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협의 상품 및 유료상품의 구매를 원하실 경우 맞춤형 데이터 신청란에 글을 남겨주시면
신속히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데이터셋명 | NT분야대학별과제데이터 | 데이터 유형 | csv |
---|---|---|---|
데이터 분야 | 과학기술 | 구축 데이터량 | 23.00 MB |
구축기관 | 대덕넷 | 데이터 갱신 일자 | 2022-08-29 |
데이터 개방 일자 | 2022-10-27 | 데이터 이용 기한 | 무기한 |
데이터 갱신 주기 | - | 버전 | - |
주요 키워드 | NT, 나노기술, 정부과제, 대학, 데이터 | ||
벨류체인 키워드 | 기술획득 | ||
소개 | 과학기술 NT(Nanotechnology) 분야 대학별 정부 R&D 과제 데이터입니다. |
국내 NT 분야 대학별 과제 데이터 상품설명서
□ 상품설명
○ 국내 NT 분야 대학별 과제 데이터 상품은?
· 2021년~2022년 기준 국내 NT 분야 대학별 과제 데이터입니다. 국내 대학에서 진행한 NT 분야 과제의 세부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NT 분야는 물질을 원자 및 분자 수준에서 조작·분석하고 이를 제어하는 과학과 기술의 총칭입니다. NT 분야는 나노기술을 통해 원자나 분자 크기의 기술을 다루는 분야이기 때문에 BT 분야와 연관성이 있으며 나아가 IT 분야와도 연관이 있습니다. 나노 기술 주요 연구 단체들 사이에서는 활발한 연구 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데이터 주요 키워드
· #NT #나노기술 #과학기술 #과제데이터 #대학
○ 데이터 활용 및 이용 권장 고객
· NT 분야 국내 대학 과제 데이터를 활용(공유)하고자 하는 기업인
· NT 분야 과제 데이터를 활용해 융합연구를 위한 공공·민간 연구자
· 학술 연구를 위한 이공계 대학생·대학원생
□ 데이터 활용 방안
○ 국내 NT 분야 대학별 과제 데이터 상품 활용 방안은?
· NT 분야 과제 데이터는 신기술 창출 및 기존 제품의 고성능화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국제적으로 아직 개발초기 단계이지만 모든 산업에 필요한 핵심요소 기술 데이터입니다. NT 기술은 IT 기술과 BT 기술의 기반이 되며 기술적·산업적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전망됩니다.
□ 데이터셋의 구성
○ 데이터셋의 구성
· 국내 NT 분야 대학별 과제 데이터는 총 N개의 데이터로 구성돼 있습니다.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인 NTIS(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의 데이터에 기반합니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연구하고 있는 과학기술을 비롯하여 각종 연구개발사업과 관련된 과제, 인력, 연구시설·장비, 성과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 연구개발(R&D) 지식포털입니다.
데이터 구분 | 데이터 요약 | 제공 방식 |
국내 NT 분야 대학별 과제 데이터 | - 국내 대학에서 수행한 NT 분야 과제 세부 내역 - 연구수행주체 및 수행기관 - 6T분류 및 과학기술표준 분류 코드 | - csv/zip |
□ 데이터셋의 구조
○ 데이터셋의 구조
No. | 칼럼명 | 데이터 타입 | 칼럼설명 |
1 | 일련번호 | VARCHAR(14) | 일련번호 |
2 | 기준년도 | VARCHAR(4) | 기준연도 (Ex. 2020) |
3 | 사업명 | VARCHAR(1000) | 사업명 |
4 | 부처명 | VARCHAR(500) | 부처명 |
5 | 과제관리기관명 | VARCHAR(300) | 과제관리기관명 |
6 | 과제고유번호 | VARCHAR(100) | 과제고유번호 (총 10자리 숫자) |
7 | 국문과제명 | VARCHAR(500) | 과제명(국문) |
8 | 영문과제명 | VARCHAR(500) | 과제명(영문) |
9 | 연구책임자명 | VARCHAR(20) | 연구책임자명 |
10 | 과제수행기관명 | VARCHAR(500) | 과제수행기관명 |
11 | 지역구분내용 | VARCHAR(20) | 지역구분 (ex.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12 | 총연구기간시작일 | VARCHAR(8) | 총연구기간시작일 (Ex. 20220718) |
13 | 총연구기간종료일 | VARCHAR(8) | 총연구기간종료일 (Ex. 20220718) |
14 | 6T관련기술분류내용 | VARCHAR(500) | 6T관련기술분류 (Ex.4세대 이동통신) |
15 | 연구목표요약 | VARCHAR(1000) | 연구목표요약 |
16 | 기대효과요약 | VARCHAR(1000) | 기대효과요약 |
17 | 한글키워드 | VARCHAR(500) | 한글키워드 |
18 | 영문키워드 | VARCHAR(1000) | 영문키워드 |
19 | 연구비합계 | NUMERIC | 연구비합계 |
20 | 작업구분코드 | VARCHAR(1) | |
21 | 데이터생성일자 | VARCHAR(8) | |
22 | 연계처리상태코드 | VARCHAR(1) | |
23 | 연계처리일자 | VARCHAR(8) | |
일련번호 | 기준년도 | 사업명 | 부처명 | 과제관리기관명 | 과제고유번호 | 국문과제명 | 영문과제명 | 연구책임자명 | 과제수행기관명 | 지역구분내용 | 총연구기간시작일 | 총연구기간종료일 | 6T관련기술분류내용 | 연구목표요약 | 기대효과요약 | 한글키워드 | 영문키워드 | 연구비합계 |
1144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0758 | 미생물의 효과적인 현장 검진을 위한 AND 로직 자성-나노자임 분리검침 시스템의 개발 | Development of AND logic magnetic-nanozyme system for effective microbial point of care test | 최진실 | 한밭대학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301 | 20230228 | 나노 바이오 물질 합성 및 분석기술 | 본 연구는 1) 보다 우수한 선택적 자성 표지 및 분리 기술, 2) 나노자임의 유사효소 효과, 3) AND 로직 하이브리드 시스템에서의 유사효소(촉매) 효과 증폭 기술 개발을 통해 질병 관련 미생물의 신속·정확한 현장 검진이 가능한 새로운 시스템 확립을 목표로 함. | 본 연구에서 제시한 AND 로직 자성-나노자임 하이브리드 분리검침 시스템은 1) 분리와 발색의 2단계로 절차가 간단하고, 2) 반응성이 빠르며 (발색시간 수분이내), 3) 그 결과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가능하며 4) 사용되는 프로브들이 다양한 조건(pH, 온도 등)에서도 안정적이라 누구나 쉽게 수행할 수 있음. 또한 사용되는 프로브들은 모두 저렴한 재료와 제... | 현장검진,미생물,자성 분리 ,나노자임,유사효소 효과 | point of care test,microorganism,magnetic separation,nanozyme,emzyme-like effect | 95000000 |
5175 | 2022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9150 | 고 선택도 이산화탄소-화학원료 전환을 위한 고엔트로피 소재 기반 전기촉매 개발 연구 | Development of nanostructured high-entropy materials for highly-selective and stable electrocatalytic CO2-to-Chemicals | 아루무감시바난담 | 아주대학교 | 경기도 수원시 | 20210601 | 202405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이산화탄소의 고부가가치 자원화/에너지화가 가능한 이산화탄소-화학원료 전환 전기화학 셀 기술 개발을 위해 타겟 반응생성물에 대한 선택도 제어가 용이하고 안정성이 우수한 전기촉매를 개발하고자 함. 본 연구에서 새로이 제안하는 고엔트로피 소재의 경우, 5종 이상의 다원소로 구성되어 있어 표면 활성점 및 흡탈착 거동 제어가 용이하고 내부식 특성이 우수하여 차세... | ■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이산화탄소 전환 기술 개발) 본 제안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경우, 반응생성물의 분리 및 부산물의 처리문제가 없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이산화탄소-원료 전환 전기화학 셀 구현이 가능함. ■ (타 에너지분야로의 응용 연구) 기존의 전통적인 촉매소재가 아닌 신규 소재 개발과 이들의 합성 공정기술을 연구하기 때문에 다양한 원천기술 개발이... | 전기촉매,고엔트로피 소재,이산화탄소 전환,전기화학셀,고 선택도,나노소재 합성,화염공정,에틸렌 | Electrocatalyst, high-entropy alloy materials, CO2 reduction, electrochemical cells, high-selectivity, synthesis of nanomaterials, flame method, ethylene | 70000000 |
2018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7932 | 노르에피네프린 수용체를 통한 효과적 신경모세포종 진단과 치료 기술 연구 | Study of effective diagnosis and therapy of neuroblastoma through norepinephrine transporter | 김희권 | 전북대학교 | 전라북도 전주시 | 20210301 | 20240229 | 나노 바이오 물질 합성 및 분석기술 | -본 연구는 신경모세포 (Neuroblastoma)에 추적 작용할 수 있는 새로운 norepinephrine transporter 작용 물질을 개발하여, 그 작용을 조사하여, neuroblastoma에 적용될 수 있는 진단 영상물질을 개발하고자 함.-효율적인 neuroblastoma 진단에 사용 하기 위해 나노물질에 다중 기능작용기를 도입하여 neurobl... | -neuroblastoma에 작용할 수 있는 새로운 추적 영상제제가 개발됨으로서 neuroblastoma의 연구 및 진단에 쓰일 수 있음. -본 연구 종료 시 새로운 약물 전달체 연구가 성공적으로 진행된다면, 실제적으로 neuroblastoma치료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됨.-neuroblastoma 추적 작용하는 고효율 물질구조 개발 및 영상을 통... | 신경세포종,노르에피네프린 수용체,분자영상,표적물질 개발,약물전달 | neuroblastoma,norepinephrine transporter,molecular imaging,targeting agents,drug delivery | 95620000 |
2453 | 2022 | 바이오매스기반탄소중립형바이오플라스틱제품기술개발 | 기획재정부 | 한국연구재단 | 1055000971 | 원스텝-원팟 기반 차세대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생산을 위한 인공미생물 플랫폼 원천 기술 개발(공동2) | Development of synthetic microbial platform systems for one step-one pot synthesis of next-generation biodegradable biopolymers+(CO2) | 이동윤 | 경북대학교 | 대구광역시 | 20220701 | 2025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차세대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을 위한 원스텝-원팟 기반 합성 원천기술 개발 - 바이오 플라스틱의 물성 평가 및 블렌딩 기술 개발 | - 다양한 물성의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을 생산해 신규 기능성 고분자 개발에 기여 및 7,000억 이상의 바이오 플라스틱 기반 고분자 시장 창출가능- 연 평균 8.0%의 성장세를 보이는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 선점 및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 기반 기술 국산화 가능 | 차세대 바이오 플라스틱, 생분해성 고분자, 고분자 단량체, 물성 맞춤형 | Next-generation bioplastic, Biodegradable polymer, Monomer, Customized property | 50000000 |
2166 | 2021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35912 | 환경잡음 저감형 유기물 기반 열신호 통신소자 개발 | Development of Environmental-Noise-Free Organic Devices for Thermal Signal Communication | 김종현 | 아주대학교 | 경기도 수원시 | 20180601 | 20210531 | 나노전자 소자기술 | 본 연구의 최종목표는 환경잡음 (수분/산소) 저감형 유기물기반 열신호 감지/표시장치 소자의 원천기술개발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하기와 같음.1) 1000nm대 적외선 감응형 공액고분자 개발. -. 전자공여성-전자수용성 유닛배열 모노머 및 유닛종류 선별을 통한 고분자의 밴드갭 제어기술 개발.-. 공액고분자의 엑시톤 결합 에너지 제어를 통한 소재의 광민감도 향상기... | 적외선 감지기술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무기물박막 혹은 양자점 나노입자를 이용한 연구에 국한되어 있었고, 고분자를 이용한 경우에도 1000nm 이상의 적외선 감지에 대한 기술은 전무한 실정임. 본 연구는 수분 및 산소 등의 환경잡음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고감도 적외선신호 감지소자개발, 그리고 발광소자와의 결합을 통한 적외선신호의 형상화 기술개발까지 포함하는 것... | 열감지,열신호 표시,환경잡음 저감 소자,유기광전자소자,무선 적외선 통신 | Thermal signal detection,Thermal signal display,Environmental-noise-free devices,Organic optoelectronic devices,Wireless infrared communications | 12500000 |
6308 | 2022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54883 | 2차원 물질만으로 구현된 3차원 집적 CMOS 연구 | Research on 3D integrated CMOS composed of Only 2D Materials | 서재은 | 연세대학교 | 서울특별시 | 20220601 | 20240531 | 나노전자 소자기술 | 최종목표 : 2D 물질만을 활용한 고성능 All 2D MOSFET과 이를 적용한 3차원 집적 All 2D CMOS 대면적 구현금속 2D 물질 PtSe2를 MOSFET 소자의 Source/Drain/Gate 컨택으로, 절연체 2D 물질 hBN을 Gate 절연체로 활용하여 2D Channel 물질과의 Source/Drain/Gate 컨택과 절연체와의 계면 특성... | ▷ 제안하는 연구에서는 금속 2D 물질로는 PtSe2, 반도체 2D 물질로는 MoS2, WSe2, 절연체 2D 물질로는 hBN을 사용하지만, 2D 물질만을 사용한 전자소자의 성능 개선이 두드러지게 확인된다면, 다양한 금속, 반도체, 절연체 2D 물질을 사용하여 연구 범위를 확장할 수 있음.▷ 본 연구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2D 물질은 모두 저온 성장이 가능할... | 2차원 물질,컨택 저항,전계효과트랜지스터,집적소자,수직 적층 구조 | Contact Resistance,CMOS Inverter,MOSFET,PtSe2,MoS2,WSe2,hBN,Integrated Circuit,2D Materials | 20000000 |
440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0980 | 저차원 TMDC 및 금속-유기구조체 (MOF)기반 인체부착형 에너지 발전-저장 소자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low-dimensional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 (TMDC) and metal organic framework (MOF)-based body attachment type energy generation-storage device technologies | 유재수 |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 경기도 용인시 | 20200301 | 20230228 | 나노전자 소자기술 | 본 연구에서 다양한 제작방법에 의한 저차원 전이금속칼코겐화물 (TMDC: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을 제작하고, 결함제어, 형상제어 및 표면 개질/기능화를 통해 결정구조와 효율의 이론적/실험적 분석, 금속-유기 구조체 (MOF: metal-organic framework) 물질 합성 및 구조적, 물리적, 전기화학적 특성 개선... | o 플렉시블한 기판을 이용해 나노융복합구조체를 합성할 경우, 이를 통한 유연한 소자제작을 통해 웨어러블 응용 기기와 융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o 저차원 TMDC 및 MOF 나노융복합 에너지소재의 개발을 위한 새로운 하이브리드 합성법, 고성능화 및 다기능화와 관련된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원천특허 등 지적재산권을 획득하여 추후 기술이전을 추진할 수 있을 것... | 발전소자,배터리형 슈퍼커패시터,전이금속 칼코겐화합물, TMDC,금속 유기구조체 MOF,플렉시블 | Generation device,Battery type supercapacitor,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 TMDC,Matal-organic framework, MOF,Flexible | 99986000 |
3062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3366 | 지능형 쿨롱 끌기 신경 모사 소자 개발 | Development of Intelligent Coulomb Drag Neuromorphic Device | 주민규 | 숙명여자대학교 | 서울특별시 | 20220301 | 20250228 | 나노전자 소자기술 | 쿨롱 끌기 (Coulomb drag) 전계 소자 구조를 기반으로 무자기장 보손 (Boson) 입자의 존재 가능성을 실증하여 새로운 초유동/초전도 (Superfluidity/Superconductivity) 미래 양자 소자 플랫폼을 제안하고 엑시톤 (Exciton) 기반 지능형 신경 모사 칩 (Intelligent neuromorphic chip) 개발에 기... | 과학적/학술적 기대효과: 이론적으로 제안된 고온 무-자기장 환경에서 초유동 전하 거동 가능성을 검증하여 쿨롱 끌기 소자 구조 기반 미래 양자 반전기 및 지능형 신경망 모사 설계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함. 특별히 양자 컴퓨터 개발에 필요한 필수 요소 기술로 적용될 수 있으며 미래 반도체 소자 에너지 효율 향상에 큰 의의가 있음. 산업적/경제적 기대효과:... | 쿨롱 끌기 소자,초유동, ,엑시톤 반전기,신경 모사 소자,전하 중성 영역,양극성 재료 | Coulomb drag device,Superfluidity,Exciton inverter,Neuromorphic device,Charge neutrality point,Ambipolar materials | 255125000 |
5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2470 | 그래핀이 집적된 능동 플라즈모닉 메타표면 기반 고효율 편광 회전자 개발 | Development of high-efficient polarization rotators based on graphene-integrated active plasmonic metasurface | 이종권 | 청주대학교 | 충청북도 청주시 | 20210301 | 20250228 | 나노 photonics기술 | 금속 나노구조 메타표면의 양측에 전위가 인가되는 그래핀 층들을 집적함으로써, 금속 나노패턴과 그래핀 사이의 Fabry-Perot 효과 및 금속 나노패턴들 사이의 plasmonic coupling 효과에 의해 편광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초박형, 광대역 (Half/Quarter) wave-plate와 편광 회전자를 개발하고자 함. 이를 통해, 광산란이 심한... | ▣ 기술적 측면 초박형 고효율 편광 회전자를 Mobile Lens에 적용하여 고감도 편광영상 획득이 가능할 뿐 만 아니라 무한 심도의 초소형 렌즈 모듈 개발에 적용할 수 있음. 자동차용 렌즈나 휴대폰용 렌즈 시스템 등에 적용하여 ghost나 flare를 억제하고 3D 사물 인식 용 자율주행의 영상 획득시 기술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 능동 ,메타구조,그래핀,금속 나노패턴,가변 편광,광대역 | Active,Meta-structure,graphene,metal nano-pattern,tunable polarization,broadband | 216970000 |
83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9823 | 엔트로피 희석제를 이용한 고분자 1차원 하이포결정 연구 | Polymer 1D Hypo-Crystals using Entropy Diluents | 강영종 | 한양대학교 | 서울특별시 성동구 | 20200901 | 20250228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본 연구는 화학적 구조의 복잡성과 긴 사슬 때문에 결정(crystal)을 성장시키기 어려운 고분자를 엔트로피 희석제(entropy diluent)라고 명명한 물질을 이용하여 결정성을 갖는 물질로 성장시키는 방법과, 생성된 결정의 구조와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는 연구임. 특히 stereo-irregular한 고분자와 같이 지금까지는 결정화가 불가능한 것으로 알... | [ 고분자 결정화를 위한 새로운 개념 제시 ]○ 본 과제는 일반 고분자를 이용하여 결정성 고분자로 변화시킬 수 있는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개념과 방법을 제시하고 있음. ○ 본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경우 지금까지는 결정화가 불가능했던 수많은 고분자를 결정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통하여 새로운 물성을 갖는 신소재를 개발할 수 있을 것... | 하이포결정,엔트로피 희석제,atactic 고분자 결정,고속응고 | Hypocrystal,Entropy Diluent,atactic polymer crystal,thermal quenching | 92992000 |
