 프로토콜을 경량 기기용 인증 및 보안 국제표준화 추진 가능. ― 저가, 경량, 저전력 보안칩 개발로 다품종... | 반도체,물리적 복제 불가능,인증 ,정보보안,경량,시스템 온 칩,암호화 | Semiconductor,Physically Unclonable Function,Authentication,Information Security,Lightweight,System on Chip,Cryptography | 224666000 |
2881 | 2021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35692 | 실감 상호작용을 위한 차폐효과 및 DNN 기반 가상현실 시스템 개발 | 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based on Masking Effect and Deep Neural Network | 류세민 | 한림대학교 | 강원도 춘천시 | 20180601 | 20210531 | 기타 정보기술 | 본 연구는 차폐효과 (masking effect) 및 심층신경망 (DNN: deep neural network) 기반 접근법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가상현실 상 (특히, 터치스크린 상)의 다양한 물체와 상호작용을 할 때 마치 실제 물체를 만지는 것과 같은 감각을 재현하는 것에 최종목표를 두고 있다. 보다 자세히는,1)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된 임의의 가상... | 본 연구결과로 인해 실제 사물을 만질 때 느껴지는 감각과 동일한 감각이 가상현실 상에서 재현 가능하다면, 시각 정보와 촉각 정보가 어우러져 실재감 있고 직관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할 것이다 (가상현실/증강현실, 지능형 기기, 착용 가능 기기 및 교육용 기기 등에 적용). 또한, 시각 정보의 활용이 제한적인 상황 (시각 장애인용 기기, 운전자용 차량 인터페이스 ... | 가상현실,상호작용,형상,질감,차폐효과,차폐함수,심층신경망,콘볼루션 신경망 | virtual reality,interaction,shape,texture,masking effect,masking function,deep neural network,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12500000 |
3567 | 2021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4772 | 차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트래픽 제어 기술 및 서비스품질 분석방법 연구 | Research on traffic control technologies and QoS analysis methods for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백장현 | 전북대학교 | 전라북도 전주시 | 20160601 | 20220531 | 기타 네트워크기술 | 이 연구과제의 목표는 4G, 5G를 포함한 차세대 이동통신망을 대상으로 IoT 트래픽 모델링을 수행하고 트래픽 관리 기술 및 서비스품질 평가방법을 연구하여 최적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다. 또한 이 연구과제와 이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통신네트워크의 설계, 분석, 평가 및 최적화를 위한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 이 연구과제의 성공적인 수행을 통하여 통신 분야와 산업공학 분야에 큰 기여가 가능하다. 통신 분야의 경우, 우리나라가 경쟁력을 지니고 있는 이동통신 분야에서의 시스템 엔지니어링 연구개발을 통하여 최적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산업공학 분야의 경우, 확률과정론과 최적화 기법의 응용 영역을 우리나라가 경쟁력을... | 온-오프모형,이중영역위치등록,삼중영역위치등록,펨토셀,PH분포,busy line 효과,묵시적위치등록 | on-off model,two-zone registration,three-zone registration,femto cell,Phase-type distribution,busy line effect,implicit registration | 31940000 |
1099 | 2021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31964 | 패션리테일 맥락에서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의 체험원리와 휴리스틱 정보처리모델 | Modeling Heuristic Information Processing by Augmented Reality(AR) and Virtual Reality(VR) Experiences in Fashion Retail Context | 김은영 | 충북대학교 | 충청북도 청주시 | 20190601 | 20220531 | 전자상거래 기술 | 본 연구는 패션리테일 환경에서 (1)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기반으로한 스토어 개념을 재정립하고 기술적 속성에 따라 유형화하고, UTAUT이론을 재조명함으로써 진입초기단계에 있는 점포내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의 스마트 기술수용을 진단하고 세대별 수용가능성을 예측하고자 한다. (2)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기술속성에 따른 다차원... | 이론적 관점에서 본 연구는 패션리테일 맥락에서 가상현실기술 적용에 대한 초기단계의 연구로써 소비자의 기술수용에 영향을 주는 핵심적 요소를 예측하기 위한 기술수용의 통합적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기술수용이론을 확대하는데 의미가 있으며, 디지털 미디어 기술 분야와의 생활과학의 “의류상품학”분야가 공동으로 융합연구에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 패션마... | 증강현실,가상현실,체험,휴리스틱,패션 리테일링,기술수용,정보처리과정 | Augmented Reality,Virtual Reality,Experience ,Heuristic,Fashion Retailing,Technology Acceptance,Information processing | 50000000 |
8777 | 2021 | 중소기업R&D역량제고(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6742 | 온셀 터치 및 Active pen 구현시 디스플레이 노이즈 감소기술 | Display noise reduction technology when implementing on-cell touch and active pen | 이익수 |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경기도 성남시 | 20211025 | 20220724 | 집적회로기술 | ·Touch IC 개발을 위해 핑거 및 펜 일체형 Touch Sensor Pattern의 사양을 시뮬레이션하여 결정하고, MPW(Multi Project Wafer)를 위한 각 Block별 설계·Electrostatic Capacitive Coupled Receiver IP 및 Analog Noise Filter개발·Touch 컨터롤러의 핵심 기술인 Mul... | 1.개발성과- 핑거와 펜 터치 입력이 동시에 가능한 일체형 터치센서 국산화 개발 .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입력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실생활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텍스트를 입력하거나, 그래픽(그림)을 입력하는 데에는 한계가 존재함 . 터치패널을 구비하고 있는 모바일 기기가 넓게 보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텍스트 및 그래픽 입력을 보다 원활하... | 노이즈,정전터치,엑티브펜,디스플레이,오엘이디 | Noise,Capacitive,Active pen,Display,OLED | 16675000 |
5659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2668 |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시각 인공지능 딥러닝 플랫폼 개발 | Development of Privacy-Preserving Deep Learning Platform for Vision Artificial Intelligence | 김미란 | 울산과학기술원 | 울산광역시 울주군 | 20210301 | 20250228 | 정보보안 및 암호기술 | 본 연구에서는 개인정보를 보호하면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딥러닝 기반 시각 인공지능 플랫폼 개발을 목표로 한다. 컴퓨터 과학의 최신 연구 분야 중의 하나인 시각 인공지능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민감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각 데이터 활용에 따른 개인정보 노출 우려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지만 고전적인 비식별화 기법으로는 클라우... | 개인 데이터 활용에 대한 권리 보호를 위한 범국가적 기술적 조치 마련이 시급한 실정에서 개인정보 문제를 해결하면서 암호화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동형암호 프레임워크 구축은 앞으로 데이터 사이언스 및 인공지능이 나아가야 할 궁극적인 방향이다. 전 세계적으로 해당 관련 연구와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성공적으로 연구수행 시 보안 원천기술 개발에 대한 ... | 개인정보보호,동형암호,시각 인공지능,딥러닝,이미지 분류,얼굴 인식,행동 인식,플랫폼 | Privacy-Preserving,Homomorphic Encryption,Vision Artificial Intelligence,Deep Learning,Image Classification,Face Recognition,Action Recognition,Platform | 146334000 |
8653 | 2022 | 자율운항선박기술개발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2348 | 자율운항선박 비상상황 육상제어 기술과(비상상황, 통신, 서비스 검증) 시나리오 및 사이버보안 기술개발 | 임정빈 |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부산광역시 영도구 | 20200427 | 2025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지능형 항로 의사결정 기능을 갖는 자율운항 시스템 개발 ○ 지능형 항로 의사결정 솔루션(S/W) 1식 ○ 고신뢰도 경로 추종제어 솔루션(S/W) 1식 ○ 자동 이/접안 알고리즘(S/W) 1식 ○ 경제운항 최적항로 설정 솔루션(S/W) 1식 ○ 자율운항/경제운항 공통 서비스 플랫폼[(H/W)+(S/W)] 1식□ 자율운항선박(Ship2Ship2Shore) ... | □ 국내외 건조되는 자율운항선박에 활용하여 미래 조선산업 시장에서 한국형 자율운항선박 기자재 기술 및 플랫폼 기술의 우위 유지에 활용□ 능동형 해상 자율운항/경제운항 시스템으로 고도화 및 확대 적용□ 최적 항로와 더불어 선사별 운항 전략을 적용한 항로 계획 기술을 개발하여 다양한 최적 항로 안을 제안함으로써 자율운항선박에 적용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자율성을... | 자율운항선박,자율운항 통합 플랫폼,해상업무용 디지털통신,사이버보안,원격제어시스템 |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Autonomous navigation platform,VDES,Cyber security,Remote control system | 744720000 | |
8504 | 2022 | 스마트항만-자율운항선박연계기술개발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2690 | 스마트 항만-자율운항선박연계 기술개발 | 윤익현 |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전라남도 목포시 | 20210401 | 2025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최종목표]□ 자율운항선박 도선지원 및 자동계류 시스템 개발□ 스마트 해상물류 통합 프로세스 설계 기술 개발□ 영상 인식 기술 기반 선원 및 화물관리 시스템 개발□ 자율운항선박 안전 입출항 제어/관제 기술 개발□ 자율운항선박 육상 제어 시뮬레이터 개발□ 자율운항 선박의 전기추진 시스템 디지털트윈 기술개발[1차년도 목표]□ 자동계류 시스템 개념 설계□ 해상... | □ 선박의 자율계류 시스템 개발을 통해 항만계류 시 발생하는 위험을 줄이고 자율계류 시스템 분야 시장 선도□ 자율운항선박 도선지원 시스템 개발을 통해 선박과 선원의 안전성 확보□ 다양한 해상물류 정보를 통합하고 운용할 수 있는 해상물류 통합 프로세스 구축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영상인식 기반 선원 안전관리 시스템개발을 통해 선원의 안전 및 선박의 안... | 자율운항선박,스마트항만,연계기술,인공지능,스마트 해상물류 | Autonomous Ships,Smart Port,Linkage Technology,Artificial Intelligence,Smart Shipping Logistics | 680000000 | |
3011 | 2021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35985 | 라이다와 카메라 센서 정보 융합 기반 환경 인지 기술 | Environment Perception based on LiDAR and Camera Sensor Data Fusion | 최수일 | 전남대학교 | 광주광역시 북구 | 20180601 | 202105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본 과제는 3년 동안의 연구개발을 통해 LiDAR와 영상정보 융합기반 실시간 환경 인지 기술을 개발하고자 함. 본 과제의 연구개발 목표는 다음과 같음3차원 환경정보 생성, 장애물 검출 및 회피 기술을 위한 LiDAR 정보와 영상 정보 융합형 실시간 환경인지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함● 본 과제에서는 3D Velodyne LiDAR 센서와 RGB 카메라를 융... | ● LiDAR 센서 기반의 환경인지 기술의 축적 및 활용 뿐만 아니라 영상 정보와 융합하여 3차원 거리 정보와 2차원 이미지 정보의 결합을 통합 객체 인지 기술의 개발 및 시스템 기술 개발에 기여코자 함.● 본 연구개발을 통해 IoT 기반 센서의 융합 기술, 객체 인지 기술 및 인공지능 기술 개발을 통해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응용 서비스 개발에 기여할 수 ... | 3차원 라이다,RGB 카메라,환경 인지,객체 분류,이동 장애물 검출,인공지능 | 3D LiDAR,RGB Camera,Environment Perception,Object Classification,Mobile Object Detection,Artificial Intelligence | 12500000 |
4837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7635 | 요오드 도핑에 의한 용액공정 산화물 반도체의 전기적 특성 변화 연구 | Study on Variations in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Solution-Processed Oxide Semiconductors Induced by Iodine Doping | 방성근 | 한림대학교 | 강원도 춘천시 | 20190601 | 20220228 | 기타 정보통신 부품기술 | 본 연구는 용액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된 N형과 P형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 제어를 목적으로 종래에 연구된 바 없는 요오드 기상 도핑의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도핑된 N형과 P형 산 화물 반도체 박막의 전기적·물리적·화학적 특성 분석을 통해 N형과 P형 산화물 반도체 내에서의 전 하전달 과정에 대한 요오드 도핑 효과를 분석하며 이로써 요오드 ... | - 본 과제를 통해 개발하고자 하는 산화물 반도체의 요오드 기상 도핑 기술은 세계적으로도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독창적인 기술이며, 용액 공정으로 제조된 N형과 P형 산화물 반도체 소재가 집적된 CMOS, Bipolar Junction 구조의 응용 연구 또한 히 보고된 바 없음. 따라서 본 과제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저명 저널에 게재함은 물론 지식재산권을 확... | 산화물 반도체,용액 공정,도핑 기술,트랜지스터 | Oxide Semiconductor,Solution Process,Doping Technology,Transistor | 50000000 |
5228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9187 | 네트워크 분석 기법과 지도학습 기술의 융합을 통한 질병-타겟-약물 사이의 상관관계 예측 | Prediction of Disease-Target-Drug Associations by Integration of Network Data Mining and Supervised Learning | 조영래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 강원도 원주시 | 20210301 | 20250228 | 기타 정보기술 | 전세계적으로 급속히 유행병이 확산되는 현 시기에, 기존에 이미 승인된 약물 중에서 이 새로운 질병의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측되는 약물을 선택하는 약물재창출 기법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약물재창출 기법의 핵심은 질병과 타겟(그 질병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 또는 단백질), 그리고 약물 사이의 상관관계를 예측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정확도... | 최근 생명과학과 의학 분야에서 빅데이터의 활용과 네트워크 기반의 분석 알고리즘, 기계학습 기술을 적용하는 추세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을 활용하여 새로운 질병의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측되는 약물 후보들을 선택하는 방법은 최근과 같이 새로운 질병이 급속히 확산되는 시기에 중요한 전략이 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질병-타겟-약물 사이의 상관관계... | 약물과 질병의 상관관계,약물과 단백질의 상호작용,네트워크 기반 분석,네트워크 마이닝,지도학습,온톨로지,약물재 | drug-target-disease associations,drug-target interactions,network-based approaches,network data mining,supervised learning,ontology,drug repositioning,drug repurposing | 40421000 |
6049 | 2021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1234 | 순차적 확률비 검정과 딥 러닝을 적용한 확장된 소프트웨어 신뢰성 연구 | A Study on Expansion of Software Reliability by Applying Sequential Probability Ratio Test and Deep Learning | 이다혜 | 조선대학교 | 광주광역시 동구 | 20210901 | 202408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인간의 삶에 소프트웨어는 곳곳에 녹아들어 있다. 컴퓨터, 핸드폰, TV뿐만 아니라 스마트 의료, 스마트 공장, 스마트 농장 등 다양한 산업과 결합한 새로운 산업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만약 소프트웨어에 오류가 발생한다면 사용되는 분야에 따라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인명 피해까지 초래할 수 있기에 소프트웨어의 신뢰성은 매우 중요하다. 소프트웨어의 ... |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순차적 확률비 검정의 검정 통계량을 구성하는 에 대한 민감도 분석에 대한 노력이 없었기 때문에 본 연구는 순차적 확률비 검정의 활용도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한다. 일반적으로 개발 과정에서 소프트웨어의 테스트 시기가 길어질수록 소프트웨어의 신뢰성은 높아진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테스트에 소요되는 비용 및 인력으로 총 개발 비용은 증가하게 ... | 소프트웨어 신뢰성,소프트웨어 신뢰성 성장 모형,순차적 확률비 검정,딥러닝,결합모형 | Software reliability,Software reliability growth model,Sequential probability ratio test,Deep learning,Combination model | 60000000 |
