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협의 상품 및 유료상품의 구매를 원하실 경우 맞춤형 데이터 신청란에 글을 남겨주시면
신속히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데이터셋명 | ST분야대학별과제데이터 | 데이터 유형 | csv |
---|---|---|---|
데이터 분야 | 과학기술 | 구축 데이터량 | 1.90 MB |
구축기관 | 대덕넷 | 데이터 갱신 일자 | 2022-11-22 |
데이터 개방 일자 | 2022-10-27 | 데이터 이용 기한 | 무기한 |
데이터 갱신 주기 | - | 버전 | - |
주요 키워드 | ST,우주항공, 정부과제, 대학, 데이터 | ||
벨류체인 키워드 | 기술획득 | ||
소개 | 과학기술 ST(Space Technology) 분야 대학별 정부 R&D 과제 데이터입니다. |
국내 ST 분야 대학별 과제 데이터 상품설명서
□ 상품설명
○ 국내 ST 분야 대학별 과제 데이터 상품은?
· 2010년~2022년 기준 국내 ST 분야 대학별 과제 데이터입니다. 국내 대학에서 진행한 ST 분야 과제의 세부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T 분야인 우주기술은 위성체, 발사체, 항공기 등의 개발과 관련된 복합기술입니다. 전자, 반도체, 컴퓨터, 소재 등의 관련 첨단기술을 요소로 하는 미래의 유망 분야로 꼽힙니다. 과거부터 지금까지 과학 문명이 발전하면서 인류는 우주라는 곳에 호기심을 갖기 시작했으며 각종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데이터 주요 키워드
· #ST #우주기술 #과학기술 #과제데이터 #대학
○ 데이터 활용 및 이용 권장 고객
· ST 분야 국내 대학 과제 데이터를 활용(공유)하고자 하는 기업인
· ST 분야 과제 데이터를 활용해 융합연구를 위한 공공·민간 연구자
· 학술 연구를 위한 이공계 대학생·대학원생
□ 데이터 활용 방안
○ 국내 ST 분야 대학별 과제 데이터 상품 활용 방안은?
· ST 분야는 기술개발 결과가 타 분야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매우 큰 종합기술입니다. 선진국의 기술 장벽이 높은 가운데 국내 우주기술 분야의 산업화와 관련된 신기술 개발 육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 데이터셋의 구성
○ 데이터셋의 구성
· 국내 ST 분야 대학별 과제 데이터는 총 N개의 데이터로 구성돼 있습니다.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인 NTIS(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의 데이터에 기반합니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연구하고 있는 과학기술을 비롯하여 각종 연구개발사업과 관련된 과제, 인력, 연구시설·장비, 성과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 연구개발(R&D) 지식포털입니다.
데이터 구분 | 데이터 요약 | 제공 방식 |
국내 ST 분야 대학별 과제 데이터 | - 국내 대학에서 수행한 ST 분야 과제 세부 내역 - 연구수행주체 및 수행기관 - 6T분류 및 과학기술표준 분류 코드 | - csv/zip |
□ 데이터셋의 구조
○ 데이터셋의 구조
No. | 칼럼명 | 데이터 타입 | 칼럼설명 |
1 | 일련번호 | VARCHAR(14) | 일련번호 |
2 | 기준년도 | VARCHAR(4) | 기준연도 (Ex. 2020) |
3 | 사업명 | VARCHAR(1000) | 사업명 |
4 | 부처명 | VARCHAR(500) | 부처명 |
5 | 과제관리기관명 | VARCHAR(300) | 과제관리기관명 |
6 | 과제고유번호 | VARCHAR(100) | 과제고유번호 (총 10자리 숫자) |
7 | 국문과제명 | VARCHAR(500) | 과제명(국문) |
8 | 영문과제명 | VARCHAR(500) | 과제명(영문) |
9 | 연구책임자명 | VARCHAR(20) | 연구책임자명 |
10 | 과제수행기관명 | VARCHAR(500) | 과제수행기관명 |
11 | 지역구분내용 | VARCHAR(20) | 지역구분 (ex.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12 | 총연구기간시작일 | VARCHAR(8) | 총연구기간시작일 (Ex. 20220718) |
13 | 총연구기간종료일 | VARCHAR(8) | 총연구기간종료일 (Ex. 20220718) |
14 | 6T관련기술분류내용 | VARCHAR(500) | 6T관련기술분류 (Ex.4세대 이동통신) |
15 | 연구목표요약 | VARCHAR(1000) | 연구목표요약 |
16 | 기대효과요약 | VARCHAR(1000) | 기대효과요약 |
17 | 한글키워드 | VARCHAR(500) | 한글키워드 |
18 | 영문키워드 | VARCHAR(1000) | 영문키워드 |
19 | 연구비합계 | NUMERIC | 연구비합계 |
20 | 작업구분코드 | VARCHAR(1) | |
21 | 데이터생성일자 | VARCHAR(8) | |
22 | 연계처리상태코드 | VARCHAR(1) | |
23 | 연계처리일자 | VARCHAR(8) | |
일련번호 | 기준년도 | 사업명 | 부처명 | 과제관리기관명 | 과제고유번호 | 국문과제명 | 영문과제명 | 연구책임자명 | 과제수행기관명 | 지역구분내용 | 총연구기간시작일 | 총연구기간종료일 | 6T관련기술분류내용 | 연구목표요약 | 기대효과요약 | 한글키워드 | 영문키워드 | 연구비합계 |
95 | 2011 | 일반연구자지원 |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연구재단 | 1345152286 | 가까운 외부은하 성단계의 자외선 특성 및 나이분포 연구 | Study of Ultraviolet Properties and Age Distribution of Stellar Cluster System of Nearby Galaxies | 이수창 |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대전광역시 | 20090501 | 20120430 | 기타 우주항공기술 | We will investigate the ultraviolet (UV) properties and global age distribution of globular clusters (GCs) of nearby galaxies which will provide important constraints on the formation and subsequent e... | 1.Extensive UV data set from our works will provide new method on the studies of the formation and evolutionary history of GC system and its parent galaxy. 2. Since our study to the GCs in nearby gala... | 성단 외부은하의 형성 및 진화 자외선 관측 우주망원경 관측천문 항성종족 | Stellar Clusters Galaxy Formation and Evolution Ultraviolet Observations Space Telescope Observational Astronomy Stellar Population | 49776000 |
1952 | 2017 | 개인기초연구(교육부)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262838 | 날갯짓 비행이 가능한 메뚜기 모방 점핑 로봇 개발 | Development of a locust-mimicking jumping robot that can fly by flapping wings | 박훈철 | 건국대학교 | 서울특별시 광진구 | 20170601 | 20200531 | 기타항공기기술 | 본 연구에서는 메뚜기의 점핑과 날갯짓 비행을 모방하여 몸체 길이의 10배 내외의 높이를 점프할 수 있고 점핑 후 날갯짓을 통하여 점핑 거리를 늘리고 자세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는 초소형 점핑+날갯짓 비행 로봇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비행만을 이동 수단으로 하는 비행 로봇은 많은 에너지 소모가 필요하여 비행시간이 짧고 점핑만이 가능한 경우에는 점핑 거리가 짧고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기 어려워 반복적인 점핑이 불가능하다. 메뚜기 모방 초소형 로봇은 점핑이 가능하고 날갯짓 비행의 도움으로 점핑 거리를 향상할 수 있으며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여 반복적으로 점핑이 가능하다. 이러한 초소형 ... | 생체모방 초소형 로봇 메뚜기 점핑 날갯짓 기구 설계 | biomimetics microrobot locust jumping flapping mechanismdesign | 37500000 |
43 | 2015 | 우주핵심기술개발사업 | 미래창조과학부 | 한국연구재단 | 1711027346 | 고부가 산출물 생성을 위한 이종영상 융합 알고리즘 개발 | Development of data fusion algorithms for value-added products | 김덕진 | 서울대학교 | 서울특별시 | 20140701 | 20170630 | 기타 위성기술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센서에서 취득되는 자료들의 고부가 활용을 위하여 이종영상 융합 알고리즘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다양한 활용 기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먼저 이종영상 융합 알고리즘 개발을 위한 국내외 기술현황 분석 및 적용성 평가를 수행하고 알고리즘 개발 및 평가를 위한 테스트베드를 구축한다. 개발된 기술의 평가 및 검증 품질관리를 위하여 이종... | 본 연구를 통하여 기대되는 기술적 산업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A. 기술적 개발성과 이종영상 융합 알고리즘의 국내외 기술 현환 분석 국내 아리랑 영상에서 적용성 평가 이종영상 융합 알고리즘 개발을 위한 테스트베드 자료 구축 고부가 활용 분야(토지피복 분류 도심지 객체 추출 변화 탐지 재난재해 모니터링)의 기술 개발 고부가 산출물 활용기술 개발 및... | 이종영상 이종센서 광학 SAR IR영상 토지피복 분류 도심지 객체 탐지 변화 탐지 재난재해 모니터링 | FusionImages Multisensor Optic SARIR LandCoverClassification UrbanObjectDetection ChangeDetection DisasterMonitoring | 200000000 |
1003 | 2012 | 중견연구자지원 |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연구재단 | 1345166768 | 표면탄성파 기반 고내충격 고기동용 자이로스코프 개발 | Development of the surface acoustic wave gyroscope with high shock endurance and high dynamic range | 양상식 | 아주대학교 | 경기도 | 20090501 | 20140228 | 기타 우주항공기술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진동형 혹은 MEMS 자이로스코프와 달리 가동 구조물이 없어 고내충격성과 고기동성의 장점을 갖고 있는 표면탄성파 자이로스코프의 개발이 필요함에 따라 선행 연구에서 새롭게 제안된 표면탄성파 간섭형 자이로스코프의 동작 원리를 수학적 모델링과 유한 요소 해석법을 이용하여 규명하고 목표 성능을 얻기 위한 최적 구조 및 치수 설계의 기술을 확... | 1. 학문적 효과 - 표면탄성파 현상의 이론을 정립 - 표면탄성파 소자의 모델링 기법 및 작동 원리 규명2. 경제적 효과 - 국내 시장 수입대체 효과 - 핵심 원천 기술의 선점 및 기술료 수입3. 인력양성 - 산학연 연구 체계 구축을 통한 맞춤형 인재 양성 및 취업률 제고4. 기술의 활용방안 - 군사 분야: 유도 포탄과 같은 지능화 탄... | 표면탄성파 자이로스코프 마이크로머시닝 고기동성 고내충격 유한 요소 해석 진공 실장 기술 미세 신호 검출 회로 간섭효과 | Surface acoustic wave Gyroscope Micromachining Wide dynamic range High shock survival Finite element method Vacuum packaging Signal detection circuit Interference effect | 240000000 |
1376 | 2019 | 우주핵심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082642 | 달착륙선의 지형기반 자율항법 시스템 기초연구 | Fundamental research of terrain-based autonomous navigation system of lunar lander | 박찬국 | 서울대학교 | 서울특별시 관악구 | 20180710 | 20210630 | 기타 우주항공기술 | 본 연구는 달착륙선 제동 및 접근 단계에 적용할 수 있는 자율항법 시스템에 대한 핵심 기반 기술의 확보를 목표로 한다. 특히 영상센서를 중심으로 관성센서 고도계/LiDAR를 이용한 자율 항법 시스템의 기술 개발을 주요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선진국의 자동착륙 항법시스템에 대한 요구사항 및 임무 설계 기술동향 등을 분석하고 달착륙선의 제동 단계에... | 본 연구 결과는 달탐사 뿐만 아니라 행성 탐사임무 중 착륙선의 자동 착륙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영상센서 및 LiDAR를 이용한 절대 및 상대항법기술을 착륙선 뿐 아니라 탐사로버와 같은 로봇 및 드론 등의 다양한 소형 탐사체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향후 무인기 혹은 유도탄의 자율항법에도 주요기술로써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달착륙선 자율항법 지형기반 절대항법 지형기반 상대항법 영상센서 라이다 | Lunar lander Autonomous navigation Terrain-based absolute navigation Terrain-based relative navigation Image sensor LiDAR | 90600000 |
2235 | 2014 | 우주핵심기술개발사업 | 미래창조과학부 | 한국연구재단 | 1711014324 | 고해상도 Airborne SAR 시스템 구축 및 활용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High-Resolution Airborne SAR System and Application | 김덕진 | 서울대학교 | 서울특별시 | 20110701 | 20160630 | 기타 위성기술 | 본 연구는 전천후 관측이 가능한 SAR 시스템의 국내 개발 및 활용기술의 발전을 위하여 고해상도 (서브미터급) airborne SAR 시스템을 구축하고 구축된 시스템을 통하여 검증된 SAR 자료를 획득하고자 한다. 또한 airborne SAR 시스템의 활용기술 개발 (예: 고해상도 DEM 제작 지형 고도 변화 탐지 태풍 및 홍수로 인한 국가 하천 및 해... | 본 연구를 통해 완성될 Airborne SAR 시스템은 국내 최초 SAR 위성인 KOMPSAT-5의 기초 활용자료로 이용되어 국내 SAR 위성 개발 및 활용기술 발전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airborne SAR에 대한 경험 있는 전문 인력들을 양성하고 획득 자료를 관련 전문과들과 공유하여 해당 분야에 대한 국내의 역량을 증대할 수 있을 ... | 항공기 합성개구레이더 간섭기법 지표변위탐지 이동속도탐지 | Airborne SyntheticApertureRadar Interferometry Surfacedeformationdetection Movingtargetvelocitydetection | 140000000 |
119 | 2010 | 과학기술위성등우주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 |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1345134972 | 2단형 초음속 충동형 터빈의 최적화 설계 및 모델 성능 시험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performance test method and design optimization for two-stage supersonic impulse turbine | 김귀순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부산광역시 | 20081201 | 20110930 | 로켓추진 기관기술 | 2단형 초음속 충동형 터빈 최적화 설계기술 개발 및 설계 2단형 초음속 충동형 터빈 모델(축소형 가능) 제작 2단형 초음속 충동형 터빈 모델 성능시험기법 개발 및 성능시험 | 2단형 초음속 충동형 터빈용 1-D mean-line analysis program 개발로 인한 설계시간 인원 및 개발비용 절감 2단형 초음속 충동형 터빈 최적화 설계기법 개발로 인한 설계과정 효율성 증대 및 개발비용 절감 성능시험기술 개발 성능시험 성능시험 DB구축을 통한 개발 2단형 초음속 충동형 터빈 신뢰성 제고 최적화 설계 기술 및 성... | 2단형 초음속 충동형 터빈 속도 복합형 터빈 3차원 유동해석 터보펌프 최적화 설계 성능 시험 기술 터빈 성능 검증시험 터빈 익형 데이터베이스 1차원 평균반경해석법 | Two-stage Supersonic Turbine Velocity Compound Turbine Pressure Compound Turbine Turbo Pump Optimal Design 3-dimensional Flow Analysis Turbine Performance Test Performance Test Technic Turbin... | 239000000 |
1030 | 2017 | BK21플러스사업(0.5)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274225 | 환경-에너지-기후 시스템연구 사업팀 | Global Nexus for Environment-Energy-Climate (GNE2C) | 최원용 | 포항공과대학교 | 경상북도 포항시 | 20130901 | 20200831 | 위성관제기술 | 1) 본 사업팀은 학제간 협동 능력 실질적 문제해결 능력 국제화된 전문성을 갖춘 통합형 전문인재 육성을 목표로 함. 2) 본 사업팀은 사업기간 내 연구 역량의 질적 향상을 통해 세계 10위권의 환경 분야 연구 집단을 목표로 함. | 1) 미래환경 분야의 연구 및 기술 개발을 주도할 융·복합형 전문 인적자원의 양성에 기여함. 2) 다양한 환경 이슈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자체 기술 확보를 통해 기후변화 환경·에너지 문제에 수반되는 경제적 사회적 국가적 손실을 감소하는데 기여함.3) 선진국과 대등한 수준의 환경·에너지 기술을 자체적으로 확보하여 국제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 | 환경오염 기후변화 에너지 위기 오염물질 온실가스 화석연료 생태계 복원 그린에너지 지속가능한 경제성장 | Environmental pollution climate change Energy crisis Pollutant greenhouse gas fossil fuel ecosystemrestoration green-energy sustainable economic performance | 148047000 |
1886 | 2020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08794 | 열가소성 폴리머를 이용한 Space Radiation & Micrometeoroid Resistance (SRMR) 구조 | Thermoplastic polymer based Space Radiation & Micrometeoroid Resistance (SRMR) Structure | 김천곤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301 | 20220228 | 기타 위성기술 | 본 연구는 우주비행체를 우주방사선과 미소유성체로 인한 초고속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생존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경량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우주방사선 차폐 성능과 초고속 충격 저항성을 동시에 갖는 다기능 SRMR (Space Radiation & Micrometeoroid Resistance) 구조를 제안하였고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열가소성 폴리머를 ...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열가소성 폴리머 SRMR 구조는 초기에 설정한 적용 대상이었던 인공위성 국제우주정거장 유인 우주탐사선과 같은 우주비행체에 적용되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SRMR 구조의 성능 중 하나였던 충격 보호 연구 결과와 방사선 차폐 연구 결과는 각각 방탄복과 같은 방탄 관련 장비나 방사능 보호복 방사성폐기물 용기와 같은 방사선 차폐 장비에 ... | 열가소성 폴리머 우주환경 우주방사선 우주파편 초고속충격 복합재료 | Thermoplastic polymer Space environment Space radiation Space debris Hypervelocity impact Composite material | 200000000 |
1880 | 2021 | 4단계두뇌한국21사업(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31654 | 우주선 검출기를 이용한 고에너지 우주선의 가속 메커니즘 연구 | A study on the acceleration mechanism of high energy cosmic rays using a cosmic ray detector in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 최광호 | 성균관대학 | 서울특별시 종로구 | 20170301 | 20220228 | 기타 우주항공기술 | - 우주선 검출기를 이용하여 10^11 ~ 10^15 eV 에너지 영역대의 우주선을 검출하고 검출된 데이터의 정밀 분석을 통하여 고에너지 우주선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도출- 고에너지 우주선의 구성 성분 별 에너지 스펙트럼 도출- 고에너지 우주선과 초신성 충격파와의 연관관계 파악한 후 최종적으로 고에너지 우주선 정체의 규명에 기여 | 고에너지 우주선과 초신성 충격파와의 연관관계 파악한 후 최종적으로 고에너지 우주선 정체의 규명에 기여 기대 | 고에너지 우주선 | High-energy cosmic ray | 10000000 |
