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협의 상품 및 유료상품의 구매를 원하실 경우 맞춤형 데이터 신청란에 글을 남겨주시면
신속히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데이터셋명 | IT분야출연연구소별과제데이터 | 데이터 유형 | csv |
---|---|---|---|
데이터 분야 | 과학기술 | 구축 데이터량 | 4.90 MB |
구축기관 | 대덕넷 | 데이터 갱신 일자 | 2022-08-29 |
데이터 개방 일자 | 2022-10-27 | 데이터 이용 기한 | 무기한 |
데이터 갱신 주기 | - | 버전 | - |
주요 키워드 | IT, 과학기술, 정부과제, 출연연, 데이터 | ||
벨류체인 키워드 | 기술획득 | ||
소개 | 과학기술 IT(Information Technology) 분야 정부출연연구소별 정부 R&D 과제 데이터입니다. |
국내 IT 분야 출연연별 과제 데이터 상품설명서
□ 상품설명
○ 국내 IT 분야 출연연별 과제 데이터 상품은?
· 2021년~2022년 기준 국내 IT 분야 출연연별 과제 데이터입니다. 국내 출연연에서 진행한 국내 IT 분야 과제의 세부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IT 분야는 전기, 전자, 컴퓨터, 정보통신공학 전공자들이 해당됩니다. IT분야는 하드웨어 제작부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플랫폼 등등 모두 해당하는 분야입니다. IT산업은 4차 산업과도 직접적으로 연결됩니다.
○ 데이터 주요 키워드
· #IT #정보통신기술 #과학기술 #과제데이터 #출연연
○ 데이터 활용 및 이용 권장 고객
· IT 분야 국내 출연연 과제 데이터를 활용(공유)하고자 하는 기업인
· IT 분야 과제 데이터를 활용해 융합연구를 위한 공공·민간 연구자
· 학술 연구를 위한 이공계 대학생·대학원생
□ 데이터 활용 방안
○ 국내 IT 분야 출연연별 과제 데이터 상품 활용 방안은?
· 6T 기술분류(IT, BT, NT, ET, ST, CT)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이 IT 분야입니다. 국내 기업부터 글로벌 기업까지 대부분 IT 분야에 속한 거대 공룡 기업들입니다. IT 기술이 BT, NT, ET, ST, CT에도 녹아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IT 분야 출연연 과제 데이터를 활용해 기술의 부가가치 제고 및 사회·경제적 파급 효과를 창출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셋의 구성
○ 데이터셋의 구성
· 국내 IT 분야 출연연별 과제 데이터는 총 N개의 데이터로 구성돼 있습니다.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인 NTIS(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의 데이터에 기반합니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연구하고 있는 과학기술을 비롯하여 각종 연구개발사업과 관련된 과제, 인력, 연구시설·장비, 성과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 연구개발(R&D) 지식포털입니다.
데이터 구분 | 데이터 요약 | 제공 방식 |
국내 IT 분야 출연연별 과제 데이터 | - 국내 출연연에서 수행한 IT 분야 과제 세부 내역 - 연구수행주체 및 수행기관 - 6T분류 및 과학기술표준 분류 코드 | - csv/zip |
□ 데이터셋의 구조
○ 데이터셋의 구조
No. | 칼럼명 | 데이터 타입 | 칼럼설명 |
1 | 일련번호 | VARCHAR(14) | 일련번호 |
2 | 기준년도 | VARCHAR(4) | 기준연도 (Ex. 2020) |
3 | 사업명 | VARCHAR(1000) | 사업명 |
4 | 부처명 | VARCHAR(500) | 부처명 |
5 | 과제관리기관명 | VARCHAR(300) | 과제관리기관명 |
6 | 과제고유번호 | VARCHAR(100) | 과제고유번호 (총 10자리 숫자) |
7 | 국문과제명 | VARCHAR(500) | 과제명(국문) |
8 | 영문과제명 | VARCHAR(500) | 과제명(영문) |
9 | 연구책임자명 | VARCHAR(20) | 연구책임자명 |
10 | 과제수행기관명 | VARCHAR(500) | 과제수행기관명 |
11 | 지역구분내용 | VARCHAR(20) | 지역구분 (ex.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12 | 총연구기간시작일 | VARCHAR(8) | 총연구기간시작일 (Ex. 20220718) |
13 | 총연구기간종료일 | VARCHAR(8) | 총연구기간종료일 (Ex. 20220718) |
14 | 6T관련기술분류내용 | VARCHAR(500) | 6T관련기술분류 (Ex.4세대 이동통신) |
15 | 연구목표요약 | VARCHAR(1000) | 연구목표요약 |
16 | 기대효과요약 | VARCHAR(1000) | 기대효과요약 |
17 | 한글키워드 | VARCHAR(500) | 한글키워드 |
18 | 영문키워드 | VARCHAR(1000) | 영문키워드 |
19 | 연구비합계 | NUMERIC | 연구비합계 |
20 | 작업구분코드 | VARCHAR(1) | |
21 | 데이터생성일자 | VARCHAR(8) | |
22 | 연계처리상태코드 | VARCHAR(1) | |
23 | 연계처리일자 | VARCHAR(8) | |
일련번호 | 기준년도 | 사업명 | 부처명 | 과제관리기관명 | 과제고유번호 | 국문과제명 | 영문과제명 | 연구책임자명 | 과제수행기관명 | 지역구분내용 | 총연구기간시작일 | 총연구기간종료일 | 6T관련기술분류내용 | 연구목표요약 | 기대효과요약 | 한글키워드 | 영문키워드 | 연구비합계 |
835 | 202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1711173566 | 국가지능화 기술정책 및 표준화 연구 | 이지형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20200101 | 20251231 | 기타 정보기술 | 2790000000 | ||||||
652 | 2022 | 차세대화합물반도체핵심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73061 | (2022M3I8A1077243) 고출력 GaN 전력모듈용 고방열 패키지 개발 | 배현철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광역시 | 20220420 | 20261231 | 기타 정보통신 부품기술 | 본 사업에서는 최종적으로 1200V급 GaN 전력 소자를 이용하여 초소형 및 고출력 전력모듈을 제작함. 이를 위하여 고방열 패키지 접합 소재, 기판 소재 기술, 능동/수동소자를 포함하는 고집적 모듈 제작 기술, 고방열 모듈 구조 설계를 위한 열해석 및 방열 기술을 포함하는 패키지 기술을 개발함. | o 해외 선진 소재 업체가 주도하는 고방열 접합 소재 및 기판 소재 분야 국내 기업과의 협력을 통한 국산화 기술 확보o GaN 소자를 이용한 고방열 패키지 공정 기술 확보 및 중소 기업 지원o 900V급 GaN 소자 및 1200V급 GaN 소자를 적용한 시제품 개발을 통한 중소 기업 상용화 지원 | 패키지, 고방열, 전력모듈, 질화갈륨, 칩 본딩, 와이어 본딩, 접합소재, 기판 | Packaging, High heat dissipation, Power module, Gallium Nitride, Chip bonding, Wire bonding, Adhesive, Substrate | 225000000 | |
215 | 2022 | ICT기반항만인프라스마트재해대응기술개발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2718 | 항만 시설물의 노후화 평가 기술 개발 | 이종석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경기도 고양시 | 20220101 | 20221231 | 기타 정보기술 |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항만 인프라의 재해 및 노후화 관리를 위한 빅데이터/디지털 트윈 기반 가상화율/시각화정확도 90% 이상의 항만 인프라 관제 시스템 개발 및 정확도 95% 이상의 노후도/재해위험도 평가 기술개발」 개발임. 이를 위하여 1. 디지털 트윈, 빅데이터 기반 항만인프라 관제 시스템 개발, 2. 항만시설물 노후도 및 재해 위험도 평가 기술 개...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스마트 항만 인프라 안전관리를 위한 관제 시스템으로 활용- 노후 항만 인프라 성능개선 방안 제시- 재해 발생 시 항만 시설물의 복구, 상태, 비용 등에 관한 방안 제시- 개선사항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통한 적합성 판단 및 보완사항 도출- 각 항만의 시설물 파악을 통한 최적의 재해 솔루션 도출(기대효과)1. 기술적 측면- 관련 기술을... | 항만 인프라 관제 시스템,디지털 트윈-빅데이터,재해 및 노후화 시뮬레이션,노후화 예측,재해 위험도 | Control System for Port Infrastructures,Digital Twin and Big Data,Disaster and Deterioration Simulation,Deterioration Prediction,Disaster Risk Level | 150000000 | |
490 | 2021 | 한국전기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전기연구원 | 1711141012 | 고온 구동 SiC 집적회로를 위한 수평소자 기술 연구 및 개발 | 김형우 | 한국전기연구원 | 경상남도 창원시 | 20210101 | 20231231 | 집적회로기술 | ● 1㎸ 및 60V급 SiC lateral MOSFET 설계 및 공정 기술 개발● Simulation을 위한 60V급 SiC lateral MOSFET model 추출 | ● SiC 수평소자 구조 설계 및 공정 기술이전 1건 (2025년)→ 국내 SiC 소자 양산 기업으로의 기술이전 추진● SiC 수평소자 적용 전력제어용 집적회로 개발사업 창출 1건 | 탄화규소,고온,집적회로 | Silicon Carbide,High Temperature,Integrated Circuits | 180000000 | |
954 | 2021 | 스마트도로조명플랫폼개발사업(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276 | 스마트 도로조명 정보처리·통신 플랫폼 개발 | 이헌주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510 | 2023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복잡·다양한 도로환경에서 보행자와 운전자의 도로교통 실시간 안전을 제공하기 위해 스마트 도로조명 인프라에 적합한 보급형 네트워크 기술 및 초저지연 안전가이드 기술, 교통사고 예방, 정보알림을 위한 위험도 기반 상황대응 기술 및 AI기반 교통안전 분석 플랫폼 기술 개발 * 교통안전 분석 플랫폼: 다양한 도로교통 데이터를 기반으로 교통안전과 관련된 데이터... | ○ “한국형 ICT-안전융합 도로조명 플랫폼 개발”로 교통안전분야의 첨단융합 신기술 선도○ 4차 산업혁명시대의 “초연결 사회” 구현을 위한 새로운 도로조명의 비전 제시 - (以前)단순 안전을 위한 시인성 확보의 역할 → (以後)첨단융합기술(ICT+센서+AI+Bigdata)을 통한 교통사고 대응이 가능한 허브 역할로 변화 - 자율주행차(Lv3, Lv4)의... | 교통안전,위험인지,교통정보분석,학습모델,로컬 네트워크 | traffic safety,risk understanding,traffic information analysis,learning model,local network | 1894000000 | |
931 | 2021 | 연구개발특구육성(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재단)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 1711150066 | 개인화된 예방적 건강관리를 위한 인공지능 소변분석 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urine analysis system for personalized preventive health management | 심재기 | 옵토스타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601 | 202203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최종목표 : 당뇨, 빈혈 및 만성신장질환을 목표로, 소변의 화학적 성분 분석과 검출된 화학 성분의 인공지능 분석을 통해 검사자의 건강상태를 예찰할 수 있는 시스템의 사업화 기술 개발(세부목표)- 건강상태 예찰 인공지능 알고리즘 개발을 위한 학습 Dataset 구축- 소변검사 데이터 기반 건강상태 예찰 인공지능 알고리즘 개발- 개인의 소변채취 및 화학성분 분... | 1. 성과 활용분야● 혈당검사기, 혈압계, 체중계, 체온계 등과 같은 가정용 헬스케어 디바이스로 활용● 단순한 측정 수치의 확인이 아닌 관련 질병에 대한 예찰과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건강관리 시스템으로 사업화● 가정에서 간단히 사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의 소변검사 기술은 병원 내원이 어려운 상황(코로나19 등)에 처해있는 질환자들에게 병원 방문 대신... | 시계열,신장질환,당뇨,소변검사,스트립,건강관리,예찰,요화학 | time hirachy,kidney disease,Gluco urine,urine analysis,strip,healthcare,forecasting,urine chemical | 313000000 |
1180 | 2021 | 한국전기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전기연구원 | 1711141066 | AIㆍ빅데이터기반 스마트공장 고도화 기술 개발 및 실증 기획 | 김종문 | 한국전기연구원 | 경상남도 창원시 | 20210601 | 20210831 | 신호처리기술(영상·음성처리·인식·합성) | AIㆍ빅데이터기반 스마트공장 고도화 기술 개발 및 실증 - 제조AI기반 스마트공장 기술의 국내외 동향 분석- AIㆍ빅데이터기반 스마트공장 고도화 기술 개발 및 실증으로 현장 보급을 위한 제조AI 성공모델 확보- 소부장특화단지사업 및 한캐AI사업과 연계 추진 | ■ AI기반 가공조건 최적화는 스마트공장 뿐 만 아니라 에너지, 스마트시티, 자율주행자동차, 드론 등 각종 설비 및 공정의 각 파라미터의 최적값 세팅에 활용이 가능함 ■ AI기반 툴ㆍ스핀들의 진단ㆍ예지 기술은 스마트공장 외에 항만크레인, 전기선박, 전기자동차, 전기비행기, 풍력발전기 등에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고가의 설비나 돌발고장 시 피해가 심각한 경우... | 스마트공장,제조AI,빅데이터 | Smart Factory,AI,BIG DATA | 30000000 | |
345 | 2022 |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53047 | (세부2) 클라우드 기반 자율주행 AI 학습 SW 개발 | Development of Cloud based Autonomous Driving AI learning Software | 민경욱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401 | 2024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다양한 주행환경에 강인하고 다양한 주행 도로상황에 대처가 가능한 다중센서(카메라, 라이다, 레이더) 융합 자율주행 인지·예측·판단 고도화된 지능 SW를 개발 및 검증하여 레벨4 자율주행 인공지능 핵심 기술 확보* 다양한 주행환경: 야간, 우천, 안개, 일출, 일몰 등 기상 및 조도조건 포함, 비정형환경* 다양한 주행 도로상황: 라바콘/표지판, 차량상태, 보... | (1)기술적 측면 . 자율주행 대중화시대를 이끄는 인공지능 핵심 원천기술 확보 . 자율주행 인공지능 핵심 기술에 대한 선진 기술 격차 해소 . 자율주행 SW 기술의 수준 향상을 통한 조기 국산화 및 사업화 추진 . 자율주행 인공지능 요소 기술의 성능 고도화 달성을 통한 해외 기술 선도 . 다양한 시범 서비스에 적용하고 기술을 검증함으로써 기술상용화... | 센서 융합,신경망 경량화,인지 예측 판단,인프라 엣지,자율주행 인공지능 | Autonomous Driving AI,Infra Edge,Neural Network Lightweighting,Perception Prediction Planning,Sensor Fusion | 1800000000 |
691 | 2021 | 관세행정현장맞춤형기술개발(R&D)(과기정통부,관세청) | 다부처 | 한국연구재단 | 1711139220 | 공항 내 분산 CCTV 영상기반 얼굴인식 및 사람 재인식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distributed CCTV image-based face recognition and person re-identification technology in airports | 김건우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701 | 20241231 | 정보보안 및 암호기술 | o 목표 : 공항 내 분산 CCTV 영상기반 얼굴인식 및 사람 재인식 기술 개발 및 실증- 영상 디바이스 종류: 공항 내 분산된 다중 CCTV- 감시 대상: 우범여행자 및 동반자 또는 접촉자, 화물(가방 포함) 및 점유자감시 행동: 화물의 투기 및 유기, 전달 o 주요 성능치 - 우범여행자 재인식 정확도: 75%(CUHK03 DB 기준) - 이상행... | o 활용계획 - 세관 인력에만 의존하면서 발생하는 인력 부족 한계를 AI 기술 활용으로 사람, 화물에 대한 감시·추적의 효율성을 높임 - 군중이 밀집되는 항만, 기차역, 버스터미널에 기존 시스템 그대로 적용 - 놀이동산 등 미아, 치매노인을 골든타임 내 식별하여 위험 사전 차단하고, 연관 용의자를 자동 추적하는 서비스에 활용 가능 - 매장 내... | 관세행정추적.감시,AI 기반관제 시스템,우범여행자 식별 추적,이상행동자식별 추적,화물(가방 포함)탐지 추적, | Customs administration tracking and monitoring,AI-based monitoringsystem,suspectl traveleridentification tracking,Abnormal behavior identification tracking,Cargo including bags detection and tracking,... | 400000000 |
1241 | 2021 |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설계·제조)(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001 | 차세대 메모리를 위한 개방형 융합 메모리 솔루션 및 플랫폼 개발 | Development of Open Convergence Memory Solution and Platform for Next Generation Memories | 김원종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31231 | 집적회로기술 | o 개방형 융합 메모리 솔루션용 핵심 모듈 개발- 차세대 융합 메모리 통합 플랫폼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차세대 융합 메모리 통합 플랫폼 성능 및 신뢰성 측정 기술 개발- SCM용 메모리 컨트롤러 개발- 개발된 프로그래밍 모델의 지원에 최적화된 컴파일러 개발- 메모리 셀 특성을 고려한 메모리 인터페이스 시뮬레이터 개발- 연산 유닛 인터페이스 시뮬레이터 모델... | o 모바일, IoT 기기 등 엣지 디바이스 뿐만아니라 대용량 빅데이터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서버에 활용 가능- 고효율 이종 메모리 관리 기술을 통해 다양한 컴퓨팅 응용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o 차세대 융합서비스 기기에 적용 가능- 차세대 메모리 처리 기술 확보 통해 차세대 융합서비스(의료정보처리, 산업 전반에 활용될 분석 예측 서비스, 자율주행, 스마... | 차세대 메모리,융합 메모리,메모리 솔루션,메모리 아키텍처,연산 엔진 | NextGeneration Memory,Convergence Memory,Memory Solution,Memory Architecture,Operation Engine | 829040000 |
1058 | 2021 |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1711150450 | 초집적(7nm급) 반도체 공정 대응 건식 진공펌프의 고효율화(에너지 효율 50% 향상)를 위한 가변 피치 로터 모듈 개발(1/1) | 김용대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인천광역시 연수구 | 20210401 | 20210930 | 집적회로기술 | ㅇ 초집적(7nm급) 반도체 공정 대응 건식 진공펌프의 고효율화(에너지 효율 50% 향상)를 위한 가변 피치 로터 모듈 개발 - 압축율 3:1 이상, 정밀도 5/100 이하의 가변 스크류 설계/정밀 가공기술 개발 - 로터-하우징 간극 0.2±0.05 정밀도의 무결함 주조 기술 및 하우징 부품 개발 | ㅇ수요기업에서 개발중인 7nm급 반도체 공정용 플라즈마 복합 건식 진공펌프에 핵심 부품인 로터 모듈을 적용하여 진공펌프 공정가스 배출 성능 향상 및 소비전략량 저감 기술 확보를 통해 - 개발된 기술을 반도체, 디스플레이 뿐 아니라 식의약, 표면과학 등 다양한 분야로 응용하여 기술의 파급을 통한 적용 분야 확대 | 반도체 공정, 건식 진공펌프, 가변 피치, 스크류 로터, 에너지 효율 | semiconductor process, dry vacuum pump, variable pitch, screw rotor, energy efficiency | 30000000 | |