1680 | 2022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9952 | 딥러닝 모델 기반 모빌리티 빅 데이터 분산 질의 처리 및 심층 분석 지원 프레임워크 개발 | Development of a distributed query processing and deep analysis framework for mobility big data based on a deep learning model | 권준호 | 부산대학교 | 부산광역시 금정구 | 20200601 | 20300531 | 정보검색 및 DB기술 | 스마트폰과 사물인터넷(IoT) 등 개인과 밀접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개인이 생산하게 되는 데이터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 중 상당양을 차지하는 것이 모빌리티 데이터(mobility data) 이다. 하지만 딥러닝 분석에 효율적인 고품질의 모빌리티 데이터를 대량 수집하는 것은 시간과 비용 문제가 있으며,모빌리티 데이터는 실내/실외 수집에 따라... | 본 연구의 결과물은 딥러닝 기반의 모빌리티 빅 데이터 분석은 지능형 교통 시스템, 스마트 시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활용 예로서 방문객의 성향 파악을 필요로 과학관/컨벤션 센터와 같은 전시분야, 이동 고객 성향 분석을 필요로 하는 상업 분야, 소셜/물리 센서 결합을 통한 고차원 모빌리티 데이터 분석이 필요한 사물 인터넷 분야에 응용이 가능한다.... | 모빌리티 데이터,데이터 품질,자가 증식,딥러닝,분산 질의 처리,Learned Index,심층 분석 | Mobility data, Data Quality, Self Augmentation, Deep Learning, Distributeded Query processing, Learned index, Deep Analysis | 50000000 |
2188 | 2022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7826 | Covering Arrays 및 기계학습모형을 통한 고차원자료에 대한 영향그림 | Influence Plot for Covering Arrarys and High-dimensional Data using Machine Learning | 장대흥 | 부경대학교 | 부산광역시 남구 | 20200601 | 202305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1. covering array에 대한 influence plot 연구2. 고차원자료 분석에 기계학습 방법을 사용할 때 영향값 및 특이값의 양향을 평가하기 위한 영향그림에 대한 연구3. 영향값 및 특이값의 양향을 평가하기 위한 영향그림에 대한 두 가지 접근방법 (축소추정량/차원축소 방법과 기계학습 방법)을 비교하는 연구 | 1. 실험계획법에서 핫 이슈 중 하나가 초포화계획에 대한 연구이다. 초포화계획은 요인의 개수가 실험점보다 많은 실험계획이다. 요인의 개수가 실험점보다 많으므로 요인들끼리 효과가 교락된다. 또한 precision matrix를 구할 수 없게 되고 통계분석이 매우 어려워진다. 또한 실험점이 적으므로 실험점 각각이 분석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게 된다. 그러므로... | 덮기배열, 고차원자료, 기계학습모형 | Covering arrays, High-dimensional data, Machine learning models | 98000000 |
790 | 2021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3793 | IoT 지원 물리적 인터넷 허브를 위한 분산 지능형 포그 컴퓨팅 구조 | Distributed Intelligent Fog Computing Architecture for IoT-enabled Physical Internet Hubs | tran dang hoa | 금오공과대학교 | 경상북도 구미시 | 20200601 | 20230531 | 기타 네트워크기술 | The objective of proposal is to develop a distributed intelligent fog architecture, which enables achieving the maximized performance of π-hubs in terms of efficiency and sustainability. | The success of project in providing and delivering the valuable IoT services will expectedly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ree major aspects including technology transformation promotion, academic and ... | Distributed Intelligent,IoT,Fog Computing,Physical Internet | Distributed Intelligent,IoT,Fog Computing,Physical Internet ,Distributed Center in Logistic | 50000000 |
2731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9789 | 관성센서를 이용한 일상생활 중 말초동맥질환자의 정량적 진단 지표 및 예후 예측 모델 개발 | Development of Quantitative Diagnosis Index and Prediction model using Inertial Measurement Unit for Patients with Peripheral Arterial Disease | 최찬중 | 충남대학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301 | 20230228 | 신호처리기술(영상·음성처리·인식·합성) | 말초동맥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일상생활 반영이 어렵고 대량의 데이터 수집이 어려운 기존의 병원 중심 검사와 환자 기억에 의존하여 다소 주관적일 수 있는 기존 설문지 검사의 잠재적인 단점을 극복하고,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빅데이터 구축 및 예측 모델 개발을 위하여, 대다수의 환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의 관성센서에 기반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행 데이터 ... | 가. 임상적새로 개발된 정량적 진단지표가 환자의 기억에 의존한 설문지 검사보다 더 정확하게 일상생활에서의 파행정도를 반영하고, 기존의 병원 검사 결과를 유효하게 대체할 수 있으면서 실시간으로 환자 상태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병원 검사보다 저렴하여 환자의 의료비용과 국가보험재정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예측 모델을 통해 예후를 판단하고, 향후 빅데이터를 통... | 말초동맥질환,관성센서,예측모델,빅데이터,어플리케이션,보행패턴,인공지능,알고리즘 | peripheral arterial disease,Inertial measurement unit,prediction model,Big data,app,walking pattern,artificial intelligence,algorithm | 30000000 |
1563 | 2022 | 스마트건설기술개발사업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787 | 지능형 도로구조물 시공품질 관리기술 개발 | 심성한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경기도 수원시 | 20200428 | 2025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최종목표 - 형상계측 기술을 이용한 프리팹 기반 도로구조물 시공의 효율&품질 향상기술 개발○ 최종목표에 따른 성과물 - 데이터 융합형 3차원 형상 급속/정밀 스캔 소프트웨어 - 프리팹 부재 및 As-built 구조물의 형상정보 기반 시공성 판단 소프트웨어 - 센싱 데이터를 활용한 운반/시공 중 프리팹 부재의 구조건전성 모니터링 시스템 및 ... | 총 6개의 최종 성과물에 대한 기술적 기대성과는 다음과 같음○ 데이터 융합형 3차원 형상 급속/정밀 스캔 소프트웨어 - 측량속도 및 시공성 판단속도 향상 - 공기단축 - 품질검사 시간 및 비용 단축○ 프리팹 부재 및 As-built 구조물의 형상정보 기반 시공성 판단 소프트웨어 - 4차원 부재변형 해석까지 내포하는 4D 시공 시뮬레이션 기술로... | 3차원 형상계측,3차원 형상예측,시공성 판단,시공품질관리,구조건전성 모니터링 | 3D shape measurement,3D shape estimation,Constructability judgment,Quality control of construction,Structural health monitoring | 861500000 | |
1927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1820 |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연합 학습 연구 | A Study on Privacy-Preserving Federated Learning | 천지영 | 서울사이버대학교 | 서울특별시 강북구 | 20210601 | 20240229 | 정보보안 및 암호기술 | 최종연구목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연합 학습 연구- 1차년도: 연합 학습에서 발생 가능한 프라이버시 문제 분석 및 사례 조사 연구- 2차년도: 연합 학습에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추천 기술 연구- 3차년도: 다양한 환경에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연합 학습 연구 | ㅇ 정부의 데이터 댐 사업이 본격 추진되면서 산업별 빅데이터 플랫폼이 구축되고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를 포함하여 여러 분야의 데이터가 개방되어 활용될 예정임ㅇ 데이터를 안전하게 잘 쓰는 나라로 만들기 위해 데이터 3법을 도입하여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도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산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함ㅇ 여러 분야에서 빅데이터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 | 프라이버시,연합 학습,빅데이터,인공지능,프라이버시향상기술 | Privacy,Federated Learning,Big Data,Artificial Intelligence,Privacy Enhancing Technology | 37156000 |
2921 | 2021 | 광주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광주과학기술원 | 1711150856 | 융합기술 연구과제 | 홍진혁 | 광주과학기술원 | 광주광역시 북구 | 20210101 | 2021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문화기술, 로봇, 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필요한 융합형 요소기술 개발 | 문화기술, 지능로봇 분야의 연구과제발굴 및 사업화에 개발된 기술을 활용한다. | 멀티모달,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기계학습, 인공지능, 센서 | Multimodal Interaction, Human-computer Interaction, Machine Learning, Artificial Intelligence, Sensors | 27500000 | |
1523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8978 | 배전계통 상태추정모듈 대상 허위정보주입 사이버 공격에 대한 인공지능 강화학습 기반의 탐지, 방어방법 연구 | Reinforcement Learning based Detection and Defense Method for Cyber Attack on Distribution System State Estimation with False Data Injection | 김승완 | 충남대학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301 | 20240229 | 정보보안 및 암호기술 | 1. 계통구성 변경이 빈번한 배전계통 환경에서 스마트미터와 전기자동차 충전기 연계점을 통한 비용효율적인 FDI 공격전략 개발 2. 고도화된 FDI 공격에 대한 탐지능력 향상을 위한 공격-탐지 반복 기반의 자가학습체계 개발 3. FDI 공격 탐지 후 계통신뢰도 유지를 위한 대응방안 개발 | 본 제안연구의 주제는 아직 상용화된 기술이 나오지 않은 기초 수준의 연구로서 다양한 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하다. 첫 번째로는 보다 개선된 인공지능 기법들을 적용하여 개발 알고리즘 자체의 성능을 높이는 응용연구로 확장이 가능하다. 두 번째로는 선로의 단락과 지락과 같은 물리적인 고장 상황 등을 고려했을 때 이로 인한 계측값의 변화를 스스로 탐지하고 통합적으로 ... | 배전계통,상태추정,허위정보주입 사이버 공격,잘못된 데이터 탐지,토폴로지 추정,가상물리시스템 보안,강화학습,스 | Distribution system,State estimation,False Data Injection Attack,Bad data detection,Topology estimation,Cyber physical system security,Reinforcement learning,Smart meter,Charger of electrical vehicle | 31344000 |
8155 | 2021 | 방송통신산업기술개발(R&D,정보화)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26183 | 밀리미터파 대역을 이용한 5G 이동통신 핵심 기술 연구 | A study on core technology of 5G mobile communication using millimeter wave band | 조성래 | 중앙대학교산학협력단 | 서울특별시 동작구 | 20180701 | 20221231 | 기타 네트워크기술 | ● 미래의 이동통신 분야(5G)는 밀리미터파를 활용하여 고속의 데이터 전송속도, 많은 수의 단말 수용, 고 신뢰성 및 전송 지연을 목표로 하고 있음.● 하지만 밀리미터파의 특성상 단기간 내 일반 고객 서비스에 적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기존 망 (LTE)을 활용한 표준화가 진행되어 오고 있음. 하지만 이 또한 5G에서 목표로 하는 20Gbps 전송속도, 킬로미... | 5G 밀리미터파 대역의 원천 핵심 기술 확보 및 기술이전을 통한 국가 경쟁력 향상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5G 이동통신 분야 핵심 알고리즘들은 다양한 응용프로그램 (AR/VR 분야, 사회 안전 분야, 공정 자동화 분야 등)의 핵심 알고리즘으로 활용 가능함.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엣지 기기와 클라우드 간의 연동을 통해서 네트워크 대역폭 이익을 최대화 ... | 무선 백홀,무선 엑세스,밀리미터파,지향성 안테나,차세대 이동통신 | 5G Communication,Directional Antenna,Medium Access,Millimeter Wave,Wireless Backhaul | 50000000 |
3091 | 2021 | 인공지능산업원천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39214 | 문맥/수치 임베딩 기반 수학 추론 기술 개발 | Developing context/number embedding based numerical reasoning | 맹성현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701 | 2021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o 문맥/수치 임베딩에 기반한 지능형 수학 추론 기술 개발 o End Product - 지능형 수학 추론 알고리즘(SW) o 주요 기능 - 문맥/수치 임베딩을 동시에 활용한 수학 추론 기능 | o 적용범위(또는 서비스) - 수리지능이 요구되는 전문분야의 텍스트 마이닝 시스템에 활용 가능 - 비대면 수학 교육 지원을 위한 수리지능 인공조교에 활용 가능 - 머신러닝 학습데이터 배포, 오픈 API 배포 등을 추진하여 학계, 산업계에 기여함 | 문맥 임베딩,수리지능,수치 임베딩,수학 추론,추론 모델 | Context embedding,Mathematical intelligence,Numerical embedding,Numerical reasoning,Reasoning model | 237500000 |
461 | 2021 | 뇌질환극복연구사업(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4321 | 디지털표현형 기반의 불안 평가 시스템 개발 및 가상현실과 저강도집속초음파를 이용한 불안 치료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digital phenotype-based anxiety evaluation system and therapeutic techniques using VR and focused ultrasound | 김재진 | 연세대학교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20210701 | 20251231 | 신호처리기술(영상·음성처리·인식·합성) | 불안의 정량적 진단을 위한 가상현실기반 행동평가와 생체신호 및 웨어러블 일상환경 평가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통합 불안 평가 및 예측모델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범불안장애 환자군 임상시험을 통해 범불안 예측모델을 개발함. 불안 환자군에 통합적으로 적용 가능한 가상현실치료 콘텐츠 개발과 심부 표적 집속초음파의 불안증 치료 기술의 개발 및 효과성 검증을 임상시험을 ... | ● 정량적 평가를 불안 증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신질환 진단과 치료로 확대● 계량화된 평가에 기반한 불안의 원인 규명과 원인 기반의 치료기술 개발에 이용● 불안 환자들의 효율적 증상관리, 상담, 교육 자료제공, 주치의 참여 등에 활용● 전문기업으로의 기술이전을 통해 의료기기로 등록, 보급● 4차산업 관련의 혁신적 의료기기 개발 및 디지털 치료 분야에 선구적... | 디지털표현형, 가상현실, 생체신호, 웨어러블 기기, 범불안장애, 집속초음파, 뉴로모듈레이션, 인공지능 | digital phenotype, virtual reality, biosignal, wearable device,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focused ultrasound, neuro-modul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 125000000 |
