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협의 상품 및 유료상품의 구매를 원하실 경우 맞춤형 데이터 신청란에 글을 남겨주시면
신속히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데이터셋명 | NT분야중소기업별과제데이터 | 데이터 유형 | csv |
---|---|---|---|
데이터 분야 | 과학기술 | 구축 데이터량 | 4.90 MB |
구축기관 | 대덕넷 | 데이터 갱신 일자 | 2022-08-29 |
데이터 개방 일자 | 2022-10-27 | 데이터 이용 기한 | 무기한 |
데이터 갱신 주기 | - | 버전 | - |
주요 키워드 | NT, 나노기술, 정부과제, 중소기업, 데이터 | ||
벨류체인 키워드 | 기술획득 | ||
소개 | 과학기술 NT(Nanotechnology) 분야 중소기업별 정부 R&D 과제 데이터입니다. |
국내 NT 분야 중소기업별 과제 데이터 상품설명서
□ 상품설명
○ 국내 NT 분야 중소기업별 과제 데이터 상품은?
· 2021년~2022년 기준 국내 NT 분야 중소기업별 과제 데이터입니다. 국내 중소기업에서 진행한 NT 분야 과제의 세부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NT 분야는 물질을 원자 및 분자 수준에서 조작·분석하고 이를 제어하는 과학과 기술의 총칭입니다. NT 분야는 나노기술을 통해 원자나 분자 크기의 기술을 다루는 분야이기 때문에 BT 분야와 연관성이 있으며 나아가 IT 분야와도 연관이 있습니다. 나노 기술 주요 연구 단체들 사이에서는 활발한 연구 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데이터 주요 키워드
· #NT #나노기술 #과학기술 #과제데이터 #중소기업
○ 데이터 활용 및 이용 권장 고객
· NT 분야 국내 중소기업 과제 데이터를 활용(공유)하고자 하는 기업인
· NT 분야 과제 데이터를 활용해 융합연구를 위한 공공·민간 연구자
· 학술 연구를 위한 이공계 대학생·대학원생
□ 데이터 활용 방안
○ 국내 NT 분야 중소기업별 과제 데이터 상품 활용 방안은?
· NT 분야 과제 데이터는 신기술 창출 및 기존 제품의 고성능화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국제적으로 아직 개발초기 단계이지만 모든 산업에 필요한 핵심요소 기술 데이터입니다. NT 기술은 IT 기술과 BT 기술의 기반이 되며 기술적·산업적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전망됩니다.
□ 데이터셋의 구성
○ 데이터셋의 구성
· 국내 NT 분야 중소기업별 과제 데이터는 총 N개의 데이터로 구성돼 있습니다.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인 NTIS(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의 데이터에 기반합니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연구하고 있는 과학기술을 비롯하여 각종 연구개발사업과 관련된 과제, 인력, 연구시설·장비, 성과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 연구개발(R&D) 지식포털입니다.
데이터 구분 | 데이터 요약 | 제공 방식 |
국내 NT 분야 중소기업별 과제 데이터 | - 국내 중소기업에서 수행한 NT 분야 과제 세부 내역 - 연구수행주체 및 수행기관 - 6T분류 및 과학기술표준 분류 코드 | - csv/zip |
□ 데이터셋의 구조
○ 데이터셋의 구조
No. | 칼럼명 | 데이터 타입 | 칼럼설명 |
1 | 일련번호 | VARCHAR(14) | 일련번호 |
2 | 기준년도 | VARCHAR(4) | 기준연도 (Ex. 2020) |
3 | 사업명 | VARCHAR(1000) | 사업명 |
4 | 부처명 | VARCHAR(500) | 부처명 |
5 | 과제관리기관명 | VARCHAR(300) | 과제관리기관명 |
6 | 과제고유번호 | VARCHAR(100) | 과제고유번호 (총 10자리 숫자) |
7 | 국문과제명 | VARCHAR(500) | 과제명(국문) |
8 | 영문과제명 | VARCHAR(500) | 과제명(영문) |
9 | 연구책임자명 | VARCHAR(20) | 연구책임자명 |
10 | 과제수행기관명 | VARCHAR(500) | 과제수행기관명 |
11 | 지역구분내용 | VARCHAR(20) | 지역구분 (ex.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12 | 총연구기간시작일 | VARCHAR(8) | 총연구기간시작일 (Ex. 20220718) |
13 | 총연구기간종료일 | VARCHAR(8) | 총연구기간종료일 (Ex. 20220718) |
14 | 6T관련기술분류내용 | VARCHAR(500) | 6T관련기술분류 (Ex.4세대 이동통신) |
15 | 연구목표요약 | VARCHAR(1000) | 연구목표요약 |
16 | 기대효과요약 | VARCHAR(1000) | 기대효과요약 |
17 | 한글키워드 | VARCHAR(500) | 한글키워드 |
18 | 영문키워드 | VARCHAR(1000) | 영문키워드 |
19 | 연구비합계 | NUMERIC | 연구비합계 |
20 | 작업구분코드 | VARCHAR(1) | |
21 | 데이터생성일자 | VARCHAR(8) | |
22 | 연계처리상태코드 | VARCHAR(1) | |
23 | 연계처리일자 | VARCHAR(8) | |
일련번호 | 기준년도 | 사업명 | 부처명 | 과제관리기관명 | 과제고유번호 | 국문과제명 | 영문과제명 | 연구책임자명 | 과제수행기관명 | 지역구분내용 | 총연구기간시작일 | 총연구기간종료일 | 6T관련기술분류내용 | 연구목표요약 | 기대효과요약 | 한글키워드 | 영문키워드 | 연구비합계 |
43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6327 | 각 하위 시스템의 초고속 자화동역학 (비열전자, 열화전자 및 격자 시스템) | Ultrafast magnetization dynamics of each sub-system (Non-thermal electron, thermal electron, and lattice system) | 심제호 | 재단법인 막스플랑크 한국포스텍연구소 | 경상북도 포항시 | 20210601 | 20240229 | 나노정보 저장기술 | 펨토초 레이저 펄스로 인해 일어나는 초고속 자화동역학에서 각 서브시스템(비열전자, 열화전자, 그리고 격자)별로 자화동역학에 얼마만큼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내어 20년 넘게 연구되어 왔던 초고속 자화동역학의 메커니즘을 완전히 이해하는 것이 목표이다. | 각 서브 시스템에서의 자화동역학을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것은 본 연구단이 최초로 시도하는 것이며 초고속 자화동역학의 전체적인 관점을 보기 위해서는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연구이다. 20년 넘게 이 부분이 미미했던 이유는 스핀 업, 다운 별 전자를 구분하기 어렵단 이유도 있지만 비열전자가 자화동역학에 미치는 영향이 비교적 최근에 나왔기 때문이다.1각 서브 시스템... | 초고속 자화동역학,비열전자,열화전자,격자,입자동역학 | Ultrafast magnetization dynamics,Non-thermal electron,Thermal electron,Lattice,Carrier dynamics | 49124000 |
153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7353 | 발광소재의 절대양자효율 및 흡수율 평가 방법 개선을 통한 광원 디바이스의 성능 및 신뢰성 예측 모델 연구 | Research on forecasting model for performance and reliability of source device using absolute quantum yield and absorbance of emitting materials | 전시욱 | 한국광기술원 | 광주광역시 북구 | 20190601 | 20220228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본 연구는 발광소재가 적용된 광원 디바이스의 광학 성능 및 신뢰성 예측 모델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에 요구되는 발광소재의 절대양자효율 및 흡수율 측정 기술, 광학 시뮬레이션을 통한 광원 디바이스 모델링 기술, 광원 디바이스의 광학 성능 및 신뢰성 예측 모델 검증 기술을 확보하고자 함 ● 본 연구를 통해 기존에는 시제품 제작을 통해서만 파악할 ... | ● 본 연구는 소재와 광학, 광원, 디스플레이 분야에 대한 지식 및 연구결과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만 성공할 수 있으며, 도출된 연구결과를 통해 제품 성능향상, 개발 기간 단축, 개발 비용 절감 등이 가능하기 때문에 발광소재, 광원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제조업체 등 산업분야에서 높은 관심을 표하고 있음 | 절대양자효율,발광소재,광원 디바이스,신뢰성 예측 모델,발광소재 ,발광소재 흡수율 | Absolute quantum yield,Source device,Forecasting model for reliability,Emitting material,Absorbance of emitting material | 50000000 |
19 | 2022 | 나노융합혁신제품기술개발사업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80278 | 나노융합 혁신제품 기술개발 R&D협력단 | RD Cooperation Organization for Nano convergence Innovation Product Technology Development | 정종일 |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 경기도 수원시 | 20220401 | 2025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사업화 촉진) 나노융합산업 통합 기술개발 및 사업화 로드맵 수립, 협력모델 및 과제 제안, 규제 개선 제안 등 사업화 촉진 제반활동 기반 마련(기술교류 및 성과관리) 나노융합 혁신제품 기술개발 사업 연구개발과제의 성과관리 체계 구축 및 성공사례 발굴과 R&D 시너지 효과를 위한 기술교류 등 입체적 성과 창출 지원(나노융합 GVC맵 수립) 나노융합 GV... | - 나노융합혁신제품 기술개발사업 연구과제별 기술개발제품의 사업화를 위해 사전에 관련 시장 분석 및 투자방향을 모색하고 애로사항 및 규제 개선 등 지원을 통해 사업화 가능성 제고 및 조기 사업화 촉진 - 성과관리 체계를 구축하여 나노융합혁신제품 기술개발사업 종료 후에도 지속적인 성과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사업화를 위한 후속 사업 등 모색 가능 | 나노융합핵심제품기술개발사업,RND협력단,성과관리체계,사업화 지원,GVC맵 | nano convergence innovation product,RND cooperation organization,Performance Management System,commercialization support,Global Value Chain Map | 360000000 |
22 | 2022 | 나노융합혁신제품기술개발사업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272 | 미래수요(장수명 고안전 고에너지) 맞춤형 에너지 저장장치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energy storage devices tailored to future demand(long cycle performance high safety and high energy) | 조원일 |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 경기도 수원시 | 20210401 | 2025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o 장수명, 고에너지밀도 이차전지용 8nm급 비철계 나노카본 소재 및 4.5wt%, 1.0 TSI급 분산액과, 280 Wh/kg급 장수명, 고에너지밀도 이차전지 제조 기술 개발 o 이온전도도 2mS/cm, 입도 1000nm 급 고체전해질 조성 최적화,단결정 양극제 제조 및 구조 안정화, 개발 소재 적용 셀 평가 o 리튬금속 순도 ≥99.9%, 두께 80u... | o 전극 형태유지성이 향상된 나노카본 구조체 기반 장수명 이차전지기술은 ESS 등 장수명이 요구되는 중대형 이차전지시장 기술적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이 가능o 전극침투형 고체전해질기반 고안전성 이차전지기술은 전기자동차용 등 고안전성이 요구되는 중대형 이차전지의 기존 액체전해질 및 분리막 시장을 대 체할 것으로 예상되며, 추후에는 리튬공기전지, 리튬황전지 ... | 이차전지,나노기술,탄소나노튜브,나노 고체전해질,리튬금속 | rechargeable battery,nanotechnology,carbon nanotube,nano sized solid electrolyte,Lithium Metal | 50000000 |
97 | 2021 | 소재부품장비전략협력기술개발(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6366 | 구리-그래핀 입자를 활용한 전장.전자부품 접착용 전도성 방열 잉크 소재 개발 | - | 양우석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경기도 성남시 | 20211008 | 2021112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1) 1단계 과제기획 목표- 고방열, 고신뢰성 전도성 접착용 잉크 소재에 대한 시장 조사 및 수요기업과의 협업을 통한 사업화 전략 수립- 한국전자기술연구원의 그래핀 소재와 대성금속의 구리-그래핀 입자를 활용하여 초도 잉크를 제조 및 물성 평가를 통해 과제 수행 실현의 가능성 검토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현재, 값 비싼 은(Ag) 소재로 전도성 접착 잉크가 활요되고있으며,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물성의 한계에 직면하고 있음- 기존 수입의존도가 높고, 값비싼 은(Ag) 기반의 전도성 접착제를 구리-그래핀 기반 고방열 잉크를 국산화함으로써 수입대체효과 및 수출을 통한 이윤창출- 기존 은 기반 전도성 접착제가 적용되고 있는 본... | 그래핀,방열소재,구리그래핀,전자소재,그래피복합소재 | Graphene,Heat dissipation material,Copper graphene,Electronic material,Graphene composite material | 15000000 |
66 | 2021 | 도로기술연구(R&D)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219 | 외부자극 감응형 자체 발광형 도로 노면표시 기술 개발 | 박동협 |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 서울특별시 금천구 | 20190430 | 2022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최종 목표 : 외부자극 및 통행차량의 특성을 고려한 도로교통 안전 향상 기술 개발 ㅇ 1세부 -(정성) 외부자극 감응형 자체 발광형 도로 노면표시 기술 개발 -(정량) 자체 발광형 노면표시 재료(제품) 및 설치·관리 매뉴얼(안)※ 외부자극 감응형 노면표시, 교통안전시설 제품 및 도로구조(교량) 안전성 평가를 위한 내하율 산정 예제집을 통하여최종성과... | * 안전한 주행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지능형 도로에 대한 기술수요 급증하고 있어 지능형 교통안전 기술에 대한 원천기술 확보를 통한 해외기술 의존도 해소 및 세계 최고 수준 기술 확보를 위한 초석 마련. * 급격히 변화하는 첨단 국토교통기술에서 도로정보 시각화와 주행 안전성에 대한 핵심 요소기술 개발로 안전한 교통환경 조성 이바지* 신개념의 도로차선 핵심원천기... | 자극 감응,도로 시인성,도로안전,장잔광,주행안전 | stimuli-response,Road visibility,Road safety,Persistence phosphorescence,driving safety | 2775527000 | |
132 | 2021 | 나노제품성능.안전평가기술개발및기업지원사업(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564 | 나노 섬유가 포함된 부직포 및 의류 제품의 안전성 평가법 개발 | Development of safety evaluation method for nonwoven and garment products containing nanofiber | 문형준 | KOTITI 시험연구원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3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1차년도 목표] [주관기관(KOTITI)] o 사용 환경 모사 조건에서의 나노섬유 이탈락 가능성 검토 o 마스크 제품용 호흡 모사 시험장비 개발 및 시험법 연구 o 이탈락 나노물질의 포집 및 분석 시험방법 검토 [참여기관1 (주)레몬] o 나노섬유 제조용 원부재료 탐색 및 선정 o 나노섬유 및 나노섬유 복합원단 특성 평가 o 나노섬유 및 나노섬유 ... | [예상되는 연구개발 주요 핵심기술의 성과]① 나노섬유 적용 제품의 이탈락 시험법 개발② 나노섬유 적용 제품의 유해물질 시험법 개발③ 나노섬유 및 나노섬유 복합원단의 잔류 유해물질 제거 기술 확보[핵심기술 성과의 활용분야 및 활용방안] ① 나노섬유 적용 의류 등 인체 착용형 제품에 대한 평가 가이드라인 개발 ② 나노섬유 적용 제품 개발 및 제조 공정의 개... | 나노섬유,이탈락,위해성평가,유해물질,표준 | nanofiber,breakaway,risk assessment,Hazardous Substances,standard | 346750000 |
144 | 2022 | 국가표준기술개발및보급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098 | 유연인쇄전자 산업 육성을 위한 국제표준 파이프라인 기반 구축 | Building the domestic industry pipleline of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for printed electronics industry | 정안정 | 사단법인 한국플렉시블일렉트로닉스산업협회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31231 | 가변 파장 광소자기술 | ㅇ 소재분야 NP 승인(10.99) -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알루미늄 파우치 필름 기계적/내화학성 물성 평가방법ㅇ 장비분야 CD 회람(30.20) - 광소결장비 : 온도/광 균일도 측정방법ㅇ 인쇄전자(소재, 장비, 인쇄성, 신뢰성)분야 단체표준 신청 - 수요조사 결과에 따른 분야별 단체표준 제정 추진 - 차년도 단체표준 개발을 위한 수요조사 실시ㅇ 인쇄전... | - 기술적 측면ㅇ인쇄전자 소재, 장비분야별 표준 채택을 통한 국내 핵심기술 보유기업의 수준 향상ㅇ국제표준 제정 및 표준화 활동을 통한 국제 표준 주도권 확보 및 시장 선점 효과 - 경제적 측면ㅇ인쇄전자분야의 다양한 기술의 표준 확보를 통해 인쇄전자분야 신규 시장 창출 예측ㅇ표준을 통한 인증 및 신뢰성 확보로 기업의 상품화 및 산업화의 가속 예측- 산업적 측... | 인쇄전자,광소결장비,표준플랫폼,리튬이온 전지,파우치 | Printed electronics,Phototic sintering equipment,Standardizarion Platform,Lituim ion battery,Pouch | 151050000 |
42 | 2022 | 나노소재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4617 | 고성능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 발광소자를 위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전하수송 플랫폼 개발연구 | Orgainc-inorganic hybrid charge transport layers for high-color-purity high-performance perovskite nanocrystal light emitting diodes | 신현석 | 울산과학기술원 | 울산광역시 울주군 | 20210426 | 20251231 | 나노전자 소자기술 | 고효율, 고안정성을 가지는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 발광소자를 개발하기 위해 전하주입 과정에서 일어나는 에너지 손실을 줄이고, 전하주입층과 페로브스카이트 층간 계면 특성을 개선하고, 나노결정 박막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계면층 및 전하수송층을 포함한 전하수송 플랫폼 개발이 필요함. 본 세부과제에서는 다양한 물리적 특성을 가지는 질화붕소 (BN), 이차원... | 본 연구진들이 개발할 유무기 하이브리드 전하수송층을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 발광소자에 적용하여 발광 효율 및 수명을 증대시킬 것으로 기대함. 이를 기업에 기술이전을 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 연구, 개발에 활용 가능함페로브스카이트와 다양한 전하수송층 간 계면 특성에 대해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 발광소자를 flexible, stre... |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질화붕소,2차원물질,도핑,전하수송층,유무기 하이브리드,전하 주입,차세대 디스플레이 | Perovskite nanocrystals,Boron nitride,2D material,Doping,Charge transport layer,Organic-inorganic hybrid,Charge injection,Next-generation display | 330000000 |