2662 | 2018 | 미래유망민간기상서비스성장기술개발(R&D) | 기상청 | 한국기상산업기술원 | 1365002809 | 동남아 개발도상국에 적합한 모바일 재해/재난경보 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a mobile weather disaster warning system for Southeast Asian developing countries | 최용상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20180401 | 20201231 | 기타 위성기술 | 동남아 개발도상국에 적합한 모바일 기상재해/재난경보 시스템 개발 | 수출 가능한 국제적 기상재해/재난 경보 모델 구축첨단 과학기술을 통한 개발도상국의 기상재해/재난 피해 경감 실현우리나라 정지위성의 국제협력 활용성 증대(검증 자료 확보 위성 알고리즘 고도화) | 기상재난/재해 재난경보 정지위성 빅데이터 개발도상국 | Weather disaster Disaster Warning Geostationary satellite Big data Developing countries | 150000000 |
586 | 2020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12512 | 국제우주정거장 우주실험을 통한 우주선의 기원 규명 연구 | Study of cosmic ray origin from the space experiment at ISS | 박일흥 | 성균관대학교 | 서울특별시 종로구 | 20180301 | 20210228 | 기타 위성기술 | 2017년 8월 국제우주정거장 외부에 본 연구팀의 우주선 성분검출기가 미국의 에너지검출기와 함께 설치되었고 2018년 봄까지 다양한 시험운용과 calibration이 진행된다. 이 후 3년 이상 우주에서 우주선의 성분을 최고정밀도로 측정함으로써 본 연구팀은 100년의 미스터리인 “고에너지 우주선의 기원(origin)”에 대한 숙제를 주도적으로 해결하고자... | ● 정밀과학으로서의 우주선 연구는 앞으로의 multi-messenger 과학에 기여● 최첨단 우주실험에 핵심적 기여와 연구 결과로 많은 후속 연구 기대와 국가위상 제고● 우주환경용 고성능 초정밀 실리콘 센서 및 검출기 기술을 차세대 광 X-선 감마선 핵 및 입자 센서의 개발에 활용하여 의료 국방 산업에 파급● 핵반응 데이터베이스는 천체물리 분야 ... | 천체물리 우주선 우주선의 가속 우주선의 기원 우주선의 전파 초신성 폭발 에너지 스펙트럼 전하량 성분 검출기 | astrophysics cosmic ray origin of cosmic ray acceleration of cosmic ray propagation of cosmic ray supernova explosion energy spectrum charge detector International Space Station | 298958000 |
1375 | 2019 | 우주핵심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082336 | 고고도 모사를 위한 Center Body Diffuser 성능특성 연구 | Study on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center body diffuser for high-altitude simulations | 김홍집 | 충남대학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60501 | 20190430 | 로켓추진 기관기술 | 고고도에서 작동하는 추진기관들을 지상에서 정확하게 성능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초음속 디퓨저 중에서 Center Body Diffuser 시스템에 대해 성능특성을 수치/실험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Center Body Diffuser(CBD)는 대상 연소기/엔진의 팽창비가 바뀐다고 하더라도 디퓨저 내부의 center body만 교체하면 고고... | 한국형발사체 후속으로 국내에서 연구될 발사체의 개발에 있어서 연소기 및 로켓엔진의 설계 변경과는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고고도모사 시험설비의 구축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개발기간의 단축 및 설계 최적화를 이룰 수 있다. 고고도모사 시험설비의 설계 및 구축에 있어 현재 고흥 우주센터 시험설비인 이차목디퓨저 시스템과 더불어 ... | 고고도모사 센터바디디퓨저 이차목 디퓨저 진공압력 | High altitude test Center Body Diffuser Second Throat Diffuser Vacuum perssure | 32000000 |
1127 | 2022 | 무인이동체원천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3241 | 미지환경 및 항법 가혹환경 운용을 위한 실내외 복합항법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Indoor and Outdoor Integrated Navigation Technology for Operating in Unknown and Harsh Environments | 박찬국 | 서울대학교 | 서울특별시 관악구 | 20200601 | 20270531 | 지능형 자율비행 무인비행기기 시스템(UAV)기술 | 본 연구는 미지환경 및 항법 가혹환경에서 강인하고 정밀한 3차원 위치 추정을 위한 복합항법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한다. 미지환경에서의 위치 추정을 위해 INS/GNSS 시스템 및 단일/복수의 탐지/회피센서 기반의 odometry 및 SLAM 시스템을 융합한 복합항법 시스템을 개발한다. 또한 항법 신뢰도 향상을 위해 중첩 센서 최적 배치 방법을 제시하고 항법 ... |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될 복합항법기술 및 신뢰도 향상 기술은 각종 형태의 무인이동체에 탑재돼 다양한 상황에서 연속적 항법 수행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미지환경 및 항법 가혹환경에서도 운용이 가능하고 스스로 고장을 진단하고 대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재난 현장과 같은 극한의 상황에서 공공의 이익을 도모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무인이동체 ... | 무인이동체 복합항법시스템 동시적 위치추정 및 지도작성 관성항법시스템 분산 필터 기반 3중 고장 감지 컨센서스 | Unmanned vehicle Integrated navigation system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Inertial navigation system Multi-stage fault detection Navigation restoration based on consensus filter AC magnetic ... | 377200000 |
869 | 2021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33694 | 수직 이착륙 드론의 소음 저감 및 비행시간 향상을 위한 풍동 시험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wind tunnel test technology to reduce noise and improve endurance of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drones | 이재하 | 충남대학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601 | 20240531 | 지능형 자율비행 무인비행기기 시스템(UAV)기술 | 수직이착륙 형태의 임무를 갖는 프로펠러와 전동 모터를 사용하는 드론의 공력성능 및 소음 성능을 개선하여 비행시간을 약 2배 증가시키는 것 목표 : 단순히 배터리성능이 향상되는 것에 기술을 의존하는 것이 아님. 본 연구에서 관심을 갖는 드론의 형태는 “멀티콥터형”추진시스템을 사용하는 드론으로 다수의 프로펠러와 모터 시스템으로 구성된 추진 시스템으로 ... | -. (핵심기술확보-SCI급 논문게재)기존에 개발 및 선행 연구된 복합형드론에 대한 기술은 현재 연구 단계이거나 주로 개발 중인 기체가 대부분임. 때문에 학술연구논문에 대한 실적이 미비한 편임. 대학연구 기관의 장점을 활용 관련 논문을 분야별 지원 예정. -. 본 연구의 시제 및 결과물의 경우 직접적인 사업화를 위한 제품 수준의 완성도를 기대가능 ... | 풍동실험 저소음로터 덕티드팬 톱니형 뒷전 비행 소음 환경소음 평가 | wind tunnel test low noise rotor ducted fan serration trailing edge Flight noise EPNL | 52500000 |
2480 | 2012 | 우주핵심기술개발사업 |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연구재단 | 1345168929 | 달 탐사용 탑재체 시스템 기술 | Development of payload systems for a lunar mission | 민경욱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 20080601 | 20130331 | 기타 위성기술 | 2020년에 예정된 달 탐사 우주선 및 달 착륙선에 탑재가 가능한 탑재체를 선정하고 인증모델을 설계 제작하여 성능시험과 환경시험 수행2 단계 연구목표: 1 단계에서 개발된 Spectral Imager 시험모델의 성능개선 및 성능시험과 환경시험을 수행하여 인증모델 개발 | 1. 인증모델은 추후 비행 모델로 개발하여 lunar orbiter에 활용 가능2. 탑재체 개발기술은 lunar lander의 관측 장비 개발에 활용 가능3.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인증모델은 차세대 과학위성에서 시험4. 본 연구에서 습득된 기술은 향후 지구 자기권 심 우주 및 행성탐사의 과학 탑재체 개발에 활용 가능 | 달 탐사 과학 탑재체 분광기 우주환경 고에너지 입자 | lunar exploration scientific payloads spectrometer space environment high energy particles | 200000000 |
181 | 2012 | 해외우수기관유치 |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연구재단 | 1345167186 | 해외우수연구소 유치를 통한 국제 회전익 항공기 R&D Hub 구축 | International Rotorcraft R&D Hub Establishment with World-leading Research Institutes | 변영환 | 건국대학교 | 서울특별시 | 20060701 | 20130630 | 다목적 헬리콥터기술개발 | 회전익 항공기 전문 우수연구소인 미국 CASE/독일 DLR의 국내 유치를 통하여 한국형 헬리콥터 개발사업 (KHP) 및 후속 사업의 연구개발에 연계한 국제 R&D Hub를 구축한다. 이를 위해 e-Rotorcraft 연구개발 인프라 및 각 기술분야 별 세부 핵심기술을 국제공동 연구하고 해외 우수연구소의 핵심기술의 이전과 교류를 추진한다. 차세대 회전익기 ... | ▶국가전략으로 추진되는 차세대 회전익 항공기 개발에 적용될 신기술을 연구개발함으로써 회전익 항공기의 기술종속 상태에서 벗어나 독자개발과 부품국산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국제 경쟁력을 가진 신기술과 인력 네트워크의 구심점으로 회전익 항공기 산업의 구조 고도화에 기여▶산업구조 고도화에 기여하는 글로벌 우수연구소를 통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해외 참여 확대로 회전익... | 연구개발 우수연구소 국제협력 회전익항공기 통합설계 전산해석 시험평가 기술이전 | Research Development Center of Excellence International Cooperation Rotorcraft Integrated Design Computational Analysis Test Evaluation Technology Transfer | 748002000 |
2511 | 2014 | 일반연구자지원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226665 | 초임계 실제유체의 난류열전달에 대한 LES 해석기술 개발 | LES modeling for turbulent heat transfer of supercritical real-fluids | 박태선 | 경북대학교 | 대구광역시 | 20120901 | 20150831 | 로켓추진 기관기술 | -초임계 실제유체 난류열전달에 대한 물리적인 이해 심화 -실제유체의 거동과 초임계 조건의 물성치 등을 다룰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초임계조건의 냉각유로에서 유동혼합 및 난류열전달에 대한 체계적인 파악 -초임계조건 RANS/LES해석을 위한 포괄적인 수치모델의 개선 및 개발 -덕트 곡관 냉각채널 등에 대한 난류유동 및 열전달 해석 열전달 상관식 이해 | -초임계조건의 유체에 대한 열화학물성치등을 모사할 수 있는 CFD-상태방정식 연계기법 개발하고 초임계유체를 이용하는 냉각/열전달 장치에 대한 난류열전달 RANS/LES해석기술 확립하여 난류열전달관련 국제경쟁력 향상-실험적 계측이 쉽지 않은 극저온 환경에 대한 난류열전달 구조를 규명하여 냉각시스템 설계기술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고성능 액체추진 로켓엔진의 냉각... | 액체로켓엔진 냉각유로 초임계압력 실제유체 난류혼합 재생냉각채널 실제유체상태방정식 큰에디모사법 열전달상관식 | LiquidRocketEngine CoolingPassage SupercriticalPressure RealFluid TurbulentMixing RegenerativeCoolingChannel RealFluidEOS LargeEddySimulation ConvectionCorrelation | 50700000 |
2921 | 2016 | 우주핵심기술개발 | 미래창조과학부 | 한국연구재단 | 1711040831 | 다양한 중력환경에서의 액체로켓 극저온 추진제/산화제 탱크 내부 고정밀 다상유동 해석을 통한 잔량 예측 연구 | Analysis of the Fuel Residual through the High-fidelity Computations of Multi-phase Cryogenic Flows in Liquid Rocket Propellant/Oxidizer Tank under Various Gravity Conditions | 김종암 | 서울대학교 | 서울특별시 | 20140701 | 20190630 | 로켓추진 기관기술 | 액체로켓 엔진의 추진제/산화제는 극저온 유체로 비등점이 매우 낮고 온도변화에 민감하여 쉽게 기화하기 때문에 로켓 발사 후 탱크 내부에서도 지속적으로 연료 손실이 일어나게 된다. 이 손실량을 예측하는 것은 발사체가 임무를 완수할 때까지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초기 연료 탑재량을 가늠하는데 필수적이다. 그러나 극저온 탱크가 겪는 다양한 중력환경과 내부의 복... | 본 연구결과 확보되는 극저온 탱크 내부 물리현상 해석 및 잔량 예측 기술은 액체로켓의 자력개발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는 KSLV-II 및 이후 개발될 액체로켓의 성공적인 완성에 매우 유용한 핵심 원천기술을 제공할 것이다. 이와 함께 기대되는 효과들은 아래와 같다. ? KSLV-II 및 향후 개발될 액체로켓의 상단 추진기관 공급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 데이터 ... | 극저온 유체 저중력 다상유동 비등현상 가압 표면 장력 잔량 예측 추진제 관리 전산유체역학 | Cryogenicfluid Lowgravity Multiphaseflow Boiloff Pressurization Surfacetension Residualprediction Propellantmanagement Computationalfluiddynamics | 87000000 |
1322 | 2020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15517 | 탐사 로봇용 3자유도 스피리컬 전동기 설계 및 제어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design and control technology of 3-D.O.F. spherical motor for exploration robots | 고성철 | 계명대학교 | 대구광역시 달서구 | 20200301 | 20230228 | 기타 우주항공기술 |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안정적 조향 및 추진이 가능한 3자유도 스피리컬 전동기의 설계 제어 및 평가 기술을 개발하여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환경안전 방재 및 탐사 로봇에 활용한다. 환경요소를 반영하며 하나의 전동기로 3자유도를 구현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융합적이고 창의적 기술로 실용성과 원천성을 갖출 수 있도록 도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 (설계)... | . 본 연구의 결과로 탐사로봇에 필요한 조향 및 주행을 하나의 제어기로 구현하는 기술을 통하여 환경적인 급변에도 대응 가능하며 안정적인 자세 제어가 가능하여 새로운 개념의 3자유도 스피리컬 전동기의 저변 확대에 기여함을 통한 환경안전 방재 탐사 로봇을 포함한 휴머노이드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연구사업의 목적인 신진연구자의 창의적 연구의욕 고취 및... | 탐사로봇 스피리컬 전동기 3 자유도 벡터 제어 조향 주행 | Exploration Robot Spherical Motor 3 Degrees of Freedom Vector Control Steering Traction | 172000000 |
2758 | 2020 | BK21플러스사업(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29225 | 환경-에너지-기후 시스템연구 사업팀 | Global Nexus for Environment-Energy-Climate (GNE2C) | 최원용 | 포항공과대학교 | 경상북도 포항시 | 20130901 | 20200831 | 위성관제기술 | 1) 본 사업팀은 학제간 협동 능력 실질적 문제해결 능력 국제화된 전문성을 갖춘 통합형 전문인재 육성을 목표로 함. 2) 본 사업팀은 사업기간 내 연구 역량의 질적 향상을 통해 세계 10위권의 환경 분야 연구 집단을 목표로 함. | 1) 미래환경 분야의 연구 및 기술 개발을 주도할 융·복합형 전문 인적자원의 양성에 기여함. 2) 다양한 환경 이슈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자체 기술 확보를 통해 기후변화 환경·에너지 문제에 수반되는 경제적 사회적 국가적 손실을 감소하는데 기여함.3) 선진국과 대등한 수준의 환경·에너지 기술을 자체적으로 확보하여 국제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 | 환경오염 기후변화 에너지 위기 오염물질 온실가스 화석연료 생태계 복원 그린에너지 지속가능한 경제성장 | Environmental pollution Climate change Energy crisis Contaminants Greenhouse gas Fossil fuel Ecosystem restoration Green energy Sustainable economic growth | 73387000 |
1186 | 2021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32527 | 딥러닝 기반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end-to-end 환경공간정보 생성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end-to-end deep-learning algorithm for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using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 김용일 | 서울대학 | 서울특별시 관악구 | 20190601 | 20220531 | 기타 위성기술 | 딥러닝은 신경망 구조를 통해 데이터만으로 데이터의 특징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광범위한 영역에 적용 가능한 학습 도구로써 주목받고 있으며 여러 영상 활용에서 그 유용성이 입증되고 있다. 이와 같은 딥러닝 기술의 발전과 사용 가능한 원격탐사 데이터의 증가를 바탕으로 딥러닝 기술과 위성영상 데이터의 접목 또한 시도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영상 센서 탑재체를... |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end-to-end 환경공간정보 생성 기술은 소요 기술 간의 유기적인 연결성을 바탕으로 자동화된 대규모 영상처리 과정의 효율성과 결과물의 품질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며 다차원 빅데이터 및 딥러닝 기술 개발 경험을 갖춘 전문인력 양성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학습 기반의 자동화된 영상 처리를 통해 국... | 고해상도 위성영상 딥러닝 환경공간정보 영상 전처리 토지피복 분류 변화탐지 |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Deep learning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Image pre-processing Land-cover classification Change detection | 95000000 |
516 | 2013 | 첨단융합기술개발 | 미래창조과학부 | 한국연구재단 | 1345200219 | 항공우주 교육?연구를 위한 열/유체 분야에서의 설계 기법의 개발과 응용 연구 |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Design Software for the Thermal/Fluid fields of Aerospace Engineering Education and Research | 박승오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 20110715 | 20160630 | 항공기 체계종합 및 비행성능기반기술 | 현대에 들어 유체역학을 기반으로 하는 전산유체역학 기법의 발전에 따라 이를 기반으로 하는 설계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비단 연구영역 뿐 만 아니라 산업계 전반에서 전산 실험을 기반으로 최적화 알고리즘까지 포함하는 전산 최적 설계에 대한 관심은 매우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때문에 고등 교육 기관에서 전산 최적 설계에 대한 지식을 갖춘 ... | 본 연구진이 개발 소개하는 최적화 알고리즘과 결합한 설계 기법은 유체역학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요한 형상 (익형 날개 동체 엔진 등) 의 설계에 바로 적용될 수 있으며 장점으로는 해석기법의 특수성에 의존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특히 최근에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MDO 프레임워크를 이용하면 이종의 계산 플랫폼과 소프트웨어를 효과적으로 설계 프레임워크로... | 익형 날개 설계 수학적 최적화 알고리즘 설계 변수의 민감도 해석 구배 기반 최적화 비구배 기반 최적화 비정상 유동 설계 문제 adjoint 해석 방법 | Airfoil and Wing design Mathematical optimization algorithm Sensitivity analysis gradient-based optimization gradient-free optimization design optimization for unsteady flow adjoint solution method | 65000000 |
