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협의 상품 및 유료상품의 구매를 원하실 경우 맞춤형 데이터 신청란에 글을 남겨주시면
신속히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데이터셋명 | ST분야출연연구소별과제데이터 | 데이터 유형 | csv |
---|---|---|---|
데이터 분야 | 과학기술 | 구축 데이터량 | 1016.00 KB |
구축기관 | 대덕넷 | 데이터 갱신 일자 | 2022-08-29 |
데이터 개방 일자 | 2022-10-27 | 데이터 이용 기한 | 무기한 |
데이터 갱신 주기 | - | 버전 | - |
주요 키워드 | ST,우주항공, 정부과제, 출연연, 데이터 | ||
벨류체인 키워드 | 기술획득 | ||
소개 | 과학기술 ST(Space Technology) 분야 정부출연연구소별 정부 R&D 과제 데이터입니다. |
국내 ST 분야 출연연별 과제 데이터 상품설명서
□ 상품설명
○ 국내 ST 분야 출연연별 과제 데이터 상품은?
· 2021년~2022년 기준 국내 ST 분야 출연연별 과제 데이터입니다. 국내 출연연에서 진행한 ST 분야 과제의 세부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T 분야인 우주기술은 위성체, 발사체, 항공기 등의 개발과 관련된 복합기술입니다. 전자, 반도체, 컴퓨터, 소재 등의 관련 첨단기술을 요소로 하는 미래의 유망 분야로 꼽힙니다. 과거부터 지금까지 과학 문명이 발전하면서 인류는 우주라는 곳에 호기심을 갖기 시작했으며 각종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데이터 주요 키워드
· #ST #우주기술 #과학기술 #과제데이터 #출연연
○ 데이터 활용 및 이용 권장 고객
· ST 분야 국내 출연연 과제 데이터를 활용(공유)하고자 하는 기업인
· ST 분야 과제 데이터를 활용해 융합연구를 위한 공공·민간 연구자
· 학술 연구를 위한 이공계 대학생·대학원생
□ 데이터 활용 방안
○ 국내 ST 분야 출연연별 과제 데이터 상품 활용 방안은?
· ST 분야는 기술개발 결과가 타 분야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매우 큰 종합기술입니다. 선진국의 기술 장벽이 높은 가운데 국내 우주기술 분야의 산업화와 관련된 신기술 개발 육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 데이터셋의 구성
○ 데이터셋의 구성
· 국내 ST 분야 출연연별 과제 데이터는 총 N개의 데이터로 구성돼 있습니다.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인 NTIS(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의 데이터에 기반합니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연구하고 있는 과학기술을 비롯하여 각종 연구개발사업과 관련된 과제, 인력, 연구시설·장비, 성과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 연구개발(R&D) 지식포털입니다.
데이터 구분 | 데이터 요약 | 제공 방식 |
국내 ST 분야 출연연별 과제 데이터 | - 국내 출연연에서 수행한 ST 분야 과제 세부 내역 - 연구수행주체 및 수행기관 - 6T분류 및 과학기술표준 분류 코드 | - csv/zip |
□ 데이터셋의 구조
○ 데이터셋의 구조
No. | 칼럼명 | 데이터 타입 | 칼럼설명 |
1 | 일련번호 | VARCHAR(14) | 일련번호 |
2 | 기준년도 | VARCHAR(4) | 기준연도 (Ex. 2020) |
3 | 사업명 | VARCHAR(1000) | 사업명 |
4 | 부처명 | VARCHAR(500) | 부처명 |
5 | 과제관리기관명 | VARCHAR(300) | 과제관리기관명 |
6 | 과제고유번호 | VARCHAR(100) | 과제고유번호 (총 10자리 숫자) |
7 | 국문과제명 | VARCHAR(500) | 과제명(국문) |
8 | 영문과제명 | VARCHAR(500) | 과제명(영문) |
9 | 연구책임자명 | VARCHAR(20) | 연구책임자명 |
10 | 과제수행기관명 | VARCHAR(500) | 과제수행기관명 |
11 | 지역구분내용 | VARCHAR(20) | 지역구분 (ex.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12 | 총연구기간시작일 | VARCHAR(8) | 총연구기간시작일 (Ex. 20220718) |
13 | 총연구기간종료일 | VARCHAR(8) | 총연구기간종료일 (Ex. 20220718) |
14 | 6T관련기술분류내용 | VARCHAR(500) | 6T관련기술분류 (Ex.4세대 이동통신) |
15 | 연구목표요약 | VARCHAR(1000) | 연구목표요약 |
16 | 기대효과요약 | VARCHAR(1000) | 기대효과요약 |
17 | 한글키워드 | VARCHAR(500) | 한글키워드 |
18 | 영문키워드 | VARCHAR(1000) | 영문키워드 |
19 | 연구비합계 | NUMERIC | 연구비합계 |
20 | 작업구분코드 | VARCHAR(1) | |
21 | 데이터생성일자 | VARCHAR(8) | |
22 | 연계처리상태코드 | VARCHAR(1) | |
23 | 연계처리일자 | VARCHAR(8) | |
일련번호 | 기준년도 | 사업명 | 부처명 | 과제관리기관명 | 과제고유번호 | 국문과제명 | 영문과제명 | 연구책임자명 | 과제수행기관명 | 지역구분내용 | 총연구기간시작일 | 총연구기간종료일 | 6T관련기술분류내용 | 연구목표요약 | 기대효과요약 | 한글키워드 | 영문키워드 | 연구비합계 |
162 | 2021 |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운영지원(R&D)(주요사업비) | 해양수산부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 1525012165 | SAR 위성영상을 활용한 AIS 미 장착 선박탐지 기술개발 기초연구 | 김윤지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101 | 20211231 | 기타 위성기술 | ○ SAR 위성영상을 활용한 AIS 미 장착 선박탐지 기술개발 - 편파자료 별 선박탐지 정확도 분석 - AI 알고리즘을 활용한 AIS 미 장착 선박탐지 기술개발 | ○ 향후 우리나라 해역의 해상상황 모니터링 체계가 구축될 경우, 선박의 이동경로 모니터링 등에 기반기술로 활용 ○ AIS 미 탑재 선박 탐지를 통해 안전한 해양환경 구축에 기여 | 선박탐지, 해상안전, SAR, AI, AIS | ship detection, maritime safety, SAR, AI, AIS | 30000000 | |
30 | 2021 | 차세대중형위성개발(R&D)(과기정통부,농진청,산림청) | 다부처 | 한국연구재단 | 1711130108 | 차세대중형위성 4호 광역전자광학탑재체 기술개발 | Development of the CAS500-4 EO Payload with Wide Swatch | 이상규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301 | 20230731 | 위성설계 및 개발기술 | 관측폭 120km급 차세대중형위성 4호(농림위성) 광역전자광학탑재체 기술 개발 ○ (연구개발성과) 비행모델 광역전자광학탑재체 1기 - 해상도 : 5m 내외 - 관측폭 : 120km 내외 - 관측밴드 : 5채널(R, Re, G, B, NIR) ※ 설계, 제작, 조립, 시험 및 운영 등 우주급 탑재체 개발 관련 기술자료 포함 | ○ 연구 성과의 활용계획 - (응용 분야) ㆍ군집위성 개발, 관측 밴드 확장 등 후속 농림위성 체계 고도화 분야 ㆍ소형·경량 중·저해상도 임무 위성 개발 분야 - (주 활용 범위) ㆍ국내·외 작물 재배 및 생육 현황 조사 ㆍ산림 건강성 및 기후변화 영향(산림 생태) 실태 관측 ㆍ북한지역 작황 및 산림현황 모니터링 ㆍ농경지 및 산지 ... | 광역 관측,농업,위성,임업,전자광학탑재체,차세대중형위성 4호,전자광학부체계,자료전송부체계 | Agriculture,CAS500-4,EO payload,Forest,Satellite,Wide Swath,EOS,PDTS | 7000000000 |
285 | 2021 | 한국천문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천문연구원 | 1711152262 | 적외선 영상분광 전천탐사 미션 SHPEREx 국제공동개발 | International Mission SPHEREx for All-Sky Infrared Spectro-Photometric Survey | 정웅섭 | 한국천문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101 | 20281231 | 기타 우주항공기술 | ㅇ 우주생성과 우주 별탄생 역사 규명을 은하진화의 관점에서 연구ㅇ 주요 과학연구를 달성하기 위해, 최근 NASA 중형미션으로 선정된 전천 적외선 영상분광미션인 SPHEREx의 국제협력개발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사전/후속 활용연구를 수행함ㅇ 천문연에서 개발한 적외선 우주관측기술을 국제협력미션에 적용 및 활용ㅇ SPHEREx: SPectro-PHotomete... | ㅇ 국내에서 개발된 새로운 우주관측기술을 국외미션에 활용ㅇ 적외선 우주망원경 국제협력 네트워크 구축ㅇ 중/대형 우주망원경을 위한 우주기술 및 개발 노하우 확보ㅇ 국내 창의적/독자적인 적외선 관측연구를 위한 과학그룹 양성ㅇ 국제수준의 우주천문 그룹 도약 | 적외선 우주배경복사, 외부은하 배경원, 초기 은하 및 우주, 은하진화, 적외선 영상분광, 적외선 우주망원경 | Cosmic Infrared Background, Extragalactic Background Light, High-redshift galaxies/Universe, Galaxy evolution, Infrared spectro-photometry, Infrared space telescope | 1569000000 |
76 | 2022 | 무인이동체원천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9803 | 다기능 구조 I | Multi-functional Structures I | 박일경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601 | 20270531 | 지능형 자율비행 무인비행기기 시스템(UAV)기술 | ○무인이동체 경량화 및 운용 성능 향상을 위한 다기능 구조 개발 -통신 성능 및 무인이동체 운용 성능 향상을 위한 안테나 일체형 구조 개발 -안테나 일체형 구조 통신 성능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핵심 기술 개발 -무인이동체 구조 경량화 및 소형화를 위한 전기전자부품 일체형 구조 개발 -전기전자장비 기능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핵심 기술 개발○무인이동체 탑재... | ○다기능 구조 활용계획 -외부돌출물을 제거를 통한 항력감소와 구조경량화를 통한 운용효율 향상으로 공중 지상, 해상 무인이동체 통신용 안테나로 활용 -외부 돌출물 제거를 통한 레이더포착면적 최소화로 유, 무인 군사용 항공기 통신 및 레이더로 활용 -위성구조체 경량화 및 통신 성능 향상을 위한 안테나 일체형 위성구조로 활용 -무인이동체 경량화 및 운... | 다기능 구조,안테나 일체형 구조,전기전자부품 일체형 구조,경량화,소형화,3차원 프린팅,유연통합회로,유연전선 | Multi-functional Structure,Conformal Load-bearing Antenna Structure,Structural Electronics,Lightweight,Miniaturization,3D Printing,Flexible Integrated Circuit,Flexible Cable Tape | 430400000 |
34 | 2021 | 우주개발기반조성및성과확산사업(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3860 | 위성 소자급 부품 국산화 개발 기술관리 | Technical Management for the Development of Satellite EEE Parts Localization | 조영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615 | 20241231 | 위성설계 및 개발기술 | 위성용 소자급 부품 국산화 개발을 수행하는 기관(산/학/연)이 추진하는 각 개발 부품 분야에 대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기술 관리를 수행하고 필요한 기술을 지원함으로써 연구 성과물의 신뢰도를 높이고 완성도를 제고함. | - 개발 단계 별 객관적 기술 검토를 통한 산업체 주관 개발 성과물의 품질 제고- 전 주기적 기술 관리를 통한 위험요소 식별 및 대응으로 사업 리스크 완화- 우주급 부품으로서의 소양을 갖추기 위한 필요 기술의 지원으로 산업체의 전문성 보완- 개발 결과물의 품질/신뢰성을 제고함으로써 실제 위성분야 활용 가능성을 높임 | 위성용 소자 개발,우주급 부품 개발,우주급소자 검증요건,위성 소자 기술지원,국산화 소자 개발,소자급 부품 개 | Satellite Device Development,Space-grade EEE Part Development,Space EEE Parts e Verification Requirement,Satellite Device Technical Support,Development of Localized Device,Development of EEE Part,Deve... | 200000000 |
240 | 2021 |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원 | 1711151263 | 과산화수소 열분해 단일추진제 추력기 설계 및 검증 | Design and Verification of Hydrogen Peroxide Thermal Decomposition Monopropellant Thruster | 권세진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501 | 20211231 | 로켓추진 기관기술 | 본 연구에서는 과산화수소의 열분해를 이용하는 단일추진제 추력기를 설계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추력기는 사용 에너지원에 따라 화학 추력기, 전기 추력기, 기타 추력기로 구분된다. 전기 추력기는 작은 추력 대비 큰 비추력을 가지기 때문에 미세한 변화를 장기간 지속하는 임무에 사용되는 반면 화학 추력기는 조금 작은 비추력 대비 넓은 추력 범위와 큰 밀도 비... | 과산화수소 단일추진제 추력기는 실제로 인공위성 및 발사체의 자세제어 추력기, 케로신을 연료로 하는 이원추진제 추력기와 같이 여러 방면에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위한 촉매는 추력 제어, 장기연소 등에서 마모, 손실, 피독이라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촉매 대신 가열기를 사용하는 과산화수소 열분해 단일추진제 추력기의 도입은 이를 해소하... | 과산화수소, 열분해, 단일추진제 추력기 | Hydrogen Peroxide, Thermal Decomposition, Monopropellant Thruster | 4615000 |
142 | 2022 | 스페이스파이오니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9886 | 통합 에비오닉스 시스템의 신뢰성/적합성 검증 기술 연구개발 | Reliability/Suitability Verification for Integrated Avionics System | 황동훈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경상남도 | 20220301 | 20281231 | 소형위성 발사체개발기술 | 제 3차 우주개발 진흥 기본계획에 명시된 500Kg급 위성(태양동기궤도 500Km)의 경제적인 발사와 500Kg 이하 소형위성 발사수요 증가에 대비하여 한국형 발사체 기술을 경제성을 갖춘 소형발사체 플랫폼으로 연계, 확장하기 위해 소형 발사체에 적합한 저비용, 저중량, 소형화 에비오닉스 통합시스템을 개발하고 지상성능검증장비를 통해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최근 우주발사체 시장은 저궤도위성의 수요가 급증함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저가의 우주발사체개발을 서두르고 있으며 저가의 소형발사체 개발의 핵심 구성요소인 에비오닉스 시스템 개발을 통해 공공부문 중,소형 위성발사를 위한 소형발사체 적용을 시작으로 제 3차 우주개발 진흥 기본계획 상 2040년까지 예정되어 있는 소형 위성 6기, 중형위성 5기 및 소형발사체의 개발... | 소형발사체,에비오닉스,소형위성,통합 에비오닉스,비행종단시스템,임무제어시스템,지상성능검증장비,원격측정장치 | Small Launch Vehicle,Avionics,Small satellite,Integrated Modular Avionics,Flight Termination System,Mission Control System,Ground Performance Verification Equipment,Telemetry | 31300000 |
254 | 2022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1711170917 | 우주종합시험센터지원 | Space Test Center Operation | 우성현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101 | 20261231 | 기타 위성기술 | 국가 우주 사업의 성공적 완수를 위한 위성 및 위성발사체의 발사 전 우주 종합 환경시험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 | - 위성, 발사체의 조립 및 검증 시험센터의 안정적인 운영- 우주환경시험시설의 국산화 개발 및 시험시설 고도화- 국제공인시험기관의 체계적 운영 및 시험기술 향상에 따른 신뢰성 확보- 국내/외 특허출원- 국내외 관련 기술 교류 | 우주환경시험시설, 인공위성, 발사체, 국제공인시험기관 | Space Test Center, Satellite, Launch Vehicle, KOLAS | 1872000000 |
11 | 2022 | 초소형위성군집시스템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6703 | 초소형위성 군집시스템의 활용지원시스템 및 활용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Application Technologies and Supporting System for Microsatellite Constellation | 김현옥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101 | 20241231 | 기타 위성기술 | o 초소형위성 군집시스템의 활용 극대화를 위한 활용기술 개발 및 활용 지원 체계 구축- 초소형군집위성 활용지원시스템 개발, 부가산출물 생성기반 구축, 부가영상 생성 및 검증체계 구축, 관심정보 탐지 및 분석체계 구축, 위성정보 활용지원기술 개발 | o 초소형 군집 위성영상 부가처리 및 분석산출물 제공을 통한 현업기관 활용 지원o 군집형 초소형위성 영상정보 활용기술 개발 및 서비스 기반 마련o 재난재해 및 국토 모니터링 등 위성정보를 활용한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 | 지구관측, 위성정보, 군집위성, 활용지원시스템 | Earth Observation, Satellite Information, Satellite Constellation, Application Supprt System, Disaster | 6500000000 |
84 | 2021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1711135087 | 배송용 틸트로터 드론의 배송전후 변화에 따른 천이 안정성 연구 | 장병희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201 | 20211130 | 지능형 자율비행 무인비행기기 시스템(UAV)기술 | 배송용 드론의 탑재물에 따른 공력특성 분석과 틸팅 제어 개선을 통한 천이 안정성 향상 | 본 과제를 통해 확보된 핵심기술을 애로 기술 해결을 요청한 중소기업에 기술이전을 하여 중소기업의 제품 상용화에 활용도록 지원eVTOL, OPPAV 등 향후 개발 예정인 유무인 수직이착륙 기체 공력 설계에 활용 | 무인기, 수직이착륙기, 틸트로터, 배송 드론, 풍동시험 | unmanned, VTOL, tilt-Rotor, delivery drone, wind tunnel testing | 60000000 | |