115 | 2021 | 연구산업육성(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사단)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 1711151720 | 신경도관 제작 기술 공정화 및 자동화 | Establish process and automation of nerve conduit manufacturing technology | 노상일 |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 경기도 과천시 | 20210426 | 20210723 | 의약 약물전달 시스템 | 사업화를 진행 중인 차세대 다기능 신경도관의 제조공정 자동화 | ● 기존의 단순한 인공 신경도관이 아닌 궁극적인 신경재생 효과를 가질 수 있는 복합구조의 미세구조 신경도관의 개발로 말초신경재생 분야에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아래 그림과 같이 중추신경계를 비롯한 다양한 임상 분야로 기술 응용이 확대할 수 있음● 신경도관의 제작에 사용되는 미세구조 및 나노포어, 장기서방형으로 방출 가능한 재생인자 등이 결합되는 다기... | 신경도관, 말초신경, 척수손상, 미세채널, 나노포어 | nerve conduits, peripheral nerve, spinal cord injury, micro-channels, nanopores | 5000000 |
130 | 2021 | 나노제품성능.안전평가기술개발및기업지원사업(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2705 | 나노제품 성능안전 기업지원 시스템 구축 및 운영 | Constructing and Operating the Company Support System for Nano Product Performance and Safety | 김상헌 |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 경기도 수원시 | 20200401 | 20251231 | 나노 바이오 물질 합성 및 분석기술 | 나노제품 성능·안전 평가 통합 정보시스템 구축 완료 및 나노제품 국내외 신고/등록 지원 - 구축된 DB( 국내 시험평가기관 및 해당 기관 보유 시험법, 나노물질·제품 별 국내외 신고·등록을 위한 필요 시험법, 국내외 나노안전 규제 정보 및 국가별 대응 매뉴얼 등) 적용 온라인 시스템 | ㅇ 나노기업들에게 응용분야별 제품평가기준 및 수요기업의 요구에 맞는 시험·평가방법, 기관 등에 대한 정보 제공 및 평가기관 연계 지원 등으로 제품 거래 활성화 및 신시장 진출 가속화가 가능함 ㅇ 나노기업의 해외 안전규제 대응력 제고 및 글로벌 시장 진출 촉진이 가능함 | 나노물질,나노제품,나노 안전성,성능평가,규제 | Nano material,Nano Product,Nano Safety,performance evaluation,Regulation | 429600000 |
73 | 2022 | 탄소산업기반조성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139 | 항공기용 탄소섬유 복합재료 개발 및 인증시스템 고도화 | Development of Carbon Fiber Reinforced Composites and Improvement of Material Qualification System for Aerospace | 김병로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4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주관기관(한국산업기술시험원) :O 복합재료 제작 공정 심사 : 복합재료 제작 공정 합치성 검사 및 제작 공정 승인O 항공기용 복합재료 Lamina 인증시험 : 탄소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료 및 수지주입형 복합재료 인증시험O 항공기용 복합재료 인증시험 장비 구축 : 항공기용 복합재료 시험평가 장비 구축 및 재료인증 역학시험 역량 확충 참여기관 1(항... | 주관기관(한국산업기술시험원) :(가) 복합재료 제작공정 심사(PCD Audit)O 탄소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료 및 수지주입형 복합재료 규격서 표준화O 재료제작 공정 심사 참여기관 1(항공안전기술원) :(가) 해외 인증기관 MOU 체결NCAMP 와 복합재료 인증 교류를 위한 MOU 체결 참여기관 2(㈜효성) :(가) T650 or AS4C Grad... | 탄소섬유 보강 복합재료,수지주입형 복합재료,열가소성 복합재료,복합재료 부품,복합재료 인증 | Carbon Fiber Reinforced Composite,Resin Infusion Molding,Thermoplastic Composite,Composite Material Components,Composite Material Qualification | 2315900000 |
126 | 2021 | 국가간협력기반조성(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9058 | 북한의 과학기술 발전 수준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 A Study on Policy Implications through Analysis of North Koreas Science and Technology Capabilities | 이춘근 | 사단법인 한반도평화포럼 | 서울특별시 종로구 | 20210624 | 2021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본 연구는 북한의 과학기술 정책 변화를 역사적 관점에서 살펴본 뒤 향후 변화를 합리적으로 전망, 북한의 핵심 과학기술 수준 및 성과 분석, 경제에의 영향 평가, 남북한 과학기술 교류?협력 추진방안 등 정책적 시사점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의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 핵심 과학기술 수준에 대한 비교적 객관적 분석 자료를 제공한다. 둘째, 대북제재 하 남북한 과학기술 교류?협력 추진방안 모색에 기여한다. 셋째, 남북관계 개선?발전을 위한 남북한 과학기술 교류?협력 방안 모색한다. | 북한 과학기술,북한 기간산업,북한 첨단산업,북한 거대 S&T,남북 과학기술 교류협력,북한 산업 및 경제 | North Korea Science,North Korea Technology Capabilities,Policy Implications,North Korea Science,North Korea Technology Capabilities,Policy Implications | 49000000 |
21 | 2022 | 나노제품성능.안전평가기술개발및기업지원사업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80367 | 나노소재가 적용된 접합소재의 수명안정성 평가기술 개발 | Lifetime stability evaluation technology development of nano material applied bonding | 최성순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기타 기타 | 20220401 | 2023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o 나노소재 적용된 파워모듈 접합재의 파워사이클링 신뢰성시험o 나노소재 적용된 접합재의 가속 수명시험 모델의 개발o 나노소재 적용된 접합계면의 소재분석 및 고장분석o 경쟁사 제품분석o 원재료(Silver, Solvent 등) 따른 Sintering(소결) 특성 평가o Sintering Paste기초 배합평가o 신뢰성 평가를 위한 테스트 Vehicle 제작 | [과학 기술적 측면] o 고성능 반도체 제조용 핵심 장비/소재 패키지를 국산화함으로써 국내 반도체 소부장 기술 생태계가 고도화됨. o 이렇게 구축된 반도체 소부장 기술 생태계를 통해 차세대 반도체 신규 공정 개발시에 개발기간 측면의 효율성 및 맞춤형 상호 최적화에 의한 기술개발 효과성을 극대화할 수 있음. o 광학 소재 기술 및 점접착 소재 기술의 ... | 신뢰성,나노소재,접합,열저항,반도체 | reliability,nano mateiral,bonding,thermal resistance,semiconductor | 320000000 |
60 | 2022 | 글로벌프론티어지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4752 |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원천기반공정 및 신기능 소재·부품 개발 | Development of Principal Technologies Related with Hybrid Interface for New Applications | 김광호 | (재)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반미래소재연구단 | 부산광역시 금정구 | 20140101 | 202208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원천기반 공정 및 신기능 소재·부품 개발(최종목표)Advanced Hard Coating 원천기반 공정기술 개발(TBRM Model) - 수처리용 탄소 코팅막(DLC, BDD)의 표면편차?300, 밀착력: Lc>10N - 음극재 나노구조 설계 - 열원 및 모재가 포함된 전산해석 및 광학적 진단법 개발 - 실제 장비에 대한 3차원... |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원천기반공정 기술 개발을 통해, Designed Hybrid Interface(DHI) volumn 설계에 의한 혁신 기능성 인터페이스 소재를 개발하고, 이는 국가의 미래 신산업 창출분야(수처리, 신소재 산업 등), 세계적으로 기술 한계에 도달한 반도체, 배터리 분야, 신산업창출을 위한 New electronics 소재 등 주력 기반산... | 신기능 창출,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인터페이스 구조 및 조성,나노 인터페이스 설계,인터페이스 기반 자기조립 | New Functions,Hybrid Interface,Interfacial Structure Composition,Nano-interface Design,Interface-based Self-assembly | 3375000000 |
65 | 2021 | 나노·소재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7315 | 초미세공정용 오염입자 저감 내플라즈마 코팅소재 개발 | Development of plasma-resistant coating for reduction of particle contamination for ultra-fine patterning | 이성민 | 한국세라믹기술원 | 경상남도 진주시 | 20200824 | 2024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초미세공정용 오염입자 저감 및 고출력 플라즈마 환경 대응 코팅/후막화 소재 개발 1) PVD 기술응용 나노입자구조 코팅개발, 오염입자저감을 위한 복합조성계 확보 및 치밀화 구조 제어조건 확보, Y계 산화물 음이온 치환 표면개질 유도 후보물질 탐색 및 선정 2) CVD-SiC 대체 내플라즈마 신소재 및 코팅개발, B-C-N계 CVD-SiC 대체소재 탐색 및 ... | 연구 개발 성과의 활용 계획 - CVD/에쳐장비 부품용 오염입자 저감 코팅 신소재 적용 - 5 nm 이하급 초미세 선폭 공정용 고출력 플라즈마 공정환경 선제대응 - 참여 기업으로의 기술이전을 통한 조기 상용화 기술 확보기대효과 (1) 기술적 기대효과 - 국내 산업체의 원천기술 조기 실용화 지원 : CVD의 shower head, 에쳐장비의 fo... | 내플라즈마성,오염입자,고에너지 플라즈마,나노입자,비정질,SiC,에쳐,CVD | Plasma resistance,contamination particle,high energy plasma,nano particle,amorphous,SiC,etcher,CVD | 1050625000 |
33 | 2022 | 나노융합혁신제품기술개발사업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199 | 전기자동차 주행 안전성 확보를 위한 발열 방열 차폐 핵심부품 개발 | Development of core parts for heating heat dissipation and shielding to secure electric vehicle driving safety | 조진우 |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 경기도 수원시 | 20210401 | 2025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2차년도 목표]ㅇ 전기차용 나노면상 발열히터 모듈 - 8kW급 발열치터 설계기술 - 발열체 설계기술 - 고절연,열전도 절연체 기술ㅇ 나노산화물 기반 고열전도도/고강도 방열부품 - 고온(1850도) 고압 (9atm)하에서 Si3N4 방열기판개발 - Sintering TIM 나노메탈 필러 특성 평가 및 고열전도도 필러 선정ㅇ 5G 대응을 위한 전자파 차폐 및... | [핵심기술 성과의 활용분야 및 활용방안]ㅇ 자동차 부품 및 내·외장재 및 산업용 발열체로 활용, 장비, 선박, 반도체 등 다양한 발열체의 발열소재로 활용ㅇ 개발된 방열소재 기술을 통해 전기차 핵심부품인 파워모듈 시장 진입이 가능하여 신시장 창출가능ㅇ 전자기파의 영향으로 인한 오작동 방지가 필수적인 자율주행 자동차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전자파 흡수, 차폐, 방... | 발열,방열,차폐,전기자동차,나노소재 | heating ,heat dissipation ,shielding,electric vehicle,Nano material | 50000000 |
118 | 2021 | 국가표준기술개발및보급(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2754 | 인쇄전자 필름히터의 표준 신뢰성 평가방법 개발 | Development of reliability standard for flexible printed electronics silver nano film heater | 정안정 | 사단법인 한국플렉시블일렉트로닉스산업협회 | 기타 기타 | 20180601 | 20211231 | 기타 나노기반 공정기술 | o 인쇄전자 신뢰성 분야 1건 FDIS 제안 및 IS 등록 o 인쇄전자 필름히터관련 NP제안 o 인쇄전자 표준 공동연구회 개최 및 등 국제표준활성화 추진ㅇ 신뢰성분야 PWI 승인(00.00) - 인쇄필름 접촉저항 평가방법ㅇ 인쇄전자 신뢰성 분야 CD 제안(30.00) - 인쇄전자 전원선 연결부 전극 압착 두께 측정ㅇ 인쇄전자 신뢰성 분야 FDIS... | ㅇ 인쇄전자 분야는 미래 신산업의 창출 및 산업생태계 조성, 글로벌 시장 선점을 중심으로 진행 중이며,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광범위한 산업군과 연계 되어 있음. 또한 기술측면에서 혁신적인 공정 기술이므로 그 파급효과는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큼. ㅇ 현재 인쇄전자 분야에 대한 산업화 및 표준화를 위해서는 표준인증 및 신뢰성 확보가 대단히 중요하며, 표... | 인쇄전자,유연인쇄전자,표준,필름히터,은나노 | printed electronics,flexible printed electronics,standard,film heater,silver nano | 158800000 |
5 | 2022 | 나노소재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4274 | 차세대 통합형 스마트 정션박스 쉴드 경량금속 핵심소재기술 | Technology of Shield Metal for Next-generation Integrated Smart Junction Box | 한범석 | 한국자동차연구원 | 충청남도 천안시 | 20200824 | 2024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고전압 대응 3세대 통합형 스마트 정션박스 쉴드 소재/성형/주조 기술 개발 - 고전압 대응 통합형 스마트 정션박스 쉴드 소재/공정 기술 개발 - 복잡형상 냉각채널용 고기밀 고정밀 성형기술 개발 - 초소형·고효율 대응 고기밀 저결함 정형 주조기술 개발 - 부품단위 성능평가 및 특성 해석기술 - 부품단위 진동, 내구, 충격 신뢰성 평가 및 인증기... | ○ 3세대 통합형 스마트 정션박스용 핵심소재, 부품화 공정 개발을 통해 전기차 드라이빙 유닛까지 폭넓은 전후방산업에 새로운 시장창출, 고용 확대 및 수익 창출을 기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소재국산화를 통하여 자동차는 물론 전기추진 항공기와 같은 차세대 전략분야에 응용 적용○ 전기자동차의 전장부품, 고속철도, 조선 및 항공기 등의 수송기기 경량화 소재뿐만 아... | 스마트 정션박스,알루미늄 합금,계면 제어,차압주조,통합시스템,상반특성,냉각채널,신뢰성 평가 | Smart Junction Box,Aluminum Alloy,Interface Engineering,Counter Pressure Casting,Integrated System,Trade-off Property,Cooling Channel,Reliability Assesment | 1135000000 |
142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9888 | 글로벌 역량 확보를 위한 소재부품장비 핵심표준기술 연구 | Setting and Developing Key Technology Standards Strategy and Development for Global Competitiveness on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s | 최동근 | 한국표준협회 | 기타 기타 | 20210801 | 2024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2차년도 목표]- (표준전략총괄) R&D-표준연계 운영 매뉴얼 개정 (1건) - (국제표준창출)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해 ISO, IEC 등의 국제표준의 제(개)정 심층전략 및 초안개발 (7건) - (국내표준창출) 내수시장 활성화를 위해 단체표준 제정 3건 - (핵심표준도입) 소재부품 기술개발에 필요한 핵심국제표준의 국가표준 제(개)정 (16건) - (... | ㅇ (활용계획) 소부장 산업에서 기술자립과 선도형(first-mover) 기술개발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논문·특허 뿐만 아니라 국제·국가 표준을 전략적으로 개발하고 활용 - 소부장 표준연계 과제 계획 및 수행시에 관련성이 높은 국내외 주요 표준의 심층분석 및 활용을 지원 ㅇ (기대효과) 과제 맞춤형 표준창출 요소 및 전략을 수립하여, 소부장 R&D로 개발... | RnD 표준연계,표준성과,표준창출,표준화전략,표준화로드맵 | RnD Standards Integration,Standardization Outcome,Standards Development,Standardization RnD Strategy,Standardization Roadmap | 2390549000 |
58 | 2022 | 나노소재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8471 | 기체 분자 식별 분석을 위한 원격 이동형 측정 로봇 플랫폼 및 운용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a remote mobile measurement robot platform and operation technology for gas molecule identification analysis | 김무림 | 한국로봇융합연구원 | 경상북도 포항시 | 20200601 | 20240630 | 기타 나노소자 및 시스템기술 | ○ 기체분자 식별 분석을 위한 원격 이동형 측정 로봇 플랫폼 및 운용 기술 개발 - 원격 이동형 측정 로봇 플랫폼 개발 - 기체센서 및 포집장치 탑재모듈 개발 - 로봇 시스템 통합 및 원격 이동형 측정 로봇의 성능/활용성을 검증 - 임무기반 이동형 측정 로봇의 성능 및 활용성 검증 | ○ 활용 계획 - 위해 기체 유무 및 위치를 안전하게 파악 가능함 - 원격 이동형 측정 로봇을 이용한 대응 시스템으로 효율적인 의사결정 가능 - 본 기술은 우주탐사, 소방, 원자력, 국방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음○ 기대효과 - (테러) 위험요소 차단 능력 확보 - (재난) 안전 대응능력 확보 - (범죄) 범죄 대응능력 증대 - (수요창출) L... | 측정 장치,원격 제어,기체 식별,위치 인식,이동형 로봇,운용 기술,안전 로봇,재난 대응 로봇 | Measuring device,Remote control,Gas identification,Localization,Mobile robot,OperationTechnology,Security robot,Disaster response robot | 334000000 |
88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5665 | 각 하위 시스템의 초고속 자화동역학 (비열전자, 열화전자 및 격자 시스템) | Ultrafast magnetization dynamics of each sub-system (Non-thermal electron, thermal electron, and lattice system) | 심제호 | 재단법인 막스플랑크 한국포스텍연구소 | 경상북도 포항시 | 20210601 | 20240229 | 나노정보 저장기술 | 펨토초 레이저 펄스로 인해 일어나는 초고속 자화동역학에서 각 서브시스템(비열전자, 열화전자, 그리고 격자)별로 자화동역학에 얼마만큼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내어 20년 넘게 연구되어 왔던 초고속 자화동역학의 메커니즘을 완전히 이해하는 것이 목표이다. | 각 서브 시스템에서의 자화동역학을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것은 본 연구단이 최초로 시도하는 것이며 초고속 자화동역학의 전체적인 관점을 보기 위해서는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연구이다. 20년 넘게 이 부분이 미미했던 이유는 스핀 업, 다운 별 전자를 구분하기 어렵단 이유도 있지만 비열전자가 자화동역학에 미치는 영향이 비교적 최근에 나왔기 때문이다.1각 서브 시스템... | 초고속 자화동역학,비열전자,열화전자,격자,입자동역학 | Ultrafast magnetization dynamics,Non-thermal electron,Thermal electron,Lattice,Carrier dynamics | 44871000 |