396 | 2018 | 우주핵심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076216 | 광섬유 기반 테라헤르츠 분광분석 원격 시료 채취 장치 개발 | Ultra lightweight remote vehicle mounted with optical fiber based terahertz compact spectroscopy | 김수현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80710 | 20210630 | 기타 우주항공기술 | 본 연구에서는 본 연구그룹이 지난 수년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개발해왔던 테라헤르츠 시간영역 분광 시스템과 자원 채취를 위한 시료 채취 장치의 통합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함. 이에 더하여 달/소행성에서의 활용을 위해 극한의 온도 및 물리적 충격에 강인한 분광 및 채취 장치 통합 시스템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우주핵심기술개발 및 우주산업화 기반 기초 기술 축적을 목적... | ― 본 연구는 외부 행성 탐사에 활용될 수 있는 원격 시료채취 및 현장 시료분석 기기의 기초기술 확보 축적의 기반이 되며 장기적으로 우주발사체를 통해 달/소행성으로 운반하여 독자적인 표면 탐사 시스템 개발 역량의 구축에 기여. ― 테라헤르츠 분광대역으로 확장된 광역 시료의 분자 종류와 조성비를 측정 가능함. ― 일반적인 환경에서 테라헤르츠 분광을 통한... | 테라헤르츠 시간영역 분광 광섬유 광학 시료 채취 | Terahertz Time-domain spectroscopy Fiber optics Sample acquisition | 50000000 |
2873 | 2010 | 중견연구자지원 |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연구재단 | 1345119634 | 연소안정성을 고려한 액체로켓엔진 가스발생기 설계기술 | Design of Gas Generator for Combustion Stability in Liquid Rocket Engines | 윤영빈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서울특별시 | 20070501 | 20110228 | 로켓추진 기관기술 | 실용위성 발사체에 활용될 가스발생기 설계를 위한 기반기술 확보 -가스발생기 개념 설계 및 후보 인젝터 분무특성 -고압 분무특성 및 인젝터 동특성 연구 -연소설비 구축/운용기술 확보 및 기초연소시험 -성능 및 안정성을 고려한 최적설계평가 | KSLV 개발사업과정에서의 인젝터 성능 및 안정성에 대한 기본자료 제공 환경친화적 저공해 디젤 엔진 개발에 필요한 고압 연료분사/연소 기술에 활용 산업용/항공용 차세대 고성능 가스터빈 엔진의 연료분사/연소 기술에 활용 국방부 주관으로 개발하고자 하는 차세대 미사일 엔진인 램젯 엔진 기술에 활용 유동 및 연소장을 계측할 수 있는 고온/고압 연소기 계측... | 가스발생기 인젝터 분무특성 동특성 연소시험 | gas generator injector spray characteristics dynamic characteristics combustion test | 100000000 |
963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7001 | 실운용조건 적용을 위한 볼트조립구조체의 풀림수명평가방법 연구 | A proposal on the bolt-loosening life assessment method for real operating conditions of structures | 임재용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서울특별시 노원구 | 20210601 | 20230228 | 기타항공기기술 | 본 제안과제는 볼트풀림과 피로과정과의 상사성 비교를 통해 실사용조건 적용이 가능한 볼트풀림 수명예측 방법론 개발과 검증을 최종목표로 함 - 실구조물의 피로균열 발생수명과 진전수명 예측모델과 방법론은 오랜 기간에 걸쳐 구축된 실험DB를 통해 수명에 영향이 있는 핵심인자를 도출하고 실구조물에 사용이 가능하도록 방법론이 확립됨. 이러한 학문적 성과는 실구조... | 볼트풀림과 관련된 연구는 볼트접합부의 마찰계수와 하중 볼트설계 등 다양한 인자들의 풀림메커니즘 규명에 관한 단편적인 연구가 진행된 바 있으나 과거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구조체에 대한 종합적인 풀림수명평가방법이 없음. 본 과제를 통해 풀림인자의 물리변화량을 실험·해석적으로 분석하여 실구조물 적용에 초점을 맞춘 CAE기반 구조물 볼트풀림 수명평가방법 제안이... | 볼트풀림 풀림수명평가 피로 반복하중 누적손상법칙 변동하중 열화곡선 | Bolt Loosening Loosening Life Prediction Fatigue Cyclic loading Cumulative Damage Model Variable Amplitude Loading Degradation Curve | 43426000 |
1549 | 2013 | BK21플러스사업(0.5)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214823 | IT·에너지 소재공정 창의 화공인재 양성사업단 | Creative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and Education Program for the IT- and Energy Materials and Processes | 이태진 | 영남대학교 | 경상북도 | 20130901 | 20200831 | 로켓추진 기관기술 | ◆ BK PLUS 사업을 통하여 본 대학원 화학공학과를 대구경북 지역의 전략산업이자 선도산업인 IT 및 에너지 산업 관련 소재공정 연구개발 및 교육의 허브기관으로 특성화시켜 창의적이고 특화된 화공인력을 육성하고 지역산업 밀착형 산학협력과 글로벌화를 통하여 지역산업을 견인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IT·에너지 소재공정 창의 화공인재 배출 : 동 분야에서 ... | ◆ 본 사업단에서 목표로 하는 IT·에너지 소재공정 창의 화공인재 양성사업의 성공적인 수행 시 아래와 같은 유/무형 효과가 기대됨. ◆ IT·에너지 소재공정 분야의 우수한 글로벌 창의 인재의 안정적 공급을 통한 지역 선도산업 활성화와 학생 취업률 증진 ◆ 지역산업과 소통하는 IT 소재 및 에너지 융복합 분야의 선순환적 전공교육 체제 구축◆ 지역산업체와 사업... | 화학공학 IT소재공정 에너지소재공정 창의적 지역인재 양성 IT 에너지 융복합 특성화 대학원 지역 밀착형 산학협력 국제화 대학원 지역 창조경제 고급인력 | Creative C | 175947000 |
2621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7695 | Drone 로터 형상 최적화를 위한 비선형 시간 스펙트럼 방법 개발 | Development of a Nonlinear Time Spectral Method for Shape optimization of Drone rotor | 임동균 | 청주대학 | 충청북도 청주시 | 20180901 | 20210831 | 지능형 자율비행 무인비행기기 시스템(UAV)기술 | 드론은 초기 군사용으로 개발되었으나 현재는 상업용과 개인용으로 넓어지고 있으며 배송 서비스는 아마존에서 이미 진행 중이며 자연 재해를 관측하고 재해 경보를 신속하게 내릴 수 있는 기상 분야와 방송 프로그램에서도 드론은 매우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함께 드론산업은 IT 강국인 우리나라의 차세대 먹거리 가운데 하나라는 점에서 여러 ... |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할 기법은 비정상 유동을 효율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기법으로 다양한 비정상 유동 최적화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4차 산업 시대에 적용 가능성이 우수한 드론과 같은 복잡한 비정상 유동 최적화 문제에 적합하다.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드론 산업에서 성능이 우수한 로터 개발 능력의 선점은 꼭 필요하며 이를 위해 효율적인 비정상 유동 해석... | 비정상 유동 해석 전산유체역학 시간 스펙트럴 방법 공력 형상 최적 설계 헬리콥터 로터 블레이드 드론 | unsteady flow analysis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time spectral method aerodynamic shape optimization helicopter rotor blade drone | 15000000 |
519 | 2013 | 우주핵심기술개발사업 | 미래창조과학부 | 한국연구재단 | 1711000691 | 인공위성 SAR 토모그래피를 이용한 3차원 영상화 기법 개발 | Development of 3D imaging techniques using satellite SAR tomography | 이훈열 | 강원대학교 | 강원도 | 20130701 | 20180630 | 기타 위성기술 | 인공위성 SAR 토모그래피 기법을 개발하여 지상 목표물에 대한 3차원 영상을 구현한다. SAR 토모그래피 기법과 영상화 프로그램 모듈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지상용 SAR 토모그래피 시스템(Tomo-SAR)과 인공위성 SAR 토모그래피 영상화 프로그램을 구현한다. 획득된 지상 및 위성 SAR 토모그래피 영상을 이용하여 식생의 높이와 생체량 추출 눈과 빙하의... | ○ 차세대 첨단 분야인 인공위성 SAR 토모그래피를 이용한 3차원 영상화 기법에 대한 원격탐사 분야 연구로서 가치가 높음 ○ 지상용 SAR 토모그래피(Tomo-SAR) 시스템의 구축 및 운용을 통하여 시스템 기초 설계 및 인공위성 SAR 토모그래피 영상의 검증 기술 확보 ○ 식생의 생체량 적설과 빙하의 내부 구조 엄폐된 목표물에 대한 3차원 영상화 기... | 합성구경레이다 토모그래피 3차원 영상 SAR 영상화 마이크로파 인공위성 토모SAR 후방산란 원격탐사 | Synthetic Aperture Radar Tomography 3D image SAR Focusing Microwave Satellite TomoSAR Backscattering Remote sensing | 80000000 |
702 | 2013 | BK21플러스사업(0.5)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215156 | 미래융합 에너지리더스 사업단 | Future convergence energy-leaders BK21+ program | 선양국 | 한양대학교 | 서울특별시 | 20130901 | 20200831 | 로켓추진 기관기술 | ■ 21세기 시대적 변화와 요구에 부응하고 에너지자원 전량 수입국인 우리나라에 수 십 년 내 다가올 화석연료의 고갈전망에 따른 에너지 위기에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는 또한 미래융합 첨단 에너지과학기술을 선도할 수 있으며 또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가진 창조적 글로벌 리더형 고학력 핵심 전문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세계 TOP-CLASS 수준의 교육 및 연구 ... | ■ 에너지전문인력 양성의 고도화 및 국제공동연구 활성화를 위한 연구중심대학원으로서의 허브를 구축하며 혁신형 전략미래기술 개발 및 미래에너지원 확보 및 친환경 그린에너지 기술개발과 같은 국가의 신성장동력기술 개발을 통해 현재의 에너지 기술수준을 세계최고수준대비 90% 이상으로 도약하고 이에 따른 에너지산업 고용 창출효과 증대 수입대체효과 및 온실가스 저... | 에너지 신재생에너지 친환경기술 태양 및 수소에너지 태양전지 연료전지 이차전지 이산화탄소저감기술 에너지소재 및 공정 | Future con | 323400000 |
454 | 2018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283662 | IoT 기반 소형 무인항공기 비행 제어기 개발 | Flight Controller development of small-sized unmanned aerial vehicle based on IoT | 이현 | 한국폴리텍대학서울정수캠퍼스 | 서울특별시 용산구 | 20180601 | 20210531 | 지능형 자율비행 무인비행기기 시스템(UAV)기술 | 최근 하늘을 나는 로봇 드론의 개발이 꾸준히 요구되어 졌으며 최근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드론이 나오고 있는 추세이다. 실제 국내에선 ㈜유콘시스템의 경우 소형 무인항공기가 개발이 되어 국내의 군에 납품을 진행하고 있으며 해외 업체를 통해 수출까지 하고 있다. 그러나 사물인터넷 적용 및 이로 인해 발생되는 빅데이터의 분석 및 처리까지는 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 | 본 과제 수행을 통해 개발되는 소형 무인항공기 비행 제어기를 통해 임베디드플랫폼 및 빅데이터처리 표준 방법들을 인증 받을 수 있도록 모색하여 항공 관련 분야 기업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대학 및 민간 기간의 교육에서 항공 분야의 임베디드플랫폼을 활용하여 교육하고 있는 곳이 현재로써는 전무하다. 실제 보잉사에서 개발된 여객기와 국내에서 개발 및 운... | 무인 항공기 사물인터넷 비행 제어기 | Internet of thing Flight Controller unmanned aerial vehicle | 37500000 |
2186 | 2017 | 산학연협력기술개발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1425117594 | 조선/플랜트 대형설비 표면검사를 위한 전방위 충돌회피가 가능한 드론 및 시스템 개발 | 김연민 | 울산대학교산학협력단 | 울산광역시 북구 | 20160501 | 20180430 | 지능형 자율비행 무인비행기기 시스템(UAV)기술 | 1. 기술개발 목표 ○ 조선/플랜트 대형설비 표면검사를 위한 전방위 충돌회피가 가능한 드론 및 시스템 개발 - LIDAR를 이용한 전방위 충돌방지 및 회피 기술개발 - 드론 자동 정밀 이착륙 기술개발 - 초속 1m/s이내 충돌에도 비행이 가능한 500급 드론 프레임 설계 및 시제품 제작 | 3. 기술개발시 예상효과(기대효과) ○ 국내 조선/플랜트 업체에 시범적용 함으로써 기술을 검증하고 국내 뿐만 아닌 해외 산업용 드론으로 수출 기대 ○ 안전한 산업용 드론 기술을 국내업체에 외산기술대비 저렴하게 소개함으로써 해당 기술을 필요로하는 산업군 전반의 경쟁력을 향상시킴 ○ 사업화를 통한 및 관련매출 상승( 2017년 10억원 2020년 80억... | 무인비행체 멀티로터 드론 충돌회피 장애물감지 | UAV Multirotor Drone Crash Avoidance Obstacle Detection | 95000000 | |
1175 | 2020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14307 | 공중작업을 위한 아주 길고 얇고 가벼운 다중분산로터기반 로봇팔 | Very Long Slender and Light Robot Arm with Distributed Rotor Actuation for Aerial Operation and Manipulation | 이동준 | 서울대학교 | 서울특별시 관악구 | 20200301 | 20250228 | 지능형 자율비행 무인비행기기 시스템(UAV)기술 | -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드론의 가장 성공적인 응용은 드론에 카메라를 장착하고 초보자도 쉽게 날리며 공중사진/영상을 찍는 것으로 이는 가장 기본적인 시각(또는 눈)을 공중으로 확장했다는데 기인한다 할 수 있음. - 그 다음 단계로 사람의 손을 하늘로 확장하려는 공중 조작/작업 연구가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현재 가장 널리 ... | 실제적 측면에서 기대효과본 과제에서 제안하는 LASDRA 시스템은 외력구동방식인 기존에는 구현할 수 없었던 매우 길고 얇고 가볍고 큰 자유도를 가진 로봇이며 또한 링크를 통한 전원공급과 센싱/제어정확도의 향상으로 기존 공중작업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어 다음과 같은 현재 기술로는 구현이 불가능한 다양한 공중작업 응용의 실제 구현을 앞당길 새로운 공중작업 ... | 공중작업 및 공중조작 거대로봇 분산로터구동 외력구동 분산구조 관절잠금 설계 및 구현 제어 추정 | Aerial Operation and Manipulation Large-Size Robot Distributed Rotor Actuation External Actuation Distributed Architecture Joint Locking Design and Integration Control Estimation | 350000000 |
1121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2219 | 수직이착륙 재사용 우주발사체의 제어전략: 전(全)단계 관점 | Control Strategies for Vertical Take-off/Vertical Landing Reusable Launch Vehicle: Full Phase Viewpoint | 이호재 | 인하대학 | 인천광역시 남구 | 20200601 | 20230228 | 발사운용 통제 및 관제기술 | 본 연구과제의 연구목표는 “수직이착륙 재사용 우주발사체(Vertical Take-off/Vertical Landing Reusable Launch Vehicle: VTVL-RLV)의 제어전략: 전(全)단계 관점”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으로[1차년도] VTVL-RLV의 수학적 제어지향 모델 확립 및 수직발사 단계의 자세/궤도제어[2차년도] Flip m... | - 우리나라의 우주개발 투자현황은 2017년 기준 위성 46% 발사체 36% 탐사 12% 기타 6%임. 위성발사에서 1회성 비용이 전체 예산 중 1/3 이상. 2019년 중형위성 3기 발사의 차세대 중형위성 2단계 개발사업이 확정됨. 우리나라의 위성수요는 시작단계이어서 3차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이 진행될수록 일회성 발사 예산 증가 예상. 본 연구과제에... | 재사용 우주발사체 수직이착륙 자세제어 궤도제어 펄스폭변조제어 스위칭 시스템 | reusable launch vehicle vertical take-off-vertical landling attitude control trajectory control pulse-width-modulated control switched system | 50000000 |
1685 | 2020 | 무인이동체원천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19624 | 무인이동체 안전운용을 위한 운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기술개발 | Development of Operator-friendly Interface Technology for Safe Operation of Unmanned Mobility | 김상호 | 건국대학교 | 서울특별시 광진구 | 20200601 | 20270531 | 지능형 자율비행 무인비행기기 시스템(UAV)기술 | 인공지능 및 자율 운용 기술에 기반하여 무인으로 운행되는 무인이동체(Unmanned Vehicle)가 최근 주목 받고 있음. 그러나 원격 운용에 대한 안전상의 우려도 존재함.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운용자의 인간적 한계를 고려한 운용자 친화적 무인이동체 인터페이스와 운용 기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본 과제는 원거리에서 무인이동체를 조종하면서 발생하는 제... | 인간-무인이동체 인터페이스 기술을 육상 공중 해상 및 수중 무인이동체에 적용하여 무인이동체 운용 시장 성장 가능성을 확대. 민간 및 공공서비스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안전과 비용의 문제로 이루어지기 힘든 탐사 이동체를 이용한 대기오염 측정 등 기타 연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됨.인간-무인이동체 인터페이스 기술을 유인이동체 및 기타 운... | 무인이동체 인간-이동체 인터페이스 음성인식 제스처 인식 운용시스템 상황인식 멀티모달 기반 햅틱 피드백 | Unmanned aerial vehicle Human-mobility interface Voice recognition Gesture recognition Operating system Situational awareness Multi-modal based Haptic feedback | 525000000 |
3006 | 2010 | 일반연구자지원 |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연구재단 | 1345137805 | 자기권 섭동에 대한 중이온 분포변화 연구 | 이동훈 |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 경기도 | 20081101 | 20111031 | 기타 우주항공기술 | 다중이온 공명현상의 새로운 이론적 성질을 이용하여 자기권 섭동 과정의 핵심 역할을 하는 중이온들의 정확한 질량밀도를 정할 수 있는 새로운 이론 방법과 실제에 가까운 수치모델을 개발하고 위성자료와 비교분석을 통하여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 - 우주공간 구성성분인 전하입자들은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파를 갖게 된다. 각 전파의 전달성질 및 경로는 각 주파수대에 따라 다르며 전자 및 각 이온들의 구성밀도 자기장 등에 의하여 결정된다. 예로서 주파수가 비교적 작은 경우 각 이온들이 주관하는 파동이 되며 각 파동의 주파수와 편극상태는 구성 이온들의 성질을 나타낸다. 주파수가 비교적 큰 경우에는 전자들... | 자기권 중이온 파동 중이온 공명 자기 폭풍 소폭풍 고리 전류 극초저주파수 초저주파수 | magnetosphere heavy ion wave heavy ion resonance geomagnetic storm substorm ring current ULF VLF | 43000000 | |