2544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3996 | 변전소자의 전기탄성학적 모델링 및 결함역학 연구 | Electroelastic Modeling of Flexoelectric Devices and Defect Mechanics Research | 박유근 | 한국뉴욕주립대학교 | 인천광역시 연수구 | 20200601 | 20230228 | 나노전자 소자기술 | 보편적으로 센서와 액추에이터의 응용으로 많이 활용되었던 압전(piezoelectric)소자 이후로 근래에 큰 관심과 더불어 활발한 연구가 시작된 변전효과(flexoelectricity)에 대하여 연구한다. 변전효과의 기초원리 규명과 더불어 변전소자 개발과 엔지니어링에 필요한 전기탄성학적 모델링 기법과 해석 tool을 개발하는 것을 연구목표로 한다. 변전효과... | 변전효과 (flexoelectricity)는 최근 강유전체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 이 분야는 압전효과에 이어 센서와 액츄에이터, 에너지 하베스팅, 신메모리 소자 및 여러 생체바이오에서 새롭게 응용될 수 있으므로 해외(특히 미국)에서 최근 수년간 상당히 활발히 연구되어왔다. 실험과 소자 제조에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동시에 변전효과를 극... | 변전효과,센서 및 액츄레이터,에너지하베스팅,전기탄성학 모델링,결함역학,다중박막,양자점,전위,점결함 | Flexoelectricity,Sensor and Actuator,Energy Harvesting,Electroelastic Modeling,Defect Mechanics,Multilayer Thin Film,Quantum Dot,Dislocation,Point Defect | 50000000 |
3695 | 2021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 | 1711150221 | 이온 전달 기반 신개념 뉴럴링크 인공 디바이스 개발 | 강기범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701 | 2021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뉴런과 직접상호작용이 가능한 이온 전달 기반 신개념 뉴럴링크 디바이스 개발을 목표로 함. 신재료 δ-MnO2 기반으로 극미량의 이온을 (1)저장 (2)방출 (3)전기신호전환이 가능한 디바이스 검증. | 아직은 미지의 영역이지만 실제 뉴런처럼 동작하는 인공소자의 등장 자체가 과학계에서 큰 센세이션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기대한다. 새로운 컨셉의 이온 기반의 뉴런 커뮤니케이터의 개발을 통해 향후 생체 신경망 내의 뉴런과 직접 소통 가능한 디바이스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뉴런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디바이스를 통해 오감을 데이터화하는 것은 AI 의 기능 확... | 뉴럴링크,뉴로몰픽소자,이온전도성,이차원재료,이산화망간 | Neuralink,Neuromorphic device,Ionic conductivity,Two-dimensional materials,Manganese dioxide | 4133000 | |
448 | 2021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5115 | 재료구조-특성 직접연계 해석 시스템의 금속기반 초고기능성 소재로의 적용 기술 개발 | Application of microstructure/properties correlation analysis into metal-based ultra-high functional materials | 조훈휘 | 한밭대학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601 | 202305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재료구조-특성을 직접연계하는 해석 시스템을 금속기반 초고기능성 소재에 적용하고, 이 기술을 활용하여 최적의 금속기반 초고기능성 소재를 개발함. | 4차 산업혁명 시대 성장동력 주도 Break-through형 기술 새로운 융합 가공기술 진흥 통합적 사고력을 갖는 인력양성 기존 소재 한계 극복 | 금속기반 초고기능성 소재, 대표 부피요소, 재료고유물성, 요소화, 연속체 역학 기반 전산모사 기법, 융합재료 | Metal-based ultra-high functional material, Representative volume element, Intrinsic properties, Meshing, Continuum mechanics-based simulation, Integrated computational materials engineering, Microstr... | 50000000 |
5686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9486 | 금속 3D printing 기반 신속 combinatorial alloy map 구축을 통한 초고온용 Co-Ni 다원계 초합금 개발 | Development of Co-Ni based multi-component superalloys using metal 3D printing and fast construction of combinatorial alloy maps | 최벽파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301 | 20230228 | 나노 측정기술(100 nm이하) | 본 연구는 금속 3D printing 기술에 의한 효율적 합금 스크리닝을 통한 초고온에서 활용 가능한 Co-Ni 기반 다원계 초합금의 개발을 최종목표로 한다. 앞으로 4년간의 세부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1) 금속 3D printing 및 열역학 계산을 기반으로 하여 최적의 초합금 조성 범위를 신속 선별 2) 선별된 조성을 갖는 초합금의 3D print... | 신속한 combinatorial alloy map 구축 및 high throughput 분석법을 통해 기존 합금 제조 및 설계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한 새로운 합금 설계 방법 제시가 가능하다. 이를 바탕으로 차세대 Co-Ni계 초합금을 개발하여 에너지생산 및 항공용 가스터빈의 성능과 안전성이 월등히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학문적 기대효과 :- 신속한 com... | 초합금,코발트,니켈,미세구조,적층가공법,3차원 원자 탐침 분석기,단결정,크립 저항,합금 설계 | superalloy,Cobalt,Nickel,3D printing,microstructure,3D atom probe,single crystal,creep resistance,Alloy design | 100000000 |
1353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8957 | 천연소재 기반 초박막형 다채널 전기약 생체인터페이스 개발 | Development of ultra-thin multichannel electroceutical biointerfaces based on natural materials | 심봉섭 | 인하대학교 | 인천광역시 남구 | 20200601 | 20230228 | 기타 나노바이오보건기술 | ● 연구배경: 생체인터페이스는 미래유망 의료기술인 전자약(electroceuticals), 능동형 인공장기(bionic organs), 유비쿼터스 헬스(U-health) 시스템의 핵심 기술요소임. 하지만, 소재의 생체적합성 및 기능성의 한계로 현재 생체이식형 기기의 상용화 적용은 아직 매우 제한적임.● 본 연구진의 보유한 세계적 선도기술인 생체유래 멜라닌 ... | 기술적 측면● 천연전도성 멜라닌 복합소재 기반 생체적합 인터페이스 세계최초 구현● 초박막 주사제형 생체인터페이스 개발을 통한 외과수술 및 생체면역반응 최소화경제적/산업적 측면● 전자약 플랫폼 응용 확대 및 의료기기 시술 간소화로 전자약 보급 활성화● 생체인터페이스의 Zero-to-One 기술 개척으로 고부가 의료기기 시장 선점/확대, 첨단 기술인력 양성, ... | 천연 전도성 소재,멜라닌,생체인터페이스,전자약,신경인터페이스,주사제형 전극,초박막형 전극 | natural conducting materials,melanin,biointerface,electroceuticlas,neural interface,injectable electrode,ultra-thin electrode | 50000000 |
2061 | 2022 |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 기획재정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8326 | 고선택성 메탄 산화체 제조용 비균질계 촉매 개발 | Development of heterogeneous catalysts for the synthesis of methane oxygenates with a high selectivity | 박은덕 | 아주대학교 | 경기도 수원시 | 20150917 | 20240229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본 연구에서는 C1가스의 대표적 물질인 메탄을 직접 활성화하여 메탄올을 포함한 메탄의 산화체로 전환하여 기초 화학제품 및 수송 연료의 생산이 가능한 비균질계 촉매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함. 본 연구를 통해 공정 온도의 감소, 메탄 산화체로의 선택도 향상, 메탄 전화율의 향상을 이끌 수 있는 액상 및 기상에서 메탄의 선택적 산화 반응용 불균일계 촉매를 개발 하... | - 기존 고온/고압 공정대비 경제성을 확보한 공정개발이 가능함. - 다양한 선택적 산화 반응 촉매의 합성기술 및 반응시스템 관련 기술을 획득 - 관련 지적재산권을 통해 원천기술의 우위를 점할 수 있고 관련 기술시장을 선점.- 촉매 산업에 이바지할 우수한 연구 인력을 배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메탄,메탄올,불균일계 촉매,선택적 산화반응,제올라이트,메탄 산화체,부분산화반응,포름산 | Methane,Methanol,Heterogeneous catalyst,Selective oxidation,Zeolite,Methane oxygenate,Partial oxidation,Formic acid | 900000000 |
3914 | 2021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33777 | 5V 급 고비율 니켈조성 양극재 개발 및 이를 적용한 3차원 전고체 이차전지 개발 | Development of 5V class high nickel cathode material and 3D all-solid state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이현석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서울특별시 노원구 | 20210601 | 202305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 최종 연구목표 : 3D프린팅 기법을 이용한 차세대 이차전지용 5V 급 전고체 리튬이온전지 개발● 1차년도 : 나노시트 형태의 5V 급 고전압 고용량 양극소재 개발 및 소재의 필라멘트화 방법 개발- 올리빈계 중에서 산화 환원 전위가 5.1V로 가장 높은 Ni3+/Ni2+ 이온을 이용하여 LiNixM1-xPO4 (M=Co, Fe, Mn) 조성을 갖고 이온전... | ● 학술적 기여 : 본 과제에서 제안한 3D 프린팅을 이용한 전고체 리튬이온전지의 개발을 통해 리튬이온 이동의 구조적 한계를 확인하고 전고체 전지의 최적구조를 확보함으로써 전고체 전지의 제작시요소기술 확보 및 주요인자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계면 제어기술 확보를 통해 기존 이차전지 및 전기차용 이차전지 등 차세대 전지로... | 5V급 양극재,전고체 전지,3D 프린팅,리튬이온전지,나노시트 | cathode, all solid-state batteries, 3D-printing, Li-ion batteries, nanosheet | 52500000 |
830 | 2022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8678 | 실시간 유해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고성능 3차원 표면증강라만분광 기판 제작과 혼합가스 분석 알고리즘 개발 | Fabrication of High-Performance Surface-Enhanced Raman Spectroscopy (SERS) Substrates and Development of Gas Mixture Analysis Algorithm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 양대종 | 공주대학교 | 충청남도 공주시 | 20200601 | 202505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본 과제는 표면증강라만분광법(Surface Enhanced Raman Spectroscopy, SERS)을 이용한 실시간 혼합가스 측정 시스템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의 가스센서는 아주 민감한 센서를 만드는 데 집중해왔고 그 결과 산업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선택성이 떨어져 방해 가스가 포함된 곳에서의 측정이나 혼합가스 측정은 어... | 학문적/기술적 관점-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반도체식 가스센서의 본질적인 단점인 낮은 선택성과 느린 반응속도를 해결- 표면증강라만분광법을 이용하여 가스의 SERS 스펙트럼 데이터베이스 구축- 분자의 고유한 특징인 진동에너지 준위를 측정하므로 선택성이 높으며 빠른 측정 가능- 기초적인 연구만 진행되고 단일 가스 중심이었던 SERS 가스센서를 완성도... | 가스센서, 표면증강라만분광법, 혼합가스,3차원 금 나노 클러스터,선택성, 광소자, 인공지능 | Gas Sensor, Surface Enhanced Raman Spectroscopy, Gas Mixture, 3D Au Nanoparticle Cluster, Selectivity, Optical Device, Artificial Intelligence | 50000000 |
525 | 2021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2216 | 고성능/다기능 전자 실을 적용한 생체 신호 감지 섬유형 트랜지스터 개발 | Development of textile transistors based on high-performance and multi-functional electronic yarns for monitoring multiple human-body signals | 양희연 | 고려대학교 | 서울특별시 성북구 | 20200601 | 20230531 | 나노전자 소자기술 | 본 연구 과제는 나노 전자 소재를 1차원 형태의 섬유사 표면에 내외부적으로 균일하게 코팅한 후, 빠르고 효율적인 집속 광 소결법을 통해서 높은 전기 전도성, 우수한 유연성과 생체 적합성을 갖는 고성능 전자 실을 제조할 뿐 아니라 집속 광 소결 조건 조절을 통하여 다양한 전도성과 기능성을 갖는 전자 실을 제조하고, 이들을 의류에 집적화하여 인체에서 발생하는... | 본 연구는 차세대 착용형 시스템 개발을 위해 앞으로 많은 수요가 예상되는 나노 전자 소재 합성, 겔 유전체 합성, 전자 실 및 섬유의 제작, 생체 신호 처리/분류 알고리즘 구현 등의 다수의 원천 기술이 개발될 것으로 기대함. 실 형태의 고성능/다기능 전자 실이 개발 된다면, 단순히 옷에 웨어러블 기기를 부착 혹은 실장하는 것이 아닌 옷 자체가 기기화가... | 고성능 전자실,섬유형 트랜지스터,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착용형 생체 신호 감지 | electronic yarn, fiber transistor, wearable, vital signs | 50000000 |
459 | 2021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31314 | 저차원 재료의 Wiedemann-Franz-Lorenz 법칙에 관한 실험적 이론적 검증 |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verification of Wiedemann-Franz-Lorenz law in low-dimensional materials | 김정민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20190601 | 202205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재료의 차원 감소에 의해 발생하는 크기효과 및 양자구속효과가 전도성 물질의 전하와 열전달에 관한 Wiedemann-Franz-Lorenz 법칙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검증하고 이론적으로 규명하여 열전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한다. | ● 저차원 재료에서의 크기효과와 양자구속효과로 인한 전하 및 열 수송의 상관관계 변화에 관한 다양한 실험결과가 보고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그 원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 전무하다.● 따라서 차원 감소에 따른 로렌츠 수의 변화를 실험적으로 검증하고 그 원인을 이론적으로 규명하는 것은 저차원 재료의 전하 및 열의 수송 현상에 관한 중요한 학문적 업적이 될 뿐만... | 1차원 나노선,Wiedemann-Franz-Lorenz 법칙,전기전도도,열전도도,로렌츠 수 | 1 dimensional nanowire,Wiedemann-Franz-Lorenz Law,electrical conductivity,thermal conductivty,Lorenz number | 50000000 |
3770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6506 | 그래핀 2차원 전류 흐름 시각화 및 동역학 연구 | Visualization of current dynamics in graphene transport device | 이동헌 | 고려대학교 | 서울특별시 성북구 | 20210601 | 20230228 | 나노전자 소자기술 | 2차원 전류 흐름 시각화 및 Veselago lensing 효과 이미징○ 다이아몬드 NV 센터 기반 single spin scanning magnetometer를 이용하여 그래핀 소자에 흐르는 전류 분포를 이미징하고 전류 수송 현상을 시각화한다.○ Ballistic, diffusive, hydrodynamic 등 다양한 transport regime에 따른... | 본 과제를 통해 그래핀 소자의 전류 흐름을 직접 관찰하게 되면 기존의 transport 측정과 더불어 그래핀 전자수송에 대한 상호보완적인 이해를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된다. 전류 분포의 이미징 뿐만 아니라 전류 거동, 잡음에 따른 Johnson noise를 측정함으로써 관련 동역학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그래핀 전자수송 메커니즘을 연구... | 전류 흐름 시각화,그래핀 전자 수송,다이아몬드 NV 센터,단일 스핀 주사 자기장 현미경 | Visualization of current flow,Graphene transport,Diamond NV center,Single spin scanning magnetometer | 47566000 |
6283 | 2022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54042 | 결함 공학을 통한 금속-유기 골격체 기반 고체 전해질의 양성자 전도도 향상 | Proton Conductivity Enhancement of Solid Electrolytes based on Metal-Organic Frameworks through Defect Engineering | 백승빈 | 울산과학기술원 | 울산광역시 | 20220601 | 202305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1. 연구개발과제의 최종 목표- 결함 공학을 이용하여 양성자전도도 특성을 개선한 defective MOF 플랫폼 개발- 개발된 Defective MOF의 결함-양성자전도도 간 상관관계 규명 | 1. 연구개발성과의 기대효과- Defective MOF 플랫폼 개발 관련 원천기술 선점이 가능함- 안정성이 확보된 다양한 종류의 defective MOF 물질의 설계 및 합성이 가능해짐- MOF 기반 고체 전해질의 작동 메커니즘 이해는 향후 연료전지용 고효율 고체 전해질 개발에 중요한 토대가 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defective MOF 플랫폼이 에너... | 금속-유기 골격체,결함 공학,결함 금속-유기 골격체,고체 전해질,양성자전도도 | Metal-organic framework,Defect Engineering,Defective MOF,Solid Electrolyte,Proton Conductivity | 70000000 |
2814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5284 | 2차원 소재-액정 합성물 기반 광학형 단파장 적외선 영상 센서 개발 | Developmemt of short-wavelength infrared image sensor based on 2D material-liquid crystal composite | 박종후 | 경북대학교 | 대구광역시 북구 | 20200601 | 20230228 | 기타 나노소자 및 시스템기술 | 본 연구에서는 단파장 적외선을 흡수했을 때 가시광 대역에서의 광 반응성 (가시광의 투과율, 위상지연 등)이 현저히 변하는 적외선 감응 물질을 개발하고, 적외선 흡수 유무에 따른 적외선 감응 물질의 가시광 반응성의 변화를 가시광을 사용하여 높은 민감도로 검출하고 이를 이미지화 할 수 있는 광학형 단파장 이미지 센서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확보한 원천기... | -가시광으로 적외선을 검출하는 새로운 동작원리를 가지는 적외선 센서를 세계최초로 구현하여 관련 원천특허 확보-상온동작, 낮은 제조 단가, 간단한 제조 공정, 높은 해상도를 가지는 단파장 적외선 센서 개발을 통하여 시장 및 기술 경쟁력 제고- 야간 감시 카메라, 자율 주행용 적외선 센서 등에 산업별 다양한 제품을 파생시킬 수 있는 기반 기술이라 새로운 시장... | 적외선 센서,2차원 소재,액정,단파장 적외선,적외선 감응 물질,그래핀 플레이크 | IR sensor,2D materials,Liquid crystal,Short-wavelength Infrared,IR responsive material,Graphene flake | 50000000 |