48 | 2021 | 나노·소재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2692 | 표준공정 개발 및 시험인증 시스템 구축을 위한 총괄 운영지원 | The support for development of standard fabrication process & test certification system | 이경엽 | 사단법인 국가나노인프라협의체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816 | 20231231 | 나노전자 소자기술 | 나노기술 연구개발 수요 대응을 위한 전력반도체, 디스플레이, 유연 조명소자 제작에 필요한 표준공정 및 공인 시험인증 플랫폼 개발을 위한 총괄 운영·지원 | 나노인프라 표준공정 기술 구축 및 공인시험인증기술 강화를 통한 기업의 기술개발 지원 등 이용자 만족도 향상 | 표준공정,시험인증,나노인프라,-,-,-,-,- | Standard process,Test certification,Nano-infra,-,-,-,-,- | 85500000 |
13 | 2022 | 도로기술연구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538 | 외부자극 감응형 자체 발광형 도로 노면표시 기술 개발 | 박동협 |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 서울특별시 금천구 | 20190430 | 2022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최종 목표 : 외부자극 및 통행차량의 특성을 고려한 도로교통 안전 향상 기술 개발 ㅇ 1세부 -(정성) 외부자극 감응형 자체 발광형 도로 노면표시 기술 개발 -(정량) 자체 발광형 노면표시 재료(제품) 및 설치·관리 매뉴얼(안)※ 외부자극 감응형 노면표시, 교통안전시설 제품 및 도로구조(교량) 안전성 평가를 위한 내하율 산정 예제집을 통하여최종성과... | * 안전한 주행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지능형 도로에 대한 기술수요 급증하고 있어 지능형 교통안전 기술에 대한 원천기술 확보를 통한 해외기술 의존도 해소 및 세계 최고 수준 기술 확보를 위한 초석 마련. * 급격히 변화하는 첨단 국토교통기술에서 도로정보 시각화와 주행 안전성에 대한 핵심 요소기술 개발로 안전한 교통환경 조성 이바지* 신개념의 도로차선 핵심원천기... | 자극 감응,도로 시인성,도로안전,장잔광,주행안전 | stimuli-response,Road visibility,Road safety,Persistence phosphorescence,driving safety | 2303042000 | |
162 | 2021 | 탄소산업기반조성(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2458 | 항공기용 탄소섬유 복합재료 개발 및 인증시스템 고도화 | Development of Carbon Fiber Reinforced Composites and Improvement of Material Qualification System for Aerospace | 김병로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4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주관기관(한국산업기술시험원) :O 복합재료 제작 공정 심사 : 탄소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료 및 수지주입형 복합재료 제작 공정 평가 O 항공기용 복합재료 인증시험 장비 구축 : 항공기용 복합재료 시험평가 장비 구축 및 재료인증 역학시험 역량 확충 참여기관 1(항공안전기술원) :O항공기용 복합재료 및 구조 부품 인증 검사원 및 엔지니어 양성O 국내... | 주관기관(한국산업기술시험원) :O 탄소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재료 및 수지주입형 복합재료 인증계획 수립O 복합재료 인증계획 수립O 항공기용 복합재료 역학시험 장비 구축 참여기관 1(항공안전기술원) :(가) 복합재료 인증 인력양성 O 항공기용 복합재료 및 구조 부품 인증 검사원 및 엔지니어 양성(가) 복합재료 인증기술기준 제정O 탄소섬유 보강 열가소성 복합... | 탄소섬유 보강 복합재료,수지주입형 복합재료,열가소성 복합재료,복합재료 부품,복합재료 인증 | Carbon Fiber Reinforced Composite,Resin Infusion Molding,Thermoplastic Composite,Composite Material Components,Composite Material Qualification | 1786600000 |
23 | 2022 | 나노제품성능.안전평가기술개발및기업지원사업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829 | 국제 규제대응을 위한 탄소계 나노소재의 유해성 시험 평가법 개발 | Development of hazard test evaluation of carbon based nanomaterial to respond to international regulation | 송경석 |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21231 | 나노 바이오 물질 합성 및 분석기술 | ㅇ 기존 OECD, ISO 등의 시험법을 활용한 나노물질 안전성 평가 - 그래핀의 90일 반복투여흡입독성시험 수행(아만성독성시험)ㅇ 국제표준화 활동 및 표준 공동개발 - 국제표준화기구(ISO),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산하의 기술위원회(ISO/TC 229, IEC/TC)와 논의하여 국제표준화 업무 참여ㅇ ISO 표준 평가법 제안을 위한 표준 측정안 ... | ㅇ 나노산업과 관련된 기업들에게 국제 규제 대응에 필요한 흡입 독성 자료 생산ㅇ 개정된 TG 412, 413에 부합하는 탄소계나노물질의 유해성 자료 생산을 통해 나노기업 지원(나노소재, 제품 안전성 국제 규제에 대한 대응) 을 통한 나노안전규제 대응력 제고 및 글로벌 경쟁력 확보ㅇ 새로운 흡입독성시스템의 개선 및 제작을 통해 국제적으로 공신력 있는 나노물질... | 탄소계 나노물질,폐침착,물리화학적 특성 분석,유해성 ,흡입독성 | carbon based nanomaterial,lung burden,physicochemical analysis,harzard,inhalation toxicity | 888800000 |
61 | 2021 | 국토교통기술사업화지원(R&D)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1863 | 공간 및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한 IoT 센서 연계형 에어로졸 및 부유 미생물 위험성 예측 시스템 ARMS(Airborne Risk Management Systme)의 제품화 | 이건호 | (주)피아이앤이 | 경기도 안산시 | 20210401 | 20221231 | 나노 측정기술(100 nm이하) | IoT 센서 연계형 에어로졸 및 부유 미생물 위험성 예측 시스템 ARMS(Airborne Risk Management System)의 제품화 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며 이에 따른 가타 세부 목표는 아래와 같음- 에어로졸 실시간 측정 모듈 개발- 부유 미생물 실시간 측정 모듈 개발- ARMS의 관리를 위한 보드 개발 및 IoT 관리 플랫폼 구축- 에어로졸 성능... | - IoT 센서 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한 통합 모니터링 서비스. 건물의 실내 공간의 미세먼지, 부유 미생물, 온도, 습도, CO2의 정도를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위험성을 예측할 수 있는 서비스. IoT 기술을 이용한 빅데이터 플랫폼은 실시간 정보 교환 및 대용량 데이터 관리를 고려하여 설계 및 개발함으로써 시범 운영단계부터 목적에 맞도록 빅데이터 저장 및 ... | 에어로졸,부유미생물 위험성,위험성 예측시스템,공간 및 환경정보기반,IoT센서 | Aerosol,Airborne Microorganisms Risks,Risk Prediction System,Space and Environment Information,IoT sensor | 178670000 | |
148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464 | 글로벌 역량 확보를 위한 소재부품장비 핵심표준기술 연구 | Setting and Developing Key Technology Standards Strategy and Development for Global Competitiveness on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s | 최동근 | 한국표준협회 | 기타 기타 | 20210801 | 2024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1차년도 목표]- (표준전략총괄) R&D-표준연계 운영 매뉴얼 개발 (1건) - (표준전략-연계과제) 표준연계과제 맞춤형 표준창출전략 수립 (STD-R&D 14건) - (핵심표준도입) 소재부품 기술개발에 필요한 핵심국제표준의 국가표준 제(개)정 제안/신청 - (표준로드맵) 미래선도품목을 중심으로 한 소재부품장비 8대분야 표준화 로드맵 개발 (2건) - ... | ㅇ (활용계획) 소부장 산업에서 기술자립과 선도형(first-mover) 기술개발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논문·특허 뿐만 아니라 국제·국가 표준을 전략적으로 개발하고 활용 - 소부장 표준연계 과제 계획 및 수행시에 관련성이 높은 국내외 주요 표준의 심층분석 및 활용을 지원 ㅇ (기대효과) 과제 맞춤형 표준창출 요소 및 전략을 수립하여, 소부장 R&D로 개발... | RnD 표준연계,표준성과,표준창출,표준화전략,표준화로드맵 | RnD Standards Integration,Standardization Outcome,Standards Development,Standardization RnD Strategy,Standardization Roadmap | 1405662000 |
137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4203 | 소재부품장비 탄소 산업 협력단 | Carbon Industrial Cooperation | 박종현 | 사단법인탄소융합산업연구조합 | 전라북도 전주시 | 20200801 | 2025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사업화 촉진] 1, 사업화 로드맵 확보 ㆍ공유 : 5건 2. 수요-공급기업 협력 모델 발굴 : 5건 3. 해당산업 수요조사 제안 : 5건 4. 과제내용ㆍ마일스톤ㆍ사업비 관련 제안 : 5건 5. 법 ㆍ규제 개선 제안 : 2건[기술교류 및 성과 괸리] 1. 기술교류 : 3건 2. 성과관리 체계 구축 : 5건 3. 우수성과 발굴ㆍ채택 : 3... | - 객관적이고 기업수요에 맞는 GVC 시장 대책 마련에 따른 시장 선점의 정보 제공- GVC 분석결과에 따른 변화에 대처 국내 지역 거점화를 통한 신규 공급망 확보의 정보제공을 통한 사업화 성공에 제고와 이를 바탕으로 하는 해외 의존 탈피 및 내재화 가능- 국내 탄소기업 현황에 맞는 사업화 기획 및 규제 해소 및 법제화 확립을 통한 ... | 탄소섬유,글로벌 공급망,로드맵,기술가교,성과관리 | carbon fiber,GVC(Global Value Chain),road map,tehcnical bridge,performance managment | 320000000 |
72 | 2021 | 글로벌프론티어지원(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6888 | 메타물질 공학설계 플랫폼 개발 및 실용화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Engineering Design Platform for Metastructures and Practical Applications | 이학주 | 재단법인 파동에너지극한제어연구단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40901 | 20230831 | 기타 나노소자 및 시스템기술 | 메타물질 핵심원천기술 연구개발 과정에서 축적된 전문가들의 지식과 노하우를 DB화하고 이에 딥러닝 기술을 접목한 메타물질 공학설계 플랫폼(EDPM, Engineering Design Platform for Metastructures)을 구축함으로써 연구자간의 데이터 공유·활용을 바탕으로 기존 난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설계 방법론을 제공메타물질 공학 ... | (창의설계) 사용자 맞춤 최적화 메타구조체 설계를 제시하는 창의 설계 시스템을 구축하여 비전문가도 메타물질 응용할 수 있도록 설계안을 제안. 또한 기존 구조설계 프로그램이 제공하지 못하던 제조(Fabication) 가능성 여부를 고려한 설계를 제시가 가능 할 것임(개발과제 수행) 특정 기관, 기업 혹은 사용자의 복잡?다양한 개발조건에 부합하는 메타구조체... | 파동제어,극한물성시스템,EDPM,전자기 메타물질,음향 메타물질,제작 플랫폼,해석 및 설계,특성평가 | Wave Control,Extreme Functional Systems,EDPM,Electromagnetic Metamaterials,Acoustic Metamaterials,Manufacturing platform,Design and Analysis,Characterization | 3490000000 |
50 | 2021 | 나노·소재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0612 | 5nm급 이하 반도체 노광 공정용 EUV 투과 소재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EUV absorption and transmission material technology for semiconductor photo-lithography process below 5nm technology node | 김형근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경기도 성남시 | 20200515 | 2024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3nm급 대응 가능한, EUV 노광공정의 생산성을 좌우하는 고투과율 투과 소재 및 부품기술 (펠리클) 자립화를 위한 핵심 소재 및 원천 공정기술 개발을 목표로 함 ? 1단계에서는 8인치급 고투과율 투과 소재 나노박막 적층 요소기술 개발(인프라 개선)을 통해 기업체 연계 가능한 나노박막 증착 공정 및 식각 공정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고내열/고투... | 대일본 의존도가 높은 반도체 핵심소재 기술의 국산화를 달성하고 산업 외적 측면에서의 분쟁으로 인한 반도체 제조업의 타격을 최소화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산업안보를 진일보 시키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됨최종 사업화를 위하여 기술 개발 방향에 산업계의 요구를 선반영하며, 단계적 요소기술 이전으로 사업화 시간 단축 및 성과의 산업 기여도 제고정확한 광학적 특성 평가 ... | 극자외선 노광 기술,극자외선 블랭크 마스크,마스크 세정,초박막,극자외선,원자층증착법,펠리클,그래핀 | EUV lithography,EUV blank mask,Mask cleaning,Thin film,EUV, Extreme Ultraviolet,Atomic Layer Deposition,Pellicle,Graphene | 887000000 |
131 | 2021 | 나노제품성능.안전평가기술개발및기업지원사업(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2498 | 국제 규제대응을 위한 탄소계 나노소재의 유해성 시험 평가법 개발 | Development of hazard test evaluation of carbon based nanomaterial to respond to international regulation | 송경석 |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21231 | 나노 바이오 물질 합성 및 분석기술 | □ 나노물질 안전성 평가 ㅇ 그래핀의 28일 반복흡입독성시험 통한 아급성 흡입독성시험 수행 (90일 아만성 반복흡입독성시험을 위한 독성용량 결정시험)□ ISO 표준 평가법 제안을 위한 표준 측정안 개발 연구 ㅇ 탄소계 나노소재인 그래핀의 크기, 비표면적의 분석을 위한 측정 표준안 개발 ㅇ 탄소계 나노소재인 그래핀의 순도 측정 표준안 상관성 비교시험(ro... | 확립된 Proteinase K/UV-Vis를 이용한 lung burden 측정법 국제표준화를 통해서 나노소재의 기술 개발에서 안전성 관련 병목현상을 방지하고 관련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 요구됨. 또한 기존의 lung burden 측정법에 더불어 새로운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분석에 대한 다양성을 부여하여 연구자의 기술적 선택성을 높일 수 있음. 또한나노소... | 탄소계 나노물질,폐침착,물리화학적 특성 분석,유해성 ,흡입독성 | carbon based nanomaterial,lung burden,physicochemical analysis,harzard,inhalation toxicity | 931580000 |
105 | 2021 | 나노·소재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7209 | 희소자원 대체 첨단복합 자성물질 재료설계 개발 | Rare resources free complex material magnet designing | 박재훈 | 재단법인 막스플랑크 한국포스텍연구소 | 경상북도 포항시 | 20200701 | 2024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 IT 기기, 자동화 기기, 자동차, 드론, 로봇 등 현대 산업계에 널리 활용되며 향후 수요의 지속적 증대가 기대되는 고 특성 영구자석 개발을 위해 신소재 합성을 통한 희소 자원 대체 영구자석 원천기술 개발○ 영구자석 산업 관련 중국의“자원 무기화”와 일본의“기술 무기화”의 파고 극복을 위해 신소재 합성 기반의 영구자석 소재 설계 및 국내 재료 공정 연구... | ○ 희소자원 대체 영구자석 첨단복합물질 합성 핵심기술 확보를 통해 고부가가치 영구 자석 개발 및 추가적인 관련 기술 발굴을 통한 경쟁력 제고○ 국내 자성소재 기업과의 협력 및 기술이전을 통한 국내 기업의 산업 경쟁력 강화○ 저비용 고성능 자성 소재 개발을 통해 광대역 변압기, 전자파 흡수제, 사물 인터넷 등 4차 산업혁명 신 전자부품소재 관련 기술 경쟁력 ... | 영구자석,탈희토류,페라이트,자화률,보자력,제일원리계산,재료합성,분석 | Permanent Magnet,Rare-earth Free,Ferrite,Magnetization,Coercivity,First Principles Calculation,Material Synthesis,Analysis | 727000000 |
2 | 2022 | 글로벌프론티어지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6372 | 메타물질 공학설계 플랫폼 개발 및 실용화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Engineering Design Platform for Metastructures and Practical Applications | 이학주 | 재단법인 파동에너지극한제어연구단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40901 | 20230831 | 기타 나노소자 및 시스템기술 | 메타물질 핵심원천기술 연구개발 과정에서 축적된 전문가들의 지식과 노하우를 DB화하고 이에 딥러닝 기술을 접목한 메타물질 공학설계 플랫폼(EDPM, Engineering Design Platform for Metastructures)을 구축함으로써 연구자간의 데이터 공유·활용을 바탕으로 기존 난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설계 방법론을 제공메타물질 공학 ... | (창의설계) 사용자 맞춤 최적화 메타구조체 설계를 제시하는 창의 설계 시스템을 구축하여 비전문가도 메타물질 응용할 수 있도록 설계안을 제안. 또한 기존 구조설계 프로그램이 제공하지 못하던 제조(Fabrication) 가능성 여부를 고려한 설계를 제시가 가능 할 것임(개발과제 수행) 특정 기관, 기업 혹은 사용자의 복잡?다양한 개발조건에 부합하는 메타구조... | 파동제어,극한물성시스템,EDPM,전자기 메타물질,음향 메타물질,제작 플랫폼,해석 및 설계,특성평가 | Wave Control,Extreme Functional Systems,EDPM,Electromagnetic Metamaterials,Acoustic Metamaterials,Manufacturing platform,Design and Analysis,Characterization | 3490000000 |