49 | 2022 | 무인이동체미래선도핵심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7015 | 저고도 교통관리체계를 위한 보안 및 무인비행장치 핵심기술개발 | Development of security and unmanned aerial system core technologies for the low altitude unmanned aerial system traffic management | 강왕구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70401 | 20221231 | 지능형 자율비행 무인비행기기 시스템(UAV)기술 | 저고도 무인비행장치 교통관리체계 요구조건을 충족하기 위한 핵심기술 개발과 해킹 및 불법 행위 억제를 위한 보안기술 개발을 통한 교통관리체계의 안정적 운영 지원저고도 공역에서의 복수 무인비행장치의 효율적이고 안전한 활용과 UTM의 요구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GNSS 및 다중센서 기반 정밀통합 항법기술 개발하고 교통관리체계 하에서 실증무인비행장치의 비행 관련 정... | 저고도 공역 내에서 비행하는 무인비행장치에 대한 대국민 안전성 보장 및 사회적 혼란 예방과 저고도 무인비행장치 관련 산업 및 교통관리체계관련 산업화에 기여 저고도 무인비행장치 교통관리체계의 안전과 보안을 제공하여 대한민국 무인비행장치 기반 서비스 환경 보안 수준 향상 기대 안전한 저고도 무인비행장치 교통관리체계의 보급으로 무인비행장치 기반 서비스 시장 활성... | 무인비행장치 교통관리체계,정밀통합항법기술,비행데이터 검출 및 분석,정밀 이착륙 기술,정보교환단말장치,애드혹 | unmanned aerial system traffic management,integrated precision navigation technology,flight data,VTOL,information exchange device,Adhoc Network,traffic management system security,Suppression of illega... | 50000000 |
230 | 2021 | 우주개발기반조성및성과확산사업(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9064 | 수출네트워크구축 (연수) | Network Building to support space export | 조항석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701 | 20220430 | 기타 우주항공기술 | 19년 대한민국 우주산업화전략에서는 우주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우주제품 수출을 통한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을 중점 추진과제로 선정하였음. 이는 우주 기초 기술개발 및 하드웨어 제작 분야의 시장 수요가 공공활용 영역에 제한되어 시장규모의 획기적인 확대가 어렵고, 공공 수요 또한 우주개발 예산의 연도별 등락이 커서 기업이 안정적으로 참여하기 어려운 구조이기 ... | (1) 신흥우주국 최고 의사결정자들을 우주 포럼 초청을 통해 신흥 우주개발국 수요에 보다 정확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인적 네트워크 구성을 기대 (2) 신흥 우주개발국 정책관리자 연수 프로그램과 엔지니어 연수 프로그램을 통해 우주개발을 시작하는 국가에 대하여 우주분야 초반부터 긴밀한 협조 관계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됨. 해당 국가의 정책 결정 및 개발 방향,... | 우주 수출 네트워크,우주 포럼,우주 교육,우주 연수,위성 수출,직수신 수출,우주청 연수,우주청 초청 | network for space technology export,space forum,space education,space training,satellite export,DRS export,space agency training,space agency invitation | 150000000 |
23 | 2021 | 우주개발기반조성및성과확산사업(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4247 | Magnetic 부품 개발 | Development for Magnetic parts | 김경희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경상남도 진주시 | 20200615 | 20231231 | 위성설계 및 개발기술 | 국내 인공위성 개발에 적용되는 전기, 전자 부품은 전량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설계의 복잡성 및 우주환경에 대한 방사선 내성을 고려한 설계가 반영된 고신뢰성 핵심 부품뿐만 아니라 제작의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국내 제작이 가능한 수동소자 부품류 역시 국내 제작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는 인공위성 및 우주환경과 고신뢰성을 위한 재료 선정, 제작 공... | 최종성과물은 총괄기관과 협의하여 위성개발에 실제 적용 가능하도록 추진한다. 단계적으로 위성개발에 적용하므로 서 Heritage를 확보한다. 이를 기반으로 우주개발 신흥국에 대한 해외 마케팅 강화, 품질, 가격 경쟁력을 제고하여 해외 판로를 구축할 계획이다. 일반 산업용 Magnetic 부품은 국내 산업체에서 제작가능하나 우주급 소자는 전량 미국과 유럽 등 ... | 마그네틱,전력시스템,인덕터,우주부품,고부가가치,비행모델,시험검증,고신뢰 | Magnetic,Power System,Inductor,Space Components,High Value,Flight Model,Test Verification,High reliability | 400000000 |
44 | 2022 | 차세대중형위성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6391 | 차세대중형위성 2단계 개발 사업 위성개발 기술 관리·감독 | Technical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the second stage CAS500 development project | 한동인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801 | 20251231 | 기타 위성기술 | 차세대중형위성 2단계 개발사업(3호, 4호, 5호)에서 국내 산업체 주관으로 개발되는 분야를 대상으로 기술관리감독 수행 1. 차세대중형위성 시스템 설계 적합성 검토 2. 차세대중형위성 위성 구성품 개발 관리 체계 점검 3. 차세대중형위성 구성품 개발 현황 및 적합성 검토 | ○ 국내 산업체가 주관하여 개발하는 우주분야 체계종합 개발사업에 대하여 다양한 형태로 적용 가능○ 기술관리/감독 기관의 검토를 바탕으로 주관 기관(국내산업체)은 위험관리에 소요되는 자원 경감가능○ 주관기관 업무수행측면에서 탄력성, 유연성, 전문성 확보에 용이하고, 연구개발의 품질제고, 일정단축과 비용절감에 기여 | 차세대중형위성,실용급,위성체,국산화,기술관리/감독,체계종합,품질,위험관리 | CAS500,Commercial Class,Satellite,Localization,Technical ManagementSupervision,System Engineering Integration,Quality,Risk Management | 1360000000 |
312 | 2021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1711135117 | 항공우주시험평가설비운영 | Test and Evaluation Facilities Operation for Aeronautical Vehicles | 조태환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101 | 20211231 | 항공기 체계종합 및 비행성능기반기술 | ● 대형 항공시험평가설비(풍동, 구조, 추진, 제어, 회전익 시험평가설비)의 기본적인 유지관리● 대형 항공시험평가설비의 기본 가동률 유지● 국내 항공우주비행체 개발사업 및 산업체(항공우주 및 일반 산업체) 개발사업 지원 | ● 대형 항공시험설비의 유지관리를 통한 안정적 운영으로 미래형 무인기, 차세대 헬기, 우주발사체, 한국형 전투기와 같은 국가주도 개발사업 지원● 항공 관련 국내 산업체의 시험평가 및 기술개발을 지원하여 국제 경쟁력 강화에 기여 | 항공시험평가설비, 아음속풍동, 전기체 구조시험설비, 항공추진시험설비, 회전익시험설비 | Aeronautics Test and Evaluation Facility, Subsonic Wind Tunnel,Full Scale Structural Test Facility, Aeronautics Propulsion Test Facility, Rotot Test Faciclity | 573000000 |
126 | 2022 | 자율비행개인항공기인증및운용기술개발사업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893 | OPPAV 교통 서비스체계 도입방안 연구 | 김영호 | 한국교통연구원 |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 | 20190401 | 20231231 | 기타항공기기술 | 1. 연구의 최종 목표ㅇ 미래형 자율비행 개인항공기(OPPAV) 개발에 따른 빠르고 안전한 도심 항공 신교통수단 포함 다수단 교통서비스모델 개발 및 효율적 서비스플랫폼 구현을 통해 미래 교통 혁신 기반 마련2. 연구의 연차별 목표- (1차 연도) 사례 검토 및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서비스 개념 제시- (2차 연도) UAM 효용함수 구축을 통한 서비스 개념 ... | 1. 연구활동에 의한 기대 성과(최종 성과물)ㅇ 서비스모델 및 인프라 확충계획(안) (마스터플랜)ㅇ 서비스 모델별 인프라 시설 개념 설계도ㅇ UAM SP 모형ㅇ UAM 인프라 추진체계(안) 및 법제도 개정(안)ㅇ 비즈니스 산업 연계 시범운영계획(안)(1차 연도)ㅇ UAM 사례분석 보고서ㅇ UAM 서비스모델 개발 보고서ㅇ 시나리오 및 장애요인 분석 보고서ㅇ ... | 서비스모델,다수단서비스,수요대응형교통수단,투자평가제도,비즈니스모델 | Service Model,Multi-modal Service,Demand Responsive Transit(DRT),Feasibility Study,Business Model | 220000000 | |
219 | 2021 |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운영지원(R&D)(주요사업비) | 해양수산부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 1525012164 | 원뿔형 캐비테이터로부터 발생하는 인공 초공동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ritificial supercavities generated from cone | 정소원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101 | 20211231 | 기타 발사체기술 | 원뿔형 캐비테이터로부터 발생하는 인공 초공동 특성 연구 | - 인공 초공동 모형시험 데이터베이스는 초공동 캐비테이터 초기 설계에 유용하게 활용 가능- 인공 초공동 형상 및 공동 내부압력 데이터는 수치해석 검증용 데이터로 활용 가능- 축소 모형 시험 결과는 초공동의 실스케일 확장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를 활용 가능 | 인공 초공동, 캐비테이터, 항력 저감, 모형시험, 축척 효과 | Artificial supercavitation, Cavitator, Drag reduction, Model test, Scale effect | 30000000 |
220 | 2022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1711170918 | 항공시험평가설비운영 | Test and Evaluation Facilities Operation for Aeronautical Vehicles | 이경재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20101 | 20261231 | 항공기 체계종합 및 비행성능기반기술 | - 대형 항공시험평가설비(공력, 구조, 추진, 제어, 회전익 시험평가설비)의 기본적인 유지관리- 대형 항공시험평가설비의 기본 가동률 유지- 국내 항공우주비행체 개발사업 및 산업체(항공우주 및 일반 산업체) 개발사업 지원 | ㅇ 대형 항공시험설비의 유지보수 및 관리를 통한 안정적 운영으로 미래형 무인기, 차세대 헬기,우주발사체, 우주비행기 및 한국형 전투기와 같은 국가주도 개발사업 지원ㅇ 항공 관련 국내 산업체의 시험평가 및 기술개발을 지원하여 국제 경쟁력 강화에 기여 | 항공시험평가설비, 아음속풍동, 전기체 구조시험설비, 항공추진시험설비 | Aeronautics Test and Evaluation Facility, Subsonic Wind Tunnel,Full Scale Structural Test Facility, Aeronautics Propulsion TestFacility | 573000000 |
70 | 2022 | 우주개발기반조성및성과확산사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4725 | 우주급 Diode 부품 개발 | Development of space grade diodes | 이우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615 | 20241231 | 기타 위성기술 | 국내의 상용 schottky barrier diode 제조 기술을 기반으로 해외의 우주용 SBD 수준의 역방향 전압/순방향 전류/순방향 전압강하/역방향 누설전류 특성을 갖는 SBD를 제작. SBD의 single event burn out 현상을 시험을 통하여 연구하고, 이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다이 구조를 개발. 위성 발사 시의 진동 및 충격에... | 다이오드 전문 생산업체를 통한 우주급 다이오드 생산 및 판매 향후 국내 위성에 적용 및 해외 수출가능 국내 고신뢰성 패키지 서비스 업체의 우주용 패키지/어셈블리 기술 확립 다양한 우주용 부품 개발 시, 국내에서 세라믹 기밀성 패키지 제작 가능 국내 우주용 부품 시험기관의 시험실 적합성 검증 MILPRF19500 및 연관문서 DLA SD... |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싱글 이벤트 번아웃,기밀성 패키지,우주급 다이오드,역방향 전압,순방향 전류,순방향 전 | schottky barrier diode,single event burn out,hermetic package,space grade diode,reverse voltage,forward current,forward voltage drop,reverse leakage current | 500000000 |
140 | 2022 | 초소형위성군집시스템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3789 | 초소형위성 군집시스템 개발사업 위성개발 기술관리·감독 | Technical Management of Micro-satellite Constellation System Development | 천용식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201 | 20241231 | 기타 위성기술 | 초소형위성 군집시스템 개발사업 위성개발에 있어서 전문기관(한국연구재단)과의 협약에 따라 산업체 주관으로 개발하는 분야에 대한 기술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초소형위성 군집시스템 개발위성의 완성도를 제고 | ○ 초소형위성 군집시스템 개발사업 기술로서 협약에 따라 산업체 주관으로 수행하는 위성개발 분야에 대한 기술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정부 발주 개발 위성의 산업체 개발에 따른 안정성과 신뢰성 제고○ 기술관리 기관의 검토를 바탕으로 주관 기관(국내산업체) 위성 개발 업무에 대한적절한 위험관리 및 산업체 위성 개발 경쟁력 강화○ 정부 위성 개발의 효과적인 기술 관리 ... | 초소형위성,군집시스템,기술관리,체계종합,위성개발,우주산업,체계적 관리,산업체 주관 개발 | Micro-Satellite,Satellite Constellation,Technical Management,System Engineering Integration,Micro-Satellite Development,Space Business,Systematic Management,Industry Driven Development | 510000000 |
28 | 2022 |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 교육부 | 한국연구재단 | 1345348416 | 상대론적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한 고중력·고밀도 천체 연구 | Numerical Studies on the Relativistic Compact Objects | 김진호 | 한국천문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601 | 20310531 | 기타 우주항공기술 | 상대론적인 수치 시뮬레이션을 위해서는 다음 두 가지 수치 코드 개발이 필수적이다. 본 과제의 긴 지원기간 동안 아래와 같은 수치실험 코드를 개발할 예정이다.1) 일반 상대성이론의 제약조건을 만족하면서 물리적인 상황에 잘 맞는 초기 모델을 구하는 수치 코드2) 초기 모델을 바탕으로 역학적인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동역학적 진화를 보는 수치 코드위 두 가지 주제... | - 수치 천체물리 연구에서 필수적인 차등격자 세밀화 기법을 적용한 수치 코드를 개발함으로써 수치상대론 연구뿐만 아니라 국내 수치 천체물리 커뮤니티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이 수치 코드는 공학에서도 광범위 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상대론적인 제트에 대한 안정성 및 자기유체역학 시뮬레이션을 통한 연구는 최근 인공태양으로 주목받고 있는 토카막 ... | 수치,중성자별,블랙홀,디스크,유체역학,상대론,제트,중력파,다중신호 | numerical,neutron star,black hole,accretion disk,hydrodynamics,relativity,jet,gravitational wave,multi-messenger | 130000000 |
173 | 2022 | 한국천문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천문연구원 | 1711170661 | 보현산천문대 운영 | Management of Bohyunsan Optical Astronomy Observatory | 성현일 | 한국천문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101 | 20311231 | 기타 우주항공기술 | ○ 최종목표 : 한국천문연구원 광학 관측장비의 효율적 운영○ 외부관측자에 대한 관측연구 지원○ 전시관을 활용한 방문객 지원 및 대국민 홍보 | ○ 관측장비를 이용한 양질의 관측연구 성과를 창출○ 천문우주 관측장비의 유지관리 능력을 확보 ○ 관측장비 업그레이드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장비개발 기술 함양○ 천문우주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 증진 | 망원경, 천문대, 천체관측 | Telescope, Observatory, Astronomical Observation | 562000000 |