3261 | 2022 | 뇌질환극복연구사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7058 | 척수 손상 동물모델에서 신경회로망 재건 융복합 치료기술 유효성 확립 | Validation of the convergence therapeutic strategy to rebuild neural circuit following CNS injury | 김병곤 | 아주대학교 | 경기도 수원시 | 20210701 | 20251231 | 의약 약물전달 시스템 | 척수손상과 같은 중추신경 손상 후 파괴된 신경회로의 자발적 재생은 불가능하고, 이로 인해 영구적 신경기능 장애가 남게 됨. 파괴된 신경회로 재건을 위해서는 손상부위 조직결손 억제, 절단된 액손 재생과 새로운 신경세포 공급을 통한 우회신경회로의 형성, 우회신경회로와 호스트 신경회로와의 integration이 필요함. 본 연구에서는 mannose 기반 면역세포... | - 하이드로젤 기반의 중추신경 재생치료 지적재산권 확보 및 기술사업화- 하이드로젤 기반 융복합 신경회로 재생치료 기술 지적재산권 확보- 하이드로젤 이용한 척수손상 및 재생 치료기술의 임상 적용 추진- 뇌척수 신경장애 치료기술 개발을 통한 새로운 산업적 수요 창출 | 중추신경손상,척수손상,하이드로젤,세포외기질,신경회로망,액손재생,오가노이드,약물전달 | CNS injury,Spinal cord injury,Hydrogel,Extracellular matrix,Neural circuit,Axon regeneration,Organoid,Drug delivery | 200000000 |
4465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7410 | 그린 수소 생산을 위한 비편재화된 π-전자를 이용한 이종접합형 광촉매 특성 연구 | Heterojunction photocatalysts modified with delocalized pi-electron molecules for water splitting hydrogen production | 김연호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 인천광역시 연수구 | 20210601 | 20240229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그린 수소 생산을 위한 분말 광촉매 기반 수소 생산을 위하여 나노구조화된 소재를 이종접합화 및 표면 개질화 하고자 함. 촉매 물질의 활성 증대를 위해, 비편재화된 π-전자를 가진 분자를 균일하게 코팅하여 나노구조체내에서 전하-정공의 공간 분리 최적화. 특히 비편재화된 π-전자를 가진 분자를 이용하여 heteroatom doping을 복합 광촉매 내에 진행하... | -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비편재화된 π-전자가 도입된 이종 접합형 광촉매의 경우 광안정성 및 활성이 극대화되었으며, 분말 형태로의 대량 합성이 가능하기에 태양광을 이용한 대면적/친환경 수소 생산 공정으로 응용 가능성이 충분할 것이라 판단됨. -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CO2를 유용한 화학연료인 CH3OH, CH4등으로 전환하는 광촉매 소재로도 적용이 가능... | 광촉매,이종접합,생체고분자,비편재화된 파이전자,수소에너지 | Photocatalysis,Heterojunction,Biomimetic polymer,Delocalized pi electron,Hydrogen energy | 56026000 |
3862 | 2021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34713 | 그래핀 기반 전이금속 산화물로 구성된 2차원 sheet 구조의 stretchable (늘어나는) 리튬이차전지용 전극소재 개발 | Development of electrodes for stretchable Li-ion battery electrode materials with 2-dimensional sheet structure comprising graphene-based transition metal oxides | 조중상 | 충북대학교 | 충청북도 청주시 | 20210601 | 202405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1. 그래핀 기반의 전이금속 산화물로 구성된 2차원 sheet 구조의 stretchable 리튬이차전지용 전극소재 개발▶ 전극소재의 구조: 2차원 sheet 구조의 그래핀 기반의 전이금속 산화물로 구성된 복합구조체 ▶ 전극소재의 조성: 매트릭스 (그래핀), 음극 (30~50 nm, 전이금속산화물: MOx, M= Sn, Mo, Fe, Ni 등), 양극 (1... | ● 활용방안- 본 과제에서 제안한 stretchable 이차전지 전극소재 기술은 차세대 stretchable 의료/디스플레이/바이오 산업기술 응용에 기여 가능함.- 차세대 전지의 소재개발 및 특성개선을 위한 연구는 전기화학분야 발전에 기여하고 나노소재 및 복합체 제조기술을 확보하여 나노소재연구 분야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됨.- Stretchable 에... | 늘어나는 전지,이차전지,전극소재,2차원 sheet,소재합성 | Stretchable batteries,lithium ion batteries,electrode materials,2-dimensional sheet,materials synthesis | 75000000 |
1820 | 2022 | 기초연구기반구축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0188 | 나노구조체의 복합물성 X-선 나노-프로브 연구 | Multimodal X-ray nano-probe study of Nano-structures | 강현철 | 조선대학교 | 광주광역시 동구 | 20200617 | 20221231 | 나노 측정기술(100 nm이하) | ○ 복합물성 실시간 측정/분석 기술 개발 - Multi-modal nano-probe 기술을 이용하여 나노/에너지 소재의 극미세 원자구조 및 화학조성 등 복합물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분석한다. | ○ 세계 최고 수준의 극미세구조/화학조성 측정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나노/에너지/반도체 소재 분야의 최첨단 분석 기술 기반 구축. ○ 신진 연구자 인력 양성. ○ 거대과학시설인 방사광가속기 활용도의 극대화 및 국제공동 연구 인프라 구축. | X-선 이미징,나노-프로브,나노 소재,원자구조,실시간 분석,상전이,집속 광학계,조성분석 | X-ray imaging,nano-probe,nano materials,atomic structure,in-situ,phase transition,focusing optics,composition | 6000000 |
2920 | 2022 | 인재활용확산지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5514 | 혁신적 다기능 광활성치료제의 개발 | Development of Multimodal Photon-Triggered Theranostic Systems | 김종승 | 고려대학교 | 서울특별시 성북구 | 20200701 | 20241231 | 의약 약물전달 시스템 | 광자를 활용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물질을 개발하여 부작용이 적은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DDS)을 구축할 것임. 그리고 이를 빛을 활용한 암 진단, 치료 체계에 성공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함. 정확한 암 치료제 개발을 위한 다기능 약물전달시스템 탐구 면역억제성 종양미세환경의 활성 메커니즘에 대해 연구하고 레이저 광역학... | 우리는 LI MINGLE 박사의 우수한 역량을 토대로 선구적인 진단치료 약물전달시스템을 구축할 것을 기대함. 또한 정밀 의학에 대한 지식의 폭을 넓히고, 이로써 종양 저산소증 저항을 극복할 수 있는 창의적인 방법을 마련할 것임. 이러한 광화학치료와 면역치료요법의 활발한 메커니즘 연구는 그동안 어려웠던 암 치료의 효율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임. 더불어 그 연구... | 광역학치료,면역치료요법,광열요법,약물전달시스템,저산소증,복합이미징,유기합성,정밀 의학,암 | Photodynamic therapy,Immunothrapy,Photothermal therapy,Drug delivery systems,Hypoxia,Multimodal Imaging,Organic synthesis,Precision Medicine,Cancer | 50000000 |
5289 | 2022 | 나노소재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6283 | 친환경 고신뢰성 MXene 제조 공정기술 개발 | Environmental friendly and reproducible process development for MXene | 김우식 |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 경기도 용인시 | 20210426 | 20251231 | 나노 신기능 분자합성기술 | ○ 친환경 고신뢰성 다종 MXene 합성 공정기술 개발- 다양한 MAX 소재 합성기술 개발- 규칙적 유동을 이용한 친환경 맥신 제조 공정기술 개발- 규칙적 유동을 이용한 친환경 고신뢰성 다종 맥신 제조 공정기술 개발 | ○ MAX 원소재 및 MXene 소재 개발을 통한 소재/부품/장비산업 기술 경쟁력 강화에 기여○ 친환경 제조 공정기술 개발을 통한 녹색산업혁신 생태계 구축에 기여○ 태양광 발전용 전극 및 광촉매로 사용 가능하여, 신재생에너지 확산기반 구축 및 공정한 전환지원 분야 활성화에 기여 | 맥스,맥신,규칙적 유동,친환경,고신뢰성,공정기술,플럭스,연속공정 | MAX,MXene,Periodic flow,Environmental friendly,Reproducible,Process development,Flux,Continuous process | 250000000 |
1477 | 2022 | 나노소재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73169 | (2022M3H4A1A04071154) 반도성 기반 투명 산화물 스핀소재 개발 및 물성분석 연구 | Development and research of semiconducting-based transparent oxide spin materials and their physical properties | 박성균 | 부산대학교 | 부산광역시 | 20220421 | 20261231 | 나노전자 소자기술 | 본 과제는 투명 반도성 산화물 스핀소재 개발 및 기본 물성 분석을 목표로 함.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부 목표를 설정해서 수행하고자 함.1. 투명 반도성 산화물 스핀소재 및 박막 증착 공정 기술 개발 2. 투명 반도성 산화물 스핀소재 물성 최적화 기술 개발3. 투명 반도성 산화물 스핀소재 자기적/광학적/전기적 물성 확보 | 대면적 투명 반도성 강자성 소재 원천기술 확보함자성제어 메커니즘 이해 및 관련분야 전문성 확보함투명 산화물 기반 스핀소자 개발에 기여함관련분야 전문 인력 양성 및 지식 축적함 | 투명 산화물,강자성,반도성,클러스터,큐리 온도,전하 이동도,교환상관 바이어서,소자 | transparent oxides,ferromagnetism,semiconductor,cluster,Curie temperature,moibility,exchange bias,device | 225000000 |
2743 | 2021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2366 | 습식블로운법에 의한 부직포 제조 기술의 개발 | Preparation of Non-woven fabrics by wet-blown method | 강영아 | 동아대학교 | 부산광역시 사하구 | 20190601 | 202205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습식블로운(Wet-Blown)법에 의한 부직포 제조공정 개발본 연구는, 고내열성 또는 고강성의 고분자가 융점 및 용융점도가 높아 멜트블로운(Melt-Blown)법에 의한 부직포 제조가 어려운 점을 개선하고자, 습식방사(Wet-Spinning)법과 멜트블로운법을 혼합한 습식블로운(Wet-Blown)법에 의한 부직포 제조공정을 개발하고자 한다. | 가. 기술적 기대효과(1) 습식방사 기술과 블로운 방법의 접목을 통하여 새로운 습식블로운 부직포 공정을 개발한다. (2) 복합화 기법을 습식방사 공정 및 블로운 공정에 적용하여, 새로운 습식방사 패러다임을 완성한다. 나. 경제적 기대효과(1) 고온/고압 시스템을 이용하는 멜트블로운법과 비교하여 습식블로운법은 고온/고압을 위한 설비와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므... | 습식블로운 공정,부직포,복합섬유 | wet-blown process,non-woven fabrics,Composite fiber | 50000000 |
1577 | 2022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5948 | HER2 과발현 엑소좀 분리/농축을 위한 초자성 미세유체 플랫폼 개발 | Development of hypersnisitive magnetic microfluidic platform for separation / concentration of HER2 overexpression exosome | 함승주 | 연세대학교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20180401 | 20221231 | 나노 바이오 물질 합성 및 분석기술 | 초자성 미세유체 칩 기반 HER2 과발현 엑소좀의 고순도/고농축 분리 및 exoNA 검지 통합형 expMA 정밀 진단기기 개발. HER2 양성판정 알고리즘 정립을 통한 HER2 과발현 암 환자의 동반 진단 및 모니터링 | 본 연구에서 개발된 exoNA 정밀 진단기기를 통해 임상의사로 하여금 효과적인 치료전략 (예:HER2 억제제 투여 적기 판단) 수립이 가능하도록 정밀한 HER2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 HER2 억제제 외 기존 타 표적치료제 동반진단용으로 파이프라인 확장 가능 및 맞춤형 의료 진단과 치료 방안 제시 가능동반진단기기로서 HER2 억제제 시장 진입가능 (Herc... | 엑소좀 액체생검 고순도 고농축 분리 자기영동 미세유체 채널 HER2 과발현 암 다중 분리 나노입자 | Exosome Liquid biopsy High purity High concentrate separation Magnetophoresis Microfluidic channel HER2 overexpressed cancer Multi-separation Nanoparticle | 240000000 |
5951 | 2022 | 생태모방 기반 환경오염관리 기술개발사업 | 환경부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1485018510 | 딱총새우의 버블 충격파를 모사한 녹조 제거용 나노버블 충격파 발생 장치 개발 | Microalgae Reduction System using Nanobubble Shock Wave inspired by Pistol Shrimp | 이승엽 |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 서울특별시 마포구 | 20190417 | 2023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딱총새우의 cavitation 버블의 급속 생성과 붕괴에 의해서 발생하는 강력한 충격파를 모사하여, 고농도의 나노 버블 대량 생성과 붕괴 충격파를 이용한 녹조 제거 및 수질 환경 복원 기술 개발과 이를 적용한 수상 이동형 녹조 제거 장치 개발 | ● 본 연구는 생태모방 나노버블 충격파를 이용하여 현장 적용이 가능한 녹조 제거용 장치를 개발하고, 참여기업의 기존 제품을 고도화하여 실용화함으로써 녹조 제거 및 궁극적으로 부영양화 호소 수질 개선을 이룰 수 있는 원천기술 확보 및 획기적인 녹조 제거 장치를 개발. ● 녹조를 예방함으로써 호소 경관의 환경적, 사회적 가치를 높일 수 있으며, 하절기 빈번한 ... | 나노버블,녹조,충격파,딱총새우,수질정화 | Nanobubble, Algae, Shockwave, Pistol Shrimp,Water Purification | 340000000 |
2385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9086 | 야누스(Janus) 복사 특성을 갖는 환경적응형 자가 온도 제어 소자 연구 | Study on self-adaptive radiative thermostat with Janus radiation property | 송영민 | 광주과학기술원 | 광주광역시 북구 | 20200301 | 20230228 | 나노 photonics기술 | - 수동형 복사 냉각 포토닉 구조는 전력소모 없이 주변 온도보다 물체의 온도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초절전/친환경 냉각 기술로 주목받고 있음. 하지만, 현재까지 보고된 선행연구 그룹의 구조/시스템은 대기를 향하고 있는 방향의 열 방사율을 극대화 시켜 냉각시키는 방식임. 이는 부착된 주변 위치만 냉각되므로 실내에서 가열되거나 온실 효과로 인해 내부가 가열되는... | ◆ 경제적산업적 파급효과 양면의 복사 특성을 이용한 공간 내의 온도 제어에 대한 국/내외 연구 보고가 전무하기 때문에 제안 구조가 성공적으로 개발될 경우 수동형 복사 냉/난방 시스템에 관한 원천기술의 선확보가 가능하며, 에너지 기술 분야 전반에 큰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국가 경쟁력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임. 또한, 제안되는 자가 온도 제어 수동복... | 수동 냉각 복사,친환경 항온 소자-소재,환경적응형 자가 수동복사 온도 제어 소자,야누스 양면 방사 | Passive radiative cooler,Eco-friendly thermostat,Self-adaptive radiative thermostat,Janus bi-direction thermal emission | 200000000 |
1466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5618 | 경화성수지의 유전물성 조절을 통한 마이크로파 고속저온경화 | Rapid low-temperature curing of thermoset resins via microwave | 장건수 | 수원대학교 | 경기도 화성시 | 20210301 | 20240229 | 기타 나노소재기술 | 1. 연구의 목표 및 내용고속저온경화를 위한 극초단파, 유전상수, 유전손실과의 상관관계 구축고유전상수 관능기 적용하여, 저온공정에서 vitrification (경화중 유리화 현상) 극복을 통한 최대가능유리전이온도 달성 | 5. 연구결과의 중요성 및 기초실험온도 콘트롤 가능한 극초단파 장비를 보유하고 있는 University of Oregon의 Robert Hubbard 박사 연구실 (그림 5)에서 실험을 진행함 [현재는 동일장비가 수원 소재 (주)우리PST (대표이사: 김영길)에 보유 중]. 그림 6의 사전실험 결과를 분석해 보면, 목표공정온도 (70 oC)에 도달하기 전까... | 마이크로파,vitrification 극복,고속저온경화,열경화성 수지 | Microwave,Vitrification,Low-temperature rapid curing,Thermoset resin | 31344000 |
5378 | 2022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50287 | 전도성 천연실크 제조 및 기능성 하이브리드 소재로의 응용 | Preparation of electrically conductive natural silk and its application to functional hybrid materials | 채동욱 | 경북대학교 | 대구광역시 북구 | 20210601 | 202405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 1종 또는 2종 이상의 탄소 소재(탄소나노튜브, 카본블랙, 탄소섬유, 그래핀 등)를 비롯한 기타 무기/금속 소재가 고르게 분산된 서스펜션을 제조하여 뽕잎에 도포한 후 실크를 생산하는 누에에게 먹이로 공급하여 고기능성 실크/무기물 복합섬유 제조기술을 개발한다.- 누에에게 분산된 탄소 소재, 황토, 무기물, 금속 소재 등을 뽕잎을 통해 공급과정에서 충전재들... | - 탄소/무기/금속 소재들을 함유한 기능성 실크하이브리드 소재를 섬유, 직물, 필름, 웹 등의 형태로 제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뿐 아니라 의료용, 군사용 등의 스마트 의류, 고강도 바이오 나노 복합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을 것으로 보인다. 탄소실크 하이브리드소재를 제조하기 위해 생산된 실크에 무기 소재를 분산시키는 복합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 누에에서... | 실크,하이브리드,탄소재료,무기재료,기능성,분산,라미네이트 | silk,hybrid,carbon materials,inorganic materials,functionality,dispersion,laminate | 50000000 |
4678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6415 | 선택적 3차원 구조 모핑이 가능한 다자극 감응형 원격 제어 소프트 액추에이터 개발 | Development of Multi-stimuli Responsive Remote-controllable Soft Actuators capable of Selective 3D Structural Morphing | 김재환 | 금오공과대학교 | 경상북도 구미시 | 20210601 | 20240229 | 기타 나노소자 및 시스템기술 | 본 연구에서는 다자극 감응 소재 합성 원천기술, 원격 제어 소프트 액추에이터 설계 및 제작 기술, 소프트 액추에이터의 3차원 구동 기술을 개발하여, 최종적으로 선택적 구조 모핑이 가능한 소프트 액추에이터를 개발하고 차세대 착용형 소프트 전자소자, 원격 탐사 로봇 등의 분야에 실용화 하고자 함. | - 다자극 감응 전이금속-탄소 나노 복합소재 기반 소프트 액추에이터 기술과 같은 다분야 기술은 2개 이상의 기술 요소가 결합하여 기존의 기술이 결코 가지지 못한 새로운 기능을 발휘하는 기술 혁신으로써 기술 돌파(breakthrough)와 융합(fusion)형 기술혁신을 가능하게 할 것임. 따라서 관련 연구를 선점하고 특허 출원·저널 게재를 통해 원천기술들을... | 소프트 액추에이터,다자극 감응,선택적 구조 모핑,원격 제어,3차원 구동,복합소재 | Soft actuator,Multi-stimuli responsive,Selective structural morphing,Remote control,three-dimensional actuation,Composite materials | 41010000 |
