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협의 상품 및 유료상품의 구매를 원하실 경우 맞춤형 데이터 신청란에 글을 남겨주시면
신속히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데이터셋명 | NT분야기타기관별과제데이터 | 데이터 유형 | csv |
---|---|---|---|
데이터 분야 | 과학기술 | 구축 데이터량 | 608.00 KB |
구축기관 | 대덕넷 | 데이터 갱신 일자 | 2022-08-29 |
데이터 개방 일자 | 2022-10-27 | 데이터 이용 기한 | 무기한 |
데이터 갱신 주기 | - | 버전 | - |
주요 키워드 | NT, 나노기술, 정부과제, 기타기관, 데이터 | ||
벨류체인 키워드 | 기술획득 | ||
소개 | 과학기술 NT(Nanotechnology) 분야 기타기관별 정부 R&D 과제 데이터입니다. |
국내 NT 분야 기타기관별 과제 데이터 상품설명서
□ 상품설명
○ 국내 NT 분야 기타기관별 과제 데이터 상품은?
· 2021년~2022년 기준 국내 NT 분야 기타기관별 과제 데이터입니다. 국내 기타기관에서 진행한 NT 분야 과제의 세부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NT 분야는 물질을 원자 및 분자 수준에서 조작·분석하고 이를 제어하는 과학과 기술의 총칭입니다. NT 분야는 나노기술을 통해 원자나 분자 크기의 기술을 다루는 분야이기 때문에 BT 분야와 연관성이 있으며 나아가 IT 분야와도 연관이 있습니다. 나노 기술 주요 연구 단체들 사이에서는 활발한 연구 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데이터 주요 키워드
· #NT #나노기술 #과학기술 #과제데이터 #기타기관
○ 데이터 활용 및 이용 권장 고객
· NT 분야 국내 기타기관 과제 데이터를 활용(공유)하고자 하는 기업인
· NT 분야 과제 데이터를 활용해 융합연구를 위한 공공·민간 연구자
· 학술 연구를 위한 이공계 대학생·대학원생
□ 데이터 활용 방안
○ 국내 NT 분야 기타기관별 과제 데이터 상품 활용 방안은?
· NT 분야 과제 데이터는 신기술 창출 및 기존 제품의 고성능화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국제적으로 아직 개발초기 단계이지만 모든 산업에 필요한 핵심요소 기술 데이터입니다. NT 기술은 IT 기술과 BT 기술의 기반이 되며 기술적·산업적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전망됩니다.
□ 데이터셋의 구성
○ 데이터셋의 구성
· 국내 NT 분야 기타기관별 과제 데이터는 총 N개의 데이터로 구성돼 있습니다.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인 NTIS(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의 데이터에 기반합니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연구하고 있는 과학기술을 비롯하여 각종 연구개발사업과 관련된 과제, 인력, 연구시설·장비, 성과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 연구개발(R&D) 지식포털입니다.
데이터 구분 | 데이터 요약 | 제공 방식 |
국내 NT 분야 기타기관별 과제 데이터 | - 국내 기타기관에서 수행한 NT 분야 과제 세부 내역 - 연구수행주체 및 수행기관 - 6T분류 및 과학기술표준 분류 코드 | - csv/zip |
□ 데이터셋의 구조
○ 데이터셋의 구조
No. | 칼럼명 | 데이터 타입 | 칼럼설명 |
1 | 일련번호 | VARCHAR(14) | 일련번호 |
2 | 기준년도 | VARCHAR(4) | 기준연도 (Ex. 2020) |
3 | 사업명 | VARCHAR(1000) | 사업명 |
4 | 부처명 | VARCHAR(500) | 부처명 |
5 | 과제관리기관명 | VARCHAR(300) | 과제관리기관명 |
6 | 과제고유번호 | VARCHAR(100) | 과제고유번호 (총 10자리 숫자) |
7 | 국문과제명 | VARCHAR(500) | 과제명(국문) |
8 | 영문과제명 | VARCHAR(500) | 과제명(영문) |
9 | 연구책임자명 | VARCHAR(20) | 연구책임자명 |
10 | 과제수행기관명 | VARCHAR(500) | 과제수행기관명 |
11 | 지역구분내용 | VARCHAR(20) | 지역구분 (ex.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12 | 총연구기간시작일 | VARCHAR(8) | 총연구기간시작일 (Ex. 20220718) |
13 | 총연구기간종료일 | VARCHAR(8) | 총연구기간종료일 (Ex. 20220718) |
14 | 6T관련기술분류내용 | VARCHAR(500) | 6T관련기술분류 (Ex.4세대 이동통신) |
15 | 연구목표요약 | VARCHAR(1000) | 연구목표요약 |
16 | 기대효과요약 | VARCHAR(1000) | 기대효과요약 |
17 | 한글키워드 | VARCHAR(500) | 한글키워드 |
18 | 영문키워드 | VARCHAR(1000) | 영문키워드 |
19 | 연구비합계 | NUMERIC | 연구비합계 |
20 | 작업구분코드 | VARCHAR(1) | |
21 | 데이터생성일자 | VARCHAR(8) | |
22 | 연계처리상태코드 | VARCHAR(1) | |
23 | 연계처리일자 | VARCHAR(8) | |
일련번호 | 기준년도 | 사업명 | 부처명 | 과제관리기관명 | 과제고유번호 | 국문과제명 | 영문과제명 | 연구책임자명 | 과제수행기관명 | 지역구분내용 | 총연구기간시작일 | 총연구기간종료일 | 6T관련기술분류내용 | 연구목표요약 | 기대효과요약 | 한글키워드 | 영문키워드 | 연구비합계 |
110 | 2021 | 나노융합혁신제품기술개발사업(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309 | 고탄성 나노복합소재 기반 20만km 장기내구성 보증 고촉감 크래쉬 패드 기술개발 | Development of Haptic Crash Pad applied High Elastic Nano Composite Material with Longterm Durability Warranty | 권승용 | 유진에스엠알시오토모티브테크노 (주)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5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ㅇ기존 소재 벤치마킹을 통한 예비 분석ㅇ 감성개선을 위한 분산상 고무 선정 연구ㅇ 고무개질 연구ㅇ Olefin 개질 연구ㅇ고탄성 나노복합소재 폼 적용 크래쉬패드 폼층 Sample 제작ㅇ배면돌기 구조 최적화용 크래쉬패드 사출 스킨 Sample 제작ㅇ감성평가를 위한 선행 연구 | ㅇ기존 소재 벤치마킹을 및 분석을 통한 구체적인 소재 개발 기반 확보ㅇ분산상 고무 수배 및 특성 변화 확인을 통한 다양한 배합 자료 확보ㅇ역가역적 가교결합 형성 자료 확보ㅇIonic Cluster의 도입이 용이한 반응성기를 선정 기반 확보ㅇ고탄성 나노복합소재 폼 적용 크래쉬패드 폼층 Sample 설계를 활용한 시제품 설계 능력 향상ㅇ배면돌기 구조 최적화용 ... | 나노복합소재,자동차부품,크래쉬패드,고탄성,고촉감 | Nano Composite Material,Auto Parts,Crash Pad,High Elastic,Haptic | 1489500000 |
40 | 2022 |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설계·제조)(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461 | 4Layer 이상 다층 복합나노섬유구조를 갖는 CMP공정 슬러리 여과용 나노급 심층필터 제조시스템 개발 | Multilayer composite nanofiber structure of 4 layers or more Development of nanolevel deep filter manufacturing system for slurry filtration in CMP process | 김성욱 | 톱텍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3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주관기관((주)톱텍)] o 나노섬유 비대칭 기공구배 제어를 위한 멀티 방사 노즐 검증 o 나노섬유 제조 공정 구축 o 부직포/나노섬유의 이종소재 라미네이션(Lamination) 제조 공정 구축 o 나노섬유의 용매 제거를 위한 흡입/건조 제조 공정 구축 [참여기관1 GH신소재(주)] o 접착제 처리 공정 개발을 통한 다층구조 구현 o 멜트블... | [기대효과]ㅇ 멀티노즐(Multi-needle) 전기방사 이용한 나노섬유 기공크기가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멀티레이어 복합 나노섬유를 갖는 CMP 슬러리 심층필터 개발을 통한 슬러리 LPC입자 제거 및 포집 성능 향상기술 확보ㅇ 연속식 멀티노즐(Multi-needle) 나노섬유 제조 시스템 개발을 통한 대량 생산 가능ㅇ 다층 복합 나노섬유 필터구조를... | 나노섬유,전기방사,라미네이션,필터,건조 | NanoFibers,Electrospinning,Lamination,Filter,Dry | 1710800000 |
23 | 2021 | 재활용저해제품순환이용성개선기술개발사업(R&D) | 환경부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1485017633 | 에너지 저감형 감량 PET병 기술 개발 | Technical development on energy-saving lightweight PET bottles | 남경우 | 삼양패키징 | 서울특별시 종로구 | 20200521 | 2022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1. 기존과 동등수준의 강도를 확보한 감량화 PET병 기술개발2. 무기필러를 도입하여 PET 성형 공정 중 IR 가열공정에서 에너지 흡수율 20% 증가3. 차단성이 요구되는 감량화 PET 용기에 대하여 가스 차단성 기존 대비 2배이상 증가4. 기존 Clear PET와 동일한 재활용 처리성 확보(장섬유 방사성 동등) 5. 식품 안정성을 확보한 경량 PET 용... | PET 용기 제조 공정과 생산 유통 중에 요구되어지는 기계적 강도를 향상 시킨다면, PET 용기의 감량화로 인하여 사용 원료 절감과 PET 용기의 성형공정의 흡열거동을 개선하여 CO2 발생량과 에너지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기계적강도, 패트, 감량화, 재가열, 가스차단성 | Mechanical strength, PET, Lightweight, Reheating, Gas Barrier | 917000000 |
42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705 | 고분산성 CNF 복합소재 적용 자동차 고강도 경량 내장부품 제조 기술 개발 | Manufacturing technology development of high strength and lightweighting automotive Interior parts using highly dispersible CNF | 곽성복 | 덕양산업(주) | 울산광역시 북구 | 20200401 | 2023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 총괄과제 목표 : 셀룰로스계 섬유소재를 이용한 자동차용 고강도, 내열성 복합재료 개발 타겟 접근 방안 협의/도출 - 세부1,2과제를 총괄 운영지원(기술 교류회 개최 2회) - 기술교류 및 발전 방안 마련(운영회의 4건) - CNF 자문위원회 구성 및 운영(자문 위원회 개최 1회) - 국책과제 운영 관... | ■ 셀룰로스 나노파이버 제조 기술의 국내, 외 시장 선점성 - 국내 셀룰로스 나노파이버 관련 연구의 경우, 활용범위가 필름 또는 포장재, 복합소재로 제한적이며 산림분야에서 셀룰로스 소재에 대한 기술개발이 진행되었으나 선진국에 비해 기술적 노하우 및 역량이 부족한 실정임. - 국내의 셀룰로스 나노파이버 시장은 미미하며, ... | 셀룰로스나노섬유,경량화소재,자동차내장부품,친환경복합소재,바이오플라스틱 | cellulose nano fiber,Lightweight Component,Vehicle internal part,Environmentalfriendly Composite,Bio platic | 30800000 |
80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835 | 셀룰로스 나노섬유의 표면개질과 유무기질 코팅을 통한 고내열고분산성이 확보된 습윤 친환경 나노섬유 저비용 제조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low cost production process for wet ecofriendly nanofiber with high heat resistance and dispersibility through surface modification and organicinorganic coating | 박홍만 | 태경에스비씨(주) | 기타 기타 | 20210901 | 2024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태경에스비씨]ㅇ셀룰로스 나노섬유의 탄산칼슘,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알루미늄 무기물 소수화 기술 검토 및 기초실험[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ㅇ알파 셀룰로스 고함량 펄프 적용 비 양성자성 용매 내 해섬 기술 개발[세종대학교]ㅇ용액상 셀룰로스 나노섬유 무기질화 표면개질 공정 제어 기술개발 | ㅇ 비 양성자성 용매 내 해섬 기술 및 공정 개발을 통한 셀룰로스 나노섬유 저비용 제조 기술 확보 ㅇ 셀룰로스 나노섬유 의 다양한 무기물 입자 형상 제어 기술 확보ㅇ 셀룰로스 나노섬유의 무기질 표면개질 기술 개발을 통한 분산성 및 내열성 향상 ㅇ 물성 분석을 통한 용액상 무기질화 공정 최적화 | 셀룰로스 나노섬유,표면개질,유무기 표면코팅,고내열성,고분산성 | Cellulose nanofiber,Surface modification,Organic inorganic surface coating,High heatresistance,High dispersibility | 516500000 |
25 | 2022 |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설계·제조)(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469 | 시스템 반도체용 Low k 스마트 PECVD 증착장비 및 공정 개발 | Development of the smart PECVD depositing Low k Film used for system semiconductor | 이승무 | (주)테스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31231 | 나노패터닝 공정기술 | [2차년도 목표]ㅇ 주관기관 : (주) 테스 - 고성능 스마트 공정 모듈 개선/신뢰성 평가 - 고생산성(Quad 챔버) 공정 모듈 설계 및 제작 - k <2.6, Modulus 10GPa,Hardness 3GPa 박막 확보ㅇ 참여기관 : 세종대학교 - Low-k(k<2.5) 박막 구조 개선 제안 및 RIE 내열화성 평가ㅇ 참여기관 : 부산대... | ㅇ 본 연구개발은 국내·외 반도체 수요기업(삼성전자, SK하이닉스, TSMC, Micron 등)에서 필요한 Low-k (k<2.5) 공정 및 장비 개발로, 특히 비메모리(시스템 반도체)에서 필요로 하는 핵심 기술임.ㅇ 현재 시스템 반도체용 Low-k 증착 장비는 해외 장비기업이 독점적으로 점유하고 있으며, 국내 장비기업에서 개발 중이나, 아직 양산 적용은 ... | 시스템 반도체,저유전 상수,스마트,화학기상증착,장비 | System Semiconductor,Low Dielectric Constant,Smart,PECVD,Equipment | 1921510000 |
119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4765 | 반도체 결함(10nm 이하) 검사장비용 자외선 렌즈모듈 실장 성능평가 기술개발 | Performance evaluation of UV lens module mounted for semiconductor defects (less than 10nm) inspection system | 김기순 | (주)영우디에스피 | 기타 기타 | 20210601 | 20241231 | 나노 측정기술(100 nm이하) | [1차년도 목표]ㅇ 국내/외 특허 및 문헌 조사ㅇ 선진기업 장비 분석을 통한 기술분석 및 국내 연구기관 기술이전 추진ㅇ DUV(266nm) 광학계 모듈 설계 및 제작ㅇ Shack-Hartmann 센서 모듈 설계 및 제작ㅇ Optical breadboard & 하부 프레임 설계 및 제작ㅇ Passive Air Mount 제진대 설계 및 제작ㅇ DUV Fibe... | [1차년도 기대효과]ㅇ 국내, 외 선행기술 세부조사를 통한 특허 회피전략 및 방향 수립ㅇ 정부출연연구소의 DUV 검사기술 이전을 통한 노하우 습득 및 기술 확보ㅇ DUV(266nm) 광원을 활용한 광학계 설계 및 분석기술 내제화 및 대물렌즈 제작 요구사항 도출ㅇ 대물렌즈 IQC 시스템에 필요한 제진대 및 Hardware 사양 확보ㅇ Defect 검사영상 분... | 반도체,검사,대물렌즈,결함,성능평가 | semiconductor,inspection,objective lens,defect,performance evaluation | 1572798000 |
2 | 2022 | 차세대하이브리드PCB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330 | 회로 디자인 맞춤형 잉크젯에어로졸젯 복합인쇄기술이 융합된 고해상도 선폭 30um 간격40um 급 5G 단말기용 RigidFlex PCB 제조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designresponsive inkjetaerosoljet fusion printing technology to implement rigidflex PCB with high resoultion line width 30um space 40um for 5G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 김건희 | (주)프로텍 | 기타 기타 | 20190701 | 20231231 | 기타 나노기반 공정기술 | - 주관기관((주) 프로텍) : ○ Aerosol와 Ink-jet 다중 Multi Head을 이용한 양산성 공정 확보 ○ Aerosol와 Ink-jet 다중 Multi Head 기술을 활용하여 rigid flex 시제품을 제작 ○ 신 모듈 FPCB 디자인을 Aerosol와 Ink-jet 공정을 적용하여 공정 검증 - 참여기관 1(멀티텍) : ○ 5... | - 주관기관((주) 프로텍) : .Aerosol, Ink-jet Printing 적용한 Etch resist 대면적 양선성 공정 확보 및 Aerosol, Ink-jet Printing 적용한 Cover-lay ink 대면적 양산성 공정 확보를 통하여 .대면적 rigid flex의 선폭, 간격, 비아 층간 공정 확보하여 시제품 제작 및 공정 유효... | 잉크젯,에어로졸,복합 인쇄,디자인 맞춤형,경연성 모듈 | Inkjet,aerosol,fusion printing,design responsive,Rigid flex module | 1317840000 |
50 | 2022 | 나노소재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3686 | 고효율/장수명(선진사 대비 105% 가공수명) 티타늄 합금 가공용 엔드밀 개발 | Development of cutting tool with high cutting performance and excellent tool-life for Ti Alloy | 박영군 | (주) 와이지-원 | 인천광역시 부평구 | 20200723 | 2023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고효율/장수명(선진사 대비 105% 가공수명) 티타늄 합금 가공용 엔드밀 개발o 항공산업에서 사용량이 많은 티타늄 합금의 절삭가공에 대하여 기존에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한계점을 극복하고 기술적으로 앞서있는 일본공구업체(OSG社)의 티타늄 가공용 엔드밀에 대응하여 국산화를 달성하기 위해, 산·학·연 협동연구로 절삭공구의 핵심요소기술(초경소재-공구 디자인-공구... | [활용계획]○ OSG社 제품 대비 공구수명이 우수한 티타늄 합금 가공용 엔드밀 출시 및 시장 진출 - 티타늄 합금 가공용 공구 시장의 허브 공구로 시장진입 후, 시장확대의 교두보로 활용 - 본 연구개발기간 동안 축적된 초경소재, 공구디자인, 공구코팅기술을 타 제품군으로 확대 적용○ 피삭재별 수요자 맞춤형 기술 전략을 통해 수요 제품군을 확대[기대효과... | 티타늄 가공, 엔드밀, 공구코팅, 초경소재, 공구설계, 공구수명, 티타늄 합금, 내열합금 | Titanium Alloy Machining, End Mill, Tool Coating, Cemented Carbide, Tool Design, Tool Life, Titanium Alloy, Heat Resistance Alloy | 416667000 |