150 | 2021 | 나노융합현장수요기반실증지원사업(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4823 | 나노융합산업 현장수요기반 실증지원 | Supporting substantiation of nano convergence products based on the field demand | 박재민 | 한국탄소나노산업협회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7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ㅇ 나노기업-수요기업 간 나노융합 사업화 촉진을 위한 실증 환경 조성ㅇ 중소·벤처 나노기업-대·중견 수요기업 간 사업화 협력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기반 마련ㅇ 나노융합분야에 흩어져 있는 정보 데이터를 자산화하고, 지속적으로 수집-가공-활용 될 수 있도록 전주기적 순환체계 조성ㅇ 분야별 유효 전문가(전·현직)의 발굴 및 사업화 애로 해결을 위한 정보 플랫... | o 나노ㆍ소재분야 융합연구 생태계 조성 - 사업 전 구성원의 연계와 협력을 통한 기존 기술의 한계 돌파 · 중소기업(기술개발)-대·중견(실증)-전문가(플랫폼참여), 동 사업의 전체 구성원 간의 연계를 통해 도전적 기술 과제의 해결이 가능 - 나노융합 소재를 이용한 타 분야 기술발전 및 혁신기술 확보를 도모 · 나노융합 소재는 나노융합 분야뿐만... | 나노융합,정보플랫폼,실증,사업화,나노소재 | NT Convergence,Information Platform,Substantiation,Commercialization,Nano material | 2480000000 |
112 | 2021 | 혁신성장연계지능형반도체선도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8048 | 초저전력 steep-slope Γ (Gamma)-FET 개발 | Steep-slope Γ (Gamma)-FET with ultra-low power consumption | 최양규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628 | 20211231 | 나노전자 소자기술 | -초저전력 신개념 steep-slope 소자 Γ (Gamma)-FET 개발-기존 steep-slope 기술 대비 우수한 문턱 전압 이하 기울기 (SS), 큰 온-전류 (ION), 작은 오프-전류 (IOFF), 큰 온-오프 전류비 (ION/IOFF) 성능을 지닌 단일 steep-slope 소자 개발.-100% CMOS 표준 공정과 소재를 이용해 평면형... | -기존 초저전력 소자기술 대비 차별화된 Γ-FET 개발을 통해 연구계에 새로운 기술적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원천 특허 선점을 통해 초저전력 반도체 산업에서 초격차의 선도자적 지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미국 및 스위스 등 초저전력 소자기술 개발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주요 선진국 을 추월하여 first mover로서... | 초저전력,감마펫,스팁-슬롭,온-전류,소형화 가능성 | ultra-low power,Gamma-FET,steep-slope,on-current,scalability | 200000000 |
49 | 2021 | 나노·소재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7234 | 산화물반도체 기반 투명 AMOLED 일괄공정 개발 | Full Process Development of Transparency AMOLED based on Oxide TFT backplane | 이승현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경기도 성남시 | 20190816 | 20231231 | 나노전자 소자기술 | ㅇ IGZO TFT 소자 제작을 위한 단위공정 개발 및 소자 성능 향상 공정 개발 | ㅇ 표준화 공정 구축을 통해 디스플레이 소재·부품 관련 기업의 제품 개발 및 사업화 지원에 활용함 ㅇ 개발된 요소 기술 및 공정을 활용하여 센서, 광소자 등 다양한 응용 분야의 연구개발 지원을 통한 중소기업의 신규 사업화 지원 | 산화물 반도체,유기발광소자,투명,디스플레이 | Oxide TFT,OLED,Transparency,Display | 161500000 |
54 | 2022 | 국토교통기술사업화지원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816 | 공간 및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한 IoT 센서 연계형 에어로졸 및 부유 미생물 위험성 예측 시스템 ARMS(Airborne Risk Management Systme)의 제품화 | 이건호 | (주)피아이앤이 | 경기도 안산시 | 20210401 | 20221231 | 나노 측정기술(100 nm이하) | IoT 센서 연계형 에어로졸 및 부유 미생물 위험성 예측 시스템 ARMS(Airborne Risk Management System)의 제품화 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며 이에 따른 가타 세부 목표는 아래와 같음- 에어로졸 실시간 측정 모듈 개발- 부유 미생물 실시간 측정 모듈 개발- ARMS의 관리를 위한 보드 개발 및 IoT 관리 플랫폼 구축- 에어로졸 성능... | - IoT 센서 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한 통합 모니터링 서비스. 건물의 실내 공간의 미세먼지, 부유 미생물, 온도, 습도, CO2의 정도를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위험성을 예측할 수 있는 서비스. IoT 기술을 이용한 빅데이터 플랫폼은 실시간 정보 교환 및 대용량 데이터 관리를 고려하여 설계 및 개발함으로써 시범 운영단계부터 목적에 맞도록 빅데이터 저장 및 ... | 에어로졸,부유미생물 위험성,위험성 예측시스템,공간 및 환경정보기반,IoT센서 | Aerosol,Airborne Microorganisms Risks,Risk Prediction System,Space and Environment Information,IoT sensor | 321500000 | |
12 | 2022 | 소부장분야전문인력양성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9586 | 전문가 네트워크 기반 나노기술 교육과정 | Nano-Technology Curriculum based on Expert Network | 황윤회 | (사)나노기술연구협의회 | 서울특별시 서초구 | 20200304 | 20260228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나노기술관련 주력·신산업 분야 연구개발 및 산업계 제품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우수한 인력 양성을 통한 국가나노기술 경쟁력 제고 ○ 나노융합산업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 목표 990명/년 | ○ 수료증 발급을 통해 전문분야 활동 경력의 증빙으로 활용○ 사업의 효과 극대화를 위해 포상결과, 잡페어, 취업률 조사 등에 대한 대국민 홍보○ 성적우수 수료자에 대한 포상체계 구축○ 차세대 연구개발 및 산업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나노기술핵심인력 양성○ 나노분야의 첨단 인프라 및 관련기술에 대한 학계 연구개발, 산업계 제품개발 연계 활용도 제고○ 정부주도 ... | 이론교육,실습교육,기초과정,응용과정,나노소자공정,나노측정분석,태양전지,OLED | Theory,Practice,Basic Program,Advanced Program,Nano Device Nano Process Technology,Nano Measurement and Analysis,Solar cell,OLED | 1720000000 |
156 | 2021 | 중소기업지원선도연구기관협력기술개발사업(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0592 | 저전력 MEMS 플렛폼을 활용한 초소형 수소 센서 개발 | 김일구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1101 | 202110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저전력, 초소형 금속산화물 및 MEMS기반의 수소 가스 센서 개발 - 변압기 내부 적용을 위한 저전력 MEMS 플렛폼 개발 - 이종 금속 촉매가 결착된 금속산화물 감지 소재 개발 - 금속산화물 감지 소재의 잉크화 기술 및 잉크젯 프린 공정 기술 개발 | 본 공기질 모니터링 TVOCs 제품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 가능한 저전력 MEMS 가스 센서 제품의 다각화로 매출 증대 뿐 아니라 신규 고용 창출이 기대됨. 국내 가스 센서 핵심 소재 및 부품 기술의 경쟁력 확보를 통해 최근 수요가 급증하는 가스 센서의 수입 대체뿐 아니라 관련 적용 제품에 대한 수출 경쟁력 확보가 기대됨. 국내 변압... | 가스센서,멤스,수소센서,잉크젯,금속산화물 | Gas Sensor,MEMS,Hydrogen,Inkjet,Metal Oxide | 152450000 | |
8 | 2022 | 나노소재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73521 | 나노인프라 연계체계 총괄지원(나노인프라 연계 협력 사업) | Support for Nano-Infrastructure Linkage System(Cooperation Project of Nano Infrastructure-linkage) | 이경엽 | 사단법인 국가나노인프라협의체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1022 | 20261231 | 기타 나노소자 및 시스템기술 | ○ 수요자 중심의 원스톱 서비스 지원시스템 구축·운영 및 KNCI 운영 활성화를 통한 나노인프라 이용환경 개선 및 연개·협력 기능 강화- 이용자 편의성 및 접근성 향상을 위한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코디네이터 운용 등 수요자 공정서비스 지원시스템 구축·운영- 나노인프라간 연계·협력 활동 지원, 성과관리, 수요장비 우선순위 도출 및 이용자 만족도 향상 등을 위... | ○ 활용계획 -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 구축을 통한 이용환경 개선 ·나노인프라 서비스 이용 체계 고도화 - KNCI 운영 활성화를 통한 기관 간 연계·협력 강화 - 나노인프라 활용 연구성과 홍보 및 국가나노인프라 발전전략 마련○ 기대효과 - 기술적 측면 ·나노인프라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을 구축하여 기술·정보·지식공유를 통해 산업육성 및 사... | 나노기술,나노인프라,통합정보시스템,이용자만족도,서비스 관리시스템,고객지원시스템,서비스 코디네이터,협력네트워크 | Nano Technology,Nano-Infra,Intergrated Infromation system,User Satisfaction,MES,CSS,Coordinator,Cooperative Network | 565000000 |
147 | 2021 | 나노융합혁신제품기술개발사업(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091 | 나노소재 기반 산업생활환경 실내 공기 유해인자 저감 핵심 부품 및 제품개발 | Development of core components and products for reducing harmful factors of indoor air in industrial and living environment based on nanomaterials | 오상연 | 한국섬유소재연구원 | 경기도 양주시 | 20210401 | 2025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나노소재 기반 실내 유해인자 저감 핵심부품 개발 애로기술 지원 애로기술지원(참여기관 등 관련 기업요청 애로기술지원 6건) 선진기술 현황파악 및 자료제공(국외 선진기술 동향자료 1건) 특허 회피방안 밑 특허 대상기술 탐색(특허 회피방안 및 로드맵 1건) 기술개발에 관한 정보 제공 및 기술교류(기술교류회 개최 1회) 기술개발 관리 및 지원(운영회 1건... | 다중이용시설 및 산업 현장에서 불특정 대상자가 접촉/흡입하게 되는 저농도/비자각 실내 유해인자를 대용량/고효율로 처리하고 재사용/재생이 가능하여 환경 위해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나노복합소재 및 이를 이용한 핵심 부품 및 제품 PM1.0 레벨에서 95% 이상 여과 및 재생이 가능한 고집진 다중이용 시설 필터 미디어 및 필터 제품(국내시장- 7,000억원... | 나노소재,유해인자,여과효율,필터,휘발성 유기화합물 | nanomaterial,hazardous substances,filtration efficiency,filter,V.O.C | 50000000 |
81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7337 | 원자힘현미경을 이용한 단일신경세포 내 마이크로RNA 고해상도 시각화 분석기술 개발을 통한 시냅스 가소성 기전 연구 | Visualization of MicroRNA in a Single Neuronal Cell with Atomic Force Microscope | 박익범 | (재)포항산업과학연구원 | 경상북도 포항시 | 20200301 | 20230228 | 나노 바이오 물질 합성 및 분석기술 | 나노기술(원자힘현미경, AFM)을 이용하여 단일신경세포 내 중요부위 별(soma, dendrite, axon, synapse) 표적 miRNA를 높은 민감도로 고해상도 시각화가 가능한 기술 개발 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시냅스 가소성 및 뇌 질환의 핵심 바이오마커 miRNA의 발굴, 이의 정량적 발현량 차이, 공간적 분포 분석을 통해 miRNA의 기능... | 나노기술의 집약체인 AFM을 활용하여 단일신경세포 내 중요부위 별 표적 miRNA를 단 분자 수준에서의 검출과 결합힘-지도화를 통해 극미량 miRNA의 정량분석 및 나노미터 수준의 고해상도 시각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 할 수 있다. (1) 시냅스 가소성의 핵심 miRNA인 miR-132, miR-134, miR-188-5p, miR-206 등의 단일 시냅스에... | 마이크로 RNA,시냅스 가소성,수상돌기 소극체,원자힘현미경,원자힘현미경 토폴로지,결합힘-지도화,바이오마커,단 | microRNA,Synaptic plasticity,Dendritic spines,Atomic Force Microscopy,AFM topology,Force-mapping,Biomarker,Single cell biology,Neurological disorder | 50000000 |
139 | 2021 | 국가표준기술개발및보급(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2570 | 섬유소재 및 의류제품의 미세먼지 차단 성능평가를 위한 국제표준 개발 |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Standards for Evaluation of Fine Dust Barrier Performance of Textile Materials and Clothing | 김민 | KOTITI 시험연구원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3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 섬유소재 및 의류제품의 미세먼지 차단 성능평가 국제표준(IS) NP 승인/WD 등록○ 섬유소재 및 의류제품의 미세먼지 차단 성능평가 국가표준(KS) 제안○ ISO/TC38 (textiles) WG의 Convener(또는 Co-Convener) 수임○ 국제표준 ISO/TC38 (textiles) 총회 참석 및 WG 회의 참가○ 연구 결과 국내·외 학회 논... | ○ 기술적 사항- 실제 미세먼지 환경을 고려한 시험장치 개발과 성능평가 결과를 통해 미세먼지가 의류제품에 부착되는 특성에 대하여 기술적 자료 확보 가능 - 산업계에서 생산한 미세먼지 차단 기능성 제품에 대한 성능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산업계의 기술개발 시 참고자료로 활용 가능- 국제표준 회의에서 논의된 미세먼지와 관련된 글로벌 이슈사항을 국내 산업계에 공유할... | 미세먼지,미세먼지 차단,의류제품,섬유제품,국제표준화 | find dust,fine dust prof,clothing products,textile products,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 123400000 |
87 | 2021 | 국가간협력기반조성(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6419 | 나노재료를 활용한 열에 의해 구동되는 액체 이동 증대에 관한 연구 | Boosting thermally-driven liquid transport with nanomaterials | 남영석 | 한국과학기술원 | 경기도 용인시 | 20201201 | 20221130 | 기타 나노소재기술 | 프랑스 연구진의 계면에서의 물리적 현상에 대한 전문성과 한국 연구진의 나노재료 및 열유체 현상에 대한 전문성을 결합하여, 나노재료에서 열에 의해 구동되는 액체 이동 증대 효과에 대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열관리 및 열에너지 변환 성능 향상에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 특히 본 연구에서는 아래의 두 가지 형태의 열에 의해 구동되는 액체 이동 효과를 살펴보... | ◎ 기존 계면 현상에 대한 이론 타당성 검증에 활용◎ 히트파이프, 히트스프레더, 담수화, 열에너지 변환 등 열유체 시스템에 직접적으로 적용하여 시스템 성능 향상◎ 양국 연구자간의 활발한 협업을 통한 향후 국제공동 과제 제안서 준비 | 열삼투 유동,나노재료,미세유체시스템,증발현상,전기에너지 생산 | thermo-osmosis,nanomaterials,microfluidics,evaporation,electrical energy generation | 15000000 |
68 | 2022 | 나노소재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7391 | 나노과학기술 연구진흥 및 협력 네트워크 확산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search of nano scientific technology and spread of cooperation network | 유지범 | (사)나노기술연구협의회 | 서울특별시 서초구 | 20210101 | 2026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 글로벌 나노과학기술 선도를 위한 연구진흥 및 협력 네트워크 강화 - 선도적 나노분야 중장기 R&D 및 투자 방향 제안 - 나노분야 학술진흥 및 연구확산 - 온라인 기반 대국민 홍보 플랫폼 구축 및 효율화 - 나노분야 전문가 네트워크 강화 | ○ 정부의 나노관련 정책 수립에 필요한 사전 연구자료 도출 가능○ 전문가 네트워크를 통해 나노분야 전략적 R&D 주제발굴 상시기획 기획 가능○ 나노코리아 국제심포지엄을 통한 글로벌 최신기술 교류 및 나노기술 전문가 네트워크의 장으로 활용○ NCC 활성화를 통해 국내 연구성과 공유 및 나노분야 신진연구자 지속 발굴○ 알기쉬운 나노기술 콘텐츠 제공을 통한 대국... | 나노코리아 심포지엄,NCC,나노기술확산,전문연구회,e-아카데미,나노영챌린지,10대 나노기술,나노기술홍보 | Nano Korea Symposium,Nano Convergence Conference,Nano Technology Diffusion,professional research society,e-Academy,Nano Young Challenge,top 10 nanotechnolohy,Promotion of Nano technology | 1500000000 |
103 | 2021 | 스마트특성화기반구축(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1415176661 | 4차 산업 대응 하이퍼 고분자 첨단소재부품 고도화 사업 | 권일준 | DYETEC연구원 | 대구광역시 서구 | 20200401 | 20221231 | 기타 나노기반 공정기술 | ㅇ (사업비전) 지역 전방산업 연계를 통한 수송용 경량 융복합 고분자 첨단소재 부품화 및 글로벌 산업경쟁력 강화 ㅇ (사업목적) 지역 소재부품산업 구조전환을 위한 수송용 경량 융복합 고분자첨단소재 & 부품 통합지원체계(플랫폼)구축 및 상용화 全주기 지원 ㅇ (최종목표) 수송용 경량 융복합 고분자 첨단소재(섬유융복합) 육성을 위한 기술협력거점 구축 ㅇ ... | ㅇ 본 사업추진은 국내 소재부품산업의 수출 1,200억 달러 달성에도 불구하고 성장 정체기에 접어든 소재산업의 재도약과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여는 첨단산업용 新소재산업의 구조고도화에 일익 기여할 것임 ㅇ 고분자 첨단소재 부품을 활용한 산업현장 중심의 소재 혁신공정 및 품질분석 기술지원을 통한 중소기업의 R&D 및 품질관리 역량강화가 기대됨 ㅇ 선진국 ... | 고분자첨단소재부품,수송용,전주기지원,고도화,수요처연계 | Polymer advanced material part,transportation,Supporting of whole cycle,Advancement,Connecting to demand enterprise | 3609200000 | |
84 | 2022 |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674 | 스마트 센싱 유닛 제품화 실증기반 플랫폼 기술개발 | Demonstration platform development of smart sensing unit | 임재하 | 재단법인 경남테크노파크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31231 | 나노전자 소자기술 | 스마트 센싱 유닛 제품의 지능화 제조공정 실증CELL 운영 및 제조장비 적용성(내환경성·기구적 기능 등) 평가 및 기술지원과 현장 검증을 위한 엔지니어링 기술 컨설팅 및 제품화 실증지원을 통한 주요 제조공정(가공, 조립, 이송)에서 나타나는 공정 데이터를 수집·모사하고 프로토콜로 구축된 모델에 대한 실증 및 인공지능 분석 등을 위한 장비 구축 | (기업 제품화 실증 CELL 테스트베드 운영) 현장적용 타당성 평가 및 실증 데이터(Track Record) 분석 및 제공(첨단제조 전환기업 기술 컨설팅 및 전문교육) 실무중심 전문교육을 통한 일자리 창출(제품 기술 컨설팅 및 제품화 실증 지원) 스마트 센싱 유닛 개발 이후 성능 테스트 현장적용에 어려움이 있는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스마트 센싱 유닛... | 스마트센싱유닛,실증 플랫폼,기능 실증 셀,공정 실증 셀,경험기술 | Smart Sensing Unit,Demonstration Platform,Function Demonstration Cell,Process Demonstration Cell,Track Record | 7200000000 |