248 | 2021 | 공공조달연계형국민생활연구실증사업화지원(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9053 | 소방 드론 시스템 시험평가 체계 구축 및 실증을 위한 리빙랩 운영 | Establishment of test and evaluation system and operation of a living lab for demonstration of a firefighting drone system | 박진규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경상남도 진주시 | 20211101 | 20241031 | 기타 우주항공기술 | o 소방 드론 시스템 시험평가 체계 구축 및 실증을 위한 리빙랩 운영 - 연구개발 프로세스 정립 및 기술관리 - 소방 드론의 시험평가 체계 구축 및 실증을 위한 리빙랩 구성 및 운영 - 인증기반의 혁신제품 지정 | o 활용계획 - 구축한 시험평가 체계는 개발되는 소방 드론 시스템의 성능 평가에 활용 - 시험평가 체계와 리빙랩을 활용하여 향후 화재 진압 능력을 갖춘 소방용 드론에 대한 검증체계로 활용o 기대효과 - 리빙랩 기반의 실증을 통해 고층건축물에 대한 신속한 화재 진압 능력을 검증 및 확보하여 국민의 안전 확보에 기여 - 인증획득, 혁신제품 및 우수제품 지정을 ... | 고층화재,소방 드론,방수차량,기술관리,시험평가체계,공공조달,혁신제품,우수제품 | High-Rise Fire,Firefighting Drone,Fire Truck,Technology Management,Test and Evaluation,Public Procurement,Innovation Product,Excellent Product | 287500000 |
17 | 2022 | 초소형위성군집시스템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9108 | 초소형위성 군집시스템의 검보정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Calibration & Validation of Microsatellite Constellation System | 정재헌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101 | 20271231 | 위성설계 및 개발기술 | 초소형군집위성과 초소형군집 영상제품 품질 성능을 고려한 초소형위성 11기 검보정 시스템 개발 및 검보정 작업 수행초소형위성 시제기(1호)의 검보정 시스템 개발 및 검보정 작업 수행 | 초소형군집위성의 검보정 작업으로 확보된 초소형위성 1호기의 영상자료 품질이 초소형위성 사용자의 활용 목적에 부합하여 사용 폭을 확대하고,초소형위성 2~11호기에 대한 군집 검보정을 연계하여 수행함. | 초소형위성,군집시스템,검보정,영상자료 품질,검보정 인프라,Level Processor,검보정 사이트,검보정 | Small satellite,Constellation,Calibration Validation,Image data Quality,CalVal Resource,Level Processor,CalVal site,CalVal SW | 1372000000 |
80 | 2021 | 공공혁신조달연계무인이동체및SW플랫폼기술개발(R&D)(국토부,산업부,과기부) | 다부처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192 | 공공임무용 무인이동체 통합기술관리 및 시험평가체계 개발 | 장홍석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경상남도 진주시 | 20190628 | 20230627 | 지능형 자율비행 무인비행기기 시스템(UAV)기술 | 공공혁신조달 연계 무인이동체 및 SW플랫폼 개발사업 [1세부 과제] 공공임무용 무인이동체 통합기술관리 및 시험평가 체계 개발 과제의 최종목표는 다음과 같다.○ 공공혁신조달 연계 무인이동체 및 SW플랫폼 개발사업 총괄 관리- 세부과제 관리 및 과제간 연계 지원- 세부과제 개발 시스템의 요구도 개발 지원 및 요구도 추적 관리○ 개발시스템 시험평가 기준 및 ... | ○ 기술적 파급 효과- 다부처 공공임무용 무인이동체 활용 및 관리 기반 기술 확보· (공통임무SW 모듈) 공공임무용 무인이동체에 공통으로 탑재되는 임무SW를 재사용 가능한 모듈화 및 자산화 기술을 통해 SW 품질 확보· (공통임무SW 플랫폼) 다부처에 공급되는 무인이동체 기체 및 SW 독립적으로 연계, 관리 가능한 SW 에이전트 플랫폼 원천 기술 확보- 공... | 공공혁신조달,무인이동체,사업관리,통합기술관리,적합성평가 | Public Procurement Innovation,Unmanned Aerial System,Project Management,Integration Technology Management,Qualification | 1631000000 | |
178 | 2021 | 달탐사(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2715 | 달 탐사용 로버 핵심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core technologies for lunar exploration rover | 김순겸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서울특별시 성북구 | 20160101 | 20220731 | 기타 우주항공기술 | 한국형 달탐사 로버를 위해 사전에 개발 및 확보 되어야 하는 기술 개발을 위해 한국형 달탐사 로버 DM(Development Model) 개발 및 우주급 로버 핵심 부품 개발 기술 확보 | ○ 극한 환경 및 일반 환경에서의 로봇 HW, SW 신뢰성 문제 해결○ 다양한 산업용 / 군사용 필드 로봇 개발 및 극한 환경 플랫폼 주행 기술 확보○ 광대역 통신망 구축과 원격통신 원천 기술 개발○ 기간산업 및 학문 패러다임의 변환과 분야 경계간 창조적 융합 및 연구개발분야 개척○ 고성능 소재 및 구조, 시스템 개발 과정에서 산출결과에 의한 기간산업 적용... | 달 탐사,로버,우주 로봇,극한 환경 기술,험지 주행 기구부,접힘 기구부,관제 시스템,고체 윤활 기술 | Lunar Exploration,Rover,Space Robot,Extreme Environment Technology,Uneven Terrain Adaptation Mechanism,FoldingPackaging Mechanism,Ground Control System,Tribology | 100000000 |
40 | 2022 | 우주개발기반조성및성과확산사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3741 | 위성 소자급 부품 국산화 개발 기술관리 | Technical Management for the Development of Satellite EEE Parts Localization | 조영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615 | 20241231 | 위성설계 및 개발기술 | 위성용 소자급 부품 국산화 개발을 수행하는 기관(산/학/연)이 추진하는 각 개발 부품 분야에 대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기술 관리를 수행하고 필요한 기술을 지원함으로써 연구 성과물의 신뢰도를 높이고 완성도를 제고함. | ? 개발 단계 별 객관적 기술 검토를 통한 산업체 주관 개발 성과물의 품질 제고 ? 전 주기적 기술 관리를 통한 위험요소 식별 및 대응으로 사업 리스크 완화 ? 우주급 부품으로서의 소양을 갖추기 위한 필요 기술의 지원으로 산업체의 전문성 보완 | 위성용 소자 개발,우주급 부품 개발,우주급소자 검증요건,위성 소자 기술지원,국산화 소자 개발,소자급 부품 개 | Satellite Device Development,Space-grade EEE Part Development,Space EEE Parts e Verification Requirement,Satellite Device Technical Support,Development of Localized Device,Development of EEE Part,Deve... | 200000000 |
151 | 2022 | 국가위성통합운영시스템개발사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5528 | 국가위성통합운영시스템개발사업 | National Integrated Mission Operations System Development | 정대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101 | 20221231 | 위성관제기술 | ? 국가 위성이 증가함에 따라 효율적인 위성 운영 및 위성정보 제공?활용을 위한 국가위성 통합 운영 시스템 개발 및 구축 - 국가위성 통합운영시스템 개발 및 구축을 위해 6개 주요항목에 대한 개발 및 구축 수행 | ? 향후 운영위성 증가에 따른 현 시설의 관제·수신 용량 한계에 따른 문제 해결? 신규장비 구축을 통해 현 시설의 장비·부품 노후화에 따른 위성운영 불확실성 경감? 관제·수신·처리·배포 기능의 일원화를 통해 중복투자 방지 및 위성운영 효율성 증대? 위성정보 수요의 증가에 대비한 국가차원의 수요자 중심 위성정보 제공 가능? 빅데이터, AI 등 신기술을 이용한... | 국가위성,통합운영,임무운영센터,데이터센터,위성정보,위성영상 수신,지상안테나,지상네트워크 | national satellite,integrated operation,mission operations center,data center,satellite information,image reception,ground antenna,ground network | 2736000000 |
33 | 2021 | 우주개발기반조성및성과확산사업(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7630 | 우주급 Diode 부품 개발 | Development of space grade diodes | 이우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515 | 20241231 | 기타 위성기술 | 국내의 상용 schottky barrier diode 제조 기술을 기반으로 해외의 우주용 SBD 수준의 역방향 전압/순방향 전류/순방향 전압강하/역방향 누설전류 특성을 갖는 SBD를 제작. SBD의 single event burn out 현상을 시험을 통하여 연구하고, 이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다이 구조를 개발. 위성 발사 시의 진동 및 충격에... | 다이오드 전문 생산업체를 통한 우주급 다이오드 생산 및 판매 향후 국내 위성에 적용 및 해외 수출가능 국내 고신뢰성 패키지 서비스 업체의 우주용 패키지/어셈블리 기술 확립 다양한 우주용 부품 개발 시, 국내에서 세라믹 기밀성 패키지 제작 가능 국내 우주용 부품 시험기관의 시험실 적합성 검증 MILPRF19500 및 연관문서 DLA SD... |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싱글 이벤트 번아웃,기밀성 패키지,우주급 다이오드,역방향 전압,순방향 전류,순방향 전 | schottky barrier diode,single event burn out,hermetic package,space grade diode,reverse voltage,forward current,forward voltage drop,reverse leakage current | 300000000 |
231 | 2021 | 국가표준기술개발및보급(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3010 | (6세부) 니켈 합금 6종에 대한 상용표준물질 개발 및 보급 | Development and propagation of commercial standard materials for six nickel alloys | 송호성 |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 기타 기타 | 20200201 | 20211231 | 기타항공기기술 | [주관기관 :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ㅇ 표준물질에 대한 장기(6개월) 안정성 및 특성화 - 안정성(6개월) 평가 및 경시변화 등 모니터링 - 6개 이상의 시험소가 참여하는 RRT(Round Robin Test) 등을 통한 소급성 검증 - 특성값 및 불확도 부여를 통한 표준물질 6종 확정... | 개발된 니켈합금강 표준물질의 품질 성능 비교 평가 개발된 니켈합금강 표준물질의 균질성 평가 개발된 니켈합금강 표준물질의 안정도 및 불확도 평가방법 확립 ISO Guide 34에 의한 국제상용표준물질 인증 신청 진공용해기반 Ni계 초내열합금잉곳 제조 공정기술 개발 Ni 계 초내열합금의 잉곳 열간단조 및 열처리 공정기술 개발 | 인증표준물질,니켈합금,합금성분,균질도,불확도 | Certified Reference Materials,Ni Alloy,Chemical Composition,Uniformity,Uncertainty | 215000000 |
114 | 2021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1711135106 | 무인 지상 감시용 드론 스테이션 개발 | 장종태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301 | 20211231 | 지능형 자율비행 무인비행기기 시스템(UAV)기술 | 본 과제의 최종 목표는 지상 감시용 드론 스테이션을 개발하는 것이며, 향후, 추가적인 개발을 통해 드론으로 원거리의 지상을 가까이에서 근접 감시하는 기술 개발에 활용하고자 함. | 드론에 의한 자동화 기술을 실제 생활 및 산업에 적용 가능 시작품 제작 및 시험을 통한 개발 기술의 상용화 기반 마련 | 드론, 무인, 원격, 지상, 감시 | drone, unmanned, remote, ground, monitoring | 3000000 | |
108 | 2021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1711135072 | 액체엔진 고성능화 선행기술 연구 | Research on the Preceding Technologies for the High Performance in Liquid Rocket Engines | 문윤완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70101 | 20241231 | 로켓추진 기관기술 | 고효율 다단연소사이클 로켓엔진 선행기술 확보 다단엔진 TDM2 설계점/탈설계점 연소시험(60sec) 다단엔진 터보펌프 상세설계/ 터빈 부품 제작 다단엔진 재점화 공급계 상세설계/ 일부 제작 | 제 3차 우주개발중장기계획의 한국형발사체 개량형, 소형위성 발사체, 중궤도·정지궤도 위성발사체 및 달탐사 발사체의 상단에 적용할 수 있는 재점화 가능 고효율 고성능 엔진 선행기술 확보 | 다단연소, 예연소기, 연소기, 엔진조립, 재점화, 연소시험 | Staged combustion, Pre-burner, combustor, Engine assembly, Re-ignition, Combustion test | 1067000000 |
239 | 2021 | 불법선박대응을위한장비선진화기술개발(R&D) | 해양경찰청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35000262 | 위성데이터 수집체계 및 선박 탐지기술 개발 | 이광재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528 | 20231231 | 기타 위성기술 | ㅇ 위성연계 선박감시 시스템 개발을 통한 접경수역 선박정보 통합 기술 개발 - 다종 위성 중심의 해양빅데이터 수집체계 구축 · 위성/유·무인기/함정 정보 수신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 · 위성/유·무인기 영상 및 함정 정보 표준화 모듈 개발 - 선박 탐지·분류 및 해양빅데이터 분석기술 개발 - 선박 동향·행태 분석 기반 선박 분포 예측기술 개발 - 위성연... | [활용방안] ㅇ 인공위성 연계 남북 접경수역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해양관할권이 미치는 광역해역까지 관심 선박 모니터링 확대 활용 가능 ㅇ 연안 해역 재난·재해에 대한 효과적 대응 및 해상교통 안전관리 예측에 활용 ㅇ 타국 선박의 우리 측 관할수역 불법 조업활동 시 불법 조업행위 증거자료 확보 및 제시 등 외교적 대응방법 활용[기대효과] ㅇ 접경수역 대상 불... | 선박 모니터링,위성기반 감시,선박 분포예측,통합 시스템,접경수역 | ship monitoring,satellite based surveillance,predicting ship distribution,integrated system,contiguous zone | 150000000 | |
51 | 2022 | 과학기술혁신인재양성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70855 | 뉴 스페이스 현장교육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Field Training Program for New Space | 정종균 | 한국천문연구원 | 대전광역시 | 20220501 | 20260228 | 기타 우주항공기술 | ? 우주산업 기반조성을 위한 현장 맞춤형 실습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우주탐사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현장 맞춤형 실습 교과목 개발 ? 뉴 스페이스 현장 실습 우주과학 교범 발간 | ? 2027년 이후 시험 서비스 예정인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과 운영을 위한 현장 실무인력 및 전문인력 양성 기반 조성 ? 위성 광학기술의 안보 및 우주산업 시장 확대가 예상됨에 따라 위성 광기술 관련 산업계와 연구계가 요구하는 실무인력 유입 촉진 ? 글로벌 위성통신?인터넷 시장 확대에 따른 우주환경예보(전리층, 자기권, 태양 폭풍) 모델 개... | 위성항법시스템,초소형위성,우주환경,우주과학,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우주광학계,우주탐사,우주산업 | GNSS,Microsatellite,Space Environment,Space Science,KPS,Space Optics,Space Exploration,Space Industry | 150000000 |
139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65524 | 해양지역에서의 GNSS 대기 수증기량 감시 연구 | A Study on the Monitoring of GNSS Precipitable Water Vapor in the Ocean Regions | 손동효 | 한국천문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301 | 20260228 | 기타 우주항공기술 | 해양을 운항하는 선박과 위성에서 관측한 전지구 위성항법시스템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자료를 이용하여 대기 수증기량을 산출하고, 다른 관측시스템과 비교하여 해양지역에서의 기상현상에 대한 예측 정확도를 높이고자함.* GNSS: 미국 GPS, 러시아 GLONASS, 유럽연합 Galileo, 중국 BeiDou ... | -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선박 GNSS를 활용한 해양에서의 대기 수증기량 정보를 산출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음. 이 연구를 통해 해양을 운행하는 선박들의 GNSS 자료를 획득하여 데이터를 구축하고 선박 운항경로상의 대기 수증기량을 GNSS를 통해서 정확히 추정할 수 있음.- 이러한 연구결과는 해양지역에서의 기후변화를 감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 전지구위성항법시스템,대기 수증기량,해양지역,선박기반,신호엄폐 | GNSS,Precipitable Water Vapor,Ocean Regions,Ship-borne,Radio Occultation | 91406000 |
223 | 2022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1711170908 | 국가위성통합운영센터 운영 | Korea Satellites Operations Center (KSOC) Operation | 김응현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20101 | 20261231 | 위성관제기술 | 국가위성통합운영센터를 안정적으로 운영 및 관리하고, 4차 정보통신혁명의 기반기술을 이용한 위성 자료의 통합 데이터베이스 운영방안을 연구하여 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위성 서비스를 제공 | New Space에 부응하는 대국민 위성 운영 서비스을 제공할 수 있으며, 센터가 구축된 지역 내의 우주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 국가위성통합운영센터, 위성, 임무운영 | Korea National Satellites Operation Center, Satellite, Mission Operation | 1457000000 |