1942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4161 | 인공오팔 플랫폼 제작 및 포토닉 센서 응용 연구 | Fabrication of Artificial Opal Platforms Towards Photonic Sensor Applications | 이원목 | 세종대학교 | 서울특별시 광진구 | 20190301 | 20230228 | 가변 파장 광소자기술 | 본 제안 과제에서는 광결정 (photonic crystal) 기반 연속형(continuous) 감응센서 제작을 위해 1) 단분산 유무기 미세구 (microsphere) 합성, 2) 플랫폼 기술로서 필름형 및 입자형 인공 오팔 (artificial opal) 템플레이트 제작, 3) 오팔 템플레이팅 공정을 통해 감응성(responsive) 포토닉젤 (photo... | -본 과제에서 제안하는 오팔 플랫폼 개발 및 포토닉젤 센서는 연구과정에서 획득하게 되는 학술적 중요성에 더불어 산업적 응용성이 높은 기술로서 경제적 파급효과도 기대됨. 특히 회절색의 변화를 감응신호로 활용해야 하므로, 색채-농도 변환 앱 개발의 관련연구도 향후 중요한 상업적 중요성을 가질 것으로 기대됨.-인공오팔 플랫폼의 다각화를 통해 궁극적으로 제작되는... | 오팔 플랫폼,포토닉볼,포토닉젤,역오팔, 연속 포도당 모니터링,패치형,센서 어레이 | Opal platform , Photonic ball ,photonic gel, inverse opal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Patch type ,Sensor array | 95000000 |
6054 | 2021 | 산학협력거점형플랫폼사업(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7327 | 수돗물의 수질 변화가 큰 지역을 고려한 항균 나노기공 세라믹 필터가 적용된 자동 역세형 친환경 정수기 개발 | 유연태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전라북도 김제시 | 20201123 | 20221122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1) PM/MO 코어-쉘 나노입자와 Fe2O3 나노입자를 복합적으로 활성탄 표면에 담지시켜, 항균특성과 중금속 제거능을 동시에 보유한 PM/MO-Fe2O3 담지 카본복합소재 개발2) PM/MO 코어-쉘 나노입자를 이용한 항균 나노기공 세라믹 필터의 양산화 기술 확립 및 역세형 정수기의 시작품 제작 | 1) 수입 정수기용 세라믹필터에 대한 수입대체 효과 2) 항균 및 중금속 제거용 복합세라믹 피복 활성탄 소재의 국내 판매 및 해외시장 진출 (중국, 베트남 등 동남아시장 선점 가능) 3) 인체에 안전한 정수기용 항균 세라믹 필터의 개발로 국내외 특허의 확보가 유리하고, 이것을 기반으로 대규모 해외시장 진입 가능4) 세라믹 멤브레인 필터 및 프리카본필터에 있... | 코어쉘,복합소재,항균성,가정용정수기,귀금속 | core shell,hybrid material,antibiological,household water purifier,precious metal | 187500000 | |
3700 | 2021 | 기초연구기반구축(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7369 | 금속산화물의 미세구조 변화에 따른 양자 전이 및 수송 특성 상관관계 연구 | The correlation of micro-structural changes and quantum transition and transportation properties of metal oxides | 한상욱 | 전북대학교 | 전라북도 전주시 | 20200617 | 2022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첨단 국외 싱크로트론 엑스선을 이용하여 금속산화물의 미세구조 변화에 따른 양자상태 및 스핀 상태 변화 연구를 통한 고효율 배터리. 촉매제, 센서 개발의 핵심 기술 제공- 첨단 국외 싱크로트론에서 금속산화물 나노구조체의 미세구조 변화에 따른 양자 상태와 스핀 상태를 XRD, XAFS, XES 측정을 통한 평가- 첨단 국외 싱크로트론을 이용하여 고압, 고온... | - 고성능 고효율의 배터리, 촉매제 및 센서 개발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산업화를 통하여 국제적 특허경제에서 우위를 확보함.- 첨단 싱크로트론을 활용한 극한 조건에서 재료의 양자적인 특성 평가를 통하여, 극한 상황에서도 작동하는 소자개발에 필요한 핵심지식을 제공하고, 극한조건 과학의 연구에 방사광 가속기의 활용을 확대함. - 첨단 국외 싱크로트론... | 첨단 싱크로트론,양자 상태,양자 전이,스핀 전이,스,엑스선 발진 빛띠,미세구조,양자 수송 | Advanced synchrotron,quantum state,quantum transition,spin transition,XAFS,XES,microstructure,quantum transportation | 12000000 |
4077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6192 | RF 필터를 위한 질화붕소 표면탄성파 특성 연구 | Boron Nitride Surface Acoustic Wave for RF Filters | 공병돈 | 포항공과대학교 | 경상북도 포항시 | 20210601 | 20230228 | 나노전자 소자기술 | ● 최종목표: 2차원 압전물질의 표면탄성파를 이용한 고주파 통신용 필터 활용 가능성 연구 ● 세부 연구목표 - 이론상 수십 GHz 이상의 표면탄성파 (Surface Acoustic Wave: SAW) 구현이 가능한 2차원 압전물질 (육방정 질화붕소: hexagonal boron nitride - hBN)을 활용, 5G 대역에 대응 가능한 고주파 필터... | 가. 기술개발의 배경 및 필요성 ● SAW 필터는 4G LTE 통신에 모바일 기기당 30개 이상이 장착되는 핵심 부품이나 물질의 한계로 인해 상용 제품의 주파수가 3GHz 이하로 제한 ● 5G 및 Beyond-5G 통신기술에 대체품이 없음 ● 중요성으로 인해 Qualcomm, Qorvo등 통신용 RF 모듈을 생산하는 국제적 기업들에서 원... | 표면탄성파,압전효과,이차원결정,고주파 필터,차세대 통신 | Surface Acoustic Wave,Piezoelectricity,Two Dimensional Crystal,RF Filter,Next Generation Communication | 40938000 |
4366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9364 | 혁신적인 유해물질 탐지/제거를 위한 다공성 플랫폼 개발 | Development of innovative porous platforms for detection/removal of toxic substances | 홍창섭 | 고려대학교 | 서울특별시 성북구 | 20180901 | 202108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유해물질에 대한 혁신적인 탐지/제거능을 가진 다공성 플랫폼의 개발임. 이를 구현하기 위해 후합성 다중 변형을 통해 기능성이 극대화된 다공성 물질을 합성하고 다양한 소재와 결합한 복합체로 발전시킬 계획임. 그 후 실제 응용가능성이 높은 혁신 소재로 개발할 예정임. | 기존의 연구는 활성자리의 개별적 변형으로 기능기의 초고밀화가 어려움. 본 연구에서는 후합성 다중 변형으로 작용기의 초고밀화 방법에 대한 지식과 다공성 물질 복합체와 실제 환경에의 적용에 대한 다양한 예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또한 신규 다공성 물질 개발을 통해 다양한 기능성 물질의 예를 제시할 수 있을 것임.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관련 분야의 선... | 다공성 플랫폼,후합성 방법,기능성,유해물질,복합체,고성능 | porous platform,postsynthetic method,functionality,toxic substance,composite materials, high performance | 150228000 |
4744 | 2021 | 연구개발특구육성(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재단)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 1711150089 | 안전한 물리적 방오염 외장재 개발 | Development of exterior material with safe and physical antimicrobial fuction | 박재홍 | (주)나노인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916 | 20220915 | 나노모사기술 | COVID-19 바이러스 출현 이후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국내외적으로 개인위생용품(손세정제, 마스크, 각종 항균 제품)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으며, 시장규모 또한 급속히 확대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항균 소재/필름은 이러한 수요에 맞추어 발 빠르게 다양한 용도에 적용되면서 항균시장에서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그러나 사용된 항균성 물질이 가지... | 기존의 인체 위해적 살충성분을 함유한 일본, 미국, 독일산 살균 소재를 탈피하여 안전하고 지속적인 기능으로 항균처리할 수 있는 코팅 신소재를 확보함으로서, 개발의 성공과 더불어 기존 화학적 살균시장의 수입대체를 통한 시장의 점유뿐만 아니라 고부가가치의 신시장 창출이 가능함. 인체 안전한 친환경성 항균/항곰팡이 의료기기 시설 적용 소재 및 코팅 기술 및... | 안전,물리,방오염,외장,재료 | safe,physical,antimicrobial,exterior,material | 350000000 |
6490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614 | 사출 분야 소재 및 부품 제조 기술지원 플랫폼 개발 | Development of technology support platform for injection molded materials | 구자승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기타 기타 | 20200801 | 20221231 | 기타 나노소자 및 시스템기술 | (1) 주관기관(충남대학교) : - “사출 분야 소재 및 부품 제조 기술지원 플랫폼 개발” 사업의 모든 세부과제를 종합관리 - 기술동향 분석 및 기업대상 공유 프로그램 운영(2) 참여기관(한남대학교, 단국대학교) : - 지원 수요가 있는 모든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지도, 기술자문, 분석지원 | [기대효과]- 핵심 자동차 방열소재 개발과 동시에 기술적 동반성 가치 실현 및 선순환 구조 확립- 사회적 가치창출을 위한 기업간 협력체계 조성 [내용] - 중소, 중견기업의 기술적 동반성장을 통해 경제 효과 실현 및 지속성장 기틀 마련 - 일본, 미국, 독일 등 해외 선진국에 의존했던 기존 핵심 소재부품, 특히 소재에 대한 기술 공유 및 글로벌 기... | 고분자 복합체 사출공법,열전도성 MMC,아마이드계 발포성 난연 소재,경량 방열 자동차 부품,코어백 사출성형 | Polymer composite Injection molding,heat transfer mixed morphology composite,amide based foamed flame retardant materials,lightweight heat sink automotive parts,coreback injection molding | 322000000 |
2456 | 2022 | 인재활용확산지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73714 | 비납계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활용한 CO2 절감 수소저장 시스템 개발 | Integration and Development of Lead-Free Perovskite Photovoltaics and Electrochemical CO2 Reducing Hydrogen Production System | 전일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경기도 | 20220801 | 202407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I) 고효율 친환경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신재생 에너지 제작 원천기술 확보 종래 환경오염 및 RoHS 규정에 걸리는 납계 Perovskite 태양전지의 한계를 극복하는 친환경 주석 Perovskite 태양전지 국내 최고 효율/국외 상위 5% 확보 및 인증서 획득 II) 비납계 태양전지를 적용한 CO2 & H2 변환 화학촉매 시스템 기술 확보 개발된 친... | 대한민국이 Perovskite 태양전지 분야에서 세계적 위치를 더욱 견고히 하게 되고 특히 친환경 비납계 주석 Perovskite 태양전지 기술에서 우리나라가 선두주자가 됨 에너지고갈과 기후변화라는 심각한 인류의 문제에 CO2 절감 및 H2 생성 시스템은 각각 탄소 Footprint 절감 및 친환경 에너지 저장이라는 해결책으로 작용함 4차산업기술의 ... | 페로브스카이트,태양전지,이산화탄소 절감,탄소중립,그린수소생성 | lead-free perovskite,Photovoltaics,CO2 reduction,Green H2 generation | 40860000 |
2072 | 2022 | 인재활용확산지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8040 | 바일페르미온 나노복합체의 전자-포논 제어를 통한 고효율 열전소재 개발연구 | Development of high ZT thermoelectric materials via electron-phonon transport control in Weyl fermion nano composites | 이종수 |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 경기도 용인시 | 20190901 | 2023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바일 페르미온 물질의 포논-전자 혼성 개념을 이용하여 열-전기 물성을 독립적으로 제어한 ZT 2.0 수준의 고효율 열전소재를 개발한다. 또한 높은 전하 이동도의 바일 페르미온과 높은 제벡계수, 낮은 열전도도를 갖는 열전소재 물질의 복합체를 통해 고효율 열전성능을 갖는 열전소재를 개발한다. | 본 과제는 최종적으로 산업적응용이 가능한 소재를 개발하는 것이지만 그 접근방법에 있어서 매우 근본적인 물리학 문제를 도출하고 해결하고자 한다. 바일 페르미온의 열전특성을 새롭게 발견한다면 새로운 원리를 기반으로 한 열전연구 분야의 새로운 장이 열리게 될 것으로 확신한다. 또한 바일 페르미온의 열전성능 증대 메커니즘 규명으로 학술적 연구를 뛰어넘어 응용 가능... | 바일 페르미온,에너지 하비스팅,전자구조제어,열전,포논제어,위상보존계,폐열발전,복합열전,열전소자 | Weyl fermion,Thermoelectric,Energy harvesting,Band structure engineering,Phonon engineering,Topological protected system,Waste heat power generation,Composite thermoelectrics,Thermoelectric device | 75000000 |
1994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3401 | 물 분해 수소 생산을 위한 고성능 유기 초분자 광촉매 소재 개발 | Development of High Performance Supramolecular Photocatalysts for Hydrogen Production Via Water Splitting | 박수영 | 서울대학교 | 서울특별시 관악구 | 20171101 | 202210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본 연구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물로부터 효율적인 수소 생산이 가능한 독창적인 유기 초분자 광촉매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함. 즉 기존의 희토류 금속 중심의 광촉매를 유기 공액성 분자로 대체하여 상업적, 산업적 가치가 높은 수소생산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무공해 에너지원인 수소의 실용화를 앞당기고자 함. 또한 유기 광촉매 및 물 분해 수소 생산 분야에... | 본 연구에서 새롭게 제시될 초분자 광촉매 소재는 희토류계 귀금속 및 중금속 원소를 원천적으로 배제한 순수 유기물로 이루어진 재료로써, 미래의 친환경 저가 수소 생산 기술을 선도하고 다가올 수소 경제 시대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됨.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수립될 분자/초분자 설계 지침은 수소 생산 기술뿐 아니라, 산소 발생을 포함하는 완전 물 분해(over... | 수소생산,광촉매,유기초분자,초분자,물분해 | Hydrogen production,Photocatalyst,Organic Supramolecule,Supramolecule,Water splitting | 127300000 |
868 | 2022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7874 | 폐수처리 및 에너지 재생이 동시 가능한 광전기적 연료전지 개발 | Nanotechnological approach for the development of photoelectrochemical fuel cells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simultaneous power generation | 팬트비쉬위시와 | 우석대학교 | 전라북도 완주군 | 20200601 | 202305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폐수를 연료로 사용하고 전기를 에너지로 생산하는 광 보조 전기 화학 연료 전지 (PFC)로 구성된 two-in- one 하이브리드 장치 설계 및 개발 제안▷ 광 음극으로서 TiO2- 그래 핀-탄소 나노 섬유 (TiO2-G-CNF) 복합재 및 양극 재료로 붕소 및 질소 코핑 된 다공성 탄소 나노 섬유 (B-N / PCNF) 개발▷ 탄소 나노 섬유 (CNF... | 제안 된 연구는 광촉매 연료 전지 시스템을 개발함에 있음. 나노 기술을 적용하여 폐수 처리 및 동시에 에너지 생산이 가능한 시스템 개발에 대한 제안 된 연구 결과는 지속 가능한 녹색 에너지 기술의 개발에 중대한 영향을 끼쳐 원천기술 개발에 따른 지식 재산권등의 기술개발 결과로 대한민국의 위상을 드높일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이 연구의 결과는 신흥 환경 및... | 연료전지,광촉매,폐수처리,에너지 재생 | Fuel cell, photocatalyst, wastewater treatment, energy regeneration | 50000000 |
2729 | 2021 | 나노·소재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7226 | 구조/안전 소재 공정조합설계 연구단 | Integrated Computer-Aided Process Engineering (ICAPE)for Structural Materials | 차필령 | 국민대학교 | 서울특별시 성북구 | 20210426 | 2026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미래 사회 인프라와 국가주력산업의 기축을 이루는 구조·안전 소재의 개발에서 상용화까지 기간?비용을 획기적으로 단축?절감하는 공정조합설계 기술개발 및 실증- 구조·안전 소재 제조공정(주조, 열처리, 소성, 분말공정)을 해석할 수 있는 공정모사 모듈 개발- 소재의 열역학·속도론·물성 데이터베이스 구축- 공정모사 모듈을 실험·검증할 수 있는 공정검증 시스템 ... | ▶ 과제 종료 후 국가 소재 연구데이터 센터로 이전하여 지속적인 공정조합설계 서비스 제공▶ 구조·안전 소재 관련 기업·연구소 공정 조합 설계 최적화 솔루션 제공 → 플랫폼을 활용한 전주기 공정 모사 → 개발 소재 상용화 가속화 ▶ 구조·안전 소재 계산 과학 및 분석, 인공지능 분야 인력 양성 | 공정,설계,계산 과학,최적화,주조,열처리,소성,분말 | Process,Design,Computer modelling,Optimization,Casting,Heat treatment,Forming,Powder processing | 1215000000 |
3697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2795 | 2차원 전자화물의 촉매 특성에 대한 제일원리 연구 | First-principles study of catalytic effects of two-dimensional electrides | 김건 | 세종대학교 | 서울특별시 광진구 | 20190601 | 20220228 | 나노전자 소자기술 | 물리학 실험은 주로 2차원 전자화물(electride)이 쌓여 있는 3차원 bulk를 single crystal로 만들어 전기적, 자기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다. 화학적 실험은 주로 2차원 전자화물 층간에 스며있는 전자들을 이용하여 화학 반응을 촉진하는 촉매 현상을 이해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다. 최근 1 2년 동안 이뤄진 제일원리... | 결함 공학(defect engineering)은 2차원 물질의 active site 및 quantum conductance에 변화시킬 수 있다. defect state이 생기면서 위에서 언급한 interstitial space에 모인 전자들의 모양의 일부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 매우 흥미로운 물리학적, 화학적인 현상을 관찰할 할 것으로 기대한다.앞에서 서... | 전자화물,결점 구조,제일원리 연구,촉매 특성 | electride,defect structure,first-principles study,catalytic characteristics | 50000000 |