771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3067 | Regression testing 을 위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SW 유닛 Fuzzing | Effective and Efficient SW Unit Fuzzing for Regression Testing | 김문주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301 | 20240229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수시로 변경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빠르게 테스트하여 오류를 검출하는 회귀 테스팅 (regression testing)을 위해,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유닛/함수별 fuzzing 기술을 세계 최초로 연구한다. SW 오류는 일찍 발견할수록 쉽고 빠르게 고칠 수 있기 때문에, 수시로 프로그램 코드를 변경/추가하면서 테스팅을 수행하는 regression testin... | 사회/경제적 기대효과● 현대사회가 SW중심 사회로 발전하면서 SW 품질이 사회적으로 중요한 문제이지만, SW 테스팅의 기술적 한계로 SW 개발 지연, 제품 성능하락, 사고로 인한 인명/재산 피해 등 문제가 발생● 본 연구는 특정 분야의 SW가 아닌 모든 SW에 적용 가능하며, SW품질 향상, 자동화를 통한 소요인력 절감 및 개발 기간 단축이 기대되며, 이후... | 회귀 테스팅,퍼징,유닛 테스팅,자동화된 소프트웨어 오류 검출,소프트웨어 품질 향상,코드 영역간 상관관계,동적 | regression testing,fuzzing,unit testing,automated sw testing,sw quality improvement,correlation on code segments,dynamic profile based SW analysis | 217063000 |
1294 | 2021 | 상하수도혁신기술개발사업(R&D) | 환경부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1485017585 | 상하수도 기자재 성능기반 에너지 소비효율 평가기법 및 인증체계 개발 | Development of Energy Consumption Evaluation Method and Certification System for Water and Wastewater Process based on Performance | 김광구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경상남도 진주시 | 20200423 | 20221231 | 기타 정보기술 | ● 상하수도 기자재 에너지소비효율 성능평가방법 및 인증제 개발 - 상하수도 기자재 처리효율 성능평가기준 마련 - 상하수도 기자재 테스트베드 설계, 운영 및 연계방안 도출 - 이산화탄소 배출량 계산 프로그램 개발 - 상하수도 기자재 에너지소비 인증제에 필요한 제도적 장치 제안 | ○ 상·하수도 기자재 에너지 소비효율 평가기법 및 인증제도, 법·제도에 활용- 에너지 다소비 주요 기자재 (폭기장치, 산기관, 계측설비, 여과기, 소독장치 등)에 대한 에너지 소비효율 평가기법 및 인증제도를 활용하여, - 상·하수도 기자재 에너지효율 인증제도 개발 및 관련 지원정책, 법, 제도 개발에 적극활용○ 상·하수도 핵심 기자재 에너지 소비효율 시험방... | 상하수도 기자재, 처리효율, 에너지소비효율, 테스트베드, 인증 | water and sewage equipment, treatment efficiency, energy consumption efficiency, testbed, certificat | 1123000000 |
1422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7577 | 전자 에너지준위 맞춤형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구조 고체의 개발과 이의 고안정성 소자 및 친환경 성분 응용 | Tailored electronic energy levels of perovskite nanostructure solids and their application to optoelectronic devices with high stability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compositions | 우주영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충청남도 천안시 | 20210601 | 20240229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의 고체 상태에서의 불안정성(merging, segregation) 원인을 원천적으로 규명 -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의 표면에 노출된 facet에 따른 불안정성 거동(merging, phase segregation/transformation 등) 분석. - 위의 분석 내용을 기반으로 고체 상태(필름 등)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의 ... | 고안정성/고성능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 고체(필름) 제작을 위한 원천기술 확보 - 최근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의 불안정성 거동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으나, 실제 소자의 형태와는 관련성이 적은 용액상태의 불안정성 거동이 주로 보고되고 있음. 실제 소자의 형태로 이용되는 고체 필름상태에서의 불안정성 거동은 용액상태의 거동과 매우 상이함에도 불구하... |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 고체,양자점,표면,안정성,조성,쌍극자,광전자 소자,친환경 성분 | perovskite nanostructure solids,quantum dot,surface,stability,composition,dipole,optoelectronic device,environmentally friendly composition | 37277000 |
1272 | 2021 | 에너지신기술표준화및인증지원사업(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 1415174513 | 전기차 PnC 기반 충전서비스, 보안 인증체계 구축 | Establishment of Security Authentication System for PnC based Charging Service for Electric Vehicle | 이재조 | 한국전기연구원 | 경상남도 창원시 | 20200501 | 20230430 | 정보보안 및 암호기술 | 주관기관(한국전기연구원) :● PnC를 위한 CSMS-MO/CPS 간 프로토콜 국내 단체표준 제안● PnC를 위한 EVSE-CSMS 간 프로토콜 시험방법/시험항목 개발 ● 국내 전기차 전문가, ICT 전문가, 보안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위원회 운영● PnC를 위한 EV-EVSE-CSMS 간 프로토콜 적합성 검증 및 테스트시스템 시작품 제작● PnC를 위한 C... | [기술적 측면] 차세대 충전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고 핵심기술을 지적재산권화 함으로써 기술 우위 확보 가능. 보안성을 갖춘 충전시스템 충전인프라 구축에 기여. 향후 도입되는 무선 충전, 로봇충전 및 V2G 충전 시스템에 반드시 필요한 보안 체계. 전기자동차 충전서비스 보안인증 체계에 대한 유효성 검증 활동을 함으로써 모빌리티 업... | 전기자동차 , 자동충전 , 보안 , 인증 , 충전서비스 | Electric Vehicle , PnC , Secuity , Authentication , Charging Service | 801415000 |
274 | 2022 | 6G핵심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52539 | (총괄/세부1) 종단간 초정밀 네트워크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End-to-End Ultra-high Precision Network Technologies | 김선미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401 | 20251231 | 고속인터넷 네트워킹기술 | ㅇ 인터넷 규모의 광역 네트워크를 통해 초실감 인터랙티브 통신, 고정밀·고신뢰 원격 제어 등 다양한 초저지연·고정밀 서비스의 안정적 제공이 가능한 종단간 초정밀 네트워크 핵심기술 연구개발 - 초저지연·고정밀 네트워크 시스템 핵심기술 개발 - 초저지연 전송 프로토콜 및 응용 최적화 핵심기술 개발 - 종단간 초정밀 네트워크 핵심기술 IPR 확보 및 국제표... | o 現 5G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여 인터넷 규모의 광역 네트워크 상에서 다양한 종단간 실시간 인터랙티브 서비스 및 고정밀 산업융합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종단 및 유선 네트워크 인프라 핵심기술 개발 역량 확보o 종단간 초정밀 네트워크 핵심기술 분야의 선제적 연구개발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국가 R&D 역량 및 핵심기술 확보 | 초저지연 네트워킹 운영체제,초저지연 전송 프로토콜,초저지연 패킷 전달,패킷 전달 네트워크,확정적 서비스 품질 | deterministic QoS,packet transport network,ultra low latency networking OS,ultra low latency packet forwarding,ultra low latency transmission protocol | 2140400000 |
1210 | 2021 | 지식서비스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123 | 비대면 학습 및 산업현장 지원을 위한 감성 인지교감 AI 서비스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Emotional Cognitive and Sympathetic AI Service Technology for Nonfacetoface Learning and Supporting Industrial Sites | 신현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기타 기타 | 20200701 | 2024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ㅇ 2차년도 개발 목표 : 비대면 다중반응 정보(생체/음성/영상) 처리 기술과 감성인지 모델 설계 및 프로토타입 개발 - 요구사항정의서 개발(v2.0) - 시스템 구조 설계(v2.0) - 실시간 생체/음성신호 기반 인공지능 개인감성인지 기술 설계 및 감성신호 특징 추출 기술 개발 - 감성 인지 기술의 성능 ... | ㅇ 인간은 사회적 동물로 서로 교감하며 더를어 살아야 건강한 정신과 육체를 유지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세계 각국은 고령화 및 개인화(독신자) 증가에 따른 사회적, 문화적 변화에 대한 정책적 대응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최근 코로나 등 감염병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및 비대면 상황으로의 삶을 살아가야 하는 갑작스런 사회구조의 변화에 대하여 ... | 비접촉 생체반응신호,개인감성인지,사회감성 인지,감성공감,감성교감 AI 서비스 | Noncontact Bioreaction,Individual Emotion Recognition,Social Emotion Recognition,Emotional Sympathy,Emotional Communion AI Service | 900123000 |
112 | 202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연구개발지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52782 | 거대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K-인공두뇌 반도체 개발 | K-Artificial Brain Processor Training Huge Neural Networks | 여준기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20101 | 20261231 | 집적회로기술 | 최종 목표초거대 인공신경망의 1-Day 학습이 가능한 초고성능, 저전력 K-인공두뇌 반도체 및 인공지능 컴퓨터 개발o End Product - 초거대 인공신경망 학습을 위한 K-인공두뇌 반도체 (HW) - 초거대 인공신경망 학습을 위한 K-인공두뇌 반도체 모듈 (HW) - 초거대 인공신경망 학습을 위한 K-인공두뇌 컴퓨팅 모듈 (HW) - K-인공두뇌 컴퓨... | (1) 기술적 측면ㅇ 미래 핵심 인공지능인 초거대 인공신경망의 학습용 반도체 원천기술 확보- 초거대 인공신경망 기술 개발을 통해 기존 단일 인공 신경망에서에서 구현하기 힘들었던 다중 인공지능 구현이 가능하게 되며, 이를 위한 고성능 반도체 기술, 신경망 학습 SW 기술 및 초거대 인공신경망 알고리즘 기술 등 초거대 인공지능 분야에 관한 핵심 기술 확보가 가... | 딥러닝,반도체,인공신경망 가속기,초거대 인공신경망,트랜스포머 | Deep Learning,HNN,NPU,SoC,Transformer | 3000000000 |
248 | 2022 | 스마트식품안전관리 | 식품의약품안전처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1475013284 | 첨단 소통기술 활용 수입식품 안전정보 전달체계 연구 | a | 박미경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대구광역시 북구 | 20210201 | 20251231 | 정보검색 및 DB기술 | ○ 광학기반 식품고유식별체계 고도화 연구○ 광학기반 식품정보 DB화 및 매핑을 통한 고도화 연구○ 식품 안전 정보 (동일사 동일식품) 기준 설정 및 개선안 도출○ 광학기반 제품인식율 제고를 위한 전략 및 방안 | ○ 다양한 수입 식품별 고유식별체계/코드를 시장에 도입함으로써, 수입 통관단계부터 정확한 원료/성분의 조회 및 안전성 진단이 가능하며, 소비자가 직접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함○ 과제 수행(국내·외 수입식품의 관리 현황 및 관련 법규 검토) 결과 구축된 방대한 정보와 데이터베이스는 관련 고유식별체계 방안 연구 및 시행규칙 등의 개정에 활용될 것임... | 수입식품, 안전정보, 전달, 방법, 입력기술 | import food, safety information, deliver, method, interface | 30000000 |
308 | 2022 | 화학사고 예측·예방 고도화 기술개발사업 | 환경부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1485018897 | 화학사고 환경피해진단 정보구축용 그린환경기술개발 | Development of green environmental technology for establishing the information system on chemical accident environmental damage assessment | 김상돈 | 광주과학기술원 | 광주광역시 북구 | 20220401 | 20251231 | 기타 정보기술 | ● 연구단위 1 : 환경매체 내 사고대비물질 및 분해산물 모니터링 기법 최적화 및 배경농도 예측 기반 마련● 연구단위 2 : 육상/수생 독성 및 작용기작 데이터베이스 구축: 생태계 피해 예측 및 평가를 위한 생태 특성 데이터 구축 및 결측자료 보정: 딥러닝 기법 선정 및 예측, 평가 시스템 모델 프로토타입 개발 ● 연구단위 3 : 육상식물, 식생, 수서생물... | ● 화학사고 피해 영향조사 및 피해산정 정책/현장지침 개선: 화학물질관리법 제44조 및 제45조에 따른 화학사고 원인, 영향조사시 활용 가능한 매뉴얼 및 지침 개선: 구체화 및 명료화된 매뉴얼된 화학사고 피해 영향조사 지침 및 매뉴얼을 활용하여 현장조사의 효율성 증대할 것으로 기대 : 구축된 알고리즘 기반 피해예측/평가 가시화 프로그램을 통해 전문적 지식이... | 화학사고 피해진단, 정보화시스템, 머신러닝 알고리즘, 추정/비표적 질량분석, 대사체 분자지표 | Damage assessment, Information system, machine-learning, Nontarget screening, Metabolite index | 700000000 |
1074 | 2021 |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1711150250 | 비전 시스템 AI 플랫폼 개발 및 적용(2/6) | 윤종필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대구광역시 달성군 | 20200101 | 20251231 | 신호처리기술(영상·음성처리·인식·합성) | - 중소-중견 기업의 혁신적 생산 지능화를 위해 다양한 산업 영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제조업 고유의 산업 인공지능 (Industrial AI) 플랫폼 개발- 첨단 의료 산업 중재시술분야에 특화된 비전 AI 기반의 소재 및 제품 품질 검사, 핵심 설비 상태 진단 및 제어 시스템의 세계 수준 기술력 확보 | ○ 첨단의료 중재시술산업의 비전 시스템 AI 플랫폼 기반 소재 · 제품 품질 검사, 핵심 설비 진단 및 제어 기술 개발을 통하여 기술경쟁력 강화 및 First mover로서의 산업리더 역할이 가능○ 대구, 경북의 AI 기반 첨단의료 산업 클러스터 구축 전략과 연계한 지역 신산업 발굴 및 고부가가치 신산업 육성을 통해 지역산업발전에 기여 | 인공지능, 설비 상태 진단 및 예측, 결함 검사, 제어, 딥러닝 | Artificial Intelligence, Prognostics and Health Management, Defect Inspection, Control, Deep learning | 550000000 | |
1185 | 2021 | 데이터경제를위한블록체인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34532 | 다양한 산업 분야 활용성 증대를 위한 분산 저장된 대규모 데이터 고속 분석 기술개발 | Development of high-speed analysis of distributed large-scale data for wide usability of various industries | 김지용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401 | 20251231 | 정보검색 및 DB기술 | o (최종 목표) 다양한 산업 분야 활용성 증대를 위한 분산 블록체인 기반 대규모/대용량 데이터 고속 분석 기술개발 - 블록체인 분산저장 데이터에 대한 효율적 분석을 지원하는 블록체인 인덱스 데이터 구축기술 개발 - 블록체인 인덱스 기반 분산저장 데이터에 대한 고속 분석 기술개발 -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도구, 사용자 편의성 지원을 위한 분산저장 데이... | (1) 기술적 측면 o 신뢰성 높은 데이터 활용의 중요성이 지속해서 증가함에 따라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분석기술의 필요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관리/분석기술의 핵심 원천기술 확보 가능 o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분석의 속도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인덱스 구축, 복합분석, 분석 가시화 기술개발이 가능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제 기술 경쟁... | 고속 분석,데이터 분석,블록체인,블록체인 인덱스,시계열 시공간 | Blockchain,Blockchain index,Data analysis,High speed Analysis,Time series Spatio Temporal | 1287500000 |
854 | 2021 |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0481 | 가상/증강현실 기반 다기능 어지럼증 재활치료기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개발 | Development of Hardware and Software of multifunctional device for dizziness rehabilitation | 김종진 | 그리드스페이스 (주) | 서울특별시 금천구 | 20170401 | 20220930 | 신호처리기술(영상·음성처리·인식·합성) | 본 연구개발은 어지럼증 재활치료를 위한 VR(Virtual Reality)타입 웨어러블 치료기기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하고 임상시험을 진행하여 안전성과 유효성을 검증하여 보급형 시제품을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함.(1) 1단계 (17-19) 목표 - 안구추적 기능 및 갈바닉 자극장치가 부착된 HMD 장치 개발 - 수평 및 수직운동을 감지 및 보행 분석... | ○ 새로운 VR/AR 기술개발은 의료,건축,군사,방송 등 다양한 사업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고 새로운 가치 및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음. ○ 안구추적 기술은 장애인의 보조 수단, 객관적인 고객반응을 도출하는 수단으로 기업들의 사용 성 평가 및 마케팅 분야, 게임 및 군사, 제조 분야에 활용 가능 ○ VR/AR 기술과 안구추적 기술이 접목된 ... | 가상현실,어지럼증,스마트폰,의료기기,재활,이비인후과,안구추적,관성측정기기 | HMD,VR,Dizziness,Rehabilitation,Eye tracking,IMU,Spontaneous nystagmus,System integration | 75000000 |