2167 | 2012 | 우주핵심기술개발사업 |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연구재단 | 1345176428 | 차세대 로켓엔진 시스템 기술 연구 | Technology of the Next Generation Rocket Engine System | 고영성 | 충남대학교 | 대전광역시 | 20080601 | 20130331 | 로켓추진 기관기술 | 국내 독자적 우주개발 능력 구축을 목표로 우주발사체 분야의 차세대 로켓엔진 시스템 개발을 위한 차세대 소형 액체로켓엔진 연소기의 설계/제작 및 관련 시험 기술을 확보하여 최종적으로 국내 소형 액체로켓엔진 연소기 기술 개발 능력을 구축한다. 최종 연구 목표를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차세대 소형 액체로켓엔진 연소기 개발- 설계 기술 개발- 제작 및... |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지는 차세대 축소형 로켓엔진 연소기의 직접적인 설계/제작/시험 기술의 확보를 통하여 향후 국내에서 개발 요구되는 실물형 로켓엔진 연소기의 설계/시험 기술에 직접 활용될 수 있는 기초 기술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추진제 조합에 따른 로켓엔진 연소기에 대한 체계적인 선행 연구를 통한 관련 연구 인력의 양성을 통해 향후 국내 우주... | 액체로켓엔진 인젝터 과산화수소 메탄 연소불안정 고공 시험 | Liquid Rocket Engine Injector Hydrogen peroxide Methane Combustion instability High Altitude Test | 220000000 |
769 | 2018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281826 | 도시 환경에 적합한 소형 UAV 교통 제어 시스템 연구 | A Research on Small UAV Traffic Control System for Metropolitan Environment | 최효현 | 인하공업전문대학 | 인천광역시 남구 | 20180601 | 20220531 | 지능형 자율비행 무인비행기기 시스템(UAV)기술 | 소형 무인비행체 (UAV Unmanned Aerial Vehicle)의 사용이 급증하면서 소형 UAV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규제들이 완화되고 있다. 이에 힘입어 안전을 위해 인적이 없는 곳에서만 이루어지던 UAV에 대한 연구가 도시 환경에서의 소형 UAV의 상업적 사용을 위한 연구 개발들이 전 세계적으로... | 도심 환경에서의 소형 UAV를 위한 공역 설계와 비행경로 설정은 전 세계적으로 시작하기 시작한 연구 분야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수행함에 따라 이러한 연구 분야에 빠르게 참여할 수 있으며 GPS 오류 통신 오류 환경 (소음) 평가 결과와 민원 제기와 같은 다양한 요소를 반영한 동적 공역 관리 방안이라는 차별화된 연구 포인트를 선점하고 나름의 독자적인 연... | 항공 트래픽 제어 동적 공역 관리 교통 제어 시스템 무인 비행체 소형 무인 비행체 공역 저고도 경로 설정 | air traffic control dynamic airspace management traffic control system unmanned aerial vehicle small UAV airspace low altitude path planning | 37500000 |
2871 | 2011 | 일반연구자지원 |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연구재단 | 1345155180 | 고엔탈피 플라즈마 환경의 재료 거동 해석 및 열 보호 구조 설계 | Analysis and Design of Thermal Protection Structures in High-Enthalpy Plasma Environments | 신의섭 | 전북대학교 | 전라북도 | 20100901 | 20130831 | 기타 발사체기술 | 본 과제에서는 우선 초고온 삭마 재료 등을 위한 구성 방정식 모델을 도입하여 열기계학적 재료 거동을 효과적으로 모사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재료 및 경계 비선형 조건을 갖는 열기계학적 완전 연계 문제에 대하여 변분 정식화 수행한다. 또한 영역/경계 분할법과 유한요소 이산화 과정을 통하여 효율성 높은 해석 알고리듬을 구성한다. 최종적으로 고엔탈피 플라즈마 환... | 고성능 기계 시스템의 구조물은 가혹한 외부 환경에서 안전성을 보장하면서 주어진 기능과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초음속 또는 극초음속 공기 유동에 의하여 공력 가열되는 비행기 날개 지속적인 연소 현상을 수반하는 엔진의 연소실 우주 공간의 위성체나 특수 목적의 구조물 등은 상대적으로 가혹한 열기계학적 하중 환경에 놓인다. 이런 조건에서 ... | 열 보호 시스템 고엔탈피 플라즈마 재료 거동 구조 설계 유한요소 수치 모사 | Thermal Protection High Enthalpy Plasma Material Behavior Structural Design Finite Element Numerical Simulation | 59800000 |
2901 | 2011 | 일반연구자지원 |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연구재단 | 1345152649 | 무인항공기의 자동 곡예 비행을 위한 제어 시스템 개발 및 비행 시험 | Control System Development and Flight Testing for Autonomous Aerobatic Maneuver for Unmanned Aerial Vehicle | 박상혁 | 한국항공대학교 산학협력단 | 경기도 | 20110501 | 20140430 | 지능형 자율비행 무인비행기기 시스템(UAV)기술 | 현재 상용중인 무인항공기들의 주된 임무는 정찰 수색 감시등으로 비행체는 주로 완만한 경로를 따라 비행하게 되고 항공기의 자세변화가 한정된 비행을 한다. 그러나 앞으로의 무인 비행기들은 험한 산악 지형이나 도심사이를 비행하게 되며 또한 무인 전투 비행기의 등장과 함께 복잡한 고급 기동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비행자세에 한계 없이 복잡한 3차원의 ... | 앞으로의 무인항공기는 비행 영역과 그 임무가 확장되고 이에 수반하여 복잡한 3차원 기동을 하게 되리라 예측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고급 기동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게 될 세련된 유도 제어 기법을 제시하고 이를 비행 실험을 통해 성능을 입증함으로써 우리나라가 무인항공기 제어의 첨단 기술을 선점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한편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분야에... | 3차원 고급 기동 무인항공기 유도 곡예 비행 자율 비행 비행 제어 항법 | 3D flight Aerobatic Flight UAV(Unmanned Aerial Vehicle) Guidance Autonomous Flight Flight Control Navigation | 48718000 |
900 | 2017 | 우주핵심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057715 | 마이크로 중력환경 내 콜로이드 입자를 이용한 자기조립 연구 | Self-assembly of colloidal particles under the microgravity condition | 이창수 | 충남대학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30701 | 20180630 | 기타 우주항공기술 | ? 마이크로 중력환경 내 콜로이드 입자를 이용한 자기조립 연구 - 미세유체 제어를 통한 콜로이드 입자 제조기술 구축 - NASA와의 공동연구를 통한 국제우주정거장 (ISS)에서 자기조립 실험준비 - 콜로이드 입자 형상제어 기술 구축 및 중력환경 내 자기조립 현상이해 - 우주실험 디자인 및 중력환경에서 마이크로 중력모사 실험수행 - 우주/ 지구에서 ... | ? 마이크로 중력환경에서 콜로이드 입자 상호간의 자기조립 현상은 하나의 모델시스템으로써 원자 또는 분자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제공할 수 있다.? 미세유체 형상제어를 통해 제조되어진 등방성 이방성 콜로이드 입자는 마이크로 중력환경에서 프로그램화된 선택적인 자기조립을 유도할 수 있다.? 더욱더 나아가 선택적인 자기조립을 통해 종래의 중력환경에서... | 미항공우주국 국제우주정거장 마이크로 중력 미세유체 콜로이드 자기조립 등방성 이방성 모세관현상 | NASA InternationalSpaceStation Microgravity Microfluidics Colloid Selfassembly Isotropic Anisotropic Capillaryphenomenon | 95000000 |
3001 | 2019 | 기상·지진See-At기술개발연구(R&D) | 기상청 | 한국기상산업진흥원 | 1365002995 | GNSS를 이용한 실시간 울릉도 화산전조 모니터링 연구 | GNSS-based real-time volcano monitoring for Ulleung Island | 이승우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부산광역시 금정구 | 20170715 | 20191231 | 기타 위성기술 | ○ 본 연구의 목표는 울릉도 지하 50 km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폭 300 km 깊이 100 km 규모의 마그마 시스템 으로 인한 울릉도 화산 활동의 전조 현상을 감지하기 위한 multi-GNSS 이용 화산 감시 시스템을 개발 및 설치하고 이를 통해 울릉도 화산활동으로 인한 지표 변형을 기반으로 하여 울릉도 화산 활동의 징후 및 특징 등에 대한 평가... | ○ 울릉도 화산 폭발 시 전조 감시 및 방재 활동에 기여할 수 있음.○ 울릉도 화산 활동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활용하며 관측된 지각 변형 관측 자료는 장기적인 울릉도 지각 변형 분석에 이용할 수 있음.○ GNSS 데이터를 통해 SAR 등의 타 위성 활용기법이나 화산성 전리층 교란 모니터링에 활용할 수 있음. | 화산 모니터링 위성항법 울릉도 역산 지표변형 | Volcano monitoring GPS/GNSS Ullengdo Inversion Ground deformation | 92000000 |
749 | 2017 | 개인기초연구(미래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052176 | 고효율성 변이익형 농용 회전익기 로터블레이드의 설계 및 평가 | Design and evaluation of an energy efficient rotor blade with gradual variation airfoil for agricultural rotorcraft | 구영모 | 경북대학교 | 대구광역시 북구 | 20150501 | 20180430 | 다목적 헬리콥터기술개발 | 농작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는 무인 회전익기는 노동력의 절감과 농작업 안정성의 향상을 위해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또한 적용영역을 넓혀가므로 이후 국내 1 000기 이상 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에서는 이미 무인 회전익기들을 개발하여 소필지 항공살포를 구현하면서 양력부족의 문제에 주목하고 로터의 익형개선을 통하여 양력을 향상 시키려 하... | 농업용 소형 무인 회전익기와 이를 이용한 항공방제기술이 확대됨에 따라 조종자의 애로사항인 블레이드의 양력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러한 이론은 실기 및 모형헬기용 블레이드에 적용하여 활용이 가능하며 방법론에 있어 스마트무인기의 프로펠-로터 블레이드에도 응용 될 수 있다. 단순한 국산화에 의한 수입대체 효과가 아닌 독창적으로 개선된 블레이드의 개발로 ... | 농용 회전익기 항공방제 변이익형 로터 블레이드 양력 항력 익형설계 무인항공기 시뮬레이션 | Agriculturalhelicopter Aerialapplication Variativeairfoil Rotorblade Lift Drag Airfoildesign UnmannedAerialVehicle Simulation | 101000000 |
435 | 2012 | 일반연구자지원 |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연구재단 | 1345190762 | 터빈 동익 스퀼러팁의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 Performance enhancement of the cavity squealer tip for turbine blades | 이상우 | 금오공과대학교 | 경상북도 | 20120501 | 20150430 | 기타항공기기술 | 스퀼러팁(cavity squealer tip)은 스퀼러라고 불리는 울타리에 의해 둘러싸인 함몰부분(cavity)이 존재하는 터빈 동익 팁의 한 형태로 현재 대다수의 가스터빈 터빈 제 1 단 동익에 채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터빈 동익 스퀼러팁의 형상 최적화를 통해 그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과제에서는 3개년도에 걸쳐 체계적으로 ... | - 고효율 터빈 익형 스퀼러팁 설계기술 개발- 가스터빈의 국산화 및 성능향상을 위한 터빈 설계 기반기술의 축적- 터빈 동익 스퀼러팁의 최적 형상에 대한 지적재산권 확보- 가스터빈 설계 및 측정기술 보유 인력의 산업체 공급 | 유체공학 가스터빈 터빈 동익 스퀼러팁 익단소익 압력손실 유동선회 팁누설유동 열전달 | Fluid engineering Gas turbine Turbine blade Cavity squealer tip Winglet Aerodynamic loss Flow turing Tip leakage flow Heat transfer | 54000000 |
692 | 2020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14112 | OpenFOAM에 기초한 RANS 및 LES 다중물리 연소해석 패키지 개발 및 Web 기반 오픈소스 플랫폼 구축 | Development of RANS and LES Multiphysics Simulation OpenFOAM Package and Web-based Open Source Platform | 허강열 | 포항공과대학교 | 경상북도 포항시 | 20170301 | 20220228 | 로켓추진 기관기술 | 본 연구는 다중물리 현상이 포함된 난류연소 현상을 RANS LES 기법을 이용하여 해석할 수 있는 전산해석 패키지 개발 및 오픈소스 플랫폼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실증 연소기의 다중물리 현상(입자/분무 다상유동 난류-화학반응 배기 배출물 생성 대류/복사 열전달 압력파 거동 전기장/플라즈마 인가 등)을 구현하고 고신뢰도 연소모델의 개발... |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학문/기술적 효과 경제적 효과 사회적 효과가 기대된다. (1) 학문/기술적 효과: 실용 연소기의 해석을 위한 기존 난류연소 모델들은 연소현상과 함께 발생하는 다중물리현상을 고려하는 문제에 대하여 많은 한계점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 고속/고신뢰도 난류연소 모델의 개발과 다중 물리 현상의 구현을 통해 실용 연소기 해석의 기술... | 난류연소 다중물리 입자/분무 조건평균 오픈폼 가스터빈 발전/산업용 연소로 내연기관 로켓 연소기 | turbulent combustion multi-physics particlespray conditional averaging OpenFOAM gas turbine power plantindustrial combust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rocket combustor | 150000000 |
2100 | 2012 | 과학기술위성등소형위성개발사업 |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연구재단 | 1345194908 | 우주폭풍 연구를 위한 탑재체 개발 | 민경욱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 20121201 | 20160531 | 차세대 통신위성 탑재체기술 | 우주폭풍 연구에 필요한 물리량 획득을 위해 우주 방사선 측정기와 우주 플라즈마 측정기를 개발하고 보정하여 위성에 탑재. 탑재체의 초기 운용을 실시하고 개발된 전처리 software를 이용하여 초기 운용결과를 확인. | 우주 방사선 및 이온층 폭풍 관측자료 활용 우주용 입자 검출기 표준 모델 개발 탑재체 기술의 파급효과 기대 | 우주폭풍 우주환경 우주 방사선 | space storm space environment space radiation | 50000000 | |
809 | 2022 | 무인이동체원천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8444 | 무인이동체 자율 임무계획 기술 개발 | Autonomous Mission Planning Technology for Unmanned Vehicles | 최한림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601 | 20270531 | 지능형 자율비행 무인비행기기 시스템(UAV)기술 | [세부 과제 목표] 무인 이동체 원격 감독 수준의 관리하에서 임무 특성 환경 필요자원 등을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임무 계획을 수립하고 작업을 할당하며 상황 변화에 지능적으로 대처하는 기술 개발[다양한 무인이동체 운용 환경 적응] 다양한 무인이동체 운용 환경에 대하여 여러 운용 분야와 복잡한 운용 환경에 대해 상황 인식 기술 및 환경 변화 대응 기술 개... | [활용 방안] 복합 임무 설정/할당 및 평가 기술 개체 특성을 고려한 분산 할당 기술 상황인지 및 인공지능기술 적용을 통한 임무 의사 결정 기술로 해당 기술의 개발은 무인이동체 산업 전반에 활용 가능무인이동체 운용자의 복합 협업 임무 감독 및 무인이동체 운용 긴급 상황 인식에 활용분산 환경 무인이동체 운용 시 데이터 수집 및 분산 임무 할당을 위한 기술... | 무인이동체 자율화 인공지능 임무계획 다수다종 협업 시스템 분산 시스템 임무 계층화 | Unmanned Vehicle Autonomy Artificial Intelligence Mission Planning Cooperative System Heterogeneous Distributed system Mission Hierarchy | 400000000 |
531 | 2020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08589 | 강건한 분산형 다중에이전트 심층강화학습 기반 지능형 판단 및 자율 모션제어 기법 개발 | Robust Decentralized Multi-agent Deep Reinforcement Learning Technique for Intelligent Decision-making and Autonomous Motion Control | 이덕진 | 군산대학교 | 전라북도 군산시 | 20190601 | 20220228 | 지능형 자율비행 무인비행기기 시스템(UAV)기술 | ■ 단일 에이전트 심층강화학습 기법의 한계성 극복을 위한 새로운 기법 제안1. 비정형 및 희소보상 환경에서 강건한 분산형 다중에이전트 심층강화학습 기법 개발- 다중임무 동시 수행 가능한 다중에이전트기반 심층강화학습 알고리듬 개발- 다중 에이전트 학습을 위한 분산형 액터 학습 기법 적용- 희소보상에 강건한 학습 모델 개발을 위한 Curiosity 학습 기법 ... | 1. 기술적 측면- 심층강화학습 기법이 가지고 있는 이슈에 대한 해결방안 제시를 통해 이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기술적 우위 확보- 임베디드 모듈 및 탑재화를 통해 무인이동체 제품의 안정화 및 지능화로 실제 제품시장에서의 기술적 우위 제공 가능- 성공적으로 개발시 다른 무인시스템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인공지능 기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무인자율... | 인공지능 심층학습 심층강화학습 비행에이전트 드론 지능형로봇 다중 에이전트 | Artificial Intelligence Deep Learning Deep Reinforcement Learning Flight Agent Drone Intelligence Robot Multi-Agent | 50000000 |
512 | 2010 | 일반연구자지원 |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연구재단 | 1345126761 | 주파수 테일러링 디바이스 설계를 위한 모델축소법 기반 위상 및 형상 최적화 연구 | Topology and shape optimization using the model order reduction for frequency tailored devices | 윤길호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대구광역시 | 20090901 | 20120831 | 기타 우주항공기술 | 본 연구과제의 최종목표는 첨단 IT 융복합 의료기기 및 구조 건정성 평가 분야에 이용되는 주파수 테일러링 디바이스의 개발 및 설계를 위한 모델축소법 기반 위상 및 형상 최적화 기법을 수립하고 응용분야 프로토타입의 제작 및 실험을 통한 검증을 수행하는 것이다.목표 1: 주파수 테일러링 디바이스의 해석 및 설계를 위한 효과적인 복합 물리계 해석기법을 개발하고 ... | 본 과제에서 연구목표로 설정한 주파수 테일러링 디바이스와 관련된 구조최적설계 기법이 적용 될 수 있는 공학기술 분야는 매우 다양하다. 그중에서 메카트로닉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핵심 부품 중 하나인 엑츄에이터는 두 가지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설계 기법의 활용이 직접적으로 기대되는 분야이다. 첫째로 대부분의 엑츄에이터는 에너지의 효율적인 전환이라는 측... | 위상 최적화 형상 최적화 모델축소법 주파수 테일러링 디바이스 연성해석 구조 건전성 평가 장치 민감도 해석 | topology optimization shape optimization model order reduction frequency tailored device coupled-field analysis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device | 100000000 |