1067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3433 | 고농도의 산소 공공이 형성된 고효율 광열 변환 산화물 나노소재 기반 고성능 3차원 태양광 증발 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high-performance 3D solar evaporation system based on high-efficiency photothermal conversion oxide nanomaterials with high concentration of oxygen vacancies | 이영인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서울특별시 | 20220301 | 20260228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최종 목표: 고농도의 산소 공공이 형성된 고효율 광열 변환 산화물 나노소재 및 고성능 3차원 계면집중형 태양광 증발 시스템 개발■ 핵심기술 1. 고효율 광열 변환 소재 합성 및 제어기술 개발 - 태양광 전 파장(250~2500nm) 대역을 흡수 가능한 wide band-gap oxide (TiO2, ZnO, G2O3, ZrO2) 기반 광열 변환 소재 개... | ■ 학문발전 측면 - 산소 공공이 광열 변환 특성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여 이들의 상관관계 규명을 통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고, 다양한 산화물 소재의 특성 향상을 위해 활용 - 나노입자 합성을 위한 전구체 용액의 조성 제어 기술을 통해 미시적인 관점에서 나노입자의 구조를 제어하는 기술의 학문적 토대 구축에 기여 - 나노입자의 합성 과정에서 고농도의 산소 공공... | 세라믹,나노입자,산소 공공,불완전 산화법,광열 변환 소재,태양광 증발 시스템,3차원 다공성 구조체 | ceramic,nanoparticle,oxygen vacancy,incomplete oxidation,photothermal material,solar steam generation,3D porous structure | 96747000 |
4367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7814 | 유방암 줄기세포 타겟 스타틴 약물의 항암제로의 재배치 | Repositioning of statin drugs as anticancer drugs for breast caner stem cell targeting | 김진석 | 숙명여자대학교 | 서울특별시 용산구 | 20200601 | 20220228 | 의약 약물전달 시스템 | ● 유방암의 발병률은 남녀 전체 5위, 여자 전체 1위를 차지하며 치료효율도 매우 낮은 편인데 그 원인으로는 암 구성세포의 다양성, 화학요법제 및 방사선 치료에 대한 내성 그리고 타 장기로의 전이 등으로 알려져 있음.● 그 중에서도 유방암 구성 세포의 다양성은 최근 새로운 유방암 치료제 개발의 좋은 전략적 목표가 되는데 특히 유방암 줄기세포의 존재가 알려지... | ● 플루바스타틴이 봉입되고 히알루론산이 결합된 리포좀 제제로 유방암 줄기세포를 표적사멸 시키고, 병용투여된 독소루비신으로 유방암세포를 사멸시킴으로써 유방암 조직의 이질성 세포를 동시에 표적 사멸 시킬 수 있는 스마트 항암제 전달시스템을 개발하여 현재까지의 항암 화학요법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혁신적인 고효율 항암제 전달시스템 개발의 플랫폼 역할을 할 것으... | 약물재배치,플루바스타틴,유방암줄기세포,히알루론산,리포좀 | Drug Repositioning,Fluvastatin,Breast Cancer Stem Cell ,Hyaluronic Acid,Liposome | 50000000 |
1555 | 2022 | 나노소재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5856 | 고속 감지 미각 센서 어레이용 초다공성 물질 | Superior porous materials for taste sensor array | 김수영 | 고려대학교 | 서울특별시 | 20220101 | 20251231 | 나노전자 소자기술 | 본 연구실은 고감도/고선택성 일체형 센서 어레이 일체형 미각 센서 제작함에 있어서, 이차원 물질 (그래핀, TMD, MXene) 위에 (1) 여러 가지 합성법으로 조절 가능한 공극을 가진 초다공성 이온?분자체 (금속유기골격체)를 제작하고, (2) 물성을 파악하여 최적화 시킨 후, (3) 다양한 촉매 장식 및 구조 설계를 통한 목표 감지 물질에 대한 물리적,... | 최적화된 금속이온, 유기링커 조합의 다공성 이온?분자체를 제작하여 다양한 물리화학적 방법 (공극 조절, 촉매 장식, 다중층 쉘) 도입으로 선택성, 감도, 감지한계를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여 고감도/고선택성 일체형 센서 어레이 일체형 미각 센서 기술을 확보할 수 있음. 이를 통한 미각센서 분야에서의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 이온분자체,금속유기골격체,공유유기골격체,나노입자,계면활성제 보조,닥터 블레이드,전기화학측정,미각센서 | ionmolecular sieve,metal-organic frame,covalent-organic frame, ,surfactant-assisted method,doctor blade,electrochemical measurement,nanoparticle | 145000000 |
927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1402 | 정밀 신약 구현을 위한 차세대 분자테라노시스 | Next-generation molecular theranostics towards precision medicine | 김종승 | 고려대학교 | 서울특별시 성북구 | 20180601 | 20270228 | 의약 약물전달 시스템 | 종양은 세포 수준의 이질성을 가져 다양한 종의 세포들로 구성되며 원천적으로 사멸이 억제되어있는 항사멸세포가 존재함. 기존의 항암요법들로는 이러한 항사멸세포의 치료가 불가능하고 항사멸세포의 생존은 암의 전이와 재발의 원인이 됨. 이러한 소량의 항사멸세포를 표적하는 신약의 개발로 재발 걱정이 없는 완전한 암 극복을 구현하고자 한다. 1-3차년도: 암줄기세포 인... | 본 연구진의 종양 내 이질성 인지표적신약은 기존 항암치료에서 간과된 항사멸성 세포를 표적함으로써 암사망률의 90%를 차지하는 재발암을 억제하고 5년 생존이 아닌 평생완치를 실현할 것으로 기대된다. 차세대 항암치료인 면역치료제는 부작용이 적은 반면 보관 및 품질관리가 어렵고 환자의 경제적 부담이 크며 적용대상이 한정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진의 저분자 ... | 약물전달시스템,암,테라노시스,암줄기세포,복합약물내성,시네신스,종양 이질성,항사멸세포,이질성세포기작모듈레이팅항 | Drug delivery systems,Cancer,Theranostics,Cancer stem cells,Multidrug resistance,Senescence,Tumor heterogeneity,Anti-apoptotic cells,Signaling pathway reprogramming | 796080000 |
5392 | 2022 | 유용물질생산을위한Carbonto-X기술개발사업 | 기획재정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8383 | 전기화학적 고성능 CO2-CO 전환 촉매 개발 및 대용량 촉매 합성 | Development of electrochemical high performance CO2-COconversion catalysts and synthesis of large capacity catalysts | 오지훈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727 | 20250126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1. 최종목표:전기화학적 CO2 전환 CO 생산을 위한 고성능 전기화학 촉매 개발 및 대용량 촉매 합성 시스템 구축2. 2차년도 목표:o 원자 정밀제어 촉매를 통한 고성능 CO2 환원 촉매 개발 (정성)- 50 mA/cm2 기준, CO 패러데이 효율 >95% 및 환원 반응 에너지 효율 87% 이상- 200 mA/cm2 기준, CO 패러데이 효율 >95% 및... | 활용 계획:o 파일럿 스케일 규모의 CO2 전해조에 적용하여 실제적인 CO2 저감 가능성 확인 o 개발된 고성능 전기촉매를 전기화학 기반의 다른 친환경 응용분야(예: 바이오 연료 생산 기술 등)에 접목(활용)o 개발 기술 수요기업에 대한 기술이전기대효과:o 대한민국 2050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경제 및 산업구조의 저탄소화에 기여o 연계 산업(소재 및 기... | 전기화학,환원 반응,산화 반응,이산화탄소 전환,전기촉매,일산화탄소 생산,제로갭 반응기,대규모 | Electrochemistry,Reduction reaction,Oxidation reaction,CO2 conversion,Electrocatalyst,CO production,Zero-gap reactor,Large-scale | 1000000000 |
3720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7391 | 2차원 무납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 합성과 차세대 청색 발광 LED 소자 응용 | Synthesis of Two Dimensional .Lead-Free Halide Perovskite Nanocrystals for Next Generation Blue Light-Emitting Diodes (LEDs) | 조준상 | 덕성여자대학교 | 서울특별시 도봉구 | 20210601 | 202205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2차원 콜로이드 무납 페로브스카이트 (2D Layered Lead-Free Perovskites) 나노결정 소재 합성, 리간드 (리간드 종류와 결합모드 (Ruddelsden Popper vs Dion-Jacobson Phases)/차원 (3D-2D와 층상두께)/도핑 (Bi, Sb, Mn)/조성 (M1+M2)에 의한 결정구조-광전물성 제어, 나노결정구조/... | 차세대 소재: 중금속이 포함되지 않는 차세대 친환경 소재는 미래 디스플레이 산업에 필수불가결 요소. 무납 (lead-free) 물질은 차세대 소재로 중요할 역할을 할것으로 기대함. 구조-특성연구: 기초 소재 특성인 결정구조와 전자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광전소재 특성 제어 및 전하 재결합 다이내믹 연구는 광전 소재 물질의 풀뿌리 연구. 광/전... | 할라이드 페로브카이트 나노결정,청색 페로브스카이트,2차원 페로브스카이트 ,무납 더블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 Halide Perovskite Nanocrystals,Blue-Emitting Perovskites,Two-Dimensional Perovskites,Lead-Free Double Halide Perovskites,Elimination of Toxic Lead,Halide Ion Migration,2D Perovskite Nanoplatelets,Pero... | 68238000 |
2706 | 2021 | 4단계두뇌한국21사업(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32222 | 전기장 감응 탐침을 이용한 초간단 초고감도 바이오분자 검출법의 개발 | Super-Simple and Sensitive Biomolecule Detection Method Using Electric Field Active Probe | 이정은 | 숙명여자대학교 | 서울특별시 용산구 | 20180301 | 20230228 | 나노 바이오 물질 합성 및 분석기술 | 전기장하에서의 물질 이동(migration)을 이용하여 모든 종류의 바이오 분자 검출법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초간단, 초고감도, 무세척 바이오 분자 검출법을 개발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특정 바이오 분자와 특이적 결합을 하면서 물질 이동을 유발하는 강력한 전기장 감응 탐침을 개발한다. 탐침에 의해 유도된 바이오 분자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적인 초... |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전기장 감응 탐침의 개념은 세계 어떤 그룹에서도 제시되지 않은 새로운 개념으로 바이오 센서 연구에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는 연구이다. 특히, 본 방법은 단일 바이오 분자가 전극에 충돌할 때 발생하는 신호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초고감도(fM 또는 aM 이하) 바이오 분자의 검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새로운 개념의 검출법이 ... | 전기장 감응 탐침, 바이오센서, 바이오물질 검출법, 초미세전극 | electric field active probe, biosensor, biomolecule detection, ultramicroelectrode | 10528000 |
2202 | 2021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5464 | 나노 결정 금속을 활용한 전자 거동의 아토초 이미징 및 제어 연구 | Attosecond imaging and control of collective electron dynamics at metal nanostructures by ultrafast optical fields | GLISERIN ALEXANDER | 부산대학교 | 부산광역시 금정구 | 20180601 | 20210531 | 나노 photonics기술 | 제안하는 연구에서는 금속 나노 구조 표면에서 레이저에 의해 정밀하게 제어되는 전자의 다이나믹스를 시공간적인 극한 영역(나노 미터 공간/아토초 시간 분해능)에서 측정하고자 한다. 빛과 전자와의 상호 작용에 대한 이해는 기초학문적으로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기술적 난제 등으로 인해 본 과제에서 제안하는 극한의 시공간 분해능으로 관측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 | The observation and control of electron motion at metal nanostructures is of crucial importance not only for fundamental scientific understanding of light-matter interaction, but also for technologica... | 전자 동역학,광전자 이미징 ,나노 이미징,초고속 광학 | electron dynamics,photoelectron imaging,nano imaging,ultrafast optics | 12500000 |
1047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8402 | 카이랄 선택적 수소화반응을 위한 불균일계 촉매 개발 | Development of Heterogeneous Catalysts for Enantioselective Hydrogenation | 윤용주 | 포항공과대학교 | 경상북도 | 20220301 | 20250228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본 연구에서는 카이랄 개질제의 흡착 안정성 확보와 카이랄 활성점 표면밀도 극대화를 위해, 선택적 표면구조 노출형 나노입자와 나노케이지 담지체를 개발하고, 고선택적 불균일계 카이랄 나노촉매 설계 원천기술을 확보하고자 함. | 카이랄 선택적 불균일계 촉매 개발은 화학원료 소모와 반응 폐기물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어, 미래 사회를 위한 친환경고효율 반응공정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됨. 생성물과 분리가 용이하고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불균일계 카이랄 촉매의 제조 원천기술 확보는, 단일 카이랄 이성질체의 대량 생산기술 개발과 다양한 정밀화학 산업 분야의 촉매소재 및 반응공정 개... | 카이랄,불균일계 촉매,나노입자,나노케이지,수소화 | Chiral,Enantioselectivity,Heterogeneous Catalysts,Nanoparticle,Nanocage,Hydrogenation | 199541000 |
231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7365 | 실제적인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의 특성 예측을 위한 DFTB 방법 응용 | Application of DFTB method to predict the properties of realistic titania nanoparticles | 고경철 | 전남대학교 | 광주광역시 북구 | 20200601 | 20230228 | 원자·분자 레벨 물질 조작기술 |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가 빛을 흡수했을 때 생성되는 전자와 정공의 거동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연구는 효율적인 광촉매 물질 개발의 기반이다. 본 연구에서는 DFTB 방법을 활용해서 수용액 조건에서 실제 합성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이론적으로 밝히고, 궁극적으로 최적의 광촉매 효율을 갖는 나노입자의 충분조건을 제안하고자 ... | 1. 본 연구 결과는 수용액상에서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 실험결과와 이론적 계산결과를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중요한 연구 발판을 제공할 것이다.2. 새롭게 제안될 DFTB 계산방법은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 표면에서 일어나는 분자 흡착 또는 촉매 반응 메커니즘 등의 후속 연구에도 폭넓게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나노입자 관련 연구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온다.3.... | 이산화티타늄,나노입자,광촉매,DFTB,계산화학 | Titanium dioxide,Nanoparticle,Photocatalyst,DFTB,Computational chemistry | 50000000 |
848 | 2022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53711 | 고부가가치 바이오메디컬 분야 응용을 위한 키토산 특성 정량화 연구 | Quantification of chitosan properties for high value-added biomedical applications | 임찬웅 | 울산과학기술원 | 울산광역시 | 20220601 | 20250531 | 나노 측정기술(100 nm이하) | ○ 본 연구제안서는 키토산의 고유한 물리화학/기계/생물학적 특성을 1) 용매, 2) 분자량, 3) DA에 따라 키토산의 분자 상호작용 메커니즘 분석을 통해 정량화하고 고부가가치 바이오메디컬 응용 분야의 특수 품목 제작에 최적화된 키토산의 조건을 밝혀내고 이를 표준화 및 규격화, 체계적인 키토산 특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을 제안한다. 더 나아가 최적화된... | ○ 4차 산업혁명과 탄소중립의 시대에서 전세계적으로 친환경 및 지속가능한 소재 연구 및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키토산은 시장 규모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세계적인 연구 동향은 키토산 분자의 특성을 결정하는 요소들에 대한 기초연구가 결여된 채 응용분야에만 편향되어있다. 따라서 본 연구제안서의 수행에 따라 도출된 키토산 ... | 키토산,키틴,분자간상호작용,표면힘측정기,바이오메디컬,바이오폴리머 | chitosan,chitin,molecular interaction,surface forces apparatus,biomedical,biopolymer | 52500000 |
5790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0719 | 액체금속 기반 콜로이드 다중상 계에 관한 연구: 분산상, 모관상, 연속상으로서의 액체금속 | A study on liquid metal-based colloidal multiphase systems: Liquid metal as a dispersed, capillary or continuous phase | 이주형 | 명지대학교 | 경기도 용인시 | 20210601 | 20240229 | 기타 나노소재기술 | 본 연구과제에서는 상온에서 액체상태로 존재하는 저융점 액체금속(liquid metal)의 기존에 잘 알려 지지 않은 콜로이드 다중상(colloidal multiphase) 내 거동에 관한 기초연구를 수행함으로써 독특한 전기적, 열적, 기계적 물성을 지닌 다양한 액체금속 공융합금들의 공학적 응용범위를 수 차원 넓힐 수 있는 원천기술로 개발하고자 한다. 보다 ... | 첨단 에너지/정보전자 분야에서 독특한 전기적, 유변적 특성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는 저융점 액체금속들을 미시적 콜로이드 영역에 처음으로 도입하는 본 연구의 도전적이고도 창의적인 시도는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더불어 요구되는 각종 소자 및 부품들의 초소형화 및 초고집적화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막대한 기여를 할 것이다. 유체로서의 액체금속이 실질적으로 모든 ... | 액체금속,콜로이드,복잡유체,분산상,모관상,연속상,퍼콜레이션,계면열역학,유변학 | Liquid metal,Colloid,Complex fluid,Dispersed phase,Capillary phase,Continuous phase,Percolation,Interfacial thermodynamics,Rheology | 43150000 |
