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협의 상품 및 유료상품의 구매를 원하실 경우 맞춤형 데이터 신청란에 글을 남겨주시면
신속히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데이터셋명 | NT분야대기업별과제데이터 | 데이터 유형 | csv |
---|---|---|---|
데이터 분야 | 과학기술 | 구축 데이터량 | 520.00 KB |
구축기관 | 대덕넷 | 데이터 갱신 일자 | 2022-08-29 |
데이터 개방 일자 | 2022-10-27 | 데이터 이용 기한 | 무기한 |
데이터 갱신 주기 | - | 버전 | - |
주요 키워드 | NT, 나노기술, 정부과제, 대기업, 데이터 | ||
벨류체인 키워드 | 기술획득 | ||
소개 | 과학기술 NT(Nanotechnology) 분야 대기업별 정부 R&D 과제 데이터입니다. |
국내 NT 분야 대기업별 과제 데이터 상품설명서
□ 상품설명
○ 국내 NT 분야 대기업별 과제 데이터 상품은?
· 2021년~2022년 기준 국내 NT 분야 대기업별 과제 데이터입니다. 국내 대기업에서 진행한 NT 분야 과제의 세부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NT 분야는 물질을 원자 및 분자 수준에서 조작·분석하고 이를 제어하는 과학과 기술의 총칭입니다. NT 분야는 나노기술을 통해 원자나 분자 크기의 기술을 다루는 분야이기 때문에 BT 분야와 연관성이 있으며 나아가 IT 분야와도 연관이 있습니다. 나노 기술 주요 연구 단체들 사이에서는 활발한 연구 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데이터 주요 키워드
· #NT #나노기술 #과학기술 #과제데이터 #대기업
○ 데이터 활용 및 이용 권장 고객
· NT 분야 국내 대기업 과제 데이터를 활용(공유)하고자 하는 기업인
· NT 분야 과제 데이터를 활용해 융합연구를 위한 공공·민간 연구자
· 학술 연구를 위한 이공계 대학생·대학원생
□ 데이터 활용 방안
○ 국내 NT 분야 대기업별 과제 데이터 상품 활용 방안은?
· NT 분야 과제 데이터는 신기술 창출 및 기존 제품의 고성능화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국제적으로 아직 개발초기 단계이지만 모든 산업에 필요한 핵심요소 기술 데이터입니다. NT 기술은 IT 기술과 BT 기술의 기반이 되며 기술적·산업적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전망됩니다.
□ 데이터셋의 구성
○ 데이터셋의 구성
· 국내 NT 분야 대기업별 과제 데이터는 총 N개의 데이터로 구성돼 있습니다.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인 NTIS(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의 데이터에 기반합니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연구하고 있는 과학기술을 비롯하여 각종 연구개발사업과 관련된 과제, 인력, 연구시설·장비, 성과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 연구개발(R&D) 지식포털입니다.
데이터 구분 | 데이터 요약 | 제공 방식 |
국내 NT 분야 대기업별 과제 데이터 | - 국내 대기업에서 수행한 NT 분야 과제 세부 내역 - 연구수행주체 및 수행기관 - 6T분류 및 과학기술표준 분류 코드 | - csv/zip |
□ 데이터셋의 구조
○ 데이터셋의 구조
No. | 칼럼명 | 데이터 타입 | 칼럼설명 |
1 | 일련번호 | VARCHAR(14) | 일련번호 |
2 | 기준년도 | VARCHAR(4) | 기준연도 (Ex. 2020) |
3 | 사업명 | VARCHAR(1000) | 사업명 |
4 | 부처명 | VARCHAR(500) | 부처명 |
5 | 과제관리기관명 | VARCHAR(300) | 과제관리기관명 |
6 | 과제고유번호 | VARCHAR(100) | 과제고유번호 (총 10자리 숫자) |
7 | 국문과제명 | VARCHAR(500) | 과제명(국문) |
8 | 영문과제명 | VARCHAR(500) | 과제명(영문) |
9 | 연구책임자명 | VARCHAR(20) | 연구책임자명 |
10 | 과제수행기관명 | VARCHAR(500) | 과제수행기관명 |
11 | 지역구분내용 | VARCHAR(20) | 지역구분 (ex.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12 | 총연구기간시작일 | VARCHAR(8) | 총연구기간시작일 (Ex. 20220718) |
13 | 총연구기간종료일 | VARCHAR(8) | 총연구기간종료일 (Ex. 20220718) |
14 | 6T관련기술분류내용 | VARCHAR(500) | 6T관련기술분류 (Ex.4세대 이동통신) |
15 | 연구목표요약 | VARCHAR(1000) | 연구목표요약 |
16 | 기대효과요약 | VARCHAR(1000) | 기대효과요약 |
17 | 한글키워드 | VARCHAR(500) | 한글키워드 |
18 | 영문키워드 | VARCHAR(1000) | 영문키워드 |
19 | 연구비합계 | NUMERIC | 연구비합계 |
20 | 작업구분코드 | VARCHAR(1) | |
21 | 데이터생성일자 | VARCHAR(8) | |
22 | 연계처리상태코드 | VARCHAR(1) | |
23 | 연계처리일자 | VARCHAR(8) | |
일련번호 | 기준년도 | 사업명 | 부처명 | 과제관리기관명 | 과제고유번호 | 국문과제명 | 영문과제명 | 연구책임자명 | 과제수행기관명 | 지역구분내용 | 총연구기간시작일 | 총연구기간종료일 | 6T관련기술분류내용 | 연구목표요약 | 기대효과요약 | 한글키워드 | 영문키워드 | 연구비합계 |
782 | 2021 |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1415177156 | 반도체 웨이퍼 세정용 센서 양산성능평가지원사업 | Semiconductor Performance Evaluation Project of sensors | 양승범 | 에이지디 주식회사 | 충청북도 음성군 | 20211001 | 20220930 | 나노화학 공정기술 | 소재부터 완성품까지 자체 제조기술 보유 및 200℃까지 사용가능 한 압력센서 개발 | 반도체산업의 해외 의존도 축소로 인한 수입감소, 고용증대 및 실적을 바탕으로 해외시장 공략을 통한 수출증대 효과 발생. | 반도체,세정기,불소수지,밸브,센서 | SEMICONDUCTOR,SINGLE WET,FLUORINE RESIN,VALVE,SENSOR | 250000000 |
548 | 2022 | 산학연Collabo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65301 | 비목질계 바이오매스 기반 셀룰로스 나노섬유를 활용한 내수·내유·열접착 특성이 동시 발현되는 식품 포장지용 수성코팅제 및 내수접착강도가 우수한 골판지용 수성접착제 개발 | Development of Water-based Coating Agent for Food Packaging and Water-based Adhesive for Corrugated Cardboard using Biomass Based Cellulose Nanofiber | 조지은 | (주)KD Chem | 경상북도 김천시 | 20220501 | 2022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비목질계 셀룰로스 나노피브릴화 공정기술 확립- 셀룰로스 나노섬유 소수화를 위한 표면개질 기술 개발- (코팅제) 셀룰로스 나노섬유가 적용 된 내수,내유,열접착성이 동시 발현되는 식품포장지용 코팅제 개발- (접착제) 소수화 표면개질한 셀룰로스 나노섬유 적용 및 접착제로서의 합성 가능성 검증 | - 본 사업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코팅제 및 접착제는 석유계 첨가제를 천연소재인 셀룰로스 나노섬유로 대체함으로써 친환경 공정 기술 확보로 인한 환경 비용 절감과 더불어 내수성, 내유성 및 접착강도 등의 물성 확보가 가능하여 코팅·접착제의 새로운 시장 및 글로벌 경쟁 우위 선점이 가능하며, 이는 시장 및 일자리 창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됨.- 특히 국내 ... | 친환경,셀룰로스 나노섬유,비목질계 바이오매스,수성코팅제,수성접착제 | Eco freindly,Cellulose Nanofiber,Non woody Biomass,water based coating agent,water base adhesive | 58750000 |
766 | 2022 | 핵심농자재국산화기술개발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25477 | 기능성 첨가소재 대량 생산기술 | 정가운 | 한진화학주식회사 | 경기도 의왕시 | 20210401 | 2023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외부온도 및 적외선 감응형 농업용 특수(조광)필름 국산화 기술 개발○ 1단계에서는 외부환경(온도 및 적외선) 감응형 농작물 특수(조광) 필름 소재 개발을 통해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기능성 소재의 대량생산 및 첨가효율 상승을 위한 첨가제 합성 시스템을 구축하여 기능성 조광 성능을 가지는 소폭필름 생산을 통해 제품화 가능성 확인○ 2단계에서는 개발된 환경감응 특... | - 본 기술 개발을 통해 조광필름용 PO필름은 기존 수입 의존 필름을 대체 가능하여 국내의 경상수지에 도움을 줄 수 있음.- 수입에 의존하는 농업용 필름(PO필름 50% 이상, PVC 필름 100% 일본산)의 국산화를 촉구하며, 매년 가속화 되는 일본산 PO필름 수입을 억제 할 수 있음.- 국내 기후에 맞는 농업용 필름을 적용하여 농산물 생산의 최적화가 가... | 온실용 피복제,장기성 PO필름,환경감응소재,시설농업,이상기후 | Greenhouse covering,Long-term PO film,Environmentally responsive material,Protected agriculture,Extreme weather | 168750000 | |
107 | 2022 | 창업성장기술개발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63141 | 친환경 자동차 무윤활 환경 구동부품용 나노복합 코팅소재 및 공정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nano-composite coating material and process technology for driving parts in an environment-friendly environment without lubrication | 박은수 | 이엠엘 | 경기도 수원시 | 20211101 | 202310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주관연구개발기관 개발내용 - ㈜이엠엘- 친환경 자동차 구동부품 코팅용 합금 설계(Nano composite, High entropy alloy 등)- 고기능성 코팅용 Zr계, Mo계 합금 소재 저가화기술 개발- 고기능성 코팅용 Zr계, Mo계 합금 분말 제조기술 개발- 소결공법(HIP: Hot Isostatic Press) 적용 고기능성 코팅용 합금 타... |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해외에 의존도를 벗어나 국내기술만으로 합금 타겟 제작 가능- 국내 합금 소재 적용으로 인한 국내 부품, 장비 업체 영업이익 증가 - 친환경 자동차 부품 코팅용 소재 선점 가능- 부품, 장비 업체와의 협업으로 기술개발 및 제품 적용으로 해외 수출 가능- 합금 소재 저가화 제조 공법 기술개발로 적용 분야 확대- 합금 분말... | 친환경 자동차,무윤활 환경,나노복합,코팅소재,공정 기술 | Eco friendly automobile,Lubrication free environment,Nano composite,Coating material,Process technology | 203400000 |
764 | 2022 | 공정·품질기술개발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67076 | 안전축광 고강도텅스텐 논슬립 개발을 위한 연속 생산 공정 개선 | Improvement of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for the Development of High Strength Tungsten Nonslip in Safety Axial Light | 오윤아 | (주)에스엔시 | 전라남도 순천시 | 20220715 | 20230714 | 기타 나노소재기술 | - 인라인 설비재료와 냉각구간의 설비재료 구입을 통해 생산성 20%, 불량률감소율 20%, 2400mm길이의 연속공정이 가능한 텅스텐 논슬립 생산 라인 구축- 텅스텐 논슬립을 제조할 스텐판을 올리면, 구동인버터 모터 컨트롤을 통해 컨트롤 파트로 이동하는 구간- 금속분말 융착 수소 브레이징 전후 공정 개선 및 이를 이용한 안전대피기능과 제품수명, 유지관리 등... | - 안전하고 사용수명이 긴 미끄럼방지 기능 구현 논슬립 소재를 연구개발하기 위해, 안전축광 고강도의 텅스텐 논슬립을 개발하고자 열처리에 전후 공정에 필요한 시설로 공정개선과 고강도 금속분말의 레시피 완성 및 배합비율에 따른 성능수치 등을 분석함으로써 금속신소재를 활용한 논슬립의 제조기술을 연구개발하며 제품 생산의 자동화를 이루고자 한다. - 공정개선을 통... | 텅스텐논슬립,안전축광,인라인로,냉각존,브레이징 | Tungsten nonslip,Safety axon light,Inline,Cooling zone,Brazing | 62500000 |
1227 | 2022 | 창업성장기술개발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9499 | 화장품용 항균성 내장패드 개발 | 박재홍 | (주)나노인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715 | 20220714 | 기타 나노바이오보건기술 | 1. 항균성 내장패드 항균 및 항곰팡이성 평가2. 항균성 내장패드 신뢰성 성능 평가3. 항균성 내장패드 목표 시제품 제작4. 99.9% 항균 기능 및 경도 2H 이상의 항균성 내장패드가 도입된 실증용 화장품 시제품 제작 및 공급 | 나노구조 항균 필름이 도입된 화장품이 퍼프용 케이스에 도입된 화장품의 시제품을 제작하여 실증을 통한 고객 모니터링까지 진행하여 시장에서의 신기술 제품으로 인정을 받고자 함. 또한, 항균 화장품 매출 목표 기준으로서 수요기업의 구매의향서를 기준으로 안정화된 제품 생산이 가능한 시점을 목표로 연간 30억원 이상의 매출을 기대함. | 항균,항곰팡이,화장품,내장,패드 | antibacterial,antifungal,cosmetic,interior,pad | 222250000 | |
1196 | 2021 | 창업성장기술개발(특별,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3015 | 6W/mK급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실리콘 기반 방열 갭필러 개발 | Development of 6W/mK silicon based thermal gap fillers for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s | 김재우 | 내일테크놀로지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524 | 20230523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연구개발목표 : 실리콘 복합재 제조를 위한 수지 및 필러시스템 설계 1. Al203/BNNT/실리콘 기반 전기절연 갭필러 제조를 위한 필러시스템 설계 2. 균일분산방법 및 첨가제를 적용한 안정된 필러 및 실리콘 복합재 설계 3. 실리콘 복합재 제조를 통한 필러시스템 및 방열특성 평가 | ◎ 주요 성과 - 지속적으로 소형화되고 속도가 빨라지는 전장부품은 필연적으로 많은 열이 발생하며, 이의 장수명화 및 고효율화를 위해서는 방열기술 및 소재가 매우 중요해질 예정임. 이에 대응하기 위해 BNNT를 이용한 방열 갭필러를 개발하여 원천성과 독창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 시킬 예정 ◎ 활용 분야 및 계획 -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구성하... | 질화붕소나노튜브,방열,갭필러,전기자동차,배터리팩 | Boron nitride nanotubes,Heat dissipation,Gap filler,Electric car,Battery pack | 148125000 |
1408 | 2021 | 전자시스템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4858 | 3D프린팅 특화설계 기반 절삭공구용 부품 경량화 및 고기능화 제조기술 개발 | The Developemt of DFAM for CNC metal milling cutter tool lightweight technology | 정구상 | (주)컨셉션 | 기타 기타 | 20210701 | 20231231 | 나노패터닝 공정기술 | *(주)컨셉션 [주관기관]ㅇ 절삭공구 수요 부품 역설계(DB확보) 및 사례연구 ㅇ Milling Cutter DFAM Design 설계 개발ㅇ 기존 절삭공구 대비 3D 냉각채널 Tool Holder 설계비교 및 분석 ㅇ Milling Cutter & Tool Body 소형 시제품 제작*(주)대건테크ㅇ대형(100mm급) Milling Cutter DFAM 설... | *(주)컨셉션 [주관기관]o 가공 조건에 따른 절삭 공정 특성 모니터링 및 평가 o 소재 제거율(30% 이상 향상), 가공 부하(20% 이상 감소), 공구 수명 (20% 이상 향상) 등의 특성평가 o GMTCK(수요처) 연계 수요부품 평가검증 실시 *(주)대건테크o 대형 절삭공구 수요부품 공정최적화 o 절삭공구 제작용 금속3D프린팅 시스템 업그레이드*대구기... | 3D 프린팅,적층제조 특화설계,절삭공구,금속분말가공,경량 디자인 | 3D Printing,Design For Additive Manufacturing,CNC Milling Cutter,Metal Powder Manufacturing,Lightweight Design | 540800000 |
898 | 2021 | 지역특화산업육성+(R&D) | 중소벤처기업부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1425157983 | 스마트 홈 시스템 공간전도 전자차폐를 위한 고 전도성 이중 금속 및 자성 금속 분말 혼합 코팅 도료 개발 | 배태주 | 브이메이커 | 광주광역시 북구 | 20200501 | 2021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최종 목표스마트 홈 시스템 공간전도 전자차폐를 위한 고 전도성 이중 금속 및 자성 금속 분말 혼합 코팅 도료 개발임. 개발 코팅 도료는 기존 Ag 대체를 위한 구리-은 이중구조의 금속 분말 개발을 통한 고 전도성 금속과 고 주파수 대역에서 흡수성이 높은 자성 금속 개발을 진행함. 또한 개발 분말은 기존 폴리머 혼합 공정을 통해 최종 차폐 도료 개발 | GHz 대역의 전자파 차폐 도료 및 스마트 홈 시스템의 공간전도 전자파 차폐 소재로 적용 - 전도성 금속 및 자성 금속 분말은 첨단산업 분야에서 전자재료용 도전성 잉크, 페이스트 그리고 접착제등의 원료로 널리 쓰이고 있으며, 본 기술 개발을 통해 기존 저 주파대역의 차폐 특성을 개선하고 5G 시스템과 융합되는 스마트 홈 시스템 적용을 목표로 함. ... | 고 전도 이중 금속,도료,복합재료,자성 금속,전자파 차폐 | Coating material,Composite material,Core shell nanostructure,EMI Shielding,Metal ferroso | 272220000 | |
160 | 2022 | 재활용저해제품 순환이용성 개선 기술 | 환경부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1485018606 | 강성과 흡열성이 개선된 PET composite 기술개발 | Pet composite developoment for improved modulus and IR heat absorption | 강석준 | 주식회사 에이케이지 | 충청남도 금산군 | 20200521 | 2022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음료병에 사용되는 PET소재에 대하여 강성 및 흡열성을 크게 개선함과 동시에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고부가가치의 PET composite소재보다 우수한 소재를 국내기술로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기술 확보를 통해 고부가가치 PET composite시장을 선점하고 음료병의 기존 문제점 해결● | 본 사업의 성공적인 목표 달성을 통해 사업화 단계로 진입하면 주관기업인 삼양 패키징외에도 기타 음료용 PET병 뿐만 아니라 기타 음식용 PET용기를 생산하는 기업 등 다양한 식품용 용기 산업의 협력업체와 긴밀한 공생관계가 구축될 수 있다. 또한 무기 나노 필러의 효과적인 분산기술을 통하여 전기전도성 및 대전 방지성을 요구하는 업체와의 기술개발 성과 공유 및... | 무기나노필러, 그래핀, 강성, 흡열성 | nanocomposite, graphene, rigidity | 203000000 |