115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353 | 고분자 수지 내 나노급 분산성을 갖는 자동차 내장재 복합소재용 친환경 셀룰로스 섬유소재의 저비용 대량 제조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the low cost and mass production of cellulose fibers for automobile interior parts with nanoscaled dispersion in polymer matrices | 이종훈 | 무림피앤피(주)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3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ㅇ 주관기관 (무림피앤피) - 셀룰로스 나노파이버의 연속식 파일럿 스케일 제조 공정 개발 및 수계 소수화 셀룰로스 나노파이버의 스케일업 건조 공정 개발ㅇ 참여기관 1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 폐목재 기반의 셀룰로스 나노파이버 제조 기술 개발ㅇ 참여기관 2 (LG전자) - 카바메이트-에스테르법 전처리 적용 셀룰로스 나노파이버 제조ㅇ 참여기... | - 셀룰로스 나노파이버 시제품 확보 및 품질 스펙 확립- 저비용 전처리 및 나노피브릴화 공정 효율 향상 기술 확보를 통한 셀룰로스 나노파이버의 사업화 기반 구축- 폐목재 활용 셀룰로스 나노파이버 제조 기술 확보- 흐름성과 셀룰로스 특성 인자의 상관관계 구명을 통한 흐름성이 우수한 셀룰로스 섬유 특성 확보- 수계 소수화 셀룰로스 나노파이버의 대량 시료 확보 ... | 셀룰로스 나노파이버,표면 개질,건조 분말화,나노급 분산,복합소재 | cellulose nanofiber,surface modification,drying and pulverization,nanoscaled dispersion,composite | 1131300000 |
107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2101 | 그래핀계 및 리튬 전이 금속 산화물 복합유연전극 기반 58Wh/L급 IoT기기용 배터리 커패시터 개발 | The development of battery capacitor (58Wh/L) composed of graphene and lithium transition metal oxide based flexible electrode for IoT device | 윤중락 | 삼화콘덴서공업주식회사 | 기타 기타 | 20160301 | 2024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주관기관(삼화콘덴서공업(주)) o 리튬 전이 금속 산화물/EEG 복합 양극소재와 Li4Ti5O12/나노탄소 복합 음극소재를 적용한 유연 및 SMD type 배터리 커패시터 셀 제조 기술 개발 - 단위셀 설계 : SMD type 2.8V/250F (셀 체적: 4mL) - 셀 전압 : 2.8V - 셀 용량 : 250F (size : Φ18X16.5mm) -... | - 본 연구에서는 고출력/고용량/장수명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리튬이온 전지용 산화물 전극소재와 슈퍼커패시터용 탄소계 전극소재에 복합기술을 응용하고 이를 전극화 함으로써 58Wh/L 에너지 밀도, 20C급 출력 특성 및 20,000회 이상의 싸이클 수명 특성을 보유한 배터리커패시터를 개발하고자 하며, SMD type 형태로 제작하여 IoT 모듈 제작시 PC... | 유연 배터리 커패시터,그래핀,리튬금속산화물,유연 고분자 전해질,자가지지형 전극 | flexible batteryl capacitor,graphene,lithium metal oxide,flexible polymer electrolyte,free standing electrode | 1085738000 |
65 | 2022 | 바이오산업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218 | 중동과 아세안 시장 진출을 위한 환자맞춤형 약물방출조절(지속성 주사기술) 개량의약제품 기술개발 | Development of improved pharmaceutical products based on patientspecific drug release conrol(long acting injection technology) targeting MENA and ASEAN market | 이계완 | 동국제약(주)중앙연구소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41231 | 의약 약물전달 시스템 | 장기지속형 펩타이드의 비임상 연구 및 제제연구, 안정성시험 수행[동국제약] - 고세렐린 in-situ gelling 장기지속형 주사제의 비설치류에서의 비임상 PK 시험 평가 - 비임상 독성 시험 평가 - 안정성(장기/가속) 시험 평가 - IP 자원 확보[티온랩테라퓨틱스] - 세마글루타이드 마이크로스피어 주사제 안정성 결과 확보 - 완제 기시법 설정, 비... | [동국제약]- 비임상 PK(비설치류)/독성 시험을 통한 고세렐린 in-situ gelling 장기지속형 주사제 효능 및 안전성 평가- 스케일업을 통한 고세렐린 in-situ gelling 장기지속형 주사제 생산[티온랩테라퓨틱스]- 비임상 PK/독성 시험을 통한 세마글루타이드 마이크로스피어 효능 및 안전성 평가- 세마글루타이드 마이크로스피어 안정성 평가 | 장기지속형 주사,고세렐린,세마글루타이드,인시츄 겔,마이크로스피어 | Long acting injection,Goserelin,Semaglutide,In situ gel,Microsphere | 1632500000 |
95 | 2021 | 신산업진출사업재편핵심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1415175954 | SiNx, SiOx 막질의 선택적인 식각이 가능한 고선택비(1,000 이상) 인산계 식각액 제조 기술 | 박현기 | 솔머티리얼즈 | 충청북도 청주시 | 20210701 | 2021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SiNx, SiOx 막질의 선택적인 식각이 가능한 고선택비 (1,000이상) 인산계 식각액 제조 기술 | - 기술적 측면 . 반도체 산업의 제조업에서 탈피, 소재 개발을 기반으로 기술 제조업으로 성장 . 소재 국산화를 통한 원가절감 구현 . 우리나라 매출 창출로 기업 이윤 창출 및 경제 활성화 추진 - 경제/산업적 측면 . 일본 의존도 감소로 약50억 달러/년 이상 경제적 효과 구현 . 신규사업 추진으로 기업 경제 활성화_종료 5년이내 150억이상 매... | 고선택비, 인산화합물, 질화막, 산화막, 식각속도 | High selectivity,Phosphate compounds,Nitride film,Oxide film,Etch rate | 500000000 | |
77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833 | 셀룰로스 나노섬유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부품 제조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technology for electric vehicle parts using cellulose nanofibers | 유종현 |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 기타 기타 | 20210901 | 2024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1차년도 개발 목표] - 제품 디자인 및 성형공법 연구 (소재) 현용제품 물성 D/B 구축 (해석) 유동해석 기반 가이드 수립 (설계) 대상 제품 컨셉 선정 (성형) 저압 사출 공법 연구 (수요) 선진 성형공법 벤치마킹 | o CNF 수지 성형 관련 핵심기술 - CNF 수지 성형의 최적 금형 설계데이터 확보 - 금형 내에서 제품 형태에 따라 분사된 수지가 균일하게 분포하여 충진될 수 있는 금형 기술 확보 - 기존 Steel 재를 이용하여 대형 Battery Upper Cover 제작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CNF 수지 성형기술 확보 가능 ... | 셀룰로스나노섬유,친환경소재,전기자동차,제조기술,전장보호부품 | cellulose nanofibers,Ecofriendly materials,electric vehicles,manufacturing technology,electrical protection parts | 1086800000 |
131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553 | 실내환경 유해물질 감지 및 저감을 위한 필터재생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공기청정기 개발 | Development of the smart air cleaner using filter recycling technology to detect and reduce hazardous substances in the indoor environment | 김동원 |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 기타 기타 | 20190401 | 2023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위니아딤채 - 무전원 정전필터 모듈이 적용된 공기청정기 SET 기구부 상세설계 - 무전원 정전필터 세정 및 재생 가능한 재생장치 SET 기구부 상세설계 - 독립형 공기청정기 및 재생장치 시제품 제작 및 성능 테스트◎이노서플 - 독립형 무전원 정전필터의 세정 및 재생 일체형 시스템 개발 및 시제품 제작◎아이티엠반도체 - 1차 복합 센서 모듈 개발◎... | - 필터 세정 및 재생 장치 최적화를 통한 세정/재생장치 제품 소형화 기술 확보- 필터오염 및 먼지, 가스 등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복합 센서 모듈 개발 기술 확보를 통한 공기청정기 품질 성능 향상- VOC 제거 효율 향상을 통한 탈취 필터 성능 향상- 공기청정기와 독릭형 세정/재생 장치의 설계 기술 확보 | 필터세정기술,필터재생기술,탈취필터,복합센서모듈,센서연동기술 | Filter cleaning technology,Filter recycling technology,Deodorization filter,Composite sensor module,Sensor interlocking technology | 1117834000 |
112 | 2021 | 나노융합혁신제품기술개발사업(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348 | 나노하이브리드 소재 기반으로 초미세먼지 여과율 95% 이상이며 재생 가능한 필터 미디어 및 중대형 필터 제품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recyclable mediumlarge filter media and filter products with 95% removal efficiency of ultrafine dust based on nanohybrid materials | 김성연 | 한국캠브리지필터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5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ㅇ 저차압 필터 제품 설계 및 최적화 기술ㅇ Lab Scale 필터 미디어 성장 기술 선행 연구ㅇ Pilot Scale--up을 위한 공정 기술 개발ㅇ 나노 하이브리드 필터 미디어 제조 기술ㅇ 나노 하이브리드 필터 열 전달 기술 ㅇ 필터 내구성 테스트 지그 구축 | - 본 기술에서 개발되는 다중이용시설용 대용량 필터 미디어 제품을 통해서 사회적으로 지불하고 있는 맑은 공기에 대한 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을 것이고 이를 통해 시민들의 건강을 개선할 수 있 을 것으로 기대.-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는 고농도의 (초)미세먼지 문제는 사회적 재난으로 간주되며, OECD에 따르면 현재 대한민국의 대기오염에... | 재사용 필터,나노하이브리드,중대형 필터,초미세먼지,저차압 | reusable filter,nanohybrid,mediumlarge filter,ultrafine dust,low pressure drop | 920100000 |
72 | 2021 |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설계·제조)(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910 | 4Layer 이상 다층 복합나노섬유구조를 갖는 CMP공정 슬러리 여과용 나노급 심층필터 제조시스템 개발 | Multilayer composite nanofiber structure of 4 layers or more Development of nanolevel deep filter manufacturing system for slurry filtration in CMP process | 김성욱 | 톱텍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3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주관기관((주)톱텍)] o 나노섬유 원부재료 조사 및 선정 o 나노섬유 전기방사 공정 제어 인자 조사 및 선정 o 나노섬유 개발을 위한 제조 시스템 Lay-Out 설계 o 나노섬유 비대칭 기공구배 구조 제조 시스템 설계 및 제작 o 부직포/나노섬유의 이종소재 라미네이션(Lamination) 시스템 설계 o 나노섬유의 휘발성 용매 제거를 위한 흡... | [기대효과]ㅇ 멀티노즐(Multi-needle) 전기방사 이용한 나노섬유 기공크기가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멀티레이어 복합 나노섬유를 갖는 CMP 슬러리 심층필터 개발을 통한 슬러리 LPC입자 제거 및 포집 성능 향상기술 확보ㅇ 연속식 멀티노즐(Multi-needle) 나노섬유 제조 시스템 개발을 통한 대량 생산 가능ㅇ 다층 복합 나노섬유 필터구조를... | 나노섬유,전기방사,라미네이션,필터,건조 | NanoFibers,Electrospinning,Lamination,Filter,Dry | 977000000 |
34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523 | 3차원 측정이 가능한 고분해능 전계방사형 전자현미경 컬럼 개발 | Development of highresolution field emission electron microscope column capable of 3D measurement | 최교원 | (주)에스에프에이 | 기타 기타 | 20210901 | 20241231 | 나노 측정기술(100 nm이하) | [주관연구개발기관(㈜에스에프에이)] o 시스템 평가를 위한 SEM 단동 Test Bench 제작 완료 및 평가 진행 o 10nm (5kV), 4nm (30kV) 분해능 달성 o 제작된 SEM 컬럼을 듀얼 시스템 통합처에 반영 o Simulation 및 요소변경을 통해 개선된 SEM 컬럼 제작 착수 [공동연구개발기관1(포항공과대학교)] o 30... | o 현재 수준 시스템 평가를 위한 SEM 단동 Test Bench 확보 및 평가 결과 도출, 개선 요소 파악 o 제작된 SEM 컬럼을 FIB-SEM 듀얼 시스템 통합처(3세부 개발 과제)에 반영 o Simulation 및 요소변경을 통해 개선된 SEM 컬럼 제작 착수 및 전자총 시제품 확보, 전자 제어 시스템 개발 [정량적 목표 달성] o SEM... | 전자현미경,전계방사형주사전자현미경,전자현미경 컬럼,전자빔,FE 전자총 | SEM,FESEM,SEM Column,Electron Beam,FE Electron Gun | 1361000000 |
29 | 2022 | 나노융합혁신제품기술개발사업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109 | 전극 침투형 3mScm급 나노 고체전해질 소재 기반 고안전성 이차전지 기술개발 |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Using 3mScm class Nano Sized Solid Electrolytes | 유종호 | 일진머티리얼즈 주식회사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5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개발 목표]- 고체전해질 이온전도도 : 1.5 mS/cm- 고체전해질 입도 : 1um- 고체전해질 환경안정성: 90%- 복합전극내 고전해질비율: 20%- 복합전극 용량: 180 mAh/g- 복합전극 이온전도도: 0.005 mS/cm- 복합전극용량유지율: 30 cycle (80%) | [과학-기술적 측면]- 리튬 이차전지 시장은 휴대폰 등 IT제품을 기반으로 성장하였으나 최근에는 대규모 전력저장을 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뿐만 아니라 친환경 전기자동차로 대용량을 추구하는 중대형 이차전지로 시장이 확대될 것이며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로 주목 받고 있음- 리튬이차전지에 국한된 기술을 전고체전지로 확장함으로써, 차세대 이차전지의... | 나노 고체전해질,전극 침투형,계면저항,복합전극 대면적화,수분 안정성 | nano sized solid electrolyte,Infiltration,interfacial resistance,large size composite electrode,stability against humidity | 1413400000 |
57 | 2022 | 자동차산업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81171 | 미래차 공용부품 고도화를 위한 복합재금속 하이브리드 기반 일체형 카울크로스빔 경량화 기술 개발 | A Development on LightWeight Hybrid Cowl Crossbeam using Composite and Metal material for Advancement of future Vehicle Parts | 곽성복 | 덕양산업(주) | 기타 기타 | 20220401 | 2025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ㅇ 국내/외 선진사 경량 카울크로스빔 동향 조사ㅇ 하이브리드 카울크로스빔 구조 설계/해석 및 최적화ㅇ 메인바/브라켓 프레스 및 사출 금형 설계ㅇ 카울크로스빔용 PA+GF 기본 조성 개발ㅇ 섬유배향에 따른 수지 거동 및 복합구조체 구성 연구ㅇ 금속 표면처리 기초연구 및 산화 나노 구조 연구ㅇ 금속-복합재 사출접합의 기초 접착성 평가 | o 선진사 경량 카울크로스빔 벤치마킹 결과 D/B화o 하이브리드 카울크로스빔 구조 개발o PA기반 고경량 플라스틱 소재 개발o 개발 플라스틱 소재 특성 분석o 하이브리드 카울크로스빔 메인바/브라켓 금형 설계o 사출접합을 위한 금속 표면 처리 기초 연구o 국내 양산 차종 카울크로스빔 데이터 분석 | 이종접합,경량화,유리섬유,금속표면 처리제,카울크로스빔 | HeteroBonding,LightWeight,Glass fiber,Metal Surface Treatment Agent,Cowl Cross Beam | 1728600000 |
38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80894 | 귀금속 저감 희소금속(Ni Co Pt) 소재 제조 및 촉매전극 부품화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manufacturing catalysts and electrode parts by use of low contents precious metals of rare metals | 박주현 | 엘티메탈 주식회사 | 인천광역시 서구 | 20220401 | 2026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총괄기관]○ 사업 추진 방향 조정○ 과제 세부 진행 관련 기술 자료 조사○ 과제 협약 및 수행 시작○ 연구 실적 관리 및 연차 보고서 취합, 제출[세부기관]○ 용매 추출 기반 폐이차전지, 폐연료전지로부터의 희소금속 추출 기술 개발○ 희소금속 적용 수전해 및 연료전지 촉매 합성 기술 개발○ 연속 대량 생산용 촉매 합성 공정 인프라 구축○ 활성면적 150cm... | [총괄기관]○ 과제 수행기관의 유기적 연계 확보로 체계적 연구 수행 가능[세부기관]○ 폐이차전지, 폐연료전지로부터 희소 금속 회수 기술 개발로 스크랩 활용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수전해 양극, 음극재의 동시 개발로 고효율의 수전해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가 가능함.○ 전이금속과의 합금화를 통한 백금 저감형 연료전지촉매 소재 탐색 및 촉매 성... | 희소금속,귀금속 저감,촉매,수전해,연료전지 | Rare metal ,Precious Metal Diminution,Catalyst,Electrolysis,Fuel Cell | 35770000 |
90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2089 | 비할로겐계 기능성 단량체 적용 투명 방향족 폴리이미드 바니쉬 및 필름소재개발 | Development of transparent aromatic polyimide varnish and film materials applied with nonhalogen Functional Monomer | 김진욱 | (주)동진쎄미켐 | 인천광역시 서구 | 20200401 | 2024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총괄]● 목표 및 일정에 맞게 진행될 수 있도록 과제 진행경과를 공유하고 세부과제간 업무협의● 소재개발 워크샵 진행● 수행기관의 과제 이해도를 높여 연구 효율화 제고(1세부)● 비불소 Dianhydride계 단량체를 이용한 Flexible OLED의 Backplane용 투명 폴리이미드 기판 재료 개발● 다양한 단량체조성에 따른 폴리아믹산물성 경시변화특성 ... | ● 커버윈도우 뿐 아니라 계속하여 성장하고 있는 투명 폴리이미드 시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불소계 원료의 대체함으로써 환경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됨● 충분한 경험과 실력을 갖춘 세부 기관들의 상호 협력을 통해 수입 불소계 원료가 지배적인 투명폴리이미드를 원재료 단계에서부터 개선하고 발생 가능한 문제점을 보완하는 방법을 동시에 진행 함... | 투명 폴리이미드,비불소 단량체,플렉서블 OLED,커버 윈도우,국산화 | Colorless Polyimide,Nonfluorine Type Monomer,Flexible OLED,Cover Window,Localization | 30800000 |