104 | 2021 | 나노기술을활용한다기능·경량하이퍼콘크리트기술개발(R&D)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181 | 경량·고강도 나노 콘크리트 기술 개발 | 정상화 |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오창 | 충청북도 청주시 | 20200401 | 2023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본 연구단의 연구개발 목표는 콘크리트 재료의 획기적 성능 개선을 통한 건설재료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나노기술 활용 단위중량 1.6t/m3, 압축강도 80MPa 및 내구연수 200년 이상의 경량·고강도·고내구 콘크리트를 개발하는 것이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3개 세부의 세부별 목표는 다음과 같음.- 내구연수 200년 이상 - 나노소재 사용 및 내... | - 나노소재를 기반한 고강도 경량 뿐만아니라 고내구 콘크리트 제조기술의 선도- 나노소재를 적용한 콘크리트의 수화 모델 정립, 역학적/구조적 특성 모델 등에 대한 원천기술의 확보- 나노소재의 콘크리트의 수화반응부터 강도 발현 및 장기적 재료거동 평가기술의 선도.- ISO·KS 등 기준에 적용 가능한 혁신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 특허권 확보 등을 통한 세계 최... | 나노 콘크리트,경량 골재,마이크로-나노 솔리드 버블,성능 평가,설계 가이드라인 | Nano-Concrete,Light-weight aggregate,Micro-nano solid bubble,Performance evaluation,Design guideline | 1440000000 | |
41 | 2022 | 과학기술인협동조합육성지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0367 | 원료/소재의 분석 및 해석/진단 기술컨설팅 플랫폼 구축 | Platform of technology consulting for measurement, analysis and diagnosis of materials | 이승호 | 한국소재기술 협동조합 | 서울특별시 | 20220501 | 20230430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중소기업에 대한 분석 및 해석/진단 컨설팅 설문조사 : 50개 기업 표준신청서 및 완료보고서 양식 작성 홈페이지에 원료/소재분석기관의 분석항목 및 수수료 추가 원료, 소재 분석 및 해석/진단 컨설팅 서비스 : 20 건 | 원료, 소재, 부품 중소 제조기업의 정밀품질평가로 기업 자신의 제조역량 수준을 파악하여 품질경쟁력 향상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불량의 원인 규명 및 처리 방안 제시로 품질개선 및 생산성 향상 기업의 품질관리자 혹은 기술개발자의 원료/소재/부품의 분석 및 해석/진단 능력 향상 기술컨설팅 결과로부터 파생된 기업의 기술개발 과제를 발굴하여 ... | 분석/해석/진단 컨설팅 서비스,표준 컨설팅 수수료 제정,표준 신청서, 표준보고서,중소기업체 기술지원,조합- | test-analysis-diagonosis technology consulting service, technology consulting survey, establishmen of standard consulting fee, establishmen of standard report, small and medium business technology sup... | 89100000 |
107 | 2021 | 소재부품장비전략협력기술개발(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7688 | 초고집적 반도체 패키징 TSV 공정용 Cu CMP 슬러리 소재국산화 | Localization of Cu CMP slurry material for ultra-high integrated semiconductor packaging TSV process. | 이철승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경기도 성남시 | 20211220 | 20241219 | 기타 나노소재기술 | 초고집적 반도체 패키징 TSV 공정용 Cu CMP 슬러리 설계 및 개발 - TSV 공정용 Cu CMP 슬러리 평가 기반 기술 확보 - Cu CMP 슬러리 조성 설계 및 탄소나노소재기반 additive 최적화 - Removal Rate 및 Uniformity 평가 방법 Set-up Cu Removal Rate : 8000 Å/min 이상 Ti Remov... | 1) 초고집적 반도체 패키징 TSV 공정용 Cu CMP 슬러리 소재 국산화에 성공시 해외 수입 의존도가 높아 일본의 white list이후에도 국내소재로 변경하지 못한 부분을 본 사업의 슬러리로 변경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통해 반도체 국가 기술 자립에 기여할 것임. 2) 기존 사용되고 있는 TSV용 Cu CMP 슬러리는 제거 속도가 낮고 전극 직... | 실리콘 관통전극,구리연마액,이중 연마제,실리카,판상형 나노탄소소재 | TSV,Cu CMP,Dual Abrasive,silica,nano carbon | 207000000 |
86 | 2022 | 국가표준기술개발및보급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798 | 섬유소재 및 의류제품의 미세먼지 차단 성능평가를 위한 국제표준 개발 |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Standards for Evaluation of Fine Dust Barrier Performance of Textile Materials and Clothing | 김민 | KOTITI 시험연구원 | 기타 기타 | 20200401 | 2023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 섬유소재 및 의류제품의 미세먼지 차단 성능평가 국제표준(IS) CD 등록/승인○ 국제표준 ISO/TC38 (textiles) 총회 참석 및 WG 회의 참가○ 국제표준 ISO/TC38 (textiles) WG 회의 개최○ 연구 결과 국내 ·외 학회 논문 발표○ 국제표준화 설명회 및 세미나 개최 | ○ 기술적 사항- 미세먼지 차단 성능평가 결과의 통계적 유의성 및 시험기관간 비교평가를 통하여 설계된 시험조건의 유효성을 확인함으로써 다양한 연구에 활용성 증대- 설명회를 개최하여 표준화 현황을 공유함으로써 신속히 표준화 기술의 국내 도입 가능○ 표준화 활동- 국내에서 ISO/TC38 (textiles) WG 회의를 개최함으로써 국내 영향력 강화- 국가표준... | 미세먼지,미세먼지 차단,의류제품,섬유제품,국제표준화 | find dust,fine dust prof,clothing products,textile products,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 128400000 |
44 | 2022 | 국가연구협의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7321 | 나노기술 테스트베드 협의체 | Nanotechnology Testbed organization | 이경엽 | 사단법인 국가나노인프라협의체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501 | 20250228 | 나노전자 소자기술 | ○ 나노기술 테스트베드(나노인프라)를 활용하여 나노기술(반도체/디스플레이 등 분야)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기술수요 발굴 및 지원을 통한 상용화 촉진○ 나노기술 분야 산·학·연(산업체 중심)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 ○ 활용방안- 연구시설 협의체 모범사례 제시- 기업지원 테스트베드 플랫폼 구축○ 기대효과- 반도체, 디스플레이, 바이오, 환경, 에너지 등 나노기술 분야 지원을 통해 나노융합산업을 확산하고 기업의 R&D 및 제품생산 역량 강화- 기술 자문 등의 기업지원을 통해 중소?벤처 기업의 역량 강화 및 나노산업의 성장 기반 마련 도모 - 기업의 매출증대 효과 및 신규... | 나노기술,테스트베드,나노인프라,소재,부품,장비,산업지원,협력 네트워크 | Nano technology,Test bed,Nano infrastructure,Materials,parts,Equipment,Industrial support,Cooperative network | 180000000 |
140 | 2022 | 나노제품성능.안전평가기술개발및기업지원사업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7953 | 나노융합산업 통계조사 | Nanoconvergence Industry Statistics | 남철민 | 한국탄소나노산업협회 | 전라북도 전주시 | 20210401 | 20251231 | 나노전자 소자기술 | [2차년도 목표] ㅇ 매년 나노융합산업 통계조사 및 간행물 발행 - 통계 공표일정에 맞추어 정시 공표 - 관련기업 및 유관기관에 간행물 배포 - 국가통계포털(KOSIS) 업로드 ㅇ 통계청 통계품질진단 점수 보통 이상 ㅇ 해당 조사 결과 분석을 통한 정책적 시사점 도출 ㅇ 나노융합산업조사 개선 방안 연구 | [나노융합산업 통계조사 기대효과] [과학기술적 측면] ㅇ 연구개발 추진방법, 활동별 중요도, 국내외 특허 등을 조사하여, 우리나라의 現 나노융합업계 R&D 현황을 파악 향후 연구개발 방향을 모색하는데 기여 - 구체적인 항목 : 연구개발 추진방법 및 중요도, 연구개발 활동에 대한 성과, 국내외 특허(등록/출원) 등 [경제적산업적 측면] ㅇ 정부의 산... | 나노기업,나노제품,국가통계,산업분석,분류체계 | Nano Company,Nano Product,National Statistics,Industry Analysis,Classification System | 300000000 |
94 | 2021 | 소부장분야전문인력양성(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8515 | 화합물계 나노소자공정 및 측정분석 실습교육과정 | Technology Training Program for Compound semiconductor-based Nano Devices Fabrication Processes and Characterization | 김영관 | 한국나노기술원 | 경기도 수원시 | 20200304 | 20260228 | 기타 나노기반 공정기술 | ○ 나노인프라를 활용한 화합물계 나노소자공정 및 측정분석 전문 인력 양성 - (기초)화합물계 나노소자공정 및 측정분석(현미경/분광학) 교육 - (응용)화합물계 소자제작공정, TEM 고급활용 기술 교육 - (고급)취업연계형 전 주기의 반도체 전문교육을 통한 실무형 인력양성○ 인력양성 목표 - 추진목표 105명: 기초교육: 화합물계 나노소자공정 실습, 측정분... | ○ 나노기술 산업화 촉진을 위해 핵심동력인 양질의 화합물계 나노공정 및 측정분석, 나노 소자제작 공정 전문 인력공급: 현장 실무형 실습교육을 통해 화합물계반도체 나노기술 산업분야에 필요한 나노공정, 나노소자 및 측정분석 전문 인력양성으로 연구개발 및 산업화 경쟁력 확보○ 화합물계반도체 나노기술 인력양성 기반 구축: 시설 및 장비, 실습플랫폼 등 ... | 화합물계,반도체공정,나노소자,광소자,광전변환소자,발광소자,에피박막성장,공정장비 | Compound,Semiconductor Process,Nano Device,Photonic Device,Conversion Device,LED,Epi growth,Process Equipment | 650000000 |
161 | 2021 | 중소기업지원선도연구기관협력기술개발사업(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1247 | 자동차 공조부품용 고내마모(마찰계수 0.1 이하) 슈퍼엔지니어링 복합소재 기술 개발 | 이평찬 | 한국자동차연구원 | 충청남도 천안시 | 20201101 | 202110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자동차 공조부품용 초고내열성(HDT 280℃ 이상) 고내마모(마찰계수 0.1 이하) 폴리아마이드46 기반 복합소재의 국산화 제조 기술 개발 국내 수요 부품사에서 요구하는 맞춤형 그레이드 개발을 통해 밸류 체인 강화에 기여 | 본 기술 개발을 위해 R&D 인력 고용 2명, 양산 대응 및 시장 판로개척을 위한 비R&D 인력 채용 2명 예상 신규 매출 창출 및 부가가치 상승으로 산업 생태계 활성화 효과 기대 및 무역 수지 개선 국내외 지재권 확보 및 매출 발생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폴리아마이드46,내마모,자동차,체크밸브 | super engineering plastics,polyamide46,wear resistant,automotive,check valves | 152450000 | |
45 | 2022 | 도로기술연구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874 | 외부자극 감응형 도로교통안전시설 재료 및 제품 개발 | 임보규 | 한국화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금천구 | 20190430 | 2022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 외부자극 및 통행차량의 특성을 고려한 도로교토 안전 향상 기술 개발- (정성) 외부자극 감응형 도로교통안전시설 재료 및 제품 개발- (정량) 외부자극 감응형 도로교통안전시설 재료(제품) 및 설치·관리 매뉴얼 개정(안) : 실시간 도로정보 시각화 기술을 활용한 노면결빙 교통사고방지 도로교통안전시설 개발 : 외부 기온변화(저온)에 따른 변색 제어 기술을... | 안전한 주행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지능형 도로에 대한 기술수요 급증하고 있어 지능형 교통안전 기술에 대한 원천기술 확보를 통한 해외기술 의존도 해소 및 세계 최고 수준 기술 확보를 위한 초석 마련. 급격히 변화하는 첨단 국토교통기술에서 도로정보 시각화와 주행 안전성에 대한 핵심 요소기술 개발로 안전한 교통환경 조성 이바지 신개념의 도로차선 핵심원천기술의... | 자극 감응,도로 시인성,도로안전,장잔광,주행안전 | stimuli-response,Road visibility,Road safety,Persistence phosphorescence,driving safety | 2028334000 | |
27 | 2022 | 나노융합혁신제품기술개발사업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520 | 나노소재 기반 산업생활환경 실내 공기 유해인자 저감 핵심 부품 및 제품개발 | Development of core components and products for reducing harmful factors of indoor air in industrial and living environment based on nanomaterials | 오상연 | 한국섬유소재연구원 | 경기도 양주시 | 20210401 | 2025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나노소재 기반 실내 유해인자 저감 핵심부품 성능향상 애로기술 지원 애로기술지원(참여기관 등 관련 기업요청 애로기술개발 7건) 개발기술에 응용 가능한 기술 탐색 및 자료 제공(국외 관련기술 동향자료 1건) 개발 대상기술의 특허 전략 지원(특허 전략방안 1건) 기술개발에 관한 정보 제공 및 기술교류(기술교류회 개최 2회) 기술개발 관리 및 지원(운영회... | 다중이용시설 및 산업 현장에서 불특정 대상자가 접촉/흡입하게 되는 저농도/비자각 실내 유해인자를 대용량/고효율로 처리하고 재사용/재생이 가능하여 환경 위해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나노복합소재 및 이를 이용한 핵심 부품 및 제품 PM1.0 레벨에서 95% 이상 여과 및 재생이 가능한 고집진 다중이용 시설 필터 미디어 및 필터 제품(국내시장- 7,000억원... | 나노소재,유해인자,여과효율,필터,휘발성 유기화합물 | nanomaterial,hazardous substances,filtration efficiency,filter,V.O.C | 50000000 |
39 | 2022 | 나노융합현장수요기반실증지원사업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214 | 나노융합산업 현장수요기반 실증지원 | Supporting substantiation of nano convergence products based on the field demand | 박재민 | 한국탄소나노산업협회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7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ㅇ 나노기업-수요기업 간 나노융합 사업화 촉진을 위한 실증 지원 확대ㅇ 대·중견 협력 현장 실증을 통한 사업화 협력 생태계 조성ㅇ 나노융합 정보 플랫폼 內 정보 데이터 수집 및 생산 확대ㅇ 실증 제품의 나노융합 상설시연장 유입 및 수요발굴 → 연계 → 성과창출 지속 지원 | o 나노ㆍ소재분야 융합연구 생태계 조성 - 사업 전 구성원의 연계와 협력을 통한 기존 기술의 한계 돌파 · 중소기업(기술개발)-대·중견(실증)-전문가(플랫폼참여), 동 사업의 전체 구성원 간의 연계를 통해 도전적 기술 과제의 해결이 가능 - 나노융합 소재를 이용한 타 분야 기술발전 및 혁신기술 확보를 도모 · 나노융합 소재는 나노융합 분야뿐만 아니라... | 나노융합,정보플랫폼,실증,사업화,나노소재 | NT Convergence,Information Platform,Substantiation,Commercialization,Nano material | 3307000000 |
159 | 2021 | 나노·소재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9226 | 나노인프라 연계체계 총괄지원(나노인프라 연계 협력 사업) | Support for Nano-Infrastructure Linkage System(Cooperation Project of Nano Infrastructure-linkage) | 이경엽 | 사단법인 국가나노인프라협의체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1022 | 20261231 | 기타 나노소자 및 시스템기술 | ○ 수요자 중심의 원스톱 서비스 지원시스템 구축·운영 및 KNCI 운영 활성화를 통한 나노인프라 이용환경 개선 및 연개·협력 기능 강화- 이용자 편의성 및 접근성 향상을 위한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코디네이터 운용 등 수요자 공정서비스 지원시스템 구축·운영- 나노인프라간 연계·협력 활동 지원, 성과관리, 수요장비 우선순위 도출 및 이용자 만족도 향상 등을 위... | ○ 활용계획 -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 구축을 통한 이용환경 개선 ·나노인프라 서비스 이용 체계 고도화 - KNCI 운영 활성화를 통한 기관 간 연계·협력 강화 - 나노인프라 활용 연구성과 홍보 및 국가나노인프라 발전전략 마련○ 기대효과 - 기술적 측면 ·나노인프라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을 구축하여 기술·정보·지식공유를 통해 산업육성 및 사... | 나노기술 나노인프라 통합정보시스템 이용자만족도 서비스 관리시스템 고객지원시스템 서비스 코디네이터 협력네트워 | Nano Technology Nano-Infra Intergrated Infromation system User Satisfaction MES CSS Coordinator Cooperative Network | 411000000 |
25 | 2022 | 해양수산기술창업기업Scale-up지원사업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3153 | 괭생이모자반 기반 항균 나노복합체를 이용한 미세먼지방지제 개발 | 김경우 | 국립해양생물자원관 | 충청남도 서천군 | 20220401 | 2023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유해종 괭생이모자반 기반 나노복합체를 이용한 항균 기능성 미세먼지(비산먼지) 방지제 개발 - 질병 유발 가능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및 살균 능력 보유 (24시간 내 99% 억제) - 미세먼지 PM2.5, PM10에 대한 저감능력 보유 (풍속 8~10m/s 및 15m/s에서 90% 이상) - 제품의 생분해성 능력 보유 (토양오염, 수질오염 등에 대한 환... | 1. 처리 비용을 고려한 저렴한 가격의 제품 - 미국, 일본 등 해외 제조사의 수입산을 대체할 수 있는 제품개발을 통한 제품 국산화를 통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2. 현장 환경별 적용 가능한 다목적의 다양한 제품 형태- 미세먼지(비산먼지)의 발생 현장에서의 미세먼지 저감에 덧붙여 항균기능성을 추가하여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제품으로 활용 가능3. 중금속 오염 등... | 괭생이모자반,항균,살균,비산먼지방지,미세먼지방지 | Sargassum horneri,Antimicrobial,Sterilization,Dust suppression,Anti-microdust | 75000000 | |