1189 | 2022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7644 | 카이랄 금속 나노 입자에서의 카이랄 유도 스핀 선택성 효과 분석 및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시스템으로의 응용 | Analysis of chiral-induced spin selectivity effect in chiral metal nanoparticle and its application to organic-inorganic hybrid perovskite system | 이종우 | 서울시립대학교 | 경기도 용인시 | 20200601 | 20230531 | 기타 나노소자 및 시스템기술 | 본 연구를 통해 chiral 금 나노입자의 chiral 유도 스핀 선택성 효과를 검증하고, 기존보다 증대된 전자의 스핀 조절 효율 시스템을 구축한다. 또한, 스핀 선택성 효과와 표면 플라즈몬 공명현상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빛을 이용하여 입자 자체의 chirality 와 동시적으로 전자 스핀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다. 나아가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 | 본 연구는 chiral 금속 나노입자의 chiral 유도 스핀 선택성 효과를 처음으로 밝히고, 기존의 대부분의 연구에서 활용하는 chiral 유기분자나 DNA를 활용한 스핀 제어와 다르게 일반 유기분자 대비 더 큰 chirality 를 갖는 금속 나노입자를 활용하기에 CISS 효과를 기존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metal 이라는 특성이 갖는 높은 전... | 카이랄 유도 스핀 선택, 카이랄 금 나노입자, 페로브스카이트, 시분해분광, 원자력현미경 | chiral-induced spin selectivity,chiral gold nanoparticle,perovskite,time-resolved spectroscopy,atomic force microscopy | 50000000 |
4530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4308 | 진청색 형광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효율-수명 trade-off 원인 규명 및 효율 한계 극복 | Unveiling the interrelationship of efficiency-lifetime trade-off and Overcoming the efficiency limit of deep blue flu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 김태경 |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 |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 | 20190601 | 20220228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1) 진청색 형광 OLED 소자의 효율 한계 규명2) 진청색 형광 OLED 열화 mechanism 및 에너지 전달 과정 상세 분석3) 진청색 형광 OLED 효율-수명 trade-off 원인계 및 상관관계 규명2) 저전계 (저휘도) 영역의 효율 이상 변화 원인계 규명-> 효율-수명 동시 개선 원리 규명/제안 및 진청색 형광 OLED 효율 한계... | AMOLED smartphone 출시 후 OLED market은 폭발적으로 성장 中 중국 업체의 시장 진출로 인한 국내 OLED패널 업체의 성능 개선을 통한 초격차 유지 필요 시장 규모는 지속 증가인 반면, Blue OLED의 성능은 정체 상태 (2014년 AMOLED smartphone이후)① 효율 : 2014년 출시된 AMOLED smartpho... | 형광,유기발광다이오드,수명,효율 | Fluorescence,OLED,Lifetime,Efficiency | 50000000 |
2313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8553 | 상온에서 구동가능한 단결정 이차원 자성체 기반 대면적 스핀로직소자 어레이 개발 | Room-temperature-operating large-area spin logic device/array based on single crystalline two dimensional magnetic materials | 김현호 | 금오공과대학교 | 경상북도 구미시 | 20210301 | 20250228 | 나노정보 저장기술 | 원자 한층에서도 자성을 띄는 이차원 자성체가 실험적으로 발견된 이후, 이에 대한 연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차원 자성체의 대부분의 연구는 현재 기초연구에 머물러 있으며, 대면적 합성 및 소자 응용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원자층 두께의 이차원 자성체 단결정을 원하는 영역에 선택적으로 정렬 성장 시킬 수 있는 합성법을 개... | 본 과제의 중요성: 이차원 소재의 합성 및 소자 응용 기술은 현재 우리나라가 높은 기술력으로 선도하고 있으며, 이차원 자성체 분야의 세계 시장을 선도를 위해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자성재료는 그동안 수많은 이론과 실험, 그리고 기술발전의 중심이 되어 왔기 때문에, 이차원 자성체에 대한 기초 연구 및 이를 산업화시키기 위한 고품질 합성기술 ... | 자기터널접합,단결정 이차원자성체,화학기상증착법,수직헤테로구조,자성메모리 | magnetic tunnel junction,single crystalline two-dimensional magnet,Chemical vapor deposition,vertical heterostructure,Magnetoresistive random-access memory | 147502000 |
1498 | 2022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54114 | Anti-biofilm 테라퓨틱 나노의치 개발 | Development of anti-biofilm therapeutic nano-denture | 김유진 |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 충청남도 | 20220601 | 202505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의치는 관리 소홀 시 의치의 표면에 자연치아와 같이 치면세균막 및 치석 침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비심미적일 뿐만 아니라 구내염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어 전신질환을 일으킬 수 있음. 초기 치면세균막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S. mutans는 당 대사 과정에서 유기산을 생성하고 산성 환경을 조성하여 의치성 구내염의 원인균인 C. albicans의 부착을 촉진함... | 사용자의 관리 여부에 따라 의치를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이 단축 될 수 있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PMMA의 개발이 필요하므로 Biofilm부착을 억제시키면서 기계적 성질을 저해하지 않은 신재료 연구로 세균부착으로 인한 의치성 구내염을 예방하고 건강한 구강 상태를 유지 하고자 함. 이 연구를 통하여 PMMA 재료를 베이스로 하는 의치뿐만 아니라 치과 ... | 테라퓨틱,항바이오필름, 의치, 세륨, 아연, 나노 다이아몬드, 흑린 | Anti-biofilm,Polymethylmethacrylate, Black phosphorus,Nano diamonds,Cerium,Zinc,Denture | 52500000 |
3673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6161 | 리튬이온전지 고체전해질 Li2O-Fe2O3-P2O5 유리/나노결정의 전기/유전특성 및 전기전도 전하밀도 계산 | Electrical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Li2O-Fe2O3-P2O5 glass/nanocrystal for solid electrolyte of lithium ion battery and estimation of ionic carrier number density | 임영훈 | 세명대학교 | 충청북도 제천시 | 20210601 | 20230228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Li2O-Fe2O3-P2O5 유리/나노결정의 전기전도도 특성을 밝힘 몰비를 달리한 삼상계 Li2O-Fe2O3-P2O5 (0.2≤Li2O≤2, Fe2O3=1, 0.5≤P2O5≤1.5) 유리시료를 합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나노결정을 만들며 구조·열·전기적 해석을 활용하여 전기전도도 특성이 향상된 소재개발 및 물성의 원천정보를 확보하는 것임. ● Li2O-F... | ● 선행연구 결과에 의하면 유리에서 결정상으로 만들어진 시료들은 직접 합성한 마이크로 이상 크기의 세라믹 결정들에 비해 물성이 상당히 향상되는 특성을 보임. 이러한 결과는 나노/마이크로결정 크기에 따른 물성 변화를 탐구하는 새로운 방법임.● 임피던스 측정을 통한 주파수 및 온도 변화에 따른 전도 완화현상 연구는 알칼리 이온전지, 연료전지, 전기화학 센서에... | 리튬이온전지,고체전해질,Li2O-Fe2O3-P2O5 유리-나노결정,전기,유전 특성,전기전도 전하밀도,라만 스 | lithium ion battery,solid electrolyte,Li2O-Fe2O3-P2O5 glass-nanocrystal,electrical,dielectric,ionic carrier number density,Raman spectrum | 45753000 |
3180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1527 | 다차원 이질접합구조의 상호반응 규명을 통한 다기능 전자/광 소자의 실현 | Realization of multifunctional electronic/optical devices by characterization of correlated reaction in mixed-dimensional heterostructures | 최석호 |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 경기도 용인시 | 20200301 | 20230228 | 나노전자 소자기술 | ◈ 다차원 이질접합구조의 상호반응 규명 및 다기능 전자/광 소자의 실현 2D 디락물질/2D 페로브스카이트를 포함하는 2D 물질을 기반으로 2D-0D, 2D-2D, 및 2D-3D 등의 다차원 이질접합 상호반응시스템 구현을 위하여 본 연구팀이 제조방법/특성을 확보하고 있는 2D 물질을 비롯한 저차원 나노물질들을 이용하여 다차원 물질간의 상호반응의 특성을 ... | ○ 소재/소자 분야에서는 몇 십년동안 다양한 저차원 나노물질들이 개발되어 왔는데, 최근에는 그래핀, 위상부도체와 같은 카이럴 물질의 등장으로 전자의 전하와 스핀뿐만 아니라 밸리(valley), 위상(topology)등과 같은 새로운 자유도 (degrees of freedom)의 개념이 등장하였다. 그러므로 다양한 저차원 물질/구조 등이 결합된 이질접합 복합... | 다차원,이질접합,상호반응,다기능,2차원 물질,저차원,나노스코피,2차원 디락물질,2차원 페로브스카이트 | Mixed dimension,Heterostructure,Correlated reaction,Multifunctional ,2D material,Low-dimensional,Nanoscopy,2D Dirac material,2D Perovskite | 200000000 |
5978 | 2021 |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361 | CMOS 이미지 센서용 highk passivation 유전막 개발 | Highk passivation dielectric thin film development for CMOS image sensor application | 최경근 | 포항공과대학교산학협력단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2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참여기관 1(포항공과대학교) : : 하이브리드 SiO2/Al2O3, SiO2/HfO2, HfO2-Al2O3 적충 high-k를 사용한 유전막의 공정 최적화 : 증착 조건, 후처리 조건(어닐링, 플라즈마 처리, RTA 처리 조건) 개발 : 하이브리드 적충 high-k 산화막의 물리적 특성 분석 : 반사도, 밀도, 거칠기 값 추출 : ... | 2차년도는 1차년도 선별된 high-k 산화막과 전극을 기반으로 MIS (metal insulator semiconductor)구조로 선별해, 하이브리드 SiO2/Al2O3, SiO2/HfO2, HfO2-Al2O3 적층 high-k 유전막의 공정 최적화 및 산화막 screen으로 소수캐리어 수명 0.5 (ms), fixed oxide charge (Qf)... | 고유전율,보호막,유전막,이미지센서,전산모사 | highk,passivation,dielectric thin film,Image Sensor,simulation | 109600000 |
4321 | 2021 | 미래소재디스커버리지원(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8854 | 역방향 차원 계층 설계 알고리즘을 통한 새로운 다차원 소재 탐색 | Search for new multi-dimensional materials through inverse material design algorithms | 한명준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80716 | 20240715 | 기타 나노소재기술 | 양자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2차원 소재 개발 - 플랫폼 구축과 응용○ 이론-시뮬레이션 기반 2차원 소재화 가능성 검증 및 2차원 구조 예측 - 소재/설계 탐색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안정한 2차원 소재 탐색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소재/설계 탐색 프로토콜을 활용한 고기능성 2차원 소재 탐색 및 합성 가능성 검증○ 물성-맞춤 양자 시뮬레이션 및 실험과의 피드... | - 새로운 저차원 소재를 제시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혁신 기술 확보-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저차원 소재 구현 방법론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확립-제시- 다양한 양자 계산법을 개발하여 향후 관련 분야 물성 연구에 지속적으로 활용 가능한 알고리즘과 코드를 정립- 세계 최고 수준의 소재 설계 능력을 보유한 전문 인력 양성 및 일자리 창출 효과 | 다차원 소재,역방향 전자구조 계산,밀도범함수 이론,반응 함수 계산,양자 시뮬레이션 | multi-dimensional material,Inverse design DFT,Density functional theory,Response function calculation,Quantum simulation | 180000000 |
916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6459 | 배리스터기반 센서 프레임워크 | Barristor-based Sensor Framework | 정현종 | 건국대학교 | 서울특별시 광진구 | 20200301 | 20250228 | 나노전자 소자기술 | 본 연구에서는 2차원 물질의 van der Waals heterostructure 구조 기반의 단일한 소자 구조만으로, 다양한 타겟(가스, DNA, 가시광선, 적외선)을 높은 민감도로 감지할 수 있는 배리스터 기반 센서 framework 가능성을 탐구한다. 배리스터 센서에 다양한 타겟이 인가되었을 때 그래핀에 유도되는 Charge Transfer (~10^... | 최근 2차원 물질에 관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매우 활발한 상황이다. 하지만, 기존기술과의 우위를 증명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어서, 실제 응용 가능성을 높이는 숙제가 여전히 남아있다. 이러한 문제는 근본적으로 기존 소재들이 매우 잘하고 있는 소자에 대해서 물질만 바꾸는 식의 접근법은 상용화가 쉽지 않다는 점을 시사한다. 하지만, 전하량에 비례해서 전류가 ... | 배리스터,가스 센서,바이오 센서,광센서,그래핀,2차원 반도체 | Barristor,Gas Sensor,Bio Sensor,Photo Detector,Graphene,2D Materials | 100000000 |
4112 | 2021 | 인재활용확산지원(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7302 | TECH-DREAM 실전문제연구단 | TECH-DREAM Research Group for Real Problem Solving | 윤재웅 | 대구대학교 | 경상북도 경산시 | 20191101 | 20220228 | 나노전자 소자기술 | 1. 산업체의 현장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현장밀착형 창의인재 양성2. 산학협력 체계화를 위한 공학교육혁신시스템 구축3. 지역기업과 상생을 위한 실전 문제 발굴 및 해결 | 실전문제연구팀의 연구 활동을 통하여 기업의 애로기술을 해결하여 지역 기업과의 상생을 도모하고, 현장의 실질적인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함으로써 현장밀착형 창의 인재를 양성 할 수 있음 | TECH-DREAM실전문제연구단 | TECH-DREAM Research Group for Solving Real Problem | 300000000 |
4833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3378 | 고효율 해수담수화를 위한 생체모사 Janus 산화그래핀-폴리아미드의 나노복합 분리막 연구 | Biomimetic Nanohybrid Membranes of Janus Graphene Oxide - Polyamide for High Efficiency Desalination | 구자승 | 충남대학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601 | 20220228 | 계면 혹은 표면의 나노구조화기술 | 산화그래핀-폴리아미드 나노 복합체 생체모사 다층막의 대면적 멤브레인 제작 기술 개발중성자반사율측정장치 이용 해수 및 담수내 산화그래핀-폴리아미드 복합체박막 구조 측정생체 모사 Janus 그래핀 복합체 박막의 수직 배향을 통한 안티파울링 (antifouling) 기능 조사 | - 지구상의 총 수자원의 97.5 %를 차지하는 해수를 이용한 해수 담수화는 안정적인 담수 공급을 제공 할 수 있음.- 역삼투 해수담수화 기법의 핵심인 멤브레인 소재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며, 중동과 동남아시아 시장 등지에서 담수 플랜트 등 사업 영역을 확대할 수 있으리라 기대함. | 해수담수화 분리막,그래핀,생체모사 소재,중성자 반사,Janus 복합체 멤브레인 | Desalination membranes,Graphene,Biomimetic materials,Neutron reflectivity,Janus hybrid membranes | 50000000 |
556 | 2021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31244 | 산화갈륨 나노플레이크와 나노선을 이용한 유연기판 가스 센서 개발 | Development of flexible gas sensor using gallium oxide nanoflakes and nanostructures | 백광현 |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 |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 | 20200601 | 20230531 | 나노전자 소자기술 | 본 과제는 산화갈륨(Ga2O3) 나노플레이크(Nanoflake) 기반의 유연(Flexible) 고감도 가스센서 개발을 최종 연구 목표로 한다. 후속과제의 일환으로 박막 기반 제올라이트계 무기물 투과막 합성 및 가스 선택비 연구를 추가로 진행하고, 1차년도부터 기계적인 박리법(Mechanical Exfoliation)을 이용하여 유연기판 상에 산화갈륨(Ga2... | ■ 본 과제의 연구 성과를 통하여 인체호흡으로 발생되는 가스들을 분석하여, 당뇨, 간질환, 폐암 등의 질병을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breath analyzer로서 적용 가능성이 있음. 또한 다종의 공기 오염원을 동시에 선택적으로 감지 측정 분석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금속산화물 또는 나노구조를 가진 가스센서를 어레이화하고 집적하여 wearable 전자코(El... | 유연기판소자,가스센서,산화갈륨,나노플레이크 | Flexible device,Gas sensor,Gallium oxide,Nanoflake | 47488000 |
33 | 2021 | 인재활용확산지원(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7518 | 다중모드 위조방지를 위한 이중 자외선 및 이중 근적외선 민감성 발광 잉크 개발 | Development of simultaneous dual UV and dual NIR excitable luminescent inks for multi-mode anti-counterfeiting applications | 박용일 | 전남대학교 | 광주광역시 북구 | 20200801 | 2022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본 연구는 다중모드 위조방지 응용을 위한 이중 자외선 (UV) 및 이중 근적외선 (NIR) 민감성 희토류 코어@멀티쉘 나노결정 (NCs) 기반의 발광 잉크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모드 UV (2개 파장) 및 NIR (2개 파장)에서 감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희토류 원소가 각기 도핑된 코어@멀티쉘 구조의 β-NaYF4 NCs의 정밀한 합성법 개... | 본 연구의 계획은 위조방지 응용을 위한 희토류가 도핑된 코어@멀티쉘 나노결정 (NCs)을 합성하여 새로운 위조방지용 발광 잉크를 개발하는 것입니다. 보이지 않는 발광 잉크의 다중 모드 여기 가능성은 문서, 통화, 메모, 식음료, 전자 제품 및 중요 부품 등에 대한 높은 수준의 보안을 용이하게 합니다. 이러한 방법은 보안 수준이 매우 높고 모방하기가 거의 불... | 코어 멀티쉘 나노결정, 업컨버전,위조방지,발광 잉크,다운시프팅,이중 자외선 및 이중 적외선,희토류,멀티모드 | Core multi-shell nanocrystals,Upconversion,Anti-counterfeiting,Luminescent ink,Downshifting,Dual UV and dual NIR excitation,Rare-earth,Multi-mode excitation,NaYF4 nanocrystals | 70000000 |