99 | 2021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조성(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재단)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 1711151135 | 이차전기용 나노 탄소소재의 고농도 (3wt%) 분산액 개발 | Development of high concentration dispersion solution (3wt%) of carbon materials for lithium ion batteries | 조대환 | ㈜네패스 | 충청북도 청주시 | 20210701 | 20220630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나노 탄소소재 번들 크기가 광범위하게 제어되어 전기전도도 및 기능성을 부여한 분산액 조성물 제조공정 구축 | -. 전도성 나노 잉크 시장은 2013년 335백만 달러에서 CAGR 18%로 2018년 765백만 달러의 규모를 형성-. 21년까지 전도성 나노 잉크 시장은 CAGR 18%로 1,256.9백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 유기 전도성 재료라는 점 등 많은 이유로 수요 증가가 예상-. 연구개발 성과를 반영하여, 산업용 및 전자재료용 분야의 신규시장으로 도... | 탄소나노튜브, 분산액, 도전재, 전고체, 이차전지 | carbon nanotube, paste ink, conductive meterial, solid state, secondary battery | 285778000 |
36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855 | 셀룰로스 나노섬유의 표면개질과 유무기질 코팅을 통한 고내열고분산성이 확보된 습윤 친환경 나노섬유 저비용 제조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low cost production process for wet ecofriendly nanofiber with high heat resistance and dispersibility through surface modification and organicinorganic coating | 박홍만 | 태경에스비씨(주) | 기타 기타 | 20210901 | 2024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태경에스비씨]ㅇ셀룰로스 나노섬유의 탄산칼슘,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알루미늄 무기물 소수화 공정기술 개발[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ㅇ해섬 공정 최적화 및 에스테르화 표면개질 기술 개발[세종대학교]ㅇ셀룰로스 나노섬유 무기질화 표면개질 공정 제어 기술개발 | ㅇ 셀룰로스 나노섬유 제조 공정 최적화 및 재활용 기술 개발을 통한 소재의 가격경쟁력 확보ㅇ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복합소재 제조에 최적화된 셀룰로스 나노섬유의 저비용 제조기술 확보ㅇ 유무기 코팅 표면 개질 공정 기술 개발을 통한 셀룰로스 나노섬유의 제조 및 공정기술 개발 및 평가기술의 확보 ㅇ고분자 복합체 물성 분석 및 공정 효율 분석을 통한 무기질화 공... | 셀룰로스 나노섬유,표면개질,유무기 표면코팅,고내열성,고분산성 | Cellulose nanofiber,Surface modification,Organic inorganic surface coating,High heatresistance,High dispersibility | 974900000 |
116 | 2021 | 기계장비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179 | 5.5MGOe급 고성능 헥사페라이트 영구자석 제조 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manufacture system for 5.5MGOe high performance Hexaferrite | 정용호 | 유니온머티리얼 (주) 포항공장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2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Ca-La-Co계 Ferrite의 양산 공정 최적화 및 시작품 제작, 평가- Ca-La-Co계 hexaferrites 조성비 및 치환에 따른 자기특성 향상 - 희토류 저감형 hexaferrites 신조성 개발고배향 및 고밀도를 위한 다단계 연속식 소결로 제작 Two-step 소결용 냉각 시스템의 온도 최적화 설계기술 개발최대자기에너지적 극대화를 위한 고... | - 신진 제품 이상의 고특성 페라이트 시작품 제작 및 고객 평가- 기존의 CaLaCo계 페라이트를 대체 가능한 원소 및 조성 기술의 시작품 실현- 고농도 슬러리 기술 확보로 배향, 밀도 및 생산성 향상- 전산모사에 의한 최적화된 냉각 시스템이 적용된 Two-Step 소결로 제작 - 모터 작동 환경에서의 최적화된 고성능 페라이트 개발 | 페라이트,영구자석,최대에너지적,잔류자화,보자력 | Ferrite,Permanent Magnet,Maximum energy product,remanence,Coercivity | 715200000 |
109 | 2021 | 나노융합혁신제품기술개발사업(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331 | 전극 침투형 3mScm급 나노 고체전해질 소재 기반 고안전성 이차전지 기술개발 |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Using 3mScm class Nano Sized Solid Electrolytes | 유종호 | 일진머티리얼즈 주식회사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5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개발 목표]- 고체전해질 이온전도도 : 1.0 mS/cm- 고체전해질 입도 : 3um- 고체전해질 환경안정성: 80%- 복합전극내 고전해질비율: 25%- 복합전극 용량: 180 mAh/g- 복합전극 이온전도도: 0.001 mS/cm- 복합전극용량유지율: 10 cycle (80%) | [과학-기술적 측면]- 리튬 이차전지 시장은 휴대폰 등 IT제품을 기반으로 성장하였으나 최근에는 대규모 전력저장을 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뿐만 아니라 친환경 전기자동차로 대용량을 추구하는 중대형 이차전지로 시장이 확대될 것이며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로 주목 받고 있음- 리튬이차전지에 국한된 기술을 전고체전지로 확장함으로써, 차세대 이차전지의... | 나노 고체전해질,전극 침투형,계면저항,복합전극 대면적화,수분 안정성 | nano sized solid electrolyte,Infiltration,interfacial resistance,large size composite electrode,stability against humidity | 1161900000 |
53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814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용 비할로겐계를 포함한 투명 폴리이미드 바니쉬소재 개발 | Developing nonhalogen type transparent polyimide varnish for substrate of | 김진욱 | (주)동진쎄미켐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4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o 저불소 함량 Dianmine계 단량체 적용한 고내열 투명 폴리이미드 바니쉬 개발o 단량체선정 및 공중합공정을 통한 중합 수율및 분자량 최적화기술개발o 코팅 공정적합 바니쉬의점도 조절기술개발 이미드화(화학적, 열적) 최적화o 4성분계 이상 중합공정 재현성 확보(1L급 10회 이상)o 불소계 폴리이미드의 불소함량 측정법 확보o 플렉서블 OLED를 위한 단위... | - 저불소 함량 diamine계 폴리이미드 개발을 통한 기술 난이도 극복 및 기술적 우위 확보- 폴리아믹산 중합기술, 생산시스템 및 지적재산권 측면 관련 분야 기술 선도- 플렉서블 OLED 핵심 소재인 폴리이미드 평가를 통한 국내 패널 업체들의 소재 부품 수입 의존도 감소 | 투명 폴리이미드 ,비불소 단량체,플렉서블 OLED,플렉서블 기판,국산화 | Colorless Polyimide,Nonfluorine Type Monomer,Flexible OLED ,Flexible Substrate,Localization | 1559080000 |
85 | 2021 |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설계·제조)(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306 | 차세대 반도체용 친환경 고속 치환형 초임계 세정 장비 개발 | The Development of High Speed Supercritical Cleaning System for NextGeneration Semiconductor | 이유영 | (주)테스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21231 | 나노패터닝 공정기술 | - 주관기관 (주)테스 초임계 챔버 중기형 모델 개발 ISO 공정 가능 Wet Chamber 개발(DI, IPA, DHF) System Integration Wafer 평가(Cantilever Wafer 평가) 고속 가압형 초임계 공급 시스템 설계 및 개발 2 차년도 공정 평가 및 목표치 완수(한울 공동) - 참여기관 (주)한울 엔지니어링 고속 가... | - 주관기관 (주)테스 초임계 챔버 중기형 모델 개발 ISO 공정 가능 Wet Chamber 개발(DI, IPA, DHF) System Integration Wafer 평가(Cantilever Wafer 평가) 고속 가압형 초임계 공급 시스템 설계 및 개발 2 차년도 공정 평가 및 목표치 완수(한울 공동) - 참여기관 (주)한울 엔지니어링 고속 가... | 반도체,고속,초임계,세정,장비 | Semiconductor,High Speed ,Supercritical ,Cleaning ,System | 2074700000 |
76 | 2021 | 산업소재핵심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2929 | 자율주행 인지 대응형 코팅 소재 및 공정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LiDAR detectable coating materials and process technology for autonomous vehicles | 서상원 | 강남제비스코(주) | 기타 기타 | 20190701 | 2022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 주관기관(주)강남제비스코)) : NIR 투과 및 반사 성능평가 및 도장시스템 개발 - 참여기관 1(씨큐브) : Blackness 및 NIR 반사 최적화 안료 개발 및 Pigment 코팅 기술 개발 - 참여기관 2(한국과학기술연구원) : 표면처리 안료를 이용한 균질 NIR 반사 clear coat 개발 - 참여기관 3(전자부품연... | 나노구조 제어를 통한 블랙 안료 및 입자 배항 제어를 통한 Pearl 안료의 의 NIR 반사 특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를 이용한 도료의 도장 시스템 개발이 가능하다. 또한, 크리어코트에서는 표면처리 안료를 이용하여 NIR 반사 특성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LiDAR 코팅 광특성 측정 시스템 개선을 통하여 LiDAR 인지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 라이다,근적외선,베이스코트,크리어코트,안료 | LiDAR,NIR,Basecoat,Clearcoat,Pigment | 1155350000 |
73 | 2021 | 탄소산업기반조성(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119 | 반도체 공정용 등방흑연블록 개발 | Development of isotropic graphite block for semiconductor process | 우종석 | (주)모간 | 기타 기타 | 20190701 | 2023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 주관기관 ((주)모간) :○ 반도체용 등방흑연 블록 개발품 고순화 공정 기술 개발○ 등방 흑연 블록 개발품 가공 기술 개발 - 참여기관 1 (한국화학연구원) :○ 피치/코크스 혼합 공정 최적화○ 피치/코크스 혼합물 후처리 공정 연구 - 참여기관 2 (한국탄소융합기술원) :○ 혼련 조건에 따른 등방압성형 공정 압력 프로파일 확보○ ... | - 주관기관 ((주)모간) :- 자체 개발된 등방흑연의 고순화 공정 기술 개발을 통하여 불순물 함량이 낮은 반도체용 등방흑연 제조 가능- 다양한 형상의 반도체 공정용 등방흑연 제조 가능 - 참여기관 1 (한국화학연구원) :- 코크스/바인더 피치의 혼합 공정을 최적화 하며, 이를 통하여 등방흑연 제조에 원천 기술 확보 가능 - 참여기관 ... | 피치,코크스,정수압 등방 성형,흑연화,등방흑연 블록 | Pitch,Cokes,CIP(Cold Isostatic Pressing),Graphitization,Isotropic graphite block | 894600000 |
24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805 | 다축이송이 가능한 고정밀 스테이지 및 복합공정용 듀얼빔 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multiaxis high precision stage and dual beam system for hybrid process | 유운선 | 에스엔유프리시젼(주) | 기타 기타 | 20210901 | 20241231 | 나노 측정기술(100 nm이하) | o 다축 유센트릭 스테이지, 가스 인젝션 시스템, 나노 프루빙 플랫폼 및 복합제어기가 통합된 듀얼빔 시스템 개발 o 2차년도 평가항목 구현 ((1) 시료에 증착공정을 이용하여 보호막 구성, 시료의 단면가공, 틸팅 후 단면분석 및 (2) 미세시료 가공 후 마이크로스케일 기계물성 측정) | o FIB 및 SEM 기반 듀얼빔 시스템의 정밀 조립 및 고진공 부품 제작/조립 기술의 확보 o FIB 및 SEM 복합제어기 기술 및 운용 시나리오 기술 확보 o FIB 및 SEM 활용 가공 및 계측 복합운용을 위한 기초 공정기술 확보 o GIS 및 나노구동기를 활용한 미세스케일 복합가공공정 기술 확보 | 듀얼빔,집속이온빔,전자현미경,복합 제어기,복합 공정 | Dual beam,Focused ion beam,Scanning electron microscope,Hybrid controller,Hybrid process | 1193300000 |
103 | 2021 |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R&D)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3946 | 실험 동물 모델을 통한 뇌-혈관 장벽 약물 투과 시스템 연구 | A Study on the Drug Penetration Across the Blood-Brain Barrier System Using Experimental Animal Model | 신호철 | 환인제약(주) | 서울특별시 송파구 | 20201201 | 20241231 | 의약 약물전달 시스템 | ● 나노 약물 전달체 기술의 유효성 증명1)나노 약물 전달체 검증용 대조군 선별 : 뇌장벽 투과율이 낮은 대조군 약물 조사2)대조군의 Brain PK 검증 : 선별된 대조군의 Brain PK 검증 연구 및 대조군을 로딩한 나노 약물 전달체의 뇌장벽 투과율 예비 실험3)나노 약물 전달체의 안정성 및 투과도 향상 검증4)신약 후보물질의 나노 약물 전달체 기술 ... | ● 치매 치료제에 대한 뇌장벽 투과율 향상● 치매 치료제의 약물 유효 농도 감소 또는 유효성 증가 가능● 약물 유효 농도 감소에 따른 치매 치료제의 안전성 확보 가능● 치매 치료제 외에도 뇌장벽을 투과해야 하는 신경계통 질환에 적용 가능● 치매 치료제 임상 시험 성공률 증가에 따른 약물 개발 투자 비용 절감 | 약동학,뇌혈관장벽,약물전달기술개발,알츠하이머성 치매 | Pharmacokinetics,Blood Brain Barrier,Drug Delivery System,Alzheimer disease | 41667000 |
32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042 | 고기능성 웨이퍼 연마휠 적용을 통한 SiC 단결정 웨이퍼 정밀가공 기술 개발 | Technology Development for Precision GrindingPolishing of SiC Single Crystal Wafer by Diamond Grinding Wheel | 이세광 | 이화다이아몬드공업(주) | 기타 기타 | 20210701 | 20221231 | 기타 나노소자 및 시스템기술 | [2차년도 개발 목표 및 내용] [주관연구개발기관(이화다이아몬드공업)] o 6인치 SiC 웨이퍼 Lapping 대체용 고속 가공이 가능한 고정 지립 Grinding Wheel 개발. - 고속 가공 ( 0.5um/s 이상 )를 구현 할수 있는 Metal Bond Diamond Wheel 의 개발. o 6인치 SiC 웨이퍼 Diamond Mecha... | [예상되는 연구개발 주요 핵심기술의 성과] ① SiC 단결정 웨이퍼용 정밀가공 기술 실장평가 기술 확보 - SiC 전력반도체 시장은 2030년 약 100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32% 성장이 예상되는 시장임. 21년 현재 시장에서는 4인치보다 6인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해외 선진업체에서는 몇 년 전부터 6인치 증설 진행 또는 완료가 되어 웨이퍼... | SiC 웨이퍼,초정밀 연마기술,다이아몬드공구,파워반도체,친환경 | SiC wafer,Precision Grinding,Diamond tool,power device,eco | 1552830000 |
88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2461 | 전기자동차용 630V급 초고용량 MLCC 어레이모듈 개발 | Developement of 630V high capacity MLCC array module for power train | 윤중락 | 삼화콘덴서공업주식회사 | 경기도 용인시 | 20200401 | 20231231 | 나노전자 소자기술 | - 주관기관(삼화콘덴서) :-. 1, 2세부 각 기관별 2차년도 연구개발 내용 교류회 진행 -. 각 세부별 2차년도 연구개발 내용 협의 위한 연구보고 회의 -. 각 분야별 외부 전문가 초청 세미나-. 각 세부의 기관별 2차년도 연구개발 진행 상태 점검 | -. 1세부 대형 사이즈 제품화 설계 최적화 확립- 고상합성법 적용 Defects-free 및 고결정성, 고신뢰성 BaTiO3 유전체 분말 개발-. 신규 조성 개발의 제품화 적용 가능성 타진-. 수입 원천소재와 합성 원천소재 적용 제품의 2세부 연계를 통한 2세부 진행 협업 구축-. 1세부 테스트 모듈과 2세부 기업 테스트 방법 매칭- 연구개발을 통해 획... | 전장용,초고용량,적층칩세라믹커패시터,모듈,어레이 | Automotive,Ultra high Capacitance,Multilayer Ceramic Capacitor,Module,Array | 34300000 |
96 | 2021 | 글로벌중소중견기업육성사업(R&D)(산업부,중기부) | 다부처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9991008039 | 난연성능이 향상된 복합수지용 Non-Halogen 무기 난연제 및 분리막 코팅용 베마이트 제조기술 개발 | 김대웅 | 케이씨주식회사 | 전라남도 영암군 | 20170301 | 2021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ㅇ초미립 베마이트 제조기술을 바탕으로 Pilot Plant 설계/ 구축/시제품 제조ㅇ산화마그네슘 제조기술을 바탕으로 Pilot Plant 설계 / 구축 /시제품 제조 ㅇ Non-Halogen계 초미립 무기소재의 사업화 준비 : 상용화 설비 설계 및 구축 | ㅇNon-Halogen계 초미립 무기소재의 Pilot Plant 설비를 활용하여 상용화 설비 설계 및 구축하는 동안 국내외 수요업체에 인지도 상승을 위해 시제품을 지속적으로 공급 및 평가 받을 수 있다.수요업체에서 양산 규모의 샘플을 요청시 Pilot Plant 설비를 활용하면 즉각적으로 대응이 가능하다.ㅇ미립 베마이트 및 고순도 산화마그네슘의 제조 기술을... | 수산화알루미늄,난연제,수산화마그네슘,충진제,베마이트 | Aluminum trihydroxide,Flame retardant ,Magnesium Hydroxide,Filler,Boehmite | 1587700000 | |
127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041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용 비할로겐계를 포함한 투명 폴리이미드 바니쉬소재 개발 | Developing nonhalogen type transparent polyimide varnish for substrate of | 김진욱 | (주)동진쎄미켐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4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비불소 Dianhydride계 단량체를 이용한 Flexible OLED의 Backplane용 투명 폴리이미드 기판 재료 개발● 다양한 단량체조성에 따른 폴리아믹산물성 경시변화특성 평가● 고리형 단량체 등 3성분계이상 공중합 기반 기술개발● 화학구조-광학특성-열특성상관관계 분석 및 데이터베이스화● 불소 함량변화에 따른 박막 형성조건 확보● 화학구조에 따른... | ● 커버윈도우 뿐 아니라 계속하여 성장하고 있는 투명 폴리이미드 시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불소계 원료의 대체함으로써 환경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됨● 충분한 경험과 실력을 갖춘 세부 기관들의 상호 협력을 통해 수입 불소계 원료가 지배적인 투명폴리이미드를 원재료 단계에서부터 개선하고 발생 가능한 문제점을 보완하는 방법을 동시에 진행 함... | 투명 폴리이미드 ,비불소 단량체,플렉서블 OLED,플렉서블 기판,국산화 | Colorless Polyimide,Nonfluorine Type Monomer,Flexible OLED ,Flexible Substrate,Localization | 1545000000 |