19 | 2021 | 스페이스챌린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5310 | 신소재 전개형 조각거울 및 위상측정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segmented deployable mirror and phase measurement system | 김학용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501 | 20250131 | 위성설계 및 개발기술 | ○ 초고해상도 미래형 광학 관측위성 광학계의 주반사경을 위한 신소재 기반 전개형 조각거울 가공ㆍ측정ㆍ코팅ㆍ조립 및 동일위상 제어용 파면측정 핵심기술 개발 - 고비강성 신소재 기반 조각거울 경량화 설계 및 제작기술 개발 - 극저탄성 연마공정 기반 유효구경 극대화 및 중력보상 가공기술 개발 - 다파장 우주급 코팅기술 및 이종재질 조립기술 개발 - 조각거울 동... | ○ 초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위한 미래형 광학 관측위성의 핵심기술인 전개형 조각거울의 요소기술을 확보하여, 향후 직경 3 m급 이상의 주반사경 위성 개발에 활용○ 신소재 기반 조각거울 제작에 필요한 핵심 요소기술을 개발하여, 소재부터 반사경 가공, 그리고 전개형 조각거울 개발에 이르는 가치사슬 확보○ 동일위상 제어를 위한 실시간 파면측정기술을 응용하여 우주용 ... | 반사경,조각거울,인공위성,탄화규소,전개형,동일위상,파면센서,광기계 | mirror,segmented mirror,satellite,silicon carbide,deployable,co-phasing,wavefront sensor,optomechanics | 350000000 |
25 | 2021 | 과학기술혁신인재양성(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9875 | 우주 산업체 인력의 직무역량 고도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ducation Program for Engineers Competency Enhancement in Space Industry | 고은정 |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 충청북도 청주시 | 20210401 | 20251231 | 기타 우주항공기술 | ○ 우주산업체 인력 수요에 부합한 분야별, 내용별 교육체계 마련 - 교육 니즈 분석을 통한 분야별 교육 프로그램 차별화 - 산업체 종사자의 선택적 역량 고도화를 위한 내용별(개념-사례-실습) 교육체계 수립○ 우주산업체 인력의 직무 역량 강화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집합(실습) 및 원격(실시간 온라인)교육 총 10회 이상 운영, 200명 이... | ○ 우주산업체 인력교육 기반 조성 - 우주산업체 종사자를 위한 맞춤형 교육체계 마련 - 분야별 교재, 이러닝 등 다양한 주제의 교육자료 개발로 선택형 학습 범위 확대○ 우주산업체 인력의 직무역량 강화로 우주분야 고성과 창출 기반 조성 - 산업체 인력의 사기진작, 직무역량 고도화로 업무수행 효율성 제고 - 장기적인 품질 향상, 매출 증대 등 연... | 우주산업체,직무교육,위성체,우주 전문 인력,발사체,위성통신,위성활용,교육수요 | Projectile,Satellite Applications,Work Application Degree,Space Industry Professionals,Satellite,Satellite Communication,Space Industry,Demand for Education | 300000000 |
15 | 2022 | 원자력융복합기술개발사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8797 | 100 MeV 양성자가속기 기반 우주환경 모사장치 개발 | Development of Space Radiation Environment Based on 100 MeV Proton Accelerator | 권혁중 | 한국원자력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415 | 20231231 | 기타 발사체기술 | 우주기술자립화를 위한 핵심우주부품개발 기반기술 및 시험환경 기반 확보를 위하여, 100 MeV 양성자가속기 기반 우주환경모사 장치를 구축하고, 우주급 전자/광학 부품의 방사선 시험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함 | 국가대형연구시설인 100 MeV 양성자가속기의 우주항공 분야에의 활용기반 마련100 MeV 양성자가속기 기반 독자적인 우주부품 고 에너지 양성자 빔을 이용한 우주 방사선 시험 장치 구축위성체 및 탑재체의 주요부품 국산화 및 상용화 시험기술 기반 마련 | 우주부품,우주환경모사,고 에너지 양성자,양성자가속기,실시간,측정,제어계통,데이터베이스 | Space part,Space environment simulation,High energy proton,Proton accelerator,Real time,Measurement,Control system,Database | 848000000 |
112 | 2021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1711135097 | 발사환경 시험 최적화를 위한 대형가진시험 시스템 모델링 연구 | 은희광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201 | 20211231 | 위성설계 및 개발기술 | 위성 개발을 위하여 필수적인 본체 및 부품의 발사 환경 검증 시험 최적화 방안 도출 | 1. 위성 부품 개발 시 적절한 수준의 마진을 확보한 발사환경 시험 수행을 위한 방안 도출 2. 이를 통하여 부품 개발에 대한 발사환경 시험 관련 모호성을 제거함 3. 과도한 시험에 대하여 마진을 적절히 관리하여 부품 개발비 절감 가능성 큼 | 위성, 구조, 발사 환경, 동특성, 유한요소모델 | Satellite, Structure, Launch Environment, Dynamic Characteristics, Finite Element Model | 46000000 | |
46 | 2022 | 우주개발기반조성및성과확산사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7680 | 우주산업 클러스터 예타 기획연구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Space Industry Cluster | 임종빈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세종특별자치시 | 20220201 | 20230131 | 기타 우주항공기술 | ㅇ 2021.11월 수립된 우주산업 육성 추진전략을 통해 발사체, 위성, 소재·부품 지역의 산업거점을 육성하기 위한 우주산업 클러스터 구축계획 발표 ㅇ 우주산업 클러스터 예비타당성 조사 기획 및 사업추진을 통해 우주산업 육성 추진전략의 차질 없는 이행 필요 ㅇ 이에, 우주산업을 집약적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우주산업 클러스터 구축 전략을 마련하고자 함 | ㅇ 국내 우주산업의 현황과 세계 우주 분야 클러스터 효과를 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 우주산업체 대한 적용 가능성 확인 ㅇ 국내 우주산업의 발전 방향 중, 클러스터를 통한 전략 제시 ㅇ 우주산업 클러스터 개발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에 활용 | 우주,산업,발사체,위성,시험,인프라,클러스터,소재/부품 | Space,Industry,Launch Vehicle,Satellite,Test,Infrastructure,Cluster,Component | 110000000 |
120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70470 | 연소기 표면온도 정밀 측정을 위한 포터블 형광 온도계 개발 | Development of portable phosphor thermometer for precise measurement of surface temperature on combustor | 이석환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301 | 20230228 | 로켓추진 기관기술 |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가스터빈이나 스크램젯과 같은 연소기에 쓰이는 연소기의 표면온도(최대 1500 oC)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포터블 형광온도계(phosphor thermometry)를 개발하는 것이다. 최근 연소기의 효율을 높이고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줄이기 위해서 연소기의 온도가 증가하고 있어 탄소복합소재와 같은 가벼우면서도 내열성이 우수한 소재의... | 본 연구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고온 소재 부품 개발의 필수적인 고온의 표면온도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본 연구는 고온용 소재 부품개발의 핵심기술인 1500 oC 이상의 고온의 표면온도를 정밀하고 손쉽게 측정하는 기법을 제공하고 국내최초의 고온용 형광온도계기술 개발 연구이다. 이를 통하여 비접촉 정밀 온도계 개발로 고온 소재 부품 개발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 형광온도계,고온용 소재 ,포터블 온도계,표면 온도,가스터빈,스크램젯 엔진,비접촉 온도계 | Phosphor thermometry,High temperature material,Portable thermometer,Surface temperature,Gas turbine,Scramjet Engine,Non contact thermometer | 100000000 |
163 | 2021 | 한국천문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천문연구원 | 1711152265 | 국가우주위험대응체계 구축 및 기반기술연구 | Establishment of National SSA System & Fundamental Technology | 박장현 | 한국천문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101 | 20231231 | 기타 우주항공기술 | ㅇ 국가 우주위험 정책 지원 및 우주환경감시기관 운영ㅇ 우주위험대응 국제협력 체계 구축ㅇ 성과 확산 및 공공 서비스 제공ㅇ 우주위험 대응을 위한 기반기술 연구 | 1) 우주환경감시기관의 고유 임무 수행과 운영으로 국가우주정책에 활용2) 광학감시기술, 레이다감시기술 연구·개발을 통한 우주물체 추락·충돌 감시 현업활용3) 독자적 우주물체 궤도정보 획득 역량 확보 및 국제협력 활용 | 우주위험, 우주위험감시, 자연우주물체, 인공우주물체, 우주환경감시기관 | Space Hazard, Space Situational Awareness, Natural Space Objects, Artificial Space Objects, National Space Situational Awareness Organization | 704000000 |
201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3508 | 적층 제조 공정 적용 고내삭마 초고온 세라믹 복합재료 제조 | Fabrication of ablation resistant ultra-high temperature ceramic (UHTC) composites us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 | 이세훈 | 한국재료연구원 | 경상남도 창원시 | 20210301 | 20260228 | 기타 발사체기술 | 재사용 우주선, 초고속 항공기, 극초음속 무기체계 및 차세대 발전체계의 핵심 소재인 초고온 세라믹 (UHTC, ultra-high temperature ceramics)의 일원인 Zr-계 UHTC 내삭마 세라믹 복합재료 소재의 적층 제조 (additive manufacturing) 공정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고품위 원료 개발, 적층 ... | - 현재 진행중인 한·일 무역 마찰에서 국내 소재 원천기술의 취약함과 중요성이 명확히 나타나고 있음. 본 과제를 통하여 얻어질 결과물은 첨단 극초음속 체계 및 차세대 발전 체계 개발을 위한 핵심 소재로, 국내 연구 기반이 취약한 고품위 세라믹 원료분말 제조, 세라믹 전구체 제조 및 이를 이용한 고성능 세라믹 복합재료 제조에 관한 원천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 | 초고온 세라믹,적층 제작,내삭마,MOF,전구체 세라믹,복합재료,전구체 함침 및 열분해법 | UHTC ultra high temperature ceramics,Additive manufacturing,Anti ablation,Metal organic framework MOF,precursor derived ceramics,Composites,Precursor impregnation and pyrolysis | 195742000 |
14 | 2022 | 과학기술혁신인재양성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5877 | 우주 산업체 인력의 직무역량 고도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ducation Program for Engineers Competency Enhancement in Space Industry | 조무관 |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 충청북도 청주시 | 20210401 | 20251231 | 기타 우주항공기술 | ○ 우주산업체 인력 수요에 부합한 분야별, 내용별 교육체계 마련 - 교육 니즈 분석을 통한 분야별 교육 프로그램 차별화 - 산업체 종사자의 선택적 역량 고도화를 위한 내용별(개념-사례-실습/실무) 교육체계 수립○ 우주산업체 인력의 직무 역량 강화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집합(실습) 및 원격(실시간 온라인)교육 총 10회 이상 운영, 200... | ○ 우주산업체 인력교육 기반 조성 - 우주산업체 종사자를 위한 맞춤형 교육체계 마련 - 분야별 교재, 이러닝 등 다양한 주제의 교육자료 개발로 선택형 학습 범위 확대○ 우주산업체 인력의 직무역량 강화로 우주분야 고성과 창출 기반 조성 - 산업체 인력의 사기진작, 직무역량 고도화로 업무수행 효율성 제고 - 장기적인 품질 향상, 매출 증대 등 연... | 우주산업체,직무교육,위성체,우주 전문 인력,발사체,위성통신,위성활용,교육수요 | Projectile,Satellite Applications,Work Application Degree,Space Industry Professionals,Satellite,Satellite Communication,Space Industry,Demand for Education | 300000000 |
303 | 2021 | 한국전기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운영경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전기연구원 | 1711151617 | 항공용 하이브리드 전기추진시스템의 100kW급 발전기 개발 | 이지영 | 한국전기연구원 | 경상남도 창원시 | 20210101 | 20221231 | 기타항공기기술 | - (1)고비출력/(2)고효율/(3)(온도/기구적)안정적 발전기 개발을 위한 100kW급 AFG 설계/해석/제작- 발전기의 구동(Stater)/발전(Generator) 제어를 위한 PMU 개발 | - 1만rpm 회전, 100kW급 발전, 비출력 3.5kW/kg 이상(발전기 기준), 360Vdc 충전급의 발전기를 TRL5 수준으로 개발- 연구개발 기간 중에 항공기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용 발전기 또는 이에 대한 응용으로서 고속 하이브리드 보조전원용으로 100kW급의 발전기 개발에 관심이 있는 수요기업에 기술이전- 관련 연구개발을 진행하면서 구축한 기술협... | 축방향 자속 기기,하이브리드 전기추진,100kW급 발전기 | Axial flux machine,Hybrid electric propulsion,100kW class generator | 83252000 | |
100 | 2021 | 재료연구소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재료연구원 | 1711139430 | 열가소성-열경화성 탄소복합재 일체성형용 소재 및 공정 기술 개발(1/3) | 오영석 | 한국재료연구원 | 경상남도 창원시 | 20210101 | 20231231 | 기타항공기기술 | PAV용 구조부품의 경량화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해 탄소섬유 복합재 기반 고강도/고충격 구조부품을 개발하는 것으로 신규 열가소성 수지 기반 탄소복합재 일체화 성형 기술, 접합 소재 및 접합 기술 개발하고자 함 | 1.TP/TS 복합재 일체화 소재 기술 2.Hybrid Materials 성형 기술 3.열가소성 탄소복합체(CFRP)의 레이저 점착 공정개발 | PAV, 열가소성, 열경화성, 일체성형, 탄소복합재 | Future air mobility, carbon composites, thermoplastic-thermoset, Hybrid materials forming, bonding | 260000000 | |
200 | 2021 | 무인이동체미래선도핵심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2514 | 저고도 교통관리체계를 위한 보안 및 무인비행장치 핵심기술개발 | Development of security and unmanned aerial system core technologies for the low altitude unmanned aerial system traffic management | 강왕구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70401 | 20221231 | 지능형 자율비행 무인비행기기 시스템(UAV)기술 | 저고도 무인비행장치 교통관리체계 요구조건을 충족하기 위한 핵심기술 개발과 해킹 및 불법 행위 억제를 위한 보안기술 개발을 통한 교통관리체계의 안정적 운영 지원저고도 공역에서의 복수 무인비행장치의 효율적이고 안전한 활용과 UTM의 요구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GNSS 및 다중센서 기반 정밀통합 항법기술 개발하고 교통관리체계 하에서 실증무인비행장치의 비행 관련 정... | 저고도 공역 내에서 비행하는 무인비행장치에 대한 대국민 안전성 보장 및 사회적 혼란 예방과 저고도 무인비행장치 관련 산업 및 교통관리체계관련 산업화에 기여 저고도 무인비행장치 교통관리체계의 안전과 보안을 제공하여 대한민국 무인비행장치 기반 서비스 환경 보안 수준 향상 기대 안전한 저고도 무인비행장치 교통관리체계의 보급으로 무인비행장치 기반 서비스 시장 활성... | 무인비행장치 교통관리체계,정밀통합항법기술,정보교환단말장치, 교통관리체계 보안,불법행위억제 | unmanned aerial system traffic management,integrated precision navigation technology,information exchange device,traffic management system security,Suppression of illegal activity | 100000000 |
39 | 2022 | 우주국제협력기반조성(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4220 | 신흥 우주개발국과의 협력 네트워킹 강화 | Strategy on Space Cooperation with Emerging Space Nations | 조항석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616 | 20221231 | 기타 우주항공기술 | ㅇ 한국 및 신흥우주개발국 정부 간 우주협력 MoU 등 양자 우주분야 협력의 구체적인 이행과 실제적인 협력사업 발굴을 지원하여 국내 우주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 및 진출 기회 확대 - 한국 및 신흥우주개발국 양국의 산?학?연 협력 활동 지원을 통해 공동 사업 분야를 발굴하고, 발굴된 분야의 과제화 등을 통해 협력체계의 실효성 확보ㅇ 산업체의 다자 협력체계 ... | ㅇ 우주분야 신흥국과의 실질적인 협력 이행 기반 확보 - 양자간 MoU의 적극적인 이행, 협력 사업 발굴을 통해 우리 우주 산업체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고 그간 축적한 우주 분야 역량을 적극 활용 - 다자협력사업을 통한 효율적인 협력 네트워킹 확보 및 국내 우주기술의 국제사회 인지도 및 기여도 제고 - 국제사회에서 신규로 시도되는 개도국 협력 사업 및 ... | 우주 수출 지원,우주 MoU,우주 양자 협력,우주 다자 협력,OECD 우주,COPUOS 기업체,UNICEF | support space technology export,space MoU,bilateral space cooperation,multilateral space cooperation,OECD space,COPUOS industry,UNICEF space,NGO space | 40000000 |