1107 | 2021 | 창업성장기술개발(일반,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3579 | 초속경 에코시멘트 복합체 제조 및 초속경 LMC활용 기술 | 강근철 | 이지건설 | 충청북도 보은군 | 20201231 | 20211230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본 연구는 신속복구 혹은 초기강도발현을 요하는 건설현장에 사용되는 고가의 속경성 결합재를, 급결성 광물(Mayenite)을 포함하지만 활용도가 없는 산업부산물로 다량 대체하여 3시간내 25MPa 이상을 발현하는 초속경 에코 시멘트 복합체 제조 및 초속경 LMC 활용 기술“을 개발하고자 함. 기술개발 최종목표 : 3시간내 25MPa 이상을 발현하는 초속경... | - 중국산 CA계 광물 수입 대체효과(100만원/톤 → 40만원/톤)- 국내 S사에서 연간 4만톤 이상 발생되는 CA계 정련슬래그 처리비용 저감(20만원/톤)- 국내 시멘트사에서 시멘트 제조시 발생되는 CO2의 80% 이상 저감효과 기대- 전력부산물로 배출되는 부산석고의 유효활용 기술- 속경성 LMC 도로보수재 적용을 통한 도로보수 공정 단축- 친환경 ... | 건식 서냉 CA계 슬래그,환원슬래그,속경성 결합재,라텍스 개질 콘크리트,도로보수재 | Slowly Cooled LFS,Ladle furnace slag,Regulated Set Cement,Latex Modified Concrete,Road Repair Materials | 72500000 | |
492 | 2021 | 나노·소재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1410 | 고품위 3인치 n-type InP 단결정 성장기술 및 기판 소재 개발 | Development of high quality 3inch n-type InP single crystal growth technology and substrate material | 주경 | (주) 삼양세라텍 | 인천광역시 남동구 | 20210726 | 20251231 | 원자·분자 레벨 물질 조작기술 | [최종 목표]o 고품위 3인치 InP 기판 소재 개발[1차년도 목표]o InP 단결정 성장용 원재료 전처리공정기술 개발o VGF법 단결정 성장장치 개발o 성능평가 표준방법 확립[2차년도 목표]o 단결정 성장장치 성능평가o Donor 농도제어기술 개발o ?2인치 InP 단결정 제조o ?2인치 웨이퍼 가공기술 개발 및 평가[3차년도 목표]o 공정 조건 및 단결... | [활용계획]o 자율자동차 및 의료용 고성능/고출력 멀티칩 레이저 다이오드o 반도체 레이저, 광 변조기, 광 증폭기, 발광 다이오드, 수광소자 등의 각종 광 통신용 디바이스[기대효과]o 화합물 단결정에 대한 VGF 법 적용 기술의 개발 및 국산화o 높은 수준의 기술 융합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산업 분야로 융합기술을 통한 세계적 수준의 기초과학 경쟁력 확보o 각... | 인화 인듐,화합물 반도체,단결정,수직경사응고법,레이저 다이오드,라이다,수광소자,에피택시 | InP,compound semiconductor,single crystal,VGF,laser diode,lidar,photodetector,epitaxy | 375000000 |
1435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262 | 리튬이차전지용 석유계 피치 기반 도전재바인더 제조 및 응용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Petroleum Pitch Based Conductive Material and Binder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Their Application | 김중곤 | (주)나노신소재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4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주관기관(㈜나노신소재) Mesophase 피치계 도전재 기반 슬러리 상용성 기술 개발 - 참여기관 1(㈜스마트코리아) 공정온도에 따른 바인더/도전재용 피치의 특성 조절 Mesophase 피치의 형성 메커니즘 분석 피치의 소구체 성장에 대한 메커니즘 분석 - 참여기관 2(대진대학교) ... | 기존 탄소계 도전재를 대체하기 위해 연화점 230도, Mesophase 함량 70%인 석유계 잔사유기반 피치계 도전재를 15%수율로 합성하는 공정 을 확보하고 도전성 물성인 전도성을 9.3S/cm인 피치계 도전재 및 도전재 고형분이 11%인 slurry를 도출함 기존 고분자계 바인더의 대체하 기 위해 연화점 150도, Coking value 52... | 피치,도전재,바인더,리튬이온전지,슬러리 | pitch,conductive material,binding material,lithium ion battery,slurry | 1568881000 |
852 | 2021 |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일반,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1319 | 선택적 투톤도금 공정개발 | 안병준 | 지피케이 | 부산광역시 강서구 | 20201020 | 20211019 | 기타 나노소재기술 | ○ 균일 도금 공정 기술 개발- 도금 두께 불균일은 레이저 조사시 도금층에서 흡수하는 에너지의 차이를 발생시켜 도금 불량을 유발할 수 있어 균일한 도금 품질이 요구됨○ 부착성 향상을 위한 도금 공정 개선 연구 - 랙 위치에 따른 부품 도막 두께 불균일 해소를 위한 랙 구조 변경○ 투톤 패턴 형성 공정 기술 개발 - 투톤 패턴 형성 공정 검토○ 레이저 공정... | ○ 레이저 조사시 도금층에서 흡수하는 에너지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게 균일한 도막 두께를 가진 도금 제품 개발○ 부착성 향상을 위한 도금 공정 개선 연구 - 랙 위치에 따른 부품 도막 두께 불균일 해소를 위한 랙 구조 변경○ 투톤 패턴 디자인 개발 - 디자인 설계도금 공정 개발 → 투톤패턴 레이저 공정 개발 → 시제품 제작 | 레이저,다색패턴,입체패턴,도금,인사이드핸들 | LASER,MULTI COLOR PATTERN,3D PATTERN,PLATING,INSIDE HANDLE | 138600000 | |
501 | 2021 | 나노·소재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7676 | 스마트 모빌리티용 센서커버 제작을 위한 오토클레이브 성형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autoclave-molding technology for sensor cover for smart mobility | 원재철 | (주) 한일하이테크 | 경기도 화성시 | 20210426 | 2023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본 연구는 투명면상 발열필름이 적용된 스마트 모빌리티용 센서커버의 제작을 위한 최적의 오토클레이브 가압성형기술의 개발 및 시제품 제작을 목적으로 함. ○ 최적의 오토클레이브 성형조건 설계 (가열원, 가압원, 포화수증기 등) ○ 투명면상 발열필름을 적용한 센서커버 재료의 오토클레이브 가압성형 ○ 1,2세부 개발 소재의 공정 적합성 연구 ○ 투명면상 발열필... | 오토클레이브 가압성형기술의 개발을 통해 점차 발전하고 있는 스마트 모빌리티 산업 분야 및 반도체, 전기전자, 조선해양, 우주항공 등의 대한민국 기간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또한 본 연구를 통한 기술을 스마트 모빌리티용 센서커버 제품 이외에 스마트 전기전자,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팜 분야의 새로운 제품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도... | 오토클레이브,오토클레이브성형방법,스마트 모빌리티용 센서커버,핫프레스 성형방법,레이더,복합재료,자율주행,투명히 | Autoclave,Autoclave molding method,Sensor cover for smart mobility,Hot press moldingmethod,Radar,Composite Materials,Self Driving,Transparent Heater | 80000000 |
799 | 2021 | 중소기업R&D역량제고(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5142 | 선박내부구조물 설치시 용접대체용 접착강도5MPa 페인트도장성3.5MPa 성능이상을 만족하는 난연성 실란트 개발 | Development of flame retardant sealant that satisfies more than 3.5MPa paintwork performance of 5MPa paintwork strength for welding replacement when i | 서대용 | 주식회사 엠티지 | 울산광역시 남구 | 20210715 | 20210914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전단접착강도 5 MPa이상 실링의 구조적 접착력이 우수인장강도 3.5MPa이상 실링의 구조적 인장력이 우수난연성 V2 이상 화재 발생 시 새로운 점화원 회피건조시간 24 시간 이하 시공성 용이 페인트도장성 3.5MPa이상 페인트 부착성 선박도장 안전성확보내염수성 400 시간 해양환경에서의 내구성 확보 | 기술적인 측면은 고분자화학, 나노기술과 조선해양, 플랜트와의 융합기술 이며 마케팅의 조화를 융합하여 울산지역 주력산업인 정밀화학, 조선해양 산업 발전에 많은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며 현장 사용에 작업성에 따라 죄적의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는 1액형으로 개발할 예정이며 실란트 제품의 특성상 난연 기술의 적용은 국내외제품에는 적용사례가 없으며 난연성 성분을 ... | 전단 접착 강도,인장강도,난연성,페인트도장성,내염수성 | Shear adhesion strength,Tensile strength,flame retardant,paint paintwork,salt water resistance | 4000000 |
662 | 2022 | 산학연Collabo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66064 | 높은 전기전도도와 가격경쟁력을 지닌 고종횡비의 은(Ag) 코팅 HNT(Halloysite NanoTube) 소재 양산화 개발 | Development of mass-production of high aspect ratio silver (Ag) coated HNT (Halloysite NanoTube) material with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price | 최원종 | 엡실론주식회사 | 경기도 성남시 | 20220501 | 2022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주관연구개발기관은 기술성 검증을 바탕으로 사업성 확보 전략 - 주관연구개발기관에서 기술성 검증(Ag-HNT 제조공정 확립, 제품시연 및 시뮬레이션, 제품 최정화 및 인증), 시장성 검증(제품용도기존대체 및 추가시장진입모색, 제품시장조사, 현 고객사 수요 확인 및 추가 고객사 발굴), 사업성 검증(비즈니스모델 모색, 사업화계획 수립, 시장 ... | - 당사 제조 판매되고 있는 전도성파우더(은코팅구리분말, Ag coated Cu) 대비 Ag 코팅 HNT의 충진비율에 따른 전기전도도 및 화학적 안전성 확인 후 응용 제품 시장 진입까지의 예비타당성 검토 - (응용제품 시장 ① 전도성 페이스트용 필러) : 세계 금속나노분말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20년 약 79억 7,200만 달러에서 2025... | 은코팅HNT,전도성분말,전자파차폐,고종횡비,선형분말 | Ag HNT,conductive powder,EMI Shieling, high aspect ratio,linear powder | 61700000 |
1483 | 2022 | 산학연Collabo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65299 | 99% 생분해 필러블 (Peelable) 방청코팅 및 표면처리제 개발 연구 | RD of a Peelable Anti Corrosive Coat Liquid with a 99% Biodegradability | KIM JAMES GEON HAN | (주)조은기업 | 충청남도 천안시 | 20220501 | 2022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예비 단계에서는 제품 개발에 필요한 원료 구성과 배합비, 가열 및 교반을 포함하는 최적의 공정 절차 연구를 진행함. 기존 제품의 경우 폴리우레탄이나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등 안전성과 생분해도가 낮아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식물 추출물 및 식품첨가물 급의 불연성, 친환경 원료로 100% 대체하고 MIL STD, ... | - 전 세계 금속 표면처리제 시장은 전기도금 공정 및 연마 공정과 같은 다양한금속 표면처리 공정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해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또한 최근 IT 분야 제품의 혁신적인 성능 향상과 친환경인 표면처리 공정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환경 친화적인 금속 표면처리제가 표면처리제 시장의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보임. - 본 과제로 ... | 표면처리제,방청코팅,기화성방청,친환경표면처리제,친환경코팅제 | metal coating,anti rust coating,VCI coating,surface preparation,biodegradable coating | 56580000 |
296 | 2022 | 창업성장기술개발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9875 | 건조기용 고온 모터 윤활섬유 오일개발 | Development df high temperature motor lubrication fiber oil for dryer | 심준형 | (주)삼명퍼마셀 | 경상남도 양산시 | 20210623 | 20230622 | 기타 나노소재기술 | 1차년도에서 에스테르형 윤활 오일의 동점도를 현재 64[cm2/s]정도의 수준에서 알코올과 부식방지제 및 가수분해 억제제 그리고 증발방지제의 적절한 조성비 조건 연구를 통해 66까지 향상시킬 계획임. 이 동점도를 유지하는 조건에서 부식 산화 시험인 염수분무시험을 통해 부식 산화가 110 시간동안 발생되지 않아야 하며 이 시험 후 개발된 에스테르 윤활오일... | 시장에 미치는 영향 ·본 개발된 제품은 건조기와 건조세탁기에 적용되어 기존 가전제품에서 시장을 확대하여 신시장·신제품 창출, 글로벌 경쟁력 강화시키는데 활용될 것임. ·본 과제를 통해 얻어진 개발기술 성과들은 고온용 뿐만아니라 진공용 및 저온용 윤활 오일 개발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국내 모터 제작업체에서는 건조기의 사양을 계속 업그... | 고온용모터,건조기,윤활섬유오일,세탁기,에스테르 | HIGH TEMPERATUREMOTOR,DRYER,LUBRICATING FIBER OIL,WASHER,ESTER | 199000000 |
1249 | 2021 |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일반,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6493 | 고분자 화합물을 활용한 고성능 및 친환경 차세대 상하수도용 콘크리트 PC 구조물 개발 | Development of high-performance and eco-friendly next-generation concrete PC structures for water and sewage using polymeric compounds | 박영희 | 주식회사 대창 | 강원도 원주시 | 20210906 | 20230905 | 기타 나노소재기술 | □ 1차년도 - 선행연구(국내외) 사례 조사 - 농업폐기물을 활용한 고분자화합물의 성분분석 및 성능평가 - 고분자화합물을 포함한 고성능 콘크리트 2차제품 제조를 위한 성능특성 평가 : 고성능개발 - 고분자화합물을 포함한 친환경 콘크리트 2차제품 제조를 위한 성능특성 평가 : 친환경개발 | □ 고분자화합물을 활용한 건축 / 토목자재 성능개선의 국내 원천기술 확보 Up-cycling을 통한 농업과 제조업의 상생 기술 개발 및 신규시장 확보- 국내에서는 미비했던 고분자화합물을 활용한 고성능 건축 및 토목자재 분야의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신제품 개발을 통해 산업 발전- 저비용 / 고성능 혼합물인 나노셀룰로오스를 활용한 다양한 건축 및 토목자재 시장... | 고성능 콘크리트 PC제품,친환경 콘크리트 PC제품,고분자 나노셀룰로오스,농업폐기물,융합기술 | High Performance Concrete,Eco friendly Concrete,Nanocellulose,Agricultural and Fishery Waste,Convergence Technology | 162250000 |
1542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521 | 친환경 바이오 폴리우레탄계 수지 및 소재를 응용한 제품개발 | Development of products using ecofriendly biopolyurethane resins and materials | 박인규 | (주)한양에코텍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3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주관기관((주)한양에코텍): biomass 40% 이상 압출 코팅사 제조: 도비직기를 이용한 특수 조직 개발: 원단의 난연/방오/대전방지 가공 기술: 직물 원단의 코팅 기술 - 참여기관 1(삼부정밀화학(주)) : biomass 50% 이상 hot melt 필름 : 패키지용 트리코트 원단 개발 : 신발 및 가방용 상용화 확대- 참여기관 2((주)비에스지)... | [기술적 측면]○ 본 기술개발을 통해 개발하고자 하는 바이오매스 기반 폴리우레탄계 섬유소재 및 이를 이용한 인조피혁, 발포 소재는 바이오 고분자를 기반으로 하여 제조되는 소재임 따라서 일반적인 석유 기반의 제품과는 차별화가 가능함 ○ 특히 천연자원 유래 소재 개발은 선진국들이 앞 다투어 개발을 진행 중인 사항으로 본 기술에서는 피마자유, 대두유, 옥수수유 ... | 바이오매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신발 원단 ,TPU 하우징 원단,TPU 홈 인테리어 원단,TPU 의류용 원단 | Biomass TPU,TPU shoes fabric,TPU electronic housing fabric,TPU home interior fabric,TPU apparel fabric | 1175808000 |
1309 | 2021 | 산학연CollaboR&D(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49095 | 투광및 반사QD 기술적용 효율 및 연색성 동시향상 조명개발 | 고영욱 | 지엘비젼 | 강원도 철원군 | 20200622 | 2022062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투광 및 반사QD 기술적용 효율 100lm/W 및 CRI 90 이상의 LED조명개발 - 양자효율 68% 이상의 고안정 QD 소재 개발 - 균일도 편차가 5% 이하이며, 1,000Hr 5%이하의 감소율을 갖는 고안정 QD Film 개발 - 제품개발: 6인치 15W급 원형 적용제품개발 및 KC 인증획득 | - LED 조명의 고효율, 장수명 등의 특성으로 다양한 응용분야의 수요 증가가 예상됨 · LED 조명은 기존 백열등·형광등·할로겐을 대체 할뿐만 아니라 휴대전화, 자동차, BLU(Back Light Unit)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어 시장잠재력이 큼 · 최근 LED는 100lm/W이상으로 고효율화되면서 경관조명, 도로조명용 가로등... | 고효율,고연색성,퀀텀닷,퀀텀닷 조명,LED 조명 | high efficiency,high CRI,Quantum dot,Quantum dot Lighting,LED Lighting | 232500000 | |