22 | 2021 | 미세먼지사각지대해소및관리실증화기술개발사업(R&D) | 환경부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1485017647 | Post Stage-V 대응 EHC 통합형 배기 후처리 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the EHC integrated exhaust aftertreatment system for PostStage-V | 박성서 | 세종중앙연구소 주식회사 | 울산광역시 북구 | 20200512 | 2022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Post Stage-V 대응을 위한 off-road용 PM-NOx 동시 저감 후처리 장치 개발 및 실증을 통한목표 규제 수준 만족- 목표 : Stage-V 에서 NOx 배출량 50% 강화규제 만족 (56<kW<560 엔진 대상) (PM :0.015 g/kWh이하, NOx : 0.2 g/kWh 이하, PN : 1Ⅹ1012 #/kWh 이하)- 핵심기술 : ... | 1) 현재 주관기업은 두산인프라코어 Stage-V 건설기계/농기계용 엔진의 배기정화장치를 연간 약20,000대, 현대건설기계 Tier 4 엔진 배기정화장치를 연간 5,000대 공급중임. 본 과제 완료 후Post Stage-V 대상 배기시스템에 적용하여 기존 고객에 대한 영업을 확대하고, 신규고객을 확보하며, 글로벌 네트웍을 통해 해외 수출시장 진출 예정임.... | EHC, 환원제 펌프, 배기계, DeNOx시스템 | EHC, DEF Pump, Exhaust System, DeNOx System | 1329000000 |
78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503 | 다축이송이 가능한 고정밀 스테이지 및 복합공정용 듀얼빔 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multiaxis high precision stage and dual beam system for hybrid process | 유운선 | 에스엔유프리시젼(주) | 기타 기타 | 20210901 | 20241231 | 나노 측정기술(100 nm이하) | o 듀얼빔 장치를 구성하는 요소기술 (통합제어기) 및 서브시스템 (다축 유센트릭 스테이지, 가스 인젝션 시스템, 나노 프루빙 시스템)의 개념 설계 및 모듈레벨의 테스트 o 모듈 테스트를 위한 테스트 배드 설계 및 제작 o GIS 시작품 제작 및 가스분사 특성평가 o 전자빔 및 이온빔 컬럼의 광학계 설계 분석 | o 나노가공 및 나노계측이을 위한 FIB 및 SEM 모듈의 이해를 통한 복합공정용 통합시스템의 설계 기술 확보 o 나노가공 및 나노계측을 위한 고진공용 초정밀 스테이지 설계 기술 확보 및 이를 활용한 복합공정 운용 시나니오 도출을 통한 복합나노가공공정의 기술 확보 o 미세스케일 적층공정을 위한 가스 인젝션 시스템 및 미세조작시스템 개발방향 및 ... | 듀얼빔,집속이온빔,전자현미경,복합 제어기,복합 공정 | Dual beam,Focused ion beam,Scanning electron microscope,Hybrid controller,Hybrid process | 729580000 |
84 | 2021 | 바이오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207 | 비침습 구강점막 적용 고침투 형상변화형 자가나노 Fattigation 바이오의약품 개발 | Development of Highly Permeable Deformable and Selfnanonizing Fattigation Biomedicine for Noninvasive Oral Mucosal Application | 이계완 | 동국제약(주)중앙연구소 | 경기도 수원시 | 20200401 | 20241231 | 의약 약물전달 시스템 | 1. 개발 목표 : Fattigation leuprolide의 제형화 1) 주관기관(동국제약) : Leuprolide 박칼제형 완제의약품 분석법 및 공정연구 - 완제품 분석법 설정 - Lab scale 3 batch 생산 - 안정성 시험 수행 2) 참여기관 1(아주대학교) : Fattigation leuprolide의 제형화 및 특성 평가 -... | - Fattigation 합성 바이오 원료 의약품의 정성 및 정량분석법 확립- Fattigation 합성 바이오 원료 의약품 대량생산 공정 최적화 확립- Fattigation 바이오의약품 비침슴형 원천제형 확보 - Fattigation 바이오의약품의 흡수율 개선 기술 확보 | 비침습,구강점막,고침투형상변화형,자가나노,지방산결합 | non invasive,oral mucosa,highly permeable deformable changes,self nanonizing,fattigation | 616920000 |
11 | 2022 | 바이오산업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169 | 비침습 구강점막 적용 고침투 형상변화형 자가나노 Fattigation 바이오의약품 개발 | Development of Highly Permeable Deformable and Selfnanonizing Fattigation Biomedicine for Noninvasive Oral Mucosal Application | 이계완 | 동국제약(주)중앙연구소 | 경기도 수원시 | 20200401 | 20241231 | 의약 약물전달 시스템 | 개발 목표 : 의약품 특성 평가 및 제형 최적화- 주관기관(동국제약) : 후보 제형에 대한 비임상 시료생산 및 비임상 시험(효력시험 및 PK 시험), 안정성시험- 참여기관 1(아주대학교) : Fattigation leuprolide의 in vivo 구강점막 투과도 예비 평가 및 제형 최적화 | 1. 의약품을 환자에 투여 시 주사부위 조직 내에서의 약물 소실도 존재하므로, 구강점막 적용 제형도 약물 안정성 증가 및 점막 투과효율을 높임으로서 기존의 피하주사 제제 대비 동등이상의 효능을 확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됨.2. 다양한 생체부착성 소재를 사용하여 구강점막 부착성을 높임으로써 오래 체류하면서 지속적으로 흡수 가능한 장기지속성 박칼정 개발에 도전함... | 비침습,구강점막,고침투형상변화형,자가나노,지방산결합 | non invasive,oral mucosa,highly permeable deformable changes,self nanonizing,fattigation | 1088009000 |
70 | 2022 | 피부과학 응용소재·선도기술개발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6128 | 초박막 산화아연을 활용한 화장품 제형 개발(썬크림, 조색파우더, 항균/항염 크림) | Development of multi-functional cosmetics formulations using ultra-thin plate shaped ZnO and its synthesis system in commercial scale | 이언엽 | 한국콜마(주) |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 | 20200401 | 2022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1)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 사용 없이, 높은 자외선 차단 능력 (SPF50/PA++++), 열노화 방지 기능을 가지며 백탁이 최소화되는 썬크림 제형 개발 2) 높은 자외선 차단 능력(SPF50/PA++++)을 가지며, 최대의 열노화 방지 기능을 가진 조색 파우더 제형 개발 3) 최적의 자외선 차단 기능 및 열노화 방지 기능이 포함된 항균/항여드름/항염... | 1)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가 없이 100% 무기계 자차로 사용된 자외선 차단제는 환경적/안정성 요인으로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는데 반해, 백탁 및 사용감에서 제한이 있었으며, 이러한 이유로 통상적으로 8이내의 함량으로 ZnO및 TiO2 미립자를 사용하고 약간의 유기계 자차제를 함유한 제품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었음. 2) 또한, 자외선 차단제 시장은 Blue... | 복합기능성 산화아연,열차단 열노화방지,100%무기계 썬크림,블루라이트 근적외선 차단,다기능성 항염크림 | Multifunctional ZnO,Thermal Blocking antiaging,100% Inorganic Sun screen,Blue Light NIR Blocking,Multifunctional Antibiotic cream | 252000000 |
87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284 | 이소결 산화알루미늄 및 구상 산화알루미늄 분말 상용화 기술 개발 | Technology development for commercialization of easy sintered aluminum oxide and spherical aluminum oxide powders. | 정경훈 | (주)대한세라믹스 | 기타 기타 | 20200801 | 2024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수입의존형 고순도·고품위 산화알루미늄 분말소재 상용화기술 개발 및 국산화 실현 o 수입제품 대비 경쟁력 보유 이소결·구상 산화알루미늄 상용화기술 개발 o 전방산업 수요를 반영한 수요맞춤형 산화알루미늄 분말 제조기술 개발- 수요시장 진입 촉진 및 저변 확대를 위한 산화알루미늄 소재기술 생태계 확립 o 국산 산화알루미늄 분말적용 응용공정·물성 DB화 및 표... | [반도체 디스플레이산업용 산화알루미늄 분말 상용화를 통한 일본 수입 분말 소재 대체] - 99.9%급 고순도 산화알루미늄의 상용화를 통한 일본 수입 제품 전량 대체 - 국내 유일 고순도 산화알루미늄 공급 업체로 국내 시장 독점 - 국내 원료수요기업이 신제품 개발력과 장기간의 신뢰성으로 기존에 사용하던 일본산 제품의 대체하는 효과 - 특히, 일본 무... | 이소결 산화알루미늄,구상 산화알루미늄,산화알루미늄,반도체 및 디스플레이,방열 | Easy sintered Aluminum oxide powder,Spherical Aluminum oxide powder,Aluminum oxide powder,Semiconductor and Display,Thermal conductive | 2498300000 |
69 | 2022 | 바이오산업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573 | 안구건조증 치료 약물(lifitegrast)의 흡수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점안렌즈를 이용한 약물전달 응용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drug delivery application technology using contact lenses to increase the absorption rate of dry eye treatment drug (lifitegrast) | 이아람 | 대원제약(주)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41231 | 의약 약물전달 시스템 | 완제의약품 제조 공정 연구 및 비임상 시험 제제 제조- 완제의약품의 처방 재현성을 확인하고 비임상 시험용 제제를 제조함- 전임상 제제의 약물방출 평가 및 물리화학적 특성을 평가함- 예비시험 제제의 가속, 장기 안정성 시험을 완료함(3개월)- 완제의약품의 in vitro 확산과 iv vivo 방출의 수학적 상관관계 모델을 개발함 | 약물방출 콘택트렌즈를 실험실 생산에서 임상시험을 위한 대량생산이 용이하도록 제조 공정을 연구함임상시험용 완제의약품의 품질관리를 위해 기준 및 시험방법을 설정하여, 품질 기준을 설정함차년도, 비임상시험을 위한 완제의약품을 확보할 수 잇을 것으로 기대됨 | 리피테그라스트,안구건조증,약물방출조절,콘택트렌즈,미세약물조절 | lifitegrast,dry eye syndrome,controlled release,contact lenses,micro drug reservoir | 970169000 |
120 | 2021 |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설계·제조)(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211 | 200단급 이상 3D NAND용 Oxide 및 Nitride 증착장비 개발 | The Development of Mold Stack(OxideNitride) Deposition Equipment for Next Generation 3D NAND | 장현진 | (주)테스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31231 | 나노패터닝 공정기술 | - 주관기관(테스) :1. 200단 stack 진행 : 초기 / 후기 박막 control 방법 확보 : HTR 개선사항 반영하여 성능 확인 : RF 개선사항 확인하여 성능 확인2. 초도 Quad 100단 stack 공정확보 : CLN 조건 확보 : AlF 형성 방지방안 확보 - 참여기관 1(미코세라믹스) :o 550도에서... | [기술적 측면] o 국내 반도체 장비기업 중 Stack Oxide / Nitride를 증착하는 장치를 공급 할 수 있는 회사는 IPS 가 유일하다. TES는 여기에서 한단계 더 나아가, 업계 최선두인 LAM을 넘어서는 UPEH를 가지는 Quad Station 장비를 개발함으로서, PECVD 분야에서의 확고한 기술력을 확보하려 한다.이를위해 안정된 온도... | 3차원 낸드,산화막,질화막,증착,장비 | 3D NAND,Oxide,Nitride,Deposition ,Equipment | 2064500000 |
27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330 | 전기자동차용 630V급 고용량 MLCC 소재 및 부품 개발 | Development of 630V high capacity MLCC materials and components for power train | 김민기 | 삼화콘덴서공업주식회사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3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 주관기관(삼화콘덴서공업(주)) : -. 참여기관 개발 조성 적용 제품화 평가 -. X8R 유전체 조성 적용 5.7x5.0 사이즈 220nF, 450V 제품 개발 -. 스펙 5750X8R224K451 제품 메탈 프레임 제작용 샘플 제작 -. 아크 방지 및 서지 완화 설계 최적화 -. 고상합성 유전체 모재 Pilot Line 검증을 위한 합성 유전체 분... | -. 참여기관 개발 조성 적용 제품화 평가를 통한 조성 선정 -. X8R 유전체 조성 적용 5.7x5.0 사이즈 220nF, 450V 제품 개발을 통한 고온용 MLCC 제작 -. 아크 방지 및 서지 완화 설계 최적화 -. 고상합성 유전체 모재 Pilot Line 검증을 위한 합성 유전체 분말 적용 제품화 평가-. 고상합성, 분위기 소결에 따른 원소 확산... | 전기자동차,고용량,적층칩커패시터,소재,부품 | Electric Vehicles,High capacity,Multilayer chip capacitor,Materials,Components | 3006100000 |
91 | 2021 | 산업소재핵심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389 | CFRP-금속 Hybrid 일체화 고속 성형공정기술 및 이를 적용한 40%이상 경량화된 자동차 Underbody structure 개발 | Development of automobile underbody structure that is over 40% lighter, made of CFRP (Carbon-fiber-reinforced polymer)-Metal Hybrid Embody Express Forming Process Technology | 성동진 | 아진산업(주) | 기타 기타 | 20160701 | 20210630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아진산업- 최종 완제품 제작 및 평가코스폴- 시제품 제품화- 최종 완제품 적용 다각화DYETEC- 수리공정 내피로·내환경 평가(재)경북테크노파크 그린카부품기술연구소- 결함분석 및 복합환경내구 시험 및 제품의 해석적 신뢰도 평가(재)울산테크노파크 자동차부품기술연구소- 완성차 충돌시험 실시 및 굽힘 및 비틀림 강성시험티비카본- CFRP-CFRP 신뢰성 평가- ... | - 최종 성형품 완제품 조립- SPR 로봇자동화장비를 이용한 리어플로어 최종성형품 조립- 금속-CF Hybrid 일체 성형품 시제품의 시편화 및 시편단위 특성 분석을 통한 성형품 품질 확보- 실차 Belgian Road Test를 통한 금속-CFRP Hybrid 일체 성형품 내구성 검증을 통한 신뢰성 확보- Underbody structure에 적용을 위한... | 복합소재-금속 이종소재간 직물,속경화 복합소재,복합소재 성형해석,북미 후방충돌시험,차체 강성평가 | CFRTP-Metal Hybrid Woven,Short Time Curing CFRP,CFRP Forming CAE,Rear Impact Test,Vehicle Body Stiffness Test | 654150000 |
104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2991 | 반도체 산업용 극청정 특수강 부품개발 및 실증평가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ultraclean special steel parts for semiconductor industry and development of empirical evaluation technology | 정재륜 | 주식회사 비엔에이치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41231 | 기타 나노기반 공정기술 | - End-user 대응 개발제품군 시제품 및 용접성 평가- Tube 세척 안정화- Dies 및 Plug 형상 최적화 및 인발품 Size 안정화- 25.4 이상 대경품 시제품 생산 평가- 국산 및 외산 BA품 품질평가 - 인발 및 전해연마 튜브 일괄 In-line화 및 최적 공정 완성 - 고순도 Fitting & Valve 제조 공정 최... | 2차년도를 통하여 Tube, Fitting, Valve등의 제조 공정 최적화를 달성 함으로써 국산 소재에 대한 안정성 및 시제품개발이 진행 될 것이다.또한, In-Line화를 통하여 제품의 제조 및 완성도를 높일 것이며, 각 기관별 개발제품 5종 SEMI 기준 평가가 확립 될 것이다. | 전해연마 튜브,피팅,IGS,전해연마,인공지능 | EP Tube,Fitting,Integrated Gas System,ElectroPolishing,Artificial Intelligenceb(A.I.) | 2051600000 |
51 | 2022 | 전략핵심소재자립화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80788 | 고강성고내열고마모 특성 구현 황 함유 고분자 기반 복합소재 기술 및 수송기기용 부품화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high stiffness high thermal resistance and high wear resistance composite material based on sulfurcontaining polymer for automotive parts. | 임종대 | 인지컨트롤스(주)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4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ㅇ 최적화 소재 기준 부품 성능 및 워터펌프 신뢰성 수준 파악 ㅇ 최적화 소재 부품 성능 및 액츄에이터 신뢰성 수준 파악ㅇ 경쟁사 소재 부품 성능 및 멀티밸브 (하우징&볼밸브) 신뢰성 수준 파악ㅇ 부품 성능 수준 확인 및 선진 경쟁사 부품 검증 / 최적화 설계ㅇ PPS 소재의 전기차용 Coolant 히터 프레임 적용 검토ㅇ PPS 소재적용 전기차용 Cool... | [예상되는 연구개발 주요 핵심기술의 성과] ① 기존 국외 Elastomer 첨가제를 에이엠솔루션/LG화학 협엽으로 국산화 적용(글리시딜계 PPS용 내충격제) → 충격강도 목표 대비 13% 초과 달성 (17KJ/m2) (LG화학, 에이엠솔루션) ② 신규 플라스틱 기어 마모 특성 재현 및 가속 시험 가능한 측정 기술 개발 (한국자동차연구원) ③ 하이퍼브랜... | 폴리페닐설파이드,파킹 브라켓,워터 펌프,프레임,자동차 | PPS,Parking Bracket,Water Pump,Frame,Automotive | 2653300000 |