707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4197 | 환경유해 극소 물질 (미세먼지 및 미세플라스틱) 모니터링을 위한 통계적 인공지능 알고리즘 개발 | Statistical artificial intelligence (AI) algorithms to monitor deleterious and infinitesimal environment materials (particulate and microplastics) | 김성환 | 건국대학교 | 서울특별시 광진구 | 20200301 | 20230228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통계적 인공지능 (Statistical AI)의 관점 하에서 기존의 강화학습 및 이미지 분할기법을 발전시켜, 최근 심각한 환경유해 물질로 대두되고 있는 극소물질, 미세먼지 및 미세플라스틱을 탐지하는 모델을 개발한다. 이를 위해 크게 다음 3가지의 기술개발을 단계적으로 수행한다. (1) 1차 년도 (~2020): 시간종속 (temporal) 초해상도 (sup... | 1, 2차년도 (미세먼지 측정 솔루션)본 연구는 영상 내 인접픽셀들 간의 잔차를 통해, 시간에 따른 미세먼지 유동량을 파악한다. 시간종속 초해상도 기법은 이미지를 통해 분석이 이뤄지므로, 기존의 측정법 대비 크게 다음 4가지의 장점을 갖는다.- 분석이 일부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프레임 내 전범위에 대해 미세먼지의 농도를 추정이 가능- 별도의 시료채취 및 측... | 미세먼지,미세플라스틱,시간종속 초해상도,베이지안 강화학습,이미지 분할,이미지 기반 모델링 | Particulates Matters,Microplastics,Temporal Super-Resolution,Bayesian-based Reinforcement Learning,Image Segmentation,Vision-based Modeling | 50000000 |
414 | 2022 | DNA+드론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8373 | 5G 드론 시스템 및 원격운영시스템 개발 | 5G Drone System and Remote Operation System Development | 차지훈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423 | 20241231 | 고속인터넷 네트워킹기술 | ㅇ 5G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다수의 드론을 원격으로 실시간 자율 운용하고 획득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저장할 수 있는 5G 드론 시스템 및 원격운영시스템 개발드론용 5G 통신모듈 및 5G 네트워크 영상 기반 3차원 조종기 개발드론 서비스용 5G 이동형 기지국 개발드론 군집 및 자율비행 기술 개발 및 실증ㅇ 주요 최종 성과물드론 및 조종기에 탑재... | ㅇ 활용 계획 5G 통신 모듈 개발을 통해 초저지연 5G 통신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의 핵심 기술로 활용5G 드론 이동기지국 개발을 통해 이동통신사의 5G 망 서비스 확장 기술 및 이동통신사와 독립된 사설 5G 망 서비스 제공 인프라로 활용드론 도킹 스테이션을 개발하여 드론의 사용 준비 및 정리 시간 단축을 위한 드론 임무 지원 인프라로 활용드론의 자율비행 ... | 5세대 이동통신,드론 관제,원격운영시스템,이동 기지국,이동 관제국,자율비행,임무관리,군집자율운행 | 5G mobile telecommunication,drone control,remote operation system,mobile base station,mobile control station,autonomous flight,mission control,autonomous swarm operation | 2000000000 |
188 | 2022 | 국가표준기술개발및보급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005 | SW 융복합 제품 인증표준 개발 및 인증을 위한 기반조성 | Development of certification standard for software convergence product and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certification | 조원준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4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ㅇ 소프트웨어 융복합제품에 대한 기술요구사항 개발 - 기능요구사항, 성능요구사항, 보안요구사항 및 기능안전을 고려한 안전요구사항 개발[주관기관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참여기관2(미정)]ㅇ 소프트웨어 융복합제품1에 대한 기술요구사항 개발[참여기관1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참여기관3(미정)]ㅇ 소프트웨어 융복합제품2에 대한 기술요구사항 개발 ※... | o 선정된 2종의 소프트웨어 융복합제품별 기능안전 요구사항 개발 - 소프트웨어 융복합제품별 안전무결성 수준 (SIL)을 결정하여, 융복합제품에 대한 안전성 강화 o 선정된 2종의 소프트웨어 융복합제품에 대해, 기술, 성능 , 보안, 안전 및 기능안전 요구사항 개발 - 기존에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별도로 각각 검증하는 체계에서 하드웨어... | 소프트웨어 융복합,임베디드 소프트웨어,드론,웨어러블 글라스,증강현실 가상현실 | Software Convergence,Embedded Software,Drone,Wearable Glasses,AR VR | 300000000 |
1515 | 2021 | 농업위성정보활용센터구축(R&D) |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 | 1395071307 | 농업위성정보 기반 기술 및 소프트웨어 개발(2공동) | Infratechnology and software development of agriculture satellite information(2) | 이양원 | 부경대학교 | 부산광역시 남구 | 20210401 | 2025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농업위성영상에 적용 가능한 복사보정기술 조사○ 지속적으로 수행 가능한 농업위성영상용 복사보정 기법 개발○ 복사보정성능 모니터링 및 검증 기법 개발 | ○ 복사보정을 농업위성영상에 적용하기 위한 토대 마련○ 복사보정과 대기보정이 긴밀하게 연계되도록 함 | 농림위성, 위성정보활용, 위성영상 전처리, 대기보정기술, 식생지수 | CAS500-4, Satellite Image Utilization, Satellite Image Preprocessing, Atmospheric Correction, Vegetation Index | 200000000 |
1408 | 2021 | 광주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광주과학기술원 | 1711150847 | 글로벌선도대학육성 | GUP(Global University Project) | 박지용 | 광주과학기술원 | 광주광역시 북구 | 20130101 | 99991231 | 기타 정보기술 | ㅇ Dasan Project 추진결과 그 동안의 성과를 바탕으로 세계 최고의 대학 진입 및 국내 최초 노벨상 수상자 배출 등 가시적인 성과 창출 필요ㅇ 17년 QS 세계대학평가 교수 1인당 논문피인용 지수 세계 3위의 역량을 기반으로 세계대학평가지표에 맞춘 재정 투자로 국제경쟁력 강화 | ㅇ 세계적 석학 및 우수교원 초빙을 통해 글로벌 교육 연구기관 위상확립ㅇ 2025년 세계대학평가 30위권 진입으로 Global University 명성 확보 | 인재양성, 우수교원, 세계대학평가 | Global University Project | 1880000000 |
1121 | 2021 | 국가과학기술연구회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 1711150579 | 장거리 양자네트워크를 위한 집적형 양자 인터커넥트 기술 개발 | Integrated quantum interconnects for long-distance quantum networks | 서준호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901 | 20260831 | 기타 정보기술 | 마이크로파 광자와 광통신용 광자 간의 양자신호변환을 구현하는 집적형 초전도- 포토닉 하이브리드 소자 기술 개발 | ○단일 소자 기반 GHz-THz 간 양자 정보 전환 및 전송을 통해 현재 초전도, 원자, 이온 등 다양한 물리적 플랫폼 기반으로 발전하는 양자컴퓨팅 분야에 분산형 정보처리 능력을 제공하여 양자연산능력의 획기적 개선에 기여○ 초전도 및 역학 소자 기반 양자기술을 보유한 한국표준과학연구원과 다기능 능동형 광소자 기술을 보유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및 한국과학기술원... | 양자 인터커넥트, 양자 변환기, 광역학계, 초전도 양자회로, 광소자, 양자 정보 제어, 양자 소자, 저손실 양자회로, 광양자 위상조절, 주파수 변환 | Quantum interconnect, Quantum transducer, Optomechanical system, Superconducting quantum circuit, Photonic device, Quantum information control, Quantum device, Low loss quantum circuit, Photonic quit ... | 1191600000 |
864 | 2021 | 원자력기술개발사업(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9361 | 난수 발생 회로 개발 및 집적화 기술 개발 | Random number generation circuit development and integration technology development | 박경환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80918 | 20211231 | 집적회로기술 | 전 단계에서 수행된 반도체 기반 베타선 검출소자 기술 개발, 진성난수 검증을 위한 국제표준 난수인증시험, 저에너지 베타입자 검출신호 생성을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신호처리 회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초소형 검출소자와 집적회로설계를 통해 소형난수발생모듈, 서버용 고속난수발생기를 개발하고 실용성을 검증하는 것이 본 단계의 연구개발목표임 | 반도체 기반의 베타방사선 검출소자와 난수변환 신호처리회로의 집적화를 통해 보안기능이 필요한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에 소형난수생성기 탑재 기대반도체 기반의 베타방사선 검출소자 및 집적회로 하드웨어 모듈을 기반으로 IoT 통신 보안에 핵심 부품으로 활용 가능 수십년간 지속되는 베타입자 방출로부터 반영구적 배터리도 만들 수 있으므로, 에너지 자족형 보안통신 모듈(... | 동위원소 자연붕괴,베타방사선 디텍터,진성난수 생성,베타 검출,반도체 기반 디텍터,난수변환 집적회로,보안통신모 | Isotope natural decay,Beta Radiation Detector,True random number generation,Beta ray detection,Semiconductor based detector,Random Number Conversion Integrated Circuit,security communication module,Hi... | 300000000 |
1405 | 2021 | 산업기술국제협력(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1415177587 | 이종산업간 5G/B5G 단대단 혁신서비스 제공을 위한 개방형 자율 연합 플랫폼 핵심 기술 개발 | Building Enablers for Multi Industry Sectors Collaborative Federated Testbeds, as a Foundation (Distributed Open Platform) for Cross-Industry End-to-End Services Innovation and Delivery Agility in the... | 최태상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1201 | 20241130 | 고속인터넷 네트워킹기술 | ICT, 비 ICT를 포함하는 전 산업에 걸쳐 초연결, 고품질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이종산업간 5G/B5G 단대단 서비스 혁신과 제공 편리화를 위한 개방형 자율 협력 플랫폼 핵심 기술 개발, 한-미 연합 PoC 구축, 및 글로벌 비즈니스 모델 개발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한 사업 총괄 | ㅇ 글로벌 시장에서 확산되고 있는 Private 5G 서비스간 및 Public 5G 서비스와의 연합을 통한 새로운 시장이 열리고 있으며, Private 5G 및 Public 5G 서비스를 위한 자체적인 기술 개발은 이루어 지고 있으나 연합에 필요한 핵심 기술 및 표준 개발은 태동기이고, 특히 국내에선 관련 기술/표준 개발은 전무한 상황임 ㅇ NIST와 ... | 이종산업,5세대이동통신,네트워크서비스연합,혁신서비스,제공유연성 | Cross Industry,5G B5G,Network Service Federation,Innovative Service,Delivery Agility | 38200000 |
701 | 2021 | 양자컴퓨팅기술개발사업(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3896 | 결맞음 스핀 메모리를 활용한 마이크로파-근적외선 광자 변환 장치 개발 | Transducers between microwave and near-infrared photons based on coherent spin memory | 임희진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401 | 20231231 | 기타 정보통신 부품기술 | 초전도체 공진기의 마이크로파 광자를 광섬유 전송 가능한 근적외선 광자로, 광자 수준에서 직접 변환하는 장치를 개발한다. 마이크로파 광자, 근적외선 광자 모두와 상호작용이 가능한 결맞음 스핀 메모리를 핵심 요소로 활용한다. 이것은 초전도체 양자컴퓨터를 위한 양자메모리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것과 같다. 이론 수준에서 제시된, 온도 1~3 K에서 작동할 수 있는... | 본 제안의 변환기는 초전도체 큐빗과 적외선 광자를 광자 수준의 낮은 잡음에서 직접 변환하는 장치로, 초전도체 양자컴퓨터의 광자 큐비트 인터페이스 핵심 기술이다. 양자 transducer로써 가장 기본적으로 기대되는, 양자컴퓨터의 네트워크, off-chip 확장에 활용된다. 적외선 광자 검출기의 높은 검출 효율을 이용한 초전도체 큐비트 측정 이득을 기대할 수... | 결맞음 스핀 메모리,결맞음 스핀 앙상블,광자 직접변환,양자 인터페이스,혼합 양자계,이터븀 이온,스핀-광자 이 | coherent spin memory,coherent spin ensemble,photon transducer,quantum interface,hybrid quantum system,ytterbium ion,spin-photon double resonance,collective interactions | 220000000 |
1414 | 2021 | 한국고등과학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부설고등과학원 | 1711150817 | 양자 컴퓨팅의 물리적 원리 탐구 | Exploring the underlying physical principles of quantum computing | 권혁준 | 한국과학기술원부설고등과학원 고등과학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20211101 | 20241031 | 기타 정보기술 | The goal of the proposed research is to characterize the exact advantage and limitations of quantum information processing, from which one can find a more practical way to utilize quantum resources in... | The proposed researchs outcome can provide a guideline in developing quantum technology from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mechanism of quantum computing. The immediate impact of the propo... | 양자컴퓨팅, 양자정보이론, 양자오류정정, 양자열역학 | quantum computing, quantum information theory, quantum error correction, quantum thermodynamics | 6667000 |
424 | 2022 |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686 | 화재상황 인지형 비상문 자동개폐장치 시스템 개발 | 양철승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광주광역시 북구 | 20210401 | 20221231 | 기타 네트워크기술 | 가. 연구개발과제 최종 목표 및 성과물○ 화재상황 인지형 자동개폐장치 및 시스템 개발 - Deep Camera, 음향 센서 기반 위험상황 감지 모듈 개발 - IR 센서 기반 비접촉식 화재감지 모듈 개발 - 임펄스 레이더기반 인체감지 모듈 개발 - 비상상황 감지용 통합 게이트웨이 개발 - 생체인식기반 이중보안장치 개발 - 모바일 어플리케... | ○ 기술적 기대성과- 본 기술은 소프트웨어 관점에서 영상처리, 통신 분야 와 하드웨어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통신 분야의 한 차원 높은 기술 적용이 가능 할 것으로 예측됨. 특히 화재 현상에서의 연기제거를 통한 시야확보 및 증강현실을 활용한 소방관의 안전 확보 기술, 라이다를 통한 생존자 탐색 원천 기술을 확보가 가능 할 것으로 기대되고, 해당분야 기술을 선... | 비상문개폐장치,화재감지,RF 레이더,이중보안,외부제어 | Emergency do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Fire Detection,RF Radar,Double Security,Remote Control | 236800000 | |
655 | 2022 | 나노소재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70824 | 소재 연구데이터 저장 및 분석을 위한 HW 인프라 구축 | HW Infrastructure Construction to Store and Analyze Material Research Data | 윤준원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928 | 20280327 | 정보검색 및 DB기술 | 소재 연구데이터 수집·공유·활용을 위한 컴퓨팅 인프라 및 데이터 저장 환경을 구축하며 빅데이터 저장소 운영, 계산과학 소재 데이터 생성, 데이터 분석 및 기계학습 연구에 활용되는 HW 인프라 제공·서비스 |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방안소재별 R&D 연구데이터 저장·수집·공유·활용을 위한 하드웨어 인프라 구축 통합된 국가 소재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데이터/인공지능 기반의 신소재 개발 연구 활용기대효과(기술적 측면)연구자들이 쉽게 고품질·대량의 소재 연구데이터를 활용, 효율적인 소재 개발 연구 환경으로 활용 가능개방형 플랫폼 기반 소재 연구데이터의 공유 공간으로 활용... | 개방형 플랫폼,소재,연구데이터,고성능컴퓨팅,인공지능,기계학습,웹 기반 계산 도구,웹 기반 데이터 분석 환경 | Open Platform,Materials,Research Data,High Performance Computing,Artificial Intelligence,Machine Learning,Web Based Simulation Tools,Web Based Data Analysis Environment | 1500000000 |