23 | 2021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3716 | 진동환경에서의 전자 패키지 솔더 접합부의 구조 건전성 판단을 위한 고 신뢰도 설계기법 도출 및 검증 | Validation of Design Methodology for Judging Structural Safety on Solder Joint of Electronic Package under Vibration Environment | 오현웅 | 조선대학 | 광주광역시 동구 | 20180601 | 20240531 | 위성설계 및 개발기술 | ● 소자와 기판간 솔더 접합부에 대한 진동환경에서의 구조건전성 판단을 위해 1970년대에 피로파괴 이론에 기반해 제안된 Steinberg 이론이 오늘날까지도 산업현장에서 적용되고 있으나 다양한 실장구조를 갖는 고집적화 패키지 솔더 접합부의 구조건전성 판단에 적용함에 있어 이론적 한계가 존재● 본 연구팀에서 기 수행한 상용급 위성용 전장품을 비롯해 2018... | ● 진동환경에서 고집적화 패키지의 솔더 접합부에 가해지는 피로에 의한 균열은 종국에는 전장품의 기능저하 및 고장으로 이어지는 등 전장품의 임무성공 가능성과 직결되는 중요한 항목임.● 본 연구를 통해 고집적화 패키지 솔더 접합부의 구조 건전성 판단이 가능한 고 신뢰도 설계기법이 구축될 경우 기존의 Steinberg 이론을 대체할 수 있으며 설계단계에서 잠... | 구조건전성 솔더 접합부 진동환경 피로파괴 고집적화 패키지 | Structural safety Solder joint Vibration environment Fatigue failure Highly integrated electronic package | 50000000 |
97 | 2019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296682 | 열전달을 동반한 축대칭 미세간극 압축성 유동장에 대한 다중 물리 위상최적화 기법의 연구 | Topological Optimization on the Axisymmetric Micro-gap Compressible Flow with Heat Transfer | 장세명 | 군산대학교 | 전라북도 군산시 | 20160601 | 20220531 | 위성설계 및 개발기술 | - 인공위성 자세 제어 및 궤도 전이 수행용 전기저항 가열 가스 추력기의 최적 설계 연구- Pl 비순응 요소에 근거한 위상최적화 기법율 이용 최소의 공간에서 최대의 열전 효율 및 최대의 비추력을 달성하는 다중물리 설계 방법론을 구축하는 것이 최종 목표임- 압축성 유동장을 통반한 축대칭 형상에 대해 본 설계 기법을 적용하고 실험 결과 및 개방 소스 코드 ... | 학문적 파급 효과: 압축성 유체역학에 P1 비순응 요소를 적용한 최적 설계 기법 확립 다중물리 최적설계 방법론 구축 지역대학의 학문 후속 세대 양성기술적 파급 효과: 소형 인공위성 및 우주발사체 분야에 활용 가능(기존 기술에 비해 친환경적임) 축대칭 미세간극 형상에 위상최적화 기술을 적용 유공압 밸브 및 MEMS 액츄에이터 소자 등 극한 정밀 요소 ... | 위상 최적화 압축성 유동 가스 추력기 전기저항 제트 | Topological Optimization Compressible Flow Gas Thruster Electric Resisto-jet | 30000000 |
1871 | 2011 | 우주핵심기술개발 |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연구재단 | 1345157634 | 서브m급 고해상도 광학 탑재체 성능 향상을 위한 모듈화된 하이브리드형 미세진동 절연장치 개발 | Development of modular hybrid microvibration isolation devices for optical payloads with sub-m resolution | 한재흥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 20090901 | 20140831 | 기타 위성기술 | ○ 위성의 진동 환경이 고정밀 위성 탑재체의 지향 안정성과 성능에 미치는 영향성 분석○ 진동원과 탑재체의 특성에 적합하게 튜닝이 가능한 모듈화된 하이브리드형 미세진동 절연장치의 인증모델 (QM) 개발 및 시험 검증 | 선진국에서 기술 이전을 회피하는 우주용 미세 진동 절연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초정밀 위성 탑재체 개발 및 운용을 가능하게 함. 향후 위성 간 통신 시험 우주 관측 등 중요한 우주 미션의 기반 기술임.전개형 메쉬 안테나 등 초대형 우주 구조물 개발 구현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주요한 기술추후 지향성 조정 장치와 구조 전개 장치 등 연관 우주 ... | 고정밀 위성 탑재체 지향 안정성 지터 미세 진동 진동 절연 스마트 재료 모듈화된 진동 절연장치 하이브리드형 진동 절연장치 | High Precision Satellite Payload Pointing Stability Jitter Micro Vibration Vibration Isolation Smart Materials Modular Vibration Isolation Devices Hybrid Vibration Isolation Devices | 190000000 |
784 | 2021 | 미래국방혁신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6958 | 공기 흡입 추진용 고에너지 젤 연료의 유변학 및 분무 특성 연구 | Rheological and Spray Characteristics of High-Energetic Gel Fuels for Air-Breathing Propulsion Application | 문희장 | 한국항공대학 | 경기도 고양시 | 20200921 | 20230131 | 기타 우주항공기술 | 본 연구의 최종목표는 젤 연료 램제트(gel fuel ramjet)에 적용할 수 있는 고에너지 물질 첨가 젤 추진제의 유변학적 기초자료 획득 및 압력 선회형 인젝터(pressure swirl injector)의 분사조건에 따른 분무·분열 특성을 파악하는 것임. 이를 통해 젤 추진제의 미립화 특성 및 분열영역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비행 무기체계 적용을 ... | 본 과제를 통해 획득된 고에너지 물질 첨가 젤 추진제의 유변학 데이터베이스 압력 선회형 인젝터 설계기술 분열영역 특성 및 미립화 특성 기초 데이터는 고효율 미래 연료로의 젤 연료 핵심 기반자료로 활용됨으로써 추진시스템의 소형화와 더불어 획기적인 설계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됨. 뿐만 아니라 전단박화 비뉴턴유체를 사용하는 산업분야(도료 윤활제 및 냉각... | 램제트 젤 연료 고에너지 물질 모사 젤 압력 선회형 인젝터 미립화 유변학 분무 특성 | Ramjet Gel fuel High-energetic material Simulant gel Pressure swirl injector Atomization Rheology Spray characteristic | 160000000 |
1007 | 2022 | 스페이스챌린지사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4848 | 메탄 연료 상단 엔진 시스템 개선을 위한 통합 설계 및 검증 연구 | Integrated Design and Verification Study for Improvement of Methane Upper Stage Engine Systems | 허환일 | 충남대학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501 | 20250131 | 로켓추진 기관기술 | 민간이 우주개발을 주도하는 뉴스페이스 시대에 접어들면서 발사체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개발/제작/운용비용을 감소시키는 노력을 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세계적인 소형 위성 발사 수요 증가에 맞춰 제 3차 우주개발 진흥 기본계획에 개발 중인 한국형발사체를 기반으로 소형 위성 발사가 가능한 소형발사체 개발 계획을 수립하였다. 따라서 국외 발사체와 견주어 경쟁력을... | 본 연구를 통해 획득하는 기술은 소형발사체 상단에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원추진제 로켓 엔진의 원천기술로써 다양한 추진 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다. 기술적 측면으로는 메탄 연료 상단 엔진용 추진제 공급 시스템과 ED 노즐의 설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 제작 및 실험 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 경제·산업적 측면에서는 상단 엔진의 효율을 높임으로써 발사... | 상단 엔진 메탄 추진제 공급 시스템 ED 노즐 통합 설계 3D 프린팅 성능 검증 고내열 금속 | Upper stage engine Methane Propellant supply system Expansion Deflection nozzle Integrated design 3D printing Verification Superalloy | 444450000 |
2875 | 2010 | 과학기술위성등우주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 |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1345134964 | 위성 SAR 탑재체를 위한 고전력효율 초경량 기판집적 능동위상배열 시스템 연구 | Research on High Power Efficiency Ultra-light Substrate-Integrated Active Phased-Array System for Satellite SAR Payload | 이해영 |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 경기도 | 20090901 | 20140831 | 차세대 통신위성 탑재체기술 | 본 연구는 위성용 SAR 탑재체에서 능동 위상 배열 시스템의 고전력효율화 초경량화 저가화를 위해 금속 도파관과 개방형 회로의 장점과 동시에 초경량 평면구조와 우주환경에서 전자기 차폐 및 내성을 갖는 새로운 기판 집적 도파관(Substrate Integrated Waveguide: SIW) 전송선을 적용한 기판 집적 능동위상배열 시스템(Si-PAS)연구... | 현재 인공위성 발사비용은 위성 탑재체의 무게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다. 또한 위성용 SAR 탑재체는 수백 개의 T/R 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수 kW의 레이더 신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위성의 신호 전력의 효율성은 전체 유지비용 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 즉 위성용 SAR 탑재체에서 전력 효율 측면이 가장 중요한 능동 위상 배열 시스템에서의 고전력효율 ... | 기판 집적 도파관 기판 집적 능동 위상배열 시스템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위성 탑재체 고전력효율 전력분배 네트워크 초경량 고성능 SIW 위상배열 | Substrate Integrated Waveguide Substrate integrated-Active Phased Array Synthetic Aperture Radar(SAR) Satellite SAR Payload High power efficiency Power distribution Network Ultra-light & Highend ... | 170000000 |
1763 | 2010 | 일반연구자지원 |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연구재단 | 1345139924 | 항공기 날개 표면의 얼음 착빙 현상 예측을 위한 수치해석 프로그램의 개발 및 검증 | 이관중 | 부산대학교 | 부산광역시 | 20081101 | 20111031 | 기타항공기기술 | 동절기나 고고도(30 000ft)에서 비행 시 항공기의 날개 표면이나 엔진 흡입구 기화기나 노출된 파이프 등에 얼음 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중 날개 표면에 형성된 얼음 층은 양력의 감소와 항력의 증가 조종성 상실로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실제 1990~2000년 사이 미국에서 전체 3230건의 사고 중 12%인 388건의 사고가 이러한 착빙으로 인해... | 제안된 과제는 미세한 크기의 입자가 포함된 유체의 흐름에서 입자의 거동을 모사하는 기술과 부착 예상 지점 및 형상을 예측하는 기술로서 착빙 현상이 발생하는 곳에 사용되는 터보 머신의 압축기 항공기 날개 풍력 발전기의 성능 계산에 사용될 수 있고 항공기 제빙 및 방빙 장치의 설계에 기초 자료 제공에 활용할 수 있으며 계산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착빙 형... | 항공기 착빙 성능해석 제빙 장치 얼음 형상 예측 메신저 모델 | Aircraft Icing Performance analysis Icing Shape Prediction Anti-Icing device Messinger Model | 50400000 | |
2077 | 2020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15900 | 높은 주기해상도를 지닌 위성영상에 적용 가능한 딥러닝 기반 토지피복지도 제작기법의 개발 | Land cover mapping algorithm based on deep learning for satellite imagery with high temporal resolution | 박홍련 | 영산대학교 | 경상남도 양산시 | 20200301 | 20230228 | 기타 위성기술 | - 본 연구에서는 높은 주기해상도(temporal resolution)를 지니는 위성영상에 적용 가능한 딥러닝 기반의 토지피복분류 기법을 개발하고 최종적으로 국내 환경부에서 제공하고 있는 토지피복지도를 효과적으로 갱신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는 것으로 목표로 함 - 특히 효율적인 토지피복지도의 갱신을 위해 딥러닝 기반 변화탐지 기법을 개발하여 변화지역만... | - 환경부에서는 1998년부터 토지피복지도를 제작 및 갱신해왔으며 현재까지 디지타이징 등의 수작업이 토지피복지도 제작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 효과적인 토지피복지도의 제작을 위해 분광정보들을 활용한 전통적인 토지피복분류 기법들이 개발되어왔으나 중분류와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제작에 적용하기에는 한계점이 있음 - 최근에는 기존의 전통적인 토지피복분류 ... | 토지피복지도 위성영상 토지피복분류 변화탐지 딥러닝 | Land cover map Satellite imagery Land cover classification Change detection Deep learning | 30000000 |
1814 | 2014 | 소형위성개발사업 | 미래창조과학부 | 한국연구재단 | 1711013830 | 차세대 소형위성 시스템종합 개발 | System Integration and Development of the Next Generation Small Satellite | 박승오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 20120601 | 20170531 | 위성설계 및 개발기술 | ◆ 차세대소형위성 체계종합 및 버스 개발 . 100 kg급 차세대소형위성 개발 . 접힌 태양전지판 포함 600×600×800 크기의 위성체 개발 . 250W급 최대 전력생성을 위한 위성체 개발 . 통합전장모듈(SEM)의 설계 기법을 적용한 위성체 버스 서브시스템 개발 - SoC 기반의 소형화를 통한 저전력 실현과 저비용의 위... | ◆ 우주분야의 국내전문 인력양성 . 박사후 인증 석사후 인증 대학원생 펠로우십의 적극 활용을 통한 인력양성과 우주분야 저변확대를 위한 계획수립 ◆ 기술 도입이 어려운 우주핵심기술의 우주인증 및 활용 . 우주인증을 통한 부품 국산화 및 실용위성과의 기술연계 . 국내 우주시스템 개발의 표준화 공정 구축과 산업화 기여 ◆ 표준화 설계도입으로 ... | 우주 차세대 소형위성 과학기술위성 산업화 지상국 체계종합 소형화 모듈화 표준화 | space NEXTSat STSAT localization groundstation systemintergration compactmodular standard | 5980000000 |
872 | 2021 | 집단연구지원(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7781 | 스마트 공항운영 기초연구실 | Basic research laboratory for smart airport operation | 문일경 | 서울대학 | 서울특별시 관악구 | 20210601 | 20240229 | 기타항공기기술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접어들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혁신성장동력 분야기술을 활용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시스템 운영을 추구하고 있다. 한편 포스트코로나 이후의 국가경쟁력 제고와 항공산업의 허브 주도권을 쟁취하기 위한 항공산업은 이러한 기술들을 적용할 수 있는 중요한 분야이다.본 연구팀은 스마트한 공항운영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4차... | 1) 기술적 측면연구를 통해 효율적인 운영 전략 도출 및 경쟁력 강화항공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항공산업의 핵심적인 특징 도출과 연구의 방향성 제시항공 서비스 분야의 패러다임 변화를 선도할 원천기술을 확보2) 학문적 측면다학제적 연구진의 집단 연구를 통해서 다양한 연구 결과를 도출스마트 공항이라는 주제로 strategic tactical operation... | 공항 운영 최적화 빅데이터 분석 딥러닝 운영관리 항공 서비스 스마트 공항 시뮬레이션 | Airport operation Optimization Big Data Analysis Deep Learning Operations Management Air transport service Smart Airport Simulation | 410000000 |
1373 | 2019 | 우주핵심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081930 | 유체배플을 이용한 액체로켓 연소기내 횡단교란파 전달 억제기술 개발 | Suppression technique of transverse disturbance propagation in a liquid rocket combustor using fluidic baffle | 구자예 | 한국항공대학교 | 경기도 고양시 | 20170425 | 20200331 | 로켓추진 기관기술 | ◎ 최종목표 준 2차원 연소기에서 다중 분사기 연소분무의 가시적 연구를 통해 연소유동장내 횡단 교란파 전파/감쇠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종(異種; dissimilar) 분사기 배열을 통해 횡단교란을 감쇠할 수 있는 유체배플 기초기술 확보◎ 세부목표 - 다중 분사기 배열이 분무연소의 상호간섭에 미치는 영향 규명 - 펄스건(pulse gun)을 이용한 횡단... | ? 한국형 발사체 등 고성능 고신뢰성 연소장치에 개발시 개발비용을 절감하기위한 설계 기술이 요구되며 다중 이종 분사기 연소 실험을 통해 확보한 최적의 다중 분사기 설계 기술이 확보되면 연소 불안정으로 인한 시험시 손상을 줄이고 개발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 펄스건을 이용한 임의의 횡단 방향 연소 교란 생성 기술을 통해 다중배열 연소기의 연소안정성 진단... | 연소 불안정 유체 배플 다중 분사기 횡단 교란 연소 가시화 이종 분사기 펄스건 감쇠 성능 | Combustion instability Fluidic baffle Multi injectors Transverse disturbance Combustion visualization Dissimilar injectors Pulse gun Damping performance | 90600000 |
1174 | 2016 | 첨단생산기술개발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12653 | 작물 생육에 따른 병해충 종류별 매뉴얼 작성 및 방제효과 분석 | 윤병욱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대구광역시 | 20150814 | 20180813 | 지능형 자율비행 무인비행기기 시스템(UAV)기술 | 본 과제에서는 병충해를 조기 발견할 수 있는 병충해 모니터링용 소형 무인기 및 인터넷통신 기반 모니터링시스템 개발과 일반인도 안전하고 쉽게 항공방제를 할 수 있는 무인항공기를 개발하되 자율항공방제기능을 갖추고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내구성이 강한 상용화 시제품을 개발할 뿐만 아니라 방제상황을 센터로 보내 종합적으로 볼 수 있는 방제맵까지 개발하고 작물 병충해... | ○ 항공방제에 제일 적합하고 고성능이면서도 저가인 무인기 개발로 (16L 2ha 급) 농업의 생산성 제고 및 국제 경쟁력 강화○ 병충해 상시 감시 체제 구축으로 최소농약으로 적기 방제○ 농민들을 중노동과 농약중독 위험으로부터 해방○ 고가의 무인헬리콥터를 수입대체할 수 있는 무인기 상품화○ 국토부 안전성인증 획득 및 농기계 등록을 통하여 시판 추진 | 무인항공기 사물인터넷 방제시스템 GPS 방제실증 | Unmanned air vehicle Internet of things Pest control system GPS Pest control proof | 50000000 | |
52 | 2021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3623 | 팬 형상 막냉각 홀의 막냉각 효과에 대한 대와류 모사해석 | Large Eddy Simulation of Film-Cooling Effectiveness in Fan-Shaped Cooling Holes | ZAMIRIALI | 고려대학 | 서울특별시 성북구 | 20200601 | 20230531 | 기타항공기기술 | In this project a Large Eddy Simulation of a fan-shaped cooling hole will be performed. The goal is to optimize the geometry of a cooling hole to improve film-cooling performance. In addition we will ... | According to the report global gas turbines market was valued at 16 billion USD in 2015 and is expected to reach 20.5 billion USD in 2021 which shows around 4% grow between 2016 and 2021. Film coolin... |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Film-cooling effectiveness opti |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Film-cooling effectiveness optimization fan-shaped cooling hole gas turbine | 50000000 |