62 | 2021 | 글로벌프론티어지원(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8083 |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반 미래소재 연구기획관리평가 | Center for Hybrid Interface Materials | 김광호 | (재)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반미래소재연구단 | 부산광역시 금정구 | 20140101 | 202208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글로벌프런티어 사업단의 연구개발은 융복합 원천기술을 창출하고 이를 세계 1등 산업기술로 이끌어가는 비전과 가치관을 가지고 운영?관리하고자 함. | 연구자 중심의 창의성 (Creativity)을 극대화하고, 학제간 (Interdisciplinary) 융합 연구를 통하여 혁신적 (Innovative)인 기술을 연구단이 주도적 (Initiative)으로 창출하는 Ci³ 추진(Ci³: Creative, Interdisciplinary, Innovative, and Initiative)탁월성 (Exellenc... |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반 미래소재연구단,미래소재,융합연구,기획평가 | Different Materials Bonding Structure,Hard Hybrid Interface,MAX Phase Atom Interface,Interface Structure,Active Interface,Interface Uniformity,Keywords7,Keywords8,Keywords9 | 540000000 |
83 | 2021 | 소부장분야전문인력양성(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0975 | 나노소재 기반 첨단소자 제조공정 및 측정분석 실습교육과정 | Nano material based advanced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and measurement analysis curriculum | 안창현 | (재) 대구테크노파크 | 대구광역시 동구 | 20200304 | 20260228 | 나노전자 소자기술 | ○ R&D 역량강화 및 산업현장 수요에 대응한 핵심 인력양성 - 나노측정분석 교육(Microscopy/Spectroscopy)을 통한 전문인력양성(30명) - 차세대 태양전지 공정 및 태양전지 소자특성 평가를 통한 전문인력양성(15명) - 나노 소재 기반 첨단 소자 제조 및 신뢰성 공정 교육을 통한 취업연계 인력양성(10명) | ○ 나노기술 산업화 촉진을 위 핵심동력인 양질의 나노전문인력 양성 - 대학 및 대학원생 대상으로 이론과 실무를 겸한 현장실무형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산업체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신속히 양성 - 나노관련 연구개발에 필수적인 나노공정, 나노소자 및 측정분석 실습교육 지원을 통해 기업의 R&D 역량강화에 기여○ 기 구축 나노인프라의 효율적 활용 - 대... | 나노소재,나노공정,첨단소자,측정분석,나노인프라,태양전지,신뢰성,장비운용실습 | nano,microscopy,spectroscopy,solar cell,perovskite,manufacturing,process,material | 240000000 |
141 | 2022 | 소재부품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641 | 반도체 결함 검사장비용 CaF2 광학소재 및 광학모듈 기술개발 | Development of CaF2 and optical module for an inspection system on semiconductor defect | CHOI JU HYEON | 한국광기술원 | 광주광역시 북구 | 20210601 | 2024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o 부처협업 종합관리, 추진방향 Milestone - 본 과제 핵심 개발 내용 담당인 1세부, 2세부 참여기관으로 역할 수행 예정 ㆍ선진사 단결정 소재 및 광학렌즈 성능평가 등 부처협업 기술세미나 ㆍ단결정 소재 기술 내재화를 통한 2세부와 브리지 역할 소통 추진 o 사업화 전략수립 - 자외선 광학렌즈 TPRM (Technical ... | ㅇ 고부가가치의 불소계 광학결정소재(CaF2, MgF2, BaF2)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인 R&D 기술지원을 통해 원천소재 내재화 및 대일 의존도 탈피 * 자외선 광학소재,부품 세계시장규모(607.2백만불) 및 대일수입액(196.8백만불)로 대일의존도 23%ㅇ 고부가가치인 반도체 노광기 EUV 광학계 높은 기술진입장벽 돌파, 시장진입 교두보 확보... | 불화칼슘,자외선 렌즈,광학모듈,자외선 코팅,결함 검사기 | CaF2,Ultraviolet lens,Optical Module,UV coating,Defect inspection system | 200000000 |
149 | 2021 | 나노융합혁신제품기술개발사업(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5089 | 차량 이용자의 편의안전성 향상을 위한 내외장부품 | Interior and exterior parts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vehicle users | 하진욱 | 한국자동차연구원 | 충청남도 천안시 | 20210401 | 20251231 | 기타 나노기반 공정기술 | [차량 이용자의 편의·안전성 향상을 위한 자동차 내·외장 부품 개발 과제 총괄 운영]ㅇ(총괄) 총괄 워크샵 개최 및 전문가 운영위원회 구성 - (1세부) 나노 첨가제 개발 및 입자 제조 기술 개발 - (2세부) 불소계 화합물 방오재 합성 기술 및 투명전극 공정 확보 - (3세부) 스킨/쿠션층 나노 복합소재 기술개발 | 차량 이용자의 편의 및 안전성 향상 기술은 특정 자동차에 한정하지 않고 자율차, 전기차, 내연기관차에 적용 가능하며, 항공 및 철도 등의 수송기기까지 적용이 가능함 자동차 산업뿐 아니라 전 산업적으로 감성 마케팅이 진행되고 있어, 수송 기기용뿐 아니라, 가전제품까지도 확대 적용 가능 본 기술 개발 완료 후 자동차용 전면 유리를 비롯한 유리창, 헤드램프를... | 나노복합소재,편의성,안전,내장부품,외장부품 | Nano Composite,Convenience,Safety,Interior parts,Exterior parts | 50000000 |
85 | 2022 | 전략핵심소재자립화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274 | 소재부품장비 세라믹 산업 협력단 | Ceramics Industry Consortium for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 양희춘 | 한국세라믹연합회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20200801 | 2025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 (사업운영체계 구축 및 개선) 세라믹산업협력단 내에 사업추진위원회, 자체평가위원회, 사무국, 3대 주요 소위원회 및 미래비전소위/지속발전소위(세라믹학회와 공동)를 두어 주요 사업수행 및 로드 맵수립. 11개 협력과제 총괄책임자 및 협력단장(당연직)과 산학연전문가로 구성된 협력단 총괄위원회 운영 및 개선 - (사업화 촉진) 세라믹 산업 통합 기술개발... | ㅇ 산업 협력단의 R&D 과제 관련 직접적 파급효과 - 세라믹 산업 R&D 과제의 세라믹 소재-수요기업 간 통합 기술개발 현황분석과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모델 발굴을 통해 세라믹 산업 기술개발 및 사업화 로드맵 수립, 신규과제 및 규제개선 제안으로 사업화 촉진 효과가 기대됨 - 세라믹 산업 R&D 과제 수행기관 간 주기적 기술교류와 치밀한 성과관... | 세라믹산업,수요공급 협력모델,성과관리체계,산업통계,GVC 구축 | Ceramics Industry,DemandSupply Cooperation Model,Performance Management System,Industrial Statistics,GVC construction | 306480000 |
128 | 2021 | 나노·소재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1926 | 소프트 IoT 패치용 플랫폼 구현을 위한 스트레스 릴리프 기판 및 3차원 인터커넥션 배선 공정 개발 | Development of stress-relief substrates and 3D interconnection technologies for soft IoT plaforms | 최경철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60801 | 20210731 | 나노전자 소자기술 | 다양한 개별센서의 기능이 결합된 전자패치형 soft IoT platform 에 적용할 stress-relief 구조를 가진 기판을 제작하여 유연성 및 신축성을 지닌 금속 나노소재 composite 구조 기반의 재료를 저온 공정인 프린팅을 이용함으로써 개별센서소자 간의 3차원 interconnect 배선을 통해 전체 개별 센서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 | 1.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계획○ 개발된 인체부착형 수면무호흡 패치를 이용한 임상실험 및 신뢰성 확보.○ 보다 다양한 센서의 집적 및 신호를 활용한 수면무호흡증 검사 시스템의 개선.○ 개발된 소프트 IoT 플랫폼을 헬스케어 등 다양한 모바일 시스템 개발에 활용.2. 기대효과○ 다양한 센서, 저전력 통신, 소프트 전자패치 플랫폼 기술의 확보 및 인력양성.○ ... | 전자패치,전도성 나노소재,신축성 기판,3차원 프린팅,스트레스 완화 | Electronic patch,Conductive nanomaterials,Stretchable substrate,3D printing,Stress-relief | 174000000 |
106 | 2021 | Tech-Bridge활용상용화기술개발(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7798 | Tech-Bridge활용상용화기술개발 기획평가관리비 | 곽문현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 | 20200101 | 20271231 | 나노전자 소자기술 | 테크브릿지(Tech-Bridge) 플랫폼을 활용하여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중소기업 공공기술 기술이전 활성화 촉진 및 R&D지원을 통해 기술·사업화 역량 제고 | 테크브릿지(Tech-Bridge) 플랫폼을 활용하여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중소기업 공공기술 기술이전 활성화 촉진 및 R&D지원을 통해 기술·사업화 역량 제고 | 테크브릿지(Tech-Bridge) 플랫폼을 활용하여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중소기업 공공기술 기술이전 활성화 촉진 및 R&D지원을 통해 기술·사업화 역량 제고 | Tech-Bridge | 985000000 | |
9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9752 | 생체액 내 다중복합 센싱이 가능한 전극 기능화 및 전기화학 센서 시스템 개발 | Electrochemical sensor system using functionalized electrode capable of multiplex sensing in biofluids | 김은중 | 재단법인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 경기도 수원시 | 20210901 | 20240229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본 연구는 전기화학 센서 전극의 표면 개질 및 선택적 기능화를 도입하여 특정 생체물질에 대한 센싱 전극의 성능 개선 연구를 집중 수행하고, 전극을 어레이로 집적화하여 생체액 내 신경 질환 관련 생체 표지물질에 대한 다중복합 센싱 기술의 개발을 목표로 함으로써 향후 전기화학 기반 다중복합 센서의 응용 범위 확장을 고려한 가능성을 탐색한다. | ○ 과학기술적 측면- 센싱 전극에 전기화학적인 공정(전기도금/전기중합)을 응용함으로써 전극 표면 개질화 및 특정 기능화를 부여할 수 있는 기술 개발 기대- 손쉽게 전기화학적인 공정 방법을 이용하여 신호 증폭 효과 및 계면 저항 감소, 전도도 증가 등의 전극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 경제산업적 측면- 비효소 기반 센싱 시스템 개발로 금속/금속 산화물/고... | 전기화학 센서,다중복합 센싱,생체액 분석,전극 기능화-개질화,나노다공성 전극,나노 입자 전기도금,전도성 고분 | electrochemical sensor,multiplex sensing,biofluid analysis,electrode functionalization-modification,nanoporous electrode,nanoparticle electrodeposition,conducting polymer electropolymerization,ion sel... | 89350000 |
158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5933 | 다방향성 구김이 가능한 의류 유기디스플레이 연구 및 응용 기술 | Research on Multi-Directionally Wrinkable Clothing Display and its Applications | 최경철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301 | 20220228 | 기타 나노소자 및 시스템기술 | 정보 디스플레이를 넘어 스마트 패션, 바이오 · 헬스케어, 각종 섬유 및 안전 산업으로의 활용성이 우수한 의류(clothing) 디스플레이 원천기술을 확보한다. 나아가, 구현된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 패션 및 광치료 의류에 대한 구체적인 응용 연구를 수행하여, 부드럽고 유연한 의류 디스플레이의 당위성을 증명한다. 제안된 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요소... | 2017년, 글로벌 웨어러블 시장은 287억 달러(약 34조 8000억원) 수준으로, 2020년경에는 600억달러(70조) 이상의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 예측되고 있다. 그 중 웨어러블 전자섬유 산업은 약 20억 달러 수준으로 형성되어있고, 매년 예측보다 더 빠르게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또한 U(ubiquitous)-헬스케어 시장은 2018년에 5000억 ... | 디스플레이,의류 디스플레이,웨어러블 디스플레이,의류 플랫폼,유기 디스플레이,신축성 봉지 | Display,Clothing display,Wearable display,Clothing platform,OLED display,Stretchable encapsulation | 300000000 |
98 | 2021 | 자동차산업미래기술혁신을위한오픈플랫폼생태계구축(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1415177436 | 자동차산업미래기술혁신을위한오픈플랫폼생태계구축 | Building an open platform ecosystem for future technology innovation in the automotive industry | 곽수진 | 한국자동차연구원 | 충청남도 천안시 | 20210401 | 2025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자동차 산업 데이터를 위한 오픈플랫폼 생태계 구축 - 개별기업이 확보하기 어려운 자동차 분야 다양한 산업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수집-표준화-배포하는 개방형 데이터 플랫폼의 구축- 오픈플랫폼을 활용한 기업지원 및 개방형 자동차 산업 데이터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거버넌스 및 생태계 시스템 3종 구축 | □ 경제적 파급효과 ㅇ 오픈플랫폼 활용 기반 자동차 산업 연계 및 수익 창출 실현 ㅇ 미래차 전문생산기업으로 벨류 전환 및 기업 유치 ㅇ 경쟁력 확보를 통한 원가 절감 및 해외 시장 개척□ 산업적 파급효과 ㅇ 산업데이터 플랫폼 및 자동차 산업 빅데이터 구축 ㅇ 데이터 분석 및 활용 기반 구축 ㅇ 미래형자동차 상용화 기술 ... | 자동차산업데이터,차량지능화,개방형데이터플랫폼,데이터유통생태계,인공지능서비스 | Automotive industry data,Vehicle intelligence,Open data platform,Data distribution ecosystem,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 | 6728300000 |
125 | 2021 | 해양산업수요기술개발사업(R&D)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1524 | 해상구조물 및 선박의 바이오파울링 방지를 위한 CNT 코팅필름 및 적용기술 개발 | 정경국 | 재단법인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 부산광역시 영도구 | 20200518 | 2021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해상구조물 및 선박의 바이오파울링 방지를 위한 CNT 코팅 필름 및 적용기술 개발 CNT 코팅제 개발 : 위치별 표면접촉각* ± 5% 이내 CNT 코팅제 1단계 대면적화 : 1m x 1 m CNT 코팅제 식각공정 개발 : 물리적 방법 CNT 코팅제 초소수성 : 표면접촉각 150° 이상 CNT 코팅제 내구성 : 고압test(5 Mpa 이상) CN... | ○ 기술적 측면 전방산업 개발, 주로 해외에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임. 그러나 일부 국산화를 통해 국가 경쟁력 확보와 더불어, 국내 기업들에 기술 파급력, 기술 확산효과를 통해 CNT코팅제 제조 기술과 관련하여 국내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일조할 것으로 예상됨. 후방산업으로, 해양, 조선 산업을 주로 진행이 되나, 해양환경이 아니더라도 강성... | 해상구조물,선박,바이오파울링,CNT코팅제,안티파울링 | Offshore structure,Vessel,Bio fouling,CNT coating,Anti fouling | 80000000 | |
90 | 2021 | 산업기술알키미스트프로젝트(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4609 | AI 기반 분해 및 열화속도 제어형 초임계 소재 개발 | Development of Supercritical Materials with Controlled Electrochemical Decomposition and Degradation Rat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안재평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기타 기타 | 20200901 | 20270228 | 계면 혹은 표면의 나노구조화기술 | [개발목표] AI·빅데이터 기반 소재 설계 시스템 구축[개발내용]1. AI·빅데이터 기반 분해 및 열화속도 제어형 초임계 소재 개발 시스템 구축2. 초임소재의 복합 환경 下 in situ/in operando 측정/분석을 통해 소재부식/분해 메커니즘 규명3. AI·빅데이터 기반 극한환경용 고온 고내식 초임계 소재 설계 4. AI·빅데이터 기반 분해 및 열화... | [기대효과] 분해/열화속도 전산모사 및 기계학습모델 개발, 이를 활용하여 후보 합금군 초고속 도출[내용]1. 극한환경 하 고내식 초임계 소재 합금군 도출- 바이오매스, 천연가스 등을 활용하는 고온발전에너지 분야와 같은, 고온환경 하에서 고내식 물성이 요구되는 후보 합금군 도출- 해양플랜트 분야와 같은 초극한환경에서 활용 가능한 고내식 후보 합금군 도출- 연... | 기계학습,분해 및 열화속도,에너지소재,생체소재,극한 환경 | Machine Learning,Decomposition and Degradation Rate,Energy Materials,Bio Materials,Extreme Environment | 452363000 |
18 | 2022 | 나노소재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8472 | 희소자원 대체 첨단복합 자성물질 재료설계 개발 | Rare resources free complex material magnet designing | 박재훈 | 재단법인 막스플랑크 한국포스텍연구소 | 경상북도 포항시 | 20200701 | 2024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 IT 기기, 자동화 기기, 자동차, 드론, 로봇 등 현대 산업계에 널리 활용되며 향후 수요의 지속적 증대가 기대되는 고 특성 영구자석 개발을 위해 신소재 합성을 통한 희소 자원 대체 영구자석 원천기술 개발○ 영구자석 산업 관련 중국의“자원 무기화”와 일본의“기술 무기화”의 파고 극복을 위해 신소재 합성 기반의 영구자석 소재 설계 및 국내 재료 공정 연구... | ○ 희소자원 대체 영구자석 첨단복합물질 합성 핵심기술 확보를 통해 고부가가치 영구 자석 개발 및 추가적인 관련 기술 발굴을 통한 경쟁력 제고○ 국내 자성소재 기업과의 협력 및 기술이전을 통한 국내 기업의 산업 경쟁력 강화○ 저비용 고성능 자성 소재 개발을 통해 광대역 변압기, 전자파 흡수제, 사물 인터넷 등 4차 산업혁명 신 전자부품소재 관련 기술 경쟁력 ... | 영구자석,탈희토류,페라이트,자화률,보자력,제일원리계산,재료합성,분석 | Permanent Magnet,Rare-earth Free,Ferrite,Magnetization,Coercivity,First Principles Calculation,Material Synthesis,Analysis | 727000000 |