2137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1169 | 딥러닝 기반 생성 신경망 모델을 활용한 2차원 수소 저장 물질 역설계 | Inverse Design of Two-Dimensional Hydrogen Storage Materials via Deep Learning-Based Generative Neural Network Model | 허준석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서울특별시 종로구 | 20210601 | 20230228 | 기타 정보기술 | ● 다양한 결정 구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2차원 물질 정보 추출을 위한 데이터 마이닝 기술 구현과 이를 통한 이차원 소재 결정구조 데이터베이스 구축● 2차원 고체 소재에 적용 가능한 기존 결정 구조 표현자의 성능 비교 및 그래프 기반 신규 표현자 연구개발 ● 생성 신경망 및 베이지안 학습기법을 적용시켜 관심 물성 최적화가 가능한 역설계 모델 연구, 이를 사용... | ■ 본 연구를 통해 인공지능 소재 역설계 모델 및 전산모사 시뮬레이션이 통합된 플랫폼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기존의 물질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으면서도 관심 물성에 특화되어 있는 신규 2차원 무기결정소재를 보다 적은 비용과 시간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한다.■ 수소 저장 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새로운 2차원 금속 수소화물, 물리흡착제 후보물질을 확보하여, ... | 딥러닝,신경망,2차원물질,역설계 | Deep Learning,Neural Network,2D materials,Inverse Design | 62778000 |
3430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5020 | 부가정보를 활용한 데이터 효율적 강화학습 연구 | Sample-Efficient Reinforcement Learning using Side Information | 김기응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901 | 20240229 | 신호처리기술(영상·음성처리·인식·합성) | 산업계에 존재하는 시스템들의 복잡도 (complexity) 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들을 모델링하는 비용 또한 증가하게 됨에 따라, 기존 비선형 모델기반 제어방법론들의 적용 또한 어려워지고 있음.강화학습은 전통적 모델기반 방법들과 비교하였을 때 해당 시스템에 대한 전문가 지식 (domain knowledge) 을 적게 요구하기 때... | 본 연구진이 제안하는 부가정보인 불완전한 전문가데이터, 멀티태스크 학습정보는 현 산업계의 조업상황 (operating condition) 을 고려해봤을 때 현실적으로 어렵지 않게 습득 가능한 정보들로써 이를 순수 데이터 기반 강화학습 알고리즘에 통합 시 획기적인 학습 효율 개선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조업상황의 현실성을 반영한 불완전 전문가 데... | 강화학습,다중태스크 학습,데이터 기반 제어 기법,불완전 전문가 데이터 활용,메타 학습 방법론,부가정보를 활용 | Reinforcement Learning,Multi-task Reinforcement Learning,Data-driven Control,Imperfect Expert Trajectory,Meta Reinforcement Learning,Sample Efficiency | 100000000 |
5138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0082 | 3D 프린팅 복합재의 최적설계기법 및 피로수명 예측기법 개발 | Development of optimization and fatigue life prediction methods for 3D printed composites | 유승화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601 | 20220228 | 기타 정보기술 | 기존 신진 연구에서 3D 프린터를 활용하여 수행하였던 생체 모사 고강성-고인성 복합재 설계 및 제작을 계승 및 발전시켜, 머신러닝을 이용한 3D 프린팅 복합재 미시구조 최적설계 방법론을 정립하고 제작된 복합재의 피로강도 예측기법을 개발하여 3D 프린터를 산업현장에 방대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술적인 토대를 마련한다. 최종목표: 3D 프린팅 복합재의 최적설... | 3D 프린터는 대량생산 위주인 제조업을 대중 생산 및 소량 맞춤형 제작 중심으로 재편하고 매우 복잡한 구조의 다물질 복합재 생산을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고부가가치 산업에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설계방법으로 접근이 불가능한 방대한 디자인 스페이스 (형상과 조합 포함)로 인해 최적설계 기법이 부재하며, 3D 프린팅을 통해 제작된 복합재도 그 기... | 3차원 프린터,복합재,머신러닝,피로수명,균열상장모델,멀티피직스 시뮬레이션,최적화,설계,4차 산업 혁명 | 3D Printer,Composite,Machine Learning,Fatigue Life,Crack Phase Field Model,Multiphysics Simulation,Optimization,Design,4th Industrial Revolution | 200000000 |
4994 | 2021 | 연구산업육성(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사단)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 1711151695 | 크라우드와 빅데이터, AI를 활용한 스마트팜 자동제어 | AI Control for Smart Farm on the Cloud and Big Data | 김동일 | 두원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경기도 파주시 | 20210426 | 20210723 | 기타 네트워크기술 | 스마트팜에 무선으로 제어/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인터넷 망으로 크라우드 컴퓨터의 빅데이터와 연동하여 효율적인 운전을 하도록 한다. | - 해당 센서의 프로그램을 인터넷에서 자동으로 내려 받아 사용자는 센서의 구체적 프로토콜, 프로그램을 몰라도 자동으로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로컬 또는 크라우드 서버를 모두 구성할 수 있세 하였으며 연결된 센서의 데이터는 빅데이터에 자동 저장되고 UI프로그램도 HTML의 홈페이지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HTML 기본 프로그램을 작성해서 내려 받을 수 있... | 무선통신, 스마트팜, 크라우드, 빅데이터, 에이아이 | WiFi, LoRa, Smart Farm, Cloud, Big Data, AI | 5000000 |
636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7256 | 이기종 AI 프로세서의 공유를 지원하는 차량용 가상화 플랫폼 핵심 기술 개발 | Core Technology Development of Virtualization Platform for Sharing of Heterogeneous AI Processors on Vehicle | 정진만 | 인하대학교 | 인천광역시 남구 | 20210601 | 20240229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차량 플랫폼에서 가상화 기술은 차량 내 통합 엔터테인먼트 및 정보시스템부터 더 높은 안전성이 요구되는 중요기능까지 필수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최근 차량 플랫폼은 지능화서비스화자율주행 고도화 등으로 AI 요구사항이 증가하고 있다. AI 및 복잡한 요구사항을 지원하기 위해 CPU/GPU뿐만 아니라 AI에 최적화된 NPU, FPGA 등을 조합적으로 탑재한... | 최근 미래형 자동차에 탑재되는 AI프로세서 아키텍처를 고려할 때 다양한 AI프로세서의 유휴 없이 병행성을 극대화하는 가상화 공유 기술과 스케줄링 핵심기술 확보는 필수적이다. 적은 비용으로 복잡한 차량 AI 응용들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차량용 가상화 플랫폼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클라우드 플랫폼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응응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처... | 차량용 플랫폼,가상화,인공지능 프로세서,스케줄링 알고리즘,가상머신 | Vehicular Platform,Virtualization,AI Processor,Scheduling Algorithm,Virtual Machine | 41167000 |
6612 | 2021 | 산학협력거점형플랫폼사업(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7354 | 반도체 패키지 몰드용 자외선 경화형 이형필름 개발 | 권오형 | 금오공과대학교산학협력단 | 경상북도 칠곡군 | 20201123 | 20221122 | 집적회로기술 | ○올리고머 성능개선 연구○올리고머 및 이형필름의 성능 평가 및 불량 분석 절차 확립○자외선 경화형 코팅액 조성 개발 및 고객사 대응○자외선 경화 코팅 조건 검토 및 표면 조도 형성 방안 연구○고객사 평가를 대비한 simulation 평가 방안 연구 | ○올리고머 종류 확정○확정된 올리고머를 이용한 자외선 경화형 코팅액 조성 확정○자외선 경화 코팅 조건 확정○표면 조도 형성 방법 확정○pilot 샘플 제작 및 평가를 통한 제품 기술자료 작성 → 인장강도, 연신율, 이형력, 표면저항, 모듈러스, 표면조도 측정 및 분석 → 분석 결과를 활용한 기술자료 작성○고객사 평가 및 적용 추진 | 이엠씨,자외선 경화,이형필름,조도,올리고머 | EMC,UV cure,Release film,Embossing,Oligomer | 187500000 | |
8385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7767 | 자기 완결형 도시공간 구축을 위한 오픈스페이스 분석 및 활용방안 연구 | A Study on Open Spaces Analysis and Utilization Plan for the Construction of Open-Closed Urban Space | 박상훈 | 평택대학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20190301 | 20220228 | 기타 정보기술 | 현대인의 다양한 요구가 증가되고 스마트시티로의 도시계획 패러다임 변화 등 미래 사회의 변화에 따라 공공 공간의 의미와 성격, 그리고 역할에 대한 새로운 정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아울러 도시공간에 대한 데이터 분석 및 다양한 정량적 기법을 통해 향후 도시 공간 이용의 형태와 패턴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표로는 기존 오픈 스페이스(Open ... | 연구에 대한 기대효과는 크게 학문적, 기술적, 정책적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학문적 측면으로는 기존 조성된 오픈스페이스와 주변의 클로즈드스페이스를 연계하여 유휴공간의 활성화 및 입체적 요소를 고려한 공간을 탐색하고 자기 완결형 도시공간이라는 새로운 프레임을 개발하여 활용하는 선행연구들과의 차별성을 확보하였다. 아울러 자기 완결형 공간의 이상적 요소 및... | 도시계획,자기완결형 도시공간,공간 활성화,빅데이터 분석,CLUE 모델 | Urban Planning,Open-Closed Urban Space,Place Activation,Big Data Analysis,CLUE Model | 67521000 |
744 | 2021 | 집단연구지원(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5146 | 양자 기계학습 시뮬레이터 | Quantum Machine Learning Simulator | 최인찬 | 고려대학교 | 서울특별시 성북구 | 20200701 | 20230228 | 기타 정보기술 | 본 연구는 양자 기계학습을 위한 양자컴퓨팅 시뮬레이터(QSim)를 개발하고, 개발된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양자 기계학습 알고리즘과 현실대규모 문제의 해결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차별 달성하고자 하는 주요 목표는 다음과 같다.[1차연도] 실제 양자컴퓨팅 환경의 데이터 기반 오차 분석에 대한 연구* 실제 양자컴퓨팅 환경의 오차 모형 모수 추정 및... | [연구의 활용방안]* 단기적 활용방안 (3-5년)학문·기술적 활용방안: 양자 알고리즘 실험 수행을 위한 자유도와 접근성을 갖춘 테스트베드(Testbed)로써 활용사회·경제적 활용방안: 연구자 및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양자컴퓨팅 교육을 위한 교보재 및 연구용 공개 소프트웨어로 활용* 중장기적 활용방안 (5년-)학문·기술적 활용방안: 양자컴퓨팅 연구의 방향성... | 양자컴퓨팅,시뮬레이션,양자정보,양자 기계학습,의료 물류 최적화,실험계획,양자 알고리즘,양자 메타휴리스틱 | QuantumComputing,Simulation,Quantum Information,Quantum Machine Learning,Medical Logistics Optimization,Experimental Design,Quantum algorithm,Quantum Metaheuristic | 302301000 |
4077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7202 | 강인한 물체 추적을 위한 딥 메타 학습 기반의 방법론 연구 | Robust Visual Tracking via Deep Meta-learning based Methods | 최장훈 | 국민대학교 | 서울특별시 성북구 | 20210901 | 20260228 | 신호처리기술(영상·음성처리·인식·합성) | 기존의 물체 추적 알고리즘들의 경우, 추적하고자 하는 물체의 외양 정보가 조명 변화, 변형, 가려짐, 카메라 노이즈, 비슷한 물체의 등장 등의 다양한 요소로 인해 변화하는 경우 추적에 실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추적 실패 문제와 함께 알고리즘이 실시간 속도로 동작하지 못하여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성이 떨어지게 되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 | 본 연구의 결과는 자율주행 및 무인감시 분야와 비디오 이해 및 요약 분야에서의 산업적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제안하는 메타학습 기반의 갱신기법과 공간적 인코딩을 통한 맥락정보 활용기술을 사용하여 기존 물체 추적 알고리즘이 잘 동작하지 못하는 환경에서 비약적으로 성능을 높임으로써, 물체 추적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응용분야에서의 활용성을 높일 수... | 물체추적,메타학습,영상처리,지속적 학습,시계열정보,네트워크 가속화 | visual tracking,meta learning,image processing,video understanding,continual learning,network acceleration | 122650000 |
5221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5492 | 딥러닝과 데이터 기반 최적화 기법을 활용한 자율주행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시스템 운영 알고리즘 연구 | Operation of Autonomous Mobility-on-Demand system using deep learning and data-driven optimization | 여지호 | 한남대학교 | 대전광역시 대덕구 | 20210601 | 20240229 | 기타 정보기술 | 본 연구자는 미래의 교통시스템으로 대두되고 있는 자율주행 기반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시스템의 운영에 필요한 핵심 알고리즘을 연구하고자 한다. 특히,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시스템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딥러닝 기반의 모빌리티 수요예측 모델 및 차량 통행시간 예측 모델을 연구하고, 예측된 수요와 통행시간을 기반으로 차량의 움직임을 최적으로 제어하는 알고리즘을 연... | 1. 학술적 파급효과 딥러닝 기반의 교통 수요 추정, 통행 시간 예측, 모빌리티 서비스의 최적 운영 전략은 서로 깊은 상호연관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별적으로 연구가 수행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딥러닝/최적화 기법 등을 아우르는 통합적 연구를 한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가치가 있으며, 교통공학, 데이터마이닝, 인공지능 분야를 융합하는... |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시스템,자율주행 자동차,딥러닝,디지털 트윈 | Mobility-on-Demand,Autonomous vehicle,Deep learning,Digital twin | 40580000 |
7667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5865 | 군집 로봇의 지능형 운용을 통한 환경 적응형 영상 감시 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Environment Adaptive Video Surveillance System using Intelligent Management of Swarm Robots | 주영훈 | 군산대학교 | 전라북도 군산시 | 20210301 | 20240229 | 신호처리기술(영상·음성처리·인식·합성)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WSN기반 다중 클러스터형 군집 로봇의 지능형 운영 시스템을 통해 건물 내/외부, 화재, 도난등과 실제 환경에서 운용을 목표로 가지고 있으며 기존의 영상 감시 시스템과 네트워크의 연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기존의 고정형 영상 감시 시스템의 사각지대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환경 적응형 감시 시스템을 개발하... | - 최종적으로 개발되는 군집 로봇 기반의 감시 시스템은 임무에 따라 시스템의 변화 없이 다양한 환경에서 임무를 수행할 수 있어 활용 분야가 극대화 될 수 있으며 확장형 모니터링 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로봇을 임무에 추가적으로 투입하여도 이를 원활히 제어할 수 있음. - 본 연구과제에서 제안하는 네트워크 연계를 이용한 광역 감시 기술과 추적궤적 분석을 통한 ... | 군집로봇,영상 인식,환경 인식,자율주행,대형 제어 | Swam Robot,Image processing,Environment recognision,Autonomous navigation,Formation control | 86387000 |
7092 | 2022 | 국가표준기술개발및보급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498 | 디지털 트윈 기반 시설물관리 식별화 시각화 및 운영관리의 국제 표준 개발 |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standard for digital twinbased facility management identification and visualization and operation management | 정영수 | 명지대학교산학협력단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3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표준제안/제정_국제 NP 회람-ISTR: 3D Visualization Requirements for Life-cycle Facility Management (ISO Stage code 10.20)◎표준제안/제정_국제 NP 승인-ISTR: 3D Visualization Requirements for Life-cycle Facility Management ... | ◎우리나라 산업특성에 맞는 국제표준 개발을 통한 산업활동 수월성 제고 ◎국가 중점 경쟁상품의 해외 경쟁력 강화로 산업 활성화◎표준 활용을 통한 플랜트 시설 관련 중소기업의 기술력 향상, 생태계 전체의 고도화◎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패러다임 기술로 산업간 장벽 희석◎관련 분야의 융합적 발전 방향 모색 및 산업간 상호 협력 체계의 구축 | 시설물 관리,운영관리,식별,시각화,디지털 트윈 | Facility Management,Operation Management,Identifier,Visualization,Digital Twin | 156000000 |