448 | 2021 | STEAM연구(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4923 | 비대면 물품 이송 및 배달 로봇플랫폼 개발 | Development of a Robot System for Untact Transfer and Delivery | 유범재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서울특별시 성북구 | 20201101 | 20240430 | 기타 정보기술 | COVID-19와 같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해 설치, 운영되고 있는 생활치료센터 혹은 격리병동 등과 같은 격리공간에서 사람을 대신하여, 식사, 생활용품, 의약품 등을 환자에게 배달하고, 쓰레기 및 의료폐기물 등을 수거하여 지정 위치로 이송하는 지능형 로봇시스템 개발 | - (활용계획) 격리공간(생활치료센터 혹은 격리병동)에서의 식사, 생활용품, 의약품 등을 환자에게 배달하는 로봇시스템, 쓰레기 및 의료폐기물 등을 수거하여 지정 위치로 이송하는 로봇시스템 등으로 활용- (기대효과) 의료진과 운용인력이 격리공간에 투입되는 시간과 방호복을 착용하는 횟수를 줄여 바이러스의 전염 가능성을 저감하고, 의료서비스 이외의 업무에 대한 ... | 코로나-19,감염병,격리공간,물품배달,쓰레기수거,이동-조작 로봇,시각 기반 조작,원격 관제 | COVID-19,Virus,Isolated Space,Delivery,Trash Removal,Mobile Manipulator,Vision-based Manipulation,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 505263000 |
1096 | 2021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1711141610 | 양자암호통신 기반 공동활용 네트워크 기반 구축 | 이원혁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101 | 20261231 | 기타 정보기술 | ㅇ국가 중요 연구데이터*를 물리적 기반의 양자암호기술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전송·공유할 수 있는 차세대 국가 연구망 구축 및 양자 암호 키 제 공 서비스**를 위한 국가 양자 암호 키 관리망 구축 * 국가대형연구시설장비에서 생산된 대용량, 민감성 주요 연구데이터로서 유전체/바이오 빅데이터, 핵융합 데이터, 항공/우주 데이터 등 ** 국가 연구... | ㅇ양자암호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보안전송 체계 구축이 필요한 출연연 중심 협력관계를 구축하여, 실제 국가 대형연구시설장비 등에 적용하여 안전한 보안전송 환경 구축ㅇ현재 광통신 계층의 물리적 보안부재로 어렵지만 물리적 도청/감청이 가능한 환경에서 물리적/원천적으로 도청/감청이 불가능한 체계를 구현하고, 국가 주요 연구시설 및 데이터에 대하여 4차산업 시대에 맞... | 양자키분배,양자암호,키관리,차세대 국가연구망 | QKD,Quantum Cryptography,Key Mangement,Next Generation KREONET | 2052000000 | |
883 | 2021 | IoT기반지능형항만물류기술개발(R&D)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1401 | 스마트 항만 IoT 인프라 구축기술 개발 | 이상신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경기도 성남시 | 20190520 | 202203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본 과제는 국가 경제에서 중요한 위치를 가지는 물류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항만의 생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항만물류자원 및 물품의 위치 상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IoT 장비 및 이러한 대용량의 정보를 실시간 초고속으로 수집-전달-분석-활용하기 위한 항만 IoT 통합 플랫폼과 데이터 수집을 위해 필요한 통신 인프라 및 디바이스를 구축,개발하는데 필요한... | 기술적 측면: IoT 플랫폼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 외산 기술을 능가하는 한국형 IoT 플랫폼 기술경험 축적IoT 기술을 통한 물류 가시성, 예측가능성, 작업 민첩성의 확보 스마트 항만을 위한 항만 신뢰성/안전성 확보항만 운용시스템 및 외부시스템 연동을 가능하게 하는 물류 연속성 확보경제산업적 측면: IoT 플랫폼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의 가능성과 신부가가치 ... | 사물인터넷,스마트 항만,항만 IoT,빅데이터,실시간 정보 | IoT,Smart port,Port IoT,Big data,Real time data | 87109000 | |
743 | 2022 | 나노소재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8809 | 전산재료과학기법을 통한 신규 산화물 반도체 설계, 단위소자 제작 및 저온 열처리 공정 개발 | Development of the low-temperature heat treatment process and design of novel oxide semiconductor materials through 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 techniques for flexible display backplane | 허수원 | 한국세라믹기술원 | 경상남도 진주시 | 20200515 | 20241231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본 연구에서는 신규 산화물 반도체 소재를 개발함에 있어, 전산재료과학기법을 도입하여 풍부한 물성 데이터의 확보 및 활용을 통해 원천 소재 개발을 도모하고, 산화물 반도체 TFT의 제작에 있어, 원자층 증착법의 적용 등 신 소자 구조 및 제작 공정을 제시하며, 기존 고온 열처리에 국한된 소자 특성 향상법을 탈피, 다양한 에너지원을 적용한 저온 열처리 공... | ○ 신규 산화물 반도체 원소재, 원자층 증착법을 도입한 소자제작 공정 및 열처리 기술 이전으로 화합물 제조 회사와 소자 업체에서의 활용 추진 가능○ n-type 및 p-type 산화물 반도체 기반 TFT의 최적화를 이룸으로써 CMOS 등의 회로 제작에 적용할 수 있어, 향후 회로설계가 요구되는 디바이스 제작 분야 연구에 이바지할 수 있으며, 일본/미국 ... | 산화물 반도체,전산재료과학,상평형도,저온 열처리공정,원자층 증착법,박막트랜지스터,유연기판,표면처리 | Oxide semiconductor,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Phase diagram,Low-temperature annealing process,Atomic Layer Deposition,Thin Film Transistor,Flexible substrate,Surface treatment | 531000000 |
667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9712 | 방사선 선원의 3차원 위치추정을 실시간으로 수행하는 딥러닝 알고리듬 및 센싱어레이를 탑재한 탐지로봇 개발 | Deep Learning Algorithm for 3D Localization of Radiation Source and Development of a Detecting Robot equipped a Sensing Array | 류동석 | 한국원자력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601 | 20230228 | 기타 정보기술 | 연구 목표 딥러닝을 적용한 방사선 선원의 3차원 위치추정 실시간 알고리듬 개발 및 이를 적용한 탐지로봇 구현 연차별 연구 목표 및 내용 1차년도 목표 : 방사선원 3차원 실시간 위치추정을 위한 딥러닝 알고리듬 기초 구성 - 수직수평적 정형환경을 가정한 방사선원 시뮬레이션 데이터 분석 및 딥러닝 네트워크 구성 ... | 본 연구는 종래의 단순 방사선 계측 및 방사선 맵 작성 수준의 기술을 초월하여, 다양한 센서 정보를 융합하고 딥러닝 학습을 통해 실시간으로 방사선원의 위치를 추정함으로서, 정보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동시에 방사선 측정 자동화를 선도함 최근, AI 기술 발전과 함께, 단순한 데이터 측정보다 축적된 데이터에 내재된 의미있는 정보도출의 중요성이 ... | 방사선 선원 위치추정,방사선 측정,방사선 센싱 어레이,방사선 탐지 로봇,딥러닝,전이학습,최소 감지 변화량 | localization of radiation source,radiation measurement,radiation sensing array,radiation detection robot,deep learning,transfer learning,just noticeable difference | 50000000 |
800 | 2022 | 한국원자력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원자력연구원 | 1711173751 | 원자력시설 안전관리/운영정보시스템 구축 | 문동섭 | 한국원자력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30101 | 20221231 | 기타 정보기술 | +원자력 연구 시설의 안전 관련 업무를 전산화하고 실시간으로 안전정보를 통합 관리하여 연구원의 원자력 안전 문화 정착과 유지에 기여+연구원 원자력시설의 안전성 제고를 위해 안전관리 관련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및 체계적 관리를 위한 원자력통합안전경영(ANSIM)시스템 구축(확대 적용)과 운영 | +원자력 시설 운영의 안전성 향상을 통해 대국민 안전 신뢰도 제고+원자력 시설 운영의 효율성을 높여 연구 활성화에 기여+안전 정보 관리의 통합을 통하여 경제적, 사회적 효율 극대화 +정보화의 표준 및 상호 연계 운용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정보화 자산을 효율적으로 관리+원자력 관련 설계업무에서 품질보증 유지를 위한 시스템 기능을 제공하여 연구 및 설계 업무의 ... | 원자력통합안전경영, 원자력 연구시설 | ANSIM | 140000000 | |
1095 | 2021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1711150211 | ICT 소재·부품·장비 자립기술 및 도전기술 개발 | 황치선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101 | 20261231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디스플레이 및 이차전지 핵심소재 자립기술 개발 및 디스플레이/광통신 부품 N-LAB 지원 | 디스플레이 및 이차전지 핵심소재의 국내 자립기술 확보 | 디스플레이, 컬러 포토레지스트,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바인더, 음극, 분리막, 광통신부품, 국가연구실 | display, color photoresist, microdisplay, secondary battery, binder, cathode, separator, optical communication, n-lab | 7528000000 | |
1444 | 2021 | 슈퍼컴퓨터개발선도(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6663 | 초병렬 프로세서 기반 고집적 컴퓨팅 노드 및 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high-density computing nodes and systems based on processors with parallel execution processing units | 박유미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706 | 20240405 | 기타 정보기술 | 초병렬 프로세서 기반의 고집적 고효율 컴퓨팅 노드 기술개발 및 시험 클러스터 구축을 통해 슈퍼컴퓨팅 시스템의 컴퓨팅 하드웨어 원천기술 개발초병렬 프로세서 기반의 32 TFLOPS 급 슈퍼컴퓨팅 노드 기술 개발듀얼 프로세서 기반 컴퓨팅 노드 당 소모전력 1000 W 이하 24시간 무정지 및 성능 편차 10% 안전성 보장32 TFLOPS 계산 성능 (이론성능)... | 활용계획거대 과학 계산 분야 및 신소재, 바이오/의학 연구 분야에서 과학적 난제 해결을 위한 고속 처리 시스템으로 활용고성능 컴퓨팅 노드 기반 클러스터 시스템으로 활용하여, 동적 자원 구성 지원을 통한다양한 규모의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다계층 메모리, 대규모 메모리 확장 및 데이터 이동 최소화, 가속 기술을 활용하여, 빅데이터 및 지능정보 처리 시스템 기반의... | 고집적,고성능,고효율,병렬연산관리,컴퓨팅 노드,초병렬,클러스터 시스템,확장 메모리 | High Density,High Performance,High Efficiency,Parallel Execution Management,Computing Node,Massively Parallel,Cluster System,Extension Memory | 2800000000 |
868 | 2022 | 국가수리과학연구소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수리과학연구소 | 1711170539 | 경량기기 전용 신규 난제 기반 고속공개키 암호알고리즘 연구 | Development of High Speed Public-Key Cryptography based on New Mathematical Hard Problems for Constrained Devices | 심경아 | 국가수리과학연구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70101 | 20221231 | 정보보안 및 암호기술 | - 신규 난제 안전하고 효율적인 기반 차세대 공개키 암호알고리즘 설계/안전성 분석 및 실용화 연구 | ○ 차세대 공개키 암호는 경량기기에서 고속구현이 가능하여 그 동안 속도가 느려 사용하지 못했던 공개키 암호를 IoT 경량기기에서 활용할 수 있어 관련 정보보호업체에 기술이전이 가능함.○ 신규 난제 기반 차세대 공개키 암호알고리즘의 개발을 통해 경쟁력 있는 기술 확보가 가능하고, 개발된 고속 공개키 암호는 다양한 응용환경에서 요구하는 특수한 목적과 기능을 수... | 사물인터넷, 공개키 암호알고리즘, 전자서명, 양자 내성 암호, 구현 공격, 양자내성 블록체인 | Internet of Things, Public-Key Cryptography, Digital Signature, Post-Quantum Cryptography, Implementation Attack, Blockchain | 403000000 |
556 | 2021 | ICT융합산업혁신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26119 | 고정밀 맵 음영 환경의 완전자율주행 네비게이션 인공지능 기술개발 | Development of Fully Autonomous Driving Navigation AI Technology in high-precision map shadow environment | 민경욱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80401 | 2021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고정밀 맵 음영 도로환경에서 완전자율주행을 위한 주행전략을 제공하는 자율이동체 탑재형 인공지능 기술 및 기술적 한계에 대응하는 교통 정책 개발 | (1) 기술적 측면ㅇ 완전자율주행(SAE 4단계 이상)서비스를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고정밀 맵 음영지역에서도 자율주행차 운영이 가능해져 고정밀맵기반의 자동차 전용도로 자율주행의 안전성을 높이고, 전도로 환경으로 확대되어 자율주행서비스 조기상용화 가능ㅇ 고정밀 맵 음영지역에서의 자율주행 기술 개발은 기존 고정밀 맵 기반 자율주행기술개발의 레드오션을 탈피하... | 고정밀 맵,내비게이션,맵 음영,완전 자율주행,인공지능 | Artificial Intelligence,Fully Autonomous Driving,High Precision Map,Map shadow,Navigation | 2000000000 |
604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3297 | 3D 체적 디스플레이 적용을 위한 고효율 다색발광 업컨버전 나노형광체 개발 | Development of efficient multicolor-emitting upconversion nanophosphor for 3D volumetric display | 장호성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서울특별시 | 20220301 | 20260228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본 연구에서는 나노형광체 모체에 도핑되는 란탄족 원소 제어 및 나노입자 구조 제어(코어/쉘, 코어/다중쉘 등)를 통해 단일 나노입자로부터 강한 적색(R)/녹색(G)/청색(B) 발광을 나타내는 업컨버전(upconversion) 나노형광체를 개발하고자 하며, 여기광원을 제어하여 다양한 발광색을 나타냄으로써 풀컬러(full color) 발광이 가능한 upconv... | ○ 단일 나노입자로부터 고효율 R/G/B 발광이 가능한 upconversion 나노형광체를 개발함으로써 3D 체적 디스플레이로부터 동영상 구현이 가능할 것이고, 이를 통해, 고해상도의 부피방식 체적 3D 디스플레이 개발의 교두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관련된 원천 소재 기술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풀컬러 upcon... | 란탄족 도핑,코어/다중쉘,다색 발광 업컨버전,색조절,3D 체적 디스플레이,나노형광체 | lanthanide doping,coremultishell,multicolor-emitting upconversion,color tuning,3D volumetric display,nanophosphor | 181573000 |
754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72311 | 도심지 교통예측을 위한 딥러닝 기반 트랜스포머 신경망 모델 | Deep Learning based Transformer Network Models for Urban Traffic Prediction | 이홍석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대전광역시 | 20220601 | 20250228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본 연구의 목표는 다별량 교통 예측을 위하여 딥러닝 기반 트랜스포머 모델을 구축하고, 도심지 트래픽 예측을 통한 교통혼잡 사회현안을 해결하는 것이다. - 다변량 시공간 트랜스포머 모델 구현을 통해서 아래와 같이 세 가지 핵심 기술 요소(CTE)를 도출하였다. CTE 1: 시공간 AI 학습용 다변량 교통 데이터 모형 신규 구축 CTE 2: 딥러닝... | - 자연어 처리 분야에 크게 성공한 어텐션 메커니즘 기반의 트랜스포머 아키텍처를 도심지 시공간적 의존성이 큰 광역 교통 흐름 예측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향상한다.- 동시에 트랜스포머 모델의 병렬처리 확장성으로 시공간적 범위를 크게 확장이 기대되며, 인공지능과 교통혼잡 분야의 기술적 리더쉽을 높임- 방대한 국내 교통 데이터를 가공, 인공지능, 딥러닝 공개 ... | 도심 교통 예측 ,딥러닝 교통,트랜스포머 모델,공공 교통 빅데이터 | Urban Traffic Prediction,Deep Learning Traffic,Transformer Model,Traffic Open Big Data | 50155000 |
431 | 2022 | 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과기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70815 | 전임상 동물모델 이용 바이러스 변이 분석 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viral mutation analysis systemusing preclinical animal models | 구본상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901 | 20231231 | 정보검색 및 DB기술 | 전임상 감염 동물모델 이용하여 생체 내 자연 변이, 백신 및 치료제 등에 의한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 바이러스의 유전자 변이를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분석 및 다양한 생물정보학 (bioinformatics) 분석 기법을 기반으로 하여 심도 있게 수행하고 사람 유래 COVID-19 바이러스 유... | 세포주 및 전임상동물모델 이용 COVID-19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 바이러스 변이율이 높은 RNA 바이러스들의 변이 예측 시스템 유효성 검증바이러스 예측 시스템 개발을 통한 유전자 시퀀스 기반 신규 백신 및 항체치료제 등에 정보 제공 가능백신 및 치료제 접종에 따른 별도의 변이 예측 시스템 개발 | 바이러스,변이,진화론적 분석,계통분석학적 분석,단일염기다형성,3차구조 분석,유전자 선택력,코비드-19 | Virus,Mutation,Evolutionary analysis,Phylogenetic analysis,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Tertiary structure analysis,Selection pressure,COVID-19 | 200000000 |