26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80383 | 고분자 수지 및 첨가제를 이용한 PR 제조 및 평가 기술개발 | Development of PR formulation and evaluation technology using polymer resins and additives | 이종윤 | (주)경인양행 | 기타 기타 | 20210901 | 20241231 | 나노화학 공정기술 | [주관연구개발기관(경인양행)]o 원재료 기초 물성 및 해상도에 따른 물성 검증 및 최적화o 42nm 분해능 검증 및 최적화 [공동연구개발기관1(SK머티리얼즈 퍼포먼스)]o 원재료 기초 물성 평가- Low Ea를 가지는 Protecting group을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 산 확산거리가 짧은 광 PAG- 고분자 수지, PAG, 첨가제의 기초 물성 평가를... | [2차년 기대효과]o Low Ea를 가지는 고분자 수지를 이용한 ArF-i 고분자의 포토레지스트 성능 평가로 고감도 포토레지스트 개발에 적용 가능o TC-less 첨가제의 설계와 Contact Angle 수치를 평가로 1세부의 TC-less 첨가제 개발에 필요한 피드백 가능o Scanner 공정 조건에 따른 평가방법 확보로 미세 패턴용 포토레지스트의 개발에... | 포토레지스트,해상도,표면거칠기,고감도,식각내성 | Photoresist,Resolution,LWR,Sensitivity,Etch resistance | 1351400000 |
39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80410 | 고내열 생분해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 및 친환경차 내장부품 기술 개발 | Development for ecofriendly car interior parts based on biodegradable and heatresistance?polycarbonate | 정훈섭 | 덕양산업(주)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4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개발 목표]○ 2차년도 목표 : 생분해성 PC 복합소재 적용 도어트림 부품 개발 가능성 평가 - 바이오 매스 함량 30%이상 복합소재 개발 - 생분해성 PC 복합소재 물성향상 추가 블랜드 수지 개발 - 생분해성 PC 복합 소재 적용 도어트림 금형 개발 - 생분해성 PC 복합 소재 적용 도어트림 시제품 제작 및 문제점 검토 - 생분해성 PC 복... | [기대효과]○ 생분해성 PC 복합소재 성형성 평가를 통한 성형 조건 최적화 가능 (웰드라인, 플로우 마크 등 외관 문제점 사전 방지)○ 1차 생분해성 복합소재 적용 시제품 신뢰성 평가를 통한 물성 개선 포인트 점검 가능○ 크래쉬패드 금형 구조 설계 디자인 리뷰를 통한 사전 문제점 점검 가능 | 친환경 플라스틱,생분해성 플라스틱,도어트림,크래쉬패드,고강성 고내열 | Eco Friendly plastic,Biodegradable plastic,Door trim ,Crash Pad,High Stiffness Heat Resistance | 1610000000 |
137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026 | 회전계용 고청정 내마모 특수강 및 대형 정밀기어부품(1000mm3000mm) 제조 기술개발 | Development of high clean wear resistant special steel and heavy precision gear parts(1000mm 3000mm) | 이진모 | (주)태웅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51231 | 기타 나노기반 공정기술 | 레퍼런스 기어용 소재 및 기어 제작, 고강도 경량소재 합금 설계 기술 개발(주) 태웅○ 기존소재 제강 및 단조 공정 설계를 통한 레퍼런스 기어용 단조품 제작(주) 우림기계○ 기존 소재 적용 고 하중 레퍼런스 기어 부품 제작동아대학교○ 회전계용 내마모 특수강 소재 정련기술 개발 및 고강도 및 경량소재 합금설계 | - 2차년도에는 기존 재질의 기어제품을 제작(레퍼런스 기어)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한 기어 소재의 화학적, 기계적 특성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최적의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는 합금 성분 설계와 원소재인 고청정 내마모 특수강의 제조를 위한 제강/주조/단조 공정기술을 도출함. 또한 기어소재의 표면열처리 등 정밀가공기술을 개발하여 최종의 기계적 특성 목표값에 근접한... | 내마모 특수강,표면열처리,열간단조,피니언 기어,합금설계 | Wear resistant special steel,Surface heat treatment,Hot forging,Pinion gear,Alloy design | 1254250000 |
81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016 | 고강성고내열고마모 특성 구현 황 함유 고분자 기반 복합소재 기술 및 수송기기용 부품화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high stiffness high thermal resistance and high wear resistance composite material based on sulfurcontaining polymer for automotive parts. | 임종대 | 인지컨트롤스(주)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4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황기반 고분자 복합소재(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복합소재)의 수송기기용 부품 적용 확대를 위한 고강성, 고내열, 고마모, 고충격 및 고내화학성 그레이드 개발 - 개발된 다기능 황기반 고분자 복합소재 적용 차량용 응용 부품(워터펌프, 액츄에이터, PTC 히터 프레임 등) 개발 | - PPS 소재는 일반 범용 및 엔프라 대비 연평균 성장 및 부가가치가 매우 높아 침체된 국내 화학소재 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원이 될 것으로 기대됨- 자동차, 전기전자 산업 등에서는 내열성, 내화학성, 고강성, 전자파 차폐 등 다양한 특성이 구현되는 화학소재를 적용하여 금속을 대체하여 경량화 및 경제성 확보를 할 수 있음- 글로벌 소재 기업의 국내 시장... | 폴리페닐설파이드,파킹 브라켓,워터 펌프,프레임,자동차 | PPS,Parking Bracket,Water Pump,Frame,Automotive | 2448000000 |
19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800 | 극초단 레이저 증폭모듈용 969nm 펌프 광원 및 고출력 레이저용 광학계 코팅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969nm pump laser diode for amplification module of ultra short pulse laser and optics coating technology for high power laser | 김수현 | (주)이오엘 | 기타 기타 | 20210901 | 20241231 | 나노 photonics기술 | [2차년도 목표]ㅇ 200W 급 969nm 파장안정화 펌프 레이저 다이오드 개발ㅇ 다이렉트 구조의 200W급 펌프 레이저 다이오드 개발ㅇ 팸토초 레이저 SEEDER용 976nm 파장안정화 레이저 다이오드 시제품 제작ㅇ 환경 신뢰성 개발ㅇ 손상 임계값 30J/cm2 이상의 코팅 기술 개발ㅇ 3Å 이내의 표면조도 성능의 연마 공정 개발 | o 2차년도에는 200W급 969nm 파장안정화 레이저 다이오드 개발과 다이렉트 구조의 레이저 다이오드 개발을 진행하고, 레이저 다이오드의 환경 신뢰성 평가를 거쳐서 품질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또한 세부 1의 고출력 팸토초 레이저에 적용 테스트를 통해 레이저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예정임. 국내에서는 거의 진행된 적이 없는 고출... |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파장 안정화,코팅 기술,레이저 증폭 모듈,극초단 레이저 | high power laser diode,wavelength stabilized,coating technology,laser amplification module,ultra short pulse laser | 1505000000 |
129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439 | 반도체 공정 고효율화 CMP 슬러리 정제용 필터 소재 및 고기능성 제품화 기술 개발 | Semiconductor Process High Efficiency CMP Slurry Refinement Filter Media and Development of high functional product technology | 석유민 | 시노펙스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4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 주관기관((주)시노펙스) - 멜트블로운 부직포 개발(평균섬도 2000nm) - 부직포 품질 프로세스 구축을 위한 다양한 tool 및 procedure개발○ 참여기관 1((주)엘티에이치) - 슬러리 물성 테스트 시스템의 도입 - 슬러리별 물성 특성에 의한 분석 조건 확립 - 루프 재순환 필터링에 의한 LPC 영향성 평가○ 참여기관 2(충북대학교)... | Pilot 멜트블로운 부직포 시작품개발용 시스템을 수정/보완하여 평균섬도 2000nm, 평균기공 10㎛, 공기투과도 25CC/㎠/s 급 부직포 Pilot 제조 테스트 및 부직포 특성(평균섬도, 평균기공, 공기투과도, 두께, 인장강도 등) 분석으로 부직포 품질 프로세스 구축을 위한 다양한 tool 및 procedure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슬러리... | 필터,부직포,씨엠피,미세기공,서브마이크로 | Filter,Non Woven,CMP,micropore,submicro | 1429100000 |
10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799 | 전기자동차용 630V급 초고용량 MLCC 어레이모듈 개발 | Developement of 630V high capacity MLCC array module for power train | 윤중락 | 삼화콘덴서공업주식회사 | 경기도 용인시 | 20200401 | 20231231 | 나노전자 소자기술 | - 주관기관(삼화콘덴서) :-. 1, 2세부 각 기관별 3차년도 연구개발 내용 교류회 진행 -. 각 세부별 3차년도 연구개발 내용 협의 위한 연구보고 회의 -. 각 분야별 외부 전문가 초청 세미나-. 각 세부의 기관별 3차년도 연구개발 진행 상태 점검 | -. 1세부 대형 사이즈 제품화 적용 조성 최적화 확립- 고상합성법 적용 Defects-free 및 고결정성, 고신뢰성 BaTiO3 유전체 분말 양산화 가능성 확보-. 신규 모재 계열의 조성 개발의 제품화 적용 가능성 타진-. 수입 원천소재와 합성 원천소재 적용 제품의 2세부 연계를 통한 2세부 진행 협업 구축 (2)-. 1세부 테스트 모듈과 2세부 ... | 전장용,초고용량,적층칩세라믹커패시터,모듈,어레이 | Automotive,Ultra high Capacitance,Multilayer Ceramic Capacitor,Module,Array | 34250000 |
30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087 | 극한성능 공중합 아라미드섬유 강화 중간재 및 응용제품 적용 부품제품 개발 | Development of fiber reinforced mechanical rubber goods based on ultra high performance copolymerization aramid | 신동준 | 송우산업(주)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4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테크노라/하이브리드소재 적용 아크릴계 인터쿨러 호스용 가공사 개발 선행- 테크노라/하이브리드소재 적용 실리콘계 DPF/EWP 호스용 가공사 개발 선행- Bench scale Q/modification 연구- Q/테크노라 복합화 벤치마킹- Poly amide grafted AEM 연구- 하이브리드 가공사 적용 호스 개발(직물,원사)- 고무복합재 신뢰성 평... | - 테크노라/하이브리드 소재 적용 선행 개발로 설계 및 고무 배합 최적화 기법 도출- 테크노라 & 하이브리드 소재 물성 및 성능 표준 및 기준 재정- 공중합 아마리드 섬유 적용 전 테크노라 직물, 원사 제작 및 가공 프로세스 및 D/B 확보- 호스 제조 관련 case by case 별 특별 특성 확보- 테크노라&하이브리드 소재 적용 호스 신뢰성 평... | 공중합 아라미드 응용,섬유복합탄성소재,고무응용제품,자동차,인터쿨러호스 | Copolymerization aramid base,Fiber reinforced rubber,Mechanical rubber goods(MRG),Automotive,Intercooler hose | 2372753000 |
98 | 2021 | 나노융합산업핵심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001 | 초저가 공정을 이용한 내오염성이 우수한 무기입자 복합 생분해성 포장필름개발 | Development of inorganic particle composite biodegradable packaging film using the low cost process | 김남일 | 케이씨주식회사 | 기타 기타 | 20190701 | 2022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가. 케이씨주식회사1) 대상제품 시생산 : 차단성층 나노컴포지트 층을 포함하는 다층공압출 동시이축연신 필름 공정조건 Set-up 나. 전남대학교1) 소수성이 증가된 가스 배리어성 생분해성 고분자-점토 하이브리드 나노복합체 제조다. 전남테크노파크:1) 고분자-클레이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생분해성 컴파운딩 조건 확립 2) 조성비 별 생분해성 포장 필름의 생분해... | 1. 양산화개발단계 진입 - 무기입자 표면처리 및 커포지트 Scale up 및 재현성 검증 - 양산설비를 이용한 필름 제품생산기술 개발 o 층구조 최적화: Neat수지층 / 나노컴포지트 층 배열 및 각 층 두께 최적화 o 나노컴포지트의 입자 농도 최적화 - 초발수코팅 양상화 개발 o 설비 및 공정 ... | 포장,생분해성,나노무기입자,친환경,유무기복합 | packaging,biodegradability,Inorganic nanoparticles,environmentfriendly,organic and inorganic complex | 1052500000 |
97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507 | 저팽창고충격 흡수 나노섬유 강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복합재 개발 | Development of nanofiber reinforced engineering plastic composites with low thermal expansion and high impact absorption | 한원희 | (주)라이온켐텍 | 기타 기타 | 20210901 | 2024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1차년도 목표]ㅇ 복합화 공정 설계 및 기초 평가 - M/B용 MATRIX 수지 개발 - 습윤 셀룰로스 나노섬유 활용 PFN M/B 공정 연구 - PFN 분산구조 형성 M/B 배합 연구 - EP 상용화제 설계 수립 - M/B 제조 공정 스크리닝 - 상용 저융점 수지 스크리닝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물성 영향 분석 | ㅇ상업화가 가능한 셀룰로스 나노섬유 활용 친환경 복합소재 기술 확보를 통한 글로벌 기술 경쟁력 우위 선점ㅇ중소기업의 기술력 제고를 바탕으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및 매출증대 실현ㅇ여러 산업분야에 대한 응용 확대전개를 통한 사업화 영역 확장ㅇ바이오 소재인 셀룰로스 나노섬유를 활용한 고성능의 복합소재 제조기술을 통해 친환경 소재산업의 성장 견인ㅇ글로벌 환경규제(... | 셀룰로스 나노섬유,용융삽입법,반응압출,사출성형,고강도 | Cellulose nano fibril,Melt intercalation process,Reaction extrusion,lnjection molding,High strength | 573000000 |
15 | 2022 | 기계장비산업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7948 | 5.5MGOe급 고성능 헥사페라이트 영구자석 제조 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manufacture system for 5.5MGOe high performance Hexaferrite | 정용호 | 유니온머티리얼 (주) 포항공장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2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Two-Step 소결로 시운전 및 평가- 경박단소형 시제품 제작용 금형 제작- 시제품 제작 및 고객사 모터 평가- Two-Step 소결을 위한 정밀 온도 제어 설계 기술 개발- 제조 시스템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특성평가 - 시제품 적용 모터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특성평가 | - 고품질의 친환경 고성능 페라이트 제조 기술 확보- 시제품의 모터 신뢰성 기술 확보- 자동차 전장 및 고효율 가전용 모터의 희토류 자석을 페라이트로 대체 - 기존 9~12재 페라이트를 고성능 페라이트로 대체로 모터의 고효율화로 연비 개선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신규 시장 개척으로 매출 확대와 더불어 산업 경쟁력 확보 | 페라이트,영구자석,최대에너지적,잔류자화,보자력 | Ferrite,Permanent Magnet,Maximum energy product,remanence,Coercivity | 534700000 |
52 | 2021 | 농업에너지자립형산업모델기술개발(R&D)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3237 | 바이오매스 유래 나노셀룰로오스계 첨가제를 활용한 생분해성 복합체 개발 | Development of biodegradable composite synthesized using biomass-derived additive based on nanocellulose | 김정수 | 한솔제지(주) | 대전광역시 대덕구 | 20210401 | 2022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본 과제의 최종 목표는 생분해 플라스틱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켜 생분해 플라스틱의 적용성을 넓히는 것으로서,① 다양한 형태의 셀룰로오스계 섬유소재를 수지복합화에 적합한 맞춤형 제품 개발, ② 셀룰로오스와 생분해 고분자의 혼화성을 증대할 수 있는 첨가제 및 복합화 기술 개발, ③ 나노셀룰로오스와 생분해 고분자의 복합화를 통한 대용량 일회용 봉투 등 제품 개발... | 나노셀룰로스계 첨가제개발을 통해 생분해성 복합체 인장강도 30 MPa 이상의 대용량 일회용 봉투 제품화 1건 外, - 특허 출원 4건 - 특허 등록 2건 - 기술 이전 1건 - 신규 고용 창출 7명 - 논문 3건 - 학술발표 4건 - 홍보 전시 1건 등향후 개발된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생분해 플라스틱 제품을 개발 추진 (일회용 용기, 일회용 빨대 및 PE... | 나노셀룰로오스,표면 개질,첨가제,재분산,생분해성 복합체 | Nanocellulose,Surface modification,Additive,Redispersion,Biodegradable composite | 229800000 |
121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782 | 극한성능 공중합 아라미드섬유 강화 중간재 및 응용제품 적용 부품제품 개발 | Development of fiber reinforced mechanical rubber goods based on ultra high performance copolymerization aramid | 신동준 | 송우산업(주)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4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기존 산업용 호스(자동차) 시장 및 동향 분석을 통한 수요 분석- 기존 산업용 호스에 적용 중간 섬유 파악 및 분석- 경쟁사 섬유 소재 적용 부품 벤치마킹 및 티어다운 분석- 고무 & 섬유 복합화 벤치 마킹 및 티어다운- Q/modification 연구- 아크릴계/실리콘계 호스 고도화 기초 기술 연구 | - 자동차 內 적용 분야 및 호스 구조 파악- 경쟁사 호스 內 적용 섬유 파악 및 물성 D/B 화- 호스 및 섬유 보강사 신뢰성 평가를 통한 정량적 목표 수립 - 호스&섬유 복합 및 접합 제조법 벤치마킹을 통한 설계 및 제조 기술 적용- 호스&섬유 고도화를 위한 신뢰성 평가 기법 추가 및 개발 | 공중합 아라미드 응용,섬유복합탄성소재,고무응용제품,자동차,인터쿨러호스 | Copolymerization aramid base,Fiber reinforced rubber,Mechanical rubber goods(MRG),Automotive,Intercooler hose | 2070401000 |