4124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2391 | 소프트웨어 정의기반 트래픽 관리 시스템 아키텍처 연구 | Software-Defined Traffic Management System Architecture | 김도형 | 강원대학교 | 강원도 춘천시 | 20200601 | 20230228 | 기타 네트워크기술 | 현재 자율주행 기술들은 차량에 설치되어 센서들이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차량 개별적인 연산을 통해서 주행과 관련된 결정을 내리는 형태로 구현되고 있음. 이러한 차량 개별적인 의사결정은 도로 전체의 관점에서 볼 때 불가피하게도local optimal을 지향할 수 밖에 없음. global optimal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차량 간 혹은 차... | - 차량들이 국소적인 자율주행의 개념을 넘어서, 도로 전체의 뷰를 바탕으로 각자의 위치에서 최적의 주행을 할 수 있고, 또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들에 효과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면, 안전성 및 효율성이 극대화된 교통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전체적인 도로 상황을 바탕으로 교통 흐름을 제어/어시스트할 수 있는 아키텍처가 구현되면 이를 활용하여... | 소프트웨어 정의기반 트래픽 관리,컨트롤 플레인,인터렉션 플레인,차량 흐름 제어,통신 신뢰성 ,엣지 컴퓨팅,분 | Software-Defined Traffic Management,Control Plane,Interaction Plane,Traffic flow control,Communication Reliability,Edge Computing,Distributed Machine Learning Architecture | 50000000 |
5617 | 2021 | 산학연협력고도화지원(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6762 |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사업(실감미디어) | Convergence and Open Sharing System | 김지인 | 건국대학교 | 서울특별시 광진구 | 20210501 | 20270228 | 기타 정보기술 | □ 사업추진 목표 실감미디어 창의융합 공유대학구축 및 운영: 5,000명/년 수강생, 20개 이상 공동활용대학, 입학정원 20% 이상 학생에게 교육 기회 제공 실감미디어 분야 표준 교육과정 및 학사제도 개발: 수요자 중심으로 학생 맞춤형이며 산업 맞춤형으로 역량 중심 (국내외 표준 인증 및 상호인정) 교육과정, 신속하고 유연한 학사제도 혁신, 교... | 실감미디어 창의융합 공유대학은 표준 교육과정을 공유하여 수준 별로 전문 인재를 양성하므로, 전공자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기존의 제한적인 인재 양성 방식이나, 초급 인재를 양산하던 사교육 프로그램 대비, 사회 수요 기반 질적 및 양적 수준을 만족하는 핵심 전문 인력 양성이 가능함전국의 우수 교수진이 제공하는 교육 콘텐츠는 물론 세계 최고 품질의 실감미디어 교... | 실감미디어, AR, VR | Realistic media | 5100000000 |
5581 | 2021 | 민군기술협력(R&D)(산업부,방사청) | 다부처 | 국방과학연구소 | 9991007932 | 160도급 빔포밍 특성의 평판형 배열 안테나 시스템 개발 | 유종원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801 | 20250731 | 기타 정보통신 부품기술 | 현재 2-D 평면에 대해 90도 내외로 제한된 빔조향 성능을 160도급까지 빔조향이 가능한 배열 안테나를 개발하여 궁극적으로 세계 최초의 2-D 광각 빔포밍 배열 안테나 부품을 개발할 예정임 | C4ISR (Command, Control, Communication, Computers, Intelligenc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로 불리는 지휘통제 및 감시정찰정보의 전장관리 시스템 구축에 있어 빠른 정보 수집과 네트워크 내의 보안 통신은 효과적인 군 지휘체계에서 필수 요소임. 군사 기술의 경우 레이더 기반의 ... | 빔조향, 빔 조향, 평판형, 배열, 어레이, , , | Beam steering, Microstrip Array | 1810000000 | |
8213 | 2021 | CDM기반정밀의료데이터통합플랫폼기술개발(R&D)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2957 | 클라우드 기반의 CDM 시스템 고안정성 및 고가용성 확보를 위한 네트워크 보안 기술 연구 | CLOUD | 조재혁 |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 서울특별시 동작구 | 20190725 | 20211231 | 기타 정보기술 | ○ 클라우드 환경에서 CDM의 효율적 활용성 제고를 위한 자율방어형 정보보호 기술 개발과 법제도 및 정보보호 관리체계 개발□ 1년차 : 병원의 CDM 구축ㆍ활용을 위한 정보보호 기술 동향조사 및 현안 분석□ 2년차 : 클라우드 기반 CDM 구축ㆍ활용 시 지속적인 정보보호를 위한 정보보호 기술 및 관리체계 개발□ 3년차 : 클라우드 기반 CDM 특화 정보보호... | □ 데이터 교환 및 공유를 위한 공통데이터모델(CDM)의 정보보호 체계 확립 및 정보보호 기술적인 부분을 해결함으로써 공공/공익적의 목적연구 지원 및 의료 빅데이터 연구 활성화 촉진 ㅇ 민감·중요도가 높은 데이터(CDM)의 보안과 구축운영활용에 대한 국민적 기대에 부응하여 미래 의료가치 제고를 위한 국가 연구개발 과제로서의 상세한 성과 활용 방안(정보... | 클라우드 컴퓨팅,자율방어형 기술,정보보호관리체계,고가용성,인프라 보안 | Cloud Computing,Autonomous defense type Technology,ISMS,High Availability,Infra Security | 140000000 |
9030 | 2022 | 노지분야스마트농업기술단기고도화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6357 | 자율주행 농기계용 보급형 고정밀 측위, 자세 측정 및 내비게이션 시스템 개발 | 원문철 |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20401 | 20241231 | 기타 정보통신 부품기술 | ○ 최종목표- 자율주행 농기계 보급 확산을 위해 자율주행 핵심 부분인 고정밀 측위시스템(자동 선회 및 V2V 기능이 적용된 자율주행 제어기 추가 가능)과 Navigation 모니터(토양 맵 기반 경로 생성 SW 탑재)를 국산화하여 저가 보급형으로 제품화○ 세부목표- 농업기계에 특화된 IEKF 알고리즘 자체 개발- Cloud 기반 RTK 중계 서버 구축 및 ... | ○연구개발성과- 국내 지형적 특성과 인프라 부족으로 발생하는 Network RTK 음영 지역을 해결하기 위하여 Cloud 기반 RTK 중계 서버를 구축. 이동형 RTK 기준국을 개발하여 (주)TYM과 국제종합기계 대리점에 설치함으로써 Network RTK 음영지역 해소-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내환경성(IP68, ·20~+85℃ 72시간 연속동작, 열... | 자율주행,농기계,항법시스템,측위시스템,자세측정 | Autonomous,Agricultural machine,GNSS,Positioning System,AHRS | 80000000 | |
3345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9526 | 차세대 전송계층 프로토콜을 위한 혼잡제어 및 다중경로 기술 연구 | Study on Congestion Control and Multipath Technologies for Future Transport Layer Protocols | 조유제 | 경북대학교 | 대구광역시 북구 | 20190301 | 20230228 | 고속인터넷 네트워킹기술 | 최근들어 다중경로를 지원하기 위한 MPTCP와 신속한 웹 서비스를 위한 QUIC 등의 새로운 전송계층 프로토콜의 등장은, 그 동안의 TCP와 UDP 중심의 인터넷 패러다임에 가장 큰 변화가 오고 있다. 또한, 2016년 구글이 공개한 혼잡기반 혼잡제어 알고리즘인 BBR의 등장은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본 과제에서는 현재의 인터넷 및 통신환경의 변화... | (기대효과)- 차세대 전송계층 프로토콜을 위한 혼잡제어 및 다중경로 기반 기술 확보 - TCP BBR, MPTCP BBR, MP-QUIC 등의 핵심/원천 구현 기술을 확보- TCP BBR, MPTCP BBR, MP-QUIC 등의 국제 표준화에 기여- 미래 인터넷 전송계층 프로토콜 분야 전문 지식을 가진 고급 인력양성(활용방안)- MPTCP, QUIC, BB... | 차세대 전송계층 프로토콜,다중경로 전송계층 프로토콜,혼잡기반 혼잡제어 알고리즘,다중경로 기술,패킷 스케줄링 | Future Transport-Layer Protocol,Multipath TCP,QUIC,BBR,Congestion-based congestion control,Packet scheduling | 100000000 |
8408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4177 | 특성 정보 자동 생성을 통한 처음 보는 복합카테고리의 이미지와 비디오 생성 및 인식을 위한 제로샷 학습 기술 연구 | Research on Zero-Shot Learning for Unseen Image and Video Generation and Recognition of Combined Categories through Attribute Generation | 변혜란 | 연세대학교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20190301 | 20220228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본 연구는 복합카테고리 데이터셋의 이미지 및 비디오로부터 학습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은 처음 보는 클래스(unseen class)를 인식하기 위한 제로샷 학습(zero-shot learning) 기술 개발을 위하여 1. 학습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은 unseen 클래스의 이미지 및 비디오 생성을 통한 제로샷 인식 기술 2. 데이터셋에 정의되지 않은 특성... | 의사결정 원인을 해석하는 인공지능 기술로 활용가능- 대다수의 기존 인공지능 연구들은 모델의 의사결정 요인을 파악하기 어려우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XAI)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음 -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특성 정보 기반의 제로샷 학습 기술을 활용하여 의사결... | 제로샷 학습,복합카테고리,특성 정보,이미지 생성,비디오 생성 | Zero-shot learning,Combined category,Attribute,Image generation,Video generation | 200000000 |
5618 | 2021 | 집단연구지원(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1516 | 다층 다중 다종 구조를 가진 복잡계 네트워크 연구 | Multilayer multiple multiplex structured complex network study | 김재희 | 덕성여자대학교 | 서울특별시 도봉구 | 20210601 | 20240229 | 기타 정보기술 | 본 연구에서는 통계학, 컴퓨터공학, 소프트웨어, 사이버보안의 학문적 융합연구를 통해 다층 다중 다종 구조(multilayer multiple multiplex structure)를 가진 복잡계 네트워크(complex network)에 대해 통계적 모형 기반 이론, IoT 응용, 보안 그리고 효율적인 알고리듬을 개발하고자 한다. | 덕성여대의 통계학, ICT 전공자들로 구성된 기초연구실 연구팀은 ICT 융복합 연구역량을 집중하여 연구를 진행하게 되므로 융합된 공동연구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뿐만아니라 연구역량을 신장할 수 있으며 높은 연구역량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이다. 본 기초연구실에서 융합 기초연구를 지속하며 각 연구원이 해당학문분야 뿐만아니라 융합하는 학문분야 연구까지도 훈... | 복잡계 네트워크,사물인터넷,병렬 처리 알고리듬,프라이버시,다층다중구조,다중접속,HPC,확률화 블록 모형 | complex network,IoT,parallel processing,privacy,multilayermultiplex dynamic structure,multiconnected,HPC,stochastic block model | 450000000 |
4756 | 2021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 | 1711151069 | 협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지능형 에이전트 개발 | Developing an Intelligent Agent for Improving Group Productivity | 김주호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501 | 20211231 | 기타 정보기술 | [핵심 요소기술 1] 대규모 협업 데이터셋 구축 및 효율적인 구축 기법 개발,[핵심 요소기술 2] 인공지능 기반 협업 분석 엔진 개발,[핵심 요소기술 3] 실시간 대화형 협업 지원 에이전트 개발 | 데이터] 크라우드소싱 기반 협업 데이터 레이블링, [엔진] 단어 분석 엔진 개발 | 지능형 에이전트,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 ntelligent Agent, Human Computer Interaction | 50000000 |
5938 | 2021 | 4단계두뇌한국21사업(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35094 | 인공지능기반 초연결사회 IT융합 인력양성팀 | Research Team for IT Convergence in Hyper-Connected Society Based on AI | 김판구 | 조선대학교 | 광주광역시 동구 | 20200901 | 202708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창의적 콘텐츠 제작, 인공지능 기반 콘텐츠 전송 처리, IT융복합 서비스 기술을 토대로 산학연 구심점 역할을 통한 지역특화산업 활성화 및 고급 연구 인력의 장기적 양성- 전임교수 6명의 2G1T (2 Group 1 Team) 형태로 연구팀 구성 인공지능 기반 컨텐츠 및 서비스 기술 연구 그룹 초연결사회를 위한 데이터 전송 및 네트워킹 기반 기술 연구... | ○ 소속학과의 대학원 교육시스템 환경 개선- 교육연구팀 전용 eAdvisor 시스템 구축을 통한 융합 및 공동연구 활성화- 국내외 학생 교류, 국제 공동 연구 추진을 통한 국제화 교육역량 향상- 지역 산업체 맞춤형 교육, 직무 멘토링 등의 프로그램을 통한 우수 인재 배출○ 학제간 교육연구 활성화 (IT융합 교육연구 시스템 구축)- IT 기반의 융복합 AI ... | 인공지능, 초연결사회, IT융합, 지식처리 및 추론, IoT, 상황인지네트워크, 에너지ICT, 자율주행, 헬스케어 | Artificial intelligence, Hyper-connected Society, IT convergence, Knowledge processing and Inference, IoT, Situational Awareness Network, Energy ICT, Self-Driving, Healthcare | 139267000 |
3738 | 2021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2970 | 에지 컴퓨팅 환경에서 지능형 멀티 IoT 디바이스 제어 최적화를 위한 연합 강화 학습 | Federated Reinforcement Learning for Optimization of Intelligent Multi-IoT Devices Control in Edge Computing Environment | 한연희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 충청남도 천안시 | 20200601 | 202305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최근 딥러닝을 기반으로 ICT 기술이 한층 발전하고 있으며, 딥러닝을 기반으로 하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은 드론, 로봇, 자율 자동차, 스마트팩토리에서의 최적 제어를 위해 폭넓게 활용되기 시작했다. 본 과제에서는 단일 IoT 디바이스가 아니라 동일 타입의 지능형 멀티 IoT 디바이스가 여러 에지 도메인(Edge Domain)... | 본 과제의 연구책임자(RFC 5181, 5270, 7864 저자)가 활발히 활동 중인 IETF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는 최근 “AI in/for Network” 주제를 활발히 논의 중이다. 또한, IEEE NETWORK (Sept./Oct. 2019) 매거진 최신호에서는 Special Issue로 “Edge Intelligence for the Industr... | 강화 학습,연합 학습,네트워크 프로토콜,에지 컴퓨팅,지능형 IoT 디바이스 | Reinforcement Learning, Federated Learning, Network Protocols, Edge Computing, Intelligent IoT Devices | 50000000 |
4186 | 2022 | 기초연구기반구축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6255 | 의과학연구정보센터 | Medical Research Information Center (MedRIC) | 강길원 | 충북대학교 | 충청북도 청주시 | 20200301 | 20260228 | 기타 정보기술 | 의과학연구정보센터(MedRIC)는 의과학분야 기초 연구 데이터베이스인 한국의학논문데이터베이스(KMbase)와 임상연구를 위한 한국임상연구데이터베이스(KCT), 근거중심의학을 위한 코크란 번역 라이브러리(Cochrane Library)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기본으로 하여 최신 연구동향 분석과 국내와 국외의 연구자 네트워크 지원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개발 ... | 의학, 간호학, 치의학분야의 기초연구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핵심 연구정보 데이터의 분석 및 재가공을 통하여 의과학 연구자들의 기초연구 활성화에 기여한다.1. 코로나19 보건위기 및 국가재난 대응을 위한 신뢰성 있는 연구정보 및 최신 국내·외 연구동향 파악하여 국민 보건의료 질 향상에 기여한다.2. 한국임상연구데이터베이스(KCT), 한국의학논문데이터베이... | 의학연구정보,간호학 연구정보,치의학 연구정보,기초의학 연구정보,임상의학 연구정보,연구경향정보,한국임상연구데이 | Medical Research Information,Nursing Research Information,Dental Research Information,Basic Medicine Information,Medical Science Information,Research Trend Information,Korean Clinical Trail Database,E... | 300000000 |