5207 | 2022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8387 | 새로운 비단열 양자-고전 화학 반응 속도 계산 알고리듬 개발 | Development of novel nonadiabatic quantum-classical reaction rate algorithms | 김효준 | 동아대학교 | 부산광역시 사하구 | 20160601 | 20260531 | 기타 나노소자 및 시스템기술 | 주 연구목표는 양자-고전 방법을 이용해서 비단열 효과에 대한 새로운 효율적인 알고리듬을 개발하는 것이다. 양자역학 효과는 양성자나 전자 이동 반응 등의 많은 화학 반응에서 중요한 요인이지만, 그 복잡성과 난해함 때문에 소규모의 시스템에만 계산이 가능해서 보다 효율적인 양자역학 계산방법에 대한 시도는 현대 이론 물리화학의 주류중의 하나를 이루고 있다. 특히 ... | 본 연구는 특정 응용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아닌 기초 방법에 관한 연구이므로, 연구가 성공하면 그 활용이 특정 시스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비단열 효과가 큰 화학 반응에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중요한 proton transfer나 electron transfer 등의 화학반응의 실제 모델에 대해 적용이 가능해서 양자역학적 결과... | 비단열효과,양자-고전 동역학 이론,양자 보정 방법,양자 평형 구조,양자 모의실험,확산-반응 운동방정식,정확한 | Nonadiabatic effects,Quantum correction method,Quantum-classical theory,Quantum equilibrium structure,Quantum simulation,Diffusion-reaction equation,Exact Green function | 19890000 |
3866 | 2021 | 국가간협력기반조성(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0633 | 뉴질랜드 및 한국 생산품을 위한 메타표면 기반 차세대 스마트 라벨링 기술 | Metasurfaces: new smart labelling technology for NZ and Korean products | 노준석 | 포항공과대학교 | 경상북도 포항시 | 20211001 | 20240930 | 나노 photonics기술 | 본 연구에서는 뉴질랜드 및 한국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의 맞춤형 관리를 위하여 메타표면 기반의 실시간 에틸렌 가스 센싱 및 원산지 위조 방지가 동시에 가능한 스마트 라벨링을 구현하고자 한다. 우선, 메타표면 기반의 스마트 라벨을 설계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설계된 스마트 라벨을 나노입자 기반 임프린팅을 이용해 실제로 구현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 제작된 스마트... | 메타표면 기반 농산물 스마트 라벨링 기술은 농산물의 에틸렌 노출 정도를 개별적으로 추적하여 최적의 품질을 제어할 수 있어 스마트팜으로의 토대가 될 수 있다. 또한, 메타홀로그램을 이용한 정보 입력을 통해 위조를 방지하고, 기존의 원산지 증명 프로토콜을 대폭 간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해당 기술은 농업과 나노광학 분야의 융합 연구이기에, 해당 기술을 기반으로... | 스마트 라벨,다기능 메타표면,에틸렌 감응형 액정,메타홀로그램,에틸렌 센싱,위변조 방지,나노임프린팅,원산지 보 | Smart labelmultifunctional metasurfaceethylene responsive liquid crystalmetahologramethylene sensinganticounterfeitingnanoimpringingorigin confirmation system | 50000000 |
4469 | 2021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1110 | 자기조립 내부봉지 물질 도입을 통한 고효율 및 고안정성의 유기태양전지 모듈 개발 | Development of High-efficiency and Photo-stable organic solar cells with self-assembled monolayer additives | 정소영 | 광주과학기술원 | 광주광역시 북구 | 20210901 | 20220831 | 나노전자 소자기술 | 본 연구과제에서는 “고효율과 고안정성을 모두 갖는 유기태양전지 모듈 개발”을 최종 목표로 함. 즉, 내부봉지 역할을 하는 자기조립 첨가제를 고효율의 광활성 소재에 도입하여, 단위 소자 기준 효율 18%, 1000시간 빛 조사 후 95% 이상의 효율 유지를 달성할 것임. 또한, 인쇄공정을 이용한 대면적의 유기태양전지 모듈 제작 기술을 개발하여, 모듈 기준 효... | 본 연구과제를 통해 유기태양전지 모듈 효율 12% 및 1000시간 빛 조사 후 90% 이상 소자 효율유지를 개발에 성공한다면 이는 세계 최고수준의 연구결과이며 유기태양전지 상용화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임. 특히, 유기태양전지의 광안정성 개선과 인쇄공정을 이용한 모듈 제작을 동시에 달성한 사례는 보고된 바 없다는 점에서 관련 연구분야를 선도하게 될 것임. | 유기태양전지 ,고효율,고안정성,모듈,인쇄공정,유기태양전지 ,고효율,고안정성,모듈,인쇄공정 | Organic Solar Cells,High-efficiency,Photostable,Organic Solar Cell Modules,Printing Process,Organic Solar Cells,High-efficiency,Photostable,Organic Solar Cell Modules,Printing Process | 45000000 |
3496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9816 | 저온 웨이퍼 레벨 Cu 접합을 위한 플라즈마 표면 처리 및 하이브리드 접합 연구 | Plasma surface treatment and hybrid bonding study for low temperature wafer level Cu bonding | KIM SARAH EUNKYUNG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서울특별시 노원구 | 20180301 | 20220228 | 나노전자 소자기술 | 차세대 전자패키징 기술은 다양한 소자의 적층 패키징 구조로 진화하고 있으며, 특히 웨이퍼 레벨에서의 적층 기술은 향후 적층 소자 기술의 핵심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전자소자를 수직으로 적층하는 기술 중 웨이퍼와 웨이퍼를 직접 접합하는 최첨단 적층 소자 시스템의 저온 Cu 하이브리드 접합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한다. Cu 하이브리드 접합 계면의 접합성을... | - 유럽과 일본과 달리 국내에서는 웨이퍼 레벨 저온 접합 연구가 매우 미진한 상태이고 기술 개발 노하우나 지식을 축척한 연구자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웨이퍼 레벨 저온 Cu 접합 공정을 위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표면처리와 접합공정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학문적 기여가 있다. - 차세대 적층 소자 기술 측면에서 다양한... | Cu 하이브리드 접합,적층 소자 시스템,웨이퍼 레벨 접합,저온 구리 접합,플라즈마 표면처리 | Cu hybrid bonding,Stacked device system,Wafer level bonding,Low temperature bonding,Plasma surface treatment | 70145000 |
3043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1514 | 충전기/정류기 Free 에너지 자립화 시스템: 에너지 발전 및 저장 일체화를 위한 유도전하분리 규명 | Charger/rectifyer-free independent energy system: identifying mechanisms for induced charge separation in integrated energy generation and storage systems | 안건형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 경상남도 진주시 | 20200301 | 20240229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충전기/정류기가 필요 없는 에너지 발전 및 저장 일체화를 위한 셀프충전에 대한 창의적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함. 특히 최초로 도전하는 마찰전기를 이용한 셀프충전 메커니즘에 대한 기초이론을 확립하고 이를 통한 에너지 시스템에 도전하고자 함 | ○기술적: 에너지 발전&저장기술의 일체화 분야 최초의 연구○경제산업적: 에너지저장기술 및 스마트기기 관련 산업의 연쇄적인 부흥○ 최종 에너지 발전&저장 일체형 소자의 가변형(신축-굽힘)화를 이룸으로써 넓은 스마트기기 응용분야에 적용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기술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는 혁신성을 지님 | 에너지 시스템, 에너지 발전, 에너지 저장 일체화 | independent energy system,induced charge separation,integrated energy generation and storage systems | 150000000 |
3427 | 2021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33336 | 새로운 코팅 전략을 사용하여 임플란트 응용 분야를위한 마그네슘 합금 개발 | Development of Magnesium alloys for implant applications using novel coating strategies | 레흐만지샨우르 | 창원대학교 | 경상남도 창원시 | 20210601 | 20240531 | 계면 혹은 표면의 나노구조화기술 | The goals and objective of this project include the development, investig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Biocompatible PEO coatings and post-PEO LBL coatings on Mg alloys for biodegradable implant... | To reduce the cost of the bone surgeries (2017년 교통사고; 2,329,486,888천원) by developing Mg- based implant materials. To explore the use of new Mg alloys through optimized coatings that could be clinic... | Biodegradable,Oxide Coating,Medical Implant,Plasma Electroly | Biodegradable,Oxide Coating,Medical Implant,Plasma Electrolytic Oxidation,Layer by Layer coatings | 52500000 |
4441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8840 | 응력 제어 표면에서의 원자수준 연구 | Atomic-level study of strain-controlled surfaces | 강세종 | 고려대학교 | 서울특별시 성북구 | 20210301 | 20260228 | 나노 측정기술(100 nm이하) | ○ 전기-기계적 방식을 사용하여 판상형 단결정에 응력(strain)을 in-situ로 가하고, 이에 따라 시료표면의 원자구조, 전자구조가 변화하는 양상를 초고진공 저온 scanning tunneling microscope(STM)과 spectroscopy(STS)를 이용해 규명한다. ○ 가해진 응력에 따라 판상형 물질의 표면 재구성, dislocati... | ○ 본 연구에서 제안한 in-situ 응력 제어 기술 중 비틀림(torsional), 2축(biaxial), 구부림(bending) 등을저온 초고진공 STM에 적용한 사례가 아직 없다. 이를 통해 판상 물질에서 일어나는 새로운 물리 현상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 과제를 통해 물질의 전자상태를 응력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실험적 기술... | 응력,원자분해능,판상 물질 | strain,atomic resolution,layered material | 164108000 |
961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2474 | 입자빔을 이용한 2D layered MOF 전극 소재물질 개발과 이를 활용한 2차전지 적응성 연구 | Investigation on the adaptabilityof secondary battery electrode materials with the modified porous 2D layersMOF nanostructures utilizing ion beam irradiationtechnique | 김병철 | 순천대학교 | 전라남도 순천시 | 20200901 | 20230228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입자빔을 이용한 다공성 2D layered MOF 전극 소재물질 개발과 이를 이용한 2차전지 적응성 연구- 입자 이온빔을 활용한 2D layered 에너지저장용 MOF 물질의 유전율변화 전도도향상 구조 합성- 입자 이온빔 조사 MOF 물질 구조특성 변화 규명- 빔조사 MOF 전극소재 에너지 저장 성능 향상 평가 | 1. 본 연구에서 시도되는 유전율, 투자율, 전도성 향상을 위해 Ni, Co, Fe, Ti 금속이온빔을 사용한 연구방식은 국내외적으로 극히 제한 시설 활용 연구 분야로 이차전지 성능향상을 위한 전극 물질의 원자결합을 이온빔으로 개발하여 새로운 전극물질을 발굴하고 원리를 규명하는 연구는 희소적 가치가 매우 크며 기대 효과를 통한 산업기술 응용 원천기술로서 학... | 입자빔,2D layer,MOF,2차전지,다공성전극 | ion beam,2D layer,MOF,secondary battery,Porous electrode | 85039000 |
5603 | 2022 | 나노소재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8253 | 알츠하이머 유도 인자 검출 바이오센서용 고감도 광증폭 폴리다이아세틀렌 기반 소재 개발 | Colorimetric detection of Alzheimer disease by high sensitive Polydiacetylene based biosensor | 이강원 | 서울대학교 | 서울특별시 관악구 | 20170701 | 20220630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세계적인 고령화 추세로 인하여 바이오 의학시장에서 진단의학의 필요성이 크게 증대되고 있다. 현재 기술로서 치료가 불가능한 난치성 질환 진단을 위해, 바이오센서의 사용이 필요해지는 시점에서 측정/진단시스템의 핵심기술로 급성장하고 있다. 기존의 바이오센서들은 경제성과 안정성에 대한 한계점 부각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기술확보가 요구된다. 본 연구... | ○ 광특성 변화유도를 통한 리포좀 기반 바이오센서의 민감도 조절에 대한 원천기술 확보가 가능하고, 광특성을 이용하여 간단하고 빠른 물질검지가 가능해 질 것으로 예상됨 ○ 미량의 샘플을 사용한 혈액기반 알츠하이머 유도 인자 검지 기술은 기존의 방법보다 빠르고 간단한 체외 검지를 통하여 기존 질병 진단 시간을 단축하고, 사용방법과 신호분석이 용이하여 폭넓은 활... | 바이오센서,공액고분자,인공모형모델,엑소좀,금속증강형광,알츠하이머,마이크로어레이,질병진단 | Biosensor,Conjugated polymer,Dummy model,Exosome,Metal Enhanced Florescence,Alzheimers disease,Microarray,Disease diagnosis | 112800000 |
6577 | 2022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52073 | 나노센서 연구소 | Nano-sensor Platform for Precision Diagnosis of Hard-to-Detect Disease | 성기훈 |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 경기도 안산시 | 20180601 | 20270228 | 나노 바이오 물질 합성 및 분석기술 | 최종목표 : 난검출성 질환 정밀진단용 고감도 나노센서 플랫폼 개발단계별 연구목표1단계 : 난검출성 질환의 고감도 검출을 위한 원천 기술 개발2단계 : 고감도 진단을 위한 바이오 리셉터 개발과 임상진단용 전기화학/광학 센서 개발3단계 : 난검출성 질환진단용 센서 및 진단기기 임상 유효성 평가 및 상용화 |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광학/전기화학 기반의 나노바이오센서를 이용하여 난검출성 질환 진단 대상 바이오마커의 검출한계를 낮추고 (“고감도 검출”), 소량의 검체를 이용하고 진단시간을 단축하며, 분석 준자동화 (“소형·편의성의 POC (point-of-care)”) 하는 기술을 확보하여, 현재 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의료재단이나 개인형 POC 기기에 이용되고 있... | 나노바이오센서,난검출성 질환,광센서,전기화학센서,자가진단,나노복합체,화학리셉터,바이오리셉터 | Nanobio Sensor,Hard-to-Detect Disease,Optical Sensor,Electrochemical Sensor,Point-of-Care,Nanoscale Composite,Chemical Receptor,Bio-Receptor | 805000000 |
4350 | 2021 | 인재활용확산지원(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1238 | 고효율 수소생성을 위한 저차원 촉매소재 개발 및 신연료생산 응용 | Development of low-dimensional catalysts for high efficiency hydrogen evolution and new fuel generation | 조형균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서울특별시 종로구 | 20210901 | 2023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본 과제에서는 지속가능한 수전해형 수소 생산 및 산소생산용 고효율 촉매 소재를 개발하고 실제 촉매 구동 및 광전기화학셀에 적용하여 광전기화학 반응시스템을 제작한다. 또한, 교류 형태의 전압 하에서, 수소발생준위 (hydrogen evolution reaction, HER)에 도달한 구동전압에 대해 광음극 특성이 구현되어 계면손실 없이 전자(e-)전달 효율을... | 지구상에 존재하는 가장 풍부하고 무한한 에너지원인 태양광과 물을 활용하여 수소를 얻어내, 청정 수소에너지 확보에 관련한 기술의 진보가 기대된다. 미래에너지로 기대되는 수소 생산성의 향상을 목표로 하는 연구이므로 미래에너지원 확보를 위해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관련 기술은 미래 에너지 소자인 연료전지를 활용한 자동차 시장이 크게 성장함에 따라 연구의 중요도 ... | 수소생산 촉매,수소에너지,산소생산 촉매,저비용 촉매,나노스케일 촉매,광전기화학셀,다원계 화합물,광전류밀도,수 | HER catalyst,Hydrogen energy,OER catalyst,Nanoscale catalyst,Abundant materials,PEC cell,Multi-element compound,Photocurrent density,Hydrothermal | 34066000 |
6240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72479 | 양방향 고점도 연속 잉크젯 헤드 및 프린팅 연구 | Bidirectional high-viscosity continuous inkjet head and printing research | 권계시 | 순천향대학교 | 충청남도 | 20220601 | 20250228 | 나노패터닝 공정기술 | 기존의 연속 잉크젯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다양한 응용 범위를 갖는 연속 잉크젯 헤드를 개발하고, 헤드의 성능을 측정하고, 제어하고, 시스템 통합, 공정 연구를 수행하려고 함. 1. 양방향 프린트 헤드 개발 및 프린팅 폭 확대 연구 2. 고점도 잉크 프린팅 헤드 개발 및 연구3. 임의의 면적, 임의의 패턴 (비트맵 이미지, CAD 정보) 프린팅을 위한 프린팅 ... | - selective area coating (insulation) ink & EMI shield coating등에 산업에 활용하여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공정에 적용이 가능한 고속 및 고성능 프린팅 장비 구현으로 산업에 활용이 가능. 활용방안- 가시화 장치 및 측정 알고리즘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잉크의 제팅 특성을 이해하고 다양한 재료의 프린팅에 응용으로... | 연속 잉크젯,프린팅 헤드,제팅 가시화,측정 시스템,3차원 프린팅,시스템 통합,프린팅 알고리즘,생산 공정,인쇄 | continuous inkjet,print head,jetting visualization,measurement system,3D printing,system integration,printing algorithm,manufacturing process,printed electronics | 49911000 |
5733 | 2022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50054 | 전이금속칼코겐 합금에 대한 주사터널링현미경 연구 |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 study on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 alloys | DUVJIR GANBAT | 울산대학교 | 울산광역시 남구 | 20210601 | 202405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While several exciting behaviors of TMD alloys have been demonstrated, the atomistic nature of the alloying mechanism is still unclear. How the evolution of electronic structures occurs as a function ... | The results of the proposed research will provide an essentia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of the alloying mechanisms and physical properties of various TMD alloys, allowing optimized alloy composit... |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s, Scanning tunneling microsc |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s,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 Alloy, Heterostructure, Band gap, Phase transition | 70000000 |