1104 | 2021 | 나노·소재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0171 | 그래핀 합성/정제 공정 최적화 및 표준화 기술 개발 | Optimization and standardization for manufacturing process of graphen | 유희준 | (주) 그래핀올 | 경기도 수원시 | 20160601 | 202105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각 세부의 공동 협업 연구 개발을 통한 산화/정제/환원 공정 pilot 검증▷ 저순도 흑연 재처리 기술 통한 고품질 산화 그래핀 양산 공정 최적화▷ 친환경 산화제와 연속성 Microwave pilot를 통해 산화 공정 최적화▷ 산폐액 재처리 기술 통한 산폐액 절감 및 재활용 기술 개발⇒ 각 공정의 pilot 설비 설계와 공정 최적화를 통해 양산성 있는 ... | ▷ 표준 산화그래핀 시제품 시장 출시, 사업화▷ 산화그래핀 균일도 및 품질 향상, 저가격화▷ 에너지 저장용 환원그래핀 제품 출시▷ 환원그래핀 품질 비교 및 표준화, 고도화▷ 그래핀 표준 제품 공급 기반 확보, 유관 그래핀 산업 성장 기반 마련 | 산화그래핀,정제공정,크기 제어,환원그래핀,품질 평가 | Graphene Oxide,Purification,Size control,Reduced Graphene Oxide,QualityEvaluation | 146600000 |
470 | 2022 | 창업성장기술개발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60753 | 반도체 제조공정 부품 제전을 위한 산업용 필라멘트리스 이온원 개발 | Development of industrial filamentless ion source for antistatic components of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 김명진 | (주)라드피온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1001 | 20230930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기존 필라멘트 이온원을 이용하여 개발하여 성능이 확인된 이온주입을 이용한 반도체 공정부품의 제전 기술을 산업화하기 위하여 장시간 운영 및 조작성이 용이한 필라멘트리스 이온원 설계 및 제작하는 것이 1차년도 목표임 | - 세계 반도체 제전부품 솔루션(이온주입장치, 이온빔조사서비스) 시장은 약 1조원 이상으로 추정되며 국내 시장은 약 650억 이상으로 예상됩니다. (세메스(주) 제공) 세메스(주) 반도체 공정부품 납품업체 확인결과 이온빔 공정단가 10만원/회당이면 사업성 높음 확인하였습니다. 초기 수요 기업인 삼성자회사인 세메스(주)를 시작으로 이온빔 활용한 제전부품이 ... | 반도체,제전 ,이온원,필라멘트리스,안정성 | semiconductor,antistatic,ion source,filamentless,stability | 333334000 |
545 | 2022 | 제조중소기업글로벌역량강화(신규)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64908 | 방범용 유리를 대체할 수 있는 안전 접합 폴리머 시트 개발 | Development of Safety-Jointed Polymer Sheet to Replace Crime Prevention Glass | 이재식 | (주)아이델 | 경상북도 칠곡군 | 20210430 | 20230429 | 기타 나노소재기술 | - 폴리머 접합용 고성능 플라스틱 시트 개발- 양산 설비 설계 및 공정 최적화- Resin을 이용한 폴리머접합 양산 기술 개발- 폴리머접합 시제품 제작 및 평가- 기능성 부여를 위한 acryl-functional silica 분자설계 및 합성기술 개발- 고성능 발현을 위한 접착제 formulation 개발 - 방범시트 제조용 접착제 최적화 및 양산화 기술 ... | * 과학·기술적 기대효과 - 현재 방범성능이 요구되는 곳은 주로 강화유리 및 접합유리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높은 비중으로 인하여 무게가 많이 나가고, 높은 불량률 및 제한적인 설비로 인해 제품 크기의 한계, 생산성 저하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음.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유리(2.5)보다 비중이 낮은 플라스틱 시트(1.2)를 사용하여 방범성능을 높인... | 방범,폴리머,유리,접합,시트 | Crime prevention,Polyner,Glass,Lamination,Sheet | 313000000 |
741 | 2022 | 첨단의료기술개발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1465036308 | 혈소판 나노솜 망토의 특성 분석, 최적화 및 시작품 개발 | Development of platelet nanosome prototype for the engraftment of cellular therapeutics | 장귀훈 | 아키소스템바이오스트래티지스 주식회사 | 서울특별시 관악구 | 20200423 | 20221231 | 의약 약물전달 시스템 | 1세부에서 개발한 혈소판 나노솜과 혈소판 나노솜 망토착용 줄기세포의 특성, 독성, 안정성 및 분비체를 분석하고, 혈소판 나노솜 망토착용 골수단핵세포의 생착능을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기질에 따른 혈소판 나노솜의 제조 최적화 및 동결 보관 최적화를 통한 시작품 개발하는 것이 목표임. | 1) 골수단핵세포의 경우 의약품이 아닌 의료기술 범위에 포함되기 때문에, 특정 조건하에서 연골 결손 치료용으로 골수단핵세포는 신의료기술 인증 하에 환자에 적용 가능하므로, 본 연구과제의 성과를 통하여 적용 가능성이 확보되면 여타의 세포 치료제보다 빠르게 실제 임상에 적용 가능함. 2) 혈소판 나노솜 망토를 이용한 세포 치료제 생착능 강화 즉시사용 (off-... | 생착,혈소판막나노솜,혈소판,줄기세포,즉시사용 | engraftment,platelet nanosome,platelet,mesenchymal stem cell,off the shelf | 200000000 |
527 | 2022 | 인재활용확산지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9271 | 고감도 및 고선택성 액상세포 진단 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highly sensitive and selective liquid based cytology | 이자민 | (주)바이오다인 | 서울특별시 성동구 | 20211101 | 20231231 | 나노 바이오 물질 합성 및 분석기술 | ● 본 과제의 최종 목표로서 암세포와 정상세포를 고감도 및 고선택성을 가지고 구별할 수 있는 세포진단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함.- 암세포 표면 단백질에 결합하여 현미경 관찰시 암세포 마커의 발현을 감지 하여 정상세포와의 구별 감도를 높일 수 있는 항체-나노입자를 개발- 기존에 보유한 LBC (liquid based cytology) 시스템에 암 바이오마커 항... | ● 본 연구개발 사업의 지원을 통해 해외우수과학자의 경험과 특기를 활용하여 기존의 LBC시스템에서 발전된 신규 시스템을 충실히 구축할 것임. 이 성과들을 바탕으로 연구지원 종료 후에도 구축된 시스템을 이용해 병원 및 제약회사와의 연계를 통한 임상 활용방안 구상 등의 지속적인 신규 프로젝트를 유치하고자 함● 다양한 암세포의 표면 마커 발현 특성을 확인하는 나... | 액상세포진단,암진단,나노입자 | Liquid based cytology,Cancer diagnosis,Nanoparticle | 87000000 |
56 | 2022 | 창업성장기술개발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64095 | 실내 유해물질 저감 홈텍스타일용 고효율 가시광반응형 산화텅스텐 나노입자 광촉매 가공제 개발 | Development of high-efficiency visible light-reactive tungsten oxide nanoparticles photocatalytic processing agent | 최철훈 | 씨엠 | 경상북도 경산시 | 20220401 | 202403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산화텅스텐 나노입자의 섬유취하 방지 표면처리 기술개발 - 산화텅스텐 나노입자의 표면 처리를 위한 최적 불활성 무기재료의 선정 - 산화텅스텐 나노입자에 불활성 무기재료 처리공정 기술개발 - 표면 처리된 산화텅스텐 나노입자의 섬유가공 및 성능평가 | *경제적 성과: 3.2억원, 신규고용 2명*기술적 성과: 실내 유해 물질 저감 홈텍스타일용 가공제 개발- 본 기술개발을 통해 국내 기술을 이용하여 제품 개발함으로써, 국내 내수 시장은 물론, 기존 바이어 및 소비자가 요구하는 선진제품 대비 우수한 품질의 적정 가격 제품 전개로 인한 국외 시장으로의 진출이 확대될 것- 또한 상기 개발된 실내 유해 물질 저감 ... | 홈텍스타일,광촉매,가공제,실내유해물질,산화텅스텐 | Home textile,Photocatalyst,Processing agen,TVOCs,tungsten oxide | 118200000 |
102 | 2022 | 산학연Collabo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61636 | 70나노 기반 초저차압 나노섬유 원단 개발과 응용제품 제작 | Development of 70-nano based ultra-low differential pressure nano-fiber fabric and application production | 양광훈 | 퓨리파이테크노 | 광주광역시 북구 | 20210601 | 202305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o 예비연구에서 도출한 공정·방사 조건을 활용하여 100nm 수준의 원단을 최우선으로 개발 후, 실내가전용 필터 및 마스크 시제품 개발을 통한 상품성 검토 진행 예정o 마스크 시제품은 정량 목표 달성 이후 해외수출을 위한 양산 진행 및 양산 성능 향상을 위한 공정조건 도출 방안 모색 예정o 1차년도에는 개발 목표인 100 nm급 나노필터 원단 및 시제품으로... | - 에어컨 필터, 공기청정기, 초미세먼지 마스크 등의 자동차, 가전, 생활용품에서의 활용- 필터성능 소재로써 연구 확대를 통해 새로운 다기능성 용도를 확대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 제작된 시제품은 연구기관의 성능검증을 통해 품질을 보증하고, 개선점을 모색하여 산업체에서 더 나은 제품을 제작하기 위한 공정 조건 등에 대해 컨설팅을 진행할 수 있어, 기업의 기... | 나노섬유,초저차압,필터소재,HEPA급 ,미세먼지 | nanofiber,ultralow differential pressure,filter material,HEPA,fine dust | 145820000 |
312 | 2022 | 산학연Collabo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63640 | 혈관조영과 간 타게팅이 동시에 가능한 차세대 간 특화 MRI 조영제의 개발 | Development of liver specific MRI contrast agents with blood vessel visualization capabilities | 김지욱 | 인벤테라제약 | 충청북도 청주시 | 20220501 | 20221231 | 나노 바이오 물질 합성 및 분석기술 | 1) 최종개발목표: 혈관조영과 간 타케팅이 동시에 가능한 세계최초 철분 기반 간특화 조영제 개발2) 1단계 예비 연구 개발목표 - 간암 진단이 가능한 조영제 개발을 위한 개발전략 수립 - MRI를 이용한 간암 진단에 최적화된 조영제 프로토타입 개발 - 간암 동물모델에서 성능 검증 및 신 후보물질 도출 | 1) 연구개발 활용계획 -본 연구개발의 1단계 연구를 통해 차세대 간 특화 조제의 유효성 및 시장성/사업성을 검증할 수 있음. -1단계에서 도출된 결과물을 이용하여 2단계에서는 공정연구, GLP 안전성시험 등에 활용되어 최종적으로는 식약처 IND승인을 위한 IND 패키지 자료 확보에 사용될 예정임.2) 기대효과 - 본 연구개발 성과 조영제... | 자기공명영상,영상 조영제,간,간암,표적 이미징 | MRI,imaging agent,liver,hepatocellular carcinoma,specific imaging | 55463000 |
113 | 2022 | 창업성장기술개발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60122 | 20㎛이하의 Graphene[GO포함]/α-Al2O3가 코팅된 난삭재용 절삭공구 개발 | 권상준 | (주)세진티앤에스 | 서울특별시 구로구 | 20200630 | 20220629 | 기타 나노소재기술 | ㅇ 20㎛이하의 Graphene[GO포함]/α-Al2O3가 코팅된 난삭재용 절삭공구 개발 - 그래핀/α-Al2O3 코팅두께 20㎛이하 - 공구수명지수 0.6 이하 - CVD 방식을 이용한 코팅 기술 개발 - 공구 수명 300회 이상의 고수명 절삭공구 코팅 기술 개발 | · 최근에는 TiAlN계에 제3, 4원소가 첨가된 TiAlXN, TiAlXXN 뿐만 아니라 내산화성과 내마모성을 더욱 개선시킨 TiSiN, AlCrN, AlTiN 등 다양한 질화물 코팅이 개발되어 실 용화되고 있음. 또한 나노코팅, 다층막 코팅 및 복합코팅 등이 개발되어 우수한 절삭성능을 발휘하고 있으며, 또한 CVD 코팅에서만 가... | 절삭공구,코팅,그래핀,탄소,난연재 | cutting tool,coating,graphene,carbon,Incombustible Materials | 222250000 | |
1052 | 2021 | 창업성장기술개발(일반,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1190 | 유무기 복합 소재를 이용하여 1,000 CPS 이하의 절연유, 윤활유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누출 센서 시스템 개발 | 안현수 | 지프코리아 | 울산광역시 남구 | 20191001 | 20210930 | 기타 나노소재기술 | ○ 1,000CPS 이하의 절연유, 윤활유 등 감지 할 수 있는 누출 센서 시스템 개발 ○ 1차년도 개발 목표 - 1,000CPS 이하의 절연유, 윤활유 감지 센서 소재 개발 - 각종 비전도성 물질의 유전율 데이터베이스 확보 ○ 2차년도 개발 목표 - TDR방식을 접목한 바디 확보 - 유전율에 대한 모듈 제작 및 펌웨어 확보 - 모니... | - 개발 기술의 개요 · 당사의 개발 기술의 반응 원리는 특정 유해화학물질에만 반응하는 소재를 이용하여 감지하고자 하는 물질 이외에 다른 물질과 반응하여 오작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함 · 엠보싱 그래핀 (Embossing-Graphene)을 기반으로 석유계열인 휘발유, 경유, 등유 와 윤활유 계열인 유압유, 절연유 등에만 반응하는... | 저장,저장1,저장2,저장3,저장4 | Save,Save1,Save2,Save3,Save4 | 98750000 | |
1517 | 2021 | 로봇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401 | 염가 제작이 가능한 직경 10mm 이하의 초소형 6축 힘토크 센서 개발 | Development on lowcost 6 axis ForceTorque sensor with 10mm size | 강대희 | 에이엘로봇 | 기타 기타 | 20200501 | 20221231 | 기타 나노소자 및 시스템기술 | - 직경 10mm의 몸체 개발 - MEMS 패키징설계 제작 및 금형제작- Elastic 구조물 제작- 전자회로 설계/제작- 6축 센서 Integration - 200N/4Nm 스케일의 힘/토크 발생 장치 개발 - 힘/토크 발생에 따른 Stiffness/Safety Overload 임계점 측정을 위한 한계 성능 시험 장치 개발- ARM 기반... | [기술적 측면]1. MEMS 센서의 설계, 시뮬레이션, 공정, ROIC(Read-Out IC) 설계, 패키징에 이르는 일련의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힘/토크 센서 분야를 비롯하여 위치 센서,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 등 다양한 관성 센서 분야의 기초 기술 축적이 가능함.2. 센서의 모듈화, 공정 단순화와 캘리브레이션 기술 개발을 통해 가성비 최고의 토크/... | 6축 힘토크 센서,초소형,염가,보정기술,MEMS기술 | 6 axis ForceTorque sensor,Ultrasmall size,Low cost,Compensation,MEMS Technology | 793000000 |
588 | 2022 | 전략핵심소재자립화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80382 | 센서 시장 대응 적외선 투과도 95%이상 광학용 황 활용 고굴절율 고투과 고분자 소재 제조 및 응용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high refractive index, high transmissive sulfur-containing optical polymeric materials and application technologies for the sensor market | 이홍권 | 알엠스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4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2단계 1차년도 목표]ㅇ 원적외선 투과 황함유 고분자 소재 내열/기계적 물성 향상을 위한 화학구조 제어 기술 개발ㅇ 황함유 고분자 복합소재 제조를 통한 광특성 및 내열성 향상ㅇ 유무기 복합화 및 광학 특성 제어된 황함유 고분자 복합소재ㅇ 황함유 광학소재 렌즈 성형기술 개발 및 평가ㅇ 황함유 고분자 소재의 원적외선 영역 광학코팅 관련 선진기술 동향분석 및... | ㅇ 황(S) 을 주성분으로 한 원적외선이 투과되는 고분자소재가 개발됨에 따라, 열화상카메라용 적외선렌즈 단가를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경제적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ㅇ 황 고분자소재를 활용하여 열화상카메라용 적외선광학렌즈가 개발될 경우 획기적인 가격절감 효과를 바탕으로 민수분야에서 폭발적인 시장수요가 전망ㅇ스마트폰 탑재, 차량용... | 황함유 고분자,적외선 투과도,열화상 카메라,적외선성형렌즈,무반사코팅 | SulfurContaining Polymer,Infrared Transmittance,Thermal Imaging Camera,Molded IR Optics,Antireflection Coating | 1684100000 |
314 | 2022 | Tech-Bridge활용상용화기술개발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61340 | 소형 레이저 스캐너 및 고속 정밀 가공 장치 개발 | 장인구 | (주)에스엠텍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801 | 20220731 | 나노패터닝 공정기술 | - (2차년) 소형 레이저 스캐너 및 가공 기술 개발·고속 정밀 가공 장치의 전용 소형 레이저 스캐너 제작·소형 레이저 스캐너에 대한 성능평가 및 보완·고속 정밀 가공 장치 시스템 구축, 운용 최적화·고속 정밀 가공 장치와 소형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한 레이저 가공 테스트·반도체, 디스플레이 소재·부품 Color filter repair, dicing, 3D... | [기술적 측면]○ 고속 정밀 레이저 가공 장치를 통해 광학부품 제작 기술 및 광섬유 분야의 응용을 통해 의료, 센서, 광소자, 정밀측정 등의 더 넓은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며, 이를 이용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음○ 레이저 미세 가공 기술에 대한 기술력 선점을 통해 레이저 가공에 대한 경쟁력 확보가 가능함.○ 기존 가공 기술에 비해 매우 정밀하고 고속... | 레이저 가공시스템,스케너 가공,대물렌즈,미세가공,가공 노즐 | laser system,scanner,objective lens,micro ,processing nozzle | 500000000 | |
192 | 2022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66505 | 디스플레이의 전자기파 차폐용 고전도성 우레탄-아크릴 점착제 개발 | 이강석 | (주)명신기연 | 경기도 화성시 | 20201124 | 20221123 | 기타 나노소재기술 | 우레탄-아크릴 점착제의 굴절률 조절을 분자구조 개선 및 합성 우레탄-아크릴 점착제의 대량 합성기술(scale-up) 개발 위탁연구기관에서 개발한 대량 전도성 필러 분산기술 실증화 대량의 점착제에 전도성 필러 분산기술 적용 점착제 성능 검증ㆍ비교 | 제품 양산 기대■ 시제품의 완성 이후에도 효율적인 양산비용 관리를 위해서 대량 합성 공정조건의 확립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됨. 외부 전문가 또는 양산 업체와의 컨설팅과 추가 설계를 거쳐 품질유지 및 단가를 최소화할 계획에 있음■ 양산에 있어 현재 큰 비중을 지니는 반응공정 설계는 현재 예정된 거래처와의 협업이 가장 중요하며 기본적인 견적을 받아가며 진행할 예... | 디스플레이,전자기차폐,전도성,우레탄변성아크릴,점착제 | Display,Electromagnetic shielding,Conductivity,Uerethane modified acryl,pressure sensitive adhesives | 315000000 | |