7217 | 2022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53848 | 차세대 서비스를 지원하는 Empowered Edge를 위한 머신러닝 기반 데이터 처리 핵심기술 연구 | Research on Machine Learning based data process for Empowered-Edge supporting the Next Generation Service | 김경태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경기도 | 20220601 | 20250531 | 기타 네트워크기술 | 본 과제에서는 실시간성 대규모 데이터를 에지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여 지능적으로 수집 및 처리하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 확보, 데이터 전송 지연 감소 및 에너지 효율성 향상을 통해 메타버스 및 AIoT 같은 고차원 데이터 처리 및 추론 기반의 차세대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차세대 서비스를 지원하는 Empowered Edge를 위한 머신러닝 기반 데이... | ● 연구결과의 활용방안: 본 과제에서 개발되는 기술들은 에지 노드에서 데이터 정확성 및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하고 효율적 실시간 데이터 처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실시간 처리가 중요한 AIoT 서비스 관련 업체에 즉각적인 기술이전이 가능함. 특히, 자율주행차, 촉감인터넷 등 실시간 상호 작용의 저지연 서비스와 VR, AR을 포함한 메타버스와 같은 실감형 광대... | 에지 컴퓨팅,Empowered Edge,머신러닝,실시간 데이터 처리,초저지연/초저전력,에너지 효율,메타버스, | Edge Computing,Empowered Edge,Machine Learning,Real-time data processing,Ultra Low LatencyUltra Low Power,Energy Efficiency,AIoT,Next Generation Service | 37500000 |
7668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6340 | 포괄적 맥락 인식 기반 다중 물체 추적을 위한 AI 통합 기술 연구 | Research on AI integration technology for comprehensive context-aware multiple object tracking | 이상윤 | 성공회대학교 | 서울특별시 | 20220301 | 20240229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본 연구는 다중 물체 추적을 함에 있어 포괄적 맥락 인식 기반 통합 AI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기존 연구에서는 물체를 추적함에 있어 그 사전 단계인 검출 단계를 위한 AI 모델과 검출된 결과를 종합하여 물체를 추적하기 위한 AI 모델이 분리되어 있고, 각각을 독립적으로 개발하여 적용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각각의 모델이 물리적, 상황... | 본 연구를 통해 확보한 AI 기술은 추적 대상의 의도와 맥락을 더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향상된 추적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적용 시 향상된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첫 째, 이상 행동 감지 기능이 탑재된 감시 카메라 시스템. 둘 째, 자율 주행이나 지능형 로봇 등 동적 환경에서 맥락적 상황 인식과 판단이 중요한 분야.... | 다중 물체 추적,맥락 이해,물체 검출,딥러닝,다중 작업 학습 | Multiple object tracking,Context awareness,Object detection,Deep learning,Multi-task learning | 30964000 |
4137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1584 | 가변 환경에서 OLED 열화의 비선형성과 인과성 모델링 | Modeling of nonlinear and causal characteristics of OLED degradation under variable operating condition | 이재상 | 서울대학교 | 서울특별시 관악구 | 20200301 | 20230228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1. 최종 연구목표 - 가변환경에서 열화하는 OLED 성능의 비선형성과 인과성을 분석하고, 이를 예측하는 물리모델 개발 2. 세부 목표 - OLED 내 polaron, exciton의 단독반응 및 상호작용이 열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 용어 정의: OLED 열화란 소자 구성물질이 붕괴되면서 열화 부산물 (이하, 부산물)이 생성되고, 부산물에 의해 pol... | 본 연구에서 OLED 열화 메커니즘을 규명하여 가변 환경에서 소자 열화를 정밀하게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할 수 있음. 단기적으로, 번인 보상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제품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음. 장기적으로는 학습된 이론을 바탕으로 장수명 소자 및 물질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됨. 나아가 인광 OLED로부터 학습된 방법론을 확장시켜, 다양한 발광 메커니즘 기반... | 유기발광 다이오드,열화 메커니즘,물리 모델링,수명 예측,열화 인과성,열화 비선형성,가변동작환경,디스플레이,번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Degradation mechanism,Physics-based modeling,Lifetime prediction,Causality of degradation,Nonlinearity of degradation,Variable operating condition,Display,Algorithm for bu... | 150000000 |
8105 | 2021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R&D,정보화)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34733 | 코드 분석과 오류 마이닝이 결합된 SW 오류 자동 수정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Automated Program Repair Technology by Combining Code Analysis and Mining | 이광근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서울특별시 관악구 | 20210401 | 20241231 | 기타 정보기술 | o 최종목표: 코드 분석과 오류 마이닝이 결합된 SW 오류 자동 수정 기술 개발o 최종결과물: ● SW 오류 자동 수정 기술(알고리즘) ● 개발 기술을 구현한 전자동 SW 오류 수정 도구(공개SW(서버탑재형SW))o 주요 기능(또는 규격) ● 대상 프로그래밍 언어: C, C++, Java, Python ● 대상 오류: 테스트 케이스로 주어지는 임의... | (1) 기술적 측면 ● 기술 선도: 소스코드의 오류를 자동으로 수정할 수 있는 원천기술의 개발로 IoT, 5G와 같은 소프트웨어의 안전성 확보가 필수적인 산업의 안정적인 발전 가능 ● 세계최초/세계최고 기술 개발: 소프트웨어의 취약점 및 오류를 사전에 검출하는 기존 기술을 넘어서 오류를 사전에 자동으로 없애주는 원천기술을 보유하여 소프트웨어 보안/품질 ... | 공개 오류 수정 도구 개발,소프트웨어 개발 생산성,소프트웨어 분석 및 마이닝,소프트웨어 오류 자동 수정,자동 디버깅 | Automated Debugging,Automated Software Repair,Development of open source SW repair tools,Software Analysis and Mining,Software Development Productivity | 900000000 |
988 | 2021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4309 | 적외선 광학유리의 장파장 투과단과 굴절률 분산의 조성 의존성 연구 | Compositional dependence of infrared transmission edge and refractive index dispersion of infrared optical glasses | 최용규 | 한국항공대학교 | 경기도 고양시 | 20180601 | 20230531 | 기타 정보통신 부품기술 | - 다성분계 칼코지나이드 조성 및 산화물 조성 기반 적외선 광학유리의 장파장 투과단 거동의 측정과 정량적 해석- 단일 평균 조화 진동자(single average harmonic oscillator; SAHO) 모델을 통한 적외선 투과단의 조성 의존성 파악 - 혼합 유리형성제 기반 광학유리(예: oxy-sulfide 유리, sulfur-selenide 유리... | - 유리 소재는 태생적으로 각종 물성의 조성 의존성을 이론적 기초에 의하여 계산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fully empirical 또는 semi-empirical한 방법론에 의존하여 조성을 탐색하고 있으나, 본 제안에서는 세계 최초로 광학유리 소재의 적외선 투과단을 조성과 연관하여 정량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SAHO 모델의 일반성 및 타당성을 확인할... | 적외선 광학유리,적외선 투과단,굴절률 분산,단일 평균 조화 진동자 모델,적외선 투과 렌즈,적외선 카메라,칼코 | Infrared optical glasses,Infrared transmission edge,Refractive index dispersion,Single average harmonic oscillator model,Infrared transmitting lens,Infrared camera,Chalcogenide glasses,Heavy metal oxi... | 50000000 |
4263 | 2021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5142 | 모바일 딥러닝을 적용한 사용자 위치 기반 실시간 UVI 정보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Real Time UVI Information System based on user location using mobile deep learning | 오승택 | 공주대학교 | 충청남도 공주시 | 20200601 | 202205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모바일 딥러닝을 적용한 사용자 위치 기반 실시간 UVI 정보시스템 개발 (인체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해 적정 자연광 노출을 지원하는) 모바일 딥러닝 기술을 적용한 사용자 위치의 자외선 지수(UVI)와 예상 비타민D 합성량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간 UVI 정보 시스템 개발 | - 기존 자외선 정보서비스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지역 거점 측정소의 UV 값 또는 고가의 광 계측 장비를 통해 수집한 측정값을 이용하지만 본 연구는 실측(2017~)을 통해 수집한 자연광의 Spectral Raw Data, UV, 조도, 색온도 등 자연광의 특성 및 상관관계를 분석한 후 이를 적용하여 DNN 모델을 구현하였으며 실측 자연광 DB는 타 건강... | UVI,모바일 딥러닝,사용자 위치 기반,UVI 정보시스템,실시간 UVI | UVI,Mobile Deep Learning, User Location, UVI information system, Real-time UVI | 50000000 |
3504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2524 | 기계학습을 위한 성긴 방법론에 대한 연구 | Study of sparse methods for machine learning | 김용대 | 서울대학교 | 서울특별시 관악구 | 20200301 | 20250228 | 기타 정보기술 | 기계학습에서 사용되는 성긴(sparse) 방법론의 이론적 연구를 진행하고, 이론적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성긴 방법론을 개발한다. 성긴 방법론에 대한 연구는 lasso (Tibshirani, 1996) 벌점함수 이후로 고차원 선형회귀모형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다양한 성긴 벌점함수들이 제안되었고 좋은 이론적 성질들이 증명되었다. 하지만, 성긴... | 본 연구가 성공적으로 수행이 되면 기계학습에 대한 이해가 크게 증가할 것이며, 다양한 기계학습 분야에서 새로운 국제적 연구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의 이해와 성능향상을 넘어서서, 인공지능에 대한 연구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현재 매우 복잡하고 거대한 딥러닝 모형이 실제 문제 해결에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 | 기계학습,딥러닝,확률적 학습 알고리즘,온라인 학습 알고리즘,희소성, 성긴,정칙화,미니맥스 최적성 | Machine learning,Deep learning,Stochastic learning algorithm,Online learning algorithm,Sparsity,Regularization,Minimax optimality | 250000000 |
2937 | 2021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5791 | 피부영상을 이용한 강인한 활력징후 측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Robust Vital Signs using Skin Image | 홍광석 | 성균관대학교 | 서울특별시 종로구 | 20180601 | 20210531 | 신호처리기술(영상·음성처리·인식·합성) | 본 연구는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피부영상을 이용한 강인한 비접촉식 활력징후 측정 기술 개발을 최종 목표로 한다.1차년도에는 다양한 환경(실내, 자동차, 드론환경 등)에서 피부영상을 이용한 활력징후 측정의 기본이 되는 맥파 및 맥박을 추출하는 기술을 개발한다. 2차년도에는 피부영상을 이용하여 다양한 환경(실내, 자동차, 드론환경 등)에서 활용 가능... | - 전쟁과 지진 등의 재난/재해 환경에서는 측정자가 직접 신속하게 활력징후를 측정하는데 어려움을 갖는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기술은 드론 환경의 경우 위와 같은 재난/재해 상황에서 좀 더 빠르고 효율적인 활력 징후가 측정가능하게 됨으로써 구조상황을 비롯한 긴급 상황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중요성을 가진다.- 최근 수년간 운전자의 피로,... | 피부영상,활력징후,생체신호 | skin image,vital signs,biosignal | 12500000 |
4501 | 2021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5461 | 스마트카의 실시간 상황인지를 위한 임베디드 시스템 | An embedded system for real-time context awareness of smart cars | 문병인 | 경북대학교 | 대구광역시 북구 | 20160601 | 20220531 | 집적회로기술 | 본 연구는 스마트카를 위한 실시간 상황인지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이며, 실시간 상황인지 기술은 최근 관심과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ADAS를 위한 기반 기술이다. 기존 ADAS를 위한 주변상황인지 기술 연구는 알고리즘 레벨의 정확성 향상에 집중되어 있으며 실시간 성능을 위한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 | ○ 기대효과ㆍ실시간 상황인지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을 위한 핵심 기술 확보ㆍ실시간 주변 상황인지 기술의 응용분야 발전에 기여ㆍ실시간 상황인지 임베디드 시스템 에 관한 지적재산권 확보ㆍ주변 상황 인지에 관한 이론 및 시스템 설계능력을 겸비한 고급 설계인력 양성에 기여○ 응용분야ㆍ차량용 자율주행 시스템을 위한 운전자 지원 시스템ㆍ자율주행 지능형 로봇을 위한 3차... | 스마트카,주변상황인지,임베디드 시스템,소프트웨어-하드웨어 융합처리 | smart car,context awareness,embedded system,software-hardware co-processing | 49960000 |
3791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8222 | Multi-source 동적 그래프 임베딩을 통한 Story Analytics | Multi-source Event Detection by Dynamic Graph Embedding | 정재은 | 중앙대학교 | 서울특별시 동작구 | 20200301 | 20230228 | 정보검색 및 DB기술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수행한 Multisource 데이터 처리 프레임워크 연구를 기반으로 스토리의 전산학적 해석을 위한 Story Embedding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기반으로 Knowledge Graph Embedding 프레임워크를 설계함으로서 다양한 분야의 실용적인 Storification 서비스 구현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Story의 임베딩과 이를 바탕으로 한 Storytelling을 고려한 Knowledge Graph Embedding을 목표로 한다. 이는 인간의 가장 보편적인 지식 전달 매개체인 이야기를 지식의 표현에 고려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지며, Vector Embedding을 바탕으로 Storytelling 방식을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다는 데서... | 동적 그래프 임베딩,멀티 소스 데이터 스트림,스토리 분석 및 이해 | Dynamic Graph Embedding,Multisource Data Stream,Story Analytics and Understanding | 100000000 |
7693 | 2022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7897 | mmWave 대역 기반 지향성 안테나를 활용한 Flying Ad Hoc Network 핵심 기술 연구 | A Research of Core Technologies for Flying Ad Hoc Network based on mmWave Band using Directional Antenna | 나웅수 | 공주대학교 | 충청남도 공주시 | 20200601 | 20230531 | 기타 네트워크기술 | ■ 본 연구에서는 FANET 환경에 적합한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는 mmWave 환경을 가정 (상공에서의 LOS 형성 원활, 낮은 네트워크 Density에서 먼거리 전송이 용이함), 1) 비행 물체 위치정보 기반의 Directional MAC 간섭 회피 및 Deafness 복구 기술, 2) 비행 물체 위치정보 기반 Directional FANET MAC S... | ■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한 무선 네트워크 산업에서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면 사용 주파수 대역의 절감을 통하여 가용 채널 확보, 공간 재사용을 통한 무선 공간 효율성 증대 등의 많은 네트워크 산업 전반에 크게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함.■ 현재 많은 표준화 단체 및 연구단체에서 개발되는 무선기기들은 전방향성 안테나 사용으로 인하여 공간 재사용의 이점이 없어 통신... | FANET,애드 훅 네트워크,지향성 안테나,mmWave 대역 | FANET, Ad hoc networks, Directional antenna, mmWave frequency | 50000000 |
940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9896 | OOFDM과 리슬리 프리즘 기반 6축 자유도를 가지는 4차원 라이다 연구 | Research of 4D LIDAR with 6 DoF based on OOFDM and Risley Prism | 박용완 | 영남대학교 | 경상북도 경산시 | 20210901 | 20250228 | 기타 정보기술 | * OOFDM과 리슬리 프리즘 기반으로 6축 자유도를 가지는 4차원 라이다 ■ OOFDM과 리슬리 프리즘 기반의 센서를 다중동시 운영하여 360° 고속 측정 각 채널에서는 무작위로 m개의 주파수를 선택한 후, AES 암호화 데이터를 FHT 기반의 OOFDM를 이용하여 채널별 신호로 생성 채널별 신호들은 무작위로 128개 파장을 선택하... | 라이다는 4차 산업 혁명의 눈 역할로, 특수 산업 분야에서 일상으로 사용 범위가 확대되어 2024년 60억 달러 규모의 시장 3D 거리 영상은 미래 모빌리티의 주변 환경 인지와 장애물 탐지를 위한 핵심기술 국내에선 능동 안전 실행을 위해 라이다를 자율주행 자동차에 적용하는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일부 자동차에 탑재하여 출시하였음 국내에는 ... | 라이다,도심 항공 모빌리티,청정 난기류 탐지,OOFDM,DWDMA,리슬리 프리즘 | LIDAR,Urban Air Mobility,Clear air turbulence,OOFDM,DWDMA,Risley Prisms | 61267000 |