1004 | 2021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1458 | 불확실성을 지닌 다수 로봇의 분산 적응 대형 제어 및 목표 할당 전략 연구 | Distributed adaptive formation control and goal assignment strategies for uncertain multi-robot systems | 최윤호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서울특별시 성북구 | 20210901 | 20220831 | 기타 정보기술 | 본 연구개발과제의 최종 목표는불확실성을 지닌 다수 로봇의 분산 적응 대형 제어기 설계 및 분산 목표 할당 전략 수립으로 효과적인 연구 성과를 획득하기 위해 세 가지 세부 목표를 설정했다.1) 최근 선행 연구에서 다룬 로봇의 불확실성 형태 및 보상 방식 분석. 제어 대상 결정 및 제어 목표 수립2) 분산 적응 대형 제어기 설계 및 적응 메커니즘과 운동역학... | 본 연구의 성공적 수행은 관련 연구 활성화의 초석이 될 수 있으며 국내 다수 로봇 분야의 기술 수준을 향상할 것으로 기대된다. 세부적으로 학문 및 사회적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예상할 수 있다. 1) 학문적 측면에서의 기대효과 (1) 다수 로봇 시스템의 분산 적응 대형 제어 및 목표 할당 분야의 확고한 이론적 배경 확립 (2) 불확실성을 고려... | 다수 로봇,분산 적응 대형 제어,목표 할당,불확실성 | Multi-robot systems,Distributed adaptive formation control,Goal assignment,Uncertainty | 60000000 |
552 | 2021 | 한국전기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전기연구원 | 1711141086 | 의료용 Co2 레이저 파워 개발 | 최영욱 | 한국전기연구원 | 경기도 안산시 | 20210101 | 20210630 | 기타 정보기술 | 고출력 의료용 Co2 파워 개발- 100W까지 출력 가능한 의료용 Co2 레이저 개발 | ○ 고출력 Co2 레이저 파워를 이용한 의료기기를 개발하여 시술을 더 간단하게, 환자의 출혈 및 고통을 덜어줄 수 있게 의료기기 시장의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함. ○ Co2 레이저는 다양한 병변에 사용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이고 많이 사용되는 의료기기임. 더 높은 사양의 레이저기기 에 대한 니즈가 매우 높기 때문에 매출액 증가, 수출증가, 고용창출이... | 의료용 Co2 레이저 파워 개발 | Medical Co2 Laser Power development | 21060000 | |
1417 | 2021 |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1711150337 | 반도체 브러쉬 세정공정의 이상 상태 진단을 위한 인공지능(AI) 모델 및 분석기술 개발(2/2) | 조한철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부산광역시 사상구 | 20200101 | 20211231 | 집적회로기술 | Brush의 마모도 정량적 측정 기술 및 장치 개발 인공지능 모델 검증을 위한 wafer sensor 개발 Brush 마모인식을 통한 tool 수명 진단 인공지능 기술 개발 Unpredictable error 감지를 위한 정상상태 신호 학습 기반의 인공지능 모델 개발 및 기술 고도화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기술을 통한 사람과 인공지능 모델과의 양방... | 고가의 반도체 CMP 세정 장비에 적용되는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한 공정 모니터링 및 실시간 이상 상태 감지를 통하여 반도체 공정 수율과 생산성을 확보함으로써 국가 반도체 기술 경쟁력 확보 인공지능 모델의 장비 적용을 통해 국내 반도체 장비의 업체의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여, 선진사에서 독점하고 있는 반도체 CMP 장비의 점유을 증대 세정 공정에 적용된... | 반도체, 인공지능, 브러쉬, 세정, 비예측성 문제 | Semiconductor, AI, Brush, Cleaning, Unpredictable error | 145000000 | |
1240 | 2021 | 기계장비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152 | 고강도 난삭재 가공용 고출력 레이저 융합 가공기 개발 | Development of laser hybrid machine for machining of difficulttocut materials | 안상훈 | 한국기계연구원 | 기타 기타 | 20200601 | 20231231 | 기타 정보통신 부품기술 | - 주관기관(한국기계연구원) : : 레이저 빔 안정성에 따른 광학 해석 : 레이저 빔 실시간 모니터링 모듈 시험, 제어기 개발 및 피드백 제어 → 압전소자 히스테리시스 분석 및 비선형 보상 제어기술 개발 → 빔 위치 및 초점 제어 시스템 개발 및 피드백 제어 기술 개발 - 참여기관 1(두산공작기계) : 레이저-워터젯 융합 가공기 플랫폼 제작 ... | o 기술적 측면 - 광학 시스템 설계 및 제작 기술 확보 - 광학 시스템 제어 기술 확보 - 레이저 광원 제어 기술 확보 - 3+1축 플랫폼 설계 및 개발 기술 확보 - 3+1축 동시 제어 기술 확보 o 산업적 측면 - 광학 시스템 기술 해외 의존도 해소 - 레이저 광원에 대한 해외 의존도 해소 ... | 레이저 광학 모듈,워터젯 모듈,레이저워터젯 융합 공정,나노초 레이저,난삭재 가공 | Laser optical module,Waterjet module,Laserwaterjet hybrid process,Nanosecond laser,Machinig of difficulttocut matarials | 1939100000 |
1008 | 2021 | 한국전기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운영경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전기연구원 | 1711151564 | 의료용 Co2 레이저 파워 개발 | 최영욱 | 한국전기연구원 | 경기도 안산시 | 20210101 | 20210630 | 기타 정보기술 | 고출력 의료용 Co2 파워 개발- 100W까지 출력 가능한 의료용 Co2 레이저 개발 | ○ 고출력 Co2 레이저 파워를 이용한 의료기기를 개발하여 시술을 더 간단하게, 환자의 출혈 및 고통을 덜어줄 수 있게 의료기기 시장의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함. ○ Co2 레이저는 다양한 병변에 사용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이고 많이 사용되는 의료기기임. 더 높은 사양의 레이저기기 에 대한 니즈가 매우 높기 때문에 매출액 증가, 수출증가, 고용창출이... | 의료용 Co2 레이저 파워 개발 | Medical Co2 Laser Power development | 16075000 | |
1535 | 2021 | 방송통신산업기술개발(R&D,정보화)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26096 | 이종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물리계층 보안 기술 연구 | A Study on Physical Layer Security for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 하정석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80701 | 20221231 | 정보보안 및 암호기술 | - 최종 목표다양한 형태의 무선망이 혼재된 무선 이종 네트워크를 위한 물리계층 통합 보안 기술 연구 및 시제품 제작을 통한 기술 실현 가능성 검증- 최종 결과물1) 전이중 통신 기술 및 에너지 수확 기법을 활용한 물리계층 보안 기술2) 비직교 다중 접속 기술을 활용한 물리계층 보안 기술3) 공격에 강인한 분산 동기 알고리즘, HW 테스트 베드 및 시제품4)... | - 3차 년도에 수행한 기초 연구를 기반으로 초밀집 네트워크의 특성을 고려한 최적의 에너지 수확 기법 및 협력 통신 기법을 개발함으로써, 차세대 5G 및 beyond 5G 시스템의 보안 성능 향상에 기여- 하향링크 비직교 다중 접속 시스템을 위한 다중 안테나 활용 기법에 관한 연구를 통해 제안 시스템의 보안 성능 향상이 기대되며, 대규모 다중 안테나 등 미... | 기계학습,물리계층 보안,분산 네트워크,셀룰러 네트워크,이종망 | Cellular Network,Distributed Network,Heterogeneous Network,Machine Learning,Physical Layer Security | 525000000 |
903 | 2021 | 자율운항선박기술개발사업(R&D)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1166 | 자율운항시스템 핵심기술(항로 의사결정, 육상제어용 상황인식, 신뢰성평가/사고대응) 및 국제 표준 개발 | 여동진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427 | 2025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지능형 항로 의사결정 기능을 갖는 자율운항 시스템 개발 ○ 지능형 항로 의사결정 솔루션(S/W) 1식 ○ 고신뢰도 경로 추종제어 솔루션(S/W) 1식 ○ 자동 이/접안 알고리즘(S/W) 1식 ○ 경제운항 최적항로 설정 솔루션(S/W) 1식 ○ 자율운항/경제운항 공통 서비스 플랫폼[(H/W)+(S/W)] 1식□ 자율운항선박(Ship2Ship2Shore) ... | □ 국내외 건조되는 자율운항선박에 활용하여 미래 조선산업 시장에서 한국형 자율운항선박 기자재 기술 및 플랫폼 기술의 우위 유지에 활용□ 능동형 해상 자율운항/경제운항 시스템으로 고도화 및 확대 적용□ 최적 항로와 더불어 선사별 운항 전략을 적용한 항로 계획 기술을 개발하여 다양한 최적 항로 안을 제안함으로써 자율운항선박에 적용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자율성을... | 자율운항선박,자율운항 통합 플랫폼,해상업무용 디지털통신,사이버보안,원격제어시스템 |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Autonomous navigation platform,VDES,Cyber security,Remote control system | 2370900000 | |
64 | 2022 | 정보통신방송기술국제공동연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59784 | Web5G 보안 및 프라이버시 위협 연구 | Investigation of new security and privacy threats in Web5G platforms | 신인식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401 | 20230331 | 정보보안 및 암호기술 | [최종 연구 목표]● Web5G 환경에서의 부채널 공격 기법 및 방어 기술 연구 - 5G/LTE망에서 공개적으로 측정 가능한 스트림 트래픽 패턴 분석을 통한 재생된 비디오 식별 연구 와 부채널 공격 방어 기술 개발 - 부채널 공격을 통한 Web Virtual Reality(VR) 웹사이트의 식별 연구 와 방어 기술 개발● Web5G 웹 애플리케이션 상... | [활용 계획]● 차세대 Web5G 서비스 도입 시 고려해야 하는 보안 요소들을 선행 연구함으로써 독자적인 보안 기술 선점 가능● WebVR 부채널 공격 방어, Dom-based XSS 취약점 자동 탐지, 웹 환경에서의 비디오 식별 기술, 웹 서비스 워커 어뷰징 공격 방지 등 Web5G 보안 기술 연구에 대한 원천기술을 확보함으로써 다양한 보안 제품 및 서비... | 보안 위협 분석,부채널 공격,웹 애플리케이션,웹5G,프라이버시 | Privacy,Security Threat Analysis,Side Channel Attack,Web Application,Web5G | 250000000 |
226 | 2022 | ICT혁신선도연구인프라구축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52576 | 초연결 공통 네트워킹 서비스 연구인프라 구축 | Hyper-Connected Common Networking Service Research Infrastructure Testbed | 류호용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401 | 20231231 | 기타 네트워크기술 | o 4차 산업 디지털 생태계 변화에 따른 융합 신제품/서비스 솔루션 아이디어를 개발, 시험 및 실증할 수 있는 연구 인프라 및 디지털 생태계를 구축함으로써 중소벤처기업들의 연구 개발 기반 시설 확보 및 신기술 개발 지원 - 융합 서비스를 위한 인에이블러 개발 인프라, 가상화 기반 서비스 시험 인프라, 가상-물리 통합 환경 기반 서비스 실증 인프라 등 개발... | o 활용 방안 - 초연결 공통 네트워킹 서비스 플랫폼은 아이디어는 갖고 있지만, 개발 역량 및 투자여력이 부족한 중소 ICT 산업체가 활용 가능 - 초연결 공통 네트워킹 서비스 플랫폼을 대학 등의 교육기관에 무상 제공하여 ICT융합 제품서비스 개발에 관련하여 고급인력 양성을 위한 기초 연구시설물로 활용 가능 - ICT융합 제품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 | 네트워크 가상화,리빙랩,서비스 인에이블러,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오케스트레이터 | Living Lab,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Orchestrator,Service Enabler,Software Defined Network | 1917800000 |
828 | 2021 | 공간정보기반실감형콘텐츠융복합및혼합현실제공기술개발(R&D)(산업부) | 산업통상자원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161 | 가상훈련용 고정밀 3D 공간정보 기반 유무인 이동체 가상훈련 지원 기술개발 | 정광모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경기도 성남시 | 20180423 | 20221231 | 멀티미디어 단말기 및 운영체계기술 | 고정밀 3차원 가상훈련 공간정보 기반의 유무인비행체용 가상훈련 시뮬레이터 4대 활용기술인 “공간정보처리 지원기술”, “유인비행체 안전운행 가상훈련기술”, “무인비행체 안전운행 가상훈련기술”, “유무인비행체 안전운행 가상훈련 관리·활용 지원 기술”을 개발하여 유무인 비행체용 가상훈련 체계를 구축하고, 해당 기술 및 체계에 대한 실증/검증을 수행함. ○ 연구성... | ● 가상 비행훈련 및 사고극복 훈련에 고정밀 3D 공간정보 및 실감형 콘텐츠 분야 기술 적용 선도- 가상 비행훈련 및 비행사고 극복 원천기술 확보로 향후 Full Flight Simulator 기반 확보 ● 무인기 개발 및 시험, 안전기준 연구, 안정성 평가 기술, 인증을 위한 표준모델 개발 가능● 충돌회피, 다중제어, 고정밀 GPS, 비행기록·위치발신 등... | 가상훈련,시뮬레이션,공간정보,유무인비행체,공간정위상실 | Virtual training,Simulation,Spatial information,Aerial vehicle,Spatial disorientation | 1516443000 | |
550 | 2021 | 국가수리과학연구소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수리과학연구소 | 1711149662 | 질병 및 질환 예측, 진단, 치료를 위한 의료수학 연구 | Medical Mathematics for Prediction,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seases | 안치영 | 국가수리과학연구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101 | 20221231 | 신호처리기술(영상·음성처리·인식·합성) | ○ 고화질 의료영상 복원을 위한 알고리즘/소프트웨어 개발 및 임상 적용 - CT영상에서의 금속 인공물 보정 알고리즘 및 잡음보정 소프트웨어 개발 - Brain-PET영상에서의 short scanning 복원 알고리즘 개발 -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DDH) 스크리닝 알고리즘 및 소프트웨어 개발 - 인공지능 기반 두(頭)부 계측 3차원 ... | - 의료수학 기반 의료서비스 개발을 통해 의료산업 활성화에 기여 - 수학이론에 근거한 최첨단 의료영상 원천기술 확보 및 대외 의존도 탈피 - 보건의료 관련 데이터를 활용한 지역별 감염병 위험도 예측 가능 - 뇌전증 환자의 수술치료 시 빠른 분석과 정확한 치료에 기여 -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이 세계시장에서 규모와 기술의 격차 해소 계기 마련 | 의료수학, 의료영상, 데이터분석, 수리모델링, 감염병 모델, 신약선도물질예측 | Medical Mathematics, Medical Imaging, Data Analytics, Mathematical Modeling, Infectious Disease Model, Lead Prediction | 1463000000 |
1065 | 2021 | 한국원자력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원자력연구원 | 1711139330 | 하나로 및 연구시설 운영 지능화 플랫폼 구축 | 유용균 | 한국원자력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101 | 20211231 | 신호처리기술(영상·음성처리·인식·합성) | 인공지능, 전산모사 기술을 활용한 대형연구시설 운영 지능화 기술 개발 및 지능화 플랫폼 프로토타입 구축 | - 원자력 관련 연구 전분야에 있어 인공지능 및 전산모사 기술 적용 활성화를 위한 연구 기반확보- 기술 개발을 통한 운영 안정성, 효율성 증대 및 대외 인식 제고- 차세대 첨단 계측기술의 선점을통한 해외 기술수출 기대 | 인공지능, 기계학습, 원자로, 이상탐지, |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Learning, Nuclear Reactor, Anomaly detection | 564000000 | |
944 | 2021 | 차세대엣지컴퓨팅시스템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25996 | 엣지 서버 시스템 자원 관리 및 제어를 위한 경량 시스템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Lightweight System Software for Edge Server System Resource Management and Control | 손재기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경기도 성남시 | 20200401 | 2023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대규모 엣지 데이터 처리를 위한 차세대 컴퓨팅 인프라 구성 중 엣지 컴퓨팅 장치의 실시간 정보처리에 관한 시스템 SW 및 안정적 엣지 응용 서비스 지원을 위한 가상자원 최적화 라이프사이클 관리 지원에 관한 경량 가상화 Middleware 기술을 개발 | 기술적 측면 - 지능정보, 스마트 시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엣지 컴퓨팅의 핵심 기술로 개발/프로토타입/반복 등 일련의 개발 과정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개발 및 배포 가능하여 신규 개발 서비스의 높은 시장 적시성 및 경쟁력 확보 가능경제, 산업적 측면 - 현재 관련산업 기반이 취약한 기술분야 이지만 향후 경제적 전망이 밝은 영역으로, 엣지 컴퓨팅은... | 실시간 엣지 SW,엣지 서버 시스템,엣지 시스템 SW,엣지 운영체제,엣지 컴퓨팅 | Edge Computing,Edge Operating System,Edge Server System,Edge System SW,Real time Edge SW | 1000000000 |
1539 | 2021 | 연구개발특구육성(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재단)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 1711150083 | 건물 매립형 침입/화재 감지용 음장센서 공동 연구 개발 | Join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ound field sensors for detecting intrusion and fire in buildings | 이상우 | (주)시큐웍스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601 | 20220531 | 고속인터넷 네트워킹기술 | 1. 최종목표 건물 매립형 침입/화재감지용 음장센서 개발- 비상 스피커 기능이 포함된 매립형 음장센서 개발- 홈 IoT 제어시스템 연동을 위한 운용시나리오 개발- 홈 IoT 알람시스템 연동을 위한 프로토콜 개발2. 추진전략 -본 연구의 최종목표는, COVID 19로 인하여 가정 안전의 중요도과 대두 되고 있는 시점에 비상스피커 기능이 포함된 매립형 음장센서... | - 건설사 간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최근 건설사들이 자사 주거 브랜드 이미지의 프리미엄화를 시도하고 있음. 이에, 세계최초의 기술인 음장센서를 아파트에 매립하여 기존 주거 내 침입 및 화재감지기와의 차별화를 전략을 내세움으로써 매출 확보 가능- 통계청 건축물 통계에 따르면 국내 건축물 현황은 총 7,275,266동으로 면적 3,680,871천 m2에 달한... | 매립형음장센서,비상스피커 음장센서,매립형 침입감지기,매립형 화재감지기,매립형센서 | Built in Sound Field Sensor,sound field sensor for Emergency Speaker ,Built in Intrusion detector,Built in fire detector,Built in sensor | 250000000 |