1419 | 2021 | 연구개발특구육성(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재단)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 1711150933 | 광대역 광 센서용 소재 시스템 합성 장비 개발 | Synthesis system of materials system for broadband photodetector | 송성무 | 사이언스 세이프티 주식회사 | 충청북도 청주시 | 20210916 | 20220915 | 기타 나노소자 및 시스템기술 | 4차 산업 혁명의 총아이며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는 센서기술은 나노 기술의 접목으로 그 경쟁이 격화되고 고감도 감지센서의 기반 기술확보는 기술경쟁의 최급선무입니다. 기존의 광센서의 문제를 화학기상증착법과 분자선 에피텍션법을 결합하는 제조 장치를 개발하여 기존의 생산현장에서 고부가 센서 재료인 2차원 나노소재, 헤테르 필름을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 원천기술 기반의 사업화로 기술 국산화를 통해 자율 주행 자동차 및 스마트 팩토리 등 4차 산업혁명에 적용하여 향후 관련 센서 시장뿐만 아니라 다양한 스마트IT 분야를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고, 사전 장비설명 및 구매의사 타진으로 8개 기관에서 7.6억원의 구매의사를 전달 받고 있습니다. 또한 4개 기관에 장비의 설명, 구매의사에 대한 협의를 진행하고... | 나노소재 합성,연속 합성,2차원 나노소재,광센서 소재,광대역 광감지 | Nanomaterials synthesis,Continuous synthesis,2D nanomaterials,Photosensing materials,Broadband Photodetection | 253000000 |
763 | 2022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67255 | 반도체 공정용 In-Line AFM 기반의 전기적 특성 계측 / 검사 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Electrical Characteristics Measurement and Inspection System Based on In-line AFM for Semiconductor Process | 안병운 | (주)파크시스템스 | 경기도 수원시 | 20220624 | 20260623 | 나노 측정기술(100 nm이하) | 1차년도□ 나노 패턴 전류 인가용 Probe Station 적용 검토 및 소형화 개발과 SPM Mode 자동 전환이 가능한 Tip-Scanning□ Probe station 소형화 구현을 위한 각종 기구 검토 및 설계, 분석 알고리즘 컨셉 구성을 목표로 한다. | ○ FET, Flash 메모리가 점차 미세화, 고도화 되면서 Planer 했던 구조가 3차원 구조로 점차 복잡한 형태를 보이게 되었음. 따라서 기존 AFM 기반의 전기적 특성 측정은 단순한 Planer 구조에서만 측정할 수 있었음. ○ 이를 위해서 Probe Station을 활용해 Top에서 Bias를 인가하는 방식을 도입하여 일반 C-AFM, EFM, K... | 패턴결함,원자현미경,전기적 특성화,반도체,검사 공정 | Pattern Defect,Atomic Force Microscope,Electrical characterization,Semicondutor,Inspection Process | 390000000 |
165 | 2022 | 소재부품장비혁신lab기술개발사업(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119 | 탄소 유연 전극 기반 에너지 절감용 쌍안정성 광셔터 개발 | Energysaving bistable light shutter using carbonbased flexible electrodes | 조정대 | (주)큐시스 | 기타 기타 | 20210501 | 2022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주관기관 ((주)큐시스)] o RTR, 성능 평가 장비 구축 및 큐시스 시작품 제작- 큐시스 내 RTR 공정 개발을 통한 큐시스 시작품 제작.- 큐시스 제작 시작품과 Kent Displays 제작 시작품의 비교 연구를 통한 성능 향상.- 단위셀 및 시작품 성능 향상 및 안정화를 위한 성능 평가 결과 및 피드백 제공. [참여기관1 (전북대학교)] ... | - 쌍안정성 광셔터의 에너지 절감 측면에서 스위칭 메커니즘의 시작품화 시제품화를 통해 기술적 완성도를 한층 높일 수 있음.- 관련 분야 RTR 공정의 시제품화 노하우를 갖고 있는 해외기업의 R&D센터를 국내 유치함으로써 시장 잠재력이 높은 기술의 대량 생산 RTR 공정 기술 노하우의 국내 도입 및 국산화 유도.- 유연 기판과 그 사이의 유체를 샌드위치 시키... | 탄소기반 복합소재 유연전극,쌍안정성 유연 광셔터 ,에너지 절감,스마트 윈도우 ,차량용 윈도우 | Carbonbased composite flexible electrodes,Bistable flexible light shutter,Energy saving,Smart windows ,Vehicle windows | 520255000 |
259 | 2021 | 창업성장기술개발(일반,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7246 | 반도체 및 전자기기 고도화에 따른 유해물질 저감 초미세 접합용 소재 개발 및 양산 | Development and mass production for ultra-fine bonding to reduce harmful substances due to the advancement of semiconductors and electronics | 오현욱 | 주식회사 에이솔머티리얼즈 | 경기도 용인시 | 20211101 | 202210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 초극미세 소재 개발- 환경친화형 접합소재 개발- 소재의 국산화 (자체개발)◎ 기존- T4(20~38㎛)~T5(15~25㎛)사이즈 상대적으로 큰 입자- 유해물질 함유 (할로겐족 : F, Cl, Br)- 90%이상 해외(일본)산◎ 목표- T6(5~15㎛)이하 사이즈 초극미세 입자- 유해물질 저감 (화장품 원료물질 및 유기산류)- 국산화 완료 (자체개발)① ... | ①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전기/전자분야 - 고성능화에 따른 적용가능한 소재의 범위 확장 - 친환경 기업의 이미지 제고 및 홍보효과 극대화 - 전기/전자 분야 정밀한 작업 가능성 확대 - 기술확보에 따른 시장확대 가능성 상승◎ 반도체 분야 - 반도체 분야 성장으로 인한 관련소재분야 성장가능성 증가 -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 가속화 - 국산화에 따른 가격경쟁... | 소재,접합,유해물질,개발,금속 | materials,bonding,hazardous substances,development,metal | 66700000 |
822 | 2021 | 소재부품산업전문기술개발사업(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2181 | 코어재를 적용한 소형선박용 샌드위치 구조 섬유강화 복합재 개발 | Development of Foam Core Material and Composite for Shipbuilding | 이재욱 | (주) 동성케미컬 | 기타 기타 | 20150601 | 202105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연속공정에 의한 발포조건 연구 및 공정 최적화 연구(연속공정에 의한 폼 제조 및 양산화 공정 기술 최적화) - 샌드위치 구조 섬유강화 복합재용 폼코어재 개발(PVC, PPS, PET) : 밀도 110kg/m3, 압축강도 1.55 MPa 이상 - 샌드위치 구조 섬유강화 복합재용 하이브리드 섬유 : 인장강도 100kg/inc... | 본 과제는 해양레져 분야에 특화된 샌드위치 복합재료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코어재를 적용한 소형선박용 샌드위치 구조 섬유강화 복합재는 해양 레져용 소형선박에 고비강성, 내충격성 등의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는 섬유 기반의 구조 재료로써 섬유 및 코어재의 특성에 따라 경량성, 난연성 등의 기능화가 가능한 하이테크 소재임이러한 샌드위치 복합재료의 ... | 폼코어재,열가소성,섬유강화,샌드위치복합재,진공액상성형공정 | Foamcore,Thermoplastic,Fiber reinforced,Sandwich composite,Vacuum Assisted RTM Process | 851500000 |
723 | 2022 | 창업성장기술개발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60551 | 차세대 성장동력 SiC 전자전기 소재 | 서상준 | 주식회사 아르케 | 경기도 용인시 | 20200501 | 20220430 | 기타 나노소재기술 | 플라즈마 적층형 고속 원자층 SiC Epitaxy 시스템 검증 및 시제품 제작 및 평가 - SiC Epi Wafer 시제품 제작 - SBD(Schottky Barrier Diode)용 Epi wafer 개발 및 평가 - Power MOSFET용 Epi wafer 개발 및 평가 - 용량별 SiC 전력반도체용 Epi wafer 개발 및 평가 플라즈마 ... | 플라즈마 적층형 고속 원자층 SiC Epitaxy 시스템 검증 및 시제품 제작 및 평가 - SiC Epi Wafer 시제품 제작 - SBD(Schottky Barrier Diode)용 Epi wafer 개발 및 평가 - Power MOSFET용 Epi wafer 개발 및 평가 - 용량별 SiC 전력반도체용 Epi wafer 개발 및 평가 플라즈마 ... | 실리콘카바이드,에피기판,전력반도체,원자층,박막 | SiC,Epitaxial Wafer,Power Semiconductor,Atomic layer,film | 222223000 | |
1389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331 | 반도체 배선 공정용 금속박막 ALD 전구체 기술개발 | Development on ALD precursors for metallization process for nextgeneration semiconductor devices | 변영훈 | 주식회사 메카로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41231 | 나노화학 공정기술 | 개발목표]1. 메카로:- 신규 리간드 설계/합성: 2종이상- Mo, Ru, Co 전구체 설계 및 합성: 2종이상- Ti, Nb, Mo전구체 설계 및 합성: 3종이상2. 한국화학연구원- 신규 리간드 설계/합성: 2종이상- Mo, Ru, Co 전구체 설계 및 합성: 2종이상- Ti, Nb, Mo전구체 설계 및 합성: 2종이상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F-f... | [개대효과]]- 리간드 디자인 기술 향상으로 과제 목표인 금속의 전구체 뿐만 아니라 다른 용도의 반도체용 전구체 개발에도 큰 기여를 할것으로 예상- 개발된 리간드의 종류 및 구조가 개발하려는 전구체의 중심 금속과의 화학에 대해 이해도향상 - 신규 전구체의 증착 특성과 전구체의 리간드와 중심 금속 간의 상관 관계 파악을 통해 리간드 및 전구체 개발 속도 ... | 원자층 증착,금속박막,전구체,반도체,배선 | ALD,metal thin film,precursor,semiconductor,meatllization | 745602000 |
1246 | 2021 | 창업성장기술개발(일반,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0661 | 차세대 고체냉각 반도체 개발 및 제품화 | 이종수 | 브이메모리 주식회사 | 경기도 용인시 | 20201201 | 20221130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1) 추가 특허출원 및 등록 : 열전소재 조성 및 소재 제조기술의 원천특허에 대한 계속출원 및 분할출원 10편 예정① 공정 소재 : 고효율 열전소재 성능 최적화 기술 및 신소재 개발 특허 출원 ㉠ 열전냉각소재 기지물질을 기반으로 나노입자 분산 소재를 개발하고 계면 퍼텐셜 효과를 증대시켜 열전성능을 증대시키는 연구를 진행할 것입니다. ㉡ 계면 퍼텐셜의 이... | (1) 추가 특허출원 및 등록 : 열전소재 조성 및 소재 제조기술의 원천특허에 대한 계속출원 및 분할출원 10편 예정① 공정 소재 : 고효율 열전소재 성능 최적화 기술 및 신소재 개발 특허 출원 ㉠ 열전냉각소재 기지물질을 기반으로 나노입자 분산 소재를 개발하고 계면 퍼텐셜 효과를 증대시켜 열전성능을 증대시키는 연구를 진행할 것입니다. ㉡ 계면 퍼텐셜의 이... | 고체냉각,열전반도체,열전소자,열전소재,열전모듈 | Solid state cooling ,Thermoelectric semiconductor,Thermoelectric element,Thermoelectric material,Thermoelectric module | 207767000 | |
1125 | 2021 | 연구개발특구육성(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재단)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 1711149660 | 반도체 식각공정용 탄화규소 제조용 PVT 장비개발 | 정은진 | 케이엑스티 | 경상남도 진주시 | 20210701 | 20220630 | 기타 나노기반 공정기술 | 장비스펙 1) 최고 가열 온도 : 2500°C 2) 최저 진공도 : 1.33x10-4 Pa 3) 압력조절범위 : 1~100 kPa 소재스펙 4) SiC 링 직경 : 300mm 5) 순도 : 5N5% 6) 플라즈마 내구성 : (CVD-SiC Ring대비)20% 증가 | 5nm 이하 초미세화 반도체 공정에서 Ring 소재의 오염 입자 발생 이슈가 대두되고 있음. 대체 소재로써 현재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내식성을 가지는 CVD-SiC Ring소재가 주목받고 있음. 그러나 점점 더 미세화 되는 공정 속에서 고성능 소재의 요구는 필수적이므로 CVD-SiC Ring대비 고 내구성의 SiC Ring 제조장비 개발이 시급 이러... | 반도체, 식각공정, 플라즈마, 탄화규소 링 , PVT 장치, | semi conductor, Dry etching, plasma, silicon carbide , PVT device | 251000000 | |
635 | 2022 | 창업성장기술개발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64477 | MS폴리머(실리콘폴리머)를 이용한 내열성300°C 이상 상온에서 견디며 밀봉성이 뛰어난 액상 개스킷 국산화 개발 | Development of liquid gasket localization with excellent sealing properties and withstanding heat resistance of 300°C or higher at room temperature us | 서대용 | 주식회사 엠티지 | 울산광역시 남구 | 20220401 | 202403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1. 내열성이 높은 MS폴리머수지, 실리콘 수지선정 선정 2. 1액형으로 접착력이 높은 합성수지 및 필러 적용 3. 내열성이 높은 아민 경화제 합성 4. 액상형 개스킷 실란트 조성물 연구5. 충진재 및 강인화제 선정 배합 | 기술적인 측면은 고분자화학과 조선해양, 플랜트와의 융합기술이며 마케팅의 조화를 융합하여 울산지역 주력산업인 정밀화학, 조선해양 산업 발전에 많은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며 현장 사용에 작업성에 따라 최적의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는 1액형 으로 개발할 예정이며 개스킷 실란트 제품의 특성상 3.5MPa 이상의 전단 접착 강도 기술의 적용은 국내 제품에는 적용 ... | 개스킷실란트,밀봉성,내열성,1액형,액상 | Gasket sealant,Sealing property,Heat resistance,1 liquid type,Liquid | 117000000 |
360 | 2022 | 나노융합혁신제품기술개발사업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074 | 나노코팅기술을 적용한 10인치급 CID용 터치패널 일체형 오염방지 사출 투명 렌즈 기술개발 | Development of Integrated AntiPollution Injection Transparent Lens Technology for 10inch CID with NanoCoating Technology | 김성훈 | (주)태동테크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5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방오 소재 공정 최적화 및 양산 설비 구축○ 무결점 Resin Transfer 성형공법 기술개발○ Index Matching이 적용된 투과율 88% 수준의 저항값 120Ω/□인 대면적 Roll to Roll 스퍼터 기술개발○ 편광 최소화 터치센서 전극용 Index matching(IM) 제조공정 기술개발○ 나노 방오소재 코팅 조건 수립을 소재 특성 최... | ○ 나노박막 코팅공정 기술을 이용하여 CID 제조물의 안정성 확보 공정기술○ 내광, 방오 기능 소재의 Layer 구조 설계 기술 확보 (내광+방오 기능 Trade off)○ 10인치급 대형 CID에 적용 가능한 고기능, 연신 Film, 사출 렌즈, 편광이 최소화된 터치센서 제조기술 확보○ 나노 방오 소재 코팅 공정기술 확보를 통한 경량화 및 수입대체 효과○... | 자동차,방오 필름,투명렌즈,터치 필름,정보 디스플레이 | Vehicle,Antifouling Film,Transparent Lens,Touch Film,Information Display | 928350000 |
633 | 2022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63241 | 반도체 공정장비용 11 W/mK 이상급 초고열전도성 소재 개발 | Thermal conductive materials of thermal conductivity over 11 W/mK for semiconductor equipment | 최현석 | (주)에스엠티 | 경기도 수원시 | 20210601 | 202305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최적 표면처리제 합성 및 표면처리 공정기술 개발 - 열전도도 : 10 W/mK 이상 - 열저항 : 0.3 K/W 이하 - 체적저항 : 1x1014 Ωㆍcm 이상 - 내전압강도 : 6 kV/mm 이상 - 열전도 시트 기공율 : 1.0% 이하 | (1) 개발결과물의 주요 성과□ 초고열전도성 소재 확보 반도체 공정장비 및 전기전자용 10~17 W/mK급 초고열전도성 소재 확보- 현재까지 시장에 출시되어 있는 10 W/mK급 이상의 열전도성 소재는 금속 베이스로 제조되어 전기적인 절연성이 요구되는 반도체 공정장비분야, 전기자동차 분야 등에는 사용 불가능함- 세라믹 필러 베이스의 10~17 W/mK급 ... | 고열전도성,열전도도,시트 기공율,필러 표면처리,반도체 공정 | High thermal conductive,thermal conductiviy,sheet porosity,filler surface treatment,semiconductor process | 300000000 |