104 | 2021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1711135080 | 정부 위성정보활용협의체 지원 | Government Satellite Information Application Consultation Support | 이광재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101 | 20211231 | 기타 위성기술 | ○ 위성정보활용협의체 운영체계 고도화 및 맞춤형 실용화기술 개발 등을 통한 정부 위성정보 지원체계 및 서비스 강화 | ○ 정부 수요의 위성정보 통합 운영 및 활용체계 정립○ 긴급·비상시 신속하고 정확한 위성정보 전달, 분석 및 활용체계 구축에 활용○ 국내개발 위성 중심의 자료 활용체계 구축을 통한 막대한 수입대체효과 유발○ 협의체 사용자 지원을 통한 공공분야 위성정보 활용역량 강화○ 국내 공공부문 현업 활용체계의 민간 확산 및 해외 전파 도모 | 아리랑위성, 활용서비스플랫폼, 부가처리시스템, 고부가DB관리시스템 | KOMPSAT, GOSIS, VAPS, VAMS | 1606000000 |
13 | 2021 | 원자력융복합기술개발사업(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3747 | 다중 펄스 플라즈마 음이온원 원천 및 응용 기술 개발 | Multi-pulsed plasma negative ion source technology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 허성렬 | 한국원자력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719 | 20221231 | 기타 위성기술 | ○ 다중 펄스 플라즈마 음이온원 기술 개발을 통한 원천·응용 기술 확보- 기술·규모검증용 음이온원 장치의 단계별 설계·제작·성능 확인을 통한 다중 펄스 음이온 기술 개발- 우주·반도체·핵융합 분야별 요구 성능 확인을 통한 원천기술 확보 | ○ 고유 다중펄스 음이온원 기술 개발·적용성 검증을 통한 분야별 난제 극복방안 제시 및 분야간 후속 융합과제 도출- (우주) 소형·고연비 이온추력기 원천기술 활용 우주 분야 융합 과제 도출, 소형 인공위성·우주탐사선 관련 기술 산업화 추진- (반도체) 전하중화반응 관리가 용이한, 고부가가치 차세대 반도체 식각 장치·공정 기술 관련 기술 산업화 추진- (핵융... | 음이온,이온원,펄스 플라즈마,펄싱,이중 펄스 이온원,다중 펄스 이온원,이온빔,빔인출 | Negative ion,Ion source,Pulsed plasma,Pulsing,Dual pulsed ion source,Multi-pulsed ion source,Ion beam,Beam extraction | 275000000 |
215 | 2021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1711135074 | 우주센터2단계 | NARO Space Center Development Project II | 정의승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전라남도 고흥군 | 20090101 | 20211231 | 발사운용, 통제 및 관제기술 | 한국형발사체(KSLV-II) 발사를 위한 우주센터 장비 추가구축 및 기존장비 성능개선 | 나로우주센터를 확장·구축함으로써, 한국형발사체(누리호) 발사를 통해 우리나라 우주산업의 발전을 이끌고, 국내 엔진개발을 위한 추진기관시험을 수행하여 향후 지구저궤도위성 발사 능력 확보 | 나로우주센터, 한국형발사체, 추적레이다, 발사통제장비 | NARO space center, KSLV-II, Tracking Radar, launch control equipment | 5790000000 |
115 | 2021 | 한국천문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천문연구원 | 1711152247 | 우주생명현상탐색 | 김민선 | 한국천문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101 | 20211231 | 기타 우주항공기술 | 목적 : 본 연구 그룹의 최종 연구 목표는 “지구 바깥의 우주에 생명체가 존재하는가?”라는 질문에 답하는 것이다. 본 선행기획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는 아직 미개척인 본 분야의 시작 및 방향성 제시를 위하여 기존 연구의 심층 리뷰 수행 및 주요 연구 주제를 도출하는 것이다.내용 : 본 연구 분야를 탐색 도구(거주가능성, 생명징후, 기술문명징후), 대상 천체(... | (1) 본격적 연구 시작 및 도약을 위해 다음 단계의 연구 과제화 준비(2) 국내 다학제간 연구자 그룹과의 네트워크 설정 및 교류 기대(3) 국외 전문가 그룹과 공동 연구 기대(5) 국내 학문 후속세대의 미래 도전 연구 분야 인식의 확장 기대(6) 심우주 탐사 수반으로 인한 학계 및 산업계 등 긍정적 파급 효과 기대(7) 우주생명현상 탐색의 중요성 인식 확... | 거주가능성, 생명징후, 기술문명징후, 태양계의 생명현상, 성간 천체, 외계행성 | Habitability, Biosignature, Technosignature, Life in Solar System, Interstellar Object, Exoplanet | 25000000 | |
134 | 2021 | 무인비행체안전지원기술개발(R&D)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1760 | 저고도 무인비행장치 교통관리체계 개발 및 실증시험 | 강창봉 | 항공안전기술원 | 인천광역시 서구 | 20170403 | 20211231 | 기타항공기기술 | 저고도 교통관리체계 개발 및 실증시험을 통한 무인비행장치 운영기반 구축ㅇ UTM 시스템 개발 및 20대 이상 기체의 2~3개 권역 실증ㅇ 2단계 UTM시스템(USS) 및 FIMS 개발 및 실증ㅇ UTM 운용개념, 운용조건, 운영절차, 안전기준 등 제도적 기반 마련ㅇ 드론전용비행시험장 활용, 외부사업자 참여한 실증 추진 ㅇ 연차별 실증 목표- 1,2차년도(~... | 무인비행장치 교통관리 핵심기술 및 탑재핵심모듈 기술확보교통관리 서버기술 및 교통관리체계 운용기술 확보교통관리체계관련 인터페이스 국내외 표준화 선도교통관리지원탑재 및 지상 ClientSW 제품군 확보 | 저고도 교통관리체계,교통관리체계,무인비행장치,저고도,실증시험 | UTM,Traffic Management System,UAV,Low-altitude,Test-bed | 496500000 | |
269 | 2022 | 해양수산 신산업 기술사업화 지원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25013270 | 해양레저활동 맞춤형 인공지능기반 바다수온예보 서비스 시스템 개발 | 한희정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부산광역시 영도구 | 20220401 | 20231231 | 기타 위성기술 | ● 해양수산부는 2024년 낚시 활동자를 약 1,000만명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연평균 3.9% 정도 증가 추세임. 또한, 2021년 어업생산량이 총 375.6만톤으로 증가 및 정부의 어촌뉴딜 300사업을 통해 직·간접적 인프라 투자 진행중이며, 이들 분야에서는 지속적으로 해양기상정보 수요 발생. 해양레저활동 분야에서 필수적인 해양기상정보(수온, 날씨,... | ● 본 연구개발 제품은 ㈜HMT, 국립해양조사원, 국립수산과학원에서 구매의사를 밝혔으며, ㈜애쓰지마에서 운영하는 낚시 앱(어신)과의 연동을 위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음● 제안기술은 준 실시간 위성 자료를 활용하여 광범위한 해역에 대한 정밀한 SST 정보를 제공하며, SST뿐만 아니라 해양기상정보의 다수 영향변수를 활용하여 유의미한 예측정확도를 보유한 중기(7... | 해양레저,해수면온도,예보,인공지능,인공위성 | Marine Leisure,Sea Surface Temperature,Forecasting,Artificial Intelligence,Satellite | 60000000 | |
88 | 2021 | 대구경북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1711150144 | 자율주행 및 비행로봇 제어기술 융합을 통한 혁신적 자율주행/비행 안정성 확보 | Study on Securing Innovative Safety for Self-Driving Vehicle based on Collaboration with Autonomous Flight Robotic System Control | 임용섭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대구광역시 달성군 | 20200601 | 20221231 | 지능형 자율비행 무인비행기기 시스템(UAV)기술 | 4차 산업 혁명에 중요한 연구주제 중 하나가 바로 자율주행 관련 기술임에 분명할 것이다. 따라서 국내외 우수한 연구기관 및 기업에서 많은 예산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구글 (Waymo), GM (Cruise), Uber, Tesla, JingChi-WeRide(중국) 등의 우수한 자율주행 성능을 바탕으로 자율주행택시 등 상용화 직전 혹은 작... | 본 연구의 주된 내용인, 자율 주행하는 차량과 자율 비행하는 로봇 (예를 들어, 드론 혹은 소형 무인기 등) 협력 제어를 통해, 기존 자율주행 차량에 장착된 센서만으로는 예기치 못한 여러 주행상황 (사각지대의 동적 거동 혹은 사고 등) 에 대한 안정성을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 개발을 통해 자율주행 차량의 고속주행 속도를... | 자율주행, 자율주행차량, 자율비행로봇, 주행안정성, 주행제어알고리즘, 협력/협조 제어 | Autonomous driving, Autonomous driving vehicle, Autonomous flight robots, Driving safety, self-driving control algorithm, Collaborative control | 30000000 |
218 | 2022 | 한국재료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재료연구원 | 1711160038 | 항공기체용 L-PBF 부품 실용화를 위한 최적 공정 기술 개발(4/6) | 김상우 | 한국재료연구원 | 경상남도 창원시 | 20210301 | 20221231 | 기타항공기기술 | 항공기용 CFRP 소재의 가공을 위해 사용되는 초경(WC-Co) 절삭 공구상, 자장 여과 아크 증착법으로 무수소 DLC막을 증착하여 경도 60GPa, 코팅 두께 5 um이상을 코팅하는 공정 및 시제품 코팅 장치 기술 개발 (Φ6 x 50 ea x 24hr) | A. 고경도화 기술1차년ㅇ비정질 탄소막의 고경도화를 위한 sp3 함유량 증대 기술 - 기판의 온도 제어 및 바이어스 제어 - sp2 Phase 조절을 위한 화학적 에칭 기술ㅇ비정질 탄소의 결정화를 위한 에너지 제어기술 - 고온 (기판 온도 500℃ 이하)에서 결정질 탄소막의 합성 및 조절 - 기판 바이어스 공급을 통한 비정질 탄소의 선택적... | 비정질 탄소 코팅막, 탄소복합소재, 항공기, 공구, 고경도 | DLC, CFRP, Air plane, Cutting tool, High hardness | 250000000 | |
241 | 2021 | 방송통신산업기술개발(R&D,정보화)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25926 | 차세대 위성 핵심기술 개발 | Key Technologies Development for Next-Generation Satellites | 박성욱 |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80701 | 20241231 | 기타 위성기술 | 본 연구과제는 전파위성 각 분야에서 뛰어난 전문성을 가진 대학이 서로 협력하여 설립을 추진하는 RRC 과제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그 수요가 매우 크지만, 기술적으로는 아직 기초 단계인 초소형 군집위성의 안테나, 버스, 탑재체 등 다양한 핵심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세계적으로 우주 산업 기술을 선도하며 더욱 치열해질 우주 기술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할 계... | 초소형 위성용 X/Ka대역 안테나 초기 모델을 제작하고 실험을 거쳐서 1단계 과정동안 연구수행한 성과를 평가하고, 2단계에 최종적으로 이룩할 목표를 보완할 수 있다. 초소형 위성용 SAR 탑재체 시스템 초기 모델을 구현하고 차량을 이용한 AutoSAR/TrainSAR 실험을 통해 SAR 시스템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보완사항을 파악할 수 있다. 다수위... | Ka대역,SAR 탑재체,군집위성,위성 간 링크,초소형 위성 | InterSatellite Link,Ka Band,Microsatellite,SAR Payload,Satellite Constellation | 877021000 |
118 | 2022 | 불법선박대응을위한장비선진화기술개발(R&D) | 해양경찰청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35000371 | 위성데이터 수집체계 및 선박 탐지기술 개발 | 이광재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528 | 20231231 | 기타 위성기술 | ㅇ 위성연계 선박감시 시스템 개발을 통한 접경수역 선박정보 통합 기술 개발 - 다종 위성 중심의 해양빅데이터 수집체계 구축 · 위성/유·무인기/함정 정보 수신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 · 위성/유·무인기 영상 및 함정 정보 표준화 모듈 개발 - 선박 탐지·분류 및 해양빅데이터 분석기술 개발 - 선박 동향·행태 분석 기반 선박 분포 예측기술 개발 - 위성연... | [활용방안] ㅇ 인공위성 연계 남북 접경수역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해양관할권이 미치는 광역해역까지 관심 선박 모니터링 확대 활용 가능 ㅇ 연안 해역 재난·재해에 대한 효과적 대응 및 해상교통 안전관리 예측에 활용 ㅇ 타국 선박의 우리 측 관할수역 불법 조업활동 시 불법 조업행위 증거자료 확보 및 제시 등 외교적 대응방법 활용[기대효과] ㅇ 접경수역 대상 불... | 선박 모니터링,위성기반 감시,선박 분포예측,통합 시스템,접경수역 | ship monitoring,satellite based surveillance,predicting ship distribution,integrated system,contiguous zone | 160000000 | |
277 | 2022 | 자율비행개인항공기기술개발사업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8736 | 유무인겸용 분산추진 수직이착륙 1인승급 비행시제기 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the Distributed Electric Propulsion SingleSeat Optionally Piloted VTOL AirVehicle System | 최성욱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기타 기타 | 20190401 | 20231231 | 항공기 체계종합 및 비행성능기반기술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비행체 체계통합 지상시험 및 비행시험[한국항공우주산업] 비행체 시스템 체계통합 및 지상시험 [현대자동차] 비행시험 지원 및 분산전기추진 시스템 성능평가[베셀에어로스페이스] 체계통합 지상시험 및 비행시험 지원[한국항공기술] 분산전기추진시스템 시험평가 및 체계 종합, 지상시험 및 비행시험 지원 [두타기술] 데이터링크 통합 시험 및 비행... | OPPAV 지상 및 비행시험 기술 확보를 통해 향후 본격적 PAV 개발시 기술적 위험도 저감 및 우위 기술 확보- 비행체 체계통합 지상시험 및 비행시험 기술 확보- 비행체 시스템 체계통합 및 지상시험 기술 확보- 비행시험 지원 및 분산전기추진 시스템 성능평가 기술 확보- 체계통합 지상시험 및 비행시험 지원 기술 확보- 분산전기추진시스템 시험평가 및 체계 종... | 유무인겸용,전기분산추진,수직이착륙,개인용항공기,비행시제기 | Optionally Piloted,Distributed Electric Propulsion,VTOL,PAV,AirVehicle Prototype | 3636000000 |
99 | 2021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1711135071 | 전기추진 수직이착륙 미래비행체 핵심기술연구 | Study on the Core Technologies of Electric Vertical Take-Off & Landing Aircraft | 장병희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101 | 20211231 | 지능형 자율비행 무인비행기기 시스템(UAV)기술 | 대기오염이 없고 소음이 작은 전기추진 방식의 다중추진 수직이착륙 비행체 개발에 필요한 형상설계연구, 틸팅시스템 기술개발, 저소음 고효율 추진시스템 연구 및 다중 프로펠러 고장대처 제어시스템 연구 등의 핵심기술 개발 및 확보 | - 다중 전기추진 비행체 개발을 위한 핵심기술 확보를 통해, 향후 개발될 실용기 및 파생기 개발 지원- 개인용 항공기 및 소형 유인기 개발시 국내 개발 기술 활용을 통한 국내 관련 산업 육성 | 다중전기다중전기추진 시스템, 고효율 저소음 프로펠러, 정밀구조해석 및 공력성능평가, 다분야 통합최적설계, 가스터빈 하이브리드 추진추진 시스템, 고효율 저소음 프로펠러, 무인기 운용기술, 정밀구조해석 및 공력성능평가 | Distributed Electric Propulsion System, High Efficiency & Low Noise Propeller, Advanced Structural Analysis & Aerodynamic Performance Evaluation, MDO, Gasturbine Hybrid Propulsion | 1946000000 |
167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3339 | 우리 은하면 파션알파 방출선 천체의 목록 연구 | Catalog of the Galactic Plane Paα Emission Sources | 김일중 | 한국천문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601 | 20220228 | 기타 위성기술 | 2013년 11월에 발사된 과학기술위성 3호에 실린 국산 우주망원경 다목적적외선 영상관측시스템 MIRIS는 약 1년 동안 Paα 관측을 수행하여 우리 은하면 전체에 대한 파션알파(Paα) 관측 자료를 세계 최초로 획득하였다. 이 관측 자료를 이용한 첫 번째 연구 결과가 2018년 10월에 천문학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국제 학술지인 천체물리학 저널 증보(... | +과학적 기대효과 무거운 별들의 생성 영역에 동반 형성되는 전리수소영역들을 찾아내어, 우리 은하 전체에 대한 무거운 별들의 생성 분포를 파악하는 것은 은하 진화의 비밀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기존에는 이러한 전리수소영역을 찾아내는 방법으로써 지상망원경으로 쉽게 관측할 수 있는 Hα 수소방출선을 주로 이용하였는데, 파장이 더 긴 근적외선 ... | 근적외선,전리수소영역,은하면 탐사,우주망원경,수소방출선,성간물질 | Infrared,H II regions,Galactic Plane,Space Telescope,Hydrogen Lines,Interstellar Medium | 50000000 |