2142 | 2019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096938 | 마이크로채널 내 이상유동 초킹과 임계열유속 간 상관관계 규명을 위한 실험적 연구 | Experimental study for investigating relationship between two-phase choking and critical heat flux in micro-channels | 김성민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서울특별시 종로구 | 20190601 | 20200531 | 기타항공기기술 | 마이크로채널 비등열전달은 작동유체의 현열과 잠열을 모두 이용하고 높은 열전달계수를 보이기 때문에 비교적 적은 냉각유량으로도 많은 열에너지를 수송할 수 있어 소형화 및 집적화된 첨단기기의냉각기술로 적용되고 있으며 이를 올바르게 설계하기 위해서는 그것의 냉각성능 및 냉각한계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마이크로채널 비등열전달의 압력강하 및 열전달... | 마이크로채널 히트싱크 내 비등열전달을 이용한 냉각 기술은 고열유속 및 초고열유속의 제거를 필요로 하는 첨단기기에 매우 적합한 기술이다. 본 연구는 마이크로채널 내 이상유동 초킹과 임계열유속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여 이상유동 초킹-임계열유속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실험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마이크로채널 내 흐름비등의 임계유... | 흐름비등 이상유동 초킹 임계열유속 조기임계열유속 이상유동 압축성 이상유동 플래싱 유동불안정성 드라이아웃 시작 | Flow boiling Two-phase choking Critical heat flux Premature critical heat flux Two-phase compressibility Two-phase flashing effect Flow instability Dryout incipience Micro-channel | 30000000 |
1441 | 2019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295112 | 최적 잠자리 날개 짓 조건 : 여러 비행 모드에서의 유동 해석과 실험 검증 | Proposal of Optimal Dragonfly Flapping Variables for Various Dragonfly Flight Mode by Numerical Simulation and Experimental Validation | 손창현 | 경북대학교 | 대구광역시 북구 | 20170601 | 20200531 | 지능형 자율비행 무인비행기기 시스템(UAV)기술 | 잠자리 비행체의 핵심인 두 쌍의 날개 짓의 공력특성을 각 비행 조건에서 여러 변수 변화에 따라 유동해석하고 각 비행 조건의 성능에 최적인 변수를 제공함. 유동 해석 결과 제시된 조건에 맞추어 날개 짓 기구를 제작/실험하여 잠자리 날개 짓 기구 성능을 해석 결과와 비교 분석을 통해 잠자리 비행체의 각 비행조건에 맞는 최적의 날개 짓 조건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 | - 잠자리를 모방한 형상의 MAV는 상대적으로 눈에 잘 들어나지 않는 장점이 있어 특수 임무의 관찰 등 활용도 면에서 뛰어나기 때문에 중요함.- 잠자리형 MAV는 멀티콥트 형 드론이 가지는 짧은 비행거리의 한계성과 글라이드 형상의 비행체가 정지비행을 할 수 없는 한계성을 극복하여 정지비행도 가능하고 먼 거리를 비행할 수 있는 새로운 드론 형상이 될 수 있... | 잠자리 잠자리 날개 짓 격자 볼츠만 방법 초소형 비행체 전산유동해석 | Dragonfly Dragonfly flapping Lattice Boltzmann Method Micro Aerial Vehicle CFD | 50000000 |
1001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0887 | 추진용 터빈의 손실지도에 관한 연구 | An investigation of loss maps in a turbine for propulsion | 이상우 | 금오공과대학교 | 경상북도 구미시 | 20210601 | 20240229 | 기타항공기기술 | 본 연구에서는 항공기 추진용 터빈에서 각종 부분스퀼러팁 및 부분슈라우드팁 동익에 대한 팁누설 손실지도를 완성하고 각 손실지도의 변화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제 1 차 년도에서는 부분스퀼러팁 터빈 동익의 손실지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제 2 차 년도에서는 부분슈라우드형 평면팁 및 전면스퀼러팁 터빈 동익의 손실지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며 ... | - 부분스퀼러팁과 부분슈라우드팁의 3차원유동 및 압력손실 특성 규명- 라운딩팁 및 챔퍼링팁의 공기역학적 특성 제시- 다양한 터빈 동익 팁 형상에 대한 손실지도 완성- 최적 동익 팁 형상 도출을 위한 기본 자료 축적- 항공기 추진용 터빈의 압력손실 데이터베이스 구축- 가스터빈 관련 전문 인력 양성 | 항공기 엔진 추진용 터빈 손실지도 부분스퀼러 부분슈라우드 라운딩팁 챔퍼링팁 | Aircraft engine Turbine for propulsion Loss map Partial squealer Partial shroud Rounded tip Chamfered tip | 43175000 |
804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1831 | 극초음속 유동장에서 원자 표면 촉매 재결합 현상에 대한 다중 스케일 분석 | Multi-Scale Analysis of Atomic Surface Catalytic Recombination in Hypersonic Flow | YANG YOSHEPH | 세종대학 | 서울특별시 광진구 | 20210301 | 20240229 | 기타 발사체기술 | ▶ 본 연구의 목표는 다중 스케일 분석(거시적 및 미시적 분석 방법)을 통해 극초음속 유동장에서 원자 표면 촉매 재결합 현상을 연구하는 것임. ▶ 거시적 분석 방법으로는 극초음속 CFD(계산 유체 역학) 유동 솔버(solver)에 최첨단 촉매 벽 경계 조건을 장착하여 대기권으로 재진입하는 우주 물체(우주선 인공위성 우주쓰레기 등)의 표면 열전달에 미... | ▶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본 연구 과제를 통해 얻게 된 새로운 벽 경계 조건이 기존의 자체 극초음속 CFD 유동 솔버에 장착하게 되며 재진입 우주 물체(우주선 위성 또는 우주 쓰레기 등)에 대한 표면 열전달을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음. 대기권에 진입하는 비행체 개발(고속 공기역학 및 재료기술)... | 극초음속 유동장 표면 촉매 재결합 계산 유체 역학 분자 동역학 열전달 재진입 수치 분석 촉매 벽 경계 조건 | hypersonic flow surface catalytic recombination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Molecular Dynamics heat transfer reentry numerical analysis catalytic wall boundary condition low and high fidelity anal... | 31300000 |
1843 | 2015 |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232958 | 기후변화에 대응한 인공위성 영상 기반의 남한지역 토양수분지도 작성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Development of satellite image-driven soil moisture database against climate change | 최민하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경기도 | 20130601 | 20160531 | 기타 위성기술 | -기후변화로 인한 예기치 못한 극한기후사상에 대비한 통합적 수자원 관리 시스템구축의 일환으로 남한 규모의 인공위성 영상기반 토양수분 데이터베이스 개발-인공위성 영상자료를 이용한 토양수분 알고리즘 개발-국내 대표유역을 대상으로 토양수분 알고리즘 검증-기존의 토양수분자료와의 상호비교·분석 및 개선을 통해 남한 규모의 토양수분 지도작성-※ 미농무성(USDA) 수... |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전문가 및 국민에게 토양수분 정보를 웹기반으로 제공함으로써 기후변화로 인한예기치 못한 극한기후사상에 대한 효과적인 적응 능력 확립- 한국의 기상 및 지형에 맞는 남한 규모의 토양수분 지도를 제공함으로서 이와 관련된 세계 최신 기술의 확보 가능- 기후변화에 따른 통합적인 수자원 관리시스템의 일환으로 미... | 기후변화 인공위성 가뭄지수 토양수분 자료검증 | Climatechange Remotesensing Droughtindex Soilmoisture Datavalidatiom | 51090000 |
1664 | 2013 | 중견연구자지원 | 미래창조과학부 | 한국연구재단 | 1711000958 | 헬리콥터 사고 원인 파악 및 방지를 위해 로터 후류의 불안정성을 고려한 헬기의 시간 전진 거대거동 시뮬레이션 구현 | Time-marching simulation of largely-perturbed motion which considers instability of rotor wake flow for understanding and prevention of helicopter accident | 이덕주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 20120901 | 20150831 | 다목적 헬리콥터기술개발 | 헬리콥터 사고의 원인 파악 및 방지를 위하여 먼저 국내 및 국외의 헬리콥터 사고를 조사하고 원인을 분석한다. 다음으로 헬리콥터 사고상황에 대한 정확한 모사를 위하여 공력/동역학 연계 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확인한다. 이를 통하여 향후 다양한 헬리콥터의 조종 입력에 대한 헬리콥터의 거동을 예측한다. | 국내 및 국외의 헬리콥터 사고를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헬리콥터 사고의 예방방안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확한 헬리콥터의 공력해석 및 공력/동역학 연계 해석을 통하여 헬리콥터가 직면할 수 있는 사고 상황에 대한 분석을 미리 해볼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사고 방지대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여 조종사들의 훈련에 사용함... | 헬리콥터 기동비행 공력해석 동역학해석 비행사고 | Helicopter Maneuvering flight Aerodynamic simulation Dynamic simulation Flight accident | 98000000 |
329 | 2020 | 항공우주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68243 | 유무인기 적용 가능한 다중센서 및 딥러닝 기반 조종사 보조 시스템 기술 개발 | Advanced Pilot Assistant System Development based on Multiple Surveillance Sensors and Deep Learning for Manned and Unmanned Aircraft Systems | 최기영 | 인하대학교산학협력단 | 인천광역시 남동구 | 20180901 | 20221231 | 지능형 자율비행 무인비행기기 시스템(UAV)기술 | - 항공기/시스템에 대한 상세설계 완료- 시험지원장비 개발- K-대역 레이다 센서 상세설계 완료- K-대역 레이다 센서 환경시제를 이용한 제작기술 입증- 딥러닝 기반 공중 상황인식 및 충돌회피 알고리즘 상세설계 완료- PILS 시스템 기반 알고리즘 성능검증- 무인기 개조에 대한 기본설계 완료- 윙 포드(Wing POD) 상세설계 완료- 윙 포드(Wing P... | [기대효과] 다중센서 및 인공지능 기반 충돌회피 기능을 갖는 조종사 보조 시스템 기술 개발[내용]- 다중센서 및 딥러닝 기반 상황인식기술 개발- 딥러닝 학습 및 End-to-End용 DB 획득 시스템 구축- 다중센서 및 딥러닝 기반 실시간 고속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 비행 충돌회피 End-to-End 시스템 시뮬레이터 개발 및 시험평가 수행 | 조종사 보조 시스템 상황인식 충돌회피 다중센서 딥러닝 | Advanced Pilot Assistant System Situational Awareness Collision Avoidance Multiple Sureveillance Sensors Deep Learning | 1093848000 |
51 | 2013 | BK21플러스사업(0.5)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214967 | NT-BT 공정 기반의 차세대 에너지 기술 사업팀 | Research team for next generation energy technology based on NT-BT processes | 강윤찬 | 건국대학교 | 서울특별시 | 20130901 | 20200831 | 로켓추진 기관기술 | NT/BT 및 화학공정 기술을 기반으로 한 산업밀착형 교육 및 연구 개발을 통해 차세대 에너지 분야 신 성장동력 확보 및 글로벌 연구인력 양성 | ■ 에너지변환 기술 분야 산업체 맞춤형 전문 인력양성 - 에너지 분야의 산학 연계 공동 교육을 통한 친기업형 고급인력 양성 - NT/BT 기술과 화학공정 기술의 결합에 기반한 산업 밀착형 연구를 통해 차세대 에너지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 역량을 갖춘 글로벌 인재 배출.■ NT BT 및 화학공정을 전공하는 사업팀 참여교수 및 해외 우수 연구진의 공동 연구 활... | NT BT 에너지 소재 에너지 변환 에너지 저장 바이오 에너지 바이오 공정 재료 공정 전자 재료 | Research t | 57659000 |
2136 | 2018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067260 | 덤프 연소기에서의 분무 및 연소특성 연구 | Spray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in dump combustors | 안규복 | 충북대학교 | 충청북도 청주시 | 20170301 | 20200229 | 기타항공기기술 |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덤프 연소기에서의 분무 및 연소특성을 연구하여 덤프 연소기의 연소성능 및 연소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인 현상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가스터빈 및 램제트 엔진의 핵심부품인 덤프 연소기 설계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총 3년으로 구성되며 각 연도별로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 목표를 ... | - 현재 가스터빈의 경우에는 NOx를 줄이기 위해 당량비가 매우 낮은 상태에서 작동하도록 유도되고 있으며 램제트의 경우는 추진효율을 높이는 위해 당량비가 1에 근접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동범위에서 높은 레벨의 연소불안정이 강하게 나타나게 된다.- 많은 실험적 계산적 연구결과들은 large coherent vortical 구조들이 위의 불안정성을 야기 시키... | 덤프 연소기 분무특성 연소특성 연소불안정 가스터빈 엔진 램제트 엔진 | dump combustor spray characteristics combustion characteristics combustion instability gas turbine engine ramjet engine | 49881000 |
1966 | 2014 | 일반연구자지원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227564 | 친환경 복합재 구조의 손상 자기 치유 기술 및 손상 진단을 고려한 최적화 설계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optimization design method considering on self-healing and damage diagnosis technology of natural composite structure | 박현범 | 호원대학교 | 전라북도 | 20141101 | 20170430 | 기타항공기기술 |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핵심 기술인 친환경 복합재 구조의 손상 자기 치유 및 손상 진단 기술을 고려한 최적화 설계 기술 개발을 연구 목표로 하고 있다.- 친환경 복합재 구조의 손상 자기 치유 기술 개발 및 체계화- 친환경 복합재 구조의 손상 거동 분석- 자기 치유 기술이 적용된 친환경 복합재 시편 제작 방안 연구- 친환경 복합재 구조 손상 진단 시스템 알고리... |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국내 독자적인 친환경 복합재 구조물의 손상 자기 치유 기법이 적용된 최적화 설계 기법의 기초 요소 기술 확보가 가능하다.- 본 연구개발 기술은 구조물의 안전성 기술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며 특히 항공기 손상 유지 보수 기법에 적용하여 항공기 정비 기술이 용이해지고 정비 주기가 개선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자기 치... | 자기 치유 재료 복합재 구조 친환경 복합재료 스마트 구조 손상 진단 최적화 설계 구조 설계 시편 제작 구조 | SelfHealingMaterials CompositeStructure NaturalComposite SmartStructure DamageDiagnosis OptimizationDesign StructuralDesign SpecimentManufacturing StructuralTest | 20085000 |
1085 | 2010 | 2단계연구중심대학육성(0.5) |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연구재단 | 1345136448 | 차세대 항공통신시스템 인력양성팀 | Next-Generation Aeronautical Communication Systems Team | 장준혁 | 인하대학교 | 인천광역시 | 20090301 | 20130228 | 기타항공기기술 | 국내최고 수준 및 국제 경쟁력있는 항공통신시스템분야 우수인력 양성 및 기술개발 BK사업기간후에도 독자적으로 항공통신시스템연구의 구심점역할을 할 자생력있는 연구집단 21세기 국가경쟁력을 좌우할 항공통신시스템에 대한 핵심원천기술을 공급하는 사업팀 세계적 수준의 인력과 기술개발을 실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체계적인 시스템 보유 | 항공통신시스템에 대한 기초연구의 심화로 핵심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특화된 핵심인력을 배출 BK사업종료후에도 우수한 인적/물적 인프라를 바탕으로 정부/산업체/연구소의 대형사업 및 과제를 통해 자생력있는 연구활동 유지 및 향상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정보통신연구진흥원등의 우수대학연구센터를 유치할 수 있는 특화된 연구역량을 지닌 사업팀으로의... | 디지털신호처리 무선이동통신 시스템집적회로 설계 초고주파 및 항공통신 | Digital Signal Processing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tergrated Circuit Design Microwave and Avionics | 126690000 |
1147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8720 | 초음속 유체진동기를 이용한 고마하수 경계층 유동 제어 | Flow Control of the Boundary-Layer of High-Mach Numbers by Using Supersonic Fluidic Oscillator | 이열 | 한국항공대학 | 경기도 고양시 | 20190601 | 20220228 | 기타항공기기술 | 최근 당해기관에 의하여 개발된 초음속 유체진동기를 이용하여 고마하수 (마하수 = 2.0과 2.5) 경계층 박리유동을 제어할 수 있는 신개념 유동제어기술 개발을 연구 목표로 년도별 세부 목표를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1차년도) 실험계획법에 의한 고마하수 경계층 제어용 초음속 유체진동기의 상세설계 - 고마하수 유동박리 제어에 적합한 특정 진동특성을 구현하... | (1) 초음속 유체진동기를 이용한 고마하수 경계층 유동제어 연구는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시도되지 않은 새롭고 도전적인 연구주제로 국내 연구자에 의한 해당 분야의 선도적 연구 사례가 될 수 있음(2) 현재 국내에서 진행 중인 스크램 제트엔진 개발의 기초 데이터 베이스를 제시할 수 있음 (3) 당해기관에 의해 최근 개발된 초음속 유체진동기 기술의 기술성숙도... | 유동제어 초음속 유체진동기 충격파 유동박리 경계층 제어 | Flow Control Supersonic Fluidic Oscillator Shock Wave Flow Separation Boundary-Layer Control | 50000000 |