641 | 2022 |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9008 | Au Bump용 고순도 Au-Be, Au-Ge-Ni계 진공증착 합금 소재의 국산화 기술개발 | Localization technology development of high-purity Au-Be, Au-Ge-Ni based vacuum deposition alloy material for Au bump | 정병조 | 디에스엠 주식회사 | 경기도 안성시 | 20210421 | 20230420 | 기타 나노소재기술 | o Au99%Be1%, Au95%Ge2%Ni3% 합금 제조공정 설계o Au99%Be1%, Au95%Ge2%Ni3% 합금 제조 기술개발o 스웨이징 단조 공정을 이용한 AuGeNi 합금 펠릿(3파이×3mm) 제조공정 기술개발o Au99%Be1%, Au95%Ge2%Ni3% 합금 미세조직 분석 및 성능평가 | 0 과학·기술적 측면 - 디스플레이산업의 핵심소재인 Au계 합금 증착소재의 경우 제조 방법, 조성비 등에 대한 내용이 비공개화 되어 있으며, 특히 고가의 희소금속을 사용하고 있어 중소기업의 재정적인 문제로 인해 국산화하기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기술 분야임. - 디스플레이 산업 분야는 전량 수입(미국, 일본)에 의존하고 있으나, 최근 일본의 백색국가... | 고순도 Au계 합금,스웨이징 가공,진공유도용해,진공증착 합금소재,진공 열처리 | High purity Au based alloy,Swaging processing,Vacuum induced melting,Vacuum evaporation alloy mater,Vacuum heat treatment | 323000000 |
353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80368 | OLED 청색인광소재의 고효율 및 장수명 발광소재 개발 | Development of a phosphorescent OLED with high efficiency and long lifetime | 빈종관 | (주)피엔에이치테크 | 기타 기타 | 20220401 | 2025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가) 소자성능 o 외부양자효율: 14% o 색좌표 (CIEy): 0.25±0.02 o 발광파장: 470±5 nm o 반치폭: 70% | o. 호스트 & 도펀트의 연구개발중인 DB확보o. Dopant의 Charge Trap 현상등을 방지 할 수 있는 호스트 & 도펀트간 에너지 준위 차이 상관성 결과 확보o. 도펀트의 대한 호스트의 에너지 준위 값 설정o. 도펀트 대비 고삼중항을 갖는 호스트의 삼중항준위 값 설정o. 결합해리에너지와 소자내에서의 구동 간 상관성 데이터 확보o. Pt착체의 형태... | 디스플레이,유기전계발광소자,인광,발광재료,장수명 | Display,OLEDs,Phosphorescence,Emitting material,long lifetime | 1067545000 |
547 | 2022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66882 | 최신 제어 기술의 High Throughput Low Defect 8“ CMP 장비 개발 | Development of High Throughput Low Defect 8 CMP equipment with the latest control technology. | 이정우 | 주식회사 실트렉스 | 경기도 오산시 | 20220501 | 20240430 | 기타 나노기반 공정기술 | [주관연구개발기관 개발 목표] □ 1차년도 : Polisher 장비 + Software * 지적재산권 관련 선행기술 조사 및 출원 - 선행기술 조사 및 특허 회피 전략 수립 - 자체 특허, 디자인 등 지적재산권 출원 * Polisher - Concept, 기구, 전장제어, software 설계 - 주요 Module 부품 선정(Spec ... | 1) 연구개발성과의 활용방안 (1) 개발결과물의 주요 성과 □ 지적재산권 □ 8“ 국산화 CMP 설비 :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전장기술 □ 국산화 부품 (2) 개발결과물의 활용분야 및 활용방안 □ 8“ 파운드리 * 국내 : 삼성전자, DB 하이텍, SK하이닉스시스템IC, 키파운드리 * 해외 : TSMC, SMIC, UMC 등 □ CMP 관련 소부장 ... | 화학기계적연마설비,반도체설비,8인치화학기계적연마설비,국산화반도체설비,파운드리 |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200mmCMP instrument,foundry,Semiconductor Instrument | 237500000 |
634 | 2022 | 창업성장기술개발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63750 | 리튬 이차전지 양극 활물질에 대한 내식성, 고온안정성, 장수명을 갖는 내화갑 개발 | Development of saggar with corrosion resistance, high temperature stability and long lifespan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positive active material | 한준수 | 주식회사 리프타일 | 경상북도 경산시 | 20220401 | 202403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리튬 이차전지 양극 활물질에 대한 내식성 향상기술 개발- 리튬 이차전지 양극 활물질로 사용되는 리튬(Li), 코발트(Co), 망간(Mn), 니켈(Ni) 이온들이 내화갑의 구성 물질과 반응하여 부식이 일어나는 것을 막고자 함- 내식성이 우수한 원료 조성과 배합조건을 찾아내고자 함-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최적화된 원료 입자 크기 및 분포를 찾아내고자 함 고온안... | 전기를 저장하는 물질로 리튬을 포함하고 있는 리튬이차전지는 전자·정보기기, 미래형 자동차 및 지능형 로봇 등 현재와 미래 첨단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산업임 리튬이차전지의 구성요소 중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소재는 리튬을 포함하고 있는 양극 물질임 리튬 이차전지 양극물질은 정부에서 최근 발표한 첨단 신소재 10대 WPM(World Premium M... | 세라믹,내화갑,이차전지,내화물,소재부품 | ceramic,sagger,box sagger,secondary battery,material | 117000000 |
1397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544 | 모빌리티기반 경보용 센서 융합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sensor convergence technology for alarm based on mobility | 이인 | 주식회사 이엘티센서 | 기타 기타 | 20200801 | 20221231 | 나노 photonics기술 | [개발 목표]■ 주관기관((주)이엘티센서) : · 개발 적외선 광원, 광 검출기 적용 악취 유해 및 악취가스 측정용 광학식 센서 제작 및 성능 비교 시험 · 개발 온/습도, 자외선 센서 소자 적용 센서 모듈 제작 및 평가 · 교정 알고리즘 개발 및 7종 센서 교정 시스템 제작 · 악취/유해 가스 측정 광학식 센서용 대상 가스 광학적 분석■ 참여기... | ○ KETI에서 개발된 적외선 광원, 광 검출기를 적용하여 유해 및 악취가스 측정용 광학식 센서 제작 및 성능 비교 시험함으로 개발된 광원과 광검출기의 특성을 파악하게되며 개선사항을 도출하게 됨.○ KETI에서 개발된 온/습도, 자외선 센서 소자 적용 센서 모듈 제작 및 평가하여 개발된 센서 소자의 특성을 파악하게 되며 개선사항을 도출하게 됨.○ 7종 유해... | 광검출기,적외선광원,광학식센서,모빌리티,유해가스센서 | Optical Detector,Infrared Source,Optical ensor,Mobility,Hazardous gas sensor | 1347200000 |
417 | 2022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64315 | 세라믹 레이어 가이드와 오리피스 공기베어링을 이용한 초정밀 스테이지 개발 | Development of ultra-precision stages using ceramic layer guides and orifice air bearings. | 김진우 | (주)에어로시스템 | 경기도 수원시 | 20220401 | 20240331 | 기타 나노기반 공정기술 | □ 세라믹 레이어 가이드 오리피스 타입 공기베어링 위치제어시스템 요소 부품 기술 개발- 세라믹 레이어 용사 가이드 개발 및 기초 시험- 오리피스 박스 타입 공기베어링 모듈 설계 및 제작- 공기베어링을 적용한 위치제어시스템의 요소 기술 개발- 1축 위치제어 시스템 주요 구성 설계 및 기구 제작- 세라믹 레이어 가이드 적용 1축 시스템 테스트 및 신뢰성 검토 | (1) 개발결과물의 활용분야 및 활용방안□ 세라믹 레이어 가이드 빔- 용사 기법의 세라믹 레이어 기술은 고경도의 코팅을 얻을수 있다.특히 치밀한 조직형성, 접착강도, 탄성계수 등의 특성치가 높다.자동차, 섬유, 제지, 산업기계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 오리피스 타입 공기베어링 위치제어시스템- 오리피스 타입 공기베어링 스테이지는 강성이 좋으며, 시스템 안정... | 세라믹레이어가이드,오리피스 ,공기베어링,스테이지,고정밀 | Ceramic layer Guide,Orifice,Air bearing,Stage,Precision | 225000000 |
1360 | 2021 | 소재부품글로벌투자연계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470 | 난치성만성 질환 치료를 위한 약물 전달 국소치료재료 개발 | Development of drug delivery local treatment materials for the treatment of intractable and chronic diseases | 이은혜 | 넥스트바이오메디컬 | 인천광역시 연수구 | 20210801 | 20231231 | 의약 약물전달 시스템 | [1차년도 목표] : 약물전달시스템을 이용한 난치성 또는 만성질환 치료를 위한 제제 최적화 및 예비 유효성 평가ㅇ 제제 연구를 위한 원료 스크리닝ㅇ 2종 이상의 후보 제제 선정ㅇ 선정된 제제의 특허 출원ㅇ 유효성 평가를 위한 질환 모델 구축ㅇ 예비독성시험, 용량설정시험 | o 본 과제를 통해 국소치료용 약물전달시스템의 플랫폼 기술을 개발하여 다양한 난치성, 만성 질환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할 예정임o 우선 1차 타겟으로 난치성 질환은 복막암이나 췌장암을 선정하여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를 치료하는 제제 개발 예정. 만성 질환은 국소치료가 가장 효과적인 퇴행성 관절염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스테로이드 탑재 제제 개발 예... | 생분해성,약물전달시스템,의약품의료기기 복합제품,웨이퍼,미네랄 검 | Biodegradable ,Drug delivery system,DrugDevice Combination Products,Wafer,Mineral Gum | 225000000 |
240 | 2021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특별,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6040 | 졸겔법을 이용한 석유/화학 촉매용 알루미나계 구형화 담체 제조 | Development of alumina-based spheronized support for petroleum/chemical catalysts using the sol-gel method | 정승화 | (주)쎄노텍 | 경상남도 함안군 | 20210901 | 202508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1) (주)쎄노텍(주관기관) -석유/화학 촉매용 흡착제 구형화 담체 제조를 위한 졸겔법 구형화 공정 기술 기반 확인2) 한국재료연구원(위탁기관) -석유/화학 촉매용 흡착제 구형화 담체 제조를 위한 전이 알루미나 관련 선진社 원료 분석, 원료 선정 및 조성 개발 |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방안 ㅇ(가격 경쟁력) 현재 선진사 제품의 평균가격은 25,000~30,000원/kg 수준으로 시장이 형성되어있음. 담체의 소재, 기공율 및 분포, 크기, 코팅의 종류별 특성에 따라 적용산업이 구분되며 이에 따라 제품가격은 다소 상이함. 쎄노텍의 시장 진입 시, 경쟁사의 가격인하 정책이 예상되어지나 쎄노텍 자체개발 공정비를 산정한 ... | 담체,흡착제,지지체,졸겔법,보헤마이트 | carrier,Adsorbent,Support,sol gel method,Boehmite | 256250000 |
471 | 2022 | 창업성장기술개발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61024 | 대면적 자유곡면 광계측 센서 개발 | 유준호 | (주)넥센서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401 | 20220331 | 나노 측정기술(100 nm이하) | 대면적 자유곡면 실시간 형상측정 센서 개발1. One-Shot 측정 광학계 및 SW 개발2. 고속 형상측정 알고리즘 개발3. 로봇 또는 장비와 결합한 측정 시스템 개발 및 성능 검증- 측정면적(mm) : < 250 x 125- 측정속도(sec) : < 2- 반복정밀도(um) : 200- 수평분해능(um) : 70- 하중(kg) : 6 | 대면적 자유곡면 실시간 형상측정 센서 개발1. One-Shot 측정 광학계 및 SW 개발2. 고속 형상측정 알고리즘 개발3. 로봇 또는 장비와 결합한 측정 시스템 개발 및 성능 검증- 측정면적(mm) : < 250 x 125- 측정속도(sec) : < 2- 반복정밀도(um) : 200- 수평분해능(um) : 70- 하중(kg) : 6 | 광계측,측정,자유곡면,스마트공장,센서 | Metrology,measurement,free form,smart factory,sensor | 222223000 | |
129 | 2022 | 창업성장기술개발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66868 | Metal core PCB 회로 형성용 대기소결형 구리 나노 잉크 개발 | Development of Air Sinterable copper nano ink for printable LED metal PCB circuit | 황차환 | 윈넬씨엔엠 | 경기도 화성시 | 20220502 | 2023050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본 사업은 1년차 단기 사업으로 차수별 기술 개발 목표는 최종개발 목표와 같다. 1) 고가의 은 페이스트를 대체 할 수 있는 저가의 구리-나노 잉크를 제공하는 것 2) 도금기술 대체용 MCPCB 회로 제작용 전도성 재료를 제공하는 것 3) 저비용 고성능의 MCPCB를 활용한 LED 조명 제조 공법을 개발하는 것 다만 대기 소결형 구리 나노 잉크 기... | 1. 직접 인쇄용 전도성 구리 나노 잉크의 제공 - 저비용, 연속공정 MCPCB 제조 공법의 개발은 MCPCB 뿐만 아니라 유사한 형태의 회로 기판을 형성 하는 산업에 모티브를 제공함으로써 인쇄전자 시장의 확장 및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 2. 대기소결형 구리 나노 잉크 자체- 대기 소결형 구리 나노 잉크 자체는 PCB 이외에도 태양광전지의 전... | 대기소결,구리,잉크,조명,나노 | air sintering,copper,nano ink,LED,PCB | 123340000 |
825 | 2021 | 지역특화산업육성+(R&D) | 중소벤처기업부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1425157911 | 전기동력차 배터리팩, 실내 난방용 10kW급 고효율 인쇄 박막 수가열 열관리 히팅모듈 개발 | 김동환 | 파루인쇄전자 | 전라남도 순천시 | 20200501 | 2021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1. 경제적 성과 : 300억원, 수출 1,000만불, 고용 20명 이상2. 기술적 성과 : 박막히터용 고효율 발열체 잉크 및 설계 기술 개발 국내외 최초 10kW급 수가열 히팅 시스템 개발3. ㈜파루에서는 전기동력차 난방시스템에 적용되는 히팅펌프 시스템과 보조히터를 하나로 통합하여 난방시스템 전체에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고... | [지역발전효과]1.교용효과 - 고용목표 설정의 타당성 및 실현가능성 설명 - 수가열 히터시스템 개발로 매출 증대로 인한 생산, 생산관리직, 연구직 관련 인원 충원이 절실함. - 지속적인 해외유통채널을 확보를 위해 외국어가 능통한 영업 및 구매 관리 전문 요원 충원예정. - 능을 향상 시키고, 시대흐름에 따른 고객 NEEDS에 대응하기 위한 설계, ... | 박막히터,공조시스템,수가열히터,전기자동차,전도성 잉크 | Water Heater,Air Conditioning System,Conductive Ink,Electric Vehicle,Thin Heater | 180000000 | |
443 | 2022 | 전략핵심소재자립화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80220 | 극한환경용 고기능 탄성소재 개발 | Develpolment of high functional elastomers for extreme environment | 윤주영 | (주)엠엔비그린어스 | 경상북도 영주시 | 20200401 | 2024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개발목표] o 극한환경용 고기능 탄성소재 개발을 위한 세부과제 종합관리 및 총괄워크샵 / 진도점검 회의 진행 (1세부) 고진동 감쇄 탄성소재 개발 (2세부) 고내열 아크릴계 탄성소재 기술 개발 (3세부) 난연성 실리콘계 발포 탄성소재 기술 개발 (4세부) 유연 디스플레이용 고투명 우레탄계 탄성소재 개발 ... | [기술적 측면] o 아크릴계, 실리콘계, 불소계 등 원소재 단계에서 고내열성 등 차별화된 성능을 나타내는 극한환경용 고기능 탄성소재의 국산화와 자동차, 전기 전자, 수송기계 등 국내 주력산업용 부품의 내구성 및 품질 수준 향상 달성 [경제적 & 산업적 측면] o 특수탄성소재 국산화와 국내 주력산업 수요 맞춤 융복합 부품개발을 통한 전체 탄성 ... | 고진동감쇠형 탄성체,아크릴계 탄성소재,난연성 실리콘 발포 탄성체,유연 디스플레이용 우레탄 탄성소재,아크릴계 전극바인더 | High vibration damping elastomer,Acrylic rubber,Flame retardnat celluar foam based on silicone elastomer,Urethane elastomer for flexible display,Acrylic rubber binder for electrode | 25000000 |
1271 | 2021 | 산학연CollaboR&D(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49731 | 단일 이동도관을 이용한 양극성 동시 측정 위험물질 탐지기 개발 | 맹석진 | (주)라바텍 | 경기도 김포시 | 20200622 | 20220621 | 나노정보 저장기술 | 1. Electric circuit Board 개발-Dual nHVP, pHVP 통합 회로 설계 및 제작-Bipolar 제어 회로 설계 및 제작-Main control board 회로 설계 및 제작-이동도관 및 Grid 디자인 최적화 설계 및 제작-이동도관 전기장 발생 회로 설계 및 제작-내부, 외부 전원 공급 장치 회로 설계 및 제작-내부 배터리 팩 및 ... | - 이동도관을 비롯한 센서 H/W 세부 설계 3D모델링- Electric circuit boards 설계 및 제작.- 이동도관 세부 구성 설계 및 제작 Sample Oven제작- 내진동 공기정화 및 Drift Gas 순환장치 설계 및 제작- 배터리 팩 및 외부 전원 장치 설계 및 개발 - 측정대상 표준물질 분석연구 -양이온, 음이온 통합 S/W 및 Disp... | 양극성,이온이동도,마약,휴대용탐지기,폭발물 | Bipolar,Ion mobility,narcotics,handheld detector,explosives | 232500000 | |
1039 | 2021 | 미세먼지저감실용화기술개발(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5014 | 복합다층 구조의 나노섬유 웹 코팅망의 필터여재 및 이를 이용한 일회용 롤투롤 타입 필터유닛을 갖는 실내 공기 정화 디바이스 개발 | Development of filter of a nanofiber web coating net having a multi-layer and a device for purificating indoor air filter unit with disposableRTRtype | 임채근 | 나노엔씨 | 서울특별시 금천구 | 20210621 | 20220620 | 기타 나노기반 공정기술 | o 환경친화성 물질을 갖는 PM2.5 대응 초미세먼지 및 VOCs와 바이러스 흡착제거용 복합다층구조의 나노섬유 웹 코팅 망의 필터여재 개발 o 나노섬유 코팅 필터여재를 이용한 일회용 롤투롤 타입의 필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실내 공기 정화 디바이스 개발 | o.활용계획 1.필터여재 개발된 나노섬유 웹 코팅망의 필터여재는 초미세먼지, VOCs, 바이러스를 흡착제거 가능한 세라믹 입자 함유로 아래와 같이 활용됨- 실내 공기 정화:창호에 부착하여 학교, 다중이용시설에 활용, 주택, 사무실,대중교통 등 천정부위 환기시설의 초미세먼지 및 바이러스 흡착제거용 공조필터로 활용- 냄새 제거가 요구되는 주방배기에 1회용으... | 전기나노방사,미세먼지,멀티노즐,나노웹,롤투롤 | Electronanospinning,Particulate Matter,multi nozzle,nano web,Roll To Roll | 312500000 |