226 | 2021 | 한국천문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천문연구원 | 1711152298 | 차세대 우주환경 관측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Next Generation Space Weather Observation Network | 최성환 | 한국천문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101 | 20211231 | 기타 우주항공기술 | 전 지구적 우주환경 상태변화 감시 및 태양권 우주환경 자료 확보를 위한차세대 우주환경 관측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 ○ 미국, 중국, 북/남극, 호주 등에 지상관측망 구축을 통한 지상기반 우주환경 관측기의 전 지구 네트워크 강화 ○ 2021년과 2023년에 각각 발사가 예정되어있는 SNIPE와 CODEX의 실시간 데이터 확보를 통한 차세대 우주환경 우주기반 관측 자료 확보 ○ 연구기관과의 국제 협력을 통한 세계적인 우주기반 대형 관측기의 관측 자료 확보 ○ 전지구 관측 ... | 우주환경. 태양우주물리 | Space Weather, Heliophysics | 340000000 |
264 | 202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연구개발지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52895 |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실종자 수색 다수 드론 자율비행 핵심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Core Technologies for Autonomous Searching Drones | 차지훈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20101 | 20261231 | 지능형 자율비행 무인비행기기 시스템(UAV)기술 | 실종자 및 자살 위험자, 재난 또는 테러 상황 등에서 실종자 수색에 활용하기 위하여 도심, 수풀 등 다양한 장애물이 존재하는 복잡 환경에서 실시간 수색을 위한 다수 드론 자율비행 핵심기술 개발 | 도심, 숲속과 같은 복잡 환경에서 실시간 수색을 위한 자율수색드론 시스템 개발을 위한 핵심기술에 대한 상위설계를 통해 2차년도 상세설계 및 구현을 위한 토대 마련.- 실종자 및 자살 위험자, 재난 또는 테러 상황 등에서의 실종자 수색에 직접 활용- 국토 3D 지형 데이터 획득 및 산림관리 농업 분야 등에도 확대 적용 가능- 대규모·복잡 구조물의 자율 검사 ... | 수색,실종자 및 유류품 탐지,임무계획,자율비행,전역 공간 재구성 | Autonomous Flight,Detection of Missing Person and Lost Property,Global Space Reconstruction,Mission Planning,Searching | 3000000000 |
193 | 2022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1711170919 | 항공우주시험장비선진화 | 김덕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20101 | 20261231 | 항공기 체계종합 및 비행성능기반기술 | 국가 항공우주개발사업 중장기 발전계획에 의거, 항공기, 인공위성, 우주 발사체 개발 등 항공우주개발사업에 사용되어 노후화된 시험장비를 교체하여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국가 항공우주개발사업의 성공적 완수에 기여 | 시험장비 신뢰성 향상을 통해 국가 항공우주 개발사업의 안정적인 지원 | 인공위성, 발사체, 노후 시험장비, 항공우주, 시험장비, 항공기, 우주 발사체 | Satellite, Launch Vehicle, Test Facility & Equipment, Aerospace, Test Facility, Aircraft, Space Launch Vehicle | 684000000 | |
229 | 2022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1711170900 | 2단형 소형발사체 선행기술 개발 | Research on the Preceding Technologies Development for Two-Stage Small Satellite Launch Vehicle | 이기주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101 | 20231231 | 소형위성 발사체개발기술 | 투입 성능(태양동기궤도 500 km, 페이로드 500 kg)을 만족하고 경쟁력 있는 2단형 소형발사체의 시스템 구성안 도출, 상단용 고성능 엔진과 추진제 탱크 등 핵심 서브시스템의 예비설계 및 저비용 제작기술 선행 개발, 위성수요기반 소형위성발사체 개발전략 및 생태계 구축 방안 도출 | 소형위성 발사시장 진입에 필요한 경쟁력 있는 소형발사체의 구성 가능성 확인 - 한국형발사체 기술을 활용해서 소형발사체를 구성하고 시스템 설계 및 분석을 통해 다양한 임무에 대응이 가능한 소형위성발사서비스 가능성을 확인고성능 상단 구성을 위한 핵심 서브시스템 예비설계 수행 및 저비용 제작기법 확인 | 소형위성 발사체, 시스템설계, 상단용 액체로켓 엔진, 상단용 추진제탱크 | Small Satellite Launch Vehicle, System Design, Upper Stage Liquid Rocket Engine, Upper Stage Propellant tank | 1500000000 |
152 | 2022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7475 | 새로운 영상편분광장비를 이용한 코로나 온도/속도 측정 | Temperature and Speed Measurement of the Solar Corona using a New Imaging-Spectropolarimetry of the Total Solar Eclipse | 양희수 | 한국천문연구원 | 대전광역시 | 20220301 | 20270228 | 기타 위성기술 | 우리는 개기일식이 발생할 때 코로나영상편분광기(CORIFS)를 개발하여 1~5 태양반지름 영역의 코로나를 관측한다. 이 지역의 코로나는 전자의 톰슨 산란에 의한 K-코로나와 성간먼지의 Mie 산란에 의한 F-코로나로 구성되어있는데 아직까지 관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스트리머, 블롭, 버블과 같은 구조의 영상편분광자료를 획득하여 이 지역 자유전자의 온도와... | * 영역적분분광기에 대한 기술 획득CORIFS를 개발함으로써 우리는 영역적분분광기에 대한 기술을 습득하고 다양한 천문관측에도 사용할 수 있다. 영역적분분광기술은 또한 다양한 산업분야-반도체, 자동화 검증 등-에서 활용될 수 있다.* 미래 태양관측기기 개발에 기술적용영역적분분광기는 인공위성 관측기에 적절한 기술과 규모를 가지고 있다. 특히 우주에서 코로나를 ... | 태양,코로나,영역적분편광분광기,개기일식 | Sun,Corona,Intergral Field Spectropolarimetry,Total Solar Eclipse | 98791000 |
8 | 2021 | 정지궤도공공복합통신위성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6982 |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 개발 | Development of the GEO-KOMPSAT-3 | 전형열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401 | 20271231 | 위성설계 및 개발기술 | 국가 재난·안전 대응 역량 강화 및 미래 이동통신 패러다임 전환을 대비하여 공공 위성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3.5톤급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의 시스템, 본체 및 위성관제시스템 국내 독자 개발 | *활용계획 -국내/외 통신위성 수요를 충족키 위한 정지궤도 통신위성 표준플랫폼으로 활용 -위성통신 관련 미래선도기술 개발 및 검증을 위한 테스트베드로 활용 -무중단 하천영상 감시와 상시 수문데이터 확보로 수자원 관리/홍수 대응능력 강화 -한국형 정밀 GPS 위치보정시스템(KASS) 성능향상 검증 및 후속 위성 확보 -해경 임무수행을 위한 위성통신망 고도화 ... |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항법보정탑재체,전기추진시스템,광대역통신탑재체,정보수집탑재체,정지궤도위성,위성관제시스 | GEO-KOMPSAT-3,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Payload,Electric Propulsion Subsystem,Flexible Broadband Communication System Payload,Data Collection System Payload,Geostationary Satellite,Satellite... | 6300000000 |
249 | 2021 | 항공우주부품기술개발(R&D)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1415172797 | 항공기용 가스터빈엔진 냉각터빈 적용을 위한 고효율 Fan-shaped 막냉각 홀 기술 개발 | Technology Development of Highly Efficient Fan-shaped Film Cooling Holes for Cooled Turbine in Aviation Gas Turbine Engines | 이동호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기타 기타 | 20171001 | 20211231 | 기타항공기기술 | - 주관기관(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복합형상 Fan-shaped 막냉각홀 선도 설계, 복합 열유동 해석 및 구조해석○ 성능개선 시제 엔진 상사조건 막냉각 및 평균냉각효율 평가시험 및 해석결과와의 비교 분석, DB 보완○ 엔진 고온환경조건 및 엔진 상사조건 평균냉각효율 평가시험 수행- 참여기관 1(한국로스트왁스) :○ 항공기용 단결정 블레이드 정밀주조 제조... | - Fan-shaped 막냉각홀 적용 냉각터빈 시제의 복합 열유동 해석 및 구조해석 수행을 통한 냉각설계 기술 및 신뢰성 제고, 단결정 터빈 블레이드 구조-수명해석기법 연구를 통한 국내 부족기술 기반 구축- 개선된 기술이 적용된 Fan-shaped 막냉각홀 설계/해석 및 시험평가를 통한 선도기술 확보 및 기술경쟁력 확보 가능- 상온저속/고속 시험에서 다양한... | 항공기용 가스터빈엔진,냉각터빈,확장형 막냉각홀,막냉각효율,막냉각홀 가공 | Aviation Gas Turbine Engine,Cooled Turbine,Fan-shaped Hole,Film Cooling Effectiveness,Film Cooling Hole Machining | 903000000 |
267 | 2021 | 정지궤도공공복합통신위성개발(통신탑재체)(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711134658 |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 통신탑재체 개발 | Development of Communications Payload for GEOKOMPSAT-3 | 이병선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401 | 20271231 | 차세대 통신위성 탑재체기술 | o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의 통신탑재체 및 지상검증시스템 개발 - Ka 대역 위성 통신탑재체 개발 (TRL8) - Ka 대역 위성 통신탑재체 검증용 위성통신지상검증시스템 개발 - Ka대역 위성통신시스템 운용을 위한 궤도·주파수 국제등록 수행 - 공공복합통신위성 발사후 궤도내 시험(IOT) o End Product - 탑재체 관련 납품 품목 .... |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 개발 사업을 통해 위성통신 기술력 제고 및 위성 기반기술 고도화 RF 부품, 디지털중계기, 통신탑재체 환경시험기술 등은 약 90% 수준 확보가 기대되며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 RF 능동/수동부품 기술, 다양한 안테나 기술, 디지털 중계기 신호처리기술 및 빔 재구성 기술, 전파 교란 대응 기술 등 최신 통신위... | 위성망,위성통신,정지궤도통신위성,통신지상국,통신탑재체 | Communication Earth Station,Communications Payload,GEO Communications Satellite,Satellite Communications,Satellite Network | 8973000000 |
136 | 2021 | 원자력융복합기술개발사업(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4692 | 우주부품 방사선 영향평가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space radiation environmental test evaluation for Space Parts | 한우제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경상남도 진주시 | 20210415 | 20231231 | 위성설계 및 개발기술 | 본 연구는 국내 100 MeV 양성자가속기와 우주부품시험센터 우주전문시험시설 기반을 활용하여 소자급 우주부품의 우주 방사선환경 시험검증 기술을 개발하고자 함.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시험기술은 소자급 우주부품의 안정성과 신뢰성 확보 및 체계적/객관적 성능 검증을 지원하는데 기여하고자 함. | 국내 우주산업의 기술 경쟁력 확보 및 자생력 있는 생태계 조성 등 우주부품 국산화 기반 지원○ 해외에서 전량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소자급 우주부품 시험기술 국산화를 통한 외화유출 및 납기기간 절감 기여○ 소자급 우주부품의 우주 방사선 환경시험 데이터 제공을 통한 비표준품의 우주급 신뢰성 제고○ 소자급 우주부품의 고부가가치 국산화 기반 마련 및 수출 경쟁력... | 우주부품,우주방사선,양성자가속기,메모리,신뢰성,시험,평가,검증 | Space parts,Space radiation,proton synchrotron,memory,reliability,test,inspection,evaluation | 130000000 |
5 | 2021 | 차세대중형위성개발(R&D)(과기정통부,농진청,산림청) | 다부처 | 한국연구재단 | 1711129003 | 차세대중형위성 2단계 개발 사업 위성개발 기술 관리·감독 | Technical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the second stage CAS500 development project | 한동인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801 | 20251231 | 기타 위성기술 | 차세대중형위성 2단계 개발사업(3호, 4호, 5호)에서 국내 산업체 주관으로 개발되는 분야를 대상으로 기술관리?감독 수행 1. 차세대중형위성 시스템 설계 적합성 검토 2. 차세대중형위성 위성 구성품 개발 관리 체계 점검 3. 차세대중형위성 구성품 개발 현황 및 적합성 검토 | ○ 국내 산업체가 주관하여 개발하는 우주분야 체계종합 개발사업에 대하여 다양한 형태로 적용 가능○ 기술관리?감독 기관의 검토를 바탕으로 주관 기관(국내산업체)은 위험관리에 소요되는 자원 경감가능○ 주관기관 업무수행측면에서 탄력성, 유연성, 전문성 확보에 용이하고, 연구개발의 품질제고, 일정단축과 비용절감에 기여 | 차세대중형위성,실용급,위성체,국산화,기술관리감독,체계종합,품질,위험관리 | CAS500,Commercial Class,Satellite,Localization,Technical Management Supervision,System Engineering and Integration,Quality,Risk Management | 550000000 |
166 | 2021 | 우주핵심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8979 | 우주용 초경량 비축 비구면 반사경 기초 연구 | A basic research on ultra-lightweighted off-axis aspheric optical surfaces for space application | 한정열 | 한국천문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80710 | 20210630 | 위성설계 및 개발기술 | 우주용 초경량 광학소재에 대한 연마 예측성을 강화하고, 비축 비구면 반사경의 형상을 정확히 정의하며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반연구를 수행한다.- 우주용 초경량 소재의 연마 단위부피 획득 및 분석, 이를 통한 최적 입력변수 예측기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기본데이터를 확보한다.- 비축 비구면 광학면의 수식적 정의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물리량(자오면)을 측... | 인공위성 광학계의 경량화는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위성체개발사업에서 요구조건으로 제시하는 매우 자명한 요구사항 중 하나이다. 무게를 가볍게 하는 방법은, 소재자체의 무게를 줄이는 방법과 광학계의 구성형상을 최적화하는 방법이 있다. 본 기초 연구룰 통하여 개발될 연마 단위부피 분석 연구를 통하여, 강성이 높아서 경량화에 매우 유리하지만 동시에 경도가 높으므로... | 초경량,비축 비구면,반사경,연마,측정,광학소재,공구영향함수,신소재 | Ultra-lightweighted,Off-axis asphere,Mirror,Polishing,Measurement,Optical material,Tool Influence Function,New material | 40000000 |
59 | 2022 | 무인이동체미래선도핵심기술개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3812 | 저고도 무인비행장치 교통관리체계 실증을 위한 GNSS 및 다중센서 기반 정밀통합 항법기술 개발 및 실증 | Development and demonstration of accurate integrated navigation technology based on GNSS and multiple sensors for demonstration of UAS traffic management system | 한상혁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70401 | 20221231 | 지능형 자율비행 무인비행기기 시스템(UAV)기술 | ? 저고도 공역에서의 복수 무인비행장치의 효율적이고 안전한 활용과 저고도 무인비행장치 교통관리체계의 요구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GNSS 및 다중센서 기반 정밀통합 항법기술 개발하고 교통관리체계 하에서 실증함 | ? 저고도 무인비행장치 교통관리체계를 위해 필요한 GNSS 및 다중 센서 기반 정밀통합 항법기술 수준 현황 및 동향 파악? 저고도 무인비행장치 교통관리체계의 기술적/제도적 구축 및 실증? 저고도 공역 내에서 비행하는 무인비행장치에 대한 대국민 안전성 보장 및 사회적 혼란 예방? 저고도 무인비행장치 관련 산업 및 교통관리체계관련 산업화에 기여 | 정밀 통합 항법 기술,비행데이터 검출 및 분석,측위정확도 시험,비가시권 기반 다중 운용,정밀 이착륙 기술,무 | navigation,flight data,accuracy,BVLOS,VTOL,UTM,test procedure,flight scenario | 517000000 |