4498 | 2021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1114 | 적층 가공과 탈 성분 부식법을 통한 다차원 나노 다공성 금속 개발 | Development of multi-dimension nanoporous metal by integrating dealloying method and additive manufacturing | 현재익 | 연세대학교 준결정재료연구단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20210901 | 202208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적층 가공(Additive manufacturing)을 통해 제조된 1D, 2D, 3D 다차원 구조의 전구체 합금을 탈 성분 부식(Dealloying)을 통해 나노 다공성화 함으로써 기존 다공성 재료의 한계를 뛰어넘는 고성능 멀티스케일 나노 기능성 재료 개발 | - 선진 연구기관에서 해외 연구자들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새로운 기술 습득- 금속 재료의 구조 재료로서의 한계를 넘어 기능성 재료로 응용분야를 확장시키는 연구- 연수기관 지도교수의 지도 및 경험을 바탕으로 최상위 저널 논문 발표 기대 | 적층 가공,탈 성분 부식,비정질 합금,나노 다공성 금속,전기화학촉매 | additive manufacturing,dealloying,amorphous alloy,nanoporous metal,electrocatalyst | 45000000 |
4504 | 2021 | 방사선고부가신소재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0348 | 방사선 이용 고성능 금속유기골격체 전기촉매 개발 | Development of high performance metal-organic framework through Radiation Irradiation for Electrocatalysis | 장호원 | 서울대학교 | 서울특별시 관악구 | 20200417 | 2022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방사선을 이용하여 고성능의 금속유기골격체 기반 활물질을 합성하고 금속유기골격체 내 원자 단위 표면 개질 및 구조 제어를 통하여 물질의 전기적ㆍ화학적 물성 제어 및 공정 최적화를 통한 합성 수율을 극대화 하고자 함. 또한 최적화된 활물질을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고성능의 물 분해 및 이산화탄소 환원을 통한 포름산 전환 기술을 개발하고자 함○ 방사선을 소재 합... | ○ 금속유기골격체의 합성시간을 방사선을 통해 매우 줄여 소재의 실용화를 확보하여 대량생산 기술의 발판을 마련함.○ 방사선 응용으로 기존의 금속유기골격체의 단점인 전기전도도가 낮음을 극복하여 방사선 기술의 활용 폭을 넓히고 기존 기술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음.○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합성될 금속유기골격체는 고용량 배터리 전극, 고효율 촉매 물질 등으로 개발... | 방사선 조사,금속유기골격체,이산화탄소 환원,포름산 전환,복합체,다공성 구조,이종원소 도입,계층 구조 | Radiation Irradiation,MOF,Metal-air battery,Carbon material,Composite,Porous structure,Heteroatom doping,Hierarchical structure | 194000000 |
2685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3934 | Degenerated 2D 물질 층에 의한 수직 broken-gap 나노 다이오드에서의 양자 터널링 및 IR 검출 연구 | Observation of quantum tunneling and mid-IR detection in pure vertical broken-gap nano-diode manifested by degenerated layers of 2D materials | Muhammad Farooq KHAN | 세종대학교 | 서울특별시 광진구 | 20200301 | 20230228 | 나노정보 저장기술 | Degenerated 2D 물질 층에 의한 수직 broken-gap 나노 다이오드에서의 양자 터널링 및 IR 검출 연구 원형 나노 p-n 접합 크기 ( 10^7 작동 전압 ( 10 논문 3편 포함) 특허 2 편 대학원생 1명 지도 | 1. Broken-gap (type-III) p-n heterojunction with optimal vertical structure.2. Stable and low-dimensional pure vertical p-n diode, manifested on nano-pore ( 107.6. Have momentous applications, like mo... | 2D 물질,양자 터널링,IR 검출,브로큰 갭,도핑,수직 다이오드 | 2D materials,quantum tunneling,mid-IR detection,broken-gap,doping,vertical diode | 30000000 |
1504 | 2022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8427 | 스핀트로닉스 연구를 위한 제일원리 계산 개발 | Development of ab initio and theoretical approach to Spintronics | 임성현 | 울산대학교 | 울산광역시 남구 | 20190601 | 20240531 | 나노전자 소자기술 | ◆ 스핀홀 및 비정상홀 전도도 제일원리 계산 all-electron 및 슈도포텐셜 (평면파) 방식 모두 가능한 패키지 구현 덩치 시스템과 일반적인 슈퍼래티스로 확장 스핀축이 x,y,z이 경우를 모두 계산◆ 비공선자성(non-collinear magnetism) 계산 패키지 구현 잘 알려진 블로흐 일반정리 (Generalized Bloch t... | □ 제일원리계산방법론 관점자체 제일원리 계산 패키지를 갖고, 꾸준히 업데이트하는 것은 계산과학 관점에서 큰 의의가 있음상용패키지도 병행하겠지만, 자체 패키지 개발에서 보다 더 심도 있는 통찰력이 생길것으로 기대스핀전도도 계산에서 두 가지 방법을 모두 확보할수 있음비공선자성을 통한 DMI 계산은 향후 적용될 분야가 많을 것임: 자구벽 운동, 스커미온 ... | 제일원리계산,스핀트로닉스,비공선자성,스핀 및 비정상 홀 효과,스핀메카트로닉스,스핀궤도결합,상대론적 응집물리 | first-principles calculations,Spintronics,Non-collinear magnetism,Spin and Anomalous Hall effect,Spin-Mechatronics,Spin-Orbit interaction,Relativistic condensed Matter physics | 100000000 |
25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6172 | 상온기상 증착법을 이용한 유기물 프리 광전자소자를 위한 무기소재연구 | Inorganic materials for organic-free optoelectronic devices using aerosol deposition | 김상욱 | 아주대학교 | 경기도 수원시 | 20200301 | 20230228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광전무기소재의 개발 본 연구에서 개발 및 사용할 무기소재는 광전특성이 있는 벌크 혹은 양자점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체 혹은 반도체 양자점 소재이며 필름 형성 후의 안정된 광특성을 위해 다양한 구조 변화 실험을 실시하여 안정성이 향상됨 발광필름을 확보할 것임. 구조체의 표면특성, 크기 및 조성변화, 코어/쉘 구조 합성 등의 연구를 진행하여 안정... | 학문적 기대효과 -비휘발성 물질은 기상 증착이 불가능하다는 상식을 깨고, 구조적으로 불안정하다고 알려진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상온 기상증착법으로 필름제조가 가능함으로 필름상 형성이 가능한 다양한 물질들의 기상증착 시도가 가능할 것임. -페로브스카이트 구조관련 연구는 현재 초미의 관심사이며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충격에 따른 구조 안정성 연구가 가능하며,... | 페로브 스카이트,세라믹 나노컴포짓,상온기상증착법,LED응용,태양전지응용 | Perovskite,ceramic nanocomposite,Aerosol Deposition,LED application,Solar cell application | 100000000 |
3911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6257 | 고성능, 안정적인 구동의 트랜지스터 소자 구현을 위한 전무기 페로브스카이트 나노선 개발 | All-inorganic Perovskite Nanowire for High-performance and Operationally Stable Transistors | 최민재 | 동국대학교 | 서울특별시 중구 | 20210601 | 202205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본 연구과제의 최종목표는 저차원(low-dimensional) 전무기(all-inorganic) 기반의 페로브스카이트 나노선(nanowire)을 개발하여, 기존 페로브스카이트 트랜지스터 소자의 문제점인 이온 이동(ion migration)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고성능의 안정적인 구동을 하는 차세대 트랜지스터 소자를 구현하는 것임. | ● 페로브스카이트 나노선은 양자점이나 박막에 비하면 미개척 연구 분야임. 페로브스카이트 나노선의 합성기술과 이들의 표면처리 기술에 관한 기술을 정립함으로써 새로운 소재에 관한 기술을 선점할 수 있음.● 1차원 소재인 나노선은 3차원 소재인 박막이나 0차원 소재인 양자점과는 다른 고유의 물성을 가지고 있음. 무엇보다 종횡비가 매우 큰 나노선을 만들 경우, 실... | 페로브스카이트,나노선,전무기,트랜지스터,이온 이동,콜로이드 | Perovskite,Nanowire,All-inorganic,Transistor,Ion migration,Colloid | 48036000 |
1737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7961 | 항균 응용을 위한 새로운 포르피린 기반 폴리머 물질 개발에 관한 연구 | Development of porphyrin-based polymeric materials for antimicrobial applications | 정은희 | 강릉원주대학교 | 강원도 강릉시 | 20200601 | 20230228 | 나노 바이오 물질 합성 및 분석기술 | 본 연구는 광역학 치료에 사용되는 포르피린을 기반으로 한, 항균 효과를 가진 새로운 포르피린-폴리머 복합체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의료 이식 장비와 같은 생의학 표면에 생기는 생물막(biofilms)을 제거하는 일은 생화학분야뿐 아니라 의학 재료 분야에서도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의 치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항생제는 박테리아의 내성과 박테리아 변종... |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는 다양한 병원체들과의 싸움에서 주로 사용되는 항생제, 이들의 오용과 남용으로 인한 환경오염, 환경오염으로 발생되는 또 다른 병원체들, 궁극적으로 감염을 야기 시키는 유해한 박테리아를 사멸시키기 위해 항생제의 사용은 억제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선 이를 대치할 만한 강력한 후보 물질의 개발이 시급하다. 생체 내 독성이 적으며 생체 내 흡수율... | 항균 광역학 치료,생물막,양쪽성,포르피린 기반 | Antimicrobial Photodynamic Therapy,Biofilm,Amphiphilic,Porphyrin-based | 50000000 |
3876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6603 | 전자기 액체금속 유연회로 액츄레이터를 통한 홀로 그래픽 디스플레이 구현 | Holography display by soft electromagnetic liquid metal flexible circuit actuator | 장성필 | 인하대학교 | 인천광역시 남구 | 20210601 | 20230228 | 기타 나노소자 및 시스템기술 | 액체 금속 기반의 유연회로를 액츄레이터로 구현하여 LED를 활용한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총 이차년도로 구성된 본 연구는 1차년도에 박막형 플렉서블 액체 금속회로를 구현하고, 전자 소자를 접합 삽입하는 공정을 개발하고, 신뢰성을 테스트한 후 이를 바탕으로 2차년도에는 LED 홀로그래픽 기술을 구현할 예정이다. 액체금속 코일과 전... | 본 과제에서 사용되는 액체 금속인 인듐갈륨 공정 (EGaIn)은 높은 표면장력을 가지고 있지만, 수 나노미터의 얇은 산화막의 형성으로 미세유체와 같은 좁은 공간에도 안정적인 주입이 가능하다. 이러한 EGaIn을 활용하여 회로와 액츄레이터의 전기적 프로그래밍 컨트롤 기술은 소프트 로봇부터 이를 제어할 수 있는 RLC 회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을 것... | 액체 금속,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LED,미세유체,액츄레이터,3D 프린팅,유연전극,아두이노,임베디드 프로그래밍 | Liquid metal,Holographic display,Light-emitting diode,Microfluidic,Actuator,3D printing,Flexible electrode,Arduino,Embedded programming | 41167000 |
2825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5945 | 차세대 이차전지 소재 개발을 위한 에너지 저장 소재들의 열화 현상 연구 | Research on the degradation phenomena of energy storage materials for developing next generation rechargeable battery materials | 김성헌 | 명지대학교 | 경기도 용인시 | 20200301 | 20250228 | 나노 측정기술(100 nm이하) | 최근 에너지 관련 산업의 빠른 성장과 함께 고성능 이차전지에 대한 요구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 리튬이온전지 (Lithium Ion Battery, LIB) 산업의 동향이 소형 전자기기에서 전기자동차나 에너지 저장 시스템 (Energy Storage System, ESS) 등의 중대형 에너지 저장 장치로 변화함에 따라 기존의 리튬이온전지보다 ... | 고성능 리튬이온전지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용량, 수명, 충전 속도, 안정성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의 기술 향상이 필요하다. 특히, 새롭게 부상하는 전기자동차나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의 중대형 에너지 저장 장치 시장의 경우 기존의 스마트폰이나 노트 PC 등의 소형 전자제품들에 비해 구매 주기가 매우 긴 특징이 있어서 훨씬 많은 횟수의 충/방전 반복 과정에서도 ... | 에너지 저장 소재,리튬 이온 전지 열화,주사 탐침 현미경,실시간 분석 기술,전고체전지,주사 전기화학 현미경 | Energy Storage Materials,Degradation of Lithium Ion Battery,Scanning Probe Microscopy,In situ Analysis Technique,All Solid State Battery,Scanning Electrochmical Microscopy | 99700000 |
3814 | 2021 | 혁신성장연계지능형반도체선도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2116 | 초저전력 자가재구성 광스위치 구동 및 콘트롤을 위한 Si 집적회로 | Si Integrated Circuits for driving and controlling ultra-low-power reconfigurable optical switch | 최우영 | 연세대학교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20190628 | 20211231 | 나노 photonics기술 | 본 세부과제는 제1,2 세부과제에서 구현하는 새로운 구조의 저전력 광스위치 구동에 적합한 Si 구동 회로와 광스위치 reconfiguration에 필요한 scheduler를 단일 집적회로 형태로 구현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구현된 IC는 전체 광스위치 시스템의 성능 최적화를 이루어낼 수 있도록 효율적인 동작을 수행하며, 최종 결과물의 시연시 전체 시스템 co... | 본 세부과제의 연구 결과물인 Optical Switching Controller IC는 타 세부 과제의 연구 결과물 검증에 활용됨과 동시에 향후 광범위한 광연결 솔류션의 도입이 예상되는 다양한 Electronic System에서의 optical I/O 구동 및 control 핵심 IP 블록으로서 활용될 수 있음. | 광스위치 구동,광스위치 자가재구성,광스위치 시스템 통합 분석 | optical switch driver,optical switch reconfiguration,optical switching system analysis | 70000000 |
939 | 2022 |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 기획재정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5144 | 고체 알칼리막 연료전지용 저가의 고성능 비귀금속 양극 촉매 개발 | Development of low cost, high performance non-precious metal anode catalyst for anion-exchange membrane fuel cells | 김필 | 전북대학교 | 전라북도 전주시 | 20180727 | 20230226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AEMFCs용 고성능의 저가 비귀금속 양극촉매 개발 및 개발된 촉매의 양산 반응기 설계를 위한 자료 제공 1.원자촉매(ADC) 기반의 고성능 산소환원반응용 비귀금속 촉매 설계 2.생물자원 유래 고성능 산소환원반응용 비귀금속 촉매 설계3.나노구조가 제어된 산소환원반응용 비귀금속 촉매의 설계4.AEMFCs 시스템 양산을 위한 비귀금속 촉매 양산 반응기 설계 ... | 본 연구의 나노구조가 제어된 원자촉매 설계는 연료전지의 산소환원반응을 위한 촉매 개발의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음본 연구를 통해 개발되는 고성능, 저가의 산소환원반응용 촉매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가격 경쟁력을 높이고 연료전지 산업 활성화에 기여함.생물소재 유래 촉매 합성기술에 대한 연구는 생물자원의 활용 및 융·복합 연구를 가능하게 함.촉매 개발 방... | 연료전지,고체알칼리 연료전지,산소환원,원자촉매,생물자원 유래 촉매,비귀금속 촉매,막-전극 접합체,엑스선 흡수 | Fuel cell,Ani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Oxygen reduction reaction,Atomic catalyst,Biomass-derived catalyst,Nonprecious metal catalyst,Membrane-electrode assembly,X-ray absorption spectroscopy | 330000000 |
3922 | 2021 | 방사광가속기공동이용연구지원(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3743 | X-선 거울 표면 측정 및 코팅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surface metrology and coating technologies for X-ray mirrors | 김장우 | 포항공과대학교 | 경상북도 포항시 | 20190521 | 20211231 | 나노 신기능 분자합성기술 | 본 연구개발 사업의 최종 목표는 방사광가속기 빔라인의 경쟁력 제고에 필수적 광학 소자인 X-선 거울 제작 관련 핵심기술 개발임. 본 사업은 가속기 기반 연구 장비 중에서도 부가가치가 매우 높은 X-선 거울 제작 관련 핵심기술 개발을 통한 산업화 연구 장치 개발을 통해 국산화 및 상용화를 위한 기반기술 구축을 목표로 함. 세부목표로는 길이 800mm, 폭 5... | 본 연구개발 사업은 국가 주요 연구시설인 방사광가속기의 세계 경쟁력 제고에 필수적인 기술개발 사업이며, 산업에 직접적인 파급 효과를 나타내는 기반기술 구축 성격을 지니고 있음. 기존의 가속기 인프라 및 광학 업체 축적 기술을 최대한 활용하여 고부가가치 사업화가 즉시 가능한 정밀 기술 위주의 광학계 개발 및 측정장치를 개발하여 국가 산업에 직접적인 파급 효과... | 엑스선 거울,엑스선 광학,초정밀 광학,초정밀 가공,박막 코팅 | X-ray Mirror,X-ray Optics,Precision Optics,Precision Machining,Thin Film Deposition | 200000000 |
판매제공처 홈페이지 | hellodd.com | 라이선스 |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
---|---|---|---|
판매 담당자 | 대덕넷 | 권한 | HelloDD |
연락처 | 070-4171-3524 | 접근 권한 | public |
이메일 | sungmin8497@hellodd.com | 상품 구분 | dataset |
품질측정 검사 | 품질측정기간 | ~ | |
---|---|---|---|
품질측정기관 | 대덕넷 | 품질측정연락정보 | 0428615005 |
품질측정결과 | 품질측정내용 |
현재 준비중입니다.
10047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황금1로 122,김포제조융합혁신센터 3층 한국산업기술시험원 ㅣ 사업자번호 : 113-82-06228 ㅣ 대표자명 : 김세종 ㅣ TEL: 02-860-1059 ㅣ E-mail: bigdata.dx@ktl.re.kr
Copyright ⓒ 2021 KOREA ENTERPRISE DAT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