188 | 2022 | 전략핵심소재자립화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913 | 650 C 내열 충격성이 향상된 멀티존 세라믹히터 소재 개발 | Development of multizone ceramic heater with improved thermal shock resistance above 650C | 신승용 | (주)보부하이테크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4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3차년도1세부[주관연구]개발기관((주)보부하이테크)] o 650 ℃ Bipolar ESC, Dual zone 가열 반도체 공정용 세라믹 히터 개발 o 650 ℃에서 고온체적저항이 1.0X108Ω·㎝ 이상을 갖는 세라믹의 개발AlN 소재 단점 극복, 신규 조성 반도체 초고온 공정용 세라믹 히터 개발 [공동연구개발기관1((주)케이에프씨티)] o 진공... | - AlN 소재 기반 고온 반도체 공정용 고성능 히터 상용화 기술 확보- 고성능 세라믹 히터 제조 용도 hybrid hot press 설비 기술 확보- Mo 등 금속 전극 상용화 기술 확보- AlN 소재 대체 반도체 공정용 히터 용도 신규 조성 기초 실험 데이터 확보 - 공급-수요 협력 통한 고신뢰성 평가 데이터 확보 | 세라믹 히터,반도체 제조,고온 공정,내 열충격,다중 영역 | Ceramic heater,Semiconductor manufacturing,High temperature,Thermal shock resistance,Multi zone | 2118000000 |
326 | 2022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62437 | 소형 카메라 모듈 광학계 검사 라인용 고 투과도(97%급)를 갖는 광학 보호필름 제조 기술개발 | 한건희 | 신진엠텍(주) | 경기도 평택시 | 20201012 | 2022101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Roll to Roll sputter를 이용한 무기 산화막 기반 고투과도 광학계 보호필름 시제품 양산화- Roll to roll sputter 기반의 고투과 광학 보호필름 양산을 위한 광학 다층 구조의 최적화 설계 및 특성 평가 | - Roll to Roll 설비의 장폭에 대한 고투과 특성을 위한 다층 박막 코팅 최적화- 보호필름의 베이스 기재인 등방성 film에 대한 코팅층과의 신뢰성 확립- CCM 용 고투과(97%급) 보호필름 제조- 시제품에 대한 인증 및 성적서로 제품 품질 확립 | 소형 카메라 모듈,광학계,보호필름,고투과도,필름제조 | compact Camera Module,Optical System,Protective Film,High Transmittance,Film Manufacturing | 350000000 | |
1035 | 2021 | 창업성장기술개발(일반,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2380 | 그린 솔벤트 기반의 양성자 교환막 수전해 산화전극용 고활성 나노촉매소재 생산기술 개발 | 채진석 | (주)일솔레드 | 광주광역시 북구 | 20191125 | 20211124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정성적 목표 (1) 5L급 Ionic Liquids 공정기반 수전해 산화전극촉매 대량 합성 (2) 초음파 스프레이 공정을 이용한 나노촉매 코팅 조건 최적화 (3) 수전해용 MEA 전극 특성 평가 확립○ 정량적 목표 (1) 나노촉매 입자 평균 사이즈 : 2nm 이하 (2) 생산수율 : 70% 이상 (3) 단위전자 전류밀도 : 2 A/cm2@1.... | ○ 전통적인 나노입자 합성 방법들은 공정의 복잡성, 반응에 의한 유해가스 발생, 부산물 생성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보다 친환경적이면서 대량으로 나노입자를 합성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바, 그린 솔벤트인 Ionic Liquids를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킴. 결과적으로, 친환경 용매인 Ionic Liquids를 이용한 나노입자 합... | 그린 솔벤트,이온성 액체,수전해,나노촉매,양성자 교환막 | Green Solvent,Ionic Liquid,Water Electrolysis,Nano Catalyst,Proton Exchange Membrane | 111111500 | |
1251 | 2021 | 창업성장기술개발(일반,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5256 | 에너지 절감을 위한 무전원 자가 복사 냉각 소재 | Zero-energy radiative cooling material for energy conservation | 이종헌 | 주식회사 포엘 | 광주광역시 북구 | 20210701 | 20230630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광학 설계로 태양열 차단 90% 이상, 대기의 창 영역 열방출 90% 이상 냉각 구조 도출 냉각력 도출 알고리즘 개발, 설계 단계에서 이론적 복사 냉각 특성 계산 Roll to Roll 설비 활용, 최적화된 단일 생산 공정 도출 | - 복사 냉각 기술은 에너지 자립형 기술 가운데 가장 유망한 열 제어 기술로, 지구온난화 문제를 해소할 원천기술임- 냉방에 과도하게 사용되는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냉방 비용 절감과 더불어 여름철 전력수요해소, 도시열섬현상 등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연구 수준에만 머물러 있던 복사 냉각 기술을 국내에서 최초, 세계에서 세 번째로 ... | 복사 냉각,무전원,에너지 절감,지구온난화,탄소 저감 | Radiative cooling,Electricity free,Energy conservation,Global warming,Carbon reduction | 138900000 |
855 | 2021 | 지역특화산업육성+(R&D) | 중소벤처기업부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1425158125 | 물유리 메탈 순도를 개선한 Low-Metal 비대칭형 콜로이달 실리카 개발 | 김규수 | 주식회사 에이스나노켐 | 경상북도 경산시 | 20200501 | 2021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콜로이달 실리카 내 불순물을 개선한 순도 높은 콜로이달 실라카 개발 및 연마속도가 Fumed silica와 동등한 colloidal silica 개발 입자의 입경 및 형상 : 1차 입경 - 45 ~ 65nm, 2차 입경 - 110 ~ 130nm 입자 형태 : 비대칭형 입자(Aggregation Ratio : 1.7이상) Total Metal 함량 : 상용화... | 현재 반도체 시장의 요구사항은 Fumed silica에서 Colloidal silica로 대체되고 있는 상황이며, 국내 판매되고 Fumed silica는 일본 Tokuyama社에서 독점 판매. Fumed silica의 스크래치 이슈 및 원재료(일본산) 수급 문제가 대두 되면서 반도체 국내 시장에서 국내 유일의 Colloidal silica 제조 업체인 당사... | 보습,주름개선,천연단백질,콜라겐 펩타이드,홍어껍질 | Collagen petide,Moisturing,Natural protein ,Skate skin,Wrinkle improving | 232000000 | |
1043 | 2021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특별,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3128 | 5G 통신용 GaN on Si 에피소재 개발 | 장태훈 | 시지트로닉스 | 전라북도 완주군 | 20191106 | 20211105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2차년도 개발목표)- 2-DEG 표면 저항 (Ohm/sq) 1,450 - 2-DEG 농도 (cm-3) > 1.5x1013 - XRD (002)/(102) 반치폭 (arcsec) <290 (002) <390 (102) - 표면저항 균일도 (%) <5 | 통신소재 및 국방소재 상용화 시급 - GaN HEMT 소자 제조의 단계별 기술 중 국내의 공백기술인 고주파용 GaN에피 소재 기술은 군수분야에서는 군사용 핵심기술의 자주성 확보를 가능하게 하고 민수분야에서는 성장잠재력이 큰 세계 시장으로 국내기업의 진출을 도모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중요한 기술이며, 이러한 기술을 조기에 달성하기 위하여 6인치 이상의 ... | 질화갈륨,초고주파,에피,웨이퍼,성장 | GaN,Radio Frequency,Epitaxy,Wafer,Growth | 187500000 | |
249 | 2021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특별,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6030 | 고온 및 고전압 하에서 안정적인 차세대 전력반도체(SiC, GaN) 접합용 Ag sintering paste/film의 국산화 개발 및 양산화 연구 | Development of Ag sintering paste/film for next-generation power semiconductor bonding that is stable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voltage | 윤성신 | (주)아모그린텍 | 경기도 김포시 | 20210901 | 202508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1. 10MPa, 290℃ 이하의 조건에서 소결 접합 성능이 우수한 차세대 전력반도체 접합용 Ag sintering paste 국산화 개발- Ag powder 제어 기술 개발- 소결 후 낮은 기공도를 갖는 Ag 조성 설계기술 개발- 바인더, 첨가제에 따른 paste 물성 및 특성 변화 연구- Paste의 스텐실 인쇄 특성 최적화를 위한 인쇄 공정 조건 연구... | ■ 전기차용 전력반도체 및 모듈용 접합소재의 국산화 - 나노 재료를 활용한 소결 접합 기술의 확보로 solder가 해결하지 못하는 차세대 전력반도체 및 열전반도체의 방열 및 고온안정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고압 및 저압에서도 소결 접합이 가능한 Ag sintering 소재의 국산화로 후방산업인 차세대 시스템 반도체의 성능 및 기술적... | 전기자동차,전력반도체,은 소결,다이접합소재,와이드밴드갭 | Electric vehicle ,Power semicondutor,Ag sintering,Die attach materials,Wide band gap | 256500000 |
300 | 2022 |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9431 | 변성우레탄/실란 하이브리드 중도용 바닥마감재와 유·무기복합 실란화합물의 불연 상도코팅제를 이용한 친환경 불연 바닥마감시스템개발 기술 | 길배수 | (주)트라이포드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601 | 202205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유·무기복합 실란화합물을 이용한 불연코팅제(상도) 개발 중도 바닥마감재에 불연코팅제(상도) 적용 불연바닥마감 시스템의 현장시공 기반기술 확립 현장시방서 및 유지관리시스템 구축 ... | 유·무기복합 실란화합물을 이용한 상도용 불연코팅제는 메틸트리메톡시실란(Methyltrimethoxysilane), 페닐실란(Phenylsilane), 아미노실란(Aminosilane)등을 이용하여 졸-겔 프로세스(Sol-gel process)를 통해 가수분해반응과 중축합반응을 거쳐 높은 화학적 균일성을 가지도록 1액형의 상온경화 타입(Type)으로 제조함으... | ㄱ불연코팅제,ㄴ바닥마감재,ㄷ친환경,ㄹ실란화합물,ㅁ바닥마감시스템 | Nonflammable coating agent,bfloor finishing material,Eco friendly,Silane compounds,floor closing system | 265000000 | |
1301 | 2021 | 창업성장기술개발(특별,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3855 | 대화형 스마트 터치스크린용 플렉시블 전자파 차폐 필터의 개발 (Development of flexible electromagnetic shielding filter for interactive smart touch screen) | 오현석 | (주)니나노 | 경상남도 밀양시 | 20201231 | 20221230 | 나노패터닝 공정기술 | 본 사업은 대화형 스마트 터치스크린용 플렉시블 전자파 차폐 필터 소재의 개발에 관한 것임. 본 사업에서 개발코자 하는 기술에서의 특징은 이들 대화형 터치 디스플레이 기반의 각종 전자기기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로부터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차폐기술의 설계와 이를 구현하기 위한 차폐소재를 구현하기 위한 제반 요소공정기술의 개발과 구현... | □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 시장 진출을 통한 매출신장 ㅇ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 시장은 2015년 99억 달러에서 2022년 270억 달러로 추산(2015년 기준)ㅇ 세계 디스플레이와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시장의 전망을 살펴보면, 금년 2019년에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시장이 57억불, LCD, PDP, OLED 디스플레이 시장의 크기가 1370억불에 해당하며,... | 대화형,스마트,터치스크린,플렉시블,전자파차폐 | Interactive,Smart,Touch screen,Flexible,EMF Shielding | 183701000 | |
1370 | 2021 | 초절전LED융합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6168 | 두루마리형 마이크로 LED 면조명 모듈 개발 | Development of rollable Micro LED plane lighting | 박태희 | 지엘비젼 | 기타 기타 | 20200701 | 20221231 | 나노전자 소자기술 | ① 개발 목표 - 주관기관(지엘비젼) :ㅇ 두루마리형 마이크로 LED 면조명 모듈 공정 기술 개발 · 후면유연기판 상의 표면 평탄층의 광확산 기술 · 전면 유연기판 및 광확산 필름상 광변환 소재 필름화 공정 기술 · 두루마리형 마이크로 면조명 모듈 시제품 제작ㅇ 면조명 응용 시제품 제작 - 참여기관 1(한국광기술원) :ㅇ 마이크로 청... | (1) 일자리 창출 계획 및 효과ㅇ 신규 인력의 직접 고용을 통한 연구, 개발 인력 확보 · LED 전반적인 분야에 전문가인 석사이상급 기술 영업 임원(간접인력)을 충원할 예정이며, 생산분야의 전문가인 경력 연구원(직접인력)을 충원할 예정ㅇ 인근 지역 대학의 취업연계형 R&D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통한 우수 인재 선 확보 · 서울,경기, 강원지역 석... | 마이크로 엘이디,유연,두루마리 조명,퀀텀닷,나노형광체 | micro LED,flexible,rollable lighting,Quantumdot,nanophosphor | 934163000 |
592 | 2022 | 전략핵심소재자립화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998 | 반도체 배선 공정용 금속박막 ALD 전구체 기술개발 | Development on ALD precursors for metallization process for nextgeneration semiconductor devices | 임진묵 | 주식회사 메카로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41231 | 나노화학 공정기술 | 1. 메카로 : 전구체 특성 개선 - 변형 및 신규 리간드 설계/합성 2종이상 - 금속 배선용 Mo, Ru, Co 전구체 설계 및 합성 2종이상 - 확산 방지막용 Ti, Nb, Mo전구체 설계 및 합성 3종이상2. 한국화학연구원: 개발 전구체 특성 개선 - 반응성 조절 가능 리간드 설계 및 합성 2종 이상 - 금속 배선용 Ru, Mo, W, Co ... | - 리간드 디자인 기술 향상으로 과제 목표인 금속의 전구체 뿐만 아니라 다른 용도의 반도체용 전구체 개발에도 큰 기여를 할것으로 예상- 개발된 리간드의 종류 및 구조가 개발하려는 전구체의 중심 금속과의 화학에 대해 이해도향상 - 신규 전구체의 증착 특성과 전구체의 리간드와 중심 금속 간의 상관 관계 파악을 통해 리간드 및 전구체 개발 속도 향상 기대 | 원자층 증착,금속박막,전구체,반도체,배선 | ALD,metal thin film,precursor,semiconductor,meatllization | 842668000 |
1487 | 2022 | 창업성장기술개발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62976 | 반도체 및 전자기기 고도화에 따른 유해물질 저감 초미세 접합용 소재 개발 및 양산 | Development and mass production for ultra-fine bonding to reduce harmful substances due to the advancement of semiconductors and electronics | 김태민 | 주식회사 에이솔머티리얼즈 | 경기도 용인시 | 20211101 | 202210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 초극미세 소재 개발- 환경친화형 접합소재 개발- 소재의 국산화 (자체개발)◎ 기존- T4(20~38㎛)~T5(15~25㎛)사이즈 상대적으로 큰 입자- 유해물질 함유 (할로겐족 : F, Cl, Br)- 90%이상 해외(일본)산◎ 목표- T6(5~15㎛)이하 사이즈 초극미세 입자- 유해물질 저감 (화장품 원료물질 및 유기산류)- 국산화 완료 (자체개발)① ... | ①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전기/전자분야 - 고성능화에 따른 적용가능한 소재의 범위 확장 - 친환경 기업의 이미지 제고 및 홍보효과 극대화 - 전기/전자 분야 정밀한 작업 가능성 확대 - 기술확보에 따른 시장확대 가능성 상승◎ 반도체 분야 - 반도체 분야 성장으로 인한 관련소재분야 성장가능성 증가 -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 가속화 - 국산화에 따른 가격경쟁... | 소재,접합,유해물질,개발,금속 | materials,bonding,hazardous substances,development,metal | 133400000 |
1037 | 2021 | 공정·품질기술개발(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4824 | 분말야금 합금, Sprocket의 고주파 열처리→방청처리→Serial No. 각인 자동화공정 System 개발 | Development of automated process system on the powder metallurgy alloy, high frequency heat treatment of sprocket→rust prevention treatment→Serial No. | 정해룡 | (주)대성종합열처리 | 경상남도 의령군 | 20210615 | 20220614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1) 생산량 1)종전 수작업 대비 설비1기당 시간당 생산량을 80 EA/hr에서 160 EA/hr로 증가시키는 것을 개발 목표로 함2) 작업자 1명이 2기의 고주파 열처리기를 작동할 수 있으므로 수작업 대비 작업자 1인당 80 EA/hr에서 320 EA/hr로 증가시키는 것을 개발 목표로 함(2) 불량률 수작업 대비 불량률 0.5퍼센트에서 0.05퍼센... | (1)연구 성과의 활용 계획수요기업, (주)삼한으로부터 수주받은 Sprocket의 고주파 열처리에 활용할 계획이며, 분말야금 합금의 고주파 열처리기술은 다른 분말야금 소재의 부품에 활용할 계획임2) 기대효과1) Foo/Proof 시스템 연계하여 본 과제를 개발함으로 기계의 오작동이나 수작업에 의한 대량 불량 발생을 방지하고 기존 열처리법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 스프로 킷,방청처리,레이저 마킹,내면 고주파열처리,분말야금 합금 | Sprocket,Anti rust treatment,Laser marking,Inner high frequency heat trea,Powder metallurgy alloy | 62276000 |