8217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3723 | 잠재적 위기 해결을 통한 신뢰할 수 있는 자율주행용 AI 기반기술 연구: 저전력상황, 이상상황, 보안 위협 | AI technology for reliable autonomous driving by coping with potential crises - low power, abnormal situations, and security threats | 곽노준 | 서울대학교 | 서울특별시 관악구 | 20210301 | 20260228 | 신호처리기술(영상·음성처리·인식·합성) | 최종목표: 자율 주행용 AI를 상용화 할 때 잠재적으로 발생 가능한 특정 상황들에서의 취약점 해결을 위한 기반기술 마련- 세부목표 1: 본 연구에서는 모델 압축( 양자화; quantization, 가지치기; pruning, 지식전이; knowledge transfer )를 통해 저전력 및 자원이 부족한 환경에서 심층신경망의 성능저하를 최소화한다. 또한, 새... | 1. 저전력 상황을 고려한 효율적인 심층 신경망: 현재 SOTA를 기록하는 딥러닝 알고리즘은 자원이 풍부한 환경을 고려하지만, 연구를 넘어 실제로 상업화를 위해서는 훨씬 열악한 환경에서 성능을 유지하는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경량화된 물체 검출 알고리즘과 심층신경망의 압축 방법을 연구함으로써 기존보다 비약적으로 적은 연산량을 필요로 하는 실시간... | 인공지능,심층 신경망,자율 주행,저전력/저사양,이상 상황,적대적 보안 위협,신뢰성 | Artificial Intelligence,Deep Neural Networks,Autonomous Driving,Low Power Low Resource,Abnormal Situations,Adversarial Security Threats,Reliability | 409090000 |
6519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0558 | 친환경 영상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코드 설계 | Network Code Design for Eco-friendly Video Communications | 유동호 | 한남대학교 | 대전광역시 대덕구 | 20210901 | 20230228 | 4세대 이동통신 | 1. 연구개발과제의 내용 영상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처리하고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소스코딩, 네트워크 코딩, 채널코딩, 변조와 같은 다양한 통신기술들의 적절한 융합이 필요 그중 네트워크 코딩은 5G에서 지향하는 대규모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다중 연결(multi-connectivity)의 성능을 향상을 시킬 수 있는 것으로 검증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네트워... | 1. 연구개발과제의 활용방안 본 연구는 인터넷 트래픽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영상 데이터 전송 시 발생하는 전력 소모, 지연 시간 등의 문제를 다루지만 더 심도 있고 지속 가능한 연구개발로 이어지는 것이 반드시 필요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초기 결과들을 활용하여 코로나 팬데믹 이후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실시간 영상 통신 프로토콜과의 확장결합... | 친환경 영상통신,친환경 네트워크 코드,차세대 영상통신 시스템,저전력 소모,고신뢰 저지연 통신 | Eco-friendly Video Communications,Eco-friendly Network Codes,Next-generation Video Communicaion System,Low-power Consumption,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 | 15651000 |
7301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9191 | 이온트랩 기반 10-km 떨어진 양자 얽힘 상태 생성 방법 연구 | Development of ion-trap based, 10-km quantum entangled state generation method | 김태현 | 서울대학교 | 서울특별시 관악구 | 20200301 | 20250228 | 정보보안 및 암호기술 | - 과제목표 : 양자 암호 시스템의 장거리 적용에 필요한 10-km 이상 떨어진 2개의 양자 메모리에 저장된 양자 얽힘 발생 방법 연구개발 및 이를 이용한 양자 암호키 분배 기술 확보중간 단계에서 디지털 값으로의 변환없이 수백 또는 수천 km 떨어진 양끝 단 노드 간의 양자 얽힘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전체 거리를 여러 개의 수십 km 구간으로 나누고 각각의 ... | 이온 트랩 기반의 양자 얽힘 발생 실험은 첫번째 실험이 2007년도에 이루어졌는데도 불구하고 2대의 이온 트랩 시스템을 동시에 제어해야 하는 실험적인 난이도로 인하여 최근까지 Maryland대학이 유일하다가, 12년 만에 Oxford대학 그룹에서 두 번째로 성공함. 본 연구팀은 이온트랩 기반의 양자 얽힘 생성 관련 실험을 상대적으로 일찍 시작하여 이에 필요... | 이온트랩,큐비트,양자 얽힙,양자 키 분배,미소 전자 기계 시스템,파장 변환,동조 냉각,양자 네트워크 | Ion trap,Qubit,Quantum entanglement,Quantum key distribution,MEMS,Wavelength conversion,Sympathetic cooling,Quantum Network | 400000000 |
3691 | 2021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4931 | 부호이론을 이용한 딥러닝 기반의 그룹검사 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Deep Learning based Group Testing Systems using Coding Theory | 성진택 | 목포대학교 | 전라남도 무안군 | 20200601 | 20240531 | 기타 정보기술 | ■ 최종 연구목표: 부호이론(Cod ing Theory)과 딥러닝(Deep Learn ing) 기반의 디코딩 방법을 이용한 그룹검사(Group Testin g) 시스템 개발■ 세부 연구목표첫째, 결함 샘플을 찾기 위해 해석 가능한 딥러닝 디코딩 방법 개발둘째, 비지도 학습과 부호이론 기반의 그룹행렬(Group Matrix) 설계셋째, 다중 접속 채널과 디지... | ■ 기초연구 생태계 조성: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연구활동이 전문한 상태이므로 연구결과를 확산하고 기초 연구가 활성화 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에 의미가 있다■ 정부 R&D 정책 기여: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4차 산업혁명에서 요구하는 자율적 판단, 자가학습, 무인화 등의 미래 사회에서 이용하게 될 핵심 기술을 확보할 수 있는데 일조할 것이다.■ 학문적... | 그룹검사,딥러닝,부호이론,그룹행렬,LDPC코드,비지도 학습,디코딩,다중 접속 채널,디지털 포렌식 | group testing, deep learning, coding theory, group matrix, LDPC code, unsupervised learning, decoding, multiple access channel, digital forensic | 50000000 |
8454 | 2021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 | 1711151977 | 코로나대응 과학기술뉴딜사업 | Mobile Clinic Module Project | 배충식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801 | 20221231 | 기타 정보기술 | 감염병으로 인한 국가적 의료재난 극복을 위한 항감염 첨단 방역시스템의 신속 개발 및 포스트 코로나 시대 신산업 창출 | 코로나19 2차 확산과 신변종 바이러스 발생 시 의료 인프라 부족에 대한 대비 및 세계적 주목을 받고 있는 K-방역의 기술과 제품 고도화를 통한 K-방역의 지속가능한 발전기반 확보 | 항감염 이동형 병원모듈 | Mobile Clinic Module for Infectious Disease | 388000000 |
8595 | 2022 |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복지부)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6700 | 치매연구정보통합연계시스템구축 버젼1 | Dementia Platform Korea, DPK, version 1 | 묵인희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서울특별시 관악구 | 20201201 | 20281231 | 정보검색 및 DB기술 | 체계적 대규모 치매 데이터 관리 및 월활한 연구자료 활용, 연구성과 확산 및 실용화 촉진을 위한 치매 연구정보 통합.연계시스템 구축1. PIRD (Platform for Integrating Research Data, 통합연구데이터 플랫폼)* 사업단 내 연구과제에서 생성되는 모든 메타데이터의 효율적 저장/관리 및 검색/활용* 다른 3개 플랫폼(PMRP, P... | 치매연구정보 통합 연계 시스템 DPK의 개발을 통한 다방면 치매 연구 활성화 및 치매 진단. 예측 및 치료.예방 기술의 실용화를 통한 치매 문제해결 1. PIRD (Platform for Intergrating Research Data, 통합연구데이터 플랫폼)* 치매 임상시험에 관심있는 일반인들에게 PIRD를 통한 각종 임상시험 정보 및 치매 관련 정보를 ... | 치매 데이타베이스,치매연구정보 플랫폼,기초임상통합레지스트리,데이타표준화,생체시료 | Dementia database,Dementia Research information platform,basic clinical association registry,data standardization,bio originated samples | 375000000 |
6180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8858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전자장치용 투명 휨 센서 개발 | Transparent bending sensor for flexible displays and electronics | 이지훈 | 전북대학교 | 전라북도 전주시 | 20190601 | 20220228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 본 연구과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전자장치용 용 투명 휨 센서 (bending sensor) 개발에 대한 연구임. 선행 과제에서는 plastic 기판의 bending 시 polarization이 발생하는 flexoelectric effect에 기반하여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소재에 대한 연구가 핵심이었음. 후속 과제에서는 선행 과제의 연구결과... | ● 본 연구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투명 bending sensor에 대한 연구로서, 향후 급성장이 예상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전자장치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소재, 부품에 대한 연구임. 향후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의 가격경쟁력 및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 꼭 필요한 연구임. 특히 최근 들어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의 디스플레이 산업 및 중국 학계의 bendi...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휨 센서,압력 센서 | Flexible display,Bending sensor,Pressure sensor | 100000000 |
752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8130 | 노인 당뇨병 환자용 디지털 치료제를 위한 인공지능 기반 영양평가 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an AI-based Dietary Assessment System for Digital Therapeutics to Support Older Adults with Diabetes | 정형구 | 서울시립대학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20200301 | 20230228 | 기타 정보기술 | -연구목표: 본 연구에서는 노인 당뇨병 환자가 수집한 이미지 데이터 및 이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의료진들이 환자들의 영양상태 평가에 활용토록 함으로써 환자들에게 식사지침 및 실천사항을 텍스트 및 이미지 형태로 제공해주는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을 목표-연차별 목표1) 1차년도 목표: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하는 음식 이미지 데이터셋을 확보해... | 총 3년에 걸친 본 연구를 통해 노인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영양평가방법 정확도를 높이고, 노인 당뇨병 환자, 영양사, 가족 구성원 등 영양평가과정에서 직접적 및 간접적으로 상호작용을 주고받는 이해관계자들이 어떤 식으로 새로 제안된 방법론들을 활용하는지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인공지능, 의료정보학, 영양학 등 서로 다른 분야에서 쓰이는 방법론들이 융합... | 인공지능,당뇨병,노인,영양평가,24시간 회상법,건강관리,헬스케어,의료정보학,빅데이터 | Artificial Intelligence,Diabetes,Older Adults,Dietary Assessment,Health Management,Healthcare,Health Informatics,Big data | 30000000 |
7467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7552 | 6G 대용량 데이터 송수신 및 보안 강화를 위한 다중빔 공간 벡터 결합 기술 연구 | Spatial multi-beam vector combined and controlled technique for 6G massive data transmission and security enhancement | 이한림 | 중앙대학교 | 서울특별시 동작구 | 20190901 | 20230228 | 기타 정보통신 부품기술 | 5G 통신망이 본격적으로 구축됨에 따라, 밀리미터파를 사용한 대용량 MIMO (이하 massive-MIMO) 통신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음. 현재 5G는 밀리미터파 대역에서의 기술적 한계로, 밀리미터파가 보조 기술로 사용되지만, 이후 6G 생태계에서는 초저지연, 대용량 고속 통신을 위해 mmWave 및 THz 근접 대역이 핵심 주파수 대역으로 사... | 급증하는 데이터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한 5G 및 5G를 넘어선 차세대 6G전파 응용기술 분야의 새로운 원천기술을 확보할 수 있음. 현재 5G 및 기타 밀리미터파를 활용한 빔포밍 기술은 단일 IC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연구 또는 일반적인 안테나를 활용한 배열 구조에서의 제한적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음. 하지만, 본 연구는 대용량, 초성능 차세대 통신 시스템 ... | 밀리미터파 빔포밍,대용랑 MIMO,6G 전파시스템,다중빔 송수신,고효율 고출력 증폭기,MIMO 배열 안테나, | mmWave beamforming,massive-MIMO,6G wireless system,multi-beam TRX,Highly efficiency HPA,MIMO array antenna,RFIC,Spatial vector combined technique | 100000000 |
2351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3000 | 뉴럴-심볼릭 모델의 지식학습 및 추론기술 개발 | Developing the Neural-Symbolic Learning and Reasoning Technology | 차정원 | 창원대학교 | 경상남도 창원시 | 20210601 | 20240229 | 기타 정보기술 | 1. 외부 심볼지식을 신경망에 내재화하여 학습하는 기술2. 심볼지식 내재화 표현, 저장하는 기술3. 불확실성을 반영한 확률적 추론 기술4. 신경망 학습 모델에서 귀납 학습에 의해 심볼지식을 생성하는 기술 | 가. 기술적 측면1) 뉴럴-심볼릭 통합 확률 추론을 이용하면 기존의 딥러닝이 가지는 한계점을 극복2) 종단간 학습 및 추론3) 기억의 장기 유지와 외부지식과의 통합 학습, 대용량 학습 데이터 요구 극복나. 경제적, 산업적 측면1) 디지털 비서, 법률 상담봇 등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에 적용한 가능2) 인명을 다루는 응용이나 원자력 발전, 국방분야와 같은 고... | 뉴럴-심볼릭,통합추론,딥러닝,심볼지식,지도학습,비지도학습,종단학습,지식그래프,지식그래프 임베딩 | Neural-Symbolic,Hybrid Reasoning,Deep Learning,Symbol Knowledge Supervised Learning,Supervised Learning,Unsupervised Learning,End-to-End Learning,Knowledge Graph,KG embedding | 42898000 |
6668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7448 | GANs를 활용한 기술로드맵 작성 및 유망기술 발굴 알고리듬 개발 | Development of a GANs-based algorithm for technology roadmapping and promising technology exploration | 윤병운 | 동국대학교 | 서울특별시 중구 | 20190901 | 20220228 | 정보검색 및 DB기술 | 최종 연구목표- 본 연구 과제는 3차 년도에 걸쳐 수행되며, 1차 년도에는 기술정보 분석을 위한 GANs 알고리듬 적용개념 정의 및 기술로드맵 작성 모듈 개발, 2차 년도에는 GANs 기반 텍스트분석을 통한 유망기술 발굴 모듈 개발, 3차 년도에는 GANs 기반 기술구조 분석을 통한 융합기술 발굴 모듈 개발 및 모듈 간 통합 구축을 목표로 연차별로 진행하여... | 학문적 관점에서의 기대효과- 네트워크, 텍스트, 모폴로지 형태의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GANs 알고리즘을 제시함으로써 이미지 데이터에의 적용에 국한되어 있는 GANs 알고리즘 확장에 기여할 수 있음- 기술을 구성하는 기본단위인 기술 DNA라는 개념을 새로 제시하고 생명체의 진화이론등을 기술에 결합하여, 기술진화 및 기술 개발을 위한 새로운 학... | 생성적 적대 신경망,인공지능,딥러닝,기술로드맵,유망기술,형태분석,기술 유전자,융합기술 |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Artificial Intelligence,Deep Learning,Technology Roadmap,Emerging technology,Morphology analysis,Technology DNA,Technological convergence | 100000000 |