13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302 | 고분자 수지 내 나노급 분산성을 갖는 자동차 내장재 복합소재용 친환경 셀룰로스 섬유소재의 저비용 대량 제조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the low cost and mass production of cellulose fibers for automobile interior parts with nanoscaled dispersion in polymer matrices | 이종훈 | 무림피앤피(주)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3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ㅇ 주관기관 (무림피앤피) - 셀룰로스 나노파이버의 분산성 향상 기술 적용 및 건조/재분산 스케일업 공정 기술 개발ㅇ 참여기관 1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 비목질계/폐목재 기반 셀룰로스 나노파이버의 PP 수지 내 분산성 향상기술 개발ㅇ 참여기관 2 (LG전자) - 셀룰로스 나노파이버 전처리 (카바메이트-에스테르법) 성능 개선ㅇ 참여기관 ... | - 분산성 향상을 위한 셀룰로스 나노파이버의 후처리 및 표면 개질 공정 최적화- 표면 개질 방법에 따른 셀룰로스 나노파이버의 건조/분말화 기술 개발 및 스케일업 공정 기술 확보- 다양한 분석 기법 활용 분산성 수치화를 통한 복합소재 내 셀룰로스 나노파이버의 분산성 평가 방법 확보- 기상 크라프팅 및 유분산 방법을 통한 셀룰로스 나노파이버의 표면 개질 및 분... | 셀룰로스 나노파이버,표면 개질,건조 분말화,나노급 분산,복합소재 | cellulose nanofiber,surface modification,drying and pulverization,nanoscaled dispersion,composite | 1182590000 |
130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2091 | 고분산성 CNF 복합소재 적용 자동차 고강도 경량 내장부품 제조 기술 개발 | Manufacturing technology development of high strength and lightweighting automotive Interior parts using highly dispersible CNF | 곽성복 | 덕양산업(주) | 울산광역시 북구 | 20200401 | 2023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 총괄과제 목표 : 셀룰로스계 섬유소재를 이용한 자동차용 고강도, 내열성 복합재료 개발 지원 강화 - 선진기술 현황 파악 및 자료 제공(국외 선진 제품 동향 파악 자료 1건) - 세부1,2과제를 총괄 운영지원(기술 교류회 개최 2회) - 기술교류 및 발전 방안 마련(운영회의 4건) - CNF 자문위원회 ... | ■ 셀룰로스 나노파이버 제조 기술의 국내, 외 시장 선점성 - 국내 셀룰로스 나노파이버 관련 연구의 경우, 활용범위가 필름 또는 포장재, 복합소재로 제한적이며 산림분야에서 셀룰로스 소재에 대한 기술개발이 진행되었으나 선진국에 비해 기술적 노하우 및 역량이 부족한 실정임. - 국내의 셀룰로스 나노파이버 시장은 미미하며, ... | 셀룰로스나노섬유,경량화소재,자동차내장부품,친환경복합소재,바이오플라스틱 | cellulose nano fiber,Lightweight Component,Vehicle internal part,Environmentalfriendly Composite,Bio platic | 30800000 |
142 | 2021 | 글로벌탑환경기술개발사업(R&D) | 환경부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1485017569 | 해외 진출형 나노막(NF)/저압역삼투막(LPRO)기반 고도정수처리 장비개발 | Development of Nanofiltration (NF) / Low Pressure Reverse Osmosis (LPRO) Based Advanced Water Treatment Equipment for Overseas Expansion | 배광일 | 시노펙스 | 경상북도 포항시 | 20160801 | 202110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세부총괄(㈜시노펙스):NF/LPRO 분리막 염배제율 95%, 유량 32GFD 성능 재현성 확보개선된 분리막 대량생산체계 구축해외 진출 실적 확대 및 다각화 추진개발된 NF/LPRO 분리막 모듈의 파일롯 장기운영 평가 NF/LPRO 파일롯 플랜트(10Ton/Day) 최적화 운영, 음용수 수질 확보- 세부총괄위탁(성균관대학교):현지 음용수기준 대비 처리수 분석... | ● 이번 연구과제에서 개발 된 고도정수처리 장비는 대학연구기관 및 기업중심으로 개발되며 과제 종료 후 바로 상용화가 가능한 기술들이기 때문에 국내 기술의 해외 수출이 가능함○ 해외 현지 자동화 고효율 시스템으로 제작하여, 플랜트 운영에 가장 높은 비용을 차지하는 인력 투자비용 부분을 절감 하고, 자체 개발한 멤브레인 필터와 시스템 기술을 통해 동남아시아의 ... | 나노여과,저압역삼투막,고도정수처리,분리막,분리막모듈 | Nanofiltration,Low Pressure Reverse Osmosis,Water Treatment Equipment ,Membrane,Membrane Module | 172000000 |
100 | 2021 |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1415177047 | 반도체 테스트 장비용 부품 양산성능평가지원사업 | Semiconductor Performance Evaluation Project of Parts for Semiconductor Automatic Test Equipment | 지대갑 | 와이아이케이 | 경기도 성남시 | 20211001 | 20220930 | 기타 나노소자 및 시스템기술 | 반도체메모리 웨이퍼 테스트 장비는 약 2500종의 부품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장비로 해외로부터 공급받고 있는 Chiller, 순간정전보상장치를 국산화함으로서 테스트장비 국내 공급망 강화 및 국내 부품 제조사 개발기술 향상을 목표로 함 | 반도체메모리 웨이퍼 테스트 장비에 사용되는 Chiller, 순간정전보상장치를 국산화함으로서 테스트장비 국내 공급망 강화 및 국내 부품 제조사 개발기술 향상을 도모하고 국내 K-반도체 제조사(삼성, SK하이닉스 등)의 안정적인 생산공정 공급망을 구축 | 반도체웨이퍼테스트장비,냉각,칠러,유연호스,순간정적보상장치 | Semiconductor Wafer Test Equipment,Cooling,Chiller,FLEXIBLE Hose,Dip Sag Voltage Compemsator | 225000000 |
6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850 | 비할로겐계 기능성 단량체 적용 투명 방향족 폴리이미드 바니쉬 및 필름소재개발 | Development of transparent aromatic polyimide varnish and film materials applied with nonhalogen Functional Monomer | 김진욱 | (주)동진쎄미켐 | 인천광역시 서구 | 20200401 | 2024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총괄]- 과제 진행현황 및 성과가 종합적으로 활용되어 과제간 융합 및 시너지 효과를 이루기 위한 총괄 워크샵 개최- 세부과제 간 업무 협의 및 공동 목표 달성을 위한 총괄 운영위원회 운영- 전문가 세미나 진행을 통한 전문 지식 습득 및 자문위원회 운영을 통한 전략 수립 [1세부]- 저불소 함량 Diamine계 단량체 적용한 고내열 투명 폴리이미드 바니쉬 ... | - 저불소 함량 diamine계 폴리이미드 개발을 통한 기술 난이도 극복 및 기술적 우위 확보- 폴리아믹산 중합기술, 생산시스템 및 지적재산권 측면 관련 분야 기술 선도- 플렉서블 OLED 핵심 소재 평가를 통한 국내 패널 업체들의 소재 부품 수입 의존도 감소- 커버윈도우와 더불어 성장하고 있는 투명 폴리이미드 시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불소계 원료의 대체함으... | 투명 폴리이미드,비불소 단량체,플렉서블 OLED,커버 윈도우,국산화 | Colorless Polyimide,Nonfluorine Type Monomer,Flexible OLED,Cover Window,Localization | 30800000 |
133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915 | 고경도강 가공용 절삭공구 가공수명 20% 향상을 위한 핵심요소기술(소재공구형상코팅) 통합형 지능화 플랫폼 기술개발 | Developmet of the integrated intelligent platform The core technologies (materialGeometrycoating) to improve the tool life 20% more on High Hardened Steel | 박영군 | (주)와이지원 | 인천광역시 부평구 | 20210901 | 2024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총괄기관 : ㈜와이지-원o 연구개발사업관리 체계 구축 및 외부운영위원회 구성세부1(주관연구개발기관 : ㈜와이지-원)㈜와이지-원o 초경소재 - 고경도강용 공구의 소재 특성 정량화 및 물성 관련 핵심 인자 도출o End Mill - 고경도강용 코너레디우스 엔드밀의 주요 설계인자 설정 후 실가공 및 시뮬레이션을 통한 검증o Exchangeable Millin... | [과학/기술적 측면] o 고경도-고인성 동시 만족형 초경합금 블랭크 기술의 확보를 통해서 고경도강 절삭공구를 포함한 동시만족형 초경블랭크 소재의 절삭가공 시장을 크게 확대 o 하드코팅기술은 공구의 성능과 수명을 크게 개선하는 핵심기술이며 금형이나 극한환경 소재부품에 적용이 가능한 기반기술로 소재부품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음. 특히, 기술의 종속... | 초경합금 블랭크 제조,공구형상설계,코팅 표면조도,머신러닝,공구수명 | Cemented Carbide Blank,Geometry,Surface Roughness,Machinelearning,Toollife | 30769000 |
62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151 | 극한성능 유기섬유용 공중합 아라미드 고분자 수지와 섬유 생산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ultrahigh performance aramid copolymer fbrer and production technology | 성정훈 | 태광산업 울산공장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41231 | 나노화학 공정기술 | 주관 태광산업(주)ㅇ 공중합 아라미드 방사공정/연신공정 최적화 연구참여 일진에이테크(주)ㅇ 공중합 아라미드 중합물 기반 직접 방사 시스템 설계 및 제작참여 ㈜NEOㅇ 용제 분리·정제기술 개발 및 용매 회수 Pilot 설계참여 다이텍연구원ㅇ 공중합 아라미드 섬유 분석 체계적 절차 확립 및 방사공정 CAE 지원수요 ㈜화승R&Aㅇ 선진원사 활용한 샘플 제작 및 ... | [과학 기술적 측면]o 기존의 아라미드의 경우, 공정에서 고농도의 황산을 활용함. 공중합 아라미드의 경우, 별도의 방사 용매 없이 방사를 진행하게 됨. 제작된 아라미드 섬유의 물성 또한 기존의 파라계와 비교하여 고강도·고신도 및 우수한 내피로성을 가지기 때문에 우수한 최종 제품 성능 견인 가능 - 고농도 황산의 경우,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제조 ... | 슈퍼섬유,공중합,아라미드,중합기술,제사사가공 기술 | SuperFiber,Copolymerization,Aramid,Polymerization technology,SpinningYarn processing technology | 3502000000 |
33 | 2022 | 농업에너지자립형산업모델기술개발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4881 | 바이오매스 유래 나노셀룰로오스계 첨가제를 활용한 생분해성 복합체 개발 | Development of biodegradable composite synthesized using biomass-derived additive based on nanocellulose | 김정수 | 한솔제지(주) | 대전광역시 대덕구 | 20210401 | 2022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본 과제의 최종 목표는 생분해 플라스틱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켜 생분해 플라스틱의 적용성을 넓히는 것으로서,① 다양한 형태의 셀룰로오스계 섬유소재를 수지복합화에 적합한 맞춤형 제품 개발, ② 셀룰로오스와 생분해 고분자의 혼화성을 증대할 수 있는 첨가제 및 복합화 기술 개발, ③ 나노셀룰로오스와 생분해 고분자의 복합화를 통한 대용량 일회용 봉투 등 제품 개발... | 나노셀룰로스계 첨가제개발을 통해 생분해성 복합체 인장강도 30 MPa 이상의 대용량 일회용 봉투 제품화 1건 外, - 특허 출원 4건 - 특허 등록 2건 - 기술 이전 1건 - 신규 고용 창출 7명 - 논문 3건 - 학술발표 4건 - 홍보 전시 1건 등향후 개발된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생분해 플라스틱 제품을 개발 추진 (일회용 용기, 일회용 빨대 및 PE... | 나노셀룰로오스,표면 개질,첨가제,재분산,생분해성 복합체 | Nanocellulose,Surface modification,Additive,Redispersion,Biodegradable composite | 328720000 |
74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506 | 3차원 측정이 가능한 고분해능 전계방사형 전자현미경 컬럼 개발 | Development of highresolution field emission electron microscope column capable of 3D measurement | 최교원 | (주)에스에프에이 | 기타 기타 | 20210901 | 20241231 | 나노 측정기술(100 nm이하) | [주관연구개발기관(㈜에스에프에이)] o 고해상도 FIB-SEM 듀얼빔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한 SEM 컬럼의 특성 및 필요사양을 분석하고 개발 요소를 선정 : 현 수준 컬럼 확보(사전진행 중) 및 컬럼 제조 기술 습득 o 듀얼빔 시스템 적용이 가능한 고해상도 SEM 컬럼 설계 착수 o 시스템 평가를 위한 SEM 단동 Test Bench 설계 및 제작 진... | o 개발 사양 선정 및 개선 요소 확정 및 제조 기술 선행 습득 o 기존 수준 SEM 컬럼 확보 및 연차별 개발 목표 검증을 위한 Test Bench 설계 확보 o 초고진공 작동 가능한 FE 전자총 설계 확보 o 다중 채널 영상 처리를 위한 제어부 기반 기술 확보 o FIB-SEM 듀얼 시스템 적용이 가능한 SEM 컬럼 설계 확보 | 전자현미경,전계방사형주사전자현미경,전자현미경 컬럼,전자빔,FE 전자총 | SEM,FESEM,SEM Column,Electron Beam,FE Electron Gun | 685800000 |
43 | 2022 | 전략핵심소재자립화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712 | 이소결 산화알루미늄 및 구상 산화알루미늄 분말 상용화 기술 개발 | Technology development for commercialization of easy sintered aluminum oxide and spherical aluminum oxide powders. | 정경훈 | (주)대한세라믹스 | 기타 기타 | 20200801 | 2024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수입의존형 고순도·고품위 산화알루미늄 분말소재 상용화기술 개발 및 국산화 실현 o 수입제품 대비 경쟁력 보유 이소결·구상 산화알루미늄 상용화기술 개발 o 전방산업 수요를 반영한 수요맞춤형 산화알루미늄 분말 제조기술 개발- 수요시장 진입 촉진 및 저변 확대를 위한 산화알루미늄 소재기술 생태계 확립 o 국산 산화알루미늄 분말적용 응용공정·물성 DB화 및 표... | - 반도체 디스플레이산업용 산화알루미늄 분말 상용화를 통한 일본 수입 분말 소재 대체- 99.9%급 고순도 산화알루미늄의 상용화를 통한 일본 수입 제품 전량 대체 o 국내 유일 고순도 산화알루미늄 공급 업체로 국내 시장 독점 o 국내 원료수요기업이 신제품 개발력과 장기간의 신뢰성으로 기존에 사용하던 일본산 제품의 대체하는 효과 o 특히, 일본 무역 규제 같... | 이소결 산화알루미늄,구상 산화알루미늄,산화알루미늄,반도체 및 디스플레이,방열 | Easy sintered Aluminum oxide powder,Spherical Aluminum oxide powder,Aluminum oxide powder,Semiconductor and Display,Thermal conductive | 3322490000 |
93 | 2021 | 나노융합산업핵심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038 | 동위원소 기반 외부환경 독립형 반영구적 독립전원 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standalone and semipermanent power system independent | 박동열 | (주)AVACO | 기타 기타 | 20180901 | 20221231 | 기타 나노소자 및 시스템기술 | o 주관기관((주)아바코) - 개발 장비 Fab-In 및 현장 평가 - 베타전지 제조장비 안전 인증 - 베타전지 시제품 제작 및 시연 - 시제품 마케팅 계획 수립 - 반영구 독립전원 시스템에 대한 기술가치평가o 참여기관 1(한국원자력연구원) - Ni-63 원료물질 완전국산화 기반 구축 - 상용화 제품용 Ni-63 선원 제작 - 베타전지 모듈용 방... | - 주관기관은 원자력연구원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함께 상용화 가능한 베타전지 개발을 완료하고 원자력연구원내에서 방사능 감시 시스템에 대한 실증결과까지 확보함 - 나노융합실용화센터와 (주)엔텍코아는 베타전지 독립전원이 적용된 방사능 감시 시스템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을 완료하여 제품화 수준까지 성능을 개선하여 즉시 사업화가 가능함 | 베타전지,베타선,독립전원,반영구 자가발전,재난안전 | Betavoltaic,Betaray,Independent Power Source ,Semipermanent Selfpower Generation,Disaster safety | 1998000000 |
136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2325 | 나노 발광소재를 이용하여 연색지수 92이상을 갖는 LED조명 개발 | LED lighting using Cd-FreNano-emitting materials for color rendering index of 92 or higher | 양연호 | 주식회사 글로우원 | 기타 기타 | 20150601 | 2023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O 주관기관 : ㈜글로우원 - 양자점 유연 시트 적용한 대면적 조명 기반기술 확보 1) 양자점의 특성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신광원 조명 설계 기술 축적 2) 신광원 조명기구 디자인 및 목업(Mock-up) 샘플 제작 - 양자점 유연시트에 최적화된 평판조명 설계 1) 높은 연색성과 특정 파장을 제거해야하는 고신뢰성과 기술력... | [기술적 측면]o 친환경 Cd-Free 나노입자를 활용한 LED 조명 개발 - 친환경 Cd-Free 나노입자를 적용한 LED조명을 개발함으로서 가정용 조명부터 산업 특수조명까지 사업 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상품화 하고자 함. - Cd-Free 나노입자를 적용하므로서 고연색지수를 확보하고, 눈부심이 적은 조명을 개발하여 새로운 형태의 조명... | 고연색성,Cd-Free 나노입자,양자점,유연필름,조명 | High CRI,Cd-Free nano particle ,Quantum dots,Flexible Film,illumination | 905950000 |
89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4227 | 고내열 생분해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 및 친환경차 내장부품 기술 개발 | Development for ecofriendly car interior parts based on biodegradable and heatresistance?polycarbonate | 정훈섭 | 덕양산업(주)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4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개발 목표]○ 1차년도 목표 : 해외 선진사 생분해성 PC 벤치마킹 및 도어트림 구조 설계 - 기존 소재 벤치 마킹 및 최적 배합비 연구 - 기존 소재 vs 개발 소재 물리적 특성 비교 연구 - 생분해성 PC 복합 소재 적용 도어트림 금형 구조 설계 - 생분해성 PC 복합 소재 적용 도어트림 구조 설계 | [기대효과]○ 플라스틱 소재 대체 친환경 & 경량화 기술 적용 해외 차종 B/M을 통한 선진사 설계 인자 분석 및 반영 ○ 해외 선진사 바이오 PC 복합 소재 적용 부품 두께 별 물성 사전 평가를 통한 물성 최적화 반영○ 개발 소재 vs 기존 소재 물성 평가 및 비교를 통한 기계적 물성 목표 구체화○ 도어트림 금형 구조 설계 디자인 리뷰를 통한 사전 문제점... | 친환경 플라스틱,생분해성 플라스틱,도어트림,크래쉬패드,고강성 고내열 | Eco Friendly plastic,Biodegradable plastic,Door trim ,Crash Pad,High Stiffness Heat Resistance | 1403000000 |