1294 | 2021 | 글로벌창업기업기술개발(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4588 | 자동차용 고무부품 글로벌 시장 대응형 천연고무 기반 고효율 실리카 복합체 및 제품화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ultra high performance silica composite based on natural rubber for global market approach to automotive rubber goods | 김기종 | 페스티(FESTI) | 인천광역시 남동구 | 20210623 | 20230622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주관기관 : 천연고무 기반 Ultra High Performance Silica Composite 기술 개발 1) Modification silica(m-silica) 제조 기술 연구 2) 천연고무 기반 UHPSC 제조 공정 최적화 기술 개발 3) 응고 공정(coagulation process) 최적화에 따른 UHPSC 특성화 기술 개발 ... | 1. 연구개발 성과 활용계획 본 과제를 통해 개발하고자 하는 m-silica 및 천연고무 기반 UHPSC는 천연고무-실리카 기반의 고무산업 전반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매우 높으며, 크게 자동차(타이어, 방진부품 등) 및 기타 산업(스포츠 레저용 신발 부품, 조선 해양용 방현제, 산업용 기계 부품 등)으로 나눌 수 있음. 본... | 천연고무기반 교효율 실리카 복합체,타이어,자동차 방진부품,스포츠레져용 신발부품,친환경 | Ultra high performance silica ,Tires,Anti vibration parts for autom,Shoe sole for sports,Environmental friendly | 139200000 |
1362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2861 |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신재급 기계적 물성과 10E-5(S/m)이상 전기전도도를 갖는 대전방지 전도성 시트 및 트레이용 CNT재생수지 나노복합 소재 개발 | Development of antistatic conductive sheet and CNT recycled resin nanocomposite material for trays with the same mechanical properties as virgin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10E-5(S/m) or higher usi... | 김관영 | 대진첨단소재 주식회사 | 기타 기타 | 20200601 | 2022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주관기관 (주식회사 대진)- 재생수지 물성 평가/공정 조건 설계- 기계적/물리적 연신을 이용한 복합체 내부에서의 나노 소재 배향 기술 개발- 이후 소형 시제품을 제작 (2건 이상)○ 참여기관 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재생 플라스틱/나노소재 조합에서의 기계-화학적 복합화 공정 최적화 및 나노소재의 분산성 확인- 하이브리드 필러 적용을 통한 나... | ○ 복합소재 분야와 4차산업의 핵심인 인공지능 분야의 산업적 융합을 통한 시너지를 극대화하여 소재분야에서의 대일본 의존성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 기대. ○ 친환경적이며 우수한 물성을 지닌 재생수지 기반 나노복합소재를 개발하여 경제성과 기능성을 확보하여 전기, 전자, 자동차, 반도체 등 주력산업에 수입 물량을 대체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부여할 수 있음.... | 중대형 이차전지,인공지능,재생수지,기계화학법,복합소재 | Medium and Large Secondary battery,A.I.,Recycled Resin,Mechanochemistry,Composites | 964110000 |
903 | 2021 | 창업성장기술개발(일반,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4913 | 친환경 Non-VOC 성형용 고경도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제 | Eco-Friendly Non-Voc High Hardness Inorganic-organic Hybrid Coating Material for Foam Molding | 도우성 | (주)엠브리드 | 경기도 안산시 | 20210623 | 20220622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1) 자동차용 포밍 가능한 고경도 플라스틱 디스플레이 코팅제 개발 - PC, PMMA/PC복합/PMMA PET 등 플라스틱 소재에 도포되어 부착되는 유리와 비슷한 고경도와 내스크래치를 가지는 높은 고경도 코팅제 개발2) 가공 성형이 우수하여 기존 유리가 가지지 못한 성형성을 가지면서 가볍고 내충격성을 보완하는 코팅 소재 | 1. 과학·기술적 및 산업적 측면 1 )Class2 타입의 유무기하이브리드 소재(POSS)가 최초 대량으로 사업 현장 에 적용되고 기존 범용 플라스틱 소재의 단점을 결함과 더불어 그래핀 등의 소재가 채우지 못하는 많은 영역의 범용 소재의 물성을 강화한다. 특히 Non-VOC의 저에너지 공법의 소재로 친환경의 낮은 설비 투자로 최... | 고경도,유무기 하이브리드,무용제,이형코팅공법,자외선경화 | Hard coating,Inorganic Organic hybrid,NON VOC, RF PROCESS UV ,UV | 133334000 |
979 | 2021 | 공정·품질기술개발(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3974 | 광촉매 코팅공정 혁신으로 통풍 및 살균력 개선된 필터모듈 | Filter module with improved ventilation and sterilization through innovation in photocatalytic coating process | 전수진 | (주)웨이투메이크 | 경상북도 안동시 | 20210615 | 20220614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본 연구개발과제의 최종 목표는 광촉매 효율증대 및 통풍성 개선을 위해 기존 카트리지 내 광촉매 담지체를 투명 Beads에서 세라믹 허니컴으로 대체 적용하는 것임○ 세라믹 허니컴으로 대체시 광촉매가 코팅된 Beads 및 Beads를 지지 하기 위한 지지체(상하부 메쉬 및 플라스틱 가이드) 부품 4종이 세라믹 허니컴 1종으로 통합됨○ 광촉매 지지체의 소재 ... | ○ 기술개발 활용계획 - 개발완료 공법의 호흡기 및 감염성 질환 유발 항균 및 항바이러스 시험성적서 확보 - 국내외 동종 유사업종 환경제품에 본 기술 적용한 공동개발기술 추진 ○ 제품 다각화 - 개발모듈의 대형화로 많은 인구가 동시 이용하는 지하철, 기차 등 대중교통 공조시스템 - 아파트 등 주거공간의 매립형 에어컨 및 정화장치 등 공조시스템○ ... | 통풍,살균,솔젤,분말,코팅 | ventilation,sterilization,solgel,powder,coating | 62276000 |
1237 | 2021 | 산학연CollaboR&D(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4607 | 고온 탄소섬유진공관히터 적용 바이러스 살균 온풍기 제작 | Manufacture of virus sterilized heater applied with carbon fiber vacuum tube heater | 임석대 | 더데움 | 전라북도 전주시 | 20210601 | 202305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1.탄소히터 양산장비 개선 : 탄소섬유 진공관 히터의 표준화 모델 확립 및 양산장비 개선, 현재 탄소히터를 제조함에 있어 전 생산과정에 50%이상 수작업이 수반된다. 이에따라 탄소히터 제조 작업자의 컨디션에 의해 히터의 내구성이나 품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당사는 제조장비를 70%이상 자동화하여 생산되는 히터를 표준화 모델을 선정하여 일괄성있... | 연구개발 성과로 기존 탄소섬유 진공관히터의 온도를 150℃~200℃ 정도 온도를 상승시켰다. 온도를 높이고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해 많은 연구와 검증절차를 통해 내린 결론은 수천 및 수만가닦의 탄소섬유에 동시에 전기가 안정적으로 인입되도록 탄소섬유 통전처리 바인더를 개발하는 것이 금번 과제의 핵심 주제였다. 산학협력을 통해 비전도성 레진에 전기전도도가 탁월한... | 고온발열탄소히터,진공관히터,전도성바인더,온풍기,보일러 | High Temperature Carbon Heater,Vacuum Tube Heater,Conductive Binder,Air Circulator,Boiler | 121950000 |
940 | 2021 | 창업성장기술개발(일반,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2182 | 수도관의 내구성 향상을 위해 내열성과 방청성을 개선한 유무기 복합 수도용 폴리우레탄 도료 | 정병남 | 주식회사 티알신소재 | 전라남도 광양시 | 20191125 | 20211124 | 기타 나노소재기술 | 내열성을 갖춘 접착력이 강한 도료로 현장 용접열을 회피함과 동시에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고 내열 및 부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도막두께의 분포도가 탁월하며 용접부위의 도막손상 발생이 없는 도료를 개발한다. | 내열성과 접착성을 향상시키고 미도장부 이격거리 축소와 1회 도포형의 도료를 통해 작업 시간의 축소와 작업 결과물의 안정성을 보장하고, 친환경성을 가져 수도관 내부 도막으로의 적용에 적합한 도료를 개발하여 내수시장은 물론 수출시장에서도 각광받을 수 있는 경쟁력 있는 제품을 생산한다. | 폴리우레탄,유무기 복합,수도관,내열성,접착력 | polyurethane,organic and inorganic complex,water pipe,heat resisting property,adhesive strength | 125000000 | |
556 | 2022 | 나노소재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8870 | 구리시드소재 및 구리잉크 양산 기술 개발 | Mass production technology development of copper seed material and Copper nano ink | 김현기 | (주)디엔에프신소재 | 대전광역시 대덕구 | 20210426 | 2025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극박동박 제조 및 미세 패턴화 공정 기술에 적용 가능한 구리 나노 입자의 양산화 및 구리 잉크 안정화 기술 개발 - 구리 나노 입자의 대량생산 최적화 및 공정개발 - 구리 나노 잉크의 분산 안정성 향상 기술 개발 | - 비진공, 상압의 상향식(Bottom-up) 제조방식에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노광, 에칭 공정을 통한 항향식(Top-down)방식 대비 원가 절감 및 높은 시장 경쟁력을 확보할 예정.- 현재 구리 나노 입자를 습식환원법으로 양산 수준의 제조, 공급 할 수 있는 업체는 전 세계적으로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에 전도성 나노 잉크 시장에서의 양산 기술 확보 및 ... | 구리나노입자,구리나노잉크,고전도성,대량생산,구리시드소재,인쇄회로기판,동박적층판,초고속통신 | Copper nanoparticle,Copper nano ink,High conductivity,Mass production,Copper seed material,Printed circuit board,CCL,Fast wireless communication | 250000000 |
34 | 2022 | 창업성장기술개발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62083 | 화상방지를 위한 스팀필터개발 | Development of steam filters for protection against skin burns | 장현진 | 장군컴퍼니 | 경상북도 경산시 | 20211101 | 202210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1) 연구개발과제의 최종 목표□ 휴대용 스팀기 개발 필터 제작 기술 확보- 필터의 기공 크기, 분포 및 표면 특성(표면 에너지) 제어 기술 확보 다공성 형태의 물질을 이용하여 스팀의 유해 입자를 차단하는 필터 제작- 고분자, 탄소 섬유 등의 다공성 물질을 이용하여 유해 입자 차단에 효과적인 필터 개발 휴대성이 뛰어난 제품의 소형화 - 스팀의 높은... | 1) 연구개발성과의 활용방안 가정용 생활용품, 의료용품- 소형, 경량화로 인하여 가정에서 피부 미용 및 피부 질환 예방을 위하여 활용.- 지속적인 수분 공급이 필요한 피부 질환에서 병원 방문없이 지속적인 치료용으로 활용.- 스팀다리미. 가습기 등 수증기를 이용하는 생활용품에 개발한 필터 및 스팀발생 장치를 적용해 기존 제품들의 소형화, 경량화에 활용(1... | 휴대용,스팀,소형화,필터,스팀필터 | Portable,Steam,miniaturization,Filters,Steam Filter | 133400000 |
709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672 | 고분자 열가소성 소재 응용 미래자동차용 나노섬유 분리막 제조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technology to manufacture nanofiber separators for future automobiles using thermoplastic materials | 윤영현 | 남양부직포(주) | 기타 기타 | 20211001 | 2025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ㅇ 분리막 제조용 Pilot type Melt electrospinning 공정기술 개발ㅇ 분리막 제조용 Pilot type 용융전기방사 설비 제작 및 제어표준서 작성ㅇ Melt electrospinning 노즐 및 시스템 변수 제어ㅇ 분리막 제조용 최적 고분자 및 가소재 컴파운딩 기술 개발ㅇ Melt electrospinning의 용융 jet 구조제어 및... | ㅇ PP, PE, PTFE와 같이 매우 우수한 물성의 고분자 나노섬유 제조기술 개발로 차세대 배터리 분리막 소재로 활용ㅇ 급성장하는 에너지 전방산업에 필수적인 소재 기술을 통한 신규 시장 창출ㅇ 용매가 필요 없는 Solvent free 전기방사 기반 기술을 활용하여 친환경 고강도 나노섬유 제조 원천기술 확보ㅇ 신 성장 동력산업의 원천기술 확보로 섬유 및 ... | 용융전기방사,멜트블로운,나노섬유 ,분리막 ,전기장 | melt electrospinning,meltblown ,nanofiber,separation membrane,electric field | 1088300000 |
572 | 2022 | 나노소재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9551 | 고품위 3인치 n-type InP 단결정 성장기술 및 기판 소재 개발 | Development of high quality 3inch n-type InP single crystal growth technology and substrate material | 주경 | (주) 삼양세라텍 | 인천광역시 남동구 | 20210726 | 20251231 | 원자·분자 레벨 물질 조작기술 | [최종 목표]o 고품위 3인치 InP 기판 소재 개발[1차년도 목표]o InP 단결정 성장용 원재료 전처리공정기술 개발o VGF법 단결정 성장장치 개발o 성능평가 표준방법 확립[2차년도 목표]o 단결정 성장장치 성능평가o Donor 농도제어기술 개발o ?2인치 InP 단결정 제조o ?2인치 웨이퍼 가공기술 개발 및 평가[3차년도 목표]o 공정 조건 및 단결... | [활용계획]o 자율자동차 및 의료용 고성능/고출력 멀티칩 레이저 다이오드o 반도체 레이저, 광 변조기, 광 증폭기, 발광 다이오드, 수광소자 등의 각종 광 통신용 디바이스[기대효과]o 화합물 단결정에 대한 VGF 법 적용 기술의 개발 및 국산화o 높은 수준의 기술 융합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산업 분야로 융합기술을 통한 세계적 수준의 기초과학 경쟁력 확보o 각... | 인화 인듐,화합물 반도체,단결정,수직경사응고법,레이저 다이오드,라이다,수광소자,에피택시 | InP,compound semiconductor,single crystal,VGF,laser diode,lidar,photodetector,epitaxy | 800000000 |
1140 | 2021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특별,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3159 | 레이저 마킹 컬러상태 부식방식을 위한 패터닝 적정 스마트 원통형 스테이지 시스템 개발 | 어재동 | (주)에스앤디이엔지 | 경기도 시흥시 | 20191106 | 20211105 | 나노패터닝 공정기술 | 기술개발 최종목표 본 사업을 통해 “레이저 마킹 컬러상태 부식방식을 위한 패터닝 적정 스마트 원통형 스테이지 시스템 개발“을 진행하며 # 2차년도 ▷ STS #304 직경(ø)65 Pipe 패터닝 프레스 금형개발 ▷ STS #304 프레스 드로잉 금형 개발 ▷ STS #304 부식방지용 Ful... | 개발기술의 차별성 ① 스테인레스 재질에 Full color 레이저 마킹가능 - 304 재질에 대한 입사각과 색상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Power, Speed, 조건에 따른 색상, 색상 거칠기 별 분광측색 L , a*, b* ΔE값을 최적화 한다. 이때 색상은 빨강, 주황, 노랑, 녹색, 파랑, 남색, 자주 등 진행 ... | 스테인레스,패터닝,레이저,부식방식,스테이지 시스템 | Stainless,Partterning,Laser,Corrosion,Stage system | 231000000 | |
109 | 2022 |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60105 | 우주항공·자동차산업에서 경량화를 위한 Hybrid CFRP-Metal Stack 드릴링용 30° Helical 형상을 갖는 PCD 드릴공구 개발 | Development of PCD Drill Tool with 30° Helical shape for hybrid CFRP-Metal Stack dirlling for lightweight in aerospace and automobile industry. | 장동빈 | (주)에디코 | 경기도 안성시 | 20210421 | 20230420 | 기타 나노기반 공정기술 | 1. 특허화 된 기술을 바탕으로 연구실 규모의 드릴공구 제작 후 핵심성능 평가를 수행 1) 연구개발 계획 수립, 해외수요처의 정성·정량적 개발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협의 2) 초고압합성 준비 : 초경 앤빌의 응력 분산형 설계-제작, 합성셀 코아 금형 설계-제작 3) 초고압기술로 30° helical 형상을 갖는 PCD 재료의 초고압-고온 합성 실험(조성 변... | 1.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 초고압기술로 다양한 Helical 각도(20°~45°)로 합성된 PCD 드릴공구 소재 사업화를 달성한다 1) 해외수요처(Dijet 사)로 연계된 일본 내에 글로벌 공구제조사 PCD 소재 수출 2) 독일 Mapal 공구제조사를 통한 유럽 및 미국 공구제조사에 PCD 소재 수출 3) 국내 PCD 드릴공구제조사에 연구개발 성과물을 ... |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금속 스텍,다이아몬드 소결체,헬리컬 형상,드릴공구,공구 수명 | CFRP Metal Stack,Polycrystalline Diamond,Helical Shape,Drill Tool,Tool Life | 282500000 |