3827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9743 | 대립적 위협 모델에 대응하는 심층신경망의 방어 기법 연구 | Study on defense methods of Deep Neural Network against Adversarial threat Models | 김종원 | 상명대학교 | 서울특별시 종로구 | 20200901 | 20230228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딥러닝의 도입으로 다양한 영상 식별의 문제를 해결하고 인간의 시각지각 한계를 넘어서게 되었으나 여전히 위협공격에 대한 취약성을 나타내고 있음.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취약점을 개선하고 대립적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강인한 심층신경망을 연구하고자 함. 이를 해결하기위해서 망막을 통해서 유입된 시각 정보를 각각의 시각령에서 단계별로 처리하면서 초기지각과정에서 ... | 교통사고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연간 39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며 우리나라 1년 예산의 10분의 1에 육박하는 규모임. 심층신경망에 대한 연구는 후발주자로써 선발국에 의존적으로 로열티비용이 지출될 수밖에 없으나 위협공격에 강인한 심층신경망에 대한 연구는 초기수준이라 충분한 경쟁력을 갖고 경제적 수입을 창출할 수 있음.위협공격에 강인한 심층신경망의 원천기... | 대립적 위협,심층신경망,진화알고리즘,앙상블 신경망 | Adversarial threat,deep neural network,evolution algorithm,ensembel neural network | 44470000 |
2906 | 2021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5993 | 딥 러닝 알고리즘 및 연산 소프트웨어 플랫폼 개발을 통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시그널링 오버헤드 최소화에 대한 연구 | Deep Learning Algorithms and Processing Software Platform for Minimizing Signaling-Overhead in Cellular Systems | 왕한호 | 상명대학교(천안캠퍼스) | 충청남도 천안시 | 20180601 | 20210531 | 기타 정보통신 부품기술 | 5세대 이동통신 표준인 3GPP NR Phase-I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2017년 11월 30일부로 일단락되었다. 5세대 이동통신 표준화에 전제된 설계 철학은 정형화된 전송 방법 탈피로 요약될 수 있다. 5세대 이동통신에서 추구하고 있는 전송 방법의 다양성은 필연적으로 제어 신호량의 증가로 귀결된다. 이와 관련하여 이전 3GPP LTE 시스템 대비 추가... | (1) 무선 통신 기술 관점● Signaling overhead를 감소시킴으로써 실질적인 data 전송률이 증대됨● 딥러닝에 의한 접근방법으로 signal detection 및 channel estimation에 의해서만 구현 가능함● 전통적인 모뎀 구조를 탈피하여 새로운 형태의 송수신 구조가 제안될 수 있음(2) 딥러닝 기술 관점● 이동통신 분야로 딥러닝... | 딥러닝,제어신호 최소화,참조신호 없는 채널 추정,검파 | Deep Learning,Signaling Overhead Minimization,Zero Reference Signal Channel Estimation,Detection | 12500000 |
6149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6918 | 비지형류적 이차순환 변동 역학 연구 | A study on ageostrophic secondary circulation variability | 남성현 | 서울대학교 | 서울특별시 관악구 | 20190901 | 20220228 | 기타 정보기술 |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비지형류적 이차순환(secondary circulation, SC) 변동성에 대한 정량 평가와 그 변동 역학 기작 규명임. 이를 위해 2차년도에 식물 플랑크톤 번성이 발생하는 가을철과 봄철 성층 조건에서 동한난류를 가로지르는 현장관측을 통하여 불안정성 특성을 조사하고, 해상풍 조건에 따른 SC 변동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계획임. 3차년... | 본 연구 결과는 해류의 사행을 지배하는 불안정성 역학을 경압불안정성과 대칭불안정성으로 분리하고, 계절적인 성층 조건과 해상풍 조건에 따른 비지형류적 이차순환 변동을 지배하는 핵심 기작에 대한 이해도를 높임으로서 동한난류와 같은 경압성 해류에 의해 형성되는 중심축 주변의 생지화학적 순환과정 이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나아가 변화하는 기후 조건... | 해양관측,해류,동한난류,사행,비지형류,해양환경,해양생태계,기후변동,수산 자원 | ocean observation,ocean current,East Korea Warm Current,meandering,ageostrophic current,marine environment,marine ecosystem,climate variability,fishery resources | 130000000 |
856 | 2021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4172 | 닥터 아담, 표면파탐사의 자동화해석을 위한 열린 웹 공간의 개발 | Development of Dr. Adam, an Open-Access Web System for the Automated Analysis of Surface-Wave Test Data | 조성호 | 중앙대학교 | 서울특별시 동작구 | 20180601 | 202205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현재 국내의 지반조사 기술여건은 열악한 규모, 기술인력 부족 등으로 인하여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구조물의 해석 및 설계, 나아가서는 유지관리 등의 측면에서 위기상황을 초래할 수 있는 이러한 지반조사 기술여건을 개선 또는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지반조사 기술인 닥터 아담 (Dr. Adam, 표면파 탐사자료의 자동화해석 서비스를 위한 열린 공... | 표면파탐사 품질의 제고로 인한 구조물 정적 설계, 내진해석,설계,성능평가 등의 신뢰성 향상. 기타 지반조사/탐사 자료의 측정, 자료해석도 동일한 닥터 아담의 프레임으로 확대발전 가능 국내 영세 지반조사업체의 기술지원으로 인한 국내/해외건설 경쟁력 제고. 클라이언트를 해외업계로 확대, 해외 관련업계에 대한 국내기술력의 전파. 표면파해석관련 허브로 자... | 사물인터넷,무인탐사,표면파탐사,인공지능,역산해석,표면파속도,달탐사 | IoT,Unmanned Exploration,Surface Wave Method,Artificial Intelligence,Inversion Problem,Surface Wave Velocity,Moon Exploration | 50000000 |
3471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3315 | 스마트 비선형 탐지 (SND) 기술 연구 | Smart Nonlinear Detection (SND) Research | 홍순기 | 숭실대학교 | 서울특별시 동작구 | 20200601 | 20230228 | 기타 정보통신 부품기술 | (주요목표) 기존 선형 탐지 기술로 검출 불가능한 목표물 탐지 및 식별 가능한 새로운 스마트 탐지 기술 연구 및 개발 - 기존의 전파기반 탐지 기술(레이다, RF sensor 등)은 선형 탐지 기술로(송·수신 신호의 주파수가 동일함) 현 탐지 분야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기술임. - 하지만 전자기기와 같이 상대적으로 산란 면적이 작은 물체는 클러터로... | 1)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될 스마트 비선형 탐지 (SND) 기술은 기존에 국내에서 연구되지 않았던 기술이므로, 국내 비선형 탐지기술의 기반을 마련하여 대외적 경쟁력 강화 및 새로운 탐지기술의 패러다임을 구축 할 것으로 기대 됨.2) 연구결과는 (SND 기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함:- (보안/군사/상용): 은닉 전자기기 검출/식별, 벽 ... | 비선형 탐지,레이다, 센서,전자기기,고조파,혼변조,기계학습,알고리즘,식별 | Nonlinear Detection,Radars, Sensors,Electronic Devices,Harmonics,Intermodulation,Machine Learning,Algorithm,Classification | 50000000 |
2157 | 2022 | 나노소재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6741 | 저유전 혁신소재 설계, 분석, 시뮬레이션 | Molecular design, analysis, simulationm of low dielectric materials | 윤동기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426 | 20251231 | 기타 네트워크기술 | 초고속 통신용 저유전 혁신소재 설계, 분석, 시뮬레이션저유전 박막 향, 고분자 소재의 설계, 합성저유전 고분자 절연 박막의 구조분석 및 특성평가시뮬레이션을 통한 저유전체 박막의 고주파 유전율 예측 및 설계 최적화 | - 초고속 이동통신 분야의 필수적 요소인 저유전 박막의 차세대 기술개발 및 특허 확보- 초고속 이동통신 서비스를 시작한 현시점에서 고주파 대역 소재의 개발로 국내 모듈 및 부품업체들이 경쟁력 강화 및 세계시장 우위 기술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은 물론, 각종 IoT 기기, 자율주행 자동차, 산업용 기기 등에 적용되어 짧은 지연시간... | 초고속 통신,고분자,저유전,내습성,하이브리드 소재,분자접착제,전산재료과학,전자밀도함수이론 | Fast wireless communication,polymer,low dielectric,low hygroscopic,hybrid material,Molecular bond,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Density functional theory | 180000000 |
7783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5436 | Fractional 미분방정식 풀이 해법을 위한 고차 수치 방법 연구 | Development of higher order numerical techniques for solving fractional differential equations | 부선영 |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 | 기타 | 20220301 | 20260228 | 기타 정보기술 | 본 연구 개발의 목표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되며 각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1.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fractional 미분방정식의 고차 수치 해법을 개발한다. 크게 fractional 상미분 방정식 및 fractional 편미분 방정식으로 구분되며 각 방정식들의 일반적 수치 해법 및 각 방정식들의 특수한 방정식 형태를 살펴보고 그 특수성에 맞는 해법을 ... | 기대되는 학문적 중요성과는 fractional 미분방정식의 수치 해법에 대한 수치해석이론 정립이다. 연구과정에서 필요한 알고리즘 개발과 프로그래밍 기법은 학부 수준의 수치해석학, 기계학습이론 및 대학원과정의 교과목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동시에 인공지능 문제 또는 병렬화 문제를 학문적으로 경험할 수 있게 되어 좋은 교육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 | fractional 상미분방정식,fractional 편미분방정식,Bagley-Torvik 방정식,Krylov | fractional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s,fractional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Bagley-Torvik equations,Krylov deferred correction methods,spectral integration,Artificial Neural Networks,Parallel... | 101800000 |
6749 | 2021 | 글로벌핵심인재양성지원(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35234 | 인공지능기반 적층제조용 창성형 공정계획 메커니즘 개발 |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enerative Process Planning Mechanism in Additive Manufacturing | 신승준 | 한양대학교산학협력단 | 서울특별시 성동구 | 20210501 | 20221030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가. 인공지능 및 적층제조 분야의 기술격차 극복을 위한 고급 핵심인력 양성이 필요함 - 국내 연구 환경 여건의 부족으로, 구할 수 없는 데이터나 기술들을 해외 파견을 통하여 확보 및 습득하고, 국내 복귀시 개발기술들을 국내에 소개 및 보급할 수 있는 기회임 - 4차 산업혁명을 이끌 수 있는 실무중심형 고급 인력을 양성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판단됨... | [연구개발성과] - 배출인력 수: 5명 - 파견인력 만족도: 80% - 파견인력 역량 향상도: 20점 - 파견인력 결과보고서: 5건 - 국제공동논문 제출: 4건 -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 5건 - 국내외 특허 출원: 2건 - 후속과제 발굴: 1건 [활용계획] - 인공지능 및 적층제조 분야에서 실무적 R&D 역량을 갖춘 고급 인재들을 육성함 ... | 공정계획,기계학습,스마트 공장,인공지능,적층제조 | Additive Manufacturing,Artificial Intelligence,Machine Learning,Process Planning,Smart Factory | 270000000 |
480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6568 | 수환경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진 모니터링과 전망을 위한 통계적모델 개발 | Development of the statistical model for earthquake monitoring and prediction using the hydro-environmental big data | 이재경 | 대진대학교 | 경기도 포천시 | 20210301 | 20230228 | 기타 정보기술 | 지진에 의한 변동과 전조 현상을 규명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며, 기존 연구들에서는 지진 발생의 주요 원인은 주로 단층 운동에 의한 지각 반응으로 제시하였음. 그 이외에 지각, 토양, 토질 등 지하의 변동과 연관성이 매우 높고 수많은 수환경자료들(지하수위, 라돈, ph, 기타 수질 요소)을 통해서 지각운동에 따른 변화와 지진 발생 가능성에 ... | (1) 활용방안 ① 기존 국가에서 제공하는 지진목록과 자료뿐만 아니라 수문기상자료(강우, 지하수위, 수질인자 등) 등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수환경 빅데이터 분석과정으로 통하여 지진 발생의 전조 증상과 지진을 발생시키거나 규모와 재현기간 등을 가중 시키는 등 연관성 검토하고자 함. ② 본 연구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자료들은 각 분야에서 활용되고... | 지진,수환경 빅데이터,지진 예측,지진 모니터링,불확실성 분석,라돈 | Earthquake,Hydro-environmental big data,Earthquake prediction,Earthquake monitoring,Uncertainty analysis,Radon | 74251000 |
7564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9630 | 폐경여성의 맞춤형 당뇨예방관리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효과 |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Tailored Diabetes Prevention and Management Application in Menopausal Women | 정미현 | 광주대학교 | 광주광역시 남구 | 20210901 | 20240229 | 기타 정보기술 | 본 연구는 폐경 여성을 대상으로 당뇨병 발생과 관련된 위험요인을 인구사회학적, 신체적, 심리적, 행동적, 환경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러한 객관적인 자료를 토대로 당뇨병 예방을 위한 개인 중심의 통합적 당뇨예방관리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및 효과를 검증하여 폐경여성에서 당뇨병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표는 첫째, 폐경 여성의 당뇨병 발... | 폐경 여성에 초점을 두고 개발된 당뇨예방관리 프로그램은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자료조사 및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내용으로 구성될 것이다. 이는 향후 관련 분야 (여성건강문제와 내분비 문제)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고려되어진다. 특히 춤형 당뇨예방관리교육프로그램의 어플리케이션 적용에 대한 평가 등은 향후 관련 사업의 지표를 선정하는데 활... | 폐경여성,맞춤형 당뇨예방관리 어플리케이션,당뇨관련 위험요인,정보-동기-행동기술(IMB) 이론,여성건강증진,당 | Menopausal Women,Tailored Diabetes Prevention and Management Application,Diabetes-related risk factors,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 Model,Women Health Promotion ,Diabetes Mellitus | 30240000 |
5760 | 2021 | 중소기업연구인력지원(R&D) | 중소벤처기업부 | 한국산학연협회 | 1425157840 | AI-CoWin 지역 중소기업 R&D 산업인턴지원 | 류승택 | 한신대학교 | 경기도 오산시 | 20210520 | 20220228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ㅇ 경기도/강원도권역 산업인력 수요발굴 및 공급지원을 통한 지역산업 인재양성 및 경쟁력 강화 ㅇ 년 30명의 R&D산업인턴 인력지원 및 취업연계를 통한 지역산업 인력수급 애로문제 해결 ㅇ AI-CoWin 프로그램으로 수요맞춤형 현장실습 및 현장밀착형 멘토링 실시 | ㅇ 대학 및 지역 참여중소기업의 밀착형 협력관계 확장을 통한 지역 청년 취업률 제고 ㅇ 기업체 애로기술 해결을 위한 연구전문인력 공급 및 기업체 연구개발 능력 향상 ㅇ 권역 산업연계기관과의 협업을 통한 지역산업 활성화 촉진 ㅇ 대학과 기업의 연구역량 강화 및 기술개발 활성화 | 산학협력,산업인턴,인공지능,사물인터넷,콘텐츠 |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Industrial Intern ,Artificial Intelligence,Internet Of Thing,Contents | 339100000 | |
4890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6041 | VLC 환경에서 AI 기반 실내 위치 측위 기법 연구 | AI based User Positioning in VLC based Indoor office Environment | 김정곤 | 한국산업기술대학교 | 경기도 시흥시 | 20210601 | 20240229 | 기타 네트워크기술 | 실내 위치 기반 서비스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의 실내 측위시스템의 정확도가 중요해지고 있다. 제안하는 연구에서는 정밀한 측위 정확도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VLC 통신환경에서 AI 기술을 기반으로하는 실내 위치 측위 기법을 연구한다. 먼저, 측위 시스템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수신하는 신호에 포함된 간섭을 제거한다. 간섭이 제거된 수신신... | 실내 측위 시스템은 위치기반서비스 산업의 발달로 인해 중요한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제안하는 VLC 환경에서 AI 기반 실내 위치 측위 기법 연구는 사용자 측위 정확도를 개선하는 방법으로, 기존 RF 대역 기반 실내측위 시스템의 성능보다 더 정밀한 측위 정확도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측위 시스템 적용을 위해 추가 AP를 배치하는 RF대역 기반 측위시스템과... | 6G,위치기반서비스,실내측위시스템,가시광통신,간섭제거,인공지능 | 6G,Location Based Service,Indoor Positioning System,Visible Light Communication,Interference Cancellation,Artificial Intelligence | 40353000 |