63 | 2022 | 전략핵심소재자립화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989 | 회전계용 고청정 내마모 특수강 및 대형 정밀기어부품(1000mm3000mm) 제조 기술개발 | Development of high clean wear resistant special steel and heavy precision gear parts(1000mm 3000mm) | 이진모 | (주)태웅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51231 | 기타 나노기반 공정기술 | - 주관기관 : (주) 태웅 ○ 고청정강을 활용한 R/B 시제품 제작 - 참여기관 : 우림기계 (주) ○ 고청정 개발 소재 적용 고 하중 기어 부품 제조공정 최적화 설계 - 참여기관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고청정 특수강 및 경량소재 합금의 열역학 특성 조사 | 3차년도에는 2차년도에 생산한 시제품의 화학적, 기계적 특성을 평가 결과를 통해 도출된 고청정 내마모 특수강 소재의 제강, 주조 및 열처리, 가공 공정을 재설계하고 기 생산된 시제품보다 기계적 특성이 향상된 제품을 생산하고 평가함. 이를 위하여 고청정강 제강공정에서 생성가능한 비금속개재물과 응고시의 석출물에 대해 화학적 성분과 형태 등에 대해 열역학 계산프... | 내마모 특수강,표면열처리,열간단조,피니언 기어,합금설계 | Wear resistant special steel,Surface heat treatment,Hot forging,Pinion gear,Alloy design | 1128375000 |
128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925 | 300W 500펨토초 레이저 및 50um 웨이퍼 절단 장비 개발 | Development of femtosecond laser with 300W 500fs and wafer dicing equipment for 50um wafer | 진대현 | (주)이오테크닉스 | 기타 기타 | 20210901 | 20241231 | 나노 photonics기술 | [1차년도 목표]ㅇ 모드잠금 펨토초 시드레이저 설계ㅇ 다단증폭모듈 설계ㅇ 레이저 웨이퍼 다이싱 공정용 광학계 설계ㅇ 고반복률 펨토초 광섬유 레이저 시스템 설계 o 고반복률 펨토초 광섬유 레이저 시스템 설계 - 기존 모드잠금 펨토초 레이저의 반복률 배가 구조 설계 - 시뮬레이션을 통한 레이저 시스템 구축 연구 및 장비, 부품 구... | o 1년차에는 1030nm 모드잠금 피코초 광섬유시드레이저, 다단증폭 모듈 설계 및 레이저 웨이퍼 다이싱 공정용 광학계 설계를 개발할 예정임. 산업용 레이저에 적용하기 유리한 고출력 증폭 기술을 검증 후 2차년도부터 개발할 200W 펨토초 레이저의 시드레이저광원으로 적용할 예정임. 이러한 기술이 개발되고 나면 극초단 모드잠금 시드레이저 광원 기술 및 고출력... | 극초단 레이저,레이저 증폭기,자외선 레이저,웨이퍼 다이싱,초박형 웨이퍼 | Ultrashort pulse lasesr,Laser amplifier,UV laser,Wafer dicing,Ultra thin wafer | 1725170000 |
58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80081 | 셀룰로스 나노섬유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부품 제조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technology for electric vehicle parts using cellulose nanofibers | 유종현 |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 기타 기타 | 20210901 | 2024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2차년도 목표] - 소재 특성 반영 성형기술 확보 (소재) 성형 조건&물성 관계 파악 (해석) 주요 성형 변수 도출 (설계) 제품 설계 및 개선안 도출 (성형) 금형 개발 및 성형성 평가 (수요) 시제품 목표 성능 평가 | o CNF 복합재 관련 핵심기술 - 흡/차음성능 개선 및 물성평가 기술 확보 - 경량화 기술 확보 및 추가 개선 연구 - 성능과 원가의 상관관계 도출 및 최적 배합비율 산정 - 제조공정상 문제점 도출 및 해결방안 수립 - 양산화 검토 및 공법 개발 | 셀룰로스나노섬유,친환경소재,전기자동차,제조기술,전장보호부품 | cellulose nanofibers,Ecofriendly materials,electric vehicles,manufacturing technology,electrical protection parts | 1903000000 |
118 | 2021 | 나노융합혁신제품기술개발사업(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325 | 1000V급 파워 모듈의 안정적 구동을 위한 방열 핵심 부품 개발 | Development of heatvkdissipation core componets for stable driving of 1000V class power module | 윤인수 | (주)아모텍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5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저온저압하에서 Si3N4 방열 기판 양산 개발- AMB 접합 공정 확보(신뢰성 평가)- 저온·상압 소결용 소결첨가제 조성 탐색 - 열경화형 고내열 수지 선정 및 alloy 제조 - 열경화형 수지 반응조건 및 배합비 최적화 - 열경화 TIM 세라믹 필러 특성 평가 및 고열전도 필러 선정 - Sintering TIM 나노 메탈 필러 특성 평가 및 고열전... | - 소결조제 조성, 승온/냉각 스케쥴, 소결분위기 제어의 공정기술 개발 - 질화규소 방열기판 소재의 양산급 소결기술을 최초로 개발함으로써 국산화 기여 - 나노 산화물 소결 조제에 의한 열전도도 개선 효과기대 - 고온고압하에서 Si3N4방열기판 개발함으로써 소재 탈일본화가 가능할것으로 보임- 개발된 기술을 대량 생산 및 양산화에 적용함으로서 전략... | 파워모듈,질화규소 기판,상압 소결,열전도도,파괴인성 | power module,Si3N4 substrate,normal sinteing,Thermal conductivity,Fracture toughness | 1147587000 |
101 | 2021 | 첨단의료기술개발(R&D)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2777 | GLP-1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경구용 당뇨병/비만 치료제 개발 | Development of Oral GLP-1 agonist induced peptide formulation for the diabetes/obesity treatment | 추성남 | 대화제약(주) | 강원도 횡성군 | 20200423 | 20220630 | 의약 약물전달 시스템 | ● ● 경구용 리라글루타이드 제제(DHP33001)의 임상시험용의약품(IND) 승인1. 경구용 리라글루타이드 제제(DHP33001) 비임상 약동학시험 완료2. 경구용 리라글루타이드 제제(DHP33001) 비임상 효력시험 완료3. 경구용 리라글루타이드 제제(DHP33001) GLP 비임상 독성시험 완료4. 경구용 리라글루타이드 제제(DHP33001)의 생산공... | ● 경구용 리라글루타이드 제제의 개발1. 활용계획- 경구용 GLP-1 유래 펩타이드 제제의 CMC 자료 및 안정성/안전성/ 유효성/ADME 등의 비임상 자료에 기반하여 향후 임상시험 진입에 활용- 자사의 독자적인 제제기술력 강화 및 이를 기반한 파이프라인 확대와 후속연구 진행2. 기대효과- 기존 주사제형 대비 환자의 복약순응도 및 복약편의성 증진- 기존 경... | GLP 1 유사체,리라글루타이드,항당뇨 항비만,경구용,개량신약 | GLP 1 agonist,Liraglutide,Anti diabetic anti obesity,Oral,Incrementally Modified Drug | 500000000 |
59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905 | 반도체 제조공정 선진화를 위한 CMP 슬러리 정제용 필터 소재 및 Pad용 소재공정기술개발 | Development of CMP slurry refining filter material and process technology on pad material for advanc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 민병주 | KPX케미칼(주) 울산공장 | 울산광역시 남구 | 20200401 | 20241231 | 나노화학 공정기술 | - 주관기관 (KPX케미칼(주))○ PAD 물성 최적화 및 CMP 특성 연계 분석○ PAD 시제품 제조 최적 사양 확보, 후공정 가공 영향도 분석○ Pore 형성 기술 확보 (20 um 확보)○ Prepolymer Lab. scale 합성조건 최적화 및 물성 강화기술 개발- 참여기관 1(성균관대학교)○ 패드 Life Time에 따른 CMP 공정 성능 평가○... | Pad 물성 최적화, Pore size 20 um 도출, 그에 따른 CMP 연계 분석을 통해 CMP pad 시제품 제조 최적 사양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적으로는 연마성능 3000 A/min, Scratch 100ea 수준의 성능을 가진 초도 시제품이 완료될 것으로 판단되며, 반복적인 CMP 기초평가와 더불어 pad Life time 에 따른 연마상... | 씨엠피,웨이퍼스크래치,제품수명,슬러리필터,부직포여재 |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Wafer Scratch,Life Time,Removal Rate,Nonwoven fabric | 40000000 |
122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801 | EUV 광 반응성이 있는 무기물 기반 화합물 박막 소재 및 전구체 기술개발 | Development of thin film material and precursor technology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with EUV photoreactivity | 허명현 | (주)동진쎄미켐 | 기타 기타 | 20210901 | 20241231 | 나노패터닝 공정기술 | [개발목표]무기 포토레지스트 및 언더레이어용 물질 탐색 및 리간드 개발- EUV 광 반응성이 있는 무기 포토레지스트 전구체 물질 선정 및 설계- 하부 막 (하드마스크)과 무기 포토레지스트 의 접착력(adhesion)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언더레이어 전구체 물질 설계- 무기 포토레지스트 및 언더레이어의 전구체 특성 조절이 가능한 리간드 설계 및 합성- ... | 건식 EUV 공정은 소재의 물성에 따라 PR 막 또는 파티클의 상태가 매우 달라지며, 이는 소재의 선택이 매우 중요함광 반응성이 있는 무기 포토레지스트 및 언더레이어 전구체 물질 선정 하여 분자 구조를 설계 하고,무기 포토레지스트의 물성을 조절할 수 있는 연구는 건식 EUV 공정 개발 기초 확립 데 매우 중요한 요소임.소재의 선택과 설계는 건식 무기 포토레... | 극자외선,고해상도,무기 포토레지스트,금속유기전구체,건식 기상반응 | EUV,High resolution,Inotganic photoresist,Metal organic precursor,Dry gas phase reaction | 1293600000 |
31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223 | EUV 광 반응성이 있는 무기물 기반 화합물 박막 소재 및 전구체 기술개발 | Development of thin film material and precursor technology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with EUV photoreactivity | 허명현 | (주)동진쎄미켐 | 기타 기타 | 20210901 | 20241231 | 나노패터닝 공정기술 | [개발목표]무기 포토레지스트 및 언더레이어 전구체 (소재) 개발- EUV 광 반응성이 있는 무기 포토레지스트용 Sn, Zr, Hf 중심 금속 함유 전구체 개발 - 신규 전구체의 건식 증착 공정 적용 가능성 스크리닝 및 공정 조건 확보- 무기 포토레지스트 및 언더레이어의 전구체 특성 조절이 가능한 리간드 설계 합성 | 차세대 EUV 무기 포토레지스트 소재 및 건식 공정 기술은 EUV의 광반응성과 포토 레지스트의 사이즈 조절이 매우 중요함.광반응성있는 무기 포토 레지스트를 개발하기 위해서 중심 금속은 Sn , Zr, Hf 함구 전구체를 개발하는 것과 동시에 하부 막(하드마스크)와 무기 포토레지스트와의 접착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언더레이어 개발은 필수 적임.무기 포토 ... | 극자외선,고해상도,무기 포토레지스트,금속유기전구체,건식 기상반응 | EUV,High resolution,Inotganic photoresist,Metal organic precursor,Dry gas phase reaction | 2510800000 |
18 | 2022 |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설계·제조)(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998 | 차세대 반도체용 친환경 고속 치환형 초임계 세정 장비 개발 | The Development of High Speed Supercritical Cleaning System for NextGeneration Semiconductor | 이유영 | (주)테스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21231 | 나노패터닝 공정기술 | - 주관기관 (주)테스 초임계 챔버 최종 모델 개발 완료 System Integration Wafer 평가(양산 Full Pattern) 양산형 고속 가압형 초임계 공급 장치 (한울 공동) 3차년도 공정 평가 및 목표치 완수 - 참여기관 (주)한울 엔지니어링 양산형 고속 가압형 초임계 공급 장치 개발 완료(테스 공동) · 모듈형 & Footprin... | - 주관기관 (주)테스 초임계 챔버 최종 모델 개발 완료 System Integration Wafer 평가(양산 Full Pattern) 양산형 고속 가압형 초임계 공급 장치 (한울 공동) 3차년도 공정 평가 및 목표치 완수 - 참여기관 (주)한울 엔지니어링 양산형 고속 가압형 초임계 공급 장치 개발 완료(테스 공동) · 모듈형 & Footprin... | 반도체,고속,초임계,세정,장비 | Semiconductor,High Speed ,Supercritical ,Cleaning ,System | 2441000000 |
71 | 2021 |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설계·제조)(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906 | 시스템 반도체용 Low k 스마트 PECVD 증착장비 및 공정 개발 | Development of the smart PECVD depositing Low k Film used for system semiconductor | 이승무 | (주)테스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31231 | 나노패터닝 공정기술 | [1차년도 목표]ㅇ 주관기관 : (주) 테스 - Low-k 공정 single 챔버 및 모듈 설계 시스템 구축 - k <2.7, Modulus 8GPa, Hardness 2GPa 박막 확보ㅇ 참여기관 : 세종대학교 - Low-k(k<2.7) 박막의 물질 구조 해석 및 RIE 내열화성 평가 - Low-k(k<2.5) 물질 후보군 조사ㅇ 참여기관... | ㅇ 본 연구개발은 국내·외 반도체 수요기업(삼성전자, SK하이닉스, TSMC, Micron 등)에서 필요한 Low-k (k<2.5) 공정 및 장비 개발로, 특히 비메모리(시스템 반도체)에서 필요로 하는 핵심 기술임.ㅇ 현재 시스템 반도체용 Low-k 증착 장비는 해외 장비기업이 독점적으로 점유하고 있으며, 국내 장비기업에서 개발 중이나, 아직 양산 적용은 ... | 시스템 반도체,저유전 상수,스마트,화학기상증착,장비 | System Semiconductor,Low Dielectric Constant,Smart,PECVD,Equipment | 1089735000 |
68 | 2022 | 목재자원의고부가가치첨단화기술개발 | 산림청 | 한국임업진흥원 | 1405005300 | 셀룰로오스 원소재 제조 기술 개발 및 소수화/복합화 스케일업 |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cellulose materials and scale-up of hydrophobization and compounding process | 이종훈 | 무림피앤피(주) | 울산광역시 울주군 | 20200401 | 2022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 소수화 셀룰로오스와 고분자 수지의 복합화 스케일업 최적화 및 복합소재 성능 제어 기술 개발 | □ 기대 효과 (기술적, 경제·산업적, 사회적) - 셀룰로오스 소재 기반 친환경 복합재 제조 기술 확보 - 저비용 친환경 기반 셀룰로오스 소재 특성별 최적 소수화 기술 확립 및 다양한 산업 분야 적용 가능성 확대 - 셀룰로오스 소재 산업의 확장 - 친환경 복합소재 제조 기술 개발을 통한 수입 제품 대체 (수입의존도 감소) - 석유 화학계 플라스틱 ... | 셀룰로오스, 소수화, 무기질화, 나노셀룰로오스, 고분자 복합화 | cellulose, hydrophobization, mineralization, nanocellulose, polymer complexation | 186700000 |
132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834 | 극초단 레이저 증폭모듈용 969nm 펌프 광원 및 고출력 레이저용 광학계 코팅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969nm pump laser diode for amplification module of ultra short pulse laser and optics coating technology for high power laser | 김수현 | (주)이오엘 | 기타 기타 | 20210901 | 20241231 | 나노 photonics기술 | [1차년도 목표]ㅇ 180W 급 969nm 파장안정화 펌프 레이저 다이오드 개발ㅇ 다이렉트 구조의 펌프 레이저 다이오드 설계ㅇ 팸토초 레이저 SEEDER용 976nm 파장안정화 레이저 다이오드 설계ㅇ 환경 신뢰성 개발ㅇ 5Å 이내의 표면조도 성능의 연마 공정 개발 | o 1차년도에는 969nm 레이저 다이오드 광학계 설계, 광학계 정렬 마진, package 설계 등을 통해 180W 급 파장안정화 레이저 다이오드 개발을 진행할 예정임. 광섬유 없이 레이저의 이득 매질에 펌프 광을 직접 인가 시키는 다이렉트 구조의 레이저 다이오드 설계 기반 구축 예정임. 고출력 팸토초 레이저의 광학계 및 이득 매질의 연마 후 표면 조도가 ... |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파장 안정화,코팅 기술,레이저 증폭 모듈,극초단 레이저 | high power laser diode,wavelength stabilized,coating technology,laser amplification module,ultra short pulse laser | 755000000 |
37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597 | 실내환경 유해물질 감지 및 저감을 위한 필터재생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공기청정기 개발 | Development of the smart air cleaner using filter recycling technology to detect and reduce hazardous substances in the indoor environment | 김동원 | 위니아 | 기타 기타 | 20190401 | 2023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위니아딤채 - 무전원 정전필터 모듈이 적용된 공기청정기 및 세정장치 일체형 설계 - 재생장치 일체형 공기청정기 목업 - 성능테스트◎이노서플 - 공기청정기 일체형 적용을 위한 세정 및 재생 장치소형화 기술 개발◎아이티엠반도체 - 1차 복합 센서 모듈 성능 개선 진행◎성균관대학교 - 블루 이산화티타늄/삼산화텅스텐의 VOCs 필터 시제품 적용 -... | - 재생장치 일체형 공기청정기 설계 및 성능확보- 3회 이상 재생이 가능한 필터 세정 및 재생 기술 확보- 블루이산화티타늄/삼산화텅스텐 필터 제품 적용 기술 확보- 스마트 복합 센서 모듈 개발 기술 확보를 통한 공기청정기 품질 성능 향상- 개발 소재/부품에 대한 흡입독성 평가를 통한 인체 유해여부 평가 | 필터세정기술,필터재생기술,탈취필터,복합센서모듈,센서연동기술 | Filter cleaning technology,Filter recycling technology,Deodorization filter,Composite sensor module,Sensor interlocking technology | 1175480000 |