2764 | 2016 | 우주핵심기술개발 | 미래창조과학부 | 한국연구재단 | 1711040861 | 달착륙선의 고정밀/고신뢰성 복합항법기술 | Integrated Navigation System with High Precision/Reliability for Lunar Lander | 박찬국 | 서울대학교 | 서울특별시 | 20130701 | 20180630 | 기타 우주항공기술 | 본 연구는 달착륙선을 기준으로 주변 영역을 탐사하는 달 탐사로버의 고정밀/고신뢰성 항법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복합항법시스템의 핵심 기반 기술 개발을 주요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탐사로버의 영상기반 복합항법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주변 환경지도 작성 및 상대위치 추정 기법을 연구함으로써 달 탐사로버의 고정밀 항법기술을 확보한다. 또한 영상기반 위험요소 검출기법... |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계획되어 있는 한국형 달착륙선 및 탐사로버의 항법시스템 개발을 위한 핵심 기반 기술을 확보할 수 있으며 연구 결과는 고정밀/고신뢰성이 요구되는 행성탐사선 등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다양한 복합항법 및 항법정보 융합 기술은 점차 고도화되고 복잡해지는 차세대 항법시스템에서 강건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응용될 수 있다. | 달 탐사 달 탐사로버 복합항법 영상항법 탐사로버 실험 | Lunarexploration Lunarrover Integratednavigation Visionnavigation Rovertesthardware | 100000000 |
2314 | 2020 | 신농업기후변화대응체계구축(R&D) |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 | 1395063948 |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국내 주요 작물 재배면적 산정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major crop cultivation area estimation technique in Korea by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 최재완 | 충북대학교 | 충청북도 청주시 | 20200101 | 20231231 | 기타 위성기술 | 작물 재배면적 산정을 위한 위성영상의 특성 및 딥러닝 기반 작물분류 기술을 분석하고 딥러닝 모델 적용을 위한 훈련자료 생성에 관한 연구 | 작물 재배면적 산정을 위한 최신 기술 동향 분석 및 관련 기술 확보 딥러닝 모델 학습을 위한 훈련자료 확보 | 위성영상 모니터링 재배면적 작황변동 농업재해 | satellite image monitoring area crop agricultural disaster | 90000000 |
670 | 2012 | 첨단융합기술개발 |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연구재단 | 1345168436 | 기계공학 교육?연구를 위한 압축성?비압축성 시뮬레이션소프트웨어 개발 및 활용 연구 |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Compressible/Incompressible Fluid Dynamics Simulation Software for Mechanical Engineering Education and Research | 이도형 |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 경기도 | 20110715 | 20160630 | 항공기 체계종합 및 비행성능기반기술 | 본 연구에서는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의 수업에 활용이 가능한 (1) 교육?연구용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2) 이를 활용한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 (3) 기초?응용?심화 교과목 교육에 활용한다. 특히 기계공학 열?유체역학 분야의 특성에 맞추어 주로 내부유동을 중심으로 압축성?비압축성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유체관련 학부 대학원 교과과정에 활용한다....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교육적 기술적 경제적 가치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1) 먼저 유체역학 교육방법을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기존의 교과서 및 이론중심 교육으로부터 체험적이고 시각화된 컴퓨터 유동 시뮬레이션 실습을 병행함으로서 교과내용을 보다 흥미롭고 이해하기 쉽게 학습할 수 있다. 전문화된 전산유동 관련 연구 성과를 일반 학부?대학원생이 손쉽... | 교육 콘텐츠 기계공학 전산유체역학 압축성/비압축성 점성/비점성 층류/난류 | Education contents Mechanical Engineer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In)compressible Viscous/Inviscid Laminar/Turbulent | 56250000 |
2589 | 2011 | 리더연구자지원 |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연구재단 | 1345146959 | 초기우주천체연구단 | Center for the Exploration of the Origin of the Universe | 임명신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서울특별시 | 20080601 | 20170228 | 기타 우주항공기술 | 아직까지 천문관측의 손길이 미치지 않는 초기우주 최초의 천체들을 발견 연구함으로써 인류가 가지고 있는 우주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근적외선에서 감도가 높은 광시야 영상기기를 개발하고 이를 관측조건이 월등한 해외천문대에 설치하여 초기우주 천체 탐사관측을 실시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최초의 천체 형성과정과 이들이 그 후 무거운 은... | (1) 아직까지 아무도 보지 못한 최초의 천체들을 발견하여 연구함으로써 인류의 우주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획기적으로 넓히게 된다. (2) 근적외선 파장을 포함하는 최신 광시야 관측기기를 개발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 아직 취약한 천문 관측기기개발 분야의 발전에 이바지 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서 양성된 인력들은 앞으로의 천문관측연구들에 핵심적인 역할들을 ... | 외부은하천문학 우주론 퀘이사 및 활동은하핵 적외선천문학 천문관측기기 | Extragalactic Astronomy Cosmology Quasrs and Active Galactic Nuclei Infrared Astronomy Astronomical Instrumentation | 680000000 |
325 | 2014 | 신진연구자지원 | 미래창조과학부 | 한국연구재단 | 1711016103 | 우주용 전개형 광학구조체 및 고정밀 포커스 메커니즘 설계 | Space-use deployable opto-structure and high accuracy focus mechanism design | 조희근 | 안동대학교 | 경상북도 | 20120901 | 20150831 | 위성설계 및 개발기술 | 국내에서는 우주용 전개형 광학구조체와 이 구조체의 핵심 부분인 고정밀 포커스 메커니즘에 대한 핵심기초기술의 연구 및 개발이 매우 부족한 상황이며 대부분 미국/유럽 등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 국방 과학 실용목적의 차세대 소형 고기동 위성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전개형 광학구조체와 고정밀 포커스메커니즘은 이러한 차세대 위성의 핵심 기... | ? 전개형 광학구조체 및 고정밀 포커스 메커니즘은 국내 차세대 위성개발에 필수적인 핵심기술로서 기술수입으로 인한 막대한 비용지출을 막고 국가 기술위상을 높일 수 있다.?소형 경량고기동 군사 과학 상업용 위성 등 차세대 고성능 위성개발의 핵심기술제공. ?독자기술개발 및 해외 기술 수출로 인한 막대한 경제적 효과 창출.?우주용뿐만 아니라 지상용 군사 항공... | 위성 복합재료 열변형 광학구조체 구조설계 탑재체 세라믹 광학 메커니즘 설계 | satellite compositematerials thermaldeformation telescopestructure structuredesign payload ceramic optics mechanismdesign | 49530000 |
510 | 2020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11505 | 코로나가열 유력기작인 알펜파를 최초로 태양흑점 채층에서 검출하기 | First Detection of Alfvn waves in the Sunspot Chromosphere | 채종철 | 서울대학교 | 서울특별시 관악구 | 20200301 | 20230228 | 기타 우주항공기술 |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태양흑점 채층에 존재할 것으로 예측되는 알펜파 (AIfvn waves)를 최초로 관측에서 검출하는 것이다. 알펜파는 태양 하층에서 상층으로 자기력선을 따라 에너지를 매우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자기유체파의 일종으로서 코로나 가열 및 태양풍 가속의 유력한 기작이다. 태양흑점 바깥지역의 알펜파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검출되었지만 태... | 예측대로 충분한 에너지를 갖는 알펜파가 검출된다면 검출 자체로 이미 중요하다. 태양흑점 채층에서 최초로 알펜파를 직접 검출한 것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빠른자기음파로부터 알펜파로 모드 변환이 일어난다는 이론을 뒷받침해 줄 것이다. 더 나아가 태양흑점 채층에서의 자기유체파 연구를 활성화시켜 비균일 매질의 선형 및 비선형 자기유체파에 대해 더 온전하게 이해할 ... | 알펜파 태양흑점 자기유체파 코로나 가열 태양풍 가속 분광선 스펙트럼 태양 관측 태양 채층 | Alfven waves sunspots MHD waves coronal heating solar wind acceleration line spectra solar observation solar chromosphere | 190000000 |
763 | 2012 | 우주핵심기술개발사업 |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연구재단 | 1345171692 | 초내열/초고온 세라믹스 복합재료 제조기술 | Fabrication Technology of Ultra High Heat-Resistance/TemperatureCeramic Composite Materals | 최성철 | 한양대학교 | 서울특별시 | 20090901 | 20140630 | 소형위성 발사체개발기술 | ◎ 우주항공용 초내열/초고온 세라믹스 복합체 제조공정의 기반 기술 확보▷ 분말 합성과 소결 공정 반응 기구에 대한 열역학적 해석▷ sub-micro 및 nano size의 ZrB2 분말 합성▷ 치밀화 및 고온물성 향상을 위한 ZrB2 파우더 chemical treatment 기술 개발▷ 높은 고형분량과 낮은 점도 안정적인 분산특성을 갖는 ZrB2계 현탁액... | ◎ 차세대 우주 항공 재료의 핵심 소재인 초고온 세라믹스 복합체 기술 확보▷ 수출 규제 및 기술 보호 소재의 자력 합성/소결 기술의 확보▷ 항공우주분야 과학기술 위상 고취▷ 30% 이상의 항공 부품소재관련 국외 로얄티 저감 및 수입 대체▷ 차세대 철강용 고온 내화물 산업의 기반기술로 활용 | 초고온 세라믹스 붕화지르코늄 탄화규소 복합재료 소결 분산 분말합성 산화저항성 내열특성 | UHTC Zirconium diboride Silicon carbide Composite Sintering Dispersion Particle synthesis Oxidation resistance Thermal properties | 170000000 |
2970 | 2016 | 우주핵심기술개발 | 미래창조과학부 | 한국연구재단 | 1711040881 | 실시간 원격 탐사용 레이저 분광 기술을 활용한 달 표면 성분 분석 기법의 국산화 | A study on the component analysis and the categorizing method using laser spectroscopy for the real time stand-off space exploration | 여재익 | 서울대학교 | 서울특별시 | 20140701 | 20190630 | 기타 위성기술 | 본 연구의 목표는 Raman-LIBS 레이저 분광 기법의 통합 시스템을 활용하여 달 표면 탐사 시 구성 물질의 성분을 분석하고 토양과 암석 등을 화학 조성 및 분자 구조 등에 따라 분류하는 데에 있다. Raman 분광은 분자 구조 LIBS 는 원자 성분 및 동위 원소 분석이 가능한 기법이므로 두 가지 레이저 분광 기술을 통합함으로써 우주 물질 성분의 정... | 본 연구팀이 제안한 탑재체 시스템 관련 기술을 이용하면 달 이외의 다른 행성의 지질 구조 및 성분 또한 분석할 수 있으며 생명체의 존재 및 흔적을 정밀 분석할 수 있다. 탐사용 탑재체 기술의 국산화는 우주기초원천기술개발의 핵심을 국산화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향후 우리나라 주도형 우주환경연구에 다각도로 활용 가능한 기초기술로써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 | 달 표면 탐사 레이저 유도 분광 분석법 라만 분광법 플라즈마 라만 산란 탐사 탑재체 화학 분석 동위원소 분석 | SpaceExploration LaserinducedBreakdownSpectroscopy RamanSpectroscopy Plasma RamanScattering SpacePayload ChemicalAnalysis IsotopicAnalysis CategorizingMethods | 100000000 |
1949 | 2020 | 우주핵심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03764 | 나노위성용 SAR 시스템 연구 및 개발 |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SAR System for Nanosatellites | 노진호 | 한국항공대학교 | 경기도 고양시 | 20170425 | 20200331 | 차세대 통신위성 탑재체기술 | 작은 부피로 접혀진 후 우주공간에서 전개 가능한 CFRP 안테나 및 소형화된 SAR 시스템 연구를 통하여 나노급 위성에 탑재 가능한 SAR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SAR 설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개형 CFRP 안테나를 제작한다. SAR 운용모드 그리고 SAR 시스템의 소형화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된 SAR 안테나 성능의 효율성을 시연한다. | 본 연구를 통하여 나노위성용 SAR 시스템이 개발된다면 우리나라의 우주개발능력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계기가 되며 국가 브랜드 이미지를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국가 우주개발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SAR 안테나 신뢰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전개형 SAR 안테나에 대한 기술 수출이 가능할 것이다. | 나노 위성 전개형 안테나 소형화 복합재료 능동식 전개 메커니즘 방사 성능 디지털 신호 처리기 형상 정확성 | Nano-Satellites SAR Miniaturization CFRP Active-Mechanism RF Pattern Digital Signal Processor RMS | 50000000 |
2776 | 2018 | 우주핵심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076135 | 팽창기 사이클 메탄 상단 액체로켓엔진 기초 연구 | Fundamental study on the expander cycle liquid rocket methane engine for the upper stage | 안규복 | 충북대학교 | 충청북도 청주시 | 20180710 | 20210630 | 로켓추진 기관기술 | 발사체 선진국에서는 화성탐사와 재사용 발사체를 고려한 메탄 엔진 개발이 매우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메탄 엔진도 가압식 가스발생기 사이클 다단연소 사이클 팽창식 사이클로 개발이 가능하며 현재 우리나라는 산학연을 중심으로 가압식 가스발생기 사이클에 대해서는 높은 수준의 다단연소 사이클 엔진에 대해서는 낮은 수준의 개발 경험을 확보하고 있다. 하지... | 한국형발사체의 상단 엔진은 비추력이 낮아 상단 발사체의 효율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팽창식 사이클 메탄 엔진의 기본 설계/해석 예측기법 요소 기술을 기초 연구를 통해 확보함으로써 비추력이 높은 상단 엔진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2018년 2월에 수립된「제3차 우주개발 진흥 기본계획」에 따르면 과학로켓과 500 kg 이하 위성 발사를 위한 소형발... | 액체로켓엔진 팽창식 사이클 메탄 엔진 연소기 재생냉각 설계-해석 | Liquid rocket engine expander cycle methane engine thrust chamber regenerative cooling design-analysis | 50000000 |
50 | 2010 | 선도연구센터지원 |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연구재단 | 1345135227 | 은하내 항성종족의 진화와 암흑에너지 | Evolution of stellar populations in galaxies and dark energy | 이영욱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서울특별시 | 20100901 | 20170831 | 기타 우주항공기술 | 세부과제 2-1의 1단계 연구목표는 은하의 관측자료로부터 은하의 나이와 중원소함량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Type Ia 초신성 호스트 은하의 분광 관측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차년도에는 먼저 진화종족합성모델의 기본자료가 되는 Y2 아이소크론 및 헬륨연소단계 항성의 진화트랙을 최종 완성하고 정상 헬륨함량을 갖는 종족에 대한 YEPS 종족합성모... | 우리 연구팀이 구축할 은하의 자외선-가시광 진화종족합성모델은 헬륨연소단계의 수평계열성을 완벽하게 포함하는 유일한 모델이며 동시에 구상성단의 HR도를 재현할 수 있는 유일한 모델이다. 따라서 이 모델이 상대적으로 나이가 많은 은하의 나이 및 중원소함량 측정에 사용될 경우 기존 모델의 결과와는 상당한 차이를 보일 것으로 기대되며 이로부터 우리는 이제껏 ... | 항성종족 타원은하 Type Ia 초신성 암흑에너지 종족합성 은하진화 | Stellar Populations Elliptical Galaxy Type Ia Supernova Dark Energy Population Synthesis Galaxy Evolution | 377100000 |
1487 | 2015 | 첨단생산기술개발 |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10527 | 작물 생육에 따른 병해충 종류별 매뉴얼 작성 및 방제효과 분석 | Establishment of pest management manual and its efficacy analysis on crop growth | 윤병욱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경기도 | 20150814 | 20180813 | 지능형 자율비행 무인비행기기 시스템(UAV)기술 | 본 과제에서는 병충해를 조기 발견할 수 있는 병충해 모니터링용 소형 무인기 및 인터넷통신 기반 모니터링시스템 개발과 일반인도 안전하고 쉽게 항공방제를 할 수 있는 무인항공기를 개발하되 자율항공방제기능을 갖추고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내구성이 강한 상용화 시제품을 개발할 뿐만 아니라 방제상황을 센터로 보내 종합적으로 볼 수 있는 방제맵까지 개발하고 작물 병충해... | ○ 항공방제에 제일 적합하고 고성능이면서도 저가인 무인기 개발로 (16L 2ha 급) 농업의 생산성 제고 및 국제 경쟁력 강화○ 병충해 상시 감시 체제 구축으로 최소농약으로 적기 방제○ 농민들을 중노동과 농약중독 위험으로부터 해방○ 고가의 무인헬리콥터를 수입대체할 수 있는 무인기 상품화○ 국토부 안전성인증 획득 및 농기계 등록을 통하여 시판 추진 | 무인항공기 사물인터넷 방제시스템 GPS 방제실증 | Unmanned air vehicle Internet of things Pest control system GPS Pest control proof | 50000000 |
2392 | 2012 | 일반연구자지원 |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연구재단 | 1345171825 | 모사 연소시험을 통한 액체로켓용 분사기의 연소안정성 여분 파악 | Determination of Combustion Stability Margin of Liquid Rocket Injectors through Simulating Combustion Tests | 김홍집 | 충남대학교 | 대전광역시 | 20110501 | 20140430 | 로켓추진 기관기술 | 액체로켓용 연소기에서 연소불안정 현상은 연소과정의 열방출율과 연소기 내부에서의 음향장이 서로 상호작용을 일으켜 발생하는 것으로 여러 연소기 개발과정에서 경험된 바 있다. 연소불안정이 발생하게 되면 분사기면이나 연소기 벽면으로의 과도한 열전달이 유도되어 심한 경우 연소기 자체의 손상을 발생시킨다. 로켓용 연소기의 개발에 있어 실물 크기의 연소기 시험을 통해... | 모사 연소시험을 통하여 로켓엔진용 분사기의 연소안정성 여분을 파악하는 일은 ST 분야에 있어 우주발사체 선진국에의 기술 의존도를 줄이고 나아가서는 독자적 기술국으로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경제적으로는 실물 스케일의 로켓엔진용 연소기를 개발하는데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과제를 통해 얻게 되는 결과물들은 직접적으... | 연소불안정 액체로켓엔진 연소안정성 여분 모사 연소시험 분사기 연소기 음향 진도 | Combustion Instability Liquid Rocket Engine Combustion Stability Margin Simulating Combustion Test Injector Combustor Acoustic Oscillation Instability Boundary Mixing Process | 59999000 |