8406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1253 | 대규모 기기용 통신을 위한 다중입력 다중출력 송수신기 개발 | Development of MIMO Transceivers for 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 Systems | 송지호 | 울산대학교 | 울산광역시 남구 | 20180901 | 20210831 | 기타 정보기술 | 거대 연결을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구축은 사물인터넷을 실용화하기 위한 선결과제 중 하나이다. 송신기와 대규모의 기기들 간의 거대연결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선 이전 통신 시스템을 재평가 하는 동시에 새로운 통신환경에 적합한 무선통신 송수신 기법들을 개발해 주어야 한다. 사물인터넷 기기가 소형화됨에 따라 안테나개구면적(Antenna Aperture)이 ... | o 사물인터넷 무선통신 원천기술 확보- 사물인터넷 표준화 기구(3GPP LTE-M/oneM2M)에서 표준특허로 채택될만한 다수의 국제특허 출원- 원천기술개발을 통한 기술표준 확보 및 시장선점o대규모 기기용 다중입력 다중출력 통신시스템 상용화- 협대역(200kHz) 및 광대역(1.4MHz)을 동시에 지원하는 핵심 송수신 기술 개발- 저비용/저전력/저복잡도 수... |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대규모 기기용 통신 시스템, 단말간 협력통신 알고리즘, 계층적 빔탐색 알고리즘, 초저지 | Internet of Things Networks,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 Systems,User Cooperation Algorithm,Hierarchical Beam Alignment Algorithm,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Low Resolution ADC ... | 15000000 |
2089 | 2022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52414 | 머신 러닝을 이용한 학습자 집중도 감지 기반 교수 지원 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a teaching support system based on learner concentration detection using machine learning | 송기상 | 한국교원대학교 | 충청북도 청주시 | 20210601 | 202405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적시 피드백의 중요성은 면대면 수업이나 온라인 수업 모두에서 매우 중요하다. 면대면 수업 환경과 달리 COVID-19으로 더욱 가속화된 비대면 원격 수업의 도입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환경이 갖는 교수자와 학습자의 분리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교수자들이 적시에 학습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지원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 따라서 본 과... | ○ 연구 결과의 학문적ㆍ사회적 기여도는 다음과 같다.① 본 연구는 학습자의 특성과 집중도의 연계 및 행동 인터넷 기반 기술의 접목이라는 발전하는 학문적, 기술적 융합 연구의 한 모본을 제시할 것이다. 머신러닝이나 에듀테크의 발전을 구체적으로 교육 분야와 연계시킨 수업 체제의 중요한 프로토타입을 제공할 것이다.② 초중고 대상 프로그래밍 교육과 인공지능 융합교... | 머신러닝,교수지원시스템,학습자 집중도,행동특성분석,코딩교육,행동 인터넷 | Machine Learning,Teaching Support System,Learner Concentration,Behavioral Characteristic Analysis,Coding Education,Internet of Behavior | 50000000 |
6167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3730 | 딥러닝 기반 Fileless 공격 탐지방법 연구 | Deep Learning based Fileless Attack Detection Method | 최선오 | 호남대학교 | 광주광역시 광산구 | 20190901 | 20220228 | 정보보안 및 암호기술 | 최근 기존의 파일검사 기반의 백신엔진을 회피하기 위한 Fileless 공격이 많이 일어나고 있다. Fileless 공격은 악성코드가 로컬시스템의 파일디스크에 쓰여지는 파일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메모리 상에서 Powershell 스크립트 형태로 실행되게 된다. 또한 이렇게 메모리 상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의 악성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 연구... | 우리는 각 연차별로 Powershell 특징데이터 추출프로그램, 악성 Powershell 탐지 딥러닝프로그램, Powershll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관련하여 연구논문을 작성하려고 계획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아직 악성 Powershell에 대해 충분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국내 백신회사 및 보안회사, 인터넷회사들의 악성 Powershell 탐지 ... | 파일리스 공격,파워쉘,딥러닝 | Fileless attack,Powershell,Deep Learning | 30000000 |
7297 | 2022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52105 | 사물인터넷 무선네트워크를 위한 기계학습 기반 환경적응적 실시간 통신기술 연구 | Machine learning-based adaptive communication techniques for Internet of Things wireless networks | 홍준표 | 부경대학교 | 부산광역시 남구 | 20190601 | 20220531 | 기타 네트워크기술 | 최종연구목표: 기계학습을 활용한 환경적응적 실시간 보안전송 기술과 초저지연 무선통신 기술 개발- 1 단계(1 차년도) 연구목표: 하향링크 보안통신을 위한 기계학습 기반 환경적응적 실시간 보안 전송기술 개발- 2단계(2~3 차년도) 연구목표: 고신뢰/초저지연 무선통신(URLLC)을 위한 기계학습 기반 환경적응적 실시간 무선전송 기술과 자원할당 기술 개발 | 기계학습의 강력한 문제해결 능력과 사물인터넷에 대한 최근의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이 둘을 접목한 효과적인 무선통신 기술에 대한 연구가 현재까지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과제를 통해 얻어지는 연구결과로 사물인터넷 환경에서의 무선통신 보안 및 URLLC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한다면 학계와 산업계 전반에 걸쳐 큰 파급효과를 가질 것으로 기대한다. | 사물인터넷,무선통신 보안,고신뢰도 초저지연 통신,기계학습,신경망학습,강화학습 | Internet of Things,Wireless communication security,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Machine learning ,Reinforcement learning | 12500000 |
1554 | 2022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53555 | 통합 엣지 컴퓨팅 기반하여 자율형 모빌리티 융합을 위한 AAC 모델 연구 | AAC(Awareness-Awakening-Continuum) Model for Autonomous Mobility Convergence on Integrated Edge Computing | KIMSVETLANA |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 서울특별시 | 20220601 | 202505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본 연구는 다양한 교통 상황에서 발생하는 보안 위험성에 대응하는 강건한 보안 기술을 통해 신뢰성 있는 통합(연합형) Edge Computing 기반 모빌리티 내·외부 환경, 교통 상황 및 다중 모빌리티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Resource Aware), 차량-자체(Vehicle Area Network, VAN), 차량-차량(Vehicle to Vehicl... | AAC-Middleware 기반 자율형 모빌리티의 경우에 네트워크 인프라를 보유한 통신사업자 자체 보유한 네트워크의 주요 객체에 자율형 모빌리티 중심의 Edge 기반 인지·협력·판단 및 제어 AI 기술을 접목할 예정이며, 이러한 경우에 본 연구 결과물을 활용할 수 있기에 경제적 가치가 매우 높음. | 엣지 컴퓨팅,컴퓨팅 연속체,모빌리티,자율화, 환경인지,협업 | Edge Computing, Computing Continuum, Mobililty, Autonomous, Situation Awareness, Collaboration | 52500000 |
4309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3781 | mmWave massive MIMO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지능형 융·복합 시스템레벨 시·공간-주파수 자원 관리 기법 연구 | Intelligent Resource Management Methods for System-Level Time-Frequency-Space Resources in mmWave massive MIMO Wireless Networks | 이장원 | 연세대학교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20190901 | 20240229 | 4세대 이동통신 |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이동통신 트래픽의 지원을 위해 미래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mmWave massive MIMO 기술이 필수적으로 고려됨. mmWave massive MIMO 미래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높은 감쇠 및 강한 지향성 등의 기존 기술과 다른 무선 링크 특성으로 인해 시간-주파수 뿐만 아니라 공간 영역 또한 다중 접속을 위해 활용될 수 있음. 이와 같... | 본 연구의 결과는 mmWave massive MIMO 미래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새로운 분산적 지능형 융·복합 자원 관리 패러다임을 제시하여 새로운 관련 요소 기술들의 등장을 촉진시킬 것으로 기대됨.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미래 무선 네트워크의 자원 관리 분야에서 기술적 우위를 선점하고 확보된 새로운 자원 관리 원천 기술의 기술 이전을 통해 국내 통신 산업의 ... | 무선네트워크,밀리미터파,매시브 다중안테나,자원관리,기계학습,시공간-주파수 | Wireless networks,mmWave,Massive MIMO,Resource management,Machine learning,Time-Frequency-Space | 172980000 |
2900 | 2021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2397 | 고효율 단파장 GaN 기반 양자점 광전소자의 특성 연구 | Characteristics of high-efficiency short-wavelength GaN-based quantum dot optoelectronics | 박승환 | 대구가톨릭대학교 | 경상북도 경산시 | 20180601 | 20210531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현재 양자우물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백열전구 대치와 상용의 조명시장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중의 하나는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효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J-droop 때문에 가격이 높다는 것이다. 이러한 droop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Auger 효과는 줄고, 높은 발광 효율을 가진 구조에 대한 설계 조건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 본 과제에서 추구하는 내부효율은 크고 드룹현상은 최소화된 차세대 양자점 광전자소자에 대한 설계기술 개발연구가 성공적으로 수행된다면, 많은 후속 연구가 뒤따를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의 양자점 단파장 광전소자에 대한 실험적인 연구를 하는데 여러 가지 면에서 연구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 이유는 광전자소자의 연구 분야에서, 응력이 나노... | 발광다이오드,양자점,질화물 반도체,양자우물,효율 droop,InAlGaN,나노구조 ,내부효율,광전자소자 | Light-emitting diode,Quantum dot,Nitride semiconductor,Quantum well,Efficiency droop,InAlGaN,Nano structure,Internal efficiency,Optoelectonic devices | 12500000 |
7164 | 2022 | 자율운항선박기술개발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2609 | 수조모형시험을 통한 자율운항 알고리즘 검증 기술 개발 | 윤현규 |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 경상남도 창원시 | 20200427 | 2025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지능형 항로 의사결정 기능을 갖는 자율운항 시스템 개발 ○ 지능형 항로 의사결정 솔루션(S/W) 1식 ○ 고신뢰도 경로 추종제어 솔루션(S/W) 1식 ○ 자동 이/접안 알고리즘(S/W) 1식 ○ 경제운항 최적항로 설정 솔루션(S/W) 1식 ○ 자율운항/경제운항 공통 서비스 플랫폼[(H/W)+(S/W)] 1식□ 자율운항선박(Ship2Ship2Shore) ... | □ 국내외 건조되는 자율운항선박에 활용하여 미래 조선산업 시장에서 한국형 자율운항선박 기자재 기술 및 플랫폼 기술의 우위 유지에 활용□ 능동형 해상 자율운항/경제운항 시스템으로 고도화 및 확대 적용□ 최적 항로와 더불어 선사별 운항 전략을 적용한 항로 계획 기술을 개발하여 다양한 최적 항로 안을 제안함으로써 자율운항선박에 적용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자율성을... | 자율운항선박,자율운항 통합 플랫폼,해상업무용 디지털통신,사이버보안,원격제어시스템 |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Autonomous navigation platform,VDES,Cyber security,Remote control system | 162700000 | |
9010 | 2022 | 안전성평가기술개발연구 | 식품의약품안전처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1475013429 | 동맥경화 치료제 평가를 위한 비임상 평가기반 마련 연구(2) | Constructing a database of arteriosclerosis models in rats and presenting optimal animal models | 김형건 |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 경기도 수원시 | 20200815 | 20230714 | 정보검색 및 DB기술 | ○ 과제 맞춤형 통계 처리 프로토콜을 이용한 약물 실험 데이터 분석○ 혈관 조직 이미징 데이터를 이용한 동맥경화 발달 양상 분석 | ○ 급성장 중인 심혈관질환 의약품 시장의 국제적 우위 선점 및 경쟁력 확보○ 국내외 학술지 발표를 통한 과학적 근거 자료 제시 및 결과 활용 자료 제공○ 동물 실험 결과에서 임상시험 결과로의 신뢰도 있는 전환점 제공 | 심혈관질환, 동맥경화, 동물모델, 데이터베이스, 군집화 | Cardiovascular disease, Atherosclerosis, Animal model, Database, Clustering | 40000000 |
1025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1866 | 유연 케이블의 3차원 형상 모니터링을 위한 광섬유 브래그 격자 기반 신개념 굽힘 센서 및 신호처리 알고리즘 개발 | Development of new concept bending sensor and signal processing algorithm based on optical fiber Bragg grating for 3D shape monitoring of flexible cable | 김대현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서울특별시 노원구 | 20200601 | 20230228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최종 목표 유연 케이블의 3차원 형상 모니터링을 위한 광섬유 브래그 격자 기반 신개념 광섬유 굽힘 센서 및 신호처리 알고리즘 개발◆ 연차별 목표 1차년도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의 Trigonal 형상의 적층을 통한 단점 광섬유 굽힘 센서 및 구동 광학계 개발 2차년도 광섬유 굽힘 센서를 이용한 다점 굽힘 센서 및 3차원 형상 추정 ... | ◆ 연구 성과의 활용 및 기대효과 (학문/기술적 측면) - 본 연구 수행을 통해 신개념의 소형 ( 직경 650um ) 광섬유 굽힘 센서 및 3차원 형상 측정 계측 시스템의 핵심 원천 기술을 성공적으로 개발한다면, 의료 및 로봇 그리고 토목/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며 그 파급 효과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음.- 광섬유 굽힘 센서는 단독으로 개발... | 광섬유 굽힘 센서,3차원 형상 모니터링,유연 케이블,비파괴검사 및 평가 | Optical bending sensor,3D shape monitoring,Flexiable cable, NDT and NDE | 50000000 |
판매제공처 홈페이지 | hellodd.com | 라이선스 |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
---|---|---|---|
판매 담당자 | 대덕넷 | 권한 | HelloDD |
연락처 | 070-4171-3524 | 접근 권한 | public |
이메일 | sungmin8497@hellodd.com | 상품 구분 | dataset |
품질측정 검사 | 품질측정기간 | ~ | |
---|---|---|---|
품질측정기관 | 대덕넷 | 품질측정연락정보 | 0428615005 |
품질측정결과 | 품질측정내용 |
현재 준비중입니다.
10047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황금1로 122,김포제조융합혁신센터 3층 한국산업기술시험원 ㅣ 사업자번호 : 113-82-06228 ㅣ 대표자명 : 김세종 ㅣ TEL: 02-860-1059 ㅣ E-mail: bigdata.dx@ktl.re.kr
Copyright ⓒ 2021 KOREA ENTERPRISE DAT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