53 | 2022 | 무인이동체원천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6516 | 무인이동체 원천기술개발사업 통합기술관리 및 기술혁신 | Technology Integration and Innovation on Unmanned Vehicle Core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 강왕구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301 | 20270531 | 지능형 자율비행 무인비행기기 시스템(UAV)기술 | 육?해?공 다양한 무인이동체에 공통으로 적용가능한 원천기술개발 및 다수?이종 무인이동체가 서로 협력하거나 분리-합체하는 등 통합운용을 위한 시스템 개발을 통해 차세대 무인이동체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혁신적 원천기술 확보 및 기술경쟁력 제고 | 무인이동체 기업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므로 사업 추진 중에 기업의 기술이전 수요를 정기적으로 발굴하여 기술이전 대상을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타부처에서 추진하는 상용화, 기술사업화, 창업지원사업 등과 연계하여 사업의 원천기술이 제품 및 서비스로 구현되도록 지원 및 활용할 계획이며, 고차원적인 지능형 임무수행이 가능한 무인이동체의 수요가 급성장할 것으로 예... | 무인이동체,탐지 및 인식,통신,자율지능,동력원,인간-이동체인터페이스,시스템 통합,기술실증기 | Unmanned Vehicle,Sensing Perception,Connectivity,Autonomy,Power,Human-Machine Interface,System Integration,Technology Demonstrator | 930000000 |
110 | 2021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1711135104 | 자가증기 가압시스템 기반기술 연구 | 김철웅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301 | 20211231 | 소형위성 발사체개발기술 | 자가증기 가압시스템의 예비설계 수행 , 추진기관 설계 기반기술 획득 | ㅇ헬륨가압시스템과 자가증기 가압시스템의 장단점 비교 가능ㅇ자가증기 가압시스템 자력 개발을 위한 기반기술 획득 | 추진기관, 자가증기가압, 액체산소; 액화천연가스; 응축 | Propulsion system, Autogenous pressurization, Liquid oxygen, Liquified natural gas, condensation | 6000000 | |
164 | 2022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1711170915 | 우주센터운영 | 옥호남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전라남도 고흥군 | 20210101 | 20261231 | 발사운용, 통제 및 관제기술 | ㅇ 시설 및 시설유지/보수 등 안전관리 등 기본운영 - 한국형발사체 추진기관 시험설비 운영 및 유지 - 우주센터 2단계시설구축 지원 및 주요시설 보수·정비 - 한국형발사체 발사대 기반시설 구축 지원 - 발사장 안전/보안체계 운영·관리 및 공공안전 관리 ㅇ 첨단고가장비유지/보수 등 장비운영 - 한국형발사체 발사운용에 대비한 레인지... | ㅇ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에 따른 국내 개발 저궤도위성의 발사장으로 활용 및 향후 해외 위성발사 기지로 활용 ㅇ 우주기술개발의 전초기지로 활용 - 우주발사체 국산화 개발에 필요한 각종 지상시험시설 구축 및 운용 ㅇ 우주과학관을 통한 국민교육의 장 및 관광자원 활용 - 우주센터를 우주과학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여 청소년과 일반국민에게 미래에... | 나로우주센터, 발사장, 추진기관시험시설, 안전관리 | NARO space center, Launch site, Engine Test Facility, Safety management | 8584000000 | |
182 | 2022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1711170889 | 극초음속 미래비행체 핵심기술 연구 | A Study on Key Technologies for Hypersonic Future Aircraft | 양인영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20101 | 20261231 | 기타항공기기술 | 지상 정지에서 극초음속까지(마하 0~5) 운용 가능한 극초음속 비행체 및 그 추진기관의 핵심 기술 확보 | - 극초음속 비행이 가능한 복합추진기관 기술 선도 - 극초음속 비행체의 공력 해석, 정밀 제작, 고속 제어, 고온 소재 기술 선도 - 극초음속 비행체, 재사용 우주발사체, 재진입 비행체 기술 개발로 연계 | 극초음속, 터빈 기반 복합 사이클 엔진, 열보호시스템, 스크램젯 엔진, 가변 형상 흡입구 | Hypersonics, Turbine-baesd Combined Cycle, Thermal Protection System, Scramjet Engine, Variable Geometry Intake | 1290000000 |
94 | 2021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1711135073 | 2단형 소형발사체 선행기술 개발 | Research on the Preceding Technologies Development for Two-Stage Small Satellite Launch Vehicle | 이기주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101 | 20231231 | 소형위성 발사체개발기술 | 투입 성능(태양동기궤도 500 km, 페이로드 500 kg)을 만족하고 경쟁력 있는 2단형 소형발사체의 시스템 구성안 도출, 상단용 고성능 엔진과 추진제 탱크 등 핵심 서브시스템의 예비설계 및 저비용 제작기술 선행 개발, 위성수요기반 소형위성발사체 개발전략 및 생태계 구축 방안 도출 | 소형위성 발사시장 진입에 필요한 경쟁력 있는 소형발사체의 구성 가능성 확인 - 한국형발사체 기술을 활용해서 소형발사체를 구성하고 시스템 설계 및 분석을 통해 다양한 임무에 대응이 가능한 소형위성발사서비스 가능성을 확인고성능 상단 구성을 위한 핵심 서브시스템 예비설계 수행 및 저비용 제작기법 확인 | 소형위성 발사체, 시스템설계, 상단용 액체로켓 엔진, 상단용 추진제탱크 | Small Satellite Launch Vehicle, System Design, Upper Stage Liquid Rocket Engine, Upper Stage Propellant tank | 1879000000 |
222 | 2022 | 한국천문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천문연구원 | 1711171034 | GNSS자료를 사용한 준실시간 동아시아 전리권 변화 감시 | Near real-time ionospheric monitoring over East Asia using GNSS data | 이우경 | 한국천문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101 | 20251231 | 기타 우주항공기술 | ○ 대한민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전리권 변화를 준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예측하기 위해 전 지구 위성항법 시스템 (GNSS) 자료를 사용해 전리권 정보를 산출하고 단기 예측모델을 개발한다. 또한, 산출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 ○ 교통, 선박, 항공 등 GNSS를 사용해 정밀한 위치결정이 필요한 분야에 전리권 오차 정보를 제공하여 맞춤형 보정 정보생성에 이바지○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구축을 위한 전리권 모델링과 오차 추정 기술개발에 활용○ TEC 예측모델 개발로 우주기상 등과 관련한 국가 자연재해방재시스템에 이바지○ 아직 풀리지 않은 국지 전리권 교란에 관한 연구자료 제... | 위성항법, 전리권, 총전자량, 딥러닝, 경험 모델 | GNSS, ionosphere, total electron content, deep learning, empirical model | 460000000 |
286 | 2022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1711170902 | 유인 미래모빌리티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 기술개발 | Technology development of hybrid electric propulsion systems for manned future air mobility | 허재성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101 | 20261231 | 기타항공기기술 | 도심기반 친환경 미래 도심항공 모빌리티와 함께 다양한 서비스 확장(고속/장거리 비행 및 유상하중 증대)과 군을 포함한 다수의 공공수요(긴급 물자, 환자 수송 등)와 화물 수송을 위한 가스터빈엔진 기반 하이브리드 전기추진시스템 통합 기술 개발 | -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 기술 확보로 다양한 서비스에 적합한 추진시스템 variant 개발 가능 ㆍ2030년부터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UAM 시장 참여 가능 - 차세대 고방전율/고에너지밀도 배터리 기술 개발을 대비한 순수 전기추진시스템 기술 다수 확보 - 독자적인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 통합기술 확보로 미래 모빌리티 시장 진출 기반 확보 - 하이브리드... | 미래 모빌리티,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 전기엔진, 가스터빈엔진, 배터리 | Future air mobility, Hybrid propulsion system, Electric engine, Gas turbine engine, Battery | 1500000000 |
168 | 2021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7025 | 우리 은하 전천의 먼지 산란 연구 | Simulation Study on the dust-scattered light of the entire Milky Way | 조영수 | 한국천문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601 | 20220228 | 기타 우주항공기술 | 본 연구에서는 원자외선 전천 관측 정보를 바탕으로 먼지산란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우리은하 전천에 대한 성간먼지의 3차원 공간 분포 정보를 알아내고, 이를 토대로 다음의 두가지 이슈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번째 이슈는 우리은하 고위도에서의 이온화 매질의 존재 규명이다. Hα 방출선은 이온화 매질의 존재 증거로 사용되는데, 중성 수소를 이온화 시킬 ... | 우주에서 발생한 빛은 성간물질에 의해 흡수, 산란, 재방출되는 과정에서 그 세기와 파장이 달라진다. 따라서 관측된 빛의 세기와 파장에 대한 보정은 천문학 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고 필수적인 과정이다. 성간물질 중에서도 특히 성간먼지는 빛의 소광에 가장 심각한 영향을 주는데, 관측된 빛의 정확한 보정을 위해서는 성간먼지의 공간분포뿐만 아니라 파장별 흡수 및... | 우리은하,먼지 산란,복사 전달 실험,3차원 분포,산란 성질,원자외선 확산 은하광,H-alpha 방출선,근적외 | Milky Way,Dust scattering,Radiative transfer simulation,Three-dimensional distribution,Scattering properties,Far-ultraviolet diffuse Galactic light,H-alpha emission,Near-infrared extragalactic backgro... | 45000000 |
89 | 2021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1711135099 | 초고해상도(0.3m해상도) 위성 SAR 영상 획득을 위한 SAR 영상처리 프로세서(SARP) 핵심알고리즘 개발 | 임병균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201 | 20211231 | 기타 위성기술 | 초고해상도(0.3m해상도) 위성 SAR 영상 획득을 위한 SAR 영상처리 프로세서(SARP) 핵심알고리즘 개발 전략 연구 | - 세계 최고 기술(0.3m급 이하)과 동일한 성능의 핵심기술 국산화를 위한 초석 마련- 향후 항우연에서 차기 고해상도 SAR 위성 개발시 본 기초기술 발전시켜 SARP 자체 개발에 활용 가능 | 합성개구면레이다 영상처리, 위성 SAR 영상 | SAR Processor, Spaceborne-SAR | 50000000 | |
216 | 2021 | 한국천문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천문연구원 | 1711152254 | 국제광학천문대 건설 및 운영 | Korean GMT Project | 박병곤 | 한국천문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101 | 20301231 | 기타 우주항공기술 | ㅇ 차세대 초거대 광학천문대 GMT 국제공동건설 참여ㅇ 대형 광학천문대 Gemini 국제공동운영 참여 - 경쟁력 있는 우수한 관측연구능력 개발 - 우수한 학문 후속세대 양성 지원ㅇ 주요 국제연구기관과 협동 연구 및 펠로우십 운영을 통한 협력 관계 강화ㅇ 대형광학망원경 활용 첨단 관측기기 운영 및 기술개발 지원 | ㅇ 한국천문학계의 대형광학망원경 활용 관측연구역량 강화 - 세계 최고 성능의 대형 광학망원경 활용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 성과 창출 - 대형망원경을 활용한 우수한 관측천문연구 프로그램 개발 - GMT 시대 천문우주과학 분야의 우수한 연구성과 달성을 위한 관측연구역량 강화 - 신진연구자 및 학문후속세대 지원을 통한 우수한 관측연구인력 양성ㅇ 차... | 거대마젤란망원경(GMT), Gemini 천문대, 천문관측연구, 천문관측기기, 국제협력 | Giant Magellan Telescope (GMT), Gemini Observatory, Astronomical Observation, Astronomical Instrument, International Collaboration | 8205000000 |
153 | 2022 | 스페이스파이오니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9594 | 스페이스파이오니어사업 | Space Pioneer Program for space core technology development | 용상순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303 | 20301231 | 위성설계 및 개발기술 | 국내 우주기술 개발 수준이 선진국 대비 낮아 기존의 국가 우주체계개발사업은 출연연을 중심으로, 해당 우주체계에서 요구되는 기술 확보를 위주로 하는 추격형 개발로 추진중임. 이에 기술과 개발예산이 출연연에 집중되어 국내 산업계 우주개발 역량 확보가 미흡한 상태로 유지중임. 동시에 우주개발 중점 기술의 자립율이 낮아 지속적으로 해외기술에 의존하게 될 뿐만 아니... | 본 사업의 연구개발성과물은 QM 지상시험 검증 이후 국가우주개발체계에 연계하고, 동시에 국내외 민간시장과 긴밀히 협력하여 민간의 우주개발 가능성과 경험을 확보하고, 우주개발 역량을 향상시켜 우주개발 산업생태계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제3차 우주개발진흥계획에서 계획한 국가우주개발체계의 성공적인 수행과 사업 일정 준수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며, 동시에 ... | 스페이스 파이오니어,발사체,위성체,우주개발,우주전략기술,중점기술,국산화,체계 연계 | Space Pioneer,Launch Vehicle,Satellite,Space Development,Strategic Space Technology,Key Space Technology,Koreanization,System-linked | 1820000000 |
138 | 2022 | 불법선박대응을위한장비선진화기술개발(R&D) | 해양경찰청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35000329 | 위성연계 접경수역 선박 모니터링 및 분포 예측 체계 개발 | 유주형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부산광역시 영도구 | 20200528 | 20231231 | 기타 위성기술 | ㅇ 위성연계 선박감시 시스템 개발을 통한 접경수역 선박정보 통합 기술 개발 - 다종 위성 중심의 해양빅데이터 수집체계 구축 · 위성/유·무인기/함정 정보 수신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 · 위성/유·무인기 영상 및 함정 정보 표준화 모듈 개발 - 선박 탐지·분류 및 해양빅데이터 분석기술 개발 - 선박 동향·행태 분석 기반 선박 분포 예측기술 개발 - 위성연... | [활용방안] ㅇ 인공위성 연계 남북 접경수역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해양관할권이 미치는 광역해역까지 관심 선박 모니터링 확대 활용 가능 ㅇ 연안 해역 재난·재해에 대한 효과적 대응 및 해상교통 안전관리 예측에 활용 ㅇ 타국 선박의 우리 측 관할수역 불법 조업활동 시 불법 조업행위 증거자료 확보 및 제시 등 외교적 대응방법 활용[기대효과] ㅇ 접경수역 대상 불... | 선박 모니터링,위성기반 감시,선박 분포예측,통합 시스템,접경수역 | ship monitoring,satellite based surveillance,predicting ship distribution,integrated system,contiguous zone | 838000000 | |
177 | 2021 | 한국천문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천문연구원 | 1711152249 | 차세대 중력파검출기 국제공동개발 참여를 위한 레이저 간섭계 첨단기술 개발 | 이성호 | 한국천문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00101 | 20231231 | 기타 우주항공기술 | 중력파 관측용 초고감도 레이저 간섭계 첨단요소기술 개발을 통한 차세대 중력파 검출기 국제공동개발 참여ㅇ 고주파수 대역 중력파 검출 감도 개선을 위한 양자조임상태 레이저 광원 개발ㅇ 저주파수 대역 중력파 검출을 위한 양자얽힘상태 응용기술 개발ㅇ 차세대 중력파 검출기 국제공동개발 참여 및 협력 연구 | ㅇ 신기술 개발을 통한 중력파 검출 관련 핵심 기술 획득 - 차세대 중력파 검출기 개발의 주도적 참여를 위한 기술 역량 확보 - 중력파 검출기의 감도 및 관측 범위 확장에 기여 - 중력파 및 다중신호 관측연구 영역 확대에 기여ㅇ 첨단 양자기술 개발을 통한 양자정보통신 산업에 기여 - 양자조임 및 양자얽힘 기술은 양자컴퓨터, 양자암호통... | 중력파, 레이저 간섭계, 양자조임상태, 양자얽힘상태, 다중신호 천문학 | Gravitational Wave, Laser Interferometer, Quantum-Squeezed State, Quantum-Entangled State, Multi-Messenger Astronomy | 1151800000 | |
316 | 2021 | 한국천문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천문연구원 | 1711152297 | 차세대 우주환경 변화와 예측 연구 | Research on next-generation space weather variation and prediction | 곽영실 | 한국천문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101 | 20271231 | 기타 우주항공기술 | ○ 태양-전지구 간 그리고 태양권 우주환경의 변화와 총체적인 인과관계를 이해하고, 세계적 수준의 독자적 우주환경 예측 역량을 확보한다. | ○ 세계적 수준의 우주환경 연구집단 육성 및 차세대 우주환경 예측 역량 확보○ 차세대 우주환경 예측 기술을 바탕으로 전지구적 우주환경 위험으로부터 국가 최첨단 자산을 보호하는데 기여○ 태양권 우주환경 정보 제공으로 안정적 우주탐사 수행에 기여○ 우주환경 정보 서비스 기관에 고도화된 예측 기술 등 현업원천기술 제공으로 신뢰도 높은 우주환경 서비스에 기여 | 태양-지구 간 우주환경, 태양권 우주환경 우주환경, 통합예측모델 | Solar-terrestrial Space Environment Coupling, Heliospheric Space Environment, Integrated Space Weather Prediction Model | 940000000 |