2991 | 2011 | 일반연구자지원 |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연구재단 | 1345145675 | Wi-Fi 환경에서 Visual Landmark 와 저가형 AHRS 데이터 퓨전을 통한 소형무인기 자율 비행 연구 | Research on Autonomous Flight of Small UAVs Using Visual Landmarks and a Low-Cost AHRS in Wi-Fi Environments | 이정욱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서울특별시 | 20100501 | 20130430 | 지능형 자율비행 무인비행기기 시스템(UAV)기술 | 자기 위치를 인식하고 장애물을 탐지하고 회피하며 목표물 탐지 및 모니터링이 가능한 저가의 데이터 수집 소형무인기 및 운용시스템 기술을 개발한다. 이를 통하여 국가 안전 시스템 발전에 기여한다. 영상 정보 분석 및 저가형 관성측정 장치를 활용하여 0.1m 이내의 오차로 자기위치를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다. 또한 Wi-Fi를 이용하여 ... | (1)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화재 테러 등의 상황에서 무인비행체가 접근하여 모니터링을 할 수 있게 하여 안전 사회 구축에 기여한다. (2) GPS가 이용 가능하지 않은 교량 하부의 균열 감시 선박 선체의 상태 감시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3) 영상 정보에 의하여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또 지도를 그려 나갈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됨으로써 ... | 소형무인기 Visual Landmark 장애물 회피 실시간 위치 추정 Wi-Fi 3D 환경 구축 센서 융합 영상 인식 자율 비행 | Small UAVs Visual Landmark Obstacle Avoidance Real-time Localization Wi-Fi 3D Map Building Sensor Fusion Vision Recognition Autonomous Flight | 55800000 |
1752 | 2016 | 이공계전문기술·연구인력양성(한국연구재단) | 미래창조과학부 | 한국연구재단 | 1711040750 | 탄소 복합재 기반 조립식 드론 개발 | Development of the carbon-composite-based knockdown drone | 강래형 | 전북대학교 | 전라북도 | 20160601 | 20180531 | 기타항공기기술 | ○ 탄소 복합재 및 탄소 복합재 기반 드론 연구를 위한 연구 인력 양성 및 지역 내 신사업 발굴○ 드론 및 탄소 복합재 관련 산업체의 전문 인력 수요의 충족을 연구 인력 교육 및 취업 기회 제공○ 누구나 쉽게 조립하고 조종할 수 있는 조립형 드론 시스템 개발을 통해 신사업의 저변확대○ 산업용 드론뿐만 아니라 교육용 연구용 드론 개발을 통해 다양한 산업과의... | ○ 조립식 탄소 복합재 구조물 제작 노하우 획득 및 활용 - 탄소 복합재 동체 및 복합재 블레이드 등 고부가가치 분야 부품 구조 설계○ 드론 설계 기법 확보 및 비행 성능 향상을 위한 데이터 확보 - 구조 및 유동해석을 통해 성능 향상 요인 분석 데이터 전파○ 드론 구조물의 건전성 감사를 통해 안정성 확보로 차별화 가능○ 탄소 산업 농생명 산업을 현... | 탄소 복합재 조립식 드론 무인기 | carbon composite assembly drone uav | 160000000 |
2382 | 2020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15265 | 차세대 다중 정지궤도 기상위성들과 복사전달 모델을 이용한 여명기 안개 원격탐사 | Remote sensing of fog at dawn using next-generation multi-geostationary meteorological satellites and radiative transfer model | 유정문 | 이화여자대학교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20190601 | 20210228 | 기타 우주항공기술 | 본 연구 목적은 한반도 부근에서 여명기에 부정확한 기존 안개탐지 방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두 개 이상의 정지궤도 기상위성의 동시관측과 복사전달모델을 이용하여 새로운 다중(dual or multiple) 위성 원격탐사 방법의 개발하는 데에 있다. 한 개 위성의 2차원적인 정보를 통하여 안개 지역을 탐지하던 기존 방법에 비하여 두 개 위성의 동시관측은 3차원적으... | 다중위성방법에서는 단일 위성 방법에 비하여 (추가적인 경제적 비용 없이) 다른 나라 위성들을 활용하여 안개 현상에 대한 적어도 두 개 위성 간에 입체적인 동시관측 (stereoview) 차이를 안개탐지에 새로운 독립적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예 이웃 CCTV 활용하여 자택의 사각 지대 감시). 차세대 위성관측을 이용한 안개탐지에 다중위성방법을 적용할 때 ... | 안개 원격탐사 다중위성방법 차세대 정지궤도 기상위성 복사전달모델 여명기 COMS Himawari-8 FY-4 | fog remote sensing multi-satellite method next-generation geostationary meteorological satellite radiative transfer model dawn COMS Himawari-8 FY-4A | 50000000 |
2112 | 2018 |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277898 | 외전형 BLDC 전동기 설계 프로세스를 활용한 무인 드론의 중량과 효율을 고려한 최적 설계 연구 | Study on optimum design considering weight and efficiency of unmanned drones using outer rotor BLDC motor design process | 함상환 | 경일대학교 | 경상북도 경산시 | 20170601 | 20200531 | 지능형 자율비행 무인비행기기 시스템(UAV)기술 | 1. 외전형 BLDC 전동기의 중량대비 효율 최적화 설계 기법연구- 드론의 강제공랭 조건에 따른 열등가회로 고려 BLDC 전동기 중량 효율 최적화 설계2. 다양한 용도의 드론 기체 설계를 위한 중량 효율 최적화 설계 프로그램 개발- 전동기 중량 효율 최적화 및 제어기 배터리 최적선정을 통한 드론 설계 | ? 드론의 핵심 부품은 전동기 제어기 배터리이며 배터리의 경우 중량당 출력비가 거의 결정되어 있고 제어기는 중국 시판 제품이 경량화와 저가 정책으로 대량 판매되고 있음.? 기체의 용도 및 중량 효율에 따른 전동기의 최적 설계에 관련한 연구결과는 전무함.? 연구가 완료되면 드론의 사용 용도별 기체중량별 전동기의 최적 중량 및 최적 효율 설계안과 제어... | 드론 설계 BLDC 전동기 설계 드론 무인기 | Drone design BLDC motor design Drone UAV | 50000000 |
2714 | 2012 | 일반연구자지원 |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연구재단 | 1345170831 | off-axis 중성미자 선속을 이용한 중성미자의 질량고유상태 섞임각 정밀 측정 | Precise measurements of the mixing angle of neutrino mass eigenstates using off-axis neutrino beam | 박명렬 | 동신대학교 | 전라남도 | 20100501 | 20130430 | 기타 우주항공기술 | 본 연구에서는 J-PARC 50-GeV 양성자 싱크로트론의 고휘도 선속을 이용하여 중성미자를 발생시키며 Super-Kamiokande를 원거리 검출기로 이용한다. 중성미자의 비행거리는 295 km에 달하며 가속기의 일률은 0.75 MW로서 일 년에 130일 씩 5 년 동안 실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중성미자 선속은 양성자의 선속방향에서 벗어나게끔 설계하여 ... | 중성미자 진동 매개변수를 정밀 측정함으로서 태양 및 대기 중성미자 실험 결과들을 높은 정밀도로 개선함으로서 학문적으로 표준모형의 확장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대통일 이론과 같은 새로운 물리현상의 존재 가능성을 암시함으로 이에 관련된 분야의 활발한 연구 활동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또한 지금까지의 우주관측과 현대 우주론에 의해 제기된 관측되지 않는 ... | 중성미자 진동 매개변수 섞임각 중성미자 질량계층 | neutrino oscillation parameters mixing angle neutrino mass hierarchy | 60000000 |
2130 | 2017 | 무인이동체미래선도핵심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062794 | 멀티콥터형 소형무인기용 고효율/저소음 프로펠러 설계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Design Technologies for High Efficiency Low Noise Propellers of Multi-copter UAVs | 안존 | 세종대학교 | 서울특별시 광진구 | 20160921 | 20190331 | 지능형 자율비행 무인비행기기 시스템(UAV)기술 | 1. 최종목표 : 소형무인기용 프로펠러 공력 및 소음예측을 통한 고효율/저소음 프로펠러 형상 최적설계 S/W 개발 및 검증2. 세부목표 - 25kg 이하 멀티콥터형 소형무인기용 프로펠러 형상 최적설계 및 소음예측 - 프로펠러 성능예측 (RPM vs Thrust Torque Power 등) - 무인기 형상별(Quad/Hexa/Oc... | 1. 경제적 효과 : 프로펠러 최적설계 프로그램을 이용한 중소기업 기술 지원을 통해 소형 무인기 개발비용 및 기간 단축 기술경쟁력 향상 가능. 2. 기술적 효과 : 고효율/저소음 프로펠러 최적설계 기술을 무인기 설계 및 제작을 위한 시스템 통합설계 프레임웍과 연계 가능3. 수입대체 효과 및 신규고용 창출 : 개발된 고효율/저소음 프로펠러의 기술이... | 멀티콥터 무인항공기 프로펠러 설계 소프트웨어 소음특성시험 프로펠러 성능시험 형상 최적설계 저소음 고효율 | Multicopter NoiseMeasurement PropellerPerformance DesignSoftware OptimizedDesign Propeller HighEfficiency LowNoise UAV | 150000000 |
1783 | 2010 | 과학기술위성등우주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 |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1345123428 | 지구관측 및 행성탐사를 위한 펨토초 레이저 기반 정밀 거리측정 및 분광기술 기초연구 | Distance measurement and spectroscopy based on femtosecond laserfor earth observation and planetary exploration | 김승우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 20080601 | 20130331 | 기타 우주항공기술 | 우주원천기초기술인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한 위성 간의 정밀 절대거리측정 및 지구관측과 행성탐사를 위한 펨토초 레이저 기반의 정밀 고도측정 및 분광 기초기술 개발○ 안정화된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한 정밀절대거리 측정기술 개발○ 펨토초 레이저의 스펙트럼을 이용한 광대역 분광측정 기초기술 개발○ 지구관측과 행성탐사를 위한 레이저 고도계 및 LIDAR 기초기술 개발 | ○ Nd:YAG 레이저보다 분해능 및 반복률의 안정도가 월등히 우수한 펨토초 레이저를 최초로 우주에서의 정밀거리/고도측정 및 정밀분광에 적용하여 거리측정/분광의 기초원천기술 확보○ 자원관리/재난관리/환경감시를 포함하는 지구관측/달탐사/행성탐사를 위한 핵심기초기술 확보 기술이전/사업화○ 차세대 위성군 및 편대비행 운용시 위성간 거리측정을 위한 핵심기술 확보 | 절대거리측정 정밀분광 및 보정 레이저 고도계 지구관측 행성탐사 | Absolute Distance Measurement Precision Spectroscopy/Calibration Laser Altimeter Earth Observation Planetary Exploration | 199000000 |
1800 | 2021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2680 | 다중 자이로 구동기의 간접제어를 이용한 역진자 시스템의 안정한 균형 제어에 대한 연구 | Study on attitude control of an inverted pendulum system using multiple control moment gyroscopes | 정슬 | 충남대학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601 | 20220531 | 기타 위성기술 | 본 연구에서는 역진자의 안정적인 균형제어를 위해 다중 자이로 구동기(Control moment gyroscope)의 제어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구현한다. | 학술적 중요성 다중 자이로 구동기 제어방식은 기존 연구가 많이 되어 있지 않고 역진자 균형제어에의 적용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간접 구동방식으로 직접 제어하는 효과를 얻는 것에 대한 검증은 미래 우주 시대에 매우 중요하다. 진공상태의 우주공간에서 작업하는 우주비행사의 자세 제어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중 자이로 구동기 팩의 개념은 ... | 제어 모멘트 자이로스코프 균형제어 역진자 다중 CMG 제어 | Control moment gyroscope balancing control inverted pendulum multiple CMGs control | 100000000 |
1957 | 2012 | 우주핵심기술개발사업 |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연구재단 | 1345170278 | Smart actuator를 이용한 비폭발식 저충격 분리장치 개발 | Smart actuator based non-explosive low-shock separation device | 김병규 | 한국항공대학교 | 경기도 | 20080601 | 20130331 | 위성설계 및 개발기술 | 본 연구에서는 저전력 고변위 고속 압전구동기를 개발하고 개발된 압전구동기 및 형상 기억합금 구동기를 이용하여 폭발식 분리 장치에 비교 우위를 점할 수 있는 비폭발식 저충격 고속 응답 특성을 갖는 분리장치를 우주인증 절차에 따라 개발하고자 한다. 개발된 분리 장치의 신뢰성을 확보함으로서 최종적으로 분리 장치의 우주 인증 모델(Qualification... | 본 과제에서 개발될 비폭발식 분리장치는 스마트구동기를 기반으로 하며 이를 소형 위성에 적용함으로서 기존 폭발식 분리장치 문제점인 구동충격에 의한 위성의 고장원인을 원천적으로 차단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분리장치의 인증모델을 개발되기 위해 마련된 인증모델 개발 시험평가 매뉴얼은 추후 타 국산 우주부품 개발 시 우주부품개발을 위한 시험평가 기준 마련의... | 스마트 구동기 소형위성 비폭발식 저충격 분리장치 | Smart actuator Small satellite Non explosive Low shock Separation device | 150000000 |
555 | 2014 | BK21플러스사업(0.5)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228926 | 한국형 발사체/우주시스템 원천기술 | Fundamental Technology for Korean Space Launch Vehicle and Space System | 구자예 | 한국항공대학교 | 경기도 | 20130901 | 20200831 | 기타 발사체기술 | 항공우주분야 유일의 특성화 대학으로서 그 동안의 교육 연구성과(11명의 졸업생이 나로호발사에 주도적 역할 나로호 과학위성에 반작용휠 탑재 등)를 바탕으로 교육/장비시스템을 체계화하고 산학연 협동 연구팀을 구성 및 국제 네트웍을 형성하여 교육ㆍ연구ㆍ현장 실습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한국형 발사체/우주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는 창의적인 인력을 양성하고자 한다... | 본 사업팀을 통해 배출되는 한국형 발사체/우주시스템 인력들은 우리나라 미래성장엔진의 하나인 ST(Space Technology) 분야에서 큰 역할을 할 것이다. 특히 정치안보 측면에서는 국가의 기술력과 국력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며 우주주권 확보를 통한 국가안보에 필수적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사회경제 측면에서는 향후 10년간 한국형 발사체 정지궤도 ... | 발사체/우주시스템 인력양성 한국형 발사체 한국형 우주시스템 발사체/우주시스템 교육/연구시스템 로켓 추진 신뢰성 우주시스템 설계/제작/시험 우주 다중물리 우주환경 열 제어 | Fundamenta | 109406000 |
597 | 2010 | 농림기술개발 | 농림수산식품부 |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 1545001722 | 농용 회전익기의 균평 기체설계 및 조종자 친화 자세제어 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a pilot friendly control system with a roll-balancing unmanned agricultural helicopter | 구영모 | 경북대학교 | 경상북도 | 20090410 | 20110409 | 기타항공기기술 | 본 연구의 최종목적은 항공방제를 우리의 실정에 맞도록 소형 회전익기를 이용하여 무인화 하는데 있어 작업효율을 제고하는 균평 기체를 적용하고 조종자의 편리함을 도모하는 자세 제어장치를 개발함으로써 벼농사는 물론 밭작물 과수 등의 소규모 경사지의 정밀 안전방제에 이용되도록 하여 작업자와 환경을 동시에 제고하는 지속적 농업에 기여함에 있다. 따라서 농용... | 과도한 노동력투하와 방제작업의 기피현상 등이 심화됨에 따라 생력화된 저투입 적소 방제가 가능한 항공방제작업 체계가 정립된다. 현재 일부 방제 및 파종작업에 유인헬기가 이용되고 있으나 고가이고 넓은 지역의 공동 방제에만 이용이 가능하며 일부 선진국에서 개발된 무인 회전익기는 핵심기술의 도입이 어려운울 뿐 아니라 균일 살포작업이 가능한 소형 무인 회전익기의 ... | 무인항공기 균평기체회전익기 편의조종기 자세제어 항공방제 | unmanned aerial vehicle roll balanced VTOL Pilot friendly console attitude control aerial application | 175700000 |
14 | 2012 | 일반연구자지원 |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연구재단 | 1345191742 | 고온초전도 나노 결함의 피닝특성에 대한 양자자속 형태의 동력학적 효과 | The dynamical effects of vortex shape on the pinning properties of nano-defects in high Tc superconductor | 염도준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 20120501 | 20150430 | 로켓추진 기관기술 | 나노 크기를 갖는 점 선 그리고 면의 형태의 피닝센터를 가진 고온초전도 박막시료에 대하여 여러 가지 각도로 가해지는 다양한 크기의 자기장 온도 외부전류의 다양한 조건을 변화 시키면서 박막내에서 양자자속의 분포변화와 운동에 관련된 각종 상호작용과 외부 조건하에서 양자자속들의 거동을 magneto-optical microscope image(MOI)... | 고온초전도 선재에서 가장 중요한 요건은 임계전류를 향상시키는 것과 교류손실을 줄이는 것이다. 이러한 요구에 대하여 양자자속의 특성에 대한 본 연구는 매우 유용하다. | 양자자속 자기 광학 이미지 피닝센터 양자자속 형태 동력학적 특성 고온초전도체 | superconducting vortex magneto optical image pinning center shape of vortex dynamical property high Tc superconductor | 59337000 |
2225 | 2011 | 리더연구자지원 |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연구재단 | 1345158428 | 외계행성 연구단 | Center for Extrasolar Planet Researches | 한정호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충청북도 | 20090401 | 20180228 | 기타 우주항공기술 | 본 연구에서는 광시야 카메라를 장착한 3대의 광학망원경을 사용하여 외계행성을 대량으로 검출하는 실험을 수행한다. 행성검출은 중력렌즈 방법을 사용하여 이루어 질 것이다. 초기 3년 동안 망원경 카메라등 기기 건설에 주력한다. 이후 6 년 동안 수행되는 관측실험을 통해 천 개의 거대행성과 수 십 개에 이르는 지구질량 행성을 검출할 것이다. 이러한 발견은 현재... | 1995년 최초로 발견된 이후 “외계행성”은 현대 천문분야 연구에서 단기간에 급성장한 첨단 연구주제이다. 이 분야는 천문분야에서 현재 가장 많은 과학자들이 연구하는 주제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외계생명체와 긴밀한 연관성으로 인해 큰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분야이다. 따라서 이 분야에서 최선두로 나선다는 것은 국내 과학 수준을 전세계에 확실히 알릴... | 외계행성 행성계 중력렌즈 망원경 | extrasolar planets planetary system gravitational lensing telescopes | 753000000 |
판매제공처 홈페이지 | hellodd.com | 라이선스 |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
---|---|---|---|
판매 담당자 | 대덕넷 | 권한 | HelloDD |
연락처 | 070-4171-3524 | 접근 권한 | public |
이메일 | sungmin8497@hellodd.com | 상품 구분 | dataset |
품질측정 검사 | 품질측정기간 | ~ | |
---|---|---|---|
품질측정기관 | 대덕넷 | 품질측정연락정보 | 0428615005 |
품질측정결과 | 품질측정내용 |
현재 준비중입니다.
10047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황금1로 122,김포제조융합혁신센터 3층 한국산업기술시험원 ㅣ 사업자번호 : 113-82-06228 ㅣ 대표자명 : 김세종 ㅣ TEL: 02-860-1059 ㅣ E-mail: bigdata.dx@ktl.re.kr
Copyright ⓒ 2021 KOREA ENTERPRISE DAT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