393 | 2022 | 신개념PIM반도체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52971 | 프로세서와 고속적층 메모리 통합 PIM 프로세서 구조 및 반도체 개발 | PIM Processor Architecture and Design integrating NPU and HBM | 권영수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401 | 20241231 | 집적회로기술 | 프로세서와 고속 적층 메모리 HBM-PIM을 통합하여 5TFLOPS/W급 초고성능, 고전력효율성의 PIM 프로세서 반도체 원천기술 개발 | (1) 기술적 측면□ 고성능·고에너지효율 인공지능 프로세서는 운영체제 혹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핵심 기술로서 스마트기기, 자동차, 의료기기, 산업기기 등 다양한 산업 경쟁력의 원천이 될 것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의 실시간 연산을 하는 인공지능 딥러닝 어플리케이션에서 인공지능 프로세서와 메모리 간의 메모리 장벽(Memory Wall)으로 인한 성능한... | 고속적층메모리,근접 컴퓨팅,뉴럴프로세서,반도체,프로세싱 인 메모리 | High speed Stacked Memory,Near Memory,Neural Processor,Processing In Memory,Semiconductor | 2607200000 |
855 | 2021 |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1711150345 | 어텐션 기반의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시퀀스타입 제조데이터 처리 기술 개발(1/1) | 이상아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인천광역시 연수구 | 20210101 | 2021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어텐션 메커니즘 적용을 통한 딥러닝 기반 시퀀스타입 제조데이터 처리 기술의 고도화 | 본 과제를 통해 정립된 개발기술의 활용방안을 바탕으로 적합한 제조데이터의 수집이 가능한 원 내/외 공정전문가와 공동연구 및 기술교류를 통해 개발기술을 고도화 하고 현장적용을 통한 고수준의 공정 지능화를 구현높은 정확도의 예측 알고리즘을 확보함으로서 높은 불량 검출율, 높은 고장 예측율을 요구하는 제조공정까지 지능화시스템 활용의 영역을 넓힐 수 있음제조... | 기계학습, 딥러닝, 시퀀스데이터, 제조데이터, 어텐션 매커니즘 | Machine learning, Deep learning, Sequence data, Manufacturing data, Attention mechanism | 30000000 | |
710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2463 | 기계학습 및 시공간 분석을 융합 활용한 데이터 기반의 환경 불평등 및 환경인자들의 영향력 분석 기법 연구 | A Study on Data-based Environmental Inequality and Influence Analysis Techniques Using Machine Learning and Spatio-temporal Analysis | 진대용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 | 20200301 | 20230228 | 기타 정보기술 | 잡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와 분석이 필요하며 위해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분석결과에 근거한 환경정책 수립을 요구하고 있음,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으로 구축·갱신되고 있는 환경정보와 기계학습 및 시공간 분석(시공간 모형, 회귀, 클러스터링, 의사결정나무, 딥러닝, LIME 등) 분석 기법의 접목을 통해 대기오염, 소음 등으로 부터 발... |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되는 원단위(환경생태적 우수지역 면적 당 대기오염물질 감소, 질환자수 감소, 소음의 감소 등) 도출을 통한 정책적 의사결정 지원 체계 구축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으로 활용(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며, 특히 본 연구에서 수행하는 민감계층 및 민감지역에 대한 환경 불평등 분석을 통해 현 상태 진단을 통한 지원 우선순위 도출 및... | 기계학습,시공간분석,영항력분석,데이터기반 정책,환경불평등,환경정책,상관관계 ,인과관계,환경지도 | correlation,causality,environmental map,spatio-temporal analysis,machine learning,influence analysis,environmental policy,environmental Inequality,data-based policy | 50000000 |
1491 | 2021 | 정보통신방송기술국제공동연구(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34224 | 정형 및 비교 분석을 통한 자동화된 이동통신 프로토콜 보안성 진단 기술 | Automated security diagnosis framework for cellular network protocol using formal and comparative analysis | 김용대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401 | 20230331 | 정보보안 및 암호기술 | 이동통신 제어영역 프로토콜 동작 모델링 기술 개발- 이동통신 제어영역 신호 수집 시스템 개발- 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 자연어처리) 기술을 사용한 이동통신 프로토콜의 정형화 기술 개발- State machine 형태로 표현되는 표준/로그 기반의 이동통신 제어 영역 프로토콜 동작 모델링 기술 개발State Machine으로... | ○ 기술도입으로 인한 경제적 효과(이동통신사업자)- 망 운용 및 분석에 요구 되는 비용 절감 자동화된 이동통신네트워크 제어 영역 동작 모델링 기술은 표준 분석에 요구되는 비용을 없애고, 제어 영역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절차들의 동작 과정에 대하여 모델 간 비교를 통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기술을 제안함으로써, 이동통신망에 존재하는 이상 상황을 쉽게 검출하고 ... | 보안 위협 분석,상태머신,자연어처리,정형 분석,제어 영역 프로토콜 | Control plane protocol,Formal analysis,Natural language processing,State machine,Threat validation | 250000000 |
860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6995 | 머신러닝 기반의 지하구조물 재난 예측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machine learning based disaster prediction technology for underground structures | 박정준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경기도 의왕시 | 20190301 | 20220228 | 정보검색 및 DB기술 | □ 비전 ㅇ 지하구조물 건설 중 예측하지 못한 불량한 지반의 출현 가능성은 항상 존재하며, 미흡한 대응으로 인한 굴착면 붕괴, 싱크홀 등의 재난으로 이어져 도심지 안전 문제 발생. 머신러닝 기반 지하구조물 재난 예측 기술을 통하여 발생 가능한 재난을 사전에 예측하고 이에 대응하여 안전한 도심지 지하구조물 건설 기술 확보□ 연구목표 ㅇ 지하구조물 건설 중 계... | ㅇ 터널 설계 시 지반조사를 위해서 50~100m마다 시추를 수행하여 지반 상태를 평가하고 시추공 사이의 지반조건은 가정하기 때문에 시추공 사이의 지반조건은 설계 시 예측한 것과 상이한 결과가 많음. 따라서 시공 중 지반 상태를 정확히 판단하는 것은 안전한 지하구조물 시공의 핵심요소임ㅇ 본 연구의 머신러닝 기반 막장면 영상정보 자동화 인식 연구는 영상 정보... | 지하구조물,터널,머신러닝,인공지능,역해석,재난예측기술 | underground structure,tunnel,machine learning,artificial intelligence,reverse engineering,disaster prediction technology | 100000000 |
1077 | 2021 |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1711150264 | 4000 ppi 급 초고해상도 양자점 배열 기술 개발(1/1) | 조한철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부산광역시 사상구 | 20210101 | 20211231 | 차세대디스플레이기술 | 잉크젯 기반이 아닌 용액공정에서 전기장을 통한 4000 ppi급 초고해상도 배열 기술 개발 4000 ppi 초고해상도를 만족함과 동시에 EL구동 가능한 소자 제작 및 평가 초고해상도 원천 기술 개발 및 지식재산권 확보 | 디스플레이 기술로 세계적으로 기술을 선도하고 있으나 최근 중국 기업의 추격으로 초격차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에서 QLED 원천 기술 확보를 통한 국가 디스플레이 기술 경쟁력 확보 전기영동과 같이 용액 공정 기반 대량 생산 기술 접목 시 유사 산업으로의 확대적용 가능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원천기술 확보 가능 잉크젯을 통해 제작될 수 있는 최고화소 ... | 양자점, 배열, 디스플레이, 초고해상도, 전기영동 | Quantum Dots, Array, Display, Ultra-high resolution, electrophoresis | 100000000 | |
1174 | 2022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1711173240 | 지오빅데이터 오픈플랫폼 개발을 통한 국가지질자원데이터센터(NGDC) 기반 구축 | Establishment of National Geoscience Data Center (NGDC) Infra through Development of Geo-Big Data Open Platform | 한종규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101 | 20241231 | 기타 정보기술 | 1. 연구데이터 관리체계(수집 관리 활용) 고도화 및 품질관리 평가시스템 개발 2. 지오빅데이터 오픈플랫폼 대국민 서비스 및 국가데이터센터(NGDC) 기반 구축 3. 지오빅데이터 오픈API 및 데이터셋 30종 제공 | 1. 국가차원의 지질자원 연구데이터의 관리, 보존체계 구축을 통해 연구데이터를 자산화하고, 공유 활용체계 구축을 통해 연구데이터 활용 생태계 조성 및 데이터 기반 R&D 촉진 2. 4차산업혁명 시대의 원유로 비유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AI, IoT 등 ICT 기술과의 융·복합을 통해 지질자원분야에서 신산업 창출과 국민생활안전에 필요한 신기술개발에 활용 3... | 지질자원,연구데이터,지포지터리,징오빅데이터,오픈플렛폼 | Geoscience Data, Research Data, Repository, GeoVigData, Open platform | 1274300000 |
1573 | 2021 | 정보통신방송표준개발지원(R&D,정보화)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26397 | 양자정보통신 기술 표준 개발 | Development of Standards for Quantum Information Technology | 최태상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401 | 20221231 | 정보보안 및 암호기술 | 가. QKDN & QKDEN 및 서비스 기술 표준 개발 (1 ~ 2 차년도) o 양자암호키분배 네트워크(QKDN) 요구사항, 구조, 제어/관리, 유즈케이스, 프로토콜, QoS 표준 개발 o QKDN에 적용되는 양자암호 관리 기술 표준 개발 o QKDN User Network, 서비스, 및 비즈니스모델(BM) 기술 표준 개발 o QKD Enha... | 가. 예상되는 사업결과 o 공공/국방/금융 등 보안네트워크 시장 활성화 - 국제표준에 따른 안전한 양자정보통신 네트워크 기술 개발 . 네트워크 보안이 필수인 주요 네트워크의 양자정보통신 수요 확대 및 시장 활성화 o 한국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 기회 제공 - 국제표준 선점 및 관련 기술 개발로 한국 기업의 기술 경쟁력 강화 ... | 양자암호,양자정보통신기술,양자정보통신네트워크,양자카분배확장네트워크,양자키분배네트워크 | Quantum Cryptography,Quantum Information Technology,Quantum Information Technology Network,Quantum Key Distribution Extended Network,Quantum Key Distribution Network | 302700000 |
985 | 2021 | ICT기반원자력안전혁신기술개발사업(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8765 | 딥러닝 기술기반 중대사고 고속예측 요소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elementary technologies for severe accident fast prediction using deep learning techniques | 조재현 | 한국원자력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417 | 20221231 | 기타 정보기술 | 최종 연구개발 목표: 딥러닝 기술기반 중대사고 진행 고속예측 요소기술 개발세부 연구개발 목표중대사고 진행 고속예측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1) 발생 가능한 중대사고시나리오 목록을 리스크 관점에서 도출하고, 2) 도출된 중대사고시나리오에 대한 다량의 전산코드 분석결과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한 후, 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산코드 분석결과를... | 본 과제를 통하여 중대사고 진행 고속예측 기술이 세계 최초로 개발되면 중대사고 결과 예측속도가 월등히 향상되기 때문에, 기존에 중대사고 전산코드를 사용한 안전성 평가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것으로 기대됨.중대사고분석 자동화 SW를 이용하여 다량 중대사고시나리오를 분석할 수 있으므로, Level 2 PSA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 | 딥러닝,데이터베이스,중대사고시나리오,2단계 PSA,리스크,디지털페어,고속예측,중대사고관리지침서 | Deep Learning,Database,Severe Accident Scenario,Level 2 PSA,Risk,Digital Pair,Fast Prediction,Severe Accident Management Guideline | 700000000 |
46 | 2022 | 데이터프라이버시글로벌선도기술연구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70655 | 고성능 동형암호 최적화 컴파일러 개발 | Development of high-performance homomorpic encryption optimization compiler | 박성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20401 | 20241231 | 정보보안 및 암호기술 | o (목표) 동형암호 전문가가 수동 작성한 코드와 유사 성능을 갖는(오버헤드 10%이내) 동형암호 프로그램을 자동 생성하는 컴파일러 개발 ※ End Product - 고성능 동형암호 최적화 컴파일러(SW) - 동형암호 응용소프트웨어 통합개발환경(SW) o 주요 기능 - 소스코드를 타겟코드로 변환하기 위한 컴파일러 기능 - 소스코드-타겟코드 별... |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o 기술이전을 통한 사업화 - (수요자) 동형암호 컴파일러는 공개된 기계학습 모델을 컴파일하므로 통계분석분류예측이 가능한 일반 통계 응용SW의 지능형 솔루션으로 활용 - (서비스 활용) 일반개발자를 위해 일반 통계와 기계학습 연산을 동형암호 연산으로 자동 변환하는 SaaS(Software-as-a-Service... | 동형암호 컴파일러,동형암호 코드 정적분석,동형암호 코드 최적화,동형암호코드 자동생성,프라이버시보장 기계학습 | Automatic generation of homomorphic encryption code,Homomprphic Encryption Code Optimization,Homomprphic Encryption Compiler,Privacy Preserving Machine Learning,Static Analysis of | 1700000000 |
1215 | 2021 | 전파자원의효율적확보기반조성(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26078 | 300 GHz 채널사운더 기초설계 개발 연구 | A study for fundamental design and development of 300 GHz Channel Sounder | 김명돈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401 | 20221231 | 기타 정보기술 | o 300 ㎓ 이상 주파수 대역 근거리 전파특성 필드측정 및 분석을 위한 광대역폭(4㎓ 이상) 신호처리 기술을 이용한 채널사운더 핵심요소기술 개발 - 300 ㎓ 채널사운더 송신기 및 수신기 구조설계 연구 - 300 ㎓ 채널사운더 구축을 위한 광대역폭 신호처리용 핵심구성모듈 개발 - 300 ㎓ 채널사운더 핵심구성모듈 통합 및 근거리 성능시험o End Prod... | o (기술적) 미활용 주파수 대역의 개척과 新 주파수 활용에 필요한 기반기술연구는 무선/이동통신, 방송 등 전파자원을 이용하는 모든 산업기술 분야의 근간으로서 선제적 신산업 통신기술 도입 및 해당분야 시스템 개발속도 가속화 등 미래기술 선도에 기여 - 300 ㎓ 이상 광대역 채널사운더를 이용, 한국의 다양한 실내/외 전파환경의 전파채널 측정, 주요 데이터... | 전파모델,전파전파,채널사운더,채널측정,테라헤르츠 | Terahertz,channel measurement,channel sounder,propagation modeling,radio propagation | 400000000 |
147 | 2022 | 긴급구조용지능형정밀측위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52758 | 긴급구조용 측위 품질 제고를 위한 GPS 음영 지역 내 다중신호패턴의 학습 기반 3차원 정밀측위 기술 개발 | Multi-source based 3D Emergency LOCalization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ME LOC) | 조영수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401 | 20221231 | 기타 정보기술 | 긴급구조용 측위 품질 제고를 위한 GPS 음영 지역 내 다중 신호패턴의 학습 기반 3차원 정밀측위 기술 개발o 학습 기반 지능형 측위 DB 생성/갱신 기술 개발o 멀티소스 데이터 융합 기반 3차원 정밀 측위 기술 개발o 긴급구조용 3차원 정밀측위 통합플랫폼 개발 | o 기술적 측면 - LTE 신호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측위 자원들과 위치정보를 동시에 수집하여 측위기술 공급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실내·외 측위 음영지역 문제 해소 - 3차원 정밀 측위 기술 활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빅데이터의 정확도 및 활용도 증가 예상됨. 데이터 정확도 및 활용도 증가는 데이터 기반 AI 의사결정, 배차 뿐 아니... | 고도,기계학습,긴급구조,멀티소스,측위 | altitude,emergency,machine learning,multi source,positioning | 2370880000 |