145 | 2021 | 미세플라스틱측정및위해성평가기술개발사업(R&D) | 환경부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1485017703 | 마이크로플라스틱(<5㎛)의 열분해기반 정량분석법 기술개발 | Development of quantitative analysis technogloy for microplastic(<5㎛) using thermal decompostion method | 유찬주 |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 서울특별시 금천구 | 20200619 | 2022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열분해 기반 분석법(TGA-FTIR, TED-GC-MS)을 활용하여 토양 및 대기에 수집된 미세플라스틱의 정량분석 방법을 개발하고자 함.● 또한, 열분해 정량평가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추가적인 전처리 방법을 매뉴얼화 하고, 500 건 이상의 열분해 DB 구축(종류별, 혼합비율별, 노화별)을 통해 정량분석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통해 신뢰... | ● 활용방안- 토양 및 대기중 존재하는 미세플라스틱의 정량분석법 개발을 통해, 실제 생활 환경에서의 미세플라스틱 오염 여부를 정확히 판단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미세플라스틱 통합관리 기술개발에 기여● 기대효과- 다양한 환경매체에 잔류하는 미세플라스틱의 조사·분석법 확립을 통한 국내외 환경조사 연구 및 기술개발 기반 구축- 미세플라스틱 측정 및 위해성 평가... | 미세플라스틱,TGA-FTIR,TED-GC-MS,열분해 분석 | Microplastic,TGA-FTIR,TED-GC-MS,pyrolysis analysis | 1137000000 |
166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4186 | 소재부품장비 세라믹 산업 협력단 | Ceramics Industry Consortium for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 양희춘 | 한국세라믹연합회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20200801 | 2025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 (사업운영체계 구축 및 개선) 세라믹산업협력단 내에 사업추진위원회, 자체평가위원회, 사무국, 3대 주요 소위원회 및 미래비전소위/지속발전소위(세라믹학회와 공동)를 두어 주요 사업수행 및 로드 맵수립. 11개 협력과제 총괄책임자 및 협력단장(당연직)과 산학연전문가로 구성된 협력단 총괄위원회 운영 및 개선 - (사업화 촉진) 세라믹 산업 통합 기술... | ㅇ 산업 협력단의 R&D 과제 관련 직접적 파급효과 - 세라믹 산업 R&D 과제의 세라믹 소재-수요기업 간 통합 기술개발 현황분석과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모델 발굴을 통해 세라믹 산업 기술개발 및 사업화 로드맵 수립, 신규과제 및 규제개선 제안으로 사업화 촉진 효과가 기대됨 - 세라믹 산업 R&D 과제 수행기관 간 주기적 기술교류와 치밀한... | 세라믹산업,수요공급 협력모델,성과관리체계,산업통계,GVC 구축 | Ceramics Industry,DemandSupply Cooperation Model,Performance Management System,Industrial Statistics,GVC construction | 331839000 |
14 | 2022 | 바이오의료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4121 | 전문수사관용 현장 잔류 마약류 검출 고감도 휴대용 감지기 개발 | Development of a portable narcotic detector with high sensitivity for professional investigators | 김건년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경기도 성남시 | 20200601 | 2022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본 연구에서는 국민 생명과 건강에 직결된 마약 범죄 예방 및 효율적인 현장 수사를 위해 현장(신체, 의류 등)에 잔류하는 미량의 마약류 검출이 가능한 전문수사관용 휴대용 고감도 마약 감지기 개발을 목표로 함. | 표면탄성파 기반의 고성능 마약감지 센서를 개발하고 시스템화하여 휴대용 고감도 장비를 개발함. 이는 표면탄성파 기술 전문 업체인 참여기업 ㈜ 와이솔에서 상용화 하여 전문수사관 즉, 경찰청에 공급할 예정임. 이 장비는 전문 수사관이 용의자 특정을 위해 현장에서 신체 또는 의류 등에 잔존하는 미량의 마약류를 검출 가능한 수준으로 마약성 약물 10종 탐지에... | 표면탄성파 센서, 마약류 감지, 2D 나노물질, 항체 고정화, 바이오센서 | SAW sensor, Narcotics detection, 2D Nano-material, Antibody Imobilization, Biosensor | 983340000 |
160 | 2021 | 빅데이터기반자동차전장부품신뢰성기술고도화(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1415176223 | 빅데이터 기반 자동차 전장부품 신뢰성기술 고도화(기반조성) | Advanced Reliability Engineering for Automotive Electronics based on Bigdata Technique Infra | 임현택 | 한국자동차연구원 | 충청남도 천안시 | 20210401 | 2025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뢰성 확보 및 산업전반의 기술 고도화로 전장부품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및 이익 극대화 | 기대효과 - 수요기업 연계를 통한 미래자동차 핵심 전장부품 공동 개발 및 신뢰성 조기 확보를 통한 국산화 - 빅데이터 활용을 통한 신뢰성 확보로 전장부품 산업의 경쟁력 제고 및 완성차 업체의 VDS 순위 5위권 진입 - 기업의 기술, 품질, 신뢰성 경쟁력 및 필드이력 부족 전장부품의 선제적 신뢰성 확보 - 주요 부품사의 신규유입 유도 촉진 및 신규진출 기... | 전장부품,신뢰성,빅데이터,전력부품,인지센서 | Automotive Electronics,Reliability,Big data,Powerbased parts,Cognitive sensor | 6950000000 |
127 | 2021 | 민군기술협력(R&D)(산업부,방사청) | 다부처 | 국방과학연구소 | 9991007916 | 저온 배터리성능 유지용 저전압 고출력 유연 면상 발열 소재 개발 | Development of low-voltage, high-power flexible sheet heating material to maintain battery performance in low temperature environment | 신권우 | 전자부품연구원 | 경기도 성남시 | 20170622 | 20210730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발열 소재 특성; 면저항 2Ω/sq 이하, 250℃ 이상 고온 발열 2 W/cm2 출력 발열소재 개발곡률반경 3mm 휨 안정성 확보○ 발열 소재 신뢰성 확보; 발열소재 접착력 5B 이상, 환경안정성 저항변화율 5% 이하○ DC 4.5V 이하 구동 고출력 배터리 히터; 단위면적당 출력 : 2 W/㎠ 이상; 4g 경량 히터, 0.3mm 초박막 히터 설계 및... | ○ 세계 최초로 DC 4V급 구동 고출력 유연 배터리 히터 소재 개발 기술의 확보.○ 국내 2차 전지 및 ESS向 BMS 솔루션 기술 확보.○ 차세대 BMS 기술로서 배터리 히터와 연동할 수 있는 제어 기술 확보.○ 자동차 BMS 핵심기술에 대한 IP 확보. | 저온 성능, 배터리팩, 발열소재 | Low temperautre performance, Battery pack, heating material | 390000000 |
20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3897 | 원자힘현미경을 이용한 단일신경세포 내 마이크로RNA 고해상도 시각화 분석기술 개발을 통한 시냅스 가소성 기전 연구 | Visualization of MicroRNA in a Single Neuronal Cell with Atomic Force Microscope | 박익범 | (재)포항산업과학연구원 | 경상북도 포항시 | 20200301 | 20230228 | 나노 바이오 물질 합성 및 분석기술 | 나노기술(원자힘현미경, AFM)을 이용하여 단일신경세포 내 중요부위 별(soma, dendrite, axon, synapse) 표적 miRNA를 높은 민감도로 고해상도 시각화가 가능한 기술 개발 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시냅스 가소성 및 뇌 질환의 핵심 바이오마커 miRNA의 발굴, 이의 정량적 발현량 차이, 공간적 분포 분석을 통해 miRNA의 기능... | 나노기술의 집약체인 AFM을 활용하여 단일신경세포 내 중요부위 별 표적 miRNA를 단 분자 수준에서의 검출과 결합힘-지도화를 통해 극미량 miRNA의 정량분석 및 나노미터 수준의 고해상도 시각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 할 수 있다. (1) 시냅스 가소성의 핵심 miRNA인 miR-132, miR-134, miR-188-5p, miR-206 등의 단일 시냅스에... | 마이크로 RNA,시냅스 가소성,수상돌기 소극체,원자힘현미경,원자힘현미경 토폴로지,결합힘-지도화,바이오마커,단 | microRNA,Synaptic plasticity,Dendritic spines,Atomic Force Microscopy,AFM topology,Force-mapping,Biomarker,Single cell biology,Neurological disorder | 100000000 |
29 | 2022 | 해양수산기술창업기업Scale-up지원사업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3157 | 친유발수 성질을 가진 다공성 패드를 적용하여 저,중,고점도 기름 유출시 사용가능한 해상오염방제용 고효율 디스크식 유회수기 개발 | 정경국 | 재단법인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 부산광역시 영도구 | 20220401 | 2023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친유발수의 성질을 가지는 다공성 폴리머 고도화○ 다공성 폴리머의 친유성: 기름 접촉각 20° 이하○ 다공성 폴리머의 발수성: 물 접촉각 140° 이상○ 내화학성, 내부식성: 다공성 폴리머 염수 8hr 담지 테스트 시 나노구조체 70% 이상 유지○ 다공성 폴리머의 포어 직경: 500μm 이하○ 다공성 폴리머 디스크 패드의 직경: 30cm 이상○ 다공성 폴리머... | ○ 기술적 측면 - 본 연구팀이 제안하는 유수처리기는 사용 가능 기름 점도, 회수율, 물배출량 등 고효율 유수처리기로서 해외의 유회수기와 성능비교에서도 우위에 있음 - 해외의 유회수기는 물의 흡입을 최소화한다고 하여도 기름의 양에 비해 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아 2차 분리공정이 필요하나 제안한 유회수기는 점도와 상관없이 함수율을 30% 이하로 획기적으로 ... | 디스크식 유회수기,다공성 폴리머,나노구조체,친유발수,해양방제 | Disk Skimmer,Porous polymer,Nano Structure,Oleophilic,Control of marine pollution | 80000000 | |
47 | 2021 | 나노·소재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8825 | 나노팹시설활용지원사업 | Support of nanofab equipment user fee for nano-related R&D activity | 이경엽 | 사단법인 국가나노인프라협의체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101 | 20211231 | 기타 나노소자 및 시스템기술 | ○ 대학의 연구자들이 나노팹 시설 활용 시 연구 장비 이용료의 일정부분 지원을 통해 이용부담을 완화시킴으로써 나노분야 기초·원천연구 촉진 및 정부지원으로 구축된 공공 나노인프라 활용도 제고- 대학 소속 연구자들은 장비이용료 부담으로 고가이용료의 연구 장비를 활용한 연구개발에 애로○ 대학에서 보유하지 못한 나노 관련 최첨단 연구 장비를 저렴하게 활용함으로써 ... | ○ 대학 연구자 그룹 등 이용자 확대를 통한 나노팹 시설 활용의 확대 - 연구장비 이용부담 완화 및 첨단 장비에 대한 접근성 용이○ 대학의 나노분야 기초 및 원천기술개발의 질적 향상 - 다양한 첨단장비 활용을 통한 양질의 연구결과 도출 ○ 나노팹의 안정적 이용료 확보로 이용자에 대한 고품질 팹시설 활용서비스 제공 - 기초 및 원천기술분야의 연구개발 지원서비... | 나노기술,나노팹,나노장비 | Nano technology,Nanofab,Nano equipments | 1000000000 |
133 | 2021 |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964 | 스마트 센싱 유닛 제품화 실증기반 플랫폼 기술개발 | Demonstration platform development of smart sensing unit | 하영호 | (재)경남테크노파크 | 기타 기타 | 20210401 | 20231231 | 나노전자 소자기술 | 스마트 센싱 유닛제품의 신뢰성 테스트와 실증 데이터 확보를 위한 실증센터 및 장비 구축과 제품 스마트화 전환을 위한 스마트센싱유닛 실증테스트베드 플랫폼 및 실증 평가 데이터 알고리즘 개발 산업현장 또는 주요 제조공정에서 나타나는 산업·공정 데이터를 수집하고, 스마트 센싱 유닛 개발제품의 성능을 평가·분석하기 위한 관련 장비 및 스마트 센싱 유닛 적용환경 내... | (플랫폼 구축)스마트 센싱 유닛 제품화 실증모듈 구축을 통한 공정모사 실증모듈 개발(기업지원) 스마트센싱 유닛 제품 활용 엔지니어링 기술 서비스을 통한 기술지원 컨설팅, 시장분석 및 사업타당성 평가, 스마트 센싱 유닛 제품 활용 중소기업 시제품 제작 지원(기술개발) 산업현장·공정의 특정 물리현상을 모사하기 위한 기술 개발을 통한 산업 공정데이터 프로토콜 수... | 스마트센싱유닛,실증 플랫폼,기능 실증 셀,공정 실증 셀,경험기술 | Smart Sensing Unit,Demonstration Platform,Function Demonstration Cell,Process Demonstration Cell,Track Record | 14600000000 |
56 | 2022 | 나노소재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9921 | 표준공정 개발 및 시험인증 시스템 구축을 위한 총괄 운영지원 | The support for development of standard fabrication process & test certification system | 이경엽 | 사단법인 국가나노인프라협의체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816 | 20231231 | 나노전자 소자기술 | 첨단 장비 및 시설을 갖추고 있는 나노인프라 기관을 중심으로 나노기술 연구개발 수요 대응을 위한 전력반도체, 디스플레이, 유연 조명소자 제작에 필요한 표준공정 및 공인 시험인증 플랫폼 개발을 위한 총괄 운영·지원 | 나노인프라 표준공정 기술 구축 및 공인시험인증 기능 강화를 통한 산·학·연 등의 기술개발 지원 등 이용자 만족도 향상 기대공정 및 시험인증지원을 통한 나노기술개발 활성화 및 관련 산업분야 기술의 상용화 촉진 효과 기대 | 표준공정,시험인증,신뢰성평가,한국인정기구,나노인프라,전력반도체,디스플레이,유기발광다이오드 | Standard process,Test certification,Reliability evaluation,KOLAS,Nano infra,Power semiconductor,Display,OLED | 90000000 |
135 | 2021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692 | 소재부품장비 기초화학 산업 협력단 | Basic Chemicals Cooperation Center on Materials Components and Equipments Industries | 김대웅 | 한국석유화학협회 | 서울특별시 종로구 | 20200801 | 2025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ㅇ 기초화학 산업 협력단 체계 확립 및 기업협력 구축 - 협력단 운영위원회 구성·운영(총괄과제 책임자 및 수요기업) · 협력단 운영관련 업무 총괄, 주요 결정사항 심의, 과제별 추진내용·마일스톤·사업비 등 자체 성과 점검 및 평가 등 - 협력단 기술전략위원회 구성·운영(과제별 실무 책임자 및 수요기업) · 산업 통합 기술개발 및 사업화 로드맵 작성·공유... | - 사업화 촉진 : 기초화학 산업 통합 기술개발 및 사업화 로드맵 수립, 협력모델 및 과제 제안, 규제 개선 제안 등 사업화 촉진 제반 활동 추진 · (수요기업 로드맵 확보·공유) 협력단내 수요기업 로드맵 확보·공유를 통한 소재-수요기업 간 통합 기술개발 현황 분석 및 투자방향 모색 · (협력모델 제안) 협력단내 수요-공급기업 수요 ... | 소재부품장비,기초화학,화학소재,정밀화학,고분자소재 | materials conmponents and equipments,basic chemicals,chemical materials,specialty chemicals,polymers | 400000000 |
32 | 2022 | 나노융합혁신제품기술개발사업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80976 | 저가 고내구성 백금합금계 나노촉매 기반 연료전지 모듈 | Low cost high durability nano platinum alloy catalyst based fuel cell module | 김형준 |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 경기도 수원시 | 20220401 | 2025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총괄주관기관 :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ㅇ 1단계 목표 달성을 위한 종합관리, 세부 간 시너지 창출을 위한 협력사항 발굴 및 지원 [(세부1)주관연구개발기관] ㅇ 탄소담체 비표면적 120m2/g이상, 결정성 3.2nm 이상 산화전극 개발 ㅇ 탄소담체 비표면적 400m2/g이상, 결정성 2.0nm 이상 환원 전극 개발 ㅇ 탄소담... | [과학 기술적 측면 기대효과] ㅇ 원천기술 확보 및 기술 고도화 - 고성능/고내구성 백금계 합금촉매 및 양산공정 기술개발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연료전지 촉매 원천기술 확보 및 국산화 - 그간 투자 성과로 획득한 연구성과를 활용하여 학연산 협동연구 추진함으로써 핵심 소재 및 부품에 대한 산업화 추진 [경제적 사회적 측면 기대효과] ㅇ 신재생에너... | 나노소재,연료전지,나노촉매,저가,고내구성 | Nano material,Fuel cell,Nano catalyst,Low cost,high durability | 50000000 |
46 | 2022 | 미래소재디스커버리지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9554 | 양자알케미 설계 신규 구조 inorganic superionic conductor 소재 엔지니어링 | Quantum alchemy inspired novel structured inorganic superionic conducting aterial engineering | 김경수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경기도 성남시 | 20180716 | 20240715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양자 알케미 계산과학 기반으로 정밀 설계된 신규 구조 inorganic superionic conductor 소재 개발을 통한 고에너지밀도 고안전성 전고체전지 원천기술 확보를 지향. [inorganic superionic conductor 합성 및 계산과학과의 상관관계 규명 연구] ? 계산과학 기반 argyrodite 구조계 황화물 고체전해질 원소 치환 합... | 전고체전지 시장은 향후 10년간 연평균 약 140%의 높은 성장률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나 핵심 소재인 고체전해질에 관련된 국내 기반 연구는 미흡한 상황임. 따라서 본 과제 결과로 도출된 신규 초이온전도체를 활용할 경우 국내 소재 및 전지 회사와 연계하여 전고체전지 시장에서 해외 기술 의존도를 낮추고 국내 기술 확보를 통한 시장 점유율 확대에 기여할... | 초이온전도체,무기계 고체전해질,전고체전지,계산과학,구조분석,황화물 고체전해질,할로젠화물 고체전해질,안전성 | superionic conductor,inorganic solid electrolyte,all solid state battery,computational science,structural analysis,sulfide solid electrolyte,halide solid electrolyte,safety | 200000000 |