98 | 2022 | 무인비행체안전지원기술개발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894 | 저고도 무인비행장치 교통관리(UTM) 인프라 설계 및 구축 | 김대호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70413 | 20221231 | 기타항공기기술 | 최종목표: 본 사업의 최종목표인 저고도 교통관리체계 개발 및 실증시험을 통한 무인비행장치 운영기반구축 실현을 위한 통신 인프라 설계, 구축 및 실증 본 사업의 신규 개발 목표ㅇ UTM 시스템 개발 및 20대 이상 기체의 2~3개 권역 실증ㅇ 2단계 UTM시스템(USS) 및 FIMS 개발 및 실증ㅇ UTM 운용개념, 운용조건,... | - 과제가 진행되는 동안 다각적인 안전성 검증 실험을 진행해 실제 비즈니스 모델로 발전시키기 위한 안전관련 데이터를 축적 및 소프트웨어 개발- 안전한 저고도 공역 내 무인비행장치 운용을 위한 자동/무인화 교통관리 및 감시 체계 구축 및 운영하며 지상추락 및 충돌로 인한 파손과 피해의 경향성을 파 악하여 무인비행장치 안정성 기술 발전에 기여- 무인비행장치 ... | 무인비행장치 교통관리체계 핵심기술,공역구조 설정 및 운용,리스크 평가,비행흐름관리 | UTM core technology,airspace structure and operation,risk assessment,flow management | 505000000 | |
26 | 2021 | 소형무인비행기인증기술개발(R&D) |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1615012300 | [4세부 과제] 소형무인비행기 시스템 시범 인증체계 및 인증기술 개발 | 전승목 | 항공안전기술원 | 인천광역시 중구 | 20190430 | 20231231 | 기타항공기기술 | 연구 개발 목표 : 소형 무인비행기시스템 인증 체계 및 설계 적합성확인 방법 개발연구 개발 내용○ 소형 무인비행기시스템 인증체계/방안 개발○ 소형 무인비행기시스템 인증기준 개발○ 소형 무인비행기시스템 적합성확인 방법 개발연구 개발 성과 ○ 소형 무인비행기시스템 인증체계/방안 수립 연구 보고서○ 소형 무인비행기시스템 인증기술기준(안)○ 소형 무인비행기시스템... | 세계적으로 민간영역에서 무인항공기 활용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ICAO를 포함하여 많은 국가에서 무인항공기의 활용 및 산업의 가속화와 국가공역의 통합을 위해 빠른 속도로 법/제도를 정비하고 있으나, 국내 무인항공기는 군용 목적으로 발전하여 민간 분야 무인항공기 설계·제작·인증 능력 및 경험이 미흡한 상태이다. 그러나 본 연구과제를 통해 확보된 무인항공기 핵심 ... | 무인,소형비행기,인증,개발 | Unmanned,Small Airplane,Certification ,Development | 642000000 | |
121 | 2021 | 원자력융복합기술개발사업(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0760 | 우주용 원자로 열전도관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Heat Pipe Technologies for Space Reactor | 김찬수 | 한국원자력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419 | 20221231 | 기타 우주항공기술 | 원자로 개념이 고려된 고온/고열속 열전도관 시작품 설계 및 제작 원자로 개념이 고려된 고온/고열속 열전도관 열성능 시험자료 생산 우주용 원자로 개념 개선을 위한 열전도관 설계 최적화 | 본 과제의 결과물은 우주에서 활용 가능한 원자로용 열전도관 설계/제작 기술력 확보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고온/고열속 열전도관 기술 개발을 통해 국내 산업체 기술력 제고가 가능하다. 개발된 고온/고열속 열전도관 기술은 폐열회수, 신재생에너지, 고온로 등의 비원자력분야로 응용 확대가 가능하다. | 우주용 원자로,고온 열전도관,윅구조물 ,열성능 시험,알칼리금속,굽힘가공,편조윅,소결윅 | Space Reactor,High T Heat Pipe,Wick Structure,Thermal Performance Test,Alkali Metal,Bending,Braided Wire Wick,Sintered Wick | 380000000 |
29 | 2021 | 원자력융복합기술개발사업(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33608 | 우주용 열전도관 냉각 원자로 개념 및 설계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Concept and Design Technology for Heat Pipe Cooled Space Reactor | 이성남 | 한국원자력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419 | 20221231 | 기타 우주항공기술 | 우주용 열전도관 냉각 원자로 노심 개념 개발 : 우주 환경에서 지속적으로(10년 이상) 전력 공급 가능한 노심 개념 개발 : 발사체 탑재 가능한 수준의 무게 확보 및 차폐 성능 확인우주용 열전도관 냉각 원자로 설계 기술 개발 : 열전도관 해석 코드 개발 : 노심 열이송 성능 분석 기술 개발 : 계통 개념 및 해석 코드 개발 | - 우주 기지에서 지속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원자로 설계기반을 마련한다.- 고온 환경에서 적용가능한 열전도관 원자로 설계 기술 개발은 우주용 원자로 뿐 아니라 지상의 초소형 원자로에도 적용되어 발전 계통에 연결될 수 있다.- 우주 요건을 고려한 노심 개념 개발 기술은 전력공급 외에도 우주 탐사를 위한 추진용 원자로 노심 개념 개발에도 응용될 수 있다. | 우주용 원자로,열전도관 냉각 원자로,열전도관 성능해석,우주용 원자로계통 개념,노심 차폐,몬테칼로 해석,계통 | space reactor,heat pipe cooled reactor,heat pipe performance analysis,space reactorsystem concept,core shield,Monte Carlo analysis,system transient analysis,core heat transportanalysis | 300000000 |
202 | 2021 | 우주핵심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28670 | 차세대소형위성 1호 적외선탑재체 우주 영상분광관측자료 활용연구 | Research with Infrared Imaging Spectroscopic Data from NISS onboard NEXTSat-1 | 정웅섭 | 한국천문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80710 | 20210630 | 위성설계 및 개발기술 | 차세대소형위성 1호 과학탑재체 NISS (Near-infrared Imaging Spectrometer for Star formation history)는 근적외선 영상과 분광을 동시에 구현한 기기로 개발이 완료되어 2018년 하반기에 발사 예정이다. 발사 이후 초기 시험운영을 거친 후, 주운영을 통해 주 관측임무인 1) 적외선 우주배경복사 연구를 위한 딥... | - 국내최초 적외선 영상분광 우주관측 운용 및 자료처리시스템 기술 활용- 효율적인 탑재체 운용 기법 연구 응용- 국내개발 위성 활용 극대화로 후속 연구를 위한 인력 양성 - 우주초기 및 가까운 우주에 대한 이해 증진 및 우주론에 대한 관측결과 제시- 국제협력 연구를 통한 세계적 수준의 과학연구 결과- 차세대 적외선 우주망원경사업 참여기회 확대 및 우주탐사 ... | 차세대소형위성 1호 활용,적외선 우주망원경,적외선 우주관측,적외선 영상분광,우주관측 자료처리,적외선 우주배경 | NEXTSat-1 Data use,IR Space Telescope,IR Space Observation,IR Imaging Spectroscopy,Data reduction,Cosmic IR Background,Star formation,Galaxy Evolution | 80000000 |
271 | 2021 | 불법선박대응을위한장비선진화기술개발(R&D) | 해양경찰청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 1535000229 | 위성연계 접경수역 선박 모니터링 및 분포 예측 체계 개발 | 유주형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부산광역시 영도구 | 20200528 | 20231231 | 기타 위성기술 | ㅇ 위성연계 선박감시 시스템 개발을 통한 접경수역 선박정보 통합 기술 개발 - 다종 위성 중심의 해양빅데이터 수집체계 구축 · 위성/유·무인기/함정 정보 수신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 · 위성/유·무인기 영상 및 함정 정보 표준화 모듈 개발 - 선박 탐지·분류 및 해양빅데이터 분석기술 개발 - 선박 동향·행태 분석 기반 선박 분포 예측기술 개발 - 위성연... | [활용방안] ㅇ 인공위성 연계 남북 접경수역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해양관할권이 미치는 광역해역까지 관심 선박 모니터링 확대 활용 가능 ㅇ 연안 해역 재난·재해에 대한 효과적 대응 및 해상교통 안전관리 예측에 활용 ㅇ 타국 선박의 우리 측 관할수역 불법 조업활동 시 불법 조업행위 증거자료 확보 및 제시 등 외교적 대응방법 활용[기대효과] ㅇ 접경수역 대상 불... | 선박 모니터링,위성기반 감시,선박 분포예측,통합 시스템,접경수역 | ship monitoring,satellite based surveillance,predicting ship distribution,integrated system,contiguous zone | 770000000 | |
250 | 2021 | 국가간협력기반조성(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49087 | 대형 항공기용 터보팬 엔진의 1500℃급 고압냉각터빈 설계 및 검증기술 연구 | Design and Validation Technology Development of 1500℃ Class High Pressure and Cooled Turbine for Large Aircraft | 전상욱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1231 | 20221230 | 기타항공기기술 | 터빈입구온도 1500℃급 고온, 고압 환경에서 작동하는 고압터빈의 냉각성능 개선설계 및 검증기술 개발 | 1. 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현재 국내에서 진행 중이거나 진행 예정인 가스터빈 개발과제에 활용 - 터빈 입구온도 1,500℃이상 급 유/무인기용 항공기 엔진 코어기술 개발 - 천연가스를 연료로 하는 수백 MW급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 고압냉각터빈 개발 2. 기대효과 - 본 기술은 항공기 엔진 중 기술 진입장벽과 부가가치가 가장 높은 고온부 개발을 위한 선도핵심... | 고압냉각터빈,1,500℃급 터빈,냉각설계,냉각성능시험,항공기 엔진 | High pressure and cooled turbine,1,500 class turbine,Cooling design,Cooling performance test,Aircraft engine | 60000000 |
66 | 2022 | 무인이동체원천기술개발(R&D)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3209 | 이동수요 맞춤형 고출력 전기구동시스템 설계 및 HILS 구현 | Design of high power electric drive system customized for mobile demand and its HILS implementation | 이기창 | 한국전기연구원 | 경상남도 창원시 | 20200601 | 20270531 | 지능형 자율비행 무인비행기기 시스템(UAV)기술 | ◆ 미래 무인이동체를 위한 고출력 직접구동 전기구동장치 및 에너지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무인이동체용 분산전기추진시스템 개발 ○ 3kW/10kW급 경량/고출력 다상 영구자석전동기(PMSM)와 다중화 드라이브 개발품(세부2와 세부3의 성과물)을 적용한 이동수요 맞춤형 전기구동장치 개발 ○ 전기구동장치 검증용 HILS 구현 및 에너지관리시스템 개발 ... | ■ 응용분야 ○ 무인이동체 탑재 에너지 관리시스템은 무인 이동체의 임무시간과 이동거리를 최적으로 연장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 시스템이 네트웍 망으로 연결되어 사물인터넷(IOT) 기능을 제공하면, 무인이동체 응용시스템의 전체 에너지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빅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 개발되는 3kW급 다상전동기와 다중화 드라이브는 최대이륙중량(MTOW)... | 고출력 밀도,다상 (영구자석 동기) 전동기,양방향 DC-DC 전력변환기,분산전기추진,에너지관리시스템,HILS | High Power Density,MultiphasePMSM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Bidirectional DC-DC Converter,DEPDistributed Electric Propulsion,EMSEnergy Management System,HILHardware In-the-Loop Simulation Veri... | 350000000 |
232 | 2022 | 한국천문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천문연구원 | 1711170950 | 국가우주위험대응체계 구축 및 기반기술연구 | Establishment of National SSA System & Fundamental Technology | 박장현 | 한국천문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190101 | 20251231 | 기타 우주항공기술 | - 국가 우주위험 정책 지원 및 우주환경감시기관 운영- 우주위험대응 국내외 협력 체계 구축- 성과 확산 및 공공 서비스 제공- 우주위험대응 기반기술 연구 | 1) 우주환경감시기관의 고유 임무 수행과 운영으로 국가우주정책에 활용2) 광학감시기술, 레이다감시기술 연구·개발을 통한 우주물체 추락·충돌 감시 현업활용 3) 독자적 우주물체 궤도정보 획득 역량 확보 및 국제협력 활용 | 우주위험, 우주위험감시, 자연우주물체, 인공우주물체, 우주환경감시기관 | Space Hazard, Space Situational Awareness, Natural Space Objects, Artificial Space Objects | 346000000 |
211 | 2021 | 한국천문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천문연구원 | 1711152250 | 첨단관측 및 컴퓨팅 기술 개발을 통한 은하형성 연구 | 고종완 | 한국천문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101 | 20291231 | 기타 우주항공기술 | 첨단의 측광+분광 관측 기술과 컴퓨팅 기술 개발을 통해 은하형성 과정 규명이라는 과학적 목표와 함께, 기기개발+탐사관측+수치모의실험 연구의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체계적인 연구 조직 구성 | ㅇ 국내 최초 비축-자유곡면 3반사 광학계 망원경 개발 과정에서 확보한 기술로 독자적인 LSB 우주망원경 개발 도전ㅇ 자유곡면 반사경 신소재 가공 분야에서 산업계와의 융합연구는 관련 핵심 기술 확보와 응용을 통한 다양한 신규 산업 육성 가능ㅇ 국내 최초 다천체 분광기 개발을 통해 광시야 다천체 분광기 개발 기술 확보ㅇ 우주거대구조와 다양한 맞춤형... | 극미광, 다천체 분광기, 유체역학/중력진화 수치모의실험, 비축 자유곡면, 은하 형성 | Low Surface Brightness (LSB), Multi-Object Spectroscopy (MOS), Hydrodynamic/N-body Simulation, Off-axis Freeform, Galaxy Formation | 1330000000 | |
65 | 2022 | 과학기술혁신인재양성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3828 | 대학(원)생 우주분야 현장교육 | Space Training Program for College & Post Graduate Students | 문인상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501 | 20260228 | 위성설계 및 개발기술 | 현장경험을 겸비한 우주분야 전문인력 양성을 위하여, 국가우주개발을 통하여 확보된 인프라 및 현장 전문가를 이용하여 학점 연계된 실험?실습 과정을 개설하고 운영 - 교육 제공 대상 대학 조사 및 선정 - 대학과의 협의를 통하여 맞춤형 실험?실습 커리큘럼 개발 - 학생 모집을 위해 대학과의 협약을 체결 - 연간 상·하반기 총 2개 현장교육 과목을 운영(과목당... | 우주분야 고급 인력 양성을 목표로 자기주도 학습이 가능한 현장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뉴스페이스 시대를 이끌고 갈 진취적인 인재를 양성하고자 함. 협업과 시스템적인 사고를 갖춘 차세대 우주개발의 리더를 교육하여, 현장의 인력 수요를 충족시켜 국가우주개발 중장기 계획을 성공적으로 달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임 | 우주개발,전문인력,실험실습,커리큘럼,현장교육,뉴스페이스,교육,강사진 | Space,Man power,Experimental,Curriculum,On the Job Training,New Space,Education,Lecturer | 150000000 |
72 | 2022 | 스페이스챌린지사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연구재단 | 1711154701 | 신소재 전개형 조각거울 및 위상측정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segmented deployable mirror and phase measurement system | 김학용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20210501 | 20250131 | 위성설계 및 개발기술 | ○ 초고해상도 미래형 광학 관측위성 광학계의 주반사경을 위한 신소재 기반 전개형 조각거울 가공ㆍ측정ㆍ코팅ㆍ조립 및 동일위상 제어용 파면측정 핵심기술 개발 - 고비강성 신소재 기반 조각거울 경량화 설계 및 제작기술 개발 - 극저탄성 연마공정 기반 유효구경 극대화 및 중력보상 가공기술 개발 - 다파장 우주급 코팅기술 및 이종재질 조립기술 개발 - 조각거울 동... | ○ 초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위한 미래형 광학 관측위성의 핵심기술인 전개형 조각거울의 요소기술을 확보하여, 향후 직경 3 m급 이상의 주반사경 위성 개발에 활용○ 신소재 기반 조각거울 제작에 필요한 핵심 요소기술을 개발하여, 소재부터 반사경 가공, 그리고 전개형 조각거울 개발에 이르는 가치사슬 확보○ 동일위상 제어를 위한 실시간 파면측정기술을 응용하여 우주용 ... | 반사경,조각거울,인공위성,탄화규소,전개형,동일위상,파면센서,광기계 | mirror,segmented mirror,satellite,silicon carbide,deployable,co-phasing,wavefront sensor,optomechanics | 350000000 |
판매제공처 홈페이지 | hellodd.com | 라이선스 |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
---|---|---|---|
판매 담당자 | 대덕넷 | 권한 | HelloDD |
연락처 | 070-4171-3524 | 접근 권한 | public |
이메일 | sungmin8497@hellodd.com | 상품 구분 | dataset |
품질측정 검사 | 품질측정기간 | ~ | |
---|---|---|---|
품질측정기관 | 대덕넷 | 품질측정연락정보 | 0428615005 |
품질측정결과 | 품질측정내용 |
현재 준비중입니다.
10047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황금1로 122,김포제조융합혁신센터 3층 한국산업기술시험원 ㅣ 사업자번호 : 113-82-06228 ㅣ 대표자명 : 김세종 ㅣ TEL: 02-860-1059 ㅣ E-mail: bigdata.dx@ktl.re.kr
Copyright ⓒ 2021 KOREA ENTERPRISE DATA. All Rights Reserved.