837 | 2021 |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1711150359 | Color customering 용 복합변수 스마트 분석모듈 개발(1/3) | 심재윤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경기도 안산시 | 20210101 | 2023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섬유제품에 색상을 부여하는 모든 분야(침염, 날염 등)의 궁극적 목표인 일발률(고객이 원하는 색상을 단 1회의 생산으로 맞추어 내는 것)증진을 위해 생산과정에서 일발률을 저해하는 다양한 복합변수(물리, 화학적 변수)들을 실시간 모니터링, 분석 및 생산에 반영할 수 있는 모듈 기술 및 이를 활용한 생산공정 시뮬레이션 기술개발(1차년도) 현장침염(포염)분... | 섬유제품에 색상을 부여하는 모든 분야(침염, 날염)에서 최적의 염색공정 설정, 염색품질 실현을 통한 염색산업의 궁극적 목표인 일발률 증진전통 염색산업의 스마트공장 구현에 필요한 요소기술을 접목한 최신 사례로 염색일발률 증진을 통해 염색산업의 실질적 경쟁력 제공에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4차 산업혁명 시대에 국내 염색산업도 소비자 요구에 유연한 대처와 신... | 침염, 날염, 염색기, 복합변수, 일발률, 실시간 모니터링, 공정시뮬레이션 | Batch dyeing, Printing, Dyeing m/c, Complex parameter, Right-first-time, Real-time monitoring, Process simulation | 1600000000 | |
1111 | 2021 | 민군기술협력(R&D)(산업부,방사청) | 다부처 | 국방과학연구소 | 9991007899 | 중성자 X선 일체형 발생장치 기반 1mm급 3차원 비파괴 검사장비 개발 | 이병노 | 한국원자력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731 | 20240730 | 기타 정보기술 | ○ 15 MeV급 고주파 선형 전자가속기 기반의 일체형 중성자/엑스선 발생장치 및 검출장치- 3차원 영상획득을 위한 정밀 이송장치- 고해상도 방사선 영상 및 물질분별 알고리즘 개발 - 방사성(핵) 물질 3차원 위치 탐지 기술 개발 - 고해상도 3차원 방사선 영상시스템 통합 및 성능평가 | ○ 현재 비파괴 검사영상은 판독관의 숙련도에 따라 검색률이 상이하며, 폭발물 등 의심스러운 물건은 비파괴 검사영상으로도 구분이 어려워 가속기 기반의 중성자 발생장치를 이용할 시 폭발물, 핵물질 자동판독을 통해 검색물질의 데이터베이스화 및 국가정보 네트워크 향상 가능○ 폐기물 드럼과 같은 원전 해체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방사성 오염물질의 내부 물질의 형상정... | 3차원 비파괴 검사, 중성자, 엑스선, 방사선 3차원 위치 추적, 고해상도 | 3D NDT, Neutron, X-ray, 3D radiation posistioning, High Resolution | 2135000000 | |
259 | 2022 | 국가표준기술개발및보급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819 | 마이크로 서비스 기반 스마트홈 기기의 상호운용 표준개발 및 인증 기반 조성 | Standards development and certification foundation establishment for interoperability of smart home devices using microservices | 이학진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기타 기타 | 20210601 | 20241231 | 기타 정보기술 | o 마이크로 서비스 기반 스마트홈 기기 간 상호연동 국내표준 진행(2건)o ISO/IEC JTC1 10192 국제표준 작성o ISO/IEC JTC1 SC25 WG1 국제표준 회의 참석o 마이크로 서비스 기반 아키텍처 라이브러리 개발o 마이크로 서비스 기반 스마트홈기기 소프트웨어 개발(10건)o 마이크로 서비스기반 스마트홈 테스트베드 구축o 지능형홈 국가 ... | o 특정 국가, 특정 업체 기술에 대한 의존성을 해소시키면서 다양한 환경과 무관하게 정보가전기기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지능형 홈 비즈니스 모델 수출과 표준 선점에 따른 기술 수출 가능성 확보o 새로운 스마트홈 기기를 선택하는 시점부터 구입하여 집안에 설치하여 사용할 때 생기는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해소함으로써 스마트홈 정보가전 시장... | 홈네트워크,스마트홈,상호운용,마이크로서비스,인증 | HomeNetwork,SmartHome,Interoperability,MicroService,Certification | 400000000 |
801 | 2021 | 항공안전기술개발(R&D)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1921 | 총괄과제 | 이병석 | (재)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41030 | 20221029 | 기타 정보기술 | *사업단 운영, 사업 관리, 기술 관리, 품질보증/인증 관리, 협력업체 관리를 통한 성공적인 연구 성과 및 기술 성과 도출.-사업단 운영 : 과제협약 및 정산, 유관기관 정책 협조 총괄, 각종 위우원회 운영 계획 수립 및 시행, 연차별 자체 평가 계획 수립/시행 및 대외 평가 업무 수행-사업 관리 : 예산 및 연구비 관리, 성과 및 일정 관리, 위험 관리 ... | -위성궤도 및 시계오차 보정정보 생성 기술 개발을 통하여 이중 주파수 사용 시 가장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오차 부분에 대한 처리 기술 향상-전리층 보정정보 생성 기술 개발을 통하여 전리층 데이터 처리 기술 향상 및 한반도 주변 전리층 영향 분석 경험 증대-무결성 기술 확보로 다원화가 진행 중인 위성항법시스템에 신뢰성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핵심 기... | 위성항법보강시스템,사업단,사업관리,기술관리,인터페이스관리 | SBAS,Program Management,Project Management,Technical Management,Interface Management | 11224000000 | |
908 | 2021 | 국민수요맞춤형생활안전연구개발(R&D) | 행정안전부 | 한국지역정보개발원 | 1315001656 | IoT기반 도심지 건설현장 상시안전 관리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IoT based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urban construction site monitoring | 정형석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419 | 2021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도심지 건설현장 주변의 지반과 구조물 변형(변위, 기울기, 균열)을 실시간 감시하는 IoT 센싱 및 통신 기술, 센싱 데이터의 취합 및 분석을 통한 실시간 정보화·가시화 기술, 공사현황·위험상황 및 대피안내 정보 전달 기술을 통합한 상시안전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국민 안전을 지키고, 관련 사업 분야의 시장성을 활성화하여 국내시장 규모 증가, 기업 매출액 향상... | □ 사회적 기대효과 (국민의 행복지수 상승) 중소형 구조물의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으로 주변 공사장, 지진, 각종 자연재난 등 각종 사고로부터 발생할 건축물 붕괴의 사전예방을 통해 국민의 행복 지수 상승 (전국 구조물 안전 지도 시스템 활용을 통한 재난재해 사전예측 대응) 현재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은 전국에 있는 구조물 관련 정보를 개별적으로 보유... | 재난재해 예방, 안전성 평가, 무선 센서망, 실시간 감시, 위험 전파 | Disaster Prevention, Safety Evaluation, Wireless Sensor Network, Real-time Monitoring, Warning Propagation | 1260000000 |
1454 | 2021 | 쇠퇴지역재생역량강화를위한기술개발(R&D)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303 | 도시재생지역의 도시회복력 향상 기술 개발(세부주관) | 정승현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경기도 고양시 | 20190402 | 20221231 | 기타 정보기술 | 재난재해 위험 유형별, 물리 공간적, 사회경제적 계획 요소를 도출하여 노후도심지의 재해 대응 공간설계 기법을 개발한다. 재난재해 유형별로 공간단위 대피로 및 안전공간 확보 기술을 개발한다. 쇠퇴지역에서 재난재해 위험성 저감을 위해 적용가능한 기술 솔루션의 인벤토리를 구축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기술 뿐 아니라 도시회복력 향상을 위한 경제적, 정책적, ... | - 쇠퇴지역의 도시회복력 향상 기술과 스마트시티 기술을 연계 접목하여 쇠퇴지역과 신도시 간 삶의 질 격차 등 지역간 불균형 해소를 통해 국민 복지 증진에 기여함- 주민들이 능동적으로 위험요소를 인지, 수집, 공유할 수 있는 “휴먼센서” 기반의 주민참여형 플랫폼으로 거버넌스 측면의 도시회복력 향상에 기여함- 표준화된 재해 취약성 분석 기법 및 방법론을 통한 ... | 쇠퇴지역,재난재해,위험성 분석,도시회복력,도시재생 | Declining areas,Disaster,Risk analysis,Urban resilience,Urban regeneration | 1872000000 | |
175 | 2022 | ICT융합산업혁신기술개발사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52565 | Sub-ppb급 가스성분 감지를 위한 후각지능 기술 개발 | Intelligent e-nose development for gas detection to sub-ppb level | 김승환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401 | 20231231 | 기타 정보기술 | ㅇ 감지 센서의 조합으로부터 획득된 다차원 데이터를 인공지능으로 학습하여 Sub-ppb급 극미량 가스를 감지할 수 있는 다차원 멀티모달 후각지능 기술을 개발하고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여 확장 가능성 검증 - 고감도 가스 감지를 위한 가스 포집 및 전처리 기술 개발 - 멀티모달 센서 기반의 고감도 가스 감지 모듈 기술 개발 - 멀티모달 빅데... | 활용계획 - 단일 산업에만 적용되는 응용기술 형태가 아닌, 여러 산업분야에 걸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파급력이 높은 공통응용 혁신기술로 활용 - 혁신적 서비스 모델 창출 및 다른 산업의 기능, 서비스 기술 등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시장과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서비스가 창출되도록 융합서비스 공통응용 ICT혁신기술로 활용 - 생산된 극미량 목표가스... | 마약,멀티모달,육가공품,호기가스,후각지능 | charcuterie,exhaled gas,multimodality,narcotics,olfactory intelligence | 2019200000 |
504 | 2021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5257 | 무인해저로봇 탑재용 하이브리드 광학/음파 영상처리기술 개발 | Image Processing Techniques of Hybrid Optical and Sonar Sensors for Unmanned Underwater Vehicle | 김수미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경기도 안산시 | 20180601 | 202105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지리적으로 육지의 삼면을 둘러싼 우리바다는 수많은 생물, 광물, 에너지 및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가경제에 크게 이바지할 미래산업자원의 보고이자 차세대 국가산업기지로 평가된다.○ 우리바다의 미래해저자원 탐사, 수집, 개발 및 활용을 위하여 극한 해저환경에서 사람을 대신하여접근하고 작업할 수 있는 무인해저로봇 (unmanned underwater ... | ○ 해양과학기술의 4차산업혁명 실현 : 해양과학기술의 4차산업혁명을 실현하는 중심과학기술인ICT기반 무인해저로봇 개발에 있어 필수적인 탑재센서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원천기술을 확보함으로미래해저자원 탐사 및 개발과 신미래산업창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개발기술의 범용성 : 본 연구에서 도출되는 광학/소나 하이브리드 센싱기술은 인공지능과 같이 범용성이 큰 기... | ICT 해양과학기술,무인해저로봇,광학센서,음파센서,소나센서,영상신호처리,센서신호처리 | ICT-based ocean science technology,Unmanned underwater vehicle,Optical sensor,Acoustic sensor,Sonar sensor,Image signal processing,Sensor signal processing | 12500000 |
279 | 2022 | 미디어지능화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52637 | 지능적 미디어 속성 추출 및 공유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Intelligent Media Attributes Extraction and Sharing Technology | 이남경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401 | 20241231 | 기타 정보기술 | o (최종목표) 미디어 콘텐츠의 고유 속성과 시계열적 특성을 해석하여 미디어 지식 자원을 자동 추출·분석·공유하는 미디어 콘텐츠 자원화 핵심 기술 개발 o (최종성과) 지능적 미디어 속성 추출 및 공유를 위한 미디어 지능화 플랫폼(SYS) - 미디어 시맨틱 자원 실시간 검색 엔진(서버탑재형SW) - 미디어 시맨틱 자원 인코더/디코더(서버탑재형SW... | o 기술적 측면 - 한류콘텐츠 대상, 콘텍스트 분석 및 영상분석 기술 개발을 통해 콘텐츠 특성에 맞는 메타데이터 생성 및 학습 데이터 구축과 해당 분야 원천기술을 확보함으로써 미디어 분야의 글로벌 기술적 우위 확보 - 기계가 서비스에 독립적으로 콘텐츠를 이해하는 기계가독형 메타데이터 표준 모델 정립으로 미래 미디어 서비스 기술 경쟁... | 기계 가독형 메타데이터,메타데이터 생성,미디어 시맨틱 분석,미디어 지능화,시맨틱 검색 | Media Intelligence,Media Semantic Analysis,Metadata Generation,Metadata for Machine,Semantic Search | 3271000000 |
919 | 2021 |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1711151883 | 지하매설 압력관의 실시간 건전성 진단 및 관리 기술 개발 | 황인주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경기도 고양시 | 20200101 | 2022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최종목표 : 지하매설 압력관의 실시간 건전성 진단 및 관리 기술 개발세부 성과목표 : 1. 지하 매설관의 이상상태 실시간 탐지 시스템 개발 (열수누수 위치 정확도 : ±3 m 이내) * 논문 6건, 특허등록 2건, 기술이전 1건, S/W 1건 2. 지하 매설관의 저주기 피로파손 예측 프로그램 개발 (피로수명 예측 정확도 : 90%) * 논... | 가. 과학기술적 파급효과○ 지하매설물 성능유지 및 안전관리 고도화를 위한 원격 상태진단, 파손 과도해석 예측, 데이터 통합 건전성 진단 기술 확보- 개발기술은 타 매설/비매설관 등에 응용이 가능한 기술로,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 지하 매설관의 이상상태에 적합한 감지기법과 다중 융합 탐상 시스템을 통하여 이상상태 위치 및 진단 정확도 향상나. 경제적 파... | 지하,매설관,건전성,진단,머신러닝 | underground,buried pipeline,integrity,diagnisis,machine learning | 895000000 | |
1158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6414 | 곤충 눈 모방 어레이 렌즈를 이용한 초소형 광학 현미경 개발 | Development of ultracompact optical microscope using insect-eye inspired array lens | 김기수 | 한국광기술원 | 광주광역시 북구 | 20210601 | 20240229 | 신호처리기술(영상·음성처리·인식·합성) | 본 과제에서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생체시각구조를 모방하여 초소형의 현미경 시스템을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하고자 함. 특히, 곤충 눈이 가지는 미세 렌즈의 무한 피사계 심도와 짧은 초점거리 특징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시키고 이미지 센서에 결상 시켜 현미경 시스템의 전장 길이를 축소시키고 이를 통하여 바이오 진단, 비전검사, 의료영상 등의 다양한 응용 연구에 적... | - 핵심 지능형 광학소자 관련 원천 특허 확보 및 국내 광융복합 연구에 새로운 방향 제시.- 기능 영상용 생체모방 현미경을 통해 바이오 및 의료기기 분야에서 시장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생체모방 현미경모듈은 군사용 검체 진단 장비에도 적용 가능성이 매우 높음.- 대량생산이 가능한 생체모방 현미경은 검사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비전 검사 시스... | 광학부품,생체모사설계,바이오모니터링,광감각기관 | Optical component,Bio-inspired design,Biomonitoring,Light sensory organ | 39816000 |
838 | 2021 | 정보통신방송기술국제공동연구(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39389 | 6G 이동통신 비전 및 전파특성 국제표준 협력 | Global Standard Collaboration on Vision and Wireless Channel Characteristics of 6G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s | 이준환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701 | 20240630 | 기타 네트워크기술 | ㅇ 한중 6G 이동통신 글로벌 표준 선도를 위한 한국과 중국간 6G 표준화 추진기반 국제협력 - 6G 비전, 기술 성능지표 도출 - 6G 후보주파수대역 채널특성 양국간 공동 연구 - ITU-R WP 5D 6G 국제표준화 협력 및 다자간 6G 국제협력 강화 | ○ 6G 주도권 확보를 위한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며, 이번 한중 6G국제공동연구를 통하여 국가별 핵심 원천기술 경쟁력을 활용하여 시너지를 창출, 특히 ITU-R과 같은 국제표준화 무대에서의 주도권 확보○ ITU-R에서의 표준화 선점은 이후 이어지는 사실표준화 기구에서의 국내 산,연의 표준기술 선점 및 국제활동에 유리한 고지 선점 가능(1) 기술적 ... | 6세대,무선채널,비전,생태계,표준화 | 6G,Ecosystem,Standard,Vision,Wireless Channel | 515000000 |
819 | 2021 | 원자력안전규제검증기술고도화(R&D) | 원자력안전위원회 | (재단)한국원자력안전재단 | 1075001296 | 현장 밀착형 수출통제 플랫폼 구축 검증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verification technology to establish field-based export control platform | 이상준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201 | 2027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현장 밀착형 수출통제 플랫폼 기술 검증 기준 및 평가모델 개발 - 검증 지침·절차서 개발, 검증을 위한 시나리오 및 테스트 세트 개발?현장 밀착형 수출통제 플랫폼 검증 및 운용 적합성 평가?각 단위과제 개발 시스템과 원자력수출입통제시스템(NEPS)과 연계하여 규제업무 활용성 검증? 단위 과제 성과 검증 - (C1) 원자력전용품목 수출 위험도 평가 모듈... | - 수출통제 R&D 규제기법 개발 및 이의 검증을 통한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효과적·효율적 수출통제 규제체계 확립 - 개발 성과물의 검증을 통해 수출통제 규제를 위해 필요한 성능·품질 확보 및 이를 통한 수출통제 완결성 증대 - 현장 밀착형 플랫폼 검증 기술 개발을 통해 국민이 원하는 수출통제 정보 제공 및 사업자 자율관리 지원 - 개발과제의 현재 ... | 수출통제,전략물자,원자력협정,민감기술 | Export Control,Strategic Items,Nuclear cooperation agreement,Sensitive Technology | 538000000 |