37 | 2022 | 전략핵심소재자립화기술개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745 | 소재부품장비 탄소 산업 협력단 | Carbon Industrial Cooperation | 박종현 | 사단법인탄소융합산업연구조합 | 전라북도 전주시 | 20200801 | 2025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사업화 촉진] 1, 사업화 로드맵 확보 ㆍ공유 : 6건 2. 수요-공급기업 협력 모델 발굴 : 6건 3. 해당산업 수요조사 제안 : 6건 4. 과제내용ㆍ마일스톤ㆍ사업비 관련 제안 : 6건 5. 법 ㆍ규제 개선 제안 : 2건[기술교류 및 성과 괸리] 1. 기술교류 : 4건 2. 성과관리 실적: 6건 3. 우수성과 발굴ㆍ채택 : 3건 ... | - 객관적이고 기업수요에 맞는 GVC 시장 대책 마련에 따른 시장 선점의 정보 제공 - GVC 분석결과에 따른 변화에 대처 국내 지역 거점화를 통한 신규 공급망 확보의 정보제공을 통한 사업화 성공에 제고와 이를 바탕으로 하는 해외 의존 탈피 및 내재화 가능 - 국내 탄소기업 현황에 맞는 사업화 기획 및 규제 해소 및 법제화 확립을 통한 국내 기업의... | 탄소섬유,글로벌 공급망,로드맵,기술가교,성과관리 | carbon fiber,GVC(Global Value Chain),road map,tehcnical bridge,performance managment | 300000000 |
143 | 2022 | 나노융합혁신제품기술개발사업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468 | 다양한 형상의 3차원 자유 곡면에서 구현 가능한 터치입력장치 개발 | Development of a touch device that can be implemented on a 3D free curved surface of various shapes | 곽민기 |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 경기도 수원시 | 20210401 | 2025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다양한 형상의 3차원 자유 곡면에서 구현 가능한 터치입력장치 개발 2차년도 목표]ㅇ 연신율 15%, 면저항 40Ω/sq급 성형용 은나노와이어 투명전극필름 제조 기술 개발ㅇ 투과율 91 % 이상, 열성형 연신율 20 % 이상의 곡면 성형이 가능한 투명 기판 개발ㅇ 1단계 시제품 구현 및 분석 | 다양한 형상의 3차원 자유 곡면에서 구현 가능한 터치입력장치 개발 의 2차년도 결과물로성형용 코팅액 기본 특성(연신, 저항) 확보, 20 %, 성형 가능 고경도 기판, 1단계 시제품 개발(조작계 및 터치 어레이 일체형 자유곡면 터치센서)을 완료할 수 있음. 이를 통해 1단계 진행하는 2단계 개발하는 최종 시제품을 개발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 | 나노소재,투명전극,자유 곡면 ,연신,터치장치 | Nano material,transparent electrode,free curved surface,elongation,touch device | 50000000 |
57 | 2022 | 나노소재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9952 | 산화물반도체 기반 투명 AMOLED 일괄공정 개발 | Full Process Development of Transparency AMOLED based on Oxide TFT backplane | 이승현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경기도 성남시 | 20190816 | 20231231 | 나노전자 소자기술 | ㅇ 6inch/20PPI급 TFT backplane 개발을 위한 IGZO TFT 소자 제조 단위공정 개발 ㅇ Oxide TFT 소자 성능 향상 공정 기술 개발 ㅇ 표준공정라이브러리 작성 | ㅇ Oxide TFT Backplane 단위표준화 공정 구축을 통해 디스플레이 소재·부품 관련 기업의 제품 개발 및 사업화 지원에 활용함 ㅇ 개발된 단위 공정은 디스플레이 장비회사 및 소재 회사의 제품 개발위해 필요한 단일막 또는 다중막을 고품질로 제작하여 지원함 ㅇ 개발된 증착 및 패터닝 공정을 활용하여 이미지 센서, 디스플레이 등 개발을 위해 필요한 기... | 산화물 반도체,박막 트렌지스터,유기발광다이오드,투명,디스플레이,이동도,능동소자,표준 공정 | Oxide semiconductor,Thin film transistor,OLED,Transparent,Display,Mobility,Active matrix,Standard process | 170000000 |
11 | 2022 | 나노소재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3912 | 초소형 전기화학식 가스센서와 planar UV source 기반의 광이온화식 센서 개발 및 다중측정 장치 개발 | Development of ultra small electrochemical gas sensor, planar UV source based photoionization sensor and multi chemical detector | 하승철 | 주식회사 센코 | 경기도 오산시 | 20170929 | 20240628 | 기타 나노소자 및 시스템기술 | 초소형 전기화학식 가스센서와 planar UV source 기반의 광이온화식 센서 개발 및 다중 측정장치 개발 ※ 유해가스 감지용 초소형 전기화학식 가스센서 개발 ※ 화학테러물질 감지용 planar UV source 기반의 광이온화식 센서 개발 ※ 센서별 모듈 개발 및 다중측정 장치 시작품 개발 | ? 다양한 산업현장의 유해가스 측정기기 및 테러 화학물질 측정기기 제품에 활용 ? 국내외 가전제품 제조사 및 IoT 제품 제조사와의 협력을 통한 IoT 제품에 활용 ? 주관기관 개발 제품인 Breath analyzer와 Air Quality Monitoring 제품에 활용 ?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등의 스마트 기기 내 핵심 센서 부품으로 활용 | 전기화학식 가스센서,광이온화식 센서,초소형 센서,유해가스,화학테러물질,센서 모듈,다중 측정기,스마트 모듈 | Electrochemical gas sensor,Photo ionization detector sensor,Ultra small sensor,Hazardous gas,Chemical terror agent,Sensor module,Multi detector,Smart module | 413400000 |
78 | 2021 | 나노·소재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9272 | 나노인프라 연계체계 총괄지원(한국나노기술원 연계 협력 사업) | Development of One-stop Service System for Nanofabs Process | 김지현 | 한국나노기술원 | 경기도 수원시 | 20211022 | 20261231 | 기타 나노기반 공정기술 | 수요자 중심의 원스톱 서비스 지원시스템 구축, 운영 및 KNCI운영 활성화를 통한 나노인프라 이용환경 개선 및 연계, 협력 기능 강화 - 이용자 편의성 및 접근성 향상을 위한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 코디네이터 운용 등 수요자 공정서비스 지원시스템 구축 및 운영 - 나노인프라 간 연계, 협력 활동 지원, 성과관리, 수요장비 우선순위 도출 및 이용자 만족도 향... | ○ 기술적 측면: 나노인프라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통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기술, 정보, 지식 공유를 통해 산업육성 및 사업화 촉진 효과 발생○ 경제, 산업적 측면: 각 기관이 보유한 장비를 연계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연구자 및 기업의 나노인프라 활용의 효율성을 제고○ 사회적 측면: 나노인프라의 통합시스템 구축을 통해 차세대 나노 기술 ... | 나노인프라 | service system for nanofabs process | 110000000 |
16 | 2022 | 나노소재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4838 | 액상 마약류 수용체 2D 나노 물질 자가 조립 소재 및 탄성파 기반 센서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a liquid drug receptor based on self-assembled 2D nanomaterials and surface acoustic wave sensor technology | 김건년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경기도 성남시 | 20170929 | 20220928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본 연구에서는 국민 안전이 보장되는 미래사회 구현의 중요성에 대응하여 최근 국내에서 가속화되는 마약류범죄 근절을 목표로, 액상 마약류 유해물질 실시간 현장 검출을 위한 액상마약수용체 기반 2D 나노 물질 자가 조립 소재와 표면탄성파 기반 고감도 센서 원천기술을 개발하고자 함. | 마약류 유해물질 밀반입 근절을 위한 공항 內 실시간 현장 검출용 휴대용 센서상습 마약류 범죄 구역에 설치될 소형, 저전력, 거치형 센서저가형·보급형 마약 검출 센서 상용화를 통한 국민안전 확보개발된 소재 및 소자 기술 민간기술로의 활용 (농약 검출 센서, 실시간 헬스모니터링, 사물인터넷 등) | 표면탄성파 센서,마약류 감지센서,2D 나노물질,마약 수용체,자가조립 소재,인공항체,휴대용 감지기,센서 어레이 | SAW sensor,Drug sensor,2D nano-material,Drug receptor,Self-assemble material,artificial antibody,portable detector,sensor array | 250000000 |
63 | 2021 | 도로기술연구(R&D)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392 | 외부자극 감응형 도로교통안전시설 재료 및 제품 개발 | 임보규 | 한국화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금천구 | 20190401 | 20221231 | 기타 나노소재기술 | ▣ 외부자극 및 통행차량의 특성을 고려한 도로교토 안전 향상 기술 개발- (정성) 외부자극 감응형 도로교통안전시설 재료 및 제품 개발- (정량) 외부자극 감응형 도로교통안전시설 재료(제품) 및 설치·관리 매뉴얼 개정(안) : 실시간 도로정보 시각화 기술을 활용한 노면결빙 교통사고방지 도로교통안전시설 개발 : 외부 기온변화(저온)에 따른 변색 제어 기술을... | 안전한 주행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지능형 도로에 대한 기술수요 급증하고 있어 지능형 교통안전 기술에 대한 원천기술 확보를 통한 해외기술 의존도 해소 및 세계 최고 수준 기술 확보를 위한 초석 마련. 급격히 변화하는 첨단 국토교통기술에서 도로정보 시각화와 주행 안전성에 대한 핵심 요소기술 개발로 안전한 교통환경 조성 이바지 신개념의 도로차선 핵심원천기술의... | 자극 감응,도로 시인성,도로안전,장잔광,주행안전 | stimuli-response,Road visibility,Road safety,Persistence phosphorescence,driving safety | 1983336000 | |
123 | 2021 | 나노·소재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0548 | 아토초 광시설을 활용한 나노 소재 광특성 연구 | Ultrafast Nano-optomaterials Research | 김동언 | 재단법인 막스플랑크 한국포스텍연구소 | 경상북도 포항시 | 20160701 | 20211231 | 나노 photonics기술 | 세계적 수준의 기초과학 연구소인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와의 네트워크 중심의 허브형 국제공동연구 수행으로 나노 구조체의 극고속 광 특성 및 제어 분야에서 세계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자 함. 특히 최첨단 아토초, 펨토초 광시설을 활용하여 나노 구조체 내에서의 전자 간 상호작용의 실시간 측정, 제어 및 조작에 대한 연구 및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자 함. 또한, ... | 본 연구는 이전에 제대로 연구된 적이 없는 원자, 분자, 나노 구조체 등에서 전자 간 상호 작용을 실시간으로 탐구하는 것으로 새로운 길을 제시하며, 과학적 패러다임의 전환을 이끌어 낼 수 있음. 본 센터가 보유한 아토초 광원과 XFEL광원은 상호 보완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음. 따라서 두 기술을 결합한 연구는 미지의 영역을 개척하는 새로운 연구 분야를 창출... | 극고속 과학,극고속 분광학,극고속 나노 영상학,위상물질,양자 자성계 연구,저차원 자성체 연구,기능성 복합 구 | Attosecond Science,attosecond spectroscopy,attosecond imaging,XFEL science,Multiferroics | 536270000 |
51 | 2022 | 소부장분야전문인력양성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9602 | 화합물계 나노소자공정 및 측정분석 실습교육과정 | Technology Training Program for Compound semiconductor-based Nano Devices Fabrication Processes and Characterization | 김영관 | 한국나노기술원 | 경기도 수원시 | 20200304 | 20260228 | 기타 나노기반 공정기술 | ○ 나노인프라를 활용한 화합물계 나노소자공정 및 측정분석 전문 인력 양성 - (기초)화합물계 나노소자공정 및 측정분석(현미경/분광학) 교육 - (응용)화합물계 소자제작(마이크로LED)공정, TEM 고급활용 기술 교육 - (고급)취업연계형 전 주기의 반도체 전문교육을 통한 실무형 인력양성○ 인력양성 목표 - 추진목표 105명: 기초교육: 화합물계 나노소자공... | ○ 나노기술 산업화 촉진을 위해 핵심동력인 양질의 화합물계 나노공정 및 측정분석, 나노 소자제작 공정 전문 인력공급: 현장 실무형 실습교육을 통해 화합물계 반도체?나노기술 산업분야에 필요한 나노공정, 나노소자 및 측정분석 전문 인력양성으로 연구개발 및 산업화 경쟁력 확보○ 화합물계반도체 나노기술 인력양성 기반 구축: 시설 및 장비, 실습플랫폼 등... | 화합물계,반도체공정,나노소자,광소자,광전변환소자,발광소자,에피박막성장,공정장비 | Compound,Semiconductor Process,Nano Device,Photonic Device,Conversion Device,LED,Epi growth,Process Equipment | 760000000 |
24 | 2022 | 미세플라스틱 측정 및 위해성평가 기술개발사업 | 환경부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1485018496 | 마이크로플라스틱(<5㎛)의 열분해기반 정량분석법 기술개발 | Development of quantitative analysis technogloy for microplastic(<5㎛) using thermal decompostion method | 고병례 |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 서울특별시 금천구 | 20200619 | 2022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 미세플라스틱 모니터링을 위한 정밀 측정 기술의 개발을 최종목표로 환경 매체별 정량 분석법, 매체별 시료 채취와 전처리 통합 표준 기술, 측정 분석을 위한 표준 물질 개발과 검증 및 관련 표준절차서(안) 개발을 통해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함. | ● 활용방안- 토양 및 대기중 존재하는 미세플라스틱의 정량분석법 개발을 통해, 실제 생활 환경에서의 미세플라스틱 오염 여부를 정확히 판단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미세플라스틱 통합관리 기술개발에 기여● 기대효과- 다양한 환경매체에 잔류하는 미세플라스틱의 조사·분석법 확립을 통한 국내외 환경조사 연구 및 기술개발 기반 구축- 미세플라스틱 측정 및 위해성 평가... | 미세플라스틱,TGA-FTIR,TED-GC-MS,열분해 분석 | Microplastic,TGA-FTIR,TED-GC-MS,pyrolysis analysis | 1150000000 |
79 | 2021 | 약물이용범죄사전예방을위한휴대용신속탐지기술개발(R&D)(경찰청,과기정통부) | 다부처 | 한국연구재단 | 1711131582 | 전문수사관용 현장 잔류 마약류 검출 고감도 휴대용 감지기 개발 | Development of a portable narcotic detector with high sensitivity for professional investigators | 김건년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경기도 성남시 | 20200601 | 20221231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본 연구에서는 국민 생명과 건강에 직결된 마약 범죄 예방 및 근절을 위한 효율적인 현장 수사를 진행하는 전문수사관이 용의자 특정을 위해 현장(의류, 신체 표면 등)에 잔류하는 미량의 마약류 검출이 가능한 전문 수사관용 휴대용 고감도 마약 감지기 개발을 목표로 함. | ■ 마약류 범죄 현장에서 사용될 휴대용·저전력·고감도 센서 및 마약 감지기■ 스포츠, 바이오·의료 산업에서 바이오센서 소자 기술에 응용■ 5G, 사물인터넷(IoT), AI 산업에서 무선·무전력 센서에 사용가능한 표면탄성파 센서 소자 기술에 응용 | 표면탄성파 센서 마약류 감지 2D 나노물질 항체 고정화 휴대용 바이오센서 감지막 반자동화 전사공정 | SAW sensor Narcotics detection 2D Nano-material Antibody Imobilization Portable Biosensor Sensing Film Semiautomatic Transfer Process | 1086670000 |
101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0135 | 생체액 내 다중복합 센싱이 가능한 전극 기능화 및 전기화학 센서 시스템 개발 | Electrochemical sensor system using functionalized electrode capable of multiplex sensing in biofluids | 김은중 | 재단법인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 경기도 수원시 | 20210901 | 20240229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본 연구는 전기화학 센서 전극의 표면 개질 및 선택적 기능화를 도입하여 특정 생체물질에 대한 센싱 전극의 성능 개선 연구를 집중 수행하고, 전극을 어레이로 집적화하여 생체액 내 신경 질환 관련 생체 표지물질에 대한 다중복합 센싱 기술의 개발을 목표로 함으로써 향후 전기화학 기반 다중복합 센서의 응용 범위 확장을 고려한 가능성을 탐색한다. | ○ 과학기술적 측면- 센싱 전극에 전기화학적인 공정(전기도금/전기중합)을 응용함으로써 전극 표면 개질화 및 특정 기능화를 부여할 수 있는 기술 개발 기대- 손쉽게 전기화학적인 공정 방법을 이용하여 신호 증폭 효과 및 계면 저항 감소, 전도도 증가 등의 전극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 경제산업적 측면- 비효소 기반 센싱 시스템 개발로 금속/금속 산화물/고... | 전기화학 센서,다중복합 센싱,생체액 분석,전극 기능화-개질화,나노다공성 전극,나노 입자 전기도금,전도성 고분 | electrochemical sensor,multiplex sensing,biofluid analysis,electrode functionalization-modification,nanoporous electrode,nanoparticle electrodeposition,conducting polymer electropolymerization,ion sel... | 43400000 |
99 | 2021 | 소재부품장비전략협력기술개발(R&D)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57672 | 구리-그래핀 입자를 활용한 전장.전자부품 접착용 전도성 방열 잉크 소재 개발 | - | 양우석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경기도 성남시 | 20211220 | 20241219 | 나노소재기술(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1차년도 - 그래핀 제조 기술 개발 * 선택적 그래핀 크기 제어 기술 * 고전도성 그래핀 환원 공정 기술 - 구리-그래핀 입자 제조 기술 개발 * 그래핀 코팅 두께 제어 기술 * 페이스를 위한 바인더 기술 | 1) 연구개발성과의 활용방안 - 본 연구개발 과제를 통해 10 W/mK 이상급 고방열 전도성 접착 잉크 소재를 개발함으로써, 기존 소재 보다 높은 방열 물성이 요구되는 전장.전자 부품 전도성 접착 잉크에 활용이 가능함 2) 연구개발성과의 기대효과 (1) 과학·기술적 측면 - 본 과제를 통해 맞춤형 그래핀 제조 공정과 실질적인 그래핀 응용제품을 개발... | 그래핀,방열소재,구리그래핀,전자소재,그래핀복합소재 | Graphene,Heat dissipation,Copper graphene,Electronic material,Graphene composite | 218250000 |
판매제공처 홈페이지 | hellodd.com | 라이선스 |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
---|---|---|---|
판매 담당자 | 대덕넷 | 권한 | HelloDD |
연락처 | 070-4171-3524 | 접근 권한 | public |
이메일 | sungmin8497@hellodd.com | 상품 구분 | dataset |
품질측정 검사 | 품질측정기간 | ~ | |
---|---|---|---|
품질측정기관 | 대덕넷 | 품질측정연락정보 | 0428615005 |
품질측정결과 | 품질측정내용 |
현재 준비중입니다.
10047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황금1로 122,김포제조융합혁신센터 3층 한국산업기술시험원 ㅣ 사업자번호 : 113-82-06228 ㅣ 대표자명 : 김세종 ㅣ TEL: 02-860-1059 ㅣ E-mail: bigdata.dx@ktl.re.kr
Copyright ⓒ 2021 KOREA ENTERPRISE DAT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