1101 | 2021 | 창업성장기술개발(일반,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3275 | COVID-19에 따른 지능형 공기질 측정센서모듈과 살균형 UV-C LED 모듈이 장착된 공기청정기 어항(교육시설, 다중이용시설의 청정기능 + 정서 양) | 변상훈 | 라온모아 | 경기도 안산시 | 20201231 | 20211230 | 가변 파장 광소자기술 | COVID-19에 따른 지능형 공기질 측정센서모듈과 살균형 UV-C LED 모듈이 장착된 공기청정기 어항 개발 - 코로나 및 바이러스균 제거를 위한 UV-C LED 모듈개발 - 스스로 실내 공기질을 측정하고 공기정화 및 UV LED 가동을 직접 컨트롤하도록 하고, 실내 공기질 측정 data는 wifi를 통해 고객이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함 ... | - 밀폐된 공간 내 오염된 공기질 정화 가능 - 공기 및 수질 내 바이러스균 제거 가능 - 사용자로 하여금 실내 공기질 실시간 확인 가능하며, 불필요한 가동을 줄여 전기세도 저감 가능 - 지재권 획득 및 필요 인증 획득으로 제품에 대한 고객 신뢰도 상승 및 매출핵 상승 - 매출액 상승에 따른 고용인원 창출 필요 | 스마트 홈 에어가전,지능형 정보가전기기,미세먼지 제거,코로나19균 제거,살균형 공기청정기 | Smart Home Air Appliance,Intelligent InformationElectri,removal of fine dust,COVID19 elimination,sterilized air purifier | 75000000 | |
1114 | 2021 | 기계장비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079 | 3D 반도체 패키징 검사를 위한 50nm급 검사장비 실증 | 50nm Xray system for 3D semiconductor packaging inspection | 김형철 | (주)자비스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20331 | 나노 측정기술(100 nm이하) | 본 과제를 통해 50nm급 반도체 패키징을 8시간 내로 검사할 수 있는 X-ray 검사 장비를 개발하고, 개발 목표로 50nm급 X-ray 광학 해상도(2D/CT)와 99% 이상의 불량 검출 정확도(2D/CT), 총 8시간 이하의 CT 검사 시간 달성을 목표로 한다. | [기술적 측면]o 딥러닝 기반 화질 개선, 잡음 감소 모델을 통하여 엑스선 영상의 노출시간을 줄여서 반도체 검사 시간의 감소시키고, 딥러닝 기반 반도체 불량 검사 모델을 통하여 반도체 내부의 범프와 와이어본딩 등의 부품에서 양품과 불량의 구분 및 검사 [경제/산업적 측면]o 부가가치 2.5D/3D 적층 제품군의 수율 향상과 FOSiP, FOSiM, IC E... | X선 검사,반도체 불량검출,인공지능 네트워크,초고해상도 분해능,반도체 패키징 | Xray inspection,Semiconductor defect detection,AI network,High resolution,Semiconductor Packaging | 1253100000 |
243 | 2021 | 창업성장기술개발(특별,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6977 | 10 cP 이하 저점도 Pd(Ⅱ) complex ink 기반의 Jetting printing이 가능한 플렉서블 LED 디스플레이 전극 소재 개발 | Development of flexible LED display electrode material possible of jetting printing based on low-viscosity Pd(Ⅱ) complex ink of less than 10 cP | 박병기 | 옥스 | 대전광역시 대덕구 | 20211101 | 202310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주관기관(옥스)- Jetting 인쇄용 Pd(II) complex ink 합성기술 개발* 점도 20 cP 이하, Pd(0) 입자크기 30㎚ 이하 - 기판의 습식 표면처리기술 개발* 기판 접촉각 60°이하- 무전해도금에 의한 연성 인쇄회로기판 제조기술 개발* 전기저항 15Ω/50㎝ 이하, 부착강도 0.5kgf 이상 ○ 공동연구기관(한국전자기술연구원)- ... | ○ 금속 배선의 형성에 있어서 Pd(II) complex ink로 인쇄하여 얻을 수 있는 최대의 장점은 원하는 패턴을 비교적 쉽게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투명하거나 플렉서블 기능이 필요한 다양한 디스플레이, 조명 OLED, RFID 태그, OPV, Perovskite 박막 태양전지, 배터리 등의 금속 전극 형성으로 다양한 분야에 적용.- 그래픽 ... | 촉매잉크,연성회로기판,젯팅 인쇄,이온결합,플렉서블 디스플레이 | Catalytic ink,Flexible circuit board,Jetting Printing,Ionic bonding,Flexible display | 102650000 |
917 | 2021 | 창업성장기술개발(일반,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8943 | 다색 나노입자를 이용한 쯔쯔가무시 IgG/IgM 멀티진단키트 개발 | 박영민 | 라윤코리아 | 경기도 의왕시 | 20191001 | 20211230 | 기타 나노바이오보건기술 | 제작된 높은 항원성의 쯔쯔가무시 재조합 항원 단백질을 이용하여, 환자 혈액 검체 내에 포함된 IgG/IgM을 동시에 정성분석 할 수 있고, 이 들의 비율을 색상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신속진단키트를 제작하는 것을 2차년도의 목표로 한다. | 쯔쯔가무시증에 대하여, 환자로부터 얻은 검체 내 IgG/IgM의 존재여부는 물론, 포함비율을 알 수 있도록하여, 환자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의료적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신속진단키트의 개발하는 것으로 국가 경제 발전 및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한다. | 쯔쯔가무시,다색나노입자,멀티신속진단키트,인수공통감염병,현장진단 | Scrub typhus,Multicolor nanoparticles,Multi rapid test kit,Zoonosis,point of care | 19107000 | |
148 | 2022 | 리튬기반차세대이차전지성능고도화및제조기술개발 | 기획재정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800 | 전자빔을 활용한 전고체전지용 리튬 친화 100nm급 나노 금속 복합체 음극 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Lithium-friendly 100nm-scale metal composite anode system for all solid state batteries using electron beam | 강현숙 | (주)코렌스알티엑스 | 기타 기타 | 20200601 | 2024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주관기관((주)코렌스알티엑스) : o 쿨롱 효율 98.0%, 양극 가역 용량 5.4 mAh/cm2, 수명 70% o 금속 입자 크기 150 nm, 금속 크기 분포 (D50) 150 ± 40 nm, 순도 93 % - 참여기관(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o 정량적 목표 : 첨단 연구장비를 활용한 분석 등으로... | 리튬금속의 합금화 반응 및 성장 거동 분석을 통하여 소재 후보군 도출 및 특성평가 진행함금속의 함량을 최소화하여 생산단가를 낮추고 이를 위한 슬러리 제조 기술을 개발함In-situ XRD 를 이용한 복합음극소재 충/방전과정에서의 결정구조 변화분석을 통하여 구조를 알 수 있음이는 탄소-금속 복합 음극용 금속 소재 도출을 위한 최적화이며 생산단가를 낮춤으로써 ... | 전고체 전지,차세대 이차전지,전고체 전지 음극,탄소금속 복합 음극,비리튬금속 음극 | All Solid State Battery,Next Generation Secondary Battery,ASSB Anode,Carbon Metal Nanocomposite Anode,Li Metal Free Anode | 575450000 |
1285 | 2021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일반,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6678 | 시스템 반도체 적층 패키지의 3차원 높이와 깊이 동시 검사를 위한 기기 개발 | Development of 3D optical surface depth inspecting equipment for laminate packaging of logic chip semiconductor | 박민영 | 주식회사엠젠 | 경기도 수원시 | 20211001 | 20230930 | 나노 측정기술(100 nm이하) | [1차년도 개발 목표]*주기적인 파장 스캐닝이 가능한 레이저 광원 개발*대면적 광학 이미징을 위한 파장 스캐닝 광원 성능 최적화*이미지 품질 향상을 위한 스캐닝 광원의 성능 최적화 - 광원 출력의 위상 안정화를 위한 짧은 공진기 구조 설계 - 광 증폭 소자를 이용한 고출력 광원 설계로 대면적 이미징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 최적화 *이미지 처리에 적합한 파장 ... | * 연구개발의 주요 결과물- 반도체 및 시스템 반도체 분야 공정 검사 장비 획득* 결과물 적용 방안- 반도체 광학검사 분야 : 독자 장비 운용 (Defect, Pattern, Solder 검사)- 반도체 전기, 신뢰성, 공정 분야 : 기존 검사 및 Testing 장비와 융합 부품으로 응용* 연구개발 성과의 활용방안- 반도체 뿐 아니라 광학을 이용한 비파괴 ... | 시스템반도체,광학검사,머신비젼,3차원,광융합장비 | Logic chip,Optical inspection,Machine Vision,3D imaging,Optical Convergence Equipment | 178143000 |
346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065 | CMP Pad Conditioner 정밀 제조 기술개발 | CMP | 오광호 | 새솔다이아몬드공업 | 기타 기타 | 20210901 | 2024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주관연구개발기관 (새솔다이아몬드공업)] □ Octahedron 다이아몬드가 제어된 CMP Pad Conditioner 개발 o Mold가공법 연구 - 2 - 다이아를 제어하기 위한 기초 기반 연구 o 정렬 노광 및 부착 기술 연구 - 다이아 부착을 위한 정렬 노광 및 부착 기술 연구 o Bond... | 1) Octahedron 다이아몬드가 제어된 CMP Pad Conditioner 개발→정밀 CMP Pad Conditioner개발을 위한 Mold가공법을 연구하며 깊이편차와 각도편차 제어에 중점 연구2) 정밀 CMP Pad Conditioner개발을 위한 정렬 노광 및 부착 기술 연구 → 정밀 CMP Pad Conditioner내의 다이아몬드 정렬을 위하여... | 반도체 평탄화 공정용 다이아몬드 공구,팔면체 다이아몬드,패드 절삭률,고온고압,웨이퍼 마모량 | CMP Pad Conditioner,Octahedron Diamond,Pad Cut Rate(PCR),HPHT,Remover Rate | 2163200000 |
1495 | 2022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64035 | 그래핀, 폴리에스테르바인더를 이용한 차광필름의 국산화 개발 | 정완영 | (주)국보화학 | 충청남도 천안시 | 20200630 | 20220629 | 기타 나노소재기술 | o 최적화 Aging 조건 확보 - 코팅된 차광필름의 최적화 Aging 조건 개발 - Aging 전후에 따른 두께 편차 최소 및 최적의 조건 확보o 차광필름 코팅액의 분산 유지장치 개발 - 시간에 따른 잉크 조성물의 고형분 분산액 유지장치의 개발 - 고형분 분산액 유지장치의 최적 가동 조건 구축o 잉크 조성물과 두께별 용제의 혼합비 표준 최적화... | o 국내의 경쟁사는 등록특허와 품질안정성을 앞세워 국내시장에 전량 공급하고 있는 KIMOTO사이며, 세계시장에서도 일본 소마社의 일부 점유율 이외에 전량을 납품하는 독점적 위치에 있음 - ㈜국보화학에서는 본 과제를 통하여 제품을 국산화함으로써 , 가격 및 고객 요구 가치의 충족, 빠른 시장대응의 경쟁력으로 시장에 대응하고자 함 - 수입대체 효과(국산화)... | 그래핀,폴리에스테르,렌즈모듈,블랙스페이서,코팅 | graphene,polyester,lens module,black spacer,coating | 315000000 | |
847 | 2021 | 고용위기기업부설연구소R&D전문인력활용지원(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사단)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 1711140711 | 젤라틴을 이용한 3D프린팅용 생체적합성 복합소재 개발 및 제품화 | 정상구 | 케이디중앙연구소 | 부산광역시 사하구 | 20210301 | 20220228 | 의약 약물전달 시스템 | ○ GelMA 기반 3D 복합 바이오잉크 2종 개발 및 제품화 생체적합성이 우수하고 프린팅이 용이하여 바이오 프린팅 소재로 응용가능성이 넓은 젤라틴 메타크릴아마이드 (GelMA)를 황용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GelMA의 낮은 강도로 인해 응용이 제한적임. 이에 본 연구에서는 GelMA에 셀룰로오스를 혼합하여 기계적 강도가 보강된 복합 바이오잉... | 고부가 가치 제품의 국산화를 통한 부가가치 창출 가능. 기존의 GelMA 바이오잉크 제품에 더하여 회사제품 경쟁력 향상됨. 당장의 사업화를 통한 해외수출 가능성이 큼. 회사의 매출에 큰 영향을 미칠것으로 판단 됨. | 젤라틴3차원프린팅셀룰로오스알지네이트복합 바이오잉크 | Gelatin3D printingCelluloseAlginateComposite bioink | 50000000 | |
144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81543 | 초음파 센서 기반 자동차 배터리팩 내부 상태 감지 모듈 개발 | Development of ultrasonic sensorbased vehicle battery pack internal state detection module | 정태욱 | (주)삼영에스앤씨 | 기타 기타 | 20220701 | 2026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주관연구개발기관(삼영에스앤씨)] o 복합 센서 모듈용 온습도 센서 제작 및 센서 단품 검증 o 배터리 셀 부착용 센서 모듈 설계 및 기구 제작 o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 설계 및 구상 [공동연구개발기관1(건국대학교)] o 복합 센서 모듈용 초음파 센서 사양 검토 및 단품 검증 시험 방법 설계 o 초음파 센서 신호를 이용한 배터리 셀 내부 모델링 ... | [과학, 기술적 측면] o 원천 기술 확보 - Sc-AlN 박막 개발에 의한 원천 기술 확보 (SCIE급 논문 : 4편 이상) - 센서 구조 및 센서 구동 방식에 대한 특허 확보 (특허 출원 : 4건 이상) [경제적, 사회적 측면] o 고용 및 사회 안전망 증대 - 센서 제작의 플랫폼 구축시 신규 채용 인원 2명/년 가능 - 배터... | 초음파 센서,압전,자동차 관리 시스템,건강도 충전도,리튬이온베터리 | Ultrasonic Sensor,Piezoelectric,BMS,SoH SoC,Lithiumion Battery | 509780000 |
303 | 2022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63767 | 방사선 방호 성능이 있는 스마트팜 온실용 직조필름 개발 | Development of woven film for smart farms with excellent protection performance | 조욱진 | (주)경동티엔씨 | 경상북도 고령군 | 20220401 | 202403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경제적 성과 - 매출 50백만원, 수출 20백만원, 고용창출 1명 -기술적 성과 - 방사선 차폐 MB 2종, 방사선 차폐 원사 1종 방사선 차폐 원단 1종, 1차년도 정량적 목표항목 달성 지식재산권 2건 | -새로운 기술이 접목된 제품개발이 가능하여 기존 제품이 가진 문제점과 한계점을 뛰어넘을 수 있는 차별화, 고급화된 제품개발로 관련시장에서 우위 선점이 기대되고 새로운 시장 및 용도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또한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으로 역수출이 가능한 제품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짐 -방사능 차폐소재 원단의 용도확대를 위해 비교... | 방사선 차폐,스마트팜,에어돔,직조필름,농업 | Radiation shield,Smart Farm,Air dome,woven film,Agriculture | 225000000 |
1244 | 2021 |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일반,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1240 | 계피오일 캡슐을 이용한 융합나노 무기질 해충기피 코팅제 개발 | 양철호 | 내외코리아 | 경기도 성남시 | 20201020 | 20221019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1차년도 세부목표1: 무기물질과 유기물질의 융합융합 나노 무기질 코팅제ⓐ 도막형성 후의 겉모양(표준양생후)ⓑ 도막형성 후의 겉모양(촉진내후성 시험후)ⓒ 도막형성 후의 겉모양(냉온반복시험후)ⓓ 도막형성 후의 겉모양(내알카리시험후)ⓔ 도막형성 후의 겉모양(내염수성시험후)코팅제의 중금속 함유여부ⓕ PBⓖ Cdⓗ Hgⓘ Cr코팅제의 페인트로서의 특성ⓙ 통기성ⓚ 내... | - 세계최초 유기물질의 강점과 무기물질의 강점을 융합하여 나노기술을 활용한 페인트로 수명이 평균 5년임.- 도막형성을 통하여 높은 촉진내후성, 내알카리성, 내염수성 등을 지님.- 빗물에 의한 자가세척이 가능하여 황변현상 해소- 백화현상 및 벗겨짐 등의 문제 해소1. 주요판매처- 국내 : 가정집 양계장 축사 등- 해외 : 필리핀,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 | 무기질,페인트,계피,뎅기,말라리아 | inorganic,paint,cinammone,denggi,malaria | 227508000 | |
213 | 2021 | 산학연CollaboR&D(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48629 | 반도체설비용 0.001 Torr급 축전용량식 진공게이지 개발 | 백석철 | 엠케이프리시젼(주) | 경기도 시흥시 | 20200622 | 20220621 | 기타 나노소자 및 시스템기술 | 축전용량식 0.001 Torr 급 진공게이지 1차 시작품 제작 1. 센서 모듈부 시작품 제작 - 센서 모듈부 body 부 용접 - 진공 유지용 Getter 개발 - Feed through 개발 - 생산 및 용접용 지그 개발 2. 커패시턴스 측정 및 출력 신호 회로 개발 | 1. 1차 시작품을 개발하면서 주요 개발 항목을 검증 및 확인함으로써 최종 시제품 제작의 밑바탕이 됨2. 목표 달성이 가능한 최종 시제품 제작의 기대 효과를 내는 주요 항목은 - 다이아프램과 세라믹 도체부와의 압 변화에 따른 대응 - 분해능 0.0001 을 유지할 수 있는 다이아프램의 용접 및 세라믹 도전부와의 거리 - 게터의 활용성... | 진공게이지,축전용량식 게이지,격막식 게이지,커패시턴스 마노미터,다이아프램 게이지 | vacuum gauge,capacitance gauge,capacitance diaphragm,capacitance manometer,diaphragm gauge | 232500000 |
판매제공처 홈페이지 | hellodd.com | 라이선스 |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
---|---|---|---|
판매 담당자 | 대덕넷 | 권한 | HelloDD |
연락처 | 070-4171-3524 | 접근 권한 | public |
이메일 | sungmin8497@hellodd.com | 상품 구분 | dataset |
품질측정 검사 | 품질측정기간 | ~ | |
---|---|---|---|
품질측정기관 | 대덕넷 | 품질측정연락정보 | 0428615005 |
품질측정결과 | 품질측정내용 |
현재 준비중입니다.
10047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황금1로 122,김포제조융합혁신센터 3층 한국산업기술시험원 ㅣ 사업자번호 : 113-82-06228 ㅣ 대표자명 : 김세종 ㅣ TEL: 02-860-1059 ㅣ E-mail: bigdata.dx@ktl.re.kr
Copyright ⓒ 2021 KOREA ENTERPRISE DAT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