1493 | 2021 | ICT혁신선도연구인프라구축(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25981 | 5G 인프라 장비의 시험.검증 환경 구축 | Testing environment Infrastructure of 5G infra equipment | 남기동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401 | 20231231 | 고속인터넷 네트워킹기술 | o 5G인프라 장비 기업 분야 Scale-up을 위한 환경시험 지원·운용실적증명·내수시장 확보·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한 시험검증 환경 구축 - 5G인프라 장비 및 차세대ICT 장비 시험검증 및 운용실적증명 지원환경 구축 - 해외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글로벌 진출 역량 강화 지원 - 개발장비의 상용화 확대를 위한 중소기업 개발지원 인프라 구축 | [산업 파급효과] o 제품의 조기 상용화 및 시장 진입장벽을 해소함으로써 사업화 시기를 단축하여 5G시장 선점으로 혁신성장 기반 조성 → 국내 강소기업 육성 o 5G인프라 장비산업을 마중물로 하여 후방산업(소재, 부품 등) 및 수평산업(교환, 전송 등) 견인을 통한 네트워크장비 산업 전반의 질적 고도화 o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모든 전후방 산업(... | 5G인프라,공동활용,시험 검증,애로기술,운용실적 | 5G Infra,Bottleneck Tech,Infra Sharing,Reference,Testing | 2970000000 |
3 | 2022 | 디지털트윈연합핵심기술개발사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60302 | (2세부) 지능형 디지털 트윈 연합 객체 구성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Intelligent digital twin object federation and data processing technology | 이상신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경기도 성남시 | 20220401 | 2026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최종 목표) 가속화되는 디지털 트윈 환경에서 서로 다른 이종 도메인의 공공분야 디지털 트윈들을 연합하여 대규모 연합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국산 디지털 트윈 “연합 객체 구성 및 데이터 프로세싱 핵심기술” 개발 및 소프트웨어 공개를 통한 연합디지털트윈 생태계 조성■ (메타데이터 체계) 서로 다른 이종 도메인에 있는 단일 디지털 트윈의 정보를 표준화된 방... | ㅁ 기술적 측면① (디지털 트윈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 디지털 트윈의 미래 발전 방향인 트윈 연합 및 구성 핵심 기술을 선점함으로써 선진국의 주요 기업과의 디지털 트윈 기술의 격차를 해소하고 세부 기술에 대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② (연합 디지털 트윈의 공통 표준 모델 제시) 디지털 트윈의 핵심 원천 기술을 공개 SW로 공개하고 다양한 응용 분야의 수... | 고충실 데이터,디지털 연합 트윈,메타데이터,양방향 동기화,연합객체 구성 | Object Federation,Bidirectional Synchronization,Federated Digital Twins,High fidelity data,Metadata | 1440000000 |
934 | 2021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1711149486 | 빅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R&D 정보서비스 요소기술 개발 | 신동구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101 | 2026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R&D 정보서비스 플랫폼 구축을 통해 ScienceON, NTIS 등 KISTI 주요서비스의 R&D 정보 활용 체계 완성 | 1. 기술적 측면○ 과학기술분야 기계학습 및 R&D데이터 분석 연구 활성화를 위한 학습데이터셋 제공 및 요소기술 확보○ 국가R&D 데이터에 특화된 R&D 정보처리 지능형 모델 개발을 통해 오픈사이언스 강화○ R&D 정보 특화 텍스트 요약 모델 개발을 통한 R&D 과제 정보 요약문 생성 자동화 기술 최초 개발2. 경제적산업적 측면○ 과학기술분야 기계학습을 ... | 국가R&D데이터, 빅데이터, 기계학습, 인공지능, 자연어처리 | National R&D Data, Big Data, Machine Learning, Artificial Intelligenc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 650000000 | |
648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4881 | 수중 스테레오 카메라 및 입체가시화 기술 개발 | Underwater Stereo Camera and 3D Stereo Vision Techniques | 김수미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경기도 안산시 | 20210301 | 20240229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우리바다의 해저자원탐사, 수중건설로봇, 항만인프라 유지관리, 기뢰탐지 및 조난자 수색 등 다양한 수중 작업을 안전하고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4차산업혁명 기술로 더욱 고도화된 무인자동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려는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수중 상황을 가시화하고 사람을 대신하여 필요 정보를 수집·제공하는 영상 센싱기술은 핵심 요소기술임○ 스테레오 카메라는 ... | ○ 해양과학기술의 4차산업혁명 실현 : 해양과학기술의 4차산업혁명을 실현하는 중심과학기술인 ICT기반 무인해저로봇 개발에 있어 핵심기술이 될 수 있는 수중영상장비 및 3차원 입체가시화 기술의 원천기술을 확보함으로 삼면이 바다인 해양강국다운 해양과학기술의 위상을 높이며 미래해저자원 탐사 및 개발과 신미래산업개발 (수중건설, 스마트항만)에 있어 세계적으로 선도... | 수중 스테레오 카메라,3차원 입체가시화,스테레오 비전 | Underwater stereo camera,3D photogrammetry,Stereo vision | 147381000 |
320 | 2022 | 양자인터넷핵심원천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60530 | 고체 소재 기반 양자메모리 | Solid state quantum memory | 이상윤 | 광주과학기술원 | 광주광역시 북구 | 20220401 | 20261231 | 기타 정보기술 | 다수의 양자 메모리에 양자 얽힘이 분산된 네트워크를 구현하는 것이 양자 인터넷의 궁극적인 목표본 과제에서는 실리콘 카바이드 실리콘 빈자리 결함을 사용하여 유선 통신 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양자 메모리 갖춘 양자 중계기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2 노드 원격 양자 얽힘을 구현하고자 함.구체적으로 최종 목표인 시제품은 다음과 같은 핵심 요소들로 구성될 예정... | (1) 기술적 측면 양자 인터넷 구현의 핵심 요소인 양자 메모리 기반 양자 중계기 개발로 세계적 선도 기술 확보양자컴퓨팅, 양자센싱 등 광자 큐비트와 결합된 양자 메모리를 이용하는 양자정보기술 분야에 필수적인 양자 인터페이스를 확보함으로써 미래 유망 기술의 실현을 위한 기반을 마련양자암호통신, 양자메모리 등 양자광학 분야에서 필수적인 단일 광자 ... | 색중심,양자 메모리,양자 인터넷,양자 중계기,파장변환 | color center,quantum internet,quantum memory,quantum repeater,wavelength conversion | 1200000000 |
671 | 2022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9085 | 초평면배열의 조합위상적 방법론에 대한 연구 | Combinatorial Topological Methods for Hyperplane Arrangements | 송정민 | 광주과학기술원 | 광주광역시 북구 | 20170601 | 20221130 | 기타 정보기술 | 초평면배열의 이론에 대한 연구는 조합론, 대수기하학, 군론, 대수위상학 등 수학의 다양한 분야 및 계산기하학 및 컴퓨터 과학에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초평면배열이 주어졌을 때 가장 핵심이 되는 이슈는 초평면들로 나누어지는 의 방(chamber), 즉, 의 연결성분의 개수를 세는 것이다. 이 방면의 가장 강력한 도구는 주어진 초평면배열의 고유다항식이다... | 위상수학, 조합론, 대수기하 등 다양한 수학의 분야 뿐 아니라 계산기하학 및 컴퓨터 과학에서도 활발히 연구되는 hyperplane arrangement의 이론을 특히 그래프, 매트로이드 및 그들의 위상수학적 접근 방법과 융합함으로써 새로운 소분야를 개척하게 될 것이다. 이는 최근 상당한 각광을 받고 있고 미국수학회의 Notices에 특별히 소개되기도 했던 ... | 초평면배열,고유다항식,유한체방법,그래프이론적 방법 | hyperplane arrangements,characteristic polynomial,finite field method,graph theoretical method | 6667000 |
434 | 2022 | 미디어지능화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52800 | SD/HD급 저화질 미디어의 고품질 변환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high-quality conversion technology for SD/HD low-quality media | 조숙희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401 | 2024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클라우드 환경에서 저화질 SD/HD급 미디어를 화질개선/고해상도/색영역/명암비 변환을 통해 HD/UHD급 고화질 미디어를 제공하는 딥러닝 기반 저화질 미디어의 고품질 변환기술 개발 - 영상특성 기반 적응형 딥러닝 고품질 변환 요소 기술 고도화 - SD/HD급 저화질 미디어 대화형 초고품질 변환 시스템 개발 - 클라우드 기반 SD-to-HD-to-UH... | - 한류 구작(舊作) 콘텐츠를 영상특성이나 제작자 의도를 반영한 동적 맞춤형초고품질 미디어로의 변환 제공을 통한 국내외 수요 대응 - UHQ 콘텐츠 수요 대비 부족 문제 해결과 콘텐츠 제작 비용 절감을 통해 콘텐츠 시장 활성화- 방송스마트미디어 제작 장비 시장은 해외 제품/기술 종속성이 높은 분야로, 새로운 기술/제품을 선도하는 국산 제품 개발을 선도하여... | 딥러닝,영상 품질,유에이치디,초해상도,클라우드 | Cloud,Deep Learning,Super resolution,UHD,Video Quality | 1707500000 |
496 | 2021 | 안전기술선진화(R&D) | 식품의약품안전처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1475012212 | 식품 중 이물 선별 및 제어기술 개발 연구(1) | Development of detection and control technology for foreign materials in foods | 김영덕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대구광역시 달성군 | 20190201 | 20211231 | 신호처리기술(영상·음성처리·인식·합성) | ○ 식품 제조 및 포장 단계에서의 영상 및 인공지능 기반 이물 검출 기술 개발○ 식품 유통·보관 중 친환경 훈증 및 이물제어 수단 개발○ 식품 제조·유통·보관 중 이물제어를 위한 관리기준 제시○ 식품의 유통·보관 중 이물 저감화를 위한 방충, 향균, 생분해성 포장 소재 개발 ○ 연구개발 성과 시제품 상용화 및 사업화 추진 | ○ 개발되는 인공지능 및 초분광기반 이물선별 장비는 식품의 제조, 유통단계에서 뿐만 아니라 대규모 급식 시설 등 최종 판매단계에서도 제품화가 가능함.○ 기존 인력중심의 관능선별 검사를 최소화함으로써 식품 제조, 유통의 부대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공정의 간소화, 제품 출하의 신속성을 확보할 수 있음.○ 식품뿐만 아니라 제조/유통 공정내 각종 위생용품... | 식품, 이물, 생분해필름, 2차대사물질, 선별기 | Food, Foreign material, Biodegradable film, Allelochemicals, Separator | 240000000 |
1410 | 2021 | 산업기술국제협력(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1415177647 | 원격 제어 차량을 위한 AI 기반 사이버 보안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the AI based cyber security technology for remote controlled vehicle | 최유준 | 한국자동차연구원 | 충청남도 천안시 | 20201201 | 20231130 | 정보보안 및 암호기술 | (과제전체) 다수의 자율주행차량, E-모빌리티 등의 운영 시 격을 수 있는 다양한 사이버 공격에 대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를 위하여 ① AI 기반 원격 자율 차량 사이버 보안 제어 및 관리 기술, ② 연결 및 협력 자율 차량간 사이버 보안 기술, ③ AI 기반 스마트 충전 시스템 및 전기차 (PEV) 사이버 보안을 개발함(국내컨소시엄) 5G 기반 원격제어 차... | ㅇ 기술적 파급효과- 중앙화 되어있는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분석 시스템을 Edge로 오프로딩을 수행함으로써, 중앙화 대비 신속한 의사 결정과 각 Edge 별 독립적인 상황 인지에 따른 분석모델 차별화를 도모 가능- 자율주행 자동차로부터 센싱정보, 운행정보, 오류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는 차량 내부 데이터 접근을 위한 핵심기술 확보 - 커넥티드 자율주행 ... | 사이버공격,인공지능,차량용게이트웨이,원격차량제어,기계학습 | Cyber Attack,AI,Vehicle Gateway,Remote Control Vehicle,ML | 479550000 |
560 | 2021 | 한국전기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전기연구원 | 1711140984 | 상황인식 기반의 IEC 61850 전력설비 사이버 보안기술 개발 | 이순우 | 한국전기연구원 | 경기도 안산시 | 20200101 | 20221231 | 기타 네트워크기술 | ㅇIEC 61850 프로세스 버스 보안 알고리즘 개발 - IEC 61850 프로세스 버스 보안 취약성 분석 및 최적 보안 솔루션 설계 | ○ 1차년도에 최종 설계된 HW기반의 이더넷 I/F 보안 모듈의 개별 IP ( 인증, 상황인식, 암호화, 키관리 ) 요소 개발 진행○ 2차년도에서 개발된 이더넷 I/F 보안 모듈은 실제장치(MU 및 보호 IED)를 이용하여 보안 검증 진행○ 연구원에서 기존 개발된 프로세스 버스 장치인 Redbox (KRB 200) 및 MU (KMU 100) 에 보안 기능 ... | 사이버 보안,IEC 61850,프로세스 버스 | Cyber security,IEC 61850,process bus | 212000000 | |
575 | 2021 | 한국전기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전기연구원 | 1711141054 | 시험결과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AI적용 분석기술 개발 | 유정현 | 한국전기연구원 | 경상남도 창원시 | 20210101 | 20231231 | 정보검색 및 DB기술 | 시험데이터 플랫폼 기반구축 및 플랫폼 활용기술 개발1. 데이터 확보기술2. 플랫폼 구축기술3. 데이터 활용 응용프로그램4. AI기반 시험영상 분석기술 탐색 | 1. 고객서비스 응용프로그램을 통한 서비스 제공 - 측정 데이터 서비스 제공 - 시험결과 분석 서비스 제공 - 통계분석 서비스 제공2. 시험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시험 효율화 - 단락, 임펄스 시뮬레이터를 통한 시험 준비 시간 단축으로 시험 효율성 제고3. 시험장 안전강화 시스템을 활용한 시험장 안전유지 - 시험장 위험 요소 및 사고식별 기능... | 시험데이터,정보표준화,전류영점 | Test data platform,CIM,CZM | 590000000 | |
15 | 2022 |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52870 | 대용량 데이터 이동을 최소화하는 DBMS 스토리지 엔진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DBMS storage engine technology to minimize massive data movement | 김영환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경기도 성남시 | 20210401 | 20241231 | 정보검색 및 DB기술 | ▣ DBMS 엔진과 스토리지가 분리Disaggregation된 클라우드 환경에서 수십~수백대의 연산 스토리지 장치Computational Storage Device들을 고속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하여 페타바이트 급의 빅데이터 대상 분석/추론 성능 및 에너지 절감을 이루기 위한 차세대 DBMS의 입출력 SW 시스템 기술을 개발함. ※빅데이터 저장 및 초고속 처... | ▣ 기술적 측면 : Query 태스크 연산 스토리지 오프로드 기술, 연산 스토리지 오프로딩을 통한 자원 절감 및 분석 모델, Query 태스크 병렬 처리를 지원하는 연산 스토리지 엔진 기술, DBMS 엔진과 스토리지 연결을 위한 RDMA기반 고속 네트워크 기술, 이종 DBMS 엔진 지원을 위한 스토리지 서비스 기술 등 핵심원천기술 개발로 세계 수준의 오픈... | 데이터베이스,연산 스토리지,오프로딩,원격 메모리 접근,클라우드 네이티브 | Cloud Native,Computational Storage,Database,Off loading,RDMA | 1500000000 |
185 | 2022 | 해상물류 통신기술 검증 테스트베드 구축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3094 | 시뮬레이션 평가기술개발 | 정우성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20401 | 20251231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 성능검증 디지털포트 시뮬레이션 기술 - 디지털 포트 입출항 성능검증을 위한 시나리오 개발 - 실·가상 해상디지털항만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트윈 성능검증 디지털포트 시뮬레이션 개발 - 디지털포트-디지털선박 입출항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에 따른 항만-선박 운영 최적화 기술 개발 - 디지털포트-실선박 성능검증 시뮬레이션 플랫폼 구축○ 시뮬레... | ○ 해상디지털기술 연계 실현을 통한 물류 효율화 달성 및 해운물류체계에서의 국가 영향력 확대○ 해운물류서비스 디지털화 및 이를 통한 물류시간 단축 등의 서비스 효율화○ 조선·ICT 융합 등 미래 수요를 대비할 수 있는 기술력 확보를 통해 국내 후방산업 역량 제고 및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 세계 최초 디지털트윈 기반 통합 관제 시스템을 통한 해양 분야 디지... | 성능검증,디지털트윈,장비시험,시뮬레이션,디지털포트 | Performance Verification,Digital Twin,Equipment Test,Simulation,Digital Port | 100000000 |
판매제공처 홈페이지 | hellodd.com | 라이선스 |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
---|---|---|---|
판매 담당자 | 대덕넷 | 권한 | HelloDD |
연락처 | 070-4171-3524 | 접근 권한 | public |
이메일 | sungmin8497@hellodd.com | 상품 구분 | dataset |
품질측정 검사 | 품질측정기간 | ~ | |
---|---|---|---|
품질측정기관 | 대덕넷 | 품질측정연락정보 | 0428615005 |
품질측정결과 | 품질측정내용 |
현재 준비중입니다.
10047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황금1로 122,김포제조융합혁신센터 3층 한국산업기술시험원 ㅣ 사업자번호 : 113-82-06228 ㅣ 대표자명 : 김세종 ㅣ TEL: 02-860-1059 ㅣ E-mail: bigdata.dx@ktl.re.kr
Copyright ⓒ 2021 KOREA ENTERPRISE DAT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