113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629 | 열전도도 (0.0175 WmK) 및 강도가 우수한 한국형 LNG선 극저온 화물창용 고효율 단열소재 개발 | The development of high efficiency(0.0175WmK) insulation material for Korean LNG carrier cryogenic cargo containment system | 권재근 | KPX케미칼(주) 울산공장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4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o 관능기 5.6 이상의 폴리에테르폴리올 개발o 고강도 물성 향상을 위한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합성 연구o 기존 Polymeric MDI와 변성 MDI 가교도 조사 분석o Ion Liquid Catalyst 분자 구조 설계 및 합성 메커니즘 확립 o 긴 가지구조(Long chain branch) 프리폴리머 전구체 합성, 물리화학적 특성 파악 및 연구 o 실리... | o 폴리우레탄 단열재가 가지는 열전도도의 원리 이해와 성능향상에 대한 이론 확립o 신규폴리올 합성으로 인한 다양한 공정기술, 다양한 응용분야 접목 가능성 확인o 폴리올 이외의 첨가제(촉매, 정포제, 프리폴리머등) 에 대한 새로운 분야 접목 가능성 확인o MDI 국내기술에 대한 내수 시장 가능성 확인 | 가지형 폴리머,디이소시아네이트,다공성 물질,단열재,폴리우레탄 | branched polymer,MDI,Porous materials,insulation panel,poly urethane | 1616900000 |
105 | 2021 | 나노·소재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8775 | 고효율/장수명(선진사 대비 105% 가공수명) 티타늄 합금 가공용 엔드밀 개발 | Development of cutting tool with high cutting performance and excellent tool-life for Ti Alloy | 박영군 | (주) 와이지-원 | 인천광역시 부평구 | 20200723 | 2023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고효율/장수명(선진사 대비 105% 가공수명) 티타늄 합금 가공용 엔드밀 개발o 본 과제에서는 항공산업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티타늄 합금 가공에 대한 한계점을 극복함과 동시에, 기술적으로 앞서있는 선진사(일본, 미국 독일 등)에 대응하여 기술자립화 및 국산화를 달성하기 위해 공구성능의 주요 요소인 소재, 디자인, Coating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기존... | [활용계획]티타늄 합금 가공용 엔드밀 출시 및 시장 진출 - 티타늄 합금 가공용 공구시장의 허브 공구로 시장진입 후, 시장확대의 교두보로 활용고객 맞춤형 기술 및 시장전략을 통해 수요 제품군을 확대[기대효과]⊙ 기술적 측면티타늄 합금 가공 효율성 향상으로 인한 생산성 증가⊙ 경제ㆍ산업적 측면항공산업 분야 및 에너지·의료기기 분야에서의 티타늄 합금 소재 ... | 티타늄 가공,엔드밀,공구코팅,초경소재,공구설계,공구수명,티타늄 합금,내열합금 | Titanium Alloy Machining,End Mill,Tool Coating,Cemented Carbide,Tool Design,Tool Life,Titanium Alloy,Heat Resistance Alloy | 416667000 |
135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429 | 반도체 제조공정 선진화를 위한 CMP 슬러리 정제용 필터 소재 및 Pad용 소재공정기술개발 | Development of CMP slurry refining filter material and process technology on pad material for advanc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 민병주 | KPX케미칼(주) 울산공장 | 울산광역시 남구 | 20200401 | 20241231 | 나노화학 공정기술 | [목표]○ 주관기관 (KPX케미칼(주))- Prepolymer 화학구조에 따른 성능특성 연계 분석 및 양산조건 연구- Pore 형성 기술 확보 (25um 확보)- Sub PAD 평활성 제어 및 PAD 특성 최적화 연구- 고효율화 적용 Prepolymer 기초 합성기술 및 기초 조성물 Formulation 개발○ 참여기관 1(성균관대학교)- 패드 Groove... | [기대효과]Prepolymer 화학구조에 따른 성능특성을 연계분석하고 Pad 물성 분석을 통한 신뢰성 기술개발이 진행되며, 발포형태의 Pore 형성기술 기반으로 예측 시뮬레이션 및 size 감소 (30-> 25 um) 연구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슬러리의 유동, 입자분석을 통한 Pad 장착될 Groove design 에 대한 기반기술 확보 및 더... | 씨엠피,웨이퍼스크래치,제품수명,슬러리필터,부직포여재 |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Wafer Scratch,Life Time,Removal Rate,Nonwoven fabric | 40000000 |
75 | 2021 | 디자인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2864 | 스트래처블 PCB을 활용한 사용자 정서상태반응형 감정케어 AI 로봇 및 디자인 개발 | Development of user emotional state response emotion care AI robot using stretchable PCB | 양진성 | 아모센스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41231 | 기타 나노소자 및 시스템기술 | 『신시장 창출를 위한 선행 아이디어 모델 연구 』 ① 제품_서비스 연구② 제품조형 및 기술융합 연구 보완 『신소재·디자인 적용 검증을 위한 로봇 시작품 제작』 『로봇 페이스의 감정요소(표정, 제스처 등)구현을 위한 적용 대상 로봇의 전압, 크기, 감정요소를 반영한 최적 EAP액추에이터 재료선정 최적화 및 EAP액추에이터 적용형상 연구』 『신소재·디자인 ... | 세계는 정부 주도적인 소재 개발 및 활용 전략을 세우고 로봇 관련 연구와 산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해마다 주요 전자박람회와 기술 동향에는 다양한 서비스 로봇 제품이 주요 키워드로 자리 잡고 있음. 여러 산업 분야에서의 활용성과 관심이 증대되고 있음. 그러나 기존의 소재 기술과 로봇기술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활용 적용을 기대하고 있지만 사용자의 물리적 요... | 감정케어,스트래처블 PCB,음성인식,AI 로봇,사물인터넷 | emotion care ,stretchable PCB,Voice Recognition,AI Robot,IoT | 650944000 |
82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798 | 13nm 이하 메모리 소자공정을 위한 고해상도 낮은 LER 패턴형성을 위한 무기물 EUV 레지스트 및 무기 언더레이어 개발 | Development of inorganic EUV resist and underlayer for highresolution and low LER pattern formation in memory device process scaleddown beyond the 13nm | 허명현 | (주)동진쎄미켐 | 인천광역시 서구 | 20210901 | 20241231 | 나노패터닝 공정기술 | [개발목표]EUV에 대해 광 반응성이 있는 무기 포토레지스트 개발 [1세부]- EUV 광 반응성이 있는 무기 포토레지스트 및 언더레이어 물질 선정 및 전구체 설계 - 무기 포토레지스트 및 언더레이어의 전구체 특성 조절이 가능한 리간드 설계 및 합성[2세부]- Metal-organic 전구체의 증착 거동 연구를 통한 건식 코팅 기술 개발 UV, E-bea... | 건식 EUV 공정은 소재의 물성에 따라 PR 막 또는 파티클의 상태가 매우 달라지며, 이는 소재의 선택이 매우 중요함광 반응성이 있는 무기 포토레지스트 및 언더레이어 전구체 물질 선정 하여 분자 구조를 설계 하고,무기 포토레지스트의 물성을 조절할 수 있는 연구는 건식 EUV 공정 개발 기초 확립 데 매우 중요한 요소임.소재의 선택과 설계는 건식 무기 포토레... | 극자외선,고해상도,무기 포토레지스트,건식 기상반응,금속유기전구체 | EUV,High resolution,Inorganic photoresist,Dry gas phase reaction,Metal organic precursor | 34700000 |
125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814 | 머신러닝 기반 고경도강 가공용 초경PCBN 절삭공구 및 수요자 맞춤형 절삭가공 솔루션 개발 | Developmet of the CarbidePCBN Cutting tool and the Customized Cutting Solution for High Hardened Steel by Machine Learning | 박경준 | (주)와이지원 | 기타 기타 | 20210901 | 2024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ㅇ 와이지-원 - 초경소재 : 소재 특성 정량화 및 물성 관련 핵심 인자 도출 - End Mill : 코너레디우스 엔드밀의 주요 설계인자 설정 후실가공 및 시뮬레이션을 통한 검증 - Exchangeable Milling Insert : 가공 전략별 성능 및수명 지배인자의 도출 - PCBN Turning Insert : 인선부, 랜드처리에따른 절삭특성 연구... | 1. 핵심기술 성과의 활용분야 및 활용방안o 고경도강용 공구를 포함한 절삭공구 소재산업 전 분야o 소재-공정-특성 전 주기 인공지능 플랫폼 활용 분야o 공구 형상에 따른 공구 성능 예측 머신러닝 기술의 개발2. 연구개발성과의 기대효과 [과학 기술적 측면]o 고경도-고인성 동시 만족형 초경합금 블랭크 기술을 확보하여 우수한 고경도강용 공구 개발을 통한... | 초경합금 블랭크 제조,미세조직 최적화,공구형상설계,머신러닝,공구수명 | Cemented Carbide Blank,Microstructure,Geometry,Machinelearning,Toollife | 1391606000 |
86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861 | 극한성능 유기섬유용 공중합 아라미드 고분자 수지와 섬유 생산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ultrahigh performance aramid copolymer fbrer and production technology | 성정훈 | 태광산업 울산공장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41231 | 나노화학 공정기술 | 주관 태광산업(주)ㅇ 공중합 아라미드 반응시스템 및 수지 개발참여 일진에이테크(주)ㅇ 공중합 아라미드 중합물 기반 직접 방사 시스템 설계 및 제작참여 ㈜NEOㅇ 선진사 파라계 공중합 아라미드용 고분자 수지 성분 분석참여 다이텍연구원ㅇ 선진사 파라계 공중합 아라미드 물성 분석 및 분석 절차 개발과 Engineering data 기반 기술지원수요 ㈜화승R&Aㅇ... | [과확,기술적 측면]o 기존의 아라미드의 경우, 공정에서 고농도의 황산을 활용함. 공중합 아라미드의 경우, 별도의 방사 용매 없이 방사를 진행하게 됨. 제작된 아라미드 섬유의 물성 또한 기존의 파라계와 비교하여 고강도·고신도 및 우수한 내피로성을 가지기 때문에 우수한 최종 제품 성능 견인 가능 - 고농도 황산의 경우,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제조 ... | 슈퍼섬유,공중합,아라미드,중합기술,제사사가공 기술 | SuperFiber,Copolymerization,Aramid,Polymerization technology,SpinningYarn processing technology | 2969900000 |
126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921 | 300 W급 펨토초 레이저 기반 웨이퍼 절단 장비 및 극초단 레이저용 광부품 개발 | Development of ultrashort pulse laser optics and a wafer dicing equipment using 300 W class femtosecond lasers | 추안구 | (주)이오테크닉스 | 경기도 안양시 | 20210901 | 20241231 | 나노 photonics기술 | [1차년도 개발목표]o 완성도 높은 제품 개발: 선진사 제품 대비 기능/특성/신뢰성의 차별화 전략 수립o Brainstorming & 기술 세미나: 1회/반기o 제품/기술 roadmap 작성 및 공유: 1회/년 o 레이저 핵심부품/펨토초 레이저/웨이퍼 다이싱 장비의 통신 프로토콜, 드라이버, 컨트롤러의 통합 항목 도출 | [1차년도 기대효과] o 1년차에는 1030nm 모드잠금 피코초 광섬유시드레이저, 다단증폭 모듈 설계 및 레이저 웨이퍼 다이싱 공정용 광학계 설계를 개발할 예정임. 산업용 레이저에 적용하기 유리한 고출력 증폭 기술을 검증 후 2차년도부터 개발할 200W 펨토초 레이저의 시드레이저광원으로 적용할 예정임. 이러한 기술이 개발되고 나면 극초단 모드잠금 시드레이... | 극초단 레이저,레이저 증폭기,펌프 레이저 다이오드,레이저 광학계,웨이퍼 다이싱 | Ultrashort pulse laser,Laser amplifier,Pump laser diode,Laser optics,Wafer dicing | 32500000 |
114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521 | 고분자 수지 및 첨가제를 이용한 PR 제조 및 평가 기술개발 | Development of PR formulation and evaluation technology using polymer resins and additives | 이종윤 | (주)경인양행 | 기타 기타 | 20210901 | 20241231 | 나노화학 공정기술 | [주관연구개발기관(경인양행)]o 미세 패턴구현을 위한 원재료 검토 및 검증o 해상도 및 LWR 측정 검토 [공동연구개발기관1(SK머티리얼즈 퍼포먼스)]o 미세 패턴구현을 위한 원재료 설계- 미세 패턴 구현을 위해 고분자 수지 및 PAG, 첨가제 등의 원재료의 개발 필요 - 고 해상도 패턴 구현을 위한 원재료의 순도 및 메탈 함량 최소화 [공동연구개발기관2... | [1차년 기대효과]o ArF-immersion 포토레지스트의 성능 확보를 위한 고분자 수지, PAG 및 첨가제 등 원재료 설계로 1세부와 협업의 방향 확보 o 기존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하여 노광장비의 45nm 공정 셋업과 평가를 통해 기초 데이터 확보하여 개발 포토레지스트 물성 평가의 데이터 유효성 평가에 활용 | 포토레지스트,해상도,표면거칠기,고감도,식각내성 | Photoresist,Resolution,LWR,Sensitivity,Etch resistance | 470000000 |
102 | 2021 | 우수기술연구센터(ATC)(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2183 | 전기/전자기기 보호를 위한 연성기판 및 보호필름용 물 접촉각 110°이상 연필경도 8H이상의 유연 하드코팅 소재 및 응용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Flexible hardcoating materials for flat panel display and protective film with 110° of water contact angle and 8H of pencil hardness | 김삼민 | (주)켐트로닉스 | 기타 기타 | 20160501 | 20210430 | 나노 신기능 분자합성기술 | - 주관기관 : ㈜켐트로닉스● 개질된 레진의 양산성 확인(Scale up) - 양산 test(1000L scale)● 개질된 레진과 첨가제 조합을 통한 기능성 하드 코팅액 개발 및 시제품 출시 - 연신률 10%● 전시회 참가 및 언론 홍보를 통한 개발 제품 마케팅 실시- 참여기관 : 인하대학교● 하드코팅 표면의 발수성 향상을 위한 화학적 개질 연구 ● 공... | - silsesquioxane 합성 기초기술 확보를 통한 기술역량 강화 : 합성기술, 분석기술 확보- silsesquioxane 폴리머의 분자구조 개질 기술 확보를 통한 기술 확장성 확보 : 반응성 작용기 도입을 통한 경화특성 부여- 신규 연구인력 확보를 통한 고용창출 - 산학협력을 통한 상생모델 기반 구축 : 산학연계를 통한 취업기회 확대- 수요기반의 교... | 하드코팅,유연 소재,초발수 소재,경화성 레진,물접촉각 | Hard coating,flexible material,super-hydrophobic material,curable resin,contact angle | 355666000 |
94 | 2021 | 나노·소재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1690 | 나노 환경센서 시스템 및 환경관리 서비스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nano-based sensor and environment management service technology | 김종완 | 코웨이 (주) | 충청남도 공주시 | 20160801 | 20211130 | 기타 나노소자 및 시스템기술 | ○ 최종목표: 나노환경센서 및 현장적용 기술 개발○ 배경: 곰팡이 검출용 환경나노센서의 민감도 및 특이성을 확보하기 위해 리셉터 개발, 리셉터 고정화 기술 및 정량적 검출 알고리듬 개발이 필요함. ○ 본 세부과제는 생활 공기중 유해인자인 곰팡이 3종 이상에 대한 실시간 검출용 환경나노센서 시스템 집적화와 더불어 환경/보건/식품 분야에서 신시장을 개척 할 수... | ○ 코웨이의 렌탈 (정수기 ) 사업과의 연계: 신규 시장 창출○ 알레르기 질환 관련 IoT 연계 모니터링 공공 서비스: 알레르기 질환과 곰팡이를 포함한 여타 유해인자 (가스, 진드기, 먼지 등) 와의 상관 관계 연구○ 알레르기 및 천식 질환 환자에 대한 맞춤형 알림이 서비스 | 곰팡이,실시간 검출,소형화,환경 모니터링 | Fungi,Real-time Detection,Miniaturization,Environmental monitoring | 168000000 |
44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810 | 300W 500펨토초 레이저 및 50um 웨이퍼 절단 장비 개발 | Development of femtosecond laser with 300W 500fs and wafer dicing equipment for 50um wafer | 진대현 | (주)이오테크닉스 | 기타 기타 | 20210901 | 20241231 | 나노 photonics기술 | [2차년도 목표]ㅇ 모드잠금 극초단 시드레이저 개발 (평균출력: 15~50W, 반복률: 300~1000kHz, 펄스폭: 500~600ps, 밴드폭: 9~11nm)ㅇ 200W 및 300W급 펨토초 레이저용 다단증폭 모듈 개발 (3단 이상 멀티패스 일체형 증폭 모듈 개발) ㅇ 200W급 펨토초 레이저 시작품 제작 (평균출력 200W, 반복률: 500~1,000... | o 2년차의 개발목표는 1년차에 설계된 모드잠금 펨토초 시드레이저를 개발하여 입력광원으로 적용하고 다단증폭 모듈을 통해 200W급 펨토초 출력을 확보하는 것임. 이 과정에서 펄스확장/압축 기술, 스펙트럼 성형기 최적화기술, 출력/파장/펄스 안정화 기술 및 200W급 출력 획득을 위한 다단증폭 시스템 최적화 광학 설계 및 증폭단별 빔모드/빔품질 최적화 기술 ... | 극초단 레이저,레이저 증폭기,자외선 레이저,웨이퍼 다이싱,초박형 웨이퍼 | Ultrashort pulse lasesr,Laser amplifier,UV laser,Wafer dicing,Ultra thin wafer | 5172500000 |
79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793 | 높은 식각속도를 갖는 친환경 하이드로우플루오르올레핀계 건식 식각가스(CF3CHCHCF3(HFO1336mzz))제조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ecofriendly hydrofluoroolefin dry etching gas with high etching rate (CF3CHCHCF3(HFO1336mzz)) manufacturing technology | 김봉석 | (주)후성 | 기타 기타 | 20210901 | 20241231 | 나노화학 공정기술 | [주관연구개발기관((주)후성)]o Low GWP 반도체 특수가스 후보물질 기초 합성 실험o Low GWP 반도체 특수가스 후보물질 순도 및 식각 평가o HFO-1336mzz Lab-scale 합성 및 정제 연구o HFO-1336mzz의 순도 및 식각 평가 [공동연구개발기관(울산과학기술원)]o 식각 장비 구축 및 분석 기술 개발 [그림 10. 구축 예정... | o Low GWP 반도체 특수가스 후보 물질 확보 및 제조법 정립o Low GWP 반도체 특수가스 합성 및 제조 실험 환경 구축 및 최적의 합성 조건 확립o 제조된 반도체 특수가스 평가를 위한 시스템 구축o 대기업과 중견기업간 연계 및 산학연 연계 강화o 새로운 고부가가치 신시장 창출에 따른 고용 창출 효과 | 반도체용 특수가스,낮은 GWP 가스,하이드로우플루오르올레핀계 가스,식각공정,첨가가스 | Specialty Gases for Semiconductor,Low GWP Gases,HFO Gas,Etching Process,Additive Gases | 2550800000 |
판매제공처 홈페이지 | hellodd.com | 라이선스 |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
---|---|---|---|
판매 담당자 | 대덕넷 | 권한 | HelloDD |
연락처 | 070-4171-3524 | 접근 권한 | public |
이메일 | sungmin8497@hellodd.com | 상품 구분 | dataset |
품질측정 검사 | 품질측정기간 | ~ | |
---|---|---|---|
품질측정기관 | 대덕넷 | 품질측정연락정보 | 0428615005 |
품질측정결과 | 품질측정내용 |
현재 준비중입니다.
10047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황금1로 122,김포제조융합혁신센터 3층 한국산업기술시험원 ㅣ 사업자번호 : 113-82-06228 ㅣ 대표자명 : 김세종 ㅣ TEL: 02-860-1059 ㅣ E-mail: bigdata.dx@ktl.re.kr
Copyright ⓒ 2021 KOREA ENTERPRISE DAT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